KR100951406B1 -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406B1
KR100951406B1 KR1020077023026A KR20077023026A KR100951406B1 KR 100951406 B1 KR100951406 B1 KR 100951406B1 KR 1020077023026 A KR1020077023026 A KR 1020077023026A KR 20077023026 A KR20077023026 A KR 20077023026A KR 100951406 B1 KR100951406 B1 KR 100951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piece
base material
mesh sheet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246A (ko
Inventor
카츠유키 키타가와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Publication of KR2007011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1Floor panels with integrated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E04B2001/3276Panel conne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하지재의 갈라짐을 방지하고, 각 피스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으며, 거주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은, 소정의 하우스 형상을 분할한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피스를 모르타르분이 혼입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하우스 본체를 조립하는 공정과, 무기질 섬유로 구성된 메시 시트를 적어도 피스의 접합 부분을 덮도록 붙이는 공정과, 무기질 섬유 및 모르타르분을 수지 도료에 분산시킨 하지재를 하우스 본체의 실외면 및 실내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는 공정과, 실외면의 하지재 상에 발수성 및 자외선 차단성 외장 도료를 도포하고, 실내면의 하지재 상에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를 도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조립식 하우스, 무기질 섬유, 메시 시트, 발포 폴리스타이렌, 모르타르분, 도료, 메시 시트, 하지재, 점토형, 천연물

Description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KNOCK-DOWN HOUSE AND METHOD OF BUILDING THE SAME}
본 발명은 옥외의 숙박 시설, 레저 시설, 기타 시설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옥외의 숙박 시설 등의 옥외 시설로는 목재를 조립해 붙인 방갈로나 포재를 이용한 텐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방갈로는 목재를 조립해 붙일 때 금속제의 앵글재나 브래킷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에 의한 조여붙임이 필요하여 구축이 번거롭고 품(수고, 시간)이 드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텐트는 시공이 간단한 반면 내구성이 떨어지며, 게다가 단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거주성이 나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발포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foam)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피스를 접합함으로써 돔 형상 등의 옥외 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발포 폴리스타이렌은 경량이며,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단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양호한 거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폐기 시에 태워 도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의 악영향이 없는 메리트도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번호 WO 01/44593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피스를 접합한 조립식 하우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발포 폴리스타이렌의 표면에는 하지재로서 모르타르가 사용되는데, 바람 등의 외압이나 눈이나 비 등의 영향으로 금이 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능적으로는 문제가 없어도 외관이 저하된다. 또한 하지재를 두껍게 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하면 수직인 벽면 등 공정 수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각 피스의 접합 부분에 있어서 접착제가 그 틈새를 충분히 다 메울 수 없어 오목한 곳 등이 생기면 하지재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되므로 하지재의 시공 시 건조 속도에 차이가 생겨 금이 가는 경우가 있다.
발포 폴리스타이렌의 자외선으로 인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화 타이타늄 가루 등을 혼입한 도료가 도포된다. 그러나, 이들 자외선 차단성 도료는 비나 눈 등으로 인해 탈락되기 쉽다. 따라서 수리를 포함한 유지비가 필요해진다.
피스의 접합 부분에 금속 빔이나 살 등의 보강재를 조립해 넣어 피스들 사이의 연결을 보다 강화하는 공법이 있다. 그러나, 이 공법은 비용이 비싸고 시공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지재의 갈라짐을 방지하고, 각 피스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으며, 거주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하우스 및 그의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으로서, 소정의 하우스 형상을 분할한 발포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foam)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피스를 모르타르분이 혼입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하우스 본체를 조립하는 공정과, 무기질 섬유로 구성된 메시 시트(mesh sheet)를 적어도 상기 피스의 접합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접착제로 붙이는 공정과, 무기질 섬유 및 모르타르분을 수지 도료에 분산시킨 하지재를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외면 및 실내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실외면의 하지재 상에 발수성 및 자외선 차단성의 외장 도료를 도포하고, 상기 실내면의 하지재 상에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를 도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메시 시트의 붙임 공정(취부 공정)은 조립된 하우스 본체의 외면의 대략 전체를 덮도록 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피스가 토대에 세워져 설치되는 구조로 하고, 상기 피스의 토대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부분과 토대의 대응 부분에 걸쳐 상기 메시 시트에 의해 덮은 후, 상기 하지재를 상기 메시 시트가 덮인 부분을 포함한 하우스 본체의 실외면 및 실내면에 도포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내면의 하지재에 대하여 그 상단(上段)측에 상기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를 도포하고, 그 하단(下段)측에 상기 외장 도료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 도료로서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로서 규조토 또는 회반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조립식 하우스로서, 소정의 하우스 형상을 분할한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피스를 모르타르분이 혼입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하우스 본체가 구축됨과 아울러, 무기질 섬유로 구성된 메시 시트가 적어도 상기 피스의 접합 부분을 덮도록 붙여지고, 무기질 섬유 및 모르타르분을 수지 도료에 분산시킨 하지재가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외면 및 실내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면의 하지재 상에 발수성 및 자외선 차단 성의 외장 도료가 도포되고, 상기 실내면의 하지재 상에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로서, 상기 메시 시트는 조립된 하우스 본체의 외면의 대략 전체를 덮도록 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로서,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내 공기가 상기 피스를 통하여 순환되는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유로 내에 설치된 공기 정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로서,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내 공기가 상기 피스를 통하여 순환되는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유로 내에 설치되는 공기 가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로서, 상기 복수 개의 피스가 토대에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메시 시트는 피스가 토대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부분과 토대의 대응 부분에 걸쳐 덮도록 붙여져 있으며, 이 메시 시트가 덮인 부분을 포함한 하우스 본체의 실외면 및 실내면에 상기 하지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로서,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내면의 하지재에 대하여 그 상단측에 상기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를 도포하고, 그 하단측에 상기 외장 도료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로서, 상기 외장 도료는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로서, 상기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는 규조토 또는 회반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하우스로서,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바닥 부재가 하우스 본체 내의 바닥 부분에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은, 피스의 접합 부분에 대하여 무기질 섬유로 구성된 메시 시트를 접착제로 붙이고, 그 위에서부터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하지재를 발라 고정하므로 피스의 접합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후의 하지재의 갈라짐이나 피스의 어긋남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강도 증대를 위한 피스 접합부에 금속제의 보강재를 장착하는 것도 불필요해진다. 구축 공법을 간단화할 수 있다. 더욱이, 메시 시트는 피스의 접합 부분을 덮기 때문에, 예컨대 오목한 곳 등이 있어도 이것을 평탄화시키므로 하지재의 두께를 균일하게 바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두께에 기인하는 하지재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지재 그 자체에도 무기질 섬유를 섞었으므로 그 자체의 강도가 증가하여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외면의 하지재 상에 발수성 및 자외선 차단성 외장 도료인 변성 실리콘을 도포하였으므로 자외선으로 인한 피스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발수성이 있으므로 비나 눈을 튕길 수 있고, 탈락도 적으므로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다. 실내면의 하지재 상에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인 규조토 또는 회반죽을 도포하였으므로 합판 등에서 나오는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등의 유해 가스를 흡착 또는 분해할 수 있고,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은 메시 시트를 조립된 하우스 본체의 외면 전체를 덮도록 붙이므로 각 피스를 전체에 걸쳐 더욱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은 메시 시트를 토대와 이 토대에 접속되는 피스의 부분을 덮도록 붙여 하지재로 고정하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은 하우스 본체의 실내면의 하지재에 대하여 그 상단측에 상기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를 도포하고, 그 하단측에 상기 외장 도료를 도포하였으므로 특히 하단측의 벽은 낙서에 강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은 외장 도료로서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를 사용하므로 저렴하고 발수성 및 자외선 차단성이 뛰어나다는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발수성이 있어 비나 눈으로 인한 갈라짐에 강하다.
청구항 6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은 점토형 도료로서 규조토를 사용하는 경우 습도를 조정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결로가 생기지 않고, 차음성이나 탈취성도 뛰어나며, 휘발성의 포름알데히드를 흡착할 수 있다. 점토형 도료로서 회반죽을 사용하는 경우, 강 알카리성으로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고, 산성 기체인 폼알데하이드를 흡수하여 분해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청구항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9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정화 수단을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조립해 넣었으므로 보다 쾌적한 거주성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0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가온 수단을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조립해 넣었으므로 보다 쾌적한 거주성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1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청구항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2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청구항 4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3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청구항 5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4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청구항 6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5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바닥 부재에 발포 폴리스타이렌을 사용하였으므로 발포 폴리스타이렌은 그 98%가 공기이므로 양호한 바닥밑의 단열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돔형의 조립식 하우스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조립식 하우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조립식 하우스의 조립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피스의 접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메시 시트를 접합부에 붙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메시 시트를 하우스 전체에 붙인 사시도이다.
도 7은 하우스 본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의 하우스 본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피스의 접합 구조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피스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바닥에 바닥 부재와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정화 수단을 조립해 넣은 형태의 제1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바닥에 바닥 부재와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정화 수단을 조립해 넣은 형태의 제2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형태에 있어서 바닥밑 파이프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다.
도 14는 도 12의 형태에 있어서 바닥밑 파이프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5는 바닥에 바닥 부재와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정화 수단을 조립해 넣은 형태의 제3 예를 보인 바닥 파이프의 배치도이다.
도 16은 메시 시트가 토대와 피스의 접합부에 사용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메시 시트가 토대와 피스의 접합부에 사용되는 경우의 실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메시 시트가 토대와 피스의 접합부에 사용되는 경우의 실내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메시 시트가 토대 상에 설치된 지지재와 피스의 접합부에 사용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각종 형태의 조립식 하우스를 보인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조립식 하우스, 2: 하우스 본체,
3: 토대, 3a: 지지면,
3b: 걸어맞춤 단차부, 4: 피스,
4a: 걸어맞춤편, 4b: 노치부,
4c: 단면, 4f: 다리부,
5: 블록, 6: 연결 플레이트,
7: 볼트, 8: 연결 부재,
10: 피스의 접합 부분, 11: 메시 시트,
11a, 11b, 11c: 메시 시트, 13: 하지재(실내면측),
14: 하지재(실외면측), 15: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실외면측)
17: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실내면측),18: 규조토,
19: 요철부, 21a: 볼록부,
21b: 오목부, 22: 케이블 배선용 홈,
23: 바닥 부재, 23a: 오목부,
23b: 연통홈, 23c: 볼록부,
24: 바닥 패널, 24a: 통기공,
25: 공기 정화 수단, 26: 파이프,
27: 환기 팬, 28: 지지재,
30: 조립식 하우스, 31: 측벽부,
32: 지붕부, 33: 측벽의 피스,
34: 지붕의 피스, 60: 카페트,
61: 팬, 62: 히터,
100 내지 900: 조립식 하우스의 구성예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하는 최선의 실시 형태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돔형의 조립식 하우스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조립식 하우스(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돔형의 하우스 본체(2)를 가지며, 이 하우스 본체(2)가 토대(3) 위에 세워져 설치됨으로써 구축된다.
하우스 본체(2)는 복수 개의 피스(4)를 원주선 방향으로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피스(4)는 그 좌우의 양단면이 인접하는 피스와 접합됨으로써 하우스 본체(2)를 구성하는 것이다. 피스(4)는 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우스 본체(2)의 종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돔 형상을 방사상으로 복수 개로 분할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피스(4)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돔 형상을 등분할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모든 피스(4)가 동일 크기로 되기 때문에 시공을 하기가 쉽고, 게다가 발포 성형용 금형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메리트가 있다.
각각의 피스(4)는 발포 폴리스타이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피스(4)가 가볍고, 취급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우스 본체(2)의 구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피스(4)의 두께 및 발포 폴리스타이렌의 발포 배율은 조립식 하우스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적당히 선정되는 것이며, 예컨대 단열성이나 강도가 요구되는 사용 환경의 경우에는 발포 배율을 작게 그리고 피스(4)를 두껍게 하고, 그 이외의 사용 환경의 경우에는 발포 배율을 크게 피스(4)를 얇게 할 수 있다.
각각의 피스(4)는 그 하단부가 토대(3)에 걸어맞춤(係合)됨으로써 토대(3) 상에 세워져 설치된다. 토대(3)는 원을 등분할한 복수 개의 원호형의 블록(5)에 의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블록(5)을 연결함으로써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환형으로 되어 있다. 블록(5)은 콘크리트나 스테인리스 등에 의해 성형되며, 인접하는 블록(5)은 스테인리스 등의 내식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플레이트(6) 및 볼트(7)에 의해 연결된다.
토대(3)에는 피스(4)의 하단면을 지승(支承)하는 원환형의 지지면(3a)이 형성된다. 지지면(3a) 상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L자형으로 굴곡된 걸어맞춤 단차부(係合段部, 3b)가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 단차부(3b)와 지지면(3a) 사이에 피스(4)의 하단(下端)부가 삽입됨으로써 피스(4)의 하단부가 토대(3)와 걸어맞춤된다. 한편, 피스(4)의 하단부에는 내방측으로 굴곡된 걸어맞춤편(係合片, 4a)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편(4a)이 걸어맞춤 단차부(3b)와 지a) 사이에 삽입된다.
각각의 피스(4)의 상단(上端)부는 원호형으로 잘린 노치부(절결부, 4b)이다. 노치부(4b)는 피스(4)를 접합하여 하우스 본체(2)를 형성하였을 때 연결용 구멍부(도시 생략)를 하우스 본체(2)의 꼭대기 부분에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결용 구멍부에는 연결 부재(8)가 부착된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연결 부재(8)는 전술한 토대(3)와 마찬가지로 피스(4)의 상단부가 삽입됨으로써 피스(4)의 상단부에 걸어맞춤된다. 이에 따라 피스(4)의 상단부를 묶도록 작용한다. 또한, 연결 부재(8)로는 개폐 조정 가능한 통기구(도시 생략)를 갖는 천창(天窓)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실시 형태의 돔 형상의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순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피스(4)를 접합할 때에는 인접하는 피스(4)의 단면(4c)을 서로 맞닿게 한다(도 4 참조). 이 경우, 피스(4)의 단면(4c)에는 모르타르분이 혼입된 접착제(도시 생략)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를 통하여 인접하는 피스(4)를 접합한다. 즉 접착제에 의해 하우스 본체(2)의 줄눈부를 접착하는 것이다. 도 4에서, 부호 10은 하우스 본체(2)의 줄눈부로서의 피스(4)의 접합 부분(실시 형태에서는 접합선)이다. 접착제로는 폴리아크릴산 에스터(polyacrylic ester)나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터(polymethacrylate ester) 등의 아크릴 수지가 사용되며, 이 아크릴 수지에 모르타르분이 혼입되어 분산되어 있다. 아크릴 수지는 발포 폴리스타이렌에 대한 접착력이 크며, 따라서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피스(4)를 서로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피스(4)의 접착제로서 모르타르분이 혼입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제가 탄성을 가진 강인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내진성, 내충격성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이나 진동, 충격이 있어도 하우스 본체(2)의 줄눈부에 크랙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이 접착제는 내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줄눈부로부터의 빗물의 침입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피스(4)를 접합함에 있어서는 하단부의 걸어맞춤편(4a)을 토대(3)의 지지면(3a)과 걸어맞춤 단차부(3b) 사이에 삽입하면서 행하는 것이다.
도 5는 피스(4)의 접합에 의해 돔 형상의 하우스 본체(2)를 형성한 후의 공정을 나타내며, 하우스 본체(2)의 줄눈부에 대하여 메시 시트(11)를 붙이는 것이다. 접착제는 상기한 피스(4)의 접합에 사용한 모르타르분이 들어간 아크릴 접착제일 수 있다. 이것을 접합 부분을 포함하여 메시 시트(11)의 형상으로 바르고, 메시 시트(11)를 붙이고, 또한 그 위에서부터 다시 접착제를 얇게 도포한다. 건조에는 24시간 정도의 시간을 둔다. 메시 시트(11)는 하우스 본체(2)의 줄눈부인 피스(4)의 접합 부분(10)을 따라 그 전체 길이를 덮도록 붙여진다.
메시 시트(11)로는 무기 섬유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섬유란 탄소 섬유, 유리 섬유, 금속 섬유를 가리킨다. 장력이 있는 수지계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시트일 수도 있다. 시트는 그물눈(網目) 형상으로 편성된 형태가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탄소 섬유로서 두께 0.3 내지 1mm, 6메시(눈 수가 1인치 당 6개)인 것을 사용하였다. 12메시를 초과하면 눈이 지나치게 촘촘하여 작업하기가 어렵고, 6메시 이하는 눈이 지나치게 성기다. 이에 따라 하우스 본체(2)의 줄눈부(피스(4)의 접합 부분(10), 도 4 참조)에는 전술한 모르타르분이 혼입된 아크릴 수지의 접착력 이외에 메시 시트(11)의 강도나 강인성이 추가로 작용하여 피스(4)를 서로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메시 시트(11)를 피스(4)의 접합 부분(10)에 대하여 붙임으로써 접합 부분(10)의 접합력이 강화된다. 피스(4)의 접착제의 도포량이 적은 접합 부분(10)의 오목부(凹部)를 메우고, 메시 시트(11)에 의해 위에서부터 덮으므로 외면의 요철(凹凸)을 없앨 수 있다. 외면이 평탄 형태가 되면 그 후에 하우스 본체(2)에 도포되는 하지재나 외장 도료, 내장용 점토형 도료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지재의 고화를 균일화할 수 있고, 이들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이 없어진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 시트(11)를 피스(4)의 접합 부분(10)도 포함하여 하우스 본체(2)의 전면을 덮도록 붙일 수도 있다.
메시 시트(11)를 붙여 장착한 이후에는 하지재를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 및 실외면 전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한다. 하지재로는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 등의 섬유 및 모르타르분을 수지 도료에 분산시킨 것을 사용한다. 수지 도료로는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터나 폴리아크릴산 에스터 등의 아크릴 수지, 그외 기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재는 1 내지 3cm의 범위에서 소정의 두께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하지재로 하면, 종래의 하지재보다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서, 부호 13은 하우스 본체(2)(피스(4))의 실내면에 도포된 하지재, 부호 14는 실외면에 도포된 하지재이다. 이러한 하지재(13, 14)로서 전술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피스(4) 상호간의 접합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지재(13, 14)가 섬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스 본체(2)에의 도포 후에 균열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하지재(13, 14)는 모르타르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따라서 단단하고 강고한 도장막이 되어 내부의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피스(4)가 진동을 일으켜도 외부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하지재(13, 14)의 도포 후에는 하우스 본체(2)의 실외면의 하지재(14)의 면에 대하여 외장 도료를 도포함과 아울러, 실내면의 하지재(13)의 면에 대하여 내장용 도료를 도포한다.
외장 도료로는 발수성 및 자외선 차단성 도료가 도포된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도료로는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 기타 수지 도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에서, 부호 15는 외장 도료로서 실외면의 하지재(14)에 도포된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이다.
이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15)는 실리콘 입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발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나 눈을 튕길 수 있고, 게다가 하지재(14)와의 결합력이 크기 때문에 탈락되지 않는다. 따라서 돔 하우스(1)를 옥외에 설치하여도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15)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우스 본체(2)의 실외면에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15)를 도포함으로써 자외선이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15) 내부의 피스(4)에 도달하는 않아 자외선으로 인한 피스(4)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15)는 표면 장력이 작기 때문에 오염이 잘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스 본체(2)의 외면의 청소를 간단히 행할 수 있어 보수가 용이해진다. 이상의 작용을 갖는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로는 예컨대 알키드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로 이루어지는 외장 도료에 대해서는 타이타늄 화이트나 마이카 등의 안료를 혼련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스 본체(2)의 외면에 대한 착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의 하지재(13)의 면에 대한 내장용 도료로는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가 사용된다.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로는 규조토 또는 회반죽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에서, 부호 18은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로서의 규조토이다. 이 규조토(18)는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의 높이 방향의 상단측에 도포되는 것이다.
이 경우, 실내면의 높이 방향의 하단측에는 실외면과 동일한 전술한 외장 도료가 도포된다. 부호 17은 실내면의 높이 방향의 하단측에 도포된 외장 도료로서의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이다.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17)를 하우스 본체(2)의 높이 방향의 하단측에 도포함으로써 전술한 특성을 하우스 본체(2)의 하단측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내면의 하단측에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17)가 도포됨으로써 하단측의 표면 장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낙서가 잘 부착되지 않음과 아울러 부착되어도 간단히 닦아낼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식 하우스(1)를 레저 시설로 사용한 경우 등 청소가 간단하다.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의 높이 방향의 상단측에 도포된 규조토(18)는 해조류로 이루어지는 식물 플랑크톤을 원료로 하는 것이며, 산화 규소를 주성분으로 한 점토 형태로 되어 있다. 산화 규소를 주성분으로 한 규조토(18)는 내열성을 가지며, 담배 등의 경도한 불이 접촉하여도 타지 않아 안전하다.
또한 규조토(18)는 폼알데하이드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지재(13)나 외장 도료인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17)로부터 어떠한 작용에 의해 폼알데하이드가 발생하여도 이것이 실내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규조토(18)는 유해 물질을 흡착 제거하기 때문에 안전함과 아울러, 탈취 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진드기나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돔 하우스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돔 하우스(1)의 실내에서의 거주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의 높이 방향 상단측에 도포되는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로는 규조토(18) 대신 회반죽을 사용할 수 있다. 회반죽은 토양 중의 소석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며, 여기에 마의 섬유 찌꺼기, 은행초 등을 혼합함으로써 점토 형태로 되어 있다. 이 회반죽은 규조토(18)와 마찬가지로 폼알데하이드를 흡착 제거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덧칠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면에 제거하기 어려운 오염이 부착된 경우에도 그 보수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내화성이기 때문에 잘 타지 않는 특성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의 돔 형상의 조립식 하우스(1)에서는 피스(4)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후의 분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도 증대를 위한 금속제의 보강재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조립식 하우스(1)의 구축을 간단히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 하우스(1), 즉 하우스 본체(2)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을 나타낸다. 본 형태에서도 하우스 본체(2)를 구성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피스(4)의 접합선을 따라 무기질 섬유가 혼입된 메시 시트가 붙여진다. 또한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 및 실외면에는 수지 및 모르타르분을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 도료에 분산시킨 하지재(13, 14)가 도포된다. 더욱이, 하우스 본체(2)의 실외면의 하지재(14) 면에는 발수성 및 자외선 차단성 외장 도료로서의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15)가 도포되어 있다.
도 8의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에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로서의 규조토(18)가 도포되는 것이다. 규조토(18)는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 전체에 도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7의 실시 형태와 같은 상하단을 나누어 칠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있다. 또한 규조토(18)가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 전체에 도포됨으로써 폼알데하이드나 유해 물질의 흡착 제거나 탈취 작용, 나아가서는 진드기나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는 작용을 실내면 전체에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도 규조토(18) 대신 회반죽을 실내면 전체에 도포할 수도 있다.
도 9는 피스(4)의 접합 구조부의 형태를 나타낸다. 동 도 9(a)에서는 피스(4)의 대향 단면에 계단 형태의 요철부(21)가 형성되고, 이 요철부(21)가 서로 맞물려 들어가 있다. 또한 동 도 9(b)에서는 피스(4)의 대향 단면에 맞물림 볼록부(21a) 및 맞물림 오목부(21b)가 형성됨으로써 서로 맞물려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도, 피스(4)의 대향 단면 사이에는 무기질 섬유 및 모르타르분이 혼입된 수지 도료가 도포되어 피스(4)가 접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맞물려 들어가는 구조로 함으로써 피스(4)의 상호간의 접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스(4)를 강고하게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스(4)의 단면 형상은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이 도 9에 도시한 구조에서도,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전술한 메시 시트(11)를 피스(4)의 접합 부분을 덮도록 붙임으로써 피스(4)를 강고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은 피스(4)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며, 실내면 측에 전기 코드 등의 케이블 배선용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배선용 홈(22)은 전기 다리미 등을 피스(4)의 실내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며, 피스(4)가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블 배선용 홈(22)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케이블 배선용 홈(22)의 내부에는 전기 코드, 퍼스널 컴퓨터 등의 LAN 케이블, 기타 케이블을 배치한 후, 전술한 외장 도료나 점토형 도료 또는 전용 매립재에 의해 케이블 배선용 홈(22)을 봉쇄한다. 이러한 케이블 배선용 홈(22)을 형성함으로써 전등, 냉장고,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 기타 전기 기기에의 전력 공급이나 신호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식 하우스(1)의 사용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배선용 홈(22)은 실외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스 본체의 바닥 부분에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바닥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바닥 부재를 발포 폴리스타이렌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피스(4)에 의해 구성되는 벽 부분에 더하여 바닥 부분도 단열성이 되어 거주성이 향상된다.
도 11은 바닥에 바닥 부재(23)와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정화 수단을 조립해 넣은 형태의 제1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바닥 부재(23)는 피스(4)에 의해 구성되는 하우스 본체(2)의 바닥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바닥 부재(23)는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피스를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바닥 부재(23) 상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 패널(24)이 부설된다.
다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순환 수단은 바닥 부재(23)의 상면에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오목부(23a)와, 인접하는 오목부(23a)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홈(23b)과, 바닥 패널(24)이 설치된 통기공(24a)과, 측벽 내에 설치된 파이프(26)와 환기 팬(27)으로 이루어진다. 각 오목부(23a) 내에는 대나무 숯, 활성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 수단(25)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스 본체(2) 내의 공기는 환기 팬(27)으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정화 수단(25)에서 먼지나 악취가 제거되어 통기공(24a)으로부터 다시 실내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하우스 본체(2)의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거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바닥에 바닥 부재와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정화 수단을 조립해 넣은 형태의 제2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바닥밑의 공기 통로의 일부에 금속제의 바닥밑 파이프(29)를 사용하였다. 기타 바닥 패널(24), 통기공(24a), 발포 폴리스타이렌제의 바닥 부재(23), 그 볼록부(23c), 공기 정화 수단(25) 등은 도 11과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카페트(60)는 통기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였다.
도 13은 도 12의 형태에 있어서 바닥밑 파이프(29)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바닥밑 파이프(29)는 일단이 하우스 본체(2)의 측벽에 연결되고, 타단이 바닥의 중심부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바닥밑 파이프(29)를 방사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는 바닥밑 파이프(29)를 총 12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정화된 공기는 바닥 패널(24)의 전면으로부터 통기공(24a)을 통하여 실내의 상방으로 상승한다. 또한 상승한 공기는 하우스 본체(2)의 상부 원주 방향으로부터 빠짐없이 모아져 순환된다.
도 14는 바닥밑 파이프(29)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하는 공기를 가온하기 위하여 바닥밑 파이프(29)의 내부에는 팬(61), 히터(62)가 설치된다.
도 15는 바닥에 바닥 부재와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정화 수단을 조립해 넣은 형태의 제3 예를 보인 바닥밑 파이프의 배치도이다. 제3 예에서는 도 11의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피스(4)의 측벽 내에 설치된 파이프(26)와, 환기 팬(27)은 생략된다. 바닥밑 파이프(29)의 일단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개구부는 바닥밑 파이프(29) 내의 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분출구가 되는 경우와 흡입구가 되는 경우가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메시 시트를 사용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메시 시트(11)는 인접하는 피스(4)의 접합 부분(10)에 대하여 붙여지는데, 이 이외에,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4)와 토대(3)의 접속 부분에도 붙여진다. 즉,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스 본체(2)의 외주측과 내주측에 메시 시트(11a, 11b)가 붙여진다.
하우스 본체(2)의 실외면측의 하단부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대(3)의 대응 부분에 메시 시트(11a)가 붙여진다. 메시 시트(11a)는 하우스 본체(2)의 하단 외주측을 연속적으로 덮는 것이며, 옆으로 나란히 줄지어 인접한 피스(4) 및 토대(3)에 걸쳐 연속적으로 붙여진다.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4)의 내면의 하단부와 이에 대응한 토대(3)의 대응 부분에 걸쳐 메시 시트(11b)가 연속적으로 붙여진다. 또한, 피스(4)의 내면의 하단부에는 실내측으로 연장된 다리부(4f)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메시 시트(11b)는 이 다리부(4f)로부터 토대(3)의 대응 부분에 걸쳐 붙여진다. 또한,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 및 실외면에 대해서는 하지재(13, 14)가 도포되는데, 이 도포에 의해 메시 시트(11, 11a 및 11b)가 은폐되기 때문에 외관의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피스(4)의 접합 부분(10) 이외에 추가하여 피스(4)의 토대(3)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부분 및 이와 대응하는 토대(3)의 대응 부분에 걸쳐 메시 시트(11a, 11b)에 의해 덮음으로써 토대(3)와의 결합 강도가 커지기 때문에 토대(3) 상에 안정적으로 하우스 본체(2)를 세워 설치할 수 있다.
도 19는 메시 시트가 토대 상에 설치된 지지재와 피스의 접합부에 사용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본 형태에서는 콘크리트제의 토대(3) 상에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재(28)는 토대(3)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지지재(28) 상에 복수 개의 피스(4)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피스(4)에 있어서 지지재(28)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부분과 이 세워져 올라가는 부분과 대응한 지지재(28)의 대응 부분에 걸쳐 메시 시트(11a, 11b)가 붙여진다. 메시 시트(11a)는 하우스 본체(2)의 실외면 하부에 붙여지며, 메시 시트(11b)는 실내면 하부에 붙여진다.
도 19의 형태는 토대(3)로서의 지지재(28) 상에 바닥 부재(23)가 부설되는 것이며, 이 바닥 부재(23)와 각 피스(4)에 걸쳐 메시 시트(11c)가 붙여진다. 메시 시트(11c)는 각 피스(4)와 바닥 부재(23)와의 경계 부분인 하우스 본체(2)의 코너부를 덮도록 붙여진다. 즉, 메시 시트(11c)는 하우스 본체(2)의 실내면의 코너부를 연속적으로 덮도록 붙여진다. 이에 따라 각 피스(4)와 바닥 부재(23)간 결합 강도가 커져, 하우스 본체(2)와 바닥 부재(23)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20은 각종 형태의 조립식 하우스를 보인 사시도이다. 각각은 돔형(100), 롱 돔형(200 내지 400), 편돔 편바이저(visor: 햇빛 가리개)형(500), 편돔 편아치형(600), 양아치형(700), 편아치 편바이저형(800), 양바이저형(900)이다. 이들 모델에서는 측벽부 및 지붕부를 가지며, 측벽의 피스(33)를 인접하도록 접합함으로써 측벽부가 형성되고, 지붕의 피스(34)를 인접하도록 접합함으로써 지붕부가 형성된다. 이들 피스는 발포 폴리스타이렌제이며, 그 접합에 전술한 메시 시트(11)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피스 상호간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켜, 조립식 하우스를 안정적인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은 옥외의 숙박 시설, 레저 시설, 기타 시설로서 적합하다.

Claims (15)

  1. 소정의 하우스 형상을 분할한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피스를 토대에 세워 설치하고, 모르타르분이 혼입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하우스 본체를 조립하는 공정과,
    무기질 섬유로 구성된 메시 시트를 적어도 상기 피스의 접합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접착제로 붙이는 공정과,
    상기 피스의 토대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부분과 토대의 대응 부분에 걸쳐 상기 메시 시트를 덮도록 붙이는 공정과,
    무기질 섬유 및 모르타르분을 수지 도료에 분산시킨 하지재를 상기 메시 시트로 덮인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외면 및 실내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실외면의 하지재 상에 발수성 및 자외선 차단성 외장 도료를 도포하고, 상기 실내면의 하지재 상에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를 도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메시 시트를 붙이는 공정은 조립된 하우스 본체의 외면의 전체를 덮도록 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내면의 하지재에 대하여 그 상단측에 상기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를 도포하고, 그 하단측에 상기 외장 도료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외장 도료로서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로서 규조토 또는 회반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의 구축 방법.
  6. 소정의 하우스 형상을 분할한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피스를 토대를 세워 설치하고, 모르타르분이 혼입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하우스 본체가 구축된 조립식 하우스로서,
    무기질 섬유로 구성된 메시 시트가 적어도 상기 피스의 접합 부분을 덮도록 붙여짐과 아울러, 상기 피스의 토대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부분과 토대의 대응 부분에 걸쳐 상기 메시 시트를 덮도록 붙여지고, 무기질 섬유 및 모르타르분을 수지 도료에 분산시킨 하지재가 상기 메시 시트로 덮인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외면 및 실내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면의 하지재 상에 발수성 및 자외선 차단성 외장 도료가 도포되고, 상기 실내면의 하지재 상에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메시 시트는 조립된 하우스 본체의 외면의 전체를 덮도록 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
  8.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내 공기가 상기 피스를 통하여 순환되는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유로 내에 설치된 공기 정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
  9.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내 공기가 상기 피스를 통하여 순환되는 공기 순환 수단과,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유로 내에 설치되는 공기 가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
  10.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본체의 실내면의 하지재에 대하여 그 상단측에 상기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를 도포하고, 그 하단측에 상기 외장 도료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
  11.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외장 도료는 변성 실리콘 수지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
  12.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유래의 점토형 도료는 규조토 또는 회반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
  13. 청구항 6 에 있어서, 발포 폴리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는 바닥 부재가 하우스 본체 내의 바닥 부분에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스.
  14. 삭제
  15. 삭제
KR1020077023026A 2005-03-10 2005-03-10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 KR100951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4235 WO2006095430A1 (ja) 2005-03-10 2005-03-10 組立式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246A KR20070118246A (ko) 2007-12-14
KR100951406B1 true KR100951406B1 (ko) 2010-04-07

Family

ID=3695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026A KR100951406B1 (ko) 2005-03-10 2005-03-10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882660B2 (ko)
JP (1) JP4513032B2 (ko)
KR (1) KR100951406B1 (ko)
CN (1) CN101137801B (ko)
AR (1) AR055875A1 (ko)
AU (1) AU2005328856B2 (ko)
BR (1) BRPI0520109B1 (ko)
CA (1) CA2600083C (ko)
EG (1) EG25579A (ko)
MX (1) MX2007010928A (ko)
MY (1) MY145598A (ko)
TW (1) TWI364477B (ko)
WO (1) WO20060954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72B1 (ko) 2017-08-25 2018-06-22 조병훈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20190000759U (ko) 2017-09-15 2019-03-25 조병훈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24B1 (ko) * 2006-12-26 2007-08-23 박숙하 확장이 용이한 돔형 구조물을 만드는 방법
EP2273019A3 (en) * 2009-06-29 2012-09-05 F.H.U.P. "M-3" Iwona Pacura Self-bearing construction structure
US8820006B2 (en) * 2011-03-29 2014-09-02 Brian Paul Zook Hub and strut connection for constructing a geodesic dome
JP5787628B2 (ja) * 2011-06-08 2015-09-30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組立式建造物
MX2012013153A (es) * 2012-10-04 2014-04-28 M3 System Llc Una casa ecologica mejorada.
ES2415985B1 (es) * 2013-01-16 2014-05-27 Procon Nerium, S.L.P. Procedimiento de construcción de una edificación y edificación obtenida
WO2014209450A1 (en) * 2013-06-28 2014-12-31 Noble Enviromental Technologies Corporation Portable building structures
US9151577B2 (en) * 2013-07-03 2015-10-06 Rixford Smith Pyramid-sphere bunker system
US9194122B2 (en) * 2013-08-20 2015-11-24 Carlos Alberto Henriques DaCosta Dome enclosure
US9257826B2 (en) 2013-12-12 2016-02-09 Oxti Corporation Cable organizing apparatus
GB2543025A (en) * 2015-08-27 2017-04-12 Hunter Ian Composite sheet structure
JP6852877B2 (ja) 2017-01-30 2021-03-31 竹本 直文 発泡体パネルおよび組立式ハウス
KR102195528B1 (ko) * 2017-07-04 2020-12-28 한흥현 조립식 돔 하우스
CN108867967A (zh) * 2018-07-24 2018-11-23 南京慢城光电科技有限公司 天文圆顶的底座构架
FR3099779B1 (fr) * 2019-08-06 2021-09-17 Betarhobeta High Tech France Volume habitable amovible comprenant une embase et un dôme.
WO2021123422A1 (en) * 2019-12-20 2021-06-24 Lifeshelter Aps A shelter and a method of building such shelter
JP6887187B1 (ja) * 2020-10-27 2021-06-16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構造体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12482691B (zh) * 2020-11-18 2021-12-07 金华宇翔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材料防火eps装饰线条制作工艺
CN114703960A (zh) * 2022-05-19 2022-07-05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承压建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705B2 (ja) * 1989-12-22 1995-04-12 株式会社ニットー 壁面施工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7260A (en) * 1969-01-15 1970-12-15 Grefco Process for beneficiating diatomaceous earth ores and product
US4094110A (en) * 1976-03-24 1978-06-13 Radva Plastics Corporatio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4985080A (en) * 1985-12-10 1991-01-15 Allgemeine Baugesellschaft-A.Porr Aktiengesellschaft Dry mortar mixture
US5182891A (en) * 1990-07-20 1993-02-02 Donald Slocum Raised insulated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looring material
JPH05141016A (ja) * 1991-08-14 1993-06-08 Herutasu:Kk 壁構造体
JPH0733705A (ja) 1993-07-19 1995-02-03 Mitsubishi Chem Corp 2,6−ナフタレンジカルボン酸の精製方法
JPH1026367A (ja) * 1996-07-12 1998-01-27 Misawa Ceramic Chem Co Ltd 室内空調壁
CA2229343A1 (en) * 1996-07-16 1998-01-22 Takeshi Honjou Fibrous sheet for structure reinforcement and structure reinforced with same
JPH11200595A (ja) * 1998-01-09 1999-07-27 Ig Tech Res Inc 化粧パネル
JP3162676B2 (ja) * 1998-11-30 2001-05-08 住友林業株式会社 壁仕上用下地構造
JP2001089222A (ja) * 1999-09-27 2001-04-03 Green Precious:Kk 塗壁材料とその塗布方法
JP3936583B2 (ja) 1999-12-15 2007-06-27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組立式ドーム
ES2168206B2 (es) * 2000-03-29 2003-08-16 Villar Francisco J Azpiroz Caseta prefabricada en modulos.
US6658800B2 (en) * 2000-10-25 2003-12-09 John A. Monson Polygon-shaped structural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geodesic domes
DE10113978A1 (de) * 2001-03-01 2002-11-14 Wacker Polymer Systems Gmbh Trockenmörtel mit verbesserten Verarbeitungseigenschaften
US6745589B2 (en) * 2001-11-22 2004-06-08 Sharp Kabushiki Kaisha Single-package air conditioner
JP3905842B2 (ja) * 2003-01-06 2007-04-18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移動式組立基礎および組立式家屋
JP3967284B2 (ja) * 2003-03-17 2007-08-29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樹脂製組立式家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705B2 (ja) * 1989-12-22 1995-04-12 株式会社ニットー 壁面施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72B1 (ko) 2017-08-25 2018-06-22 조병훈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20190000759U (ko) 2017-09-15 2019-03-25 조병훈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7801B (zh) 2011-11-30
JP4513032B2 (ja) 2010-07-28
MY145598A (en) 2012-02-29
AU2005328856B2 (en) 2011-04-21
US7882660B2 (en) 2011-02-08
AR055875A1 (es) 2007-09-12
WO2006095430A1 (ja) 2006-09-14
CA2600083A1 (en) 2006-09-14
CA2600083C (en) 2011-04-26
EG25579A (en) 2012-03-07
MX2007010928A (es) 2008-03-14
TW200641217A (en) 2006-12-01
BRPI0520109A2 (pt) 2009-04-22
KR20070118246A (ko) 2007-12-14
CN101137801A (zh) 2008-03-05
TWI364477B (en) 2012-05-21
AU2005328856A1 (en) 2006-09-14
JPWO2006095430A1 (ja) 2008-08-14
BRPI0520109B1 (pt) 2016-10-18
US20090126292A1 (en)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406B1 (ko) 조립식 하우스 및 그 구축 방법
US20070130850A1 (en) Ventilated roofing tiles
CN115427645A (zh) 利用骨架板体的多用途砖
KR102193203B1 (ko) 골조와 판넬의 개별적 조립구조를 갖는 카보네이트 온실
KR101294361B1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 구조
US11873651B2 (en) Sustainable net zero modular building and assembly method
RU2369696C2 (ru) Временная постройка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KR200179066Y1 (ko) 건축 내장용 황토 패널
JP2018040105A (ja) パイプ状発泡断熱材
KR200190750Y1 (ko) 옥과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JP4756397B2 (ja) 木造住宅の籾殻壁断熱工法
KR101168237B1 (ko) 싱크대용 상판 결합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N216109953U (zh) 一种箱体式酒店
AU2006239679B2 (en) Low-energy buildings
KR101326034B1 (ko) 단열재 및 환기 시스템을 구비하는 목조주택
KR102239862B1 (ko) 러버복층판 구조체
CN209479129U (zh) 一种加强隔热保温板
CN208293958U (zh) 一种环保装饰板
KR200351214Y1 (ko) 건축 내장재
KR100408920B1 (ko) 건축물의 황토 복합 통기패널 구조물
KR20020000962A (ko) 황토 조성물과 c 형강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시공방법
KR20220019183A (ko) 변형방지와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성방음블럭 및 그 제조방법
TWM513248U (zh) 增加空間之貨櫃屋結構
JPH1181505A (ja) 冷暖房兼換気装置
KR200350417Y1 (ko) 조립식 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