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862B1 - 러버복층판 구조체 - Google Patents

러버복층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862B1
KR102239862B1 KR1020180130523A KR20180130523A KR102239862B1 KR 102239862 B1 KR102239862 B1 KR 102239862B1 KR 1020180130523 A KR1020180130523 A KR 1020180130523A KR 20180130523 A KR20180130523 A KR 20180130523A KR 102239862 B1 KR102239862 B1 KR 102239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ultilayer plate
bracket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431A (ko
Inventor
임형균
박대배
박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to KR1020180130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8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02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 E04D3/06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of glass or other translucent material; Fix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아크릴 100 중량부에 러버 분말이 15 내지 25 중량비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러버복층판과 일측에 상기 러버복층판이 끼워지는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끼워져 하나의 브라켓과 다른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2개방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 후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훅(hook)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돌기부와 중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상기 돌기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훅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돌기부는 일면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훅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버복층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러버복층판 구조체{STRUCTRE FOR A MULI-LAYERED PLATE WITH RUBB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온실 등 건축물에 사용되는 아크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러버분말이 일정량 함유되어 내충격성이 강화된 러버복층판과 건축물 건축시 러버복층판 사이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투광성 패널은 눈 또는 비를 막아주면서도 투명성을 유지하여 건축물 내부로 태양빛이 투과되어 미적감각을 높이면서도 보다 아늑한 내부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최근에 각종 건축물의 사용에 급증하고 있는 건축패널이며, 이러한 투광성 패널의 재질은 통상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가볍고 충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열성을 갖으며,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여 특히 건축물의 지붕 및 벽체구조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이러한 투광성 패널을 이용한 지붕 및 벽체구조의 형태는 기둥과 연결되는 여러 개의 골조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고 이를 한 개 이상의 횡골조로 지지하여 벽체 또는 지붕의 기초를 만든 후, 골조 상면에 투광성 패널을 체결하여 벽체 또는 지붕의 구조물을 구성한다.
골조 상에 체결되는 투광성 패널은 길이 및 두께가 규격된 상태로 생산되어 가변적인 건축물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다수 개의 투광성 패널이 상호 체결되어 건축물의 지붕 및 벽체구조를 완성하여 건축물의 외형을 갖추는 것이다.
투과성 패널은 PC (Polycarbonate) 또는 PMMA (Polymethylmethacrylat) 재질로 이루어지며, 재질의 특성상 가볍고 투과성이 좋은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투과성 패널은 가볍고 투과성이 좋은 재질의 특성상 온실이나 전광판 등 다양한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유리를 사용하여 온실을 건축하였는데, 이는 열관율이 낮고, 건축비 및 유지비가 비싸며, 내충격성이 약해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의한 외력으로 부터 건축물 및 사용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C 또는 PMMA로 이루어진 복층판을 사용하여 온실을 건축하는데, 이는 유리의 단점을 그대로 보완하여 열관율이 높고, 건축비 및 유지비가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내충격성이 유리에 비해 50배 정도 강하다.
그러나 이러한 복층판도 태풍, 우박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외력을 견딜 수 있는 내충격성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투광성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설치 시에는 투광성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투광성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구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38568호와 같이 알루미늄 벤딩바와 알루미늄 커버 사이에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삽입하고 방수 가스켓으로 상호 부착한 뒤 볼트로 알루미늄 벤딩바와 알루미늄 커버를 체결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상호 체결하여 건축물의 지붕을 형성하는 기술로서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실용신안등록 제20-0238568호는 투광성 패널을 상호 연결하는 효과는 있지만 투광성 패널을 연결하기 위해 알루미늄 벤딩바와 알루미늄 커버 사이에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안착하고 방수 가스켓 및 볼트 등의 많은 부재가 소모되어 설치단가가 높아지고 작업시간이 길어져 설치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설치된 폴리카보네이트의 해체 후 재설치에도 많은 번거로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결구가 형성되지 않은 건축물의 모서리 단부, 즉 코너 부근을 고정하지 못해 그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며 건축물을 완성하기 위해선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필요로 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고 설치가 어려워 전문시공업자가 아닌 일반인의 접근 용이성이 차단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8568호
러버를 함유한 복층판을 사용하여 내충격성이 강한 패널을 제공하고 이를 사용하여 건축구조물을 조립할 때 각 패널 사이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및 보관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내용은, 아크릴 100 중량부에 러버 분말이 15 내지 25 중량비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러버복층판과 일측에 상기 러버복층판이 끼워지는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끼워져 하나의 브라켓과 다른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2개방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 후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훅(hook)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돌기부와 중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상기 돌기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훅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돌기부는 일면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훅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버복층판 구조체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중앙부의 일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호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의 일면중앙에는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러버복층판의 내부는 사각 격자 및 상기 사각 격자 내에서 교차하는 대각선 격자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개방부의 상하에는 삽입되는 상기 러버복층판의 양면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면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러버복층판이 상기 지지면 사이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의 상기 끼움홈의 상하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돌기부의 돌기가 걸릴 수 있는 상기 훅이 상기 브라켓의 내측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러버복층판 구조체는, 기존의 아크릴 복층판에 러버를 일정량 함유한 러버복층판을 제공하여 외력으로부터의 위험성을 낮춰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구조를 간소화 및 단순화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복층판 온실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용 러버복층판과 벽체용 러버복층판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돌기부가 제2개방구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 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를 함유한 러버복층판(100)과 다수의 러버복층판(1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포함하는 러버복층판(100)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러버복층판(100)은 일반적으로 온실(1) 등에 사용하는 아크릴복층판에 러버 분말을 15 내지 2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작할 수 있지만,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내충격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난 실험적 결론에 의해 도출된 결론이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기 표 1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Ball Drop Test]
Grade #1(OP side) #2 #3 #4 #5(DR side)
일반 아크릴복층판 20 cm 20 cm 20 cm 15 cm 20 cm
러버 복층판 100 cm 이상 100 cm 이상 80 cm 100 cm 이상 100 cm 이상
두께 10(mm), 규격 990*2000(mm), 중량 2500(g/㎡)의 일반 아크릴 복층판과 러버복층판(100)에 볼 중량 130(g)의 볼 드랍 실험(Ball Drop Test)을 한 결과,
일반 아크릴 복층판은 20(cm)가 볼을 낙하시켰을 때 크랙(Crack)이 발생 되기전의 최대 높이 값인데 반해 러버복층판(100)은 크랙(Crack)이 발생 되기 전의 최대 높이값이 100(cm)로 측정이 되었다.
위의 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각 부위별 내충격성의 차이가 다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러버복층판(100)이 일반 아크릴 복층판에 비해 약 4배 정도 내충격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러버복층판(100)은 건축물의 종류 및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벽체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지붕의 경우 원형돔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건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실을 건축하는 경우, 수목원 등에 사용되는 대형 온실에 사용되는 러버복층판(100)과 집 앞마당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미니 온실에 사용되는 러버복층판(100)의 크기는 다르다.
즉, 대형 온실에 사용되는 러버복층판(100)의 크기는 미니 온실에 비해 상당히 큰 값을 갖게 형성된다.
다만,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해 러버복층판(100)의 크기를 규격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규격화된 러버복층판(100)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건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크기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러버복층판(100)을 제조하는 방법은 압출, 사출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러버복층판(100)의 주 재질이 아크릴이고 제조단가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압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버복층판(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사각 격자, 타원 격자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내부공간을 채울 수 있는 공간 확보력을 고려할 때, 내부에는 사각 격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게 형성되되 그 공간에 다수개의 사각격자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각 격자 내부에 십자가 격자가 형성되고, 이러한 십자가 격자에 교차 되는 대각선 격자가 더 형성되는 즉, 4X-wall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러버복층판(100)의 상면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러버복층판(100)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0)의 일측에는 제1개방부(203)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제2개방부(205)가 대칭되어 형성된다.
제1개방부(203)는 러버복층판(100)의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 되는 것인바, 러버복층판(1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의 형상은 삽입되는 러버복층판(10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버복층판(100)의 일측이 원형으로 형성되었다면, 제1개방부(203)의 공간도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만, 일반적으로 복층판은 직사각의 형상으로 생산되는바, 제1개방부(203)의 공간도 이에 맞혀 직사각의 형상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개방부(203)의 상하에는 복층판의 상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210)이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각 지지면(210)의 양측말단에 안착면(215)이 형성되어 각 지지면(210)을 연결한다.
안착면(215)에는 제1개방부(203)에 삽입되는 러버복층판(100)의 일측면이 면접촉을 하게 안착 된다.
이로써 러버복층판(100)이 브라켓(200)에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지지면(210)의 길이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붕에 사용되는 러버복층판(100)의 경우, 러버복층판(100)은 지면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브라켓(200)에 지지 되는 것인바, 러버복층판(100)의 상면에 비해 하면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만약 이 경우에 브라켓(200)의 하부지지면(213)의 길이가 더 짧다면, 러버복층판(100)의 하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어려워 안전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지붕에 사용하는 러버복층판(100)을 지지하기 위해선 적어도 하부지지면(213)의 길이가 상부지지면(211)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길이가 다른 지지면(210)의 브라켓(200)을 제작하기 위해선 별도의 생산라인을 설치하는 등의 생산비용이 증가하는바, 상,하부지지면(211,213)은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개방부(203)의 폭은 삽입되는 러버복층판(10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러버복층판(100)의 일측면이 제1개방부(203)에 삽입되어야 하고 끼움결합을 통해 고정이 되는 것이어서 제1개방부(203)의 폭은 삽입되는 러버복층판(100)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되 억지끼움을 위해 러버복층판(100)의 두께에 상응하는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삽입되는 러버복층판(100)의 두께에 비해 제1개방부(203)의 폭의 값이 상당히 큰 값을 갖게 형성된다면, 러버복층판(100)이 삽입될 수 있으나, 각 지지면(210)의 내측과 러버복층판(100)의 양면이 맞닿게 되어 생기게 되는 마찰에 의한 고정이 불가능하여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1개방부(203)의 폭은 결합 되는 러버복층판(100)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갖되 삽입시 러버복층판(100)의 상,하면이 각각 브라켓(200)의 상,하부지지면(211,213)의 내면에 맞닿을 수 있는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방부(205)는 브라켓(200)의 제1개방부(203)가 생기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내면에는 후술할 연결부재(3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개방부(205)의 상하에는 연결부재(300)의 돌기부(310)가 끼워져 결합 될 수 있는 훅(201)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훅(201)은 브라켓(200)의 각 지지면(210)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소정각도로 절곡 되어 내측으로 연장형성된다.
훅(201)의 절곡각도는 다양한 값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연결부재(300)의 돌기부(310)가 훅(201)에 걸려 고정되는 것인바, 90°미만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90°이상의 각을 갖게 형성된다면, 돌기부(310)의 양 돌기(311)가 훅(201)에 걸리지 못하게 되어 연결부재(300)가 제2개방부(205)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훅(201)의 형상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돌기부(310)의 양 돌기(311)의 일면이 훅(201)의 일면과 맞닿게 되고 이러한 면의 경사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결합이 되는 것인바, 훅(201)의 형상은 돌기부(310)의 돌기(3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00)는 돌기부(310)와 중앙부(32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0)의 중앙부(320) 일면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원호면(321)이 형성된다.
제1원호면(321)의 길이와 곡률은 러버복층판(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벽체용으로 러버복층판(100)을 사용하는 경우, 제1원호면(321)의 곡률값은 최소값을 갖는 즉,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건축물에 있어 벽체는 지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면적의 구획면을 형성하여 지붕을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러버복층판(100)이 소정각도를 갖게 결합 될 필요가 없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용 러버복층판(101)과 벽체용 러버복층판(103)을 연결시키는 경우, 제1원호면(321)은 소정의 곡률값을 갖게 형성된다.
이는 건축물의 구조 특성상, 지붕과 벽체는 일정한 경사를 갖게 결합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320)의 제1원호면(321)이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제1원호면(321)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제2원호면(323)이 형성된다.
이때, 제2원호면(323)의 길이는 제1원호면(321)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연결부재(300) 자체에 유격성을 주기 위함이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지붕용 러버복층판(101)이 결합된 브라켓(200)과 벽체용 러버복층판(103)이 결합 된 브라켓(200)은 그 사이에 연결부재(300)가 결합되어 각 러버복층판(100)이 연결된다.
이때,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되는 지붕용 러버복층판(101)은 중력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힘은 연결부재(300)에도 가해지게 되는데, 제1원호면(3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제2원호면(323)은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이때, 제2원호면(323)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지붕용 러버복층판(101)의 반대측에 마감부재 등 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각으로 지붕을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300)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탄성력이 없는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하중에 의해 연결부재(300)가 부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310)는 연결부재(300) 중앙부(32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돌기부(310)의 일면중앙에는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는 홈(313)이 형성된다.
또한, 돌기부(310)는 제2개방부(20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돌기부(310)의 크기는 제2개방부(205)의 내부공간 크기에 상응하거나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기부(310)를 제2개방부(205)에 삽입시키기 위함이다.
삽입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돌기부(310)의 양측을 손으로 오므리게 되면, 일면중앙에 형성된 홈(313)의 공간이 좁아져, 돌기부(310)의 돌기(311)가 제2개방부에 삽일될 수 있다.
오므라진 상태의 돌기부(310)를 제2개방부(205)에 삽입시킨 뒤에 손을 놓게 되면, 탄성에 의해 돌기부(310)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돌기부(310)의 양 돌기(311)는 제2개방부(205)의 훅(201)에 의해 결려 고정된다.
즉, 연결부재(300) 중앙부(320)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부(310)는 지붕용 러버복층판(101)이 결합된 브라켓(200)의 제2개방부(205)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00)의 타측에 형성되는 돌기부(310)는 벽체용 러버복층판(103)이 결합된 브라켓(200)의 제2개방부(205)에 결합 된다.
결국, 두개의 브라켓(200)은 하나의 연결부재(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각 브라켓(200)에 연결된 러버복층판(100)은 건출물의 지붕과 벽체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재(300)의 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게 형성되되 그 공간에 다수개의 사각격자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각 격자 내부에 십자가 격자가 형성되고, 이러한 십자가 격자에 교차 되는 대각선 격자가 더 형성되는 즉, 4X-wall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연결부재(300)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연결부재(300) 뿐만 아니라 건축물 전체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러버복층판(100)은 건축물 전체의 내충격성을 강화시켜 외력으로부터의 사고 위험성을 줄이고, 각 러버복층판(1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0)의 구조와 결합방법을 단순화하여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사용자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및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러버복층판 온실
100 : 러버복층판
101 : 지붕용 러버복층판
103 : 벽체용 러버복층판
200 : 브라켓
201 : 훅
203 : 제1개방부
205 : 제2개방부
210 : 지지면
211 : 상부지지면
213 : 하부지지면
215 : 안착면
300 : 연결부재
310 : 돌기부
311 : 돌기
313 : 홈
320 : 중앙부
321 : 제1원호면
323 : 제2원호면

Claims (6)

  1. 아크릴 100 중량부에 러버 분말이 15 내지 25 중량비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복층판;
    일측에 상기 러버복층판이 끼워지는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끼워져 하나의 브라켓과 다른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방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 후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훅(hook)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돌기부와 중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상기 돌기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훅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돌기부는 일면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훅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는 중공되게 형성되되, 다수개로 반복 형성되는 사각 격자와, 상기 사각 격자의 내부에 형성되는 십자가 격자와, 상기 사각 격자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십자가 격자에 교차 되는 대각선 격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러버복층판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중앙부의 일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호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버복층판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일면중앙에는 내측으로 함입형성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버복층판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버복층판의 내부는 사각 격자 및 상기 사각 격자 내에서 교차하는 대각선 격자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버복층판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개방부의 상하에는 삽입되는 상기 러버복층판의 양면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면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러버복층판이 상기 지지면 사이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버복층판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끼움홈의 상하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돌기부의 돌기가 걸릴 수 있는 상기 훅이 상기 브라켓의 내측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버복층판 구조체.
KR1020180130523A 2018-10-30 2018-10-30 러버복층판 구조체 KR10223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23A KR102239862B1 (ko) 2018-10-30 2018-10-30 러버복층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23A KR102239862B1 (ko) 2018-10-30 2018-10-30 러버복층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31A KR20200048431A (ko) 2020-05-08
KR102239862B1 true KR102239862B1 (ko) 2021-04-13

Family

ID=7067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523A KR102239862B1 (ko) 2018-10-30 2018-10-30 러버복층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8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890A (ja) * 2002-01-29 2003-08-08 Comany Inc 衝立パネルの連結構造
KR200426030Y1 (ko) * 2006-05-16 2006-09-18 장정술 금속재 화장실용 조립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573A (ja) * 1997-07-31 1999-02-23 Sun Wave Ind Co Ltd パネル材の連結構造
KR200238568Y1 (ko) 2000-06-07 2001-09-29 송주근 알루미늄 벤딩바 & 알루미늄 카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890A (ja) * 2002-01-29 2003-08-08 Comany Inc 衝立パネルの連結構造
KR200426030Y1 (ko) * 2006-05-16 2006-09-18 장정술 금속재 화장실용 조립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31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47127A1 (en) Self supportive panel system
CN202787489U (zh) 组装式建筑物的结构
US10465375B2 (en) Demountable/modular structure system
US9284732B2 (en) Modular structure and said modular structure's structural members made of composite material
US6173538B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JP4607952B2 (ja) ホゾ継ぎ具
KR102239862B1 (ko) 러버복층판 구조체
AU2017351956B2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JP3874418B2 (ja) 簡易間仕切り構造
US7021009B2 (en) Emergency housing
CN100593054C (zh) 组合架及使用于组合架的支撑柱体组件
DE20008570U1 (de) Mauersteinförmiges Wärmedämmelement
KR20190001270U (ko) 건축용 벽체 블록 및 건축용 벽체 모듈 조립체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CN112610034A (zh) 景观书屋及其制作工艺
CN204983759U (zh) 防火保温的集装箱房
CN220504387U (zh) 平挂式岩板安装组件及使用其的岩板装饰结构
CN217871348U (zh) 泡沫混凝土自保温墙体
US20240183169A1 (en) Composite Overclad Panels for Buildings
CN212715625U (zh) 一种聚酯纤维复合板材
KR102541626B1 (ko) 커튼 월용 석재 판넬의 포 사이드 타입(4-side type) 결합구조
CN211312846U (zh) 一种体育馆装配式钢结构围合建筑
KR102541628B1 (ko) 커튼 월용 석재 판넬의 포 사이드 타입(4-side type) 결합구조
CN113898082A (zh) 一种建筑保温型外墙板的防渗漏结构
CN210658826U (zh) 一种纸管式临时性建筑的墙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