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297B1 -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297B1
KR100651297B1 KR1020000013236A KR20000013236A KR100651297B1 KR 100651297 B1 KR100651297 B1 KR 100651297B1 KR 1020000013236 A KR1020000013236 A KR 1020000013236A KR 20000013236 A KR20000013236 A KR 20000013236A KR 100651297 B1 KR100651297 B1 KR 10065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orque transmission
clutch
transmission devic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903A (ko
Inventor
요한 죄켈
스테판 베르네펠트
Original Assignee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0006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14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46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in which two axially-movable members, of which one is attached to the driving side and the other to the driven side,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2013/703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the pressure plate on the flywheel side is combined with a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2Mounting or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92/00Clutches and power-stop control
    • Y10S192/01Remov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내연기관으로부터 차량내부에 구성된 출력부상의 변속기까지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유지 및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토크전달장치.{Device for transferring torque}
삭제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전달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
도 2 는 유지보수 상태에 있는 토크전달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전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부분적으로 분해된 토크전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전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부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7 은 부분 단면으로 클러치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클러치 모듈의 작동점에 대한 설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토크(torque)전달장치와 조립 및 유지보수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토크전달장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축(crankshaft)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 하나 이상의 디스크(disc)부품 및 구조장치로서 형성된 클러치(clutch)를 가지며, 구조장치로서의 클러치와 디스크부품은 크랭크축에 구성되고, 클러치의 구조장치는 유지보수를 위해 디스크부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제 DE PS 44 28 829호에 기술된 상기 형태의 토크전달장치는 크랭크축에 완전히 구성될 수 있고, 클러치 장치를 가지며, 유지보수 목적을 위해 분리된 플라이휠(flywheel)이 크랭크축에 구성되고 단지 클러치의 구조장치만이 제거되도록, 상기 클러치 장치는 분리된 플라이휠의 제 2 플라이휠 질량체에 연결가능하다.
클러치의 분해작업은 어렵고, 외부로부터 제 2 부품내로 엔진측으로부터 구성된 나사 또는 리벳(rivet)도 엔진측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며, 따라서 공구가 엔진 하우징(housing) 및 플라이휠사이의 매우 제한된 간극에 삽입되어야 하고, 원주를 따라 연장구성된 다수의 연결 수단을 개별적으로 구속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공구는 제 1 플라이휠 질량체 부품의 개구부를 통하여 연결수단까지 축방향으로 안내되어야 하며, 유지보수를 위한 상당한 비용을 요구한다. 또한 공구가 근접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장치는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크전달장치 및 마모 부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치는 여러 응용예에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장치의 수가 증가되어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더 경제적이다. 상기 장치의 조립 및 유지보수는 몇몇 단계와 단순 공구를 사용하여 수행되고, 클러치는 모듈(module)형태로 교체되며, 추가 조정작업없이 새로운 클러치모듈(module)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토크전달장치에 의하면, 상기 토크전달장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 하나 이상의 제 1 디스크부품을 가지며, 상기 디스크부품에 마찰클러치가 연결되고, 상기 마찰클러치는 분리 구성 부품으로서 적어도 접촉압력판, 클러치 덮개 및 클러치 디스크로 구성되며, 상기 클러치 덮개는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회전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압력판을 유지하고, 상기 압력판 주위로 반경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접촉 압력판 및 압력판 사이에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마찰 라이닝(lining)이 구성되며, 상기 마찰라이닝은 압력판 및 클러치 덮개 사이에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압력판 및 접촉 압력판과 마찰연결되고, 힘 흐름의 외측부에 구성된 변속기의 기어(gear) 입력축에 회전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연결가능하며, 장치는 크랭크축에 완전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고, 마찰 클러치는 고정수단에 의해 디스크부품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변속기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로서 미리 조립된 마찰클러치는 나사, 리벳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디스크부품에 연결될 수 있고, 초기 조립 및 수리과정후 클러치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디스크부품에 가압될 수 있도록, 고정장치는 자동잠금 고정 수단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기어박스(gearbox)가 엔진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후, 또는 디스크부품에 대한 연결이 이완된 후에 클러치가 제거될 수 있도록 적어도 기어 입력축이 클러치 디스크의 허브(hub)로부터 제거된 후에, 클러치의 분해는 변속기측으로부터 수행된다. 고정수단을 분리하기 위해, 소요 공구가 판 스프링 텅(tounge)의 상응하는 요홈을 통하여 안내되고, 상기 텅은 장치를 크랭크축에 고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반경방향 외측 또는 반경방향 내측과 같이 장치가 크랭크축에 장착된 반경방향 영역의 디스크부품 및 클러치사이에 대한 연결부 및 고정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고정수단을 분리하기 위한 공구가 허브의 상응하는 요홈 또는 기어축 장착용 개구부를 통하여 안내되도록, 본 발명에 따라 고정수단이 클러치 디스크 허브의 반경방향 높이에 직접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수단이 가압끼워맞춤(push-fit)식 연결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고, 두 개의 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가압되고 서로에 대해 축방향과 원주방향으로 고정될 때,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한 개이상의 가압끼워맞춤식 연결부가 디스크부품과 연결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상기 가압끼워맞춤식 연결부는 축방향으로 상승된 연장 아암(arm)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장 아암은 보완 구성 부품의 상응하는 요홈내로 삽입되며, 예를 들어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요홈에 유지된다. 상기 가압끼워맞춤식 연결부는 축방향으로 구속하거나 자동으로 축방향으로 구속하는 스냅끼워맞춤(snap-fit)식 연결부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냅 끼워맞춤식 연결부는 하나의 단계로 구속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 2 디스크부품에 구성된 마찰 클러치의 축방향 연장 아암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디스크부품에 접촉압력판이 구성되며, 상기 제 2 디스크부품의 원주를 따라 클러치 덮개에 고정연결된다. 상기 방법으로 모듈이 클러치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클러치는 축방향 연장 아암에서 연결부의 분리를 통하여 제 1 디스크부품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며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내지 10개의(3개 내지 6개가 선호되는) 여러 개의 축방향 연장 아암 또는 장착점을 디스크부품의 원주에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축방향 연장 아암 또는 장착점은 동일한 수의 다른 디스크부품에 구성된 축방향 연장 아암 또는 클러치의 다른 구성 부품에 고정연결된다.
경제적이고 자동으로 연결하는 기구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 부품에 스냅 끼워맞춤식 노우즈가 구비된 조립체가 유리하고, 상기 구성 부품은 연결부를 형성하는 보완 구성 부품의 보완 개구부에 스냅 끼워맞춤되도록 연결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클러치측의 장착부 또는 양 장착부(선택적으로 클러치측 및 엔진측, 선호적으로 원주 주위로)와 같이 모든 스냅 끼워맞춤식 노우즈가 하나의 구성 부품에 장착되도록, 스냅 끼워맞춤식 노우즈는 구성될 수 있다. 스냅 끼워맞춤식 노우즈가 임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며, 스냅 끼워맞춤식 노우즈는 보완 구성 부품의 상응하는 개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러 경우와 실시예에서, 만약 크랭크축에 고정된 디스크부품 및 클러치가 제 2 디스크부품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된다면 유리할 수 있고, 상기 제 2 디스크부품은 클러치 덮개에 연결되며, 접촉압력판 주위로 연결되고, 적어도 제한된 각도 영역에 걸쳐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스냅 끼워맞춤식 노우즈를 가진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연장 아암과 같이, 연결되는 한 측면의 고정수단은 다른 측면의 공통 링(ring)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공통 링은 스냅 끼워맞춤식 노우즈를 연결하기 위한 보완 개구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측면은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두 디스크부품의 하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방법에서, 하나의 구성 부품의 고정수단은 다른 구성 부품으로 축방향으로 고정되나 회전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기어박스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다.
링은 디스크부품 및 구성 부품 사이에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디스크부품은 예를 들어 접촉 압력판을 수용하는 클러치측의 디스크부품이며, 상기 구성 부품은 상기 디스크부품에 연결되고, 링에 반경방향으로 중첩된다. 상기 구성 부품은 두 디스크부품의 상대 회전 영역에서 고정 수단용 상호 상응하는 요홈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예를 들어 링에 연결된 스냅 끼워맞춤식 노우즈이다. 또한,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대향된 두 디스크부품의 상대 회전 중, 디스크부품에 대한 링의 회전이 마찰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링은 축방향으로 작동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상기 구성 부품 및 디스크부품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고, 상기 마찰 토크는 예를 들어 축방향 에너지저장장치로서 판 스프링을 사용할 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부품으로부터 구동 트레인(train)에 전달될 수 있는 크랭크축의 굽힘진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크랭크축에 장착된 디스크부품은 축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를 가지는 감쇠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서로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디스크부품이 제시되고, 크랭크축에 고정된 디스크부품은 제한된 각도 영역에 걸쳐 접촉 압력판을 수용하는 디스크부품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구동측의 디스크부품 및 클러치 사이의 분리가능한 연결부는 상기의 스냅 끼워맞춤식 연결부를 통하여 제작되고, 한 디스크부품을 가진 스냅 끼워맞춤식 연결부의 일부분은 제한된 각도 영역에 걸쳐 회전가능하며, 대향 디스크부품은 상기 스냅 끼워맞춤식 연결부를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고정유지하고, 상기 스냅 끼워맞춤식 연결부는 서로에 대해 두 부품의 베어링(bearing)을 제공한다.
감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원주방향으로 압축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는 원주에 비해 짧은 하나 이상의 코일 압축 스프링의 형태이며, 하나 이상의 연장부 및 원주 사이의 비율은 0.5 이하가 될 수 있고, 0.25 이하가 선호되며, 길이가 길지만 설치 상태에서 미리 만곡된 하나 이상의 코일 압축 스프링은 공지된 방법으로 챔버(chamber)에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챔버는 디스크부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챔버가 두 디스크부품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수단을 가진다. 만약 장착부를 형성하는 스프링 케이지(cage)에 에너지저장장치가 장착된다면, 상기 스프링 케이지에 의해 하나 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가 구동측 및 출력측에서 편향될 수 있고, 상기 구성이 출원 제 DE 198 43 298호에 설명된다. 에너지저장장치로서 작동하는 2개 내지 8개(4개 내지 6개가 선호되는)의 짧은 코일 스프링의 장착은 장착 장치에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고정 끼워맞춤으로 인해 예비인장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윤활유의 사용없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에너지저장장치 세트(set)는 하나의 원주로 제한될 필요가 없으나, 동일한 또는 다른 스프링율을 가진 다른 에너지저장장치는 적어도 다른 반경방향 내부 또는 반경방향 외부 원주에 구성될 수 있다.
미리 구성된 에너지저장장치를 가진 하나의 감쇠 모듈이 제작되도록 에너지저장장치는 케이지 형상 구성 부품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자동잠금 장치 또는 스냅 끼워맞춤식 연결부에 의해 스프링 케이지를 두 디스크부품의 하나에 고정하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스프링 케이지를 디스크부품의 편향 장치에 장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많은 경우에, 스프링 케이지를 구동측의 디스크부품에 고정하고, 클러치를 구동측의 디스크부품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스프링 케이지를 상기 디스크부품에 계속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교환되는 클러치 모듈은 더 간단하고 더 경제적이며, 다른 경우, 특히 감쇠 장치에 많은 양의 마모가 예견될 때, 스프링 케이지는 클러치 모듈의 디스크부품에 고정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으며, 클러치 모듈로 수리될 수 있다.
스프링 케이지를 구동측의 디스크부품에 고정하기 위한 한 실시예에서, 장치를 크랭크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나사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케이지 형상 부품 주위로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탭(tab)을 가지며, 케이지 형상 구성 부품의 상응하는 요홈에 반경방향으로 연결된다.
접촉 압력판을 유지하는 클러치측의 디스크부품에 스프링 케이지를 장착하기 위한 한 실시예에서, 고정은 탭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탭은 클러치측의 디스크부품에 연결되며, 케이지 형상 구성 부품 주위로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디스크부품으로부터 이격된 측면에 구비된 상응하는 모울딩(moulding)으로 반경방향으로 구속한다. 또한, 탭은 클러치측의 에너지저장장치를 편향시킬 수 있다.
감쇠장치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곳에서, 마찰장치는 에너지저장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마찰장치는 서로 대향인 디스크부품의 회전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디스크부품사이의 힘전달경로에서 작동하며, 마찰장치는 디스크부품의 상대 회전 중 연속으로 작동하는 기본 마찰 및 비틀림 각에 따라 제어되는 마찰로 구성된다.
기본 마찰은 마찰디스크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마찰 디스크는 두 디스크부품 사이 또는 하나의 디스크부품 및 베어링 부시(bush) 사이의 축방향으로 두 디스크부품에 대한 상호 베어링의 영역에서 인장되며, 상기 베어링 부시는 다른 디스크부품에 회전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축방향 인장은 두 디스크부품 사이의 고정수단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즉 클러치 및 구동측의 디스크부품 사이에 구성된 분리가능한 연결부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링 및 링을 유지하는 디스크부품 사이의 기본 마찰을 제시하고, 상기 링은 고정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감쇠 장치의 적어도 작동 영역에서 링을 유지하는 디스크부품에 회전가능하게 대향되어 구성되며, 링 및 디스크부품은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기본 마찰은 축방향 마찰 연결 상태에 있는 두 편향 장치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편향 장치는 예를 들어 케이지 형상 구성 부품의 에너지저장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상호 회전가능한 축방향으로 인접된 장착 링이며, 편향 장치 각각은 마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편향 장치의 측면에 의해 디스크부품과 인접되고, 따라서 두 디스크부품 사이의 축방향으로 제한된 축방향 연결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인장된다.
마찰디스크 및 한 디스크부품의 키(key)가 구성된 연결부(특히 백래쉬(backlash))가 연결되고, 다른 디스크부품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마찰연결되므로, 제어된 마찰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개의 디스크부품과 마찰 연결을 형성하는 마찰 디스크 및 다른 한 개의 디스크부품 사이의 스플라인(spline)에 의해 키가 구성된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마찰디스크는 두 디스크부품 사이에 축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크랭크축의 디스크부품에 장착될 수 있다.
마찰 제어 장치의 다른 개선에 따라, 마찰 디스크 또는 예를 들어 3개 내지 9개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마찰 부분은 감쇠 장치로부터 이격된 디스크부품의 측면에 구비되고, 예를 들어 구동측의 디스크부품에 구비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마찰디스크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스터드(stud)에 의해 개구부에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는 디스크부품에 구비되며, 원주방향으로 타원형 홀(hole)과 같이 연장구성되고,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디스크부품과 함께 인장될 수 있다. 디스크부품의 외측에 장착된 에너지저장장치는 반경방향 외부로부터 마찰디스크를 편향시키고,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는 반경방향으로 연결되는 디스크부품의 돌출부 또는 상기 종류의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 구성 부품에 지지될 수 있으며, 판스프링 또는 다이어프램(diaphragm) 스프링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로 편향될 때, 타원형 홀의 영역에서 마찰 제어 디스크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마찰 제어 디스크는 스터드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고, 상기 종류의 배열은 두 디스크부품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는 양 측면에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만약 마찰 제어 디스크가 오염되지 않도록 에너지저장장치 또는 돌출부가 상기 마찰 제어 디스크에 덮개를 구성하는 것이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유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구성부품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확장된 금속 시트(sheet)의 접힘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금속시트의 접힘부는 디스크부품에 연결되며, 시동 기어링을 형성하거나 장착하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시동 기어링은 토크전달장치의 외부 원주 영역에 장착되며, 상기 접힌 금속 시트 부품은 플라이휠 질량체와 같이 구동측에 구성된 디스크부품의 관성모멘트에 기여할 수 있다.
외부에 구성된 마찰 제어 디스크의 제어는 마찰 제어 디스크의 스터드에 개구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다른 디스크부품 또는 상기 다른 디스크부품에 연결된 구성 부품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연장 아암이 회전 잠금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원형 홀의 연장부에 의해 결정된 압력각 영역에서, 마찰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한 디스크부품에 대해 개구부는 원주방향으로 마찰 디스크를 회전시킨다. 많은 경우에서, 상기 종류의 마찰 디스크 배열은 클러치측의 디스크부품이 될 수 있고, 마찰 디스크는 장치의 반경에 걸쳐 임의의 위치에 구성될 수 있으며, 감쇠 장치의 반경방향 외부에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플라이휠의 작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두 개가 선호되는) 디스크부품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고, 플라이휠 질량체와 함께 구동측 또는 접촉 압력판을 유지하는 클러치측 디스크부품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관성 질량 측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플라이휠 질량체와 함께 두 디스크부품을 구성할 때, 공지된 분리 플라이휠의 양의 효과는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플라이휠 질량체(즉, 구동측 플라이휠 질량체)를 디스크부품 또는 접힌 금속 시트 부품과 같이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부가 재료로부터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종류의 플라이휠 질량체는 상응하는 부품의 하나 이상의 접힘 공정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부품은 시동 기어링에 대한 장착부 또는 점화 마크(mark)와 같이 엔진 유지 시스템에 대한 마킹(marking)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접힌 금속 시트 부품이 디스크부품에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접힌 금속 시트 부품 및 디스크부품은 반경방향 플랜지(flange)내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반경방향 플랜지는 상기 반경방향 플랜지의 외부 원주에 스플라인을 가지고, 상기 스플라인은 시동 모터(motor)와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된다.
클러치측 제 2 플라이휠 질량체는, 접촉압력판 또는 압력판과 클러치 덮개와 같이, 클러치 디스크와 마찰 연결을 형성하는 부품에 의해 형성되고, 클러치측의 디스크부품 및 클러치 디스크는 관성모멘트에 양의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부품 및 플라이휠 질량체 사이의 하나 이상의( 클러치측이 선호되는) 디스크부품에 마찰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상기 마찰 클러치는 상기 마찰 클러치의 비틀림 경로에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시동 중 토크 피크(peak)가 마찰 클러치의 마찰 모멘트를 통하여 적어도 감소되어 기어박스로 전달되도록 마찰 클러치의 전달가능한 토크가 내연기관의 최대토크보다 작지만 평균토크보다 크도록, 마찰클러치의 분리토크(breakaway torque)를 설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열된 마찰 라이닝의 경우에 마찰 클러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정된 비틀림각 후에 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부품이 정지장치에 의해 제한되도록 클러치는 제한된 회전 용량을 가진다.
상기 목적을 위해 디스크부품의 마찰 클러치는 클러치측의 두 부품으로 설계되고, 구동측 디스크부품에 대한 베어링을 형성하는 플랜지 부품은, 제 1 플랜지 부품의 축방향 정지장치에 의해 마찰 클러치의 삽입으로 클러치를 유지하는 플랜지 부품에 마주하여 제한된 범위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 1 플랜지 부품은 비틀림각에 상응하는 제 2 플랜지 부품의 요홈에 연결된다.
제 1 디스크부품 및 제 2 디스크부품을 가진 분리된 플라이휠로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전달장치는, 서로에 대한 두 부품의 베어링에 대해 미끄럼 베어링(미끄럼 베어링 부시를 가진) 또는 로울링 베어링을 통한 베어링을 제공하고, 상응하게 설계된 미끄럼 베어링은 기본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한 마찰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설계는 예를 들어 반경방향 칼라(collar)를 가진 미끄럼 베어링 부시의 설계이고, 상기 반경방향 칼라는 두 베어링 사이에서 예비인장(pretension)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토크전달장치를 크랭크축에 중심설정하고 지지하는 것이 유리하고, 제 1 측면의 디스크부품은 크랭크축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며, 제 2 디스크부품은 제 1 디스크부품에 장착되거나 베어링 플랜지가 크랭크축에 고정될 수 있으며, 베어링 플랜지에 대한 베어링 및 제 2 디스크부품의 회전가능한 베어링은 다른 직경을 가지고, 제 1 측면 디스크부품은 베어링 플랜지에 고정연결된다. 두 디스크부품의 서로에 대한 지지는 분리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구성되고, 디스크부품의 공통 베어링은 예를 들어 자동 잠금 장치를 통하여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한다.
용도에 따라, 클러치측 디스크부품을 구동측 디스크부품의 외부 원주 또는 베어링 플랜지에 장착하거나, 제 1 디스크부품 또는 베어링 플랜지를 클러치측 디스크부품의 외부 원주에 장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의 마모 특성 이력으로부터, 두 디스크부품이 서로에 대해 분리될 때, 따라서 분리된 플라이휠의 제 2 디스크부품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클러치를 제거할 때, 분해수리되는 클러치 모듈의 미끄럼 베어링 부시에 대한 교환을 위하여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시는 클러치측 디스크부품과 함께 제거될 수 있고, 내마모성 부시의 경우에, 부품의 수 및 분해수리되는 모듈의 무게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부시를 제 1 디스크 부품에 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부시는 탭에 의해 연결부를 통하여(예를 들어 자동 잠금장치를 통하여) 원하는 디스크부품에 고정연결될 수 있거나 매달려 구성될 수 있고, 가압(press) 또는 수축끼워맞춤(shrink fit)에 의해 상기 탭은 다른 구성 부품과 연결되는 부시 부품 또는 디스크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클러치 모듈은, 수리되거나 교체되는 클러치 디스크의 교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클러치 모듈의 외부 원주 영역에서 분리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접촉압력판을 유지하는 디스크부품을 클러치 덮개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디스크부품 및 클러치 덮개에 축방향으로 정렬된 슬리브(sleeve) 형상의 부착물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부착물은 서로 마주하며, 서로 축방향으로 중첩되고, 클러치 덮개는 용이하게 디스크부품에 중첩되거나, 디스크부품이 클러치 덮개에 용이하게 중첩될 수 있다. 축방향으로 상호끼워맞춤된 부착물은 서로에 중심설정되고,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함께 연결되며, 한 부착물의 자유 회전단부는 다른 부착물에 용접될 수 있고, 두 부품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용접시임(seam) 또는 용접점은 분리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분리가능한 연결부는 분리가능한 자동 잠금 연결부일 수 있고, 상기 자동 잠금 연결부는 두 쇼울더(shoulder)를 축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고정연결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는 언더컷(undercut) 부분이 될 수 있고, 상기 언더컷 부분은 두 쇼울더의 하나에 구비되며, 두 쇼울더의 축방향 중첩을 제거한 후에 다른 쇼울더에 스냅 끼워맞춤된다. 구속부가 쇼울더의 내부 원주에 구비될 수 있고, 두 쇼울더를 중심설정하기 위해 축방향 중첩을 제거한 후 상기 구속부가 다른 쇼울더의 외부 원주에 구성된 구속부내로 스냅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쇼울더는 제 2 쇼울더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형태의 연결부는 반경방향 내부 쇼울더의 외부 원주에 구성될 수 있고, 쇼울더의 반경은 자유 단부에서 확장되며, 중첩이 제거된 후 반경방향 외부 쇼울더의 내부 원주내로 스냅 끼워맞춤되고, 상기 반경방향 외부 쇼울더는 상기 목적을 위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된다.
풀오프(pull-off) 장치 또는 레버(lever)에 의해 상기 폐쇄가 분리되고, 상기 레버는 두 쇼울더의 원주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개구부는 원주방향으로 정렬되고, 레버를 적용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교차하며, 상기 레버는 반경방향 외부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레버는 풀오프 장치의 부분이 될 수 있고, 개구부의 수에 상응하는 여러 레버는 하나의 풀오프 장치로 결합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 스냅 끼워맞춤식 노우즈는, 다른 쇼울더의 원주에 걸쳐 연장구성된 개구부에 스냅 끼워맞춤하도록, 하나의 쇼울더에 구성되고, 두 쇼울더의 축방향 중첩 또한 유리할 수 있으며, 연결부는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지렛대(leverage) 공구를 통하여 구속해제될 수 있다.
완전 장치로서 교체될 수 있는 클러치 모듈에 대해, 클러치가 토크전달장치에 구성될 수 있거나 유지보수의 경우에 교체될 수 있도록 클러치 모듈을 설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서로에 대한 접촉 압력판, 클러치 덮개 및 압력판의 적합한 위치설정(작동점)으로 세트가 완성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제작 공정 중 클러치를 축방향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클러치측 디스크부품 또는 클러치 덮개에(예를 들어 다른 구성 부품과 인접되는 두 축방향 쇼울더의 하나에) 하나 이상의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정지장치(예를 들어 자유 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원형으로 성형된 축방향으로 정렬된 노우즈)가 구비될 수 있다. 클러치를 조절하기 위해, 축방향 정지장치는 작동점에 도달할 때까지 축방향으로 변형되고, 예를 들어 용접, 스테이킹(staking) 또는 상기 형태의 자동 잠금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두 축방향 쇼울더의 영역에서, 클러치 덮개는 디스크부품에 축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고정연결된다. 예를 들어 클러치에 대한 작용력의 경로에 따라 작동점이 설정될 수 있도록, 정지장치를 변형하기 위한 축방향력은 판 스프링의 작용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두 부품(클러치 덮개 및 클러치측 디스크부품)의 베이어닛(bayonet)형 연결부 또는 나사가 구비될 수 있고, 클러치에 대한 작동점의 조절은 두 부품의 회전 중 축방향 경로에 의해 설정되며, 작동점 도달시 회전이 정지되고, 예를 들어 멈춤 기구, 용접 또는 고정 나사에 의해 두 부품이 더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출원 DE OS 42 39 291, DE OS 43 06 505 및 DE OS 43 22 677로부터 공지된 자동조절 클러치는, 수리 및 유지보수 간격이 연장될 수 있도록, 미리 구성된 클러치 모듈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조립 또는 유지보수에 대한 방법이 구비되고,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함께 공지 기술보다 큰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의 방법 단계 및 조합은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부품, 접촉 압력판, 압력판 및 클러치 디스크로 구성된 클러치가 완전 장치로서 미리 구성되고,
- 하나 이상의 디스크부품이 크랭크축에 장착되며,
- 부품의 유지보수의 경우에, 접촉 압력판을 유지하는 부품, 압력판, 클러치 덮개 및 클러치 디스크로 구성된 클러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클러치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하고 분리가능한 자동 잠금 장치에서 크랭크축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스크부품으로부터 분리되고,
- 클러치의 제거된 부품이 수리되며,
- 수리 후 클러치의 제거된 부품은 디스크부품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크부품은 자동 잠금 장치에 의해 크랭크축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분해된 클러치 모듈은 미리 수리되지 않고, 상기 목적을 위해 설치된 작업장에서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환하고 디스크부품에 상응하는 새 교체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 방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대한 클러치 장치의 적합성은 특히 유리하다.
교체된 클러치 모듈을 수리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접촉 압력판을 유지하는 디스크부품을 클러치 덮개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클러치 디스크가 접근가능하거나 교체될 수 있도록, 클러치 모듈을 외부 원주에서 분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적합한 공구에 의해 상기 점에 구비된 분리가능한 자동 잠금 장치를 개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유지보수 작업의 끝에서, 연결부는 상기 점에서 다시 폐쇄될 수 있고, 클러치가 작동점으로 재설정되고 다음에 연결부가 축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고정되도록, 본 발명에 따라 클러치 모듈이 폐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분리된 플라이휠 또는 쌍 질량체 플라이휠의 형태인 토크전달장치에 관련되고, 클러치를 유지하는 상기 플라이휠의 디스크부품은, 감쇠 장치의 작동에 대해 제한된 각도로 구동측에 구성된 디스크부품의 회전을 위하여, 크랭크축에 간접적으로 구성되며, 제 2 디스크부품은 플라이휠 질량체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방법의 분리 단계에서 구동측 디스크부품을 크랭크축에 계속 구성되도록 하고, 제 1 디스크부품 및 제 2 디스크부품 사이의 토크전달장치를 분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감쇠 장치와 함께 두 디스크부품을 크랭크축에 계속 구성되도록 하고, 디스크부품없이 클러치 모듈을 분리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클러치 모듈이 구동측의 디스크부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법 단계에서, 다른 방법 단계는 미끄럼 베어링 부시의 수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시는 두 디스크부품의 베어링에 구비되며, 미끄럼 베어링 부시는 클러치 모듈과 교환될 수 있고, 필요한 곳에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경우에, 미끄럼 베어링 부시를 구동측 디스크부품에 계속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시를 추가 방법으로 교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교체 모듈로서 호환성 클러치 모듈을 제작할 때, 클러치 덮개 및 디스크부품을 클러치측에 조립하는 동안 클러치의 작동점이 설정되는 방법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상기 단계 후 예를 들어 용접, 스테이킹, 자동 잠금 장치 등을 통하여 두 구성 부품이 축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2 를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에서, 분리된 플라이휠(1)로서 토크전달장치는 두 디스크부품(2,3)을 가지고, 상기 디스크부품(2,3)은 감쇠 장치(4)의 작동에 대하여 제한된 비틀림각에 걸쳐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구동측의 디스크부품(2)은 나사(9)에 의해 내연기관의 크랭크축(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연결된다.
구동측의 디스크부품(2)은 외부 원주 영역에서 플라이휠 질량체(5)를 가지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플라이휠 질량체(5)는 접힌 금속 시트 부품(6) 및 디스크부품(2)의 이중 접힘 쇼울더(8)로 구성되며, 접힌 금속 시트 부품(6)은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임프린트(imprint)된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리벳 딤플(dimple)(10)에 의해 디스크부품(2)에 반경방향으로 연결되고, 디스크부품(2)의 모울딩(8)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되며, 시동 기어 링은 접힌 금속 시트 부품(6)의 외부 원주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장착되고, 디스크부품(2)의 축방향 쇼울더(8)는 상기를 위한 축방향 정지장치를 형성한다. 다른 방법으로 플라이휠 질량체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합하게 성형된 모울딩(8)과 함께 디스크부품(3)은 시동 기어 링(7)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시동 기어 링(7)은 상기 시동 기어 링(7)을 유지하는 부품에 용접되거나 스테이크되거나 가열 끼워맞춤될 수 있고, 원주방향으로 증가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시동 기어 링(7)을 내장하는 구성 부품의 프로파일링(profiling)을 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축방향 쇼울더(10)가 디스크부품(2)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스크부품(2)은 상기 디스크부품(2)의 내부 원주에서 디스크부품(3)을 마주하며, 베어링(14)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부품(2)의 내부 원주에서 미끄럼 베어링 부시(11)의 삽입으로 디스크부품(3)을 유지하고, 상기 베어링(14)은 디스크부품(2)을 마주하는 축방향 쇼울더(12)를 가진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11)는 두 쇼울더(10,12)의 축방향 정지장치 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링 형상의 연장부(13)를 가지고, 상기 반경방향으로 링 형상의 연장부(13)는 쇼울더(10) 및 쇼울더(12)에 대한(디스크(11a)의 삽입으로) 축방향 정지장치를 형성하며, 두 디스크부품(2,3)의 상대 회전 중 기본 마찰이 디스크(15) 및 감쇠 장치(4)에 평행한 미끄럼 베어링 부시(11)의 반경방향 쇼울더(13)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한 두 디스크부품(2,3)의 축방향 인장에 따른 마찰 토크를 가진다. 또한, 구동측의 디스크부품(2)이 미끄럼 베어링 부시(11)의 삽입으로 외부 원주 주위로 클러치측의 디스크부품(3)을 유지하도록, 디스크부품(2,3)의 배열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만약 베어링(14)을 통한 마찰 비율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미끄럼 베어링(14)은 로울링 베어링 또는 다른 베어링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크부품(3)은 두 부품으로 설계되고, 베어링(14)을 형성하는 반경방향 내부 부품(15) 및 반경방향 외부 부품(16)으로 구성된다. 디스크부품(3)의 두 부품(15,16)은 서로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상호 정지장치(18,19)를 형성하며, 상기 상호 정지장치(18,19)는 두 부품(15,16)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마찰 디스크(20)가 디스크부품(16)의 내부 원주에 설정된 영역(16a) 및 디스크부품(15) 사이에 축방향으로 구비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영역(16a)에서 그리고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작동에 대해 디스크부품(15)과 함께 마찰 작용을 발생시키며,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는 디스크부품(16)의 개구부(21)에 매달려 구성되고 지지되는 판 스프링(22)이다. 마찰 디스크(20)는 기본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분리가능한 연결부(24)를 통하여 제 1 디스크부품에 의해 제어된다.
조립 공구를 이동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나사(9)의 위치에 상응하는 디스크부품(3)의 개구부가 마찰 클러치(17) 및 베어링(14)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 공구를 통하여 장치(1)는 완성 상태에서 크랭크축에 구성될 수 있다.
두 디스크부품(2,3) 사이의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분리가능한 자동 잠금 장치(24)로서 형성하기 위하여, 마찰 링(20)은 반경방향 내부의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 연장 아암(25)을 가지고, 상기 연장 아암(25)은 원주에 걸쳐 연장구성되며, 개구부(23) 사이의 원주방향으로 원주방향 부분으로서 구성되고, 텅(tongue)(26)과 함께 외부 원주에 구성된 축방향 자유 단부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텅(26)은 외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테이퍼(taper)구성된다.
구동측에 구성된 디스크부품(2)에서, 나사(9)에 대한 와셔(washer) 디스크 또는 링을 형성하기 위해 디스크부품(2)에 구비된 리벳 딤플에 의해 링(27)이 나사 영역에서 디스크부품(2)에 구성되고, 연장 아암(25) 위치에 상응하는 오목부와 함께 축방향 연장 아암(29)을 가진다.
분리가능한 자동 잠금 장치(24)는 텅 또는 오목부(30)에 연결되는 스냅 끼워 맞춤식 노우즈(26)에 의해 구속되고, 축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고정된 연결부는 두 디스크부품(2,3) 사이에 구성된다. 마찰 디스크(20)는 두 디스크부품의 회전 중 스냅 끼워맞춤식 연결부(24)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동반구성되고, 장치의 기본 마찰에 대해 디스크부품(15)에서 마찰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분리가능한 연결부(24)를 형성하기 위한 쇼울더(25)와 함께 마찰 디스크(20)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예를 들어 마찰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출 주조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감쇠 장치(4)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장착 장치(31)에 의해 마찰 요소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는 외부 스프링(32a), 상기 외부 스프링(32a)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장착된 스프링(32b) 및 두 스프링(32a,32b)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장착된 스프링(32c)을 가진 코일 압축 스프링(32)의 형태이며, 출원 DE 198 43 298에 더 상세히 기술된다. 케이지(31)와 같은 장착 장치는 두 유사한 형태의 측면 부품(33,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 부품(33,34)은 하나의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며, 코일 압축 스프링(32)을 원주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스프링(32)의 한 단부는 하나의 측면 부품(33,34)의 편향 장치(35)에 의해 편향되며, 상응하는 다른 단부는 다른 디스크부품의 편향 장치에 의해 편향된다. 리벳 볼트(bolt)(39,40)는 두 디스크부품의 상대 회전 중 구동 및 코스팅(coasting) 방향에 따라 교대로 측면 부품(33,34)을 편향시킨다.
접촉 베어링면이 스프링 케이지(31)의 전 축방향 폭에 형성되고, 따라서 리벳 볼트(39,40) 및 에너지저장장치(32)에 대한 전 베어링면을 형성하며, 원주방향 힘을 구성하기 위해 측면 부품(33,34)의 단단한 부품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상기 접촉 베어링면이 지지되도록, 리벳 볼트(39,40)에 대한 각 디스크부품(33,34)의 접촉 베어링면(35,38) 및 에너지저장장치(32)는 다른 부품에 연결된다. 구동 방향으로 더 큰 힘 변형의 경우에 작은 레버는 측면 부품(33) 및 리벳 볼트(39) 사이에서 편향되고 코스팅 방향으로 측면 부품(34)과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측면 부품(33)의 부분이 편향되도록, 두 디스크부품(2,3)의 상대 회전 중 구동 방향으로 리벳(39)은 측면 부품(33)을 편향시키고 코스팅 방향으로 측면 부품(34)을 편향시키도록, 리벳 볼트(39,40)의 배열이 구성된다. 리벳 볼트(40)와 측면 부품(33,34)의 상호작용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방법에서, 스프링(32)으로 제작된 스프링 케이지(31)는 완전 구조 장치로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케이지(31)는 두 디스크부품(2,3)의 하나에 구성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목적으로 두 디스크부품(2,3) 분리의 경우에 링(27)의 텅(36)을 통하여 두 디스크부품(2,3)의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텅(36)은 내부원주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연결되며, 스프링 케이지(31)의 상응하는 요홈(37)의 키가 구성된 연결부와 연결된다. 유지보수 목적 및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디스크부품(2)과 함께 디스크부품(3)을 제거하도록, 스프링 케이지(31)는 디스크부품(3)에 고정될 수 있다.
두 측면 부품(33,34)은 각각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 개구부(38)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38)는 스프링(38)과 동일 높이로 그리고 상기 스프링(38)의 단부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구성되며, 디스크부품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리벳 볼트(39,40)가 상기 개구부내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한 디스크부품(2,3)의 회전 중 리벳 볼트(39,40)는 각각 측면 부품(33,34)을 동반하며, 따라서 편향 장치(35)를 통하여 스프링(32)을 압축시킨다. 동시에 리벳 볼트(40)는 디스크부품(3)의 두 디스크부품(15,16)을 리벳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 케이지(31)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 제작되고, 외부 원주에서 파열에 대한 안전장치 또는 클러치(41)로부터 열복사에 대한 방지장치로서 금속의 보강재(42,43)를 가지고, 상기 보강재(42,43)는 측면 부품(33,34)의 주위로 연결된다.
스프링 케이지(31)의 반경방향 외부에, 클러치측에 구성된 디스크부품(3)의 디스크부품(16)은 연장 아암(42)을 가지고, 상기 연장 아암(42)은 디스크부품(2)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원주 주위로 연장구성되고, 상기 연장 아암(42)은 타원형 홀(43)을 통하여 관통하고, 상기 타원형 홀(43)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부에 상응하는 디스크부품(2)으로부터 적어도 서로에 대한 두 디스크부품(2,3)의 최대 비틀림각까지 원주방향으로 요홈구성된다. 마찰 제어 디스크(44)는 개구부의 축방향 스터드(45)에 의해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판 스프링(46))에 의해 인장되며,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는 외부로부터 마찰 제어 디스크(45)에 대해 구성되고, 또한 마찰 제어 디스크는 각각의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 마찰 부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에너지저장장치는 접힌 금속 시트 부품(6)의 반경방향 돌출부에 지지되고,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는 외부 스플라인(47)과 함께 구성된다. 따라서 마찰 제어 디스크(44)는 디스크부품(2)에 작동하는 마찰을 발생시킨다. 상기 마찰 모멘트가 제어되는 방법은 개구부(48)의 설계에 따르고, 상기 개구부(48)를 통하여 디스크부품(3)의 연장 아암이 연결된다. 만약 상기 개구부(48)가 타원형 홀로서 형성된다면, 마찰이 방지되도록 비틀림 유극이 발생된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디스크부품(16)의 다른 경로에서, 클러치(41)를 반경방향 내부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축방향 쇼울더(49)가 상기 디스크부품(16)에 형성된다. 디스크부품(2)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는 클러치 모듈(41)을 형성하기 위해, 클러치측의 디스크부품(3)은 축방향 쇼울더(49)를 통하여 구성 부품(15,16)에 연결되고, 디스크부품(3)으로부터 이격된 측면에 구성되는 클러치 구성 부품 주위로 반경방향으로 연결되는 클러치 덮개(50)가, 예를 들어 용접 시임 또는 용접점(51)으로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고정되나, 분리가능하다.
축방향 쇼울더(49)는 자유 단부에서 축방향 연장부(52)를 가지고, 원주 주위로 연장구성된 쇼울더(49)의 두 반경 사이에 개구부(53)가 구비된다. 클러치 덮개(50)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쇼울더(54)는 상응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연장 아암(55)을 가지고, 클러치 덮개가 쇼울더(49)의 개구부(53)에 연결되며, 접촉 압력판(52)에 대한 축방향 정지장치를 형성한다. 클러치 덮개(50)는 축방향 쇼울더(52)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영역(52)에 대한 내부 원주에 중심설정된다. 접촉 압력판은 디스크부품(16)의 클러치 덮개로부터 이격된 측면에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 캠(cam)(57)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캠(57)은 접촉 압력판(56)에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디스크부품(16)의 상응하는 개구부(58)에 키가 구성된 연결이 구성된다.
압력판(59)은 외부 원주 영역의 클러치 덮개(50)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리프 스프링(leaf spring)(60)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프 스프링(60)은 압력판(59) 및 클러치 덮개(50)의 엇갈린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리벳체결되어 고정된다. 조립 공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66)를 가지는 판 스프링(65)은 클러치 디스크(61)를 인장시키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61)는 접촉 압력판(56) 및 압력판(59) 또는 마찰 라이닝(61a)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장착되며, 공지된 방법으로 클러치 덮개(50)에 지지된다. 클러치(41)가 분리될 수 있도록, 판 스프링(65)은 구속해제 장치에 의해 판 스프링 텅(66)을 통하여 구속해제될 수 있다.
마찰 라이닝(61a)에 의해 접촉 압력판(56) 및 압력판(59)과 마찰 연결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61)는, 클러치(41) 연결 상태에서 플랜지(62)를 통하여 크랭크축으로부터 입력되는 내연기관의 토크를 기어 입력축(도시되지 않음)으로 전달하고, 상기 플랜지(62)는 허브(63)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연결되며, 조립을 위한 개구부(62)를 가지고, 상기 기어 입력축은 허브(63)의 스플라인(64)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연결된다.
도 2 는 플라이휠(101)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전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상기 플라이휠(101)은 유지보수 상태에서 도 1 의 분리된 플라이휠(1)과 동일하다.
도 1 의 분리된 플라이휠(1)과 다른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러치측의 디스크부품(103)은 구동측의 디스크부품(102)이다. 디스크부품(103)의 베어링은 쇼울더(110)의 외부 원주에 구성된 축방향으로 성형된 쇼울더(112)에 의해 구비되고, 상기 쇼울더(110)는 디스크부품(102)에서 축방향으로 임프린트되며, 미끄럼 베어링 부시(111)는 제거가능한 디스크부품(103)에 고정되고, 따라서 클러치 모듈(141)을 제거한 후에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거나 수리된 새로운 부품 또는 새로운 클러치 모듈(141)로서 구비될 수 있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111)는 클러치 모듈(141)의 끼워맞춤 중에 직각 단면의 정지 링(111a)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상기 정지 링(111a)은 두 디스크부품(102,103)의 상대 회전으로 미끄럼 베어링 부시(111)와 마찰 연결에 의해 마찰 모멘트를 발생시키며, 따라서 기본 마찰의 구성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크부품(103)의 베어링은 크랭크축(109a)의 쇼울더에 구성된 디스크부품(102)의 베어링에 의해 반경방향 외부로 인접된다.
도 1 의 분리된 플라이휠에 대한 다른 상이점은 디스크부품(102,103)을 통한 스프링 케이지(131)의 편향 형태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스프링 케이지(131)는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개구부(138a,138b)를 가지고,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 연장 아암(139)은 개구부(138a)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디스크부품(102)에 구비되며, 디스크부품(103)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 연장 아암(140)은 개구부(138b)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디스크부품(103)은 반경방향 외측 디스크부품(116) 및 반경방향 내측 디스크부품(115)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측면 부품(134)이 매번 하나의 디스크부품에 의해 편향되고 에너지저장장치(132)의 각각 하나의 단부는 측면 부품(133,134)에 의해 편향되도록 스프링 케이지(131)가 형성된다.
또한 분리된 플라이휠(101)은 분리 시동 기어 링을 가지지 않는다. 스플라인(107)은 디스크부품(102) 및 플라이휠 질량체로서 역할을 하는 접힌 금속 시트 부품(106)의 반경방향 모울딩(108)으로부터 직접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부품을 가지며, 스플라인은 경화된다.
또한 디스크부품(116) 및 클러치 덮개(150)의 축방향 쇼울더(149,154) 사이에 구성된 분리가능한 연결부는 자동 잠금 장치로서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축방향 쇼울더(149)는 언더컷 부분(149a)을 가지고, 축방향 쇼울더(149,154)를 서로 위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중심설정된 후에 상기 언더컷 부분(149a)은 덮개(150)의 구속부내로 스냅 끼워맞춤된다. 원주방향으로 정렬된 개구부(149b,154b)는 축방향 쇼울더(154,149)에 구비되고, 개구부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며, 반경방향 내부 개구부(154b)는 압력판(156)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나사 드라이버(driver)(171)와 같은 레버 공구는 상기 개구부에 구성될 수 있고, 클러치 모듈(141)을 분리하기 위해 변부(edge)(154c)에 대해 구성되며, 변부(149c)에서 화살표의 방향으로 지렛대 작용을 통하여 클러치 덮개(150)를 스냅 연결부(170)로부터 구속해제한다. 도시된 레버 공구(171)는 풀오프 공정에 적합한 레버 공구로 교체될 수 있고, 동시에 개구부(149b,154b)에 연결된다.
디스크부품(102)에 여전히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클러치 모듈(141)을 분리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레버 공구(171)는 디스크부품(103)의 축방향 모울딩(108')에 지지될 수 있다. 클러치 모듈(141)은 디스크부품(103)으로부터 분리되고, 다음에 스냅 연결부(170)의 개방에 의하여 클러치 모듈(141)이 분해된다. 다음에 마모된 마찰 라이닝(161a)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161)는 교체될 수 있고, 클러치 모듈(141)은 다시 적소에 스냅 끼워맞춤될 수 있다.
디스크부분(1)으로부터 클러치모듈(clutch module)(141)를 분리하기 위해 스냅끼워맞춤식 베어링(124)가 개방되고 두 개의 디스크부분(102, 103)들의 서로에 대한 지지부분(114)이 분리된다. 노출된 돌출요소(139,140)가 - 또는 도 1 의 장치(1)의 경우, 리벳볼트(rivet bolt)(39, 401 - 스프링케이지(spring cage)(131, 31)로부터 드로잉되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연장아암(142)은 마찰제어디스크(144)의 개구부로부터 빠져나와 드로잉된다.
따라서 스냅끼워맞춤식 노우즈(nose)들이 개구부(130)들로부터 분리되도록, 클러치모듈(141)의 축방향변위와 관련하여 반경방향으로 스냅끼워맞춤식 노우즈(126)를 상승시켜 - 해당공구들을 통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는 - 스탭끼워맞춤심 폐쇄부분이 개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개구부로부터 스냅끼워맞춤식 노우즈(126)들을 위한 구속해제토크를 제공하고, 디스크부분(102) 또는 내연기관의 하우징 및 개구부(123)내부에서 예를들어 풀오프 클로우(pull-off claw)들을 개구부(123)들내부에 부착시켜서 디스크부분(3)위에 풀오프장치(pull-off device)를 가진 클러치모듈을 떼어내는 것이 유리하다. 변속기측면으로부터 디스크부분(102), 클러치디스크(161) 및 판스프링(165)의 판스프링돌출요소(166)내부에서 개구부(123,162a,166a)들을 통해 변속기측면으로부터 클러치모듈(141)을 분리하기 위한 공구들이 접근된다.
정비후에 클러치모듈(141) 또는 여분 또는 대체부품이 다시 베어링(124)위에서 디스크부분(102)상에 센터링되고, 클러치모듈(141)에 대해 축방향하중을 가하면 스냅끼워맞춤식 연결부(125)가 스냅끼워맞춤된다.
도 3 및 도 4 는 부분단면들로서 분리되고 설치된 상태에 있는 분리된 플라이휠(201)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 의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분리된 플라이휠(201)이 내부의 마찰제어디스크(244)와 끼워맞춤되고, 즉 두 개의 디스크부분(202, 203)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마찰연결상태가 스프링케이지(231)의 반경방향외측에서 이루어지고, 에너지저장장치(232)를 구동측부에 편향시키기 위해 리벳볼트(239)들로부터 내부프로파일(247)에 의해 부착되고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246)에 의해 마찰제어디스크(244)가 지지되고, 마찰연결상태가 동일한 부품위에 지지된다. 마 찰제어디스크(244)의 외측주변부위에 외측스플라인(spline)이 위치되고, 스플라인내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된 디스크부분(203)의 돌출요소(242)들이 연결되고, 상기 돌출요소들은 일체로 구성되며, 두 개의 디스크부분(202, 203)들이 상대회전운동시 마찰결합을 형성하며, 비틀림음극에 해당하는 각주위에서 비틀림유극은 마찰작용을 개시한다.
상기 디스크부분(202)는 크랭크축위에서 스크류(209)들에 의해 장착된 반경방향외측부의 플랜지(202a) 및 베어링플랜지(202b)로 나누어지고, 플랜지(202a)의 내측원주부위에 제공되고 축방향으로 돌출구조를 이루는 돌출측부(202c)에 의해 베어링플랜지(202b)는 플랜지부품(202a)상에 센터링된다.
축방향으로 정렬된 돌출측부(208)가 형성되는 플랜지부품(202a)상에 시동기어링(gearing ring)(207)이 장착되고, 상기 돌출측부는 외측원주부에서 시동기어링(207)을 지지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시동기어링(207)을 위한 축방향정지부가 접혀진 판재금속부품(206)에 의해 형성된다.
클러치측부에 위치한 자체구속유니트(224)의 장착부(225)를 가지는 마찰링(220)의 장착상태가, 도 1 및 도 2 의 실시예(1,101)와 관련하여, 디스크부품(203)의 일체설계에 의해 변경된다. 따라서 클러치측부에 구성된 스프링케이지(231)의 편향장치들에 형성되는 리벳볼트(204)들내에서 상기 링(22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프로파일(220)과 장착되고, 상기 링은 리벳볼트(240)내에서 외측프로파일과 동일하게 부착되고 지지되며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22)에 의해 상기 링이 인장된다.
접촉압력판을 반경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장착작용이 외측주변부상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된 돌출측부(249)를 가진 디스크부분의 반경방향 내측에 이루어지도록, 접촉압력판(256)의 외측주변부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확대구성되는 캠(257)을 제공하여 접촉압력판(256)의 장착작용이 수행되고, 이때 상기 캠들은 디스크부품(203)의 개구부(255)들내에서 키이음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클러치커버(250)의 축방향연장아암(255)들을 위한 축방향정지부가 상기 캠(257)들에 의해 형성되고, 디스크부품(203)의 내측부상에 접촉압력판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도 4 에 있어서, 양쪽의 디스크부품들상에 장착가능한 자유상태의 스프링케이지(231)들은 가지고 분리된 유니트(201)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케이지내부에 스냅끼워맞춤될 수 있고 동시에, 두 개의 부품(202, 241)들이 분리된 후에 교체위치로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스프링케이지(231)를 고정하기 위해 구동측 연장아암(229)들이 제공된다.
도 5 에 있어서, 마찰클러치(380)를 가지고 분리된 플라이휠(301)로서 도 3 및 도 4 의 토크전달장치(201)의 수정예가 도시된다.
이를 위하여 클러치측부상의 클러치부품(303)은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부품(316) 및 반경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부품(315)들로 나누어진다. 두 개의 부품(315, 316)들에 관한 반경방향 중첩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디스크부분은 외측에 스플라인을 가지며, 상기 스플라인은 예를 들어 디스크부품의 개구부(383)들내에서 ±30°도이하 또는 ±15°도가 선호되는 비틀림유극을 가지고 결합되고, 마찰클러치(380)의 작용에 대해 디스크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회전운동가능하다. 마찰클러치(380)의 마찰연결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접촉압력판(356)에 대해 마찰라이닝(381,382)들에 의해, 그리고 외측프로파일(282a)에 의해 부착되고 디스크부품(316)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요소(382)에 의해 인장되고, 상기 접촉압력판(356)은 디스크부분(316)에 회전되도록 고정 및 연결된다. 두 개의 디스크부품(315, 316)사이에서 마찰클러치(380)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는 디스크부분(302) 및 댐핑장치를 통해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내연기관의 토크보다 크고, 상기 토크는 특히 내연기관 또는 디젤엔진에서 시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발생가능한 토크 피크(torque peak)보다 작아서, 상기 경우들에 있어서, 마찰클러치(380)의 마찰토크가 극복되고, 드라이브트레인(drive train)에 대한 손상 또는 피크상태의 상기 토크를 차량에 전달하는 작업시 안락성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디스크부품(315, 316)들의 경미한 에너지흡수 회전운동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가 디스크부품(315, 316)들에 의해 정해지는 토크각도를 이용한 후에 마찰클러치(380)가 정지되어, 마찰클러치(180)내부에 굴곡이 존재하는 매우 희소한 경우들에 있어서, 차량운동이 가능하고 또한 두 개의 디스크부품(315, 316)들의 정지작용을 통해 안락성손실을 보상한다.
도 6 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서로다른 형태의 에너지저장요소(432)들을 편향작용을 가지고, 여기서 에너지저장요소들이 원주주위에서 확대구성되고 서로에 대해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432a, 432b)들로부터 형성되는 토크전달장치(401)의 부분단면도가 도시된다. 스프링케이지(431)의 측부(433)를 위해 구동측부상의 편향장치들의 축방향배열구조의 돌출요소 또는 연장아암(439)들로서 도 2 의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아암(439)들은 원주방향으로 확대구성된 개구부(438a)들 내부에 연결되고, 디스크부분(403)과 반대쪽에 위치한 디스크부분(402)의 상대회전운동시 상기 연장아암들은 측부(433)를 변향시키고 편향장치들 또는 축방향 접촉지지면(435)들이 측부(434)에서 해당설계가 이루어지는 접촉지지면들에 의해 다른한쪽 단부에서 반작용하고, 스프링케이지내부로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디스크부분(403)위에서 원주너머로 연장구성되는 리벳볼트(440)들에 의해 상기 측부(434)가 편향되기 때문에, 상기 편향장치들 또는 축방향접촉지지면(435)들에 의해 측부(433)는 에너지저장요소(432)들을 압축한다. 따라서 디스크부품(402, 403)들에 구성되 축방향 연장아암(439,440)들에 의하여 전체 폭에 걸쳐서 두 개의 측부(433,434)들이 축방향으로 편향되어, 측부(433,434)들의 접촉지지면(438, 438a)들 위에서 더욱 균일한 하중분포가 형성된다.
도 6 에 도시된 토크전달유니트의 설계와 관련된 또다른 차이점은 디스크부품(402)에 구성된 플라이휠질량체(405)의 형상이다. 6㎜ 및 10㎜ 사이의 적합한 재료두께를 가지고 간단한 축방향 돌출측부(408)가 또 다른 접힘부분없이 제공되고, 돌출측부(408)의 반경방향 윤곽은 클러치(441)의 외측원주부의 반경방향윤곽과 대략 일치하고, 유니트(401)를 통풍 및 냉각하기 위한 간격(408a)이 유지된다.
접힌 상태의 판재금속부품(406)이 디스크부품(402)의 외측원주부와 일치하고 예를들어 점화표시(406a)와 같은 엔진관리시스템(Engine Management System)을 위한 외측주변부의 측면표시상의 자유단부에서 형성된다. 시동기어링(407)이 반경방향으로 인접하게 장착된다.
도 7 에 있어서, 클러치모듈(541)의 부분단면도가 도시되고, 자체구속장치(570)에 의해 디스크부품(503)이 클러치커버에 회전되도록 고정 및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축방향 돌출측부(549)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축방향 돌출측부에 의해 클러치커버(550)가 디스크부품(503)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돌출측부(549,554)가 도 2 의 부품(49, 54)들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언더컷(under cut)부분에 의해 서로 스냅끼워맞춤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측부(554)는 돌출측부(549)내에 제공된 구속부분(554a)내부로 스냅끼워맞춤된다.
접촉압력판(556)이 디스크부품에 대해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캠(557)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디스크부품(503)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캠(557)들은 디스크부품(503)으로부터 적합하게 오목구조를 이루는 개구부(558)들과 키이음되어 연결된다. 접촉압력판의 축방향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부분(503)의 반경방향정렬부품 및 접촉압력판을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돌출측부내부로 반경방향을 향하는 구속부품(549a)의 반경방향 압축부(549b)사이에서 접촉압력판(556)이 축방향으로 인장되고, 생산기술적인 이유에 의하여, 두 개의 조립작업시쿼스들이 유리하며 즉, 이미존재하는 압축부(549b)위에서 예비인장력을 받으며 접촉압력판(556)을 압축하거나 구속부(549a)를 부착하기 전에 접촉압력판(556)을 위치설정하며, 심지어 압축부(549b)에 의한 어떠한 정지작용없이 마찰접촉이 접촉압력판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 에 있어서, 도 1 내지 7의 클러치모듈(41, 141, 291, 341, 441, 541)의 작동점을 조정하기 위한 과정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된다.
예를들어 도 1의 클러치모듈(141)은 도 9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다. 축방향돌출측부(49)를 가진 디스크부분(3)의 축방향간격에 의존하여, 접촉압력판(56), 클러치(61), 압력판(59), 클러치모듈(41)의 판스프링(65), 접촉압력판(56)의 이격상태, 마찰라이닝(61) 및 압력판(59)이 조정되어, 판스프링돌출요소(66)들의 특성 및 위치설정과 관련하여 판스프링(65)이 최적위치에 놓이고 즉, 디스크부분(3)에 대한 접촉압력판(56)의 접촉상태 및 클러치커버(50)상의 판스프링(65)의 장착상태사이의 거리가 조정되고, 그결과 판스프링이 최적으로 설정된 위치 - 작동점에 대해 기조립된 클러치모듈(41)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에 도시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돌출측부(54)를 가진 클러치커버(50)가 도시되고, 상기 돌출측부(54)는 자유단부에서 원주방향을 향하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돌출부(54a)들을 원주방향으로 확대구성한다. 클러치모듈을 장착하기 위하여, 축방향 돌출측부(49)를 가진 디스크부분(3)내에 접촉압력판(56)이 놓여지고, 다음에 클러치커버가 디스크부분(49)의 축방향돌출측부(49)의 내측원주부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중심이 잡히고, 접촉압력판에 대해 돌출부(54a)들이 놓여져서, 상기 돌출부(54a)들이 적합하게 배열된 개구부(53)들을 통해 부분적으로 결합한다. 모듈(41)을 조정하기 위해 작동점에 도달할 때까지 판스프링(56)의 위치에 의존하여 축방향으로 변형하는 축방향 작용하중이 돌출부(54a)들에 제공된다. 작동점에 도달할 때 용접점(54b) 또는 연속적인 용점씨임(welded seam)에 의해 돌추측부(49)가 돌출측부(54)에 연결된다.
돌출부(54a)는 또한 디스크부분(3)위에 구체적으로 축방향 돌출측부(49)상에 제공될 수 있고, 클러치커버(50)는 접촉압력판을 이한 고정정지부를 형성한다. 또한 도 2 의 클러치모듈(141)의 조정을 위하여 베이요네트(bayonet)형태의 요홈들과 같은 나사 또는 부분나사를 가진 스냅밀폐부들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상기 요홈내에서 적합하게 상승구조를 이루는 스냅끼워맞춤식 노우즈들이 결합되고, 상기 밀폐부들은 작동점을 조정하기 위해 축방향변위에 의해 요홈내부로 제공되며, 예를 들어, 적합한 대강의 깊이를 가진 요홈들 또는 노우즈 또는 고정나사등과 같은 또 다른 수단과 같은 조정부품들이 자체구속작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는 더 넓은 특허보호를 위해 제한없이 실시된다. 오직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서 지금까지 설명된 추가의 특징들을 청구하기 위한 권리를 출원인이 가진다.
종속항에 이용된 참고사항들은 각각의 관련 종속항의 특징들을 통해 주 청구항의 특징에 관한 또 다른 구성과 관련된다. 상기 참고사항은 설명된 종속항들의 특징들을 위한 독립적인 보호를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종속항들의 특징들은 선행청구항들의 특징들과 독립적인 구성을 가진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세한설명의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소 여러 개의 수정 및 변형들이 가능하고, 특히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고 일반적인 설명 및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개별적인 특징들 또는 요소들 또는 과정단계들에 대해 진보성을 가지며, 제조, 시험 및 작업과정과 관련하여 특징들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주제를 이끌거나 새로운 과정단계들 또는 과정들의 시퀀스를 이끄는 변형예, 요소들 및 조합 및 재료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Claims (106)

  1.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고정되는 한 개이상의 제 1 디스크부품(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크부품(2)에 연결되고 접촉압력판(56)을 가진 마찰클러치(41)를 포함하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회전되도록 고정된 압력판(59)을 수용하며 상기 압력판(59)주위에서 반경방향으로 결합하는 클러치커버(50)를 포함하고, 외측에 제공된 마찰라이닝(61a)을 가진 클러치디스크(61)가 접촉압력판(56) 및 압력판(59)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압력판(59) 및 클러치커버(61)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한 개이상의 에너지저장요소에 의해 상기 클러치디스크(61)가 압력판(59)과 접촉압력판(56)에 마찰결합되고, 하중전달방향으로 외측부에 장착된 변속기의 기어입력축과 상기 클러치디스크(61)가 회전되도록 고정연결되며, 차량의 구동트레인내에서 토크를 전달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달장치가 크랭크축위에서 한 개의 완전유니트로서 장착가능하고, 변속기측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자체구속기능의 고정수단에 의해 마찰클러치(41)가 디스크부품(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가압끼워맞춤식 연결부(24)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축방향으로 구속기능을 가진 스냅-끼워맞춤식 연결부(24)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디스크부품에 제공된 적어도 한 개의 축방향연장아암이 마찰클러치상에 제공된 축방향연장아암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접촉압력판을 수용하고, 클러치커버에 대해 외측원주에서 고정되게 연결된 제 2 디스크부품으로부터 마찰클러치의 축방향연장아암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장치의 고정영역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고정수단이 크랭크축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디스크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동일한 반경방향높이에서 고정수단이 크랭크축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9. 제 5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한 개의 디스크부품에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2개 내지 10개의 축방향연장아암들이 다른 한개의 디스크부품에 구성된 동일갯수의 축방향연장아암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한 개의 디스크부분에 구성된 축방향연장아암들이 스냅끼워맞춤식 노우즈들을 가지고, 상기 노우즈들은 다른한개의 디스크부품의 축방향연장아암들내부에 제공된 개구부들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한 개의 디스크부품의 연장아암들위에 스냅끼워맞춤식 노우즈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2. 제 10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클러치측부의 디스크부품에 구성된 연장아암들위에 스냅끼워맞춤식 노우즈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3. 제 10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이 연장아암들위에서 스냅끼워맞춤식 노우즈들이 원주부근에 교번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4. 제 10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스냅끼워맞춤식 노우즈들이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정렬되고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짝을 이루는 연장아암들의 축방향개구부들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5. 제 6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지만 분리가능한 제 2 디스크부품에 제 1 디스크부품이 결합되고, 원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 중 한 개 위에서 회전가능하고 축방향고정상태로 설정된 공통의 링위에 고정수단이 수용되고, 다른 한 개의 디스크부품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지만 회전가능하고 변속기측부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는 연결부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에 연결되는 구성부품 및 디스크부품사이에서 링이 축방향으로 수용되고, 링을 반경방향으로 덮으며,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을 서로에 대해 정해진 회전운동시키는 영역내에서 고정수단들을 구속해제하며, 상기 영역은 링을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덮지만,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들에 의해 설정되는 마찰토크를 가한 후에 회전가능한 구성부품 및 디스크부품사이에서 링을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요소가 인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크랭크축의 굽힘 또는 축방향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동측부상의 디스크부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에너지저장장치들을 가진 댐핑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이 서로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내에 수용되고, 상기 구성부품에 의해 적어도 한 개의 에너지저장장치가 구동측부 및 출력측부상에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내에 예비끼워맞춤된 장치내에 에너지저장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2. 제 20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중 한 개에 대해 손실방지를 위해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구동측부위의 디스크부품에 대해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4. 제 20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에 의해 구동측부위에서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이 매달리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크랭크축위에 유니트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들위에 고정되며, 탭들을 가지고, 탭들은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주위에서 축방향으로 결합하고,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내부의 해당요홈내에서 반경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5. 제 20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을 분리하는 동안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이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과 제거되고 손실방지의 동일한 부품에 대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에 연결되고,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주위에서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디스크부품으로부터 떨어진 측부위에 제공된 해당 몰딩들과 반경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춤되는 탭들과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이 손실방지되어 매달리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7. 제 20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운동하는 동안, 원주방향을 향하는 한쪽측단부에서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에 의해 적어도 한 개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압축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된 연장아암들에 의해 구동측부상에 압축되며, 상기 연장아암들은 해당 편향장치들을 가진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들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8. 제 20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케이지형상의 구성부품내에서 적어도 한 개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윤활유의 첨가없이 압축코일스프링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1. 제 20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에너지저장장치의 원주부와 비교하여 에너지저장장치가 원주방향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에너지저장장치의 연장부 및 원주사이의 비율이 0.5 이하인 것이 선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3. 제 1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사이에서 작동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3 개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4. 제 1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반경방향으로 내측 또는 외측원주부위에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스프링계수를 가진 에너지저장장치들이 추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5.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사이의 하중전달에 따라 마찰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디스크부품들이 회전운동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기본적인 마찰작용 및 비틀림각에 의존하여 제어되는 마찰작용이 마찰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마찰디스크에 의해 기본적인 마찰작용이 형성되고, 한 개의 디스크부품 및 다른 한 개의 디스크부품에 회전하도록 고정연결된 한 개의 베어링부시 또는 두 개의 디스크부품사이에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을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영역내에서 상기 마찰디스크가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사이의 고정수단에 의해 축방향 인장작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39. 제 36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링 및 디스크부품사이에서 고정수단을 고정하는 기본적인 마찰작용이 발생하고,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링 및 디스크부품이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0. 제 36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마찰연결되는 케이지형상 구성부품의 두 개의 편향장치들에 의해 기본적인 마찰작용이 발생하고, 축방향구속기능을 가지고 탄성을 가지며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사이에 배열된 연결부를 통해 편향장치들이 서로에 대해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1. 제 36 항에 있어서, 마찰디스크 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마찰세그먼트들에 의해 마찰작용이 제어되고, 키이음에 의해 상기 마찰세그먼트들이 디스크부품들 중 한 개와 결합하고 다른 한 개의 디스크부품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키연결부가 더딘 마찰작용형성을 위해 백래쉬(backlash)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3. 제 41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한 개의 디스크부품과 마찰결합을 형성하는 마찰디스크 및 다른 한 개의 디스크부품사이의 스플라인에 의해 키연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4. 제 19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사이에서 마찰디스크가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5. 제 19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크랭크축측부에서 마찰디스크가 디스크부품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6. 제 19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댐핑장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디스크부품의 측면에 마찰디스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7. 제 19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내에 제공되고 원주방향으로 타원형을 이루는 개구부들내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된 스터드들에 의해 마찰디스크가 손실방지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마찰디스크가 디스크부품과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외측부로부터 마찰디스크를 반경방향으로 편향시키고, 디스크부품 또는 디스크부품에 연결된 구성부품위의 외측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는 판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에 고정되고 연결되는 구성부품은 시동기어링을 장착하거나 형성하기 위해 접혀진 부분의 판재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1. 제 47 항에 있어서, 개구부들이 스터드들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스터들을 통해 다른 한 개의 부품 또는 부품에 연결된 구성부품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연장부품들이 회전구속작용과 결합되고 원주방향으로 타원형개구부들의 연장부를 통해 정해진 마찰각 영역내에서 마찰모멘트를 형성하는 한 개의 디스크부품에 대해 마찰디스크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마찰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부품이 클러치측부의 디스크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3. 제 52 항에 있어서, 마찰디스크가 댐핑장치의 반경방향외측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4. 제 1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디스크부품이 디스크부품과 연결된 플라이휠질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5. 제 54 항에 있어서, 플라이휠질량체가 디스크부품으로부터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6. 제 55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의 외측원주를 따라 디스크부품의 판재금속을 접는 것에 의해 구동측의 플라이휠질량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7. 제 56 항에 있어서, 구동측부에 위치한 디스크부분의 축방향정렬판재금속접힘부들사이에 구동측부상에 플라이휠질량체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로 접혀진 구성부품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8. 제 1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외측원주부상에 구동측부위에서 시동기어링이 디스크부품에 연결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59. 제 57항 또는 제 58 항에 있어서, 삽입되고 접혀진 구성부품이 외측반경방향으로 성형된 돌출측부를 형성하고, 삽입된 구성부품을 이용할 때, 원주방향의 스플라인을 가지고 두배의 금속판두께를 가진 돌출측부를 형성하기 위해 플라이휠질량체를 형성하기 위한 판재금속이 반경방향 외측부에 위치한 구동측부상의 디스크부품이 접혀지고, 상기 스플라인내에서 시동장치의 피니온이 회전구속작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0. 제 59 항에 있어서, 스플라인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1. 제 59항 또는 제 60 항에 있어서, 외측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다른 판재금속에 속하는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원주부들이 외부 스플라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2. 제 54 항에 있어서, 접촉압력판 또는 압력판과 같은 부품에 의해 클러치측부의 디스크부품의 플라이휠질량체가 형성되고 클러치디스크와 마찰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3. 제 54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 및 플라이휠질량체사이의 적어도 한쪽측부상에 마찰클러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4. 제 1 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가 회전경로내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5. 제 1 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를 통해 전달되는 토크가 내연기관의 최대전달토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6. 제 65 항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시동시 마찰클러치가 전달가능한 토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7.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측부상의 두 개의 부품들내부에 구성된 디스크부품상에 마찰클러치가 제공되고, 비틀림각에 해당하는 제 2 플랜지부품의 요홈내에 결합되는 제 1 플랜지부품의 축방향정지부들에 의해 또는 마찰클러치의 삽입에 의해 클러치를 고정하는 플랜지부품과 반대쪽으로 제한된 운동에 의해 구동측부상에 위치한 디스크부품을 위한 베어링을 형성하는 플랜지부품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8. 제 67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들이 서로 상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69. 제 68 항에 있어서, 디스크부품들이 서로에 대한 미끄럼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0. 제 69 항에 있어서, 미끄럼베어링슬리브의 삽입에 의해 디스크부품들이 서로 상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크랭크축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2. 제 71 항에 있어서, 베어링플랜지에 의해 크랭크축상의 장치가 지지되고,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이 베어링플랜지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3. 제 72 항에 있어서, 구동측부상의 디스크부품 및 베어링플랜지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4. 제 71항 또는 제 73 항에 있어서, 크랭크축위에 위치한 장치의 베어링 및 구동측부위에 위치한 디스크부품의 베어링이 서로 다른 직경들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5. 제 71 항 또는 제 72 항에 있어서, 내측원주부에 의해 클러치상의 디스크부품이 베어링플랜지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6. 제 72항에 있어서, 내측원주부에 의해 클러치측부상에 위치한 디스크부품의 외측원주부위에서 축방향으로 성형된 돌출측부를 베어링에 대해 베어링플랜지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7. 제 72항 또는 제 76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을 분리하는 동안,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위에 위치한 구동측부상의 디스크부품의 베어링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8. 제 77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의 분리과정동안 슬라이드베어링부시가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 중 한 개위에 유지되고, 분리과정동안 손실방지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베어링부시가 해당 디스크부품에 연결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79. 제 78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베어링부시가 디스크부품에 대해 가압끼워맞춤되거나 디스크부품에 대해 구속되거나 디스크부품위에 수축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0. 제 77 항에 있어서, 구동측부에서 디스크부품을 분리하는 동안 슬라이드베어링부시 및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이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상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1. 제 80 항에 있어서,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이 분리될 수 있는 클러치커버에 대해 외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2. 제 81 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며 서로를 향하고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슬리브형태의 돌출측부들이 디스크부품 및 클러치커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3. 제 82 항에 있어서, 돌출측부들이 서로 센터링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연결되며, 원주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4. 제 82항 또는 제 83 항에 있어서, 돌출측부들이 서로 중첩되고, 중첩된 돌출측부의 원주방향자유단부가 다른 한 개의 돌출측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5. 제82 항에 있어서, 분리가능한 자체구속기능의 장치에 의해 돌출측부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6. 제 85 항에 있어서, 제 1 돌출측부의 축방향자유단부위에 제공되고, 제 2 돌출측부와 축방향으로 중첩시키는 언더컷단면에 의해 분리가능한 자체구속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7. 제 86 항에 있어서, 중첩구조를 이루는 돌출측부의 외측원주부위에 또는 중첩구조를 이루는 돌출측부의 내측원주부위에 언더컷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8. 제 87 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는 개구부들이 양쪽 돌출측부들의 원주부들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89.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의 작동점이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90. 제 89 항에 있어서, 정해지는 하중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는 정지부에 의해 작동점이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91. 제 90 항에 있어서, 변형가능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노우즈들로부터 축방향정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우즈들이 클러치커버에 속하는 돌출측부에 자유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92. 제 6항 또는 제 91 항에 있어서, 클러치커버에 구성되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연장아암들이 디스크부품을 가진 접촉압력판을 축방향으로 인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93.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가 자체조절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94.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구성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한 개이상의 디스크부품(2,3), 한 개의 접촉압력판(56), 한 개의 압력판(59) 및 한 개의 클러치디스크(61)로 구성된 클러치가 예비끼워맞춤되는 단계,
    (b) 상기 디스크부품(2,3)들이 크랭크축위에 끼워맞춤되는 단계,
    (c) 정비과정에서 접촉압력판(56), 압력판(59), 클러치커버(50) 및 클러치디스크(61)를 고정하는 클러치의 디스크부품(3)이 클러치측부로부터 접근가능하고 분리가능한 자체구속장치에서 크랭크축에 연결된 상기 디스크부품(2)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d) 클러치로부터 제거된 부품이 수리되는 단계,
    (e) 수리단계후에, 자체구속장치에 의해 클러치로부터 제거된 부품이 크랭크축에 연결된 디스크부품과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95. 제 94 항에 있어서, 클러치로부터 제거된 부품이 클러치디스크를 정비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96. 제 94 항 또는 제 95 항에 있어서, 클러치로부터 제거된 부품이 접촉압력판을 고정하는 부품 및 클러치커버사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97. 제 94 항에 있어서, 접촉압력디스크를 고정하는 구성부품 및 클러치커버의 연결 및 분리작용이 자체구속기능을 가지고 분리가능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98. 제 94 항에 있어서, 접촉압력판을 고정하는 구성부품이 디스크부품이고, 댐핑장치의 작용에 대해 구동측부위에서 디스크부품과 마주보게 상기 디스크부품이 분리된 플라이휠의 구성부품으로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99. 제 98 항에 있어서, 클러치를 정비하는 동안, 구동측부상의 디스크부품이 크랭크축상에 유지되고,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이 클러치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100. 제 97 항 또는 제 98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이 서로 지지될 때, 제공되는 댐핑장치 또는 미끄럼베어링슬리브가 구동측부상의 디스크부품위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101. 제 97 항 또는 제 98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디스크부품들이 서로 지지될 때, 제공되는 댐핑장치 또는 미끄럼베어링슬리브가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위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102. 제 94 항에 있어서, 접촉압력판을 고정하는 구성부품 또는 클러치측부상의 디스크부품이 클러치디스크의 축방향삽입작용에 의해 클러치커버와 예비끼워맞춤되고 정비를 위해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103. 제 102 항에 있어서, 접촉압력판을 고정하는 구성부품 또는 클러치측부위의 클러치커버 및 디스크부품사이에서 축방향거리를 조정하여 클러치의 작동점이 형성되고, 다음에 두 개의 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축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104. 제 103 항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 고정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105. 제 104 항에 있어서, 분리가능한 자체구속장치에 의해 고정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를 조립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방법.
  106. 삭제
KR1020000013236A 1999-03-16 2000-03-16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KR100651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1666 1999-03-16
DE19911666.0 1999-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03A KR20000062903A (ko) 2000-10-25
KR100651297B1 true KR100651297B1 (ko) 2006-11-28

Family

ID=790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236A KR100651297B1 (ko) 1999-03-16 2000-03-16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01897B1 (ko)
JP (1) JP2000283176A (ko)
KR (1) KR100651297B1 (ko)
CN (1) CN1263621C (ko)
BR (1) BR0001329A (ko)
DE (1) DE10012499B4 (ko)
FR (1) FR2791105B1 (ko)
GB (1) GB2348264B (ko)
IT (1) IT1317624B1 (ko)
RU (1) RU224546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7624B1 (it) * 1999-03-16 2003-07-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Dispositivo per la trasmissione di un momento torcente, in particolaredi un motore termico ad un cambio disposto a valle in un autoveicolo.
US6481552B1 (en) * 1999-11-15 2002-11-19 Exedy Corporation Clutch apparatus
JP5023372B2 (ja) * 2000-11-22 2012-09-12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クラッチ装置
EP1384911A3 (de) * 2002-07-25 2004-09-15 ZF Sachs AG Doppelkupplungsanordnung
EP1394434A1 (de) * 2002-08-28 2004-03-03 ZF Sachs AG Doppelkupplung
US20040108181A1 (en) * 2002-08-28 2004-06-10 Zf Sachs Ag Dual clutch
US7195111B2 (en) 2002-09-02 2007-03-27 Exedy Corporation Clutch device having a clutch damper and dual-mass flywheel assembly
JP4054712B2 (ja) * 2003-04-23 2008-03-05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装置
DE112004002431D2 (de) * 2003-12-26 2006-08-24 Rohs Voigt Patentverwertungsge Zweimassenschwungrad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Zweimassenschwungrades
US7610891B2 (en) * 2004-04-16 2009-11-03 Avl List Gmbh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art-up phase of a motor vehicle
ATE415572T1 (de) * 2004-09-03 2008-12-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102004045366A1 (de) * 2004-09-18 2006-04-06 Zf Friedrichshafen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DE112006001526A5 (de) * 2005-06-28 2008-04-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aggregat
EP1843057A1 (de) * 2006-04-08 2007-10-1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EP1939494A3 (de) * 2006-12-27 2011-03-1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Triebrad
EP1939486A1 (de) * 2006-12-27 2008-07-0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Torsionsschwingungen
CN102439284B (zh) * 2009-05-15 2014-07-30 利滕斯汽车合伙公司 发动机起动器
DE112011104106B4 (de) 2010-08-12 2023-01-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erkzeug und Verfahren zur Rückstellung einer Verspanneinrichtung einer Steckverzahnung
DE112011103037A5 (de) * 2010-09-09 2013-07-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DE102011052806B4 (de) * 2011-07-27 2015-10-1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Steckverbindergehäuse
US20140298952A1 (en) 2011-12-05 2014-10-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rive train
WO2015084287A1 (ru) * 2013-12-05 2015-06-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рум Групп"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горного комбайна
DE102016217544A1 (de) * 2015-09-23 2017-03-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schwingungsdämpfer
CN108603565B (zh) * 2016-01-29 2020-03-03 爱信艾达工业株式会社 阻尼器装置
CN106051037B (zh) * 2016-08-01 2018-11-06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机械式单向阻尼器
JP6394670B2 (ja) * 2016-10-06 2018-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DE102020108818B3 (de) * 2020-03-31 2021-03-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kupplungsdeckel aus Blech mit gefalteten Wälzlagersitzen, Getriebeanordnung und Herstellverfahren
DE102021106622B3 (de) 2021-03-18 2022-07-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DE102021106623B3 (de) 2021-03-18 2022-08-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vorrichtung mit einer axialen Verzahnung
DE102022108743A1 (de) 2022-04-11 2023-10-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anzrohteil für eine Primärscheibe eines Zweimassenschwungrads, Zweimassenschwungrad und Verfahr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0913A (en) * 1979-04-27 1985-06-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Device for selectively separating and connecting a rotatable shaft
JPH06257622A (ja) * 1993-01-30 1994-09-16 Luk Lamellen & Kupplungsbau Gmbh トルク伝達装置の組立法
JPH0960656A (ja) * 1995-08-24 1997-03-04 Exedy Corp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H11201182A (ja) * 1998-01-07 1999-07-27 Exedy Corp 多板クラッチ、多板クラッチの仮組み部材、及び多板クラッチのフライホイールへの組み付け方法
FR2791105A1 (fr) * 1999-03-16 2000-09-22 Luk Lamellen & Kupplungsbau Dispositif pour transmettre un coup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0953A1 (de) * 1983-11-10 1985-05-2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7580 Bühl Daempfungseinrichtung zum aufnehmen bzw. ausgleichen von drehstoessen
FR2613801B2 (fr) * 1986-06-19 1991-07-12 Valeo Volant amortisseur, notamment pou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couple
DE3916853C2 (de) * 1988-11-11 1997-10-02 Fichtel &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separater Lagerung der Kupplungsscheibe
DE3838307A1 (de) * 1988-11-11 1990-05-17 Fichtel & Sachs Ag Reibungskupplung
GB2278652B (en) * 1990-05-31 1995-02-22 Luk Lamellen & Kupplungsbau Divided flywheel
DE4235519C2 (de) * 1991-10-21 2002-03-21 Exedy Corp Schwungradausbildung
SE512438C2 (sv) * 1991-11-26 2000-03-20 Luk Lamellen & Kupplungsbau Friktionskoppling
US5634541A (en) 1992-03-05 1997-06-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Automatically adjustable friction clutch
DE4306505B4 (de) * 1992-03-10 2004-01-2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DE4317332B4 (de) * 1992-06-03 2005-01-2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ormontierte Drehmomentübertragungseinheit
DE4322677B4 (de) * 1992-07-11 2005-05-1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KR940702591A (ko) 1992-07-11 1994-08-20 게르하르트 로테르 클러치 유닛(clutch unit)
DE4420934B4 (de) * 1993-06-19 2004-11-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4428832C1 (de) * 1994-08-17 1995-09-07 Fichtel & Sachs Ag Zweimassenschwungrad mit Reibeinrichtung
DE4428829C2 (de) * 1994-08-17 1996-11-14 Fichtel & Sachs Ag Schwungradvorrichtung
FR2740188B1 (fr) * 1995-10-24 1997-11-28 Valeo Module d'embrayag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pour sa fixation
JPH1026146A (ja) * 1996-07-10 1998-01-27 Exedy Corp モジュラークラッチ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0913A (en) * 1979-04-27 1985-06-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Device for selectively separating and connecting a rotatable shaft
JPH06257622A (ja) * 1993-01-30 1994-09-16 Luk Lamellen & Kupplungsbau Gmbh トルク伝達装置の組立法
JPH0960656A (ja) * 1995-08-24 1997-03-04 Exedy Corp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H11201182A (ja) * 1998-01-07 1999-07-27 Exedy Corp 多板クラッチ、多板クラッチの仮組み部材、及び多板クラッチのフライホイールへの組み付け方法
FR2791105A1 (fr) * 1999-03-16 2000-09-22 Luk Lamellen & Kupplungsbau Dispositif pour transmettre un couple
GB2348264A (en) * 1999-03-16 2000-09-27 Luk Lamellen & Kupplungsbau Clutch to torsional vibration damper connection.
JP2000283176A (ja) * 1999-03-16 2000-10-13 Luk Lamellen & Kupplungsbau Gmbh トルクの伝達のための装置
CN1272434A (zh) * 1999-03-16 2000-11-08 卢克摩擦片和离合器有限公司 用于传递扭矩的装置
US6401897B1 (en) * 1999-03-16 2002-06-1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Device for transmitting torque
IT1317624B1 (it) * 1999-03-16 2003-07-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Dispositivo per la trasmissione di un momento torcente, in particolaredi un motore termico ad un cambio disposto a valle in un autoveicolo.
RU2245465C2 (ru) * 1999-03-16 2005-01-27 Лук Ламеллен Унд Купплюнгсбау Бетайлигунгс Кг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момента вращ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монтажа и/или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006108D0 (en) 2000-05-03
FR2791105A1 (fr) 2000-09-22
IT1317624B1 (it) 2003-07-15
CN1272434A (zh) 2000-11-08
BR0001329A (pt) 2000-10-17
GB2348264B (en) 2003-07-09
GB2348264A (en) 2000-09-27
RU2245465C2 (ru) 2005-01-27
DE10012499B4 (de) 2009-12-17
CN1263621C (zh) 2006-07-12
DE10012499A1 (de) 2000-09-21
KR20000062903A (ko) 2000-10-25
ITMI20000533A1 (it) 2001-09-15
FR2791105B1 (fr) 2006-09-29
JP2000283176A (ja) 2000-10-13
US6401897B1 (en) 200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297B1 (ko) 차량용 토크전달장치.
KR100345061B1 (ko) 토크전달장치
US6119839A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7686147B2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US6830139B2 (en) Multi-clutch arrangement
US6830140B2 (en) Clutch device connected centrally on the input side to a rotating shaft or rotating component in a motor vehicle drive train
US6299541B1 (en) Double torque flywheel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EP1653105B1 (en) A two-mass flywheel for a motor-vehicle
DE102010051436B4 (de)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EP1617096B1 (de) Übertragungsanordnung zur Momentübertragung zwischen Baueinheiten eines Kraftfahrzeug-Antriebsstrangs
US5788043A (en) Reaction plate for friction clutch,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GB2170295A (en) Flywheel unit
US5797297A (en) Damping flywheel, notably for motor vehicles
US5476166A (en) Flywheel and clutch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6186898B1 (en) Elastic coupling device between two substantially aligned shafts
US5634542A (en) Friction clutch with a flywheel
EP2141376B1 (en) Clutch driven plates
US6586852B2 (en) Drive system
US5695034A (en) Torsion damper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GB2337573A (en) Clutch disc with hub centring spring
KR100602306B1 (ko) 이중 질량 부재 감쇠 플라이휠
KR100326787B1 (ko) 차량용감쇠플라이휠
KR100321807B1 (ko) 모듈러클러치
CN114761703A (zh) 具有扭矩限制装置的扭振减震器
KR100602564B1 (ko) 이중 질량 부재 감쇠 플라이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