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794B1 - 회전 댐퍼 - Google Patents

회전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794B1
KR100649794B1 KR1020010007478A KR20010007478A KR100649794B1 KR 100649794 B1 KR100649794 B1 KR 100649794B1 KR 1020010007478 A KR1020010007478 A KR 1020010007478A KR 20010007478 A KR20010007478 A KR 20010007478A KR 100649794 B1 KR100649794 B1 KR 100649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ll
outer tube
rotary damper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650A (ko
Inventor
마치다가즈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856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497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1008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relatively-rotatable friction surfaces that are pressed together
    • F16F7/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relatively-rotatable friction surfaces that are pressed together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47Measuring, indic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Gasket Seal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회전 댐퍼는 일 단부가 튜브 벽에서 폐쇄된 관형 공간부(37)를 구비하는 외부 튜브(13)와, 일 단부가 튜브 벽에서 폐쇄된 관형 공간부(27)를 구비하며 외부 튜브보다 직경이 작은 내부 튜브(12)를 포함한다. 내부 튜브(12)의 외부 벽(21)은 외부 튜브(13)의 관형 공간부(37)내로 삽입되는 반면에, 외부 튜브(13)의 내부 벽(32)은 공간부(27)내로 삽입된다. 외부 튜브(13)의 외부 벽(31)과 내부 튜브(12)의 외부 벽(21) 사이 그리고 외부 튜브(13)의 내부 벽(32)과 내부 튜브(12)의 내부 벽(22) 사이의 각 간극의 개방측상의 단부 부분에 O-링이 설치되며, 내부 튜브(12)와 외부 튜브(13) 사이의 간극은 점성 물질로 충진된다.

Description

회전 댐퍼{ROTARY DAMP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댐퍼가 적용된 보조 손잡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댐퍼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회전 댐퍼의 내부 튜브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의 화살표(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b는 회전 댐퍼의 내부 튜브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의 화살표(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a는 회전 댐퍼의 외부 튜브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의 화살표(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b는 회전 댐퍼의 외부 튜브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의 화살표(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회전 댐퍼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회전 댐퍼의 부분 수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하는 다른 회전 댐퍼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회전 댐퍼 12 : 내부 튜브
13 : 외부 튜브 14 : 캡
15 : 제 1 O-링 16 : 제 2 O-링
21 : 내부 튜브의 외부 벽 22 : 내부 튜브의 내부 벽
27 : 내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 31 : 외부 튜브의 외부 벽
32 : 외부 튜브의 내부 벽 37 : 외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
39 : O-링 홈 41, 42, 43 : 간극
본 발명은 회전 지지 샤프트를 통해 각기 함께 상대적으로 피봇가능하게 조합된 한쌍의 회전 부재에 끼워맞춰진 회전 댐퍼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회전 댐퍼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 댐퍼(81)는 인서트 튜브(87)가 환형 캡(86)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로터(83)와, 일 단부가 관형 벽에 의해 차단된 관형 공간부(90)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82)를 구비한다. 로터(83)의 캡(86)에는 인서트 튜브(87)를 구비하는 일 측면에 대향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맞물림 돌기(89)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칼라(88)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O-링 홈(91)은 외부 벽(97)의 측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O-링 홈(92)은 본체 케이스(82)의 관형 공간부의 개방 단부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벽(97)은 관형 공간부(90)의 개방 단부 부분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더 연장되고, 외부 벽의 단부 부분은 캡(86)의 칼라(88)와 맞물리는 환형 튜브(93)를 형성한다.
제 1 O-링(84)은 제 1 O-링 홈(91)에 배치되는 반면에, 제 2 O-링(85)은 제 2 O-링 홈(92)에 배치된다. 로터(83)의 인서트 튜브(87)는 이들 O-링(84, 85) 사이의 간극을 거쳐서 관형 공간부(90)내로 삽입된다. 더욱이, 관형 공간부(90)는 실리콘 오일과 같은 점성 물질로 충진된다. 인서트 튜브(87)와 내부 벽(98)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O-링(85)으로 밀봉되는 제 1 간극(94)과, 인서트 튜브(87)와 외부 벽(97) 사이에 형성되고 제 1 O-링(84)으로 밀봉되는 제 2 간극(95)은 점성 물질로 충진된다.
본체 케이스(82)와 로터(83)가 함께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로터(83)는 칼라(88)와 맞물리는 환형 튜브(93)에 의해 미끄러짐이 정지된다. 제 1 O-링(84)은 제 1 O-링 홈(91)에 접촉 가압되어 수용되는 반면에, 제 2 O-링(85)은 제 2 O-링 홈(92)에 접촉 가압되어 수용된다. 캡(86)의 중앙 구멍과 본체 케이스(82)의 중앙 구멍은 함께 연결되어 일체식 인서트 구멍(96)을 형성하는 데 이용된다.
종래의 회전 댐퍼(81)에서 제 1 및 제 2 간극(94, 95)은 점성 물질로 충진되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82) 및 로터(83)가 상대적으로 피봇되는 경우에 점성 물질이 전단되기 때문에 저항력이 발생하여, 본체 케이스(82)와 로터(83)의 상대적인 피봇 작용이 감쇠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피봇가능한 방법으로 함께 조합된 한쌍의 부재중 하나에 본체 케이스(82)를 고정하고, 다른 부재에 로터(83)를 고정하며, 이들 회전 지지 샤프트를 인서트 구멍(96)에 삽입시킴으로써, 한쌍의 부재에 대한 감쇠력이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회전 댐퍼에 있어서, 피봇 작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점성 물질의 저항력은, 점성 물질의 특성이 동일한 경우에, 외부 및 내부 벽(97, 98)이 점성 물질과 접촉되는 면적에 따라 좌우된다. 그러나, 상술한 회전 댐퍼에 있어서, 상술한 접촉 표면이 각 제 1 및 제 2 간극(94, 95)에 주로 제공되기 때문에 감쇠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회전 댐퍼의 사이즈를 증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O-링(84, 85)이 축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O-링 홈(91, 92)을 확보하기 위해서 회전 댐퍼(81)의 외경을 증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O-링 홈(91, 92)은 인서트 튜브(87)가 관형 공간부(90)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각 대응하는 O-링 홈(91, 92)으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따라 O-링(84, 85)의 자세가 편향되게 된다. 이러한 위치 편향을 눈으로 거의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면서도 보다 큰 감쇠력을 나타낼 수 있고 또 모든 자동차에 쉽게 조립될 수 있는 회전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댐퍼는, 회전 지지 샤프트를 통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조합되는 한쌍의 회전 부재와 끼워맞춰지는 회전 댐퍼로서,
외부 튜브의 벽 내측에 관형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일 단부가 폐쇄되게 구성된 외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와 기본적으로 형상이 유사하지만 상기 외부 튜브보다 직경이 작은 내부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튜브의 외부 벽은 상기 외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내로 끼워맞춰지고,
상기 외부 튜브의 내부 벽은 상기 내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내로 끼워맞춰지고,
상기 외부 튜브의 외부 벽과 상기 내부 튜브의 외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단부 부분에 그리고 상기 외부 튜브의 내부 벽과 상기 내부 튜브의 내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단부 부분에 각기 O-링이 설치되며,
상기 O-링에 의해 밀봉된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 사이의 상기 간극은 점성 물질로 충진되고,
상기 내부 튜브의 중심 구멍은 상기 회전 지지 샤프트를 수납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며,
상기 각 회전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는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관형 공간부는 내부 및 외부 튜브에 각기 형성되며; 내부 튜브의 외부 벽은 외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내로 끼워맞춰지고; 외부 튜브의 내부 벽은 내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내로 끼워맞춰짐으로써, 제 1 간극은 내부 튜브의 내부 벽과 외부 튜브의 내부 벽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간극은 외부 튜브의 내부 벽과 내부 튜브의 외부 벽 사이에 형성되고; 제 3 간극은 내부 튜브의 외부 벽과 외부 튜브의 외부 벽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3층 간극이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 사이에 형성되고 직경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배향된다. 직경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배향되어 형성된 2층 간극을 가진 종래의 회전 댐퍼와 비교할 때, 종래의 기술의 회전 댐퍼와 본 발명의 회전 댐퍼의 사이즈가 동일할지라도 본 발명의 간극내에 충진된 점성 물질과 접촉되는 면적이 보다 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회전 댐퍼보다 큰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고 보다 박형인 회전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O-링은 외부 튜브의 외부 벽과 내부 튜브의 외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단부 부분에 그리고 외부 튜브의 내부 벽과 내부 튜브의 내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단부 부분에 각기 설치되며, 이에 의해 O-링은 축방향으로 서로 편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댐퍼의 직경은 종래의 회전 댐퍼보다 작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O-링은 동일한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댐퍼가 외부 튜브의 내부 벽과 내부 튜브의 내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O-링 홈과, O-링 홈을 폐쇄하기 위한 환형 캡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브가 외부 튜브내로 삽입된 후에 내부 튜브가 외부 튜브내로 삽입되는 경우 제 1 O-링이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 사이에 설치되며, 제 2 O-링은 대향 단부 부분으로부터 O-링 홈내로 삽입되어 O-링 홈을 캡으로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설치할 양 O-링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O-링이 위치가 편향되거나 위치를 벗어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회전 댐퍼에 있어서 외부 튜브가 회전 샤프트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게 되고, 내부 튜브의 중앙 구멍의 내주연부와 상기 중앙 구멍을 통해 통과되는 회전 지지 샤프트 사이에 활주 저항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댐퍼내에 충진된 점성 물질에 부가하여 활주 저항이 감쇠에 기여하기 때문에 보다 큰 감쇠력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댐퍼에 있어서 캡의 내주연부와 내부 튜브의 내부 벽의 외주연부 사이에 끼워맞춤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튜브의 내부 벽과 내부 튜브의 내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내주연부에 제공된 O-링 홈내로 제 2 O-링을 삽입함으로써 캡의 내주연부와 내부 튜브의 내부 벽의 외주연부 사이에 제공된 끼워맞춤 수단에 의해 캡이 내부 튜브내에 확실하게 끼워맞춰진다. 그 결과, 내부 튜브를 외부 튜브로부터 당기는 힘이 가해질지라도, 내부 튜브에 확실하게 끼워맞춰진 캡이 내부 튜브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회전 댐퍼의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회전 댐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댐퍼(11)는 내부 튜브(12), 외부 튜브(13), 캡(14), 제 1 O-링(15) 및 제 2 O-링(16)을 포함한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브(12)는 대체로 그 중심에 관통 구멍(23)을 구비하는 관형 본체의 형태이며, 관형 공간부(27)는 관형 본체의 벽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외부 벽(21) 및 내부 벽(22)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관형 공간부(27)의 일 단부는 외부 및 내부 벽(21, 22)이 일체로 형성된 폐쇄부(28)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상기 내부 튜브(12)의 관형 공간부(27)의 개방 단부측상에는 외부 벽(21)보다 길게 축방향으로 연장된 내부 벽(22)이 위치되어 있으며, 캡 홈(25)은 내부 벽(22)의 전방 단부 부분의 외주연부에 제공되어 있다. 더욱이, 내부 튜브(12)의 관형 공간부(27)와 연통되는 공기 배기 구멍(26)은 내부 튜브(12)의 외부 벽(21)의 외주연부에 제공되어 있다. 제 1 O-링(15)을 끼워맞추기 위한 환형 홈 또는 O-링 홈(29)은 폐쇄부(28)의 외주연부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형 맞물림 돌기(24)는 폐쇄부(28)의 에지 면상에 제공되어 있다.
도 2,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튜브(13)는 그 중심에 관통 구멍(33)을 구비하는 대체로 관형 본체의 형태이며, 관형 공간부(37)는 관형 본체의 벽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외부 및 내부 벽(31, 32)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체를 형성한다. 외부 튜브(13)의 관형 공간부(37)의 일 단부는 외부 및 내부 벽(31, 32)과 일체로 형성된 폐쇄부(38)에 의해 차단된다. 외부 튜브(13)의 관형 공간부(37)의 개방 단부측상에는 외부 튜브(13)의 내부 벽(32)보다 길게 축방향으로 연장된 외부 튜브(13)의 외부 벽(31)이 위치되어 있다. 관형 공간부(37)의 개방 단부측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36)은 외부 튜브(13)의 내부 벽(32)의 소정의 주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형 맞물림 돌기(34)는 외부 튜브(13)의 외부 벽(31)의 외주연부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한 캡 홈(35)은 폐쇄부(38)의 에지 면에 형성되며, 오목한 O-링 홈(39)은 캡 홈(35)의 내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형 홈(40)은 캡 홈(35)의 내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캡(14)은 환형 형태이며, 환형 홈(40)에 끼워맞춰질 칼라(30)는 캡(14)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 튜브(12), 외부 튜브(13) 및 캡(14)의 재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충진될 점성 물질에 대한 내성을 갖고 쉽게 성형될 수 있는 것이 좋지만, 예를 들면 점성 물질로서 실리콘 오일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내유성의 열가소성수지인 폴리아세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댐퍼(11)를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제 1 O-링(15)이 내부 튜브(12)의 폐쇄부(28)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환형 홈(29)에 고정식으로 끼워맞춰진다. 다음에, 외부 튜브(13)의 관형 공간부(37)에 점성 물질을 충진한다.
회전 댐퍼(11)가 이용되는 상황에 적합한 점성을 가진 모든 물질이 점성 물질로서 선택될 수 있지만, 온도에 따른 점성의 변화가 작은 실리콘 오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성 물질이 충진된 후에, 내부 튜브(12)가 외부 튜브(13)내로 삽입됨으로써, 내부 튜브(12)의 외부 벽(21)이 외부 튜브(13)의 관형 공간부(37)내에 배치될 수 있고, 또 외부 튜브(13)의 내부 벽(32)이 관형 공간부(27)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외부 튜브(13)의 관형 공간부(37)의 폐쇄된 단부측으로부터 개방 단부측으로 상승되는 점성 물질의 액체 레벨에 의해 밀려진 공기는 내부 튜브(12)의 외부 벽(21)과 외부 튜브(13)의 외부 벽(31) 사이에 형성된 제 3 간극(43)내로 그리고 내부 튜브(12)의 외부 벽(21)과 외부 튜브(13)의 내부 벽(32) 사이에 형성된 제 2 간극(42)내로 유동하지만, 제 2 간극(42)내로 유동하는 공기는 외부 튜브(13)의 관형 공간부(37)의 폐쇄된 단부를 거쳐서 제 1 간극(4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제 3 간극내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간극(41)을 통해 외부 튜브(13)의 관형 공간부(37)의 폐쇄된 단부를 거쳐서 공기 배기 구멍(26)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내부 튜브(12)가 외부 튜브(13)내로 삽입된 후에, 제 2 O-링(16)은 내부 튜브(12)의 내부 벽(22)의 전방 단부 부분의 외주연부상에 장착되고, 외부 튜브(13)의 O-링 홈(39)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강제된다. 이 때에, 내부 튜브(12)의 내부 벽(22)의 전방 단부 부분은 캡(14)의 중앙 구멍내로 삽입된다.
내부 튜브(12)가 외부 튜브(13)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내부 튜브(12)의 환형 공간부(29)내에 고정식으로 끼워맞춰진 제 1 O-링(15)은 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내부 튜브(12)가 외부 튜브(13)내로 삽입된 후에 제 2 O-링(16)이 내부 튜브(12)의 전방 에지 면측으로부터 장착되어 O-링(15, 16)이 쉽게 장착될 수 있게 보장하고, 그에 따라 조립 작업성이 개선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방법으로 구성된 회전 댐퍼(11)는,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부 튜브(12)의 내부 벽(22)과 외부 튜브(13)의 내부 벽(32) 사이의 제 1 간극(41)과, 내부 튜브(12)의 외부 벽(21)과 외부 튜브(13)의 내부 벽(32) 사이의 제 2 간극(42)과, 내부 튜브(12)의 외부 벽(21)과 외부 튜브(13)의 외부 벽(31) 사이의 제 3 간극(43)으로 이뤄진 3중 간극 구조를 갖게 된다.
더욱이, 제 1 간극(41)의 개방 단부는 제 2 O-링(16)에 의해 폐쇄되며; 제 3 간극(43)의 개방 단부는 제 1 O-링(15)에 의해 폐쇄되며; 제 1, 제 2 및 제 3 간극(41, 42, 43)을 포함하는 일련의 연속적인 간극은 점성 물질로 충진된다. 이상적으로 제 1 및 제 2 간극(41, 42)은 내부 튜브(12)의 관형 공간부(27)의 폐쇄된 단부측상에서 서로 연통되고, 더욱이 제 2 및 제 3 간극(42, 43)은 외부 튜브(13)의 관형 공간부(37)의 폐쇄된 단부측상에서 서로 연통되고, 또 공기 배기 구멍(26)에 의해서 연통되어서, 점성 물질의 유동 채널이 확보되며, 이에 의해 상기 각 간극의 모든 코너가 점성 물질로 충진되게 된다.
이제 회전 댐퍼(11)를 이용하는 보조 손잡이(54)를 설명한다.
보조 손잡이(54)는, 자동차 내측의 도어의 상부 부분의 천정에 근접한 측면 패널과 접촉하게 되는 격납 위치와, 패널에 대해 상승된 사용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자동차가 커브를 돌 때,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승차자는 자신의 앉은 자세를 유지하도록 보조 손잡이(54)를 이용하기 위해 보조 손잡이(54)를 사용 위치까지 상승시켜 파지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손잡이(54)는 대체로 원호형의 파지 부분(73)과, 지지 부재(51a, 51b)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51a, 51b) 각각의 일 단부는 파지 부분(73)의 양 단부에 제공된 리셉터클(72)에 결합되며, 다른 단부는 측면 패널에 결합되어 있다.
리셉터클(72)은 각 지지 부재(51a, 51b)의 일 단부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고,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70)은 각각의 오목한 부분을 둘러싸는 하나의 측면 벽에 형성된다. 더욱이, 지지 샤프트 수납 구멍(69)은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70)에 대향된 측면 벽의 각각 내측에 형성되며, 지지 샤프트(53a, 53b)의 각각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널링 부분(68)은 상기 지지 샤프트 수납 구멍(69)내로 강제된다.
회전 댐퍼(11)의 외부 튜브(13)상에 형성된 맞물림 돌기(34)와 맞물리는 맞물림 슬릿(71)은 하나의 리셉터클(72)의 기부에 제공된다. 또한, 다른 리셉터클(72)의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70) 및 지지 샤프트 수납 구멍(69)내로 삽입되는 지지 샤프트(53b)에 평행한 벽 부분에는 스프링 지지 홈(74)이 제공되어 있다.
지지 부재(51a, 51b) 각각은, 리셉터클(72)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본체(60)와, 상기 본체(60)로부터 돌출되고 자동차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끼워맞춤 구멍내로 삽입된 고정부(61)와, 상기 본체(60)로부터 돌출되고 파지 부분(73)의 단부 부분을 피봇식으로 지지하기 위해 이용된 한쌍의 지지 세그먼트(65)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51a, 51b) 각각의 고정부는, 본체(60)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 부분(62)과, 상기 샤프트 부분(62)의 전방 단부 부분의 양 각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현수되고 내측으로 굽혀질 수 있는 한쌍의 제 1 갈고리부(63a)와, 상기 제 1 갈고리부(63a)에 대해서 90° 이동된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으로 굽혀질 수 있는 한쌍의 제 2 갈고리부(63b)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51a, 51b) 각각의 지지 세그먼트(65) 쌍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66)이 이들 지지 세그먼트(65)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회전 댐퍼(11)가 배치되는 지지 부재(51a)에 있어서, 회전 댐퍼(11)의 내부 튜브(12)의 맞물림 돌기(24)와 맞물리는 맞물림 슬릿(67)이 지지 세그먼트(65)의 하나의 내부 면에 제공된다.
회전 댐퍼(11)는 파지 부분(73)의 하나의 리셉터클(72)에 수용되는 지지 부재(51a)에 끼워맞춰진다. 이 때에, 회전 댐퍼(11)는 지지 부재(51a)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지지 세그먼트(65)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 튜브(12)의 맞물림 돌기(24)는 하나의 지지 세그먼트(65)의 내부 면에 형성된 맞물림 슬릿(67)에 끼워맞춰져서, 회전 댐퍼(11)의 회전은 지지 부재(51a)에 대해서 정지된다. 또한, 외부 튜브(13)의 맞물림 돌기(34)가 맞물림 슬릿(71)에 끼워맞춰져서, 회전 댐퍼(11)의 회전이 파지 부분(73)에 대해서 정지된다.
지지 샤프트(53a)는 리셉터클(72)의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70), 하나의 지지 세그먼트(65)의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66), 회전 댐퍼(11)의 관통 구멍(23) 및 다른 지지 세그먼트(65)의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66)내로 삽입된다. 다음에, 지지 샤프트(53a)의 전방 단부에서 널링 부분(68)은 리셉터클(72)의 지지 샤프트 수납 구멍(69)내로 강제되며, 이에 의해 파지 부분(73)은 지지 샤프트(53a)를 거쳐서 지지 부재(51a)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다른 리셉터클(72)에 수용된 지지 부재(51b)에서, 지지 샤프트(53b)는 리셉터클(72)의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70), 하나의 지지 세그먼트(65)의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66), 토션 코일 스프링(52)의 중심 및 다른 지지 세그먼트(65)의 지지 샤프트 삽입 구멍(66)내로 삽입된다. 다음에, 지지 샤프트(53b)의 전방 단부에서 널링 부분(68)은 리셉터클(72)의 지지 샤프트 수납 구멍(69)내로 강제되며, 이에 의해 파지 부분(73)은 지지 샤프트(53b)를 거쳐서 지지 부재(51b)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토션 코일 스프링(52)의 일 단부는 키의 형태로 굽혀지며, 고정 단부(75)는 코일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고정 단부(75)는 리셉터클(72)의 지지 샤프트(53b)에 평행한 벽 부분에 제공된 스프링 수납 홈(74)에 고정식으로 끼워맞춰진다. 한편, 토션 코일 스프링(52)의 다른 단부는 스프링이 지지 부재(51b)의 지지 세그먼트(65) 사이의 본체(60)의 벽 표면에 접촉하도록 강제되어 배치된다. 또한, 토션 코일 스프링(52)은 파지 부분(73)이 끼워맞춰질 패널쪽으로 피봇되게 하는 방법으로 파지 부분(73)을 항상 가압한다.
도 1에서 토션 코일 스프링(52)이 끼워맞춰진 지지 부재(51b)에는 맞물림 슬릿(67)을 제공할 필요가 없겠지만, 공동 부품이 회전 댐퍼(11)가 끼워맞춰지는 지지 부재(51a, 51b) 사이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여전히 맞물림 슬릿(67)이 제공된다.
지지 부재(51a, 51b)가 끼워맞춰진 파지 부분(73)은, 지지 부재(51a, 51b)의 고정부(61)를 자동차 내측의 측면 패널에 제공된 각 끼워맞춤 구멍내로 삽입함으로써, 측면 패널에 끼워맞춰진다. 고정부(61)가 각 끼워맞춤 구멍내로 삽입될 때, 제 1 및 제 2 갈고리부(63a, 63b)는 끼워맞춤 구멍의 내주연부에 의해 굽혀져 삽입된다. 삽입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갈고리부(63b)는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고, 고정되기 전에 끼워맞춤 구멍의 내주연부의 배면 표면과 맞물린다.
이제 보조 손잡이(54)와 이에 적용된 회전 댐퍼(11)의 기능을 설명한다.
보조 손잡이(54)는 파지 부분(73)이 자동차 내측의 측면 패널과 접촉되게 하는 방법으로 토션 코일 스프링(52)의 작용에 의해 항상 가압된다. 자동차 본체가 덜컹 흔들리는 경우에, 승차자는 토션 코일 스프링(52)에 저항해서 파지 부분(73)을 상승시켜 파지함으로써 파지 부분을 그 자신의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데 이용한다.
보조 손잡이(54)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 파지 부분(73)은 해제되어, 토션 코일 스프링(53)의 가압력에 의해 피봇되고 측면 패널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파지 부분(73)이 자동차내로 돌출하여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에 파지 부분(73)은 해제될 때 회전 댐퍼(11)의 작용에 의해 천천히 피봇되면서 측면 패널과 접촉하기 때문에 충돌음 등의 발생이 방지되기도 한다.
즉, 회전 댐퍼(11)의 외부 튜브(13)의 맞물림 돌기(34)는 리셉터클(72)에 형성된 맞물림 슬릿(71)에 끼워맞춰지고, 외부 튜브(13)의 회전은 파지 부분(73)에 대해서 정지된다. 회전 댐퍼(11)의 내부 튜브(12)의 맞물림 돌기(24)는 지지 부재(51a)의 맞물림 슬릿(67)에 끼워맞춰지고, 내부 튜브(12)의 회전은 지지 부재(51a)에 대해서 정지된다. 따라서, 회전 댐퍼(11)의 외부 튜브(13) 및 내부 튜브(12)는 파지 부분(73)이 지지 부재(51a)에 대해서 피봇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외부 튜브(13) 및 내부 튜브(12)가 상대적으로 피봇되는 경우에, 축으로부터 외부 반경방향쪽으로 형성된 제 1, 제 2 및 제 3 간극(41, 42, 43)에 충진된 점성 물질에는 외부 튜브(13)와 내부 튜브(12) 사이의 접촉 표면에 의해 전단력이 가해지며, 회전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댐퍼 작용이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3층 접촉 표면이 축으로부터 상술한 외부 반경방향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넓은 면적이 점성 물질과 접촉하게 되어, 회전 댐퍼(11)의 형상이 박형일지라도 강한 댐퍼 작용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 층과 같은 활주 저항 수단이 회전 댐퍼(11)의 관통 구멍(23)의 내주연부와 회전 지지 샤프트(53a)의 외주연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점성 물질에 의한 회전 저항에 부가하여 활주 저항이 감쇠에 기여하기 때문에, 보다 큰 감쇠력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댐퍼를 사용하는 것은 보조 손잡이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중앙 콘솔과 같은 피봇 운동의 감쇠가 필요한 다양한 회전 부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하는 다른 회전 댐퍼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 댐퍼(11a)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그 구조가 기본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캡(14)의 끼워맞춤 구조가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 환형 돌기(45)는 캡(14)의 내주연부상에 형성되며, 환형 홈(46)은 또한 내부 튜브(12)의 내부 벽의 전방 단부 부분의 외주연부에 형성된다. 환형 돌기(45) 및 환형 홈(46)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캡(14)의 외주연부의 전방 삽입 방향에 위치된 코너 부분(47)은 R자 형태로 모따기되어 있다.
제 2 O-링(16)이 O-링 홈(39)내로 삽입된 후에 캡(14)이 캡 홈(35)내로 삽입된 경우에, 캡(14)의 환형 돌기(45)는 내부 튜브(12)의 내부 벽(22)의 환형 홈(46)에 끼워맞춰지고, 캡(14)은 내부 튜브(12)에 고정된다. 그 결과, 내부 튜브(12)를 외부 튜브(13)로부터 당기고자 시도할지라도 캡(14)이 외부 튜브(13)와 맞물리기 때문에, 내부 튜브(12)가 외부 튜브(13)와 확실하게 조립되는 것이 확보된다.
캡(14)의 외주연부의 모따기된 코너 부분(47)에 의해, 캡(14)이 캡 홈(35)내로 삽입될 때 캡(14)은 용이하게 삽입가능하다. 이 경우에, 코너 부분(47)은 R자 형태로 모따기될 뿐만 아니라 테이퍼져 있다.
그러나, 환형 홈이 캡(14)의 내주연부에 제공되고, 환형 돌기가 내부 튜브(12)의 내부 벽(22)의 전방 단부 부분의 외주연부상에 제공되며, 이에 의해 돌기가 홈내에 끼워맞춰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관형 공간부가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 튜브의 외부 벽은 외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내로 끼워맞춰지고; 외부 튜브의 내부 벽은 내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내로 끼워맞춰진다. 그 결과, 3층 간극이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 사이에 형성되고, 직경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간극에 충진된 점성 물질과 접촉되는 면적이 보다 크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에 의해 박형이고 큰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 댐퍼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외부 튜브의 외부 벽과 내부 튜브의 외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단부 부분에 그리고 외부 튜브의 내부 벽과 내부 튜브의 내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단부 부분에 각기 O-링이 설치되며, 이에 의해 O-링은 축방향으로 서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 댐퍼의 직경이 보다 작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회전 지지 샤프트를 통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조합된 한쌍의 회전 부재에 끼워맞춰지는 회전 댐퍼에 있어서,
    튜브의 벽내에 관형 공간부를 가져, 외부 벽과 내부 벽의 이중 튜브 구조를 이루며, 상기 관형 공간부의 일 단부가 폐쇄되게 구성된 외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와 기본적으로 형상이 유사하지만 상기 외부 튜브보다 직경이 작은 내부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튜브의 외부 벽이 상기 외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내로 끼워맞춰지고,
    상기 외부 튜브의 내부 벽이 상기 내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내로 끼워맞춰지며,
    상기 외부 튜브의 외부 벽과 상기 내부 튜브의 외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단부 부분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된 제 1 O-링과, 상기 외부 튜브의 내부 벽과 상기 내부 튜브의 내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상의 단부 부분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의 관형 공간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된 제 2 O-링이 설치되며,
    이들 O-링에 의해 밀봉된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 사이의 간극에 점성 물질이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튜브의 중심 구멍은 상기 회전 지지 샤프트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상에는 각각 회전 부재에 대한 맞물림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 댐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O-링은 상기 내부 튜브의 외부 벽에 형성된 O-링 홈에 끼워맞춰지고, 상기 제 2 O-링은 상기 외부 튜브의 내부 벽에 형성된 O-링 홈에 끼워맞춰지는
    회전 댐퍼.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의 내부 벽과 상기 내부 튜브의 내부 벽 사이의 간극의 개방측 단부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O-링 홈과, 이 O-링 홈을 폐쇄하는 환형 캡을 갖는
    회전 댐퍼.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가 상기 회전 지지 샤프트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고, 상기 내부 튜브의 중앙 구멍의 내주연부와 상기 중앙 구멍을 통해 통과되는 회전 지지 샤프트 사이에 활주 저항 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회전 댐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가 상기 회전 지지 샤프트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고, 상기 내부 튜브의 중앙 구멍의 내주연부와 상기 중앙 구멍을 통해 통과되는 회전 지지 샤프트 사이에 활주 저항 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회전 댐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주연부와 상기 내부 튜브의 내부 벽의 외주연부 사이에 끼워맞춤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 댐퍼.
KR1020010007478A 2000-02-18 2001-02-15 회전 댐퍼 KR100649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0504 2000-02-18
JP2000-040504 2000-02-18
JP2000-389701 2000-12-22
JP2000389701A JP3781624B2 (ja) 2000-02-18 2000-12-22 回転ダン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650A KR20010082650A (ko) 2001-08-30
KR100649794B1 true KR100649794B1 (ko) 2006-11-24

Family

ID=2658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478A KR100649794B1 (ko) 2000-02-18 2001-02-15 회전 댐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61323B2 (ko)
EP (1) EP1125790B1 (ko)
JP (1) JP3781624B2 (ko)
KR (1) KR100649794B1 (ko)
AT (1) ATE294078T1 (ko)
DE (1) DE6011028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2620B2 (ja) * 1999-08-05 2010-12-22 株式会社ニフコ オイル式筒形回転ダンパ
JP2002052970A (ja) * 2000-08-10 2002-02-19 Nifco Inc 回転体の制動構造、及びその回転体の制動構造を備えたアシストグリップ
JP4524771B2 (ja) 2001-01-26 2010-08-18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CN1240952C (zh) * 2002-01-23 2006-02-08 株式会社三协精机制作所 使用粘性流体的阻尼器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3247583A (ja) * 2002-02-21 2003-09-05 Nifco Inc 回転ダンパ
KR100490368B1 (ko) * 2002-09-11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보조핸들
KR100463163B1 (ko) * 2002-12-02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댐퍼장치
JP3966842B2 (ja) * 2003-08-25 2007-08-2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制動装置
US7103939B2 (en) * 2003-11-03 2006-09-12 Illinois Tool Works Inc Pin-less damper assembly for an assist grip handle
JP4391397B2 (ja) * 2004-07-14 2009-12-24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4553121B2 (ja) * 2004-11-30 2010-09-29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4510608B2 (ja) * 2004-12-16 2010-07-28 株式会社中西エンジニアリング 扉の制動装置
JP4638218B2 (ja) * 2004-12-22 2011-02-2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アシストグリップ固定装置
US7753181B2 (en) * 2005-01-31 2010-07-13 Illinois Tool Works Inc. Damper having silicone impregnated and silicone containing components
DE202005011297U1 (de) * 2005-07-18 2005-11-03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Fahrzeug-Haltegriff
DE202007014728U1 (de) * 2007-10-19 2009-02-26 Ramsauer, Dieter Griff, Öse oder Kleiderhaken mit Befestigungsplatte und Drehlager
BRPI0722216A2 (pt) * 2007-12-31 2014-05-20 Antonino Cultraro Amortecedor rotativo tendo as características de frenagem melhoradas.
US8769770B2 (en) * 2008-09-15 2014-07-08 Sca Hygiene Products Ab Hinge arrangement
WO2010141192A1 (en) * 2009-06-03 2010-12-09 Illinois Tool Works Inc. Hinge damper assembly
US7798297B1 (en) * 2009-06-30 2010-09-21 Nokia Corporation Handheld apparatus and motion dampener for the same
US20110031067A1 (en) * 2009-08-04 2011-02-10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Turbocharger Lubrication Feed Adapter
US8459137B1 (en) 2010-04-07 2013-06-11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Control assembly for drive system
US9027436B2 (en) * 2010-06-22 2015-05-12 Cts Corporation Rotor/shaft pin coupling assembly for pedal assembly
JP5743557B2 (ja) * 2011-01-11 2015-07-01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JP5922446B2 (ja) * 2012-03-08 2016-05-24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
CN105564284B (zh) * 2016-01-05 2018-03-2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顶棚扶手
WO2017159354A1 (ja) * 2016-03-17 2017-09-21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アシストグリップ
DE102017104250B3 (de) 2017-03-01 2018-05-30 Lisa Dräxlmaier GmbH Rotationsdämpfer mit konstantem Reibungskoeffizient
US20190077211A1 (en) * 2017-09-14 2019-03-14 Illinois Tool Works Inc. Variable motion-controlling damper assembly
JP7386509B2 (ja) * 2019-08-30 2023-11-27 株式会社Tjmデザイン 巻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640A (ko) * 1991-06-17 1993-01-16 정용문 프로세서 테스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999B2 (ja) 1986-08-05 1995-05-15 株式会社ニフコ オイル式ダンパ−
SE509769C2 (sv) * 1993-09-03 1999-03-08 Itw Ateco Gmbh Rotationsdämpare
JP3421484B2 (ja) * 1995-09-01 2003-06-30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2844531B2 (ja) * 1997-01-24 1999-01-06 光洋ファスナー株式会社 回転制御ダンパー
JP4249808B2 (ja) 1997-04-21 2009-04-08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ダンパ及びそれを用いたリクライニング部材
JPH11190377A (ja) * 1997-12-25 1999-07-13 Watanabe Seisakusho:Kk 回転ダンパ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640A (ko) * 1991-06-17 1993-01-16 정용문 프로세서 테스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5790A2 (en) 2001-08-22
JP2001304320A (ja) 2001-10-31
DE60110284D1 (de) 2005-06-02
US20010017247A1 (en) 2001-08-30
EP1125790B1 (en) 2005-04-27
EP1125790A3 (en) 2001-10-04
KR20010082650A (ko) 2001-08-30
DE60110284T2 (de) 2005-09-29
US6561323B2 (en) 2003-05-13
ATE294078T1 (de) 2005-05-15
JP3781624B2 (ja)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794B1 (ko) 회전 댐퍼
EP1202873B1 (en) Oil cylindrical rotational damper
JP4772836B2 (ja) 回転式ダンパー
GB2281605A (en) Rotary damper
JP2002221247A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US7575390B2 (en) Coupling device for a damper
ITTO20060179A1 (it) Dispositivo per la frenatura del movimento di un organo mobile rispetto ad una struttura di supporto
JP3053583B2 (ja) 二連式回転ダンパ
JPH102366A (ja) 回転ダンパ
JP2873608B2 (ja) 開閉装置
JP4473419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H08270703A (ja) 回転ダンパー
JP2002021902A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4230436B2 (ja) ダンパ付きヒンジ装置
JP4418581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3979966B2 (ja) ドアヒンジユニット
JP3750818B2 (ja) 回動抵抗付与ダンパ
JP4481387B2 (ja) 空調ユニット用ダンパの軸受け構造
JPH0510837U (ja) 回転ダンパ−装置
JP4152236B2 (ja) ダンパー装置
JP4523737B2 (ja) ダンパ装置
JP3658253B2 (ja) 回転ダンパ
KR100321380B1 (ko) 댐퍼장치
JP3113963U (ja) 開閉体のヒンジ
JPH09144795A (ja) 回転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