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809B1 -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및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및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809B1
KR100639809B1 KR1020047006779A KR20047006779A KR100639809B1 KR 100639809 B1 KR100639809 B1 KR 100639809B1 KR 1020047006779 A KR1020047006779 A KR 1020047006779A KR 20047006779 A KR20047006779 A KR 20047006779A KR 100639809 B1 KR100639809 B1 KR 100639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ime mover
operation member
grip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134A (ko
Inventor
구마자와고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2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manually-operated pilot valves, e.g. joy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6Arrangements of handles or ped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9/04785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 G05G9/04788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comprising additional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switches or sensors on the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201Control moves in two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조작레버를 조이스틱 레버로서 구성하고, 그 선단부에 조작레버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그립을 설치한다. 그립의 선단부에 엔진회전수 조정용 회전 조작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립을 잡고 조작레버를 회전 조작하면서 손끝으로 회전 조작부재를 회전 조작하여 엑츄에이터의 구동과 동시에 엔진회전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및 건설기계{OPERATION LEVER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AND CONSTRUCTION MACHINERY}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출원2001-339287호(2001년 11월 5일 출원)를 기초로 하고, 그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편입된다.
본 발명은, 조작레버의 선단에 설치되는 그립에, 원동기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구비한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와, 그 조작레버장치를 가지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엔진 회전수 조작부재를 구비한 조작레버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275282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회전 불가능한 선회레버의 그립 본체에,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그립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그립 본체를 잡고 선회조작을 행할 때에, 잘못하여 조작부재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부재를 조작하고 있을 때에 잘못하여 조작레버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크레인 작업기는, 부움 기복 드럼, 메인 호이스트 드럼 및 보조 호이스트 드럼 등을 탑재하고 있어, 조작자는 조작레버를 복합 조작하여 복수의 드럼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호이스트 드럼을 구동시키면서 부움 기 복 드럼을 구동시키거나, 메인 호이스트 드럼을 구동시키면서 보조 호이스트 드럼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복수의 드럼의 구동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임의로 엔진 회전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조작레버에서는 선회 레버의 그립 본체에 조작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드럼의 구동을 지령하면서 엔진 회전수를 조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조작부재를 잘못하여 조작한 경우에는, 엔진회전수가 원하지 않게 변동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지령하면서 원동기 회전수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및 그 조작레버장치를 가지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조정한 원동기 회전수가 원하지 않게 변동하지 않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및 그 조작레버장치를 가지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는, 복수의 구동체에 대하여 구동지령하는 조이스틱 레버와, 조이스틱 레버의 선단부에, 조이스틱 레버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그립 본체와, 그립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원동기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재를 가진다.
조작부재를 가지는 조작레버장치는, 건설기계 운전실의 좌우 어느 한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구동체는, 건설기계의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체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장치를 포함하고, 조작부재를 가지는 조작레버장치는, 선회장치의 구동을 지령하는 조작레버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재를 가지는 조작레버장치를, 건설기계의 운전실의 좌우 양측에 배치하여도 좋다. 복수의 구동체는, 건설기계의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체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장치를 포함하고, 운전실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조작레버장치의 한쪽은, 선회장치의 구동을 지령하는 조작레버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재는, 그립 본체의 정점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 본체의 하부에, 플랜지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조작부재는 그립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 본체는, 약 원통형상이고, 조작부재는 대략 원통의 덮개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조작부재는, 소정의 조작량으로 그 회전을 제한받고, 소정의 조작량은, 소정의 최대 원동기 회전수에 대응하도록 하여도 좋다. 조작부재의 조작량을 검출하여 원동기 회전수를 조정하는 제어장치에 검출한 조작량을 출력하는 조작량 검출기를 더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재를 가지는 조작레버장치는, 선회체의 선회를 저지하는 선회 제동장치의 작동을 지령하는 선회 제동스위치를 더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조작부재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신호를 유효와 무효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를 더 가지고, 전환 스위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운전실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조작레버장치 중, 어느 하나의 조작레버장치에 설치된 조작부재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신호를 효율적으로 하여도 좋다.
조작부재의 회전조작에 따른 원동기 회전수 지령신호에 대한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의 특성을 변경하는 변경장치를 더 가지고, 변경장치는 운전실의 좌측에 배치된 조작부재를 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원동기 회전수가 증가하고, 운전실의 우측에 배치된 조작부재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원동기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원동기 회전수제어시스템은,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와, 엑셀러레이터 페달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와, 연료레버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를 비교하여, 그들의 최대치를 선택하여 그 최대치에 따른 원동기 회전수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는, 구동체에 대하여 구동 지령하는 레버와, 레버의 선단부에 레버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그립 본체와, 그립 본체의 상부에 설정되고, 원동기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조작부재에 의하여 설치된 원동기 회전수에 고정하는 록부재를 가진다.
조작부재와 록부재는 다이얼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다이얼을 회전 조작하여 원동기 회전수를 설정하고, 다이얼을 눌러 그 원동기 회전수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는, 복수의 구동체에 대하여 구동 지령하는 조이스틱 레버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원동기 회전수제어시스템은, 상기한 어느 하나의 조작레버장치와, 건설기계에 설치되는 원동기와, 조작레버장치에 설치되는 조작부재에 의해 설정되는 원동기 회전수 지령신호에 따라 설정된 회전수가 되도록 원동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조작레버장치와, 조작레버장치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체와, 원동기와, 조작부재의 조작량에 따라 원동기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제어장치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레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레버의 설치부의 단면도,
도 3은 조작레버의 배치를 나타내는 운전실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엑츄에이터의 유압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레버의 하부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레버의 상부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I-I 단면도,
도 6(c)는 도 6(b)의 Ⅱ-Ⅱ 단면도,
도 7은 엔진 회전수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크레인의 전체 구성도,
도 9는 엔진 회전수제어의 개념도,
도 10은 엔진 회전수제어의 개념도,
도 11은 회전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한 엔진 회전 지령의 전환제어의 개념도,
도 12는 엔진 회전수제어와 경전량(傾轉量) 제어의 개념도,
도 13(a)는 조작레버를 위에서 본 도,
도 13(b)는 조작레버의 상부 측면도,
도 14는 조작레버의 상부 측면도,
도 15는 조작레버의 상부 측면도,
도 16은 조작레버의 상부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엑츄에이터의 유압회로도,
도 18은 조작레버의 상부 측면도,
도 19는 엔진 회전수 고정 제어의 개념도,
도 20(a)는 조작레버를 위에서 본 도,
도 20(b)는 조작레버의 상부 측면도,
도 21은 조작레버의 상부 측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레버(10)가 적용되는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레인은 주행체(61)와, 주행체(61)상에 선회장치(62)를 거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선회체(63)와, 선회체(63)에 기복 가능하게 지지된 부움(64)을 가진다. 선회체(63)에는 기복 드럼(65), 메인 호이스트 드럼 (66) 및 보조 호이스트 드럼(67)이 탑재되어 있다. 메인 호이스트 드럼(66)의 구동에 의해 메인 호이스트 로프(66a)가 감김 또는 풀어내어져 메인 후크(68)가 승강한다. 보조 호이스트 드럼(67)의 구동에 의해, 보조 호이스트 로프(67a)가 감김 또는 풀어 내여져 보조 후크(69)가 승강한다. 또, 기복 드럼(65)의 구동에 의해 기복로프 (65a)가 감김 또는 풀어 내여져 부움(64)이 기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레버(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조작레버(10)의 설치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10)는, 유니버설 조인트(1)를 통하여 고정부재(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이스틱 레버이다. 조이스틱 레버(10)의 선단에는 그립(11)이 설치되어 있고, 조작자는 그립(11)을 잡고 레버(10)를 회동 조작한다. 그립(11)의 정점부에는 그립(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 조작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조작부재 (30)는 엔진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회전 조작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재(30)의 정점부에는 화살표를 그려 회전 조작부재(30)의 조작방향을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레버(10)의 아래쪽에는 파일럿밸브(4a, 4b)(도 4 참조)에 스프링을 거쳐 지지된 스풀(3a 내지 3d)이 레버(10)의 하단면에 접하여 도시한 전후 좌우에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레버(10)를 회동 조작하면 레버(10)의 회동방향 및 조작량에 따라 스풀 (3a 내지 3d)이 밀어 내려지고, 밀어 내려진 스풀(3a 내지 3d)에 대응하는 파일럿밸브(4a, 4b)의 감압도가 제어된다. 레버(10)의 회동조작과 파일럿밸브(4a, 4b)의 구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조작레버(10)의 배치를 나타내는 운전실의 평면도이다. 조이스틱 레버(10)는 운전석(5)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그 선단의 그립(11)은 도 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잡고 조작하기 쉽게 운전석(5)을 향하여 비스듬하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조작레버의 구성은 동일하고, 양쪽의 조작레버(10)에 각각 회전 조작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좌측의 조작레버를 부호 10L로, 우측의 조작레버를 부호 10R로 각각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레버(10L)를 전후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후술하는 유압회로에 의해 보조 호이스트 드럼(67)이 감아 올림 또는 감아 내려진다. 레버(10L)를 좌우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후술하는 유압회로에 의해 선회장치(62)가 구동하여 선회체(63)가 좌선회 또는 우선회된다. 또 레버(10L)를 예를 들면 우전방 45도, 즉 도 3의 B 방향으로 조작하면 보조 호이스트 드럼(67)이 감아 내려짐과 동시에 선회체(63)가 우선회된다. 한편, 우측 레버(10R)를 전후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메인 호이스트 드럼(66)이 감아 올림 또는 감아 내려지고, 좌우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기복 드럼(65)이 감아 올림 또는 감아 내려진다. 또 레버(10R)를 예를 들면 좌전방 45도, 즉 도 3의 A 방향으로 조작하면 메인 호이스트 드럼(66)이 감아 내려짐과 동시에 기복 드럼(65)이 감아 올려진다.
도 4는 좌측 레버(10L)의 회동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보조 호이스트 드럼(67) 및 선회장치(62) 구동용 유압회로도이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나, 우측 레버(10R)의 회동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기복 드럼(65) 및 메인 호이스트 드럼(66) 구동용 유압회로도, 도 4의 유압회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 조 호이스트 드럼(67) 및 선회장치(62) 구동용 유압회로는, 보조 호이스트 드럼(67) 및 선회장치(62)를 각각 구동하는 유압모터(45, 46)와, 유압모터(45, 46)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44)와, 유압펌프(44)로부터 유압모터(45, 46)에 공급되는 압유의 방향을 각각 제어하는 방향 제어밸브(42, 43)와, 방향 제어밸브(42, 43)에 파일럿압을 공급하는 파일럿 유압원(41)을 구비하고 있다. 파일럿 유압원(41)은, 파일럿밸브(4a, 4b)를 통하여 방향 제어밸브(42, 43)의 파일럿 포트(42a, 42b, 43a, 43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파일럿밸브(4a 내지 4d)는, 조작레버(10L)의 조작량 및 조작방향에 따라 구동된다. 또한 유압펌프(44)는 엔진에 의해 구동된다.
조작레버(10L)를 예를 들면 전방향으로 조작하면 스풀(3a)이 눌러져 파일럿밸브(4a)가 구동되고, 후방향으로 조작하면 스풀(3b)이 눌러져 파일럿 밸브(4b)가 구동된다. 조작레버(10L)를 좌방향으로 조작하면 스풀(3c)이 눌러져 파일럿밸브(4c)가 구동되고, 우방향으로 조작하면 스풀(3d)이 눌러져 파일럿밸브(4d)가 구동된다. 또조작레버(10L)를 예를 들면 우전방 45도, 즉 도 3의 B 방향으로 조작하면 스풀(3a 및 3d)이 동시에 눌러져 파일럿밸브(4a 및 4d)가 구동된다. 파일럿밸브(4a, 4b)의 구동에 의해 파일럿밸브(4a 내지 4d)에 대응하는 파일럿 포트(42a, 42b, 43a, 43b)에 파일럿 유압원(41)으로부터의 파일럿압이 작용한다. 파일럿 포트(42a, 42b, 43a, 43b)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에 따라 방향 제어밸브(42, 43)가 중립위치로부터 전환된다. 그 결과, 유압펌프(44)로부터의 압유가 방향 제어밸브(42, 43)를 거쳐 유압모터(45, 46)에 공급되고, 보조 호이스트 드럼(67) 및 선회장치(62)가 구동한다.
도 5는 레버(10)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그립(11)의 하부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의 그립(11)의 내통면에는 나사부(11a)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1a)에 레버(10)의 선단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립(11)의 하단부에는 가로방향, 즉 그립(11)의 지름방향으로 나사구멍(11b)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이 나사구멍(11b)에 볼트(1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볼트(12)는 그 선단이 레버(10)의 바깥 둘레면에 접촉되기까지 나사결합되고, 너트(13)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그립(11)은 레버(1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여 고정된다. 즉, 그립(11)은 레버 (1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나사구멍(11b)은 2개 설치되고, 그립(11)은 2개 부분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립(11)의 하부 바깥 둘레면은, 1쌍의 반링부재(14a, 14b)(도 1참조)에 의해 끼워 넣어져 있다. 반링부재(14a, 14b)는 그립(11)으로부터 돌출한 플랜지부로 되어 있어, 조작자가 그립(11)을 잡았을 때에 손의 가장자리, 즉 새끼 손가락측이 반링부재(14a, 14b)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하여 그립(11)이 잡기 쉽게 되어 레버(10)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c)에 의거하여 그립(11)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그립(11)의 상부 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I-I선 단면도, 도 6(c)는 도 6(b)의 Ⅱ-Ⅱ 선 단면도이다. 도 6(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회전 조작부재(30)는 대략 원통의 덮개형상으로, 대략 원통형상의 그립(11)의 정점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립(11)의 상단부에는 베이스부재(21)가 삽입되고, 베이스부재(21)와 그립(11)은 볼트(2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부재(21)의 중심에는 나사구멍(21a)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21a)에는 그 아래쪽으로부터 포텐쇼미터(조작량 검출기)(23)가 나사결합되고, 포텐쇼미터(23)는 베이스부재(21)의 측면을 관통한 볼트(24)에 의하여 베이스부재(21)에 고정되어 있다. 또 나사구멍 (21a)에는 그 위쪽으로부터 커버(25)가 나사결합되고, 커버(25)는 볼트(26)에 의하여 베이스부재(21)에 고정되어 있다.
포텐쇼미터(23)의 선단, 즉 상부의 포텐쇼 축(23a)은 세로방향으로 노치(27a)를 가지는 커플링(27)에 삽입되어 있다. 노치(27a)에는 후술하는 핀(33)이 삽입된다. 커플링(27)과 포텐쇼 축(23a)은 볼트(28)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커플링(27)의 바깥 둘레면과 베이스부재(21) 사이, 및 포텐쇼 축(23a)의 선단부와 커버 (25) 사이에는, 각각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포텐쇼 축(23a) 및 커플링 (27)은 그립(11)의 축(X) 주위, 즉 길이방향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베이스부재(21)에는 볼 플런저(29)를 거쳐 축(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파이프(31)가 설치되어 있다. 파이프(31)의 바깥쪽에는 회전 조작부재(30)가 끼워 맞춰지고, 회전 조작부재(30)와 파이프(31)는 볼트(32)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파이프 (31)에는 핀(33)이 지름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핀(33)의 선단은 베이스부재(21)의 측면에 둘레 방향 약 90도에 걸쳐 설치된 홈구멍(21b)을 관통하 여 커플링 (27)의 노치(27a)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텐쇼 축(23a)은 핀(33)을 거쳐 커플링(27), 파이프(31) 및 회전 조작부재(3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핀(33)은 베이스부재(21)의 측면에 설치된 홈구멍(21b) 내를 이동하기 때문에, 포텐쇼 축(23a), 커플링(27), 파이프(31) 및 회전 조작부재(30)는 축(X) 주위에 약 90도의 범위로 회전 가능하고, 그 이상의 회전은 저지된다.
포텐쇼 미터(23)는, 회전 조작부재(30)의 조작량을 포텐쇼 축(23a)의 회전량으로서 검출하고, 검출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회전 조작부재(30)는 베이스부재(21)와 파이프(31)와의 저항에 의해 회전 조작된 위치에서 정지한다. 회전 조작부재(30)는 일반적으로는 조작자의 손가락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어려운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11)의 바깥 둘레면에는 선회 브레이크 스위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 브레이크 스위치(35)를 온 조작하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선회 브레이크장치가 작동하여, 예를 들면 언덕길 등에 있어서 선회체(63)가 자중에 의해 원하지 않게 선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텐쇼 미터(23) 등으로부터의 신호선은, 그립(11) 및 레버(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레버(10)의 기초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제어기(50)(도 7 참조)에 접속된다.
도 7에 회전 조작부재(30)의 조작량에 따른 엔진 회전수제어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어기(회전수제어장치)(50)는 포텐쇼 미터(23)에 의해 검출된 포텐쇼 축 (23a)의 회전량, 즉 회전 조작부재(30)의 조작량을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기(50)는 회전 조작부재(30)의 조작량에 따라 스테핑 모터(52)를 구동하도록 모터 드라 이버 (51)에 지령을 출력한다. 스테핑 모터(52)의 구동에 의해 로드(53) 및 링크(54)를 거쳐 엔진 거버너(55)의 컨트롤 레버(56)가 회동되어 엔진회전수가 변화된다. 이와 같이 회전 조작부재(30)의 조작량에 따라 엔진 회전수가 임의로 제어된다. 또한 제어기 (50)는 포텐쇼 축(23a)이 90도 회전하였을 때에 미리 설정한 최대 엔진회전수가 되도록 모터 드라이버(51)에 지령을 출력한다.
다음에 부움 기복, 후크(68, 69)의 감아 올림/감아 내림 등의 크레인작업을 할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이들 작업은 조작레버 (10L, 10R)의 그립(11)을 각각 왼손 및 오른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또한 회전 조작부재(30)는 좌우레버(10L, 10R)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먼저, 부움 기복작업과 메인 후크(68)의 감아 올림/감아 내림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오른손으로 레버(10R)를 전후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메인 호이스트 드럼(66)의 구동에 의해 메인 후크(68)가 감아 올림 또는 감아 내려지고, 좌우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기복 드럼(65)의 구동에 의해 부움(64)이 기복한다. 또 레버(10R)를 경사방향으로 조작하면 메인 호이스트 드럼(66) 및 기복 드럼(65)이 동시에 구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재(30)는 그립(11)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11)을 잡고 레버(10R)를 조작할 때에 잘못하여 회전 조작부재(30)를 회전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오른손의 새끼 손가락측을 반링부재(14a, 14b)에 접한 상태에서 그립(11)을 잡으면 오른손이 안정되어 회전 조작부재(30)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레버(10R)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원하지 않는 엔진회전수의 변화를 방지하여 크레인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오른손으로 레버(10R)를 조작할 때에, 왼손으로 레버(10L)를 좌우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선회장치(62)가 구동되어 선회체(63)가 선회한다. 이와 같이 부움기복작업 및 메인 후크(68)의 감아 올림/감아 내림작업과 동시에, 선회작업을 행할 수 있다.
부움 기복작업 및 메인 후크(68)의 감아 올림/감아 내림 작업시에, 예를 들면 레버(10L)에 설치된 회전 조작부재(30)를 왼손으로 회전 조작하면 그 조작량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회전수가 제어된다. 여기서 그립(11) 자체는 레버(10L)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그립(11)을 잡은 상태에서 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회전 조작부재(3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왼손의 새끼 손가락측을 반링부재(14a, 14b)에 접한 상태에서 그립(11)를 잡으면, 왼손이 안정되어, 왼손가락으로 회전 조작부재(3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조작부재(30)의 조작을 위해 손목을 비틀 필요가 없고, 레버(10L)를 잘못하여 회동 조작하여 원하지 않게 선회조작 또는 보조 후크(69)의 감아 올림/감아 내림 작업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조작부재(30)의 회전각도는 90도로 제한되고, 포텐쇼 축(23a)이 90도 회전하였을 때에 소정의 최대 엔진회전수로 제어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그립(11)을 바꾸어 잡지 않아도 엔진회전수를 최대 회전수까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레버(10R)에 설치된 회전 조작부재(30)를 오른손가락으로 회전 조작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오른손만으로 기복 드럼(65) 및 메인 호이스트 드럼(66)의 구동과, 엔진회전수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보조 후크 감아 올림 작업을 상기 작업과 아울러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왼손으로 레버(10L)를 전후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보조 호이스트 드럼(67)의 구동에 의해 보조 후크(69)가 감아 올림 또는 감아 내려진다. 또 레버 (10L)를 비스듬하게 조작하면 보조 후크(69)의 감아 올림 또는 감아 내림과 동시에, 선회체(63)가 선회한다. 이 때 우측 레버(10R)의 회동조작을 동시에 행하고, 다시 오른손 또는 왼손가락으로 회전 조작부재(30)를 회전 조작하면 각 드럼(65 내지 67) 및 선회장치(62)의 구동과, 엔진회전수의 조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엔진회전수는 페달조작 또는 연료레버조작에 의해서도 제어할 수 있다. 좌우 레버(10L, 10R)에 각각 설치된 회전 조작부재(30), 엑셀러레이터 페달 및 연료레버가 동시에 조작된 경우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엔진회전수제어를 행한다. 도 9에 엔진회전수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레버(10L)의 회전 조작부재(30L)의 조작에 따른 회전수 지령치, 우측 레버(10R)의 회전 조작부재(30R)의 조작에 따른 회전수 지령치, 연료레버(100)의 조작에 따른 회전수 지령치 및 엑셀러레이터 페달(101)의 조작에 따른 회전수 지령치는, 제어기(50)의 최대치 선택회로(50A)에 입력된다. 최대치 선택회로(50A)는 입력된 회전수 지령치를 비교하여 최대치를 선택한다. 최대치 선택회로(50A)에서 선택된 회전수 지령치는 모터 드라이버(51)에 출력되고, 지령치에 따른 회전수가 되도록 엔진회전수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조작부 재에 의해 엔진회전수의 지령이 출력된 경우는, 회전수 지령치의 최대치를 선택하여 그것에 따라 엔진회전수제어를 행한다.
<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 >
좌측 레버(10L) 및 우측 레버(10R)에 설치된 회전 조작부재(30L, 30R) 중, 한쪽의 회전 조작부재로부터의 신호만을 유효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조작자의 기호에 따라 한쪽의 레버(10L 또는 10R)를 선택하고, 선택한 레버에 설치된 회전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른 회전수 지령치를 사용하여 엔진회전수제어를 행한다. 도 10에 엔진회전수제어를 설명하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레버 회전 조작부재(30L)로부터의 회전수 지령치 및 우측 레버 회전 조작부재(30R)로부터의 회전수 지령치는, 모두 전환 회로 (50B)에 입력된다. 전환 회로(50B)는, 전환 스위치(102)의 조작에 의하여 전환되고, 좌측 레버(10L)의 회전 조작부재(30L) 또는 우측 레버(10R)의 회전 조작부재(30R)로부터의 지령치를 최대치 선택회로(50A)에 출력한다. 최대치 선택회로(50A)는 전환 회로(50B)로부터의 회전수 지령치, 연료레버(100)로부터의 회전수 지령치 및 엑셀러레이터 페달(101)로부터의 회전수 지령치를 비교하여 최대치를 선택한다. 최대치 선택회로(50A)에서 선택된 회전수 지령치는 모터 드라이버(51)에 출력되고, 지령치에 따른 회전수가 되도록 엔진회전수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좌우 회전 조작부재(30L, 30R)를 설치한 경우에, 어느 하나의 회전 조작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조작자의 기호나 습관에 따라 회전 조작부재를 전환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2 >
좌측 회전 조작부재(30L)의 조작방향과 우측 회전 조작부재(30R)의 조작방향에 대한 엔진회전수의 증감을 전환할 수도 있다. 도 11에 회전조작부재(30)의 조작방향에 대한 엔진회전수 지령의 전환제어를 설명하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또한 회전조작부재(3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조작하면 회전 조작부재(3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는 커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재(30)로부터의 전압신호는 전환 회로(50C)에 입력된다. 전환 회로(50C)는 전환 스위치(103)의 조작에 따라 접점 A 또는 접점 B로 전환된다. 전환 회로(50C)의 접점 A에는 함수 발생기(50D)가 접속되고, 접점 B에는 함수 발생기(50E)가 접속되어 있다. 함수 발생기(50D)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압(V)이 커질 수록 회전수 지령치(Ni)가 증가한다는 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함수 발생기(50E)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V)이 커질 수록 회전수 지령치(Ni)가 저하한다는 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함수 발생기(50D, 50E)는 전압(V)에 따른 회전수 지령치(Ni)를 도 9에 나타내는 최대치 선택회로(50A), 또는 도 10에 나타내는 전환 회로(50B)에 출력한다.
회전 조작부재(30)를 운전실의 좌측에 배치하는 경우는, 전환 스위치(103)에 의해 전환 회로(50C)를 접점 A로 전환한다. 이에 의하여 회전 조작부재(30)를 시계반대방향, 즉 그립(11)을 잡은 상태에서 왼손의 엄지 손가락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엔진회전수가 증가한다. 회전 조작부재(30)를 운전실의 우측에 배치하는 경우는, 전환 스위치(103)에 의해 전환 회로(50C)를 접점 B로 전환한다. 이 에 의하여 회전 조작부재(30)를 시계방향, 즉 그립(11)을 잡은 상태에서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엔진회전수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좌측 회전 조작부재(30L)의 조작방향과 우측 회전 조작부재(30R)의 조작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조작자는 좌우 회전 조작부재(30L, 30R)를 위화감없이 조작할 수 있다. 또 전환 회로(103)를 전환함으로써 회전 조작부재(30)로부터의 출력전압에 대한 회전수 지령치의 특성을 전환하기 때문에 좌우 레버(10L, 10R)에 공통의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비용절감, 조립행정의 간소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좌회전 조작부재(30L)를 시계방향으로 조작하면 엔진회전수가 증가하고, 우회전 조작부재(30R)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조작하면 엔진회전수가 증가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이 회전 조작부재(30)의 조작방향의 전환은, 조작레버(10)를 조립할 때에 설정한다. 단, 조작자가 전환 스위치(103)를 조작하여 기호에 따라 조작방향을 전환할 수도 있다.
<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3 >
조작레버(10)에 설치한 회전 조작부재(30)에 의해 엔진회전수를 제어함과 동시에 유압 펌프의 경전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에 엔진회전수제어와 경전량 제어를 설명하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연료레버(100) 및 엑셀러레이터 페달(101)에 의한 엔진회전수제어는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회전 조작부재(30L, 30R)로부터의 신호는 전환 회로(50F, 50G)에 각각 입력된다. 전환 회로(50F)의 단자 C와 전환 회로(50G)의 단자 F는 모터 드라이버(51)에 접속되고, 전환 회로(50F)의 단자 D와 전환 회로(50G)의 단자 E는 유압 펌프의 경전량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105)에 접속되어 있다. 전환 회로(50F, 50G)는 전환 스위치(104)의 조작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전환된다.
예를 들면 전환 스위치(104)에 의해 전환 회로(50F)가 단자 C로 전환되면 전환 회로(50G)는 단자 E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좌측 레버 회전 조작부재(30L)의 조작에 따라 엔진회전수가 제어됨과 동시에, 우측 레버 회전 조작부재(30R)의 조작에 따라 레귤레이터(105)가 제어되고, 유압 펌프의 경전량이 제어된다. 한편 전환 스위치(104)에 의해 전환 회로(50F)가 단자 D로 전환되면, 전환 회로(50G)는 단자 F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우측 레버 회전 조작부재(30R)의 조작에 따라 엔진회전수가 제어됨과 동시에, 좌측 레버 회전수 조작부재(30L)의 조작에 따라 레귤레이터(105)가 제어되고, 유압 펌프의 경전량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조작레버(10)에 설치된 회전 조작부재(30)를 사용하여 유압 펌프의 경전량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엑츄에이터의 조작을 행하면서 엔진회전수를 제어함과 동시에, 경전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건설기계를 미속 주행시키는 경우 등에 유효하다.
또한, 좌측 레버 회전 조작부재(30L)에 의해 엔진회전수를 제어하고, 우측 레버 회전 조작부재(30R)에 의하여 경전량을 제어하는, 또는 이 반대가 되도록 미리 설정하여 두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조작부재(30)를 좌우의 조작레버(10L, 10R)에 각각 설치하였으나, 어느 한쪽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선회작업시에는 엔진회전수의 조정은 그다지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선회조작을 지령하는 좌측 레버(10L)에 회전 조작부재(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우측 레버(10R)의 조작에 의해 메인 호이스트 드럼(66)과 기복 드럼(65)을 구동하면서 좌측 레버(10L)의 회전 조작부재(30)를 왼손으로 조작하여 엔진회전수를 조정할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한 조작레버(10)의 수는, 2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레버(10)를 운전석(5)의 좌우가 아니라, 전방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조작레버(10)는 하나의 레버로 복수의 구동체에 구동지령을 출력할 수 있는 조이스틱 레버이면, 그 형상 및 내부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 조작부재(30)의 형상은, 그립 X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하기 쉬운 것이면, 대략 원통의 덮개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전 조작부재(30)를 덮개형상이 아니라, 대략 원통형상으로 하고, 그 정점부에 덮개를 끼워 넣도록 하여도 좋다. 회전 조작부재(30)의 회전각도를 90도 이외의 각도로 제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회전 조작부재(30)의 최대 조작각도에 대응하여 엔진회전수를 소정의 최대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립(11)의 X축 주위로 회전하지 않는 조작부재를 사용하여 엔진회전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다른 형태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그립 (11)의 상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재(30) 대신에, 다이얼(30A)을 그립(11)의 상부에 설치한다.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30A)은 그립(11)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고, 조작자는 그립(11)을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등에 의해 용이하게 다이얼(30A)을 조작할 수 있다. 다이얼(30A)을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조작량에 따른 전압신호가 제어기(50)에 출력된다. 제어기(50)는 전압신호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회전수를 제어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재(30) 대신에, 다이얼(30B)을 그립 (11)의 상부 주위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다이얼(30B)을 도면의 화살표방향, 즉 X축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조작량에 따른 전압신호가 제어기(50)에 출력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재(30) 대신에, 슬라이드 스위치 (30C)를 그립(11)의 상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슬라이드 스위치(30C)를 도면의 화살표방향, 즉 X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그 조작량에 따른 전압신호가 제어기(50)에 출력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재(30) 대신에, 슬라이드 스위치 (30D)를 그립(11)의 상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슬라이드 스위치(30D)를 도면의 화살표방향, 즉 X축방향으로 조작하면 그 조작량에 따른 전압신호가 제어기(50)에 출력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구동체,예를 들면 기복 드럼(65), 메인 호이스트 드럼(66), 보조 호이스트 드럼(67) 및 선회장치(62)에 대하여 구동 지령하는 조이스틱 레버(10)의 선단부에 조이스틱 레 버(10) 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그립(11)을 설치하고, 그립(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 조작부재(30)를 설치하였다. 회전 조작부재(30)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구동체의 구동을 지령하면서 엔진회전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회전 조작부재(30)를 설치한 조이스틱 레버(10)를 건설기계의 운전실의 좌우어느 한쪽에 배치함으로써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다. 회전 조작부재(30)를 선회체 (62)를 선회 구동하는 선회장치(62)의 조작레버에 설치함으로써 조작성이 향상된다. 회전 조작부재(30)를 설치한 조이스틱 레버(10)를 운전실의 좌우 양측에 배치함에 의해서도 조작성이 향상된다.
회전 조작부재(30)를 그립(11)의 정점부에 설치함으로써 크레인작업 중에 잘 못하여 회전 조작부재(30)를 조작하여 엔진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그립(11)의 하부에 플랜지부(14a, 14b)를 설치함으로써 그립(11)을 안정되게 잡을 수 있고, 레버(1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회전 조작부재(30)를 그립(10)의 길이방향 중심인 X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회전 조작부재(30)를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그립 (11) 자체는 레버(1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 조작부재(30)를 조작할 때에 잘못하여 레버(10)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립(11) 및 회전 조작부재(30)가 대략 원통형상이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회전 조작부재(30)의 회전을 소정의 최대 엔진회전수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작량, 예를 들면 90도로 제한함으로써 그립(11)을 바꾸어 잡는 일 없이, 엔진회전수를 최대치까지 제어할 수 있다.
회전수 조작부재(30)로부터의 회전수 지령치와, 연료레버(100)로부터의 회전수 지령치와, 엑셀러레이터 페달(101)로부터의 회전수 지령치를 비교하여 최대치를 선택하여 그것에 따른 엔진회전수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조작부재에 의해 엔진회전수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도 엔진회전수제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조이스틱 레버로서 구성되는 조작레버(10)를 건설기계에 설치하고, 조작레버 (10)를 사용하여 복수의 엑츄에이터에 구동지령을 출력하고, 조작레버(10)에 설치된 회전 조작부재(30)에 의해 엔진회전수의 조정을 지령한다. 제어기(50)는 회전 조작부재(30)로부터의 지령, 즉 조작량에 따라 엔진회전수를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건설기계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조이스틱 레버형식이 아닌 통상의 조작레버에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 조작부재(30)를 설치하고, 엔진회전수 및/또는 펌프 경전량을 제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러나 조이스틱 레버는 여러가지 방향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 조작부재(30)를 설치함으로써 회전 조작부재(30)의 오조작을 방지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엔진회전수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조작부재(30)에 의해 설정되는 원동기 회전수 지령신호에 의거하여 설치된 회전수가 되도록 엔진회전수를 제어하기 때문에, 건설기계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 조작부재에 의해 엔진회전수를 조정하고, 다시 그 회전수가 변화하지 않게 록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크레인의 선회체(63)에 탑재되는 선회장치(62) 및 보조 호이스트 드럼(67) 구동용 유압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7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부분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여기서는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주로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이스틱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 선회장치(62)의 구동을 지령하는 선회레버(110)와, 보조 호이스트 드럼(67)의 구동을 지령하는 보조 호이스트 레버(111)를 각각의 레버로서 구성한다.
선회레버(110)를 조작하면 그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라 스풀(113c, 113d)을 거쳐 파일럿 밸브(114c, 114d)가 구동된다. 보조 호이스트 레버(111)를 조작하면, 그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라 스풀(113a, 113b)을 거쳐 파일럿 밸브(114a, 114b)가 구동된다. 파일럿 밸브(114a 내지 114d)의 구동에 따라 방향 제어밸브(42, 43)가 전환되고, 유압모터(45, 46)에 압유가 공급되어 보조 호이스트 드럼(67), 선회장치(62)가 구동한다.
도 18에 선회 레버(110)에 고정된 그립(11)의 상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그립 (11)의 상부에는 엔진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 조작부재(30E)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조작부재(30E)는 화살표 D1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회전 조작됨과 동시에, 화살표 D2 방향, 즉 X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눌러지는 이른바 조그 다이얼이다. 조그 다이얼(30E)을 화살표 D1 방향으로 회전하여 엔진회전수를 설정하고, 화살표 D2 방향으로 눌러 그 회전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9에 엔진회전수 록제어를 설명하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30E)의 회전조작에 따른 회전수 지령신호는 함수 발생기(50h)에 입력된다. 함수 발생기(50H)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수 지령신호(전압)(V)가 커질 수록 회전수 지령치(Ni)가 증가한다는 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함수 발생기(50H)는, 전압(V)에 따른 회전수 지령치(Ni)를, 홀드회로(501)에 출력한다. 조그 다이얼(30E)은 화살표 D2 방향으로 누르면 홀드회로(50I)에 록 온신호를 출력하고, 화살표 D2 방향으로 다시 누르면 홀드회로(50I)에 록 오프신호를 출력한다.
홀드회로(50I)는, 록 온신호가 입력되면 그 시점에서의 회전수 지령치(Ni)를 유지하여 모터 드라이버(51)에 출력한다. 그리고 록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홀드회로 (50I)는 함수 발생기(50H)로부터 입력되는 현 시점에서의 회전수 지령치(Ni)를 모터 드라이버(51)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그 다이얼(30E)에 의해 엔진회전수를 설정하고, 설정한 회전수가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선회 레버(110)를 조작할 때에 잘못하여 조그 다이얼(30E)을 조작한 경우에도 엔진회전수는 고정된 채이어서, 엔진회전수를 원하지 않게 변화시키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하여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회전 조작부재(30E)를 선회레버(110)에 설치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보조 호이스트 레버(111) 등, 다른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지령하는 레버에 회전 조작부재(30E)를 설치하여도 좋다. 단지 선회작업시에는 엔진회전수의 조정은 그다지 행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 조작부재(30E)를 운전석 좌측에 설치된 선회 레버(110)에 설치함으로써 왼손으로 엔진회전수를 제어하면서 오른손으로 메인 호이스트 드럼 (66)이나 기복 드럼(65)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그 다이얼(30E)을 복수의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지령하는 조이스틱 레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좌측 레버(10L)에, 회전 조작부재(30) 대신에 조그 다이얼(30E)를 설치한다. 조이스틱 레버는 복수의 방향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통상의 레버, 예를 들면 선회 레버(110)에 비하여 그립 (11)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 조작부재를 잘못하여 조작할 가능성이 높다. 조그 다이얼(30E)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엔진회전수를 고정함으로써 엔진회전수를 원하지 않게 변화시키는 일이 없어,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조그 다이얼(30E) 대신에, 도 2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그 다이얼(30F)을 그립(11)의 상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도 20(a)는 그립(11)을 위에서 본 도, 도 20(b)는 그립(11)의 상부 측면도이다. 이 경우, 조그 다이얼(30F)을 화살표 D3 방향으로 회전하여 엔진회전수를 설정하고, 조그 다이얼(30F)을 화살표 D4 방향으로 눌러 그 회전수에 고정한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회전 조작부재 (30)의 상단에 엔진회전수 고정용 스위치(30G)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21은 그립 (11)의 상부 측면도이다. 이 경우, 회전 조작부재(30)의 조작에 따라 엔진회전수를 설정하여, 스위치(30G)를 화살표 D5 방향으로 누르면 그 시점에서의 회전수에 고정한다. 스위치(30G)를 설치하지 않고 회전 조작부재(30) 자체가 화살표 D5 방향으로 눌러져 엔진회전수를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도 20(a), (b)에 나타내는 조그 다이얼(30F) 또는 도 21에 나타내는 스위치(30G)를 설치함에 의해서도 상기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레버(10L, 10R) 및 선회레버(110)를 크레인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유압셔블 등의 다른 건설기계에 적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조작레버(10L, 10R)에 의하여 구동 지령되는 엑츄에이터는, 유압식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동 엑츄에이터이어도 좋다. 회전 조작부재(30)의 조작량을 포텐쇼미터(23) 이외의 조작량 검출기에 의해 검출하여도 좋다.
또, 건설기계의 원동기로서 엔진을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면 엔진 대신에 전동 모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에서는 조작레버를 크레인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크레인 이외의 건설기계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복수의 구동체에 대하여 구동 지령하는 조이스틱 레버와,
    상기 조이스틱 레버의 선단부에, 상기 조이스틱 레버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그립 본체,
    상기 그립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원동기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신호를 유효와 무효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재를 가지는 상기 조작레버장치는, 상기 건설기계의 운전실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환 스위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상기 운전실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기 조작레버장치 중, 어느 하나의 조작레버장치에 설치된 상기 조작부재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신호를 유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14. 복수의 구동체에 대하여 구동 지령하는 조이스틱 레버와,
    상기 조이스틱 레버의 선단부에, 상기 조이스틱 레버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그립 본체,
    상기 그립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원동기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조작에 따른 원동기 회전수 지령신호에 대한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의 특성을 변경하는 변경장치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재를 가지는 상기 조작레버장치는, 상기 건설기계의 운전실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변경장치는, 상기 운전실의 좌측에 배치된 상기 조작부재를 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원동기 회전수가 증가하고, 상기 운전실의 우측에 배치된 상기 조작부재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원동기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상기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의 특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기재된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와, 엑셀러레이터 페달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와, 연료레버로부터의 원동기 회전수 지령치를 비교하여, 그들의 최대치를 선택하여 그 최대치에 따른 원동기 회전수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동기 회전수제어시스템.
  16. 구동체에 대하여 구동 지령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선단부에, 상기 레버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그립 본체와,
    상기 그립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동기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에 의해 설정된 원동기 회전수에 고정하는 록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록부재는 다이얼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을 회전 조작하여 원동기 회전수를 설정하고, 상기 다이얼을 눌러 그 원동기 회전수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복수의 구동체에 대하여 구동 지령하는 조이스틱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게의 조작레버장치.
  19.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기재된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와,
    건설기계에 설치되는 원동기와,
    상기 조작레버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해 설정되는 원동기 회전수지령신호에 의거하여 설정된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원동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가지는 원동기 회전수 제어시스템.
  20.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기재된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와, 상기 조작레버장치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체와,
    원동기와,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량에 따라 상기 원동기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제어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1.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체는, 상기 건설기계의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체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실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조작레버장치의 한쪽은, 상기 선회장치의 구동을 지령하는 조작레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22. 제 13항, 제 14항 및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그립 본체의 정점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본체의 하부에는, 플랜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24.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그립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2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본체는, 대략 원통형상이고, 상기 조작부재는, 대략 원통의 덮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26.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소정의 조작량으로 그 회전을 제한받고, 상기 소정의 조작량은, 소정의 최대 원동기 회전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27.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량을 검출하여, 상기 원동기 회전수를 조정하는 제어장치에 검출한 조작량을 출력하는 조작량 검출기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28.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를 가지는 상기 조작레버장치는, 상기 선회체의 선회를 저지하는 선회 제동장치의 작동을 지령하는 선회 제동 스위치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KR1020047006779A 2001-11-05 2002-11-05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및 건설기계 KR100639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39287 2001-11-05
JPJP-P-2001-00339287 2001-11-05
PCT/JP2002/011504 WO2003040015A1 (fr) 2001-11-05 2002-11-05 Dispositif de levier de commande d'une machine de construction et machine de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134A KR20040063134A (ko) 2004-07-12
KR100639809B1 true KR100639809B1 (ko) 2006-10-30

Family

ID=1915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779A KR100639809B1 (ko) 2001-11-05 2002-11-05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및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93625B2 (ko)
EP (1) EP1462408B1 (ko)
JP (1) JP3889745B2 (ko)
KR (1) KR100639809B1 (ko)
CN (1) CN1325365C (ko)
WO (1) WO2003040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2727A (en) * 2003-06-14 2004-12-15 Cnh Uk Ltd Lockable joystick control with wrist support
US20060070482A1 (en) * 2004-06-17 2006-04-06 Deere &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Control lever with rotary wheel
US7520567B2 (en) * 2004-09-23 2009-04-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at repositioning
FI121973B (fi) * 2005-05-17 2011-06-30 Polarteknik Pmc Oy Ab Venttiilirakenne
DE202006002969U1 (de) * 2005-11-08 2006-05-11 Agco Gmbh Steuereinrichtung für Nutzfahrzeuge
US7772969B2 (en) * 2007-04-19 2010-08-10 Prohaska Dean P Vehicle with always forward system
ATE487007T1 (de) * 2007-08-20 2010-11-15 Jcb Compact Products Ltd Verfahren und system zur steuerung einer arbeitsmaschine.
US7729835B2 (en) * 2007-08-21 2010-06-01 Jcb Compact Products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a working machine
US9037355B2 (en) * 2007-11-05 2015-05-19 Deere & Company Control assembly for auxiliary hydraulics
US20090139360A1 (en) * 2007-11-30 2009-06-04 Caterpillar Inc Joystick attachment
CN102308049B (zh) * 2009-02-05 2014-07-23 日立建机株式会社 先导阀装置
DE102010013618A1 (de) * 2010-04-01 2011-10-06 Bomag Gmbh Gas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Bodenverdichtungsgerät und Bodenverdichtungsgerät mit einer solchen Gasbetätigungseinrichtung
CN101916129A (zh) * 2010-08-23 2010-12-15 贵州华阳电工有限公司 转动手柄机构中的把手
US8380402B2 (en) 2010-09-14 2013-02-19 Bucyrus Intl. In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heavy equipment
JP5400750B2 (ja) * 2010-12-07 2014-01-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1253707B1 (ko) * 2012-01-06 2013-04-11 양두영 푸시버튼, 로터리 휠 및 조이스틱을 겸비한 조그셔틀 리모컨 장치
KR101879874B1 (ko) * 2012-01-30 2018-07-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JP2013170406A (ja) * 2012-02-21 2013-09-02 Toshiba Mach Co Ltd ハイブリッド型駆動装置を備えた建設機械及びその建設機械に備わる回生装置と回生方法
EP2909690B1 (en) 2012-10-22 2017-07-19 Parker Hannifin Manufacturing Sweden AB Joystick for utility vehicles
US8979208B2 (en) * 2013-01-08 2015-03-17 Caterpillar Inc. Transmission and hoist control arrangement
US20140191558A1 (en) * 2013-01-08 2014-07-10 Caterpillar Inc. Operator panel for a machine
JP6034773B2 (ja) * 2013-11-13 2016-11-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03699172B (zh) * 2013-12-10 2015-06-10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精确定位操作把手
USD735100S1 (en) 2014-04-21 2015-07-28 Caterpillar Inc. Transmission shifter
US9086130B1 (en) 2014-04-21 2015-07-21 Caterpillar Inc. Transmission and hoist control arrangement
DE102015202103A1 (de) * 2015-02-06 2016-08-11 Kässbohrer Geländefahrzeug AG Fahrzeug, insbesondere Kettenfahrzeug zur Schneepistengestaltung und -pflege
FR3039314B1 (fr) * 2015-07-22 2017-07-21 Crouzet Automatismes Poignee etanche de pilotage d'une machine, element d'etancheite pour cette poignee et pupitre de commande comportant cette poignee
US20170058488A1 (en) * 2015-08-28 2017-03-02 Caterpillar Inc. Implement system control device
JP6690875B2 (ja) * 2015-11-17 2020-04-28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の操作装置
DE102016106352A1 (de) * 2016-04-07 2017-10-12 Schwing Gmbh Fernsteuergerät für Großmanipulator mit Steuerhebel
DE102016112711A1 (de) * 2016-07-12 2018-01-18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Stelleinrichtung mit einem drehbaren Bedienelement
JP2018086870A (ja) * 2016-11-28 2018-06-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舵装置
EP3460619A4 (en) * 2016-12-22 2020-01-15 Kubota Corporation STEER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WO2019189507A1 (ja) * 2018-03-28 2019-10-03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11287811B2 (en) * 2018-05-21 2022-03-29 Deere & Company Gateway interface for a work machine
CN108545640B (zh) * 2018-07-11 2019-05-07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握杆防误触功能的塔吊控制器
CA3051942A1 (en) 2018-08-14 2020-02-14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 Vehicle steering assembly
JP7180288B2 (ja) 2018-11-01 2022-11-30 スズキ株式会社 移動体
JP2020169000A (ja) * 2019-04-05 2020-10-15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車両の操作装置
JP7300101B2 (ja) 2019-05-08 2023-06-29 スズキ株式会社 電動歩行補助車
US11886218B2 (en) * 2021-08-17 2024-01-30 Zoomlion Heavy Industry Na, Inc. One-handed joystick for cranes
EP4250055A1 (en) * 2022-03-25 2023-09-27 Deere & Company Height adjustable control su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884A (ja) * 1991-10-24 1993-05-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レバーグリツプ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458Y2 (ja) * 1978-08-24 1984-09-06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車の操作構造
JPS58195221A (ja) * 1982-04-21 1983-11-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ユニバ−サルレバ−
JP2831377B2 (ja) * 1988-07-04 1998-12-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原動機回転数制御装置
US5002454A (en) * 1988-09-08 1991-03-26 Caterpillar Inc. Intuitive joystick control for a work implement
JP3237997B2 (ja) * 1994-04-25 2001-12-10 株式会社共立 内燃機関用スロットルの安全装置
JPH08177084A (ja) * 1994-12-22 1996-07-09 Komatsu Ltd 作業車両の操作レバー装置
WO1996032670A1 (fr) * 1995-04-10 1996-10-17 Komatsu Ltd. Dispositif de controle de force de reaction operationnelle pour levier de commande d'une machine a travailler
JP3618963B2 (ja) 1997-06-10 2005-02-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のアクセル装置
CA2256172A1 (en) * 1998-12-15 2000-06-15 Bombardier Inc. Multifunction joystick
JP2000238990A (ja) * 1999-02-19 2000-09-05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建設機械の旋回レバーグリップ
JP2001020907A (ja) * 1999-05-06 2001-01-23 Komatsu Ltd 操作レバー装置
JP2001107908A (ja) 1999-10-04 2001-04-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JP2001240373A (ja) 2000-02-29 2001-09-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
JP2001339287A (ja) 2000-05-25 2001-12-07 Nidec Copal Corp 光電センサ装置
US6571902B2 (en) * 2000-12-28 2003-06-03 Case Corporation Backhoe auxiliary hydraulics control system
JP4731740B2 (ja) * 2001-06-22 2011-07-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モノレバー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884A (ja) * 1991-10-24 1993-05-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レバーグリツ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0015A1 (fr) 2003-05-15
US7293625B2 (en) 2007-11-13
CN1582253A (zh) 2005-02-16
CN1325365C (zh) 2007-07-11
KR20040063134A (ko) 2004-07-12
US20050034915A1 (en) 2005-02-17
EP1462408B1 (en) 2012-05-23
JPWO2003040015A1 (ja) 2005-02-24
EP1462408A1 (en) 2004-09-29
JP3889745B2 (ja) 2007-03-07
EP1462408A4 (en)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809B1 (ko) 건설기계의 조작레버장치 및 건설기계
US6923285B1 (en) Attachment control device
EP3436643B1 (en) Variable engine speed control
JP7324654B2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EP3660228B1 (en) Shovel
WO1999058771A1 (fr) Machine de construction
JP7285736B2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KR100479141B1 (ko) 건설 기계용 제어 회로
EP3674485B1 (en) Work vehicle
JP3207771B2 (ja) 油圧作業機
JPH05222745A (ja) 建設機械の自動制御装置
JP3073151B2 (ja)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
JP7094679B2 (ja) 作業車両
JP3135515B2 (ja) 油圧作業機及びその操作ユニット
JP2003301805A (ja) 建設機械の操作装置
CN112443522B (zh) 工程机械的油压系统
US20240287761A1 (en) Working machine
JP3409959B2 (ja) 油圧式建設機械の作業機操作装置
JP2005002807A (ja) 作業機のアクセル制御装置
JP2544176B2 (ja) 作業機のショックレス停止機構
JPH09242568A (ja) 原動機の回転数制御装置
JP3023449B2 (ja) 作業機の操作速度切換装置
JP4464776B2 (ja) 操作レバー装置
JP3750764B2 (ja) 建設機械の旋回制御装置
KR20230170572A (ko) 농용 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