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572A - 농용 트랙터 - Google Patents

농용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572A
KR20230170572A KR1020230071239A KR20230071239A KR20230170572A KR 20230170572 A KR20230170572 A KR 20230170572A KR 1020230071239 A KR1020230071239 A KR 1020230071239A KR 20230071239 A KR20230071239 A KR 20230071239A KR 20230170572 A KR20230170572 A KR 2023017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e
controller
control
pedal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호
신옥식
장정훈
신대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772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39142A1/ko
Publication of KR2023017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농용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용 트랙터는 제어모드에 따라서 동일한 조작페달로 변속을 실행하거나 RPM을 조절할 수 있고, 조작페달로 변속을 실행하거나 부조종기로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조향핸들로 주행 방향을 전환하거나 부조종기로 주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조작 등의 위험성이 최소화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농용 트랙터에 대한 조종의 편리성도 향상된다.

Description

농용 트랙터{AGRICULTURAL TRACTOR}
본 발명은 농용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기를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농용 트랙터는 여러 종류의 작업기를 선택적으로 장착해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행 가능한 농사용 차량이다.
농용 트랙터는 기본적으로 여러 작업장을 스스로 이동하거나 주행하면서 작업을 수행한다. 그래서 농용 트랙터는 기본적으로 주행기능과 조향기능을 가져야만 한다.
더 나아가 농용 트랙터는 여러 종류의 작업기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기능을 가져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농용 트랙터에 연결되는 작업기는 자체 동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작업기는 농용 트랙터의 구동엔진에서 발생시키는 구동력을 활용하여 작동된다.
예를 들어 로터베이터와 같은 작업기는 구동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날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래서 구동엔진의 회전동력을 로터베이터로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버킷과 붐으로 구성되는 로더(loader)와 같은 작업기는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작동된다. 그래서 구동엔진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을 로더에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이처럼 농용 트랙터의 연결기능에는 작업기와의 기구적인 연결기능과 구동력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능이 포함된다.
그래서 작업기가 농용 트랙터에 장착되면, 농용 트랙터의 구동엔진은 주행에 필요한 주행동력뿐만 아니라 작업에 필요한 작업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농용 트랙터는 주행과 작업을 병행하는 상태로 주로 운행된다. 그런데, 작업 부하가 큰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 때에는 주행동력과 별개로 작업동력을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작업동력의 상승을 위해서는 구동엔진의 알피엠(RPM : Revolutions Per Minute, 이하 'RPM'이라 함)을 상승시켜야만 한다. 그래서 농용 트랙터에는 조속레버가 포함된 조속기가 구비된다.
조속레버는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된다.
운전자는 조속레버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구동엔진의 RPM을 일정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조속레버를 임의 조작하여 구동엔진의 RPM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 농용 트랙터에는 각종 작업을 조종하기 위한 작업조종기가 구비된다. 작업조종기는 조종레버를 가진다. 조종레버는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농용 트랙터에서 운전석(DS)이 있는 공간의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농용 트랙터는 변속페달(42)과 조향핸들(32a)을 가진다.
변속페달(42)은 주행속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것이다.
농용 트랙터는 작업 중에 잦은 변속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무단 변속이 가능한 정유압변속기를 채택하는 종류들이 많다. 만일 정유압변속기가 채택되면, 변속페달(42)은 전진페달(42a)과 후진페달(42b) 쌍으로 구비될 필요가 있다. 전진페달(42a)은 전진 가속을 위한 것이고, 후진페달(42b)은 후진 가속을 위한 것이다.
조향핸들(32a)은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형태로 구비된다. 조향핸들(32a)은 운전자가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 회전량에 상응하여 조향바퀴(대게 전륜임)의 회전축 방향이 전환된다.
조향핸들(32a) 근방에는 조속레버(51)가 배치되고, 조향핸들(32a) 및
운전자의 오른쪽 편에는 조종레버(21)가 배치된다.
참고로, 조향핸들(32a)의 왼쪽 편 하부에는 감속 또는 정지를 위한 한 쌍의 브레이크페달(BP1, BP2)이 배치된다. 그래서 변속페달(42)은 조향핸들(32a)의 오른쪽 편 하부에 배치된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기본 구조를 가진 농용 트랙터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일 예시를 살펴본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로더에 의한 작업(이하 '로더작업'이라 함)을 수행할 수 있다.
운전자는 조속레버(51)를 이용하여 일상적인 로더작업에 필요한 RPM값을 설정한 상태로 농용 트랙터를 운전하게 된다. 이 때, 운전석(DS)에 앉은 운전자는 왼손으로는 조향핸들(32a)을 조작하고, 오른손으로는 조종레버(21)를 조작한다. 그리고 운전자는 왼발로는 브레이크페달(BP1, BP2)를 조작하고, 오른발로는 변속페달(42)을 조작한다.
즉, 운전자는 양 손과 양 발을 모두 이용하여 버킷과 붐의 작동이나 전후진 및 주행 방향의 전환 등의 조종을 하면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로더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종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조속레버(51)에 의해 설정된 RPM값에 따른 작업동력보다 더 큰 작업동력이 요구될 때가 있다. 그러면, 운전자는 오른손으로 조속레버(51)를 조작하여 구동엔진의 RPM값을 올리게 된다. 이 때, 운전자의 오른손은 조종레버(21)로부터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버킷과 붐의 동작을 조종할 수가 없게 된다. 그래서 당연히 작업의 연속성이 저해된다. 즉 농용 트랙터의 조종에 번거로움이 있고, 작업 능률도 떨어지는 것이다.
대게 주행을 위한 주행조작과 작업기의 동작을 위한 작업조작은 서로 관계가 없다. 그래서 서로 별개로 조작되어도 무방하고 오히려 더 효율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로더의 동작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레버(21)에 구동엔진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조속버튼을 구비하는 기술(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보고된 바 있다.
선행기술이 적용되면 한 손을 이용해 작업동작의 조종과 구동엔진의 RPM 조절이 가능하고, 나머지 손과 양 발을 이용해 주행을 위한 조작을 하게 된다.
그런데, 선행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RPM 조절조작과 로더의 작동조작 간에 조작의 관련성이 없어서 직관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로더의 작동조작은 조종레버(21)를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조작이고, RPM 조절조작은 조속버튼을 누르는 조작이다. 그래서 그 만큼 조작의 혼동이나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한 손으로 작업동작의 조종과 RPM 조절이 모두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조작의 위험성이 있다. 예를 들어, 로더의 작동 조작을 하는 중에 의도하지 않은 조속버튼의 조작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운전자를 순간 당황스럽게 할 수 있고, 예기치 않은 작업 실패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7-0075262호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고민으로부터 안출되었다.
첫째, 작업과정에서 혼동이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엔진의 RPM 조절을 위한 조작과 작업기의 작동을 위한 조작이 분리되면서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작업 과정에서 주행에 필요한 조작을 단순화시켜서 작업을 위한 조작의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각각의 조작들이 독립적이면서 직관성을 유지하거나 획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농용 트랙터는 RPM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엔진; 상기 구동엔진의 구동력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 상기 작업기의 작업동작을 조종하기 위한 작업조종기; 상기 구동엔진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며, 주행 방향의 전환을 위한 조향바퀴를 가지는 주행기; 상기 주행기에 의한 주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핸들을 가지는 조향기; 상기 구동엔진의 구동력을 상기 주행기로 전달하며, 상기 주행기를 변속시키기 위해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변속기; 상기 변속기를 조작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거나 상기 구동엔진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페달; 상기 조작페달의 답량을 감지하기 위한 페달센서; 상기 페달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조작페달의 답량에 상응하는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조작페달의 답량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1제어모드 또는 상기 제2제어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제어신호는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2제어신호는 상기 구동엔진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이며,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조작페달을 조작하여 상기 변속기에 의한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조작페달을 조작하여 상기 구동엔진의 RPM을 조절하면서 상기 작업조종기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엔진에서 상기 작업기로 가는 작업동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엔진의 RPM을 조절할 수 있는 조속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속기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엔진의 RPM을 조절하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작페달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엔진의 RPM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속기에 의해 설정된 RPM값과 상기 조작페달의 조작에 상응하는 RPM값 중 더 큰 RPM값으로 상기 구동엔진의 RPM을 조절한다.
상기 변속기를 조작하여 상기 주행기를 변속시키기 위한 부조종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는 상기 페달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조작페달의 답량에 상응하여 상기 변속기를 제어함으로써 변속을 실행시키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는 상기 부조종기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변속기를 제어함으로써 변속을 실행시킨다.
상기 주행기는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조향밸브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향핸들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조향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한다.
상기 부조종기는 상기 조향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는 상기 조향핸들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조향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하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는 상기 부조종기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조향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부조종기는 막대형의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가 제1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변속기를 제어함으로써 변속을 실행하고,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향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한다.
상기 작업조종기는 막대형의 조종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조향핸들의 좌측 편에 배치되고, 상기 조종레버는 상기 조향핸들의 우측 편에 배치되어서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왼팔로는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할 수 있고 오른팔로는 상기 조종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2제어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기는 차속을 0km/h가 되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상태로 운전자의 조작을 대기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농용 트랙터는 RPM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엔진; 상기 구동엔진의 구동력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 상기 작업기의 작업동작을 조종하기 위한 작업조종기; 상기 구동엔진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며, 주행 방향의 전환을 위한 조향바퀴를 가지는 주행기; 상기 주행기에 의한 주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핸들을 가지는 조향기; 상기 구동엔진의 구동력을 상기 주행기로 전달하며, 상기 주행기를 변속시키기 위해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변속기; 상기 변속기를 조작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페달; 상기 조작페달의 답량을 감지하기 위한 페달센서; 상기 변속기를 조작하여 상기 주행기를 변속시키기 위한 부조종기; 상기 페달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조작페달의 답량에 상응하는 변속을 실행시키는 제1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부조종기의 조작에 상응하는 변속을 실행시키는 제2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1제어모드 또는 상기 제2제어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조작페달을 조작하여 상기 변속기에 의한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부조종기를 조작하여 상기 변속기에 의한 변속을 실행시키면서 상기 작업조종기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행기는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조향밸브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향핸들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조향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농용 트랙터는 RPM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엔진; 상기 구동엔진의 구동력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 상기 작업기의 작업동작을 조종하기 위한 작업조종기; 상기 구동엔진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며, 주행 방향의 전환을 위한 조향바퀴와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조향밸브를 가지는 주행기; 상기 주행기에 의한 주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핸들을 가지는 조향기; 상기 구동엔진의 구동력을 상기 주행기로 전달하며, 상기 주행기를 변속시키기 위해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변속기; 상기 변속기를 조작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페달; 상기 조작페달의 답량을 감지하기 위한 페달센서; 상기 조향밸브를 작동시켜서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시키기 위한 부조종기; 상기 조향핸들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제1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부조종기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제2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1제어모드 또는 상기 제2제어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조향핸들을 회전시켜서 상기 조향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부조종기를 조작하여 상기 조향밸브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업 과정에서 구동엔진의 RPM 조절과 작업기의 작동 조작이 분리되어 있으면서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 등의 위험성이 최소화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둘째, 조작레버 하나로 주행에 필요한 조작(변속 또는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운전자 신체의 가용수단을 작업기의 작동 조작에 더 할당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기의 작동 조작이 더 정확해져서 불량 작업률을 떨어트릴 수 있다.
셋째, 각각의 조작들이 독립적이면서도 직관성을 유지(예를 들어 조종레버의 조작)하거나 획득(예를 들어 조작레버의 조작이나 RPM 조절을 위한 조작페달의 조작)될 수 있고, 작업과정에서 조작대상(조작페달 등)의 개수와 운전자 신체의 가용수단(손과 발)의 개수가 동일하여 조종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농용 트랙터에서 운전석이 있는 공간의 배치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용 트랙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농용 트랙터에서 운전석이 있는 공간의 배치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2의 농용 트랙터에 연결될 수 있는 작업기 중 하나인 로더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농용 트랙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2의 농용 트랙터의 제2제어모드에서 이루어지는 RPM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주지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용 트랙터(1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농용 트랙터(100)는 구동엔진(111), 연결기(112), 작업조종기(120), 주행기(131), 조향기(132), 변속기(141), 조작페달(142), 페달센서(143), 조속기(150), 부조종기(160), 주차브레이크(172), 제어기(181) 및 모드선택스위치(182) 등을 포함한다.
구동엔진(111)은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엔진(111)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주행기(131)에 의한 주행동력으로 사용되거나 작업기(WA)에 의한 작업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구동엔진(111)의 RPM이 가변되면 구동력도 가변된다. 즉, 구동엔진(111)의 RPM이 낮아지면 구동력도 낮아지고, 구동엔진(111)의 RPM이 높아지면 구동력도 높아진다.
연결기(112)는 작업기(WA)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작업기(WA)는 로더나 백호 등 다양할 수 있으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기(112)는 작업기(WA)를 농용 트랙터(100)에 기구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하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에서 발생하는 작업동력을 작업기(WA)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연결기(112)는 구동엔진(111)의 회전력을 작업기(WA)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기(112)는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의 유압을 작업기(WA)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작업조종기(120)는 농용 트랙터(100)에 연결된 작업기(WA)의 작업동작을 조종하기 위해 마련된다. 작업조종기(120)는 막대형의 조종레버(121)를 포함한다.
조종레버(121)는 운전자가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운전석(DS) 영역을 도시한 도 3의 참고도에서와 같이, 조종레버(121)는 운전석(DS)에 앉은 운전자의 오른손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된다. 그래서 조종레버(121)는 조향핸들(132a)의 오른쪽 편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조종레버(121)의 작동예에 대하여 잠시 살펴본다.
도 4는 작업기(WA)의 일 예시인 로더(LD)에 대한 개략도이다.
로더(LD)는 버킷(BK)과 붐(BM)으로 구성되며, 2개의 유압실린더(C1, C2)를 가진다.
제1유압실린더(C1)는 붐(BM)을 회전시켜서 버킷(BK)을 승강시킬 수 있고, 제2유압실린더(C2)는 버킷(BK)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유압실린더(C1, C2)는 조종레버(121)의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운전자는 오른손을 이용하여 조종레버(121)를 전후 방향으로 미는 조작으로 제1유압실린더(C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운전자는 오른손을 이용하여 조종레버(121)를 좌우 방향으로 미는 조작으로 제2유압실린더(C2)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운전자는 오른손을 이용하여 조종레버(121)를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미는 조작으로 제1유압실린더(C1)와 제2유압실린더(C2)를 한꺼번에 작동시킬 수 있다.
제1유압실린더(C1)와 제2유압실린더(C2)의 작동량은 조종레버(121)의 변위값에 의해 결정된다. 변위값은 작업조종기(120)에 있는 조종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감지된 후 제어기(181)로 보내지며, 제어기(181)는 변위값에 상응하여 제1유압실린더(C1)와 제2유압실린더(C2)를 작동시킨다.
주행기(131)는 농용 트랙터(100)의 주행을 위해 구비된다.
주행기(131)는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으로 주행한다.
주행기(131)는 전륜(FW)과 후륜(RW)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륜(FW)은 주행 방향의 전환을 위한 조향바퀴로서 기능한다.
주행기(131)는 조향밸브(131a)를 가진다.
조향밸브(131a)는 조향바퀴인 전륜(FW)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한다.
조향밸브(131a)는 전자식으로 제어되면서 전륜(FW)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조향밸브(131a)로는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비례제어밸브가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조향기(132)는 주행기(131)에 의한 주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조향기(132)는 조향핸들(132a)을 가진다.
조향핸들(132a)은 스티어링 휠 형태로 구비된다.
도 3의 참고도에서와 같이, 조향핸들(132a)은 운전석(DS)에 앉은 운전자의 정면에 배치된다.
운전자는 조향핸들(132a)을 회전시킴으로써 전륜(FW)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운전자가 조향핸들(132a)을 회전시키면, 조향핸들(132a)의 회전량에 상응하는 만큼 조향밸브(131a)가 전륜(FW)의 회전축 방향을 회전시킨다. 물론, 조향기(132)에는 조향핸들(132a)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조향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조향센서가 감지한 회전량은 제어기(181)로 보내진다.
변속기(141)는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을 주행기(131)로 전달한다.
변속기(141)는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을 주행기(131)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행기(131)의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속기(141)는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농용 트랙터(100)에 적용되는 변속기(141)로서 정유압변속기를 예정하고 있다.
정유압변속기는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정유압변속기는 사판의 회전에 의해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조작페달(142)은 변속기(141)를 조작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기 위한 변속페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변속기(141)로서 정유압변속기를 예정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조작페달(142)은 조향핸들(132a)의 우측 하방에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조작페달(142a)은 전진 변속을 담당하고, 제2조작페달(142b)은 후진 변속을 담당한다.
또한, 조작페달(142)은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조속페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시에 따르면, 2개의 조작페달(142a, 142b) 중 제1조작페달(142a)이 조속페달로서 기능하게 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제2조작페달(142b)이 조속페달로서 기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페달(142)은 변속페달과 조속페달로서 모두 기능할 수 있다.
페달센서(143)는 조작페달(142)의 답량을 감지한다. 페달센서(143)에 의해 감지된 답량값은 제어기(181)로 보내진다. 그러면 제어기(181)는 답량값에 상응하는 변속을 실행시키도록 변속기(141)를 제어하거나, RPM을 조절하도록 구동엔진(111)을 제어하게 된다.
조속기(150)는 구동엔진(111)에서 작업기(WA)로 가는 작업동력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다. 운전자는 조속기(150)를 조작하여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속기(150)는 구동엔진(111)의 RPM을 소정의 설정값으로 설정시켜 놓을 수도 있다.
조속기(150)는 조속레버(151)를 가진다. 조속레버(151)는 도 3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조향핸들(132a)의 근방에 배치되어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운전자는 조속레버(151)를 일 측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조속레버(151)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구동엔진(111)의 RPM값을 일정값으로 설정시켜 놓을 수도 있다.
조속기(150)는 조속센서(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조속센서는 조속레버(151)의 변위값을 감지하여 제어기(181)로 보낸다. 그러면 제어기(181)는 조속레버(151)의 변위값에 상응하는 RPM값으로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한다.
부조종기(160)는 조작페달(142)과 별개로 변속기(141)를 조작하여 주행기(131)를 변속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 부조종기(160)는 조향핸들(132a)과 별개로 조향밸브(131a)를 작동시켜서 주행기(131)의 주행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부조종기(160)는 변속 및 조향을 위해 구비된다.
도 3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부조종기(160)는 막대형의 조작레버(161)를 가진다. 조작레버(161)는 운전석(DS)에 앉은 운전자가 왼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조작레버(161)는 조향핸들(132a)의 왼쪽 편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작레버(161)의 작동예에 대하여 잠시 살펴본다.
운전자는 왼손을 이용하여 조작레버(161)를 제1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미는 조작으로 조작량에 상응하는 전진 변속 또는 후진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운전자는 왼손을 이용하여 조작레버(161)를 제2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미는 조작으로 주행기(131)의 주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또, 운전자는 왼손을 이용하여 조작레버(161)를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미는 조작으로 변속 및 주향 방향의 전환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레버(161)의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값은 변속량을 결정하고,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값은 조향량을 결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는 농용 트랙터(10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특정 방향으로 조작레버(161)를 밀어서 농용 트랙터(100)를 의도하는 차속으로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방식은 운전자로 하여금 조작레버(161)의 조작에 대한 직관성을 향상시킨다.
물론, 부조종기(160)는 조작레버(161)의 변위값을 감지하기 위한 변위센서(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변위센서는 감지된 변위값을 제어기(181)로 보낸다. 그러면 제어기(181)는 전후 방향의 변위값에 상응하는 변속이 실행되도록 변속기(141)를 제어하고, 좌우 방향의 변위값에 상응하는 조향이 실행되도록 조향밸브(131a)를 제어한다.
주차브레이크(172)는 농용 트랙터(100)가 주차 상태일 때 농용 트랙터(100)의 정지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기(181)는 운전자에 의해 작업조종기(120), 조향기(132), 조작페달(142), 조속기(150) 및 부조종기(160)가 조작되면, 조작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기(181)는 조종레버(121)를 통해 작업조종기(120)가 조작되면 연결기(112)를 제어하여 작업기(WA)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작업기(WA)로 로더(LD)가 적용된 경우, 작업조종기(120)가 조작되면 제어기(181)는 조종레버(121)의 변위값에 상응하여 로더(LD)가 작동되도록 연결기(112)를 제어한다. 이 예시에서의 연결기(112)는 유압실린더(C1, C2)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도시되지 않음)와 유압회로(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제어기(181)의 제어에 따라 유압실린더(C1, C2)가 작동하게 되면, 버킷(BK)과 붐(BM)이 움직이면서 로더(LD)는 운전자가 조종하는 대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기(181)는 조향핸들(132a)을 통해 조향기(132)가 조작되면 조향밸브(131a)를 제어하여 조향핸들(132a)의 회전량에 상응하는 만큼 전륜(FW)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어기(181)는 조작페달(142)이 조작되면 변속기(141)를 제어하여 조작량에 상응하는 변속을 실행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제어기(181)는 조작페달(142)이 조작되면 조작량에 상응하는 RPM값을 가지도록 구동엔진(111)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기(181)는 조속레버(151)를 통해 조속기(150)가 조작되면 조작량에 상응하는 RPM값을 가지도록 구동엔진(111)을 제어한다. 만일 조속레버(151)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면, 제어기(181)는 일정 위치에 상응하는 설정값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엔진(111)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제어기(181)는 조작레버(161)를 통해 부조종기(160)가 조작되면 변속기(141)를 제어하여 조작량에 상응하는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제어기(181)는 조작레버(161)를 통해 부조종기(160)가 조작되면 조향밸브(131a)를 제어하여 조작량에 상응하는 만큼 전륜(FW)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운전자 입장에서는 조속레버(151)의 조작과 조작페달(142)의 조작에 의해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운전자 입장에서는 조작페달(142)의 조작과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의해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 운전자 입장에서는 조향핸들(132a)의 조작과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의해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만, 운전자가 농용 트랙터(100)를 조종하는 데 있어서 혼선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드선택스위치(182)가 구비된다.
모드선택스위치(182)는 제어기(181)가 제1제어모드 또는 제2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1제어모드와 제2제어모드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용 트랙터(1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는 제어기(181)를 기능별로 세분화한 세부구성들이 제시되고 있다.
제어기(181)은 변속제어수단(181a), 엔진제어수단(181b) 및 조향제어수단(181c)을 포함할 수 있다.
변속제어수단(181a)는 기본적으로 조작페달(142)의 답량에 상응하여 변속기(141)를 제어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제어수단(181a)은 제2제어모드에서 페달센서(143)로부터 받은 조작페달(142)의 답량값을 엔진제어수단(181b)으로 보내도록 구현된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제어수단(181a)은 제2제어모드에서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상응하여 변속기(141)를 제어할 수 있다.
엔진제어수단(181b)은 기본적으로 조속기(150)의 조작에 상응하여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수단(181b)은 제2제어모드에서 변속제어수단(181a)으로부터 받은 조작페달(142)의 답량값에 상응하여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도록 구현된다.
제2제어모드에서 조작페달(142)의 답량값은 페달센서(143)로부터 변속제어수단(181a)을 거쳐 엔진제어수단(181b)으로 보내진다. 이 때, 조작페달(142)의 답량값은 RPM값으로 환산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변속제어수단(181a) 또는 엔진제어수단(181b) 중 어느 하나는 조작페달(142)의 답량값을 RPM값으로 환산하는 환산기능을 가질 수 있다. 만일 변속제어수단(181a)에 환산기능이 부여되어 있으면, 변속제어수단(181a)에서 엔진제어수단(181b)으로 가는 답량값은 환산된 RPM값이 된다.
조향제어수단(181c)은 기본적으로 조향기(132)의 조작에 상응하여 조향밸브(131a)를 제어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조향제어수단(181c)은 제2제어모드에서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상응하여 조향밸브(131a)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모드>
도 5은 특히 제1제어모드를 보여주고 있다.
제1제어모드에서는 부조종기(160)에 의한 제어경로가 비활성화되어 있다.
제1제어모드에서 구동엔진(111)의 RPM 조절은 조속기(150)의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운전자가 조속레버(151)를 통해 조속기(150)를 조작하면 엔진제어수단(181b)이 구동엔진(111)을 제어함으로써 RPM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제1제어모드에서 전후진 주행을 위한 변속은 조작페달(142)의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1제어모드에서는 운전자가 제1조작페달(142a)과 제2조작페달(142b)을 모두 이용하여 전진변속과 후진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운전자에 의해 제1조작페달(142a)과 제2조작페달(142b)이 조작되면, 페달센서(143)가 답량을 감지한 후 감지값(답량값)을 변속제어수단(181a)으로 보낸다. 그러면 변속제어수단(181a)은 감지값에 상응하는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변속기(141)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제어신호는 조작페달(142)의 답량에 상응하여 변속기(14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통칭한다.
제1제어모드에서 주행 방향의 전환은 조향핸들(132a)을 통한 조향기(132)의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운전자가 조향핸들(132a)을 회전시키면 조향제어수단(181c)이 조향핸들(132a)의 회전량에 상응하도록 조향밸브(131a)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1제어모드에서 운전석(DS)에 있는 운전자는 조작페달(142)은 오른발, 조향핸들(132a)은 왼손, 브레이크페달(BP1, BP2)은 왼발, 조속레버(151)는 오른손, 조종레버(121)는 오른손을 이용하여 조작하면서 각각 전후진 변속, 주행 방향 전환, 감속 실행, RPM 설정 및 조절, 작업기(WA)의 작동을 실행시키면서 작업기에 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제어모드>
도 6은 특히 제2제어모드를 보여주고 있다.
제2제어모드에서는 부조종기(160)에 의한 제어경로가 활성화되어 있다.
제2제어모드에서 RPM 조절은 조작페달(142)의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운전자가 조작페달(142)을 조작하면, 페달센서(143)가 답량을 감지한 후 감지값(답량값)을 변속제어수단(181a)으로 보낸다. 그러면 변속제어수단(181a)은 감지값을 엔진제어수단(181b)으로 보낸다. 그리고 엔진제어수단(181b)은 감지값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구동엔진(111)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2제어신호는 조작페달(142)의 답량에 상응하여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통칭한다.
제2제어모드에서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작페달(142)은 제1조작페달(142a)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조작페달(142)이 조작되었어도 제1제어모드에서는 제어기(181)가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제어모드에서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제어신호는 변속기(141)를 제어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이고, 제2제어신호는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이다.
한편, 제2제어모드에서도 운전자는 조속레버(151)를 일정 위치로 고정시켜 놓을 수 있다. 그러면, 엔진제어수단(181b)은 조속레버(151)의 고정된 위치에 상응하는 설정값의 RPM값을 가지도록 구동엔진(111)을 제어한다. 그런데 만일 페달센서(143)로부터 감지값이 오게 되면, 엔진제어수단(181b)은 감지값에 따른 RPM값과 설정값에 따른 RPM값을 비교하여 더 큰 RPM값으로 구동엔진(111)을 제어한다.
제2제어모드에서 전후진 주행을 위한 변속은 조작레버(161)를 통한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2제어모드에서는 변속제어수단(181a)이 조작레버(161)의 전후 변위값에 상응하는 전진변속과 후진변속이 이루어지도록 변속기(141)를 제어한다.
제2제어모드에서 주행 방향의 전환은 조작레버(161)를 통한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제어모드에서는 조향제어수단(181c)이 조작레버(161)의 좌우 변위값에 상응하도록 조향밸브(131a)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석(DS)에 있는 운전자는 조향핸들(132a)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그대신 운전석(DS)에 있는 운전자는 조작레버(161)는 왼손, 브레이크페달(BP1, BP2)은 왼발, 조속레버(151)는 오른손, 조종레버(121)는 오른손, 조작페달(142)은 오른발을 이용하여 조작하면서 각각 전후진 변속 및 주행 방향 전환, 감속 실행, RPM 설정, 작업기(WA)의 작동, RPM 조절을 실행시키면서 작업기에 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제어모드에서의 조속기(150)는 운전자가 RPM값을 설정해 놓기 위해 사용되면 족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설정된 RPM값보다 높은 RPM값은 운전자가 조작페달(142)을 조작하여 얻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운전자는 제2제어모드인 경우에도 조향핸들(132a)을 사용하여 주행 방향의 전환을 꾀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운전자는 제2제어모드인 경우에도 조향핸들(132a)을 사용하여 주행 방향을 전환하거나 조작레버(161)를 사용하여 주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의 선택적인 사항일 수 있다. 다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제2제어모드에서 조향핸들(132a)을 이용한 조향경로를 비활성화시켜 놓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제2제어모드에서 조작페달(142)을 이용하여 RPM을 조절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운전자가 구동엔진(111)의 시동을 켜면, 제어기(181)는 제1제어모드로 동작<S10>하게 된다.
제어기(181)는 제1제어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모드선택스위치(182)가 조작되어 제2제어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S20>한다.
단계 S20에서 제2제어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제어기(181)는 계속해서 제1제어모드로 동작한다. 그런데 만일 단계 S20에서 제2제어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확인되면, 제어기(181)는 제2제어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점검을 실시한다. 즉, 제어기(181)는 제2제어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조건이 만족되는지를 점검<S30>한다. 여기서 진입조건은 변속기(141)와 주행기(131) 간의 변속단이 체결되어서 변속기(141)와 주행기(131) 간의 동력이 연결되어 있을 것, 주차브레이크(172)가 해제되어 있을 것, 구동엔진(111)의 RPM이 아이들 RPM일 것 등일 수 있다.
단계 S30에서 진입조건이 만족되지 못하면, 제어기(181)는 만족되지 못하는 사항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때의 알림은 시각 또는/및 청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30에서 진입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인되면, 제어기(181)는 대기모드로 진입<S40>한다.
대기모드에서 제어기(181)는 부조종기(160) 및 제1조작페달(142a)의 조작을 대기한다. 그리고 제어기(181)는 차속이 0km/h를 유지하도록 변속기(141)를 제어한다. 이 때 변속기(14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차속을 0km/h로 유지하기 위한 중립 제어신호이다. 이렇게 차속을 0km/h로 제어하는 이유는 차속이 0km/h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제어모드가 시작되면 예측할 수 없는 작동에 의해 위험이 초래될 수 있음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대기모드에서도 모드선택스위치(182)는 제2제어모드를 여전히 선택하고 있어야 하며, 진입조건도 만족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단계 S40에서 운전자가 조작레버(161)를 조작하면, 제어기(181)는 제2제어모드로 동작을 시작<S50>한다.
제2제어모드에서 제어기(181)는 조작레버(161)의 조작에 상응하는 전후진 변속 및 좌우 조향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변속기(141) 및 조향밸브(131a)를 제어한다. 이 때, 전후진 변속 및 조향은 차속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온 현재의 차속값 및 조향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온 현재의 조향값을 조작레버(161)의 조작값과 비교해 가면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181)는 운전자가 제1조작페달(142a)을 조작하였는지를 확인<S61>한다. 여기서의 확인은 제1조작페달(142a)의 조작에 의해 페달센서(143)로부터 감지값이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다.
단계 S61에서 제1조작페달(142a)이 조작되었음이 확인되면, 제어기(181)는 제1조작페달(142a)의 답량에 상응하는 감지값을 RPM값으로 환산<S62>한다. 그리고 제어기(181)는 단계 S62에서 RPM값으로 환산된 감지값을 조속기(150)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S63>한다.
이 후, 제어기(181)는 단계 S80에서 더 큰 RPM값을 선택하여 해당 RPM값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엔진(111)을 제어<S64>한다.
참고로, 단계 S50에 따라 제어기(181)가 제2제어모드로 동작을 시작하면 단계 S61 내지 S64에서의 RPM 조절 외에도, 전후진이나 조향도 제2제어모드에 따라서 조절된다.
<부가 설명>
위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3개의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첫째, 조작페달(142)이 제1제어모드에서는 변속페달로 기능하고 제2제어모드에서는 RPM을 조절하기 위한 RPM페달로 기능한다.
둘째,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조작레버(161)를 사용하여 전후진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래서 조작페달(142)에 다른 기능(본 실시예에서는 RPM 조절 기능)을 부여시킬 수 있다.
셋째,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조작레버(161)를 사용하여 주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그래서 조향핸들(132a)은 농용 트랙터(100)의 운전과 무관해질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조향핸들(132a)을 사용하지 않고도 주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 3개의 중요한 특징들은 농용 트랙터(100)에 각각 적용될 수도 있고,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바꿔 말하면, 위 3개의 중요한 특징들은 어느 하나 이상이 농용 트랙터(100)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위의 특징들이 모두 적용된 농용 트랙터(100)는 제2제어모드에서 조작페달(142)이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전후진 변속과 조향은 하나의 조작레버(161)가 담당한다. 또한, 조속레버(151)는 RPM값을 설정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서 종래와 달리, 운전자는 작업 도중에 RPM을 상승시키기 위해 조종레버(121)에서 그의 오른손을 떼지 않아도 좋다. 즉, 운전자는 조종레버(121)로 작업기(WA)를 조종함과 동시에 조작페달(142)로 구동엔진(111)의 RPM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기(WA)의 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만큼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에도,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제1제어모드와 제2제어모드는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제1제어모드로 작업을 수행하거나 제2제어모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며, 다양한 응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이 위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국한되게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대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별도로 기재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농용 트랙터
111 : 구동엔진
112 : 연결기
120 : 작업조종기
121 : 조종레버
131 : 주행기
FW : 전륜 131a : 조향밸브
132 : 조향기
132a : 조향핸들
141 : 변속기
142 : 조작페달
143 : 페달센서
150 : 조속기
160 : 부조종기
161 : 조작레버
172 : 주차브레이크
181 : 제어기
182 : 모드선택스위치

Claims (11)

  1. RPM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엔진(111);
    상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기(WA)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112);
    상기 작업기(WA)의 작업동작을 조종하기 위한 작업조종기(120);
    상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며, 주행 방향의 전환을 위한 조향바퀴를 가지는 주행기(131);
    상기 주행기(131)에 의한 주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핸들(132a)을 가지는 조향기(132);
    상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을 상기 주행기(131)로 전달하며, 상기 주행기(131)를 변속시키기 위해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변속기(141);
    상기 변속기(141)를 조작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거나 상기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페달(142);
    상기 조작페달(142)의 답량을 감지하기 위한 페달센서(143);
    상기 페달센서(143)로부터 감지된 상기 조작페달(142)의 답량에 상응하는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조작페달(142)의 답량에 상응하는 상기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제어기(181); 및
    상기 제어기(181)가 상기 제1제어모드 또는 상기 제2제어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18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181)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제어신호는 상기 변속기(141)를 제어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181)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2제어신호는 상기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이며,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조작페달(142)을 조작하여 상기 변속기(141)에 의한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조작페달(142)을 조작하여 상기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면서 상기 작업조종기(120)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기(WA)에 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농용 트랙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엔진(111)에서 상기 작업기(WA)로 가는 작업동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할 수 있는 조속기(15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181)는 상기 조속기(150)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181)는 상기 조작페달(142)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할 수 있는
    농용 트랙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상기 제어기(181)는 상기 조속기(150)에 의해 설정된 RPM값과 상기 조작페달(142)의 조작에 상응하는 RPM값 중 더 큰 RPM값으로 상기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는
    농용 트랙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141)를 조작하여 상기 주행기(131)를 변속시키기 위한 부조종기(16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181)는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는 상기 페달센서(143)로부터 감지된 상기 조작페달(142)의 답량에 상응하여 상기 변속기(141)를 제어함으로써 변속을 실행시키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는 상기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변속기(141)를 제어함으로써 변속을 실행시키는
    농용 트랙터.
  5. RPM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엔진(111);
    상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기(WA)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112);
    상기 작업기(WA)의 작업동작을 조종하기 위한 작업조종기(120);
    상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며, 주행 방향의 전환을 위한 조향바퀴를 가지는 주행기(131);
    상기 주행기(131)에 의한 주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핸들(132a)을 가지는 조향기(132);
    상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을 상기 주행기(131)로 전달하며, 상기 주행기(131)를 변속시키기 위해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변속기(141);
    상기 변속기(141)를 조작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페달(142);
    상기 조작페달(142)의 답량을 감지하기 위한 페달센서(143);
    상기 변속기(141)를 조작하여 상기 주행기(131)를 변속시키기 위한 부조종기(160);
    상기 페달센서(143)로부터 감지된 상기 조작페달(142)의 답량에 상응하는 변속을 실행시키는 제1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상응하는 변속을 실행시키는 제2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제어기(181); 및
    상기 제어기(181)가 상기 제1제어모드 또는 상기 제2제어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18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조작페달(142)을 조작하여 상기 변속기(141)에 의한 변속을 실행시킬 수 있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부조종기(160)를 조작하여 상기 변속기(141)에 의한 변속을 실행시키면서 상기 작업조종기(120)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기(WA)에 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농용 트랙터.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131)는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조향밸브(131a)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기(181)는 상기 조향핸들(132a)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조향밸브(131a)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하는
    농용 트랙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조종기(160)는 상기 조향밸브(131a)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될 수 있고,
    상기 제어기(181)는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는 상기 조향핸들(132a)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조향밸브(131a)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하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는 상기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조향밸브(131a)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부조종기(160)는 막대형의 조작레버(16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161)가 제1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제어기(181)는 상기 변속기(141)를 제어함으로써 변속을 실행하고, 상기 조작레버(161)가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제어기(181)는 상기 조향밸브(131a)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하는
    농용 트랙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조종기(160)는 막대형의 조종레버(121)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161)는 상기 조향핸들(132a)의 좌측 편에 배치되고, 상기 조종레버(121)는 상기 조향핸들(132a)의 우측 편에 배치되어서 운전석(DS)에 앉은 운전자가 왼팔로는 상기 조작레버(161)를 조작할 수 있고 오른팔로는 상기 조종레버(121)를 조작할 수 있는
    농용 트랙터.
  9. RPM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엔진(111);
    상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기(WA)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112);
    상기 작업기(WA)의 작업동작을 조종하기 위한 작업조종기(120);
    상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며, 주행 방향의 전환을 위한 조향바퀴와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조향밸브(131a)를 가지는 주행기(131);
    상기 주행기(131)에 의한 주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핸들(132a)을 가지는 조향기(132);
    상기 구동엔진(111)의 구동력을 상기 주행기(131)로 전달하며, 상기 주행기(131)를 변속시키기 위해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변속기(141);
    상기 변속기(141)를 조작하여 변속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페달(142);
    상기 조작페달(142)의 답량을 감지하기 위한 페달센서(143);
    상기 조향밸브(131a)를 작동시켜서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시키기 위한 부조종기(160);
    상기 조향핸들(132a)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제1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부조종기(160)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제2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제어기(181); 및
    상기 제어기(181)가 상기 제1제어모드 또는 상기 제2제어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18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조향핸들(132a)을 회전시켜서 상기 조향밸브(131a)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운전자는 상기 부조종기(160)를 조작하여 상기 조향밸브(131a)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작업기(WA)에 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농용 트랙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모드에서 상기 조작페달(142)은 상기 구동엔진(111)의 RPM을 조절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농용 트랙터.
  11. 제1 항, 제5 항 또는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82)에 의해 상기 제2제어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기(181)는 차속을 0km/h가 되도록 상기 변속기(141)를 제어하는 상태로 운전자의 조작을 대기하는
    농용 트랙터.











KR1020230071239A 2022-06-10 2023-06-02 농용 트랙터 KR20230170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7728 WO2023239142A1 (ko) 2022-06-10 2023-06-07 농용 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0706 2022-06-10
KR1020220070706 2022-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572A true KR20230170572A (ko) 2023-12-19

Family

ID=8938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239A KR20230170572A (ko) 2022-06-10 2023-06-02 농용 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5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262A (ko) 1996-05-15 1997-12-10 조기현 농업용 트랙터의 엔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262A (ko) 1996-05-15 1997-12-10 조기현 농업용 트랙터의 엔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8239B2 (ja) 作業車
EP3436643B1 (en) Variable engine speed control
JP4785522B2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EP2993071B1 (en) Working vehicle
KR20140066712A (ko) 유압구동 작업기계를 작동시키는 시스템 및 구동제어 방법
JP2013148199A (ja) モータグレーダ
US6357232B1 (en) Differential pedal interface system for a cycling type work machine
KR101391570B1 (ko) 지게차의 주행조종장치
KR20230170572A (ko) 농용 트랙터
JP5113921B2 (ja) ホイールローダ
US10151081B2 (en) Work vehicle
JP2008196600A (ja) 作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6961643B2 (ja) ホイール式作業車両
JP2021107689A (ja) 作業車両
CN110654233A (zh) 作业车辆
JP2008223865A (ja) 作業車両
KR102303577B1 (ko)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농업용 작업기
JP6137500B2 (ja) 作業車両
JP6852257B2 (ja) 作業車両
KR102304523B1 (ko)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농업용 작업기
KR102303574B1 (ko)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농업용 작업기
JP2772540B2 (ja) ホイール式ショベルの走行制御装置
JP2018144684A (ja) 作業車両
JP2004169569A (ja) 油圧走行システム
JPH0365472A (ja) 履帯式トラクタの操向変速操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