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480B1 -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 및 그 캡을 내측 마개에 부착하는데 이용하는 지그 - Google Patents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 및 그 캡을 내측 마개에 부착하는데 이용하는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480B1
KR100639480B1 KR1020007000637A KR20007000637A KR100639480B1 KR 100639480 B1 KR100639480 B1 KR 100639480B1 KR 1020007000637 A KR1020007000637 A KR 1020007000637A KR 20007000637 A KR20007000637 A KR 20007000637A KR 100639480 B1 KR100639480 B1 KR 10063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ylinder
outer cylinder
inner stopp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068A (ko
Inventor
후지타카시
타무라마사루
키시타카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850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59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351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595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10022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3Membranes with a tea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5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especially suited for or with means facilitating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6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7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means to relatively position plural wor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폐기시에 타전된 내측 마개가 용기구부로부터 간단히 빼내지도록 한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를 구성하는 내측 마개와, 이 내측 마개를 막아덮는 캡을 제공한다.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에 있어서, 내측 마개와 캡으로 되며, 상기 내측 마개는 내통과 외통과 이음부로 이루어지는 용기 입구부에 끼워부착되는 끼움결합부와, 이 끼움결합부의 내통의 상방에 연장설치되는 나사부착통과, 나사부착통에 연접된 주출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은 내측 마개의 나사부착통에 나사결합하는 측통벽과, 이 측통벽에 의해 확경되며, 상기 내측 마개부의 이음부 및 외통을 덮는 덮개통을 갖고 있으며,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에는 하단부에 연결부를 두어 홈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에 상기 홈에 연속하는 홈을 설치하고, 이음부하면에 홈에 이어서 절개홈을 외통을 따라서 소정 범위에 설치하고,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의 하단 외주에 플랜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이 내측 마개를 회동불능으로 지지하는 지지용 지그가 제공된다.
액 주출 용기, 덮개부재, 캡, 내측 마개, 나사부착통, 용기 입구부

Description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 및 그 캡을 내측 마개에 부착하는데 이용하는 지그{INNER PLUG AND CAP FOR LIQUID INJECTION CONTAINERS, AND JIG USED TO FIX CAP TO INNER PLUG}
본 발명은 액 주출 용기(液注出容器) 특히 사용후에 내측 마개(inner plug;中栓)를 용기 입구부로부터 간단히 빼내는 것이 가능한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이 내측 마개를 덮는 캡에 관한 것으로, 또한 내측 마개와 캡의 나사결합체결부착에 있어서 이용되는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jig)에 관한 것이다.
사용이 끝난 액 주출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 용기의 폐기시에 용기의 소재 수지와 다른 수지재료로 형성된 내측 마개 및 캡을 용기 입구부로부터 벗겨내어 용기와 별개로 폐기하는 것이 종래에 의해 장려되고 있다.
그러나 마개를 내리쳐서(타전(打栓)이라함) 용기 입구부에 부착시킨 내측 마개를 용기 입구부로부터 벗겨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고 간단히 빼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각 가정에서는 내측 마개를 부착한 그대로 용기를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중은 용기내부를 기밀하게 밀봉함과 동시에 폐기시에는 타전된 내측 마개를 용기 입구부로부터 간단히 빼어내도록 한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가 요망되고 있다.
두번째로, 격벽(隔壁)의 제거가능부를 제거해서 주출공을 개공하도록 한 타전식 내측 마개와, 상기 내측 마개를 덮는 캡을 포함하는 액 주출 용기는 종래부터 과잉포장되지 않기 위해 캡을 덮고 밀봉포장을 하지 않고서 그대로 상점에 진열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내측 마개 끼움결합부의 외통과 이음부(肩壁)에 홈을 설치하여 외통을 잘라내어 내측 마개를 용기 입구부로부터 간단히 빼내도록 하면 밀봉포장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품을 손에 쥐고 고의로 캡을 벗겨서 외통에 설치된 따개부(摘部)를 가지고 외통을 열어서 연결부를 절단하거나 외통을 잘라 찢는 것과 같은 행위가 행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상점에 진열된 상품에 부정행위가 행해지는지 여부를 캡을 벗기지 않고 밖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이 요구되고 있다.
세번째로서, 용기의 내용액 충진공정에 있어서, 내용액 충진후에 캡과 나사결합되어 끼워진 내측 마개를 용기입구부에 타전해서 밀봉하는 것, 충전시에 가열충전한 후에 용기의 위로부터 냉각수를 부어서 내용액을 냉각하는 것은 종래부터 보통으로 실시되고 있었으며, 캡의 나사결합에 있어서는 내측 마개를 지그의 내측 마개 지지부재에 끼움과 동시에 내측 마개 끼움결합부의 외통(外筒) 외주(外周)를 끼움지지부재에 체결부착하여 내측 마개가 회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내측 마개 끼움결합부의 외통에 홈을 설치하고, 이음부에 상기 홈에 연속하는 홈을 설치하면 냉각수가 용기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캡으로서 내측 마개끼움결합부의 이음부과 외통을 덮는 덮개통을 가지는 캡을 이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외통을 덮는 덮개통이 장애로 되어 끼움결합부의 외통 외주를 끼움지지부재에 체결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캡을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것을 해결하는 것이 새로운 과제로 되었다.
본 발명은 용기의 폐기시에 타전된 내측 마개가 용기구부로부터 간단히 빼내지도록 한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를 구성하는 내측 마개와 이 내측 마개를 밀폐하여 덮는 캡을 제공하는 것을 제 1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에 있어서, 내측 마개와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는 내통과 외통과 이음부로 이루어져 용기 입구부에 끼워부착되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통(內筒)의 상방에 연장설치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나사결합부에 연접된 주출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은 내측 마개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하는 측통벽과, 상기 측통벽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내측 마개의 이음부 및 외통을 덮는 덮개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에 홈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에 상기 외통에 설치된홈에 연속하는 홈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 하면에 상기 홈에 이어서 절개홈을 외통을 따라서 소정 범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 주출용기의 덮개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함과 함께, 상품에 대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외통의 연결부가 절단되었는지 여부를 캡을 벗겨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을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측 마개와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는 내통과 외통과 이음부로 이루어지고 용기입구부에 끼워 결합되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통 상방에 연하여 설치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에 연접된 주출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은 내측 마개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하는 측통벽과, 상기 측통벽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내측 마개의 이음부 및 외통을 덮는 덮개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에는 하단부에 연결부를 남겨두고 홈을 설치하며, 상기 이음부에 상기 외통에 설치된 홈에 연속하는 홈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 하면에 상기 홈에 이어서 절개홈을 외통을 따라서 소정 범위에 설치하고,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 하단이, 캡 덮개통 하단보다 하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에 있어서, 내측 마개와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는 내통과 외통과 이음부로 이루어지고 용기입구부에 끼워 결합되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통 상방에 연하여 설치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에 연접된 주출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은 내측 마개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하는 측통벽과, 상기 측통벽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내측 마개의 이음부 및 외통을 덮는 덮개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에는 하단부에 연결부를 남겨두고 홈을 설치하며, 상기 이음부에 상기 외통에 설치된 홈에 연속하는 홈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 하면에 상기 홈에 이어서 절개홈을 외통을 따라서 소정 범위에 설치하고,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의 하단 외주에 플랜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가 제공된다.
끼움결합부의 외통이 잘려졌는지 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마개의 색과 캡의 색을 다르게 하여도 좋다. 외통의 연결편과 함께 이음부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캡은 투명 또는 반 투명의 합성수지로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내측 마개의 액 주출통에 연접해서 설치한 계지부(係止部)에 계합(係合)해서 내측 마개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한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제3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주출통과 나사결합부과 외통 및 내통을 포함하는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내측 마개를 회동불능으로 지지하는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에는 주출통과 나사결합부와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서 종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그의 내측 마개 지지부재는 상기 내통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가지는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하며, 주출통과 나사결합부와의 간격과 거의 같은 두께를 가지는 원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부에 상기 종리브에 대응하는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가 제공된다. 또한 주출통과 나사결합부와 외통 및 내통을 포함하는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내측 마개를 회동불능으로 지지하는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의 주출통의 이음부 하면에는 주출통에 연속하는 내벽이 수직설치되며, 상기 내벽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에 소정간격을 두고서 종리브가 수직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용 지그의 내측 마개 지지부재는 지지대와 상기 내측 마개의 종리브에 계합하는 종홈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내측 마개의 내벽내주에 끼워삽입되는 외주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와 캡과 용기 입구부를 조립한 상태의 일부 단면 배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있어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태양의 캡의 일부단면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와 캡과 용기 입구부를 조립한 상태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 1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에 있어서 내측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태양의 캡의 일부단면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와 캡을 조립한 상태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태양을 도시하며, 지그와 내측 마개와 캡의 일부의 단면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지그의 일부단면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태양을 도시하며, 지그와 내측 마개와 캡의 일부 단면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지그의 일부단면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지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 및 캡에 있어서의 제 1 실시 태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A는 용기 입구부, B는 내측 마개, C는 캡이다.
어느 것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내측 마개(B)와 캡(C)은 용기와 다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용기 입구부(A)는 결합돌기(1)와 지지돌기(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마개(B)는 용기 입구부(A)에 내측 마개를 끼워부착하는 끼움결합부(3)와, 나사결합부(5)와, 상기 나사결합부(5)에 연접한 주출통(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결합부(3)는 외통(6)과 내통(7)과 이음부(8)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결합부(5)는 내통(7)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외통(6)의 하단부 내주에는 결합돌기(9)가 직경방향 내방으로 향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9)는 용기 입구부(A) 외주에 설치된 결합돌기(1)와 결합한다. 내통(7)의 외주면 상방에는 조임대를 형성하는 팽출부(10,膨出部)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마개를 끼워 결착하는 경우에는 내통(7)의 팽출부(10)가 용기 입구부(A) 내주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통(6)의 결합돌기(9)가 용기 입구부(A)의 결합돌기(1)의 하단에 결합하여 내측 마개(B)를 용기 입구부(A)에 끼워 결착된다.
그래서 내통(7)이 용기 입구부(A)의 내주면에 밀착하고, 이음부(8)가 용기 입구부(A) 상단면에 밀착해서 용기 내부가 밀봉된다.
외통(6)의 소정의 개소에는 하단부에 연결부(11)를 남겨두고 홈(12)이 설치된다. 이음부(8)에도 홈(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홈(13)은 외통(6) 내주를 따라서 연장하며, 외통에 설치된 홈(12)에 연속한다. 이들 두 개의 홈에 의해서 외통(6)의 주변벽에 따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따개부(14)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부(15)가 새겨설치되며, 당겨 찢음에 있어서 손가락 선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음부(8)의 하면에는 V자형의 절개홈(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개홈(16)은 상기 이음부 홈(13)에 연결되며, 외통(6) 내주를 따라서 적어도 180도를 넘는 각도 범위로 설치되어 있다.
나사결합부(5)의 외주에는 나사산(17)이 나설되어 있다. 상기 나사결합부(5)의 상단에는 내방으로 지지벽(18)이 연장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벽(18)으로부터 주출통(4)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지지벽(18)의 하방에는 나사결합부(5)의 내주와 주출통(4) 외주와의 사이에, 복수의 보강 리브(19)가 배설되며, 주출통(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주출통(4)의 상단 주변에는 외방으로 확장 개방되어 만곡하는 주출구 입술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격벽(21)이 연장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21)의 하면에는 역 V자형의 절개홈(22)이 설치되어 있다. 절개홈(22)에 둘러싸여진 격벽(21)의 부분은 제거가능부(23)로 이루어진다. 제거가능부(23)는 용기사용시 액 주출구로 된다.
도 1,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부(23)의 상면으로부터 연결편(24)이 상방으로 연장하며, 연결편(24)의 상단에는 손걸음링(25)이 설치되어 있다. 단 도 4의 A-A단면에 있어서는 연결편(24)은 보이지 않는데, 연결편(24)의 측변형상을 도시하기 위해 도 4에 있어서는 점선에 의해 연결편(24)이 도시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C)은 상부벽(30)과 측통벽(31)과 측통벽(31)의 하방에 설치된 용기덮개통(32)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벽(30)의 하단에는 횡단면이 링형상의 슬리브(33)가 수직설치되어 있다. 측통벽(31)의 내주에는 내측 마개(B)의 나사결합부(5)의 나사산(17)에 나사결합하는 나사산(34)이 나설되어 있다.
측통벽(31)의 하단에는 플랜지 형상으로 확장하는 이음부(35)가 연장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부(35)의 외주 가장자리에서부터 측통(36)이 수직하향하고 있다.
이음부(35)와 측통(36)에 의하여, 내측 마개(B)의 끼움결합부(3)에 접합하는 용기덮개통(32)이 구성된다.
캡(C)을 내측 마개(B)에 나사결합으로 체결하면 슬리브(33)의 외주는 주출통(4)의 내주에 끼움결합하여 주출통(4)을 밀봉하고, 용기덮개통(32)은 내측 마개(B)의 끼움결합부(3)의 이음부(8)와 외통(6)의 외주면에 접합하여 덮어끼워진다.
다음으로 액 주출 용기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 주출 용기는 가열살균된 내용액이 충진되며, 충진후에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이 경우 캡(C)의 용기덮개통(32)에 의해서 내측 마개(B)의 끼움결합부(3)가 덮혀 있으므로, 끼움결합부(3)의 외통 및 이음부(8)에 각각 홈(12) 및 홈(13)이 설치되어 있어도, 냉각수가 내측 마개(B)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용기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의 사용시에는 손걸음링(25)에 손을 걸어 이 링(25)를 상방으로 잡아 당긴다. 절개홈(22)을 따라서 격벽(21)의 제어가능부(23)가 제거되며, 액 주출구가 형성된다.
액 주출후에 캡(C)을 내측 마개(B)에 덮어끼우면, 용기덮개통(32)에 의해서 내측 마개(B)의 끼움결합부(3)를 덮고 있으므로, 대기중의 먼지티끌이 쌓이지 않게 된다.
내용액의 사용 종료후에 용기를 폐기하는 경우에는 내측 마개(B)의 외통(6)의 따개부(14)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이음부(8) 하면에 설치된 절개홈(16)을 절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적어도(180)도를 넘어서 절개홈(16)이 절개되면, 외통(6) 내주의 결합돌기(9)가 용기 입구부(A)의 결합돌기(1)로부터 이탈하여 외통(6)과 용기 입구부(A)와의 끼움결합력이 약해지게 된다. 남은 끼움결합력은 내통(7)의 팽출부(10)와 용기 입구부(A) 내주와의 사이의 체결부만 결합하고 있으므로, 내측 마개(B)는 간단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에 관한 제 2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A2는 용기 입구부, B2는 내측 마개, C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캡이다.
용기, 내측 마개(B2), 캡(C2)은 어느 것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소재 수지를 다르게 하고 있다. 캡(C2)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 입구부(A2)는 결합돌기(41)와 지지돌기(4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실시태양과 마찬가지로, 도 8-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마개(B2)는 끼움결합부(43)와 나사결합부(45)와, 주출통(4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끼움결합부(43)는 외통(46)과 내통(47) 및 이음부(48)로 이루어진다.
외통(46)의 하단부 내주에는 결합돌기(49)가 직경방향 내방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결합돌기(49)는 용기 입구부(A2) 외주에 설치된 결합돌기(41)에 결합한다. 제 2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외통(46)의 하단부 외주에는 플랜지(50)가 직경방향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내측 마개 끼움부착시에는 제 1실시예와 같이, 내통(47)의 팽출부(51)가 용기 입구부(A2) 내주에 끼움결합되며, 외통(46)의 결합돌기(49)가 결합돌기(41) 하단에 계합하여 내측 마개(B2)를 용기 입구부(A2)에 끼워부착한다. 내통(47)이 용기 입구부(A2)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이음부(48)가 용기 입구부(A2) 상단면에 밀착해서 용기내부가 밀봉된다.
도 8-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46)에는 홈(5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53)은 외통(46)의 하단부에 연결부(52)를 남겨 놓고 외통(46)을 원주방향으로 구분하고 또한 플랜지(50)을 분단한다. 이음부(48)에는 홈(54)이 설치되어 있으며, 홈(53,54)에 의해서 외통(46)의 주벽에 따개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따개부(55)의 표면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미끄럼방지부(5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이음부(48)의 하면에는 역 V자형의 절개홈(5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절개홈(57)은 홈(54)에 연속하여, 외통(46)의 내주에 따라서 적어도 180도를 넘는 각도 범위로 설치되어 있다.
나사결합부(45)의 외주에는 나사산(58)이 나설되어 있다. 나사결합부(45)의 상단에는 내방으로 연장하는 지지벽(59)이 연접되어 있으며, 이 지지벽(59)으로부터는 주출통(44)이 상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주출통(44)의 상단 원주 가장자리에는 외방으로 확장개방되어 만곡하는 주출구입술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음부(61) 하면에는 주출통(44)의 하방에 내벽(62)이 설치되어 있다. 내벽(62) 내주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종단 리브(63)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종단 리브(63)는 내벽(62)의 하단에 연장한다.
이음부(61)의 하면에는 역 V자형상의 절개홈(64)이 설치되어 있다. 절개홈(64)에 둘러싸여진 이음부(61)의 부분은 제거가능부(65)로 되어 있다. 제거가능부(65)의 상면으로부터는 연결편(66)이 상방으로 연장하며, 연결편(66)의 상단에는 손걸음링(67)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C2)은 상부벽(70)과 측통벽(71)과 용기통(72)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캡(C2)은 투명 또는 반투명이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부벽(70)의 하면에는 슬리브(73)가 수직하향하며, 측통벽(71)의 내주에는 나사산(74)이 나설되어 있다. 측통벽(71)의 하단에는 플랜지형상으로 넓은 이음부(75)이 연장설치되어 있으며, 이음부(75)의 내주로부터 측통(76)이 직하하고 있다.
제 2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캡(C2)의 측통(76)의 내주면의 상단과 하단(77)의 길이X(도12)는 내측 마개(B2)의 내통의 상단면과 플랜지(50)의 상면과의 사이의 길이Y(도 8)와 같은데, 다소 짧게되어 있다. 제 2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캡(C2)을 내측 마개(B2)에 나사결합체결하면, 용기덮개통(72)은 외통(46)의 플랜지(50)에 의해 상방의 외주면을 덮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액 주출 용기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태양은 상기 제 1 실시태양과 같은 작용, 효과에 부가하여 특히 다음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내용액을 충진한 용기의 판매시에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해 내측 마개의 연결부가 절단된 경우에는 내측 마개 외통(46)의 하단부에 연결부(52)를 두고서 플랜지(5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캡(C2)을 덮은 그대로 연결부(52)를 밖으로부터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품으로서의 적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캡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고 있으므로, 외통(46)의 연결부(52)의 절단과 동시에 이음부(48)의 절개홈(57)의 찢어짐의 유무도 밖으로부터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내측 마개와 캡에 관한 제 3실시태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 2 실시태양에서는 내측 마개끼움결합부의 외통하단에 플랜지를 설치하고 있는데, 캡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는 없어도 좋다.
도 13에 있어서, B2a은 내측 마개, C2는 캡이다. 내측 마개B2a에는 외통(46a)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내측 마개(B2a)끼움결합부(43a)의 외통(46a)의 외주면은 캡(C)의 측통(76) 내주면과 동일 직경의 원주면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에 상당하는 높이(Z)에서 외통(46a)은 캡(C2)의 측통(76) 하단으로부터 돌설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내측 마개 외통의 연결부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캡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되어있으므로, 사용자는 캡을 통해서 이음부의 상태를 볼 수 있다.
또한 캡이 투명인 경우에는 캡의 용기덮개통을 외통의 하단까지 덮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캡의 투명벽면을 통해서 연결부의 상태와 함께 이음부의 상태를 명료히 볼 수 있다.
상기 제 2, 제 3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캡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고 있는데, 내측 마개와 다른 색이어도 좋다. 캡의 색이 내측 마개의 색과 다르게 되어 있으면 외통의 플랜지를 색채상으로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결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음부의 절개홈이 절열되며, 외통이 취출제거된 경우에는 플랜지의 색채를 볼 수 없게 되므로 부정행위를 직접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캡의 색이 내측 마개의 색과 다르게되는 경우에는 플랜지는 없어도 좋다. 이 경우 부정행위가 행해진 경우에는 내측 마개 자체의 색채가 없어지게 되므로, 상기 각 실시태양과 같이 부정행위가 행해지는 것을 직접적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내측 마개의 지지용 지그에 관한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태양은 내용액 충진공정에서 타전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태양으로서 설명한 내측 마개 캡(도 1-6참조)을 나사결합체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가다.
이하 지그의 구성과, 내측 마개와 지그의 관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B는 내측 마개, C는 캡, D는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이다.
도 15,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 D는 기초부재(80)와 이 기초부재(80)상에 수직설치된 지지부재(81)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부재(81)는 원주부(82)와 상기 원주부(82) 외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원통부(8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주부(82)는 내측 마개(B) 끼움결합부(3)의 내통(7)의 내경과 동일의 외경을 가진다. 원통부(83)은 주출통(4)과 나사결합부(5) 사이의 간격과 같은 두께 T를 가진다. 원통부(83)에는 내측 마개(B)의 주출통(4)과 나사결합부(5)와의 사이에 형성된 보강리브(19)에 대응해서 복수의 슬릿(8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84)의 각각은 보강리브(19)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가지며, 보강리브(19)가 삽입된다.
다음으로,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의 사용상태와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용액이 용기에 충진된 후 본 발명의 내측 마개는 캡을 나사결합하며, 캡이 나사결합된 내측 마개를 용기 입구부에 타전한다.
내측 마개(B)에 캡(C)이 나사결합하는 경우에, 지그의 지지부재(81)의 원통부(83)에 내측 마개(B)의 끼움결합부(3)의 내통(7)을 끼워삽입하고, 내측 마개(B)의 보강리브(19)를 슬릿(84)에 삽입한다. 원통부(83)의 선단은 내측 마개(B)의 주출통(4)의 지지벽(18)에 접하기까지 들어가며, 원주부(82)는 내통(7)에 끼움결합한다.
따라서 내측 마개(B)는 지지용 지그(D)에 회동불능으로 지지되며, 캡(C)을 용이하게 내측 마개(B)에 나사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보강리브(19)를 지그(D)에 설치한 슬릿(84)에 결합하고 있다. 이 대신에, 주출통(4)과 나사결합부(5)의 사이에 원형단면으로 한 다수의 긴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지지용 지그(D)의 원통부(83)에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되는 돌출봉을 돌출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내측 마개의 지지용 지그에 관한 제 5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5 실시태양은 상기 제 2 실시태양의 내측 마개에 캡(도 7-12참조)을 나사결합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내측 마개용 지그이다.
도 17에 있어서, B2는 내측 마개, C2는 캡, Da는 내측 마개의 지지용 지그이다.
도 18,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Da)는 기초부재(90)와 이 기초부재(90)상에 축선을 동일하게 해서 수직설치된 내측 마개의 지지부재(91)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부재(91)는 지지대(92)와 지지단부(93)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대(92)는 내측 마개(B2)의 주출통(44)으로부터 직하하는 내벽(62) 내주와 동일 직경으로 되어 있다. 지지단부(93)는 지지대(92)와 내벽(62) 하단을 위치시키고 있다. 지지대(92)의 외주에는 등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종홈(94)이 형성되어 있다. 종홈(94) 각각은 내측 마개의 종리브(63)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가지며, 지지대(92) 상단으로부터 지지단부(93)로 연장한다.
다음에 제 5 사용태양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캡(C2)을 나사결합하는 경우에, 내측 마개(B2)의 내벽(62)의 종리브(63)를 지그(Da)의 종홈에 넣고, 내벽(62)의 하단이 지지단부(93)에 접합하기까지 내측 마개(B2)를 삽입하여 내측 마개(B2)를 지그(Da)의 지지대(92)에 내측 마개(B2)를 위치시킨다.
따라서 내측 마개(B2)는 상기 제 4실시예와 같이, 지그(Da)에 의해서 회동불능으로 지지되며, 캡(C2)을 내측 마개(B2)의 나사결합부(45)에 나사결합끼움부착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는 내측 마개(B2)의 내벽(62)에 종리브(63)를 설치하고, 지그(Da)의 지지대(92) 주면에 종홈(94)을 설치하는데, 내벽(62)에 슬릿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고, 이 슬릿 또는 종홈에 끼워삽입하는 볼록(凸)부재를 지그(Da)의 지지대(92) 주면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특히 도 15-16에 도시되는 슬릿(84), 도 19-20에 도시되는 종홈(94)을 형성하지 않고, 이것을 대신하여 도 1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80)의 상부면외주부(103)에 오목함몰단부(10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오목함몰단부(100)내에는 도 5에 도시되는 결합돌기(9)가 배치된다. 오목함몰단부(100)에는 복수의 돌기(10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결합돌기(9)에는 돌기(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102)가 형성되어 있다(도5). 지그의 돌기(101)가 내측 마개의 절결부에 삽입되며, 지그에 의해서 내측 마개의 회동이 방지된다.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강리브(19), 그 변형인 주출통(4)과 나사결합부(5)에 설치된 긴 구멍, 제 5 실시태양에 있어서 종리브(63), 그 변형인 내벽(62)에 형성된 슬릿 또는 오목홈은 어느 것도 내측 마개의 주출통에 연접하여 설치된 계지부(係止部)로서 작용하며, 지지용 지그에 결합되어 내측 마개가 회동불능으로 지지되고 있다.
상기 각 실시태양에서는 캡의 용기통에 의해 내측 마개의 끼움결합부의 외통을 덮도록 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내측 마개는 용기통을 가지지 않는 캡을 이용한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회동을 저지하기 위해 끼움지지부재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므로 지그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과 같이 구성되므로,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내측 마개와 캡에 관한 제 1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내측 마개의 끼움결합부의 이음부의 하면에 외통내주를 따라서 절개홈을 소정 범위에 걸쳐 설치하므로, 외통의 따개부를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절개홈을 절개하고 외통주벽을 절개홈에 따라서 절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내측 마개의 제거가 간단하게 되며, 용기와 내측 마개와 캡과의 분별폐기에 유용하게 쓰는 것이 가능하다.
캡에 내측 마개의 끼움결합부의 외통과 이음부을 덮어싸는 용기덮개통을 설치하였으므로, 열 충진후의 냉각에 있어서 냉각수가 홈로부터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용기 사용중에 내측 마개의 끼움결합부에 먼지티끌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 마개와 캡에 관한 제 2, 3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캡의 용기통이 내측 마개외통하단의 플랜지 혹은 외통하단부를 덮고있지 않으므로, 캡을 벗겨내지 않고서도 외통 하단의 연결부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적합 부적합, 부정행위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캡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내측 마개의 외통의 연결부의 상태만아니고, 이음부의 상태를 캡의 상방으로부터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결부의 적합 부적합과 함께 이음부의 절개유무, 부정행위의 유무를 밖으로부터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캡의 색을 내측 마개의 색과 다르게되도록 한 경우에는 내측 마개의 외통을 색채 상으로 캡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결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의 절개홈이 절개되며, 외통이 벗겨진 경우에는 플랜지의 색채가 없어지게 되므로, 부정행위가 행해지는 것을 직접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측 마개의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는 내측 마개의 주출통에 연접해서 위치결정부재를 설치하고, 지지용 지그에 내측 마개의 위치결정부재에 계합하는 홈, 돌출부재 또는 슬릿 등의 계합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내측 마개의 회동을 저지하고, 내측 마개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내측 마개외통을 끼워지지하는 내측 마개 끼움지지부재는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은 용기내부를 밀봉하는 덮개부재로서 유용하며, 특히 내용액 사용 후에 내측 마개를 용기구부에 의해 간단히 빼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액 주출 용기의 폐기시에는 용기와 내측 마개, 캡을 분별해서 폐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폐기물에 이종 재료가 혼합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므로, 플라스틱의 재활용에 유용하게 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는 내측 마개의 주출통에 연접해서 설치된 계지부에 지그의 지지부재를 계합시키고 있으므로, 내측 마개의 회동을 완전하게 저지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게 되므로, 지지용 지그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사용이 끝난 액 주출 용기의 재활용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내측 마개와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는 내통과 외통과 이음부로 이루어지고 용기입구부에 끼워 결합되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통 상방에 연하여 설치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에 연접된 주출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은 내측 마개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하는 측통벽과, 상기 측통벽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내측 마개의 이음부 및 외통을 덮는 덮개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에 홈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의 상면(上面)으로부터 하면(下面)에 걸쳐서 상기 외통에 설치된 홈에 연속하는 홈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 하면에 상기 홈에 이어서 절개홈을 외통을 따라서 소정 범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 주출용기의 덮개부재.
  2. 내측 마개와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는 내통과 외통과 이음부로 이루어지고 용기입구부에 끼워 결합되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통 상방에 연하여 설치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에 연접된 주출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은 내측 마개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하는 측통벽과, 상기 측통벽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내측 마개의 이음부 및 외통을 덮는 덮개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에는 하단부에 연결부를 남겨두고 홈을 설치하며, 상기 이음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걸쳐서 상기 외통에 설치된 홈에 연속하는 홈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 하면에 상기 홈에 이어서 절개홈을 외통을 따라서 소정 범위에 설치하고,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 하단이, 캡 덮개통 하단 보다 하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
  3. 내측 마개와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는 내통과 외통과 이음부로 이루어지고 용기입구부에 끼워 결합되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통 상방에 연하여 설치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에 연접된 주출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은 내측 마개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하는 측통벽과, 상기 측통벽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내측 마개의 이음부 및 외통을 덮는 덮개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에는 하단부에 연결부를 남겨두고 홈을 설치하며, 상기 이음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걸쳐서 상기 외통에 설치된 홈에 연속하는 홈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 하면에 상기 홈에 이어서 절개홈을 외통을 따라서 소정 범위에 설치하고,
    상기 내측 마개의 외통의 하단 외주에 플랜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 주출 용기의 덮개부재.
  4.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의 색과 캡의 색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부재.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부재.
  6. 주출통과, 나사결합부과, 외통 및 내통을 포함하는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내측 마개를 회동불능으로 지지하는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에는 주출통과 나사결합부과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서 종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그의 내측 마개 지지부재는 상기 내통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가지는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며, 주출통과 나사결합부와의 간격과 거의 같은 두께를 가지는 원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부에 상기 종리브에 대응하는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
  7. 주출통과 나사결합부과 외통 및 내통을 포함하는 끼움결합부를 구비한 내측 마개를 회동불능으로 유지하는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의 주출통의 격벽 하면에는 주출통에 연속하는 내벽이 수직설치되며, 상기 내벽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서 종리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용 지그의 내측 마개 지지부재는 지지대과 상기 내측 마개의 종리브에 결합하는 종홈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내측 마개의 내벽 내주에 끼워삽입되는 외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마개 지지용 지그.
KR1020007000637A 1998-05-22 1999-05-21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 및 그 캡을 내측 마개에 부착하는데 이용하는 지그 KR100639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850098A JP3865936B2 (ja) 1998-05-22 1998-05-22 中栓およびキャップを具えた液注出容器
JP10/158500 1998-05-22
JP10/283518 1998-09-18
JP28351898A JP3865952B2 (ja) 1998-09-18 1998-09-18 中栓とその保持用治具
JP28351798 1998-09-18
JP10/283517 1998-09-18
PCT/JP1999/002691 WO1999061334A1 (fr) 1998-05-22 1999-05-21 Bouchon interieur et coiffe pour reservoirs d'injection de liquide et element de montage servant a fixer cette coiffe au bouchon interi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068A KR20010022068A (ko) 2001-03-15
KR100639480B1 true KR100639480B1 (ko) 2006-10-26

Family

ID=2732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637A KR100639480B1 (ko) 1998-05-22 1999-05-21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 및 그 캡을 내측 마개에 부착하는데 이용하는 지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247605B1 (ko)
EP (2) EP1371571B1 (ko)
KR (1) KR100639480B1 (ko)
CN (2) CN1274578C (ko)
AU (1) AU756095B2 (ko)
CA (1) CA2297690C (ko)
DE (2) DE69930326T2 (ko)
SG (1) SG100724A1 (ko)
TW (1) TW469249B (ko)
WO (1) WO19990613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030B1 (ko) 2006-08-22 2011-03-09 주식회사 에코웰스텍 병 및 병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4578C (zh) * 1998-05-22 2006-09-13 株式会社吉野工业所 瓶塞的保持用夹具
FR2806070B1 (fr) * 2000-03-09 2002-05-3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Procede et dispositif de bouchage d'un recipient et recipient pourvu d'un tel dispositif
AU2002350310A1 (en) * 2001-12-14 2003-06-30 Apc Products Limited Two piece screw cap closure
CA2406805A1 (en) * 2002-10-07 2004-04-07 Fernando Segovia Pull tab spout
AU2002951977A0 (en) 2002-10-10 2002-10-24 Leo Engineering Pty Ltd Improvements to two-part vessels
JP3971329B2 (ja) * 2002-10-23 2007-09-0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液体用容器のノズル構造
GB2399814B (en) * 2003-03-26 2007-05-09 Portola Packaging Ltd Closures and containers in combination therewith
CA2527007C (en) * 2003-05-27 2009-12-01 Portola Packaging, Inc. Method of joining separable components and container closure system formed by the same
ITGE20030080A1 (it) * 2003-10-15 2005-04-16 Invat Srl Tappo per contenitori con sigillo rompibile con la
US7720461B2 (en) * 2004-02-26 2010-05-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ity features
US20060163190A1 (en) * 2005-01-18 2006-07-27 Laveault Richard A Drinking spout and closure combination for a beverage container
US20060163252A1 (en) * 2005-01-24 2006-07-27 Letica Corporation Container
US20060278642A1 (en) * 2005-06-10 2006-12-14 Owens-Illinois Closure Inc. Plastic closure for containers
GB2435467B (en) * 2006-02-24 2008-04-30 Bapco Closures Res Ltd Closure
WO2008024775A1 (en) * 2006-08-21 2008-02-28 Tropicana Products, Inc. Closure for container
DE202006015686U1 (de) * 2006-10-14 2006-12-14 Schütz GmbH & Co. KGaA Schraubdeckel
FR2909979B1 (fr) * 2006-12-18 2009-01-23 Bericap Sarl Bouchon a moyen verseur avec une ouverture utilisant des pontets arrachables
WO2008080053A1 (en) * 2006-12-22 2008-07-03 Portola Packaging, Inc. Internal container bore mount fitment
EP1935796B8 (en) * 2006-12-22 2010-10-20 Airsec S.A.S. Container
US20090020530A1 (en) * 2007-07-17 2009-01-22 Baughman Gary M Plastic plug with overcap
US8061543B2 (en) * 2008-02-08 2011-11-22 Rieke Corporation Plastic plug with overcap, including wrench and method
ITVI20080142A1 (it) * 2008-06-13 2009-12-14 Omega S R L Assieme tappo-contenitore per fluidi con chiusura a scatto.
CN102105366B (zh) * 2008-09-30 2012-11-28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喷出容器用的喷出泵的头部侧模块以及喷出泵
US8407879B1 (en) * 2009-02-11 2013-04-02 Plastek Industries, Inc. Applicator filling/assembly method
WO2010096326A1 (en) * 2009-02-20 2010-08-26 Rexam Closure Systems Inc. Hinged dispensing closure
KR200461241Y1 (ko) * 2010-06-07 2012-06-28 씨제이제일제당 (주)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FR2963779B1 (fr) * 2010-08-11 2012-09-21 Nouvelle Manufacture Bourguignonne De Plastique Bouchon en plastique comportant des moyens autorisant le passage d'air lors de l'ecoulement de liquide a travers le bouchon
US8733600B2 (en) * 2011-01-20 2014-05-27 Fres-Co System Usa, Inc. Dispensing closure system, flexible package with a dispensing closure system, method of filling the same by a form-fill-seal machine and method of dispensing a flowable product from said package
CN104093641A (zh) * 2012-01-20 2014-10-08 阿德Mp集团荷兰有限公司 具有适配件、盖和密封薄膜的用于容器的盖单元
JP6340322B2 (ja) * 2013-01-25 2018-06-06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の封止装置
KR200474356Y1 (ko) * 2013-07-18 2014-09-05 씨제이제일제당 (주)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WO2015053288A1 (ja) * 2013-10-08 2015-04-16 東洋製罐株式会社 容器蓋の外付け部材
FR3021302B1 (fr) * 2014-05-23 2016-05-27 Procap France Corps de bouchon pour une bouteille et bouchon comportant ce corps
CN104443730B (zh) * 2014-09-29 2017-04-12 中山环亚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塑料瓶
EP3214005B1 (en) * 2016-03-04 2019-02-2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welding promoting element for a closure of an opening device
SG11201901400TA (en) 2016-09-19 2019-04-29 Mccormick & Co Inc Three door lid and container utilizing the same
USD850912S1 (en) 2016-09-19 2019-06-11 Mccormick & Company, Incorporated Three door container lid
USD845139S1 (en) 2016-09-19 2019-04-09 Mccormick & Company, Incorporated Spice container
USD846398S1 (en) 2016-09-19 2019-04-23 Mccormick & Company, Incorporated Container with three door lid
DE102016124947A1 (de) 2016-12-20 2018-06-21 Bericap Holding Gmbh Ausgießverschluss
JP6895764B2 (ja) * 2017-02-16 2021-06-30 ライオン株式会社 キャップ
JP6846960B2 (ja) * 2017-03-13 2021-03-24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7081986B2 (ja) * 2018-06-05 2022-06-07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7258687B2 (ja) * 2019-07-31 2023-04-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CN110979974B (zh) * 2019-10-31 2021-04-13 南京赛格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式的试剂容器密封装置
KR102596452B1 (ko) * 2021-05-20 2023-10-31 주식회사 삼화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
USD981234S1 (en) 2021-09-15 2023-03-21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D1012705S1 (en) 2021-09-20 2024-01-30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D998464S1 (en) 2021-10-29 2023-09-12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D998463S1 (en) 2021-10-29 2023-09-12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11970319B2 (en) 2022-05-10 2024-04-30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Anti-rotational and removal closure
US11945625B2 (en) 2022-06-24 2024-04-02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Package with closure
US11801977B1 (en) 2022-12-02 2023-10-31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Package with one-piece clos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0U (ja) * 1993-06-16 1995-01-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ノズル兼用中栓付き容器
JPH1035711A (ja) * 1996-07-29 1998-02-10 Mikasa Sangyo Kk 中栓の強い把持の可能な分別回収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9361A (en) * 1959-11-28 1963-07-30 Ruetz Karl Container with closing device
US3906607A (en) * 1974-09-05 1975-09-23 Alexei Alexeevich Gusev Device for relative orientation of parts
CH621525A5 (ko) * 1977-06-17 1981-02-13 Obrist Ag Albert
FR2597072B1 (fr) * 1986-04-09 1988-12-16 Bouchons Plastiques Embout de recipient assurant l'impossibilite de remplissage apres epuisement de la charge initiale
US4727999A (en) * 1986-06-27 1988-03-01 Sunbeam Plastic Corporation Safety dispensing closure-container package
US5085332B1 (en) * 1991-04-11 1994-04-05 Gettig Technologies Inc Closure assembly
JPH0535704A (ja) 1991-06-21 1993-02-12 Fujitsu Ltd 並列計算機における動作状況解析装置
JPH0535704U (ja) * 1991-10-11 1993-05-14 吉田工業株式会社 注出キヤツプ
JP3241460B2 (ja) * 1992-10-29 2001-12-2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キャップ
JP3577122B2 (ja) * 1994-12-05 2004-10-1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除去容易なキャップ
US5810207A (en) * 1996-02-08 1998-09-22 Mikasa Industry Co., Ltd. Container and heat-resistant cap for use with same
JP3161977B2 (ja) * 1996-08-23 2001-04-2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JPH09301392A (ja) * 1996-05-13 1997-11-25 Yoshino Kogyosho Co Ltd 流動体計量キャップ
CN1274578C (zh) * 1998-05-22 2006-09-13 株式会社吉野工业所 瓶塞的保持用夹具
JP3237615B2 (ja) * 1998-06-23 2001-12-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の組立治具及びそ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0U (ja) * 1993-06-16 1995-01-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ノズル兼用中栓付き容器
JPH1035711A (ja) * 1996-07-29 1998-02-10 Mikasa Sangyo Kk 中栓の強い把持の可能な分別回収キャップ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7000637 - 641153
1020007000637 - 64115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030B1 (ko) 2006-08-22 2011-03-09 주식회사 에코웰스텍 병 및 병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6746A (zh) 2003-10-08
KR20010022068A (ko) 2001-03-15
CA2297690C (en) 2007-07-24
EP1371571A1 (en) 2003-12-17
DE69930326D1 (de) 2006-05-11
EP1371571B1 (en) 2006-03-15
US6574848B2 (en) 2003-06-10
DE69920865D1 (de) 2004-11-11
CN1272090A (zh) 2000-11-01
EP1026100A1 (en) 2000-08-09
EP1026100A4 (en) 2000-08-09
DE69920865T2 (de) 2005-03-10
EP1026100B1 (en) 2004-10-06
CN1103725C (zh) 2003-03-26
CA2297690A1 (en) 1999-12-02
SG100724A1 (en) 2003-12-26
TW469249B (en) 2001-12-21
DE69930326T2 (de) 2006-08-24
WO1999061334A1 (fr) 1999-12-02
US6247605B1 (en) 2001-06-19
AU3850899A (en) 1999-12-13
US20010011649A1 (en) 2001-08-09
AU756095B2 (en) 2003-01-02
CN1274578C (zh)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480B1 (ko) 액 주출 용기의 내측 마개와 캡 및 그 캡을 내측 마개에 부착하는데 이용하는 지그
KR100436168B1 (ko) 고정밴드를갖는개봉사실확인마개
KR100436629B1 (ko) 폐기시용기로부터분리가능한캡
US4527700A (en) Closure device for a necked container
CA3022920C (en) Closure
US9889971B2 (en) Stopper device for the neck of a container,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method for stopping such a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such a device
US5353928A (en) Multicomponent package
US6237790B1 (en) Cap having de-ovalization bead on skirt
JP4297545B2 (ja) バージン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2603306Y2 (ja) 注出栓
US4384654A (en) Tear-off closure
JP3827893B2 (ja) 液注出容器の中栓とキャップ
JP4929627B2 (ja) キャップ
AU2002301527B2 (en) A jig for attaching a cover to a liquid injection container
JP2000153863A (ja) 液注出容器の中栓およびキャップ
JPH11334752A (ja) 液注出容器の中栓およびキャップ
JP4322061B2 (ja) 注出口
GB2138411A (en) Tamperproof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JP3164465B2 (ja) 取除き機能を有する合成樹脂製中蓋栓
RU2777382C1 (ru) Цель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JP2000153862A (ja) 液注出容器の中栓およびキャップ
JPH09124065A (ja) 分別廃棄容易な合成樹脂製容器蓋
KR100439445B1 (ko) 외측포일덮개를구비한용기및마개
KR960003815Y1 (ko) 부정방지용 캡
JP4002330B2 (ja) 分別機能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