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815Y1 - 부정방지용 캡 - Google Patents

부정방지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815Y1
KR960003815Y1 KR2019930003625U KR930003625U KR960003815Y1 KR 960003815 Y1 KR960003815 Y1 KR 960003815Y1 KR 2019930003625 U KR2019930003625 U KR 2019930003625U KR 930003625 U KR930003625 U KR 930003625U KR 960003815 Y1 KR960003815 Y1 KR 960003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ap portion
wall
hand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542U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재우정밀 주식회사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우정밀 주식회사, 이영재 filed Critical 재우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3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815Y1/ko
Publication of KR940022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25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정방지용 캡
제1도는 종래의 부정방지용 캡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부정방지용 캡 단면도.
제3a, b도는 종래의 부정방지용 캡의 사용상태 부분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부분저면도.
제6a, b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연결기둥 111 : 제1캡부
112 : 제2캡부 113 : 분리공
114 : 손잡이 115 : 밀폐프랜지
116 : 분리벽 117 : 절곡부
본 고안은 부정방지용 캡에 관한 것으로, 캡을 제1 및 제2캡부로 구성하고, 제1 및 제2캡을 연결기둥 및 분리공에 의해 분리가능토록 결합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정방지용 캡은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캡부로 이루어지는바, 내부에서 용기를 밀폐가능케하는 환상의 밀폐프랜지(15)가 수직으로 돌출된 제1캡부(11)와; 제1캡부(11)와 연결벽(19)으로 연결되는 원통형의 제2캡부(12)와; 제2캡부(12)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결벽(19)을 절단토록 하는 손잡이(14)로 이루어진다.
제1캡부(11)와 제2캡부(12)는 연결벽(19)으로 연결되는바, 그 계면내부에 제1홈(18)이 형성되고, 제1홈(18)에 의해 얇은 연결벽(19)이 형성된다.
이때 제1캡부(12)중간부분 내주연에서는 제2홈(20)이 형성되며, 제1홈(18)과 제2홈(20)사이에는 리브(26)가 형성되고, 제1캡부(11) 하부 외주연에는 외부턱부(17)가 이루어져 연결벽(19)을 지탱케한다.
이를 사용할때에는 제3a도와 같이 병(C)의 목부(N)상단의 상단 프랜지(21)가 제1캡부(11)의 밀폐프랜지(15)에 밀접하여 제1캡부(11)와 목부(N)가 밀폐된다. 아울러 제2캡부(12)의 제2홈(20)에 목부(N)의 돌출리브(25)가 끼워져서, 제2캡부(12)가 목부(N)와 결합된다.
이때 리브(26)은 당접하는 목부(N)의 외주면을 눌러주어 연결벽(19)의 손상을 막아준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4)를 잡아당기면 연결벽(19)이 뜯어지게되어 제2캡부(12)가 목부(N)에서 분리된다.
이 경우 제1캡부(11)는 상단프랜지(21)에 의해 그대로 결합고정되어 제3b도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필요시 제1캡부(11)를 목부(N)에서 다시 분리시켜 내용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내용물이 남아있을 경우 제1캡부(11)를 다시 상단프랜지(21)에 끼움고정시켜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제2캡부(12)를 손잡이(14)로써 분리시키지 않으면 제1캡부(11)를 열수없게 되어, 식품용기에 사용할 경우 내용물의 바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캡은 제1홈(18)과 제2홈(20)사이에 리브(26)가 형성되어 있어, 사출성형후 금형을 분리시킬때 금형이 리브(26)에 압력을 가하여, 제1홈(18)에 의한 연결벽(19)이 미리 분리되기도 하는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제1캡부(11)와 제2캡부(12)가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벽(19)은 약 0.1~0.2mm정도의 두께를 이룸이 바람직한 바, 재질(폴리에틸렌 : PE)의 특성상 용융점도가 있어 완벽한 연결벽(19)을 이루지못하는 성형불량이 많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캡부(11,12)내면은 단순한 원형을 이루고 있어 손잡이(14)로 제2캡부(12)를 제1캡부(11)와 분리시키고자 할때, 제1 및 제2캡부(11,12)가 손잡이와 함께 회전되어 분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1캡부와 제2캡부를 일정두께를 한 다수의 연결기둥으로 연결하고, 제1캡부 하면과 제2캡부 상면에는 연결기둥에 의한 분리공을 형성시키고 내부에 슬림멈춤구조를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즉, 용기를 밀폐토록하는 제1캡부의 하단과, 용기의 목부를 결합시키도록된 제2캡부의 상단이 다수의 테이퍼진 연결기둥으로 결합되고; 제1캡부 하면과 제2캡부 상면의 연결기둥 사이에는 분리공이 형성되며; 제2캡부 내주연 하부 및 제1캡부 내주면 슬림멈춤 구조인 슬림멈춤로렛이 형성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 내부에서 용기를 밀폐가능케 하는 링상의 밀폐프랜지(115)가 내부로 수직돌출되고, 하우징 내주연에 슬립멈춤로렛(118")가 이루어진 제1캡부(111)와, 제1캡부(111)의 하단과 다수의 테이퍼진 연결기둥(110)을 개재시켜 결합되며 내부하면 부위에 돌출리브(118)가 돌출되고 돌출리브(118)와 내주연 하단사이에 슬립멈춤로렛(118')이 형성된 제2캡부(112)로 구성되며; 상기 제2캡부(112)외주연 일측에는 L형 손잡이(114)가 고정되고, 상기 제1캡부(111) 하단과 제2캡부(112)상부면의 연결기둥(110)사이는 분리공(113)이 형성되며, 연결기둥(110)은 상부로 갈수록 폭 및 두게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슬립멈춤 구조는 상기 슬립멈춤로렛(118") 및 슬립멈출로렛(118')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다른 구성으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1개소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114)는 절곡부위에 검지손가락을 받쳐주는 절곡부(117)를 이루고, 손잡이(114)끝에는 턱부(11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14)가 결합되는 제2캡부(112)부위의 바로 인접부위에는 분리벽(116)이 형성되며, 분리벽(116)의 하단일부는 절단된 상태를 이루는 부분절단공(11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턱부(114')에 대응하는 제2캡부(112)부위에는 보조분리벽(116')이 형성되고, 분리벽(116) 및 보조분리벽(116')사이는 분리공(113)이 없는 보조보강대(113')가 형성된다.
이를 사용할때에는 제7도와 같이 사용하는바 병(C)의 목부(N)에 제6도 상태와 같이 제1캡부(111)와 제2캡부(112)가 일체로 결합고정되도록 캐핑한다.
즉, 제1캡부(111)와 제2캡부(112)가 일체로 병(C)의 목부(N)에 고정 및 결합되어 있다가, 캡을 벗기고자 할때에는 제5도에 보인 손잡이(114)의 턱부(114')를 엄지손가락에, 절곡부(117)를 검지손가락에 대고 엄지손가락을 법선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12)의 분리벽(116)이 일차 떨어지고 이어 연결기둥(110)도 차례로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제1캡부(111)와 제2캡부(112)가 분리된다.
이 경우 제1캡부(111)는 병(C)의 목부(N)상단에는 밀폐프랜지(115)에 끼움고정되어 있어, 분리시 제1캡부(111)의 이탈을 막아주므로, 제2캡부(112)를 분리시켜도 제1캡부(111)는 그대로 병(C)의 목부(N)에 끼워지며, 필요시 열수있으며, 제2캡부(112)가 없는지의 여부로써 한번 사용한 병(C)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내용물의 변경 및 재사용등을 예방하여 부정을 방지하므로 위생적이다.
아울러 분리시 제2캡부(112)의 일부가 보조보강대(113') 및 보조분리벽(116')에 의하여 제1캡부(111)와 일체로 잔류하므로, 제1캡부(112)를 사용하여 착탈시 손잡이 역할을 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 및 위생성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캡은 제1캡부(111)와 제2캡부(112)의 테이퍼진 연결기둥(110)으로 결합되는 구조(제7도 확대부분 참조)인바, 연결기둥(110)으로 결합되는 제1캡부(111)와 제2캡부(112)의 연결기둥(110)사이에는 분리공(113)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연결구동(110)은 상부폭이 좁은 상태의 테이퍼진 상태이므로, 분리시 연결기둥(110)하단이 제2캡부(112)에 붙어있는 상태에서 연결기둥(110) 상단과 제1캡부(111)하단이 분리되므로, 마개로 사용하는 제1캡부(111)하단이 쉽고 깨끗하게 분리가능하며, 연결기둥(110)에 의하여 금형에 의한 사출성형후 이젝트시에 제1캡부(111)와 제2캡부(112)의 분리현상이 없게되고, 연결기둥(110)을 통하여 제1캡부(111)와 제2캡부(112)로의 사출성형시 용융수지(폴리에틸렌)의 유입이 용이하여 성형불량이 감소된다.
아울러 제2캡부(112)내면과 제1캡부(111)내면의 적어도 1개소에는 슬림멈춤로렛(118') 및 돌출리브(118)가 이루어져 제2캡부(112)를 분리시킬 때 병(C)의 목부(N) 외주연과 밀착되므로 공정하지 않고 쉽게 분리가능케 된다.
이 경우 목부(N)에도 로렛(118')(118")에 대응하는 로렛을 형성하면 더욱 긴착되어 분리가 용이하다.
한편 손잡이(114)를 잡고 제2캡부(112)를 분리시키는 초기 상태에서 분리벽(116)에는 일부가 절단된 부분 절단공(116")이 있기에 (제5도 및 제7도(부분절단공(116")이 보이기 위하여 손잡이(114)일부를 절결시켜 확대도시한 부분)참조). 분리벽(116)이 쉽게 절단가능하며, 부분절단공(116")의 절단 정도는 용도에 따라 상이 하나 절단공(116") 높이를 포함한 분리벽(116)높이의 약 1/3 을 절단시킨 사이즈가 바람직하다.
이경우 분리벽(116) 및 각 연결기둥(110)을 순차 절단시켜 보조분리벽(116')에 오면 보조분리벽(116')이 절단됨으로써 제2캡부(111)가 제1캡부(111)과 분리된다. 이는 보조보강대(113')가 제1및 제2캡부(111,112)를 상호일체로 고정시키므로 분리벽(116)과 보조분리벽(116')사이의 제2캡부(112) 부분인 보조보강대(113')만 남는 상태로 되어, 제1캡부(111)에 보조보강대(113')가 일체로 된다.
이렇게 보조보강대(113')에 의하여 분리된 제2캡부(112)의 외벽일부가 잔류하므로, 제2캡부(111)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여 재사용시 제1캡부(111)를 열거나 닫을 때 손쉽게 여닫을 수 있고 위생적이다.
본 고안에서의 연결기둥(110) 및 분리공(113)의 크기 및 간격등은 용도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바, 어린이용의 경우는 연결기둥(110)을 가늘게하고, 성인용의 경우는 연결기둥(110)을 좀더 굵게함이 바람직하나 연결기둥(110)은 위로 갈수록 폭 및 두께가 매우 얇은 형태로 테어퍼진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제1캡부와 제2캡부가 사용시 분리되므로 내용물을 위조하여 팬대할 수 없게되어 위생적이며, 제1캡부와 제2캡부는 다수의 보강대로 보강되므로 사출성형에 따른 불량이 감소되며 제2캡부 내주면에 로렛을 이루어 쉽게 제2캡이 분리되며, 제2캡을 분리시켜도 일부를 남겨 제1캡의 손잡이로 사용 가능케하는 편리함이 있다.

Claims (2)

  1. 용기를 밀폐가능케하는 링상의 밀폐프랜지(115)가 내부에서 수직돌출되는 제1캡부(111)와, 제1캡부(111)의 하단에 분리가능토록 결합되는 제2캡부(112)로 구성되고, 상기 제1캡부(111)하단과 제2캡부(112)상부면은 일정간격의 분리공(113)이 형성된 부정방지용 용기캡에서, 분기공(113)을 이루는 연결기둥(110)은 상단 직경이 작은 테이퍼진 형상이며, 제1캡부(111) 및 제2캡부(112) 내주연에는 로렛(118",118')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방지용 캡.
  2. 제1항에 있어서, 로렛(118')은 제2캡부(112) 내부하면 부위에 돌출된 돌출리브(118)와, 제2캡부(112)하단 사이의 내주면 일부를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방지용 용기캡.
KR2019930003625U 1993-03-12 1993-03-12 부정방지용 캡 KR960003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625U KR960003815Y1 (ko) 1993-03-12 1993-03-12 부정방지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625U KR960003815Y1 (ko) 1993-03-12 1993-03-12 부정방지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542U KR940022542U (ko) 1994-10-20
KR960003815Y1 true KR960003815Y1 (ko) 1996-05-09

Family

ID=1935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625U KR960003815Y1 (ko) 1993-03-12 1993-03-12 부정방지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8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542U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578B1 (ko) 힌지식캡
US6332550B1 (en) Tamper-evident container closure
EP0827913B1 (en) A cap separable from bottle at the time of disposal
WO1999061334A1 (fr) Bouchon interieur et coiffe pour reservoirs d'injection de liquide et element de montage servant a fixer cette coiffe au bouchon interieur
EP0086221A1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cap
US4506797A (en) Wine bottle cover
US5857580A (en) Bottle and closure with separable cap and plug elements
JP2003246338A (ja) ヒンジキャップ
KR960003815Y1 (ko) 부정방지용 캡
JP3577122B2 (ja) 除去容易なキャップ
JP4762426B2 (ja) 分別廃棄可能なキャップ
JP4465565B2 (ja) 容器口から分離容易なキャップ体
JP4095129B2 (ja) 分別廃棄容易なヒンジキャップ
JP3748604B2 (ja) 分別廃棄容易な合成樹脂製容器蓋
JPH07315403A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JP3706419B2 (ja) 分別廃棄性を有するキャップ
JP7456226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H11130113A (ja) 分別機能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H0858824A (ja) 中 栓
JP3258454B2 (ja) 容器キャップ
JP4519291B2 (ja) 打栓式合成樹脂製容器蓋
JPH08151063A (ja) 容器口部から除去容易なキャップ
JP2002019815A (ja) 容器用中栓
JP2001206419A (ja) 中 栓
EP0829429B1 (en) Cap for oil bottle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