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452B1 -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 - Google Patents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452B1
KR102596452B1 KR1020210064772A KR20210064772A KR102596452B1 KR 102596452 B1 KR102596452 B1 KR 102596452B1 KR 1020210064772 A KR1020210064772 A KR 1020210064772A KR 20210064772 A KR20210064772 A KR 20210064772A KR 102596452 B1 KR102596452 B1 KR 10259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let
peripheral surface
ridge
uppe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116A (ko
Inventor
우병진
정윤기
배효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210064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4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로서, 상기 입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입구부의 내경 이상의 외경을 가진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입구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면을 이루는 상단 림; 및 상기 상단 림 아래의 부분으로서 상기 상단 림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져 상기 상단 림 아래에서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수평홈을 형성하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단차형 플러그가 용기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단차형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보틀형 용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재료별로 분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캡, 플러그 및 용기 본체 각각을 폐기 처분하는 대신 재활용하거나 심지어는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의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STEPPED PLUG AND BOTTLE-SHAPE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틀형 용기의 입구부에 삽입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에 대한 문제 의식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와 제조사 모두 친환경적 소비 및 제조를 중요시하게 되었다. 오늘날 다수의 소비자들은 특정 제품의 제조 및 유통에 따른 탄소 배출량, 제품의 사용 후 폐기물 재활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소비할 제품을 선택한다. 제품 폐기물의 친환경적 처리와 관련하여 흔히 제창되는 것이 이른바 3R 전략인데, 이는 폐기물을 줄이고(Reduce), 재사용하고(Reuse), 재활용(Recycle)하는 것과 관련된다.
한편, 보틀형 용기는 화장품, 향수, 로션 등을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액상 제품을 수용하는 경우 용기의 개구부에 플러그를 장착하여 사용되곤 한다. 일반적으로 플러그에는 용기 자체의 개구부보다 더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조사는 액상 제품을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고, 추후에 사용자는 플러그의 개구부를 통해 액상 제품을 소량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플러그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만으로는 보틀형 용기가 온전히 폐쇄된 것이 아니므로, 플러그 위로 용기 본체와 체결되는 별도의 캡이 구비되기도 한다.
여기서, 용기 본체는 외부 충격에 저항하도록 높은 강도를 가진 재료로 제작되는 반면, 플러그는 용기의 입구부에 밀착 삽입되도록 비교적 연질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플러그가 임의로 분리되면 액상 제품이 쏟아져 나와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는 용기 본체에 고정되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와 플러그가 이질적인 재료로 구성되면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용기 본체와 플러그 모두 재사용은커녕 재활용조차 불가능하여 일반 쓰레기로 처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용기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쉬운 분리가 가능한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로서, 상기 입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입구부의 내경 이상의 외경을 가진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입구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면을 이루는 상단 림; 및 상기 상단 림 아래의 부분으로서 상기 상단 림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져 상기 상단 림 아래에서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수평홈을 형성하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부는 상기 중간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헤드부의 하면을 이루는 하단 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평홈은 상기 상단 림과 상기 하단 림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림의 하면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중간부의 외경은 상기 입구부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입구부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부의 두께이 하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기 및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입구부에 캡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캡의 내주면에 형성된 캡 리지와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용기 리지의 맞물림으로 인해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부의 높이는 상기 캡 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수평홈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 림과 상기 하단 림의 외경은 상기 캡 리지의 위치에서의 상기 캡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는 헤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헤드 돌출부는 상기 캡의 일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보틀형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 위에 설명된 단차형 플러그;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틀형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상기 단차형 플러그를 향해 연장되는 캡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온전히 체결될 때 상기 캡 돌출부는 상기 단차형 플러그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캡의 내주면에 형성된 캡 리지와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용기 리지의 맞물림으로 인해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체결될 수 있는데, 상기 중간부의 높이는 상기 캡 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수평홈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의 일측에서 상기 캡 리지가 상기 수평홈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캡의 타측에서 상기 캡의 일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용기 리지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기 및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입구부의 내주면에는 돌기 및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형 플러그가 상기 입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단차형 플러그가 용기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단차형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보틀형 용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재료별로 분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캡, 플러그 및 용기 본체 각각을 폐기 처분하는 대신 재활용하거나 심지어는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의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틀형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 및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틀형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틀형 용기에서 단차형 플러그를 분리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틀형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틀형 용기(1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틀형 용기(10)는 크게 용기 본체(100), 단차형 플러그(200) 및 캡(30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그 상부에 입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부(120)는 용기 본체(100)의 개구부(110) 주위의 부분이며, 용기 본체(100)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조자는 입구부(120) 내측의 개구부(110)를 통해 용기 본체(100)에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다.
입구부(120)의 외주면에는 용기 리지(130)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리지(130)는 후술되는 캡 리지(33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용기 리지(130)와 캡 리지(330)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캡(300)이 용기 본체(100)에 체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용기 리지(130)의 일례로서 수나사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용기 리지(130)가 나사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차형 플러그(200)는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20) 내측, 즉 개구부(110)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형 플러그(200)에는 관통홀(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헤어젤, 향수, 로션 등의 액상 제품이거나 허브, 소금 등의 분말 제품인 경우 사용자는 단차형 플러그(200)가 입구부(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관통홀(240)을 통해 상기 액상 제품을 소량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차형 플러그(200)가 관통홀(24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차형 플러그(200)를 분리함으로써 용기 본체(100)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단차형 플러그(200)에 관통홀(240)이 형성된 경우든 형성되지 않은 경우든 용기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액상 제품이나 분말 제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110)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내용물이면 모두 가능하다. 단차형 플러그(200)에 대해서는 이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캡(300)은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20)에 체결되는 부품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0)의 내주면에는 캡 리지(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리지(130)와 캡 리지(330)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캡(300)이 용기 본체(100)에 체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캡(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용기 리지(130)와 캡 리지(330)가 맞물리게 하거나 이들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도면에는 캡 리지(330)의 일례로서 암나사가 도시되어 있지만, 캡 리지(330)가 나사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0) 및 캡(3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틀형 용기(10)에서 용기 본체(100)에 단차형 플러그(200)가 삽입되고 캡(300)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0)는 크게 지지부(210)와 헤드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210)는 헤드부(220)의 하면에서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단차형 플러그(200)가 용기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지지부(210)의 외주면은 적어도 일부가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20)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210)가 입구부(120)의 내주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지지부(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상부에서의 두께가 하부에서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지지부(210)가 제1 직경부(211), 제2 직경부(212) 및 제3 직경부(213)를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헤드부(22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경부(211)에 비해 제2 직경부(212)는 외경이 크게 감소하여 제1 직경부(211)에 대해 단차를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제2 직경부(212)에 비해 제3 직경부(213)는 외경이 크게 감소하여 제2 직경부(212)에 대해 단차를 형성한다. 제1 직경부(211), 제2 직경부(212) 및 제3 직경부(213) 각각에서도 상부에서의 외경이 하부에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10)의 내경은 제1 직경부(211), 제2 직경부(212) 및 제3 직경부(213)에 걸쳐 아래로 향할수록 서서히 증가하여 지지부(210)의 두께가 하부를 향해 더욱 감소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부의 외경이 하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면, 단차형 플러그(200)를 입구부(120)에 삽입하는 과정 및 분리하는 과정이 쉬워짐은 물론, 단차형 플러그(200)를 입구부(120)에 압입할 때 지지부(210)가 최적 위치에서 입구부(120)의 내주면에 밀착하게 되고, 밀착되는 부위가 최대한 위쪽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21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경우, 지지부(210)에서 직경이 가장 큰 부분(예컨대, 제1 직경부(211)의 전부 또는 일부)은 입구부(1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단차형 플러그(200)가 입구부(120)에 압입되면서 지지부(210)가 압축되어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210) 중 입구부(120)의 내주면에 구속되어 압축된 부분은 탄성 복원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하려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로써 강하게 입구부(12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10)의 하부에서 두께가 더 작으므로 지지부(210)의 상부에서보다 하부에서 탄성 변형이 더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단차형 플러그(200)가 용기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지지부(210)의 상부가 입구부(120)에 접촉하므로 비교적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단차형 플러그(2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지지부(210)의 하부가 입구부(120)에 접촉할 때에는 비교적 유연하게 변형되어 분리 과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단차형 플러그(200)의 헤드부(220)는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20)(혹은 개구부(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헤드부(220)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20)는 그 외경이 입구부(120)의 내경 이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20)의 구조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헤드부(220)는 상단 림(250), 중간부(260) 및 하단 림(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림(250)은 헤드부(220)의 상면을 이룰 수 있고, 하단 림(270)은 헤드부(220)의 상면을 이룰 수 있으며, 중간부(260)는 상단 림(250)과 하단 림(270) 사이의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중간부(260)의 외경이 상단 림(250)과 하단 림(27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중간부(260)의 외경이 상단 림(250)의 외경보다도 작고 하단 림(270)의 외경보다도 작을 수 있다. 상단 림(250)과 하단 림(270)이 반드시 동일한 외경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중간부(260)의 외경이 상단 림(250)과 하단 림(270)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220)에서 중간부(260)에 대응하는 위치, 즉 상단 림(250)의 아래에는, 수평홈(28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더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용기 본체(100)로부터 단차형 플러그(200)를 분리할 때, 수평홈(280)에는 캡 리지(330)(예컨대 나사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단차형 플러그(200)를 분리하기 위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단 림(250), 중간부(260) 및 하단 림(270)이 "외경"을 가진 것으로 설명되고 도면에는 이들이 모두 원형 형상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단 림(250), 중간부(260) 및 하단 림(270)은 부분적으로만 원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아예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중간부(260)의 외경이 상단 림(250)의 외경보다 작다 함은 어떠한 형태로든 상단 림(250)이 중간부(260)에 비해 조금이라도 더 외측으로 돌출하여 헤드부(220)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수평홈(280)이 형성되게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간부(260)가 상단 림(250)과 동일한 외경을 갖거나 심지어 중간부(260)가 더 큰 외경을 가진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두 원형 형상이 동일한 중심을 갖지 않는다면 중간부(260)의 외주면이 상단 림(250)의 외주면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수평홈(28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홈(280)이 반드시 헤드부(22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헤드부(220)가 상단 림(250) 및 중간부(260)와 함께 하단 림(270)을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헤드부(220)가 상단 림(250)과 중간부(260)만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수평홈(280)은 상단 림(250) 아래에서 상단 림(250)과 입구부(120) 상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220)의 외경은 입구부(120)의 내경 이상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하단 림(270)은 입구부(120)의 내경(즉, 개구부(110)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고, 이로써 헤드부(220)가 개구부(110) 안으로 빠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단 림(270)의 외경은 캡 리지(330)의 위치에서의 캡(300)의 내경보다 작도록 하여 캡(300)의 회전시 캡 리지(330)가 하단 림(270)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 림(270)은 도 3에서와 같이 입구부(12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도 있다.
중간부(260)는 기본적으로는 상단 림(25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 충분하며, 헤드부(220)의 재질 및 치수에 따라 중간부(260)의 외경이 입구부(120)의 내경보다 작은 경우도 가능하다. 헤드부(220)에 관통홀(240)이 구비된 경우에는 최고한 관통홀(240)의 내경보다는 커야 할 것이다.
다만, 중간부(260)의 외경을 입구부(120)의 내경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헤드부(220)에 가해지는 힘이 중간부(260)를 거쳐 더 효과적으로 지지부(210)에 전달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수평홈(280)의 깊이가 과도하게 크다면 단차형 플러그(200)를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수평홈(280)에서 상단 림(250)을 향해 가해지는 힘을 상단 림(250)이 올바로 전달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중간부(260)의 외경은 헤드부(220)의 재질을 고려하여 수평홈(280)이 과도하게 깊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헤드부(220)가 하단 림(27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중간부(260)는 입구부(12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하여 헤드부(220)가 개구부(110) 안으로 빠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헤드부(220)에 형성되는 수평홈(280)에 캡(300)의 캡 리지(330)가 삽입되어 힘을 가할 것이므로, 중간부(250)의 높이는 캡 리지(330)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홈(280) 내부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단차형 플러그(200)가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수평홈(280) 내부에서 상단 림(250)의 하면을 향하는 상향의 힘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중간부(250)의 높이를 작게 할수록 평상시에 의도치 않게 단차형 플러그(200)가 분리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단 림(250)은 중간부(26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단 림(250) 아래에서, 즉 상단 림(250)과 하단 림(270) 사이 또는 상단 림(250)과 입구부(120)의 상면 사이에서, 중간부(260)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평홈(28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단 림(250)의 외경도 캡 리지(330)의 위치에서의 캡(300)의 내경보다 작도록 하여 캡(300)의 회전시 캡 리지(330)가 상단 림(250)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림(250)은 도 3에서와 같이 입구부(12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도 있다.
헤드부(220)의 상면에는 헤드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헤드부(2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 헤드 돌출부(230)가 관통홀(240) 주위에 형성되어 관통홀(240)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흐를 수 있는 면적을 헤드부(220)의 상면 전체가 아닌 헤드 돌출부(230)의 상면으로 제한할 수 있다. 헤드 돌출부(230)에는 관통홀(240) 주위에 형성된 홈(235)이 형성되어 내용물의 흐름을 더욱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캡(300)이 용기 본체(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캡(300)의 일부분은 헤드부(220)의 상면 또는 헤드 돌출부(230)에 밀착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300)의 내측에는 단차형 플러그(200)를 향해 연장되는 캡 돌출부(320)가 형성될 수 있고, 캡(300)이 용기 본체(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캡 돌출부(320)가 헤드 돌출부(230)에 밀착될 수 있다. 캡 돌출부(320)는 헤드 돌출부(230)의 상면에 밀착될 수도 있고, 헤드 돌출부(230)의 측면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캡 돌출부(320)의 단부가 헤드 돌출부(230)의 홈(235)에 삽입될 수도 있다.
캡 돌출부(320)가 폐곡선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된 경우, 캡(300)의 체결시 캡(300) 상부의 내측면, 캡 돌출부(320) 및 헤드 돌출부(230)(또는 헤드부(220)의 상면)는 일종의 밀폐 공간(310)을 형성할 수 있는데, 밀폐 공간(310) 내부의 공기의 압력은 용기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관통홀(240)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캡 돌출부(320)가 헤드부(220)의 상면과 헤드 돌출부(230)의 측면에 동시에 밀착되거나 헤드 돌출부(230)의 홈(235) 내에 삽입되는 경우 캡 돌출부(320)가 헤드부(220)에 접촉하는 면적이 더욱 증가되어 밀폐 기능이 더 강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캡 리지(330)는 나사산으로서 캡 (300) 내측에 암자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용기 리지(130)와 맞물려 캡(300)이 용기 본체(100)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캡 리지(330)는 헤드부(220)에 걸리지 않는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용기 본체(10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소진된 후 또는 기타 필요한 상황에서 단차형 플러그(200)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틀형 용기(10)에서 용기 본체(100)로부터 단차형 플러그(200)를 분리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에 묘사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단차형 플러그(200)가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20)에 장착되고 캡(300)이 용기 본체(100)에 체결된 상태에 있다. 단차형 플러그(200)는 지지부(210)와 입구부(120)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 및 지지부(210)가 입구부(120)의 내주면에 구속됨에 따라 반발하여 가압하는 탄성적 복원력으로 인해 단차형 플러그(200)가 용기 본체(100)로부터 이탈하지 못한다.
이어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단차형 플러그(2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캡(300)을 회전시켜 용기 본체(100)에 대한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차형 플러그(200)의 일측(도 4의 (b)에서는 좌측)에서 캡(300) 내주면에 형성된 캡 리지(330)의 일부를 단차형 플러그(200)의 수평홈(28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 리지(330)는 캡(300)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일 수 있다.
캡 리지(330)가 수평홈(28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캡(300)을 기울여서 캡(300)의 타측(도 4의 (b)에서는 우측)이 용기 본체(100)에 접촉하게 한다. 캡(300)의 타측은 입구부(120)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도 있고, 용기 리지(130)에 접촉할 수도 있으며, 용기 본체(100)의 기타 부분에 접촉할 수도 있다.
캡(300)의 타측이 용기 본체(100)에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캡(300)을 같은 방향으로 더 기울이면, 캡(300)이 일종의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캡(300)이 타측에서 용기 본체(100)에 접촉하는 지점이 받침점, 캡 리지(330)가 수평홈(280)의 일측에서 상단 림(250)의 하면에 접촉하는 지점이 작용점이 되고, 사용자가 캡(300)을 파지한 부분이 힘점이 되어 지렛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캡(300)의 어느 부위든 파지할 수 있고 넓은 면적에 걸쳐 파지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가하는 힘은 수평홈(280) 일측 상단 림 (250) 하면의 특정 지점에 집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평상시에는 힘을 가하기 어려운 부분에 큰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사용자는 캡(300)의 어느 부위든 편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무리하지 않고 통증 없이 편하게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한 힘이 상단 림(250) 일측에 집중되어 단차형 플러그(200)를 입구부(120)에 고정시키는 힘보다 커지면, 단차형 플러그(200)의 지지부(210)는 입구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지지부(210)는 더 이상 입구부(120) 내면에 대하여 마찰력이나 복원력을 가하지 않는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단차형 플러그(200)가 더 이상 용기 본체(100)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캡(300)을 제거하고 단차형 플러그(200)도 손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0)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10)에 따르면, 단차형 플러그(200)가 강한 힘으로 용기 본체(100)에 고정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때에는 사용자가 무리 없이 편하게 적은 힘을 가하여 단차형 플러그(2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보틀형 용기(10)의 각 부분이 이질적인 재료로 구성되더라도 이를 서로에 대해 분리하지 못하여 폐기 처분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분리된 각 부분을 재활용 및 재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어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의 문제에 대처하는 데 일조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5)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5)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0)와 다른 몇 가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0)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5)의 특징들을 다양한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5)에서 헤드부(200)의 상단 림(255)은 그 하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림(255)의 하면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단 림(255)의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부주의로 수평홈(280) 내에 특정 물체가 삽입되더라도 상단 림(255)의 하면에 힘을 가하기 어려워 단차형 플러그(205)가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단차형 플러그(205)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측에서 캡 리지(330)가 수평홈(280)에 삽입되고 타측에서 캡(300)이 용기 본체(100)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상단 림(255)의 하면이 경사져 있더라도 가해지는 힘이 단차형 플러그(205)에 전달될 수 있다.
상단 림(255) 하면의 경사진 각도는, 특정 위치의 수평홈(280)과 반대측 특정 위치의 용기 리지(130)를 잇는 가상의 선이 수평에 대해 이루는 각도에 대응할 수 있다. 용기 리지(130)가 나사산인 경우에는 용기 리지(130)가 특정 높이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특정 위치의 용기 리지(130)"는 용기 리지(130)가 형성된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상단 림(255)의 하면이 특정 위치의 용기 리지(130)에 대해 최적화된 각도로 경사진 경우에는 단차형 플러그(205)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캡(300)의 배치 방향이 용기 본체(100)의 특정 부위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5)에서 지지부(215)는 동일한 외경을 유지하되 위에서 아래로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지지부(215)가 아래로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탄성적 변형이 더 잘 일어날 수 있게 하면서도, 지지부(215)의 외주면이 입구부(120)의 내주면에 대해 더 넓은 범위에 걸쳐 밀착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단차형 플러그(205)는 지지부(215)의 외주면에 돌기나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입구부(120)는 내주면에 대응하는 홈이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부(215)의 외주면에 돌기(217)가 형성되어 입구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127)에 삽입되어 있다. 돌기(217)는 지지부(215)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부(215)의 외주면 상의 특정 구간 또는 특정 지점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217)와 홈(127)의 구성으로 인해 단차형 플러그(205)는 더욱 강하게 용기 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단차형 플러그(205)를 분리하기 위해 힘이 가해지는 경우, 돌기(217)는 힘에 저항하다가 충분한 힘이 가해질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홈(127)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수평홈(280)이 단차형 플러그(205)의 특정 구간 또는 특정 지점에만 형성되고 돌기(217)와 홈(127) 역시 특정 구간 또는 특정 지점에만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돌기(217)의 위치가 수평홈(280)의 위치 또는 수평홈(280) 반대편의 위치에 있도록 단차형 플러그(205)를 회전시킨 후 단차형 플러그(205)를 분리시키기 위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는 수평홈(280)이 헤드부(22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수평홈(280)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단차형 플러그(205)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차형 플러그(205)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단차형 플러그(205)의 배치 방향이 용기 본체(100)의 특정 부위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돌기(217)가 지지부(215)의 외주면 전체에 360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기(217)가 일종의 O링 역할을 하여 용기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단차형 플러그(205)가 용기 본체(100)에 더 강한 힘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서 평소에 단차형 플러그(205)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플러그(205)의 구성들은 본 발명에 따라 캡(300)이 지렛대 역할을 하여 단차형 플러그(205)를 분리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적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보틀형 용기 100: 용기 본체
120: 입구부 130: 용기 리지
200, 205: 단차형 플러그 210, 215: 지지부
220: 헤드부 250: 상단 림
260: 중간부 280: 수평홈
300: 캡 330: 캡 리지

Claims (14)

  1. 상부에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용기 리지가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입구부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단차형 플러그; 및
    내주면에 캡 리지가 형성되어 상기 캡 리지와 상기 용기 리지의 맞물림으로 인해 상기 입구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단차형 플러그는,
    상기 입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입구부의 내경 이상의 외경을 가진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입구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면을 이루는 상단 림;
    상기 상단 림 아래의 부분으로서 상기 상단 림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져 상기 상단 림 아래에서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수평홈을 형성하는 중간부; 및
    상기 입구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헤드부의 하면을 이루는 하단 림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림의 하면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의 일측에서 상기 캡 리지가 상기 수평홈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캡의 타측에서 상기 캡의 일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용기 리지에 접촉하여 상기 캡이 지렛대 역할을 하면서 상기 캡 리지가 상기 상단림의 경사진 하면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형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의 두께가 하부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형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형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기 및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형 용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림의 외경은 상기 캡 리지의 위치에서의 상기 캡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형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는 헤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 돌출부는 상기 캡의 일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형 용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상기 단차형 플러그를 향해 연장되는 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온전히 체결될 때 상기 캡 돌출부는 상기 단차형 플러그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형 용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기 및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부의 내주면에는 돌기 및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형 플러그가 상기 입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홈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형 용기.
KR1020210064772A 2021-05-20 2021-05-20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 KR102596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72A KR102596452B1 (ko) 2021-05-20 2021-05-20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72A KR102596452B1 (ko) 2021-05-20 2021-05-20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16A KR20220157116A (ko) 2022-11-29
KR102596452B1 true KR102596452B1 (ko) 2023-10-31

Family

ID=8423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72A KR102596452B1 (ko) 2021-05-20 2021-05-20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4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7349U (ko) * 1981-01-14 1982-07-21
EP1026100B1 (en) * 1998-05-22 2004-10-06 Yoshino Kogyosho Co., Ltd. Inner plug and cap for liquid injection containers
KR101453122B1 (ko) * 2007-06-25 2014-10-27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러그 구조
KR200467361Y1 (ko) * 2011-08-09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자동 개폐 플러그를 갖는 튜브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16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8089A (en) Spout-type container closure
US8430279B2 (en) Bottle accessory for application with a cap to a bottle, particularly useful for attaching a retractable spout to a bottle
US20130112646A1 (en) Container closure
KR20070110000A (ko) 용기 목의 비드 및 개봉 식별 마개
CA2049447A1 (en) Squeeze pack
US6149022A (en) Bottle and cap
US4576299A (en) Closure cap with improved top-load leakage resistance
KR102596452B1 (ko) 단차형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보틀형 용기
JP4925401B2 (ja) 流通時の開封防止機能を備えた注出具
US7021503B2 (en) Metal crimping cap for a fluid dispensing device
US6948640B2 (en) Reservoir and fluid product dispenser with safe unscrewing
JP2010126199A (ja) 塗布容器
JP7289790B2 (ja) 合成樹脂製多重ボトル
JP6373128B2 (ja) 封緘容器
JP4704765B2 (ja) 開口時の液飛びが防止さ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9106811A (ja) 液体噴出器のストッパ
JP5026030B2 (ja) 化粧料塗布具
JP2008120441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装置
CN212402063U (zh) 盖及包括该盖的容器
JP7446150B2 (ja) 二重容器
JP2007091293A (ja) 中栓付き容器
JP4174717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
KR20230002405U (ko) 내부용기 교체형 리필용기
US7021502B1 (en) Dispensing device fitted with fixing ring
KR200161037Y1 (ko) 안전장치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