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421B1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421B1
KR100635421B1 KR1020040065322A KR20040065322A KR100635421B1 KR 100635421 B1 KR100635421 B1 KR 100635421B1 KR 1020040065322 A KR1020040065322 A KR 1020040065322A KR 20040065322 A KR20040065322 A KR 20040065322A KR 100635421 B1 KR100635421 B1 KR 100635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earing member
photosensitive drum
image bear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676A (ko
Inventor
사이또마사노부
오오꾸보가즈히로
마쯔구마미노루
하루나쥰
마루야마가즈히사
이또오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7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of the clean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3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vertic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05Cleaning of residual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회전 가능한 화상 담지 부재와,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동작의 완료 후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 후 화상 형성 동작 동안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주연 거리를 통해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 후 화상 형성 동작 동안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인 회전 방향으로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 단계와, 제3 단계 후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4 단계를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세척 블레이드는 세척 블레이드가 소정의 영역 내에서 화상 담지 부재에 접촉되는 닙을 형성하도록 화상 담지 부재와 협동작용한다.
화상 담지 부재, 중간 전사 벨트, 세척 블레이드, 감광 드럼, 화상 형성 장치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2는 4개의 감광 드럼용 "단일 모터 타입" 구동 시스템의 개략도.
도3은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4는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블레이드 타입 세척 장치부의 확대된 개략 단면도.
도5는 제1 비교예의 화상 형성 장치가 회전하지 않는 시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며, 결함 화상의 평행 얼룩 스트립이 확연한 수준을 도시한 그래프.
도6은 제1 비교예에 있어서, 소정 화상 형성 작업의 완료 후 즉시 수행된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제어에 의한 세척 에지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세척 블레이드의 세척 에지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주변부의 개략 단면도.
도7은 제2 비교예에 있어서, 소정 화상 형성 작업의 완료 후 즉시 수행된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제어에 의한 세척 에지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세척 블레이드의 세척 에지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 및 그 주변부의 개략 단면도.
도8은 제3 비교예에 있어서, 소정 화상 형성 작업의 완료 후 즉시 수행된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제어에 의한 세척 에지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세척 블레이드의 세척 에지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 및 그 주변부의 개략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 화상 형성 작업의 완료 후 즉시 수행된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제어에 의한 세척 에지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세척 블레이드의 세척 에지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주변부의 개략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시작 주기 중, 경과 시간과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 방향 속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11은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의 완료 후 즉시 수행된 회상 담지 부재의 회전에 의한 세척 에지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 및 그 주변부의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또한 제3 실시예)의 화상 형상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요점과 관련된 도12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부에 대한 확대 개략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순서를 도시한 다이어그 램.
도15는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 방향 속도의 변동을 도시한 도면.
도16은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 화상 형성 작업의 완료 후 즉시 수행된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제어에 의한 세척 에지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세척 블레이드의 세척 에지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주변부의 개략 단면도.
도17은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 화상 형성 작업의 완료 후 즉시 수행된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제어에 의한 세척 에지의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세척 블레이드의 세척 에지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주변부의 개략 단면도.
도18은 토너 입자의 형상 인자(SF-1)를 설명하는 도면.
도19는 토너 입자의 형상 인자(SF-2)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광 드럼
5: 1차 전사 롤러
6a; 세척 블레이드
11: 모터
30: 중간 전사 벨트
32: 2차 전사 롤러
32a: 카운터 롤러
80: CPU
본 발명은 화상 형성용 복사기, 프린터와 같은 전자사진 또는 정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것은 잠상 담지 부재(예로써,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정전기 기록식 유전체 부재 등)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담지 부재 또는, 중간 전사 부재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화상 담지 부재, 중간 전사 부재 등과 접촉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같은 탄성 또는 가요성 세척 부재를 위치시킴으로써 제거하는 하나의 방법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화상 담지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그 위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임시로 유지하고,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 상으로 전사되는) 중간 전사 부재와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화상 담지 부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화상 담지 부재 상에 담지된 현상제 화상의 전사 후 화상 담지 부재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다양한 세척 장치가 공지되었다.
화상 담지 부재를 세척하는데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는 세척 블레이드를 채용하는 세척 방법이다. 본 세척 방법에 따르면, 세척 부재로서의 가요성(탄성) 블레이드는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을 긁어냄으로써 화상 담지 부재 상의 잔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소정의 압력의 인가로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되게 위치된다. 세척 효율에 있어서, 세척 블레이드는 세척 블레이드의 세척 에지가 정방향 또는 화상 담지 부재가 화상 형성을 위해 회전되는 방향의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의 이동과 대향되도록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과 접촉되게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블레이드 기반의 세척 방법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즉, 화상 형성 장치가 작동되지 않을 때(화상 담지 부재는 회전되지 않음), 세척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화상 담지 부재의 화상 담지 면의 일부는 화상 담지 부재의 화상 담지 면의 나머지와 상이한 미끄러짐(마찰 계수: μ) 수준이 된다. 화상 담지 부재의 화상 담지 면의 두 부분 사이의 미끄러짐의 차이는 다음의 화상 형성 작업 중 (농도 차이로 인한) 줄무늬 화상, 평행한 얼룩진 스트립 등을 형성하게 한다.
감광 드럼의 주연면과 세척 블레이드 사이의 접촉 영역(닙)에서, 작은 직경의 현상제 입자 및/또는 외부 첨가제 입자가 세척 블레이드에 의해 감광 드럼의 주연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이 회전하지 않을 때, 입자들은 감광 드럼의 주연면에 응집 및 부착되어, 접촉 영역(닙) 내의 감광 드럼의 주연면의 일부가 감광 드럼의 주연면의 잔여부 보다 낮은 마찰 계수가 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 속도는 불안정하게 되고, 마찰 계수가 감소되는 감광 드럼의 주연면의 부분이 세척 블레이드를 지나 이동되는 기간 동안 감광 드럼의 주연 속도는 일시적으로 증가된다. 이러한 감광 드럼의 주연부 속도의 변동은 평행 얼룩진 스트립(인접한 영역과의 농도 차)을 갖는 화상을 낳게 되 고, 그 간격은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주기에 대응된다.
화상 형성 장치가 반복 회전됨에 따라, 감광 드럼의 화상 담지 면 부분의 마찰 계수는 상기한 이유로 감소되며, 결국 그에 인접한 부분의 마찰 계수 수준과 동일하게 증가된다. 그러나, "전 회전 기간(pre-rotational period)" 동안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횟수는 감광 드럼의 화상 담지 면의 상기 부분의 마찰 계수에 대하여 충분히 크지 않아 그 인접한 부분의 마찰 계수 수준으로 증가된다. 통상적으로, "전-회전 기간"동안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횟수는 4 또는 5회이다. 그 인접한 부분과 동일한 수준으로 상기한 부분의 마찰 계수를 회복시키기 위해, 화상 담지 부재는 적어도 10회 회전되어야 하며, 보통 16회는 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상 담지 부재의 완전 4회 회전은 표준 크기의 단일 기록 매체의 크기와 동등하다. 따라서, 제1 복사 또는 전 회전 후 즉시 프린트된 복사의 경우, 상기한 화상 결점(평행 얼룩 스트립)이 확연하지만, 제3 또는 제4 복사의 경우, 이런 확연하지 않음이 다소 덜 해진다.
상기 평행 얼룩 스트립이 있는 화상의 형성은 두 개 이상(예로써 4 개)의 감광 드럼이 평행하게 배치된 소위 직렬 타입 특히, 단일 모터 타입의 직렬 타입 화상 형성 장치 즉, 두 개 이상(예로써, 4개)의 감광 드럼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단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생된다.
이는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즉, 직렬 타입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마찰 계수가 감소된, 여러 개의 감광 드럼은 각각의 감광 드럼의 주연면의 일부가 세척 블레이드를 지나 이동되는 타이밍과 동기화된다. 따라서, 이들은 감광 드럼을 회전식으로 구동하는데 필요한 토크(하중)가 변화되는 타이밍과 동기화된다. 결과적으로, 여러개의 감광 드럼을 구동하는 전체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하중의 변화는 감광 부재 구동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어야 하는 감광 드럼의 갯수에 의해 증폭된다. 결과적으로, 그 마찰 계수가 감소된 각각의 감광 드럼의 주연면 부분에 기록된 잠상 부분은 잠상이 현상될 때 얼룩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평행 얼룩 스트립(얼룩 영역)을 갖는 화상이 얻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하프톤 영역을 갖는 화상을 형성할 때 자주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화상 형상 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유지될 때 화상 담지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세척 블레이드를 후퇴시켜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세척 블레이드를 임시 후퇴시키는 기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제공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세척 블레이드 후퇴 기구의 마련은 높은 정확도로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과 접촉하는 세척 블레이드를 위치시키고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또한,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의 일부 영역이 세척에 실패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후퇴 후 세척 블레이드가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부분은 세척 블레이드가 후퇴되기 전에 이미 세척된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과 같은 부분이 되어야 한다.
일본 특개평 제8-063071호는 두 가지 프린트 작업 중의 간격 중 화상 담지 부재를 간단히 역전 회전시킴으로써 세척 블레이드와 화상 담지 부재 사이의 접촉 영역의 에지에 인접하여 교착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1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상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는 세척 블레이드 및 그 주위의 세척 에지의 확대된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도면 부호 1로 표시된 것은 화상 담지 부재이며, 도면 부호 6a로 표시된 것은 고무로 형성된 세척 블레이드이다. 도면 부호 W로 표시된 것은 세척 블레이드(6a)와 감광성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이다. 도11(a)은 화상이 형성될 때, 다시 말해, 화상 담지 부재가 화상 형성을 위해 정방향 즉,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구동될 때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부의 형상을 도시한다. 소정량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세척 블레이드(6a)는 화상 형성 작업 중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정방향에 있는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의 움직임에 대향하도록 경사진 화상 담지 부재(1)의 주연면에 대해 가압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마찰이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부를 닙(접촉 영역) 안으로 끌어서, 세척 에지를 변형시킨다. 따라서,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과 완전히 접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은 세척 에지에 의해 닦여서 세척되며,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상의 잔류 현상제는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과 접촉하는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에 의해 벗겨진다.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될 때,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상에 잔류한 현상제는 세척 블레이드(6a)에 의해 약간 벗겨져서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의 상류 에지에 쌓여진다.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이 잔류 현상제의 상당한 양이 쌓여진 후 정지하게 된다면, 쌓여진 잔류 현상제는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에 교착되고 접착된다. 쌓여진 잔류 현상제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이러한 접착 강도는 때때로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에 교착되고 부착되는 잔류 현상제를 화상 담지 부재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음의 화상 형성 작업이 개시하는 동안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를 지나 이동시킬 정도로 크다. 다시 말해, 화상 담지 부재의 화상 담지 표면의 소정 부분 상에 남아있는 잔류 현상제와 소정 영역 사이의 접착 강도가 상기한 바와 같이 충분히 크면, 상기 소정 부분의 마찰 계수는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의 잔여부의 것 보다 작게된다.
이후, 도11(2)에서, 상기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라, 정방향에 있는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이 정지하기 전에, 세척 블레이드의 세척 에지의 상류 측에 축적된 잔류 현상제의 작은 덩어리는 화상 담지 부재의 임시적인 역방향 회전[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 즉, 정방향과 반대인 방향]에 의해 세척 에지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정방향에 있는 화상 담지 부재의 화상 형성 회전이 중지된 후, 즉시 화상 담지 부재를 임시적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 즉, 축적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에서 부가물의 조합에 의한 덩어리가 교착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가 정방향으로 이후 회전될 때, 교착 조합물의 덩어리는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를 지나 이동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 블레이드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현상제가 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담지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토크 량이 변동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와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담지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행한 얼룩 스트립을 갖는 화상 결점을 형성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와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담지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세척 블레이드를 임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 없이, 평행한 얼룩 스트립을 갖는 화상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와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담지 부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라,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회전식 화상 담지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고 소정의 영역 내에서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하는 닙을 형성하도록 화상 담지 부재와 협동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기록 재료 상에 임의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작업을 완료한 후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 후 화상 형성 작업 중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주연부의 거리를 통해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 후 화상 형성 작업 중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 으로 회전하는 방향에 있는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 단계와, 제3 단계후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4 단계를 실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기록 재료 상에 임의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용 화상 담지 부재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고 그리고 세척 블레이드가 소정의 영역 내에서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하는 닙을 형성하도록 화상 담지 부재와 협동하는 세척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소정의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완료 후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 후 화상 형성 작업 중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에 있는 소정의 주연부 거리를 통해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 후 화상 형성 작업 중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인 회전 방향으로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 단계와, 제3 단계 후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결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음 설명을 고려할 때 더욱 명백하질 수 있다.
(1)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예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담지 부재(잠상 담지 부재)로서 두 개 이상(4개)의 감광 드럼이 평행하게 수직 정렬된 직렬 타입이다. 이것은 중간 전사 벨트를 채용하는 전자 사진 컬러(다색) 프린터이다.
PY, PM, PC 및 PBk는 각각 엘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k) 토너 화상 형성을 위한 (제1로부터 제4에 이르는) 4개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화상 형성 유닛)을 나타나며, 이것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상부로부터 차례로 평행하게 적층된다.
이러한 4개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 즉,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 PY, PM, PC 및 PBk)은 그들이 형성하는 토너 화상의 컬러를 제외하고는 구조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기능이 동일하다. 또한, 각각의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제1 화상 담지 부재로서 드럼(1; 감광 드럼)의 형태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1차 대전 수단으로서 대전 롤러(2)와, 노광 수단으로서 레이저 비임 조사 장치(3)와, 현상 수단으로서 토너 기반의 현상 장치(4)와, 1차 전사 수단으로서 1차 전사 롤러(5)와, 세척 수단으로서 블레이드 기반의 세척 장치(6) 등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현상 장치에 저장된 현상제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토너이다. 각각의 컬러 현상제의 토너는 입자이며, 평균 6 ㎛의 직경을 갖는다. 각각의 컬러 현상제의 외부 첨가물은 실리카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 중 하나를 채용한다. 다시 말해, 각각의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PY, PM, PC 및 PBk)은 프로세스 유닛(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거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4개의 프로세스 장치 즉, 감광 드럼(1), 대전 롤러(2), 현상 장치(4) 및 블레이드 기반의 세척 장치(6)이며 이들은 카트리지에 일체로 위치된다.
도면 부호 30은 제2 화상 담지 부재이며 무단 벨트의 형태의 중간 전사 부재로 제1로부터 제4 까지의 각각의 화상 형성부(PY, PM, PC 및 PBk)의 감광 드럼 측 상에 즉, 프린터의 전방 측에 위치되며, 장치 주조립체의 바닥으로부터 상단부까지 즉, 화상 형성 스테이션(PY)의 해당 위치로부터 화상 형성 스테이션(PBk)의 해당 위치까지 수직으로 신장되도록 도시 생략된 복수의 지지 롤러 주변으로 신장된다. 제1로부터 제4까지의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1차 전사 롤러(5)는 1차 전사 롤러(5)와 감광 드럼(1) 사이에 끼워진 중간 전사 벨트(30)를 갖는 감광 드럼에 대해 가압되어 유지된다. 다시 말해, 감광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30) 사이의 접촉 영역은 제1 전사 스테이션이다.
도2에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1로부터 제4 까지의 각각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PY, PM, PC, PBk)은 단 하나의 모터 또는 모터(11)를 사용하여 4개의 감광 드럼(1)을 구동시키는 "단일 모터 시스템"이다. 단일 모터 시스템은 구동력 원으로서 비교적 저렴하게 단 하나의 모터와 단일 제어 시스템(각각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기구와 각각의 모터를 제어하는 기구)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단일 모터 시스템은 경비면에서 유리하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단일 구동력원 또는 모터(11) 만이 제공되며, 모터(11)의 구동력은 기어 트레인을 통해 동기화되어 4개의 감광 드럼(1)을 회전시키는 제1로부터 제4 까지의 감광 드럼(1)의 각각의 드럼 기어(GY, GM, GC, GBk)로 전달된다.
CPU(80)(컴퓨터)는 화상 형성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 순서를 제어한다. 모터(11)는 또한 상기 CPU(80)에 의해 제어되어서, 전방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거나, 멈춘 상태로 유지된다(정지된다). 모터(11)가 전진, 즉,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4 개의 감광 드럼은 정방향, 즉, 도1 및 도2에서 화살표(a)로 지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편, 모터(11)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4 개의 감광 드럼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모터(11)가 정지될 때, 4 개의 감광 드럼(1)은 회전이 정지된다.
CPU(80)가 화상 형성 트리거(인쇄 작업 개시 신호)를 수신할 때, 이는 모터(11)의 구동 시에 정방향으로의 모터의 회전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로서, 모터(1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4 개의 감광 드럼이 각각 정방향, 즉, 도1 및 도2에서 화살표(a)로 지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예컨대, 100 mm/sec의 주연 속도로 회전된다.
또한, CPU(80)는 중간 전사 벨트(30)를 구동하기 위한 미도시된 기구를 활성화하여, 상기 기구가 벨트(30)를 방향(c), 화살표(c)에 의해 지시된 시계 방향, 즉, 각 감광 드럼(1)의 정회전 방향(a)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광 드럼(1)과 대략 동일한 주연 속도로 순환 회전시키도록 한다.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PY, PM, PC 및 PBk) 각각에서, 감광 드럼(1)이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이는 대전 바이어스가 도시되지 않은 전원 회로로부터 인가되고 있는 대전 롤러(2)에 의한 소정의 극성 및 전위 수준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1차 대전 프로세스). 감광 드럼(1)의 대전된 주연면은 의도된 전컬러 화상의 광학적 화상으로부터 분리된 컬러 성분(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중 하나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에 의해 변조되면서, 노출광, 즉, LED 배열체(3)(노광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빔(LY, LM, LC, LBk)에 노출된다. 결과로서, 화상 형성 데이터를 반영하는 정전 잠상이 각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정전 잠상은 가시 화상 또는 토너로 형성된 화상(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토너 화상 또는 현상제 화상이라고 지칭함)으로 현상된다. 따라서,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통해 의도된 화상의 광학 화상으로부터 분리된 4 개의 컬러 성분에 대해 색상적으로 대응하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토너 화상은 소정의 시퀀스 제어 타이밍으로 각각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PY, PM, PC 및 PBk) 내의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PY, PM, PC 및 PBk)의 각각의 제1 전사 스테이션에서, 감광 드럼(1)상에 형성된 화상은 도시되지 않은 전원 회로로부터 1차 전사 롤러에 인가된 1차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0)의 표면상에 전사되고,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PY, PM, PC 및 PBk) 내의 감광 드럼(1) 상에 하나에 하나씩 형성된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30)상에 층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전사된다. 결과로서, 정착되어야 할 단일 전컬러 토너 화상(거울상)이 순환 회전되고 있는 중간 전사 벨트(30)의 표면상에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PY, PM, PC 및 PBk)에서, 중간 전사 벨트(30) 상으로의 토너 화상의 전사(1차 전사) 후에 감광 드럼(1)상에 남아 있는 토너는 세척 장치(6)의 세척 블레이드(6a)(도4)에 의해 제거되고, 세척 장치(6)의 저장부(6b) 내에 저장된다.
도면 부호 32에 의해 지시된 것은 2차 전사 롤러이다. 도면 부호 32a에 의해 지시된 것은 중간 전사 벨트(30)에 의해 형성된 루프의 바닥 단부에 위치되며, 2차 전사 롤러(32)와 카운터 롤러(32a) 사이에 중간 전사 벨트(30)가 협지된 상태로, 루프의 내향 측에서 중간 전사 벨트(30)의 내향 표면과 접촉 상태가 유지되는 카운터 롤러이다. 2차 전사 롤러(32)와 중간 전사 벨트(30) 사이의 접촉 영역은 제2 전사 스테이션이다.
도면 부호 40에 의해 지시된 것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바닥부 내에 위치되고 내부에 전사 매체(P)인 소정 수의 용지가 적층식으로 저장된 급지 카세트이다. 전사 매체(P)는 화상이 그 위에 전사(기록)되는 최종 매체이다. CPU(80)는 바람직한 수의 전사 매체(P)의 용지를 급지 카세트(40)로부터 이들을 하나씩 분리하는 동안 소정의 시기로 제2 전사 스테이션에 반송하기 위해 소정의 순서 제어 시기를 추종하는 반송 수단(31)(픽업 롤러)을 구동한다. 전사 매체(P)의 각 용지가 제2 전사 스테이션을 통해 반송될 때, 중간 전사 벨트(30) 상의 비정착된 복합 완전 색상 토너 화상은 도시 안된 전원 회로로부터 2차 전사 롤러(32)에 인가되고 있는 2차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전사 매체(P)의 표면 상으로 전사된다.
제2 전사 스테이션을 통해 이동된 후에, 전사 매체(P)가 중간 전사 벨트(3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반송 벨트(35)에 의해 정착 장치(7)로 더 반송된다.
중간 전사 벨트(30) 상에 남아 있는 현상제는 블레이드 기반 세척 장치(33)의 세척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되고, 폐 토너 박스(34)로 보내지고 그 안에 저장된다.
비정착된 전컬러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전사 매체(P)가 정착 장치(7)를 통해 반송될 때, 비정착된 전컬러 토너 화상은 정착 장치(7)에 의해 인가된 열과 압력의 조합으로 인해 전사 매체(P) 상에 융착된다. 이후에, 전사 매체(P)는 영구 컬러 카피로서 용지 통로(41)를 통해 반송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상단에 있는 배출 트레이(36) 내로 방출된다.
(2)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
도3은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제1 전-회전 단계
이는 화상 형성 장치가 켜진 직후에 오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 장치가 시동(워밍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스위치가 켜질 때, 화상 형성 장치는 시동되고 화상 형성을 위한 그 다양한 프로세싱 장치를 준비한다.
2) 대기 기간
예비 설정 시동 작동의 완료 후에, 화상 형성 장치는 대기 상태로 들어가며, 화상 형성 트리거(인쇄 작업 개시 신호)가 입력 될 때까지 이 상태를 유지한다.
3) 제2 전-회전 단계
이는 화상 형성 트리거가 입력된 직후에 수행되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을 위해 그 다양한 프로세싱 장치를 준비하기 위해 재 시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1)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화상 형성 트리거의 수신, (2) 포맷터에 의한 의도된 화상의 현상(포맷팅 시간의 길이는 의도된 화상의 형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양과 포맷터의 프로세싱 속도에 의존한다), 및 (3) 제2 전-회전 단계의 개시가, 나열된 순서대로 수행된다.
그렇지만, 만일 화상 형성 트리거가 1)의 제1 전-회전 단계 중에 입력되면, 대기 기간은 없을 것이며 제1 전-회전 단계의 완료 직후에 제2 전-회전 단계가 수행된다.
4) 인쇄 단계
소정의 전-회전 단계의 완료는 곧 화상 형성 단계를 수반하며, 화상이 형성된 전사 매체가 출력된다.
화상 형성 장치가 소정 수의 카피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설정될 때, 전술된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화상이 형성된 소정 수의 전사 매체가 출력될 때까지 이어서 반복된다.
5) 기록 매체 간격
이는 화상 형성 장치가 연속적으로 소정 수의 카피를 형성하기 위해 설정될 때, 형성될 소정 수의 카피 중에 임의의 카피의 형성의 완료와 다음 카피의 형성의 개시 사이에 발생하는 기간(단계)이다.
6) 후-회전 단계
이는 임의의 인쇄 작업의 완료 시에 수행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연속 인쇄 작업 내에서 화상이 형성된 마지막 전사 매체가 출력된 후에, 화 상 형성 장치는 작업에 사용된 프로세싱 장치가 그들의 후 작업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임의의 작업이 단 하나의 카피의 인쇄만을 필요로 할 때, 이 단계는 화상이 형성된 단일 전사 매체가 출력되자 마자 수행된다.
7) 대기 기간
소정의 후-회전의 완료 후에,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은 정지되고 화상 형성 장치는 다음 화상 형성 트리거가 입력 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전-회전 단계로부터 후-회전 단계까지의 시퀀스는 제1 화상 형성 작업(A)을 구성한다. 제2 화상 형성 작업은 다음 화상 형성 트리거가 입력되자 마자 개시된다.
(3) 감광 드럼에 접촉된 상태로 있는 세척 블레이드로 인한 하중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측정
도4는 세척 블레이드가 감광 드럼(1)과 접촉되어 있는 블레이드 기반 세척 장치(6)의 확대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세척 블레이드(6a)는 월레스 경도계에서 70°(n2°)의 경도를 가지는 발포 우레탄으로 형성된다. 도면 부호 6c로 지시된 것은 세척 블레이드(6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이다. 세척 블레이드 지지 부재(6c)는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에 소정량의 접촉 압력이 유지되며, 또한 감광 드럼(1)이 화상 형성을 위해 회전되는 정방향으로 감광 드럼의 주연면의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세척 블레이드(6a)가 경사지도록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세척 장치(6)의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압력은 대략 70 gf/cm 이다(감광 드럼(1)의 반경 방향으로 감광 드럼(1) 내로의 세척 블레이드(6a)의 겉보기 침입의 양은 1.2 n 0.2 mm이다).
도면 부호 6d에 의해 지시된 것은 잔류 현상제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폐기될 때 세척 장치(6)의 하우징의 외부로 잔류 현상제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밀봉 시트(스퀴지 시트)이다. 시트(6d)의 밀봉 에지가 감광 드럼(1)의 정회전 방향(a)에 대해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의 상류 및 시트(6d)의 기부의 하류에 있도록 시트(6d)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되어 배치된다. 시트(6d)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세척 장치(6)의 하우징의 에지에 부착된다. 이러한 스퀴지 시트(6d)는 두께가 30 ㎛ 내지 100 ㎛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가요성 시트로 형성된다.
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될 때,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남아 있는 잔류 현상제는 스퀴지 시트(6d)를 지나서 이동되고, 세척 블레이드(6a)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제거되고, 이후 세척 장치(6)의 저장부(6b) 내에 저장된다. 세척 장치(6)에는 세척 블레이드(6a)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제거된 폐 현상제를 저장부(6b)의 보다 깊은 단부 내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가 제공되지만, 이러한 반송 부재는 도4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감광 드럼(1)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이 전술된 흐릿한 평행 스트립이 발생되는 화상의 형성과 관련해서 설명될 것이다.
1) 제1 비교예 (정방향 회전 - 정지 및 비작동)
도5는 인쇄를 위해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회전의 완료 후에 세척 블레이드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된 상태로 있는 시간의 길이와 스트립형 결함에 대한 화상의 평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평가를 위해 형성된 화상은 하프톤 화상이며, 화상 형성 장치가 1 내지 6초간 대기 상태로 유지된 후에 형성되었다. 평가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각각의 소정 시간 길이 동안 대기 상태로 유지된 후에 형성된 제1 하프톤 화상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 세척 블레이드가 화상 형성 장치의 대기 기간동안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된 상태로 있으며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 및 부착되는 동안, 정회전, 즉, 감광 드럼(1)의 화상 형성 회전 동안 세척 블레이드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응집된 잔류 현상제의 일부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되고 부착된 후, 이후의 인쇄 작업을 위해 감광 드럼(1)이 화상 형성을 위한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세척 블레이드를 지나서 이동하는 문제로 인한 화상의 흐릿한 평행 스트립의 선명도가 이하의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된다.
* : 스트립 없음
* : 근접한 조사시에 평행 스트립이 희미하게 보임
* : 평행 스트립이 보임
* : 평행 스트립이 현저함
가로축은 감광 드럼이 회전되지 않고 있었던 시간의 길이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평행 스트립의 현저함의 수준을 나타낸다. 그래프로부터 평행 스트립은 감광 드럼(1)이 2 내지 3 분 이상 동안 회전되지 않았을 때 형성되었다는 것이 명백하다. 화상의 평행 스트립의 위치에 상응하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부분은 교착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의 덩어리로 덮여 있었다. 그러므로, 감광 드럼(1)이 회전되지 않은 시간의 길이가 길수록,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된 잔류 현상제의 부착의 강도의 수준이 높아진다고 결론짓는 것이 타당하다.
감광 드럼(1)의 회전의 제어 시퀀스(정방향(a)으로 회전 - 정지 및 비작동)에 관하여, 도6은 접촉 영역(W)에서 발생된 일과 감광 드럼의 화상 형성 회전이 종료된 후에 비작동될 때 그 인접부를 도시하는, 세척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W)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6의 (1)은 감광 드럼(1)의 정회전(a) 동안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변형된 채로 있다. 이러한 세척 에지의 변형은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화상 형성을 위한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운동에 대항하도록 세척 블레이드(6a)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되어 배치되고, 그러므로, 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될 때 세척 에지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의해 접촉 영역(W)내로 끌리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므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폐기(제거)될 때, 제거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소정 부분이 변형된 세척 에지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간격 내에 진입 및/또는 잔류할 수 있다.
도6의 (2)는 감광 드럼(1)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한다. 감광 드럼(1)이 멈추어 있는 동안,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에 수집되어 있는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부주의하게 남아 있는 동안에 세척 블레이드(6)의 변형된 세척 에지에 의해 압축되어, 점진적으로 교착된다. 또한, 감광 드럼(1)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의 길이가 1 분 이상이 되지 않는 한,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동일한 형상으로 있게 되고, 따라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교착은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가 제거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지 않으며, 또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가 2 내지 3 분 이상 부주의하게 남아 있을 때, 감광 드럼(1)으로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부착은 보다 견고해지고,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를 제거하는 것을 보다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 도5의 그래프로부터 명백하다.
도6의 (3)은 감광 드럼(1)이 5 분 동안 회전되지 않은 후, 제2 인쇄 작동(B)이 개시된(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되기 시작한) 직후의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감광 드럼(1)이 회전되지 않는 동안 감광 드럼(1)에 완전히 교착 및 부착되었고, 따라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감광 드럼(1)이 제2 인쇄 작업(B)시에 화상 형성을 위해 정방향(a)으로 회전되었을 때,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를 지나서 이동되었다.
도6의 (4)는 감광 드럼(1)에 교착 및 부착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블레이드(6)를 지나서 이동된 직후의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한다. 감광 드럼(1)에 교착 및 부착된 이러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는 감광 드럼(1)이 완전 1회전될 때, 세척 블레이드(6a)로 돌아온다. 이후, 감광 드럼(1)이 더 회전될 때,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세척 블레이드(6a)를 통해 지나간다. 교착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부착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부분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나머지 부분과 마찰 계수가 상이하다. 그러므로, 이 부분이 접촉 영역(W)을 통해 이동되고 있는 동안, 감광 드럼(1)을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해 지지된 하중은 나머지 부분이 접촉 영역(W)을 통해 이동되는 동안의 것과 상이하다. 그러므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이 부분에 상응하는 잠상의 부분은 흐릿해지고, 결함있는 화상의 형성을 초래하며, 흐릿한 평행 스트립을 발생시키는 결함이 생긴다.
제1 비교예의 시험으로부터,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의 회전이 정지된 후에 감광 드럼(1)이 회전되지 않은 시간의 길이가 1 분 이상이 되지 않는 한, 블레이드(6a)는 변형된 상태의 형상으로 있고, 따라서, 변형된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에 수집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에 의해 감광 드럼(1)에 교착 및 부착되는 강도가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가 세척 블레이드(6a)를 지나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지 않다는 것이 명백해 진다.
2) 제2 비교예(정방향(a) 회전 - 감소된 속도로 정방향(a) 회전 - 정지)
도7은 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된 주연 속도가 감광 드럼(1)의 회전이 정지되기 전 정속도의 1/4로 감소되었을 때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 및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에 발생된 일을 도시하는 세척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W)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7의 (1)은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이 회전하는 동안의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변형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세척 에지의 변형은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운동에 대항하도록 세척 블레이드(6a)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배치되고, 따라서, 세척 에지는 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될 때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의해 접촉 영역(W) 내로 끌리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므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폐기(제거)될 때, 제거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변형된 세척 에지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간격 내에 진입 및/또는 잔류할 수 있었고, 잔여물의 소정 부분이 그 곳에 남아 있었다.
도7의 (2)는 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된 주연 속도가 1/4, 즉, 25 mm/sec로 감소되었을 때 접촉 영역(W)과 그 인접부에서 발생된 일을 도시한다.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가 감소된 시점에, 실질적인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완료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폐 토너의 추가량을 제거하는 것은 불필요했고(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는 사실상 제거되야 할 폐 토너가 없었다), 또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를 블레이드의 변형된 세척 에지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간격 내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관성이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의 감소에 의해 사실상 영으로 감소된다. 그렇지만, 도7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이미 블레이드(6a)의 변형된 에지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해 있다.
도7의 (3)은 정방향(a)으로 감소된 주연 속도로 감광 드럼(1)의 회전이 정지된 후에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감광 드럼(1)은 회전하고 있지 않다. 감광 드럼(1)이 회전되고 있지 않은 동안,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사이에 수집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세척 블레이드(6a)의 변형된 세척 에지에 의해 압축되어, 점진적으로 교착된다.
도7의 (4)는 감광 드럼(1)이 5 분 동안 회전되지 않은 후, 제2 인쇄 작동(B)이 개시된(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되기 시작한) 직후의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감광 드럼(1)이 회전되지 않았던 동안에 감광 드럼(1)에 완전히 교착 및 부착되었고, 따라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를 지나서 이동할 수 있다.
도7의 (5)는 감광 드럼(1)에 교착 및 부착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블레이드(6a)를 지나서 이동된 직후의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감광 드럼(1)에 교착 및 부착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는 감광 드럼(1)이 1회전될 때 세척 블레이드(6a)로 돌아온다. 이후, 감광 드럼(1)이 더 회전되면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는 세척 블레이드(6a)를 지나서 이동한다. 교착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부착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일부는 마찰 계수가 감광 드럼(1)의 나머지 주연면과 상이하다. 그러므로, 이 부분이 접촉 영역(W)을 통과해 지나가는 동안, 감광 드럼(1)을 구동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지지된 하중은 나머지 부분이 접촉 영역(W)을 통과해 지나가는 동안의 것과 상이하다. 그러므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이러한 부분에 상응하는 잠상의 부분은 흐릿해 지고, 결함있는 화상의 형성을 초래하며, 흐릿한 평행 스트립을 발생시키는 결함이 생긴다.
비교예의 본 제2 예의 시험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주연 속도가 정속도로부터 감소된 후에 감광 드럼(1)의 회전이 정지하더라도, 일정한 양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블레이드(6a) 사이에 고착되어 그 안에 남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이런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 덩어리가 방치되어 남겨진다면,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회전이 재시작됨에 따라 세척 블레이드(6a)를 지나 이동한다.
3) 비교예3 [정방향(a)으로 회전 - 역방향(b)으로 회전 - 정지]
도8은 감광 드럼(1)과 세척 블레이드(6a) 사이에 접촉 영역(W)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회전이 정지된 후에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잠깐 회전할 때 접촉 영역(W)에서 무엇이 발생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는 종래 기술(특허 문서 1)에 따른 제어 방법으로서 이전에 전술되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의 (1)은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회전 동안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변형된 채로 남는다. 세척 에지의 이런 변형은, 세척 블레이드(6a)가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정방향(a)으로의 이동에 반대되도록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도록 위치 설정되고, 그로 인해 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척 에지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의한 접촉 영역(W) 내로 끌리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긁혀 떨어짐(제거됨)에 따라, 제거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변형된 세척 에지 사이의 간극 내로 도입 및/또는 잔류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잔류물이 거기 남게된다.
도8의 (2)은 감광 드럼(1)의 역방향(b)으로의 회전이 시작된 직후에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블레이드(6a) 사이에 수집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변형된 블레이드(6a)의 탄성으로 발생된 압력(F)에 의해 이미 감광 드럼(1)에 교착 및 부착된다.
도8의 (3)은 감광 드럼(1)의 역방향(b)으로의 회전이 완료된 직후에 접촉 영역(W)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 및 부착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감광 드럼(1)의 정회전 방향(a)에 대해 상류로 이동하여 접촉 영역(W)으로부터 짧은 거리 떨어져 위치되더라도,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견고하게 부착된 채 남는다. 화상 형성을 위해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다음 회전이 시작됨에 따라,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견고하게 부착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이런 덩어리는 접촉 영역(W)을 지나 이동하고, 접촉 영역(W)을 지나 이동함에 따라 감광 드럼(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시스템에 의해 발생한 하중을 일시적으로 변경시킨다. 결과적으로, 평행한 흐린 스트라이프로 손상된 화상이 출력된다. 전사 매체에 대한 각각의 흐린 스트라이프의 위치는 감광 드럼(1)의 주연에 대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 및 견고하게 부착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의 위치에 대응하고, 감광 드럼(1)의 회전 사이클당 하나의 흐린 스트라이프만 존재한다. 이 경우,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6a)는 변형으로부터 회복되고, 그에 따라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에 충분히 큰 압축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의 역방향(b)으로의 회전은 평행한 흐린 스트라이프가 생성되어 선명도(conspicuousness) 수준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화상 형성을 위한 감광 드럼(1)의 회전이 정지하기 전에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함에 따라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블레이드(6a)의 변형된 세척 에지 사이에 간극 내에 수집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가 즉시 압축되고, 그로 인해 세척 에지가 변형으로부터 회복됨에 따라 세척 에지가 반동되는 순간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의 탄성에 의해 발생된 힘[도8의 (2)]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 및 견고하게 부착되고, 결과적으로 감광 드럼(1)이 화상 형성을 위해 정방향(a)으로 다시 회전함에 따라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 및 견고하게 부착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는 접촉 영역(W)을 지나 이동한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역방향(b)으로의 회전 후에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변형되지 않고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교착이 발생하지 않는다[블레이드와 감광 드럼 사이에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
4) 비교예1 내지 3의 시험의 개요
[a] 감광 드럼이 정방향(a)으로 회전하는 동안 정지한 경우
블레이드 형상은 변하지 않고, 그로 인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블레이드(6a) 사이에 수집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감광 드럼(1)이 회전하지 않는 시간의 길이가 1분 이하이기만 하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 및 견고하게 부착되지 않는다.
수집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1분 이상 방치되면, 변형된 블레이드(6a)에 의해 가해진 연속적인 압력에 의해 교착된다.
[b] 정방향(a)으로 회전된 감광 드럼(1)이 완전히 정지하기 전에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가 소정의 값까지 감소되는 경우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에 수집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c] 화상 형성을 위해 감광 드럼(1)의 회전이 정지한 후에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잠깐 회전하는 경우
세척 에지가 변형으로부터 회복될 때 잔류물을 반동함에 따라,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블레이드(6a)의 변형된 세척 에지 사이에 수집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블레이드(6a)의 변형된 세척 에지의 탄성에 의해 발생된 힘(F)에 의해 즉시 교착된다.
블레이드는 변형되지 않은 채로 남기 때문에,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블레이드에 의해 교착되지 않고 방치된 채 남겨지고,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 사이에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없다.
따라서, 방치된 채로 남겨진 동안[감광 드럼(1)이 회전하지 않는 동안] 예상되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세척 블레이드(6a)의 변형된 세척 에지 사이에 수집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교착은, 경우 [c]에서 화상 형성을 위해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회전이 정지한 후에 감광 드럼(1)을 역방향(b)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광 드럼과 변형된 세척 에지 사이의 간극 내에 남은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양을 가능한 많이 감소시킴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8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을 위한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회전이 정지한 후에 1분 이내에 감광 드럼(1)을 역방향(b)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8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 사이에 잔류하는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양이 가능한 많이 감소된다면, 감광 부재(1)가 상당한 시간동안 회전하지 않더라도 평행한 흐린 스트라이프의 형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상 형성을 위한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회전을 정지하기 전에 단순히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감광 드럼과 블레이드 사이에 붙은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를 제거하지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감광 드럼(1)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시퀀스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5) 실시예 1-1 [정방향(a)으로 회전 - 1초 정지 - 감소된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 - 역방향(b)으로 회전 - 정지]
도9는 화상 형성을 위해 정방향으로 회전한 감광 드럼이 1초 동안 정지하고, 화상 형성을 위해 1/4 정 주연 속도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역으로 회전할 때,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와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에 무슨 일이 발생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9의 (1)은 정방향(a)으로 회전된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 사이의 접촉 영역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이어지는 이유 때문에 변형된다. 즉,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감광 드럼(1) 주연면의 정방향(a)으로의 이동에 반대되도록, 세척 블레이드(6a)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척 에지와 감광 드럼(1) 사이에 마찰은 감광 드럼(1)의 정회전 방향에 대해 하류로 세척 에지를 끈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서 떨어져 나오고 전술한 접촉 영역의 바로 상류측 상에 덩어리진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정회전 방향(a)으로 끌리고, 그로 인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세척 블레이드(6a)의 변형된 세척 에지 사이의 간극에 도입될 수 있다.
도9의 (2)는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회전이 정지된 직후에 감광 드럼(1)이 1분 동안 회전하지 않을 때,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 사이의 접촉 영역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이 회전하지 않는 시간의 길이가 1분 이하이기만 하면,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교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은 1초 동안 정지한다.
도9의 (3)은 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1/4 정 주연 속도, 즉 정속도로부터 1/4 정속도까지 주연 속도가 감소된 후에 40 msec 동안 25 m/sec의 속도로 회전한 직후에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 사이의 접촉 영역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감광 드럼(1)의 정방향(a)으로의 회전이 정지하기 전에,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주연 속도는 감광 드럼(1)이 화상의 형성 동안 회전되는 1/4 주연 속도이다. 이 상태에서, 인쇄 작업은 이미 종료된다. 따라서, 폐(잔류) 토너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또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를 강제로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 사이의 간극에 도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관성(inertia)이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의 감소로 인해 사실상 사라지게 된다. 또한, 감광 드럼(1)의 회전이 정지하기 직전 기간 동안, 감광 드럼(1)은 감소된 주연 속도로 회전하고, 블레이드(6a)가 용이하게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완벽하게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블레이드(6a)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사실상 완벽하게 접촉하도록 위치 설정되고,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 사이의 경계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도입하기 어렵다.
도9의 (4)는 감광 드럼(1)이 40 msec 동안 1/4 정 주연 속도로 회전한 후에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에 접촉 영역 및 그 인접부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 사이의 간극에 고착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이동에 의해 접촉 영역의 하류로 이동한다.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 사이에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한 접촉 영역의 폭(W, 닙 폭)은 대략 500 ㎛이고,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이 이동하는 거리는 25 × 60 = 1500 ㎛이고,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 사이의 간극에 고착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를 접촉 영역(W, 닙)의 하류로 이동시키기 충분하다. 닙 폭은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해 블레이드(6a)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한 채로 남아 있는 길이를 의미한다.
도9의 (5)는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한 후에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 사이의 접촉 영역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역회전의 주연 속도는 정회전과 동일한 100 mm/sec이고, 역회전 시간은 40 msec이다. 이 상태에서,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 사이에는 사실상 고착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없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6a)의 변형된 세척 에지가 원래 형상으로 빠르게 복귀되더라도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교착은 발생하지 않는다. 감광 드럼(1)의 정회전 방향(a)에 대해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 사이에 접촉 영역의 상류 에지에 접하고 교착되지 않은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작은 덩어리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다음 인쇄 작업을 위해 정방향(a)으로 회전할 때,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이런 덩어리는 세척 블레이드(6a)를 지나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평행한 흐린 스트라이프로 손상된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더욱이, 감광 드럼(1)의 역회전이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변형으로부터 회복되도록 허용한 후에,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발생하는 압력은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가 교착하기에 충분하게 세지 않다. 따라서,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이 도9의 (5)에 도시된 상태로 남아 있기만 하면, 이어지는 화상 형성 작업은 화상 형성 장치가 상당한 시간동안 방치된 채 남겨진 후에라도 평행한 흐린 스트라이프로 손상된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다.
6) 실시예 1-2 [정방향(a)으로 회전 - 1초 정지 - (전 회전 전에)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 - 역방향(b)으로 회전 - 정지]
제2 실시예는 감광 드럼(1)의 정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에 감광 드럼(1)을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시동 모터(11)를 사용한다. 특히, 천천히 시동되는 모터는 모터(11)로서 채용되고, 모터가 시동 기간동안 회전하는 속도는 감광 드럼(1)이 전술한 감광 드럼(1)의 정회전 후에 정방향(a)으로 회전하는 속도로 사용된다. 이런 절차의 채용은 모터(11)의 속도가 임의의 제어에 의해 낮게 유지되는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10은 동력이 모터(11)에 제공된 시간과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1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가 1/4 정속도, 즉 25 mm/sec 로 유지되고 빠르게 시동되는 모터가 모터(11)로서 채용되도록 제어가 실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시동 속도가 느린 모터가 채용된 경우와 대조적으로, 소정의 인쇄 작업의 종료로 감광 드럼(1)이 정지한 후에 동력이 모터에 제공된 시간은 30 msec로 설정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은 평균 20 mm/sec 의 주연 속도로 회전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소정의 인쇄 작업이 완료된 후에 정방향(a)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1)은 제로 속도에서 소정의 회전 속도까지 모터(11)가 가속되는 기간 동안 모터(11)의 시동 속도를 사용함으로써, 1초 동안 정지한 후에 감광 드럼(1)의 정 주연 속도보다 더 낮은 평균 주연 속도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태양은 제어 등에 대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서 발생된 감광 드럼(1)과 블레이드(6a) 사이에 접촉의 상태의 변화는 제1 실시예(도9)와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감광 드럼(1)이 제2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b)으로 회전할 때 중간 전사 벨트(30)가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하는 각도는 감광 드럼(1)의 축선과 감광 드럼(1) 및 블레이드(6a) 사이의 접촉 영역의 상류 에지를 연결하는 평면과 감광 드럼(1)의 축선과 1차 전사 롤러(5)[사실상 중간 전사 벨트(30)] 사이의 접촉 영역의 하류 에지를 연결하는 평면 사이의 각도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이 감광 드럼(1)의 역방향(b)으로의 회전에 의해 이동한 거리는 중간 전사 벨트(30)[중간 전사 롤러(5)]와 감광 드럼(1) 사이에 접촉 영역와 전술한 닙(W) 사이의 거리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함에 따라, 현상제가 현상 장치(4)로부터 넘칠 수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하는 동안 현상 장치(4)[현상제 담지 부재)는 분리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되거나, 현상 장치(4, 현상제 담지 부재)의 회전이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실시예는 중간 전사 벨트(30)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실시예 방법은 또한 중간 전사 벨트 대신에 중간 전사 드럼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이 감광 드럼(1)으로부터 기록 용지 상에 직접 전사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에는 2 이상의 감광 드럼(1)을 구동하기 위한 단일 모터만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실시예는 2 이상의 감광 드럼(1)을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2 이상의 모터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30)와 벨트(30)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33)사이에 관계와도 관련된다. 즉, 2개의 인쇄 작업 사이에 간격 동안 세척 장치(33)의 세척 벨트(30)의 회전을 제어하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이 2개의 인쇄 작업 사이에 간격 동안 감광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때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한다.
실시예2
제1 실시예에서, 노광 흐림에 기인한 평행하고 흐린 스트라이프로 손상된 화상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노광 흐림을 야기하는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교착은 감광 드럼(1)이 소정의 인쇄 작업의 마지막에 완전 정지하는 기간 동안 감광 드럼(1)의 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에 수집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를 분산시킴으로써 방지된다. 대조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 노광 흐림을 야기하는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교착은 감광 드럼(1)이 정 작동 속도로 시동되는 기간 동안 감광 드럼(1)의 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에 수집된 잔류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를 분산시킴으로써 최소화된다.
(1) 화상 형성 장치의 예
도12는 본 실시예에서 직접 전사 형태의 전자 사진 레이저 프린터의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로 그 대강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프린터의 화상 형성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프린터의 화상 담지 부재로서 감광 드럼(1)이 도면에서 화살표(a)로 표시된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주연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 드럼(1)이 회전함에 따라, 소정의 대전 바이어스가 도시되지 않은 전원 회로로부터 대전 롤러(2, 세척 롤러)에 인가되어 소정의 극성 및 전위 레벨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감광 드럼(1)의 균일하게 대전된 주연면은 비디오 신호에 의해 변조되는 동안 노광, 즉 레이저 스캐너(3)로부터 방출된 광(L)의 비임에 노출되고 노광(L)에 의해 주사된다.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데이터를 반영하는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은 정상적으로 또는 역으로 현상 장치(4)에 의해 가시적인 화상 또는 토너(현상제) 형성된 화상(이하, 토너 화상 또는 현상제 화상이라 함)으로 현상된다. 현상 장치(4)에 저장되는 현상제로서의 토너는 참조 부호 t로 표시되며, 회전 가능한 현상 슬리브는 참조 번호 4a로 표시된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정전 잠상은 도시되지 않은 전원 회로에 의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위 레벨 차를 유지하는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 상에 담지된 토너(t)에 의한 가시적 화상(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토너 화상의 형성 공정과 동기하여, 전사 매체(P)[기록 용지와 같은 기록 매체]는 시트 공급 유닛(40)에 의해 전사 롤러(5)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으로 반송된다. 그후, 전사 매체(P)가 접촉 영역을 통해 이송됨에 따라,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토너 화상이 도시되지 않은 전원 회로에 의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위 레벨차를 유지하는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5)에 의해 전사 매체(P) 상에 전사된다. 그후, 전사 매체(P)는 이송 안내부(8)에 의해 정착 유닛(7)으로 안내된다. 정착 유닛(7)에서, 열과 압력이 정착되지 않은 화상과 전사 매체(P)의 조합에 가해지고, 전사 매체(P)에 토너 화상을 정착시킨다. 그후, 전사 매체(P)는 배출 롤러(9) 쌍에 의해 배출 트레이(10)로 배출된다. 한편, 전사 매체(P)가 분리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일부는 블레이드 형태의 세척 장치(6)에 의해 전사 잔류 토너를 세척하고 화상 형성을 위해 재사용된다.
다음으로, 감광 드럼(1)에 인접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는 그 구조를 주목하여 설명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세척하는 공정이 설명될 것이다. 도13은 감광 드럼(1)과 그 인접부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면부호 ta로 지시된 것은 현상제(t)를 이용하여 현상 슬리브(4a)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이다. 이러한 현상제 화상(ta)은 전사 매체(P) 상에 전사된다. 그러나, 현상제 화상(ta)의 현상제의 일부는 전사 매체(P) 상에 전사되는데 실패하며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잔여하고, 도면부호 tb는 현상제 화상(ta)이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남아있는 현상제를 지시한다. 블레이드형의 세척 장치(6)의 세척 블레이드(6a)(세척기 블레이드)가 현상제(tb) 또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전사 매체(P) 상에 전사되는 것이 실패한 현상제를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낙하하도록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긁어내기 위해 제공된다. 밀봉 시트(6d)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현상제(tb)를 긁어냄에 따라 현상제(tc), 즉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서 긁어낸 현상제가 세척 장치(6)로부터 불어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세척 블레이드(6a)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효율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블레이드(6a)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도록 위치되어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이동에 대항한다. 따라서,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하류쪽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레이드(6a)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위치되어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한 치수(W)를 갖는 접촉 닙이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에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인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시퀀스는 제1 실시예(도3)와 동일하다.
(2) 실시예 2-1[짧은 회전 X-정지 (1초 이하)-개시(화상 형성용)]
대기 기간 동안, 즉 화상 형성 작업(A)이 종료될 때와 화상 형성 작업(B) 또는 다음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시작되는 사이의 기간 동안, 감광 드럼(1)은 그대로(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기간 동안, 세척 블레이드(6a)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유지되고 폭(W)을 갖는 접촉 영역이 보존된다. 따라서,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간극에 포획되어 있는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되어 접착된다. 따라서, 대기 기간 동안 폭(W)을 갖는 접촉 영역인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일부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잔여부와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갖게 된다.
대기 유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작업(B)을 시작하기 위한 프린터 제어 수단(도시 안됨)으로서의 컴퓨터에 의해 발생된 지령에 의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화상 형성 작업(B)은 이어지는 시퀀스에 따라 수행되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잔여부와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갖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일부가 전자와 후자 사이의 마찰 계수의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넓어진다.
더 상세히는, 도14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트리거는 컴퓨터로부터 인쇄 지령이 발생된 후에 발생되는 내부 신호이고, 화상 형성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에 대한 준비를 하게 하는 신호이다.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준비가 되면, 감광 드럼(1)은 매우 짧은 시간(X)만큼 회전된다. 감광 드럼(1)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가속도 곡선과 모터와 감광 드럼(1) 사이에 위치된 구동력 전달 기구의 응답을 고려하여, 매우 짧은 시간(X)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이 단지 닙부의 폭(W)과 동일한 거리만 이동되기에 충분하게 생성된다. 감광 드럼(1)이 짧은 시간(X)동안 회전된 후에, 정방향(a)인 감광 드럼(1)의 다음 회전의 시작에서 교착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 덩어리를 느슨하게 하고 소산시키도록 정전 마찰을 활용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러한 정전 마찰의 활용은 폭(W)을 갖는 접촉 영역의 크기의 대략 두 배의 영역에 걸쳐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 덩어리를 소산시킨다. 감광 드럼(1)이 1분 이상 그대로 유지되면, 감광 드럼(1)이 (짧은 회전 후에) 그대로 유지되면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가 접촉 영역에서 교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은 짧은 회전 후에 1분 이하로 그대로 유지된다.
감광 드럼(1)이 짧게 구동된 후에, 일시적으로 그대로 유지되고, 그 다음에 다시 회전된다[전-회전 단계(M)]. 이러한 전-회전 단계(M)에서, 레이저 광의 비임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조사되지만, 전사 매체(P)는 감광 드럼(1)과 전사 롤러(5) 사이에 있지 않는다. 전-회전 단계(M)에서, 감광 드럼(1)은 완전한 1회전 이상 회전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잔여부와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갖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일부[짧은 구동에 의해 접촉 영역(W)의 대략 두 배로 되도록 증가된 폭]는 세척 블레이드(6a)를 두 번 통과하여 이동된다. 전-회전 단계(M)의 완료 직후에, 레이저 광의 조사는 화상 형성용으로 시작되고,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은 레이저 광의 비임에 노출된다. 그 다음에, 전사 매체(P)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일부의 도달과 동기화되어 감광 드럼(1)과 전사 롤러(5) 사이에 화상이 형성되는 전사 닙으로 이송된다.
도13의 영역(D)에서 수행되는 작동 순서는 전체 순서의 일부로써만 설명되고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전술한 작동 순서의 실행의 결과 중 하나로서 예상될 수 있는 마찰 계수의 변화는 감광 드럼(1)의 잔여 주연면의 마찰 계수와 상이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일부가 감광 드럼(1)의 짧은 구동 후에 두 번 세척 블레이드(6a)를 통과함에 따라 발생되는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로 변화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인 도15에 도시된다. 감광 드럼(1)이 매우 짧은 시간(X)만큼 구동되는 단계의 추가는 변화의 크기를 감소시키지 않지만,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잔여부와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갖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이 넓어진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의 변화에 기인하는 화상 결함 또는 전술한 평행하게 흐린 스트립은 현저하게 감소되고, 달리 말하면, 이러한 제어 시퀀스를 이용하여 형성된 화상은 품질이 우수할 것이다.
또한, 전-회전 순서의 추가는 마찰 계수 자체의 변화를 감소시키고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가 화상 형성용 감광 드럼의 정 주연 속도와 상이한 시간을 증가시킨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잔여부와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갖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영역은 넓어지게 되어, 차례로 화상 결함 또는 평행하게 흐린 스트립을 현저한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전-회전 기간 동안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전압(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전사 바이어스 등)의 인가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접착된 잔여물을 소산시키는데 효과적이어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마찰 계수의 변화를 더 점진적으로 되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대전 또는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접착된 잔여물들은 대전 롤러 또는 전사 롤러 상에 각각 전사되거나 또는 전기 대전이 잔여물로부터 제거되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잔여물이 제거되기 쉽게 한다. 또한,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1)과 접촉하면서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접착된 잔여물들은 토너로 코팅되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쉽게 제거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3
제3 실시예에서, 노출 흐림의 발생을 처리하기 위해, 주어진 인쇄 작업의 종료시 뿐만 아니라 다음 인쇄 작업의 시작시에에도 주연 속도 및/또는 방향에 대해 감광 드럼의 회전을 제어한다.
(1) 실시예 3-1[정방향(a)로의 회전-역방향(b)로의 회전-정지(방치된 상태)-감소된 속도로 정방향으로의 회전-정방향(a)으로의 회전]
도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주어진 인쇄 작업의 종료시에 정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회전이 종료된 후에, 감광 드럼(1)은 역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에, 감광 드럼(1)은 다음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 개시의 초기 스테이지 동안 교착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를 소산시키도록 1/4 정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이 다음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 개시의 초기 스테이지 동안 1/4 정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 후에, 감광 드럼(1)은 화상 형성을 위해 정속도로 정방향(a)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된다.
도16의 (1)은 화상 형성을 위해 정방향(a)으로 회전되는 세척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인접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다음의 원인을 발생시킨다. 즉, 세척 블레이드(6a)가 경사지기 때문에 세척 에지는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이동에 대항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의해 끌려가게 된다.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제거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 부 첨가제(t)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이동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정회전 방향(a)으로 이동됨에 따라 변형된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간극 내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도16의 (2)는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을 시작하는 순간의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인접부들의 상태이다.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에 수집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들의 덩어리는 블레이드(6a)의 탄성이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의 변형부를 쳐내도록 함에 따라 발생된 압력(F)에 의해 교착된다.
도16의 (3)은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된 후의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인접부들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역회전 동안의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는 감광 드럼(1)이 정방향(a)으로 회전하는 것과 동일한 속도인 100 ㎜/초이다. 감광 드럼(1)의 역회전 길이는 400 밀리초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교착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 덩어리는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으로부터 이동된 후에도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고착으로 접착식되어 잔류한다. 감광 드럼(1)이 감광 드럼(1)의 역회전 후에 그대로 유지되면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은 감광 드럼(1)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와 접촉되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일부에 단단히 접착되지 않는다. 감광 드럼(1)의 역회전이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의 변형부를 전-변형 형상으로 후방으로 스냅되도록 허용한 후에, 블레이드(6a)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대해 가압됨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은 잔여 현상 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 덩어리가 교착되는데 충분할만큼 크지 않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주어진 인쇄 작업의 종료시에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의 화상 형성 회전의 완료 직후에 역방향(b)으로 짧게 회전하는 동안, 감광 드럼(1)이 상당한 기간의 시간동안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교착은 접촉 영역에서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의 이러한 역회전은 역회전 후에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평행하게 흐린 스트립을 갖는 화상을 형성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화상 형성 회전의 종료시에,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의 작은 덩어리들이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간극에 존재한다. 따라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의 화상 형성 회전 종료 직후에 역방향(b)으로의 감광 드럼(1)의 회전이 시작되고,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의 변형부가 감광 드럼(1)의 역방향(b)으로의 회전에 의해 쳐내도록 함에 따라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작은 덩어리는 블레이드(6a)의 탄성에 의해 발생된 압력에 의해 즉시 교착된다[도16의(2)]. 그러나, 감광 드럼(1)의 역방향(b)으로의 회전 직후에,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는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된 후에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교착이 접촉 영역에서 발생하지 않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제4 실시예(실시예 3-1)에서, 다음 인쇄 작업의 시작시에, 역방향(b)으로의 감광 드럼(1)의 짧은 회전 동안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교착되어 접착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 덩어리를 소산시키기 위해, 감광 드럼(1)은 다음의 인쇄 작업을 위해 감광 드럼(1)의 화상 형성 회전의 시작 시에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다. 도16의 (4)는 다음의 인쇄 작업의 다양한 시작 시에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 및 그 인접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접촉 영역의 이러한 상태에 상응하는 시점으로부터, 감광 드럼(1)은 2,500 밀리초 동안 25 ㎜/초의 감소된 주연 속도로 회전된다. 감소된 주연 속도에서 감광 드럼(1)의 이러한 회전 기간은 도16의 (3)에 도시된 접촉 영역의 상태에 상응하는 시점에서 감광 드럼(1)의 역방향 회전이 시작되는 기간보다 길게 요구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되는 주연 속도는 1/4 정속도이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1/4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하는 시간은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하는 시간(400 밀리초)의 4배 이상이다. 달리 말하면, 감광 드럼(1)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하는 시간은 1,600 밀리초 이상이다. 감광 드럼(1)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함에 따라, 교착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의 덩어리(t)는 도16의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느슨해지고 소산되면서 블레이드(6a)를 거쳐 이동된다. 달리 말하면, 감광 드럼(1)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하는 동안, 교착된 잔여물(t)들은 느슨해지고,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짧은 역회전의 다양한 시작부에서 접착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영역보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된다. 감광 드럼(1)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하는 이러한 단계를 부가함으로써,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나머지 부분과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갖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영역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넓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실시예가 경험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으로부터의 평행하게 흐린 스트립이 사실상 나타나지 않고, 따라서,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의 변화에 기인하는 결과물 화상의 변형은 줄어든다.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회전 후에, 감광 드럼(1)은 다음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정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은,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이 회전하는 단계와 다음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해 정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이 회전되는 다음 단계 사이에서 정지되지 않고, 감광 드럼(1)은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그러나,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이 회전한 후에 정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이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잔여물(t)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이 회전함으로써 블레이드(6a)를 통과하여 이동된 후에 감광 드럼(1)은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본 실시예의 전술한 것보다 효과적이다. 감광 드럼(1)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이 회전하는 단계와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해 정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이 회전되는 단계 사이에서 1분 이상 그대로 유지되면, 잔여물(t)이 접촉 영역에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일부에 교착되어 접착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회전과 정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회전 사이에서 그대로 유지될 때, 감광 드럼(1)이 그대로 유지되는 시간은 1분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실시예 3-2 [정방향(a)으로의 회전-1초 정지-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회전-역방향(b)으로의 회전-정지(방치된 상태)-감소된 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회전-정방향(a)으로의 회전]
도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정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1)의 회전 후에, 감광 드럼(1)은 1초간 정지하고, 그 다음에 1/4 정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에, 감광 드럼(1)은 역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에, 다음의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개시의 초기 단계 동안, 감광 드럼(1)은 교착된 잔여물을 소산시키도록 1/4 정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이 다음의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개시의 초기 단계 동안 1/4 정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 후에, 감광 드럼(1)은 정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다(일정 속도).
도17의 (1)은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와 화상 형성을 위해 정방향(a)으로 회전되는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인접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다음의 원인을 발생시킨다. 즉, 세척 블레이드(6a)가 경사지기 때문에, 세척 에지가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이동에 대항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의해 끌려가게 된다. 세척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변형됨으로써,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부터 제거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이동에 의해 감광 드럼의 정회전 방향(a)으로 이동됨에 따라 블레이드(6a)의 변형된 세척 에지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간극 내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도17의 (2)는 블레이드(6a)와 정방향(a)으로의 회전이 정지된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인접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광 드럼이 1분 이하로 그대로 유지되는 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덩어리는 교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은 1초간 그대로 유지된다.
도17의 (3)은 블레이드(6a)와 감소된 주연 속도, 즉 40 밀리초 동안 25 ㎜/초의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되는 감광 드럼 사이의 접촉부와 그 인접부 사이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인쇄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잔여 현상제를 제거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을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와 감광 드럼(1) 사이의 간극 내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관성은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의 감소 때문에 사실상 소멸된다. 부가로, 감광 드럼(1)은 감소된 주연 속도로 회전되어 블레이드(6a)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완전하게 접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 결과, 블레이드(6a)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사실상 간극의 존재없이 접촉하여 위치되고,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이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사이의 경계로 들어오기 어렵게된다.
도17의 (4)는 감광 드럼(1)이 1/4 정 주연 속도로 회전된 후에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과 그 인접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 에서,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에 점착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은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이동에 의해 접촉 영역의 하향으로 이동된다.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한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W)(닙)의 폭은 대략 500 ㎛이고,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이 이동하는 거리는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간극에 점착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이 접촉 영역(W)(닙) 하향으로 이동하기에 충분한 25 X 60 = 1500 (㎛)이다.
도17의 (5)는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된 후의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 및 그 인접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하는 주연 속도는 정회전과 동일한 100 ㎜/초이고, 이러한 역회전 기간은 400 밀리초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에 점착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는 없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됨에 따라 블레이드(6a)의 세척 에지가 표준 형상 내로 스냅되어 채여지더라도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교착은 발생하지 않는다. 감광 드럼(1)의 역회전 전에 감광 드럼(1)의 정회전 방향(a)에 대해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의 상류 에지에 있는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작은 덩어리는 교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촉 영역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작은 덩어리들로 부스러지고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단단히 접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 또는 5번째 예(실시예 3-2)에서,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 의 작은 덩어리로부터 부스러진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더 작은 덩어리를 더 소산시키기 위해, 감광 드럼(1)은 다음 인쇄 작업이 시작될 때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다. 도17의 (6)은 다음 인쇄 작업의 다양한 시작에서 블레이드(6a)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영역 및 그 인접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접촉 영역의 이러한 상태에 상응하는 시점으로부터, 감광 드럼(1)은 2,500 밀리초 동안 25 ㎜/초의 감소된 주연 속도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의 이러한 회전의 기간은 도17의 (5)에 도시된 접촉 영역의 상태에 상응하는 시점에서 시작된 감광 드럼(1)의 역회전 기간보다 길게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하는 주연 속도는 1/4 정속도이다. 따라서, 감광 드럼(1)이 1/4 정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되는 시간은 감광 드럼(1)이 역방향(b)으로 회전되는 시간(400 밀리초)의 4배 이상이다. 달리 말하면, 감광 드럼(1)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되는 시간은 1,600 밀리초 이상이어야 한다. 감광 드럼(1)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됨에 따라,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t)의 작은 덩어리는 도17의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소산되면서 블레이드(6a)를 통과하여 이동된다. 달리 말하면,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이 회전하는 동안, 잔여물(t)은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의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역회전이 다양하게 시작되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영역보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된다.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의 회전 단계를 추가하여,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의 감광 드럼을 회전시킴 으로써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나머지 부분과 상이한 마찰 계수를 갖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영역이 넓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실시예가 경험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으로부터의 화상의 변형 또는 평행하게 흐린 스트립이 사실상 나타나지 않고, 따라서, 감광 드럼(1)의 주연 속도의 변화에 기인하는 결과물 화상의 변형은 줄어든다. 감소된 주연 속도로 정방향(a)으로 감광 드럼(1)을 회전시킨 후에, 감광 드럼(1)은 다음의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정 주연 속도(일정 속도)로 정방향(a)으로 회전된다.
기타
1)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잠상 담지 부재와 매개 전사 부재는 드럼 또는 무단 벨트의 형상일 수 있다. 잠상 담지 부재는 정전 기록 유전체 부재일 수 있다. 화상 담지 부재는 다양한 화상 형성 수단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된 토너 화상(현상제 화상)을 담지할 수 있는 부재이다.
2)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현상제로서 이용되는 토너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균 입자 직경이 6 ㎛인 구형 토너이다. 다음은 토너의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과 구형 토너의 한정이다.
1. 토너의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측정에 이용되는 장치는 수의 평균 분포와 체적 평균 분포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니까끼사(Nikkaki Co., Ltd.)의 제품]와 개인용 컴퓨터 CX-1(캐논사 제품)이 연결된 콜티어 카운터(Coulter Counter) TA-2[콜티어사(Coulter Co., Ltd.)의 제품]이다. 전해물은 제1 등급 염화 나트륨(NaCl)의 1% 수용액이다.
측정 방법으로서, 분산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알킬 벤젠 술폰산인 0.1 내지 5 ㎖의 계면 활성제가 100 내지 150 ㎖의 전술한 전해질 수용액에 첨가되고, 그 다음에 이 혼합물에 0.5 내지 50 ㎎의 테스트 샘플이 첨가된다.
테스트 샘플이 부유하는 전해물은 테스트 샘플을 분산시키기 위해 대략 1 내지 3분 동안 초음파 분산 장치로 처리된다. 그 다음에, 직경이 2 내지 40 ㎛의 범위인 토너 입자의 수 및 체적 평균 분포들은 100 ㎛ 개구에 끼워맞춤된 전술한 콜티어 카운터 TA-2를 이용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다음에, 이들 분포로부터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얻어진다.
2. 구형 토너
토너 입자의 구형을 나타내기 위한 형상 계수로서, SF-1, SF-2가 이용된다. SF-1은 입자의 구형도를 나타낸다. 완전한 구형 입자의 SF-1은 100이다. 입자의 SF-1이 커질수록, 입자의 형상은 더 불규칙해진다. SF-2는 입자 표면의 거침 정도를 나타낸다. 완전히 매끈한 입자의 SF-2는 100이다. 입자의 SF-2가 커질수록, 입자의 표면은 더 거칠어진다.
구형 토너의 SF-1 및 SF-2의 값은 다음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F-1 = 100 - 160
SF-2 = 100 - 140,
바람직하게는,
SF-1 = 100 - 140
SF-2 = 100 - 120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구형 토너의 SF-1 및 SF-2의 값은 다음의 기구 및 공식을 이용하여 얻어진다. 기구는 무작위식으로 100개의 토너 입자의 샘플을 토너 화상을 500배 확대하기 위해 이용되는 FE-SEM(S-800)[히타치사(Hitachi, Ltd.) 제품]이다. 얻어진 비디오 데이터는 화상 분석 장치 LUZEX 3[니코르사(Nikore Co., Ltd.) 제품]로 입력되어 분석된다. 그 다음에, SF-1과 SF-2의 값은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된다(도18 및 19).
SF-1 = {(MXLNG)2/AREA} X (π/4) X 100
SF-2 = {(PERI)2/AREA} X (1/4π) X 100
AREA: 토너 입자의 투영 면적
MXLNG: 절대 최대 길이
PERI: 주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태양 중 하나에 따라, 화상 담지 부재는 주어진 화상 형성 작업의 완료 후에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그 다음에 세척 블레이드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에 접촉하면서 화상 담지 부재는 짧게 회전하고, 세척 블레이드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 사이의 간극에 포획된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의 작은 덩어리를 제거한다. 그 다음에, 화상 담지 부재는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의 작은 덩어리가 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한 세척 블레이드가 변형으로부터 복구되도록 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따 라서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블레이드에 의해 인가된 압력에 의해 잔여 현상제 및/또는 외부 첨가제가 교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의 표면 마찰 계수의 국부적인 감소에 기인하는 로드 변화를 저렴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우수한 품질의 화상, 더 상세히는, 노광 프로세스 동안 발생되는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의 주연 속도의 변화에 기인하는 평행하게 흐린 스트립이 나타나지 않는 화상을 항상 출력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특징적인 태양에 따라, 실질적인 의미의 우수한 품질의 화상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과 접촉하는 세척 부재를 위치시키거나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세척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지 않고 얻어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에 접촉하는 세척 부재를 위치시키거나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세척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비용을 사실상 감소시킬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모든 것은 주어진 인쇄 작업의 시작 직전에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대기 기간동안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량을 사실상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대기 기간동안 세척 부재의 짧은 이동에 기인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부가로, 본 방법과 비교하여,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대기 기간동안 매 소정 시간으로 화상 담지 부재가 짧은 회전함에 따라, 특히 긴 대기 기간 동안, 본 실시예의 제어 방법은 사실상 화상 담지 부재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잔여 현상제 등이 세척 블레이드에 의해 교착되는 문제점은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하기 전에 화상 담지 부재의 소정의 외주 거리만큼 정방향으로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방지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연면의 마찰 계수가 현상제 등의 교착에 의해 국부적으로 감소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세척 블레이드 등에 의해 생성된 로드의 양의 변화는 최소화되어,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 속도의 변동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시에 화상 결함, 특히 평행하게 흐린 스트립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으로부터 세척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대신,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현상제 등의 교착을 방지하여, 교착을 방지하기 위해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면으로부터 세척 블레이드를 이격시키도록 일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불필요하게 하며, 본 발명은 현상제 등의 교착에 대한 해결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전술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상세 내용에 대해 제한되지 않고, 본 출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이러한 변형 또는 변화를 실시하는 것이 의도된다.
본원 발명은 세척 블레이드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현상제가 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담지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회전 가능한 화상 담지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상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동작의 완료 후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 화상 형성 동작 동안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주연 거리를 통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 화상 형성 동작 동안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4 단계를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블레이드는, 상기 세척 블레이드가 소정의 영역 내에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되는 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협동작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블레이드는 화상 형성 동작 동안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 속도는 화상 형성 동작 동안의 주연 속도보다 느린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의 중지로부터 상기 제2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개시까지의 시간은 화상 형성 작동에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는데 요구되는 시간보다 짧은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상기 제3 단계에서 회전하는 주연 거리는 화상 전사 수단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닙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화상 전사 수단은 상기 기록재 상으로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현상된 화상을 전사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의 개시로부터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의 중지까지의 시간동안, 상기 현상 부재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거나 또는 비회전인 상태로 유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는 상기 제1 단계에서 1분 이하동안 정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는 전자사진식 감광 드럼인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는 무단 벨트의 형태인 중간 전사 부재이고, 상기 중간 전사 부재는 그 위로 전사되는 현상된 화상을 일시적으로 담지하고, 상기 현상된 화상은 이후에 상기 기록재 상으로 전사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서 기능을 하는 전자사진식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부재로서 기능을 하는 현상 롤러 및 상기 세척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화상 담지 부재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블레이드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상기 세척 블레이드가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되는 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협동작용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동작의 완료 후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 화상 형성 동작 동안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주연 거리를 통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 화상 형성 동작 동안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인 회전 방향으로 상기 화상 담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주연 속도는 화상 형성 작동 동안의 주연 속도보다 느린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의 중지로부터 상기 제2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개시까지의 시간은 화상 형성 작동에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는데 요구되는 시간보다 짧은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상기 제3 단계에서 회전하는 주연 거리는 화상 전사 수단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닙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화상 전사 수단은 상기 기록재 상으로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현상된 화상을 전사시키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의 개시로부터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의 중지까지의 시간동안, 상기 현상 부재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거나 또는 비회전인 상태로 유지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는 상기 제1 단계에서 1분 이하동안 정지되는 제어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닙의 폭 이상인 화상 형성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닙의 폭 이상인 제어 방법.
KR1020040065322A 2003-08-20 2004-08-19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35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8004A JP4194439B2 (ja) 2003-08-20 2003-08-20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担持体の駆動制御方法
JPJP-P-2003-00208004 2003-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676A KR20050020676A (ko) 2005-03-04
KR100635421B1 true KR100635421B1 (ko) 2006-10-18

Family

ID=3430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322A KR100635421B1 (ko) 2003-08-20 2004-08-19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0376B2 (ko)
EP (1) EP1521135A1 (ko)
JP (1) JP4194439B2 (ko)
KR (1) KR100635421B1 (ko)
CN (1) CN1003689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1853B2 (ja) * 2005-02-17 201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14746B2 (ja) 2006-11-30 2010-07-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7885595B2 (en) * 2007-09-04 2011-02-08 Ricoh Company Limited Lubricant applicator, process cartridge including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2009175657A (ja) * 2007-12-27 2009-08-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577416B2 (ja) * 2008-06-26 2010-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0186155A (ja) * 2008-07-31 2010-08-2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867964B2 (ja) * 2008-09-22 2012-0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35570B2 (ja) 2009-06-12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65390B2 (ja) 2009-07-08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46775B2 (ja) 2009-10-30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643134B1 (ko) * 2009-12-15 2016-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용 동력전달유닛
JP2011180432A (ja) * 2010-03-02 2011-09-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527177B2 (ja) * 2010-11-26 2014-06-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01286B2 (ja) * 2011-01-12 2016-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22573B2 (ja) * 2011-07-08 2015-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63957B2 (ja) 2013-08-13 2017-07-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JP2015219345A (ja) * 2014-05-16 2015-12-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331745B2 (ja) * 2014-06-18 2018-05-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41340B2 (ja) 2014-12-03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98591B2 (ja) * 2015-08-28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1846A (en) 1972-01-18 1975-06-24 Canon Kk Corona discharger cleaning apparatus
JPS5182635A (en) 1975-01-17 1976-07-20 Canon Kk Kuriiningusochi
US4218131A (en) 1975-01-17 1980-08-19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JPS58192056A (ja) 1982-05-04 1983-11-09 Canon Inc 電子写真装置
JPS60128463A (ja) 1983-12-15 1985-07-09 Fuji Xerox Co Ltd プリント装置
JPS6167056A (ja) 1984-09-10 1986-04-07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1240276A (ja) * 1985-04-17 1986-10-25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3210858A (ja) 1987-02-27 1988-09-01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490585A (ja) * 1990-08-02 1992-03-24 Ricoh Co Ltd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863071A (ja) 1994-08-17 1996-03-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141316B2 (ja) * 1994-12-02 2001-03-0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機
JP3910261B2 (ja) * 1997-07-08 2007-04-25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6128462A (en) * 1998-04-02 2000-10-03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member,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leaning blade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attachable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4562017B2 (ja) 2000-07-13 2010-10-13 株式会社リコー 像担持体回転制御装置、像担持体回転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487387B2 (en) * 2000-10-24 2002-11-26 Canon Kabushiki Kaisha Full-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belt-shaped transfer member
US7716591B2 (en) 2001-01-31 2010-05-11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web p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94439B2 (ja) 2008-12-10
JP2005062280A (ja) 2005-03-10
CN100368940C (zh) 2008-02-13
US20050063734A1 (en) 2005-03-24
KR20050020676A (ko) 2005-03-04
US7120376B2 (en) 2006-10-10
EP1521135A1 (en) 2005-04-06
CN1584756A (zh)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421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178756B2 (ja) 画像形成装置
JP4741853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2400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91685A (ja) 画像形成装置
JPH092120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18095A (ja) プロセ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07469B2 (ja) 画像形成装置
JP347202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13842A (ja) 感光体駆動制御装置
JP2010197838A (ja) 帯電制御装置および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JP2010008729A (ja) 画像形成装置
JPH09281869A (ja) 画像形成装置
JP3330485B2 (ja) 画像形成装置
JP347202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197932A (ja) 画像形成装置
KR20240044339A (ko) 화상 형성 장치
JPH09297519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97841A (ja) 画像形成装置
JPH09319276A (ja) 画像形成装置
JP333483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230769A (ja) 画像形成装置
JPH092975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27264A (ja) 画像形成装置
JPH0928186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