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824B1 -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 - Google Patents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824B1
KR100618824B1 KR1020040032501A KR20040032501A KR100618824B1 KR 100618824 B1 KR100618824 B1 KR 100618824B1 KR 1020040032501 A KR1020040032501 A KR 1020040032501A KR 20040032501 A KR20040032501 A KR 20040032501A KR 100618824 B1 KR100618824 B1 KR 10061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node
phase change
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199A (ko
Inventor
최병길
곽충근
조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824B1/ko
Priority to US11/124,341 priority patent/US7315469B2/en
Priority to JP2005136443A priority patent/JP2005346900A/ja
Publication of KR2005010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824B1/ko
Priority to US11/985,975 priority patent/US779642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4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disturbances due to temperature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6Write circuits, e.g. I/O line write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9Arrangements or methods for testing or calibrating a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11C2013/0078Write using current through the cell

Abstract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는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구동 회로는 기입 드라이버 및 온도 보상부를 구비한다. 기입 드라이버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셋 전류 또는 리셋 전류를 발생한다. 온도 보상부는 기입 활성 신호, 데이터 펄스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을 제어한다. 상기 온도 보상부는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 검출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은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짧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소비 전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Driver circu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width of writing pulse of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리셋 저항 또는 셋 저항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기입 전류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상 변화 물질의 에너지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온도 검출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제어 신호의 파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온도 보상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온도 보상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의 온도 보상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온도 보상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상 변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 변화 메모리 어레이로 인가되는 전류 펄스의 폭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 변화 메모리(PRAM: Phase Random Access Memory)는 온도 변화에 의한 상 전이에 따라서 저항 값이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Ge-Sb-Te)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이다.
상 변화 메모리의 셀(Cell)의 상 변화 물질(Ge-Sb-Te)은 온도 및 가열시간에 따라 상 변화 물질을 결정화하거나 비결정화 시킴으로써 정보를 저장한다. 상 변화 물질의 상 변화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900℃이상의 고온이 필요하며 이는 상 변화 메모리 셀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한 주울 열(Joule Heating)에 의하여 얻게 된다.
기입 동작을 설명한다. 상 변화 물질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상 변화 물질을 용융점(Melting Temperature)이상으로 가열한 뒤 급속히 냉각시키면 상 변화 물질이 비결정화(Amorphous) 형태로 정보 "1"를 저장한다. 이러한 상태를 리셋(Reset) 상태라고 한다.
상 변화 물질을 결정화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 이상으로 가열하여 일정 시간동안 유지한 뒤 냉각을 시키면 상 변화 물질이 결정화 형태로 정보 "0"을 저장한다. 이를 셋(Set) 상태라고 한다.
독출 동작은 비트라인과 워드라인을 선택하여 특정 메모리 셀을 선택한 후, 외부에서 전류를 흘려 상 변화 물질의 저항 상태에 따른 전압 변화의 차이로서 "1"과 "0"을 구분한다.
상 변화 메모리의 셀(Cell)의 기입 동작은 외부 온도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데 이는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기입 전류(Write Current)의 전류 량이 변화되고 상 변화 물질의 다이나믹 저항(Dynamic Resistance) 값이 변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외부 온도가 증가할수록 기입 전류(Write current)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의 성능이 저하되어 기입 전류 량이 감소되고 상 변화 물질의 다이나믹 저항(Dynamic Resistance) 값도 감소된다.
따라서 상 변화 메모리 셀의 상 전이의 직접적인 원인인 주울 열(Joule Heating)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 에너지(온도)가 크게 감소되고 이로 인하여 상 변화 물질이 불완전하게 결정화 또는 비결정화 된다. 그러면, 리셋(Reset) 저항과 셋(Set) 저항의 저항 값의 차이가 감소되어 독출(Read) 동작 시 결함(Fail)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도 1은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리셋 저항 또는 셋 저항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셋 저항(R_RESET)과 셋 저항(R_SET)의 저항비가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저항 비의 감소는 기입 동작 시 외부 온도가 증가할수록 상 변화 물질이 결정화 온도나 비결정화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출 동작시 외부 온도가 증가할수록 리셋 상태와 셋 상태를 구별하는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이 감소되어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도 2(a)는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기입 전류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상 변화 물질의 에너지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외부 온도가 증가할수록 구동 드라이버의 트랜지스터의 특성 감소로 상 변화 메모리 셀에 인가되는 기입 전류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도 2(b)에서 설명되는 에너지는 열 에너지를 의미하며 열 에너지는 주울 히팅(Joule Heating)에 의해서 발생된다.
주울 히팅에 의한 열 에너지는 상 변화 메모리 셀에 흐르는 전류의 제곱과 상 변화 물질의 저항에 비례한다. 외부 온도가 증가할수록 상 변화 메모리 셀에 흐르는 전류는 감소되고 또한 상 변화 물질의 저항도 감소하게 되므로 상 변화 메모리 셀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는 급격히 감소된다. 그러면, 상 변화 물질의 비결정화 또는 결정화가 불완전하게 수행되어 독출 동작 시 리셋 저항 및 셋 저항의 저항 값의 차이가 감소되어 센신 동작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기입 드라이버의 트랜지스터들의 성능이 저하되어 셋 펄스 및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이 길어진다. 상 변화 물질의 셋 상태는 저항 값이 낮은 상태인데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셋 펄스의 펄스 폭이 길어지므로 셋 상태에서의 저항 값이 증가되고 이는 리셋 저항 및 셋 저항의 저항 값의 차이를 줄 이는 문제가 된다. 그리고 평균적인 소비 전류 량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 변화 메모리 장치로 인가되는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 변화 메모리 장치로 인가되는 펄스 폭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는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구동 회로는 기입 드라이버 및 온도 보상부를 구비한다. 기입 드라이버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셋 전류 또는 리셋 전류를 발생한다.
온도 보상부는 기입 활성 신호, 데이터 펄스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을 제어한다. 상기 온도 보상부는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온도 보상부는 수신부, 펄스 제어부 및 펄스 발생부를 구비한다.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 펄스 및 상기 기입 활성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노드에 서 발생되는 제 1 신호의 논리 레벨을 제어한다. 좀더 설명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입 활성 신호가 제 1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펄스가 제 1 레벨로 되면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을 제 1 레벨로 만들고, 상기 기입 활성 신호가 제 2 레벨로 되면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도 제 2 레벨로 만든다.
펄스 제어부는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에 따라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제 2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을 조절한다.
펄스 발생부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를 발생한다.
상기 펄스 제어부는 래치부 및 지연 시간 제어부를 구비한다. 래치부는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을 저장한 후 출력한다. 지연 시간 제어부는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제 2 신호로서 발생하며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지연 시간 제어부는 복수개의 포워드 제어부들 및 복수개의 지연부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포워드 제어부들은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의 변동 시점을 앞당긴다.
복수개의 지연부들은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의 변동 시점을 지연시키고 상기 포워드 제어부들 및 지연부들은 상기 래치부에 직렬로 번갈아 연결된다. 상기 지연 시간 제어부는 상기 직렬 연결된 포워드 제어부들 및 지연부들 중 마지막 포 워드 제어부 또는 지연부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제 2 신호로서 출력하는 인버터를 구비한다.
상기 포워드 제어부는 입력되는 상기 제 2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1 인버터 및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한다.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로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지연부는 입력되는 상기 제 2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2 인버터 및 전원 전압과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피모스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로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펄스 발생부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로서 출력하는 논리곱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외부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전압 레벨이 증가되는 전압 신호이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 검출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온도 검출부는 바이어스부,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 및 제 3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바이어스부는 기준 전압을 수신하고 제 1 저항과 제 2 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제 2 노드의 전압 레벨을 제어한다.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노드와 제 3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3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상기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노드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는 제 1 단이 상기 제 2 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제 2 단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노드에 벌크(bulk)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는 제 1 단이 상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제 2 단이 상기 제 3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벌크(bulk)가 연결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는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동 회로는 기입 드라이버 및 온도 보상부를 구비한다. 기입 드라이버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셋 전류 또는 리셋 전류를 발생한다.
온도 보상부는 기입 활성 신호, 데이터 펄스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온도가 증가되는 경우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을 줄인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밍 방법은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래밍(programming) 방법에 있어서,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상기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리셋 펄스 및 셋 펄스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 밍 방법은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래밍(programming) 방법에 있어서,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상기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리셋 펄스 및 셋 펄스의 펄스 폭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300)는 기입 드라이버(310) 및 온도 보상부(320)를 구비한다.
기입 드라이버(310)는 데이터(DATA)를 수신하고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에 응답하여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셋 전류(I_SET) 또는 리셋 전류(I_RESET)를 발생한다.
온도 보상부(320)는 기입 활성 신호(WE), 데이터 펄스(DTD_PLS) 및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의 펄스 폭을 제어한다.
온도 보상부(320)는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구동 회로(300)는 제어 신호(TEMP_CTRL)를 발생하는 온도 검출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온도 검출부(330)는 외부 온도를 검출하여 외부 온도의 변화에 대응되어 전압 레벨이 변화되는 제어 신호(TEMP_CTRL)를 발생한다.
종래의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기입 드라이버의 트랜지스터들의 성능이 저하되어 셋 펄스 및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소비 전류 량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300)는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상 변화 메모리 셀로 인가되는 셋 전류(I_SET)와 리셋 전류(I_RESET)를 제어하는 셋 펄스(SET_PLS)와 리셋 펄스(RESET_PLS)의 펄스 폭이 외부 온도가 증가되기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셋 펄스(SET_PLS)와 리셋 펄스(RESET_PLS)의 펄스 폭을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 회로(300)의 온도 검출부(330)는 외부 온도를 검출하고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TEMP_CTRL)를 발생한다.
제어 신호(TEMP_CTRL)는 외부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전압 레벨이 증가되는 전압 신호이다.
온도 보상부(320)는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외부 온도가 증가되면 셋 펄스(SET_PLS) 및 리셋 펄스(RESET_PLS)의 펄스 폭을 제어한다. 온도 보상부(320)와 온도 검출부(330)의 상세한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4(a)는 도 3의 온도 검출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제어 신호의 파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온도 검출부(330)는 바이어스부(410),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MP1, MP2) 및 제 3 트랜지스터(MNTR)를 구비한다.
바이어스부(410)는 기준 전압(VREF)을 수신하고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의 저항 비에 따라 제 2 노드(N2)의 전압 레벨을 제어한다. 좀 더 설명하면, 바이어스부(410)는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의 저항 비로 전원 전압(VDD)을 나눈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제 2 노드(N2)를 일정한 전압 레벨로 유지시킨다.
만일 기준 전압(VREF)의 전압 레벨이 저항비에 의하여 나누어진 전압 레벨보다 크면 트랜지스터(T1)가 트랜지스터(T2)보다 더 크게 턴 온 되고 트랜지스터(T4)가 턴 온 되는 정도도 더 크게되어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으로 더 많은 전류가 흐른다. 그러면 제 2 노드(N2)의 전압 레벨은 상승한다.
반대로 기준 전압(VREF)의 전압 레벨이 저항비에 의하여 나누어진 전압 레벨보다 작으면 트랜지스터(T2)가 트랜지스터(T1)보다 더 크게 턴 온 되고 트랜지스터(T4)가 턴 온 되는 정도가 더 작게되어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으로 더 적은 전류가 흐른다. 그러면 제 2 노드(N2)의 전압 레벨은 하강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제 2 노드(N2)는 항상 동일한 전압 레벨을 유지한다.
온도 검출부(330)의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MP1, MP2)는 제 2 노드(N2)와 제 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MP1)는 제 1 단이 제 2 노드(N2)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제 2 단이 서로 연결되며 제 2 노드(N2)에 벌크(bulk)가 연결된다.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MP2)는 제 1 단이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MP1)의 제 2 단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제 2 단이 제 3 노드(N3)에 연결되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MP1)의 제 2 단에 벌크(bulk)가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MNTR)는 제 3 노드(N3)와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고 제 3 노드(N3)로부터 제어 신호(TEMP_CTRL)가 발생된다.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MP1, MP2)는 비교적 작은 저항 값을 가지며 제 3 트랜지스터(MNTR)는 비교적 큰 저항 값을 가진다. 트랜지스터는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의 레벨이 낮아지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MP1, MP2)는 외부 온도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전류를 제 3 노드(N3)로 흐르게 한다. 그러면 제 3 노드(N3)에서 발생되는 제어 신호(TEMP_CTRL)는 온도가 증가될수록 전압 레벨이 증가한다. 제어 신호(TEMP_CTRL)의 파형이 도 4(b)에 도시된다.
도 5는 도 3의 온도 보상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온도 보상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온도 보상부(320)는 수신부(510), 펄스 제어부(520) 및 펄 스 발생부(540)를 구비한다.
수신부(510)는 데이터 펄스(DTD_PLS) 및 기입 활성 신호(WE)에 응답하여 제 1 노드(N1)에서 발생되는 제 1 신호(S1)의 논리 레벨을 제어한다. 수신부(510)는 기입 활성 신호(WE)가 제 1 레벨인 상태에서 데이터 펄스(DTD_PLS)가 제 1 레벨로 되면 제 1 노드(N1)의 논리 레벨을 제 1 레벨로 만든다.
반대로, 수신부(510)는 기입 활성 신호(WE)가 제 2 레벨로 되면 제 1 노드(N1)의 논리 레벨을 제 2 레벨로 만든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제 1 레벨은 하이 레벨로 제 2 레벨은 로우 레벨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가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수신부(510)는 데이터 펄스(DTD_PLS)와 기입 활성 신호(WE)를 반전 논리곱 하는 반전 논리곱 수단(511), 반전 논리곱 수단(511)의 출력에 응답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 되는 트랜지스터(TR1), 기입 활성 신호(WE)를 반전시킨 인버터(513)의 출력이 게이트로 인가되는 트랜지스터(TR2)를 구비한다.
펄스 제어부(520)는 제 1 노드(N1)의 논리 레벨에 따라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제 2 신호(S2)를 발생하며,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을 조절한다.
펄스 발생부(540)는 제 1 신호(S1) 및 제 2 신호(S2)에 응답하여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를 발생한다. 펄스 발생부(540)는 제 1 신호(S1) 및 제 2 신호(S2)를 논리곱 하여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로서 출력하는 논리곱 수단을 구비한다.
도 5에서, 논리곱 수단은 반전 논리곱 수단(545)과 인버터(547)에 의하여 구현된다.
펄스 제어부(520)는 래치부(525) 및 지연 시간 제어부(530)를 구비한다. 래치부(525)는 제 1 노드(N1)의 논리 레벨을 저장한 후 출력한다. 지연 시간 제어부(530)는 래치부(525)의 출력을 반전시켜 제 2 신호(S2)로서 발생하며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지연 시간 제어부(530)는 복수개의 포워드 제어부들(FC) 및 복수개의 지연부들(DC)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포워드 제어부들(FC)은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의 변동 시점을 앞당긴다.
복수개의 지연부들(DC)은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의 변동 시점을 지연시킨다. 포워드 제어부들(FC) 및 지연부들(DC)은 래치부(525)에 직렬로 번갈아 연결된다. 지연 시간 제어부(530)는 직렬 연결된 포워드 제어부들(FC) 및 지연부들(DC) 중 마지막 포워드 제어부(FC) 또는 지연부(DC)의 출력을 반전시켜 제 2 신호(S2)로서 출력하는 인버터(INV)를 구비한다.
포워드 제어부(FC)는 입력되는 제 2 신호(S2)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1 인버터(I1) 및 제 1 인버터(I1)의 출력단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을 구비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의 게이트로 제어 신호(TEMP_CTRL)가 인가된다.
지연부(DC)는 입력되는 제 2 신호(S2)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2 인버터(I2) 및 전원 전압(VDD)과 제 2 인버터(I2)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TR1 ~ PTRn)을 구비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TR1 ~ PTRn)의 게이트로 제어 신호(TEMP_CTRL)가 인가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온도 보상부(320)의 동작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셋 펄스(SET_PLS)와 리셋 펄스(RESET_PLS)를 모두 제어할 수 있으나 도 5 및 도 6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셋 펄스(SET_PLS)를 제어하는 동작만을 설명한다. 리셋 펄스(RESET_PLS)를 제어하는 동작도 동일하다.
상 변화 메모리 어레이에 데이터(DATA)를 기입하기 전의 상태는 기입 활성 신호(WE)와 데이터 펄스(DTD_PLS)가 모두 로우 레벨로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그러면 트랜지스터(TR1)는 턴 오프 되고 트랜지스터(TR2)는 턴 온 되어 제 1 노드(N1)는 로우 레벨이 된다.
제 1 노드(N1)가 로우 레벨이면 제 1 신호(S1)도 로우 레벨이고 래치부(525)의 출력도 로우 레벨이 된다. 래치부(525)는 인버터들(526, 527, 528)을 구비하고 제 1 노드(N1)의 레벨을 일정시간동안 래치한 후 출력한다.
데이터(DATA) 기입 전의 상태이므로 지연 시간 제어부(530)의 포워드 제어부(FC)나 지연부(DC)는 동작하지 아니하고 제 2 신호(S2)는 하이 레벨이 된다. 그러면 제 1 신호(S1)와 제 2 신호(S2)에 의해서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는 로우 레벨 상태를 유지한다.
상 변화 메모리 어레이에 데이터(DATA)를 기입하기 위하여 기입 활성 신호(WE)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되고 데이터 펄스(DTD_PLS)가 활성화된다. 기입 활 성 신호(WE)와 데이터 펄스(DTD_PLS)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는 동작은 당업자라면 알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트랜지스터(TR1)는 턴 온 되고 트랜지스터(TR2)는 턴 오프 되어 제 1 노드(N1)는 하이 레벨이 된다. 따라서, 제 1 신호(S1)는 하이 레벨이 된다.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변화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제 1 노드(N1)의 논리 레벨이 래치부(525)와 지연 시간 제어부(530)에 의하여 지연되어 제 2 신호(S2)로서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변화되기 전까지는 제 1 신호(S1)와 제 2 신호(S2)가 모두 하이 레벨이므로 셋 펄스(SET_PLS)는 하이 레벨로 활성화된다. 그리고 지연 시간 제어부(530)에 의해서 하이 레벨의 셋 펄스(SET_PLS)가 로우 레벨로 비활성화 되는 시점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동 회로(300)는 셋 펄스(SET_PLS)가 비활성화 되는 시점을 외부 온도가 높은 경우나 낮은 경우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지연 시간 제어부(530)는 포워드 제어부(FC)와 지연부(DC)를 이용하여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로우 레벨로 변화되는 시점을 제어한다.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로우 레벨로 변화되는 시점을 앞당기고 싶으면 포워드 제어부(FC)를 이용하고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로우 레벨로 변화되는 시점을 늦추고 싶으면 지연부(DC)를 이용한다.
포워드 제어부(FC)는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턴 온 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을 구비한다.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제어 신호(TEMP_CTRL)의 전압 레벨이 증가되므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이 턴 온 되는 정도도 커진다.
그러면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로우 레벨로 변화되는 시점이 앞당겨지고 따라서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이 작아진다.
지연부(DC)는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턴 온 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TR1 ~ PTRn)을 구비한다.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제어 신호(TEMP_CTRL)의 전압 레벨이 증가되므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TR1 ~ PTRn)이 턴 온 되는 정도는 작아진다.
그러면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로우 레벨로 변화되는 시점이 늦어지고 따라서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이 길어진다.
포워드 제어부(FC)와 지연부(DC)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TR1 ~ PTRn)과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의 개수 및 사이즈를 조절하면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TR1 ~ PTRn)과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의 개수 및 사이즈를 조절하여 외부 온도가 높을 때의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ⅲ)을 외부 온도가 낮을 때의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ⅰ)과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그러면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이 외부 온도 증가로 길어져서 셋 저항 값이 증가되고 센싱 마진을 줄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평균적인 소비 전류 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연 시간 제어부(530)는 지연 소자들(D)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연 소자들(D)은 래치부(525)의 출력을 지연시키고 또한 버퍼링 하는 기능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의 온도 보상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온도 보상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도 도 3의 구동 회로(300)와 동일한 블록 구조를 가진다. 즉, 기입 드라이버(310), 온도 보상부(320) 및 온도 검출부(330)를 구비한다.
기입 드라이버(310)와 온도 검출부(330)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기입 드라이버(310) 및 온도 검출부(330)의 구조 및 동작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는 도 3의 구동 회로(300)와 온도 보상부(320)의 회로 구조와 기능이 다르다.
온도 보상부(320)는 기입 활성 신호(WE), 데이터 펄스(DTD_PLS) 및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외부 온도가 증가되는 경우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의 펄스 폭을 줄인다.
도 5의 온도 보상부(320)는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지만 도 7의 온도 보상부(320)는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의 펄스을 줄인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온도 보상부(320)의 동작이 설명된다.
온도 보상부(320)는 수신부(710), 펄스 제어부(720) 및 펄스 발생부(730)를 구비한다.
수신부(710)는 데이터 펄스(DTD_PLS) 및 기입 활성 신호(WE)에 응답하여 제 1 노드(N1)에서 발생되는 제 1 신호(S1)의 논리 레벨을 제어한다. 수신부(710)는 도 5의 수신부(5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펄스 제어부(720)는 제 1 노드(N1)의 논리 레벨에 따라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제 2 신호(S2)를 발생하며,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을 조절한다.
펄스 발생부(730)는 제 1 신호(S1) 및 제 2 신호(S2)에 응답하여 셋 펄스(SET_PLS) 또는 리셋 펄스(RESET_PLS)를 발생한다.
펄스 제어부(720)는 제 1 노드(N1)의 논리 레벨을 저장한 후 출력하는 래치부(725) 및 래치부(725)의 출력을 반전시켜 제 2 신호(S2)로서 발생하며 외부 온도가 증가되면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을 앞당기는 지연 시간 제어부(730)를 구비한다.
지연 시간 제어부(730)는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의 변동 시점을 앞당기는 포워드 제어부들(FC)을 구비한다.
포워드 제어부들(FC)은 래치부(725)에 직렬로 연결되며, 직렬 연결된 포워드 제어부들(FC) 중 마지막 포워드 제어부의 출력을 반전시켜 제 2 신호(S2)로서 출력하는 인버터(INV)를 구비한다.
포워드 제어부(FC)는 입력되는 제 2 신호(S2)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1 인 버터(I1) 및 제 1 인버터(I1)의 출력단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을 구비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의 게이트로 제어 신호(TEMP_CTRL)가 인가된다.
지연 시간 제어부(730)는 도 5의 지연 시간 제어부(530)와 달리 지연부(DC)를 구비하지 아니고 포워드 제어부(FC)만을 구비한다. 따라서,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제 2 신호(S2)의 논리 레벨이 변화되는 시점이 앞당겨지며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이 짧아진다.
즉,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제어 신호(TEMP_CTRL)에 응답하여 턴 온 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의 수가 증가되고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이 짧아진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TR1 ~ NTRn)의 개수 및 사이즈를 조절하여 외부 온도가 높을 때의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ⅲ)을 외부 온도가 낮을 때의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ⅰ)보다 짧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온도가 높아질수록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이 짧아지면, 셋 펄스(SET_PLS)의 펄스 폭이 외부 온도 증가로 길어져서 셋 저항 값이 증가되고 센싱 마진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평균적인 소비 전류 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연 시간 제어부(730)는 지연 소자들(D)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연 소자들(D)은 래치부(725)의 출력을 지연시키고 또한 버퍼링 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 그래밍 방법은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래밍(programming)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밍 방법은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리셋 펄스 및 셋 펄스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러한 단계는 도 5의 온도 보상부(320)를 구비하는 구동 회로(300)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밍 방법은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리셋 펄스 및 셋 펄스의 펄스 폭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러한 단계는 도 7의 온도 보상부(320)를 구비하는 구동 회로(300)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의 온도 보상부(320)를 구비하는 구동 회로(300)와 도 7의 온도 보상부(320)를 구비하는 구동 회로(300)의 동작은 앞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 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은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짧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소비 전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3)

  1.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셋 전류 또는 리셋 전류를 발생하는 기입 드라이버 ; 및
    기입 활성 신호, 데이터 펄스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온도 보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보상부는,
    상기 데이터 펄스 및 상기 기입 활성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노드에서 발생되는 제 1 신호의 논리 레벨을 제어하는 수신부 ;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에 따라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제 2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을 조절하는 펄스 제어부 ; 및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입 활성 신호가 제 1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펄스가 제 1 레벨로 되면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을 제 1 레벨로 만들고, 상기 기입 활성 신호가 제 2 레벨로 되면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도 제 2 레벨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제어부는,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을 저장한 후 출력하는 래치부 ; 및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제 2 신호로서 발생하며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 점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지연 시간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의 변동 시점을 앞당기는 복수개의 포워드 제어부들 ; 및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의 변동 시점을 지연시키는 복수개의 지연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포워드 제어부들 및 지연부들은 상기 래치부에 직렬로 번갈아 연결되며,
    상기 직렬 연결된 포워드 제어부들 및 지연부들 중 마지막 포워드 제어부 또는 지연부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제 2 신호로서 출력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드 제어부는,
    입력되는 상기 제 2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1 인버터 ; 및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로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지연부는,
    입력되는 상기 제 2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2 인버터 ; 및
    전원 전압과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피모스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로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부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로서 출력하는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외부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전압 레벨이 증가되는 전압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온도 검출부는,
    기준 전압을 수신하고 제 1 저항과 제 2 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제 2 노드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바이어스부 ;
    상기 제 2 노드와 제 3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
    상기 제 3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상기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노드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는,
    제 1 단이 상기 제 2 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제 2 단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노드에 벌크(bulk)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는,
    제 1 단이 상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제 2 단이 상기 제 3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벌크(bulk)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2.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셋 전류 또는 리셋 전류를 발생하는 기입 드라이버 ;
    기입 활성 신호, 데이터 펄스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온도가 증가되는 경우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의 펄스 폭을 줄이는 온도 보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보상부는,
    상기 데이터 펄스 및 상기 기입 활성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노드에서 발생되는 제 1 신호의 논리 레벨을 제어하는 수신부 ;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에 따라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제 2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을 조절하는 펄스 제어부 ; 및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입 활성 신호가 제 1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펄스가 제 1 레벨로 되면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을 제 1 레벨로 만들고, 상기 기입 활성 신호가 제 2 레벨로 되면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도 제 2 레벨로 만드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제어부는,
    상기 제 1 노드의 논리 레벨을 저장한 후 출력하는 래치부 ; 및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제 2 신호로서 발생하며 외부 온도가 증가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을 앞당기는 지연 시간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의 논리 레벨의 변동 시점을 앞당기는 포워드 제어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포워드 제어부들은 상기 래치부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직렬 연결된 포워드 제어부들 중 마지막 포워드 제어부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제 2 신호로서 출력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드 제어부는,
    입력되는 상기 제 2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1 인버터 ; 및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엔모스 트랜 지스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로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부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셋 펄스 또는 리셋 펄스로서 출력하는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외부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전압 레벨이 증가되는 전압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온도 검출부는,
    기준 전압을 수신하고 제 1 저항과 제 2 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제 2 노드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바이어스부 ;
    상기 제 2 노드와 제 3 노드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 ; 및
    상기 제 3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로 상기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노드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는,
    제 1 단이 상기 제 2 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제 2 단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노드에 벌크(bulk)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는,
    제 1 단이 상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제 2 단이 상기 제 3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다이오드 형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에 벌크(bulk)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회로.
  22.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래밍(programming) 방법에 있어서,
    외부 온도가 증가되어도 상기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리셋 펄스 및 셋 펄스의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래밍 방법.
  23. 인가되는 전류 펄스에 응답하여 리셋 상태 또는 셋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상 변화 물질을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래밍(programming) 방법에 있어서,
    외부 온도가 증가될수록 상기 상 변화 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리셋 펄스 및 셋 펄스의 펄스 폭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래밍 방법.
KR1020040032501A 2004-05-08 2004-05-08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 KR10061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01A KR100618824B1 (ko) 2004-05-08 2004-05-08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
US11/124,341 US7315469B2 (en) 2004-05-08 2005-05-06 Control of set/reset pulse in response to peripheral temperature in PRAM device
JP2005136443A JP2005346900A (ja) 2004-05-08 2005-05-09 相変化メモリ装置の駆動回路及びプログラミング方法
US11/985,975 US7796425B2 (en) 2004-05-08 2007-11-19 Control of set/reset pulse in response to peripheral temperature in PRAM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01A KR100618824B1 (ko) 2004-05-08 2004-05-08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99A KR20050107199A (ko) 2005-11-11
KR100618824B1 true KR100618824B1 (ko) 2006-08-31

Family

ID=3549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501A KR100618824B1 (ko) 2004-05-08 2004-05-08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315469B2 (ko)
JP (1) JP2005346900A (ko)
KR (1) KR100618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1559B2 (en) 2009-04-09 2012-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with a control circuit for preventing an initial resistance failure, a solid state drive, and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462B1 (ko) * 2003-08-22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기입 전류 량을 제어하는프로그래밍 방법 및 프로그래밍 방법을 구현하는 기입드라이버 회로
KR100618824B1 (ko) * 2004-05-08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
US8143653B2 (en) * 2005-08-10 2012-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system thereof
US7831423B2 (en) * 2006-05-25 2010-11-09 Multimodal Technologies, Inc. Replacing text representing a concept with an alternate written form of the concept
KR100809334B1 (ko) 2006-09-05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장치
US8050084B2 (en) * 2006-09-05 2011-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storag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0763231B1 (ko) 2006-09-11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장치
US7859894B2 (en) * 2006-09-20 2010-12-28 Qimonda Ag Energy adjusted write pulses in phase-change memory cells
US20080247218A1 (en) * 2007-04-04 2008-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sign structure for implementing improved write performance for pcram devices
US7859036B2 (en) * 2007-04-05 2010-12-28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s having electrodes comprising nanowires, systems including same and methods of forming same
US7916524B2 (en) * 2007-06-26 2011-03-29 Qimonda Ag Program method with locally optimized write parameters
KR101291222B1 (ko) * 2007-11-29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
TWI517156B (zh) 2008-02-29 2016-01-11 Toshiba Kk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924353B1 (ko) * 2008-03-28 2009-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발생 장치
US7660152B2 (en) * 2008-04-30 2010-0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elf-referencing read operation for PCRAM devices
KR101435128B1 (ko) * 2008-07-21 2014-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20100030979A (ko) 2008-09-11 201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US7804729B2 (en) * 2008-11-14 2010-09-2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for sensing memory
KR101543434B1 (ko) 2008-12-15 2015-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101212747B1 (ko) * 2010-10-28 2012-12-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커런트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KR20120045197A (ko)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온도에 의존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913425B2 (en) 2013-03-12 2014-12-16 Intel Corporation Phase change memory mask
KR102238647B1 (ko) 2014-10-01 2021-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장치, 저항성 메모리 시스템 및 저항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방법
CN106571160A (zh) * 2015-10-13 2017-04-1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相变存储器的处理方法
JP6829125B2 (ja) 2017-03-23 2021-02-10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190016191A (ko) * 2017-08-08 2019-02-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4206A (en) * 1969-10-14 1971-02-16 Stevens & Co Inc J P Fail-safe sensor/override for circuit
JPS6374211A (ja) * 1986-09-17 1988-04-04 Fujitsu Ltd 遅延回路
JPH04103092A (ja) * 1990-08-23 1992-04-06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
JPH10290147A (ja) * 1997-04-14 1998-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遅延量可変回路
JPH11154397A (ja) 1997-11-20 1999-06-08 Nec Ic Microcomput Syst Ltd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US6023182A (en) * 1997-12-31 2000-02-08 Intel Corporation High gain pulse generator circuit with clock gating
JP4025527B2 (ja) 2000-10-27 2007-1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メモリ、書き込み装置、読み出し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570784B2 (en) 2001-06-29 2003-05-27 Ovonyx, Inc. Programming a phase-change material memory
US6735546B2 (en) * 2001-08-31 2004-05-11 Matrix Semiconductor, In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based control over write and/or read operations
WO2003065377A1 (fr) * 2002-02-01 2003-08-07 Hitachi, Ltd. Memoire
US6768665B2 (en) 2002-08-05 2004-07-27 Intel Corporation Refreshing memory cells of a phase change material memory device
DE10241928B4 (de) * 2002-09-10 2008-07-03 Qimonda Ag Synchronisationseinrichtung für eine Halbleiterspeichereinrichtung und Halbleiterspeichereinrichtung
DE60227534D1 (de) * 2002-11-18 2008-08-21 St Microelectronics Srl Schaltung und Anordnung zur Tempeaturüberwachung von chalcogenische Elementen, insbesondere von Phasenänderungsspeicherelementen
KR100532462B1 (ko) * 2003-08-22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기입 전류 량을 제어하는프로그래밍 방법 및 프로그래밍 방법을 구현하는 기입드라이버 회로
KR100618824B1 (ko) * 2004-05-08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
US7113424B2 (en) * 2004-11-23 2006-09-26 Infineon Technologies Ag Energy adjusted write pulses in phase-change memor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1559B2 (en) 2009-04-09 2012-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with a control circuit for preventing an initial resistance failure, a solid state drive, and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46900A (ja) 2005-12-15
US20080212362A1 (en) 2008-09-04
US7796425B2 (en) 2010-09-14
US7315469B2 (en) 2008-01-01
KR20050107199A (ko) 2005-11-11
US20060028886A1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824B1 (ko)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류 펄스 폭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
KR100532462B1 (ko)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기입 전류 량을 제어하는프로그래밍 방법 및 프로그래밍 방법을 구현하는 기입드라이버 회로
JP4767559B2 (ja) 相変化メモリアレイのセットプログラミング方法及び書き込みドライバ回路
KR100564567B1 (ko) 상 변화 메모리의 기입 드라이버 회로
KR100564577B1 (ko) 리셋 상태에서 균일한 저항 범위를 가지는 상 변화 메모리장치 및 방법
KR100541816B1 (ko)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데이터 리드 회로 및 데이터 리드 방법
US8315089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with improved performance that minimizes cell degradation
KR100505701B1 (ko) 상 변화 메모리의 셋(set) 시간을 최소화하는프로그래밍 방법 및 프로그래밍 방법을 구현하는 기입드라이버 회로
KR10056463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077507B2 (en) Phase-change memory device
KR20090049289A (ko)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기입 드라이버 회로
US7986551B2 (en)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JP2010067332A (ja) 相補型相変化メモリセル及びメモリ回路
KR101150592B1 (ko) 상 변화 메모리 장치
WO2020000231A1 (zh) 记忆体驱动装置
KR100865557B1 (ko) 파워업 초기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