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352B1 -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및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 - Google Patents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및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352B1
KR100614352B1 KR1020047011612A KR20047011612A KR100614352B1 KR 100614352 B1 KR100614352 B1 KR 100614352B1 KR 1020047011612 A KR1020047011612 A KR 1020047011612A KR 20047011612 A KR20047011612 A KR 20047011612A KR 100614352 B1 KR100614352 B1 KR 10061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ox
electrical equipment
outdoor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7812A (ko
Inventor
후치카미히로시
이시하라히로키
사오타다시
무카이다니토시아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213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568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210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5680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21002A external-priority patent/JP3963147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전장품(電裝品) 상자의 체적을 확보하면서 실외 유닛을 컴팩트화하여도, 통풍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한다.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1)은, 케이싱(12)의 후판(24) 및 한 쌍의 측판(25)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4a, 25a)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판(22)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2a)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이고, 케이싱(12)의 내부에, 송풍 팬(14)과, 전장품 상자(15)를 구비하고 있다. 전장품 상자(15)는, 케이싱(12) 내에 있어서, 송풍 팬(14)의 하측에 설치된 제1 상자부(15a)와, 제1 상자부(15a)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상자부(15a)보다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큰 제2 상자부(15b)를 가지고 있다.
실외 유닛, 전장품 상자, 케이싱, 공기 흡입구, 송풍 팬

Description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및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OUTDOOR UNIT OF REFRIGERATOR AND ELECTRICAL EQUIPMENT BOX OF OUTDOOR UNIT}
본 발명은,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및 실외 유닛의 전장품(電裝品) 상자, 특히,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및, 이러한 실외 유닛의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에 관한 것이다.
냉동 장치의 하나인 공기 조화 장치에서의 실외 유닛으로서,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실외 유닛은, 빌딩 등의 공기 조화에 사용되는 것이고, 빌딩의 옥상 등에 설치됨과 함께, 복수의 실내 유닛에 연락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외 유닛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케이싱과, 그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 열 교환기 및 송풍 팬 등의 기기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의 측면에는 공기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의 상면에는 상방을 향하는 공기 취출구(吹出口)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흡입구는, 케이싱의 전면을 제외한 2개의 측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는,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열 교환하기 위한 기기이고, 각 공기 흡입구에 대향하도록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 팬은, 열 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공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기 위한 프로펠러 팬이고, 케이싱의 상부에서, 공기 취출구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케이싱 내에는, 인버터나 제어 기판 등의 전기 부품이 수납된 전장품 상자가, 전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전면측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장품 상자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상자이고, 케이싱을 전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 송풍 팬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을 상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 양 측면 측을 향하여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고 있고, 후면측으로의 돌출이 작게 되어 있다. 나아가,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을 전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 좌우 2개의 공간으로 나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 6-281204호 공보 참조.).
이러한 전장품 상자를 구비한 실외 유닛에서는, 송풍 팬을 구동하여 공기를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하고, 열 교환기에서 공기와 냉매를 열 교환시킨 후, 공기 취출구로부터 공기를 불어낸다. 이 때, 송풍 팬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는, 케이싱 내부를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흐른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 8-128678호 공보 참조. ).
상기의 실외 유닛은, 가능한 한 많은 실내 유닛의 공조(空調) 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용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실외 유닛을 대용량화시키려고 하면, 열 교환기나 송풍 팬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실외 유닛의 사이즈가 커진다. 여기에서는, 유닛 운송시의 적재 효율이 저하하거나 빌딩의 옥상 등으로의 운반이 곤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생겨 버린다. 이 때문에, 실외 유닛 의 대용량화와 함께, 컴팩트화가 필요로 된다. 특히, 실외 유닛을 상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이즈는, 유닛 운송시의 적재나 빌딩의 옥상 등으로의 운반에 대해 영향이 크기 때문에, 실외 유닛을 상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실외 유닛을 상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이즈에 제약을 두면, 실외 유닛의 대용량화에 따르는 송풍 팬의 대형화에 의하여, 송풍 팬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으로의 전장품 상자의 돌출이 커지기 때문에, 케이싱 내부를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통풍 저항을 증가시켜 버린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팬의 송풍 성능의 저하나 소음의 증가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전장품 상자는, 각종 전기 부품을 모두 수납해야 하기 때문에, 소정의 체적을 확보해 두어야 한다. 또한, 전장품 상자에는 발열이 큰 전기 부품도 몇 개인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 중은 상시 냉각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냉각에 필요한 분만은, 전장품 상자를 송풍 팬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으로 나오도록 배치해 두어야 한다.
또한, 상기의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에서는, 평면적으로 나뉘어진 2개의 공간의 한쪽에 인버터나 리액터(reactor) 등의 강전 부품을 포함하는 발열량이 큰 전기 부품 (고발열 부품)이 배치되고, 다른 쪽에 제어 기판 등의 약전 부품을 포함하는 발열량이 작은 전기 부품 (저발열 부품)이 배치되는 등과 같이, 전기 부품이 기능이나 특성에 따라 나뉘어져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는, 컴팩트화가 요구되고 있고, 특히, 수송 등의 관점에서 실외 유닛을 상면으로 부터 본 경우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외 유닛을 상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이즈에 제약을 두면, 좌우 2개의 공간을 가지는 전장품 상자를 배치하는 것이 공간적으로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전장품 상자의 컴팩트화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전장품 상자 내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것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2개의 공간을 가지는 전장품 상자의 경우, 전면으로부터 후면측으로의 돌출 길이는, 사이즈가 큰 전기 부품에 의하여 결정되어 버리고, 전장품 상자 내의 공간에 낭비가 생기기 쉽다. 게다가, 실외 유닛을 상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이즈를 작게 하려고 하면, 전장품 상자의 후면측으로의 돌출이 커져 버려, 케이싱 내부를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통풍 저항을 증가시켜 버린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팬의 송풍 성능의 저하나 소음의 증가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좌우 2개의 공간을 가지고 평면적으로 전기 부품을 배치하는 전장품 상자의 구조에서는, 컴팩트화가 곤란하다. 물론, 전장품 상자를 복수개로 나누어, 송풍 팬에 의한 송풍 작업을 방해하는 것이 없는 장소에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전장품 상자의 조립 공정수 증가하거나, 실외 유닛 설치 후의 전장품 상자로의 액세스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또한, 전기 부품을 기능이나 특성에 따라 나누어 배치하는 것도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 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의 체적을 확보하면서 실외 유닛을 컴팩트화 하여도, 통풍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설치되는 전장품 상자에 있어서, 상자 내 공간의 낭비를 줄여, 컴팩트화를 실현하는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케이싱과, 축류(軸流) 팬과, 전장품 상자를 구비하고 있다. 축류 팬은,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케이싱의 상면으로부터 불어낸다.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 내에 있어서, 축류 팬의 하측에 설치된 제1 상자부와, 제1 상자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상자부보다도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큰 제2 상자부를 가지고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축류 팬을 구동하면, 공기가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케이싱 내로 흡입되어, 열 교환된 후, 케이싱의 상면으로부터 불어 나온다. 여기서, 전장품 상자는, 축류 팬의 하측을 제1 상자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축류 팬 근방의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어 있고, 통풍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 나아가, 전장품 상자는, 제1 상자부의 하측, 즉, 축류 팬으로부터 먼 위치에 제2 상자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데 필요한 체적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외 유닛에서는, 전장품 상자의 체적을 확보하면서, 축류 팬에게 가까운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를 넓게 하는 것으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실외 유닛 내의 공기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싱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상자부는, 제1 상자부에 대해서 케이싱의 일측면의 반대측으로 팽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전장품 상자가 케이싱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제2 상자부가 케이싱의 일측면의 반대측으로 팽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일측면측으로부터 전장품 상자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 유닛의 조립성이나 현지 시공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는, 경사부를 더 가지고 있다. 경사부는, 제2 상자부와 제1 상자부의 상하 방향 간에 설치되고, 제2 상자부의 상단으로부터 제1 상자부의 하단을 향함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작아지고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전장품 상자가 제2 상자부와 제1 상자부 간에 경사부를 더 가지고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순조롭게 케이싱의 상면을 향하여 흐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 유닛 내의 공기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케이싱과, 축류 팬과, 전장품 상자를 구비하고 있다. 축류 팬은,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케이싱의 상면으로부터 불어낸다.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 내에 있어서, 케이싱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케이싱의 일측면의 반대측의 부분에,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흡입한 공기가 케이싱의 상면을 향하는 유선(流線)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축류 팬을 구동하면, 공기가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케이싱 내에 흡입되어, 열 교환된 후, 케이싱의 상면으로부터 불어나온다. 여기서,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케이싱의 일측면의 반대측의 부분에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흡입한 공기가 케이싱의 상면을 향하는 유선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순조롭게 케이싱의 상면을 향하여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외 유닛에서는, 전장품 상자가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실외 유닛 내의 공기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는, 평면에서 볼 때, 케이싱의 일측면의 중앙으로부터 편의(偏倚, 한쪽으로 치우침)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전장품 상자가 케이싱의 일측면의 중앙으로부터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류 팬 근방의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기 쉬워져, 통풍 저항의 증가를 더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는, 평면에서 볼 때, 축류 팬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전장품 상자가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 축류 팬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장품 상자가 축류 팬의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에 겹쳐져 있어도, 전장품 상자가 제1 상자부와 제2 상자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류 팬 근방의 겹치는 부분의 면적을 극력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축류 팬의 외주 근방의 부분에서의 겹치는 부분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실외 유닛 내의 공기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케이싱과, 축류 팬과, 전장품 상자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축류 팬은,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케이싱의 상면으로부터 불어낸다.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 내의 축류 팬의 하측에 있어서,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의 축류 팬이 송풍 작 업을 행하는 부분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 축류 팬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의 면적인 송풍 면적에 대한 전장품 상자가 송풍 면적과 겹치는 부분의 겹치는 면적의 면적비가 0.09 이하이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축류 팬을 구동하면, 공기가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케이싱 내에 흡입되어, 열 교환된 후, 케이싱의 상면으로부터 불어나온다. 여기서, 전장품 상자는, 축류 팬의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과 겹치도록 배치됨과 함께, 그 겹치는 면적의 면적비가 0.09 이하로 되어 있다. 이 면적비는, 본원 발명자가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전장품 상자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값으로서 발견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전장품 상자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전장품 상자의 축류 팬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으로의 돌출을 억제하여,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7에 있어서,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 케이싱의 단변의 길이에 대한 축류 팬의 팬 외경의 길이비가 0.89 이상이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의 사이즈를 컴팩트화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단변의 길이에 비하여, 축류 팬의 팬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실외 유닛에서도, 전장품 상자와 축류 팬의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과의 겹치는 면적비를 0.09 이하로 하는 것으로, 전장품 상자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전장품 상자의 축류 팬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으로의 돌출을 억제하 여,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8에 있어서,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 케이싱의 장변의 길이에 대한 단변의 길이의 길이비가 0.80 이상이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의 사이즈를 컴팩트화하기 위하여, 나아가,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실외 유닛에서도, 전장품 상자와 축류 팬의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과의 겹치는 면적비를 0.09 이하로 하는 것으로, 전장품 상자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전장품 상자의 축류 팬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으로의 돌출을 억제하여,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케이싱의 일측면측으로부터 전장품 상자에 용이하게 액세스 가능하기 때문에 실외 유닛의 조립성이나 현지 시공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0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 케이싱의 일측면의 중앙으로부터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전장품 상자가 케이싱의 일측면의 중앙으로부터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겹치는 부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통풍 저항의 증가 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1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는, 케이싱의 평면에서 볼 때, 케이싱의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전장품 상자가 케이싱의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겹치는 부의 면적을 더 작게 할 수 있어,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7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는, 축류 팬으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짐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실외 유닛에서는, 전장품 상자가 축류 팬으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짐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축류 팬 근방의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면서,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순조롭게 케이싱의 상면을 향하여 흐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의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에 있어서, 상자 본체와, 덮개 부재와, 칸막이 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자 본체는, 케이싱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면측에 개구(開口)를 가진다. 덮개 부재는, 상자 본체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된다. 칸막이 판은, 상자 본체 내에 설치되 어, 상자 본체 내의 공간을 덮개 부재측의 바로 앞측 공간과 덮개 부재와 반대측의 내측 공간 간에 칸막이한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상자 본체를 칸막이 판에 의하여 바로 앞측 공간과 내측 공간으로 나눈 2층 구조로서 전기 부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사이즈를 가지는 전기 부품을 평면적 뿐만 아니라,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 본체 내의 공간의 낭비를 줄여, 컴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칸막이 판은, 수지제이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바로 앞측 공간과 내측 공간을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칸막이 판에 직접 전기 부품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 전기 부품은, 실외 유닛의 설치 후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많은 제1 전기 부품과, 실외 유닛의 설치 후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적은 제2 전기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전기 부품은, 바로 앞측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실외 유닛의 설치 후에 액세스 빈도가 많은 제어 기판 등의 제1 전기 부품을 바로 앞측 공간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의 설정시 등에, 덮개 부재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청구항 1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부품은, 운전시의 발열량이 작은 저발열 부품과 운전시의 발열량이 큰 고발열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고발열 부품은 내측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제어 기판 등과 같은 저발열 부품에 비해, 발열량이 큰 인버터나 리액터 등의 고발열 부품이 내측 공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 내를 흐르는 공기류를 이용하여 냉각하기 쉽게 되어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자 본체는, 케이싱의 일측면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방열 핀(fin)을 가지고 있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케이싱의 일측면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방열 핀에 의하여, 케이싱 내를 흐르는 공기류에 의한 내측 공간의 냉각을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청구항 14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칸막이 판은, 바로 앞측 공간과 내측 공간을 통하여 연결하는 창부를 가지고 있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칸막이 판에 창부가 설치되어 있고, 칸막이 판을 장착한 채로의 상태에서 내측 공간에 배치된 전기 부품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실외 유닛 설치 후에 빈도가 적은 제2 전기 부품에 액세스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도 칸막이 판을 장착한 채로의 상태에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실외 유닛 설치 후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많은 제1 전기 부품을 내측 공간에 설치하는 것 도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청구항 14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자 본체는, 일부에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의 반대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팽출부를 가지고 있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팽출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바로 앞측 공간 및 내측 공간의 일부를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 등의 큰 치수의 전기 부품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팽출부는, 상자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팽출부가 상자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 유닛 내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2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자 본체는, 금속제의 판금 상자부와 수지제의 수지 상자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인버터나 리액터 등의 발열량이 큰 고발열 부품을 판금 상자부에 배치하여, 방열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는, 청구항 22에 있어서, 팽출부는, 상자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판금 상자부는, 상자 본체의 상부를 구성하고 있다. 수지 상자부는, 팽출부를 포함하는 상자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전장품 상자에서는, 팽출부가 수지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이 용이하다. 또한, 상자 본체의 일부를 수지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전장품 상자의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를 A방향으로부터 본 도이고, 상판의 팬 그릴을 제외하고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1을 B방향으로부터 본 도이고, 케이싱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실험 2에 관련되는 전장품 상자가 배치된 실외 유닛에 있어서,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5는, 도 1을 B방향으로부터 본 도이고, 케이싱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도 (전장품 상자의 방열 핀을 도시)이다.
도 6은, 전장품 상자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E방향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8은, 전장품 상자의 덮개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전장품 상자의 칸막이 판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전장품 상자에 있어서, 도 9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도 3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도 3에 상당하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1) 실외 유닛의 구성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의 하나인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1)을 도시한다. 실외 유닛(1)은, 멀티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하고 있고, 빌딩의 옥상 등에 설치됨과 함께, 복수의 실내 유닛에 연락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실외 유닛(1)은,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이고, 케이싱(12)과, 케이싱(12)의 내부에 수납된 실외측 냉매 회로(13)와, 케이싱(12)의 상부에 설치된 송풍 팬(14, 축류 팬)과, 케이싱(12)의 내부에 수납된 전장품 상자(15)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2)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고, 주로, 4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된 지주(21, 支柱)와, 상판(22)과, 전판(23)과, 후판(24)과, 1쌍의 측판(25)과, 저판(26, 底板)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주(21)는, 케이싱(12)의 각 모서리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기둥상의 부재이고, 상판(22), 전판(23), 후판(24), 1쌍의 측판(25) 및 저판(26)을 고정·지지하고 있다.
상판(22)은, 중앙에 설치된 개구로 이루어지는 공기 취출구(22a, 상면)를 가지고 있고, 개구의 상부를 덮도록 팬 그릴(22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12) 내에 흡입된 공기는, 공기 취출구(22a)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불어나오도록 이루어져 있다.
전판(2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판(22)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부 전판(23a)과, 상부 전판(23a)의 하측에 배치되는 중부 전판(23b)과, 중부 전판(23b)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전판(23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판(23)은, 상중하 3분할의 구조로 되어 있다.
후판(24)은, 케이싱(12) 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24a)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흡입구(24a)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거의 전면(全面)에 설치된 개구로 이루어진다. 1쌍의 측판(25)은, 케이싱(12) 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25a)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흡입구(25a)는, 전판(23) 근방을 제외한 면에 설치된 개구로 이루어진다. 이들 공기 흡입구(24a, 25a)로부터 케이싱(12) 내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저판(26)은, 실외측 냉매 회로(13)를 구성하는 기기 및 배관류를 지지·고정하고 있다. 또한, 저판(26)은, 설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4개의 지주(21)로 지지되어 있다.
실외측 냉매 회로(13)는, 압축기(13a), 열 교환기(13b) 등 및 이들 기기를 접속하는 배관류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13a)나 열 교환기(13b) 등의 주요한 기 기는, 저판(26)에 고정되어 있다. 즉, 실외측 냉매 회로(13)를 구성하는 기기 및 배관류는, 주로, 케이싱(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13b)는, 대략 U자 형상이고, 3개의 공기 흡입구(24a, 25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13b)는, 공기 흡입구(24a, 25a)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 교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 팬(14)은, 프로펠러 팬이고, 케이싱(12)의 상부에 있어서, 공기 취출구(22a)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송풍 팬(14)은, 복수의 프로펠러 날개(14a)와, 프로펠러 날개(14a)의 내주부를 고정하는 허브(14b, hub)와, 허브(14b)를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14c)를 가지고 있다. 팬 모터(14c)는, 지지 프레임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케이싱(12)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풍 팬(14)은, 상부 전판(23a)의 상하 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팬(14)은, 공기 흡입구(24a, 25a)를 통하여, 실외 공기를 케이싱(12)의 측면으로부터 케이싱(12)의 내부에 흡입하여, 열 교환기(13b)를 통과시킨 후, 케이싱(12)의 상부로 이끌어 공기 취출구(22a)로부터 불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전장품 상자(15)는, 인버터나 제어 기판 등의 전기 부품이 수납된 상자체이고, 전판(23)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장품 상자(15)는, 실외측 냉매 회로(13)를 구성하는 많은 기기 및 배관류가 배치된 케이싱(12)의 하부를 피하여, 중부 전판(23b)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전장품 상자(15)는, 송풍 팬(14)의 하측에 있어서, 하부 전판(23c)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2) 전장품 상자의 외관 형상 및 배치
이 전장품 상자(15)의 외관 형상 및 배치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실외 유닛(1)을 도 1의 A방향으로부터 본 도이고, 상판(22)의 팬 그릴(22b)을 제외하고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실외 유닛(1)을 도 1의 B방향으로부터 본 도이고, 압축기(13a) 등을 제외한 케이싱(12)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전장품 상자(15)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풍 팬(14)에 하측에 설치된 제1 상자부(15a)와, 제1 상자부(15a)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상자부(15a)의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Sa)보다도 큰 면적(Sb)을 가지는 제2 상자부(15b)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상자부(15a)는, 평면에서 볼 때의 치수 폭(Wa) 및 길이(La)를 가지는 부분이다. 제2 상자부(15b)는, 평면에서 볼 때의 치수 폭(Wb) 및 길이(Lb)를 가지는 부분이다. 여기서, 폭(Wb)은, 폭(Wa)과 같은 길이이다. 길이(Lb)는, 길이(La)보다도 길게 되어 있고, 제2 상자부(15b)가 제1 상자부(15a)에 비하여 후판(24)측으로 팽출하고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15)는, 평면에서 볼 때, 송풍 팬(14)의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송풍 팬(14)의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이라는 것은, 송풍 팬(14)의 운전시에 프로펠러 날개(14a)가 통과하는 부분을 말하며, 여기에서는, 송풍 팬(14)의 회전 중심(O)으로부터 프로펠러 날개(14a)의 외주단까지의 반경(R, 이하, 반경(R)의 2배를 팬 외경(D)으로 한다)의 원 영역으로부터 허브(14b)의 반경(r)의 원 영역을 제외한 환상(環狀)의 영역(T)을 말한다. 그리고, 전장품 상자(15)의 송풍 팬(14) 근방의 부분 (구체적으로는, 제1 상자부(15a)의 면적(Sa))이 평면에서 볼 때 영역(T)과 겹치는 부분의 겹치는 면적을 면적(Sc, 도 2중에 빗금에 의하여 도시)으로 한다. 이 겹치는 부의 면적(Sc)의 영역(T)의 면적(Sd)에 대한 비(Sc/Sd)는, 0.0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장품 상자(15)는, 전판(23)의 중앙 (구체적으로는, 도 2의 중앙선 O-P)으로부터 편의(偏倚, 한쪽으로 치우침)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판(23)의 중앙선 O-P의 우방향으로 편의하여, 케이싱(12)의 모서리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전장품 상자(15)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제2 상자부(15b)와 제1 상자부(15a)와의 상하 방향 간에 설치되어, 제2 상자부(15b)의 상단으로부터 제1 상자부(15a)의 하단을 향함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작아지는 경사부(15c)를 더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전장품 상자(15)는, 후판(24)측의 부분에, 케이싱(12)의 측면의 공기 흡입구(24a, 25a)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케이싱(12)의 공기 취출구(22a)를 향하는 유선(F)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장품 상자(15)에서는, 종래품과 같은 전판(23)의 거의 전면(全面)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가로로 긴 전장품 상자 (예를 들면, 도 4 참조)에 비하여, 약간 후판(24)측으로의 돌출이 커지지만, 제1 상자부(15a)의 하측에 제2 상 자부(15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각종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데 필요한 체적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 팬(14)의 팬 외경(D)의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단변의 길이(L)에 대한 비(D/L)가 0.89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취출구(22a)의 외주 둘레가 전판(23) 및 후판(24)에 근접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단변의 길이(L)의 장변의 길이(W)에 대한 비(L/W)가 0.80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실외 유닛(1)은, 평면에서 볼 때의 케이싱(12)의 사이즈가 컴팩트화되어 있다.
(3) 실외 유닛의 동작
다음으로, 실외 유닛(1)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외 유닛(1)의 운전 중은, 송풍 팬(14)이 구동되는 것에 의하여, 공기 흡입구(24a, 25a)를 통하여, 케이싱(12)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케이싱(12) 내에 흡입된 공기는, 공기 흡입구(24a, 25a)에 대향하여 설치된 열 교환기(13b)를 통과하여 열 교환된다. 열 교환된 공기는, 상방을 향하여 흐르고, 송풍 팬(14)의 프로펠러 날개(14a)에 의하여 상방으로 올려 보내져, 공기 취출구(22a)로부터 불어낸다. 이 때문에, 케이싱(12) 내에 흡입된 공기는, 열 교환기(13b)를 통과한 후, 케이싱 내부를 향함과 함께, 상방의 공기 취출구(22a)를 향하도록 하는 유선을 그리며 흐르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장품 상자(15)의 후판(24)측의 부분 근처에는, 유선(F)과 같은 공기의 흐름이 생기고 있다.
여기서, 전장품 상자(15)는, 송풍 팬(14) 근방에 형성된 제1 상자부(15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송풍 팬(14) 근방의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어 있고, 통풍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 나아가, 제2 상자부(15b)와 제1 상자부(15a)의 상하 방향 간에는, 경사부(15c)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12)의 측면의 공기 흡입구(24a, 25a)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케이싱(12)의 공기 취출구(22a)로 향하는 유선(F)을 따르는 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유선(F)을 따라 흐르는 공기를 상방을 향하여 순조롭게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15)는, 송풍 팬(14) 근방에 형성된 제1 상자부(15a)를 가지고 있고, 겹치는 면적비(Sc/Sd)가 0.09 이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 팬(14) 근방의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확보됨과 함께, 전장품 상자(15)의 냉각이 가능한 정도의 겹치는 면적(Sc)이 확보되어 있다. 즉, 전장품 상자(15)의 냉각과 함께, 통풍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
(4) 실험예
본 실시예의 실외 유닛(1)의 통풍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은, 본 실시예의 실외 유닛(1, 도 2, 실험 1)과 종래의 실외 유닛과 같은 전장품 상자(915)를 실외 유닛(1)의 케이싱(12)에 배치한 것 (도 4, 실험 2)의 2 종류에 대해서 행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에 사용한 실외 유닛 및 전장품 상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장품 상자를 제외한 실외 유닛의 사이즈 등의 조건은, 케이싱(12)의 단변 의 길이(L)를 770mm, 케이싱(12)의 장변의 길이(W)를 930mm, 송풍 팬(14)의 팬 외경(D)을 700mm, 및, 송풍 팬(14)의 하단부와 전장품 상자(15, 215)의 상단부와의 거리를 56mm로 하고, 양 실험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하였다. 여기서, 케이싱(12)의 단변의 길이(L)는, 770mm로 되어 있고, 빌딩의 옥상 등의 폭이나 엘리베이터의 폭을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이다. 또한, 케이싱(12)의 단변의 길이(L)에 대한 팬 외경(D)의 비(D/L)는 0.91로 되어 있고, 케이싱(12)의 장변의 길이(W)에 대한 단변(L)의 비(L/W)는 0.83으로 되어 있다.
실험 1에 관련되는 전장품 상자(15)의 사이즈 등의 조건은, 제1 상자부(15a)의 길이(La)를 160mm, 제2 상자부(15b)의 길이(Lb)를 230mm, 및, 제1 상자부(15a) 및 제2 상자부(15b)의 폭(Wa, Wb)을 410mm로 하였다. 그리고, 전장품 상자(15)를 겹치는 부의 면적비(Sc/Sd)가 0.09로 되도록, 케이싱(12)의 모서리부 근처에 배치하였다.
실험 2에 관련되는 전장품 상자(915)의 사이즈 등의 조건은, 제1 상자부(15a) 및 제2 상자부(15b)의 길이(La, Lb)를 150mm, 및, 제1 상자부(15a) 및 제2 상자부(15b)의 폭(Wa, Wb)을 800mm로 하였다. 그리고, 전장품 상자(915)를 겹치는 부의 면적비(Sc/Sd)가 0.10으로 되도록, 케이싱(12)의 전판(23)의 중앙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 있어서, 송풍 팬(14)의 풍량이 185m3/min이 되도록, 실 외 유닛의 운전을 행하고, 실험 1 및 실험 2에서의 송풍 팬(14)의 회전수 및 소음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도시한다.
실험 1에서는, 송풍 팬(14)의 회전수는 813min-1이고, 소음치는 59.9dB였다. 한편, 실험 2에서는, 송풍 팬(14)의 회전수는 840 min-1이고, 소음치는 60.8dB이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를 적용한 실험 1의 통풍 성능은, 종래예와 같은 실험예 2의 통풍 성능에 비해 우수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는, 회전수는 27 min-1 저하, 소음치는 0.8dB저하), 본 실시예의 겹치는 면적비(Sc/Sd)를 0.09 이하로 하면, 통풍 성능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5) 전장품 상자의 상세 구조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전장품 상자(15)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실외 유닛(1)을 도 1의 B방향으로부터 본 도이고, 압축기(13a) 등을 제외한 케이싱(12)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도 (전장품 상자의 방열 핀을 도시)이다. 도 6은 전장품 상자(15)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E방향으로부터 본 도이다.
전장품 상자는, 상자 본체(51)와, 덮개 부재(52)와, 칸막이 판(53)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자 본체(51)는, 케이싱(12)의 전판(23)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전판(23)측에 개구를 가지는 상자상의 부재이다. 덮개 부재(52)는, 상자 본체(51) 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된 판상의 부재이다. 칸막이 판(53)은, 상자 본체(51) 내에 설치되어, 상자 본체(51) 내의 공간을 케이싱(12)의 전판(23)측 (덮개 부재(52)측)의 바로 앞측 공간(C)과, 케이싱(12)의 후판(24)측 (덮개 부재(52)와 반대측)의 내측 공간(D) 간에 칸막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전장품 상자(15)는, 바로 앞측 공간(C) 및 내측 공간(D)의 2개의 공간에 전기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A) 상자 본체
상자 본체(51)는, 1쌍의 측면부(51a)와, 후면부(51b)와, 상면부(51c)와, 하면부(51d)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자 본체(51)는, 판금제이다.
측면부(51a)는, 그 하부가 케이싱(12)의 후판(24)측을 향하여 팽출한 대략 L자형상의 부분이다. 측면부(51a)는, 상측의 깊이 길이(La)를 가지는 상측 측면부(51e)와, 상측 측면부(51e)의 하측에 설치되어 깊이 길이(La)보다 큰 깊이 길이(Lb)를 가지는 하측 측면부(51f)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51a)의 케이싱(12)의 전판(23)측에는, 덮개 부재(52)를 고정하기 위한 덮개 고정부(51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측면부(51e)에는, 구형(矩形) 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구형 구멍부(51h)가 설치되어 있다.
후면부(51b)는, 상자 본체(51)의 케이싱(12)의 후판(24)측의 면을 구성하는 부분이다. 후면부(51b)는, 측면부(51a)의 상측 측면부(51e)에 대응하는 상측 후면부(51i)와, 측면부(51a)의 하측 측면부(51f)에 대응하는 하측 후면부(51j)로 구성 되어 있다. 또한, 상측 후면부(51i)에는, 케이싱(12)의 후판(24)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방열 핀(54, 55)이 설치되어 있다.
상면부(51c)는, 상자 본체(51)의 상판(22)측의 면을 구성하는 부분이고, 케이싱(12)의 내부를 향함과 함께 하방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상면부(51c)에는, 케이싱(12)의 지지 프레임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51k)가 설치되어 있다.
하면부(51d)는, 상자 본체(51)의 저판(26)측의 면을 구성하는 부분이고, 덮개 부재(52)측의 일부가 노치(notch)되어 있다. 또한, 하면부(51d)에는, 케이싱(12)의 지지 프레임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51m)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측면부(51a)의 하측 측면부(51f)와, 후면부(51b)의 하측 후면부(51j)와, 하면부(51d)는, 케이싱(12)의 후판(24)측으로 팽출한 팽출부(56)를 구성하고 있고, 공간 (C) 및 (D)의 깊이가 넓게 되어 있다.
(B) 덮개 부재
덮개 부재(52)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상 부재이고, 덮개 고정부(51g)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덮개 부재(52)는, 판금제이다.
(C) 칸막이 판
칸막이 판(5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칸막이 판(53a) 및 하부 칸막이 판(53b)의 2매의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칸막이 판 (53a, 53b)은, 수지제이다.
상부 칸막이 판(53a)은, 상자 본체(51) 내의 측면부(51a)의 상측 측면부(51e)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부재이다. 상부 칸막이 판(53a)의 양 측면에는, 구형 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감합부(53c)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칸막이 판(53a)은, 감합부(53c)가 상측 측면부(51e)에 설치된 구형 구멍부(51h)에 감합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하부 칸막이 판(53b)은, 상자 본체(51) 내의 측면부(51a)의 하측 측면부(51f)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부재이다. 하부 칸막이 판(53b)의 하부에는, 상자 본체(51)의 하면부(51d)에 지지되는 지지부(53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칸막이 판(53a)과 하부 칸막이 판(53b)의 상하 방향 간에는, 바로 앞측 공간(C)과 내측 공간(D)을 통하여 연결하는 창부(57)가 형성되어 있다.
(D) 전기 부품의 배치
다음으로, 전장품 상자(15) 내에서의 전기 부품의 배치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전장품 상자(15)의 덮개 부재(52)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전장품 상자(15)의 칸막이 판(53)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전장품 상자(15) 내에 수납되는 주요한 전기 부품으로서는, 압축기(13a) 및 송풍 팬(14)용의 인버터(61a, 61b)나 리액터(61c) 등을 포함하는 강전 부품과, 인버터(61a, 61b)용의 노이즈 필터(62a, 62b)와, 단자대(63a 내지 63d)와, 제어 기판(64) 등의 약전 부품이 있다. 여기서, 인버터(61a, 61b) 및 리액터(61c)는 운전 중의 발열량이 큰 고발열 부품이고, 또한, 제어 기판(64)은 운전 중의 발열량이 작은 저발열 부품이다.
고발열 부품인 인버터(61a, 61b) 및 리액터(61c)는, 운전중의 냉각을 촉진하기 위하여, 내측 공간(D)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버터(61a)는 방열 핀(5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인버터(61b)는 방열 핀(5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리액터(61c)는 인버터(61b)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저발열 부품인 제어 기판(64)은, 바로 앞측 공간(C)에 배치되어 있고, 칸막이 판(53,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칸막이 판(53a))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즉, 전장품 상자(15) 내에는, 고발열 부품과 저발열 부품이 공간(C) 및 (D)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대(63a 내지 63d) 및 제어 기판(64, 제1 전기 부품)은, 실외 유닛(1)의 설치 후에 액세스를 하는 빈도가 많다고 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바로 앞측 공간(C)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대(63a 내지 63d)는 하부 칸막이 판(53b)에 장착되어 있고, 제어 기판(64)은 상부 칸막이 판(53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판(53a, 53b)은, 수지제이고, 상자 본체(51)와는 전기적으로 절연 가능하기 때문에, 단자대(63a 내지 63d) 및 제어 기판(64)은, 칸막이 판(53a, 53b)에 직접 장착되어 있다. 한편, 실외 유닛(1)의 설치 후에 액세스를 하는 빈도가 적은 인버터(61a, 61b), 리액터(61c) 및 노이즈필터(62a, 62b, 제2 전기 부품)는, 내측 공간(D)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내측 공간(D)에 배치된 인버터(61a, 61b)에 대해서도, 칸막이 판(53a, 53b)과의 상하 방향 간에 형성된 창부(57)를 통하여, 단자 접속부 등이 덮개 부재(52)측으로부터 보이게 되어 있고 (도 7 참조), 칸막이 판 (53)을 떼어내는 일 없이 필요 최저한의 액세스가 가능하다.
나아가, 내측 공간(D)의 하부, 즉, 팽출부(56)의 내측 공간(D)측에는, 비교적 큰 치수의 전기 부품인 노이즈필터(62a, 62b)가 배치되어 있다. 즉, 상자 본체(51) 상부의 깊이가 좁은 공간에는 제어 기판(64)이나 인버터(61a, 61b) 등의 판상의 전기 부품을 배치하고, 상자 본체(51) 하부 (구체적으로는 팽출부(56))의 깊이가 넓은 공간에는 비교적 긴 치수의 노이즈필터(62a, 62b)나 단자대(63a 내지 63d)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장품 상자(15)의 공간성이 향상하고 있다.
그리고, 실외 유닛(1)의 운전 중에 있어서는, 상기에 설명한 실외 유닛(1)의 동작 설명과 마찬가지로, 케이싱(12) 내에 흡입된 공기는, 열 교환기(13b)를 통과한 후, 케이싱 내부를 향함과 함께, 상방의 공기 취출구(22a)를 향하도록 하는 유선을 그리며 흐르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장품 상자(15)의 후판(24)측의 부분 근처에는, 유선(F)과 같은 공기의 흐름이 생기고 있다 (도 5 참조).
여기서, 전장품 상자(15) 내의 인버터(61a, 61b) 및 리액터(61c)는, 압축기(13a) 및 송풍 팬(14)이 운전하고 있는 동안, 항상 발열하고 있다. 그러나, 인버터(61a, 61b) 및 리액터(62)가 내측 공간(D)에 배치됨과 함께 상자 본체(51)의 후면부(51b)에 장착되어 있고, 나아가, 후면부(51b)에 방열 핀(54, 5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부품은 충분히 냉각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로 앞측 공간(C)측에 열이 전해지기 어려워져, 내열성이 낮은 제어 기판(64) 등이 보호된다.
또한, 전장품 상자(15)의 팽출부(56, 제2 상자부(15b)에 대응)는, 전장품 상자(1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장품 상자(15)의 상부 (제1 상자부(15a) 에 대응)의 송풍 팬(14) 근방의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어 있고, 통풍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
(6) 실외 유닛 및 전장품 상자의 특징
본 실시예의 실외 유닛(1) 및 전장품 상자(15)에는,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A) 실외 유닛(1)에서는, 송풍 팬(14)을 구동하면, 공기가 공기 흡입구(24a, 25a)로부터 케이싱(12) 내에 흡입되어, 열 교환된 후, 공기 취출구(22a)로부터 불어나온다. 여기서, 전장품 상자(15)는, 송풍 팬(14)의 하측을 제1 상자부(15a)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송풍 팬(14) 근방의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어 있고, 통풍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 나아가, 전장품 상자(15)는, 제1 상자부(15a)의 하측, 즉, 송풍 팬(14)으로부터 먼 위치에 제2 상자부(15b, 팽출부(56)에 대응)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데 필요한 체적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외 유닛(1)에서는, 전장품 상자(15)의 체적을 확보하면서, 송풍 팬(14)에 가까운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를 넓게 하는 것으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실외 유닛 내의 공기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팬(14)의 팬 모터(14c)의 소용량화나 기내 소음의 저하에도 기여할 수 있다.
(B) 실외 유닛(1)에서는, 전장품 상자(15)가 제2 상자부(15b)와 제1 상자부(15a) 간에 경사부(15c)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전장품 상자(15)에는, 케이싱 (12)의 전판(23)에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후판(24)측의 부분에 유선(F, 공기 흡입구(24a, 25a)로부터 흡입한 공기가 공기 취출구(22a)를 향하는 유선)을 따르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케이싱(12)의 공기 흡입구(24a, 25a)로부터 흡입되어 유선(F)을 따라 공기 취출구(22a)를 향하는 공기를 순조롭게 흐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 유닛(1) 내의 공기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C) 실외 유닛(1)에서는, 전장품 상자(15)가 케이싱(12)의 전판(23)의 중앙선 O-P로부터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 팬(14) 근방의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기 쉬워져, 통풍 저항의 증가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D) 실외 유닛(1)에서는, 전장품 상자(15)가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 송풍 팬(14)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장품 상자(15)가 송풍 팬(14)의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 (영역(T))과 겹쳐져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전장품 상자(15)가 제1 상자부(15a)와 제2 상자부(15b)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 팬(14) 근방의 겹치는 부분 (면적(Sa)과 영역(T)이 겹치는 부분)의 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특히, 전장품 상자(15)는, 종래품과 같은 전판(23)의 거의 전면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가로로 긴 전장품 상자에 비해 가로 폭이 작기 때문에,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송풍 팬(14)의 외주 근방의 부분에서의 겹치는 부분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 유 닛(1) 내의 공기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E) 실외 유닛(1)에서는, 전장품 상자(15)가 케이싱(12)의 전판(23)에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제2 상자부(15b)가 케이싱(12)의 후판(24)측으로 팽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12)의 전판(23)측으로부터 전장품 상자(15)로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 유닛(1)의 조립성이나 현지 시공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F) 실외 유닛(1)에서는, 전장품 상자(15)가 영역(T)과 겹치도록 배치됨과 함께, 그 겹치는 부의 면적비(Sc/Sd)가 0.09 이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장품 상자(15)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전장품 상자(15)의 송풍 팬(14)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으로의 돌출을 억제하여,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G) 실외 유닛(1)에서는,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의 사이즈를 컴팩트화하기 위하여, 케이싱(12)의 단변의 길이(L)에 대한 송풍 팬(14)의 팬 외경(D)의 길이비를 0.89 이상으로 하고, 케이싱(12)의 장변의 길이(W)에 대한 단변의 길이(L)의 길이비를 0.80 이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실외 유닛(1)에 있어서도, 전장품 상자(15)와 영역(T)의 겹치는 면적비(Sc/Sd)를 0.09 이하로 하면, 전장품 상자(15)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전장품 상자(15)의 영역(T)으로의 돌출을 억제하여,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H) 실외 유닛(1)에서는, 전장품 상자(15)가 케이싱(12)의 전판(23)의 중앙 선 O-P로부터 편의하여, 케이싱(12)의 모서리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 팬(14) 근방의 통풍 저항에 대한 영향이 큰 위치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기 쉬워져, 통풍 저항의 증가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I) 본 실시예의 전장품 상자(15)에서는, 상자 본체(51)를 칸막이 판(53)에 의하여 바로 앞측 공간(C)과 내측 공간(D)으로 나눈 2층 구조로서 전기 부품을 수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사이즈를 가지는 전기 부품을 평면적 뿐만 아니라,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 본체(51) 내의 공간의 낭비를 줄여, 컴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15)에서는, 칸막이 판(53)이 수지제이기 때문에, 바로 앞측 공간(C)과 내측 공간(D)을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판(53)에 단자대(63a 내지 63d)나 제어 기판(64) 등의 전기 부품을 절연 패킹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공간성의 향상이나 비용 절감에도 기여하고 있다.
(J) 전장품 상자(15)에서는, 실외 유닛(1)의 설치 후에 액세스 빈도가 많은 제어 기판(64) 등을 바로 앞측 공간(C)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64)의 설정시 등에, 덮개 부재(52)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15)에서는, 칸막이 판(53)에 창부(57)가 설치되어 있고, 칸막이 판(53)을 장착한 채로의 상태에서 내측 공간(D)에 배치된 인버터(61a, 61b)에 필요 최저한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K) 전장품 상자(15)에서는, 제어 기판(64) 등의 저발열 부품에 비해, 발열량이 큰 인버터(61a, 61b)나 리액터(61c) 등의 고발열 부품이 내측 공간(D)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12) 내를 흐르는 공기류를 이용하여, 인버터(61a, 61b)나 리액터(61c) 등의 고발열 부품을 냉각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15)의 후면부(51b)에는, 케이싱(12)의 후판(24)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방열 핀(54, 55)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12) 내를 흐르는 공기에 의한 내측 공간(D)의 냉각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L) 전장품 상자(15)에서는, 팽출부(5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바로 앞측 공간(C) 및 내측 공간(D)의 일부를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필터(62a, 62b) 등의 큰 치수의 전기 부품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7) 변형예
상기의 전장품 상자(15)에서는, 상자 본체(51)가 판금제였지만, 측면부(51a)의 상측 측면부(51e)에 대응하는 부분을 판금제로 하고, 하측 측면부(51f)에 대응하는 부분을 수지제로 한 전장품 상자(115)로 하여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변형예의 전장품 상자(115)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금 상자부(158)와 수지 상자부(159)로 이루어지는 상자 본체(151)와, 덮개 부재(52, 도시하지 않음)와, 칸막이 판(53, 구체적으로는 상부 칸막이 판(53a) 및 하부 칸막이 판(53b))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금 상자부(158)는, 상면부(151c)와, 측면부(151a)의 상측 측면부(151e)와, 후면부(151b)의 상측 후면부(151i)를 포함하는 판금제의 부재이다. 수지 상자부(159)는, 측면부(151a)의 하측 측면부(151f)와, 후면부(151b)의 하측 후면부(151j)와, 하면부(151d)를 포함하는 수지 성형된 부재이다.
그리고, 판금 상자부(158)와 수지 상자부(159)는, 판금 상자부(158)의 하단에 설치된 복수의 톱니 멈춤쇠부(158a)와, 수지 상자부(159)의 상단부에 설치된 톱니 멈춤쇠부(158a)가 계지(係止) 가능한 계합 구멍부(159a)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전장품 상자(115)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의 전장품 상자(15)와 마찬가지로, 인버터(61a, 61b) 및 리액터(62) 등의 고발열 부품을 판금 상자부(158)측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의 전장품 상자(15)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변형예의 전장품 상자(115)에서는, 상자 본체(151)의 하부를 수지제로 하는 것에 의하여, 팽출부(156)의 성형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상자 본체를 모두 판금제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금속판의 밴딩 가공 등의 수고가 줄어들어, 전장품 상자(115)의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의 전장품 상자(15)에서는, 제1 상자부(15a)와 제2 상자부(15b)의 상하 방향 간에, 제2 상자부(15b)의 상단으로부터 제1 상자부(15a)의 하단을 향함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작아지는 경사부(15c)가 설치되어 있지만,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실외 유닛(201)의 전장품 상자(215)로 하여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전장품 상자(215)에는, 제1 상자부(215a)와 제2 상자부(215b)의 상하 방향 간에, 경사부(15c) 대신에, 제1 상자부 (215a)의 길이(La)보다 작은 길이(Lc)를 가지는 오목부(215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장품 상자(215)를 채용하여도, 대체로 공기의 유선(F)을 따른 형상은 유지되기 때문에, 실외 유닛(1)과 마찬가지로, 실외 유닛(201) 내의 공기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1 및 제2 실시예의 실외 유닛(1, 201)에서는, 전장품 상자(15, 115, 215)가 케이싱(12)의 전판(23)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 케이싱(12)의 전판(23)의 중앙으로부터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전장품 상자(315)를 송풍 팬(14)의 허브(14b)의 직하에 배치한 실외 유닛(301)으로 해도 무방하다.
전장품 상자(315)는, 전장품 상자(15)와 마찬가지로, 송풍 팬(14)에 가까운 측에 제1 상자부(315a)를 가지고 있고, 그 하측에 제2 상자부(315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 상자부(315a)와 제2 상자부(315b)와의 상하 방향 간에는, 경사부(315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장품 상자(315)를 채용하여도, 영역(T)의 면적(Sd)에 대한 겹치는 부의 면적(Sc)의 면적비(Sc/Sd, 도 12에 빗금으로 도시)를 0.09 이하로 하면, 제1 및 제2 실시예의 실외 유닛(1, 201)과 마찬가지로, 실외 유닛(301) 내의 공기의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1) 축류 팬의 대수나 케이싱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축류 팬이 배치된 실외 유닛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장품 상자가 제1 상자부와 제2 상자부를 가지는 형상이었지만, 전장품 상자의 체적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겹치는 부의 면적비를 소정의 값 이하로 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칸막이 판은 상하 2개로 분할되어 있었지만, 3개 이상으로 분할된 칸막이 판이어도, 분할되어 있지 않은 1매의 칸막이 판이어도 무방하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필터가 내측 공간에 배치되어 있지만, 바로 앞측 공간에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의 체적을 확보하면서 실외 유닛을 컴팩트화하여도, 통풍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전장품 상 자의 냉각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통풍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이용하면,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에 설치되는 전장품 상자에 있어서, 상자 내 공간의 낭비를 줄여,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3)

  1.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301)에 있어서,
    케이싱(12)과,
    상기 케이싱(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2)의 측면(24a, 25a)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케이싱(12)의 상면(22a)으로부터 불어내는 축류(軸流) 팬(14)과,
    상기 케이싱(12) 내에 있어서, 상기 축류 팬(14)의 하측에 설치된 제1 상자부(15a, 215a, 315a)와, 상기 제1 상자부(15a, 215a, 315a)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상자부(15a, 215a, 315a)보다도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큰 제2 상자부(15b, 215b, 315b)를 가지는 전장품(電裝品) 상자(15, 115, 215, 315)
    를 구비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3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2)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상이고,
    상기 전장품 상자(15, 115, 215)는,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23)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상자부(15b, 215b)는, 상기 제1 상자부(15a, 215a)에 대해서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23)의 반대측으로 팽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상자(15, 115, 315)는, 상기 제2 상자부(15b, 315b)와 상기 제1 상자부(15a, 315a)의 상하 방향 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상자부(15b, 315b)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상자부(15a, 315a)의 하단을 향함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작아지는 경사부(15c, 315c)를 더 가지고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315).
  4.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에 있어서,
    케이싱(12)과,
    상기 케이싱(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2)의 측면(24a, 25a)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케이싱(12)의 상면(22a)으로부터 불어내는 축류 팬(14)과,
    상기 케이싱(12) 내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23)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23)의 반대측의 부분에, 상기 케이싱(12)의 측면(24a, 25a)으로부터 흡입한 공기가 상기 케이싱(12)의 상면(22a)을 향하는 유선(流線)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는 전장품 상자(15, 115, 215)
    를 구비한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상자(15, 115, 215)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23)의 중앙으로부터 편의(偏倚)하여 배치되어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상자(15, 115, 215, 315)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축류 팬(14)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301).
  7.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301)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가 대략 직사각형상의 케이싱(12)과,
    상기 케이싱(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2)의 측면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케이싱(12)의 상면으로부터 불어내는 축류 팬(14)과,
    상기 케이싱(12) 내의 상기 축류 팬(14)의 하측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축류 팬(14)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T)과 겹치도록 배치된 전장품 상자(15, 215, 315)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축류 팬(14)이 송풍 작업을 행하는 부분의 면적인 송풍 면적(Sd)에 대한 상기 전장품 상자(15, 115, 215, 315)가 상기 송풍 면적(Sd)과 겹치는 부분의 겹치는 면적(Sc)의 면적비(Sc/Sd )가 0.09 이하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30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케이싱(12)의 단변의 길이(L)에 대한 상기 축류 팬(14)의 팬 외경(D)의 길이비(D/L)가 0.89 이상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30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케이싱(12)의 장변의 길이(W)에 대한 단변의 길이(L)의 길이비(L/W)가 0.80 이상인,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301).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상자(15, 115, 215)는,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23)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상자(15)는, 상기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23)의 중앙으로부터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상자(15, 115, 215)는, 상기 케이싱(12)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케이싱(12)의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201).
  13. 제7항 내지 제9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상자(15, 115, 315)는, 상기 축류 팬(14)으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짐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 301).
  14.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한 후에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타입의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1)의 케이싱(12) 내에 설치되어, 전기 부품(61a 내지 61c, 62a, 62b, 63a 내지 63d, 64)을 수납하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5, 115)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일측면(23)측에 개구(開口)를 가지는 상자 본체(51, 151)와,
    상기 상자 본체(51, 151)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덮개 부재(52)와,
    상기 상자 본체(51, 15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상자 본체(51, 151) 내의 공간을 상기 덮개 부재(52) 측의 바로 앞측 공간(C)과 상기 덮개 부재(52)와 반대측의 내측 공간(D) 간에 칸막이하는 칸막이 판(53)
    을 구비한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5, 1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53)은, 수지제인,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5, 115).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61a 내지 61c, 62a, 62b, 63a 내지 63d, 64)은, 상기 실외 유닛(1, 101)의 설치 후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많은 제1 전기 부품(63a 내지 63d, 64)과, 상기 실외 유닛(1)의 설치 후에 액세스하는 빈도가 적은 제2 전기 부품(61a 내지 61c, 62a, 62b)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전기 부품(63a 내지 63d, 64)은, 상기 바로 앞측 공간(C)에 배치되어 있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5, 115).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61a 내지 61c, 62a, 62b, 63a 내지 63d, 64)은, 운전시의 발열량이 작은 저발열 부품(64)과, 운전시의 발열량이 큰 고발열 부품(61a 내지 61c)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발열 부품(61a 내지 61c)은, 상기 내측 공간(D)에 배치되어 있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5, 115).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51, 151)는,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23)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방열 핀(fin, 54, 55)을 가지고 있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5, 115).
  19. 제14항,제15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53)은, 상기 바로 앞측 공간(C)과 상기 내측 공간(D)을 통하여 연결하는 창부(57)를 가지고 있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5, 115).
  20.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51, 151)는, 일부에 상기 케이싱(12)의 일측면(23)의 반대측을 향하여 팽출하는 팽출부(56, 156)를 가지고 있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5, 115).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56, 156)는, 상기 상자 본체(51, 1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5, 115).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151)는, 금속제의 판금 상자부(158)와, 수지제의 수지 상자부(159)로 구성되어 있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15).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156)는, 상기 상자 본체(1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판금 상자부(158)는, 상기 상자 본체(151)의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수지 상자부(159)는, 상기 팽출부(156)를 포함하는 상기 상자 본체(151)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는,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115).
KR1020047011612A 2002-11-05 2003-10-27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및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 KR100614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21374 2002-11-05
JP2002321374A JP2004156814A (ja) 2002-11-05 2002-11-05 室外ユニットの電装品箱
JPJP-P-2002-00321001 2002-11-05
JPJP-P-2002-00321002 2002-11-05
JP2002321001A JP2004156800A (ja) 2002-11-05 2002-11-05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2321002A JP3963147B2 (ja) 2002-11-05 2002-11-05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PCT/JP2003/013740 WO2004042287A1 (ja) 2002-11-05 2003-10-27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及び室外ユニットの電装品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812A KR20040077812A (ko) 2004-09-06
KR100614352B1 true KR100614352B1 (ko) 2006-08-21

Family

ID=3231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612A KR100614352B1 (ko) 2002-11-05 2003-10-27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및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63768B2 (ko)
EP (1) EP1577616A4 (ko)
KR (1) KR100614352B1 (ko)
AU (1) AU2003275690B2 (ko)
WO (1) WO2004042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013B1 (ko) * 2004-01-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파이프 배열 구조
JP3985834B2 (ja) * 2005-11-07 2007-10-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装品アセンブリ、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WO2007108447A1 (ja) * 2006-03-17 2009-08-0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1298404B1 (ko) * 2007-09-21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53491A (ko) * 2007-11-23 200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546905B1 (ko) * 2008-01-30 201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WO2010037186A1 (en) * 2008-09-30 2010-04-08 Carrier Corporation Cylindrical condenser
IT1400737B1 (it) * 2009-05-20 2013-07-02 Sanyo Electric Co Unita' esterna per lo scambio di calore, particolarmente in scambiatori di calore e simili.
KR101326236B1 (ko) * 2011-10-14 2013-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JP5464225B2 (ja) * 2012-03-26 2014-04-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EP2846107B1 (en) * 2012-03-29 2018-11-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comprising same
JP5472364B2 (ja) * 2012-04-20 2014-04-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US10845066B2 (en) * 2014-03-27 2020-11-24 Daikin Industries, Ltd. Heat source unit of refrigerating apparatus
JP2016121864A (ja) * 2014-12-24 2016-07-07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WO2017077647A1 (ja) * 2015-11-06 2017-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US10928080B2 (en) * 2015-11-09 2021-02-23 Carrier Corporation Climate control outdoor unit with inverter cooling
EP3557150B1 (en) * 2016-12-16 2021-05-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JP2018179418A (ja) * 2017-04-14 2018-11-15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室外ユニット、及び、当該室外ユニットを有する空気調和機
JP6674668B2 (ja) * 2018-01-26 2020-04-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電装品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1548U (ko) 1978-03-27 1979-10-01
US4261418A (en) * 1979-12-12 1981-04-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Outdoor coil unit for heat pump
JPS5758867U (ko) 1980-09-26 1982-04-07
US4390059A (en) * 1980-11-03 1983-06-28 Carrier Corporation Heat exchanger and fan and method of assembly
JPS58116976A (ja) 1981-12-30 1983-07-12 Nippon Steel Corp 保熱蓋装着取鍋
JPS6141563U (ja) 1984-08-18 1986-03-1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0633292Y2 (ja) 1988-11-18 1994-08-31 三洋電機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
JP2765955B2 (ja) 1989-06-02 1998-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
JPH0660753B2 (ja) 1989-09-26 1994-08-10 三洋電機株式会社 熱交換装置
JP2810196B2 (ja) 1990-03-07 199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用室外ユニット
JPH03255827A (ja) 1990-03-07 1991-11-14 Hitachi Ltd 空気調和機用室外ユニット
US5097678A (en) * 1990-11-19 1992-03-24 Aubuchon Steven L Ventilating protective cover for top-discharge air conditioners
JPH06123449A (ja) 1992-10-12 1994-05-06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6147550A (ja) 1992-11-13 1994-05-27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3177339B2 (ja) 1993-03-26 2001-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3216444B2 (ja) 1994-10-28 2001-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機のスイッチボックス構造
JP3490813B2 (ja) * 1995-10-31 2004-01-26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10141708A (ja) * 1996-11-12 199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10227489A (ja) 1997-02-13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10267325A (ja) * 1997-03-24 1998-10-09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11118198A (ja) 1997-10-14 1999-04-3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11173605A (ja) 1997-12-11 1999-07-02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3433085B2 (ja) 1998-01-19 2003-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11304196A (ja) * 1998-04-24 1999-11-05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4274598B2 (ja) 1998-05-29 2009-06-10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ヒートポンプの室外機
JP2000074422A (ja) * 1998-09-02 2000-03-14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00161717A (ja) 1998-11-27 2000-06-16 Sharp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74545C (zh) * 1999-02-24 2004-11-03 三菱电机株式会社 功率驱动器
JP3886295B2 (ja) * 1999-06-15 2007-02-28 松下冷機株式会社 冷凍システムのパワー制御装置およびコンプレッ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42287A1 (ja) 2004-05-21
US20050144975A1 (en) 2005-07-07
AU2003275690A1 (en) 2004-06-07
EP1577616A4 (en) 2007-08-08
AU2003275690B2 (en) 2006-04-06
EP1577616A1 (en) 2005-09-21
KR20040077812A (ko) 2004-09-06
US7363768B2 (en)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352B1 (ko)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및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
WO2013047721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4859777B2 (ja) 室外ユニット
JP201113761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307980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N110785613B (zh) 制冷机室外单元
JP2004156814A (ja) 室外ユニットの電装品箱
JP201305025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4156800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4314934B2 (ja) 室外ユニットの電装品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307651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610705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N106716022A (zh) 制冷循环装置的室外单元
JP6115082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14092306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3963147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WO2020157871A1 (ja) 室外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4986696B2 (ja) 冷凍空調装置
JP3985833B2 (ja)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66327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424071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3076521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WO2012124274A1 (ja) 空気調和機
JP201612186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5106394A (ja) 空調室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