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438B1 - 이동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이동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438B1
KR102234438B1 KR1020190061511A KR20190061511A KR102234438B1 KR 102234438 B1 KR102234438 B1 KR 102234438B1 KR 1020190061511 A KR1020190061511 A KR 1020190061511A KR 20190061511 A KR20190061511 A KR 20190061511A KR 102234438 B1 KR102234438 B1 KR 10223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actor
air conditioner
disposed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083A (ko
Inventor
김대혁
김무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3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케이스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압축기와;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압축기 주변을 감싸는 커버; 및 커버에 설치되는 리액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공기조화기{MOVAB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실외 열교환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크게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구성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는 실외 열교환기(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가 설치되고, 실내기(실내 열교환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결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하나의 본체에 구비되어 전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하나의 본체에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창문 또는 창문틀 등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 공기조화기와, 필요한 공간에 본체를 위치시키고 배기 안내수단을 통해 외부로 열교환된 공기 일부를 배출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일반적인 공조장치에 비하여 설치가 간편하여 소비자가 스스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압축기가 응축기 및 증발기와 함께 하나의 장치에 설치된다. 즉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압축기가 실외기에 설치되는데 비해,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압축기가 증발기와 함께 하나의 장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소형화 설계를 위해서는 응축기와 증발기 및 기타 여러 관련 부품들을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집약해서 배치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들 부품들을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집약해서 배치하게 되면, 리액터와 같이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구조 설계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즉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소형화 설계를 위해, 응축기와 증발기 및 기타 여러 관련 부품들을 리액터와 같은 발열부품과 함께 좁은 공간에 밀집되게 배치시키게 되면, 발열부품의 냉각 구조 설계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발열부품의 냉각 구조 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발열부품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되어 발열부품 자체의 성능도 저하될 뿐 아니라, 이 열이 주변 다른 부품에도 영향을 미쳐 이동형 공기조화기 전체의 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리액터와 같은 발열부품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액터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컴팩트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커버가 제공될 수 있게 구조가 개선된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리액터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압축기와;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압축기 주변을 감싸는 커버; 및 커버에 설치되는 리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리액터의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리액터의 냉각이 효율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커버의 배열방향과 상기 커버와 상기 리액터의 배열방향이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여러 부품들이 집약된 좁은 공간 내에서 리액터의 설치 공간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리액터 외부에 리액터 커버가 설치되고, 리액터 커버에는 리액터 커버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통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구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터가 구비되고, 커버가 서포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배기구 및 토출부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압축기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 주변을 감싸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리액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토출부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를 측방향에서 둘러싸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액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전면과, 상기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배면과, 상기 전면과 배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전면과 배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2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과 상기 배면과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제2측면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가 배치되고,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커버의 배열방향과 상기 커버와 상기 리액터의 배열방향이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액터는, 상기 커버와 전면 사이 또는 상기 커버와 배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측벽부, 및 상기 제1측벽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배면 사이에는, 스플래시팬이 배치되고, 상기 리액터는, 상기 전면과 상기 제1측벽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흡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전면과 상기 제1측벽부 사이의 공간을 향해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액터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리액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액터 커버에는, 상기 리액터가 수용된 상기 리액터 커버의 내부와 상기 리액터 커버의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통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부는,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리액터 커버의 일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커버흡기구; 및 상기 송풍유닛 또는 상기 열교환부와 마주보는 상기 리액터 커버의 타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커버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흡기구와 상기 커버배기구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흡기구 주변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흡기구 루버와 상기 커버배기구 주변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배기구 루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하부의 제1 수용공간과 상부의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액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구획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의 하부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의 상부를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바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벽부의 측방향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1커버부재, 및 상기 측벽부의 측방향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의 측방향 일측과 상기 제2커버부재의 측방향 일측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커버부재의 측방향 타측과 상기 제2커버부재의 측방향 타측이 상기 지지바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측벽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면부에는,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열교환부와 연결된 냉매배관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과홀은, 상면부의 측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리액터의 냉각이 효율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액터의 과열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리액터 및 그와 관련된 압축기 등과 같은 구성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에 리액터가 설치되는 대신에, 별다른 부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커버에 리액터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리액터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형 공기조화기 전체의 크기는 증가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리액터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컴팩트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액터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 및 그 주변에 있는 물질들이 리액터에 작용하여 리액터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에 냉매배관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쉽고 빠르게 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서포터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소음 및 과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전방 외관을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후방 외관을 보인 후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제거 상태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커버 제거 상태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일부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커버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커버와 서포터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커버에 리액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리액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ⅩⅤ-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와 종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리액터 온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와 종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리액터 온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전방 외관을 도시한 전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후방 외관을 보인 후방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제거 상태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케이스(1000,1100)와, 베이스플레이트(100) 및 제1,2열교환기(500,8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0,11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1000,1100)의 내부에는 제1,2열교환기(500,800) 등을 포함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0,1100)는, 전후방 및 측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제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도록 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1100)로 분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00,1100)가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로 분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케이스(1000)가 배치된 측이 전방, 후방케이스(1100)가 배치된 측이 후방으로 정의된다.
케이스(1000,110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0)가 마련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이동식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케이스(1000,1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000,110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지지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냉매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주변의 공기와 두 차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매와 주변의 공기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제1,2열교환기(500,800)가 구비된다.
이때 제1열교환기(500)와 제2열교환기(800)가 모두 하나의 공간에 인접되게 설치된다면, 제1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2열교환기(8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반대로 제2열교환기(8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1열교환기(8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제1,2열교환기(500,800)의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제1,2열교환기(500,800)의 열교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제1열교환기(500)와 제2열교환기(800)가 서로 충분히 멀리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1열교환기(500)와 제2열교환기(800)가 멀리 이격되게 배치되기 위해서는 케이스(1000,1100) 내부 공간의 크기가 커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크기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게 된다. 공기조화기(10)의 크기가 대형화된다면,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면서도 이동이 가능한 공기조화기(10)의 설계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을 구획하여 복수개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수용공간에 제1,2열교환기(500,800)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냉방 또는 난방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열교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1000,1100) 및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규정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은, 케이스(1000,1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플레이트(600)에 의해 상측의 제2수용공간 및 하측의 제1수용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에는 제2열교환기(800)와 이에 인접하는 제2송풍유닛(700)이 설치되고, 제2열교환기(800)와 제2송풍유닛(700)은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용공간에는 제1열교환기(500)와 이에 인접하는 제1송풍유닛(300)이 설치되고, 제1열교환기(500)와 제1송풍유닛(3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된 제1열교환기(500)와 제1송풍유닛(300)의 상단면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을 지지하고, 이로써 구획플레이트(600) 및 이에 장착되는 제2열교환기(800)와 제2송풍유닛(700)과 같은 부품들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케이스(1000,1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구와,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구(1180) 및 토출부(104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는, 제2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흡입구(1120) 및 제1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흡입구(1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하부로 구획된 수용공간에서, 각각 냉매의 응축과 증발이 구분되어 일어나며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가령, 제1열교환기(500)는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제1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제2열교환기(800)는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제2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2열교환기(500,800)는 압축기(202)와 냉매배관(400)으로 연결되며, 이들을 통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등의 구성부품이 단일 제품에 일체로 구성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이동 설치가 용이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전방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11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케이스(10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후방부의 골격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에는, 열교환 된 공기를 실외(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관부(1300)가 연결 및 설치될 수 있다. 배관부(1300)는, 상하로 구획된 제2수용공간 또는 제1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부(1300)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수용공간, 즉 제1열교환기(500)가 설치된 제1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을 위해 작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압축기를 통과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와 응축기에서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배관부(1300)를 따라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관부(1300)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수용공간, 즉 제1열교환기(500)가 설치된 제1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500)가 응축기로 작동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기로 구동되는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배관부(1300)는, 수용공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배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배관노즐(1320)은 배기파이프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배관부(130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후방케이스(1100) 하부에는, 제1수용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구(1180)가 마련될 수 있는데, 배관부(1300)의 일단이 배기구(1180)와 연결될 수 있다.
배관부(1300)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다. 이러한 배관부(1300)는, 그 일단이 후방케이스(1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외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배관부(1300)의 타단은, 열린 창을 통해 실외로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창은, 실내와 실외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개폐가 용이하게 구성될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르면, 배관부(1300)의 타단의 직경만큼 창을 열고, 창이 열린 틈으로 배관부(1300)의 타단이 실외로 노출되도록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거치하는 형태로 창틀에 배관부(13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벽을 타공하지 않고도 배관부(1300)의 타단을 실외로 노출시킬 수 있다.
다만,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거치할 때,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고정시키고, 창 틈을 밀폐시킬 수단이 요구된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에는 설치키트(1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설치키트(1200)는, 배관부(1300)의 직경에 대응하여 창이 열린 틈을 막아주면서 배관부(1300)의 타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배관부(1300)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 제공된다.
이러한 설치키트(1200)는, 배관부(1300)의 타단이 창틀에 거치되었을 때 창이 열린 틈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관부(1300)의 타단이 거치된 창의 열린 틈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키트(1200)에는 배관부(1300)의 타단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을 통해 배관부(1300)의 타단이 설치키트(1200)에 삽입되어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배관부(1300)의 타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배관부(1300)의 타단이 설치키트(1200) 상에 고정되고, 이를 통해 배관부(1300)의 타단이 창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설치키트(120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설치키트(120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슬라이딩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설치키트(1200)는, 창틀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쉽고 빠르며 안정적으로 창틀에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창틀에서 분리된 후에는 짧은 길이로 접혀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형태로 변화될 수도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구성하는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부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와는 별도로 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보관 또는 이동시 후방케이스(11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의 보관 및 이동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가령, 후방케이스(1100)에 형성된 설치키트 수납부(1170)에 설치키트(1200)가 삽입되어 설치키트(1200)가 후방케이스(11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0)와 설치키트(1200)가 일체로 거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방케이스(1000)는, 그 중앙부가 측방향 양측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케이스(1000)는 상부에서 내려다 볼 때,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을 라운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케이스(1000,1100)의 상부에는, 토출부(104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040)에는 토출부(1040)의 내부를 관통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토출구는, 토출부(1040)가 케이스(1000,1100)에 장착되었을 때, 케이스(1000,110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토출구는, 실내로의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사각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토출부(1040)는 별도의 토출프레임에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프레임(1041)이 케이스(1000,1100) 상부에 장착됨에 의해, 케이스(1000,1100) 상부에 토출부(1040)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토출부(1040)가 별도의 토출프레임에 구성되지 않고, 케이스(1000,1100) 상에 토출부(1040)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형태로 케이스(1000,1100)의 상부에 토출부(104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토출부(104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내부에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실내에서 건물의 천장이나 벽에 매달려 실내의 높은 곳에 설치되기보다는 주로 건물의 바닥에 놓여 실내의 낮은 곳에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면, 토출부(10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실내 전체에 효과적으로 퍼질 수 있도록, 토출부(104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부(1040)는 케이스(1000,1100)의 상단에 마련되어 공기조화된 공기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전방측으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토출부(1040)에는, 토출루버(750)가 마련될 수 있다. 토출루버(750)는, 토출부(104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의 상부에는, 조작유닛(1020)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유닛(1020)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유닛(1020)은, 사용자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작유닛(1020)에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작유닛(1020)은 외관상 노출되는 조작판넬과 조작판넬 하부에 설치되는 PCB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유닛(1020)은, 케이스(1000,11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조작유닛(1020)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서 케이스(1000,1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토출부(1040)와 조작유닛(1020)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상부에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면, 토출부(1040)와 조작유닛(1020)은 케이스(1000,11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는 하나의 프레임에 구성될 수도 있다.
후방케이스(1100)는, 전방케이스(1000)와 결합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와 전방케이스(1000)가 결합되는 점을 고려하여, 후방케이스(1100)의 선단은 전방케이스(10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전방케이스(1000)의 좌우 측면의 후단이 라운드진 곡률로 이루어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후방케이스(1100)의 좌우 측면 선단부는 전방케이스(1000)의 좌우 측면 후단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진 곡률로 이루어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의 후면 상부에는, 제2수용공간의 내외부를 관통시키는 제2흡입구(1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구(1120)는, 실내의 공기가 제2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제2흡입구(1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2흡입구(1120)의 충분한 면적확보를 위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케이스(1100)의 후면 하부에는 제1흡입구(1140)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흡입구(1140)는, 실내 공기가 제1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구획플레이트(600)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900)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9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곳이다.
컨트롤박스(900)는, 구획플레이트(600)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박스(900)의 상부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구획플레이트(60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부호 130은, 베이스플레이트(100)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배출구이다.
[제1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구성]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커버 제거 상태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 하부 외관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구획플레이트(600) 사이에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수용공간에는 제1열교환기(500)와 제1송풍유닛(300)과 압축유닛(200)이 배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의 하단과 결합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제1열교환기(500)와 압축유닛(200), 제1송풍유닛(300) 등과 같이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품으로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바퀴(15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사각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00)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이동바퀴(1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각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바닥에 배치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열교환기(5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500)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제1냉매파이프(510) 및 제1방열플레이트(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열교환기(500)는, 좌우 폭이 좁고 전후방향 길이가 긴 세장형(細長型)의 박스 형태로 구비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제1열교환기(5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후방케이스(1100)의 측방향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된 제1흡입구(114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제1열교환기(500)를 측방향으로 통과한 뒤에 다시 후방케이스(1100)의 측방향 타측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열교환기(5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형태는, 공기의 유동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흡입구(1140)가 전방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1열교환기(5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1열교환기(5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형태는, 공기의 유동 이외에도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효율적인 배치도 함께 고려된 형태이어야 한다.
제1열교환기(500)는, 제1냉매파이프(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제1방열플레이트(5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제1냉매파이프(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냉각(또는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그릴(1140)을 통해 제1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제1열교환기(5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제1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배관부(130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측방향 일측에는, 압축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다. 압축유닛(200)은, 압축기(202)와 이를 지지하는 압축기 프레임(2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기 프레임(204)은, 압축기(202)에 대한 지지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압축유닛(200)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형상인 삼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202)의 옆에는, 어큐뮬레이터(203)가 설치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203)는 액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압축기(202)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공간의 세로방향 중앙부에는, 구획플레이트(600)가 설치된다. 구획플레이트(600)는, 수용공간 전체를 가로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형 공기조화기(10) 형상을 고려하여, 구획플레이트(600)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획플레이트(600)는, 후술할 제2열교환기(8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용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부품을 지지하며,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구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서는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실외 측과 실내 측으로 구획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플레이트(600)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를 실외 측과 실내 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즉 구획플레이트(600)에 의해 구획되는 두 수용공간 중, 구획플레이트(600)를 중심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1수용공간에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실외기에 해당하는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2수용공간에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에 해당하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의 구조로, 제1수용공간에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되고, 제2수용공간에는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서포터(950)가 설치될 수 있다. 서포터(95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구획플레이트(600)에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및 압축유닛(200)에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의 구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일부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커버(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210)는, 압축기(202)와 함께 제1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압축기(202)의 외측에서 압축기(202)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00,1100)는 전면(a)과 배면(b)과 제1측면(c) 및 제2측면(d)을 포함한다. 전면(a)은 케이스(1000,110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면이고, 배면(b)은 케이스(1000,110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면으로서 전면(a)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측면(c) 및 제2측면(d)은, 케이스(1000,1100)의 측방 외관을 형성하는 면으로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전면(a)과 배면(b) 사이를 연결하는 면이다.
커버(210)는, 전면(a)과 배면(b)과 제1측면(c) 및 제2측면(d)에 의해 둘러싸인 제1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압축기(202)와 함께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210)는, 측벽부(220)와 상면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측벽부(220)는, 베이스플레이트(100)로부터 토출부(1040)를 향해, 즉 베이스플레이트(100)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측벽부(220)는, 압축기(202)를 측방향에서 둘러싸는 차단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면부(230)는, 측벽부(22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측벽부(220)의 상단과 연결된다.
즉 커버(210)의 내부에는, 측벽부(220)에 의해 측부 외측이 둘러싸이고 상면부(230)에 의해 상부가 차폐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하부가 차폐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압축기(202)는, 이와 같이 형성되는 커버(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측벽부(220)는, 제1측벽부(221)와 제2측벽부(222)와 제3측벽부(223) 및 제4측벽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측벽부(221)와 제2측벽부(222)와 제3측벽부(223) 및 제4측벽부(224)는, 베이스플레이트(10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제1측벽부(221)는 전면(a)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측벽부(222)는, 제1측벽부(221)와 측방향으로 연결되며, 제1측면(c)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제3측벽부(223)는, 제2측면(d)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3측벽부(223)는, 제2측벽부(222)와 마주보게 배치되되, 제2측면(d)과 제2측벽부(222) 사이에 배치되며, 제1측벽부(221)와 측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4측벽부(224)는, 제3측벽부(223)와 제2측벽부(222)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측벽부(223)는 제2측벽부(222)보다 측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측벽부(224)는, 제3측벽부(223)와 제2측벽부(222) 사이를 연결하되, 제2측면(d)과 배면(b)을 비스듬하게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는 압축기(202) 주변에 설치되는 스플래시팬(110)의 위치를 고려한 설계이다.
스플래시팬(11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응축수의 유로 일측에 배치되며, 스플래시 날개(111)와 스플래시 모터(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플래시 날개(111)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원판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날개가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다. 스플래시 날개(111)의 중앙부, 즉 회전 중심은 회전축을 통해 스플래시 모터(113)와 연결되며, 스플래시 날개(111)는 이와 같이 연결된 스플래시 모터(113)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 구동되는 스플래시팬(11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응축수를 제1열교환기(500) 측으로 분무하는 작용을 한다.
즉 스플래시팬(110)이 회전 구동되면, 스플래시 날개(111)의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들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응축수를 퍼올려 제1열교환기(500) 측으로 뿌리게 되고, 이로써 스플래시팬(110)에 의한 제1열교환기(500) 측으로의 응측수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플래시팬(110)에 의해 제1열교환기(500) 측으로 분무되는 응측수는. 제1열교환기(5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추는 작용을 함으로써, 제1열교환기(5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 효율이 좀 더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유로 및 그 유로에 배치되는 스플레시 날개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500)에 의해 덮여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스플레시 모터는, 제1열교환기(500)로부터 압축기(202)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즉 스플레시팬(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열교환기(500)와 압축기(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열교환기(500)와 압축기(202) 사이에 배치 스플래시팬(110)의 일부분은, 제3측벽부(223)보다 압축기(202)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플래시팬(1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3측벽부(223)는 제2측벽부(222)보다 측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제4측벽부(224)는 제2측면(d)과 배면(b)을 비스듬하게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3측벽부(223)와 제2측벽부(222) 사이를 연결한다.
이로써 커버(210)는, 압축기(202)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스플래시팬(110)과의 간섭을 피하며 압축기(202) 주변을 감쌀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면부(230)에는, 통과홀(230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과홀(230a)은, 압축기(202)와 연결되는 냉매배관(400)이 커버(210)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커버(2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가로막힌 압축기(202)의 하부를 제외한 압축기(202)의 주변 대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로써 압축기(202) 및 이와 매우 근접하게 연결된 어큐뮬레이터(204)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커버(21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21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압축기(202)가 수용됨으로써, 압축기(202)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정도가 상당 부분 완화될 수 있다. 즉 압축기(202) 주변이 커버(210)에 의해 가로막히도록 함으로써, 압축기(202)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게 된다.
[개방부의 배치 구조]
한편 상기와 같이 압축기(202) 주변을 커버(210)로 완전히 감싸게 되면, 주로 고주파 대역의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압축기(202) 주변이 커버(210)로 완전히 감싸짐에 따라, 고주파 대역의 소음이 감소되는 대신, 커버(210)의 진동으로 인한 공진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공진음은, 압축기(202) 주변이 커버(210)로 막힘에 따라 압축기(202)에서 방출되는 음파가 커버(210)를 진동시킴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진음의 발생을 막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210)에 개방부(225)가 마련되는 구성이 개시된다. 개방부(225)는, 압축기(202)를 감싸는 커버(210)의 내부공간 일부가 커버(210) 외부로 개방되도록 커버(210) 일부분을 개방한다.
상기 개방부(225)는, 커버(210)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개방부(225)는 측벽부(220)의 일부분이 측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방부(225)는, 토출부(1040)와 인접한 커버(210)의 상단과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인접한 커버(210)의 하단 중, 커버(210)의 하단에 더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압축기(202)에서 방출되는 음파가 주로 커버(210)의 하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또한 압축기(202)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202)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베이스플레이트(100)를 통해 커버(210)로 전달될 수 있고, 이러한 진동이 커버(210)를 진동시켜 공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공진음 발생의 요인들이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인접한 커버(210)의 하부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한다는 것도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부(225)가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인접한 커버(210)의 하단에 치우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개방부(225)가 커버(210)의 하단에 치우치게 배치됨에 따라, 공진음을 발생시키는 음파나 진동과 같은 요인들이 커버(210) 전체로 퍼져나가며 커버(210)를 진동시키기 전에 개방부(225)를 통해 커버(21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210)를 진동시켜 공진음을 발생시키는 요인들이 커버(2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상당 부분 차단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압축기(202) 주변에서의 공진음 발생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개방부(225)는, 측벽부(220)에 배치되되, 제1측벽부(221) 및 제2측벽부(222)를 제외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흡입구(1140)는 배면(b)에 배치되되, 제2측면(d)보다 제1측면(c) 측으로 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제1흡입구(1140)는, 제1측면(c)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흡입구(1140)가 제1측면(c) 및 배면(b)에 함께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흡입구(1140)는, 제1측면(c) 및 배면(b)의 하부에 형성되므로, 압축기(20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되, 특히 커버(210)의 제2측벽부(222)과 마주보면서 제2측벽부(222)과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1흡입구(1140)가 공기 흡입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임을 감안하면, 제2측벽부(222)에 개방부(225)가 형성될 경우, 압축기(202)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커버(210)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통로와 이동형 공기정화기(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매우 근접하게 연결되어 버리는 결과가 초래된다.
이 경우, 압축기(202)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이동형 공기정화기(10)의 외부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버리므로, 이동형 공기정화기(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증가될 우려가 발생된다.
또한 제1측벽부(221)는, 케이스(1000,1100)의 전면(a)과 마주보는 면이며, 측벽부(220) 중 전면(a)과 가장 가까이 배치된 면이다. 이러한 제1측벽부(221)에 개방부(225)가 배치된다면, 개방부(225)를 통해 빠져 나오는 압축기(202) 소음의 진행방향이 이동형 공기정화기(1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전면(a)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이동형 공기정화기(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형 공기정화기(10)의 사용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의 경우, 소음의 진행방향이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이 되므로, 사용자가 소음의 크기를 더 크게 느끼게 될 우려가 발생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개방부(225)는 측벽부(220)에 배치되되, 제1측벽부(221) 및 제2측벽부(222)를 제외한 다른 위치, 즉 제3측벽부(223)와 제4측벽부(2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개방부(225)는 제4측벽부(224)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4측벽부(224)는, 제2측면(d)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3측벽부(223)와 제1측면(c)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측벽부(222)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열교환기(500)와 배면(b)을 비스듬하게 마주보게 배치되는 측벽이다.
이러한 제4측벽부(224)는, 제1측면(c) 및 배면(b)에 배치된 제1흡입구(1140)를 마주보는 측벽도 아니고, 전면(a)과 마주보며 전면(a)과 인접되게 배치된 측벽도 아니다. 이러한 제4측벽부(224)는, 케이스(1000,1100) 상에서 케이스(1000,1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비스듬하게 마주보게 배치되는 측벽에 해당되며, 또한 제1열교환기(500)와 인접된 위치에서 제1열교환기(500)과 비스듬하게 마주보게 배치되는 측벽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4측벽부(224)에 개방부(225)가 배치되면, 제1흡입구(1140) 및 전면(a)과 마주보지 않으면서도 제1흡입구(1140) 및 전면(a)과 먼 위치에 개방부(225)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부(225)를 통해 빠져나올 수 있는 고주파의 소음이 이동형 공기정화기(1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향상된 차음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4측벽부(224)에 개방부(225)가 배치되면, 개방부(225)가 제1열교환기(500) 및 그 주변에 배치된 제1송풍유닛(30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제1송풍유닛(300)에서도 어느 정도의 소음이 발생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개방부(225)를 통해 빠져 나오는 고주파의 소음이 제1송풍유닛(300) 측으로 나오게 된다면, 이 소음의 영향이 제1송풍유닛(300)의 소음으로 인해 어느 정도 상쇄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방부(225)는, 제4측벽부(224)에 배치되되, 제2측벽부(222)보다 제3측벽부(223)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개방부(225)가 제1흡입구(1140)로부터 되도록 더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만약 개방부(225)가 제4측벽부(224)가 아닌 제3측벽부(223)에 배치된다면, 개방부(225)의 위치가 제1흡입구(1140)로부터 더 멀어질 수도 있겠지만, 그 대신 개방부(225)의 위치가 전면(a)과 너무 가까워지는 결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225)는, 제4측벽부(224)의 일부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4측벽부(224) 중 스플래시팬(110)과 인접한 부분이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인접한 제4측벽부(224)의 하단으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개방부(225)는, 스플래시팬(110)과 인접되게 배치됨으로써, 커버(210)가 스플래시팬(110)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커버의 상세 구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전방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의 후방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커버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커버와 서포터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210)는 측벽부(220)와 상면부(230)를 포함하며, 측벽부(220)는 제1커버부재(210a)와 제2커버부재(2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부재(210a)는 측벽부(220)의 측방향 일부분을 형성하며, 제2커버부재(210b)는 측벽부(220)의 측방향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 즉 제1커버부재(210a)와 제2커버부재(210b)의 조합에 의해, 측벽부(220)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커버부재(210a)는, 제1측벽부(221), 제2측벽부(222)의 일부분, 그리고 제3측벽부(223)를 포함하는 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버부재(210b)는, 제2측벽부(222)의 일부분과 제4측벽부(224)를 포함하는 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제1커버부재(210a)의 측방향 일측과 제2커버부재(210b)의 측방향 일측이 서로 결합되고, 제1커버부재(210a)의 측방향 타측과 제2커버부재(210b)의 측방향 타측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측벽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커버부재(210a)의 측방향 일측과 제2커버부재(210b)의 측방향 일측 간의 결합에 의해, 제3측벽부(223)와 제4측벽부(224)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부재(210a)의 측방향 타측과 제2커버부재(210b)의 측방향 타측 간의 결합에 의해, 측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던 제2측벽부(222)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커버부재(210a)의 측방향 일측과 제2커버부재(210b)의 측방향 일측 간의 결합은, 각각의 측방향 단부에 돌출된 결합돌기(211a,211b) 간의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부재(210a)의 측방향 타측과 제2커버부재(210b)의 측방향 타측 간의 결합은, 서포터(950)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포터(95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구획플레이트(600)에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및 압축유닛(200)에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서포터(950)는 지지바(951)와 제1결합부(952) 및 제2결합부(9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바(951)는, 서포터(950)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께를 갖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바(951)는 상하방향으로 길쭉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결합부(952)는, 지지바(951)의 하부에 마련된다. 제1결합부(952)는, 지지바(951)의 하단으로부터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부(952)는, 지지바(9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결합되어 지지바(951)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킨다.
제2결합부(953)는, 지지바(951)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2결합부(953)는, 지지바(951)의 상단으로부터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결합부(953)는, 지지바(9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플레이트(600)와 결합되어 지지바(951)의 상부를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킨다.
또한 서포터(950)는, 제3결합부(954) 및 제4결합부(9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부(954)는, 지지바(951)의 일측 측부에 마련된다. 제3결합부(954)는, 지지바(951)의 일측 측부로부터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결합부(954)는, 지지바(9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4결합부(955)는, 지지바(951)의 타측 측부에 마련된다. 제4결합부(955)는, 지지바(951)의 타측 측부로부터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4결합부(955)는, 지지바(9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마련되는 서포터(95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재(210a) 및 제2커버부재(210b)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서포터(950)와 제1커버부재(210a) 및 제2커버부재(210b) 간에 이루어지는 결합에 의해, 제1커버부재(210a)의 측방향 타측과 제2커버부재(210b)의 측방향 타측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4결합부(955)는 제1커버부재(210a)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4결합부(955)는, 제2커버부재(210b)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서포터(950)와 마주보는 제1커버부재(210a)의 타측 단부에는, 제1절곡면(212a)이 제4결합부(955)와 나란한 면을 이루도록 제1커버부재(210a)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절곡면(212a)과 제4결합부(955)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서포터(950)와 제1커버부재(21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포터(950)와 마주보는 제2커버부재(210b)의 타측 단부에는, 제2절곡면(212b)이 제4결합부(955)와 나란한 면을 이루도록 제2커버부재(210b)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절곡면(212b)과 제4결합부(955)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서포터(950)와 제1커버부재(21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210)의 조립, 그리고 커버(210)와 서포터(950) 간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커버(210)의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쉽고 빠르게 커버(21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버(210)가 서포터(9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커버(210) 지지 구조 또한 자연스럽게 추가될 수 있어 커버(210)의 설치 상태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커버(210)가 서포터(950)와 결합됨으로써, 서포터(950)가 커버(210)를 굳건하게 지지하는 커버(210) 지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210)에 리액터 어셈블리(250)가 설치되더라도, 커버(210)가 리액터 어셈블리(2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리액터 어셈블리(250)가 커버(210)에 의해 지지되고, 커버(210)는 서포터(95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커버(210) 및 이에 설치된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면부(230)는, 측벽부(2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면(231), 및 덮개면(231)을 측벽부(220)와 결합시키는 덮개결합면(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면(231)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측벽부(2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결합면(233)은, 덮개면(231)의 테두리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측벽부(220)와 결합되어 측벽부(220)와 상면부(2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면부(2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덮개면(231)에는, 통과홀(230a)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과홀(230a)은, 덮개면(23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면부(230)의 측부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통과홀(230a)이 상면부(230)의 측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은, 압축기(202)와 냉매배관(400), 그리고 커버(210)의 설치 구조를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커버(210)의 설치는 압축기(202)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진행되는데, 통상 측벽부(220)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진 후, 상면부(230)의 설치가 나중에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압축기(202)에는 열교환기와 연결된 냉매배관(400)이 연결되는데, 만약 통과홀(230a)이 상면부(230)의 측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지 않는다면, 상면부(230)가 냉매배관(400)을 통과하여 측벽부(220)와 결합될 방법이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통과홀(230a)이 상면부(230)의 측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측부로 개방된 통과홀(230a)을 통해 상면부(230)가 냉매배관(400)을 통과하여 측벽부(220)의 상부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리액터의 설치 구조]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커버에 리액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리액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ⅩⅤ-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리액터 어셈블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액터 어셈블리(250)는, 리액터(251)와 리액터 커버(2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리액터(251)는,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제어를 통해 역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리액터 어셈블리(25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시동시, 또는 압축기(202)의 운전 주파수가 가변될 때, 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역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구동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리액터(251)는, 복수개의 코일(Coil)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액터(251)는 커버(2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202)의 주변을 감싸는 커버(21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 커버(210)에 리액터(251)가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리액터(251)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이격되게 배치되되, 커버(210)의 측벽부(220)에 결합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리액터 어셈블리(250)는, 리액터(251)와 커버(210) 간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2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액터(251)와 브라켓(253)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210)에는, 리액터장착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리액터장착부(240)는, 커버(210)와 브라켓(25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버(210) 상에 마련된 부분이다. 리액터장착부(240)에는, 하부끼움돌기(241)와 상부끼움돌기(243)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끼움돌기(241)는, 커버(210)로부터 브라켓(253)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브라켓(253)의 하단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끼움돌기(243)는, 커버(210)로부터 브라켓(253)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브라켓(253)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다.
하부끼움돌기(241)와 상부끼움돌기(243)는, 서로간의 간격이 브라켓(253)의 하단과 상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하부끼움돌기(241)와 상부끼움돌기(243) 사이에 브라켓(253)이 끼워짐으로써, 브라켓(253)이 리액터장착부(2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리액터장착부(240) 상에 마련된 하부끼움돌기(241)와 상부끼움돌기(243)는, 브라켓(253)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동시에 브라켓(253)을 리액터장착부(240)에 임시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처럼 하부끼움돌기(241)와 상부끼움돌기(243)에 의해 브라켓(253)의 설치 위치가 안내되고 브라켓(253)의 임시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면,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리액터(251)와 커버(210) 간의 결합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리액터 커버(255)는, 리액터(251)를 내부에 수용하며 커버(2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액터 커버(255)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커버(210)와 마주보는 리액터 커버(255)의 일면은 개방된다.
이에 따르면, 리액터(251)는 커버(210)에 결합되고, 리액터 커버(255)는 리액터(251)를 내부에 수용하며 커버(210)에 결합된 형태로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리액터 커버(255)에는, 리액터(251)가 수용된 리액터 커버(255)의 내부와 리액터 커버(255)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통로부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통로부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흡기구(256)와 커버배기구(2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흡기구(256)는, 리액터 커버(255)의 일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배기구(258)는, 커버흡기구(256)가 형성된 리액터 커버(255)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커버흡기구(256)와 커버배기구(258)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아울러 리액터 커버(255)는, 흡기구 루버(258)와 배기구 루버(25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기구 루버(258)는 커버흡기구(256) 주변에 돌출되게 배치되며, 배기구 루버(259)는 커버배기구(258) 주변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액터 커버(255)에 흡기구 루버(258)와 배기구 루버(259) 모두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흡기구(256)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리액터 커버(25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리액터 커버(255) 상에 형성한다. 그리고 커버배기구(258)는, 커버흡기구(256)가 형성된 리액터 커버(255)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리액터 커버(210)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리액터 커버(255)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리액터 커버(255)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리액터 커버(255) 상에 형성한다.
또한 흡기구 루버(258)는, 커버흡기구(256) 주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커버흡기구(256)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배기구 루버(259)는, 커버배기구(258) 주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커버배기구(258)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미리 설정된 방향, 예를 들면 제1송풍유닛(300)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르면, 리액터 어셈블리(250) 주변을 흐르는 외부 공기 중 일부의 흐름이 흡기구 루버(258)에 의해 커버흡기구(256) 측으로 유도되고, 커버흡기구(256)를 통해 리액터 커버(255)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리액터(251)와 접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공기와 리액터(251)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공기와 리액터(251) 간의 열교환에 의해, 리액터(251)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리액터(251)를 냉각시킨 공기는 커버배기구(258)를 통해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배기구 루버(259)에 의해 제1송풍유닛(300)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커버배기구(258)는, 커버흡기구(256)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커버배기구(258)가 형성된 영역에는, 복수개의 커버흡기구(256)가 형성된 영역보다 더 넓은 폭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측의 공기 출입 통로보다 배출측의 공기 출입 통로가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공기 출입 통로가 형성되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커버흡기구(256)를 통해 리액터 커버(255)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대적으로 더 넓은 폭의 커버배기구(258)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리액터 커버(255)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될 때보다 넓은 폭의 통로를 통해 리액터 커버(255)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되므로, 커버흡기구(256)에서 커버배기구(258) 측으로 갈수록 더 넓게 확산되며 리액터 커버(255) 내부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리액터 커버(255)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리액터 커버(255) 전체로 넓게 퍼지며 리액터(251)와 접촉할 수 있게 되므로, 리액터(251)의 냉각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측의 공기 출입 통로가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리액터(251)와 열교환한 공기가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외부로 좀 더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리액터(251)의 냉각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리액터 커버(255)에 의해, 리액터(251)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면서도, 리액터(251)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리액터(251)의 구조적 안정성과 동작 안정성이 함께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리액터의 배치 구조]
도 16은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커버(210)와 제2측면(d) 사이에는 제1송풍유닛(300) 및 제1열교환기(500)가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송풍유닛(300)은 외부공기가 제1흡입구(1140)를 통해 제1수용공간으로 유입된 후 배기구(1180)를 통해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1열교환기(500)는, 제1송풍유닛(300)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구성이다.
상부에서 봤을 때, 커버(210)와 제1열교환기(500)와 제1송풍유닛(300)은, 제1측면(c)-커버(210)-제1열교환기(500)-제1송풍유닛(300) 순으로 배치되는데, 이들의 배열방향은 제1측면(c)과 제2측면(d)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리액터(251)는, 이들 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이들이 이루는 배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커버(210)와 리액터(251)의 배열방향은, 제1송풍유닛(300)과 제1열교환기(500)와 커버(210)의 배열방향과 엇갈리게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리액터(251)는 커버(210)와 전면(a) 사이, 또는 커버(210)와 배면(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면(c)과 커버(210) 사이, 그리고 커버(210)와 제2측면(d) 사이에는, 부피가 큰 구성인 제1열교환기(500)와 제1송풍유닛(300)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액터(251)의 배치를 위한 여유 공간을 찾기가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리액터(251)는 커버(210)와 전면(a) 사이, 또는 커버(210)와 배면(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액터(251)는 커버(210)와 전면(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액터(251)가 커버(210)와 배면(b) 사이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리액터(251)가 제4측벽부(224)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커버(210)와 배면(b) 사이에는 스플래시팬(110)이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4측벽부(224)는 스플레시팬(110)을 회피하기 위해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4측벽부(224)가 비스듬하게 배치됨에 따라, 커버(210)와 배면(b) 사이의 공간 대부분이 커버(210) 및 스플래시팬(110)에 의해 점유되므로, 커버(210)와 배면(b) 사이에도 리액터(251)의 배치를 위한 여유 공간을 찾기가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리액터(251)는 커버(210)와 전면(a)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측면(c) 및 배면(b)에는 제1흡입구(114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측면(c)과 커버(210) 사이에는, 제1유로(e)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측면(c)과 커버(210)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측면(c)과 제2측벽부(222) 사이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이처럼 제1측면(c)과 제2측벽부(222) 사이에 제1유로(e)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e)는, 제1흡입구(1140)를 통해 제1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전면(a)과 제2측벽부(222) 사이의 공간, 즉 리액터 어셈블리(250)가 배치된 공간을 향해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액터 어셈블리(250)가 배치된 공간에는 제1유로(e)를 통과한 공기가 리액터 어셈블리(250)를 통과하여 제1열교환기(500) 및 제1송풍유닛(300)을 향해 이동하기 위한 통로인 제2유로(f)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수용공간에는, 제1흡입구(1140)-제1유로(e)-제2유로(f)-제1열교환기(500)- 제1송풍유닛(300) 순으로 연결되는 공기 이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흡입구(1140)를 통해 제1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상당 부분은, 제4측벽부(224)와 배면(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제1열교환기(500) 및 제1송풍유닛(300)을 향해 곧바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흡입구(1140)를 통해 제1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분은, 제1유로(e)와 제2유로(f)를 통해 커버(210) 주변을 우회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리액터 어셈블리(250) 및 그 주변을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액터 어셈블리(250) 측으로 이동한 공기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흡기구(256)를 통해 리액터 커버(25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커버흡기구(256)를 통한 공기의 유입은, 흡기구 루버(258)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커버흡기구(256)를 통해 리액터 커버(255)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리액터(251)와 접촉되어 리액터(251)를 냉각시킨 후, 커버배기구(258)를 통해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배기구 루버(259)에 의해 제1송풍유닛(300)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리액터 냉각 구조에 의해, 리액터(251)의 과열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이로써 리액터(251)의 동작 안정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리액터 냉각 구조는, 압축기(202) 주변에 커버(210)가 설치됨에 따라 설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압축기(202)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기(202)를 감싸는 커버(210)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 설치된 결과, 리액터(251)의 설치에 필요한 구조물이 커버(2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리액터(251)의 냉각을 위한 구조 설계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리액터(251)가 커버(210)에 설치됨으로써, 리액터(251)는 베이스플레이트(1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제2열교환기(8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고일 수 있는데, 리액터(251)가 이러한 응축수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됨으로써, 응축수가 리액터(251)에 작용하여 리액터(251)의 오작용을 야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송풍유닛(300)은 제1임펠러(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임펠러(310)는, 제1송풍모터(320)에 의해 회전하며, 제1흡입구(114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배기구(1180)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제1임펠러(310)는 수평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제1송풍모터(320)는 이러한 제1임펠러(310)의 회전중심 상에서 제1임펠러(310)와 연결되어 제1임펠러(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임펠러(310)는, 회전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그 최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게 배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의 높이를 0이라고 하고,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로부터 제1임펠러(310)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 즉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을 기준으로 한 제1임펠러(310)의 회전중심의 높이를 h라고 한다면, 리액터 어셈블리(250)는 0 내지 h 사이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높이방향 중심이 2h/3에 위치하도록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최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제1임펠러(310)의 최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액터 어셈블리(250)는, 제1임펠러(310)의 최하단으로부터 제1임펠러(310)의 회전중심 사이의 높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2h/3 정도의 높이와 4h/3 정도의 높이에서 제1송풍유닛(300)에 의해 유도되는 기류의 속도가 가장 빠르고,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도 많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리액터 어셈블리(250)가 2h/3 정도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리액터(251)의 냉각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다른 예로서, 리액터 어셈블리(250)가 4h/3 정도의 높이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리액터 어셈블리(250)를 지지하는 커버(210)의 무게 중심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커버(210) 및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리액터 어셈블리(250)와 구획플레이트(600) 간의 간섭 발생으로 인해 리액터 어셈블리(250)의 설치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리액터 어셈블리(250)가 2h/3 정도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와 종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리액터 온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표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와 종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리액터 온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 내지 도 18에서, A는 종래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즉 A는 리액터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구조가 적용된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대상으로 한 것이며, B는 커버에 리액터가 설치된 구조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A와 B 모두의 리액터에 두 개의 코일이 구비되어 있으며, 커버가 적용되었는지 여부와 커버에 리액터가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제외한 나머지 실험 조건은 동일하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결과, 종래 이동형 공기조화기(A)의 리액터에서 측정되는 온도 중, 리액터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약 107.4℃, 코일1(Coil 1)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약 117.3℃, 코일2(Coil 2)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약 115.7℃이었으며, 이를 기초로 산출한 리액터 전체의 평균 온도는 113.5℃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B)에서 측정되는 온도 중, 리액터(251)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약 78.5℃, 코일1(Coil 1)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약 93.1℃, 코일2(Coil 2)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약 92.7℃이었으며, 이를 기초로 산출한 리액터(251) 전체의 평균 온도는 88.1℃로 나타났다.
즉 종래 이동형 공기조화기(A)에서 측정되는 리액터의 온도보다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B)에서 측정되는 리액터(251)의 온도가 약 22.4 내지 26.9%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리액터(251)가 커버에 설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충분히 접촉되기에 적합한 높이에 리액터(251)가 배치되었을 때, 리액터(251)의 냉각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본 실시예의 커버(210)는, 압축기 주변을 감싸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한편, 리액터(251)의 설치에 필요한 구조물 역할을 함으로써, 리액터(251) 냉각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버(210) 및 이에 설치되는 리액터(251)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리액터(251)의 냉각이 효율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액터(251)의 과열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리액터(251) 및 그와 관련된 압축기(202) 등과 같은 구성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이동형 공기조화기
100 : 베이스플레이트
110 : 스플래시팬
200 : 압축유닛
202 : 압축기
203 : 어큐뮬레이터
204 : 압축기 프레임
210 : 커버
210a : 제1커버부재
210b : 제2커버부재
211a,211b : 결합돌기
212a : 제1절곡면
212b : 제2절곡면
220 : 측벽부
221: 제1측벽부
222 : 제2측벽부
223 : 제3측벽부
224 : 제4측벽부
225 : 개방부
230 : 상면부
230a : 통과홀
231 : 덮개면
233 : 덮개결합면
240 : 리액터장착부
241 : 하부끼움돌기
243 : 상부끼움돌기
250 : 리액터 어셈블리
251 : 리액터
253 : 브라켓
255 : 리액터 커버
256 :커버흡기구
257 : 흡기구 루버
258 : 커버배기구
259 : 배기구 루버
300 : 제1송풍유닛
400 : 냉매배관
500 : 제1열교환기
510 : 제1냉매파이프
520 : 제1방열플레이트
600 : 구획플레이트
700 : 제2송풍유닛
800 : 제2열교환기
900 : 컨트롤박스
950 : 서포터
951 : 지지바
952 : 제1결합부
953 : 제2결합부
954 : 제3결합부
955 : 제4결합부
1000 : 전방케이스
1020 : 조작유닛
1040 : 토출부
1100 : 후방케이스
1120 : 제2흡입구
1140 : 제1흡입구
1170 : 설치키트 수납부
1180 : 배기구
1200 : 설치키트
1300 : 배관부
a : 전면
b : 배면
d : 제1측면
d : 제2측면
e : 제1유로
f : 제2유로

Claims (19)

  1. 흡입구와 배기구 및 토출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 주변을 감싸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리액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토출부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를 측방향에서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전면과, 상기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배면과, 상기 전면과 배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전면과 배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2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과 상기 배면과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제2측면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가 배치되고,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커버의 배열방향과 상기 커버와 상기 리액터의 배열방향이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리액터는, 상기 커버와 전면 사이 또는 상기 커버와 배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과 상기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흡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전면과 상기 제1측벽부 사이의 공간을 향해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리액터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리액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액터 커버에는, 상기 리액터가 수용된 상기 리액터 커버의 내부와 상기 리액터 커버의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통로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통로부는,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리액터 커버의 일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커버흡기구; 및
    상기 송풍유닛 또는 상기 열교환부와 마주보는 상기 리액터 커버의 타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커버배기구;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측벽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는 상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배면 사이에는, 스플래시팬이 배치되고,
    상기 리액터는, 상기 전면과 상기 제1측벽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흡기구와 상기 커버배기구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배기구가 상기 커버흡기구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흡기구 주변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흡기구 루버와 상기 커버배기구 주변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배기구 루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하부의 제1 수용공간과 상부의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구획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과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의 하부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의 상부를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바와 결합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벽부의 측방향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1커버부재, 및 상기 측벽부의 측방향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의 측방향 일측과 상기 제2커버부재의 측방향 일측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커버부재의 측방향 타측과 상기 제2커버부재의 측방향 타측이 상기 지지바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측벽부가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에는,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된 냉매배관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은, 상면부의 측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0190061511A 2019-05-24 2019-05-24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23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11A KR102234438B1 (ko) 2019-05-24 2019-05-24 이동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11A KR102234438B1 (ko) 2019-05-24 2019-05-24 이동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83A KR20200135083A (ko) 2020-12-02
KR102234438B1 true KR102234438B1 (ko) 2021-03-30

Family

ID=7379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511A KR102234438B1 (ko) 2019-05-24 2019-05-24 이동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4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251A (ja) * 2005-02-24 2006-09-07 Sharp Corp 一体型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969A (ja) * 1995-11-13 1997-05-27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251A (ja) * 2005-02-24 2006-09-07 Sharp Corp 一体型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83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248B2 (en) Air conditioner
JP5523822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030036299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100614352B1 (ko)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및 실외 유닛의 전장품 상자
KR20160081093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7735332B2 (en) Air conditioner
KR20190106560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030089689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JP549669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4156800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2234438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396084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WO2012160749A1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3963147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190083888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32629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2124274A1 (ja) 空気調和機
KR102492753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JP4529962B2 (ja) 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と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を備えた冷却機器
KR20180066546A (ko) 공기조화기
JP2003242558A (ja) 自動販売機
JP697607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45403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190084589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474325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