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035B1 - 이동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이동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035B1
KR102454035B1 KR1020180002521A KR20180002521A KR102454035B1 KR 102454035 B1 KR102454035 B1 KR 102454035B1 KR 1020180002521 A KR1020180002521 A KR 1020180002521A KR 20180002521 A KR20180002521 A KR 20180002521A KR 102454035 B1 KR102454035 B1 KR 10245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supporter
partition plate
sidewall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590A (ko
Inventor
박종훈
김대혁
김무희
정대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0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2Devices for measuring, verifying, correcting or customis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e.g. measuring the maximum torque a batting shaft can withst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흡입구와 배기구 및 토출부가 구비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케이스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을 하부의 제1 수용공간과 상부의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열교환기와; 제2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획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열교환기;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구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공기조화기{MOVAB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증발기(일반적으로는 실내교환기), 팽창밸브, 응축기(일반적으로는 실외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이 단일 제품에 일체로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일반적인 공조장치에 비하여 설치가 간편하여 소비자가 스스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상가,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공간에서 창문과 인접한 장소에는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냉방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냉매의 역방향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냉방사이클과 난방사이클이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근래에는, 바닥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개발과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응축기와 증발기가 하나의 장치 내부에서 구획된 공간에 구분된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크기가 소형화되고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므로,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술을 습득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원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이동이 가능하여 원하는 장소의 공기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설치를 위하여 건물에 별도의 시공을 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응축기와 증발기가 하나의 장치에 설치되므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소형화 설계를 위해서는 응축기와 증발기 및 기타 여러 관련 부품들을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집약해서 배치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
그 일례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는 구획플레이트와 같은 구획 구조물이 설치되고, 이러한 구획 구조물은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간을 응축기 설치에 필요한 공간과 증발기 설치에 필요한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때 이동형 공기조화기가 슬림한 폭을 갖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구획된 상기 두 공간은 횡방향으로 배치되기보다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획된 두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응축기 및 관련 부품이 설치되고, 상부 공간에 증발기 및 관련 부품이 설치되어야 슬림한 폭을 갖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에는 응축기와 증발기 및 관련 부품이 상하로 적층되는 형태의 부품 배치 구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에는 응축기 및 관련 부품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구획플레이트와 같은 구획 구조물이 설치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구획 구조물에 증발기 및 관련 부품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품 배치 구조에서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부품들, 즉 증발기 및 관련 부품들의 지지 안정성이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으며, 이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할 경우 제품에 심각한 결함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 설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응축기와 증발기를 하나의 장치에 모두 포함하면서도 컴팩트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고, 동시에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배기구 및 토출부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하부의 제1 수용공간과 상부의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열교환기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열교환기;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마련된 하부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의 하부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마련된 상부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의 상부를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제1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상단에 간섭되어 상기 서포터의 하부측으로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는 제1 가로연장부, 및 상기 제1 가로연장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에 간섭되어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 일측을 향한 상기 서포터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는 세로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의 하측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에 간섭되어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 타측을 향한 상기 서포터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는 구속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로연장부와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제1 측벽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세로연장부와 상기 구속돌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에 상기 구속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돌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돌기홈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에 끼워지고, 상기 돌기홈에 삽입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맞대어진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에 삽입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제1 측벽의 체결홀과 상기 세로연장부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저면에 간섭되어 상기 서포터의 상부측으로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는 제2 가로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는,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로연장부는, 측면이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 타측을 향한 상기 서포터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는,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2 가로연장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상기 스토퍼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로연장부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끼워져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에 따른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맞대어진 상기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로연장부를 관통하며 상기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로연장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로연장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끼워진 상기 제2 가로연장부는,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체결홀과 상기 제2 가로연장부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는,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에는,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 측벽을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하부로 삽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하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가로연장부의 체결홀과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는 위치로 삽입되도록 삽입 위치가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맞대어진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에 삽입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제1 측벽의 체결홀과 상기 세로연장부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압축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열교환기와 인접되게 배치되는 제1 송풍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와 상기 제1 송풍유닛은, 각각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의 하부, 및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 양측이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보강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지고, 상기 지지바의 하부가 상기 제1 측벽과 지지리브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한 쌍의 보강지지부가 상기 지지리브의 측방향 외측을 감싸며 상기 지지리브의 측방향 외측에 끼워져 상기 하부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맞대어진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지지바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지지바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측방향 외측에 끼워진 상기 한 쌍의 보강지지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체결홀과 상기 지지바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배기구 및 토출부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하부의 제1 수용공간과 상부의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단면이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열교환기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열교환기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단면이 상기 제1 교환기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송풍유닛과;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1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유닛; 및 상기 압축유닛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상기 제1 송풍유닛과 다른 위치에서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플레이트에 작용하는 하중이 구획플레이트와 서포터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분산 지지되도록 하여 구획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지지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축기와 증발기를 하나의 장치에 모두 포함하면서도 컴팩트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고, 이와 함께 구조적 안정성 또한 높은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포터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에 끼우고 서포터의 상부를 구획플레이트의 하부에 끼우는 손쉬운 작업만으로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위치로 서포터의 설치 위치 정렬이 저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포터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유닛이 케이스 측으로 쓰러져 압축유닛가 파손되거나 케이스가 찌그러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전방 외관을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후방 외관을 보인 후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설치키트와 배관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 베이스플레이트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 구획플레이트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유닛과 제2 송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출루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토출루버가 도 9의 제2 송풍부에 장착되어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제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서포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하부결합부와 제1 결합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3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상부결합부와 제2 결합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제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F” 부분을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G-G”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제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제1 수용공간 영역에 배치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전방 외관을 도시한 전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후방 외관을 보인 후방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설치키트와 배관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케이스(1000,1100)와, 베이스플레이트(100) 및 제1,2 열교환기(500,8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0,11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케이스(1000,1100)의 내부에는 제1,2 열교환기(500,800) 등을 포함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0,1100)는, 전후방 및 측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제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도록 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1100)로 분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00,1100)가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로 분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케이스(1000)가 배치된 측이 전방, 후방케이스(1100)가 배치된 측이 후방으로 정의된다.
케이스(1000,110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0)가 마련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이동식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케이스(1000,1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000,110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지지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냉매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주변의 공기와 두 차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매와 주변의 공기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제1,2 열교환기(500,800)가 구비된다. 이때 제1 열교환기(500)와 제2 열교환기(800)가 모두 하나의 공간에 인접되게 설치된다면, 제1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2 열교환기(8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반대로 제2 열교환기(8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1 열교환기(8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제1,2 열교환기(500,800)의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제1,2 열교환기(500,800)의 열교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제1 열교환기(500)와 제2 열교환기(800)가 서로 충분히 멀리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1 열교환기(500)와 제2 열교환기(800)가 멀리 이격되게 배치되기 위해서는 케이스(1000,1100) 내부 공간의 크기가 커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크기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게 된다. 공기조화기(10)의 크기가 대형화된다면,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면서도 이동이 가능한 공기조화기(10)의 설계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을 구획하여 복수개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수용공간에 제1,2 열교환기(500,800)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냉방 또는 난방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열교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1000,1100) 및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규정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은, 케이스(1000,1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플레이트(600)에 의해 상측의 제2 수용공간 및 하측의 제1 수용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에는 제2 열교환기(800)와 이에 인접하는 제2 송풍유닛(700)이 설치되고, 제2 열교환기(800)와 제2 송풍유닛(700)은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공간에는 제1 열교환기(500)와 이에 인접하는 제1 송풍유닛(300)이 설치되고, 제1 열교환기(500)와 제1 송풍유닛(3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된 제1 열교환기(500)와 제1 송풍유닛(300)의 상단면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을 지지하고, 이로써 구획플레이트(600) 및 이에 장착되는 제2 열교환기(800)와 제2 송풍유닛(700)과 같은 부품들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케이스(1000,1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구와,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구(1180) 및 토출부(104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는, 제2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 흡입구(1110) 및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 흡입구(1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하부로 구획된 수용공간에서, 각각 냉매의 응축과 증발이 구분되어 일어나며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가령, 제1 열교환기(500)는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2 열교환기(500,800)는 압축기(202)와 냉매배관(400)으로 연결되며, 이들을 통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등의 구성부품이 단일 제품에 일체로 구성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이동 설치가 용이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전방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11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케이스(10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후방부의 골격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에는, 열교환 된 공기를 실외(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관부(1300)가 연결 및 설치될 수 있다. 배관부(1300)는, 상하로 구획된 제2 수용공간 또는 제1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부(1300)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수용공간, 즉 제1 열교환기(500)가 설치된 제1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을 위해 작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압축기(202)를 통과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와 응축기에서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배관부(1300)를 따라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관부(1300)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수용공간, 즉 제1 열교환기(500)가 설치된 제1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1 열교환기(500)가 응축기로 작동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기로 구동되는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배관부(1300)는, 수용공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배관파이프(1310), 배관노즐(1320) 배관커넥터(1330) 및 배관그릴(1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관파이프(1310)는 원통 형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배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배관노즐(1320)은 배기파이프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관부(1300)의 단부이다.
배관파이프(13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관커넥터(1330)는 후방케이스(1100)와 배관파이프(1310) 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배관커넥터(1330)는 배관파이프(1310)의 일단이 후방케이스(1100)에 장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후방케이스(1100) 하부에는, 제1 수용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구(1180)가 마련될 수 있는데, 배관파이프(1310)의 일단이 배관커넥터(1330)에 의해서 배기구(1180)와 연결될 수 있다.
배관부(1300)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다. 이러한 배관부(1300)는, 그 일단이 후방케이스(1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외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배관부(1300)의 타단은, 열린 창을 통해 실외로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창은, 실내와 실외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개폐가 용이하게 구성될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르면, 배관부(1300)의 타단의 직경만큼 창을 열고, 창이 열린 틈으로 배관부(1300)의 타단이 실외로 노출되도록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거치하는 형태로 창틀에 배관부(13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벽을 타공하지 않고도 배관부(1300)의 타단을 실외로 노출시킬 수 있다.
다만,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거치할 때,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고정시키고, 창 틈을 밀폐시킬 수단이 요구된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에는 설치키트(1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설치키트(1200)는, 배관부(1300)의 직경에 대응하여 창이 열린 틈을 막아주면서 배관부(1300)의 타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배관부(1300)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 제공된다.
이러한 설치키트(1200)는, 배관부(1300)의 타단이 창틀에 거치되었을 때 창이 열린 틈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관부(1300)의 타단이 거치된 창의 열린 틈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키트(1200)에는 배관부(1300)의 타단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을 통해 배관부(1300)의 타단이 설치키트(1200)에 삽입되어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배관부(1300)의 타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배관부(1300)의 타단이 설치키트(1200) 상에 고정되고, 이를 통해 배관부(1300)의 타단이 창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설치키트(120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설치키트(120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슬라이딩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설치키트(1200)는, 창틀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쉽고 빠르며 안정적으로 창틀에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창틀에서 분리된 후에는 짧은 길이로 접혀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형태로 변화될 수도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구성하는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부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와는 별도로 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보관 또는 이동시 후방케이스(11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의 보관 및 이동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가령, 후방케이스(1100)에 형성된 설치키트 수납부(1170)에 설치키트(1200)가 삽입되어 설치키트(1200)가 후방케이스(11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0)와 설치키트(1200)가 일체로 거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방케이스(1000)는, 그 중앙부가 측방향 양측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케이스(1000)는 상부에서 내려다 볼 때,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을 라운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케이스(1000,1100)의 상부에는, 토출부(104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040)에는 토출부(1040)의 내부를 관통하는 토출구(1044)가 형성되며, 토출구(1044)는, 토출부(1040)가 케이스(1000,1100)에 장착되었을 때, 케이스(1000,110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토출구(1044)는, 후술할 제2 송풍구(725)가 연통되는 곳으로, 실내로의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좌우로 길게 형성된 사각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토출부(1040)는 별도의 토출프레임(1041)에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프레임(1041)이 케이스(1000,1100) 상부에 장착됨에 의해, 케이스(1000,1100) 상부에 토출부(1040)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토출부(1040)가 별도의 토출프레임(1041)에 구성되지 않고, 케이스(1000,1100) 상에 토출부(1040)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형태로 케이스(1000,1100)의 상부에 토출부(104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토출부(104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내부에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실내에서 건물의 천장이나 벽에 매달려 실내의 높은 곳에 설치되기보다는 주로 건물의 바닥에 놓여 실내의 낮은 곳에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면, 토출부(10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실내 전체에 효과적으로 퍼질 수 있도록, 토출부(104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부(1040)는 케이스(1000,1100)의 상단에 마련되어 공기조화된 공기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전방측으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토출구(1044)에는, 후술할 토출루버(7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의 상부에는, 조작유닛(1020)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유닛(1020)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유닛(1020)은, 사용자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작유닛(1020)에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작유닛(1020)은 외관상 노출되는 조작판넬과 조작판넬 하부에 설치되는 PCB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유닛(1020)은, 케이스(1000,11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조작유닛(1020)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서 케이스(1000,1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토출부(1040)와 조작유닛(1020)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상부에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면, 토출부(1040)와 조작유닛(1020)은 케이스(1000,11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는 하나의 프레임에 구성될 수도 있다.
후방케이스(1100)는, 전방케이스(1000)와 결합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와 전방케이스(1000)가 결합되는 점을 고려하여, 후방케이스(1100)의 선단은 전방케이스(10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전방케이스(1000)의 좌우 측면의 후단이 라운드진 곡률로 이루어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후방케이스(1100)의 좌우 측면 선단부는 전방케이스(1000)의 좌우 측면 후단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진 곡률로 이루어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의 후면 상부에는, 제2 수용공간의 내외부를 관통시키는 제2 흡입구(11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1110)는, 실내의 공기가 제2 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제2 흡입구(1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2 흡입구(1110)의 충분한 면적확보를 위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케이스(1100)의 제2 흡입구(1110) 형성 부분에는, 후방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제2 흡입구(1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흡입필터(1124)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제2 흡입필터 프레임(11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흡입구(1110)는, 제2 흡입그릴(11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실내 공기는 제2 흡입그릴(1120)을 통과하여 제2 흡입구(1110)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흡입그릴(1120)에는 실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그릴(1120)은, 실내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제2 흡입구(111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흡입구(1110)에는, 제2 흡입필터(1124)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흡입필터(1124)는, 제2 흡입그릴(1120)을 통과하여 제2 흡입구(1110)를 통해 제 2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제2 흡입구(111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케이스(1100)의 후면 하부에는 제1 흡입구(1130)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 흡입구(1130)는, 실내 공기가 제1 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후방케이스(1100)의 제1 흡입구(1130) 형성 부분에는, 후방케이스(1100)의 내부에서 제1 흡입구(11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1 흡입필터(1144)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흡입필터 프레임(11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130)는, 제1 흡입그릴(11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제1 흡입그릴(1140)은, 제1 수용공간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흡입구(1130)에는, 제1 흡입필터(114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흡입필터(1144)는 제1 흡입그릴(1140)을 통과하여 제1 흡입구(1130)를 통해 제1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제1 흡입구(113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 베이스플레이트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 구획플레이트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 하부 외관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의 하단과 결합되며, 제1 열교환기(500)와 압축유닛(200), 제1 송풍유닛(300) 등과 같이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150)가 설치된다. 이동바퀴(15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사각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00)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이동바퀴(1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각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바닥에 배치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 열교환기(5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냉매파이프(510) 및 제1 방열플레이트(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는, 좌우 폭이 좁고 전후방향 길이가 긴 세장형(細長型)의 박스 형태로 구비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열교환기(5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후방케이스(1100)의 측방향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된 제1 흡입구(113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제1 열교환기(500)를 측방향으로 통과한 뒤에 다시 후방케이스(1100)의 측방향 타측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열교환기(5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형태는, 공기의 유동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입구(1130)가 전방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1 열교환기(500) 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열교환기(5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형태는, 공기의 유동 이외에도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효율적인 배치도 함께 고려된 형태이어야한다.
제1 열교환기(500)는, 제1 냉매파이프(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제1 방열플레이트(5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제1 냉매파이프(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냉각(또는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흡입그릴(1140)을 통해 제1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제1 열교환기(5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배관부(130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측방향 일측에는, 압축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다. 압축유닛(200)은, 압축기(202)와 이를 지지하는 압축기 프레임(2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기 프레임(204)은, 압축기(202)에 대한 지지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압축유닛(200)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형상인 삼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202)의 옆에는, 어큐뮬레이터(203)가 설치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203)는 액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압축기(202)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응축수감지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응축수감지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이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응축수감지장치에서 일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감지되면 알림음을 발생시키거나 외부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서포터(950)가 설치될 수 있다. 서포터(95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구획플레이트(600)에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및 압축유닛(200)에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포터(95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열교환기(500)의 일측에는, 제1 송풍오리피스(323)가 제1 열교환기(500)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제1 송풍오리피스(323)는, 후술할 제2 송풍오리피스(722) 및 제2 송풍가이드(72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공기를 측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송풍오리피스(323)의 측방향 타측에는, 제1 송풍가이드(322)가 설치된다. 제1 송풍가이드(322)는, 제1 송풍오리피스(323)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송풍오리피스(323)와 제1 송풍가이드(322)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제1 임펠러(340)가 위치된다. 제1 임펠러(340)는, 제1 송풍모터(330)에 의해 회전하며, 제1 송풍오리피스(323) 및 제1 송풍가이드(322)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제1 송풍구(324)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제1 송풍구(324)는, 후방케이스(1100)에 형성된 배기구(1180)와 연결된다. 제1 임펠러(340)의 회전에 의해 제1 송풍유닛(3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송풍구(324)와 연결된 배기구(118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송풍구(324)에는, 제1 송풍그릴(310)이 삽입 및 장착될 수 있다. 제1 송풍그릴(310)은, 외부의 이물질이 제1 송풍구(324)를 통해 제1 송풍유닛(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공간의 세로방향 중앙부에는, 구획플레이트(600)가 설치된다. 구획플레이트(600)는, 수용공간 전체를 가로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형 공기조화기(10) 형상을 고려하여, 구획플레이트(600)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획플레이트(600)는, 후술할 제2 열교환기(8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용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부품을 지지하며,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구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서는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실외 측과 실내 측으로 구획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플레이트(600)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를 실외 측과 실내 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즉 구획플레이트(600)에 의해 구획되는 두 수용공간 중, 구획플레이트(600)를 중심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공간에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실외기에 해당하는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수용공간에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에 해당하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의 구조로, 제1 수용공간에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되고, 제2 수용공간에는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 수용공간에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되고, 제2 수용공간에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되는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제2 열교환기(8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800)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냉매파이프(810) 및 제2 방열플레이트(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열교환기(800)는, 전후 폭이 좁고 측방향 길이가 긴 세장형(細長型)의 박스 형태로 구비되며,,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2 열교환기(800)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를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후방에 배치된 제2 흡입구(11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제2 열교환기(800)를 전후방향으로 통과한 뒤에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800)에서는 제2 냉매파이프(8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제2 방열플레이트(8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냉매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기체로 상변화하게 되고, 공기는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겨 그 온도가 하강한다.
후방케이스(1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흡입구(1110)를 통해 제2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면서 제2 열교환기(8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구(1044)를 통해 외부(실내)로 배출된다.
제2 열교환기(800)의 전방에는 제2 송풍오리피스(722)가 제2 열교환기(800)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제2 송풍오리피스(722)는,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한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2 송풍오리피스(722)의 전방에는, 제2 송풍가이드(720)가 설치된다. 제2 송풍가이드(720)는 제2 송풍오리피스(722)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송풍오리피스(722)와 제2 송풍가이드(720)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제2 임펠러(740)가 위치된다. 제2 임펠러(740)는 제2 송풍모터(730)에 의해 회전하며, 제2 송풍오리피스(722) 및 제2 송풍가이드(72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제2 송풍구(725)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제2 송풍구(725)는, 토출구(1044)와 연통된다. 제2 임펠러(740)의 회전에 의해 제2 송풍유닛(7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송풍구(725)와 연통된 토출구(1044)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구획플레이트(600)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900)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9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곳이다.
컨트롤박스(900)는, 구획플레이트(600)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박스(900)의 상부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구획플레이트(60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그 외관 상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하부 영역에 비해 상부 영역이 홀쭉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후방케이스(1100)는, 그 후면이 단차지게 형성된 형태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후방케이스(1100)는 그 상부 영역의 전후방향 길이와 하부 영역의 전후방향 길이가 서로 상이한 형태로 제공된다. 즉 후방케이스(1100) 하부 영역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부 영역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더 길다.
이는 수용공간이 상하로 구분된 제2 수용공간과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부품의 배열과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즉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제1 수용공간에는 제1 열교환기(500)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 영역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후방케이스(1100)의 상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제2 수용공간에는 제2 열교환기(800)가 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후방케이스(1100)의 상부 영역이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부 영역보다 하부 영역의 크기가 크고 하부에 무게 중심이 집중되는 것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에 유리하다.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영역과 상부 영역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이함으로 인해, 후방케이스(1100)의 중앙 부분에는 단차면이 형성될 수 있지만, 단차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 영역과 상부 영역 사이가 곡면으로 연결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을좀 더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케이스(1100) 후면 중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하부 영역에는, 배기구(1180)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1180)는, 제1 송풍구(324)와 연결되어 제1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배관파이프(1310)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배기구(1180)는 배관파이프(1310)의 일단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흡입그릴(1140)은 후방케이스(1100)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 흡입그릴(1140)은,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 영역 중 측방향 일측 부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제1 흡입그릴(1140)이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 영역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기(5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된 경우, 측방향 일측에서 유입된 공기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는 흐름이 유도될 수 있도록, 후방케이스(1100) 하부 영역의 측방향 일측에는 제1 흡입그릴(1140)이 형성되고, 측방향 타측에는 배기구(118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 흡입그릴(1140)을 후방케이스(1100)의 측방향 일측 부분에만 형성하는 이유는, 제1 흡입그릴(114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제1 흡입그릴(1140)을 통해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제1 열교환기(500)의 측방향으로 통과한 이후에 다시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서, 후방케이스(1100)의 선단에는 전방케이스(1000)와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돌기에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형태로 전후방케이스(1000,110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방케이스(1000)에 상기 체결돌기와 암수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암수 결합되는 형태로 전후방케이스(1000,110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방케이스(100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고, 측면과 상면의 외관을 일부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방케이스(1000)의 후면에는 보강패널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보강패널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방음 및 흡음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패널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분(응축수 등)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 설치된 보강패널에 의해 방음 및 흡음은 물론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응축수 제거 효과도 함께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면패널은, 전방케이스(1000)에 이중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전면패널은, 전방케이스(1000)에 가조립수단과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이중적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구획플레이트(600)는 수용공간의 횡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진다. 이러한 구획플레이트(600)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2 바닥구획리브(602)가 형성된다. 제2 바닥구획리브(602)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의 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통로의 형성에 필요한 공간을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2 바닥구획리브(602)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제2 바닥구획리브(602)는, 구획플레이트(600)와 일체로 형성되며,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닥구획리브(602)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열교환기(800)와 같은 복수개의 부품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품들과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제2 열교환기(800)에서 생성되어 낙하한 응축수가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공간을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형성하게 된다.
구획플레이트(600)에는, 복수개의 바닥응축수홀(60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바닥응축수홀(604)은, 제2 열교환기(800)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가 구획플레이트(600)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햐방향의 통로를 구획플레이트(600) 상에 형성한다.
구획플레이트(600)에는, 응축수낙하가이드(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응축수낙하가이드는 바닥응축수홀(604)을 통해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원활하게 바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으로 이동된 응축수가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을 타고 다른 부위로 흘러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바로 낙하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각각의 바닥응축수홀(60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응축수낙하가이드는, 바닥응축수홀(604)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바닥응축수홀(604)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구획플레이트(600)에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다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구획플레이트(600)의 우측 부분에는 컨트롤박스설치구(620)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설치구(620)는 컨트롤박스(900)의 단면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박스(900)는 이러한 컨트롤박스설치구(620)를 상하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박스설치구(620)는, 컨트롤박스(900)가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컨트롤박스(90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한편, 컨트롤박스(900)가 구획플레이트(600)를 관통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구획플레이트(600)의 후방 우측 모서리 부분에는, 냉매배관(400)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관통과홈(62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열교환기(500)와 압축기(202) 및 제2 열교환기(80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는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는 냉매배관(400)에 의해 유동된다. 즉 냉매배관(400)은 제1 열교환기(500)와 제2 열교환기(8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구획플레이트(600)를 통과하여야 하며, 배관통과홈(624)은 냉매배관(400)이 구획플레이트(600)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구획플레이트(600) 상에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구획플레이트(600)의 테두리 부분에는 케이스(1000,110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이나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수용공간의 바닥부 횡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1 바닥구획리브(102)가 형성된다.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의 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통로의 형성에 필요한한 공간을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1 바닥구획리브(102)가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면으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단에 형성된 응축수배출구(130) 측으로 유동되도록 응축수의 유동을 유도한다.
상기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열교환기(500)나 압축유닛(200)과 같은 복수개의 부품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품들과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제1 열교환기(500)에서 생성되어 낙하한 응축수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유동 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공간을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형성하게 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스플래시 팬(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플래시 팬(100)은, 상면에 형성된 제1 바닥구획리브(102)를 따라 형성된 응축수의 유로의 일측에 마련되며, 스플래시 날개(112)와 스플래시 모터(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플래시 팬(100)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원판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스플래시 날개(112)가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다. 스플래시 팬(110)의 중앙부, 즉 회전 중심은 회전축을 통해 스플래시 모터(114)와 연결되며, 스플래시 팬(100)은 이와 같이 연결된 스플래시 모터(114)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 구동되는 스플래시 팬(100)은, 제1 바닥구획리브(102)를 따라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응축수를 제1 열교환기(500) 측으로 분무하는 작용을 한다. 즉 스플래시 팬(100)이 회전 구동되면, 스플래시 팬(100)의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스플래시 날개(112)들이 제1 바닥구획리브(102)를 따라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응축수를 퍼올려 제1 열교환기(500) 측으로 뿌리게 되고, 이로써 스플래시 팬(100)에 의한 제1 열교환기(500) 측으로의 응측수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플래시 팬(100)에 의해 제1 열교환기(500) 측으로 분무되는 응측수는. 제1 열교환기(5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추는 작용을 함으로써, 제1 열교환기(5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 효율이 좀 더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유닛과 제2 송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출루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토출루버가 도 9의 제2 송풍부에 장착되어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송풍유닛(700)에는 제2 송풍오리피스(722) 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 송풍부(7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송풍부(724)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부로부터 제2 흡입구(1110)를 통하여 제2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내부에서 공기조화가 이루어진 후에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제2 송풍부(724)에는, 제2 송풍구(725)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송풍구(725)는, 제2 송풍유닛(70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제2 송풍부(724)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 송풍부(724)에는, 제2 송풍그릴(7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송풍그릴(710)은, 제2 송풍구(725)가 형성된 제2 송풍부(724)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 이물질이 제2 송풍구(725)를 통해 제2 송풍유닛(7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송풍부(724)는 제2 송풍유닛(7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곳다. 따라서 제2 송풍그릴(710)은, 제2 송풍구(725)로 먼지와 같은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보다는 제2 송풍구(725)를 통해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2 임펠러(74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송풍그릴(710)은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제2 송풍그릴(710)은 6각형 형상의 홀을 포함하는 허니콤(honeycomb)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홀의 크기는, 제2 임펠러(740)를 손상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이물질의 통과를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제2 송풍구(725)를 통한 공기의 배출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제2 송풍부(724)에는 토출루버(750)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루버(750)는,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토출덮개(751)와 토출리브(752) 및 루버회전축(7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덮개(751)는, 제2 송풍구(725)를 차폐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이러한 토출덮개(751)는, 이동형 공기조화기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 제2 송풍구(725)를 차폐함으로써,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제2 송풍구(725)를 통해 제2 송풍장치(7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토출덮개(751)는, 이동형 공기조화기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 제2 송풍구(725)를 차폐하여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외관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토출리브(752)는, 수직토출리브(753), 및 토출덮개(751)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토출리브(754)를 포함한다. 수직토출리브(753)는 토출덮개(751)와 교차하는 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수평토출리브(754)는, 수직토출리브(753)를 사이에 두고, 토출덮개(751)와 나란한 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이로써 토출덮개(751)와 토출리브(752)에 의해 둘러싸인 토출루버(750)의 내부에는, 토출리브(752)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리브유로(756)가 형성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공기조화되어 제2 송풍부(72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토출루버(75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리브유로(756)를 통해 제2 송풍유닛(700)의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토출루버(750)를 통해 공기는, 토출루버(750)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유동방향이 전환되며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구동될 때 제2 송풍구(725)가 개방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구동되지 않을 때 제2 송풍구(725)가 차폐될 수 있도록, 토출루버(75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송풍구(725)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토출루버(750)의 양측에는, 루버회전축(758)이 측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루버회전축(758)은, 제2 송풍부(724)에 형성된 루버설치홈(760)에 삽입된 상태로 제2 송풍부(7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루버설치홈(760)은, 제2 송풍부(724)의 내벽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한 쌍의 루버회전축(758)에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루버설치홈(7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루버설치홈(760) 측에는, 토출루버(75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루버모터(770)가 설치될 수 있다.
루버모터(770)가 제공하는 회전동력에 의해 토출루버(750)가 회전하며 제2 송풍구(725)를 개폐하는데, 토출루버(750)가 회전하는 동안 제2 송풍그릴(710)과 토출루버(750)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2 송풍그릴(710)과 토출루버(75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제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서포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6은 도 1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도 16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하부결합부와 제1 결합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도 13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상부결합부와 제2 결합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서포터(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95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구획플레이트(600)에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및 압축유닛(200)에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서포터(950)는 지지바(951)와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바(951)는, 서포터(950)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께를 갖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바(951)는 상하방향으로 길쭉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 결합부는, 지지바(951)의 하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 결합부는, 지지바(9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마련된 하부결합부와 결합되어 지지바(951)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100)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결합부는 제1 측벽(140)과 체결홀(141) 및 돌기홈(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 측벽(14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체결홀(141) 및 돌기홈(142)은 제1 측벽(140)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결합부는 제1 가로연장부(952)와 세로연장부(953) 및 구속돌기(9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로연장부(952)는 지지바(951)의 하측 단부로부터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세로연장부(953)는, 제1 가로연장부(95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구속돌기(955)는, 지지바(951)의 하측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세로연장부(953)와 구속돌기(955)는,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제1 측벽(140)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바(951)와 제1 결합부가 하나의 금속 판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금속 판재의 대부분의 영역이 지지바(951)로 형성되고, 지지바(951)의 하부 영역이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가로연장부(9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로연장부(953)의 형성은,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된 영역 중 단부 측에 가까운 일부분이 지지바(951)의 길이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절곡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951)의 하부 영역이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가로연장부(952)의 형성이 이루어질 때, 지지바(951)의 하부 영역 중 일부분을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을 제외하고 지지바(951)의 하부 영역을 절곡하면, 절곡되지 않고 남은 절개 부분이 구속돌기(955)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지지바(951)를 중심으로 금속 판재의 폭방향 양측이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보강지지부(956)를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보강지지부(956)는 서포터(950)에 작용하는 상하방향 하중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서포터(950)의 지지 강성을 높이는 구조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서포터(950)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절곡 및 절개하는 쉽고 단순한 작업만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지지 강성을 높이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지지에 필요한 충분한 지지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결합부의 구성 중 제1 가로연장부(952)는, 서포터(9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될 때, 제1 측벽(140)의 상단에 간섭되어 서포터(950)의 하부측으로의 위치 변화가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세로연장부(953)는, 서포터(9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될 때,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서포터(95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면을 제공하는 한편, 제1 측벽(140)의 내측면에 간섭되어 지지바(951)의 두께방향 일측을 향한 방향(이하 "외측방향"이라 한다)으로의 서포터(950)의 위치 변화가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구속돌기(955)는, 서포터(9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될 때, 제1 측벽(140)의 외측면에 간섭되어 지지바(951)의 두께방향 타측을 향한 방향(이하 "내측방향"이라 한다)으로의 서포터(950)의 위치 변화가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서포터(950)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끼우면, 세로연장부(953)와 구속돌기(95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제1 측벽(140)이 삽입되면서 서포터(950)와 제1 측벽(14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세로연장부(953)와 구속돌기(955) 사이에는 제1 측벽(14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만큼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서포터(950)의 하부를 제1 측벽(140)에 끼우기만 하면, 서포터(950)의 설치 위치 중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에 따른 위치가 자연스럽게 안내된다. 즉 서포터(9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될 때, 제1 측벽(140)의 내측면과 세로연장면(953) 간에 발생되는 간섭 및 제1 측벽(140)의 외측면과 구속돌기(955) 간에 발생되는 간섭에 의해 서포터(95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 결합은 제1 측벽(140)의 상단과 제1 가로연장부(952) 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지점까지 이루어지며, 이로써 서포터(9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상하방향 위치도 함께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결합부는, 돌기홈(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홈(142)은 제1 측벽(140)의 외측면에 구속돌기(95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서포터(9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될 때, 구속돌기(955)는 돌기홈(14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돌기홈(142)에 삽입되어 제1 측벽(140)의 외측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렇게 돌기홈(142)에 삽입된 구속돌기(955)는, 서포터(9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될 때, 지지바(951)의 폭방향에 따른 서포터(950)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진 제1 측벽(140)과 세로연장부(953)를 관통하며 제1 측벽(140)과 세로연장부(953)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벽(140)과 세로연장부(953)에는, 상기 체결부재(s)가 관통하는 체결홀(141,954)이 각각 형성된다. 즉 체결부재(s)는, 제1 측벽(140)과 세로연장부(953)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체결홀(141,954)을 통해 제1 측벽(140)과 세로연장부(953)를 관통하며 제1 측벽(140)과 세로연장부(953)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부재(s)를 이용한 제1 측벽(140)과 세로연장부(953)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제1 측벽(140)과 세로연장부(953)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141,954)이 서로 정확히 겹쳐지도록 서포터(950)의 설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홈(142)과 구속돌기(955)는 구속돌기(955)가 돌기홈(954)에 정확히 맞물리게 삽입되었을 때 제1 측벽(140)의 체결홀(141)과 세로연장부(953)의 체결홀(954)의 지지바(951)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서포터(950)는, 제1 측벽(140)의 상단과 제1 가로연장부(952) 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지점까지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서포터(95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면, 제1 측벽(140)의 체결홀(141)과 세로연장부(953)의 체결홀(954)의 상하방향 위치가 일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즉 구속돌기(955)가 돌기홈(954)에 정확히 맞물리게 삽입되면서 서포터(950)가 더 이상 하강될 수 없는 지점까지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서포터(95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기만 하면, 제1 측벽(140)의 체결홀(141)과 세로연장부(953)의 체결홀(954)이 서로 정확히 겹쳐지는 위치로 서포터(950)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포터(950)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끼우는 작업만으로 체결부재(s)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위치로 서포터(950)의 설치 위치 정렬이 저절로 이루어지므로, 서포터(950)의 설치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2 결합부는 지지바(951)의 상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2 결합부는, 지지바(9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플레이트(600)에 마련된 상부결합부와 결합되어 지지바(951)의 상부를 구획플레이트(600)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결합부는 제2 측벽(630)과 스토퍼(632) 및 지지돌기(6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 측벽(630)은, 구획플레이트(600)의 테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으로서, 구획플레이트(60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스토퍼(632) 및 지지돌기(634)는, 제2 측벽(630)으로 둘러싸인 구획플레이트(600)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되,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결합부는 제2 가로연장부(9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로연장부(957)는, 지지바(951)의 상측 단부로부터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가로연장부(957)는, 제1 결합부를 이루는 구성들과 마찬가지로, 지지바(951) 및 제1 결합부와 함께 하나의 금속 판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금속 판재의 대부분의 영역이 지지바(951)로 형성되고, 지지바(951)의 하부 영역이 제2 결합부로 형성되는 한편, 지지바(951)의 상부 영역이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 가로연장부(957)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로연장부(957)는, 서포터(950)가 구획플레이트(600)에 설치될 때, 구획플레이트(600)에 서포터(95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면을 제공하는 한편,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에 간섭되어 서포터(950)의 상부측으로의 위치 변화가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부결합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632) 및 지지돌기(63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스토퍼(632) 및 지지돌기(634)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중 지지돌기(634)는 구획플레이트(600)의 테두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스토퍼(632)는 지지돌기(634)에 비해 구획플레이트(600)의 테두리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치된 스토퍼(632)와 지지돌기(634) 간의 간격은,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에 따른 서포터(950) 상단의 길이, 즉 대략 제2 가로연장부(957)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측벽(630)에는, 제2 결합부가 제2 측벽(630)을 지지바(951)의 두께방향 일측을 향한 방향, 즉 내측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구획플레이트(600)의 하부로 삽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절개부(631)가 형성된다.
제2 가로연장부(957)가 형성된 서포터(950)의 상부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개부(631)를 통과하여 구획플레이트(600)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서포터(950) 상부의 내측방향으로의 위치 변화는, 제2 가로연장부(957)의 측면과 스토퍼(632) 간의 간섭에 의해 제한된다. 즉 서포터(950) 상부가 구획플레이트(600)의 하부로 삽입되다가 가로연장부(957)의 측면이 스토퍼(632)와 접촉되어 가로연장부(957)와 스토퍼(632) 간의 간섭이 발생되면, 서포터(950) 상부의 더 이상의 삽입이 제한되는 형태로 구획플레이트(600)에 대한 서포터(950)의 위치 안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서포터(950)가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가로연장부(957)는 절개부(631)에 인접된 위치에 돌출된 지지돌기(964)의 하부를 지나게 되며, 가로연장부(957)와 스토퍼(632) 간의 간섭이 발생될 정도로 서포터(950)의 삽입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가로연장부(957)가 지지돌기(964)를 완전히 통과하여 스토퍼(632)와 지지돌기(634)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로연장부(957)가 스토퍼(632)와 지지돌기(634) 사이에 끼워지면, 서포터(950)의 상부는 외측방향과 내측방향 모두로의 위치 변화가 제한된 상태, 즉 스토퍼(632)와 지지돌기(634) 사이에 끼워진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즉 서포터(950)의 상부를 절개부(631)를 통해 내측방향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가로연장부(957)가 스토퍼(632)와 지지돌기(634) 사이에 끼워지면서, 구획플레이트(600)에 대한 서포터(950)의 위치 안내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서포터(950)가 안내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진 구획플레이트(600)와 제2 가로연장부(957)를 관통하며 구획플레이트(600)와 제2 가로연장부(957)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획플레이트(600)와 제2 가로연장부(957)에는, 상기 체결부재(s)가 관통하는 체결홀(633,958)이 각각 형성된다. 즉 체결부재(s)는, 구획플레이트(600)와 제2 가로연장부(957)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체결홀(633,958)을 통해 구획플레이트(600)와 제2 가로연장부(957)를 관통하며 구획플레이트(600)와 제2 가로연장부(957)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부재(s)를 이용한 구획플레이트(600)와 제2 가로연장부(957)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획플레이트(600)와 제2 가로연장부(957)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633,958)이 서로 정확히 겹쳐지도록 서포터(950)의 설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로연장부(957)과 스토퍼(632) 및 지지돌기(634)는 제2 가로연장부(957)가 스토퍼(632) 및 지지돌기(634) 사이에 끼워졌을 때 구획플레이트(600)의 체결홀(633)과 제2 가로연장부(957)의 체결홀(958)의 지지바(951)의 두께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부(631)가 제2 결합부의 폭, 즉 제2 가로연장부(957)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절개부(631)를 통해 구획플레이트(600)의 하부로 삽입되는 제2 가로연장부(957)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체결홀(633)과 제2 가로연장부(957)의 체결홀(958)의 지지바(951)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는 위치로 삽입되도록 그 삽입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즉 절개부(631)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서포터(950)의 상부가 내측방향으로 삽입시키되, 제2 가로연장부(957)가 스토퍼(632) 및 지지돌기(634)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까지 서포터(950)의 삽입이 이루어지기만 하면, 체결홀(633)과 제2 가로연장부(957)의 체결홀(958)이 서로 정확히 겹쳐지는 위치로 서포터(950)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포터(950)의 상부를 구획플레이트(600)의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체결부재(s)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위치로 서포터(950)의 설치 위치 정렬이 저절로 이루어지므로, 서포터(950)의 설치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종합하면, 서포터(950)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끼우고 서포터(950)의 상부를 구획플레이트(600)의 하부에 끼우는 손쉬운 작업만으로 체결부재(s)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위치로 서포터(950)의 설치 위치 정렬이 저절로 이루어지므로, 서포터(950)의 설치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서포터(950)의 하부에서는 상하방향의 끼움 결합과 측방향의 체결부재(s) 체결이 이루어지고 서포터(950)의 상부에서는 측방향의 끼움 결합과 상하방향의 체결부재(s) 체결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서포터(950) 및 구획플레이트(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서포터(950)의 하부와 상부의 끼움 결합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서포터(950)의 조립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서포터(950)의 하부와 상부의 체결부재(s) 체결 방향을 달리 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서포터(950) 및 구획플레이트(600)가 결합된 결합체의 결합 강도 및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서포터(950)의 조립성이 향상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에 대한 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케이스 및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규정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플레이트(600)에 의해 하측의 제1 수용공간 및 상측의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렇게 구획된 수용공간 중 제1 수용공간에는 실외기의 구성품에 해당되는 제1 열교환기(500) 및 제1 송풍유닛(300)이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고, 제2 수용공간에는 실내기의 구성품에 해당되는 제2 열교환기(800) 및 제2 송풍유닛(700)이 배치되어 구획플레이트(600)에 설치된다.
즉 이동식 공기조화기(10) 내부에는 실외기의 구성품과 실내기의 구성품이 상하로 적층된 부품 배치 구조가 형성되며, 이로써 이동식 공기조화기(10)는 그 폭을 슬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컴팩트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동식 공기조화기(1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실외기의 구성품과 실내기의 구성품이 상하로 적층된 부품 배치 구조를 채택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된 부품들, 즉 구획플레이트(600)에 설치된 제2 열교환기(800) 및 제2 송풍유닛(700)과 같은 부품들의 지지 안정성이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플레이트(600), 그리고 그 상면에 설치된 제2 열교환기(800) 및 제2 송풍유닛(700)과 같은 부품들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서포터(950)가 제공된다.
서포터(95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구획플레이트(600) 사이에 설치되되,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하부가 제1 결합부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그 상부가 제2 결합부를 통해 구획플레이트(6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구획플레이트(600)에 작용하는 상하방향 하중 및 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르면, 구획플레이트(600)에 작용하는 상하방향 하중 및 측방향 하중은 구획플레이트(600)에만 집중되지 않고 구획플레이트(600)에 결합된 서포터(950)에 분산될 수 있고, 서포터(950)로 전달된 하중 중 일부는 서포터(950)가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100)로 분산되는 하중 분산 지지 구조가 형성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00)와 구획플레이트(600) 사이에 서포터(950)가 설치됨으로써, 구획플레이트(600)에 작용하는 상하방향 하중 및 측방향 하중이 구획플레이트(600)와 서포터(950) 및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분산 지지되는 하중 지지 구조가 형성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구획플레이트(600)에 설치된 제2 열교환기(800) 및 제2 송풍유닛(700)과 같은 부품들의 지지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응축기와 증발기를 하나의 장치에 모두 포함하면서도 컴팩트한 크기로 설계되어 이동과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 또한 높은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된 제1 열교환기(500)와 제1 송풍유닛(300)의 상단면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열교환기(500)와 제1 송풍유닛(300) 및 구획플레이트(60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구획플레이트(600)에 작용하는 상하방향 하중 및 측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작용점이 더욱 폭넓게 확장될 수 있고, 이로써 구획플레이트(600) 및 이에 장착되는 제2 열교환기(800)와 제2 송풍유닛(700)과 같은 부품들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서포터(950)는, 구획플레이트(6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용도뿐 아니라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유닛(200)과 같은 중량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도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유닛(2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는데, 폭이 좁고 세로방향으로 긴 압축기(202)의 형상, 압축기(202)의 옆에 매달린 어큐뮬레이터(203) 등으로 인해 압축유닛(200)은 그 무게 중심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압축유닛(200)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위치가 급작스럽게 변화되거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기울어짐이 발생되는 경우, 다른 부품들에 비해 옆으로 쓰러질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품이다.
중량 부품인 압축유닛(200)이 케이스(1000,1100; 도 3 참조) 측으로 쓰러지게 되면, 압축유닛(200) 자체가 파손될 수도 있고, 압축유닛(200)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케이스(1000,1100)가 압축유닛(200)과 부딪혀 찌그러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서포터(950)가 케이스(1000,1100)와 압축유닛(20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서포터(950)는, 압축유닛(200)이 케이스(1000,1100) 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막는 차단 구조물 역할을 함으로써, 압축유닛(200) 이 케이스(1000,1100) 측으로 쓰러져 압축유닛(200)가 파손되거나 케이스(1000,1100)가 찌그러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제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F" 부분을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25는 도 24의 "G-G"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제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이하,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2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예시된 공기조화기(10; 도 13 참조)와 비교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서포터 간의 결합 구조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포터(2950)는 지지바(951)와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지지바(951)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결합부는 지지바(951)의 하부에 체결홀(2953)이 형성되고 보강지지부(956)가 지지바(951)의 하단까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2100)에 마련되는 하부결합부는, 제1 측벽(140)과 지지리브(2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리브(2150)는, 제1 측벽(140)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부에서 내려다봤을 때 지지바(951)를 마주하는 측이 개구된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리브(2150)는 지지리브(2150)의 중앙 부분에서 제1 측벽(140) 및 지지바(951)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리브(2151), 및 제1 지지리브(2150)의 양측 단부에서 제1 측벽(140)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 지지리브(2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리브(2151)의 일측에 위치한 제2 지지리브(2153)의 외측면과 제1 지지리브(2151)의 타측에 위치한 제2 지지리브(2153)의 외측면 간의 간격은 대략 한 쌍의 보강지지부(956)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지지리브(2153)와 제1 측벽(140) 간의 간격은 지지바(951)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리브(2150)를 포함한 하부결합부와 제1 결합부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10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서포터(2950)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2100)에 끼우면, 한 쌍의 제2 지지리브(2153)의 외측에 한 쌍의 보강지지부(956)가 끼워지는 한편, 제2 지지리브(2153)와 제1 측벽(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서포터(2950)의 지지바(951)가 삽입되면서 서포터(950)와 베이스플레이트(210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서포터(2950)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2100)에 끼우기만 하면, 한 쌍의 제2 지지리브(2153)의 외측에 한 쌍의 보강지지부(956)가 끼워짐에 의해 서포터(2950)의 설치 위치 중 지지바(951)의 폭에 따른 위치가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다. 동시에, 서포터(2950)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2100)에 끼우기만 하면, 제2 지지리브(2153)와 제1 측벽(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서포터(2950)의 지지바(951)가 삽입됨에 의해 서포터(2950)의 설치 위치 중 지지바(951)의 두께에 따른 위치가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제2 지지리브(2153)에는, 경사유도면(2154)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유도면(2154)은, 제2 지지리브(2153)의 상단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경사유도면(2154)은, 제1 측벽(140)에 인접할수록 제2 지지리브(2153)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사유도면(2154)은, 베이스플레이트(2100)의 상부에서 서포터(2950)를 베이스플레이트(2100)에 끼울 때 제2 지지리브(2153)와 제1 측벽(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서포터(2950)의 지지바(95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서포터(2950)의 삽입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서로 맞대어진 제1 측벽(140)과 지지바(951)를 관통하며 제1 측벽(140)과 지지바(951)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벽(140)과 지지바(951)에는, 상기 체결부재(s)가 관통하는 체결홀(141,2953)이 각각 형성된다. 즉 체결부재(s)는, 제1 측벽(140)과 지지바(951)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체결홀(141,2953)을 통해 제1 측벽(140)과 지지바(951)를 관통하며 제1 측벽(140)과 지지바(951)를 서로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결합부와 제1 결합부는 제2 지지리브(2153)의 외측에 한 쌍의 보강지지부(956)가 끼워졌을 때 제1 측벽(140)의 체결홀(141)과 지지바(951)의 체결홀(2953)의 지지바(951)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결합부와 제1 결합부는, 2 지지리브(2153)와 제1 측벽(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서포터(2950)의 지지바(951)가 삽입되었을 때 제1 측벽(140)의 체결홀(141)과 지지바(951)의 체결홀(2953)이 서로 밀착되게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서포터(2950)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2100)에 끼우는 손쉬운 작업만으로 체결부재(s)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위치로 서포터(2950)의 설치 위치 정렬이 저절로 이루어지므로, 서포터(2950)의 설치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제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제1 수용공간 영역에 배치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30)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와 비교하여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의 배치구조 및 유기적 결합구조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형 공기조화기(30)는 베이스플레이트(3100)와 압축유닛(3200)과 제1 송풍유닛(3300)과 제1 열교환기(3500)와 구획플레이트(3600)와 제2 송풍유닛(3700)과 제2 열교환기(3800 및 컨트롤박스(39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3100)에는 압축유닛(3200)과 제1 송풍유닛(3300) 및 제1 열교환기(3500)가 장착되고, 구획플레이트(3600)에는 제2 송풍유닛(3700)와 제2 열교환기(3800) 및 컨트롤박스(3900)가 장착되어 케이스(미도시)의 내부 수용공간은 제1 수용공간과 및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제1 수용공간에는 실외 열교환부가 구성되고, 제2 수용공간에는 실내 열교환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수용공간에 구성되는 실외 열교환부는 제1 열교환기(3500)에서 발생된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3100), 압축유닛(3200), 제1 열교환기(3500) 및 제1 송풍유닛(3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수용공간에 구성되는 실내 열교환부는 제2 열교환기(3800)를 통해 발생된 차가운 공기를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획플레이트(3600), 제2 열교환기(3800), 제2 송풍유닛(3700) 및 컨트롤박스(39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부는 상기 실내 열교환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1 송풍유닛(3300)은 제2 송풍유닛(370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3500)는 제2 열교환기(380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동형 공기조화기(30)는 슬림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동형 공기조화기(30)는, 상기 구획플레이트(3600)를 지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3100)에 결합되는 서포터(39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서포터(395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예시된 형태의 서포터(950; 도 15 참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예시된 형태의 서포터(2950; 도 24 참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3950)는, 케이스와 압축유닛(3200) 사이에 하나가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베이스플레이트(310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송풍유닛(3300)이 제2 송풍유닛(370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열교환기(3500)와 제2 열교환기(3800)가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이동형 공기조화기(30)는 하부가 볼록한 형태가 아닌 상부와 하부가 모두 슬림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모두 슬림한 구조로 이동형 공기조화기(30)가 구성되면, 더욱 매끈하고 슬림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하부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플레이트(3600), 그리고 그 상면에 설치된 제2 열교환기(3800) 및 제2 송풍유닛(3700)과 같은 부품들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서포터(3950)가 제공되며, 이러한 서포터(3950)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보다 더욱 슬림한 형태로 제공되는 본 실시예의 이동형 공기조화기(30)에서 더욱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3950)를 복수개의 지점에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30)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각각의 서포터(3950)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적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와 같이 복수개의 지점에 서포터(3950)를 설치하더라도 그로 인한 시간 및 비용의 추가에 따른 부담이 크지 않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이동형 공기조화기
100: 베이스플레이트
102: 제1 바닥구획리브
110: 스플래시 팬
112: 스플래시 날개
114: 스플래시 모터
130: 응축수배출구
140: 제1 측벽
141: 체결홀
142: 돌기홈
150: 이동바퀴
200: 압축유닛
202: 압축기
203: 어큐뮬레이터
204: 압축기 프레임
300: 제1 송풍유닛
310: 제1 송풍그릴
322: 제1 송풍가이드
323: 제1 송풍오리피스
324: 제1 송풍구
330: 제1 송풍모터
340: 제1 임펠러
400: 냉매배관
500: 제1 열교환기
510: 제1 냉매파이프
520: 제1 방열플레이트
600: 구획플레이트
602: 제2 바닥구획리브
604: 바닥응축수홀
620: 컨트롤박스설치구
624: 배관통과홈
630: 제2 측벽
631: 절개부
632: 스토퍼
633: 체결홀
634: 지지돌기
700: 제2 송풍유닛
710: 제2 송풍그릴
720: 제2 송풍가이드
722: 제2 송풍오리피스
724: 제2 송풍부
725: 제2 송풍구
726: 송풍 유로형성돌기
730: 제2 송풍모터
740: 제2 임펠러
750: 토출루버
751: 토출덮개
752: 토출리브
753: 수직토출리브
754: 수평토출리브
756: 리브유로
758: 루버회전축
760: 루버설치홈
770: 루버모터
800: 제2 열교환기
810: 제2 냉매파이프
820: 제2 방열플레이트
900: 컨트롤박스
950: 서포터
951: 지지바
952: 제1 가로연장부
953: 세로연장부
954: 체결홀
955: 구속돌기
956: 보강지지부
957: 제2 가로연장부
958: 체결홀
1000: 전방케이스
1020: 조작유닛
1040: 토출프레임
1041: 토출부
1044: 토출구
1100: 후방케이스
1110: 제2 흡입구
1120: 제2 흡입그릴
1122: 제2 흡입필터 프레임
1124: 제2 흡입필터
1130: 제1 흡입구
1140: 제1 흡입그릴
1142: 제1 흡입필터 프레임
1144: 제1 흡입필터
1170: 설치키트 수납부
1180: 배기구
1200: 설치키트
1300: 배관부
1310: 배관파이프
1320: 배관노즐
1330: 배관커넥터
1340: 배관그릴

Claims (18)

  1. 흡입구와 배기구 및 토출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하부의 제1 수용공간과 상부의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열교환기;
    상기 제2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열교환기;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마련된 하부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의 하부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마련된 상부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의 상부를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저면에 간섭되어 상기 서포터의 상부측으로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는 제2 가로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결합부는,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로연장부는, 측면이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 타측을 향한 상기 서포터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고,
    상기 상부결합부는,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2 가로연장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상기 스토퍼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로연장부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끼워져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에 따른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고,
    서로 맞대어진 상기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로연장부를 관통하며 상기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로연장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로연장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끼워진 상기 제2 가로연장부는,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체결홀과 상기 제2 가로연장부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상부결합부는,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에는,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 측벽을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하부로 삽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하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가로연장부의 체결홀과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는 위치로 삽입되도록 삽입 위치가 안내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제1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상단에 간섭되어 상기 서포터의 하부측으로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는 제1 가로연장부, 및 상기 제1 가로연장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에 간섭되어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 일측을 향한 상기 서포터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는 세로연장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의 하측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에 간섭되어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 타측을 향한 상기 서포터의 위치 변화를 제한하는 구속돌기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연장부와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제1 측벽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세로연장부와 상기 구속돌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에 상기 구속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돌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돌기홈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에 끼워지고,
    상기 돌기홈에 삽입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서로 맞대어진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에 삽입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제1 측벽의 체결홀과 상기 세로연장부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6항에 있어서,
    서로 맞대어진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세로연장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에 삽입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제1 측벽의 체결홀과 상기 세로연장부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압축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열교환기와 인접되게 배치되는 제1 송풍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와 상기 제1 송풍유닛은, 각각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바의 하부, 및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 양측이 상기 지지바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보강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지고,
    상기 지지바의 하부가 상기 제1 측벽과 지지리브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한 쌍의 보강지지부가 상기 지지리브의 측방향 외측을 감싸며 상기 지지리브의 측방향 외측에 끼워져 상기 하부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서로 맞대어진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지지바를 관통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지지바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측방향 외측에 끼워진 상기 한 쌍의 보강지지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체결홀과 상기 지지바의 체결홀의 상기 지지바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안내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8. 삭제
KR1020180002521A 2018-01-08 2018-01-08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454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21A KR102454035B1 (ko) 2018-01-08 2018-01-08 이동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21A KR102454035B1 (ko) 2018-01-08 2018-01-08 이동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90A KR20190084590A (ko) 2019-07-17
KR102454035B1 true KR102454035B1 (ko) 2022-10-12

Family

ID=6751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521A KR102454035B1 (ko) 2018-01-08 2018-01-08 이동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0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944A (ko) * 2000-07-14 2002-01-2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1235930B1 (ko) * 2006-11-06 201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90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958B1 (ko) 공기조화기
CN106196332B (zh) 空调机的室外机
KR100505385B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20190106560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US7735332B2 (en) Air conditioner
KR10209490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245403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54159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501953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492753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458497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080075259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20060083016A (ko) 공기조화기
US20070044495A1 (en) Monolithic air conditioner
KR20160073606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60124391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2522722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234438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541587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57306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및 분리형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239693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240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6003139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60031232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81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