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497B1 - 이동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이동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497B1
KR102458497B1 KR1020180002519A KR20180002519A KR102458497B1 KR 102458497 B1 KR102458497 B1 KR 102458497B1 KR 1020180002519 A KR1020180002519 A KR 1020180002519A KR 20180002519 A KR20180002519 A KR 20180002519A KR 102458497 B1 KR102458497 B1 KR 10245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heat exchanger
base plate
splash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588A (ko
Inventor
김문신
김대혁
정대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4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05Conventional flow pattern
    • F04D29/2222Construction and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8Rotary wheel combined with a spray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공기가 공기조화 이루어질 때 생성되는 응축수의 유동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하부에 결합되고 측단에 응축수배출구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저수홈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스플래시홈, 및 상기 응축수저수홈과 상기 스플래시홈과 상기 응축수배출구를 연결하는 응축수유로가 구비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형 공기조화기{MOVAB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가 공기조화 이루어질 때 생성되는 응축수의 유동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증발기(일반적으로는 실내열교환기), 팽창밸브, 응축기(일반적으로는 실외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이 단일 제품에 일체로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이동과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증발기(실내열교환기)와 응축기(실외열교환기)를 구획된 공간에 배치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일반적인 공조장치와 달리 증발기와 응축기가 하나의 제품에 설치 제작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여 소비자가 스스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냉방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냉매의 역방향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냉방사이클과 난방사이클이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근래에는 바닥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개발과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므로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술을 습득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원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설치를 위한 별도의 시공을 요구되지 않고, 사용자는 손쉽게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이동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종래와 같이 벽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증발기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 뒤, 증발기는 상측에 배치되고 응축기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가 된 냉매가 흐르며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 되는 부분이다. 냉매는 응축기에서 응축될 수 있다. 냉매와 열교환 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냉매와 열교환 되는 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반면에, 증발기 내부에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흐르며 증발될 수 있다. 냉매가 증발될 때, 냉매는 증발기에서 기화열을 흡수하게 된다. 기화열을 흡수당한 증발기는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증발기로 열이 이동하기 때문에,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며 응축수가 생성된다.
이렇게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흐르게 되는데, 수용공간 하부로 유동될 수 있다. 수용공간 하부로 모인 응축수가 이동형 공기조화기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응축수가 수용공간 하부에 마련된 유로를 따라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응축수가 효율적으로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응축수가 효율적으로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용공간 하부에 낙하할 때, 수용공간 하부에 낙하한 응축수가 이동형 공기조화기 외부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공간 하부에 낙하한 응축수가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구성된 스플래시팬 주위로 모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데 있다. 그리고, 스플래시팬의 회전에 의하여 스플래시팬 주위에 모인 응축수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하부에 결합되고 측단에 응축수배출구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저수홈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스플래시홈, 및 상기 응축수저수홈과 상기 스플래시홈과 상기 응축수배출구를 연결하는 응축수유로가 구비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저수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응축수배출구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스플래시홈은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와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에는 상기 스플래시홈과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를 관통하는 리브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플래시홈과 상기 스플래시홈에 대향하는 측면에 마련된 응축수우회로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가 수용공간 하부의 여러부위에 낙하하더라도 수용공간 하부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공간 하부에 낙하한 응축수는 수용공간 외부로 배출되기 이전에 수용공간 하부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스플래시팬 주위로 용이하게 모일 수 있다. 그리고, 스플래시팬의 회전에 의하여 스플래시팬 주위에 모인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고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설치키트와 배관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스플래시 팬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스플래시 팬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응축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응축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스플래시 팬에 의해 응축기로 응축수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응축수가 유동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구획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구획플레이트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제2 송풍유닛과 제2 송풍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토출루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토출루버가 제2 송풍부에 장착되어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설치키트(1200)와 배관부(130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전후방 및 측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제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도록, 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1100)로 구비될 수 있다.
전후방케이스(1000,1100)의 하부에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전후방케이스(1000,110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전후방케이스(1000,110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전방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배치될 때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냉매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하며, 주변의 공기와 두 차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매와 주변의 공기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내부의 수용공간에 제1,2 열교환기(500,800)가 구비되는데,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을 구획하여 각각의 수용공간에 제1,2 열교환기(500,800)를 설치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소형화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방케이스(1000,1100) 및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은 구획플레이트(600)에 의해 상측의 제2 수용공간 및 하측의 제1 수용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에는 제2 열교환기(800)와 이에 인접하여 제2 송풍유닛(700)이 설치되고, 제2 열교환기(800)와 제2 송풍유닛(700)은 구획플레이트(60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공간에는 제1 열교환기(500)와 이에 인접하여 제1 송풍유닛(300)이 설치되고, 제1 열교환기(500)와 제1 송풍유닛(3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된 제1 열교환기(500)와 제1 송풍유닛(300)은 그 상단면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을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0,1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흡입구와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기구(1180) 및 토출부(10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는 제2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 흡입구(1110) 및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 흡입구(11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하부로 구획된 수용공간에서 각각 냉매의 응축과 증발이 구분되어 일어나며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가령, 제1 열교환기(500)는 응축기로 작동하고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각각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2 열교환기(500,800)는 압축기(202)와 냉매배관(400)으로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등의 구성부품이 단일 제품에 일체로 구성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이동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11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케이스(1000)는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후반부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건물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부(130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배관부(1300)는 상하로 구획된 제2 수용공간 또는 제1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배관부(1300)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을 위해 작동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압축기(202)를 통과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와 응축기에서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배관부(1300)를 따라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관부(1300)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1 열교환기(500)가 응축기로 작동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기로 구동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관부(1300)는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배관파이프(1310), 배관노즐(1320) 배관커넥터(1330) 및 배관그릴(1340)로 구비될 수 있다.
배관파이프(1310)는 원통 형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배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배관노즐(1320)은 배기파이프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단부이다.
배관파이프(13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관커넥터(1330)는 후방케이스(1100)와 배관파이프(1310) 사이에 구비되어, 배관파이프(1310)의 일단이 후방케이스(1100)에 장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후방케이스(1100) 하부에는 제1 수용공간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구(118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관파이프(1310)의 일단이 배관커넥터(1330)에 의해서 배기구(1180)와 연결될 수 있다.
배관부(1300)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후방케이스(1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배관부(1300)의 타단은 창틀을 통하면 실외로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창은 실내와 실외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개폐가 용이하게 구성되기 때문이다.
즉, 배관부(1300)의 타단의 직경만큼 창을 열고, 창이 열린 틈으로 배관부(1300)의 타단이 실외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벽을 타공하지 않고도 배관부(1300)의 타단을 실외로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거치할 때,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고정시키고, 창 틈을 밀폐시킬 수 있는 설치키트(1200)가 요구된다.
설치키트(1200)는 배관부(1300)의 직경에 대응하여 창이 열린 틈을 막아주면서 배관부(1300)의 타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배관부(1300)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설치키트(1200)는 창 틈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사각형상으로 구성되고, 배관부(130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키트(1200)는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구성하는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부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와는 별도로 운용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보관 및 이동할 때,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의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를 후방케이스(11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케이스(1100)에 형성된 설치키트 수납부(1170)에 설치키트(1200)를 삽입하여 이동형 공기조화기(10)와 설치키트(1200)가 일체로 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1000)는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케이스(1000)는 평단면이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케이스의 상부에는 토출부(1041)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041)에는 토출부(1041)를 관통하는 토출구(1044)가 형성되어 토출부(1041)가 케이스에 구비되었을 때, 케이스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구(1044)의 하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노즐홀(727)과 연통되고, 토출구(1044)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사각형상을 이루며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044)의 토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토출부(1041)는 별도의 토출프레임(1040)에 형성되어 토출프레임(1040)이 케이스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케이스 상부에 토출부(1041)가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토출부(1041)는 별도의 토출프레임(1040)에 구성되지 않고, 케이스 상부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토출부(1041)가 별도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든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든 토출부(1041)는 수용공간에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실내에서 바닥에 배치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토출부(1041)는 케이스의 상단에 마련되어 공기조화된 공기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전방측으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104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7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의 상부에는 조작유닛(1020)이가 마련될 수 있다. 바닥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유닛(1020)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유닛(1020)은는 사용자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여기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작유닛(1020)은 외관상 노출되는 조작판넬과 조작판넬 하부에 설치되는 PCB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유닛(1020)은 케이스에 직접 설치될 수 있지만, 조작유닛(1020)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서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토출부(1041)와 조작유닛(1020)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상부에 배치되는 점을 고려할 때, 토출부(1041)와 조작유닛(1020)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는 하나의 프레임에 구성될 수도 있다.
후방케이스(1100)는 전방케이스(1000)와 결합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와 전방케이스(1000)가 결합되는 점을 고려하여, 후방케이스(1100)의 선단은 전방케이스(1000)의 후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전방케이스(1000)의 좌우 측면의 후단이 라운드진 곡률로 이루어 지거나 경사 형성된 경우, 후방케이스(1100)의 좌우 측면 선단부는 전방케이스(1000)의 좌우 측면 후단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진 곡률로 이루어 지거나 경사 형성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의 상부에는 제2 수용공간의 내외부를 관통시키는 제2 흡입구(11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1110)는 실내의 공기가 제2 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제2 흡입구(1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2 흡입구(1110)의 충분한 면적확보를 위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흡입구(1110)에는, 제2 흡입필터(1124)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제2 흡입필터 프레임(11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흡입구(1110)는 제2 흡입그릴(11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실내 공기는 제2 흡입그릴(1120)을 통과하여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흡입그릴(1120)에는 실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그릴(1120)은, 실내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제2 흡입구(111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흡입구(1110)에는 제2 흡입필터(1124)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흡입필터(1124)는 제2 흡입그릴(112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제2 흡입구(111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이동과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증발기(실내열교환기)와 응축기(실외열교환기)를 하나의 제품으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구획한 후, 구획된 하나의 공간에는 증발기를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공간에는 응축기를 배치하게 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종래와 같이 벽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와는 달리 바닥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한 후에 상부에 증발기를 배치하고 하부에는 응축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측에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효율적으로 순환시키고자 함이다.
상하로 구획된 수용공간 중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공간은 제2 수용공간보다 용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공간의 용적을 확보하면서도, 하부에 더 많은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이동되거나 거치될 때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넘어지지 않도록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후방케이스(1100)의 후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케이스(1100)의 전후 길이는 상부와 후반부가 서로 상이하다. 즉,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 전후길이는 상부의 전후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와 상부의 전후길이가 상이함에 따라, 후방케이스(1100)의 중앙부분에는 단차면이 형성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차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와 상부 사이를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에는 제1 흡입구(1130)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제1 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흡입구(1130)에는 제1 흡입필터(1144)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흡입필터 프레임(11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130)는 제1 흡입그릴(11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제1 흡입그릴(1140)은 제1 수용공간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흡입구(1130)에는 제1 흡입필터(114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흡입필터(1144)는 제1 흡입그릴(114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제1 흡입구(113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 하부 외관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의 하단과 결합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150)가 설치된다. 이동바퀴(15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00)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동바퀴(1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각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이동할 때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 열교환기(5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냉매파이프(510) 및 제1 방열플레이트(520)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방열플레이트(520)는 얇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복수개 마련되고, 제1 냉매파이프(510)는 제1 방열플레이트(520)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열플레이트(520)가 제1 냉매파이프(510)와 연결되어 제1 냉매파이프(510)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는 공기와 제1 냉매파이프(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열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냉매파이프(510)와 제1 방열플레이트(520)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 가령 구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로 작동하게 되는 제1 열교환기(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에서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후방에 배치된 제1 흡입구(113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제1 열교환기(500)를 측방으로 통과한 뒤에 다시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흡입구(1130)를 통해 제1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제1 열교환기(5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배관부(130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제1 열교환기(500)가 제1 수용공간의 중앙부에서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수용공간은 제1 열교환기(500)에 의해 좌우 측방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일 측의 공간은 외기가 흡입되는 제1 흡입공간으로, 타 측의 공간은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 배출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제1 흡입공간으로 외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후방케이스(1100) 하부의 일 측에는 제1 흡입구(1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출공간으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후방케이스(1100) 하부의 타 측에는 배기구(11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공간에는 제1 송풍유닛(300)이 제1 열교환기(5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며 온도 상승된 공기는 제1 송풍유닛(300)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며 배기구(118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구(1180)는 제1 배출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후방케이스(1100) 하부에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제1 열교환기(50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유로를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바닥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와 창틀의 위치를 고려하여 배기구(1180)를 상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구(1180)는 제1 송풍구(324)와 연결되어 제1 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배관파이프(1310)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배기구(1180)는 배관파이프(1310)의 일단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흡입공간에는 압축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에서 제1 열교환기(500)와 제1 송풍유닛(30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압축유닛(200)을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압축유닛(200)이 제1 흡입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제1 흡입구(1130)를 통하여 대량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압축기(202)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압축유닛(200)은 압축기(202)와 이를 지지하는 압축기 프레임(20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 프레임(204)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압축기(202)의 공간효율과 지지강성을 고려하여 삼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202)의 옆에는 어큐뮬레이터(203)가 설치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203)는 액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압축기(202)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압축유닛(200)과 밀착하여 지지앵글(95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지지앵글(950)이 상하로 설치되어 압축유닛(200)에 측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의 일측에는 제1 송풍유닛(30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송풍유닛(300)은 제1 송풍가이드, 제1 송풍오리피스(323), 제1 송풍모터(330) 및 제1 임펠러(340)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송풍유닛(300) 일측에는 제1 송풍유닛(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 송풍구(324)가 구비되고, 제1 송풍구(324)에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제1 송풍그릴(31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1 열교환기(500)와 근접하여 제1 송풍오리피스(3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오리피스(323)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 송풍오리피스(722) 및 제2 송풍가이드(721)와 같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할 수 있고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공기를 제1 송풍유닛(300) 내부로 안내한다.
제1 송풍오리피스(323)의 일측에는 제1 송풍가이드(322)가 결합된다. 제1 송풍가이드(322)는 제1 송풍오리피스(323)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을 제1 송풍구(324)로 안내한다.
제1 송풍오리피스(323)와 제1 송풍가이드(322)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제1 임펠러(340)가 위치된다. 제1 임펠러(340)는 제1 송풍모터(330)에 의해 회전하며 제1 송풍구(324)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제1 송풍구(324)는 후방케이스(1100)에 형성된 배기구(1180)와 연결되는데 제1 송풍모터(330)의 회전에 의해 제1 송풍유닛(300)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1 송풍구(324)와 연결된 배기구(118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스플래시팬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1 바닥구획리브(102)가 형성된다.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이 형성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닥구획리브(102) 사이를 유동하는 응축수는 응축수저수홈(104)에 모일 수 있다. 응축수저수홈(104)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열교환기(50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제2 열교환기(800)에서 생성되어 낙하한 응축수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하부로 유입된 응축수저수홈(10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800) 내부에는 제1 열교환기(500)에서 응축된 냉매가 흐르며 증발될 수 있다. 냉매가 증발될 때, 제2 열교환기(800)를 구성하는 제2 냉매파이프(810)와 제2 방열플레이트(820)에서 기화열을 흡수하게 된다. 기화열을 흡수당한 제2 열교환기(800)는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2 열교환기(800)로 열이 이동하기 때문에,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며 응축수가 생성된다.
이렇게 제2 열교환기(80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흐르게 되는데, 구획플레이트(600)를 통과하여 제2 수용공간에서 제1 수용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로 낙하하는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면에 응축수저수홈(104)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응축수저수홈(104)은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지면을 기준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다른 영역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저수홈(104)으로 모인 응축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측단에 마련된 응축수배출구(1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응축수저수홈(104)에서 모인 응축수가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면을 흘러 응축수배출구(130)로 유입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응축수저수홈(104)과 상기 응축수배출구(130)가 이어지도록 하는 응축수유로(106)가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저수홈(104)과 마찬가지로, 응축수유로(106)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다른 영역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상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래시임펠러(112)와 스플래시모터(114)로 구성되는 스플래시 팬(110)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플래시임펠러(112)는 스플래시 팬(110)의 중앙부에 회전축이 연결된 스플래시모터(114)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스플래시임펠러(112)가 회전하며 응축수유로(106)를 따라 흐르는 응축수를 제1 열교환기(500) 측으로 뿌릴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 표면에 액체가 있으면, 제1 열교환기(500) 표면의 액체는 제1 열교환기(500) 표면에서 기화열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냉매가 더욱 활발하게 응축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플래시 팬(110)은 응축수를 제1 열교환기(500) 측으로 뿌려 제1 열교환기(500) 표면에 액체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스플래시 팬(110)에 의해 응축수가 더 활발히 뿌려질 수 있도록, 스플래시임펠러(112)가 배치되는 부분에 스플래시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플래시홈(105)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다른 영역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저수홈(104)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응축수배출구(130)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응축수저수홈(104)과 응축수배출구(130)가 대향하는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로 낙하하는 응축수가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스플래시홈(105)은 응축수저수홈(104)과 응축수배출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응축수저수홈(104)에 저수된 응축수가 응축수유로(106)을 따라 스플래시홈(105)을 거쳐 응축수배출구(130)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부에 흐르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기(500)를 냉각시키고자 함이다. 따라서, 응축수저수홈(104)과 스플래시홈(105) 및 응축수배출구(130)는 응축수유로(106)를 통하여 응축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 내부에는 압축기(202)에서 고온 고압으로 배출되는 냉매가 흐르며 응축될 수 있다. 냉매가 응축될 때, 제1 열교환기(500)를 구성하는 제1 냉매파이프(510)와 제1 방열플레이트(52)로 액화열을 방출하게 된다. 액화열을 방출당한 제1 열교환기(500)는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제1 열교환기(500)에서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는 공기로 열이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여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배기구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플래시홈(105)은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의 상단에서 스플래시홈(105)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회전축요입홈(144)에 스플래시 팬(110)의 회전축이 요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를 사이에 두고 스플래시홈(105)이 형성된 일측에는 스플래시임펠러(112)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스플래시모터(114)가 배치된다.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 상단에는 제1 열교환기(5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는 제1 열교환기(500)의 하단을 지지하며 제1 열교환기(500)를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면과 이격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응축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응축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스플래시 팬에 의해 응축기로 응축수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응축수가 유동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제1 열교환기(500)는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은 제1 열교환기(500)를 양측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는 제1 열교환기(500)의 표면적을 확장시키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기(500) 사이에 스플래시임펠러(112)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기(500)는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에 하단이 지지되어 스플래시홈(105) 측에 배치되고, 제1 열교환기(5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 스플래시임펠러(11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스플래시임펠러(112)는 스플래시홈(105)을 통과하는 응축수를 제1 열교환기(500)의 내측면으로 뿌릴 수 있다.
스플래시임펠러(112)는 스플래시홈(105)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응축수를 뿌릴 수 있도록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응축수저수홈(104)에 적은 양의 응축수가 저수된 상태에서도 충분한 응축수가 뿌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스플래시임펠러(112)에 의해 스플래시홈(105)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는 응축수배출구(130)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뿌려지게 되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낙하한 응축수가 응축수배출구(130)로 원활하게 유동하지 못하고 정체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에는 스플래시홈(105)과 인접한 부분에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를 관통하는 리브관통홀(146)이 형성되어,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140)를 사이에 두고 스플래시홈(105)과 상기 스플래시홈(105)에 대향하는 측면에 마련된 응축수우회로(108)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스플래시홈(105)에서 정체된 응축수가 리브관통홀(146)을 통하여 응축수우회로(108)를 따라 응축수배출구(130)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응축수우회로(108)는 리브관통홀(146)에서 응축수배출구(130)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100)에서 응축수저수홈(104)에 저수된 응축수는 응축수유로(106)를 따라 스플래시홈(105)으로 유동될 수 있다. 스플래시홈(105)로 유입된 응축수 중 일부는 응축수유로(106)를 따라 응축수배출구(130)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플래시홈(105)에 유입된 응축수 중 또 다른 일부는 스플래시임펠러(112)의 회전에 의해 응축수저수홈(104)으로 재 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 응축수저수홈(104)과 스플래시홈(105) 사이의 응축수는 응축수배출구(130) 측의 응축수보다 양이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스플래시홈(105)에 유입된 응축수 중 나머지 일부는 리브관통홀(146)을 통하여 응축수우회로(108)를 따라 응축수배출구(13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응축수저수홈(104)에는 수위센서(410)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410)는 응축수저수홈(104)에 고이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수위센서(410)에서 일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감지되면 알림음을 발생시키거나 외부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구획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수용공간 중앙부에는 구획플레이트(600)가 설치된다. 구획플레이트(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획플레이트(6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 열교환기(8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며,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획플레이트(6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외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로 구분되는데, 구획플레이트(600)가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를 실외열교환기 측과 실내열교환기 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구획플레이트(600)를 중심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공간에는 실외기에 해당하는 응축기가 설치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수용공간에는 실내기에 해당하는 증발기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플레이트(600)는 수용공간의 횡단면의 형성과 대응하여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2 바닥구획리브(602)가 형성된다. 제2 바닥구획리브(602)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이 형성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2 바닥구획리브(602)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 바닥구획리브(602)는 구획플레이트(600)와 일체로 형성되며,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닥구획리브(602)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열교환기(80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제2 열교환기(800)에서 생성되어 낙하한 응축수가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구획플레이트(600)에는, 다수의 바닥응축수홀(6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바닥응축수홀(604)은 제2 열교환기(800)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가 구획플레이트(600)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에는 응축수낙하가이드(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낙하가이드는 바닥응축수홀(604)을 통해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원활하게 바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으로 이동된 응축수가 타 부위로 흘러가지 않고, 바로 낙하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각각의 바닥응축수홀(60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응축수낙하가이드는 바닥응축수홀(604)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닥응축수홀(604)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구획플레이트(600)에는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간섭을 피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영역들이 마련될 수 있다.
가령, 냉매배관(400)이 통과하는 배관통과홈(624), 구획플레이트(600)를 관통하여 형성된 히트싱크홀(620), 제2 열교환기(8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홈, 제2 송풍유닛(7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홈 등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상측에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와 압축기(202) 및 제2 열교환기(80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는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는 냉매배관(400)에 의해 유동되는데, 이러한 냉매배관(400)이 배관통과홈(624)을 통해 상하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구획플레이트(600)의 좌우 측면 선단 부근에는 케이스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이나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구획플레이트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제2 열교환기(8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800)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냉매파이프(810) 및 제2 방열플레이트(820)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8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서 좌우 측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에서 좌우 측방으로 설치된 제2 열교환기(800)와 제1 수용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제1 열교환기(500)는 설치 방향이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실내측 열교환기와 실외측 열교환기를 교차하여 설치함으로써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함이다.
제2 열교환기(800)가 좌우 측방으로 설치되면 후방에 배치된 제2 흡입구(11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제2 열교환기(800)를 후방으로 통과한 뒤에 제2 송풍유닛(70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며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냉매파이프(8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제2 방열플레이트(8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는 열교환을 이루게 된다. 냉매는 공기로부터 열을 홉수하여 기체로 상변화하게 되고, 공기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당해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즉,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기로 구동되는 경우, 후방케이스(1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흡입그릴(1120)을 통해 제2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면서 제2 열교환기(8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는 토출구(104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에 유입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부품으로 설치되는 제2 송풍유닛(700)에 의해 강제 유동될 수 있다.
제2 송풍유닛(700)은 다양한 종류의 송풍기가 사용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송풍기가 사용될 수 있다.
원심송풍기는 공기가 임펠러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공기량과 압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로서 낮은 압력에서 많은 공기량을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임펠러의 직경을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설치공간을 최소화 가능하므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구획플레이트(600) 상면에는 제2 송풍유닛(70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송풍유닛(700)은 제2 송풍가이드(721)과 제2 송풍오리피스(722)로 구비된 제2 송풍하우징(720), 제2 송풍모터(730) 및 제2 임펠러(740)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800)의 일측에는 제2 열교환기(800)와 인접하여 제2 송풍오리피스(7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송풍오리피스(722)는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한 공기를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안내한다.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에 형성된 제2 원심유로(723)를 타고 회전하며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제2 송풍유닛(7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제2 임펠러(740)가 설치된다. 제2 임펠러(740)는 제2 송풍모터(730)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제2 송풍모터(730)의 회전에 의해 제2 송풍유닛(700)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송풍구(725)와 연통된 토출구(1044)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7은 제2 송풍유닛(700)과 제2 송풍유닛(700)에 마련된 제2 송풍부(724)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토출루버(75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 및 도 20은 토출루버(750)가 제2 송풍부(724)에 장착되어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제2 송풍유닛(7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심송풍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에는 제2 임펠러(740)가 설치되고 제2 송풍하우징(720) 일측에 마련된 제2 송풍모터(730)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제2 임펠러(740)의 회전에 의해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에 제2 임펠러(74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제2 원심유로(723)를 따라 회전하며 제2 송풍부(724)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제2 송풍부(724)는,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2 송풍하우징(7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2 원심유로(723)와 연통되는 제2 송풍구(725)가 관통 형성된다. 제2 송풍부(724)는 제2 원심유로(723)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송풍하우징(7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송풍부(724)의 단부에는 송풍노즐(7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송풍노즐(726)은 제2 송풍부(724) 측에서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토출구(1044)와 오버랩된 상태로 토출부(1041)의 하단과 밀착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토출구(1044)와 송풍노즐(726)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송풍노즐홀(727)과 제2 송풍구(725)로 형성되는 토출유로(1050)는 상하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1044)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여, 토출구(1044)의 충분한 토출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상부에서 측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노즐(726)은 제2 송풍부(724)와 토출부(1041) 사이에서 제2 송풍구(725)에서 토출구(1044)로 온전히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송풍부(724)에는 제2 송풍그릴(71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외부에서 제2 송풍구(725)를 통화여 제2 송풍유닛(7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송풍부(724)는 제2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곳으로서, 제2 송풍그릴(710)은 제2 송풍구(725)로 먼지와 같은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보다,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2 임펠러(74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송풍그릴(710)은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 제2 송풍그릴(7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각형 구조를 이르는 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변할 수 있도록 송풍노즐(726)에 토출루버(750)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루버(750)는 토출덮개(751), 토출리브(752) 및 루버회전축(758)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토출덮개(751)는 제2 송풍구(725)를 차폐하는 부분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 토출덮개(751)가 제2 송풍구(725)를 차폐함으로써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토출덮개(751)가 제2 송풍구(725)를 차폐한 상태에서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토출리브(752)는, 토출덮개(75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토출리브(753) 및 토출덮개(751)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토출리브(754)로 구성될 수 있다.
토출덮개(751)와 토출리브(752)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유로(756)를 따라 제2 송풍부(724)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전환되며 공기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구동될 때 제2 송풍부(724)가 개방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구동되지 않을 때 제2 송풍부(724)가 차폐될 수 있도록, 토출루버(750)는 회전하며 제2 송풍부(724)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루버(750)는 양측에 루버회전축(758)이 측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루버회전축(758)이 제2 송풍유닛(700)에 형성된 루버설치홈(760)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루버설치홈(760)은 제2 송풍유닛(700)의 제2 송풍부(724)에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으로 형성되는 루버설치홈(7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루버설치홈(760)에는 토출루버(75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루버모터(770)가 설치될 수 있다. 루버모터(770)가 제공하는 회전동력에 의해 토출루버(750)가 회전하며 제2 송풍부(724)를 차폐하게 되는데, 토출루버(750)가 회전하는 동안 제2 송풍그릴(710)과 토출리브(752)가 간섭하지 않도록 제2 송풍그릴(710)과 토출리브(752)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에서 냉매와 공기의 유동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사용 가능하나, 여기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에는 제1 열교환기(50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고,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압축기(202)와 제1 열교환기(500) 및 제2 열교환기(800) 사이에는 냉매배관(400)이 연결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202)로부터 기체 냉매가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상태로 되어 제1 열교환기(500)로 유입되면, 제1 열교환기(500)에서는 외측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는 응축된다.
그런 다음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제2 열교환기(800)로 유입된다.
제2 열교환기(80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한다. 따라서, 냉매는 기체상태가 되는데, 이때 액체상태의 냉매도 잔류하게 되어 실제로는 2상의 냉매가 혼재한다.
이러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203)를 통과한 후에 다시 압축기(202)에 유동하여 냉매의 순환사이클(cycle)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공기는 제1 열교환기(500) 및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우선 방열측(제1 수용공간)에서의 공기 유동(도면에서는 검은색 화살표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제1 임펠러(34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제1 송풍모터(33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제1 송풍모터(33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임펠러(340)가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흡입구(1130)을 통해 후방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1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방향을 전환하여 측방으로 유동하게 되며,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한다.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한다. 즉, 제1 열교환기(50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1 열교환기(5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공기는 고온 상태가 된다.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제1 송풍오리피스(323)를 통과하여 제1 임펠러(340) 중앙부로 유입된다. 제1 임펠러(340) 중앙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임펠러(34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유동되어 제1 송풍가이드(322)와 제1 송풍오리피스(323) 내부에서 안내되어 상방으로 배출된다.
제1 송풍가이드(322)와 제1 송풍오리피스(323) 내부에서 안내되어 상방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는 배관부(1300)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
다음으로, 흡열측(제2 수용공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유동(도면에서는 흰색 화살표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제2 임펠러(74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제2 송풍모터(73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제2 송풍모터(73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임펠러(740)가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외기가 후방케이스(11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흡입구(1110)를 통해 제1 수용공간으로 유입된다. 제2 흡입구(1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2 흡입그릴(1120) 및 제2 흡입구(1110) 측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악취가 제거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로 작용하므로,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는 제2 송풍오리피스(722)를 통해 유동하여 제2 임펠러(740) 중앙으로 유입된다. 제2 임펠러(740) 중앙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임펠러(74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며, 이러한 공기는 제2 송풍가이드(721)와 제2 송풍오리피스(722) 내부에서 안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제2 송풍가이드(721)와 제2 송풍오리피스(722) 내부에서 안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2 송풍구(725)를 통해 토출루버(750)를 통과한다. 토출루버(750)를 통과하는 저온의 공기는 방향이 전환되며 배출될 수 있어 실내공간이 원활하게 냉방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응축수 유동을 살펴본다.
제2 열교환기(800)에서는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냉매 간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응축수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제2 열교환기(800) 하부로 내려와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떨어진다.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떨어진 응축수는 제2 바닥구획리브(602)에 의해 안내되어 유동되며, 이 과정에서 바닥응축수홀(604)을 통해 구획플레이트(600)를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바닥응축수홀(604)을 통과하여 구획플레이트(600)의 하측으로 이동한 응축수는 응축수낙하가이드의 내면을 따고 흘러내리게 되며, 응축수낙하가이드의 하단에 맺힌 다음 하방으로 낙하한다.
하방으로 낙하한 응축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응축수유로(106)를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단에 마련된 응축수배출구(13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응축수가 응축수배출구(130) 측으로 유동하면 응축수배출구(130)를 통하여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이동형 공기조화기 100: 베이스플레이트
102: 제1 바닥구획리브 104: 응축수저수홈
105: 스플래시홈 106: 응축수유로
108: 응축수우회로 110: 스플래시 팬
112: 스플래시임펠러 114: 스플래시모터
130: 응축수배출구 140: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
144: 회전축요입홈 146: 리브관통홀
150: 이동바퀴 200: 압축유닛
202: 압축기 203: 어큐뮬레이터
204: 압축기 프레임 300: 제1 송풍유닛
310: 제1 송풍그릴 322: 제1 송풍가이드
322: 제1 송풍오리피스 324: 제1 송풍구
330: 제1 송풍모터 340: 제1 임펠러
400: 냉매배관 410: 수위센서
500: 제1 열교환기 510: 제1 냉매파이프
520: 제1 방열플레이트 550: 제1 응축부
560: 제2 응축부 600: 구획플레이트
602: 제2 바닥구획리브 604: 바닥응축수홀
620: 히트싱크홀 624: 배관통과홈
700: 제2 송풍유닛 710: 제2 송풍그릴
720: 제2 송풍하우징 721: 제2 송풍가이드
722: 제2 송풍오리피스 723: 제2 원심유로
724: 제2 송풍부 725: 제2 송풍구
726: 송풍노즐 727: 송풍노즐홀
730: 제2 송풍모터 740: 제2 임펠러
750: 토출루버 751: 토출덮개
752: 토출리브 753: 수직토출리브
754: 수평토출리브 756: 리브유로
758: 루버회전 760: 루버설치홈
770: 루버모터 800: 제2 열교환기
810: 제2 냉매파이프 820: 제2 방열플레이트
900: 컨트롤박스 910: 히트싱크
950: 지지앵글 1000: 전방케이스
1020: 조작유닛 1040: 토출프레임
1041: 토출부 1044: 토출구
1050: 토출유로 1100: 후방케이스
1110: 제2 흡입구 1120: 제2 흡입그릴
1122: 제2 흡입필터 프레임 1124: 제2 흡입필터
1130: 제1 흡입구 1140: 제1 흡입그릴
1142: 제1 흡입필터 프레임 1144: 제1 흡입필터
1170: 설치키트 수납부 1180: 배기구
1200: 설치키트 1300: 배관부
1310: 배관파이프 1320: 배관노즐
1330: 배관커넥터 1340: 배관그릴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하부에 결합되고 측단에 응축수배출구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저수홈,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스플래시홈, 및
    상기 응축수저수홈과 상기 스플래시홈과 상기 응축수배출구를 연결하는 응축수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스플래시홈은,
    상기 응축수저수홈과 상기 응축수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수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응축수배출구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수홈, 상기 스플래시홈 및 상기 응축수유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에는 상기 스플래시홈과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를 관통하는 리브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플래시홈과 상기 스플래시홈에 대향하는 측면에 마련된 응축수우회로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수홈 상부에 설치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7.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부에 결합되고 측단에 응축수배출구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제2 수용공간 및 제1 수용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2 열교환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제1 응축부 및 제2 응축부로 구비되는 제1 열교환기; 및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스플래시임펠러 및 스플래시모터로 구비되는 스플래시 팬;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저수홈,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스플래시홈, 및
    상기 응축수저수홈과 상기 스플래시홈과 상기 응축수배출구를 연결하는 응축수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스플래시홈은,
    상기 응축수저수홈과 상기 응축수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에는 상기 스플래시홈과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를 관통하는 리브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열교환기 지지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플래시홈과 상기 스플래시홈에 대향하는 측면에 마련된 응축수우회로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수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응축수배출구와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0180002519A 2018-01-08 2018-01-08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45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19A KR102458497B1 (ko) 2018-01-08 2018-01-08 이동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19A KR102458497B1 (ko) 2018-01-08 2018-01-08 이동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88A KR20190084588A (ko) 2019-07-17
KR102458497B1 true KR102458497B1 (ko) 2022-10-24

Family

ID=6751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519A KR102458497B1 (ko) 2018-01-08 2018-01-08 이동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9417A (zh) * 2020-04-03 2020-07-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车辆、车载空调及其接水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3159A (ja) * 2009-12-24 2011-07-0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1632A (ja) * 1985-03-15 1986-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処理装置
KR101384924B1 (ko) * 2006-11-06 201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3159A (ja) * 2009-12-24 2011-07-0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88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0162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21718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54159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190106560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080003525A (ko) 공기조화기
KR102501953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JP5807668B2 (ja) 空気調和機
KR102458497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492753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522722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CN213272829U (zh) 一种空调室内机
KR102541587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20012555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220065786U (zh) 空调
CN220042032U (zh) 空调
CN220021312U (zh) 空调
CN219350380U (zh) 空调
CN220209067U (zh) 空调
CN220065844U (zh) 空调
CN219476819U (zh) 空调
CN219457760U (zh) 空调
CN219435970U (zh) 空调
KR10057306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및 분리형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245403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CN219913243U (zh) 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