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019B1 - 열가소성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019B1
KR100614019B1 KR1020017008015A KR20017008015A KR100614019B1 KR 100614019 B1 KR100614019 B1 KR 100614019B1 KR 1020017008015 A KR1020017008015 A KR 1020017008015A KR 20017008015 A KR20017008015 A KR 20017008015A KR 100614019 B1 KR100614019 B1 KR 100614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vinyl
vinyl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145A (ko
Inventor
다까끼아끼라
미즈따도시오
하시모또도모미찌
모리도시유끼
Original Assignee
카네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네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8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12Monomers containing a branched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or a ring substituted by an alk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36Amides or imides
    • C08F222/40Imides, e.g. cyclic imides
    • C08F222/402Alkyl substituted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08F25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on to ethene-prop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08F255/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on to ethene-propene-diene ter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reformed 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 C08F29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on to elast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수지용의 우수한 내충격성 개량제를 제공한다. 유리전이온도 Tg 가 0 ℃ 이하, 라텍스 상태에서의 공극율이 3 ~ 90 용량% 이며, 고무성분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0.1 ~ 5 중량부 함유하는 중공고무 입자 30 ~ 90 중량% 의 존재 하에,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방향족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 60 ~ 100 중량% 와 그 외의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4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10 ~ 70 중량% 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염화비닐계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로서 사용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IMPACT MODIFIERS FOR THERMOPLASTIC RESINS}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수지를 위한 내충격성 개량제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여러가지 제안이 되고 있다. 예컨대, 염화비닐계 수지의 경우, 디엔계 고무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의 공중합체를 배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소39-19035호). 또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성분의 입경을 크게하는 방법 (일본 특허공보 소42-22541호) 이나 고무성분의 Tg 를 낮게 하는 방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7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00095호) 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서는 보다 대폭적으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곤란하거나, 원료비가 대폭으로 상승한다는 문제가 남아 있다.
염화비닐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서는 성형체의 응력집중이나 고무 중의 보이드의 발생ㆍ확대가 중요한 역할을 다하고 있다. 응력집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수지보다 탄성율이 크게 낮은 고무성분의 도입이 필수이다. 실제로 여러가지 고무가 도입되고, 고무성분의 크기, 형상의 최적화가 되고 있다. 고무 중의 보이드의 발생이나 확대는 특히 충격시험시의 에너 지 흡수량이 큰 전단항복 (shearing yield) 의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고무함유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의 향상에 결부되는 것이 예측된다.
따라서, 성형체의 충격시 (응력하) 에 고무성분 중의 보이드의 발생이나 확대를 어떻게 촉진시킬지가 대단히 중요하고, 이 고무성분 중의 보이드의 발생ㆍ확대는 고무의 가교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고무성분을 미리 중공으로 한 경우, 응력하에서 보이드의 확대가 용이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고무성분의 가교상태를 지배하는 가교제 양을 변화시키면서, 라텍스 상태에서의 고무성분의 보이드 (중공) 상태, 고무성분함유 내충격성 개량제를 배합한 열가소성 수지 성형체의 중공상태, 및 성형체의 충격강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Tg 가 0 ℃ 이하에서 가교제 사용량이 0 ~ 5 중량% 로, 성형 종료시에는 비중공 (非中空) 이지만, 라텍스 상태에서의 공극률이 3 ~ 90 용량% 의 중공고무 30 ~ 90 중량% 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방향족 비닐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 60 ~ 100 중량% 와 그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4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10 ~ 70 중량% 로부터 이루어지는 내충격성 개량제가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 개량에 대단히 큰 개량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성형체의 연속상이 되는 염화비닐계 수지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비교하여 크게 탄성율이 낮은 고무성분 (Tg 가 0 ℃ 이하) 을 도입하여 응력집중을 측정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이 연한 고무성분의 가교제를 적게 하여 충격시 (응력하) 에 고무입자가 보이드화 하는 것도 중요한 것을 알았다. 그러나, 가교제 양이 너무 적어서 0 % 로 되면, 고무입자는 성형시에 붕괴되어 미분산되어 응력집중점으로서 작용하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알았다.
또한, 가교제가 적은 중공고무는 라텍스 상태에서는 물로서 채운 공극을 갖지만, 그래프트 중합 후에 행해지는 응고, 열처리, 건조, 블렌드, 성형의 공정으로 고무입자 중의 물이 방출되고, 건조후나 성형후에 고무중의 공극은 무너져 상실되여, 비중공으로 될 수 있는 것이 TEM 관찰이나 비중측정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라텍스 상태에서 고무 내에 공극을 갖는 중공 고무를 함유하는 내충격성 개량제는 충격시 (응력하) 에 고무입자 중의 보이드 발생이나 확대가 용이하게 진행되고, 충격강도가 대폭 향상되는 것을 알았다. 고무 중의 가교제 양을 많게 하는 것이 강고한 중공을 유지하기에는 적절하다는 것, 전체 보이드가 넓어지기 쉬운 것으로 판단하면, 오히려 고무 중의 가교제 양을 적은 양으로 제어하고, 라텍스의 상태에서 중공된 고무로, 건조시나 성형후에는 비중공인 내충격성 개량제가 매우 큰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즉, 본 발명은 유리전이온도 Tg 가 0 ℃ 이하, 라텍스 상태에서의 공극율이 3 ~ 90 용량% 로서, 고무성분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0.1 ~ 5 중량부 함유하는 중공고무 입자 30 ~ 90 중량% 의 존재 하에,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방향족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 60 ~ 100 중량% 와 그 외의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4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10 ~ 70 중량% 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염화비닐계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량제에 있어서, 가교제의 사용량이 0.1 ~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량제에 있어서, 가교제의 사용량이 0.2 ~ 0.7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개량제에 있어서, 라텍스 상태에서의 중공고무의 평균입경이 50 ~ 300 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염화비닐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및 상기 내충격성 개량제로 이루어지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중공고무 입자를 합성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예컨대, 하기와 같은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합성 라텍스의 응용」, 스기무라 다가아끼 (杉村孝明) 들, p 285). 본 발명의 라텍스 상태에서 중공을 갖는 고무입자는 어느 방법으로 제조하여도 된다.
(a) W/O/W 에멀션을 제작하고, O 층의 모노머를 중합시키는 방법 (O: 친유성, W: 친수성).
(b) 팽윤성의 코어를 갖는 코어ㆍ쉘 입자를 쉘층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로 팽윤시켜서 중공화하는 방법.
(c) 용해도 파라미터가 상이한 폴리머의 이단계 중합에 의한 방법.
(d) 가교성 모노머와 친수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중합성 모노머와 유성물질을 수중에서 미분산하여 O/W 에멀션을 만들고, 모노머를 중합하여 유성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e) 입자중에 공중합되어 있는 카르복실산이 산 또는 알칼리 조건하에서 입자 중에서 이동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공 고무성분은 유리전이온도가 0 ℃ 이하의 고무 탄성체라면 어떤 것이라도 되지만, 유리전이온도는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는 0 ℃ 이하인 것이 필요하지만, - 20 ∼ - 13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0 ℃ 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개량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의 구체예로서는 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실리콘계 고무, 올레핀계 고무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엔계 고무로서는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 부타디엔 고무 등이, 아크릴계 고무로서는 아크릴산부틸 고무, 부타디엔 - 아크릴산부틸 고무, 아크릴산 2-에틸헥실 - 아크릴산부틸 고무 등이, 실리콘계 고무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고무 등이, 또 올레핀계 고무로서는 에틸렌 -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 프로필렌 - 디엔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고무 중합에 사용하는 가교제는 고무입자가 성형시에 붕괴되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성형시에 붕괴되는 일은 전혀 없지만, 충격시 (응력하) 에 보이드가 넓어지기 어렵게 되어 최종 성형물의 충격강도는 작다. 가교성 단량체로서는 메타크릴산알릴, 디비닐벤젠, 디알릴프탈레이 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 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가교제의 사용량은 고무성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해 0.1 ~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0.7 중량부이다. 가교제의 사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충격시 (응력하) 고무 내에서 보이드가 넓어지기 어려우므로, 최종 성형체의 내충격성 개량효과가 작게 된다. 한편, 0.1 중량부 미만에서는 고무입자가 성형시에 붕괴되어 흩어지게 되고, 최종 성형체의 내충격성 개량효과를 작게 한다.
중공고무 입자의 존재하에 단량체를 중합할 때, 중공고무 입자에 그 상태로 단량체를 중합하여 그래프트 중합체를 수득하여도 되고, 고무입자의 산 증대나 염 증대 등의 증대기술에 따라 큰 그래프트 중합체로 할 수도 있다.
라텍스 상태에서 중공된 고무의 공극은 고무 라텍스를 에폭시 수지 등으로 채운 후에, 4 산화 루테늄 등으로 염색하여 TEM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트랙 UPA (Ultrafine Particle Analyzer) 등에 의해 고무 라텍스의 입경을 정확하게 측정한 후, 동일 입경의 고무 라텍스의 광산란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공극율을 산출할 수 있다. 라텍스 상태에서의 중공고무의 공극율은 최종 성형체의 내충격성 개성효과의 점에서 3 ~ 90 용량%, 바람직하게는 10 ~ 60 용량% 이다. 공극율이 90 용량% 를 초과하면, 고무입자가 성형시에 붕괴되는 일이 있어 안정적으로 충격강도를 개량할 수 없다. 공극율이 3 % 미만에서는 최종 성형체가 충격시에 고무 내에서의 보이드의 발생ㆍ확대가 진행되기 어렵고, 내충격성의 개량효과 가 작아지게 된다.
최종 성형체의 내충격성 개량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입경은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최적의 값이 다소 다르지만, 0.05 ~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내충격성의 개량효과가 작게 되는 경향이 있다.
중공고무의 합성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화중합을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중공 고무성분 30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 88 중량% 의 존재 하에서 단량체 10 ~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2 ~ 40 중량% 를 중합하여 이루어진다. 중공 고무성분이 30 중량% 미만에서는 내충격성의 개량효과가 작고, 또 90 중량% 를 초과하면 배합된 성형체의 성형시에 내충격성 개량제의 입자가 붕괴되어 성형체의 내충격성의 개량효과가 작게 된다.
중공고무 입자의 존재 하에서 중합하는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방향족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염화비닐 중 1 종 이상을 60 중량% 이상 함유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이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방향족비닐 화합물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클로르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시안화비닐 화합물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 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그외의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상기 이외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염화비닐계 수지로서는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아세트산비닐이나 에틸렌 등의 염화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물이나 염소화 염화비닐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내충격성 개량제는 통상 1 ~ 30 중량부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중량부 미만에서는 내충격성 개량효과가 거의 확인되지 않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최종 성형체의 인장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 200 중량부, 올레인산 나트륨 3.5 중량부, 인산 3칼륨 0.4 중량부, β-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의 Na 염 0.2 중량부를 혼합한 후, 부틸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t-도데실메르캅탄 3 중량부, 파라-메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중량부를 혼합한 후, 50 ℃ 로 승온하였다. 황산 제1철 (FeSO4ㆍ7H2O) 0.002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ㆍ2Na 염 0.005 중량부,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 나트륨 0.2 중량부를 첨가하여 1 시간 중합시켰다. 그 후 부틸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 t-도데실메르캅탄 27 중량부, 파라-메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0.9 중량부의 혼합액을 3 시간 동안 연속 추가하였다. 2 시간 후에 중합하여, 평균입경이 0.04 ㎛ 의 시드 (seed) 라텍스 (S-1) 를 수득하였다.
시드 라텍스 S-1 의 2 중량부 (고형분) 과 물 5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여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8 중량부, 알릴메타크릴레이트 0.3 중량부, 5 % 라우릴황산나트륨 수용액 0.75 중량부 (고형분), 물 400 중량부의 혼합물을 호모제나이저에 의해 미분산시켜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황산 제1철 (FeSO4ㆍ7H2O) 0.002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ㆍ2Na 염 0.005 중량부,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 나트륨 0.2 중량부, 파라-메타하이드로퍼옥사이드 1 부를 첨가하고, 40 ℃에서 4 시간 중합시켜 공극율 30 용량%, 입경 0.15 ㎛ 의 중공고무 라텍스 (R-1) 를 수득하였다.
중공고무 라텍스 R-1 85 중량부 (고형분) 를 45 ℃ 로 승온한 후, 5 % 라우릴황산나트륨 수용액 0.15 중량부 (고형분), 황산 제1철 (FeSO4ㆍ7H2O) 0.0016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ㆍ2Na 염 0.004 중량부,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 나트륨 0.2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1 중량부의 혼합액을 1 시간 동안 연속추가하고, 1 시간 후에 중합하여 평균입경 0.18 ㎛ 의 중공 그래프트 공중합체 라텍스 (G-1) 를 수득하였다.
이 중공 그래프트 공중합체 라텍스 (G-1) 를 염화칼슘으로 응고시켜, 열처 리, 탈수, 건조하여 분말상의 중공 그래프트 공중합체 (A-1) 를 수득하였다.
중합도 400 의 염화비닐수지 (가네가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가네비닐 S400) 100 중량부에, 중공 그래프트 공중합체 (A-1) 10 중량부, 옥틸틴메르캅타이드 3.0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1.0 중량부, 스테아르산아미드 0.5 중량부, 몬탄산디올에스테르 0.5 중량부, 가공보조제 (가네가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PA 20) 1.0 중량부를 블렌드하고, 다나베 플라스틱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제 50 mm 단축압출기 (VS 50-26형) 를 사용하여, 회전수: 30 rpm, C1: 140 ℃, C2: 160 ℃, C3: 160 ℃, C4: 165 ℃, D: 160 ℃ 의 조건으로 압출가공하여 수지펠렛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미쯔비시쥬고오 제품 사출성형기 IS-170 G 를 사용하여 사출성형 (C1: 150 ℃, C2: 160 ℃, C3: 170 ℃, 노즐: 175 ℃, 금형온도: 40 ℃) 하여, 덤벨, 아이조드 시험용 시험편을 수득하였다. JIS-K7110 에 준하여 아이조드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4
고무성분인 알릴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을 각각의 순서로 0.5 중량부, 1.0 중량부, 5.0 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방법으로 합성ㆍ응고ㆍ열처리ㆍ탈수건조분말화ㆍ배합ㆍ성형ㆍ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시드 중합시의 t-도데실메르캅탄의 양을 10 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방법으로 합성ㆍ열처리ㆍ탈수ㆍ건조분말화ㆍ배합ㆍ성형ㆍ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부틸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알릴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부, 5 % 라우릴황산나트륨 수용액 1.2 중량부 (고형분), 물 450 중량부의 혼합물을 호모제나이저에 의해 미분산시켜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황산 제1철 (FeSO4ㆍ7H2O) 0.002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ㆍ2Na 염 0.005 중량부,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 나트륨 0.2 중량부, 파라-메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40 ℃에서 4 시간 중합시켜 공극율 0 용량%, 입경 0.15 ㎛ 의 통상의 고무 라텍스 (R-2) 를 수득하였다.
통상의 고무 라텍스 R-2 85 중량부 (고형분) 를 45 ℃ 로 승온한 후, 5 % 라우릴황산나트륨 수용액 0.15 중량부 (고형분), 황산 제1철 (FeSO4ㆍ7H2O) 0.001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ㆍ2Na 염 0.004 중량부,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 나트륨 0.2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1 중량부의 혼합액을 1 시간 동안 연속추가하고, 1 시간 후에 중합하여 평균입경 0.18 ㎛ 의 통상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라텍스 (G-2) 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방법으로 후처리ㆍ성형ㆍ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고무성분인 알릴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을 7.0 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방법으로 중합ㆍ응고ㆍ열처리ㆍ탈수ㆍ건조미분화ㆍ배합ㆍ성형ㆍ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및 4
고무성분인 알릴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을 각각 7 중량부, 10 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방법으로 중합ㆍ응고ㆍ열처리ㆍ탈수ㆍ건조미분화ㆍ배합ㆍ성형ㆍ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그래프트 중합시의 중공고무량을 5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을 95 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방법으로 중합ㆍ응고ㆍ열처리ㆍ탈수ㆍ건조ㆍ배합ㆍ성형ㆍ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번호 성형체중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성형체
고무의 종류 고무중의 가교제량(%) 고무입자공극율(용량%) 고무량(부) 아이조드 충격강도(kgf-㎝/㎠)
1 2 3 4 5 중공고무 중공고무 중공고무 중공고무 중공고무 0.3 0.5 1.0 5.0 0.5 30 30 30 30 10 85 85 85 85 85 51 65 44 31 40
비교예 1 2 3 4 5 통상고무 통상고무 중공고무 중공고무 중공고무 0.5 7.0 7.0 10.0 0.5 0 0 30 30 30 85 85 85 85 5 21 14 22 16 8
본 발명의 내충격성 개량제는 적절한 가교제를 사용하고, 또한 적절한 공극율의 고무입자를 사용한 내충격성 개량제로서, 염화비닐계 수지에 대하여 우수한 내충격성 개량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유리전이온도 Tg 가 0 ℃ 이하, 라텍스 상태에서의 공극율이 3 ~ 90 용량% 이며, 고무성분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0.1 ~ 0.7 중량부 함유하는 중공고무 입자 30 ~ 90 중량% 의 존재 하에,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방향족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 60 ~ 100 중량% 와 그 외의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4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10 ~ 70 중량% 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염화비닐계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제의 사용량이 0.2 ~ 0.7 중량부인 염화비닐계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라텍스 상태에서의 중공고무의 평균입경이 50 ~ 300 nm 인 염화비닐계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
  5. 염화비닐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및 제 1 항에 기재된 내충격성 개량제로 이루어지는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KR1020017008015A 1999-10-25 2000-10-18 열가소성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 KR100614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02264 1999-10-25
JP30226499 1999-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145A KR20010086145A (ko) 2001-09-07
KR100614019B1 true KR100614019B1 (ko) 2006-08-18

Family

ID=1790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015A KR100614019B1 (ko) 1999-10-25 2000-10-18 열가소성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605672B1 (ko)
EP (1) EP1142951B1 (ko)
KR (1) KR100614019B1 (ko)
CN (1) CN1163535C (ko)
AU (1) AU777756B2 (ko)
CA (1) CA2355113A1 (ko)
DE (1) DE60028183T2 (ko)
MY (1) MY120860A (ko)
TR (1) TR200101873T1 (ko)
TW (1) TW576852B (ko)
WO (1) WO2001030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19304D0 (en) 1999-08-17 1999-10-20 Ici Plc Acrylic composition
US6479559B1 (en) 2001-01-22 2002-11-12 Kaneka Corporation Chlorinate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siding extrusion molding and siding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JP2002317094A (ja) * 2001-04-19 2002-10-3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DE10147795A1 (de) * 2001-09-27 2003-04-10 Basf Ag PVC-Schlagzähmodifier
JP3884661B2 (ja) * 2002-02-15 2007-02-21 株式会社カネカ グラフト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難燃性樹脂組成物
TWI317749B (en) * 2002-02-15 2009-12-01 Kaneka Corp Graft copolymers and impact-resistant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20040039102A1 (en) * 2002-08-26 2004-02-26 Chirgott Paul Steve Polymeric compositions useful in plastic resins
ATE497995T1 (de) * 2004-12-27 2011-02-15 Kaneka Corp Thermoplastharzzusammensetzung
CN101268140B (zh) * 2005-08-11 2012-06-06 Lg化学株式会社 高弹性聚氯乙烯组合物及使用该组合物制备的产品
US20090227734A1 (en) * 2006-03-16 2009-09-10 Kaneka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1497766B1 (ko) 2012-04-03 2015-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IN2014DN09075A (ko) 2012-04-25 2015-05-22 Lg Chemical Ltd
DE102017006359A1 (de) 2017-07-06 2019-01-10 Tesa Se Selbstklebendes Klebeband mit spaltfestem PET-Trä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714A (ja) * 1998-06-05 1998-11-2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836A (en) 1980-06-12 1984-01-24 Rohm And Haas Company Sequential heteropolymer dispersion and a particulate material obtainable therefrom, useful in coating compositions as a thickening and/or opacifying agent
JP2890766B2 (ja) 1990-09-17 1999-05-17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104213B2 (ja) * 1991-03-01 2000-10-30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260486B2 (ja) * 1993-06-18 2002-02-2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耐ブロッキング性の改良された合成樹脂粉末を製造する方法
JPH07309918A (ja) 1994-03-25 1995-11-28 Takeda Chem Ind Ltd 多相重合体粒子凝集体およびこれを含む吸油材
EP0978539A4 (en) * 1997-04-24 2000-04-12 Kaneka Corp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3631361B2 (ja) * 1997-12-04 2005-03-23 株式会社カネカ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100572537B1 (ko) * 1998-07-10 2006-04-24 카네카 코포레이션 내충격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714A (ja) * 1998-06-05 1998-11-2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55113A1 (en) 2001-05-03
CN1327464A (zh) 2001-12-19
WO2001030908A1 (fr) 2001-05-03
CN1163535C (zh) 2004-08-25
EP1142951B1 (en) 2006-05-24
DE60028183D1 (de) 2006-06-29
KR20010086145A (ko) 2001-09-07
EP1142951A4 (en) 2004-05-26
TW576852B (en) 2004-02-21
EP1142951A1 (en) 2001-10-10
AU777756B2 (en) 2004-10-28
AU7947400A (en) 2001-05-08
MY120860A (en) 2005-11-30
DE60028183T2 (de) 2007-03-29
US6605672B1 (en) 2003-08-12
TR200101873T1 (tr)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019B1 (ko) 열가소성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제
JP2000212293A (ja) テキスチャ―表面及びつや消し外観を有するポリマ―物品
JP3923539B2 (ja) 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822143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N112930360A (zh) 用于产生接枝共聚物粉末组合物和热塑性树脂组合物的方法
KR100572537B1 (ko) 내충격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77887C (zh) 改进了耐粘连性的抗冲击性改性剂
KR100604691B1 (ko) 입자중에 물을 함유하는 고무 라텍스의 제조 방법
EP0621291B1 (en) Processes for preparing polymeric gloss modifier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unds containing same
KR10071981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632961A (ja) 耐衝撃性、耐候性、成形性及び外観に優れ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501015B2 (ja) 耐衝撃性、耐候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AU662860B2 (en) Processes for preparing polymeric gloss modifier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unds containing the same
JPS59138256A (ja) 樹脂組成物
JPH10310714A (ja) 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645663B2 (ja) 耐衝撃性、耐候性、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JP200313809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131429A (ja) 耐ブロッキング性の改良された耐衝撃性改良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