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386B1 - 파킹 브레이크 구조 - Google Patents

파킹 브레이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386B1
KR100609386B1 KR1020040059286A KR20040059286A KR100609386B1 KR 100609386 B1 KR100609386 B1 KR 100609386B1 KR 1020040059286 A KR1020040059286 A KR 1020040059286A KR 20040059286 A KR20040059286 A KR 20040059286A KR 100609386 B1 KR100609386 B1 KR 10060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wheel
drum
brake drum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287A (ko
Inventor
가네코쇼지
혼다요시노부
나카이에히로카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2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4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comprising a rotor engaged both axially and radially by braking members, e.g. combined drum and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0Drums for externally- 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2Discs; Drums for disc brakes
    • F16D65/123Discs; Drums for disc brakes comprising an annular disc secured to a hub member; Disc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4Connection
    • F16D2065/1376Connection inner circumfer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4Connection
    • F16D2065/138Connection to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브레이크 사이즈의 설정 자유도를 높여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파킹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한다.
후륜에 주행용 브레이크인 리어 브레이크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드럼 브레이크식의 파킹 브레이크 구조에 있어서, 후륜의 휠(32)에 형성된 오목부(55) 내에 휠(32)과는 별체의 브레이크 드럼(5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킹 브레이크 구조{PARKING BRAK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주요부의 확대 구성도,
도 4는 도 2에서의 주요부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2에서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의 도 3에 상당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104 : 후륜(차륜) 6 : 리어 브레이크(주행용 브레이크)
30 : 리어 액슬(액슬) 32, 132 : 휠
51, 151 : 브레이크 드럼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 등에 사용되는 드럼 브레이크식의 파킹 브레이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 이륜차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구 성되는 주행용 브레이크 외에 기계식의 파킹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파킹 브레이크 중에는, 차륜의 휠의 허브부에 브레이크 드럼을 일체로 설치하고, 그 내측에 브레이크 슈를 구비한 드럼 브레이크로서 구성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휠의 허브부에는, 주행용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부착부 등도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부착부로 둘러싸인 부위가 브레이크 드럼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11-310184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에서는, 차량의 주행 성능을 높이기 위해 주행용 브레이크를 대형화한 경우에, 주행 성능에 좌우되지 않는 파킹 브레이크까지 대형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브레이크 사이즈의 설정 자유도를 높여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파킹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차륜(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후륜(4))에 주행용 브레이크(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리어 브레이크(6))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드럼 브레이크식의 파킹 브레이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휠(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휠(32))에 형성된 오목부(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서의 오목부(55)) 내에 이 휠과와는 별체의 브레이크 드럼(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브레이크 드럼(5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륜의 휠 형상과 브레이크 드럼의 형상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파킹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사이즈의 설정 자유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휠 형상의 자유도도 높아진다.
또, 휠과 브레이크 드럼을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휠 및 브레이크 드럼에 호환성이 생겨 범용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재료의 선택 자유도도 높아진다. 또한, 휠에 브레이크 드럼을 주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휠 및 브레이크 드럼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특히,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드럼이 상기 휠과 착탈가능하며 액슬(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리어 액슬(3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휠 및 브레이크 드럼을 액슬에 개별적으로 장착하는 한편, 액슬로부터 개별적으로 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차륜(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후륜(104))에 주행용 브레이크(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리어 브레이크(6))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드럼 브레이크식의 파킹 브레이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휠(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휠(132))과는 별체의 브레이크 드럼(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브레이크 드럼(151))을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 드럼이 상기 휠과 착탈가능하며 상기 차륜의 액슬(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의 리어 액슬(3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륜의 휠 형상과 브레이크 드럼의 형상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파킹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사이즈의 설정 자유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휠 형상의 자유도도 높아진다.
또, 휠과 브레이크 드럼을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휠 및 브레이크 드럼에 호환성이 생겨 범용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재료의 선택 자유도도 높아진다. 또한, 휠에 브레이크 드럼을 주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휠 및 브레이크 드럼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휠 및 브레이크 드럼을 액슬에 개별적으로 장착하는 한편, 액슬로부터 개별적으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드럼이 상기 휠과 함께 상기 액슬에 세레이션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볼트 너트 등을 사용하여 휠에 브레이크 드럼이 결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또한 컴팩트하게 브레이크 드럼과 액슬을 회전 부동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자동 이륜차(1)는 저바닥 플로어(2)를 갖는 스쿠터형 차량이며, 그 전륜(3) 및 후륜(4)에는 각각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구성되는 프론트 브레이크(5) 및 리어 브레이크(6)가 각각 주행용 브레이크로서 설치된다. 전륜(3)은 프론트 포크(7)에 축지지되고, 프론트 포크(7)는 핸들 스템(8)을 통해 차체 프 레임(10)의 헤드 파이프(11)에 조타가능하게 피벗지지된다. 핸들 스템(8)의 상단부에는 핸들(12)이 부착되고, 이 핸들(12)의 좌우의 그립부에는 리어 브레이크(6) 및 프론트 브레이크(5)의 조작자인 브레이크 레버(13, 13)가 각각 설치된다.
차체 프레임(10)은, 헤드 파이프(11)로부터 대략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파이프(14)와, 헤드 파이프(11)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만곡하여 메인 파이프(14)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 접합되는 다운 파이프(15)를 구비한 소위 크레이들형으로 구성된다. 차체 프레임(10)은 몸체 커버(16)에 의해 덮여지는 동시에 이들을 지지한다. 이 몸체 커버(16)는, 인너측 커버(16a), 프론트 카울(16b), 및 프론트 카울(16b)에 후방 또한 하방에서 연속하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언더 커버부(16c)를 갖고, 이 몸체 커버(16)의 일부가 저바닥 플로어(2)를 형성하고 있다. 몸체 커버(16)의 상부 후측에는, 몸체 커버(16) 내의 물품 수용실(도시 생략)과, 그 물품 수용실의 뚜껑부가 되어 개폐 가능한 승차자용 시트(17)가 설치된다.
차체 프레임(10)의 후부에는 링크 기구(18)를 통해 스윙 유닛(20)의 전부가 요동가능하게 피벗지지된다. 스윙 유닛(20)은, 그 전부에 설치되는 엔진(21)과 후부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 기구(22)를 일체로 구성한 것이며, 스윙 유닛(20) 후부의 출력축에는 후륜(4)이 연결된다. 또한, 22A는 동력 전달 기구(22)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이다. 스윙 유닛(20)의 후단부와 차체 프레임(10)의 후단부의 사이에는 좌우 1쌍의 리어 쿠션(23, 23)이 설치된다. 또한, 24는 연료 탱크, 25는 라디에이터, 26은 에어클리너 케이스, 27은 사일렌서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1)의 크랭크 케이스(21A)의 후부 좌측은 후 방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 부분 및 전동 커버(22B)에 의해 동력 전달 기구(22)를 수납하는 전동 케이스(22A)가 형성된다. 전동 케이스(22A)의 후부 우측에는 기어 커버(28)가 부착되고, 이 기어 커버(28)에 동력 전달 기구(22)의 출력축인 리어 액슬(30)이 케이스측 래디얼 볼 베어링(이하, 케이스측 베어링이라고 한다)(3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전동 케이스(22A)의 후부 우측이며 엔진(21)의 후방에는 후륜(4)이 배치되어, 이 후륜(4)과 리어 액슬(30)이 회전 부동으로 연결됨으로써, 엔진(21)의 구동력이 동력 전달 기구(22)를 통해 후륜(4)에 전달된다.
후륜(4)의 휠(32)은, 타이어(33)가 장착되는 림부(34), 리어 액슬(30)이 관통하는 허브부(35), 및 림부(34)와 허브부(35)에 걸친 디스크부(36)가 일체로 구성된,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크부(36)는 후륜(4)의 좌우방향 중심(자동 이륜차(1)의 차폭방향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변위한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우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이 되도록 팽출 형성된다.
또, 디스크부(36)의 중앙에 위치하는 허브부(35)는, 개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부에는 철제의 휠 칼라(37A)가 주조되는 허브 본체(37)와, 허브 본체(37)의 우측에서 매끄럽게 넓어져 디스크부(36)로 연속되는 베이스부(38)와, 베이스부(38)로부터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차속 검출 장치(39)의 펄서 디스크(40)가 부착되는 다수의 좌측 보스부(41)와, 베이스부(38)로부터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리어 브레이크(6)의 브레이크 디스크(42)가 부착되는 다수의 우측 보스부(43)를 구비한다. 각 우측 보스부(43)에는 링형상을 이루는 브레이크 디스크(42)의 내주쪽 부위가 고정용 볼트(44)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각 좌측 보스부(41)에는 링형상을 이루는 펄서 디스크(40)의 내주쪽 부위가 고정용 비스(45)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허브부(35)를 관통하여 좌측으로 돌출하는 리어 액슬(30)의 우단부는, 보조 아암(46)에 의해 아암측 래디얼 볼 베어링(이하, 아암측 베어링이라고 한다)(47)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조 아암(46)은, 그 전단부가 크랭크 케이스(21A)의 우측 후부에 부착되고, 또한 후부가 우측으로 변위하도록 완만한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하면서 후륜(4)의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보조 아암(46)의 우측에는 사일렌서(27)가 배치된다. 보조 아암(46)의 후부는 허브부(35)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보조 아암(46)과 허브부(35)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는 우측 보스부(43)에 지지된 브레이크 디스크(42)가 배치된다.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조 아암(46)은 상하방향에서 폭이 넓은 형상을 갖고, 또한 후방을 향해 상하방향의 폭을 좁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아암(46)은, 그 전단부의 상하 2개소가 크랭크 케이스(21A)에 볼트 체결된다. 또한, 보조 아암(46) 및 전동 케이스(22)의 후단부에는, 각 리어 쿠션(23, 23)의 하단부를 부착하기 위한 연결부(23A, 23A)가 각각 설치된다. 보조 아암(46)의 측면에서 봐서 대략 중앙부분에는 개구(46a)가 형성되고, 이 개구(46a)에 면하도록 리어 브레이크(6)의 브레이커 캘리퍼(48)가 설치된다. 보조 아암(46)에는 캘리퍼 브래킷(48a)이 고정되고, 이 캘리퍼 브래킷(48a)을 통해 브레이크 캘리퍼(48)가 보조 아암(46)에 부착된다.
기어 커버(28)의 후방에는 차속 검출 장치(39)의 펄서 센서(49)가 배치되고, 이 펄서 센서(49)가 펄서 디스크(40)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의 간격을 검출함으로써 차륜 속도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아암(46)과 허브부(35)의 사이에는, 자동 이륜차(1)의 파킹 브레이크로서 기능하는 드럼 브레이크(50)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브레이크(50)는, 리어 액슬(30)에 회전 부동으로 부착되는 브레이크 드럼(51)과, 브레이크 드럼(51)의 내주에 마찰 접촉할 수 있도록 보조 아암(46)에 지지되는 1쌍의 브레이크 슈(52, 52)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드럼(51)은, 우측(차폭방향 외측)이 개구하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철제의 드럼 본체(53)와, 이 드럼 본체(53)의 바닥부 중앙의 삽입통과구멍에 삽입통과되는 원통형상과 같이 철제의 드럼 허브(54)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삽입통과구멍은, 그 둘레가장자리부에 드럼 본체(53)의 바닥부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하는 원통벽(5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통벽(53a)의 내주면과 드럼 허브(54)의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로 드럼 본체(53)와 드럼 허브(54)가 결합된다.
여기서, 각 우측 보스부(43)는, 허브부(35)의 둘레방향에서 서로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의해, 허브부(35) 우측에는 우측(차폭방향 외측)이 개구하는 대략 원형의 오목부(55)가 형성된다. 드럼 본체(53)는 오목부(55)와 개략 정합하도록 형성되고, 리어 액슬(30)에 부착된 상태로 브레이크 드럼(51)이 오목부(55) 내에 간극을 갖고 수용된다.
보조 아암(46)에는, 그 아암 본체(56)에 리어 액슬(30)과 동심인 작업구멍(57)이 형성된다. 또한, 이 작업구멍(57)은, 휠(32) 및 브레이크 드럼(51) 등을 리어 액슬(30)에 고정하기 위한 후술하는 고정용 너트(58)의 릴리프 구멍이며, 조 임 공구의 삽입구멍이다. 또, 보조 아암(46)의 좌측에는, 아암 본체(56)로부터 허브부(35)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그 내주부에서 아암측 베어링(47)을 유지하는 아암측 보스부(59)가 설치된다.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암측 보스부(59)의 직경방향 외측에는, 드럼 브레이크(50)의 각 브레이크 슈(52)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6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베이스부(60)는 보조 아암(46)과 일체로 설치된다. 이 베이스부(60)에는, 각 브레이크 슈(52)의 지지축이 되는 앵커 핀(61)이 세워져 설치되고, 또한 각 브레이크 슈(52)를 브레이크 드럼(51)의 내주에 마찰 접촉시키기 위해 확장 작동시키는 캠축(62)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베이스부(60)에 의해 지지된 각 브레이크 슈(52)가, 브레이크 드럼(51) 내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캠축(62)은 베이스부(60)를 우측을 향해 관통하고 있고, 그 관통 부분에는 작동 레버(63)가 회전 부동으로 부착된다. 이 작동 레버(63)는, 케이블(63a)을 통해 파킹 레버 등의 조작자(도시 생략)와 연계된다. 그리고, 조작자가 조작되면, 작동 레버(63)에 의해 캠축(62)이 구동하여, 각 브레이크 슈(52)가 확장되어 브레이크 드럼(51)의 내주에 마찰 접촉한다. 이 상태로 조작자가 잠기면, 후륜(4)의 회전이 제동된 상태로 유지되어 파킹 브레이크로서 기능한다.
드럼 본체(53) 외벽의 우측 둘레가장자리부에는, 허브부(35)의 오목부(55) 개구보다도 더 우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단차를 통해 직경이 넓어지는 연장부(64)가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부(60)에는 연장부(64)를 직경방향에서 사이에 끼도록 형성되는 꺾임부(65)가 형성된다. 이들 연장부(64) 및 꺾임부(65)에 의해 소위 래 버린스(labyrinth) 구조가 형성되어, 우천 주행시의 진흙, 모래 등이나 리어 브레이크(6)의 패드 마모가루 등이 브레이크 드럼(51) 내에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기어 커버(28)의 리어 액슬(30)이 삽입통과되는 부위에는 커버 허브부(66)가 형성되고, 이 커버 허브부(66)의 내주부에서 케이스측 베어링(31)이 유지된다. 리어 액슬(30)에는 케이스측 베어링(31)의 내륜에 좌측으로부터 맞닿는 링형상 단차부(67)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 허브부(66)에는 케이스측 베어링(31)의 외륜에 우측으로부터 맞닿는 내주 돌출부(68)가 형성된다. 케이스측 베어링(31)의 내륜 우측에는 칼라(69)를 통해 허브부(35)의 허브 본체(37) 좌단이 맞닿는다. 또한, 허브 본체(37) 우단에는 브레이크 드럼(51)의 드럼 허브(54) 좌단이 맞닿는다.
여기서, 리어 액슬(30)의 외주부와 허브 본체(37)의 내주부 및 드럼 허브(54)의 내주부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세레이션이 새겨져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어 액슬(30)과 허브 본체(37)(허브부(35)) 및 드럼 허브(54)(브레이크 드럼(51))가 세레이션 끼워맞춤에 의해 회전 부동으로 결합된다. 즉, 휠(32)과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드럼(51)이 리어 액슬(30)에 지지되게 된다.
아암측 베어링(47)은 케이스측 베어링(31)보다도 소직경이고, 이것에 대응하여 리어 액슬(30)이 아암측 베어링(47)의 좌측에서 직경이 축소된다. 즉, 리어 액슬(30)의 우측 선단쪽 부위에 직경축소부(70)가 형성된다. 직경축소부(70)의 선단부에는 숫나사가 새겨져 설치되어 상기 고정용 너트(58)가 나사식 부착된다.
드럼 허브(54) 우단은 아암측 베어링(47)의 내륜 좌측과 맞닿고, 아암측 베 어링(47)의 내륜 우측은 칼라(71)를 통해 고정용 너트(58)에 맞닿는다. 즉, 리어 액슬(30)의 링형상 단차부(67)와 고정용 너트(58)의 사이에, 케이스측 베어링(31) 내륜, 칼라(69), 허브부(35), 브레이크 드럼(51), 아암측 베어링(47) 내륜, 및 칼라(71)가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이들이 고정용 너트(58)를 조임으로써 리어 액슬(30)에 고정된다. 또한, 보조 아암(46)에는 아암측 베어링(47)의 외륜에 좌우로부터 맞닿아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용 써클립(72) 및 내주 돌출부(73)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파킹 브레이크 구조는, 자동 이륜차(1)의 후륜(4)에 주행용 브레이크인 리어 브레이크(6)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드럼 브레이크식이며, 후륜(4)의 휠(32)에 형성된 오목부(55) 내에 휠(32)과는 별체의 브레이크 드럼(51)이 배치되는 것이므로, 후륜(4)의 휠 형상, 특히 허브부(35)의 형상과 브레이크 드럼(51)의 형상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이륜차(1)의 주행 성능을 높이기 위해 리어 브레이크(6)가 대형화되는 경우, 이에 따라 후륜(4)의 휠(32)의 허브부(35)의 직경이 확대되어도 브레이크 드럼(51)까지 대형화되지 않는다. 또, 브레이크 드럼(51)을 적정한 사이즈로 억제하기 위해 허브부(35)를 두껍게 하는 등, 휠(32) 형상에 제한을 주지도 않는다.
이 때문에, 파킹 브레이크인 드럼 브레이크(50)의 브레이크 사이즈(브레이크 용량)의 설정 자유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휠(32)의 형상의 자유도도 높아져, 최적 설계에 의한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휠(32)과 브레이크 드럼(51)이 별체로 구성됨으로써, 휠(32) 및 브레이 크 드럼(51)에 호환성이 생겨 범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재료의 선택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휠(32)에 브레이크 드럼(51)을 주조할 필요가 없어, 휠(32) 및 브레이크 드럼(51)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파킹 브레이크 구조는, 브레이크 드럼(51)이 휠(32)과 착탈가능하며 리어 액슬(30)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휠(32) 및 브레이크 드럼(51)을 리어 액슬(30)에 개별적으로 장착하는 한편, 리어 액슬(30)로부터 개별적으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문에, 후륜(4) 주위의 조립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킹 브레이크 구조는, 브레이크 드럼(51)이 휠(32)과 함께 리어 액슬(30)에 세레이션 끼워맞춤되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볼트 너트 등을 사용하여 휠(32)에 브레이크 드럼(51)이 결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또한 컴팩트하게 브레이크 드럼(51)과 리어 액슬(30)을 회전 부동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문에, 확실한 브레이크 성능을 유지한 상태로 부품 수 및 장착 공정수를 삭감하여 중량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대해, 휠의 허브부로부터 우측 보스부(43) 및 오목부(55)를 없애고, 휠과는 별체의 브레이크 드럼에 리어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고정한 점에서 다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이륜차(101)의 후륜(104)의 휠(132)의 허브 부(135)는, 디스크부(36)로부터 좌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철제의 휠 칼라(37A)가 주조되는 허브 본체(37)와, 허브 본체(37)의 우측에서 매끄럽게 넓어져 디스크부(36)로 연속되는 베이스부(38)와, 베이스부(38)로부터 좌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차속 검출 장치(39)의 펄서 디스크(40)가 부착되는 다수의 좌측 보스부(41)를 구비한다. 각 좌측 보스부(41)에는 링형상의 펄서 디스크(40)의 내주쪽 부위가 고정용 비스(45)에 의해 고정된다.
보조 아암(46)과 허브부(135) 사이의 중앙 근방에는 브레이크 디스크(42)가 설치되고, 이 브레이크 디스크(42)에 대응하는 브레이크 캘리퍼(48)가 보조 아암(46)의 개구(46a)에 면하도록 설치된다(도 4 참조). 그리고, 보조 아암(46)과 허브부(135)의 사이에는, 파킹 브레이크로서의 드럼 브레이크(150)가 설치된다.
드럼 브레이크(150)는, 리어 액슬(30)에 회전 부동으로 부착되는 브레이크 드럼(151)과, 브레이크 드럼(151)의 내주에 마찰 접촉할 수 있도록 보조 아암(46)에 지지되는 1쌍의 브레이크 슈(52, 52)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드럼(151)은, 예를 들면 휠(132)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다이캐스트품이며, 우측(차폭방향 외측)이 개구하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벽에 철제의 드럼 본체(153A)가 주조되는 본체부(153)와, 이 본체부(153)의 바닥부 중앙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며 철제의 드럼 칼라(154A)가 주조되는 드럼 허브부(1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브레이크 드럼(151)의 둘레벽(143)은 직경방향에서 두꺼워지고, 이 둘레벽(143)에는 브레이크 디스크(42)에 대응하는 축방향으로 평행한 너트구멍이 다수 형 성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151)의 둘레벽(143)이 브레이크 디스크(42)의 부착부가 되고, 둘레벽(143)의 우단에 브레이크 디스크(42)를 맞닿게 한 상태로 각 너트구멍에 고정용 볼트(44)를 조임으로써, 브레이크 드럼(151)과 브레이크 디스크(42)가 일체로 결합된다.
보조 아암(46)의 좌측에는, 아암 본체(56)로부터 허브부(135) 측방향으로 돌출하여 그 내주부에서 아암측 베어링(47)을 유지하는 아암측 보스부(59)가 설치되고, 아암측 보스부(59) 근방에는 드럼 브레이크(150)의 각 브레이크 슈(52)를 지지하는 링형상의 베이스부(160)가 배치된다. 베이스부(160)와 보조 아암(46)은 별체이며, 베이스부(160)가 보조 아암(46)에 회전 부동으로 지지된다. 베이스부(160)에는, 각 브레이크 슈(52)의 지지축이 되는 앵커 핀(61), 및 각 브레이크 슈(52)를 확장 동작시키는 캠축(62)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60)에 의해 지지된 각 브레이크 슈(52)가 브레이크 드럼(151) 내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부(160)의 외주부에는, 브레이크 드럼(151) 내에 물방울이나 이물질이 들어가기 어렵게 하기 위한 플랜지부(165A, 165B)가 형성된다.
리어 액슬(30)의 외주부와 허브 본체(37)의 내주부 및 드럼 허브부(154)의 내주부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세레이션이 새겨져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어 액슬(30)과 허브 본체(37)(허브부(135)) 및 드럼 허브부(154)(브레이크 드럼(151))는 세레이션 끼워맞춤에 의해 회전 부동으로 결합된다. 즉, 휠(32)과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드럼(151)이 리어 액슬(30)에 지지되게 된다.
리어 액슬(30)의 링형상 단차부(67)와 고정용 너트(58)의 사이에는, 케이스 측 베어링(31) 내륜, 칼라(69), 허브부(135), 브레이크 드럼(151), 아암측 베어링(47) 내륜, 및 칼라(71)가 축방향으로 나란희 배치되며, 이들이 고정용 너트(58)를 조임으로써 액슬(30)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의 파킹 브레이크 구조는, 자동 이륜차(101)의 후륜(104)에 주행용 브레이크인 리어 브레이크(6)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드럼 브레이크식이고, 후륜(104)의 휠(132)과는 별체의 브레이크 드럼(151)을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 드럼(151)이 휠(132)과 착탈가능하며 리어 액슬(30)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드럼(151)의 형상과 휠(132)의 형상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아, 파킹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사이즈나 휠(132)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고,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휠(132) 및 브레이크 드럼(151)에 호환성이 생겨 범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재료의 선택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후륜(104) 주위의 조립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브레이크 드럼(151)이 리어 휠(132)과 함께 리어 액슬(30)에 세레이션 끼워맞춤됨으로써, 확실한 브레이크 성능을 유지한 상태로 부품 수 및 장착 공정수를 삭감하여 중량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우측 보스부(43)를 연접하지 않는, 즉 오목부(55)의 전체 둘레 중의 일부를 생략하도록 구성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각 브레이크 슈(52)에 고착되는 라이닝(마찰재)을 브레이크 드럼(51)의 내주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브레이크 드럼(51)은 주조품 또는 단조품 등의 철제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동 등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금속, 강화 수지, 세라믹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드럼(151) 자체를 철제로 하면, 드럼 칼라(154A)나 드럼 본체(153A)를 주조할 필요가 없어, 휠(132) 및 브레이크 드럼(151)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 휠(32)의 디스크부(36)의 배치나 형상을 좌우로 교체하거나 또는 좌우 대칭으로 하는 등 해도 되고, 또한 브레이크 디스크(42)나 브레이크 캘리퍼(48)의 배치 등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쿠터형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삼륜 및 사륜 등의 차량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파킹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사이즈의 설정 자유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휠 형상의 자유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최적 설계에 의한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휠과 브레이크 드럼을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휠 및 브레이크 드럼에 호환성을 발생시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재료의 선택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휠에 브레이크 드럼을 주조할 필요가 없어, 휠 및 브레이크 드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휠 및 브레이크 드럼을 액슬에 개별적으로 장착하는 한편, 액슬로부터 개별로 떼어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차륜 주위의 조립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파킹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사이즈의 설정 자유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휠 형상의 자유도도 높아지므로, 최적 설계에 의한 중량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휠과 브레이크 드럼을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휠 및 브레이크 드럼에 호환성을 발생시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재료의 선택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휠에 브레이크 드럼을 주조할 필요가 없어, 휠 및 브레이크 드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휠 및 브레이크 드럼을 액슬에 개별적으로 장착하는 한편, 액슬로부터 개별적으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차륜 주위의 조립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또한 컴팩트하게 브레이크 드럼과 액슬을 회전 부동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확실한 브레이크 성능을 유지한 상태로 부품 수 및 장착 공정수를 삭감하여 중량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차륜에 주행용 브레이크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드럼 브레이크식의 파킹 브레이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휠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이 휠과는 별체의 브레이크 드럼이 배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드럼이 상기 휠과 착탈가능하며 액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구조.
  3. 차륜에 주행용 브레이크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드럼 브레이크식의 파킹 브레이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휠과는 별체의 브레이크 드럼을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 드럼이 상기 휠과 착탈가능하며 상기 차륜의 액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이 상기 휠과 함께 상기 액슬에 세레이션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구조.
KR1020040059286A 2003-08-27 2004-07-28 파킹 브레이크 구조 KR100609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9118 2003-08-27
JP2003209118A JP4476576B2 (ja) 2003-08-27 2003-08-27 パーキングブレーキ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287A KR20050022287A (ko) 2005-03-07
KR100609386B1 true KR100609386B1 (ko) 2006-08-08

Family

ID=3422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286A KR100609386B1 (ko) 2003-08-27 2004-07-28 파킹 브레이크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476576B2 (ko)
KR (1) KR100609386B1 (ko)
CN (1) CN1263965C (ko)
DE (1) DE102004037006B4 (ko)
IT (1) ITTO20040525A1 (ko)
TW (1) TWI2488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9344B2 (ja) * 2003-10-10 2008-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GB0618416D0 (en) * 2006-09-19 2006-11-01 Spa A brake carrier
DE102007013401A1 (de) * 2007-03-20 2008-09-25 Rex Industrie-Produkte Graf Von Rex Gmbh Bremsscheibe, insbesondere für Magnetbremsen
TWI405919B (zh) * 2010-05-14 2013-08-21 Sanyang Industry Co Ltd 機車結構
WO2014034476A1 (ja) * 2012-08-29 2014-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CN104687236A (zh) * 2015-01-06 2015-06-10 云南瑞升烟草技术(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卷烟纸的烟草纤维的制造方法
JP6683027B2 (ja) * 2016-06-14 2020-04-15 スズキ株式会社 ブレーキディスクとスピードセンサーリングの取付構造
DE202017101967U1 (de) * 2017-04-04 2018-07-05 Saf-Holland Gmbh Abdeckelement und Radlagereinrichtung
CN109695645B (zh) * 2017-10-24 2024-03-05 广东洛梵狄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轮毂制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1626A (en) * 1951-07-14 1955-02-08 Dayton Steel Foundry Co Brake drum
HU167207B (ko) * 1972-05-17 1975-09-27
DE2430060A1 (de) * 1974-06-22 1976-01-15 Klaue Hermann Bremse fuer kraftfahrzeuge, bestehend aus der kombination einer vollbelagscheibenbetriebsbremse und einer trommelfeststellbremse
JP4212009B2 (ja) * 1998-04-30 2009-01-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二輪車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8088A (en) 2005-03-01
JP4476576B2 (ja) 2010-06-09
ITTO20040525A1 (it) 2004-10-28
TWI248899B (en) 2006-02-11
KR20050022287A (ko) 2005-03-07
DE102004037006A1 (de) 2005-03-31
JP2005067261A (ja) 2005-03-17
CN1590209A (zh) 2005-03-09
DE102004037006B4 (de) 2006-03-23
CN1263965C (zh)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60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カバー構造
WO2014069051A1 (ja) 鞍乗型車両のブレーキキャリパ配置構造
KR100609386B1 (ko) 파킹 브레이크 구조
JP363426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7231991A (ja) 車両の減速装置
US7793764B2 (en) Wet brake system for a vehicle and a utility vehicle comprising the wet brake system
US5607031A (en) Bicycle brake with detachable slave cylinder
JP4409638B2 (ja) スクータ用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
JP2010270888A (ja) 鞍乗型車両のブレーキディスク締付け構造
EP2927021B2 (en) Wheel support mechanism
JP3200770B2 (ja) 自動二輪車
JP6605998B2 (ja) キャストホイール、及び、鞍乗型車両
CN113939445B (zh) 用于车辆的制动单元、包括该制动单元的制动装置以及包括该制动单元和/或该制动装置的车辆
JP4620608B2 (ja) 車両の減速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取付構造
JP6994583B2 (ja) 車輪構造
JP2006069437A (ja) 鞍乗り型不整地走行車両のブレーキホース支持構造
JP2011201398A (ja) 自動二輪車のホイール
JP4294897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部構造
JP6411879B2 (ja) 鞍乗型車両
JP6850823B2 (ja) キャストホイール
JP7362513B2 (ja) 作業車
US20050056497A1 (en) Disc rotor of disc brake device for vehicle and disc brake device
JP3748558B2 (ja) 自動二輪車のホイール構造
JP4384957B2 (ja) 車両用ホイール
JP4093644B2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