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328B1 - 리드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리드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328B1
KR100598328B1 KR1020040104996A KR20040104996A KR100598328B1 KR 100598328 B1 KR100598328 B1 KR 100598328B1 KR 1020040104996 A KR1020040104996 A KR 1020040104996A KR 20040104996 A KR20040104996 A KR 20040104996A KR 100598328 B1 KR100598328 B1 KR 10059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ink arm
base
pi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387A (ko
Inventor
다나카츠토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5006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글러브 박스 등의 리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리드를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의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리드의 개폐장치는 베이스(30)와 리드(20)와 1개의 스프링(70)을 구비한다. 스프링(70)은 베이스(30)와 리드(20)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리드(20)가 폐쇄위치를 넘어선 압입위치까지 압입됨에 의해서 신장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리드(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함과 아울러,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개방된 리드(20)가 소정 각도 폐쇄됨에 의해서 재차 신장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리드(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드의 개폐장치{LID OPENING/CLOSING DEVICE}
도 1은 리드의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리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평면도
도 5는 리드의 가이드 홈의 확대도
도 6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폐쇄되어 있는 리드를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리드가 개방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리드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개방되어 있는 리드를 폐쇄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개폐장치 20 - 리드
21,22 - 힌지부 23 - 회전축 구멍
24 - 가이드 홈 25 - 시단부(始端部)
26 - 로크부 27 - 섹터 기어
30 - 베이스 31 - 개구부
32 - 플랜지 33,34 - 관통구멍
35 - 회전축 36 - 요동축
37 - 지지축 38 - 스토퍼
40 - 스프링장치 50 - 댐퍼장치
51 - 회전댐퍼 60 - 쿠션부재
70 - 스프링 80 - 제 1 링크 암
81 - 지지축 구멍 82 - 스프링 걸이부
90 - 제 2 링크 암 91 - 핀
92 - 스프링 걸이부 93 - 보스
100 - 푸시 암 101 - 요동축 구멍
102 - 압상부(押上部) 103 - 연결축
110 - 복귀 스프링 120 - 푸시 로드
121 - 연결축 구멍 122 - 압압부
본 발명은 글러브 박스 등의 리드(lid)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의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이러한 종류의 리드의 개폐장치로서는, 리드를 스프링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탄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3-2059호 공보(단락번호「0008」)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리드의 개폐장치에서는, 리드를 폐쇄하고 자 할 때에는 손으로 리드를 눌러서 폐쇄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리드를 누르면서 폐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의 점에 있다.
〈청구항 1〉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1개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리드를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의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이 1개만 있으면 되기 때 문에, 부품수가 적어지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드를 폐쇄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하고 있기 때문에, 리드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드를 폐쇄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하고 있기 때문에, 리드가 폐쇄위치에서 쓸대없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드를 폐쇄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기구를 생략할 수도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리드를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의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리드를 개방위치에서 45도 폐쇄함에 의해서 리드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 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가이드 홈과 핀의 걸어맞춤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리드를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의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가이드 홈에 핀의 로크부를 형성함으로써, 리드를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6〉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리드가 개방되는 도중에 핀을 스토퍼에 걸어맞춤으로써, 가이드 홈 내에서 핀을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7〉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푸시 암을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8〉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댐퍼장치의 감쇠력에 의해서 천천히 또한 정숙하게 리드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댐퍼장치의 감쇠력에 의해서 천천히 또한 정숙하게 리드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괄호 내의 부호는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 부호도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도면 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리드의 개폐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① 베이스(30)
베이스(3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1)를 가지는 것이다.
② 리드(20)
리드(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에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개구부(31)를 개폐하는 것이다.
③ 스프링(70)
스프링(7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이다.
또, 스프링(7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와 리드(20)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70)은 리드(20)가 폐쇄위치(도 2 참조)를 넘어선 압입위치(도 6 참조)까지 압입됨에 의해서 신장(伸長)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리드(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스프링(7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개방된 리드(20)가 소정 각도(도 9 참조) 폐쇄됨에 의해서 재차 신장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리드(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베이스(30)와 리드(20)와의 사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① 제 1 링크 암(80)
제 1 링크 암(8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37)에 의해서 일단부가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② 제 2 링크 암(90)
제 2 링크 암(9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제 1 링크 암(8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 2 링크 암(9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에 핀(9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2 링크 암(9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링크 암(80)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제 1 링크 암(8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되는 것이다.
③ 푸시 암(100)
푸시 암(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에 지지되며, 리드(20)가 압입위치(도 6 참조)까지 압입됨에 의해서 제 2 링크 암(90)을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70)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④ 가이드 홈(24)
가이드 홈(2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에 형성되며, 핀(91)을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함과 아울러, 리드(20)가 개방위치(도 8 참조)에서 소정 각도(도 9 참조) 폐쇄됨에 의해서 핀(91)을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70)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소정 각도는 45도(도 9 참조)로 설정되어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가이드 홈(24)은 리드(20)의 회전축(35)과 제 1 링크 암(80)의 지지축(37)을 잇는 선의 연장선(도시생략)을 경계로 하여 핀(91)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둘째로, 핀(91)은 연장선을 경계로 하여 리드(20)의 자유단부에서 이탈하는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리드(20)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또, 핀(91)은 연장선을 경계로 하여 리드(20)의 자유단부에 접근하는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리드(20)를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도 2 및 도 9 참조).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가이드 홈(24)은, 리드(20)가 폐쇄된 위치(도 2 참조)에 있어서, 제 1 링크 암(80)의 지지축(37)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37)에 가까운 시단부(25)와 지지축(37)에서 멀리 떨어져 있음과 아울러 절곡된 로크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둘째로, 푸시 암(1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링크 암(90)을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서 핀(91)을 시단부(25)에서 로크부(26)를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6〉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베이스(30)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가 개방되는 도중에 핀(91)과 걸어맞춰지며, 핀(91)을 로크부(26)에서 시단부(25)를 향해서 이동시키기 위한 스토퍼(38)를 형성하고 있다.
〈청구항 7〉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푸시 암(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① 요동축 구멍(101)
요동축 구멍(10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의 도중에 위치하며,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② 압압부{푸시 로드(120)의 압압부(122)}
압압부{푸시 로드(120)의 압압부(12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축 구멍(101)을 사이에 둔 일단부에 위치하며, 리드(20)를 향해서 돌출되고, 리드(20)의 자유단부에 의해서 눌려 내려지는 것이다.
③ 압상부(102)
압상부(102)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축 구멍(101)을 사이에 둔 타단부에 위치하며,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제 2 링크 암(90)을 밀어 올리기 위한 것이다.
둘째로, 푸시 암(100)과 베이스(30)와의 사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의 자유단부에 의해서 압압부{푸시 로드(120)의 압압부(122)}가 눌려 내려짐에 의해서 요동축 구멍(101)을 중심으로 회전한 푸시 암(100)을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110)을 설치하고 있다.
〈청구항 8〉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베이스(30)와 리드(20)와 사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댐퍼장치(50)를 설치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리드의 개폐장치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리드의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리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평면도, 도 5는 리드의 가이드 홈의 확대도, 도 6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서, 폐쇄되어 있는 리드를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리드가 개방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리드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개방되어 있는 리드를 폐쇄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리드(20)의 개폐장치(10)〉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은 리드(20)의 개폐장치(10)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개폐장치(10)는, 예를 들면 글러브 박스에 사용되며, 도시하지 않은 자동차의 센터 콘솔에 매설형태로 고정된다.
또한, 개폐장치(10)의 용도는 상기한 글러브 박스에 한정하지 않고, 재떨이 또는 코인 케이스 등에 사용하여도 된다.
또, 개폐장치(10)의 부착위치도 자동차의 센터 콘솔에 한정하지 않고, 자동차의 인스트러먼트 페널, 도어의 내벽, 보디의 내벽, 시트의 배면, 팔걸이, 또는 플로어 등이어도 된다. 또한, 개폐장치(10)의 설치위치는 자동차에 한정하지 않고, 전차, 선박, 사무기기, 또는 가구 등에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 개폐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① 베이스(30)
② 리드(20)
③ 스프링장치(40)
④ 댐퍼장치(50)
⑤ 쿠션부재(60)
또한, 개폐장치(10)의 부품은 상기한 ①∼⑤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30)〉
베이스(3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개구부(31)를 가지는 중공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30)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위를 가진다.
또한, 베이스(30)의 부위는 다음의 ①∼⑤에 한정되지 않는다.
① 플랜지(32)
플랜지(3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1)의 주위에서 돌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플랜지(32)의 좌우 양측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33,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좌우 관통구멍(33,34) 중에서 좌측 관통구멍(33)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푸시 로드(120)의 압압부(12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좌우 관통구멍(33,34) 중에서 우측 관통구멍(34)에는 후술하는 쿠션부재(60)가 부착되어 있다.
② 회전축(35)
회전축(35)은 좌우 1쌍 형성되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좌우 양 측면에서 원통형상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좌우 회전축(3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측에 위치하며, 리드(20)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다.
③ 요동축(36)
요동축(3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좌측면에서 원통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요동축(36)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35)에 비해서 전방측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푸시 암(100)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④ 지지축(37)
지지축(37)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좌측면에서 원통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37)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35) 및 요동축(36)의 하측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제 1 링크 암(8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⑤ 스토퍼(38)
스토퍼(38)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좌측면에서 평판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38)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가 개방되는 도중에 핀(91)과 걸어맞춰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91)을 로크부(26)에서 시단부(25)를 향해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리드(20)〉
리드(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좌우 회전축(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구부(31)를 개폐하는 것이다.
또한, 리드(20)의 개폐방향은 상하방향에 한정하지 않고, 횡방향, 하향 또는 경사방향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리드(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위를 가진다.
또한, 리드(20)의 부위는 다음의 ①∼④에 한정되지 않는다.
① 힌지부(21,22)
힌지부(21,2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의 좌우 양측에서 1쌍 연장되어 있다.
② 회전축 구멍(23)
회전축 구멍(2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힌지부(21,22)의 대략 중앙에 내외로 관통되도록 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회전축 구멍(23)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좌우 양 측면에서 돌출되는 좌우 회전축(35)이 각각 삽입되며, 이 회전축(35)을 중심으로 리드(20)가 베이스(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③ 가이드 홈(24)
가이드 홈(2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의 좌측 힌지부(21)에 대략 'へ'형상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24)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 2 링크 암(90)의 핀(91)이 삽입되며, 이 핀(91)이 가이드 홈(24)을 따라서 이동한다.
또, 가이드 홈(24)은, 리드(20)가 개방위치(도 8 참조)에서 소정 각도{예를 들면, 45도 (도 9 참조)} 폐쇄됨에 의해서 핀(91)을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 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70)을 신장(伸長)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가이드 홈(24)은 리드(20)의 회전축(35)과 제 1 링크 암(80)의 지지축(37)을 잇는 선의 연장선(도시생략)을 경계로 하여 핀(91)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핀(91)은 상기 연장선을 경계로 하여 리드(20)의 자유단부에서 이탈되는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리드(20)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한편, 가이드 홈(24)은, 리드(20)가 폐쇄된 위치(도 2 참조)에 있어서, 제 1 링크 암(80)의 지지축(37)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37)에 가까운 시단부(25)와, 지지축(37)에서 멀리 떨어져 있음과 아울러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 로크부(26)를 구비하고 있다.
④ 섹터 기어(27)
섹터 기어(2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의 좌측 힌지부(21)에 원주의 대략 1/4의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섹터 기어(27)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회전댐퍼(51)의 제동기어가 맞물린다.
〈스프링장치(40)〉
스프링장치(4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스프링(70)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1개의 스프링(7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와 리드(20) 와의 사이, 즉 후술하는 제 1 링크 암(80)과 제 2 링크 암(90)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70)은, 리드(20)가 폐쇄위치(도 2 참조)를 넘어선 압입위치(도 6 참조)까지 압입됨에 의해서 신장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리드(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스프링(7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개방된 리드(20)가 소정 각도{예를 들면, 45도(도 9 참조)} 폐쇄됨에 의해서 재차 신장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리드(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장치(40)는 상기한 1개의 스프링(70) 외에 크게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① 제 1 링크 암(80)
② 제 2 링크 암(90)
③ 스프링(70)
④ 푸시 암(100)
⑤ 복귀 스프링(110)
⑥ 푸시 로드(120)
또한, 스프링장치(40)의 부품은 상기한 ①∼⑥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링크 암(80)〉
제 1 링크 암(8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37)에 의해서 일단부가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링크 암(8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위를 가진다.
또한, 제 1 링크 암(80)의 부위는 다음의 ①, ②에 한정되지 않는다.
① 지지축 구멍(81)
지지축 구멍(8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링크 암(8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좌측면에서 돌출된 지지축(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② 스프링 걸이부(82)
스프링 걸이부(8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 구멍(81)과 마찬가지로 제 1 링크 암(8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스프링(70)의 일단부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링크 암(90)〉
제 2 링크 암(9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제 1 링크 암(8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 2 링크 암(9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가 폐색된 중공의 각통(角筒)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링크 암(90)의 개구된 일단부에 제 1 링크 암(80)의 타단부를 삽입함에 의해서, 제 1 링크 암(80)에 대해서 제 2 링크 암(9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제 2 링크 암(9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에 핀(91)을 가지고 있다. 핀(9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의 좌측 힌지부(21)에 형성 된 가이드 홈(24) 내에 삽입되며, 이 가이드 홈(24)를 따라서 이동한다.
핀(9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20)의 회전축(35)과 제 1 링크 암(80)의 지지축(37)을 잇는 선의 연장선(도시생략)을 경계로 하여 리드(20)의 자유단부에 접근하는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리드(20)를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도 2 및 도 9 참조).
한편, 제 2 링크 암(9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링크 암(80)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제 1 링크 암(8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되는 것이다.
즉, 제 2 링크 암(90)의 핀(91)을 가지는 타단부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링크 암(80)의 스프링 걸이부(82)와 대향시켜서 스프링(70)의 타단부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걸이부(92)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링크 암(80)의 스프링 걸이부(82)와 제 2 링크 암(90)의 스프링 걸이부(92)에 스프링(70)의 양 단부를 걸어 고정하고 있다.
한편, 제 2 링크 암(9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위를 가진다.
또한, 제 2 링크 암(90)의 부위는 다음의 ①에 한정되지 않는다.
① 보스(93)
보스(9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링크 암(90)의 길이의 도중에 위치하며, 베이스(30)의 좌측면에 대향하는 내측면에서 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보스(9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푸시 암(100)의 압상부 (102)에 맞닿는다.
〈푸시 암(100)〉
푸시 암(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에 지지되며, 리드(20)가 압입위치(도 6 참조)까지 압입됨에 의해서, 후술하는 푸시 로드(120)를 통해서 제 2 링크 암(90)을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70)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푸시 암(1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링크 암(90)을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서, 핀(91)을 시단부(25)에서 로크부(26)를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푸시 암(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위를 가진다.
또한, 푸시 암(100)의 부위는 다음의 ①∼③에 한정되지 않는다.
① 요동축 구멍(101)
요동축 구멍(10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암(100)의 길이의 도중에 위치하며, 베이스(30)의 좌측면에서 돌출된 요동축(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② 압상부(押上部)(102)
압상부(102)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축 구멍(101)을 사이에 둔 타단부에 위치하며,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제 2 링크 암(90)을 밀어 올리기 위한 것이다.
③ 연결축(103)
연결축(10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축 구멍(101)을 사이에 둔 타단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푸시 로드(120)를 향해서 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연결축(10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푸시 로드(120)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복귀 스프링(110)〉
복귀 스프링(110)은, 푸시 암(100)과 베이스(30)와의 사이에 위치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의 자유단부에 의해서 후술하는 푸시 로드(120)가 눌려 내려짐에 의해서 요동축 구멍(101)을 중심으로 회전한 푸시 암(100)을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푸시 로드(120)〉
푸시 로드(120)는 다음의 부위를 가진다.
또한, 푸시 로드(120)의 부위는 다음의 ①∼②에 한정되지 않는다.
① 연결축 구멍(121)
연결축 구멍(12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로드(120)의 일단부에 내외로 관통되도록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 구멍(121)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암(100)의 연결축(103)이 삽입되며, 이 연결축(103)을 중심으로 푸시 로드(120)가 푸시 암(1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② 압압부(122)
압압부(12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 구멍(121)에서 봉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압압부(12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플랜지(32)의 좌측 관통구멍(33)을 통해서 상측을 향해서 돌출되며, 리드(20)의 자유단부에 의해서 눌려 내려지는 것이다.
〈댐퍼장치(50)〉
댐퍼장치(5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와 리드(20)와의 사이에 위치하며, 스프링(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리드(20)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댐퍼장치(5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의 좌측 힌지부(21)에 형성된 섹터 기어(27) 외에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댐퍼장치(50)의 부품은 섹터 기어(27)나 다음의 ①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전댐퍼(51) 대신에 실린더형의 에어댐퍼를 사용하여도 된다.
① 회전댐퍼(51)
회전댐퍼(51)에는 오일 봉입식의 것이 사용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좌측면에 고정되며, 그 제동기어가 섹터 기어(27)에 맞물려 있다.
〈쿠션부재(60)〉
쿠션부재(60)는, 예를 들면 고무제로 이루어지며, 베이스(30)의 플랜지(32)의 우측 관통구멍(34)에 삽입되며, 베이스(30)의 플랜지(32)의 상면에서 상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쿠션부재(60)는 리드(20)의 자유단부의 내면과 탄성적으로 맞닿는다.
〈개폐장치(10)의 사용방법〉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개폐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우선, 폐쇄되어 있는 리드(20)를 개방할 때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의 자유단부의 상면을 베이스(30)를 향해서 눌러 내린다.
리드(20)를 눌러 내리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면에 맞닿아 있던 푸시 로드(120)의 압압부(122)가 하강하게 된다.
푸시 로드(120)가 하강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연결축 구멍(121)에 삽입된 푸시 암(100)의 연결축(103)이 하강하게 된다.
푸시 암(100)의 연결축(103)의 하강함에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요동축(36)을 사이에 두고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푸시 암(100)의 압상부(102)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푸시 암(100)의 압상부(102)의 상승에 의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링크 암(90)의 보스(93)가 밀어 올려지게 된다.
제 2 링크 암(90)의 보스(93)가 상승함에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링크 암(90)이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70)이 신장됨으로써, 그 탄성력이 축적된다.
이 때, 제 2 링크 암(90)의 핀(91)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홈(24) 내를 이동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홈(24)의 시단부(25)에 위치하고 있던 핀(91)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홈(24)의 로크부(26)를 향해서 이동하게 되며, 로크부(26)에 끼여 로크된다.
그 후, 리드(20)를 눌러 내리는 힘을 해제하면, 리드(2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70)이 단축(短縮)하려고 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개방되게 된다.
이 때, 리드(20)의 섹터 기어(27)가 회전댐퍼(51)의 제동기어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에 회전댐퍼(51)의 감쇠력이 작용함으로써, 리드(20)는 천천히 또한 정숙하게 개방된다.
한편, 리드(20)가 개방되는 도중에는 제 2 링크 암(90)의 핀(91)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좌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38)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홈(24)의 로크부(26)에 끼여 있던 핀(91)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단부(25)를 향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리드(20)의 개방위치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링크 암(90)의 핀(91)이 가이드 홈(24)의 시단부(25)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개방상태의 리드(20)를 폐쇄할 때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를 45도 손으로 폐쇄하면 된다.
이 때, 리드(20)의 회전에 의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홈(24)의 위치가 변위된다.
따라서, 가이드 홈(24)에 끼워져 있는 핀(91)이 베이스(30)의 지지축(37)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 2 링크 암(90)이,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스 프링(70)이 신장됨으로써, 그 탄성력이 축적된다.
또한, 이 때, 가이드 홈(24)의 시단부(25)에 위치하고 있던 핀(91)이 로크부(26)를 향해서 약간 이동하게 된다.
그 후, 리드(20)에서 손을 떼면, 리드(2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70)이 단축하려고 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폐쇄되게 된다.
이 때, 리드(20)의 섹터 기어(27)가 회전댐퍼(51)의 제동기어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20)에 회전댐퍼(51)의 감쇠력이 작용함으로써, 리드(20)는 천천히 또한 정숙하게 폐쇄된다.
한편, 리드(2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스프링(70)이 약간 신장되게 되며,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리드(20)가 폐쇄방향으로 탄지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진동 등에 의해서 리드(20)가 쓸대없이 개방되는 일이 없다.
또한, 자동차의 진동 등에 의해서 리드(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이 더 작용한다 하더라도, 가이드 홈(24)의 위치가 변위하는 것이기 때문에, 핀(91)을 통해서 제 2 링크 암(90)이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70)이 신장량(伸長量)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만일 리드(20)가 약간 개방되더라도 스프링(70)이 단축하려고 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리드(20)가 원래대로 폐쇄된다.
상기한 이유에 의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서는 리드(20)를 폐쇄상태에서 로크하기 위한 기구를 굳이 설치하지 않았으나, 리드(20)를 폐쇄 한 상태에서 로크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여도 된다. 리드(20)를 폐쇄한 상태에서 로크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한 경우에는, 거친 도로 등의 주행시에 리드(20)가 덜거덕 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리드를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의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이 1개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적어지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드를 폐쇄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하고 있기 때문에, 리드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드를 폐쇄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하고 있기 때문에, 리드가 폐쇄위치에서 쓸대없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드를 폐쇄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기구를 생략할 수도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리드를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의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드를 개방위치에서 45도 폐쇄함에 의해서, 리드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폐쇄할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홈과 핀의 걸어맞춤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리드를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의 양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홈에 핀의 로크부를 형성함으 로써, 리드를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다.
〈청구항 6〉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드가 개방되는 도중에 핀을 스토퍼에 걸어맞춤으로써, 가이드 홈 내에서 핀을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7〉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푸시 암을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청구항 8〉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댐퍼장치의 감쇠력에 의해서 천천히 또한 정숙하게 리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댐퍼장치의 감쇠력에 의해서 천천히 또한 정숙하게 리드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8)

  1. 개구부(31)를 가지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에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개구부(31)를 개폐하는 리드(20)와,
    상기 베이스(30)와 상기 리드(20)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20)가 폐쇄위치를 넘어선 압입위치까지 압입됨에 의해서 신장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리드(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개방된 상기 리드(20)가 소정 각도 폐쇄됨에 의해서 재차 신장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리드(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1개의 스프링(7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의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0)와 상기 리드(20)와의 사이에는,
    지지축(37)에 의해서 일단부가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링크 암(80)과,
    일단부가 상기 제 1 링크 암(8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에 핀(91)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링크 암(80)과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링크 암(8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되는 제 2 링크 암(90)과,
    상기 베이스(30)에 지지되며, 상기 리드(20)가 상기 압입위치까지 압입됨에 의해서 상기 제 2 링크 암(90)을 상기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70)을 신장시키기 위한 푸시 암(100)과,
    상기 리드(20)에 형성되며, 상기 핀(91)을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리드(20)가 개방위치에서 소정 각도 폐쇄됨에 의해서 상기 핀(91)을 상기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70)을 신장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2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의 개폐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45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의 개폐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24)은, 상기 리드(20)의 상기 회전축(35)과 상기 제 1 링크 암(80)의 상기 지지축(37)을 잇는 선의 연장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핀(91)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핀(91)은, 상기 연장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리드(20)의 자유단부에서 이탈되는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상기 리드(20)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연장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리드(20)의 자유단부에 접근하는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상기 리드(20)를 폐쇄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의 개폐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24)은, 상기 리드(20)가 폐쇄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암(80)의 상기 지지축(37)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37)에 가까운 시단부(25)와 상기 지지축(37)에서 멀리 떨어져 있음과 아울러 절곡된 로크부(26)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 암(100)은, 상기 제 2 링크 암(90)을 상기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핀(91)을 상기 시단부(25)에서 상기 로크부(26)를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의 개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0)에는, 상기 리드(20)가 개방되는 도중에 상기 핀(91)과 걸어맞춰지며, 상기 핀(91)을 상기 로크부(26)에서 상기 시단부(25)를 향해서 이동시키기 위한 스토퍼(38)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의 개폐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푸시 암(100)은, 그 길이의 도중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축 구멍(101)과, 상기 요동축 구멍(101)을 사이에 둔 일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리드(20)를 향해서 돌출되고, 상기 리드(20)의 자유단부에 의해서 눌려 내려지는 압압부(122)와, 상기 요동축 구멍(101)을 사이에 둔 타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링크 암(8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링크 암(90)을 밀어 올리기 위한 압상부(102)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 암(100)과 상기 베이스(30)와의 사이에는, 상기 리드(20)의 자유단부에 의해서 상기 압압부(122)가 눌려 내려짐에 의해서 상기 요동축 구멍(101)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기 푸시 암(100)을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110)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의 개폐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0)와 상기 리드(20)와의 사이에는, 상기 리드(20)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댐퍼장치(50)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의 개폐장치.
KR1020040104996A 2003-12-19 2004-12-13 리드의 개폐장치 KR100598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2653 2003-12-19
JP2003422653A JP4293897B2 (ja) 2003-12-19 2003-12-19 リッドの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387A KR20050062387A (ko) 2005-06-23
KR100598328B1 true KR100598328B1 (ko) 2006-07-10

Family

ID=3467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996A KR100598328B1 (ko) 2003-12-19 2004-12-13 리드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51888B2 (ko)
JP (1) JP4293897B2 (ko)
KR (1) KR100598328B1 (ko)
CN (1) CN100345730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76B1 (ko) 2006-10-31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KR100968034B1 (ko) 2008-02-14 2010-07-0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리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3741B2 (en) * 2002-08-01 2009-11-0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Utilizing rules in a distributed information sharing system
JP4615269B2 (ja) * 2004-08-18 2011-01-19 株式会社ニフコ 加減速機構及びこの加減速機構を備えた車両用小物入れ
US7152898B2 (en) * 2005-01-06 2006-12-26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noise
JP4703287B2 (ja) * 2005-06-24 2011-06-15 株式会社ニフコ 扉開閉装置
CA2612673C (en) * 2005-06-29 2012-07-24 Nippo Corporation Method for dust-preventive treatment of material having dusting property
US7621419B2 (en) * 2005-08-05 2009-11-24 Nifco Inc. Door operating mechanism and unit
DE102005044436B4 (de) * 2005-09-16 2009-02-12 Lisa Dräxlmaier GmbH Mittelkonsole für ein Fahrzeug
JP2007145300A (ja) * 2005-11-30 2007-06-14 Toyoda Gosei Co Ltd 収納体
JP4785574B2 (ja) * 2006-03-15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開閉機構
JP2007297012A (ja) * 2006-05-02 2007-11-15 Advanex Inc 開閉機構
KR100825402B1 (ko) * 2007-01-26 2008-04-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내입형 개폐장치
JP5108358B2 (ja) * 2007-04-06 2012-12-26 株式会社ニフコ 蓋開閉装置
FR2916749B1 (fr) * 2007-06-04 2009-09-11 Vygi Sarl Systeme d'ouverture/fermeture assistee d'un couvercle et conteneur a dechets muni d'un tel couvercle
US8141759B2 (en) * 2008-01-08 2012-03-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ntain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7731254B2 (en) * 2008-01-09 2010-06-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otor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having a container assembly with a flush door
US8177445B2 (en) * 2008-04-01 2012-05-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ver-center mechanism
JP2009263944A (ja) * 2008-04-24 2009-11-12 Nifco Inc 回動機構
EP2307290A1 (fr) * 2008-07-01 2011-04-13 Vygi Systeme d'ouverture/fermeture assistee d'un couvercle et conteneur a dechets muni d'un tel couvercle
JP5254151B2 (ja) * 2008-09-30 2013-08-07 株式会社ニフコ 移動体の作動機構
US8079446B2 (en) * 2008-09-30 2011-12-20 Nifco Inc. Operational mechanism for movable body
US20100200784A1 (en) * 2009-02-12 2010-08-12 Charles James Turner Bellowphragm actuated fluid control swing valve
JP5193115B2 (ja) 2009-04-01 2013-05-08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動作機構
JP5241675B2 (ja) * 2009-10-08 2013-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蓋開閉装置
US20110215606A1 (en) * 2010-03-08 2011-09-08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Console lid friction hinge
CN102730294B (zh) * 2011-04-12 2016-05-04 江森自控(中国)投资有限公司 用于升起容器盖子的摆臂装置以及具有该摆臂装置的盖子和容器
KR101237167B1 (ko) * 2011-05-19 2013-02-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물품수납박스
US8523010B2 (en) * 2011-05-31 2013-09-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istable cover assemblies
JP5965166B2 (ja) * 2012-03-14 2016-08-03 株式会社ニフコ 収納装置
CN104057888B (zh) * 2014-06-24 2016-06-15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汽车手套箱
JP6570337B2 (ja) * 2014-07-17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ダンパ装置
JP6413923B2 (ja) * 2015-05-19 2018-10-31 豊田合成株式会社 蓋付き収納装置
DE102015225519A1 (de) * 2015-12-16 2017-06-22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Deckel für ein Ablagefach zur Verwendung in einem Fahrzeuginnenraum
CN109153349B (zh) * 2016-05-18 2021-09-14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的控制台组件
IT201700044196A1 (it) * 2017-04-21 2018-10-21 Effegi Brevetti Srl Meccanismo di movimentazione di un’anta di mobile
US10486568B2 (en) * 2017-06-14 2019-11-26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Seat assemblies including an armrest with an armrest lid and a hinge arrangement
CN107585421B (zh) * 2017-09-05 2019-05-21 安徽省无为天成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品存储箱
CN108128578B (zh) * 2018-01-28 2024-05-10 浙江而惠科技有限公司 一种带垃圾挤压功能的垃圾桶
US11572723B2 (en) 2019-02-27 2023-02-07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N110040402A (zh) * 2019-05-09 2019-07-23 周建华 一种厨房垃圾桶
CN110040349B (zh) * 2019-05-15 2024-02-20 联特科技有限公司 一种翻盖缓冲式盖合垃圾桶
CN110547503B (zh) * 2019-08-27 2022-04-29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车用烟灰盒
CN110696725B (zh) * 2019-10-15 2021-06-04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盖板关闭时的回升装置
JP7177766B2 (ja) * 2019-12-23 2022-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収納部構造
CN113017453B (zh) * 2021-03-04 2022-04-22 深圳市康灵盾智能厨具设备有限公司 一种推盖装置和调料台
CN113232976A (zh) * 2021-04-14 2021-08-10 刘泰湖 一种五金材料存储箱
CN115420144A (zh) * 2022-08-30 2022-12-02 上海机电工程研究所 具备自锁功能的电磁开启式开盖装置及开盖装置组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375A (ja) * 1996-07-24 1998-02-10 Toyama Chem Co Ltd 新規なセファロスポリ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
JP2003002059A (ja) * 2001-06-19 2003-01-08 Meiwa Kogyo Kk 車両用収納装置
KR20050038573A (ko) * 2003-10-21 2005-04-2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0815A1 (de) * 1986-07-04 1988-01-14 Volkswagen Ag Anordnung zur verzoegerung der oeffnungsbewegung eines klappbaren deckels fuer ein ablagefach
JPH0635151U (ja) * 1992-10-09 1994-05-10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リッド付容器
JP2594955Y2 (ja) * 1993-03-15 1999-05-24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の小物収納装置
JPH0737812U (ja) * 1993-12-24 1995-07-14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小物収納装置
JPH08184237A (ja) * 1994-12-28 1996-07-16 Nifco Inc 回動蓋のロック機構
JP3209027B2 (ja) * 1995-01-20 2001-09-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ッド開閉装置
JP3053540B2 (ja) * 1995-02-01 2000-06-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JP3314903B2 (ja) * 1995-07-04 2002-08-19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小物収納装置
JPH09142221A (ja) * 1995-11-24 1997-06-03 Kanto Auto Works Ltd 蓋体の開閉機構
FR2752792B1 (fr) * 1996-09-03 1998-11-13 Peugeot Boite a gants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US5971463A (en) * 1998-07-30 1999-10-26 Becker Group Europe Gmbh Receptacle, such as an ashtray, glove compartment or the like for vehicles
JP2000272426A (ja) * 1999-03-23 2000-10-03 Araco Corp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0272428A (ja) * 1999-03-25 2000-10-0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物入れの蓋体開閉機構
JP3953770B2 (ja) * 2001-10-11 2007-08-08 株式会社ニフコ 開閉部材の制動機構、これを備えた容器ホルダー及び自動車用扉
JP3833925B2 (ja) * 2001-10-29 2006-10-18 株式会社ニフコ 扉体の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375A (ja) * 1996-07-24 1998-02-10 Toyama Chem Co Ltd 新規なセファロスポリ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
JP2003002059A (ja) * 2001-06-19 2003-01-08 Meiwa Kogyo Kk 車両用収納装置
KR20050038573A (ko) * 2003-10-21 2005-04-2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이동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36375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3857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059호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76B1 (ko) 2006-10-31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KR100968034B1 (ko) 2008-02-14 2010-07-0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리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9049A (zh) 2005-06-22
JP4293897B2 (ja) 2009-07-08
JP2005178593A (ja) 2005-07-07
KR20050062387A (ko) 2005-06-23
CN100345730C (zh) 2007-10-31
US7451888B2 (en) 2008-11-18
US20050133507A1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328B1 (ko) 리드의 개폐장치
US7064285B2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7690465B2 (en) Vehicle hood structure
KR20100024615A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JP3402417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20020045064A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0412546B1 (ko) 트렁크리드와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방 작동을 위한 공용레버장치
KR19980046835U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JPS5818529Y2 (ja) 自動車用ドアチエツク装置
JPH0852049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1039200A (ja) 車載用カップホルダー
KR100901585B1 (ko) 감속 기능을 갖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 조립체
KR200207206Y1 (ko) 자동차의 후드 캐치 록
KR200156289Y1 (ko) 자동차용 글러브 박스 록킹장치
KR100435270B1 (ko) 차량의 글러브 박스 조립구조
KR100432076B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 안내구조
KR200398469Y1 (ko) 케이블의 변형을 방지하는 링크레버가 구비된 주유구 리드안전장치
JPH0535911Y2 (ko)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970006973Y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일체식 후드지지장치
KR100380359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JPS6113416Y2 (ko)
KR200327508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구조
JP2002274273A (ja) 車両用収納体
KR100368393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힌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