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615A -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 Google Patents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615A
KR20100024615A KR1020080083262A KR20080083262A KR20100024615A KR 20100024615 A KR20100024615 A KR 20100024615A KR 1020080083262 A KR1020080083262 A KR 1020080083262A KR 20080083262 A KR20080083262 A KR 20080083262A KR 20100024615 A KR20100024615 A KR 2010002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vehicle
weight
league
performance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106B1 (ko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1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테일게이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가 소개된다. 이 성능평가리그의 지지 바디(100)는 내측에 작동공간(111)을 마련하고, 차체 바디(200)는 전,후방부가 작동공간(111)에서 틸팅되도록 지지바디에 힌지 연결되고, 테일게이트 바디(300)는 실차의 게이트 힌지유닛(510)을 통해 차체 바디(200)의 후방측에 연결되며, 고정수단(400)은 지지 바디(100)와 차체 바디(200) 사이를 고정한다.
테일게이트, 지지 바디, 차체 바디, 테일게이트 바디

Description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RIG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TAIL GATE IN VEHICLES}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에 장착되는 부품을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 또는 엔진 후드의 개폐 작동을 시험하기 위한 차량 테스트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에 따른 종래 차량 테스트 장치(54)는 지지막대(51)에 마련된 흡착패드(52)를 통해 트렁크 리드 또는 엔진후드(55)를 흡착하고,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아암(50)을 상부로 회동시킴으로써 엔진 후드(또는 트렁크 리드)를 완전히 개방한다. 아울러, 크로즈용 에어 실린더(53)를 작동시켜 흡착패드(52)가 엔진후드(55)를 닫히도록 하며, 아암(50)이 하부로 회동하여 흡착패드(52)를 통해 후드판넬을 흡착한 후 엔진후드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트렁크 리드 또는 엔진후드의 내구성을 측정 시험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경우 트렁크 리드 및 엔진 후드와 같이 부분 부품들의 작동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만이 제안되고 있는 뿐, 차량 테일게이트에 장착되는 부품 전체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는 제안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일게이트의 내구성 및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로서, 내측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지지 바디와, 전,후방부가 상기 작동공간에서 틸팅되도록 상기 지지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차체 바디와, 실차의 게이트 힌지유닛을 통해 차체 바디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테일게이트 바디, 및 상기 지지 바디와 차체 바디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복수의 제1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지지 바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편과, 복수의 제2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차체 바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편, 및 상기 차체 바디의 틸팅시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은, 상기 차체 바디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차체 바디의 회동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일게이트 바디에는 실차의 래치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래치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바디에는 상기 테일게이트 바디의 닫힘시 상기 래치브라켓에 웨더스트립의 반력을 구현하기 위한 반발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 바디와 테일게이트 바디 사이에는, 실차의 가스리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차체 바디에는 상기 실차의 가스리프트를 작동하여 상기 테일게이트 바디의 자동 개폐를 유도하는 실차의 파워 테일게이트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일게이트 바디에는 실차의 테일게이트 무게 조절을 위한 중량추가 마련된 무게조절 플레이트와, 핸들의 장착 위치 조절을 위해 핸들 조절홈이 형성된 핸들위치조절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게조절 플레이트에는 상기 중량추의 상하 이동을 통해 테일게이트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중량추 조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일게이트를 작동할 수 있는 리그를 통해, 시험용 차량 제작을 위한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실차 제작 전 차량 테일게이트의 내구, 성능, 및 로직 등 차량 테일게이트 부품의 사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제 제작되는 테일게이트의 중량, 질량중심 등을 고려한 상태에서 차량의 경사조건, 기타 환경 등을 용이하게 구현함으로써, 개발된 차량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찾아내고, 더 나아가, 실차를 제작하기 전에 해당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는, 지지 바디(100)와, 지지 바디(100)에 힌지 연결되는 차체 바디(200)와, 실차의 게이트 힌지유닛(510)을 통해 차체 바디(200)에 연결되는 테일게이트 바디(300), 및 지지 바디(100)와 차체 바디(200)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테일게이트 전체 부품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 바디(100)는 지면에 대하여 상술한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지지프레임(110)이 서로 결합되면서 내측에 작동공간(111)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작동공간(111)은 지지 바디(100)의 중앙 내측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틸팅되는 차체 바디(200)와 지지 바디(100) 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지지 바디(100)에는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회동에 의한 접촉시 실차에서의 웨더스트립 반력을 구현하기 위한 반발스프링(120)이 마련된다. 이 반발스프링(120)은 지지브라켓(130)을 매개로 지지 바디(100)에 장착되며, 이 지지브라켓(130)은 지지 바디(1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반발스프링(120)의 반력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브라켓(130)에는 지지 바디(10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라이딩 홈(131)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 홈(131)에는 지지 바디(1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30)가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홈(131)에 대한 고정부재(430)의 위치에 따라, 지지브라켓(130)의 이동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지지브라켓(130)의 이동 위치에 따라 테일게이트 바디(300)에 대한 반발스프링(120)의 반력 강도가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지지 바디(100)의 중앙부는 힌지축을 통해 차체 바디(200)와 힌지 연결된다. 이 차체 바디(200)는 지지 바디(1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해당 전,후방측이 틸팅되는 구조이므로, 틸팅된 상태를 통해 실차의 경사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지지 바디(100)에 대한 차체 바디(200)의 고정은, 고정수단(400)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이 고정수단(400)은 지지 바디(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편(410)과, 차체 바디(2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편(420), 및 이들 제1고정편(410)과 제2고정편(420)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30)로 구성된다.
특히, 제1고정편(410)은 차체 바디(20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차체 바디(200)의 회동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관통홀(411)을 가지며, 제2고정편(420)은 차체 바디(20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차체 바디(200)의 회동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홀(421)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 제1관통홀(411)과 제2관통홀(421)은 차체 바디(200)의 틸팅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430)는 제1관통홀(411)과 제2관통홀(421)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이 들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지지 바디(100)와 차체 바디(200) 간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차체 바디(200)의 상부에는 테일게이트 바디(300)가 힌지 연결된다. 이때, 이들을 연결하는 힌지 구성은 실차의 게이트 힌지유닛(510)이 사용되는 바, 차체 바디(200)에 대한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회동 작동시 게이트 힌지유닛(510)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 바디(300)에는 실차의 래치 어셈블리(520)를 장착하기 위한 래치브라켓(310)이 설치된다. 이 래치브라켓(310)은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후방측에 실차의 래치 어셈블리(520)가 장착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래치 어셈블리(520)와 지지 바디(100)의 스트라이커 간의 래치작동을 통해 래치 어셈블리(520)의 성능이 측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테일게이트 바디(300)와 차체 바디(200) 사이에는, 실차의 가스리프트(530)가 연결되고, 차체 바디(200)에는 실차의 파워 테일게이트 어셈블리(5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테일게이트 어셈블리(540)는 실차의 가스리프트(530)를 작동하여 상기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자동 개폐를 유도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테일게이트가 닫힌 상태를 구현한 도 3을 참조하면, 차체 바디(200)는 실차의 게이트 힌지유닛(510)을 통해 테일게이트 바디(300)에 연결되고,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래치브라켓(310)에는 래치 어셈블리(520)를 장착되며, 차체 바 디(200)와 테일게이트 바디(300) 사이에는 가스리프트(530)가 연결되다. 그리고 차체 바디(200)에는 파워 테일게이트 어셈블리(540)가 설치되고, 지지 바디(100)에는 래치 어셈블리(520)와 래치작동이 이루어지는 스트라이커가 장착된다.
즉,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회동작동이 반복 수행되면, 게이트 힌지유닛(510)의 개폐작동, 래치 어셈블리(520)의 래치작동, 및 가스리프트(530) 및 파워 테일게이트 어셈블리(540)의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 부품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경사상태에서 테일게이트의 개폐 상태를 구현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체 바디(200)를 전방으로 기울여 고정수단(400)을 통해 고정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회동작동을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이로써, 차량의 경사상태에서 테일게이트의 각 부품에 대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 바디(300)에는 무게조절 플레이트(320)와 핸들위치조절 플레이트(3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무게조절 플레이트(320)는 실차의 테일게이트 무게 조절을 위한 중량추(321)가 장착되어, 중량추(321)의 장착 위치에 따라 테일게이트의 무게 중심이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핸들위치조절 플레이트(330)는 핸들 조절홈(331)이 형성되어 핸들의 장착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다.
특히, 무게조절 플레이트(320)에는 중량추(321)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중량추 조절홈(322)이 형성된다. 이 중량추 조절홈(322)은 무게조절 플레이트(32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장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량추(321)의 이동에 따라테일게이트의 무게중심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차량의 경사상태에서 테일게이트가 닫힌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차량의 경사상태에서 테일게이트가 열린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지지 바디 200 :차체 바디
300 :테일게이트 바디 400 :고정수단

Claims (7)

  1. 테일게이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로서,
    내측에 작동공간(111)이 형성되는 지지 바디(100);
    전,후방부가 상기 작동공간(111)에서 틸팅되도록 상기 지지 바디(100)에 힌지 연결되는 차체 바디(200);
    실차의 게이트 힌지유닛(510)을 통해 차체 바디(200)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테일게이트 바디(300); 및
    상기 지지 바디(100)와 차체 바디(200)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0)은 복수의 제1관통홀(411)을 가지며 상기 지지 바디(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편(410)과, 복수의 제2관통홀(421)을 가지며 상기 차체 바디(2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편(420), 및 상기 차체 바디(200)의 틸팅시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관통홀(411) 및 제2관통홀(421)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관통홀(411) 및 제2관통홀(421)은, 상기 차체 바디(20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차체 바디(200)의 회동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 바디(300)에는 실차의 래치 어셈블리(520)를 장착하기 위해 래치브라켓(31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바디(100)에는 상기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닫힘시 상기 래치브라켓(310)에 웨더스트립의 반력을 구현하기 위한 반발스프링(1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 바디(200)와 테일게이트 바디(300) 사이에는, 실차의 가스리프트(530)가 연결되고, 상기 차체 바디(200)에는 상기 실차의 가스리프트(530)를 작동하여 상기 테일게이트 바디(300)의 자동 개폐를 유도하는 실차의 파워 테일게이트 어셈블리(5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 바디(300)에는 실차의 테일게이트 무게 조절을 위한 중량추(321)가 마련된 무게조절 플레이트(320)와, 핸들의 장착 위치 조절을 위해 핸들 조절홈(331)이 형성된 핸들위치조절 플레이트(33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무게조절 플레이트(320)에는 상기 중량추(321)의 상하 이동을 통해 테일게이트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중량추 조절홈(3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KR1020080083262A 2008-08-26 2008-08-26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KR100957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62A KR100957106B1 (ko) 2008-08-26 2008-08-26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62A KR100957106B1 (ko) 2008-08-26 2008-08-26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615A true KR20100024615A (ko) 2010-03-08
KR100957106B1 KR100957106B1 (ko) 2010-05-13

Family

ID=4217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262A KR100957106B1 (ko) 2008-08-26 2008-08-26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10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8441A (zh) * 2017-08-01 2017-12-15 武汉华威专用汽车检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汽车尾板性能检测和耐久性检测的装置
CN107844114A (zh) * 2017-12-25 2018-03-27 苏州睿艾迪汽车科技有限公司 Ecu仿真测试用汽车尾门试验装置
CN107908182A (zh) * 2017-12-25 2018-04-13 苏州睿艾迪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背门ecu仿真测试用控制盒
CN107966978A (zh) * 2017-12-25 2018-04-27 苏州睿艾迪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背门ecu仿真测试装置
CN109932193A (zh) * 2019-03-31 2019-06-25 上海高诗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电动尾门系统耐久测试设备
CN110017978A (zh) * 2019-04-22 2019-07-16 上海大学 一种可调节式汽车尾门测试台架
KR20210047420A (ko) * 2019-10-21 2021-04-30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CN115063922A (zh) * 2022-05-16 2022-09-16 国开启科量子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量子选票的多数制计票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1442B (zh) * 2011-03-14 2013-06-19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用于汽车尾门跌落试验台的可调节缓冲装置
KR102344942B1 (ko) 2020-04-03 2021-12-2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가스 리프트의 체결포인트 검증이 가능한 지그
KR102491109B1 (ko) 2021-01-21 2023-01-25 주식회사 서연이화 테일게이트 개폐 내구성 시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755Y2 (ja) * 1988-04-25 1994-12-21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開閉体用の開閉耐久試験装置
KR0124163Y1 (ko) * 1995-10-13 1999-03-30 전성원 승용차의 후드 개폐 내구 시험기의 센터 조정기
KR970022283A (ko) * 1995-10-25 1997-05-28 전성원 과부하 방지 구조를 가진 자동차 후드(Hood) 시험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8441A (zh) * 2017-08-01 2017-12-15 武汉华威专用汽车检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汽车尾板性能检测和耐久性检测的装置
CN107478441B (zh) * 2017-08-01 2021-04-30 中汽研汽车检验中心(武汉)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尾板性能检测和耐久性检测的装置
CN107844114A (zh) * 2017-12-25 2018-03-27 苏州睿艾迪汽车科技有限公司 Ecu仿真测试用汽车尾门试验装置
CN107908182A (zh) * 2017-12-25 2018-04-13 苏州睿艾迪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背门ecu仿真测试用控制盒
CN107966978A (zh) * 2017-12-25 2018-04-27 苏州睿艾迪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背门ecu仿真测试装置
CN107844114B (zh) * 2017-12-25 2024-05-28 南京栖霞科技产业发展有限公司 Ecu仿真测试用汽车尾门试验装置
CN109932193A (zh) * 2019-03-31 2019-06-25 上海高诗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电动尾门系统耐久测试设备
CN110017978A (zh) * 2019-04-22 2019-07-16 上海大学 一种可调节式汽车尾门测试台架
KR20210047420A (ko) * 2019-10-21 2021-04-30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CN115063922A (zh) * 2022-05-16 2022-09-16 国开启科量子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量子选票的多数制计票方法及装置
CN115063922B (zh) * 2022-05-16 2024-02-09 国开启科量子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量子选票的多数制计票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106B1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106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성능평가리그
KR100598328B1 (ko) 리드의 개폐장치
KR100999155B1 (ko) 차량용 엔진후드 힌지기구
JP2008520857A (ja) 緩衝器付き蝶番
US8240006B2 (en) Trunk hinge apparatus having pop-up function
JP2001163054A (ja) 車両のフロントドア移動構造及び車両のドアガラス下降構造
KR100776657B1 (ko) 캡 오버형 트럭의 캡 틸트장치
JP4964425B2 (ja) 可動の後窓を備えたキャブリオレ車両ルーフ
CN213397643U (zh) 汽车电控尾门的耐久性试验检测装置
JPH11115816A (ja) ボンネットの開放ロック装置
KR20070066681A (ko) 상하 열림각도 조정이 가능한 특수차량의 해치 개폐장치
DK1470309T3 (da) Hængselkonstruktion
KR100375383B1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용 레버 내구력 시험장치
RU2007115084A (ru) Остекление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0534331B1 (ko) 차량용 후드힌지의 각도조절구조
KR20100060534A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CN211262681U (zh) 一种汽车门开启角度限位器的耐久性试验工装
KR100528512B1 (ko) 화물차용 캡 서스펜션 마운팅 시험기
KR100568739B1 (ko) 테일게이트의 글라스 래치 구조
KR20060000946A (ko) 냉장고 도어 개폐 시험기
US20230175300A1 (en) Door closing shock absorber and door mechanism provided with the same
KR20070034736A (ko) 자동차의 후드래치구조
KR100828606B1 (ko) 자동차 뒷문의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20060000945A (ko) 냉장고 도어 개폐 시험기
KR20120056558A (ko) 토션바와 가스스프링의 조합을 이용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자동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