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717B1 -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얻어지는 기록물 - Google Patents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얻어지는 기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717B1
KR100573717B1 KR1020030002645A KR20030002645A KR100573717B1 KR 100573717 B1 KR100573717 B1 KR 100573717B1 KR 1020030002645 A KR1020030002645 A KR 1020030002645A KR 20030002645 A KR20030002645 A KR 20030002645A KR 100573717 B1 KR100573717 B1 KR 10057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transfer
layer
image
support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142A (ko
Inventor
가미쿠보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8/00Layers covering the final reproduction, e.g. for protecting, for writing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45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film forming compositions cured by mechanical wave energy, e.g. ultrasonics, cured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or cur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e.g. electric discharge, plas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Abstract

본 발명은, 비은염(比銀鹽) 사진방식의 칼라 하드카피 기록방식으로 즉시 얻어지는 기록물의 화상을 보호하고, 내광성 등을 갖게 하며, 옥외 용도 등의 기록물에 있어서, 화상 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기록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그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으로,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鏡面) 광택도가 65% 미만, 또는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표면 거칠기(Ra)가 0.130㎛이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보호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기록물{A PICTURE PROTECTIVE SHEET OF THERMAL TRANSFER TYPE, METHOD FOR FORMING PROTECTIVE LAYER AND PRINTING MATERIAL BEING OBTAINED BY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호층 형성방법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사진 기록방식, 잉크젯 기록방식, 열전사 기록방식 등의 비은염(比銀鹽) 사진방식의 칼라 하드카피 기록방식으로, 얻어진 기록물의 화상을 보호하고, 내광성 등을 갖게하며, 또한 얻어진 기록물의 화상표면이 무광택감을 가져,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이 없어져, 시야각이 넓고, 표시내용을 보기 쉽게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기록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나 칼라 하드카피 기술의 진보에 의해, 전자사진 기록방식, 잉크젯 기록방식, 열전사 기록방식 등의 비은염 사진방식으로, 풀칼라의 화상이 형성된 인면물(印面物)을, 현상소에 의뢰하여 나중에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필요시에, 그 장소에서 즉시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칼라 카피의 인화물은, 몸 가까이에 있는 물이나 약품 등과의 접촉에 의해 화상이 번지거나 하고, 또한 굳은 재질물로 문지르거나 하면, 화상이 벗겨지거나 더러워져 버린다.
예컨대, 전자사진 기록방식은, 수상체(受像體)에 토너상을 전사하고, 열롤에 의해 그 토너를 용융하고, 자연냉각으로 수상체에 접착고정하는 것이지만, 얻어지는 기록물에 있어서, 노란색의 토너에 의한 화상의 내광성이 충분하지는 않다.
또한, 잉크젯 기록방식에 의해 얻어지는 기록물은, 잉크젯 잉크에 의한 화상의 내광성, 내오존성이 낮은 점이 있다.
그에 대해,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8-224779호에서는, 열용융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적층(laminate)재를 피기록물과 가열하여 붙이는 기록장치의 제안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315641호에, 승화형(昇華型) 열전사나 잉크젯법 등의 전사기록법에 의해 얻어지는 인화물의 화상을 보호하기 위해, 기재 상에 박리 가능하게 보호층을 설치한 보호층 전사시트를 이용하여, 인화물 상에 보호층을 열전사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택성이 높은 PET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기 록물의 화상면에 적층하거나, 종래의 보호층 전사시트를 이용하여, 기록물의 화상면에 보호층을 열전사한 것에서는, 화상표면이 번쩍거림이 있어, 화상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이 강해, 옥외 용도 등의 넓은 시야각을 필요로 하는 인쇄물에는 적당하지 않다.
또한, 광택감을 없앤 무광택 타입의 질감이 선호될 경우, 표면이 무광택 타입의 질감을 갖는 수상지(受像紙)에 화상 형성하고, 광택성이 높은 PET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기록물의 화상면에 적층하거나, 보호층 전사시트를 이용하여, 기록물의 화상면에 보호층을 열전사한 것에서는, 인화물 표면에 광택감이 나와 버려, 수상지의 무광택 타입의 질감이 상실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은염 사진방식의 칼라 하드카피 기록방식으로 바로 얻어지는 기록물의 화상을 보호하고, 내광성 등을 갖게 하며, 옥외 용도 등의 기록물에 있어서, 면상 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기록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여,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으로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여,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표면 거칠기(Ra)가 0.130㎛ 이상으로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으로,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으로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으로,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0.100㎛ 이상으로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은, 지지체가, 필러를 이겨 넣음으로써, 화상 보호층을 설치하는 측의 표면을 조면화(粗面化)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인화물의 화상이, 전자사진 기록방식, 잉크젯 기록방식, 열전사 기록방식중 어느 것인가에 의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층 형성방법은, 상기의 어느 것인가 하나에 기재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인화물을, 열전사성 수지층과 인화물의 화상면을 접하도록 서로 겹치게 하여, 인화물의 화상 상에,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성 수지층을 열전사하여 형성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여, 인화물의 화상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물은, 상기에 기재하는 보호층 형성방법에 의해, 인화물의 화상 상에, 열전사성 수지층을 열전사하여, 보호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으로,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이고, 또는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표면 거칠기(Ra)가 0.130㎛ 이상이고, 또는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이며, 또는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0.100㎛ 이상임으로써, 얻어지는 열전사성 수지층에 피복된 인화물(기록물)은, 화상이 보호되고, 내광성 등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옥외 용도 등에서, 화상 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이 없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기록물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1)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지지체(2) 상에 열전사성 수지층(3)을 직접 설치한 것으로, 그 열전사성 수지층(3)은 가열에 의해, 지지체(2)로부터 박리 가능한 것이고, 이 경우는 열전사성 수지층(3)이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지지체(2) 상에 박리층(4), 주보호층(5), 접착층(6)의 순으로 형성하고, 이 경우,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를 가열하면, 박리층(4), 주보호층(5), 접착층(6)의 3층이 지지체(2)로부터 박리한다. 따라서, 이 경우, 열전사성 수지층(3)은 3층 구성이다. 박리층(4)을 설치했기 때문에, 가열의 경우에, 지지체(2)로부터 열전사성 수지층(3)을 박리하기 쉽다. 또한, 열전사성 수지층(3)은,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1)의 최표면에 접착층(6)을 갖추기 때문에, 인화물과 열전사성 수지층(3)과의 전사성, 접착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지지체(2)의 다른쪽의 면에는, 내열(耐熱) 활성층(7)을 설치하여, 서머헤드(thermal head) 등의 가열수단에 대한 스틱킹이나 주름 등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호층 형성방법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 고, 전자사진 기록방식, 잉크젯 기록방식, 열전사 기록방식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 화상형성한 인화물(8)에, 지지체(2) 상에 열전사성 수지층(3)을 박리 가능하게 설치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1)를 이용하여, 인화물(8)과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1)를 겹쳐, 인화물(8)의 화상(9) 상에, 히트롤의 열전사수단(10)에 의해, 열전사성 수지층(3)을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2)를 박리하는 프로세스이다.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
본 발명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1)는, 지지체의 한쪽의 면에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것이다.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는, 지지체 상에 열전사성 수지층을 단층으로 설치하거나, 또한 주보호층(박리층)/접착층, 주보호층(박리층)/접착층/대전방지층, 박리층/주보호층/접착층 등의 지지체로부터 박리 가능한 열전사성 수지층을 2층이나 3층 등의 복층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를 구성하는 각 층마다 설명한다.
(지지체)
본 발명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의 지지체(2)로서는, 종래 공지의 어느 정도의 내열성과 강도를 갖는 것으로,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이거나, 또는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0.100㎛ 이상이면, 어떤 것이여도 좋고, 예컨대 글레신지(glassine紙), 콘덴서지(condenser紙), 파라핀지 등의 박엽지(薄葉紙),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셀로판, 폴리카보네이트, 초산(酢酸) 셀룰로스,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틸렌,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염화비닐덴, 아이오 노머 등의 플라스틱 또는 이들과 상기 지(紙)를 복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의 플라스틱 필름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를 65% 미만으로 하거나, 표면 거칠기를 0.100㎛ 이상으로 하는데는,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나의 연마입자를 흡착하여, 샌드블러스트법에 의해 평활한 플라스틱 필름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또는 탄산칼슘, 산화티탄, 유산바륨, 산화규소 등의 무기필러나, 아크릴산류, 스틸렌 등의 유기필러를 플라스틱에 혼합한 원료를 이용하여, 통상 행해지고 있는 용융, 압출하여, 1축 또는 2축 연신(延伸)의 제막법(製膜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샌드플러스트법에 의해 제조된 지지체는, 표면에 변화가 있어, 전사 후, 박리시에 박리력이 커져, 응집력이 강한 수상(受像)시트(인화물)를 이용한 경우, 지지체와 열전사성 수지층과의 사이에서 박리하지 않고, 수상시트에 설치한 수용층에서 응집파괴해 버리는 일이 있어, 결국 바람직하지 않다.
필러를 플라스틱 원료에 이겨 넣어 제조된 지지체는, 비교적 지지체와 열전사성 수시층과의 사이의 박리력이 작아, 응집력이 강한 수상시트(인화물)를 이용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수상시트에 설치한 수용층에서 응집파괴해 버리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다.
이 지지체의 두께는, 그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적절해지는 상태로, 재료에 따 라 적당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9~100㎛정도이다. 지지체의 두께가 9㎛ 미만이면,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를 인화물과 합쳐 라미네이터 등의 가열장치에 통과시킬 경우에,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가 주름으로 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그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열전사성 수지층의 전사에 필요한 열이 열전사성 수지층의 최표면까지 전달하기 어렵게 되어, 인화물에 전사하기 곤란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지지체 표면은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면에 코러나 처리 등이 실시되어도 된다.
(내열 활성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는, 상기의 지지체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면에, 필요에 따라, 열전사수단(10)으로서의 서머헤드나 히트롤 등의 열에 의한 스틱킹이나 주름 등의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내열 활성층(7)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내열 활성층(7)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이면 되고, 예컨대 폴리비닐 브틸알 수지, 폴리비닐 아세트아세탈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브타디엔 수지, 스틸렌-브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폴리오르,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또는 에폭시의 프레 폴리머, 니트로 셀룰로스 수지, 셀룰로스 나이트레이트 수지, 셀룰로스 아세트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틸레이트 수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히드로디엔 프탈레이트 수지, 초산 셀룰로스 수지, 방향족(芳香族)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로 이루어진 내열 활성층에 첨가, 또는 마무리칠 하는 활성부여제로서는, 인산 에스테르, 실리콘 오일, 그레파이트 파우더, 실리콘계 그레프트 폴리머, 불소계 그레프트 폴리머, 아크릴 실리콘 그레프트 폴리머, 아크릴 시록키산, 아릴시록키산 등의 실리콘 중합체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오르, 예컨대 폴리알콜 고분자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이고, 더욱이 충진제를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열 활성층은, 상기에 기재한 수지, 활성부여제, 더욱이 충진제를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 내열 활성층 형성용 잉크를 조제하고, 이를 상기의 기재시트의 이면에, 예컨대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어판을 이용하거나 버스코팅법 등의 형성수단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박리층)
본 발명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는, 지지체 상에 박리 가능하게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층한 구성으로, 지지체와 접하는 층으로서, 박리층(4)을 이용하고, 그 위에 주보호층이나 접착층 등을 더 설치하여, 가열의 경우에, 지지체로부터 열전사성 수지층(3)을 박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박리층은, 가열의 경우에 지지체로부터 박리되어, 피전사체의 인화물로 전사되고, 인화물의 보호층으로서의 최표면층으로 된다. 따라서, 이 박리층의 지 지체와 접하는 면이, 가열되어 박리되고, 인화물의 보호층 표면으로 되며, 그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이다.
박리층에 이용하는 바인더는,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스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스틸렌-브타디엔 고무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특히, 종래 감열(感熱)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비교적 저연화점(低軟化点), 예컨대 50~80℃의 연화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층의 형성은,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塗工液)을, 종래 공지의 그라비어 다이렉트 코트, 그라비어 리버스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 코트, 롤 코트 등의 방법에 의해, 건조상태로 두께 0.05~5g/m2정도를 설치하는 것이다. 건조 도막(塗膜)의 두께가, 0.05g/m2 미만일 경우, 지지체와 열전사성 수지층의 접착성이 향상하고, 양호한 박리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두께가 5g/m2을 초과한 경우, 인자(印字)시의 전사감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주보호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의 지지체 상에 설치하는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주보호층(5)은, 종래 보호층 형성용 수지로 알려져 있는 각종의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 형성용 수지로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틸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우레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녹시 수지, 이들의 각 수지를 실리콘 변성시킨 수지, 이들의 각 수지의 혼합물이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자외선 차단성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외에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유기필러 및/또는 무기필러를 적당하게 첨가할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의 주보호층은, 내가소제성이나 내찰과성(耐擦過性)이 특히 우수하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레디칼 중합성의 폴리머 또는 폴리고머를 전리방사선 조사에 의해, 가교(架橋), 경화시켜,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전자선이나 자외선에 의해 중합가교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의 박리층이나 접착층에도, 첨가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성 수지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주보호층은, 인화물에 내광성을 부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자외선 차단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반응성 자외선 흡수제를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에 반응, 결합시켜 얻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리실레이트계, 페닐 아크릴레이트계, 벤조 페논계, 벤조 트리아졸계, 아크릴계, 트리아딘계, 니켈레이트계와 같은 종래 공지의 비반응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부가중합성 2중결합(예컨대, 비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기 등), 알콜성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같은 반응성기를 도입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종래 공지의 비반응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 살리실레이트계, 페닐 아타릴레이트계, 벤조 페논계, 벤조 트리아졸계, 쿠마린계, 트리아 딘계, 니켈레이트계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자외선 차단성 수지나, 자외선 흡수제를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의 박리층이나 접착층에도 첨가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성 수지나,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으로서는, 바인더-수지의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정도이다.
유기필러 및/또는 무기필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왁스, 비스아마이드, 나일론, 아크릴 수지, 가교 폴리스틸렌,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탈크, 탄산칼슘, 산화티탄, 마이크론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등의 실리카 미분말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단, 활성이 좋고, 입자지름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1~3㎛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첨가량은, 상기와 같은 수지분 100중량부에 대해, 0~100중량부의 범위이고, 주보호층의 전사한 때의 투명성이 유지되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주보호층은, 상기에 기재한 보호층 형성용 수지와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유기필러 및/또는 무기필러 등의 첨가제를 더해,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 주보호층 형성용 잉크를 조제하고, 이를 상기의 지지체 상에, 예컨대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어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형성수단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의 전사되는 층(열전사성 수지층) 전체의 도포량이, 건조상태에서 2~30g/m2정도, 바람직하게는 3~20g/m2으로 형성 하는 것이다.
주보호층이 박리층이나 접착층의 기능을 갖고 있으면, 주보호층의 단층으로 열전사성 수지층을 구성하거나, 적당히, 열전사성 수지의 층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접착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는, 상기의 주보호층이나 박리층의 표면에, 피전사체인 인화물에 대한 전사성,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접착층(6)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접착층은, 종래 공지의 점착제나 감열 접착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글레스 전이온도(Tg)가 40℃~80℃의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 수지, 자외선 차단성 수지, 브티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과 같이 열접착성이 양호한 수지로부터, 적당한 글레스 전이온도를 갖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자외선 차단성 수지는, 주보호층으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접착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나, 무기 또는 유기필러 등의 첨가제를 더한 도공액을 도포 및 건조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건조시에 0.5~10g/m2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접착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적으면, 인화물과 열전사성 수지층과의 접착성이 떨어져, 인자(印字)의 경우에 전사불량되 기 쉽다. 또한, 그 두께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 보호층의 열전사의 경우에, 전사감도가 저하하여, 균일한 보호층의 열전사가 행해지기 어렵게 된다.
이상, 설명해 온 지지체 상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하는, 박리층, 주보호층, 접착층 등의 열전사성 수지층은, 인화물에 전사한 후에, 아래에 위치하는 화상을 관찰할 경우에, 지장이 없는 투명성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화물)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화물(8)은, 전자사진 기록방식, 잉크젯 기록방식, 열전사 기록방식의 어느 것인가에 의한 비은염 사진방식의 칼라 하드카피 기록방식을 이용하여 출력한 것이고, 기재 상에 직접, 화상을 형성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기록재를 수용, 정작하기 쉽도록, 원하는 기록방식에 적합한 수용층을 기재 상에 설치한 것이여도 된다.
인화물의 기재로서는, 예컨대 합성지(폴리올레핀계, 폴리스틸렌계 등), 상질지(上質紙), 애드지, 코팅지, 캐스트 코팅지, 벽지, 안받침용지, 합성수지 또는 에멀전 함침지(含浸紙), 합성고무 라덱스 함침지, 합성수지 내첨지(內添紙), 판지 등의 셀룰로스 섬유지, 폴리올레핀, 폴리스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각종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합성수지제 백색안료나 충진제를 더해 성막한 백색 불투명필름, 또는 기재 내부에 미세 빈틈(마이크로 보이드)을 갖는 필름 등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재의 임의의 조합에 의한 적층체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기재의 두께는 임의가 되고, 예컨대 10~300㎛정도의 두께가 일반적이다.
상기의 인화물에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 이용하는 기록방식의 하나에 전자사진 기록방식이 있고, 이 기록방식은, 감광체가 대전기를 통과할 경우, 코로나 방전으로 발생하는 이온을 한결같이 감광체면에 대전시켜, 노광부에서 감광체 표면을 화상상으로 노광하여, 광도전현상에 의해 광이 맞닿은 부분의 대전전하를 제거하고, 광이 맞닿지 않은 부분의 전하로 잠상(潛像)을 형성시킨다. 다음에, 현상부에서 잠상으로 대전된 토너를 정전적으로 부착시켜 시상(視像)을 얻고, 전사부에서 그 가시상(可視像)을 인화물로 전사하고, 정착부의 열과 압력으로 전사상을 인화물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풀칼라의 화상형성을 행하는데는, 상기의 토너를 노란색, 자홍색, 청록색, 흑색의 4색의 토너를 이용하여, 각각의 토너로 상기에 설명한 공정을 반복하여 행한다.
또한, 인화물로의 화상 형성하는 기록방식의 하나로서, 잉크젯 기록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이 방식은 잉크 액적(液滴)을 기록매체에 면 접하여 흩뿌려 문자나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컨대 화상신호에 대응하여 잉크를 액적화(液滴化) 하여 기록을 행하는 온디멘드형에서는, 압전소자에 통전함으로써, 잉크실의 체적을 변화시켜, 노즐로 잉크를 분사하는 전기·기계 변환형과, 노즐 내에 발열소자를 매립하고, 이것에 통전함으로써 잉크를 순시로 가열·비등(沸騰)시켜, 잉크중에 거품을 만들어, 급격한 체적변화에 의해, 잉크를 노즐로부터 분출시키는 전기·열변환 방식 등이 있다. 풀칼라의 화상 형성을 행하는데는, 상기의 잉크를 노란색, 자홍색, 청록색, 흑색의 4색의 잉크를 이용하여, 각각의 잉크로 상기에 설명한 공정을 반복하여 행한다.
더욱이, 인화물로의 화상 형성하는 기록방식의 하나로서, 열전사 기록방식을 들 수 있고, 이 방식은 화상신호에 의해 제어된 열에너지를 서머헤드로 발생시켜, 잉크 등의 기록재료의 활성화 에너지로서 이용하여 기록하는 방식으로, 잉크 리본을 기록지에 겹쳐, 알맞은 가압상태에 있는 서머헤드와 플라틴의 사이를 통과하여, 통전에 의해 승온된 서머헤드에 의해, 기록재는 활성화되고, 플라틴의 압력에 의해, 기록지에 전사된다. 이러한 방식의 전사기록방식에는, 열용융형과 열승화형이 있고, 어느 것에서도, 본 발명의 인화물의 화상 형성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비은염 사진방식의 칼라 하드카피 기록방식인 전자사진 기록방식, 잉크젯 기록방식, 열전사 기록방식의 어느 것인가 하나의 기록방식으로 기록지에 화상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의 기록방식을 복수 조합시켜, 예컨대 계조(階調) 화상부를 전자사진 기록방식으로 행해, 문자부분을 열용융형 열전사 기록방식으로 행하는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수용층은, 이용하는 기록방식에 적합한 수지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더해,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조정한 도공액을, 기재 상에, 그라비어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등의 공지의 인쇄수단, 또는 그라비어 코트 등의 공지의 도공수단에 의해 형성하고, 두께는 건조시에 0.5~10㎛정도이다.
(보호층 형성방법)
본 발명의 보호층 형성방법은, 상기에 설명한 열전사형 면상 보호시트와 인화물을, 열전사성 수지층과 인화물의 화상면을 접하도록 서로 겹쳐, 인화물의 화상 상에,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성 수지층을 열전사하여 형성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여, 인화물의 화상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보호층 형성방법에 있어서, 비은염 사진방식의 칼라 하드카피 기록방식으로 화상 형성된 인화물에, 지지체 상에 열전사성 수지층을 박리 가능하게 설치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를 이용하여, 인화물의 화상 상에, 열전사성 수지층의 보호층을 열전사하는 수단은, 서머헤드와 플라틴의 사이에 인화물과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를 끼워 넣고, 서머헤드로부터의 가열을 행하거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히트롤 방식(시판되고 있는 라미네이터가 이러한 타입의 것이 많고, 1쌍의 히트롤로 열프레스 하는 방식)이나, 가열한 평판과 평판에 끼워 넣어지거나, 가열한 평판과 롤에 끼워, 열프레스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조사에 의한 가열의 열전사수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층 형성방법은, 상기에 설명한 전자사진 기록방식, 잉크젯 기록방식, 열전사 기록방식의 비은염 사진방식의 칼라 하드카피 기록방식에 의한 인화물의 화상 형성수단과, 지지체 상에 열전사성 수지층을 박리 가능하게 설치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를 이용하여, 인화물의 화상 상에, 보호층을 열전사하는 수단이, 인라인으로 실시되거나, 오프라인으로 행하거나,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단을 인라인으로 행하는데도, 화상 형성수단과 보호층 열전사수단을 동일한 장치로 행하거나, 별개의 장치를 연결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호층 형성방법에서는, 전자사진 기록방식으로 인화물의 화상 형성을 행하고, 보호층의 열전사수단을 이용하여, 인화물의 토너 화상 상에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어, 노란색, 자홍색, 청록색 등의 토너에 의한 화상의 내광성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잉크젯 기록방식의 인화물은, 대기 방치하에서 오존이나 산소 등의 영향으로, 색상이 변화하기 쉽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전사성 수지층의 보호층이 가스 장벽으로서의 기능도 발휘하여, 인화물의 화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전사 후의 인화물에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 또는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는, 65% 미만이고, 20~30%가 가장 실용적으로 바람직하고, 화상 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경면 광택도가 65% 이상이면, 전사물 표면의 번쩍거림을 가져, 화상 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이 너무 강해져 버린다. 그 경면 광택도가 너무 낮으면, 열전사의 경우에, 열전사성 수지층이 지지체로부터 박리하기 어려워져, 경면 광택도는 10% 이상은 필요하다.
또한, 상기의 전사 후의 인화물에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 또는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0.100㎛ 이상이고, 0.150~0.700㎛이 가장 실용적으로 바람직하고, 화상 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표면 거칠기가 0.100㎛ 미만이면, 전사물 표면의 번쩍거림을 가져, 화상 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이 너무 강해져 버린다. 그 표면 거칠기가 너무 크면, 열전사의 경우에, 열전사성 수지층이 지지체로부터 박리하기 어려워진다.
실 시 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문장중 부(部) 또는 %라는 것은, 특별히 말이 없는 한 중량기준이다.
(실시예1~3 및 비교예1)
이하의 조건으로, 각 예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를 제작했다.
지지체로서, 표 1에 나타낸 각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그 지지체 상에(플라이머 처리 등을 행하지 않고, 지지체 상에 직접),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박리층을 그라비어 코트에 의해, 건조시 1.5g/m2으로 도공 후, 110℃ 1분간 건조하여, 박리층을 형성했다.
<박리층용 도공액>
BR-87(아크릴 수지, 미쓰비시 레이온(주) 제조) 100부
RV220(폴리에스테르 수지, 동양방적(주) 제조) 0.5부
메틸에틸케톤 200부
톨루엔 200부
다음에, 박리층 상에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그라비어 코트에 의해, 건조시 35g/m2으로 도공 후, 110℃, 1분간 건조하고, 접착층을 형성하여, 실시 예1~3 및 비교예1의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를 얻었다.
<접착층용 도공액>
RV700(폴리에스테르 수지, 동양방적(주) 제조) 100부
TINUVIN900(벤조 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시바가이기사 제조) 10부
메틸에틸케톤 200부
톨루엔 200부
표1
사용한 지지체 지지체의 제조방법 지지체 표면의 경면 광택도(60도) 지지체 표면의 표면 거칠기 Ra
실시예1 토레이 제조 루미러26-X42 필러 이겨 넣기 17.5% 0.532
실시예2 토레이 제조 루미러26-X45 필러 이겨 넣기 63.7% 0.263
실시예3 토레이 제조 루미매트#200 토레스 샌드블라스트법 7.0% 0.582
비교예1 토레이 제조 루미러T·70A 143% 0.089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의 수상시트로의 전사>
상기와 같이 제작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의 접착층면과, 캐논(주) 제조의 잉크젯 수상시트 HR-101S의 수상면 측을 서로 겹쳐, 후지플라(주) 제조 라미네이터 Lamipacker LPD3204로, 가열온도 130℃, 속도 5mm/s의 조건으로, 가열했다. 이 상태의 샘플을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박리력의 측정을 행했다.
<박리력>
상기의 각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수상시트를 상기 조건으로 가열한 후, 신동과학사 제조의 표면성 측정기 HEIDON-14로, JIS K6854에 기초하여 180도 박리시험을 행해, 박리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그 박리력의 측정결과로부터, 하기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했다.
O:100gf/25mm 미만이고, 실용적인 박리력이다. 단, 샘플을 측정기에 셋하기까지의 취급중에 벗겨지면 안된다.
△:100gf/25mm 이상 5000gf/25mm 미만이고, 실용적이지 않은 박리력이다.
×:5000gf/25mm 이상이고, 벗기는 것이 곤란하다.
상기 조건으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수상시트를 이용하여, 가열 후, 지지체를 박리하여 얻은 보호층이 형성된 인화물의 보호층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 및 표면 거칠기를 측정했다.
<경면 광택도>
사용한 지지체의 박리층을 도공한 측의 표면, 및 전사 후의 보호층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를 일본전색공업(주) 제조의 광택도계 VG-1001DP로 측정했다.
<번쩍거림>
전사 후의 샘플을 벽에 붙이고, 실내에서 형광등 아래에서, 번쩍거림을 눈으로 보아 평가했다.
O:모든 각도에서 관찰하여 번쩍거림이 없이, 화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샘플의 전사면의 법선으로부터 75°까지는 번쩍거림이 없지만, 75°~90°의 사이에서 번쩍거림이 생겨, 일부 화상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이 생긴다.
×:샘플의 전사면의 법선으로부터 30°까지는 번쩍거림이 없지만, 30°~90°의 사이에서 번쩍거림이 생겨, 일부 화상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이 생긴다.
지지체의 박리층을 도공한 측의 표면의 경면 광택도를 표 1에, 전사 후의 보호층 표면의 경면 광택도 및 목시(目視)에 의한 번쩍거림을 표 2에 나타냈다.
<표면 거칠기>
사용한 지지체의 박리층을 도공한 측의 표면, 및 전사 후의 보호층 표면의 표면 거칠기(Ra)를 (주)동경정밀사 제조의 표면 거칠기 측정 서프콤 1400D-3DF-12로 측정했다.
지지체의 박리층을 도공한 측의 표면의 표면 거칠기(Ra)를 표 1에, 전사 후의 보호층 표면의 표면 거칠기(Ra)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2
전사 후의 보호층 표면의 경면 광택도(60도) 전사 후의 보호층 표면의 표면 거칠기 Ra 박리력 목시에 의한 번쩍거림
실시예1 22.6% 0.334
실시예2 59.4% 0.288
실시예3 7.5% 0.371
비교예1 96.6% 0.115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그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으로,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이고, 또는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표면 거칠기(Ra)가 0.130㎛ 이상이고, 또는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이며, 또는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0.100㎛ 이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열전사성 수지층으로 피복된 인화물(기록물)은, 화상이 보호되고, 내광성 등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옥외 용도 등에서, 화상 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은염 사진방식의 칼라 하드카피 기록방식으로 바로 얻어지는 기록물의 화상을 보호하고, 내광성 등을 갖게 하며, 옥외 용도 등의 기록물에 있어서, 면상 관찰의 경우에, 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지는 기록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여,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으로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체가, 필러를 이겨 넣음으로써, 화상 보호층을 설치하는 측의 표면이 조면화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
  2.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여, 전사 후의 인화물에 있어서의 열전사성 수지층 표면의 표면 거칠기(Ra)가 0.130㎛ 이상으로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체가, 필러를 이겨 넣음으로써, 화상 보호층을 설치하는 측의 표면이 조면화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
  3.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으로,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JIS Z 8741에 기초하여 60도에서의 경면 광택도가 65% 미만으로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체가, 필러를 이겨 넣음으로써, 화상 보호층을 설치하는 측의 표면이 조면화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
  4. 지지체 상에 이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한 적어도 1층 이상의 열전사성 수지층이 적층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성 수지층을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하고, 그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으로, 열전사성 수지층을 설치하는 측의 지지체 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0.100㎛ 이상으로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체가, 필러를 이겨 넣음으로써, 화상 보호층을 설치하는 측의 표면이 조면화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인화물의 화상이, 전자사진 기록방식, 잉크젯 기록방식, 또는 열전사 기록방식중 어느 것인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인화물을 준비하고,
    열전사성 수지층과 인화물의 화상면을 접하도록 서로 겹치게 하여, 인화물의 화상 상에, 적어도 인화된 부분을 덮도록 열전사성 수지층을 열전사하여 형성하고,
    다음에, 지지체를 박리하여, 인화물의 화상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 형성방법.
  8. 제7항에 기재된 보호층 형성방법에 의해, 인화물의 화상 상에, 열전사성 수지층을 전사하여, 보호층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물.
KR1020030002645A 2002-01-17 2003-01-15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얻어지는 기록물 KR100573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8887A JP2003211841A (ja) 2002-01-17 2002-01-17 熱転写型画像保護シート及び保護層形成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記録物
JPJP-P-2002-00008887 2002-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142A KR20030063142A (ko) 2003-07-28
KR100573717B1 true KR100573717B1 (ko) 2006-04-26

Family

ID=1919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645A KR100573717B1 (ko) 2002-01-17 2003-01-15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얻어지는 기록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38599A1 (ko)
EP (2) EP1595717B1 (ko)
JP (1) JP2003211841A (ko)
KR (1) KR100573717B1 (ko)
DE (2) DE6032460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7864A (ja) * 2003-05-23 2005-01-13 Seiko Epson Corp 画像保護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画像保護方法及びオーバーコート記録物
JP2005062015A (ja) * 2003-08-13 2005-03-10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像変換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8135A (ja) * 2003-12-18 2005-07-07 Noritsu Koki Co Ltd ラミネートシート、及びラミネート方法
KR20060120234A (ko) 2004-01-29 2006-11-24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열 전사 보호 시트, 인화물 및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JP2008110526A (ja) 2006-10-30 2008-05-15 Sony Corp 印画方法、印画物の製造方法、プリンタ装置
JP4906786B2 (ja) 2008-05-30 2012-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L2695745T3 (pl) 2012-08-06 2016-03-31 Unilin Bvba Sposób wytwarzania paneli o powierzchni dekoracyjnej
ES2752557T3 (es) 2014-01-10 2020-04-06 Unilin Bvba Método para fabricar paneles con una superficie decorativa
EP2905145B1 (en) 2014-02-06 2019-10-23 Unilin, BVBA Method for manufacturing floor panels having a decorative surface
JP7282478B2 (ja) * 2017-06-15 2023-05-29 凸版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
BE1025875B1 (nl) 2018-01-04 2019-08-06 Unilin Bvba Werkwijzen voor het vervaardigen van panel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6159A (en) * 1977-05-09 1983-03-08 Keuffel & Esser Company Method of preparing matte finish color-proofing surprints
JPS58224779A (ja) 1982-06-23 1983-12-27 Canon Inc 記録装置
JPH0653436B2 (ja) * 1985-09-10 1994-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保護部材および画像保護方法
JPS6260683A (ja) * 1985-09-12 1987-03-17 Canon Inc プリント保護部材
CA1306565C (en) * 1987-03-30 1992-08-18 Harvey Walter Taylor Jr. Lower gloss protective covering
US5203941A (en) * 1989-10-19 1993-04-20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plastic siding panels with outdoor weatherable embossed surfaces
EP1020299B1 (en) * 1993-10-08 2003-04-02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receiving sheet for thermal transfer printing with an intermediate layer
JP3800568B2 (ja) 1997-05-21 2006-07-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
US6184181B1 (en) * 1999-04-30 2001-02-06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controlling the gloss of a thermal dye transfer image
US6733611B2 (en) * 2000-08-07 2004-05-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form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5717A1 (en) 2005-11-16
EP1329333A1 (en) 2003-07-23
DE60302475D1 (de) 2006-01-05
DE60302475T2 (de) 2006-07-20
EP1329333B1 (en) 2005-11-30
KR20030063142A (ko) 2003-07-28
DE60324606D1 (de) 2008-12-18
US20030138599A1 (en) 2003-07-24
JP2003211841A (ja) 2003-07-30
EP1595717B1 (en)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9546B2 (en) Thermally transferable image protective sheet, method for protective layer formation, and record produced by said method
US6733611B2 (en) Image forming method
JP4142517B2 (ja) 保護層熱転写シートおよびマット調印画物
KR100573717B1 (ko) 열전사형 화상 보호시트와, 보호층 형성방법 및 그에 의해얻어지는 기록물
JP2002370422A (ja) 画像形成方法
JP5447800B2 (ja) 製本物の製造方法
JP3790220B2 (ja) 熱転写型画像保護シート、保護層形成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記録物
JP2011000865A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4170688B2 (ja) 熱転写型画像保護シート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記録物
JP4489679B2 (ja) 保護層熱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物
JP2004205827A (ja) 熱転写型画像保護シート
WO2019151391A1 (ja) 熱転写シート、離型層用塗工液、及び熱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052124A (ja) 転写箔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2002254793A (ja) 保護層転写フィルム、保護層転写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記録物
JP2003145946A (ja) 保護層熱転写シートおよび印画物
JP4629210B2 (ja) 熱転写シート
JP2002178641A (ja) 熱転写シート
JPH1067182A (ja) 熱転写シート
JP3949930B2 (ja) 保護層熱転写シートおよび印画物
JP2005096099A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2009214336A (ja) 熱転写シート
JP2009137253A (ja) 熱転写シートを用いた保護層形成方法
JPH1081078A (ja) 熱転写シート
JP2009137254A (ja) 熱転写シートを用いた保護層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