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520B1 - 개선된 전류 감지를 갖는 동기-정류된 직류/직류 컨버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전류 감지를 갖는 동기-정류된 직류/직류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520B1
KR100573520B1 KR1020000051102A KR20000051102A KR100573520B1 KR 100573520 B1 KR100573520 B1 KR 100573520B1 KR 1020000051102 A KR1020000051102 A KR 1020000051102A KR 20000051102 A KR20000051102 A KR 20000051102A KR 100573520 B1 KR100573520 B1 KR 10057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output
node
amplifi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203A (ko
Inventor
이샴로버트
호크스찰스
월터스마이클
Original Assignee
인터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3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comprising at least one synchronous rectifier el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C/DC 벅(buck) 펄스 폭 변조 컨버터 회로는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포함한다. 상측 스위치는 공통 출력 노드 및 전압원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하측 스위치는 공통 출력 노드 및 접지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가상 접지 증폭기는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입력을 포함한다. 전류 귀환 저항기는 가상 접지 증폭기의 공통 출력 노드 및 제 1 입력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가상 접지 증폭기의 출력 및 가상 접지 증폭기의 제 1 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는 가상 접지 증폭기의 출력에 따라 변동된다. 샘플 및 홀드 회로는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의 입력 및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SR 래치, 톱니파 발생기, 과전류 검출기, 샘플 및 홀드 회로, 음전류 소스, 시스템 제어 회로, 구동기, 전압 귀환 저항기, 가상 접지 증폭기

Description

개선된 전류 감지를 갖는 동기-정류된 직류/직류 컨버터{SYNCHRONOUS-RECTIFIED DC TO DC CONVERTER WITH IMPROVED CURRENT SENSING}
도 1은 본 발명의 DC/DC 컨버터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고-레벨의 개략 및 기능도이다;
도 2는 도 1의 DC/DC 컨버터의 상세한 개략 및 기능도이다;
도 3a 및 3b는 도 2의 DC/DC 컨버터의 작동을 도시한 타이밍 도이다;
도 4는 도 2의 DC/DC 컨버터의 노드 전압 대 부하 전류의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2의 DC/DC 컨버터를 이용하기 위한 음전류 소스의 개략도이다; 및
도 6은 본 발명의 DC/DC 컨버터의 제 2 실시예의 상세한 개략도이다.
상응하는 참고 부호는 도면 전반에 걸쳐 상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하측 FET 36:가변임피던스 소자 60:톱니 발생기
14:상측 FET 38:샘플 및 홀드 회로 62:SR 래치
16:공통 출력 노드 40:시스템 제어 회로 64:구동기
18:전원 44:전압 귀환 저항기 66:싱크 펄스
20:DC/DC 벅 컨버터 회로 46:에러 증폭기 70:과전류 검출회로
26:전류 귀환 저항기 48:기준 전압원 72:음전류 소스
30:가상 접지 회로 노드 50:보상 회로 노드 80, 82, 84:스위치
34:가상 접지 증폭기 52:보상 저항기 88:전압원
34a:반전 입력 54:보상 커패시터 90, 94:노드
34b:비-반전 입력 56:서밍 노드 92:커패시터
34c:출력 58:비교기
동기 벅 DC/DC 컨버터는 통상적으로 입력 공급 전압 또는 접지에 인덕터의 제 1 끝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처리된 한 쌍의 스위치를 이용한다. 인덕터의 제 2 끝부분은 부하에 부착된다. 그것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를 이런 스위치로 이용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부하 전류는 FET이 온인 동안 그 공급으로 부터 상측 FET 및 인덕터를 통해 흐르고, FET가 온인 동안 접지로 부터 하측 FET 및 인덕터를 통해 흐른다.
가령, 예를 들어, 부하 전류가 증가할 때출력 전압을 의도적으로 감소시키고(즉, 출력 전압의 "드룹(droop)"), 부하 및 컨버터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전류 제한 또는 과도한-전류 트립을 제공하며, 그리고 다중-채널 또는 다중-위상 컨버터에서 각 채널에 의해 공급되는 출력 전류를 평형(balance)시키기 위한 것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부하 전류의 값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하 전류는 인덕터의 DC 저항의 결정 및 그 DC 저항을 통한 전압 강하의 감지를 통해, 또는 가산된 직렬 감지 저항기를 통과하는 전압 강하를 감지함으로써 감지된다. 부하 전류는 또한 상측 FET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압 강하를 감지함으로써 검출된다. 그러나, 각각의 이런 방법들은 각각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인덕터의 DC 저항을 이용하여 부하 전류를 감지하는 데는 전류의 AC 소자를 제거하기 위해 인덕터를 가로질러 R-C 필터를 가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산 소자가 필요하고 추가 비용이 든다. 직렬 감지 저항기를 가산하는 데는 또한 추가 소자가 필요하고, 비용이 증가하며, 그리고 시스템 효율이 감소된다. 게다가, 도통시에 상측 FET의 드레인-소스간 저항을 통해 전압 강하를 감지하는 데는 스위치가 온일 때의 시간이 통상적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비실용적이라는 것이 자주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개선된 전류 감지를 갖는 DC/DC 컨버터이다. 게다가, 본 기술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스위칭 FET의 드레인-소스간 저항에 걸친 전압 강하를 감지함으로써 DC/DC 컨버터에서 부하 전류의 감지를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다.
본 발명은,
(a)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갖는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
(b) 공통 출력 노드 및 전압원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측 스위치;
상기 상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고,
(c) 상기 공통 출력 노드 및 접지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측 스위치;
상기 하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고,
(d) 제 1 입력, 제 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가상 접지 증폭기;
상기 제 2 입력은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e) 상기 공통 출력 노드 및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제 1 입력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류 귀환 저항기;
(f)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출력 및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제 1 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출력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며,
(g) 상기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는 가상 접지 전류를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 공급하고, 상기 가상 접지 전류를 샘플 및 홀드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원에서 출력 전류의 감지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은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갖는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공통 출력 노드 및 전압원의 중간에 상측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상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며, 하측 스위치는 상기 공통 출력 노드 및 접지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며,
(b) 감지된 전류를 가상 접지 노드로 향하게 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류는 상기 하측 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을 때 알려진 일부의 출력 전류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된 전류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가상 접지 노드로 흘러 들어가고,
(c) 가상 접지 전류를 상기 가상 접지 노드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접지 전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가상 접지 노드로 흘러 들어가며,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이고, 상기 가상 접지 전류는 실질적으로 상기 감지된 전류와 같으며 이로 인해 상기 가상 접지 노드에서 상기 감지된 전류를 제거하고,
(d) 상기 가상 접지 전류의 값을 샘플링 및 홀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리하게도, 본 발명은 그 중의 한 형태로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갖는 DC/DC 벅(buck) 펄스폭 변조 회로를 포함한다. 상측 스위치는 공통 출력 노드 및 전압원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하측 스위치는 공통 출력 노드 및 접지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가상 접지 증폭기는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입력을 포함한다. 전류 귀환 저항기는 공통 출력 노드 및 가상 접지 증폭기의 제 1 입력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가상 접지 증폭기의 출력 및 가상 접지 증폭기의 제 1 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는 가상 접지 증폭기의 출력에 따라 변동된다.
샘플 및 홀드 회로는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의 입력 및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샘플 및 홀드 회로는 가상 접지 전류를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 공급하고, 가상 접지 전류를 샘플시킨다.
DC/DC 컨버터 또는 본 발명의 이점은 매우 짧은 "온" 시간을 갖는 FET의 드레인-소스저항 양단에 걸친 전압 강하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C/DC 컨버터의 또 다른 이점은 전압 귀환 저항값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부하 전류의 변화에 응답하여 출력 전압의 드룹량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DC/DC 컨버터의 또 다른 이점은 전류 제한 또는 트립의 민감도 또는 크기를 전압 귀환 저항값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DC/DC 컨버터의 추가적인 또하나의 이점은 전류 귀환 저항값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부하 전류 및 소자 값을 채택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도 1은 DC/DC 컨버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DC/DC 컨버터(10)는 하측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2) 및 상측 FET(14)을 포함한다. 하측 FET(12)의 드레인은 공통 출력 노드(16)에서 상측 FET(14)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측 FET(14)의 드레인은 전원(18)에 연결된다. 하측 FET(12)의 소스는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측 FET(12) 및 상측 FET(14)의 각 게이트 단자는 벅 컨버터 회로(20)의 각각의 출력(참조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덕터(24) 및 전류 귀환 저항기(26)는 각각 공통 출력 노드(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FET(12)의 드레인 및 FET(14)의 소스에도 연결된다. 더구나 특히, 인덕터(24)는 공통 출력 노드(16) 및 부하 축적(reservoir) 커패시터(28)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된다. 저항기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하(32)는 부하 축적 커패시터(28)와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상 접지 증폭기(34)는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반전 입력(34a) 및 접지에 연결된 비-반전 입력(34b)을 갖는다. 가상 접지 증폭기(34)의 출력(34c)은 FET(36)의 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FET(36)의 소스는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FET(36)의 드레인은 샘플 및 홀드 회로(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도 명백하듯이, 가상 접지 증폭기(34) 및 FET(36)은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를 접지 전위로 계속하여 구동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가 계속적으로 접지 전위로 구동되면서, 회로 노드(30)에 연 결된 전류 귀환 저항기(26)의 끝부분이 접지 전위에 있게 될 것이고, 공통 출력 노드(16)에 연결된 끝부분은 음전압을 갖게 될 것이다. 공통 출력 노드(16)에 연결된 전류 귀환 저항기(26)의 끝부분의 음전압은 출력 전류 IOUT의 발생과 같을 것이고, 온-상태 저항(RDSON)이 하측 FET(12)의 드레인 및 소스사이에 존재하게 될 것이다. 전류 ISENSE는 전류 귀환 저항기(26)를 통해 흐르고, 하측 FET(12)의 RDSON 대 전류 귀환 저항기(26)의 값의 비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ISENSE는 출력 전류 IOUT의 발생이자 하측 FET(12)의 RDSON 대 전류 귀환 저항기(26)의 값의 비이고, 가령 출력 전류 IOUT을 나타낸다. 부하 전류 IL은 인덕터(24)를 통해 흐르는 전류이고 실질적으로 출력 전류 IOUT - ISENSE와 같다. 통상적으로, RDSON 대 전류 귀환 저항기(26)의 값의 비는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ISENSE는 실질적으로 출력 전류 IOUT보다 더 작다. 그러므로, 출력 전류 IOUT 및 부하 전류 IL은 실질적으로 크기가 유사할 것이고, 따라서 ISENSE는 부하 전류를 나타낼 것이다.
전류 귀환 저항기(26)의 값은 부하 전류 IL의 값 및/또는 하측 FET(12)의 RDSON의 값에 대한 전류 흐름의 편리한 값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DC/DC 컨버터(10)에 구성된 전압 드룹, 전류 제한 또는 트립, 및 전류 평형의 민감도 또는 크기가 하측 FET(12)의 RDSON의 값에 비례하는 전류 귀환 저항기(26)의 값을 선택함으로써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통상적으로 음의 값으로 나타나는, 하측 FET(12)의 RDSON에 걸친 전압 강하가 음극 전압원의 도움없이도 DC/DC 컨버터(10)에서 수용된다.
도 2에 관하여, 시스템 제어 회로(40)는 샘플 및 홀드 회로(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FET(36)의 드레인은 샘플 및 홀드 회로(38)에 연결된다. FET(36)의 소스에 의해 공급된 전류는 샘플 및 홀드 회로(38)로 부터 FET(36)의 드레인으로 들어가고, FET(36)의 소스로 나와서,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로 흘러 들어간다. 또한 그 반대 방향으로 부터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부하 전류 IL을 나타내는 ISENSE이다. 접지 전위에서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를 홀드하기 위해, 가상 접지 증폭기(34)는 실질적으로 IL SENSE와 같게 하기 위해 출력(34c)를 경유하여 FET(36)을 통해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로 흘러 들어가는 전류를 조정한다. ISENSE는 부하 전류 IL을 나타내기 때문에, 가상 접지 증폭기(34) 및 FET(36)에 의해 제어되는 바와 같이, FET(36)을 통해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로 흘러 들어가는 전류는 또한 부하 전류 IL을 나타낸다. 시스템 제어 회로(40)는 주기적으로 제어 신호(40a)를 샘플 및 홀드 회로(38)에 발생시킨다. 제어 신호(40a)는 FET(36)이 온 또는 도통 상태에 있을 때 발생된다. 제어 신호(40a)에 응답하여, 샘플 및 홀드 회로(38)는 FET(36)이 온 상태일 때 FET(36)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샘플시키고 샘플된 값을 홀드한다. 따라서, 샘플 및 홀드 회로(38)에 의해 얻은 샘플된 값은 또한 부하 전류 IL을 나타낸다. 샘플 및 홀드 회로(38)는 FET(36)을 통해 흐르는 샘플된 전류 값을 나타내는 샘플 신호(38a)를 발생한다.
DC/DC 컨버터(10)는 전압 귀환 저항기(44)를 통해 부하(32)를 통과하는 전압 VOUT을 모니터한다. 전압 귀환 저항기(44)의 한쪽 끝부분은 부하(32)에 연결되고, 나머지 끝부분은 에러 증폭기(46)의 반전 입력(46a)에 연결된다. VFB는 전압 귀환 저항기(44)를 통과하는 전압이다. 에러 증폭기(46)의 비-반전 입력(46b)은 DC/DC 컨버터(10)의 소정의 출력 전압과 실질적으로 같은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는 기준 전압원(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러 증폭기(46)는 기준 전압원(48)으로 부터의 전압과 실질적으로 같도록 반전 입력(46a)에서 전압을 조정한다. 반전 입력(46a)에서 전압은 실질적으로 VOUT 및 VFB의 합과 같기 때문에, 에러 증폭기(46)는 실질적으로 기준 전압원(48)으로 부터의 전압과 같도록 VOUT 및 VFB의 합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은 보상 회로 노드(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 및 반전 입력(46a)간 귀환 경로는 보상 저항기(52) 및 보상 커패시터(54)를 포함한다. 더구나 특히, 보상 커패시터(54)의 한쪽 끝부분은 보상 회로 노드(50)에 연결되고, 다음으로 보상 저항기(52)에 그 나머지 끝부분이 연결된다. 보상 커패시터(54)의 반대쪽에 있는 보상 저항기(52)의 끝부분이 서밍 노드(56)에 연결된다. 전압 귀환 경로에서 보상 저항기(52) 및 커패시터(54)는 시스템 안정도 및 제어 시스템 응답을 제공한다.
샘플 및 홀드 회로(38)에 의해 발생되고 부하 전류 IL을 나타내는 샘플 신호(38a)는 또한 에러 증폭기(46)의 반전 입력에 연결된다. 전압 귀환 저항기(44)를 통과하는 것을 제외하고 에러 증폭기(46)의 반전 입력(46a)에서 직류에 대한 다른 경로는 없다. 따라서, 전압 귀환 저항기(44) 즉, VFB를 통과하는 전압은 샘플링 신호(38a)에 의해 변형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기준 전압원과 같도록, 에러 증폭기(46)는 VOUT 및 VFB의 합과 같은 반전 입력(46a)에서의 전압을 조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샘플링 신호(38a)가 증가함에 따라, VFB는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에러 증폭기(46)는 기준 전압원(48)과 같도록 반전 입력(46a)에서의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VOUT을 감소 시킨다. 샘플링 신호(38a)는 부하 전류 IL을 나타내기 때문에, VOUT은 부하 전류 IL에 관련하여 역비례하는 식으로 효과적으로 변조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VOUT은 부하 전류 IL에 따라 변동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드룹된다. 따라서, 귀환 저항기(44)의 값을 선택함으로써, 부하 전류 IL에 비례하여 VOUT에서 변동 또는 드룹량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비교기(58)의 반전 입력(58a)은 톱니 발생기(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정의 특성을 갖는 톱니 파형을 그것으로 부터 수신한다. 비교기(58)의 출력(58c)은 세트-리셋(SR) 래치(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SR 래치(62)의 출력(62a)은 교대로 하측 FET(12) 및 상측 FET(14)를 구동하는 구동기(6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에 의해 완충된다. DC/DC 컨버터(10)는, 예를 들어, 그렇게 구성되고 그래서 SR 래치(62)의 출력(62a)에서 높은 레벨의 신호는 하측 FET(12)을 오프시키고 상측 FET(14)을 온시킨다. 톱니 발생기(60)는 싱크 펄스(66)를 시스템 제어 회로(40)로 부터 수신한다. SR 래치(62)는 또한 싱크 펄스(66)를 수신한다.
에러 증폭기(46)는 가령, 예를 들어, 감산되거나 가산되는 것과 같은 DC/DC 컨버터(10)의 소정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기준 전압원(48)의 전압에 비례하여 실제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46c)에서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VOUT이 기준 전압원(48)의 전압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은 더 많은 음이나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역으로, 그리고, 추가 예를 들어, Vout이 기준 전압원(48)의 전압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에러 증폭기(46)는 출력(46c)에서 음의 크기가 감소하는(즉, 양의 크기가 증가) 신호를 발생시킨다.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은 비교기(58)의 비-반전 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비교기(58)는 반전 입력(58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톱니 파형을 비반전 입력(58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과 비교한다. 비교기(58)의 출력(58c)은 가령, 예를 들면, 톱니 발생기(60)에 의해 발생된 톱니 파형이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보다 양(+)의 크기가 적을 동안 액티브하고 높다.
도 3a에 관하여, 출력 전압 VOUT이 소정의 출력 전압미만이거나, 기준 전압원(48)의 전압미만의 상태가 도시된다. 따라서,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은 상대적으로 높고, 이로 인해 비교기(58)의 비반전 입력(58b)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신호를 발생한다. 적어도 톱니 파형의 주기의 실질적인 부분이 비반전 입력(58b)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신호보다 양(+)의 크기가 적을 것이다. 비교기(58)의 출력(58c)은 가령, 예를 들어, 톱니 파형이 비반전 입력(58b)에서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신호 보다 양(+)의 크기가 더 적은 값을 갖는 주기의 실질적인 부분동안 액티브하고 높다. 따라서, 출력(58c)의 펄스폭은 상대적으로 넓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58c)의 액티브 주기는 Vout이 기준 전압원(48)의 전압미만일 때 상대적으로 기간이 길다.
역으로, 그리고 특히 도 3b를 참조로,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은 VOUT이 기준 전압원(48)의 전압보다 훨씬 클 때 상대적으로 낮다. 이 상태는 비교기(58)의 비반전 입력(58a)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신호를 발생한다. 톱니 파형의 주기의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이 비교기(58)의 비반전 입력(58b)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신호보다 양(+)의 크기가 적을 것이다. 비교기(58)의 출력(58c)은 비반전 입력(58b)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신호보다 양(+)의 크기가 적은 톱니 파형(예를 들어, 가장 낮은 점 또는 바닥 피크)의 주기의, 어쨌든,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인 동안만 액티브할 것이다. 따라서, 출력(58c)의 펄스폭은 상대적으로 좁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58c)의 액티브 주기가 VOUT이 기준 전압원(48)의 전압보다 훨씬 클 때 상대적으로 기간이 짧을 것이다.
출력(58c)이 액티브할 때, SR 래치(62)의 출력(62a)은 가령, 예를 들어, 높 게 설정된다. 역으로, 출력(58c)이 액티브하지 않을 때, SR 래치(62)의 출력(62a)은 가령, 예를 들어, 낮게 설정된다. 따라서, 톱니 파형이 기준 전압원(48)의 전압 레벨보다 양(+)의 크기가 더 클 때, SR 래치(62)의 출력(62a)은 즉, 낮게 재설정된다. 톱니 파형이 선결된 전압이하로 떨어질 때, SR 래치(62)의 출력(62a)은 즉, 높게 설정된다. SR 래치(62)의 출력(62a)이 교대로 하측 FET(12) 및 상측 FET(14)을 구동시키는 구동기(6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에 의해 완충된다. DC/DC 컨버터(10)는 그렇게 구성되고, 그래서, 예를 들어, SR 래치(62)의 출력(62a)상에 높게 또는 설정된 상태로 인해 구동기(64)가 하측 FET(12)를 오프시키고 상측 FET(14)를 온시키게 된다.
과전류 검출 회로(70)에 의해 전류 트립핑 또는 과전류 보호가 된다. 과전류 검출 회로(70)는 샘플 신호(38a)를 기준 전류(도시되지 않음)와 비교하고, 샘플 신호(38a)가 기준 전류를 초과할 때 과전류 신호(70a)를 시스템 제어 회로(40)에 발생시킨다. 시스템 제어(40)는 DC/DC 컨버터(10)를 차단함으로써 과전류 신호(70a)에 응답한다. 시스템 제어(40)는, 예를 들어, 소정의 양의 시간후에 DC/DC 컨버터(10)의 작동을 재개시하기 위해 구성된다.
음전류 소스(72)는 시스템 제어(40) 및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령, 예를 들어, 부하 전류 IL이 낮은 평균 값을 갖고 인덕터(24)를 통과하는 전압의 스위칭으로 인해 발생되는 톱니 파형이 음의 값으로 급강하할 때, 부하 전류 IL은 어떤 동작 상태하에서 음이 된다. 그런 동작 상태인 동안 즉, IL이 음일 때, 하측 FET(12)의 드레인에서의 전압이 양이다. 하측 FET(12)의 드레인상의 양 전압으로 인해 저항기(26)를 통과하는 전류를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로 공급하고, 이로 인해 가상 접지 노드(30)를 양 전위로 구동시키게 된다. 음 전류 소스(72)는 신호(40N)에 응답하여 IPULLDOWN을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로 공급하고, 이로 인해 IL이 음인 상태하에서 가상 접지 노드(30)를 접지 전위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가상 접지 증폭기(46), 가변 임피던스 소자(36) 및 샘플 및 홀드 회로(38)는 양-방향 식으로 동작시킬 필요가 없고(즉, 그것들은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공급시킴), DC/DC 컨버터(10)에서 음전압원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도 5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음전류 소스(72)는 스위치(80, 82, 84)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위치(80, 82, 84)는, 예를 들어, MOS 트랜지스터이다. 전류 소스(86)는 가령, 예를 들어, NMOS 미러와 같은 풀다운 전류 소스이고, 접지 및 노드(90)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80)는 노드(90)및 전압원(88)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노드(90)를 전압원(88)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커패시터(92)는 선택적으로 노드(90) 및 노드(94)사이에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된다. 각각의 스위치(82, 84)는 노드(9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측을 갖고 있다. 스위치(82)의 그 나머지 측은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면에 스위치(84)의 그 나머지 측이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류 소스(86)에 의해 공급된 역 전류가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를 접지 전위로 유지시킬 필요가 없을 때 가령, 예를 들어, 하측 FET(12)가 오프일 때, 스위치(80, 82)는 닫히고 스위치(84)는 개방된다. 따라서, 노드(90)는 양 전위가 되고 노드(94)는 음 전위가 되면서, 전압원(88)의 공급 전압은 커패시터(92)를 통해 축적된다. 풀다운 전류를 전류 소스(86)로부터 공급시키기 위해, 스위치(80, 82)는 각각 오픈되고 스위치(84)는 닫힌다. 따라서, IPULLDOWN은 하측 FET(12)상에 전압 강하에 의해 유도된 보통의 순방향 전류와 같은 방향으로 가상 접지 노드(30)로 흘러 들어간다. 전류 IPULLDOWN의 가산은 가상 접지 회로 노드(30)를 접지 전위로 유지시키고, 가령, 예를 들어, 전류 제한 트립 포인트와 같은 다음 회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나중에 선택적으로 감산된다.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이어서 도 3a 및 3b를 참조로, DC/DC 컨버터(10)의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톱니 발생기(60)는 싱크 펄스(66)를 시스템 제어 회로(40)로 부터 수신한다. SR 래치(62)는 또한 싱크 펄스(66)를 수신한다. 싱크 펄스는 두 톱니 파형 및 SR 래치(62)의 출력(62a)을 낮은 레벨로 재설정한다. 비교기(58)의 출력 조건 또는 상태에 관계없이, SR 래치(62)는 싱크 펄스(66)에 기초한 출력(62a)을 재설정하기 위해 구성된다. 따라서, 비교기(58)의 출력이, 예를 들면, 톱니 파형보다 계속해서 높다면, 높은 레벨의 싱크 펄스(66)인 동안 SR 래치(62)의 출력(62a)은 낮을 것이다. 도 3a 및 3b의 포인트(200a 및 200b)에 각각 나타난 바와 같이, 싱크 펄스(66)는 톱니 발생기(60)에 의해 발생된 톱니 파형을 낮은 레벨로 재설정하고, SR 래치(62)의 출력(62a)을 재설정한다. DC/DC 컨버터(10)는 그렇게 구성되고, 그래서, 예를 들면, SR 래치(62)의 출력(62a)이 낮을 때, 상측 FET(14)은 오프가 되고 하측 FET(12)은 온이 된다. 따라서, 싱크 펄스(66)에 의한 SR 래치(62)의 출력(62a)의 재설정은 하측 FET(12)을 온시킨다. 이 시간 주기동안 즉, 하측 FET(12)이 온일 때, 하측 FET(12)의 RDSON이 측정된다. 싱크 펄스(66)의 가장자리, 각각의 포인트(210a, 210b)에서, 톱니 파형은 아래로 경사(즉, 음의 경사)지기 시작한다.
도 3a에 관하여, 소정의 또는 목표 레벨 보다 낮은 출력 전압 Vout을 갖는 DC/DC 컨버터(10)의 상태가 도시된다. 따라서, 부하(32)를 통과하는 전압은 바라는 것보다 더 낮다. 이 상태는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이 톱니 파형에 비례하여 높은 레벨을 갖게 한다. 포인트(300a)에서, 톱니 파형의 주된 또는 양(+)으로 경사된 가장자리가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의 출력 레벨위로 교차하고, 이로 인해 비교기(58)의 출력(58c)을 낮게 보낸다. 출력(58c)에서 이런 특별한 천이는 싱크 펄스(66)가 여전히 액티브하기 때문에 SR 래치(62)의 출력(62a)에 영향을 주지 않고, 따라서 출력(62a)은 그대로 재설정되어 있거나 낮다.
포인트(310a)에서, 톱니 파형의 하강하는 또는 음으로 경사된 가장자리는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의 출력 레벨아래로 교차하고, 이로 인해 비교기(58)의 출력(58c)을 높게 보낸다. 교대로, 출력(58c)에서 높은 레벨로의 이런 천이는 SR 래치(62)의 출력(62a)을 높게 설정하고, 이로 인해 상측 FET(14)을 온시키고 하측 FET(12)을 오프시킨다. 톱니 파형에 비례하는 출력(46c)의 높은 레벨로 인해 톱니 파형이 상대적으로 톱니 파형의 주기의 초기에 출력(46c)의 레벨(포인트 310a에서)밑으로 하강하게 한다. 따라서, 포인트(300a, 310b)는 상대적으로 제시간에 가깝고, 하측 FET(12)이 오프인 동안의 주기가 대응적으로 짧다. 역으로, 상측 FET(14)이 온 및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길다. 따라서, 상측 FET(14)은 상대적으로 긴 시간의 주기동안 온이고, Vout이 소정의 출력 전압미만일 때 훨씬 더 많은 양의 전류를 부하(32)로 공급한다.
도 3b에 있어서, 소정의 또는 목표 레벨 보다 높은 출력 전압 Vout을 갖는 DC/DC 컨버터(10)의 상태가 도시된다. 따라서, 부하(32)를 통과하는 전압은 바라는 것보다 훨씬 더 높다. 그러므로, 에러 증폭기(46)의 출력은 톱니 파형에 비례하여 낮다. 포인트(300b)에서, 톱니 파형의 주된 또는 양(+)으로 경사된 가장자리가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의 출력 레벨위로 교차하고, 이로 인해 비교기(58)의 출력(58c)을 낮게 보낸다. SR 래치(62)의 출력(62a)은 싱크 펄스(66)에 의해 이미 재설정되어 있다.
포인트(310b)에서, 톱니 파형의 하강하는 또는 음으로 경사된 가장자리는 에러 증폭기(46)의 출력(46c)의 출력 레벨아래로 교차하고, 이로 인해 비교기(58)의 출력(58c)을 높게 보낸다. 교대로, 출력(58c)에서 높은 레벨로의 이런 천이는 SR 래치(62)의 출력(62a)을 높게 설정하고, 이로 인해 상측 FET(14)을 온시키고 하측 FET(12)을 오프시킨다. 톱니 파형에 비례하는 출력(46c)의 낮은 레벨로 인해 톱니 파형이 상대적으로 톱니 파형의 주기의 후반에 출력(46c)의 레벨(포인트 310b에서)밑으로 하강하게 한다. 따라서, 포인트(300a, 310b)는 도 3a에 도시된 상황(즉, 출력 (46c)이 톱니 파형에 비례하여 높을 때 및/또는 VOUT은 목표 값미만일 때)에 비례하여 실질적으로 훨씬 더 많은 양의 시간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측 FET(12)이 온인 동안의 주기가 대응적으로 기간이 더 길다. 역으로, 상측 FET(14)이 온 및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짧다. 그러므로, Vout이 소정의 출력 전압보다 훨씬 더 클 때, 상측 FET(14)은 더 적은 양의 전류를 부하(32)로 공급해 준다.
두 경우에 있어서, 즉, 부하(32)를 통과하는 전압이 바라는 것보다 더 높거나 낮은 경우에, SR 래치(62)의 출력(62a)은 부하(32)를 통과하는 전압의 관련 값에 따르기 보다는 차라리 싱크 펄스(66)를 근거로 하여 낮아진다. SR 래치(62)의 출력(62a)이 낮은 상태에 있을 때, 상측 FET(14)이 오프 상태에 있고 하측 FET(12)이 온 상태에 있으며, 하측 FET(12)의 RDSON을 통과하는 전압 강하가 샘플 및 홀드된다. 따라서, 부하 전류 IL은 하측 FET(12)이 온 상태에 있을 때 접지로 부터 하측 FET(12)의 소스를 통과하여 드레인으로 흘러 간다. 하측 FET(12)을 통과하는 전류 흐름의 방향은 하측 FET(12)의 드레인상에 음전압을 전개한다. 이 음전압의 크기는 하측 FET(12)의 IL 및 RDSON의 발생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하측 FET(12)의 소스는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하측 FET(12)은 가령, 예를 들어, 그 소스가 저항기를 통해 접지에 묶이고, 감지 저항기(26)를 하측 FET(12)의 소스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선택 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네트 효과는 같고, 가상 접지 증폭기는 계속해서 가상 접지 노드(30)를 가상 접지로 구동시킨다. 이런 선택적인 구성에 있어서, 샘플 및 홀드 회로(38)로 부터의 전류는 여전히 부하 전류 IL을 나타낸다.
하측 FET(12)의 RDSON을 통과하는 전압 강하보다 오히려 가산된 감지 저항기를 통과하는 부하-전류-유도된 전압 강하를 제외하고 측정된다. 이 선택적인 실시예는 도 6에 가장 잘 나타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 전압원(48)은 고정된 전압원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기준 전압원(48)은 선택적으로 가령, 예를 들어, 밴드갭 또는 다른 고정된 전압원으로 구성되거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또는 다른 가변 전압원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FET(36)은 하나의 FET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FET(36)은 가령, 예를 들어, 게이트로 대체된 베이스, 소스로 대체된 에미터, 및 드레인으로 대체된 콜렉터를 갖는 NPN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접지 증폭기(34)는 연속 동작을 위해 구성된다. 그러나, 가령, 예를 들면, 하측 FET(12)이 온 상태에 있을 때에만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상 접지 증폭기(34)는 자동-제로되는 증폭기 또는 다른 비-연속적으로 동작하는 증폭기로 구성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DC/DC 컨버터(10)는 그렇게 구성되고, SR 래치(62) 의 출력(62a)에서 높은 레벨의 신호는 하측 FET(12)을 오프시키고 상측 FET(14)을 온시킨다. 그러나, DC/DC 컨버터(10)는 그렇게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FET(12) 및 FET(14)의 동작 극성이 반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40)는 과전류 상태의 검출에 이어 선결된 양의 시간이후 DC/DC 컨버터(10)의 작동을 재개시하기 위해 구성된다. 그러나, 시스템 제어 회로(40)는 가령, 예를 들어, 시각적 또는 청각적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DC/DC 컨버터(10)를 완전히 차단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DC/DC 컨버터(10)는 인덕터(24), 노드(16)에 연결된 커패시터(28) 및 부하(32)로 구성된다. 그러나, DC/DC 컨버터(10)는 가령, 예를 들어, 인덕터(24), 커패시터(28) 및 부하(32)없이 그렇게 구성되고, 유저, 디자이너, 또는 제조업자가 DC/DC 컨버터(10)의 노드(16)에 부착된 회로를 선택하고 주문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DC/DC 벅(buck)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는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포함한다. 상측 스위치는 공통 출력 노드 및 전압원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하측 스위치는 공통 출력 노드 및 접지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가상 접지 증폭기는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입력을 포 함한다. 전류 귀환 저항기는 가상 접지 증폭기의 공통 출력 노드 및 제 1 입력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가상 접지 증폭기의 출력 및 가상 접지 증폭기의 제 1 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는 가상 접지 증폭기의 출력에 따라 변동된다. 샘플 및 홀드 회로는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의 입력 및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Claims (53)

  1. (a)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갖는 DC/DC 벅 펄스폭 변조 컨버터 회로;
    (b) 공통 출력 노드 및 전압원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측 스위치;
    상기 상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고,
    (c) 상기 공통 출력 노드 및 접지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측 스위치;
    상기 하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고,
    (d) 제 1 입력, 제 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가상 접지 증폭기;
    상기 제 2 입력은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e) 상기 공통 출력 노드 및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제 1 입력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류 귀환 저항기;
    (f)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출력 및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제 1 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출력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며,
    (g) 상기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는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 가상 접지 전류를 공급해주고 상기 가상 접지 전류를 샘플 및 홀드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2.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는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 회로는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 접지 전류를 샘플 및 홀드하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상 접지 전류에 따라 좌우되는 샘플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 회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샘플 신호에 따라 좌우되는 상기 상측 스위치 및 상기 하측 스위치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시스템 제어 회로는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동기 신호는 상기 상측 스위치 및 상기 하측 스위치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3. 제 2 항에 있어서, 과전류 검출기 회로는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 및 상기 시스템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 검출기 회로는 상기 샘플 신호가 선결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과전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 제어 회로는 상기 과전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를 차단하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 회로는 상기 과전류 신호 를 수신한 다음의 선결된 시간 주기에 상기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를 재개시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4.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 출력, 전압 귀환 저항기는 상기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의 상기 전원 출력 및 상기 입력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 회로는 전류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미러는 드룹(droop)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드룹 전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접지 전류에 따라 좌우되고, 상기 드룹 전류는 상기 전압 귀환 저항기를 통과하는 귀환 전압를 변형시키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하 전류에 따라 좌우되는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의 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5. 제 1 항에 있어서, 음 전류 소스, 상기 시스템 제어 회로는 제 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음 전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 전류 소스는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음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음 전류는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제 1 입력으로 흘러들어 가고 이로 인해 상기 전류 귀환 저항기를 통과하는 전류가 음일 때 상기 전류 귀환 저항기를 접지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NPN-형 트랜지스터 및 제 1 끝부분 및 제 2 끝부분을 갖는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끝부분은 상기 공통 출력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끝부분은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7. 전원에서 출력 전류의 감지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은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갖는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공통 출력 노드 및 전압원의 중간에 상측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상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며, 하측 스위치는 상기 공통 출력 노드 및 접지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며,
    (b) 감지된 전류를 가상 접지 노드로 향하게 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류는 상기 하측 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을 때 알려진 일부의 출력 전류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된 전류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가상 접지 노드로 흘러 들어가고,
    (c) 가상 접지 전류를 상기 가상 접지 노드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접지 전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가상 접지 노드로 흘러 들어가며,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이고, 상기 가상 접지 전류는 실질적으로 상기 감지된 전류와 같으며 이로 인해 상기 가상 접지 노드에서 상기 감지된 전류를 제거하고,
    (d) 상기 가상 접지 전류의 값을 샘플링 및 홀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에서 출력 전류의 감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샘플링 및 홀딩 단계에 따라 좌우되는 상기 상측 스위치 및 상기 하측 스위치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는 추가 단계, 및 주기적인 것과 랜덤한 것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상측 스위치 및 상기 하측 스위치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동 및 해제 시키는 추가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접지 전류의 상기 샘플되고 홀드된 값을 선결된 최대 제한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접지 전류가 상기 선결된 최대 제한을 초과할 때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차단 단계 다음에 선결된 시간 주기에 상기 전원을 재개시하는 단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상 접지 전류의 상기 샘플되고 홀드된 값에 따라 좌우되는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을 조정하는 추가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a)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갖는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
    (b) 공통 출력 노드 및 전압원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측 스위치;
    상기 상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고,
    (c) 감지 저항기를 통해 상기 공통 출력 노드 및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측 스위치;
    상기 하측 스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측 출력에 따라 좌우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고,
    (d) 제 1 입력, 제 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가상 접지 증폭기;
    상기 제 2 입력은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e) 상기 공통 출력 노드 및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제 1 입력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류 귀환 저항기;
    (f)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출력 및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제 1 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상 접지 증폭기의 상기 출력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며,
    (g) 상기 DC/DC 벅 펄스폭 변조기 컨버터 회로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는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 가상 접지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가상 접지 전류를 샘플 및 홀드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11. 입력, 상측 회로를 구동하는 상측 출력, 및 하측 회로를 구동하는 하측 출력를 갖는 컨버터 회로;
    상기 하측 회로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컨버터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샘플링 및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로 구성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입력을 갖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두 개의 입력을 가지며, 제 1 입력은 상기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고, 제 2 입력은 기준신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제 1 노드, 상기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제 2 노드, 및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와 연결되는 제 3 노드를 갖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15.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갖는 컨버터 회로;
    공통 출력노드와 연결되고, 이곳을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을 상기 상측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제어하는 상측 스위치;
    공통 출력노드와 연결되고, 이곳을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을 상기 하측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제어하는 하측 스위치;
    제 1 입력, 기준신호와 연결되는 제 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증폭기;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증폭기의 제 1 입력에 공급해주는 전류 귀환 저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컨버터 회로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샘플링 및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끝부분과 제 2 끝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끝부분은 상기 공통 출력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끝부분은 부하와 연결되는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증폭기의 제 1 입력과 연결된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
  19. 제어회로;
    공통 출력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컨버터 회로의 상기 상측 출력과 연결되는 상측 스위치;
    공통 출력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컨버터 회로의 상기 하측 출력과 연결되는 하측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와 상기 공통 출력노드와 연결되는 전류 감지 저항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회로는,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갖는 컨버터 회로;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컨버터 회로의 입력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샘플링 및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입력을 갖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두 개의 입력을 가지며, 제 1 입력은 상기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고, 제 2 입력은 기준신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제 1 노드, 상기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제 2 노드, 및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와 연결되는 제 3 노드를 갖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23. 입력, 상측 스위치를 구동하는 상측 출력, 및 하측 스위치를 구동하는 하측 출력을 갖는 컨버터 회로;
    DC/DC 컨버터의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제 1 입력, 기준신호와 연결되는 제 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제 1 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제 2 노드, 및 제 3 노드를 가지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컨버터 회로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상기 제 3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샘플링 및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24.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를 갖는 DC-DC 펄스 폭 변조 컨버터 회로;
    공통 출력 노드와 전압원의 중간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곳을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을 상기 상측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제어하는 상측 스위치;
    상기 공통 출력 노드와, 감지 저항기를 통한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곳을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을 상기 하측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제어하는 하측 스위치;
    제 1 입력, 기준신호와 연결되는 제 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감지 저항기와 상기 증폭기의 제 1 입력의 중간에 연결된 전류 귀환 저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상기 증폭기의 제 1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컨버터 회로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중간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샘플링 및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
  25. 입력, 상측 스위치를 구동하는 상측 출력, 및 하측 스위치를 구동하는 하측 출력을 갖는 컨버터 회로;
    DC/DC 컨버터의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제 1 입력, 기준신호와 연결되는 제 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제 1 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에 응답하는 제 2 노드, 및 제 3 노드를 가지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컨버터 회로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상기 제 3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샘플링 및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26.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노드;
    상기 노드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에 응답하며,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노드에 전류를 제공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하여 상기 노드에 제공된 상기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샘플링 및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감지회로.
  27. 입력, 상측 스위치를 구동하는 상측 출력, 및 하측 스위치를 구동하는 하측 출력을 갖는 컨버터 회로;
    DC/DC 컨버터의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제 1 입력, 기준신호와 연결되는 제 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제 1 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의 상기 전류신호에 응답하는 제 2 노드, 및 제 3 노드를 가지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컨버터 회로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상기 제 3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샘플링 및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28. 입력, 상측 회로를 구동하는 상측 출력, 및 하측 회로를 구동하는 하측 출력을 갖는 컨버터 회로;
    상기 하측 회로가 온 상태에 놓이게 되면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컨버터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샘플링 및 홀딩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컨버터 회로는: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어 샘플링 및 홀딩된 전류, 상기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신호, 및 제 1 기준신호를 결합함으로써 에러 신호를 판단하는 회로;
    상기 에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에러 신호를 제 2 기준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제어신호를 판단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어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을 기초로 상기 상측 출력 및 상기 하측 출력을 구동하는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입력을 갖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두 개의 입력을 가지며, 제 1 입력은 상기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고, 제 2 입력은 기준신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제 1 노드, 상기 전류 감지노드와 연결되는 제 2 노드, 및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와 연결되는 제 3 노드를 갖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를 위한 제어장치.
  32.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를 갖는 컨버터 회로;
    공통 출력 노드에 연결되고, 이곳을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을 상기 상측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상측 스위치;
    공통 출력 노드에 연결되고, 이곳을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을 상기 하측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하측 스위치;
    제 1 입력, 기준신호와 연결되는 제 2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증폭기;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증폭기의 제 1 입력에 제공해 주는 전류 귀환 저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과 연결되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동되도록 구성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컨버터 회로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와 연결되며,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샘플링 및 홀딩하도록 구성되는 샘플 및 홀드 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컨버터 회로에는:
    상기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신호,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서 공급된 샘플링되고 홀딩된 전류, 및 제 1 기준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에 따라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에러 증폭기;
    상기 에러 증폭기로부터의 상기 에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에러 신호와 제 2 기준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을 기초로 비교신호를 출력해내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상기 출력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비교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을 기초로, 상기 상측 스위치 및 상기 하측 스위치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해주는 출력회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
  34. 제 32 항에 있어서, 제 1 끝부분과 제 2 끝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끝부분은 상기 공통 출력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끝부분은 부하와 연결되는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증폭기의 제 1 입력과 연결된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
  36. 출력전압을 가지며, 출력전류를 부하에 공급해주는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측회로가 온 상태에 놓이게 되면, 제 1 방향을 갖고 노드로 흐르는 출력전류를 나타내는 감지전류를 노드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류를 또한 나타내며,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갖는 전류를 상기 노드로 공급해 주는 단계;
    상기 공급된 전류의 값을 샘플링 및 홀딩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신호, 상기 공급된 전류에 대한 샘플링 및 홀딩값, 및 제 1 기준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을 기초로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에러신호 및 제 2 기준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을 기초로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을 기초로 상기 DC/DC 컨버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어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류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감지 저항기를 통하여 전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어방법.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류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하측 회로의 노드와 상기 감지전류를 수신하는 노드사이에 연결된 감지 저항기를 통하여 전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어방법.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로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에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어방법.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신호는 램프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어방법.
  41.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해 내는 단계에는 SR 래치를 구비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어방법.
  42.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신호, 상기 공급된 전류에 대한 샘플링 및 홀딩값, 및 제 1 기준신호 중 적어도 두개를 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어방법.
  43. 입력, 상측 출력, 및 하측 출력을 갖는 DC-DC 컨버터 회로를 구성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측회로가 온 상태에 놓이게 되면, 제 1 방향을 갖고 노드로 흐르는 출력전류를 나타내는 감지전류를 노드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류를 또한 나타내며,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갖는 전류를 상기 노드로 공급해 주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전류의 값을 샘플링 및 홀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감지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류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감지 저항기를 통하여 전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감지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류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하측 회로의 노드와 상기 감지전류를 수신하는 노드사이에 연결된 감지 저항기를 통하여 전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감지방법.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로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에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감지방법.
  47. 입력, 상측 스위치와 연결된 상측 출력, 및 하측 스위치와 연결된 하측 출력을 갖는 컨버터 회로를 구성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감지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지전류를 제 1 방향으로 전류감지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감지전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전류감지노드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류감지노드에서 상기 감지전류를 상쇄시키는 단계;
    상기 공급된 전류의 값을 샘플링 및 홀딩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전류를 기초로 상기 상측 출력과 상기 하측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제어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류를 생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하측 스위치가 온 상태에 놓일 때에 감지전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제어방법.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공급된 전류의 샘플링 및 홀딩값의 적어도 일부분을 기초로 상기 상측 스위치 및 상기 하측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제어방법.
  50.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상측 스위치 및 상기 하측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 및 무작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제어방법.
  51.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된 전류의 샘플링 및 홀딩값을 소정의 선택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전류가 상기 소정의 선택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기의 전원을 끄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제어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기의 전원이 꺼진 다음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에 상기 전원공급기를 다시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제어방법.
  53.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공급된 전류의 샘플링 및 홀딩값의 적어도 일부분을 기초로 상기 전원공급기의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제어전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기에서의 출력전류 제어방법.
KR1020000051102A 1999-09-01 2000-08-31 개선된 전류 감지를 갖는 동기-정류된 직류/직류 컨버터 KR100573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82699P 1999-09-01 1999-09-01
US60151826 1999-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203A KR20010030203A (ko) 2001-04-16
KR100573520B1 true KR100573520B1 (ko) 2006-04-26

Family

ID=2254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102A KR100573520B1 (ko) 1999-09-01 2000-08-31 개선된 전류 감지를 갖는 동기-정류된 직류/직류 컨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6246220B1 (ko)
KR (1) KR100573520B1 (ko)
CN (1) CN1201470C (ko)
TW (1) TW5174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700A (ko) * 2015-04-20 2016-10-28 컨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전압원 보호에 대한 단락을 이용하는 동기식 벅 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2578B (en) * 2000-03-21 2002-12-01 Int Rectifier Corp Inductor current synthesizer for switching power supplies
US6433525B2 (en) 2000-05-03 2002-08-13 Intersil Americas Inc. Dc to DC converter method and circuitry
US6894911B2 (en) * 2000-06-02 2005-05-17 Iwatt, Inc. Method of driving a power converter by using a power pulse and a sense pulse
US6882552B2 (en) * 2000-06-02 2005-04-19 Iwatt, Inc. Power converter driven by power pulse and sense pulse
US6486645B1 (en) * 2001-06-13 2002-11-26 Sipex Corporation Voltage regulation circuit and related methods having a dynamically determined minimum discharge time
KR100413685B1 (ko) * 2001-07-09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차를 갖는 제어 전압 발생 장치 및 방법
JP5114818B2 (ja) * 2001-08-13 2013-01-09 ヤマハ株式会社 電流検出方法、電流検出回路及び過電流保護回路
US6812677B2 (en) 2001-08-21 2004-11-02 Intersil Americas Inc. Thermally compensated current sensing of intrinsic power converter elements
US6424129B1 (en) 2001-08-21 2002-07-23 Sem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sensing output current in a DC-to-DC voltage converter
US6441597B1 (en) 2001-10-31 2002-08-27 Sem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output inductor current in a DC-to-DC power converter
US20030090245A1 (en) * 2001-11-05 2003-05-15 Krishna Shenai Synchronous switched boost and buck converter
US6900995B2 (en) * 2001-11-29 2005-05-31 Iwatt, Inc. PWM power converter controlled by transistion detection of a comparator error signal
US6700365B2 (en) 2001-12-10 2004-03-02 Intersil Americas Inc. Programmable current-sensing circuit providing discrete step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DC-DC converter
US6765372B2 (en) * 2001-12-14 2004-07-20 Intersil Americas Inc. Programmable current-sensing circuit providing continuous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DC-DC Converter
US6414470B1 (en) * 2002-01-22 2002-07-02 Richtek Technolog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balancing channel currents in a multi-phase DC-to-DC converter
AU2003220665A1 (en) * 2002-04-03 2003-10-20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Synchronous buck converter improvements
TWI220022B (en) * 2002-05-27 2004-08-01 Richtek Technology Corp Current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3637904B2 (ja) * 2002-07-24 2005-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源回路
JP4265894B2 (ja) * 2002-08-22 2009-05-20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
US6696824B1 (en) * 2002-09-05 2004-02-24 Texas Instruments Incorported Reduction of external component count in variable voltage integrated DC/DC converter
TW576007B (en) * 2002-09-20 2004-02-11 Richtek Technology Corp Semi-simulating current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 DC/DC power source converter
US6703893B1 (en) * 2002-11-25 2004-03-09 Intersil Americas Inc. Method of setting bi-directional offset in a PWM controller using a single programming pin
CN100394687C (zh) * 2003-01-10 2008-06-11 英特赛尔美国股份有限公司 利用单一增益电阻器的多相转换器控制器
US6977489B2 (en) * 2003-01-10 2005-12-20 Intersil Americas, Inc Multiphase converter controller using single gain resistor
GB0308758D0 (en) * 2003-04-16 2003-05-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rotected power devices
JP2007527685A (ja) * 2003-06-30 2007-09-27 ニューパワー・セミコンダクタ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源電流検出および垂下損失補償のためのプログラマブル較正回路
US7019504B2 (en) * 2003-07-08 2006-03-28 Arques Technology Constant ON-time controller for a buck converter
ITMI20031505A1 (it) * 2003-07-22 2005-01-23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di lettura di tipo multisense-adattativo, in particolare per convertitori dc-dc interleaved e relativo metodo di lettura
CN100431249C (zh) * 2003-08-28 2008-11-05 立锜科技股份有限公司 Δ-σ直流对直流转换器及转换方法
CN100337390C (zh) * 2003-08-29 2007-09-12 立锜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负载暂态响应快速反应的直流对直流转换器及电压转换方法
US6933706B2 (en) * 2003-09-15 2005-08-23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and circuit for optimizing power efficiency in a DC-DC converter
US7026798B2 (en) * 2003-10-27 2006-04-11 Intersil Americas Inc. Multi-channel driver interface circuit for increasing phase count in a multi-phase DC-DC converter
DE60320815D1 (de) * 2003-12-15 2008-06-19 Dialog Semiconductor Gmbh Strommessschaltung für Gleichstrom-Gleichstrom-Abwärtswandler
TWI254505B (en) * 2003-12-26 2006-05-01 Richtek Techohnology Corp Time-sharing current sensing circuit applied in a multi-phase converter
WO2005079430A2 (en) * 2004-02-17 2005-09-01 Agere Systems, Inc. Versatile and intelligent power controller
US7466116B2 (en) * 2004-04-12 2008-12-16 Renesas Technology America, Inc. Current sensing circuit for a multi-phase DC-DC converter
EP1587208A1 (en) * 2004-04-14 2005-10-19 Infineon Technologies AG Buck converter with low loss current measurement
US7045993B1 (en) * 2004-04-29 2006-05-1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p-down switching voltage regulation
US7372238B1 (en) * 2004-04-29 2008-05-1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p-down switching voltage regulation
DE102004021437B4 (de) * 2004-04-30 2007-08-23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Gleichspannungs-Hochfrequenz-Aufwärtswandler
GB0413494D0 (en) * 2004-06-16 2004-07-21 Elantec Semiconductor Inc Non-Leb restricted DC-DC converter
TWI235541B (en) * 2004-06-25 2005-07-01 Anpec Electronics Corp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use in DC-to-DC converter
US7282897B2 (en) 2004-07-15 2007-10-16 Intersil America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ient control in a multiphase switching power supply
DE602004006623T2 (de) 2004-08-27 2008-01-17 Infineon Technologies Ag Steuerschaltung für Strombetriebsarten-Abwärtswandler
US7141955B1 (en) * 2004-09-24 2006-11-2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urrent for a high-side switch
US7135841B1 (en) 2004-11-10 2006-11-1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Emulated inductor current automatic correction without knowledge of actual inductor current ramp for emulated peak control mode PWM
CN101065706B (zh) 2004-11-22 2011-01-19 古河Sky株式会社 可动机构
US7200014B1 (en) * 2004-11-22 2007-04-03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uty cycle information in an isolated DC/DC converter or other circuit
KR100678945B1 (ko) * 2004-12-03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 입력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TWI253802B (en) * 2004-12-09 2006-04-21 Quanta Comp Inc Buck converter
KR100597415B1 (ko) 2004-12-16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저항 조절에 의해 개선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동기 정류형 직류/직류 컨버터
TWI281305B (en) * 2005-02-03 2007-05-11 Richtek Techohnology Corp Dual input voltage converter and its control method
US7554309B2 (en) * 2005-05-18 2009-06-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s, devices and methods for regulator minimum load control
US7514966B2 (en) 2005-06-02 2009-04-07 Via Technologies, Inc. Fast, low offset ground sensing comparator
JP4691404B2 (ja) * 2005-06-24 2011-06-01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自励型dc−dcコンバータ
US7504816B2 (en) * 2005-09-28 2009-03-17 Intersil Americas Inc. Circuit for multiplexing digital and analog information via single pin of driver for switched MOSFETs of DC-DC converter
JP4640984B2 (ja) * 2005-12-07 2011-03-02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および制御方法
JP4731309B2 (ja) * 2005-12-20 2011-07-20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制御回路、およびdc−dcコンバータ制御方法
JP2007212441A (ja) * 2006-01-12 2007-08-23 Nissan Motor Co Ltd 電圧検出装置
EP1863157A1 (en) * 2006-05-31 2007-12-05 STMicroelectronics S.r.l. Controller for DC-DC converters with by-pass compensation also for multi-phase applications
US9705325B2 (en) * 2006-06-01 2017-07-11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ling switching circuits to balance power or current drawn from multiple power supply inputs
TWI325207B (en) * 2006-06-06 2010-05-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Switching regulator with over current protection and method thereof
US20080054971A1 (en) * 2006-07-06 2008-03-06 Wenkai Wu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circuit
TWI330354B (en) * 2006-07-07 2010-09-11 Chimei Innolux Corp Pulse light-adjusting circuit
CN100438288C (zh) * 2006-09-27 2008-11-26 周常柱 提高驱动电路可靠性的方法及大功率驱动电路
US7746042B2 (en) * 2006-10-05 2010-06-29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Low-noise DC/DC converter with controlled diode conduction
KR100860526B1 (ko) * 2006-12-29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양방향 직류/직류컨버터의 보호장치
JP2008178226A (ja) * 2007-01-18 2008-07-31 Fujitsu Ltd 電源装置および負荷装置への電源電圧の供給方法
US7586367B2 (en) * 2007-04-25 2009-09-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urrent sensor device
US7936160B1 (en) 2007-04-25 2011-05-0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alley emulated current mode control
KR100935440B1 (ko) * 2007-05-09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옵셋의 제어를 통해 전류 소모량을 개선한 pwm방식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02812A (ko) * 2007-05-22 2008-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변환 장치 및 신호 변환 방법
US7688057B2 (en) * 2007-07-10 2010-03-30 Rosemount Inc. Noise diagnosis of operating conditions for an electromagnetic flowmeter
US7906948B2 (en) * 2007-07-23 2011-03-15 Intersil Americas Inc. Threshold voltage monitoring and control in synchronous power converters
US7888925B2 (en) * 2007-07-23 2011-02-15 Intersil Americas Inc. Load current compensation in synchronous power converters
ITTO20070567A1 (it) * 2007-07-31 2009-02-01 St Microelectronics Srl Convertitore dc-dc con circuito di protezione da sovraccarichi di corrente e relativo metodo
US8729881B2 (en) * 2007-09-25 2014-05-20 Alpha & Omega Semiconductor Ltd Voltage/curr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5256713B2 (ja) * 2007-11-29 2013-08-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容量性負荷の駆動回路、液体噴射装置及び印刷装置
TWI363946B (en) * 2007-11-30 2012-05-11 Upi Semiconductor Corp Power supplies, power supply controllers, and power supply controlling methods
CN101546957B (zh) * 2008-03-24 2012-07-25 凹凸电子(武汉)有限公司 含控制器的直流/直流转换器及其控制方法
US9059632B2 (en) * 2008-03-24 2015-06-16 O2Micro, Inc. Controllers for DC to DC converters
US7928713B2 (en) * 2008-03-28 2011-04-19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ous buck with active negative current modulation
US8018208B1 (en) * 2008-05-06 2011-09-13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Error amplification for current mode control switching regulation
JP5109795B2 (ja) * 2008-05-13 2012-12-2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圧検出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994766B2 (en) * 2008-05-30 2011-08-0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Differential current sensor device and method
US8008902B2 (en) * 2008-06-25 2011-08-30 Cirrus Logic, Inc. Hysteretic buck converter having dynamic thresholds
US8269474B2 (en) * 2008-07-23 2012-09-18 Intersil America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oltage overshoot during load release within a buck regulator
US8188721B2 (en) * 2008-08-05 2012-05-29 Intersil Americas Inc. Active pulse positioning modulator
US8406019B2 (en) * 2008-09-15 2013-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Reactive power compensation in solar power system
JP5399734B2 (ja) * 2008-09-30 2014-01-29 スパンション エルエルシー 出力電圧制御装置、出力電圧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TWI385887B (zh) * 2009-07-13 2013-02-11 Asus Technology Pte Ltd 直流-直流轉換器的過電流保護裝置與方法
US8154334B2 (en) * 2009-07-21 2012-04-10 Intersil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charging a bootstrap capacitor in a switching regulator with high pre-bias voltage
US8018209B2 (en) * 2009-09-24 2011-09-13 Anpec Electronics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for fixing frequency
US8183848B2 (en) * 2010-01-21 2012-05-22 Anpec Electronics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and constant frequency compensating circuit for fixing operating frequency
US9088208B2 (en) * 2010-01-27 2015-07-21 Intersil Americas LLC System and method for high precision current sensing
KR101105681B1 (ko) * 2010-06-25 2012-01-18 (주)실리콘인사이드 전류 구동 방식 스위치 모드 dc―dc 컨버터의 제어회로
EP2614588A1 (en) * 2010-09-10 2013-07-17 ST-Ericsson SA Controlled switch
CN102478606A (zh) * 2010-11-26 2012-05-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降压式变换电路的过流保护阻值侦测电路
CN102780397A (zh) * 2011-05-10 2012-11-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降压式变换电路
TWI465011B (zh) * 2011-06-02 2014-12-11 Richtek Technology Corp Pwm電壓調節器的控制電路及方法
DE102011108738B3 (de) * 2011-07-28 2012-12-06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Laststromabtastschaltung und Verfahren
TW201310877A (zh) * 2011-08-16 2013-03-01 Wistron Corp 電源供應裝置及電源供應方法
US9035624B1 (en) * 2011-12-27 2015-05-1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Power supply circuitry and current measurement
US9502980B2 (en) * 2011-12-27 2016-11-22 Infineon Technologies Americas Corp. Circui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verage output inductor current indicator
US20130176004A1 (en) * 2012-01-10 2013-07-11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Switching mode power supply
TW201340078A (zh) * 2012-03-22 2013-10-01 Richtek Technology Corp 提高驅動器效率的電壓轉換電路及方法
TWM443878U (en) * 2012-07-23 2012-12-21 Richtek Technology Corp Multi-phase switching regulator and droop circuit therefor
TWI470918B (zh) * 2012-12-17 2015-01-21 Upi Semiconductor Corp 直流對直流轉換器、時間產生電路及其操作方法
US9389617B2 (en) * 2013-02-19 2016-07-12 Nvidia Corporation Pulsed current sensing
TWI487263B (zh) * 2013-03-01 2015-06-01 Himax Analogic Inc 降壓式交直流轉換器
TWI535136B (zh) * 2013-04-22 2016-05-2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保護裝置及其校正方法
CN103208909B (zh) * 2013-04-25 2015-05-27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控制igbt开断的pwm波产生电路
US9146572B2 (en) * 2013-05-30 2015-09-29 Infineon Technologies Ag Apparatus providing an output voltage
TWI493821B (zh) * 2013-06-03 2015-07-21 Himax Tech Ltd 具過電流保護機制之運算電路
CN104578783B (zh) * 2013-10-15 2017-08-25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转换器和控制所述转换器的方法
JP6220249B2 (ja) * 2013-12-02 2017-10-25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ac/dcコンバータ、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TWI514741B (zh) * 2014-01-27 2015-12-21 Leadtrend Tech Corp 可提供可程式化之停滯時間的同步整流控制方法以及同步整流控制器
DE102014003405B4 (de) * 2014-03-07 2021-10-21 Elmos Semiconductor Se Abwärtswandelnder LED Treiber mit einem mittelwertbasierenden Regelkonzept für die Verwendung im Kfz
DE102014017308B4 (de) 2014-03-07 2021-01-28 Elmos Semiconductor Se Abwärtswandelnder LED Treiber mit einem mittelwertbasierenden Regelkonzept für die Verwendung im Kfz mit minimaler Aus-Periode eines Schalters
CN104953837B (zh) * 2014-03-31 2018-05-08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用于功率变换器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以及开关电源
TWI519049B (zh) * 2014-04-07 2016-01-21 茂達電子股份有限公司 過電流保護電路及具有其之脈寬調變器
US9762121B2 (en) * 2014-05-14 2017-09-12 Cirel Systems Private Limited Accurate zero current detector circuit in switching regulators
US9513318B2 (en) * 2014-05-29 2016-12-06 Infineon Technologies Ag Current or voltage sensing
US9391518B2 (en) * 2014-06-11 2016-07-1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Current sensing circuit for switching power converters
US9991792B2 (en) 2014-08-27 2018-06-05 Intersil Americas LLC Current sensing with RDSON correction
US20160099643A1 (en) * 2014-10-06 2016-04-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figurable Power Supply Circuit with External Resistance Detection
US9461543B2 (en) 2014-12-01 2016-10-04 Endura Technologies LLC DC-DC converter with digital current sensing
CN111464029B (zh) * 2014-12-25 2023-11-10 德克萨斯仪器股份有限公司 用于dc-dc转换器的电流感测控制器
US10193442B2 (en) 2016-02-09 2019-01-29 Faraday Semi, LLC Chip embedded power converters
US10211736B2 (en) * 2017-01-23 2019-02-19 Lg Chem, Ltd. Power supply system and detection system for determining an unbalanced current condition and an overcurrent condition in a DC-DC voltage converter
CN109842297B (zh) * 2017-02-15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输出电压调节装置及方法
CN111149275B (zh) * 2017-09-22 2023-09-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蓄电装置
TWI798200B (zh) * 2018-02-02 2023-04-11 力智電子股份有限公司 直流-直流轉換控制器
US10615693B2 (en) * 2018-06-29 2020-04-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C-to-DC voltage converters with controllers to switch on a low-side FET for a time interval before switching on a high-side FET
US10504848B1 (en) 2019-02-19 2019-12-10 Faraday Semi, Inc. Chip embedded integrated voltage regulator
US11069624B2 (en) 2019-04-17 2021-07-20 Faraday Semi, Inc.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1063516B1 (en) 2020-07-29 2021-07-13 Faraday Semi, Inc. Power converters with bootstrap
TWI772032B (zh) * 2021-05-21 2022-07-21 茂達電子股份有限公司 具負電流偵測機制的電源轉換器
US11990839B2 (en) 2022-06-21 2024-05-21 Faraday Semi, Inc. Power converters with large duty cycles
CN117519396B (zh) * 2023-12-27 2024-03-22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负载自适应的高效率脉冲恒流源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2552A (en) * 1997-02-12 1999-06-15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DC to DC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for light load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6700A (en) 1984-03-28 1985-08-2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Boost feedforward pulse width modulation regulator
DE3907410C1 (ko) 1989-03-08 1990-10-04 Ant Nachrichtentechnik Gmbh, 7150 Backnang, De
US5134355A (en) * 1990-12-31 1992-07-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factor correction control for switch-mode power converters
US5477132A (en) 1992-01-10 1995-12-19 Space Systems/Loral, Inc. Multi-sectioned power converter having current-sharing controller
JPH0683938U (ja) 1993-05-24 1994-12-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2エンジン式エンジンコントロールダイヤル
JP2733004B2 (ja) 1993-06-18 1998-03-30 株式会社日吉電機製作所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制御回路
US6107786A (en) * 1994-06-23 2000-08-22 Dell Usa, L.P. Active output power waveform transition control for a step-down voltage regulator
JP3131364B2 (ja) 1994-11-28 2001-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チョッパ型レギュレータ回路およびチョッパ型レギュレータic
US5514947A (en) 1995-01-31 1996-05-0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hase lead compensation circuit for an integrated switching regulator
US5734259A (en) 1995-09-29 1998-03-31 Cherry Semiconductor Corporation Balanced delta current method for current control in a hysteretic power supply
KR100206143B1 (ko) 1996-08-28 1999-07-01 윤종용 고역률 보상회로
US5877611A (en) 1996-10-09 1999-03-02 Lucent Technologies Inc. Simple and efficient switching regulator for fast transient loads such as microprocessors
EP0911954B1 (en) * 1997-10-23 2001-05-02 STMicroelectronics S.r.l. PWM drive system in a current mode.
US6058030A (en) 1997-11-20 2000-05-02 Intersil Corporation Multiple output DC-to-DC converter having enhanced noise margin and related methods
US6069471A (en) * 1998-05-14 2000-05-30 Intel Corporation Dynamic set point switching regulator
US5955871A (en) * 1998-10-14 1999-09-21 Intel Corporation Voltage regulator that bases control on a state of a power conservation mode
US6127814A (en) * 1998-11-23 2000-10-03 Switch Power, Inc. System to protect switch mode DC/DC converters against overload current
US5982160A (en) * 1998-12-24 1999-11-09 Harris Corporation DC-to-DC converter with inductor current sensing and related methods
JP2000287439A (ja) * 1999-01-26 2000-10-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
US6064187A (en) 1999-02-12 2000-05-16 Analog Devices, Inc. Voltage regulator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US6166528A (en) * 1999-11-02 2000-12-2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Lossless current sensing in buck converters working with low duty cycles and high clock frequencies
US6229289B1 (en) * 2000-02-25 2001-05-08 Cadence Design Systems, Inc. Power converter mode tran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TW512578B (en) * 2000-03-21 2002-12-01 Int Rectifier Corp Inductor current synthesizer for switching power supplies
US6396252B1 (en) * 2000-12-14 2002-05-2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witching DC-to-DC converter with discontinuous pulse skipping and continuous operating modes without external sense resistor
US6456050B1 (en) * 2001-11-05 2002-09-24 Dan Agiman Virtual frequency-controlled switching voltage regul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2552A (en) * 1997-02-12 1999-06-15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DC to DC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for light loa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700A (ko) * 2015-04-20 2016-10-28 컨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전압원 보호에 대한 단락을 이용하는 동기식 벅 조절기
KR101982907B1 (ko) * 2015-04-20 2019-05-27 컨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전압원 보호에 대한 단락을 이용하는 동기식 벅 조절기
US10587193B2 (en) 2015-04-20 2020-03-10 Vitesco Technologies USA, LLC. Synchronous buck regulator with short circuit to voltage source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38940E1 (en) 2006-01-24
CN1286520A (zh) 2001-03-07
CN1201470C (zh) 2005-05-11
USRE38487E1 (en) 2004-04-06
TW517441B (en) 2003-01-11
KR20010030203A (ko) 2001-04-16
USRE42532E1 (en) 2011-07-12
US6246220B1 (en) 2001-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520B1 (ko) 개선된 전류 감지를 갖는 동기-정류된 직류/직류 컨버터
JP4405438B2 (ja) スロープ補償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及びその補償方法
KR101193669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부하 전류를 판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US6229389B1 (en) Class D modulator with peak current limit and load impedance sensing circuits
KR101185410B1 (ko) 전류 제한 보호를 구비한 dc/dc 컨버터
US5408402A (en) Clock-controlled frequency converter having current limitation
US4357572A (en) Current flare out limit control for PWM converter
JP4723791B2 (ja) 低雑音感度を維持しつつ高パルス幅変調を生成するスイッチ・モード電源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5518174A (ja) Dc‐dc変換器用連続温度補償を提供するプログラム可能電流センス回路
WO2018008398A1 (ja) 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ワーモジュール
JPH0670540A (ja) 電流制限出力を有するシステム及び電源回路
JP200412098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1874680B2 (en) Power supply with integrated voltage regulator and current limiter and method
JP3566201B2 (ja) チョッパ型レギュレータ
US20010022512A1 (en) Dc/dc converter for suppressing effects of spike noise
JPH06311734A (ja) 出力短絡保護回路
US20060039572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limit current of an audio amplifier
JP4147965B2 (ja) Mosトランジスタによりpwm電圧制御する単相負荷の過電流検出回路
US6882132B2 (en) DC voltage chopper for DC voltage
KR101207254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EP0881770B1 (en) Control circuit for the current switch edges of a power transistor
US6118642A (en) Electronic regulation circuit for driving a power device and corresponding protection method of such device
PL192055B1 (pl) Sposób i układ zabezpieczenia przed zwarciem sterownika zasilania
KR102096482B1 (ko) 누설전류 검출용 반도체 집적회로 및 이 반도체 집적회로를 갖는 누전차단기
JP2005137095A (ja) 直流電源回路およびこの直流電源回路を用いた漏電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