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746B1 -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746B1
KR100550746B1 KR1020040006507A KR20040006507A KR100550746B1 KR 100550746 B1 KR100550746 B1 KR 100550746B1 KR 1020040006507 A KR1020040006507 A KR 1020040006507A KR 20040006507 A KR20040006507 A KR 20040006507A KR 100550746 B1 KR100550746 B1 KR 10055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d
side vertical
baby carriag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606A (ko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오오니시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61H2201/0169Nois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Abstract

과제
펴진 상태에서 유모차의 강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접어 갤 수 있는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절첩식 유모차(20)는, 4개의 바퀴(21, 22)가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된다. 유모차(20)는, 4개의 바퀴(21, 22) 위에 위치하고 좌석의 좌면부를 형성하고, 4개의 바퀴(21, 22)와 함께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되는 하부 프레임 구조와,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일없이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는 역U자 모양 부재(40)를 구비한다.
유모차

Description

절첩식 유모차{FOLDABLE BABY CARRIAGE}
도 1은 특개평8-58599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의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유모차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유모차의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유모차의 절첩된 상태의 배면도.
도 7은 미는봉(40)의 정면도.
도 8은 미는봉의 측부 세로봉과 중간봉과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선 9-9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0은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 미는봉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유모차의 절첩된 상태에서 미는봉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측부 세로봉과 뒷다리와 좌면 지지 사이드 봉과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연결 부분의 절첩하는 동작의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연결 부분의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측부 세로봉과 난간 부재의 후단부와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측부 세로봉과 난간 부재의 후단부와의 연결 부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측부 세로봉의 하단부와 반전 부재와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좌석 심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좌석 심재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좌면 심재와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과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부호의 설명
20 : 유모차 21 : 앞바퀴
22 : 뒷바퀴 23 : 앞다리
24 : 뒷다리 25 : 좌면 지지 사이드 봉
25a : 내방 장출부 26 : 굴곡 링크 부재
27 : 앞다리 연결 부재 28 : 뒷다리 연결 부재
29 : 난간 부재 29a : 후방 장출벽
29b : 당접 벽면 29c : 격리 벽면
30 : 앞 가드 부재 31 : 반전 부재
31a : 격리 벽면 32 : 연결 부재
33 : 배면 벨트 34 : 슬라이드 부재
40 : 미는봉 41 : 측부 세로봉
41a : 하방 영역 41b : 상방 영역
41c : 수평 영역 42 : 커버 부재
42a : 장출부 43 : 중간봉
43a : 주벽 44 : 연결 핀
45 : 조작 버튼 46 : 연결축
47 : 연결축 50 : 후방 장출벽
50a : 격리 벽면 51 : 스페이서
52 : 스페이서 60 : 좌석 심재
61 : 좌면 심재 62 : 등받이면 심재
63 : 뒷부분 벨트 65 : 앞부분 벨트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성을 높인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도 1 및 도 2는, 특개평8-58599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유모차의 펴진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유모차의 절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유모차(1)는, 4개의 바퀴(4, 6)가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된다.
도시한 유모차(1)는, 주로 봉형상의 부재로 구성된 차체(2)와, 이 차체(2)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좌석 해먹(3)을 구비한다. 유모차 차체(2)는, 앞바퀴(4)를 갖는 1쌍의 앞다리(5)와, 뒷바퀴(6)를 갖는 1쌍의 뒷다리(7)와, 좌면(座面)의 양 측부 상방에 위치하는 1쌍의 난간 부재(8)와, 각 뒷다리(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1쌍의 반전 부재(9)와, 1쌍의 난간 부재(8)의 후단 부분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역U자 모양의 형상을 갖는 미는봉(10)을 구비한다.
미는봉(10)은, 평행한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늘어나 있는 1쌍의 측부 세로봉(11)과, 1쌍의 측부 세로봉(11)의 상방단을 접속하는 상부 연결 부재(12)를 갖는다. 상부 연결 부재(12)는, 측부 세로봉(11)을 받아들이고, 또한 가 측부 세로봉(11)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1쌍의 회전 부재(12a)와, 1쌍의 회전 부재(12a)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 부재(12b)를 갖는다. 각 회전 부재(12a)와 중앙 부재(12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4개의 바퀴(4, 6) 위에 위치하고 좌석의 좌면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구조는, 4개의 바퀴(4, 6)와 함께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된다.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 있는 역U자 형상의 미는봉(10)은, 도 2에 도시한 절첩된 상태에서는, 중앙 부재(12b)를 전방으로 돌출하여 전방으로 절곡함에 의해 폭방향의 치수를 축소하고 있다.
특개평8-58599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폭방향의 치수를 축소하면서 절첩되도록 하기 위해, 미는봉(10)을 전방을 향하여 절곡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연결 부재(12)의 각 회전 부재(12a)를 각 측부 세로봉(11)의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각 회전 부재(12a)의 선단과 중앙 부재(12b)를 굴곡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는봉(10)을 복수의 부재로 구성하고, 그들의 부재를 조인트부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함에 의해 폭방향의 치수를 축소하면서 절첩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부재를 굴곡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부의 존재에 의해, 역U자 형상의 미는봉(10)은,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도, 조인트부에서 비교적 큰 덜컹거림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조인트부에서의 덜컹거림의 존재에 의해, 미는봉(10)은, 용이하게 비틀리거나 일그러지거나 한다. 미는봉(10)을 기점(起點)으로 하는 비틀림이나 일그러짐은 하부 프레임 구조로도 전하여지기 때문에, 펴진 상태에서 유모차 전체의 강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펴진 상태에서 유모차의 강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하는 것이 가능한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절첩식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유모차는, 4개의 바퀴가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되는 것으로서, 4개의 바퀴 위에 위치하여 좌석의 좌면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구조와,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연장되는 역U자 모양 부재를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 구조는, 4개의 바퀴와 함께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된다. 한편, 역U자 모양 부재는,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일없이 동일한 형상을 유지한다.
상기한 발명에 의하면, 역U자 모양 부재가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역U자 모양 부재의 강성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펴진 상태에서 유모차 전체의 강성이 높아진다.
보통, 유모차 차체의 강성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차체를 구성하는 봉형상 부재의 굵기를 크게 하거나, 보강 부재를 부착하거나 한다. 즉, 강성을 높이는 것의 대가로서, 유모차의 중량의 증대를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역U자 모양 부재를 굴곡 가능하게 마련하기 위한 조인트부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역U자 모양 부재 자체의 구조를 경량이면서 단순화할 수 있고, 유모차 전체의 중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지금까지의 기술 상식에 반하여, 강성을 높이면서, 구조를 간략화하여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역U자 모양 부재는,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한한 상태로 연결된 제 1의 부재와 제 2의 부재를 포함한다.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한함에 의해, 제 1의 부재와 제 2의 부재와의 사이의 굴곡을 억제하기 때문에,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조로서, 예를 들면, 제 1의 부재는, 제 2의 부재의 선단부를 받아들여서 전후 및 상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주벽(周壁)을 갖는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의 부재와 제 2의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역U자 모양 부재는, 복수의 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고, 1개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어느 경우라도, 바람직하게는, 역U자 모양 부재는,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과,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가로봉 부분을 포함한다. 상단 가로봉 부분은,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직선 형상을 유지한다.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은,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에서 그 간극이 변화하지 않는 상단부와, 펴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그 간극이 작아지는 하단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은, 펴진 상태에서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방 영역과, 상방으로 갈수록 그 간극이 좁아지는 상방 영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의 하방 영역의 높이는, 좌석에 착좌한 아기의 어깨의 높이와 거의 같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아기에 대해 넓은 좌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가로봉 부분의 길이는, 절첩된 상태에서 좌우의 바퀴의 외측면 사이의 길이와 거의 같다. 이와 같이 하면, 유모차의 절첩된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역U자 모양 부재를 3개의 부재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역U자 모양 부재는, 1쌍의 측부 세로봉과, 1쌍의 측부 세로봉 사이를 연결하는 중 간봉을 포함한다. 중간봉과, 각 측부 세로봉은,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한한 상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1쌍의 측부 세로봉은, 바람직하게는, 펴진 상태에서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방 영역과, 상방으로 갈수록 그 간극이 좁아지는 상방 영역과, 상방 영역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한 중간봉은, 1쌍의 수평 영역의 안쪽 단을 연결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역U자 모양 부재는, 해당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미는봉이다. 각 측부 세로봉은, 예를 들면, 수평 영역으로부터 상방 영역에까지 연장되는 봉 부분을 덮는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는, 예를 들면, 외측방향으로 뻗어나온 장출부를 갖는다. 이 경우, 좌우에 위치하는 1쌍의 장출부 사이의 거리를, 절첩된 상태에서의 좌우의 바퀴의 외측면 사이의 길이와 거의 같게 하여도 좋다. 커버 부재를 구비함에 의해, 적당한 굵기로 되고,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기 쉬워진다. 또한, 1쌍의 측부 세로봉의 상방 영역의 간극을 작게 하여도, 1쌍의 장출부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는 사람은, 그 양손을 두는 위치를 1쌍의 장출부상으로 까지 벌릴 수 있고, 이동 조작이 편해진다.
하부 프레임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펴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한 역U자 모양 부재의 각 측부 세로봉 부분의 경사를 허용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프레임 구조는, 좌면의 양 측부 상방에 위치하는 1쌍의 난간 부재와, 난간 부재의 후단부와 역U자 모양 부분의 측부 세로봉 부 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을 구비한다. 연결축을 통하여 측부 세로봉 부분에 대면하는 난간 부재의 벽면은, 연결축을 통과시켜서 측부 세로봉 부분에 맞닿는 당접 벽면과, 이 당접 벽면의 상하에 위치하고 측부 세로봉 부분과의 사이에 간극을 만드는 격리 벽면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부 프레임 구조는, 뒷바퀴를 갖는 뒷다리와, 뒷다리에 연결 핀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펴진 상태에서는 연결 핀의 상방에서 뒷다리 곁에 있고, 절첩된 상태에서는 연결 핀의 하방에서 뒷다리 곁에 있는 반전 부재와, 반전 부재의 선단부와 역U자 모양 부분의 측부 세로봉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을 구비한다. 연결축을 통하여 측부 세로봉 부분에 대면하는 반전 부재의 벽면은, 연결축을 통과시켜서 측부 세로봉 부분에 맞닿는 당접 벽면과, 이 당접 벽면의 상하에 위치하고 측부 세로봉 부분과의 사이에 간극을 만드는 격리 벽면을 포함한다.
좌면 후방부의 움푹파여짐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하부 프레임 구조는, 좌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좌면의 양 측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을 구비한다. 각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은, 좌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방향을 향하여 뻗어나온 강성이 있는 내방 장출부를 갖는다.
강성이 있는 내방 장출부는 좌면을 아래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하기 때문에, 좌면의 아래쪽으로 움푹파여짐이 없고, 아기의 착좌 자세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좌면 뒷부분의 움푹파여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내방 장 출부는,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내측방향을 향하여 늘어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은, 내방 장출부를 일체로 갖는다. 좌면 지지 사이드 봉과 내방 장출부를 별도 부재로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경우라도 양자를 일체화하면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좌면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내방 장출부는,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의 후방단 부분을 내측방향을 향하여 U자 모양으로 절곡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이라면, 상당히 간단한 기구로 좌면을 안정에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형태의 한 예로서, 유모차는, 뒷바퀴를 갖는 뒷다리와, 뒷다리에 연결 핀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펴진 상태에서는 연결 핀의 상방에서 뒷다리 곁에 있고, 절첩된 상태에서는 연결 핀의 하방에서 뒷다리 곁에 있는 반전 부재와, 반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좌면 지지 사이드 봉과 연결 부재는 고정되어 있고, 좌면 지지 사이드 봉 중, 연결 부재를 넘어서 후방으로 늘어나 있는 부분이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의 좌우에 위치하는 1쌍의 내방 장출부의 간극은, 절첩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이 서로 근접하는 거리에 상당하는 치수를 갖는다. 이와 같은 치수 관계라면, 절첩하는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유모차는, 좌면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좌면 심재를 구비한다. 이 좌면 심재는, 바람직하게는,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좌면 심재의 위치가 고정되고, 게다가 내방 장출부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안정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좌면의 위치를 확실하게 안정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좌면 심재는, 바람직하게는,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의 내방 장출부에 연결된다.
상기한 경우, 좌면 심재와,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은, 예를 들면, 벨트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모차는,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의 전방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굴곡 링크 부재를 구비한다. 이 굴곡 링크 부재는, 굴곡 가능하게 마련된 중앙 링크 봉과, 1쌍의 사이드 링크 봉을 갖는다. 좌면 심재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링크 봉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는, 4개의 바퀴 위에 위치하여 좌석의 좌면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구조를 구비하고, 이 하부 프레임 구조가 절첩된다. 이 절첩식 유모차는, 예를 들면, 폭방향의 치수가 축소하지 않고 절첩되는 유모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하나의 예로서, 절첩식 유모차는, 4개의 바퀴가 전후로만 근접하도록 절첩된다.
이 국면에 있어서의 절첩식 유모차는, 해당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미는봉과, 미는봉과는 별개로 상기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일 없이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는 역U자 모양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역U자 모양 부재를 구비 함에 의해,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 강성이 높아진다.
미는봉이 배면을 미는 상태와 대면을 미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역U자 모양 부재를 구비함에 의해, 특히 대면을 미는 상태에서 유모차의 좌석 구조의 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 구조는, 예를 들면, 좌면의 양 측부 상방에 위치하는 1쌍의 난간 부재를 포함하고, 역U자 모양 부재는, 1쌍의 난간 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 있다. 역U자 모양 부재는, 예를 들면, 좌석의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사용된다. 또는, 역U자 모양 부재는, 차양의 뼈대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유모차(20)의 정면도, 도 4는 그 측면도, 도 5는 그 사시도, 도 6은 절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시한 유모차(20)는, 4개의 바퀴(21, 22)가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되는 것이다. 유모차(20)는, 기본적인 프레임 구조로서, 앞바퀴(21)를 갖는 1쌍의 앞다리(23)와, 뒷바퀴(22)를 갖는 1쌍의 뒷다리(24)와, 좌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좌면의 양 측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 있는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과, 좌면의 양 측부 상방에 위치하는 1쌍의 난간 부재(29)와,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 있는 역U자 형상의 미는봉(40)과, 1쌍의 앞다리(23) 사이에 걸쳐지는 앞다리 연결 부재(27)와, 1쌍의 뒷다리(24) 사이에 걸쳐지는 뒷다리 연결 부재(28)와, 1쌍의 난간 부재(29) 사이에 걸쳐지는 앞 가드 부재(30)와,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전방 단부 사이에 걸쳐지는 굴곡 링크 부재(26)를 구비한다.
유모차(20)의 절첩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앞다리(23)의 상단부 및 뒷다리(24)의 상단부는, 각각, 난간 부재(2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절첩하는 때에는, 전후의 바퀴(21, 22)가 서로 근접한다.
좌면 지지 사이드 부재(25)의 전방단 부분은 앞다리(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단 부분은 연결 부재(32) 및 연결축(46)(도 12 내지 도 14)을 통하여 반전 부재(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역U자 형상의 미는봉(40)은,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연장되는 1쌍의 측부 세로봉(41)과, 이 1쌍의 측부 세로봉(41)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봉(43)을 구비한다. 난간 부재(29)의 후방단 부분은, 연결축(47)을 통하여 측부 세로봉(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측부 세로봉(41)의 하방 단부는, 연결축(46)을 통하여 반전 부재(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측부 세로봉(41) 사이에는, 좌석 해먹의 등받이부(도시 생략)를 배후로부터 지지하는 배면 벨트(33)가 걸쳐져 있다.
절첩하는 때에 좌우의 바퀴가 근접하여 폭방향 치수가 축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굴곡 링크 부재(26)는, 상방을 향하여 굴곡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 링크 부재(26)는,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중앙 링크 봉(26a)과 1쌍의 사이드 링크 봉(26b)을 가지며, 각 사이드 링크 봉(26b)의 바깥쪽 단부는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쌍의 뒷다리(24)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뒷다리 연결 부재(28), 및 1쌍의 앞다리(23)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앞다리 연결 부재(27)도, 굴곡 링크 부재(26)와 마찬가지로, 굴곡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1쌍의 난간 부재(29)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앞 가드 부재(30)는, 절첩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좌우의 단부를 접근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미는봉(40)의 측부 세로봉(41)과, 뒷다리(24)와,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아울러서,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형상을 설명한다. 도 12는, 유모차의 펴진 상태를 도시하고, 도 13은 절첩하는 동작의 도중 상태를 도시하고, 도 14는 절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후방 단부에는 연결 부재(32)가 고정되어 있다. 도 1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은, 그 후방 부분에, 내측방향을 향하여 뻗어나온 내방 장출부(25a)를 일체로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부재(32)를 넘어서 후방으로 늘어나 있는 부분을 U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내방 장출부(25a)를 형성하고 있다. 이 내방 장출부(25a)는, 좌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좌면의 후방부가, 강성이 있는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내방 장출부(25a)에 의해 안정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좌면 후방부의 움푹파여짐이 없고, 유모차의 좌석에 착좌한 아기의 자세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유모차의 절첩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내방 장출부(25a)는 서로 근접한다. 이 절첩하는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며, 게다가 절첩된 상태의 폭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좌우의 내방 장출부(25a)의 간극을 적정하게 선택한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의 절첩된 상태에서, 좌우의 내방 장출부(25a)가 밀접하는 치수 관계가 바람직하다.
각 뒷다리(24)에는, 반전 부재(31)가 연결 핀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는, 반전 부재(31)는 연결 핀의 상방에서 뒷다리(24) 곁에 있도록 위치하고, 도 14에 도시한 유모차의 절첩된 상태에서는, 반전 부재(31)는 연결 핀의 하방에서 뒷다리(24) 곁에 있도록 위치한다.
미는봉(40)의 각 측부 세로봉(41)의 하방 단부는, 연결축(46)을 통하여 반전 부재(31)의 선단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2 내지 도 14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연결축(46)은,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후방 단부와, 반전 부재(31)의 선단부와, 측부 세로봉(41)의 하방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미는봉(40)의 측부 세로봉(41)의 하방단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3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34)는, 미는봉(40) 속을 통과하는 와이어를 통하여 미는봉(40)의 중간봉(43)에 마련된 조작 버튼(45)(도 3 참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 버튼(45)을 조작하면, 슬라이드 부재(34)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슬라이드 부재(34)에는, 스프링에 의해 항상 하향의 가세력이 작용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부재(34)가 반전 부재(31)에 걸어맞추어서 이 반전 부재(31)의 움직임을 금지하고 있다. 유모차를 절첩될 때에는, 조작 버튼(45)을 조작하여 슬라이드 부재(3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드 부재(34)와 반전 부재(31)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한다.
다음에, 주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역U자 형상의 미는봉(4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미는봉(40)의 1쌍의 측부 세로봉(41)은,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방 영역(41a)과, 상방으로 갈수록 그 간극이 좁아지는 상방 영역(41b)과, 상방 영역(41b)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영역(41c)을 구비한다. 중간봉(43)은, 1쌍의 측부 세로봉(41)의 수평 영역(41c)의 안쪽 단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부 세로봉(41)의 하방 영역의 높이는, 좌석에 착좌한 아기의 어깨의 높이와 거의 같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착좌한 아기에 대해 넓은 좌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1쌍의 측부 세로봉(41)과 중간봉(43)으로 이루어지고, 역U자 형상을 갖는 미는봉(40)은, 유모차의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일 없이 동일한 형상을 유지한다. 1쌍의 측부 세로봉(41)의 상방 영역(41b)을 상방으로 갈수록 그 간극이 작아지도록 한 것은, 유모차의 절첩된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서이다. 1쌍의 측부 세로봉(41)의 수평 영역(41c)과 중간봉(43)으로 형성되는 폭 치수는, 유모차의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미는봉(40)의 각 측부 세로봉(41)은, 상기한 수평 영역(41c)으로부터 상방 영역(41b)의 상방부에까지 연장되는 봉 부분을 덮는 커버 부재(42)를 갖는다. 이 커버 부재(42)를 갖음에 의해,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는 사람이 잡는 부분의 굵기를 적당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42)는, 그 양 측부에 외측방으로 뻗어난 장출부(42a)를 갖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장출부(42a) 사이의 거리(W1)를, 절첩된 상태에서 좌우의 바퀴(22)의 외측면 사이의 길이(W2)와 거의 같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치수 관계라면, 절첩된 상태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1쌍의 측부 세로봉(41)의 상방 영역(41b)의 간극을 작게 하여도, 1쌍의 장출부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는 사람은, 그 양손을 두는 위치를 1쌍의 장출부(42a) 사이로 벌릴 수 있고, 이동 조작이 편해진다.
미는봉(41)의 중간봉(43)과, 각 측부 세로봉(41)은,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한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3차원적인 움직임이란, 전후, 상하, 및 좌우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의 구체적인 예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중간봉(43) 및 각 측부 세로봉(41)은, 실제로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있지만, 도 8 및 도 9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그것들을 속이 찬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중간봉(43)은, 그 양단에, 측부 세로봉(41)의 선단부를 받아들여서 전후 및 상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주벽(43a)을 갖는다. 중간봉(43)의 주벽(43a)과, 각 측부 세로봉(41)의 선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4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9는, 도 8의 선 9-9에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각 측부 세로봉(41)의 선단부의 주위에는 중간봉(43)의 주벽(43a)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측부 세로봉(41)의 전후 방향(핀(44)의 축방향, 즉 도 8에서의 상하 방향)으로의 굴곡, 및 상하 방향(도 9에서의 상하 방향)으로의 굴곡이 제한된다. 또한, 핀(44)이 중간봉(43)의 주벽(43a)과 측부 세로봉(41)의 선단부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측부 세로봉(41)의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각 측부 세로봉(41)의 선단부와 중간봉(43)의 주벽(43a)과의 사이에는, 작은 클리어런스가 존재한다. 이 클리어런스의 크기는, 절첩된 상태에서도 1쌍의 측부 세로봉(41)의 수평 영역(41c)과 중간봉(43)을 거의 직선 상태에 유지하면서, 1쌍의 측부 세로봉(41)의 하방 영역(41a)의 하단부가, 유모차의 좌면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구조의 절첩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서로 근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한 미는봉(40)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의 미는봉(40)의 형상을 도시하고, 도 11은 유모차의 절첩된 상태에서의 미는봉(40)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미는봉(40)의 1쌍의 측부 세로봉(41)의 하단부 사이의 간극은, 펴진 상태에서 폭 치수(D1)로부터 절첩된 상태에서 폭 치수(D2)로 축소한다. 이와 같은 1쌍의 측부 세로봉(41)의 하단부 사이의 폭 치수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면서, 측부 세로봉(41)의 수평 영역(41c)과 중간봉(43)과의 직선 상태는, 유모차의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유모차의 하부 프레임 구조는, 4개의 바퀴(21, 22)와 함께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되지만, 역U자 형상의 미는봉(40)은,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일 없이 거의 동일한 형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미는봉(40)의 강성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펴진 상태에서 유모차의 강성이 높아진다.
하부 프레임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펴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는 미는봉(40)의 측부 세로봉(41)의 경사를 허용하는 연결 구조를 갖고 있다. 이것을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측부 세로봉(41)과 난간 부재(29)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난간 부재(29)는, 그 후단부에, 후방을 향하여 뻗어나온 1쌍의 후방 장출벽(29a)을 갖는다. 측부 세로봉(41)은, 1쌍의 후방 장출벽(29a) 내로 받아들여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난간 부재(29)의 후방 장출벽(29a)은, 연결축(47)을 통과시키며 측부 세로봉(41)에 맞닿는 당접 벽면(29b)과, 이 당접 벽면(29b)의 상하에 위치하고 측부 세로봉(41)과의 사이에 간극을 만드는 격리 벽면(29c)을 갖는다. 격리 벽면(29c)의 존재에 의해, 측부 세로봉(41)은, 도 15에서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의 절첩하는 때에 약간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구조의 변형예이다. 도 16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난간 부재의 후방 장출벽(50)은, 동일 두께의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이 후방 장출벽(50)과, 측부 세로봉(41)과의 사이에는, 스페이서(51)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51)의 존재에 의해, 난간 부재의 후방 장출벽(50)에는 격리 벽면(50a)이 형성된다. 스페이서(50)는, 당접 벽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것으로도, 측부 세로봉(41)의 경사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7은, 측부 세로봉(41)의 하단부와 반전 부재(31)의 연결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세로봉(41)과 반전 부재(31)와의 사이에는, 스페이서(52)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52)는, 당접 벽면을 형성한다. 이 스페이서(52)의 존재에 의해, 반전 부재(31)에는 격리 벽면(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모차의 절첩된 상태에서 측부 세로봉(41)의 경사를 허용할 수 있다.
유모차는, 바람직하게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좌석 심재(60)를 갖고 있다. 이 좌석 심재(60)는, 유모차의 차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굴곡 가능하게 접속된 좌면 심재(61)와, 등받이면 심재(62)를 구비한다. 좌면 심재(61)는, 절첩하는 때에 폭방향의 치수를 축소할 수 있도록,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중앙 부분(61a)과, 1쌍의 측방 부분(61b)을 갖는다. 절첩하는 때에는, 1쌍의 측방 부분(61b)은, 도면 중,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9는, 좌면 심재(61)의 이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면 심재(61)의 이면에는, 뒷부분 벨트(63)와 앞부분 벨트(65)가 부착되어 있다. 뒷부분 벨트(63)는, 예를 들면, 압정(64)을 통하여 좌면 심재(61)에 부착되어 있고, 그 양 측부에 루프부(63a)를 갖고 있다. 앞부분 벨트(65)도, 예를 들면, 압정을 통하여 좌면 심재(61)에 부착되어 있고, 고정 버튼(65a)을 고정함에 의해 루프부(65b)를 형성한다.
도 20은, 좌면 심재(61)와,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과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뒷부분 벨트(63)의 양 측방단에 있는 루프 부(63a)는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내방 장출부(25a)에 끼워지고, 앞부분 벨트(65)의 루프부(65b)는, 굴곡 링크 부재(26)의 중앙 링크 봉(26a)에 끼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좌면 심재(61)를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에, 예를 들면 벨트를 통하여 연결하고, 또한 이 좌면 심재(61)를 1쌍의 내방 장출부(25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함에 의해, 좌면 심재(61)에 의해 형성된 좌면의 위치를 확실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였지만, 이상에 설명하며 도시한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그 몇가지를 예시적으로 열거하여 설명한다.
(1)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미는봉(40)이, 1쌍의 측부 세로봉(41)과 중간봉(43)을 구비하고, 측부 세로봉(41)과 중간봉(43)을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한한 상태로 연결한 것이었다. 변형예로서, 미는봉을 2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그들의 2개의 부재를,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한한 상태로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2) 역U자 형상의 미는봉을 1개의 단일의 봉형상 부재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역U자 형상의 미는봉은,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과, 이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가로봉 부분을 포함한다. 상단 가로봉 부분은,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직선 형상을 유지한다.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은,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에서 그 간극이 변화하지 않는 상단부와, 펴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그 간극이 작아지는 하단부 를 포함한다.
(3)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연장되는 역U자 모양 부재의 한 예로서, 미는봉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역U자 모양 부재로서는, 미는봉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미는봉과는 다르게, 역U자 모양 부재를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좌석 해먹의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부재를,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역U자 모양 부재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것이라도, 펴진 상태에서 유모차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4) 배면을 미는 상태와 대면을 미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모차의 경우, 미는 봉을, 이상에 설명한 구조의 역U자 모양 부재로 하고, 또한 그것에 더하여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상기 구조의 역U자 모양 부재를 갖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것이라면, 높은 강성을 갖는 역U자 모양 부재가 2중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유모차의 강성이 한층 높아진다.
(5) 펴진 상태에서의 유모차의 강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보면, 본 발명은, 폭방향의 치수가 축소하지 않고 접어개어지는 절첩식 유모차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와 같은 절첩식 유모차의 하나의 예는, 4개의 바퀴가 전후로만 근접하도록 절첩된다. 광범위한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도, 4개의 바퀴 위에 위치하여 좌석의 좌면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구조가 절첩된다. 이 절첩식 유모차는, 해당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미는봉과, 미는봉과는 별개로 상기 좌면부의 양 측부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일 없이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는 역U자 모양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역U 자 모양 부재를 구비함에 의해,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 강성이 높아진다.
(6) 상기한 광범위한 절첩식 유모차가, 배면을 미는 상태와 대면을 미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미는봉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라면, 상기한 바와 같은 역U자 모양 부재를 구비함에 의해, 특히 대면을 미는 상태에서 유모차의 좌석 구조의 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 구조는, 예를 들면, 좌면의 양 측부 상방에 위치하는 1쌍의 난간 부재를 포함하고, 역U자 모양 부재는, 1쌍의 난간 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 있다. 역U자 모양 부재는, 예를 들면, 좌석의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사용된다. 또는, 역U자 모양 부재는, 차양의 뼈대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펴진 상태에서 유모차의 강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하는 것이 가능한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절첩식 유모차의 펴진 상태에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6)

  1. 4개의 바퀴(21, 22)가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접어개어지는 절첩식 유모차로서,
    상기 4개의 바퀴 위에 위치하여 좌석의 좌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4개의 바퀴과 함께 전후 및 좌우로 근접하도록 절첩되는 하부 프레임 구조와,
    상기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일 없이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는 역U자 모양 부재(4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구조는,
    좌면의 양 측부 상방에 위치하는 1쌍의 난간 부재(29)와,
    상기 난간 부재(29)의 후단부와 상기 역U자 모양 부분의 측부 세로봉 부분(41)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47)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축(47)을 통하여 상기 측부 세로봉 부분(41)에 대면하는 상기 난간 부재(29)의 벽면은, 상기 연결축(47)을 통과시켜서 상기 측봉 부분(41)에 맞닿는 당접 벽면(29b)과, 이 당접 벽면(29b)의 상하에 위치하고 상기 측부 세로봉 부분(41)과의 사이에 간극을 만드는 격리 벽면(29c)을 포함하고,
    상기 역U자 모양 부재(40)는,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41a, 41b)과, 상기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가로봉 부분(41c, 43)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가로봉 부분(41c, 43)은,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직선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41a, 41b)은,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에서 그 간극이 변화하지 않는 상단부와, 펴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그 간극이 작아지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U자 모양 부재(40)는,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한한 상태로 연결된 제 1의 부재(43)와 제 2의 부재(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부재(43)는, 상기 제 2의 부재(41)의 선단부를 받아들여서 전후 및 상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주벽(周壁)(43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부재(43)와 상기 제 2의 부재(4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4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41a, 41b)은, 펴진 상태에서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방 영역(41a)과, 상방으로 갈수록 그 간극이 좁아지는 상방 영역(4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의 하방 영역(41b)의 높이는, 좌석에 착좌한 아기의 어깨의 높이와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측부 세로봉 부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가로봉 부분(41c, 43)의 길이는, 절첩된 상태에서의 좌우의 바퀴의 외측면 사이의 길이와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U자 모양 부재(40)는, 1쌍의 측부 세로봉(41)과, 상기 1쌍의 측부 세로봉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봉(43)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봉(43)과, 각 측부 세로봉(41)은,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한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측부 세로봉(41)은, 펴진 상태에서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방 영역(41a)과, 상방으로 갈수록 그 간극이 좁아지는 상방 영역(41b)과, 상기 상방 영역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영역(41c)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봉(43)은, 상기 1쌍의 수평 영역(41c)의 안쪽 단을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역U자 모양 부재(40)는, 해당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미는봉이고,
    상기 각 측부 세로봉(41)은, 상기 수평 영역(41c)으로부터 상기 상방 영역(41b)에까지 연장되는 봉 부분을 덮는 커버 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42)는, 외측방향으로 뻗어나온 장출부(42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2. 제 11항에 있어서,
    좌우에 위치하는 상기 1쌍의 장출부(42a) 사이의 거리는, 절첩된 상태에서의 좌우의 바퀴의 외측면 사이의 길이와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 구조는, 펴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는 상기 역U자 모양 부재(40)의 각 측부 세로봉 부분(41)의 경사를 허용하는 연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 구조는,
    뒷바퀴(22)를 갖는 뒷다리(24)와,
    상기 뒷다리(24)에 연결 핀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핀의 상방에서 상기 뒷다리 곁에 있고, 절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핀의 하방에서 상기 뒷다리 곁에 있는 반전 부재(31)와,
    상기 반전 부재(31)의 선단부와 상기 역U자 모양 부분(40)의 측부 세로봉 부분(41)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46)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축(46)을 통하여 상기 측부 세로봉 부분(41)에 대면하는 상기 반전 부재(31)의 벽면은, 상기 연결축(46)을 통과시켜서 상기 측부 세로봉 부분(41)에 맞닿는 당접 벽면(52)과, 이 당접 벽면의 상하에 위치하고 상기 측부 세로봉 부분과의 사이에 간극을 만드는 격리 벽면(3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 구조는, 좌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좌면의 양 측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을 구비하고,
    상기 각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은, 좌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방향을 향하여 뻗어나온 내방 장출부(25a)를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방 장출부(25a)는, 상기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내측방향을 향하여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방 장출부(25a)는, 상기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후방단 부분을 내측방향을 향하여 U자 모양으로 절곡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9. 제 16항에 있어서,
    좌면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좌면 심재(61)를 구비하고,
    상기 좌면 심재(61)는, 상기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 심재(61)는, 상기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내방 장출부(25a)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좌면 지지 사이드 봉(25)의 전방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굴곡 링크 부재(26a, 26b)를 구비하고,
    상기 굴곡 링크 부재는, 굴곡 가능하게 마련된 중앙 링크 봉(26a)과, 1쌍의 사이드 링크 봉(26b)을 가지며,
    상기 좌면 심재(61)는, 상기 중앙 링크 봉(26a)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22. 4개의 바퀴 위에 위치하여 좌석의 좌면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구조를 구비하고, 이 하부 프레임 구조가 접어개어지는 절첩식 유모차로서,
    해당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미는봉과,
    상기 미는봉과는 별개로 상기 좌면부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펴진 상태 및 절첩된 상태의 양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일 없이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는 역U자 모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 구조는, 좌면의 양 측부 상방에 위치하는 1쌍의 난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역U자 모양 부재는, 상기 1쌍의 난간 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 있으며, 좌석의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봉은, 배면(背面)을 미는 상태와 대면(對面)을 미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24. 삭제
  25. 삭제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역U자 모양 부재는, 차양의 뼈대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KR1020040006507A 2003-02-04 2004-02-02 절첩식 유모차 KR100550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6601 2003-02-04
JP2003026601 2003-02-04
JP2003040624A JP3967271B2 (ja) 2003-02-04 2003-02-19 折畳式乳母車
JPJP-P-2003-00040624 2003-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606A KR20040071606A (ko) 2004-08-12
KR100550746B1 true KR100550746B1 (ko) 2006-02-08

Family

ID=3265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507A KR100550746B1 (ko) 2003-02-04 2004-02-02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14743B2 (ko)
EP (1) EP1445167B1 (ko)
JP (1) JP3967271B2 (ko)
KR (1) KR100550746B1 (ko)
CN (1) CN100357145C (ko)
DE (1) DE602004004823D1 (ko)
TW (1) TWI2425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6881B2 (ja) * 1999-10-12 2010-02-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US9173802B2 (en) 2003-10-07 2015-11-03 Amg Medical, Usa. Mobile support assembly
JP2005271647A (ja) * 2004-03-23 2005-10-06 Combi Corp ベビーカー
AU2004100221A4 (en) * 2004-03-26 2004-04-22 Graham Victor Wheelchair mobility handle
JP2007069758A (ja) 2005-09-07 2007-03-22 Aprica Kassai Inc 折畳式座席運搬車体
CN2855858Y (zh) 2005-09-12 2007-01-10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供支架单元用的安全装置和设有该安全装置的支架单元
KR101368447B1 (ko) * 2005-09-30 2014-02-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US7451992B2 (en) 2006-01-31 2008-11-18 Phillip Minyard Willis Mobile support assembly
US20090102149A1 (en) * 2007-10-22 2009-04-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CN101909967B (zh) * 2008-01-10 2013-04-03 葛莱儿婴儿产品股份有限公司 单手折叠手推童车框架
CN101284542B (zh) * 2008-02-05 2010-06-1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
US8439376B2 (en) * 2008-07-08 2013-05-14 Amg Medical, Usa. Mobile support assembly
CN101844574B (zh) * 2009-03-23 2013-02-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推车
CN102079324B (zh) * 2009-12-01 2015-08-1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EP2781431B1 (en) * 2011-11-01 2017-04-12 Combi Corporation Foldable stroller
US9829032B2 (en) * 2012-08-14 2017-11-28 Jane Hermes Wheelchair with security features
FR3017359B1 (fr) * 2014-02-13 2017-06-09 Dorel France Sa Hamac pour poussette pliable et poussette correspondante
TWI549847B (zh) * 2015-02-16 2016-09-21 Fran Wheel Entpr Co Ltd A baby carriage with an auxiliary wheel device
CN105480288B (zh) * 2015-12-04 2018-10-12 晨辉婴宝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手推车
CN106004949B (zh) * 2016-08-01 2019-04-12 刘志伟 快速折叠式手推车
EP3747731B1 (en) * 2018-07-16 2023-01-18 Shanghai Dorel Juvenile Co., Ltd. Handle folding mechanism, three-fold handle employing the folding mechanism, and trolley having the same
CN109733520B (zh) * 2019-01-14 2024-02-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滑板车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8734A (en) * 1973-01-03 1975-11-11 Lawrence Wilson & Son Limited Collapsible structure
GB1469770A (en) 1973-11-19 1977-04-06 Lamondine Sa Folding chairs
US4248443A (en) * 1978-10-25 1981-02-03 Prime Line Industries, Inc. Foldable stroller
JPS60199763A (ja) * 1984-03-23 1985-10-09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握り棒のロツク機構
JPS63184567A (ja) 1986-09-02 1988-07-3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US4779879A (en) 1986-09-02 1988-10-25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3040496B2 (ja) 1991-01-11 2000-05-1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乳母車およびそこに用いられる折りたたみ機構
GB2285775B (en) 1994-01-19 1997-08-20 Jane Sa Infant's folding pushchair
JP3311160B2 (ja) 1994-08-19 2002-08-0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JP3311163B2 (ja) * 1994-09-21 2002-08-0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およびその座席のための座板の製造方法
JP3385113B2 (ja) * 1994-10-20 2003-03-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握り棒
TW280801B (ko) *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US6105997A (en) 1996-11-13 2000-08-22 Convaid Products, Inc. Stroller Arrangement
GB9718676D0 (en) 1997-09-04 1997-11-05 Maclaren Ltd Infant carraige
GB2351263B (en) 1999-06-22 2003-11-19 Maclaren Ltd Child's push-chairs
US6375213B1 (en) * 1999-09-27 2002-04-23 Combi Corporation Stroller
JP4416881B2 (ja) * 1999-10-12 2010-02-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JP2002012155A (ja) * 2000-06-30 2002-01-15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02225721A (ja) 2001-01-31 2002-08-14 Combi Corp 折畳み式ベビーカー
JP3939537B2 (ja) * 2001-02-15 2007-07-0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812948B2 (ja) * 2001-03-05 2011-11-0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937473B2 (ja) * 2001-08-09 2012-05-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JP2003095114A (ja) * 2001-09-26 2003-04-03 Combi Corp 飲料台付きガードアーム及びベビーカー
JP3980349B2 (ja) * 2001-12-25 2007-09-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299016B2 (ja) * 2003-02-04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9157A (zh) 2004-08-11
KR20040071606A (ko) 2004-08-12
TWI242512B (en) 2005-11-01
TW200417484A (en) 2004-09-16
EP1445167A2 (en) 2004-08-11
JP3967271B2 (ja) 2007-08-29
CN100357145C (zh) 2007-12-26
US20040169352A1 (en) 2004-09-02
US7114743B2 (en) 2006-10-03
DE602004004823D1 (de) 2007-04-05
JP2004291661A (ja) 2004-10-21
EP1445167A3 (en) 2004-09-08
EP1445167B1 (en) 200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746B1 (ko) 절첩식 유모차
JP5232437B2 (ja) 幌付折畳式乳母車
EP2052943A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KR0175963B1 (ko) 유모차의 좌석
EP2052945A1 (en) Foldable pushcart
US8360461B2 (en) Foldable stroller
US7458599B2 (en) Luggage basket and folding baby carriage provided with the same
KR100550747B1 (ko) 접이식 유모차
JP5230317B2 (ja)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CN112914300A (zh) 可折叠手提式婴儿床
US8016337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KR101877557B1 (ko) 접이식 왜건
JP5953139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CA2657144A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JP2005132245A (ja) 折畳式乳母車
KR20060054073A (ko) 유모차 및 그 차양
KR20100104787A (ko)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CN112009548B (zh) 婴儿车
JP4716848B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WO2005012032A1 (en) A car safety seat for a young child
TWI503247B (zh) 折疊式手推車及折疊式嬰兒車
JP6334953B2 (ja) 背対面切替式乳母車
JP2007118877A5 (ko)
JP2663812B2 (ja) 方向転換型シート
JP2008149750A (ja) 折畳式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