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073A - 유모차 및 그 차양 - Google Patents

유모차 및 그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073A
KR20060054073A KR1020050098096A KR20050098096A KR20060054073A KR 20060054073 A KR20060054073 A KR 20060054073A KR 1020050098096 A KR1020050098096 A KR 1020050098096A KR 20050098096 A KR20050098096 A KR 20050098096A KR 20060054073 A KR20060054073 A KR 2006005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stay
awning
attachment member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히데노리 야나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3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75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38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92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4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17010A/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3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adjustment or conversio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 및 그 차양을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의 차양에 있어서,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 중 전부(前部) 차양 스테이의 높이 치수를 후부(後部) 차양 스테이보다 크게 하고, 전부 차양 스테이(66a)의 차양 앵글(65)에 대한 피벗 장착 축(72)을 후부 차양 스테이(66c)의 차양 앵글(65)에 대한 피벗 장착 축(69)보다 하방 위치에 설치했다. 또는,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를 상기 차양 앵글(65)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후부 차양 스테이(66c)를 차양 고정 벨트(75)에 의해 핸들의 직관부(41) 또는 지지 파이프(17)에 연결 지지시켰다. 또는, 각 팔걸이는 한 쌍의 지지 파이프(1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지지 파이프(17)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35)을 형성하고, 유모차를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팔걸이(16)가 지지 파이프(17)에 대하여 회전하고, 차양 부착 부재(36)의 위치를 지지 파이프(17)에 대하여 강하시킨다.
수납, 휴대, 팔걸이, 절첩, 지지 파이프

Description

유모차 및 그 차양{STROLLER AND SUNSHAD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차양을 부착시킨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핸들의 직관부(直管部)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확대 부분도.
도 4의 (a) 및 (b)는 각각 핸들의 작동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양의 차양 스테이(stay) 부착부의 확대도.
도 7은 차양 앵글부의 확대 분해도.
도 8의 (a)∼(c)는 대형 차양에서의 차양 스테이의 작동 설명도.
도 9의 (a) 및 (b)는 소형 차양에서의 차양 스테이의 작동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양의 차양 스테이 부착부의 확대도.
도 11은 후부(後部) 차양 스테이와 지지 파이프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유모차 절첩 시에서의 종래의 차양의 작동 설명도.
도 13은 유모차 절첩 시에서의 본 발명의 차양의 작동 설명도.
도 14는 제 3-1 실시예의 유모차의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 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유모차의 확대 부분도.
도 16은 도 14의 유모차의 절첩 상태로 했을 때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확대 부분도.
도 17은 제 3-2 실시예의 유모차의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 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확대 부분도.
도 18은 제 3-3 실시예의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제 3-4 실시예의 유모차의 스파이럴 캠(spiral cam) 및 차양 부착 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도 19의 차양 및 차양 부착 부재의 측면도.
도 21은 유모차가 절첩 상태에 있을 때의 도 19의 차양 및 차양 부착 부재의 측면도.
도 22는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상기 유모차의 측면도.
도 24는 지지 파이프와 후각(後脚)의 연결부의 확대 측면도.
도 25는 유모차의 두 번 접은 상태의 설명도.
도 26은 유모차의 세 번 접은 상태의 개략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차양을 적용하는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차양 부착부의 구성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5 : 차양 부착 플레이트
36 : 차양 부착 부재
37 : 링크 플레이트(link plate)
40 : 차양
41 : 핸들의 직관부(直管部)
42 : 하부(下部) 파이프
43 : 상부(上部) 파이프
44 : 조인트 파이프(joint pipe)
45 : 부시(bush)
47 : 조절 홀더(adjust holder)
47a : 록킹 핀 지지부
47a1 : 캠 홈
48 : 록킹 핀(locking pin)
50, 51 : 결합 구멍
52 : 조인트 파이프 캡
53 : 구멍 커버
55 : 슬롯(slot)
59 : 조절 조작 부재
65 : 차양 앵글
66a, 66b, 66c : 차양 스테이
67 : 차양막
68 : 걸쇠
71 : 차양 플레이트
73 : 록킹용 돌기부
74a, 74b : 록킹용 오목부
75 : 차양 고정 벨트
본 발명은 유모차 및 그 차양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납 시나 휴대 시에 절첩 가능하게 한 유모차 및 그 차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를 산책이나 쇼핑 등을 위해 옥외에 데리고 나갈 경우에 사용하는 유모차에서는, 필요에 따라 절첩, 수납이나 휴대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영유아가 앞을 보면서 가는 운전 상태로 하거나, 사용자가 영유아와 서로 마주 보는 운전 상태로 하는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즉, 도 22는 종래의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그 측면도로서, 전륜(前輪)(11)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전각(前脚)(12), 후륜(後輪)(13)을 갖는 좌우 한 쌍의 후각(後脚)(14),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된 핸들(15), 좌우 한 쌍의 팔걸이(armrest)(16), 및 그 팔걸이(16)의 일단부(一端部)가 각각 피벗(pivot) 장착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2 개의 지지 파이프(17)를 갖고 있다.
상기 각 팔걸이(16)의 타단부(他端部)에는 전각(前脚)(12)의 상단(上端)이 피벗 장착되어 있고, 그 좌우의 팔걸이(16)의 선단부 사이에는 호형(弧形)의 굴곡 가능한 가드 암(guard arm)(18)이 탈착 가능하게 걸쳐져 있다. 또한, 좌우의 팔걸이(16)에는 후각(14)의 상단이 피벗 장착되어 있다. 좌우의 전각(12)은 발판(19)을 갖는 앞쪽 연결 바(2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좌우의 후각(14)은 뒤쪽 연결 바(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전각(12)의 중간부에는 연결 바(22)의 전단(前端)이 각각 피벗 장착되고, 그 연결 바(22)의 후단(後端)은 각각 상기 지지 파이프(17)의 하부에 고착(固着)된 후각 지지 부재(23)에 피벗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연결 바(22)는 상측 연결 바(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각(12), 후각(14), 핸들(15), 팔걸이(16), 지지 파이프(17),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바에 의해 유모차 본체(10)가 구성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각(14)에는 L자 형상 브래킷(25)의 하단부가 축(25b)에 의해 피벗 장착되어 있고, 그 중간부가 축(25c)에 의해 상기 후각 지지 부재(23)에 피벗 장착되어 있다. 그 브래킷(25)의 자유단부(自由端部)에는 후각(14)을 지지 파이프(17)에 록킹하는 록킹 부재(26)의 고정 단부(段部)(26a)와 결합되는 노치(notch) 단부(25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 부재(26)는 상기 지지 파이프(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핸들(15)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지지 파이프(17)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조작되게 되어 있다. 또한, 후각 지지 부재(23)에는 후각(14)과 대향면에 전개 시의 후각(14)에 맞닿아 그 전개 상태를 유지하는 단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부재(26)가 L자 형상 브래킷(25)의 노치 단부(25a)에 결합되면, 그 브래킷(25)을 통하여 후각(14)과 지지 파이프(17)가 록킹되고, 유모차 본체(10)가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록킹 부재(26)가 1 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끌어 올려지면, 록킹 부재(26)에 의한 록킹이 해방되고, 팔걸이(16), 전각(12), 후각(14)이 도 25에서 1 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上方)으로 요동(搖動) 가능해져, 휴대 등에 편리하도록 2 개로 절첩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지지 파이프(17)의 하부에 각각 고착된 후각 지지 부재(23)에는, 그 외측면에 대략 U자 형상 핸들(15)의 하단부가 축(27)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15)을 후방(後方) 위치(실선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영유아가 앞을 보는 운전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핸들(15)을 전방(前方)으로 요동시킨 상태(2 점 쇄선)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유아와 마주보는 운전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자 형상 핸들(15), 앞쪽 연결 바(20), 뒤쪽 연결 바(21), 및 상측 연결 바(24)에는 각각 중간부의 2 개소에 조인트(15a1, 15a2, 20a1, 20a2, 21a1, 21a2, 24a1, 24a2)가 설치되고, 그 조인트에 의해 절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조인트는 조인트(15a1, 20a1, 21a1, 24a1)의 축선(軸線), 및 조인트(15a2, 2Oa2, 21a2, 24a2)의 축선이, 전각(12)과 후각(14)이 서로 평행 상태로 절첩된 상태일 때에, 각각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고, 또한 서로 평행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각(12)과 후각(14)이 서로 평행 상태로 되도록 절첩한 후, 핸들(15)의 조인트보다 외측 부분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각 조인트에 의해 핸들(15), 앞쪽 연결 바(20), 뒤쪽 연결 바(21), 상측 연결 바(24)의 외측부가 전방으로 절곡(折曲)되어, 유모차를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으로부터 보아 "ㄷ"자 형상의 세 번 접은 상태로 간단하게 절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유모차에서는 상기 두 번 또는 세 번 접은 상태로 절첩했을 때에는 평단면의 면적, 즉 종횡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지만, 핸들의 길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절첩한 상태에서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는 작아지지 않는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핸들의 직관부를 신축(伸縮) 가능하게 하여, 두 번 또는 세 번 접은 상태로 절첩했을 때에는 동시에 핸들을 수축 시켜 높이 방향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2-316650호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모차에서는, 유아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유모차 본체(10)에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30)을 부착시키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0)를 절첩한 상태로 했을 경우에는, 상기 차양(30)에서의 차양 스테이가 방해되어 핸들(15)을 충분히 수축시킬 수 없어, 절첩한 상태의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반드시 작게 할 수는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즉,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30)은 기단부(基端部)가 차양 앵글(31)에 대하여 동일 축에 피벗 장착된 역(逆)U자 형상의 2 개의 차양 스테이(30a, 30b)를 갖고, 그 차양 스테이(30a, 30b) 사이에 차양막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차양 앵글(31)의 기둥 형상 지지 레버(31a)를 상기 지지 파이프(17)에 고착된 차양 부착 부재(32)의 통 형상부(32a)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삽입 장착함으로써, 차양(30)을 유모차 본체(1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차양(30)은 그 사용 시에서의 거주(居住) 공간이 가능한 한 넓어지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부(前部) 차양 스테이(30a)의 높이 치수가 후부(後部) 차양 스테이(30b)보다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를 절첩한 상태로 했을 때에는 동시에 상기 전후의 차양 스테이(30a, 30b)가 서로 지지 파이프(17)와 대략 평행으로 되는 동시에, 전부(前部) 차양 스테이(30a)의 정단(頂端)이 후부(後部) 차양 스테이(30b)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고, 유모차 본체(10)를 절첩한 상태로 했을 경우에는, 상기 차양(30)에서의 전부 차양 스테이(30a)가 방해되어 핸들(15)을 충분히 수축시킬 수 없어, 절첩한 상태의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반드시 작게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 및 그 차양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직관부를 포함하는 핸들과 지지 파이프를 갖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고,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의 차양에 있어서, 차양막을 지지하고 역U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와, 유모차 본체의 핸들의 직관부 또는 지지 파이프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와, 각 차양 스테이의 기단부가 피벗 장착 축을 통하여 피벗 장착되고, 차양 부착 부재에 탈착되는 차양 앵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 중 전부(前部) 차양 스테이의 높이 치수를 후부(後部) 차양 스테이보다 크게 하는 동시에, 전부 차양 스테이의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한 피벗 장착 축을 후부 차양 스테이의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한 피벗 장착 축보다 하방(下方)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모차의 차양에 의하면, 전부 차양 스테이의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한 피벗 장착 축이 후부 차양 스테이의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한 피벗 장착 축보다 하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부 차양 스테이의 높이 치수가 후부 차양 스테이보다 크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절첩 시에는 전부 차양 스테이의 높이를 종래의 것에 비하여 낮게 할 수 있으며,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가 방해되지 않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전부 차양 스테이와 후부 차양 스테이 사이에 중간 차양 스테이가 설치되고, 상기 전부 차양 스테이와 중간 차양 스테이는 동일 축선 상에 피벗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양 앵글에는 적어도 전부 차양 스테이가 고착된 차양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차양 플레이트와 차양 앵글의 대향면에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록킹용 요철부(凹凸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직관부를 포함하는 핸들과 지지 파이프를 갖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고,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의 차양에 있어서, 차양막을 지지하고 역U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와, 유모차 본체의 핸들의 직관부 또는 지지 파이프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와, 각 차양 스테이의 기단부가 피벗 장착 축을 통하여 피벗 장착되고, 차양 부착 부재에 탈착되는 차양 앵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를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후부 차양 스테이를 차양 고정 벨트에 의해 상기 핸들의 직관부 또는 지지 파이프에 연결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모차의 차양에 의하면, 후부 차양 스테이를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후부 차양 스테이를 차양 고정 벨트에 의해 상기 핸들의 직관부 또는 지지 파이프에 연결 지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절첩 시에는 차양 스테이가 핸들의 후방 위치로 요동되고,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가 방해되지 않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과, 한 쌍의 후각과, 한 쌍의 후각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 파이프와, 한 쌍의 전각 및 한 쌍의 후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연결되는 동시에, 한 쌍의 지지 파이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팔걸이와,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 스테이와,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고, 각 팔걸이의 결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차양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팔걸이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회전하고, 결합 부분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강하(降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모차에 의하면, 지지 파이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팔걸이가 이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형성하고, 차양 부착 부재가 결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팔걸이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회전하고, 결합 부분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강하하기 때문에, 절첩 시에 차양 스테이의 높이를 비교적 낮게 할 수 있으며,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가 방해되지 않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각 팔걸이는 전각과 후각과 지지 파이프에 연결된 팔걸이 본체와, 팔걸이 본체로부 터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구성하는 차양 부착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차양 부착 부재는 지지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가 지지 파이프 상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과, 한 쌍의 후각과, 한 쌍의 후각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 파이프와, 한 쌍의 전각 및 한 쌍의 후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연결되는 동시에, 한 쌍의 지지 파이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팔걸이와,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 스테이와,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고, 각 팔걸이의 결합 부분에 링크 플레이트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차양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링크 플레이트는 그 일단부가 결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차양 부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팔걸이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회전하고, 링크 플레이트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강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모차에 의하면, 팔걸이의 결합 부분과 차양 부착 부재 사이에 링크 플레이트가 양쪽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의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의 차양 부착 부재의 이동 자유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 고, 또한 결합 부분의 회전 운동에 의한 작용력을 차양 부착 부재에 원활하게 전달하여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강하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각 팔걸이는 전각과 후각과 지지 파이프에 연결된 팔걸이 본체와, 팔걸이 본체로부터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구성하는 차양 부착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차양 부착 플레이트와 링크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0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차양 부착 부재는 지지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가 지지 파이프 상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은,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직관부를 갖고, 각 직관부가 그 축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핸들과,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 스테이와, 핸들의 각 직관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는 차양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상기 핸들의 직관부 길이가 짧아지고, 이것에 따라 직관부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모차에 의하면, 차양 부착 부재가 축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핸들의 직관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절첩 시에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의 높이를 동일한 길이만큼 낮게 할 수 있으며,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2에 따른 발명은, 수납이나 휴대 시에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과, 한 쌍의 후각과, 한 쌍의 후각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 파이프와,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 스테이와, 각 지지 파이프에 부착되는 동시에, 스파이럴 캠을 통하여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는 차양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스파이럴 캠(spiral cam)은 차양 부착 부재에 대한 차양 스테이의 회전에 의해 이 차양 스테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가 차양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하고, 차양 부착 부재에 대한 차양 스테이의 위치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모차에 의하면, 차양 부착 부재는 스파이럴 캠을 통하여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고, 이 스파이럴 캠은 차양 부착 부재에 대한 차양 스테이의 회전에 의해 이 차양 스테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가 차양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하고, 차양 부착 부재에 대한 차양 스테이의 위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절첩 시에 차양 스테이의 높이를 비교적 낮게 할 수 있으며,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가 방해되지 않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2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차양 부착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형성된 캠 홈을 갖고, 스파이럴 캠은 차양 부착 부재의 캠 홈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 부분을 갖는 차양 앵글로 이루어지며,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앵글의 돌기 부분이 차 양 부착 부재의 캠 홈을 따라 경사 하방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양(40)을 장착한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상기 유모차의 핸들의 직관부(41)가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2는 상기 핸들의 직관부(41)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그 확대 부분도이다. 상기 핸들의 직관부(41)는 소경(小徑)의 하부 파이프(42)와, 소경의 상부 파이프(43)와, 상기 하부 파이프(42)와 상부 파이프(43)를 연결하는 대경(大徑)의 조인트 파이프(44)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경의 하부 파이프(42)의 정단부(頂端部)에 부시(45)를 통하여 대경의 조인트 파이프(44) 하부가 결합되고, 그 조인트 파이프(44)가 핀(46)에 의해 하부 파이프(42)에 고착된다. 상기 대경의 조인트 파이프(44) 상부에는 상기 소경의 상부 파이프(43)가 내부에 들어가는 방식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상부 파이프(43)의 이동에 의해 핸들의 직관부(41)가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소경의 상부 파이프(43) 내에는 조절 홀더(47)가 상부 파이프(4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절 홀더(47)의 하부에는 록킹 핀 지지부(47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 핀 지지부(47a)에는 서로 평행한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면에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캠 홈(47a1)이 설치되고, 그 캠 홈(47a1)에 후술하는 록킹 핀(48)의 기단에 형성된 좌우의 캠부가 결합된다. 즉 , 상기 소경의 상부 파이프(43)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핀 가이드(49)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록킹 핀 가이드(49)에 상기 록킹 핀(48)이 상부 파이프(43)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그 록킹 핀(48)의 기단에 형성된 좌우의 캠부가 상기 캠 홈(47a1)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대경의 조인트 파이프(44)에는, 상기 상부 파이프(43)가 최대 인발 위치에 있는 핸들의 신장 시, 및 상부 파이프(43)가 조인트 파이프(44) 내에 삽입된 핸들의 수축 시에 상기 록킹 핀(48)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록킹 핀(48)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구멍(50, 5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경의 조인트 파이프(44) 정단부에는 상기 결합 구멍(50)부를 덮는 조인트 파이프 캡(52)이 고착되는 동시에, 상기 결합 구멍(5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 구멍(51)을 덮는 구멍 커버(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파이프(43)에는 그 상부 위치에 동축적(同軸的)으로 그립부(grip end)(54)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 그립부(54)와 상부 파이프(43)에 형성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55)에 핀(56)이 삽입되고, 그 핀(56)에 상기 조절 홀더(47)의 정부(頂部)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파이프(43)에 설치된 스프링 수용부와 조절 홀더(47) 사이에 상기 조절 홀더(47)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조절 스프링(58)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54)에는 통 형상의 조절 조작 부재(59)가 결합되어 있고, 그 조절 조작 부재(59)가 상기 핀(5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수납 또는 휴대 시에, 종래의 유모차와 동일하게 두 번 또는 세 번 접은 상태로 한 후, 조절 조작 부재(59)를 도 2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조절 스프링(57)에 저항하여 도 3에 나타낸 위치로 끌어 올리면, 조절 홀더(47)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조절 홀더(47)의 캠 홈(47a1)과의 결합에 의해 록킹 핀(48)이 상부 파이프(43) 내에 넣어져, 대경의 조인트 파이프(44)의 결합 구멍(50)과의 결합이 해방된다(도 4의 (a) 참조). 그래서, 상부 파이프(43)를 조인트 파이프(44) 내에 완전히 삽입하고, 조절 조작 부재(59)로부터 손을 떼면, 조절 홀더(47)가 조절 스프링(57)에 의해 상부 파이프(43)에 대하여 하강하고,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핀(48)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록킹 핀(48)이 하방의 결합 구멍(51)에 결합된다. 따라서, 핸들의 직관부(41)가 도 2의 상태로부터 도 4의 (b)에 나타낸 수축 상태로 되고, 유모차의 높이를 도 4 및 도 5의 L 치수만큼 낮게 할 수 있으며, 수납 또는 휴대에 편리하도록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5의 우측 반분에 유모차를 세 번 접어 절첩한 상태만을, 또한 좌측 반분에 핸들을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수축시켜 그 높이를 낮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유모차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조절 조작 부재(59)를 상방으로 조작함으로써 록킹 핀(48)을 결합 구멍(51)으로부터 이탈(離脫)시킨 후, 상부 파이프(4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파이프(43)에 설치된 록킹 핀 가이드(49)가 조인트 파이프(44)의 정단 개구부에 고착된 제 1 내측 부시(60)에 맞닿는다. 그래서, 조절 조작 부재(59)로부터 손을 떼면 록킹 핀(48)이 상방의 결합 구멍(50)에 결합되고, 상부 파이프(43)가 조인트 파이프(44)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되어, 핸들 을 신장시킨 통상의 사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팔걸이(16)가 피벗 장착된 지지 파이프(도시 생략)에는, 도 27에 나타낸 종래의 유모차와 동일하게, 차양 부착 부재가 고착되어 있고, 그 차양 부착 부재에 차양(40)이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차양(40)은 기단부가 차양 앵글(65)에 장착된 역U자 형상의 전부 차양 스테이(66a), 중간 차양 스테이(66b), 후부 차양 스테이(66c)를 갖고 있으며, 그 전부 차양 스테이(66a), 중간 차양 스테이(66b), 후부 차양 스테이(66c) 사이에 차양막(6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부 차양 스테이(66a)와 중간 차양 스테이(66b)는 굴곡 전개 가능한 걸쇠(68)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부 차양 스테이(66a) 및 중간 차양 스테이(66b)를 서로 접근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절첩한 상태, 또는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요동시켜 측면으로부터 보아 V자 형상으로 확장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차양 앵글(65) 및 각 차양 스테이(66a, 66b, 66c)의 부착부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상기 차양 앵글(65)에는 그 후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 지지 레버(65a)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 레버(65a)가 상기 지지 파이프에 고착된 차양 부착 부재의 통 형상부에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있다. 상기 차양 앵글(65)에는 상기 지지 레버(65a)보다 상부 위치에 상기 후부 차양 스테이(66c)의 기단부가 축(69)에 의해 피벗 장착되어 있고, 상기 차양 앵글(65)의 표면에 설치된 전후의 리브(70a, 70b)에 의해 상기 후부 차양 스테이(66c)가 차양 앵글(65)에 대하여 요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양 앵글(65)에는 상기 후부 차양 스테이(66c)의 피벗 장착 축(69)보다 하방으로서, 또한 지지 레버(65a)의 전방 위치에 차양 플레이트(71)가 축(7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차양 플레이트(71)에 전부 차양 스테이(66a)의 기단부가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또한 상기 축(72)에 중간 차양 스테이(66b)의 기단부가 피벗 장착된다.
차양 앵글(65)의 차양 플레이트(71)와의 대향면에는 록킹용 돌기부(73)가 형성되는 한편, 차양 플레이트(71)의 상기 차양 앵글(65)과의 대향면에는 전부 차양 스테이(66a)가 절첩 위치 또는 전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록킹용 돌기부(73)와 플라스틱에 의해 탄성 결합되는 오목부(74a, 74b)가 형성되어, 전부 차양 스테이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차양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차양의 비사용 시에는,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차양 스테이(66b)를 후부 차양 스테이(66c)를 따르도록 쓰러뜨리는 동시에, 걸쇠(68)를 굴곡시킴으로써 전부 차양 스테이(66a)도 후방으로 요동시키고 3 개의 차양 스테이를 서로 접근시켜 절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 차양 스테이(66a)만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걸쇠(68)를 직선상으로 함으로써, 차양을 반(半)전개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차양 스테이(66a, 66b)를 전방 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을 완전히 전개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의 차양에서는 차양 사용 시에서의 거주 공간이 가능한 한 넓어지게 하기 위해, 전방 측의 차양 스테이의 높이 치수가 후방 측의 차양 스테이보다 높아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을 절첩한 상태로 했을 경우에는, 차양 스테이의 높이가 높아지고, 유모차의 절첩 시에 핸들을 수축시킬 경우에 핸들이 상기 절첩한 차양 스테이에 맞닿아, 핸들을 충분히 수축시킬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부 차양 스테이(66a) 및 중간 차양 스테이(66b)의 기단부가 후부 차양 스테이(66c)의 기단 장착 위치보다 하방 위치에 피벗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절첩 시에서의 전부 차양 스테이(66a) 및 중간 차양 스테이(66b)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며, 핸들의 수축을 충분히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3 개의 차양 스테이를 사용한 대형 차양의 예를 나타냈지만, 도 9의 (a) 및 (b)와 같이 전부 차양 스테이(66a)와 후부 차양 스테이(66c)의 2 개의 차양 스테이를 사용한 소형 차양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중간 차양 스테이(66b)를 제거하고, 전부 차양 스테이(66a)와 후부 차양 스테이(66c)를 걸쇠(68)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대형 차양과 소형 차양에서 중간 차양 스테이(66b) 이외의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양을 지지 파이프에 부착시키도록 한 것을 나타냈지만, 핸들의 직관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양을 장착한 유모차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차양의 차양 스테이 부착부의 확대도이고, 도 11은 후부 차양 스테이와 지지 파이프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유모차 절첩 시에서의 종래의 차양의 작동 설명도이며, 도 13은 유모차 절첩 시에서의 본 실시예의 차양의 작동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는 차양 앵글(65)의 표면에 설치된 전후의 리브(70a, 70b)에 의해 후부 차양 스테이(66c)가 차양 앵글(65)에 대하여 요동할 수 없게 하는 대신에, 후부 차양 스테이(66c)를 차양 앵글(65)에 대하여 적어도 후방으로 요동할 수 있게 하고, 이 후부 차양 스테이(66c)에 차양 고정 벨트(75)를 장착한 점이 다를 뿐이며, 그 이외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양 앵글(65)에는 그 후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 지지 레버(65a)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 레버(65a)가 상기 지지 파이프(17)에 고착된 차양 부착 부재의 통 형상부에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있다. 상기 차양 앵글(65)에는 상기 지지 레버(65a)보다 상부 위치에 상기 후부 차양 스테이(66c)의 기단부가 축(69)에 의해 피벗 장착되어 있고, 차양 앵글(65)에 대하여 적어도 후방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양 앵글(65)에는 상기 후부 차양 스테이(66c)의 피벗 장착 축(69)보다 하방으로서, 또한 지지 레버(65a)의 전방 위치에 차양 플레이트(71)가 축(7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차양 플레이트(71)에 전부 차양 스테이(66a)의 기단부가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또한 상기 축(72)에 중간 차양 스테이(66b)의 기단 부가 피벗 장착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부 차양 스테이(66c)에는 차양막(67) 측에서 그 차양막(67)을 통하여 차양 고정 벨트(75)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차양 고정 벨트(75)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 파이프(17)에 고착되고, 후부 차양 스테이(66c)가 상기 차양 고정 벨트(75)에 의해 지지 파이프(17)에 연결 지지된다.
그런데, 유모차를 세 번 접어 절첩할 경우에는 유모차의 좌우 양 외측부가 전방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 지지 파이프(17) 및 차양 앵글(65)이 90° 회동된다. 이 회동에 따라 상기 차양 앵글(65)에 장착되어 있는 후부 차양 스테이(66c)의 좌우 기단부도 회동되어, 후부 차양 스테이(66c)에 비틀림이 생긴다. 그래서, 차양 앵글(65)이 상기 비틀림에 대한 반력에 의해, 상기 지지 파이프(17)에 고착된 차양 부착 부재의 통 형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 레버(65a)의 축선 둘레로 유모차의 절첩 전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하여, 상기 후부 차양 스테이(66c)와 지지 파이프(17)를 연결하는 차양 고정 벨트(75)에 느슨함이 생기고, 그 느슨함에 따라 후부 차양 스테이(66c)의 후방으로의 경도가 허용된다.
도 12는 종래의 유모차를 세 번 접어 절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후부 차양 스테이(66c)는 핸들(15)의 직관부(41)와 대략 평행한 직립 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전부 차양 스테이(66a) 및 중간 차양 스테이(66b)도 상기 후부 차양 스테이(66c)에 접근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15)을, 도 12에서 쇄선(鎖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축시키고자 하면, 직립 상태의 차양 스테 이가 상기 핸들(15)에서의 직관부(41) 수축을 방해하여, 핸들의 수축을 충분히 행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후부 차양 스테이(66c)가 차양 고정 벨트(75)의 범위 내에서 후방으로 경도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의 절첩 시에는, 상기 차양 고정 벨트(75)의 느슨함과 차양의 자중(自重)에 의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차양 스테이(66a, 66b, 66c)가 핸들에 대하여 후방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도한다. 따라서, 핸들의 수축 시에 상기 차양 스테이(66a) 등이 방해되지 않아, 핸들을 충분히 수축시킬 수 있고, 절첩한 유모차의 높이 치수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양을 지지 파이프에 부착시키도록 한 것을 나타냈지만, 핸들의 직관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제 3-1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제 3-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중에서 도 14는 본 실시예의 유모차의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 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유모차의 확대 부분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유모차의 절첩 상태로 했을 때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확대 부분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제 3-1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9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전륜(11)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전각(12)과, 후륜(13)을 갖는 좌우 한 쌍의 후각(14)과, 각각 L자 형상의 브래킷(25)을 통하여 한 쌍의 후각(14)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지지 파이프(17)와, 한 쌍의 전각(12) 및 한 쌍의 후각(14)에 연결되는 동시에, 한 쌍의 지지 파이프(1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팔걸이(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에서 팔걸이(16)는 한 쌍의 전각(12) 및 한 쌍의 후각(14)에 연결되는 동시에, 한 쌍의 지지 파이프(17)에 축(17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팔걸이 본체(16a)와, 팔걸이 본체(16a)에 고착되고, 팔걸이 본체(16a)로부터 지지 파이프(17)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는 차양 부착 플레이트(35)를 갖고 있다. 또한, 지지 파이프(17)의 외주에는 통 형상의 차양 부착 부재(36)가 이 지지 파이프(17)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또한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와 차양 부착 부재(36)는 축(36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차양 부착 부재(36)에 차양(4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차양 부착 부재(36)는 차양 부착 플레이트(35) 중 팔걸이 본체(16a)와 반대측의 단부에 축(36a)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차양 부착 부재(36)는 팔걸이(16)의 결합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모차의 수납 또는 휴대 시에 있어서, 차양(40)을 도 8의 (a)에 나타낸 절첩한 상태로 하여 유모차를 두 번 또는 세 번 접은 상태로 절첩한 경우에는, 유모차의 차양 부착 부재(36)의 주변부는 도 16에 나타낸 구성과 같이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모차를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는, 팔걸이(16)의 팔걸이 본체(16a)는 지지 파이프(17)에 대하여 축(17a)을 중심으로 하여 전각(12) 및 후각(14)과의 연결 부분(12a, 14a)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즉, 도 15에서 팔걸이 본체(16a)는 축(17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따라 팔걸이 본체(16a)에 고착된 차양 부착 플레이트(35)도 축(17a)을 중심으로 하여 도 15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와 차양 부착 부재(36)를 연결하는 축(36a)은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의 팔걸이 본체(16a)와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의 회전에 따라 축(36a)이 축(17a)에 대하여 하방으로 강하한다. 이것에 의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36a)이 하방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차양 부착 부재(36)가 지지 파이프(17) 상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이 차양 부착 부재(36)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17)에 대하여 강하하게 된다.
도 16에 있어서, 차양 부착 부재(36)의 실선 부분은 본 실시예에 의해 지지 파이프(17)에 대하여 강하한 후의 차양 부착 부재(36)의 위치를 나타내고, 2 점 쇄선 부분은 차양 부착 부재(36)가 지지 파이프(17)에 고정된 종래의 경우에서의 차양 부착 부재(36)의 위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양 부착 부재(36)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17)에 대하여 강하함으로써,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유모차를 절첩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36)의 위치를 예를 들어 약 6 ㎝ 강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유모차에 의하면, 지지 파이프(17)에 회동 가능하 게 연결된 팔걸이 본체(16a)에 이 지지 파이프(17)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는 차양 부착 플레이트(35)가 고착되어 있고, 또한 차양 부착 부재(36)가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팔걸이 본체(16a)가 지지 파이프(17)에 대하여 회전하고,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36)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17)에 대하여 강하한다. 이 때문에, 절첩 시에 차양 스테이(66a, 66b, 66c)의 높이를 비교적 낮게 할 수 있으며,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66a, 66b, 66c)가 방해되지 않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팔걸이(16)가 팔걸이 본체(16a)와, 팔걸이 본체(16a)에 고착된 차양 부착 플레이트(35)로 이루어지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팔걸이 본체(16a)와 차양 부착 플레이트(35)를 구획하지 않아 일체화된 좌우 한 쌍의 팔걸이(16)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 일체화된 팔걸이(16)는 한 쌍의 전각(12) 및 한 쌍의 후각(14)에 연결되는 동시에 한 쌍의 지지 파이프(1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지지 파이프(17)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결합 부분에 차양 부착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팔걸이 본체(16a)는 한 쌍의 전각(12) 및 한 쌍의 후각(14)의 양쪽에 연결된 것에 한정되지 않아, 한 쌍의 전각(12) 및 한 쌍의 후각(14) 중 어느 한쪽에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제 3-2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에 차양 부착 부재(36)를 직접 연결시키는 대신에,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와 차양 부착 부재(36) 사이에 링크 플레이트(37)를 설치한 점이 다를 뿐이며, 그 이외는 실질적으로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제 3-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7에 나타낸 제 3-2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제 3-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유모차에 대해서, 이하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걸이 본체(16a)에 고착된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에는, 팔걸이 본체(16a)와의 고착 부분과 반대측(후방 측)에 가늘고 긴 평판 형상 링크 플레이트(37)의 일단부가 축(37a)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차양 부착 부재(36)는 링크 플레이트(37)의 타단부에 축(36b)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36b)은 축(37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가 전개 상태일 때에는, 링크 플레이트(37)와 지지 파이프(17)는 대략 평행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링크 플레이트(37)는 차양 부착 플레이트(35) 및 차양 부착 부재(36)에 대하여 각각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 부재 중 팔걸이 본체(16a)와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에 의해 팔걸이(16)가 구성된다.
도 17에 있어서, 수납 또는 휴대 시에, 유모차를 두 번 또는 세 번 접은 상태로 절첩한 경우에는, 팔걸이(16)의 팔걸이 본체(16a)는 지지 파이프(17)에 대하 여 축(17a)을 중심으로 하여 전각(12) 및 후각(14)과의 연결 부분(12a, 14a)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도 17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따라 팔걸이 본체(16a)에 고착된 차양 부착 플레이트(35)도 축(17a)을 중심으로 하여 도 17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와 링크 플레이트(37)를 연결하는 축(37a)이 축(17a)에 대하여 하방으로 강하한다. 이것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37)의 일단부가 축(37a)을 통하여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에 의해 하방으로 잡아당겨지고, 링크 플레이트(37)의 타단부에 축(36b)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차양 부착 부재(36)도 하방으로 잡아당겨진다. 이 경우, 차양 부착 부재(36)가 지지 파이프(17) 상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이 차양 부착 부재(36)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17)에 대하여 강하한다.
도 17에 있어서,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와 차양 부착 부재(36) 사이에 링크 플레이트(37)를 설치함으로써, 지지 파이프(17)의 축선 방향에서의 차양 부착 부재(36)의 이동 자유도를 링크 플레이트(37)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예를 들어 링크 플레이트(37)의 길이 분만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유모차를 절첩할 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부착 플레이트(35)는 지지 파이프(17) 상의 축(1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을 행하고, 차양 부착 부재(36)는 지지 파이프(17)의 축선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행한다. 이 때,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와 차양 부착 부재(36) 사이에 링크 플레이트(37)가 양쪽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의 회전 운동에 의한 작용력을 차양 부착 부재(36)에 원활하게 전달하여 지지 파이프(17)의 축선 방향에 따른 직 선 운동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유모차에 의하면,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와 차양 부착 부재(36) 사이에 링크 플레이트(37)가 양쪽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모차의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의 차양 부착 부재(36)의 이동 자유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의 회전 운동에 의한 작용력을 차양 부착 부재(36)에 원활하게 전달하여 지지 파이프(17)의 축선 방향에 따른 직선 운동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 3-3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차양 부착 부재(36)를 차양 부착 플레이트(35)에 연결시키는 대신에, 차양 부착 부재(36)를 핸들의 신축 가능한 직관부(41)에 부착시킨 점이 제 3-1 실시예와 다를 뿐이며, 그 이외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8에 나타낸 제 3-3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유모차에 대해서 이하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8의 우측 부분은 핸들의 직관부(41)를 신장시킨 통상 상태를, 또한 좌측 부분은 핸들의 직관부(41)를 수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유모차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부착 부재(36) 는 핸들의 상부 파이프(43)에 결합되고, 조절 조작 부재(59)의 하단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수납 또는 휴대 시에, 유모차를 두 번 또는 세 번 접은 상태로 절첩한 경우에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첩한 후에 핸들의 상부 파이프(43)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직관부(41)가 도 2의 상태로부터 도 4의 (b)에 나타낸 수축 상태로 되고, 핸들의 높이가 도 4의 (b)의 L 치수만큼 낮아진다. 이것에 따라, 직관부(41)의 상부 파이프(43)에 결합된 차양 부착 부재(36)도 도 18의 L 치수만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유모차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의 직관부(41)를 신장시킨 통상의 사용 상태로 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상부 파이프(43)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 상부 파이프(43)에 결합된 차양 부착 부재(36)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유모차에 의하면, 차양 부착 부재(36)가 축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직관부(4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절첩 시에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66a, 66b, 66c)의 높이를 동일한 길이만큼 낮게 할 수 있으며,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3-4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고, 차양 부착 부재(36)를 팔걸이(16)에 연결시키는 대신에, 차양 부착 부재(36)를 지지 파 이프(17)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차양 부착 부재(36)에 스파이럴 캠을 통하여 차양 스테이(66a, 66b, 66c)를 부착시키는 점이 제 3-1 실시예와 다를 뿐이며, 그 이외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낸 제 3-4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유모차에 대해서 이하 도 19 내지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스파이럴 캠 및 차양 부착 부재(3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0은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차양(40) 및 차양 부착 부재(36)의 측면도이며, 도 21은 유모차가 절첩 상태에 있을 때의 차양(40) 및 차양 부착 부재(36)의 측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부착 부재(36)는 상하 방향으로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된 캠 홈(36c)을 갖고 있다. 차양 부착 부재(36)의 캠 홈(36c)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부착 부재(36)의 통 형상부를 관통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한 통 형상부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차양 부착 부재(36)에 설치된 캠 홈(36c)은 차양 부착 부재(36)를 상방으로부터 보아 중심축(A)에 대하여 90°의 원호(圓弧) 형상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파이럴 캠은 기둥 형상 지지 레버(65a)와, 차양 부착 부재(36)의 캠 홈(36c)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 부분(65b)을 갖는 차양 앵글(65)로 이루어지고, 돌기 부분(65b)의 직경은 캠 홈(36c)의 폭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유모차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앵글(65)의 돌기 부분(65b)은 차양 부착 부재(36)의 캠 홈(36c)의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유모차를 세 번 접은 상태로 했을 경우, 차양 부착 부재(36)가 차양 앵글(65)에 대하여 도 19 및 도 20의 중심축(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때, 차양 부착 부재(36)는 도 20에서의 차양 부착 부재(36) 부분(36d)이 도 21의 지면(紙面)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이 차양 부착 부재(36)의 차양 앵글(65)에 대한 회전에 의해, 돌기 부분(65b)이 캠 홈(36c)을 따라 경사 하방(도 19의 화살표 방향)으로 안내되고, 유모차가 완전히 절첩 상태로 되었을 때,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앵글(65)의 돌기 부분(65b)은 차양 부착 부재(36)의 캠 홈(36c)의 최하부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차양 앵글(65)은 차양 부착 부재(36)의 캠 홈(36c)의 높이 분만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유모차에 의하면, 차양 부착 부재(36)가 지지 파이프(17)에 고착되고, 이 차양 부착 부재(36)에 차양 앵글(65)로 이루어지는 스파이럴 캠을 통하여 차양 스테이(66a, 66b, 66c)가 부착되어 있다. 스파이럴 캠은 차양 부착 부재(36)에 대한 차양 스테이(66a, 66b, 66c)의 회전에 의해 이 차양 스테이(66a, 66b, 66c)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36)가 차양 앵글(65)에 대하여 회전하고, 차양 부착 부재(36)에 대한 차양 스테이(66a, 66b, 66c)의 위치가 낮아진다. 이 때문에, 절첩 시에 차양 스테이(66a, 66b, 66c)의 높이를 비교적 낮게 할 수 있으며,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66a, 66b, 66c)가 방해되지 않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전부 차양 스테이의 높이 치수를 후부 차양 스테이보다 크게 하는 동시에, 전부 차양 스테이의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한 피벗 장착 축을 후부 차양 스테이의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한 피벗 장착 축보다 하방 위치에 설치했기 때문에, 전부 차양 스테이의 높이 치수가 후부 차양 스테이보다 크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절첩 시에는 전부 차양 스테이의 높이를 비교적 낮게 할 수 있으며,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가 방해되지 않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후부 차양 스테이를 차양 앵글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후부 차양 스테이를 차양 고정 벨트에 의해 상기 핸들의 직관부 또는 지지 파이프에 연결 지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절첩 시에는 차양 고정 벨트의 범위 내에서 차양 스테이가 핸들의 후방 위치로 요동되고,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가 방해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핸들의 수축에 의해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지지 파이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팔걸이가 이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형성하고, 차양 부착 부재가 결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팔걸이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 때, 결합 부분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강하하기 때문에, 절첩 시에 차양 스테이의 높이를 비교적 낮게 할 수 있으며,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가 방해되지 않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팔걸이의 결합 부분과 차양 부착 부재 사이에 링크 플레이트가 양쪽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의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의 차양 부착 부재의 이동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부분의 회전 운동에 의한 작용력을 차양 부착 부재에 원활하게 전달하여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강하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차양 부착 부재가 축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핸들의 직관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절첩 시에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의 높이를 동일한 길이만큼 낮게 할 수 있으며,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차양 부착 부재는 스파이럴 캠을 통하여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고, 이 스파이럴 캠은 차양 부착 부재에 대한 차양 스테이의 회전에 의해 이 차양 스테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가 차양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하고, 차양 부착 부재에 대한 차양 스테이의 위치가 낮아진다. 이 때문에, 절첩 시에 차양 스테이의 높이를 비교적 낮게 할 수 있으며, 핸들의 수축에 대하여 차양 스테이가 방해되지 않아, 유모차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13)

  1. 직관부(直管部)를 포함하는 핸들과 지지 파이프를 갖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고,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의 차양에 있어서,
    차양막을 지지하고 역U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stay)와,
    유모차 본체의 핸들의 직관부 또는 지지 파이프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와,
    각 차양 스테이의 기단부(基端部)가 피벗(pivot) 장착 축을 통하여 피벗 장착되고, 차양 부착 부재에 탈착되는 차양 앵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 중 전부(前部) 차양 스테이의 높이 치수를 후부(後部) 차양 스테이보다 크게 하는 동시에, 전부 차양 스테이의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한 피벗 장착 축을 후부 차양 스테이의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한 피벗 장착 축보다 하방(下方)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부 차양 스테이와 후부 차양 스테이 사이에 중간 차양 스테이가 설치되고, 상기 전부 차양 스테이와 중간 차양 스테이는 동일 축선(軸線) 상에 피벗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앵글에는 적어도 전부 차양 스테이가 고착(固着)된 차양 플레이트가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차양 플레이트와 차양 앵글의 대향면에 서로 결합되는 록킹(locking)용 요철부(凹凸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4. 직관부를 포함하는 핸들과 지지 파이프를 갖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고,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의 차양에 있어서,
    차양막을 지지하고 역U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와,
    유모차 본체의 핸들의 직관부 또는 지지 파이프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와,
    각 차양 스테이의 기단부가 피벗 장착 축을 통하여 피벗 장착되고, 차양 부착 부재에 탈착되는 차양 앵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차양 스테이를 상기 차양 앵글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후부 차양 스테이를 차양 고정 벨트에 의해 상기 핸들의 직관부 또는 지지 파이프에 연결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5.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前脚)과,
    한 쌍의 후각(後脚)과,
    한 쌍의 후각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 파이프와,
    한 쌍의 전각 및 한 쌍의 후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연결되는 동시에, 한 쌍의 지지 파이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팔걸이와,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 스테이와,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고, 각 팔걸이의 결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차양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팔걸이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회전하고, 결합 부분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강하(降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 5 항에 있어서,
    각 팔걸이는 전각과 후각과 지지 파이프에 연결된 팔걸이 본체와, 팔걸이 본체로부터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구성하는 차양 부착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 5 항에 있어서,
    차양 부착 부재는 지지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가 지지 파이프 상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과,
    한 쌍의 후각과,
    한 쌍의 후각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 파이프와,
    한 쌍의 전각 및 한 쌍의 후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연결되는 동시에, 한 쌍의 지지 파이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팔걸이와,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 스테이와,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고, 각 팔걸이의 결합 부분에 링크 플레이트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차양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링크 플레이트는 그 일단부(一端部)가 결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他端部)가 차양 부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팔걸이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회전하고, 링크 플레이트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의 위치가 지지 파이프에 대하여 강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 8 항에 있어서,
    각 팔걸이는 전각과 후각과 지지 파이프에 연결된 팔걸이 본체와, 팔걸이 본체로부터 지지 파이프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결합 부분을 구성하는 차양 부착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차양 부착 플레이트와 링크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회동 가 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 8 항에 있어서,
    차양 부착 부재는 지지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가 지지 파이프 상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수납이나 휴대 시에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직관부를 갖고, 각 직관부가 그 축선 방향으로 신축(伸縮)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핸들과,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 스테이와,
    핸들의 각 직관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는 차양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상기 핸들의 직관부 길이가 짧아지고, 이것에 따라 직관부에 부착된 차양 부착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수납이나 휴대 시에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할 수 있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한 쌍의 전각과,
    한 쌍의 후각과,
    한 쌍의 후각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 파이프와,
    차양막을 설치하는 차양 스테이와,
    각 지지 파이프에 부착되는 동시에, 스파이럴 캠(spiral cam)을 통하여 차양 스테이를 부착시키는 차양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스파이럴 캠은 차양 부착 부재에 대한 차양 스테이의 회전에 의해 이 차양 스테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부착 부재가 차양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하고, 차양 부착 부재에 대한 차양 스테이의 위치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차양 부착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형성된 캠 홈을 갖고,
    스파이럴 캠은 차양 부착 부재의 캠 홈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 부분을 갖는 차양 앵글로 이루어지며,
    세 번 접어 절첩 상태로 했을 때에, 차양 앵글의 돌기 부분이 차양 부착 부재의 캠 홈을 따라 경사 하방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50098096A 2004-10-19 2005-10-18 유모차 및 그 차양 KR20060054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4270 2004-10-19
JPJP-P-2004-00303888 2004-10-19
JPJP-P-2004-00303895 2004-10-19
JP2004303895A JP4637542B2 (ja) 2004-10-19 2004-10-19 ベビーカーの幌
JP2004303888A JP4689227B2 (ja) 2004-10-19 2004-10-19 ベビーカーの幌
JP2004304270A JP2006117010A (ja) 2004-10-19 2004-10-19 ベビーカ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073A true KR20060054073A (ko) 2006-05-22

Family

ID=3715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096A KR20060054073A (ko) 2004-10-19 2005-10-18 유모차 및 그 차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60054073A (ko)
CN (1) CN101676161B (ko)
TW (1) TW2006131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3009A (zh) * 2021-01-04 2021-04-09 安徽小龙仔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减震效果好的婴儿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9384B2 (ja) * 2014-09-22 2019-03-06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6466767B2 (ja) * 2015-04-10 2019-02-06 株式会社カーメイト 座席付き手押し車のフレーム構造および座席付き手押し車
JP6858404B2 (ja) * 2017-08-30 2021-04-14 コンビ株式会社 幌およびカート
JPWO2019054428A1 (ja) * 2017-09-13 2020-10-15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89813Y (zh) * 1999-07-01 2000-08-02 英属维京群岛商育丰有限公司 折叠式婴儿车
CN2389811Y (zh) * 1999-10-06 2000-08-02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可折叠的婴儿车
JP3939537B2 (ja) * 2001-02-15 2007-07-0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TW537231U (en) * 2001-12-14 2003-06-11 Link Treasure Ltd Structure for storage plate capable of adjustment of position
CN2528680Y (zh) * 2001-12-27 2003-01-01 蓝贯仁 靠背架可自动跟随收折的婴儿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3009A (zh) * 2021-01-04 2021-04-09 安徽小龙仔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减震效果好的婴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3181A (en) 2006-05-01
CN101676161B (zh) 2012-07-11
TWI374820B (ko) 2012-10-21
CN101676161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976B1 (en) Foldable and height-adjustable stroller
JP5232437B2 (ja) 幌付折畳式乳母車
US4892327A (en) Foldable frames for children&#39;s pushchairs
KR100852409B1 (ko) 유모차
CA2357611C (en) Stroller with folding frame and retractable handlebar
US8696015B2 (en) Stroller
RU2506187C2 (ru) Складная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JP4937473B2 (ja)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US9561817B2 (en) Stroller with telescopic and locking members
JP5963394B2 (ja) 折畳式乳母車
CN107128350B (zh) 一种折叠婴儿推车
US20080029980A1 (en) Stroller Seat Recline Mechanism
EP3831247B1 (en) Collapsible carry cot
KR20060054073A (ko) 유모차 및 그 차양
CN209938702U (zh) 一种可变化前后轮距的婴儿车骨架
KR101923732B1 (ko) 접이식 왜건
JP4689227B2 (ja) ベビーカーの幌
CN112046593A (zh) 一种婴儿车架和婴儿车
CN212220348U (zh) 一种婴儿车
JP2006117010A (ja) ベビーカー
CN110001845A (zh) 折叠式三轮车
CN212313659U (zh) 一种婴儿车架和婴儿车
CN212289998U (zh) 婴儿车车架组件及婴儿车
JP4637542B2 (ja) ベビーカーの幌
CN213354593U (zh) 一种儿童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