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787A -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787A
KR20100104787A KR1020090023426A KR20090023426A KR20100104787A KR 20100104787 A KR20100104787 A KR 20100104787A KR 1020090023426 A KR1020090023426 A KR 1020090023426A KR 20090023426 A KR20090023426 A KR 20090023426A KR 20100104787 A KR20100104787 A KR 20100104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embers
frame members
longitudinal frame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2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4787A/ko
Publication of KR2010010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4Carriages supporting a hammock-sty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누름 봉을 갖는 유모차에 있어서, 심플한 구조로 폭 방향 사이즈를 축소하여 절첩(fold)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모차는, 한 쌍의 전각(front leg:1)과, 한 쌍의 연결 부재(2)와, 한 쌍의 전각의 중간 영역에 고정된 한 쌍의 안내 슬리브(3)와, 상단부가 한 쌍의 연결 부재(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후각(rear leg:4)과, 한 쌍의 연결 부재(2) 및 한 쌍의 안내 슬리브(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누름 봉(5)과, 한 쌍의 후각의 윗측 영역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7)와, 상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한 쌍의 후각의 아랫측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배면 크로스 부재(8)와, 전단부가 한 쌍의 누름 봉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한 쌍의 후각의 중간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저면 크로스 부재를 구비한다.
전각, 연결 부재, 통형상체, 장출부, 안내 슬리브

Description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손수레 및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fold)되는 절첩식 손수레, 및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손수레는, 유모차나 짐 운반차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를 갖는다.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유모차는, 예를 들면 일본 실공소45-13549호 공보 및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전각(front leg)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누름 봉(push bar)을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하여, 절첩 상태의 높이를 줄이고 있다. 또한, 유모차는, 절첩 상태에서, 폭 방향 사이즈가 축소하도록 되어 있다. 그와 같은 폭 방향 사이즈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한 쌍의 후각(rear leg)과, 한 쌍의 누름 봉은, X자형상으로 교차 하는 2개의 봉 부재로 이루어지는 배면 크로스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일본 실공소45-13549호 공보 및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는, 한 쌍의 누름 봉을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함에 의해 절첩 상태의 높이를 감소시키고 있지만, 다른 타입의 유모차가, 예를 들면, 일본 특표2001-525291호 공보 및 일본 특표2005-5223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한 쌍의 누름 봉을 한 쌍의 전각에 따라 하강시킴에 의해, 유모차의 절첩 상태의 높이를 줄이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공소45-1354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표2001-525291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표2005-522372호 공보
일본 실공소45-13549호 공보 및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한 쌍의 누름 봉의 배면에 배면 크로스 부재의 윗측 부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누름 봉 사이에 위치하는 등받이부를 후경(reclinable manner) 가능하게 마련하는 것이 곤란하다.
일본 특표2001-525291호 공보 및 일본 특표2005-522372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식 누름 봉을 갖는 유모차에서는, 한 쌍의 누름 봉의 배면에는 장 애물이 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를 후경 가능하게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관점에 주목하는 것이면, 슬라이드식 누름 봉을 갖는 유모차가 바람직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슬라이드식 누름 봉을 갖는 유모차의 경우, 한 쌍의 누름 봉과 한 쌍의 후각을 연결하는 배면 크로스 부재를 마련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절첩 상태에서 폭 방향 사이즈를 축소하기 위해서는 무엇인가의 고안이 필요하다.
일본 특표2005-522372호 공보에는,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폭 방향의 사이즈를 축소하도록 구성한 것에 관해 하등의 기재도 없다. 일본 특표2001-525291호 공보에는 유모차의 절첩시에 폭 방향 사이즈가 축소하는 취지의 기재는 있지만,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식 누름 봉을 갖는 유모차에 있어서, 심플한 구조로 폭 방향 사이즈를 축소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플한 구조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손수레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것으로서,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vertical frame) 부재와,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 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의 윗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와, 제 1 크로스 부재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다. 제 1 크로스 부재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윗측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랫측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는, 평행한 위치 관계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일방 단부가 제 1 크로스 부재의 윗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방 단부(other end)가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손수레에 의하면, 제 1 크로스 부재의 윗측 단부를 윗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면, 제 1 크로스 부재의 폭 치수가 축소하여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의 간격이 좁아지고, 또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를 통하여 제 1 종프레임 부재의 하부와 제 2 종프레임 부재의 하부가 근접하기 때문에, 손수레의 절첩 상태에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수레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일방 단부가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방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크로스 부재를 또한 구비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손수레는,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에 부분적으로 겹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아랫측 단부가 제 2 크로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 3 종프레임 부재를 구비한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손수레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것으로서,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와,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의 윗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와, 제 1 크로스 부재와, 제 2 크로스 부재를 구비한다. 제 1 크로스 부재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윗측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랫측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크로스 부재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일방 단부가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방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유모차는,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단부에 전륜을 갖는 한 쌍의 전각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단부에 후륜을 갖는 한 쌍의 후각과, 한 쌍의 전각에 부분적으로 겹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누름 봉과, 한 쌍의 전각의 상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연결 부재와, 한 쌍의 전각의 중간 영역에 고정된 한 쌍의 안내 슬리브와, 한 쌍의 후각의 윗측 영역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와, 배면 크로스 부재와, 저면 크로스 부재를 구비한다.
한 쌍의 후각의 상단부는, 한 쌍의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누름 봉은, 한 쌍의 연결 부재 및 한 쌍의 안내 슬리브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배면 크로스 부재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상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한 쌍의 후각의 아랫측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저면 크로스 부재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전단부가 한 쌍의 누름 봉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한 쌍의 후각의 중간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성의 유모차에 의하면, 한 쌍의 누름 봉의 배면에는, 등받이부의 후경 동작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누름 봉을 하강시키면, 그것에 추종하여 저면 크로스 부재 및 배면 크로스 부재의 교차 각도가 변화하여 한 쌍의 전각, 한 쌍의 후각 및 한 쌍의 누름 봉의 간격도 좁아지기 때문에,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의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유모차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전방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한 쌍의 전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지지봉을 구비한다.
유모차는, 바람직하게는, 해당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 배면 크로스 부재를 구성하는 2개의 봉 부재의 교차 각도를 고정하는 열린 상태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모차는, 해당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 전각에 대한 누름 봉의 위치를 고정하는 누름 봉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모차는, 역 U자형상의 형태를 갖고 한 쌍의 누름 봉의 윗측단을 연결하는 핸들 부재를 구비한다. 이 핸들 부재는, L자형상의 형 태를 가지며, 그 일방 단부가 일방의 누름 봉의 윗측단에 고정된 제 1 핸들 암과, 제 1 핸들 암과 대칭적인 L자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그 일방 단부가 타방의 누름 봉의 윗측단에 고정된 제 2 핸들 암과, 제 1 핸들 암의 타방 단부와, 제 2 핸들 암의 타방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모차는, 그 폭 방향 양단이, 한 쌍의 연결 부재보다도 아랫측의 위치에서, 한 쌍의 누름 봉에 연결 지지된 포장(canopy)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손수레로서 , 또는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절첩식 유모차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절첩식 유모차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을 도시하고, 도 2는 좌석 해먹(23), 포장(17) 및 물품 수납 주머니(22)를 장착한 상태의 유모차를 도시하고, 도 3은 열린 상태의 유모차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절첩한 상태의 유모차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유모차는,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것이다. 유모차는, 차체 프레임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1)과, 한 쌍의 후각(4) 과, 한 쌍의 누름 봉(5)과, 핸들 부재(6)와, 한 쌍의 좌부 지지봉(10)과, 배면 크로스 부재(8)와, 저면 크로스 부재(9)를 구비한다.
각 전각(1)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그 하단부에 전륜을 가지며, 그 상단부에 연결 부재(2)를 갖고 있다. 연결 부재(2)는, 전각(1)에 고정되어 있고, 그 전방부에 통형상체(cylindrical body:2a)를 가지며, 그 후 방부에 장출부(projecting portion:2b)를 갖고 있다. 각 전각(1)의 중간 영역에는, 안내 슬리브(3)가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안내 슬리브(3)는, 그 전방부에 통형상체(3a)를 갖고 있다.
각 후각(4)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그 하단부에 후륜을 갖고 있다. 각 후각(4)의 상단부는, 전각(1)에 고정된 연결 부재(2)의 장출부(2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각 후각(4)은 각 전각(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4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에서는, 각 후각(4)과 각 전각(1)은 평행한 관계로 위치하고, 후륜은 전륜의 윗측에 위치한다.
각 누름 봉(5)은, 그 아랫측 영역이 각 전각(1)상에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이 누름 봉(5)은, 전각(1)에 고정된 연결 부재(2) 및 안내 슬리브(3)의 통형상체(2a, 3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각 누름 봉(5)은 각 전각(1)상을 아랫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도 4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에서는, 각 누름 봉(5)의 아랫측단이 지면에 맞닿도록 된다. 지면에 접하는 누름 봉(5)의 아랫측단과 전륜에 의해, 절첩 상태의 유모차는 자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쌍의 누름 봉(5)의 윗측단은, 역 U자형상 형태의 핸들 부재(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부재(6)는, L자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그 일방 단부가 일방의 누름 봉(5)의 윗측단에 고정된 제 1 핸들 암(61)과, L자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그 일방 단부가 타방의 누름 봉(5)의 윗측단에 고정된 제 2 핸들 암(62)을 갖고 있다. 제 1 핸들 암(61)의 타방단과, 제 2 핸들 암(62)의 타방단은, 연결 기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구조에 관해서는, 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한 쌍의 후각(4) 및 배면 크로스 부재(8)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유모차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 쌍의 후각(4)의 윗측 영역상에,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각 슬라이드 부재(7)는 각 후각(4) 위를 윗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배면 크로스 부재(8)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제 1 봉 부재(81)와 제 2 봉 부재(82)를 포함하고, 그 상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한 쌍의 후각(4)의 아랫측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봉 부재(81)와 제 2 봉 부재(82)는, 그들의 교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는, 배면 크로스 부재(8)의 상하단의 거리가 길어지고, 한 쌍의 후각(4)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 크로스 부재(9)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제 1의 봉 부재(91)와 제 2의 봉 부재(92)를 포함하고, 그 전단부가 한 쌍의 누름 봉(5)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한 쌍의 후각(4)의 중간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한 쌍의 누름 봉(5)이 전각(1)에 따라 아랫측으로 이동하면, 누름 봉(5)의 하단부에 연결된 저면 크로스 부재(9)의 전단부도 그에 추종하여 아랫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수반하여, 저면 크로스 부재(9)의 후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후각(4)을 전각(1)을 향하여 회동시킨다. 또한, 누름 봉(5)의 하단부의 아랫측으로의 이동량이 커짐에 따라, 저면 크로스 부재(9)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한 쌍의 전각(1) 사이의 간격 및 한 쌍의 후각(4)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한 쌍의 좌부 지지봉(seat support bar:10)은, 좌석 해먹(23)의 좌부를 지지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그 전방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한 쌍의 전각(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부재(7)가 후각(4) 위를 윗측을 향하여 이동하면, 좌부 지지봉(10)은 도 3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유모차의 절첩 상태로는, 전각(1)의 내측에 따라 위치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크로스 부재(8)에는,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 제 1 봉 부재(81)와 제 2 봉 부재(82)의 교차 각도를 고정하는 열린 상태 로크 기구(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열린 상태 로크 기구(11)는, 일방단이 제 2 봉 부재(8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봉(12)과, 일방단이 제 1 봉 부재(8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봉(13)과, 조작 부재(14)를 구비한다. 유 모차의 열린 상태에서는, 제 1 링크봉(12)과 제 2 링크봉(13)은 사안점(change point)을 약간 넘은 위치에서 고정한 관계가 되고, 제 1 봉 부재(81)와 제 2 봉 부재(82)의 교차 각도를 고정한다. 유모차를 절첩하려고 할 때에는, 조작 부재(14)를 손으로 끌어올려서 제 1 링크봉(12)과 제 2 링크봉(13)을 윗측으로 굴곡시킨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각(1)의 상단부에 고정된 연결 부재(2)는, 로크 핀을 갖는 조작 버튼(24)을 갖는다. 누름 봉(5)에는, 적어도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 로크 핀을 받아들이는 로크 구멍을 갖고 있다. 조작 버튼(24)의 로크 핀과 누름 봉(5)에 마련된 로크 구멍에 의해,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 전각에 대한 누름 봉의 위치를 고정하는 누름 봉 로크 기구가 구성된다. 조작 버튼(24)을 조작하여 로크 핀과 로크 구멍과의 계합을 해제하면, 누름 봉(5)을 전각(1)에 따라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1)의 아랫측 부분은, 중앙 부분에서 굴곡 가능한 발올림 부재(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는, 발올림 부재(15)는 폭 방향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연재되지만,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는, 발올림 부재(15)는 V자형상으로 굴곡한 형태가 된다.
도 3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포장(17)은, 그 폭 방향 양단이 한 쌍의 연결 부재(2)보다도 아랫측의 위치에서 한 쌍의 누름 봉(5)에 연결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누름 봉(5)은, 연결 부재(2)보다도 아랫측의 위치에 고정된 포장 지지 슬리브(16)를 갖고 있다. 포장(17)은, 포장 지지 슬리브(1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황골(canopy rib:18, 19)과, 복수의 황골 사이에 팽팽하게 건네진 황포(canopy cloth:20)를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의 포장(17)은, 돔 형상이고, 제 1 황골(18)과 제 2 황골(19)을 구비한다. 제 1 황골(18) 및 제 2 황골(19)은, 유모차의 절첩시에 폭 방향 간격을 축소할 수 있는 구조 또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의 포장(17)은, 좌우의 측면에, 제 1 황골(81)과 제 2 황골(82)의 열리는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열리는 각도 고정 수단(21)을 구비한다. 이 열리는 각도 고정 수단(21)은, 일단이 제 1 황골(18)에 연결된 제 1 링크 플레이트(21a)와, 일단이 제 2 황골(19)에 연결된 제 2 링크 플레이트(21b)와, 포장의 절첩을 위해 제 1 및 제 2 링크 플레이트(21a, 21b)를 굴곡한 위치 관계로 가져오기 위한 조작 손잡이(21c)를 구비한다.
포장(17)은, 그 양단부가 한 쌍의 누름 봉(5)에 고정된 포장 지지 슬리브(16)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의 절첩 동작에 수반하여 한 쌍의 누름 봉이 하강하면, 그에 추종하여 포장(17)도 아랫측으로 이동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는, 포장(17)도 절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17)을 유모차 차체에 부착한 상태 그대로라도, 포장(17)이 누름 봉(5)과 함께 하강하기 때문에 유모차의 절첩 상태의 높이 치수를 축소할 수 있다.
일본 실공소45-13549호 공보나 일본 특공평7-12824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한 쌍의 누름 봉의 윗측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 봉의 어느 정도의 흔들림은 피할 수가 없다. 그와 같은 누름 봉의 흔들림은, 한 쌍의 누름 봉의 윗측단을 연결하는 핸들 부재를 마련함에 의해 작게 할 수 있다. 그 경우,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의 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핸들 부재를 복수의 부재로 구성하고, 각 부재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구조이면, 핸들 부재가 각 부재 사이의 연결 부분에서 굴곡함에 의해, 한 쌍의 누름 봉의 간격이 작아진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굴곡 가능한 연결 부분이 존재하면,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 그 연결 부분에서 덜컹거림이 생기기 때문에, 충분한 강성이 있는 차체 프레임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열린 상태에서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한 쌍의 누름 봉(5)의 윗측단을 연결하는 핸들 부재(6)의 구조에 특징을 주고 있다. 즉,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부재(6)를 구성하는 제 1 핸들 암(61)과 제 2 핸들 암(62)을 연결 기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이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핸들 암(61)의 안쪽 단부는 두께를 줄인 박육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핸들 암(62)의 안쪽 단부도 두께를 줄인 박육 부분을 포함한다. 양자의 박육 부분이, 연결 기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기구는, 제 1 핸들 암(61)의 안쪽 단부에 고정된 고정축(63)과, 고정축(63)을 받아들이도록 제 2 핸들 암(62)의 안쪽 단부에 형성된 축받이 넣는 공간(64)과, 로크 부재(65)를 구비한다. 고정축(63)은, 유모차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직경이 큰 두부(head portion:63a)와, 직경이 작은 목부(neck portion:63b)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65)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편평한 판형상의 형태를 하고 있고, 그 중앙 부분에 관통구멍(66)을 갖고 있다. 관통구멍(66)은, 윗측에 위치하는 직경이 큰 대경구멍(66a)과, 대경구멍(66a)의 아랫측 부분에 겹치도록 형성된 직경이 작은 소경구멍(66b)을 갖는다. 대경구멍(66a)의 직경은, 고정축(63)의 두부(63a)의 직경보다도 크고, 소경구멍(66b)의 직경은, 고정축(63)의 두부(63a)의 직경보다 작고, 목부(63b)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로크 부재(65)는, 제 2 핸들 암(62)의 축받이 넣는 공간(64) 내에 위치하게 된다. 로크 부재(65)의 상단에는 조작 부재(67)가 고정된다. 이 조작 부재(67)는, 제 2 핸들 암(62)의 안쪽 단부의 윗면으로부터 위로 노출하여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65)의 하단과 제 2 핸들 암(62)의 저벽부 사이에는, 로크 부재(65)를 항상 윗측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가세하는 가세 부재(68)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세 부재(68)는 코일 스프링이다.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 1 핸들 암(61)에 고정된 고정축(63)의 목부(63b)가, 제 2 핸들 암(62)에 지지된 로크 부재(65)의 소경구멍(66b)에 끼워져 있고, 이 계합 상태가 가세 부재(68)의 가세력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로크 부재(65)는, 고정축(63)의 두부(63a)와 제 1 핸들 암(61)에 의해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제 1 핸들 암(61)과 제 2 핸들 암(62)은 연결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 대응한다.
유모차를 절첩하려고 할 때에는, 조작 부재(67)를 아랫측으로 눌러서 로크 부재(65)를 아랫측 위치로 가져온다. 그 위치에서는, 로크 부재(65)의 대경구멍(66a)이 고정축(63)의 두부(63a)와 정렬한 관계가 된다. 따라서 제 1 핸들 암(61)의 안쪽 단부를 제 2 핸들 암(62)의 안쪽 단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움직이면, 고정축(63)의 두부(63a)가 로크 부재(65)의 대경구멍(66a)을 통과하여, 제 1 핸들 암(61)과 제 2 핸들 암(62)이 분리한다. 도 12는,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제 1 핸들 암(61)과 제 2 핸들 암(62)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 쌍의 누름 봉(5)의 간격이 작아져 있기 때문에, 제 1 핸들 암(61)은 도면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 핸들 암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유모차의 절첩 조작을 순서를 따라 기재하면, 우선 핸들 부재(6)의 중앙에 있는 조작 부재(67)를 아랫측으로 밀어넣어 제 1 핸들 암(61)과 제 2 핸들 암(62)을 분리하고, 다음에 배면 크로스 부재(8)에 부착되어 있는 열린 상태 로크 기구(11)의 조작 부재(14)를 윗측으로 끌어올린다. 다음에, 연결 부재(2)에 지지되어 있는 조작 버튼(24)을 조작하여 로크 핀과 로크 구멍과의 계합을 해제한 후에 한 쌍의 누름 봉(5)을 아랫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배면 크로스 부재 및 저면 크로스 부재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봉 부재를 바로 「X자형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의 「X자형상으로 교차」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형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자형상 교차부를 복수 구비하는 형태의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누름 봉의 윗측단이 연결 기구를 통 하여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었지만, 다른 실시 형태로서, 한 쌍의 누름 봉이 연결되는 일 없이 항상 분리한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유모차나 짐 운반차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손수레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손수레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도 16은 손수레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손수레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손수레는,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101)와,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101)의 윗측부에 연결 부재(105)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102)와, 제 1 크로스 부재(103)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를 구비한다. 각 제 1 종프레임 부재(101)의 하단에는 후륜(108)이 부착되고, 각 제 2 종프레임 부재(102)의 하단에는 전륜(107)이 부착되어 있다.
제 1 크로스 부재(103)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한다. 2개의 봉 부재는, 그 윗측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101)에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06)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랫측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101)의 아랫측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는, 평행한 관계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 고, 그 일방 단부가 제 1 크로스 부재(103)의 윗측 단부에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06)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방 단부가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10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손수레를 절첩할 때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06)를 윗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한다. 슬라이드 부재(106)의 윗측으로 이동에 수반하여, 제 1 크로스 부재(103)의 폭 치수가 축소하고,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101)의 간격이 작아진다. 또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의 후방 단부가 슬라이드 부재(106)와 함께 윗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102)의 아랫측 부분은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에 의해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101)의 아랫측 부분에 근접하도록 끌어당겨진다. 이렇게 하여, 손수레의 절첩 상태에서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2 크로스 부재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크로스 부재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일방 단부가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10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방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손수레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 3 종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한 쌍의 제 3 종프레임 부재는,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에 부분적으로 겹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아랫측 단부가 제 2 크로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손수레의 절첩 동작 할 때, 제 3 종프레임 부재의 하단부와 제 2 크로스 부재의 일방 단부가 함께 제 2 종프레임 부재(102)에 따라 아랫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104)를 생략하고, 제 2 크로스 부재를 마련하도록 하여 도 좋다. 제 2 크로스 부재는,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일방 단부가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10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방 단부가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포장이 붙은 차체 프레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포장이 붙은 차체 프레임의 절첩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한 쌍의 누름 봉 및 핸들 부재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핸들 부재의 평면도.
도 7은 한 쌍의 후각 및 배면 크로스 부재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
도 8은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의 한 쌍의 후각 및 배면 크로스 부재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
도 9는 제 1 핸들 암과 제 2 핸들 암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의 주요 부분을 정면측에서 본 도면.
도 10은 로크 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연결 기구를 윗측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제 1 핸들 암과 제 2 핸들 암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X자형상으로 교차」의 한 형태를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X자형상으로 교차」의 다른 형태를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손수레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손수레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각 2 : 연결 부재
2a : 통형상체 2b : 장출부
3 : 안내 슬리브 3a : 통형상체
4 : 후각 5 : 누름 봉
6 : 핸들 부재 61 : 제 1 핸들 암
62 : 제 2 핸들 암 63 : 고정축
63a : 두부 63b : 목부
64 : 축받이 넣는 공간 65 : 로크 부재
66 : 관통구멍 66a : 대경구멍
66b : 소경구멍 67 : 조작 부재
68 : 스프링 7 : 슬라이드 부재
8 : 배면 크로스 부재 81 : 제 1 봉 부재
82 : 제 2 봉 부재 9 : 저면 크로스 부재
91 : 제 1 봉 부재 92 : 제 2 봉 부재
10 : 좌부 지지봉 11 : 열린 상태 로크 기구
12 : 제 1 링크봉 13 : 제 2 링크봉
14 : 조작 부재 15 : 발올림 부재
16 : 포장 지지 슬리브 17 : 포장(canopy)
18 : 제 1 황골 19 : 제 2 황골
20 : 황포 21 : 열리는 각도 고정 수단
21a : 제 1 링크 플레이트 21b : 제 2 링크 플레이트
21c : 조작 손잡이 22 : 물품 수납 주머니
23 : 좌석 해먹 24 : 조작 버튼
101 : 제 1 종프레임 부재 102 : 제 2 종프레임 부재
103 : 제 1 크로스 부재 104 : 사이드 프레임 부재
105 : 연결 부재 106 : 슬라이드 부재
107 : 전륜 108 : 후륜

Claims (10)

  1.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fold)되는 절첩식 손수레에 있어서,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vertical frame) 부재와,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의 윗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와,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윗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랫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크로스 부재와,
    평행한 위치 관계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일방 단부가 상기 제 1 크로스 부재의 윗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방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손수레.
  2. 제 1항에 있어서,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일방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방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크로스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손수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에 부분적으로 겹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아랫측 단부가 상기 제 2 크로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 3 종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손수레.
  4.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절첩식 손수레에 있어서,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와,
    평행한 위치 관계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의 윗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와,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윗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아랫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크로스 부재와,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일방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2 종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방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종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크로스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손수레.
  5.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절첩되는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단부에 전륜을 갖는 한 쌍의 전각(front leg)과,
    상기 한 쌍의 전각의 상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전각의 중간 영역에 고정된 한 쌍의 안내 슬리브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하단부에 후륜을 가지며, 그 상단부가 상기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후각과,
    상기 한 쌍의 전각에 부분적으로 겹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안내 슬리브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누름 봉과,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윗측 영역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와,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상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아랫측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배면 크로스 부재와,
    X자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고, 그 전단부가 상기 한 쌍의 누름 봉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중간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저면 크로스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6. 제 5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전방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상기 한 쌍의 전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지지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7. 제 5항에 있어서,
    해당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 상기 배면 크로스 부재를 구성하는 2개의 봉 부재의 교차 각도를 고정하는 열린 상태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8. 제 5항에 있어서,
    해당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전각에 대한 상기 누름 봉의 위치를 고정하는 누름 봉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9. 제 5항에 있어서,
    역 U자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누름 봉의 윗측단을 연결하는 핸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부재는,
    L자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그 일방 단부가 상기 일방의 누름 봉의 윗측단에 고정된 제 1 핸들 암과,
    상기 제 1 핸들 암과 대칭적인 L자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그 일방 단부가 상기 타방의 누름 봉의 윗측단에 고정된 제 2 핸들 암과,
    상기 제 1 핸들 암의 타방 단부와, 상기 제 2 핸들 암의 타방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10. 제 5항에 있어서,
    그 폭 방향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보다도 아랫측의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누름 봉에 연결 지지된 포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KR1020090023426A 2009-03-19 2009-03-19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KR20100104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26A KR20100104787A (ko) 2009-03-19 2009-03-19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26A KR20100104787A (ko) 2009-03-19 2009-03-19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787A true KR20100104787A (ko) 2010-09-29

Family

ID=4300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426A KR20100104787A (ko) 2009-03-19 2009-03-19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47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5019A (zh) * 2011-09-09 2011-12-2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109625069A (zh) * 2018-12-25 2019-04-16 中山市新概念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手推车车架
CN110464605A (zh) * 2018-05-10 2019-11-19 美迪健康事业有限公司 助行器
CN114454947A (zh) * 2020-11-09 2022-05-1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车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5019A (zh) * 2011-09-09 2011-12-2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110464605A (zh) * 2018-05-10 2019-11-19 美迪健康事业有限公司 助行器
CN109625069A (zh) * 2018-12-25 2019-04-16 中山市新概念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手推车车架
CN109625069B (zh) * 2018-12-25 2024-02-20 中山市新概念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手推车车架
CN114454947A (zh) * 2020-11-09 2022-05-1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车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2943B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JP5230317B2 (ja)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JP5232437B2 (ja) 幌付折畳式乳母車
JP5301342B2 (ja) 折畳式手押し車
EP2052945A1 (en) Foldable pushcart
JP3980349B2 (ja) ベビーカー
KR20070028220A (ko) 접이식 좌석 운반 차체
EP3127775B1 (en) Cart
KR20120100713A (ko) 절첩식 유모차
KR20110106788A (ko) 절첩식 유모차
KR20040071606A (ko) 절첩식 유모차
KR20100104787A (ko)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JP4299016B2 (ja) 折畳式乳母車
JP5953123B2 (ja) 押し棒スライド式乳母車
JP6027367B2 (ja) 折り畳み式手押し車
CA2657144A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TWI503247B (zh) 折疊式手推車及折疊式嬰兒車
JP2009120183A (ja)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TW202045391A (zh) 嬰兒車
JP6771990B2 (ja) 手押しカート
AU2009200839B2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KR102488862B1 (ko) 유모차
CN217892953U (zh) 一种儿童推车
CN117901928A (zh) 推车
JP2010105575A (ja) 折り畳み可能な手操作移動車用のフレーム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