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788A -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788A
KR20110106788A KR1020110000377A KR20110000377A KR20110106788A KR 20110106788 A KR20110106788 A KR 20110106788A KR 1020110000377 A KR1020110000377 A KR 1020110000377A KR 20110000377 A KR20110000377 A KR 20110000377A KR 20110106788 A KR20110106788 A KR 20110106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by carriage
link
wheels
brak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6Arrangements for standing up in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9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과제
절첩 상태에서 유모차의 직립 자립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 부착의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동시 브레이크 기구(38)는, 좌우륜(12, 13)에 맞닿는 브레이크 위치와 좌우륜로부터 이격하는 자유 위치로 전환 가능한 좌우륜의 규제 부재(56, 57)와, 이들 좌륜 규제 부재(57) 및 우륜 규제 부재(56) 사이에 가설되어 좌륜 규제 부재 및 우륜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동시에 전환하는 연결 기구(60)를 구비한다. 연결 기구(60)는,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좌우륜(12, 13)의 접지면(G)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하여 위치하고,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좌륜 및 우륜과 함께 좌우륜의 접지면(G)에 접지하여 유모차를 직립 자립 상태로 하는 접지부(38l)를 갖는다.

Description

절첩식 유모차{FOLDABLE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좌우륜의 회전을 동시에 규제하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는, 절첩(折疊)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절첩식 유모차의 차륜 동시 브레이크 기구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5-14894호 공보(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차륜 동시 브레이크 기구는, 우후륜에 계합하여 우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계합 부재와, 이 계합 부재를 동작시키는 조작 부재와, 좌후륜에 계합하여 좌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계합 부재와, 이 계합 부재를 동작시키는 종동 부재와, 이들 조작 부재 및 종동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한다. 유모차의 조작자가, 우후륜에 마련된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우후륜의 회전 규제 상태를 해방하여 두면, 와이어를 통하여 종동 부재가 연동하고, 좌후륜의 회전 규제 상태도 해방된다. 이에 의해, 좌우륜의 쌍방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해진다.
이에 대해, 유모차의 조작자가 우후륜에 마련된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우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면, 와이어를 통하여 종동 부재가 연동하고, 좌후륜도 회전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좌우륜의 쌍방이 동시에 브레이크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비사용시에는 차체를 차폭 방향 좌우로 축소시켜서 가늘고 길게 하고, 사용시에는 가늘고 길게 된 차체를 원래의 형태로 전개시킬 수 있는 절첩식의 유모차가 종래 다수 제안되어 있는데, 비사용시에 유모차를 절첩 상태로 하여 당해 차체를 바닥면에 누이도록 횡치(橫置)하면, 넓은 바닥 면적을 점유하여 방해가 되어 버린다. 그러면, 횡치하는 것이 아니라, 차체를 직립 자립(自立)할 수가 있으면, 장소를 차지하는 일이 없다. 직립 자립하기 위한 스탠드를 구비하는 절첩식 유모차는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56-54657호 공보(특허 문헌 2)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절첩식 유모차는, 유모차의 차폭 방향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지주의 하단부에 스탠드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4개의 차륜이 전후 좌우에 전개하는 유모차의 개각(開脚) 상태에서, 스탠드는 튀어 올려져서 접지(接地)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전개 상태의 유모차는 주행에 적합하다. 4개의 차륜이 서로 근접하도록 절첩되어 차체가 가늘고 긴 형상이 되는 유모차의 폐각(閉脚)(절첩) 상태에서, 스탠드는 압하되고, 다른 2륜과 함께 접지한다. 이에 의해 절첩 상태의 유모차는, 직립 자립한다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5-1489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실개소56-54657호 공보
종래의 동시 브레이크 기구 부착 유모차에 종래의 절첩식 유모차의 스탠드를 적용하는 경우, 새로운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즉, 유모차의 조작자는, 유모차를 직립시킬 때마다 스탠드를 압하하여야 하고, 유모차를 전개시킬 때마다 스탠드를 튀어 올려야 하여, 수고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스탠드는 자립을 위해서만 사용되고,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소용되지만,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는 전혀 소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절첩 상태에서 유모차의 직립 자립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 부착의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유모차는, 좌륜 및 우륜의 회전을 동시에 규제하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좌륜 및 우륜이 차폭 방향 좌우로 서로 근접하도록 절첩 가능한 유모차인 것을 전제로 한다. 동시 브레이크 기구는, 좌륜에 맞닿는 브레이크 위치와 좌륜으로부터 이격하는 자유 위치로 전환 가능한 좌륜 규제 부재와, 우륜에 맞닿는 브레이크 위치와 우륜으로부터 이격하는 자유 위치로 전환 가능한 우륜 규제 부재와, 이들 좌륜 규제 부재 및 우륜 규제 부재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좌륜 규제 부재 및 우륜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동시에 전환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결 기구는,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좌우륜의 접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하여 위치하고,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좌륜 및 우륜과 함께 좌우륜의 접지면에 접지하여 유모차를 직립 자립 상태로 하는 접지부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조작자가 그때마다 스탠드를 압하하거나 투여 올리거나 하는 수고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전개 상태의 유모차에 있어서 좌우륜의 회전을 동시에 규제로 하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에 의해, 절첩 상태의 유모차를 직립 자립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스탠드가 불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연결 기구는, 유모차를 직립 자립시키는데 충분한 강성을 구비하고, 유모차의 절첩 상태와 전개 상태 사이에서 변형하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연결 기구는 예를 들면, 복수의 부재를 연절(連節)한 링크 기구이고, 한 실시 형태로서, 좌단(左端)에서 좌륜 규제 부재와 연결하는 좌측 링크와, 우단에서 우륜 규제 부재와 연결하는 우측 링크를 가지며, 좌측 링크의 우단은 우측 링크의 좌단과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좌측 링크의 우단부 및 우측 링크의 좌단부에 접지부(接地部)를 갖는다.
다른 한 실시 형태로서, 연결 기구는, 좌단에서 좌륜 규제 부재와 연결하는 좌측 링크와, 우단에서 우륜 규제 부재와 연결하는 우측 링크와, 좌측 링크의 우단 및 우측 링크의 좌단과 연결하고, 접지부를 포함하는 중앙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좌륜 규제 부재에 대해 좌측 링크가 회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우륜 규제 부재에 대해 우측 링크가 회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좌우측 링크에 대해 중앙부재가 회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개 상태에서 중앙부재를 접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절첩 상태로 중앙부재를 접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다.
접지부는, 절첩 상태에서 접지면까지 변위한 것이면 좋고, 그 변위 방향은 동시 브레이크 기구에서 보아 유모차의 전후 좌우 어느 방향이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는, 유모차의 전후 좌우에 각각 배치된 차륜중 후륜에 마련되고, 연결 기구는, 절첩 상태에서 접지부를 후륜보다도 차체 전방을 향하여 변위시키도록 변형한다. 유모차의 중심(重心)은, 전륜과 후륜 사이, 또한 좌륜과 우륜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절첩 상태에서 연결 기구의 접지부가 후륜보다도 전방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접지부를 중심(重心)에 가까운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직립 자립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브레이크 기구가 후륜에 마련되기 때문에, 후륜보다도 후방에서 유모차를 조작하는 조작자에 있어서, 절첩중에 접지부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직립 자립하는 절첩 상태의 유모차를 후방으로 경사시킴에 의해, 접지부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조작자는, 이러한 경사 자세인 채로 절첩 상태의 유모차를 후방으로 끌(曳) 수가 있어서, 유모차를 절첩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동시 브레이크 기구는,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좌우륜의 접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하여 위치하고,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좌륜 및 우륜과 함께 좌우륜의 접지면에 접지하여 유모차를 직립 자립 상태로 하는 접지부를 갖기 때문에, 조작자가 그때마다 스탠드를 동작시키는 수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자립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스탠드가 불필요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절첩 상태에서 유모차가 직립 자립하기 쉽게 될 뿐만 아니라, 조작 성능이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골자도로서, 전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골자도로서,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전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후륜 및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4의 후륜 및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4의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9는 도 6의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켜서 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동 실시예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후륜 및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후륜 및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도 10의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 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골자도로서, 전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골자도로서, 절첩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유모차의 우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다. 절첩식 유모차(11)는, 우륜(12)과, 우륜(12)에 은폐되어 도시되지 않은 좌륜의 회전을 동시에 규제하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38)를 구비하고, 좌륜 및 우륜(12)이 서로 근접하는 세로로 길다란 형상이 되도록 절첩 가능한 유모차이다.
유모차(11)는, 전륜(14)을 하단에 갖는 전각(前脚)(16)과, 후륜인 우륜(12)을 하단에 갖는 후각(後脚)(18)을 구비한다. 이들 전각(16) 및 후각(18)이 유모차(11)의 차폭 방향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마련되고, 유모차(11)는 전후 좌우에 4개의 차륜을 갖는다.
유모차(11)의 전후 방향이면서 상하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하여 있는 경사 부재(22)는, 그 상단부의 도중에 추지축(樞支軸)(20)을 가지며, 이 추지축(20)을 통하여 후각(18)의 상단과 연결한다. 경사 부재(22)는, 추지축(20)의 상단부에 핸들부(24)를 갖는다. 도시하지 않은 조작자는, 유모차(11)의 후방에 서고, 좌우의 핸들부(24, 25)를 쥐고, 유모차(11)를 전방에 미는 것이다. 경사 부재(22)의 하단은 회동축(26)을 통하여 전각(16)의 상단과 연결한다. 전각(16)의 중앙부의 도중에는 추지축(28)이 마련되고, 후각(18)의 하단부의 도중에는 추지축(30)이 마련된다. 전각(16) 및 후각(18)은, 이들 추지축(28, 30)을 통하여 좌부(座部) 프레임재(32)를 지지한다. 좌부 프레임재(32)는 개략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우측의 좌부 프레임재(32)의 전단(前端) 영역과 좌측의 좌부 프레임재의 전단 영역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해먹의 좌부가 건너지러진다. 또한 우측의 경사 부재(22)와 좌측의 경사 부재의 사이에도 도시하지 않은 해먹의 등받이부가 건너지러진다. 이 해먹은 좌부 및 등받이부가 연속하는 1장의 천(布地)이고, 유소아의 등 및 엉덩이부를 지지한다.
전각(16)과, 경사 부재(22)와, 후각(18)과, 좌부 프레임재(3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11)의 우측부에서 삼각형을 형성한다. 유모차(11)의 좌측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좌부 프레임재(32)보다도 하방에 가설되는 X자 프레임(34)은, 평면으로 본 때 X자의 형태를 나타내고, 우측의 전각(16)이라고 도시하지 않은 좌측의 후각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함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좌측의 전각과 우측의 후각(18)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한다. 2개의 봉재가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X자 프레임(34)은, 당해 교차점에 도 1에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회동축이 마련되고, 이들 봉재의 중앙끼리가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X자 프레임(34)은, 그 양단 4개소에, 도 1에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회동축이 마련되고, 좌우의 전각 및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모차(11)를 후방에서 보아 V자의 형태를 나타내는 V자 프레임(36)은, 우측의 후각(18)의 중앙부와 좌측의 후각의 중앙부의 사이에 가설된다. 2개의 봉재의 일단끼리가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V자 프레임(36)은, 당해 연결점에 도 1에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회동축이 마련된다. 또한 V자 프레임(36)은, 그 양단 2개소에, 도 1에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회동축이 마련되어, 좌우의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들 X자 프레임(34) 및 V자 프레임(36)은, 전개 상태의 유모차(11)의 차폭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절첩 상태에서, 좌우의 전각끼리를 접근함과 함께 좌우의 후각끼리를 접근한다. 유모차(11)에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 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지지 기구는 유모차(11)의 전개 상태를 지지한다. 따라서 전개 상태의 유모차(11)가 생각지 않게 절첩되거나, 그 반대가 생기는 일은 없다.
우측 후각(18)의 하단부와 좌측 후각의 하단부 사이에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38)가 마련된다. 동시 브레이크 기구(38)는 좌측 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부재와, 우측 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부재와, 이들 좌우의 규제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가지며, 좌우 후륜의 회전을 동시에 규제할 수 있다. 동시 브레이크 기구(38)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좌우 후륜에 동시에 작용하고, 좌우 후륜의 회전을 동시에 규제하거나, 이 회전 규제를 해제하여 좌우 후륜의 자유 회전을 허용한다. 유모차(11)의 전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륜(14) 및 후륜(12)은 좌우 모두 평탄한 접지면(G)에 접지하여 있다. 그러나, 동시 브레이크 기구(38)는 접지면(G)으로부터 이격하여 있다. 이에 의해 유모차(11)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38)의 해제 상태에서,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는다. 또한 동시 브레이크 기구(38)가 좌우 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동안, 유모차(11)는 정차한다.
조작자가 도시하지 않은 지지 기구를 해제하여 유모차 좌우의 간격을 눌러 줄이면, 유모차(11)는 도 1의 전개 상태로부터 도 2의 절첩 상태로 형태 변화하여, 좌륜 및 우륜이 서로 근접한 세로로 길다란 형상이 된다. 즉, X자 프레임(34)이 전후 방향으로 당겨 늘려지면서 차폭 방향에 눌려 줄여지고, 또한, V자 프레임(36)이 상하 방향에 당겨 늘려지면서 차폭 방향에 누려 줄여짐에 의해, 좌우의 후각끼리가 근접하고, 좌우의 전각 끼리가 근접하고, 좌우의 경사 부재끼리가 근접하고, 좌우의 좌부 프레임재끼리가 근접한다.
이러한 좌우 사이의 축소 변형에 수반하여, 전개 상태에서 직선형상으로 연속하여 연장하여 있는 전각(16) 및 경사 부재(22)가, 회동축(26)을 지점으로 하여 꺾여진다. 이에 의해 전각(16)이 경사 부재(22)의 앞으로 돌아 들어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륜(14)이 핸들(24)에 근접한다. 또한, 후각(18)이 추지축(20)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후각(18)은 경사 부재(22)의 근방으로 변위한다. 또한, 좌부 프레임재(32)가 추지축(28, 30)으로 회동하고, 이들 전각(16) 및 후각(18)과 개략 평행하게 연재된다. 이렇게 하여 전개 상태에서 삼각형을 형성한 전각(16), 후각(18), 경사 부재(22), 및 좌부 프레임재(32)는, 절첩 상태에서, 서로 거의 평행한 세로로 길다란 형상이 된다. 절첩 상태에서 세로로 길다란 형상이 된 유모차(11)에서, 좌륜 및 우륜이 차폭 방향 좌우로 서로 근접하고, 전륜은 차체 전방이면서 차체 상방으로 이동하고 후륜으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도면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도 2에서는 X자 프레임(34)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동시 브레이크 기구(38)가 변형한다. 상세히 은 동시 브레이크 기구(38)의 연결 기구가 변형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기구의 접지부(38l)가 접지면(G)에 접지한다. 또한, 우측의 후륜(12)과, 좌측의 후륜이 접지면(G)에 접지한다. 이에 의해, 유모차(11)가 3점 지지되어, 세로로 길다란 형상인 절첩 상태의 유모차(11)가 직립 자립한다.
동시 브레이크 기구(38)의 연결 기구는, 좌우 사이에 소정의 치수를 가지며, 좌우 사이의 치수가 축소되면, 상하 사이의 치수가 확대한다고 이해하길 바란다. 연결 기구는, 유모차를 직립 자립시키는데 충분한 강성을 구비하고, 유모차의 절첩 상태와 전개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형하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연결 기구가 링크 기구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된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실시예를 오른쪽 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동 실시예의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후륜 및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륜(12)이 부착된 후각(18)의 하단부를 생략하고 있다. 이들 도 4 및 도 6은, 동시 브레이크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4의 후륜 및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평배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켜서 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 도 4, 도 6 내지 도 9는 전부 전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전개 상태 및 절첩 상태에 공통된다. 후술하는 도 10 내지 도 13은 절첩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관해, 상술한 기본 구성과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유모차(41)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18)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고, 후각(18)의 상단을 경사 부재(22)의 하방 단부의 도중에 연결한다. 또한, V자 프레임(36)에 대신하여, X자 프레임(42)을 좌우 사이에 가설하다. 또한, 도 3의 사시도에는, 유모차(41) 좌측부의 부재에 부호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을 붙인다. 이들은 부호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를 붙여서 전술한 우측부의 부재와 좌우 대칭이라고 이해하길 바란다.
X자 프레임(42)은, 2개의 봉재(42l, 42m)의 중앙부끼리를 교차시킨 것이고, 그 중앙 교차점에서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측 경사 부재(22)중 핸들부(24)보다도 하방의 중도에는, 연결점(44)이 마련되어 있다. 우측 경사 부재(22)는, 연결점(44)을 통하여, 봉재(42l)의 상단과 연결된다. 좌측 경사 부재(23)도, 핸들부(25)보다도 하방의 중도에, 연결점(45)이 마련되어 있다. 좌측 경사 부재(23)는, 연결점(45)을 통하여, 봉재(42m)의 상단과 연결된다. 봉재(42l)의 하단은 좌측 후각(19)의 하단부의 중도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봉재(42m)의 하단은 우측 후각(18)의 하단부의 중도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봉재(42l)의 하단과 봉재(42m)의 하단에는, 지지 기구가 가설된다. 당해 지지 기구는 봉재(42m)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우측 부재(46)와, 봉재(42l)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측 부재(47)와, 서로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 부재(46)와 좌측 부재(47)의 위치 관계를 고정하는 로크 레버(48)를 갖는다. 유모차(41)의 전개 상태에서는, 로크 레버(48)에 의해, 유모차(41)의 좌측부와 우측부 사이의 차폭 치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전개 상태의 유모차(41)가 생각지 않게 절첩되는 일은 없다.
유모차(41)의 조작자가 로크 레버(48)의 고정을 해제하면, 유모차(41)의 좌측부와 우측부와의 사이의 차폭 치수를 축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모차(41)는 절첩 상태가 될 수 있다. 절첩 상태에서, X자 프레임(42)은, 연결점(44, 45)의 주위를 회동하여, 경사 부재(22, 23)에 근접한다. 동시에 X자 프레임(42)은 그 중앙 교차점에서 회동 변형하여,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또한 차폭 방향으로 짧게 되어, 경사 부재(22, 23)끼리가 서로 근접하고, 후각(18, 19)끼리 서로 근접한다. 이히라여 유모차(41)는, 도 10에 측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가 된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우측의 후륜(12)(이하, 우륜(12)이라고 한다) 및 좌측의 후륜(13)(이하, 좌륜(13)이라고 한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측의 후각(18)의 하단은 좌우로 연장하여 있는 차축(18s)의 중앙과 결합한다. 차폭 방향 좌측이 되는 차축(18s)의 일방단에는 우륜(12a)이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다. 차폭 방향 우측이 되는 차축(18s)의 타방단에는 우륜(12b)이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우륜(12)은, 공통되는 차축(18s)에 동축 배치된 쌍륜 구조이다. 차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 우륜(12a)의 양면중, 우륜(12b)과 대향하는 면에는, 차축을 중심으로 하여 리브(52)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리브(52)가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8장 형성되지만, 리브(52)는, 우륜(12a)의 면에서 돌출하고,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리브(52, 52) 사이에, 후술하는 계합부(54)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우륜 리브(52)의 간격 및 매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좌륜(13)도, 우륜(12)과 마찬가지의 쌍륜 구조이고, 한쪽의 좌륜(13a) 및 다른쪽의 좌륜(13b)으로 이루어진다. 차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좌륜(13b)의 대향면에는 리브(53)가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8장 형성된다. 그리고 리브(53, 53) 사이에, 후술하는 계합부(55)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좌륜 리브(53)의 간격 및 매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면의 번잡을 피하기 위해, 도 6(및 도 12)에서는, 복수 있는 리브(52, 53)의 일부를 도시하지 않는다.
우륜(12a)과 후각(18) 사이에, 우륜 규제 부재(56)가 연재된다. 우륜 규제 부재(56)는, 차체의 개략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전단 및 후단이 우륜(12)으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우륜 규제 부재(56)의 후단에는 레버(56l)가 형성된다. 우륜 규제 부재(56)의 전단은, 연결 기구(60)와 연결한다. 그리고 우륜 규제 부재(56)는, 그 전후 방향 중앙부에서 추지축(56p)을 통하여 후각(18)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추지축(56p)과 레버(56l) 사이에는, 계합부(54)가 형성된다. 계합부(54)는 우륜(12a)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이다. 유모차(41)가 주행할 때, 계합부(5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52, 52)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지 않고, 차륜(12a)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륜 규제 부재(57)도 우륜 규제 부재(56)가라고 공통되는 구성이고, 좌륜(13)에 배치된다.
연결 기구(60)는, 좌단에서 좌륜 규제 부재(57)와 연결하는 좌측 링크(63)와, 우단에서 우륜 규제 부재(56)와 연결하는 우측 링크(62)와, 좌측 링크(63)의 우단 및 우측 링크(62)의 좌단과 연결하고, 접지부(38l)를 포함하는 중앙 부재(61)를 갖는다. 좌측 링크(63) 및 우측 링크(62)는 봉형상의 각재이고, 강성을 구비한다. 중앙 부재(61)는 하변이 상변보다도 길다란 등각대형(等脚臺形)의 형상을 나타내고, 강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좌우의 사변(斜邊)이 유모차(41)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중앙 부재(61)의 상변부에는, 차폭 방향 좌측에 좌측 링크(63)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차폭 방향 우측에 우측 링크(6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중앙 부재(61)의 하변에는, 접지부(38l)가 형성된다. 유모차(41)의 측면을 보았을 때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부재(61)는 개략 상하 방향으로 직립한 자세로 배설되고, 그 두께가 나타난다. 상대적으로, 중앙 부재(61)의 상변은 상방에 배치되고, 중앙 부재(61)의 하변은 하방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접지부(38l)는, 접지면(G)으로부터 이격하여 있다.
우측 링크(62)의 좌우 양단의 연결 개소, 및 좌측 링크(63)의 좌우 양단의 연결 개소는, 도 7에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회동축선을 각각 갖는다. 따라서 중앙 부재(61), 우측 링크(62), 및 좌측 링크(63)는, 동일한 가상 평면상에서 상대회동할 수 있고, 연결 기구(60)는 유모차(41)의 차폭 방향으로 굴신(屈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41)의 전개 상태에서, 접지부(38l)는 좌우륜(12, 13)의 접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이것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자를 구성하는 이들 좌우측 링크(62, 63) 사이의 각도가 크게 되어 연결 기구(60)가 차폭 방향으로 확장하고 있고, 중앙 부재(61)가 좌우측 링크(62, 63)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저 있기 때문이다.
조작자가 유모차(41)를 정차시키는 것을 소망하여, 우측 레버(56l)를 도 6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밟으면, 우측 규제 부재(56)는 추지축(56p)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계합부(54)가 하방으로 변위하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리브(52, 52) 사이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후륜(12a)의 회전이 규제된다.
조작자가 우측 레버(56l)를 밟는 동시에, 우측 규제 부재(56)의 전단 및 연결 기구(60)가 도 6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고, 좌측 규제 부재(57)의 전단도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즉, 좌측 규제 부재(57)도 자신의 추지축(57p)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에 의해 좌측 규제 부재(57)의 계합부(55)가 하방으로 변위하여, 차륜(13b)의 이웃하는 리브(53, 53) 사이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후륜(13b)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유모차(41)는, 동시 브레이크 상태가 되고, 주행 불능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자가 좌우의 레버(56l, 57l)중 한쪽의 레버를 밟음으로써, 쌍방의 차륜(12, 13)을 회동 불능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지만, 조작자가 왼쪽 레버(57l)를 밟아도, 좌륜(13)뿐만 아니라 우륜(12)도 동시에 회전 불능함도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연결 기구(60)가 변형하는 일 없이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좌우륜의 규제 부재(56, 57)를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다. 이것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링크(62)의 하방에, 중앙 부재(61)의 우변에 마련된 벽(66w)이 배치되고, 우측 링크(62)와 중앙 부재(61)와의 회동 연결 개소(64)가, 벽(66w)의 상단(66t)보다도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과 좌우 대칭의 배치가 되도록, 좌측 링크(63)의 하방에, 중앙 부재(61)의 좌변에 마련된 벽(67w)이 배치되고, 좌측 링크(63)와 중앙 부재(61)와의 회동 연결 개소(65)가, 벽(67w)의 상단(67t)보다도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우측 링크(62)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면, 벽 상단(66t)이 우측 링크(62)에 맞닿고, 중앙 부재(61)는 상대회동하는 일 없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마찬가지 이유로, 중앙 부재(61)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면, 벽 상단(67t)이 좌측 링크(63)에 맞닿고, 좌측 링크(63)는 상대회동하는 일 없게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연결 기구(60) 전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유모차(41)의 절첩 상태를 오른쪽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의 번잡을 피하고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0에서는, 좌부 프레임재(32) 및 X자 프레임(34, 42)을 도시하지 않는다. 도 11은, 도 10의 후륜을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1에서는 후각(18)의 하단부를 생략한다. 도 12는, 도 10의 후륜 및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차체 약간 후방에서 내려다보고 관찰한 것이다. 도 13은, 도 11의 후륜 및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차체 후방에서 관찰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부(38l)는, 유모차(41)의 절첩 상태에서 좌륜(13) 및 우륜(12)과 함께 좌우륜의 접지면(G)에 접지하여 유모차(41)를 직립 자립 상태로 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서 연결 기구(60)는 차폭 방향으로 눌러 줄여저서 변형하고, 중앙 부재(61)가 하방으로 변위한다. 구체적으로는, 좌륜 규제 부재(57)와 좌측 링크(63)와의 연결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좌측 링크(63)가 회동하고, 우륜 규제 부재(56)와 우측 링크(62)와의 연결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우측 링크(62)가 회동하고, V자를 구성하는 이들 좌우측 링크(62, 63)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고, 중앙 부재(61)가 하방으로 변위하고, 접지부(38l)가 접지면(G)에 접지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조작자가 유모차(41)를 절첩함에 의해 연결 기구(60)가 변형하여 중앙 부재(61)가 변위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작자가 그때마다 스탠드를 압하하거나 튀어 올리거나 하는 수고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전개 상태의 유모차(41)에 있어서 좌우륜의 회전을 동시에 규제로 하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38)에 의해, 절첩 상태의 유모차(41)를 직립 자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스탠드 그 자체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동시 브레이크 기구(38)는, 유모차(41)의 전후 좌우에 각각 배치된 차륜(12, 13, 14, 15)중 후륜(12, 13)에 마련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 기구(60)는, 절첩 상태에서 접지부(38l)를 후륜이 되는 좌우륜(12, 13)보다도 차체 전방으로 변위시키도록 변형한다. 이에 의해, 접지부(38l)를 유모차(41)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직립 자립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또한, 후륜보다도 후방에서 유모차(41)를 조작한 조작자에 있어서, 접지부(38l)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동시 브레이크 기구(38)가 후륜이 되는 좌우륜(12, 13)에 마련되기 때문에, 후륜보다도 후방에서 유모차(41)를 조작하는 조작자에 있어서, 동시 브레이크 기구(38)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자가 직립 자립하는 절첩 상태(도 10)의 유모차(41)를 후방으로 쓰러뜨려서 경사 자세로 함에 의해, 접지부가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조작자는, 핸들부(24, 25)를 쥐고, 이러한 경사 자세인 채로 절첩 상태의 유모차(41)를 후방으로 끌 수가 있어서, 유모차(41)를 절첩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륜(12, 13)은 동시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동시 브레이크 상태로 하여 직립 자립시키는 실시예라도 좋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되는 절첩식 유모차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에 있어서 유리하게 이용된다.
11 : 절첩식 유모차 12 : 우륜(후륜)
13 : 좌륜(후륜) 14 : 우륜(전륜)
15 : 좌륜(전륜) 16 : 우측 전각
17 : 좌측 전각 18 : 우측 후각
19 : 좌측 후각 20, 21 : 추지축
22 : 우측 경사 부재 23 : 좌측 경사 부재
24, 25 : 핸들부 26, 27 : 회동축
28, 30 : 추지축 32, 33 : 좌부 프레임재
34 : X자 프레임 36 : V자 프레임
38 : 동시 브레이크 기구 38l : 접지부
41 : 유모차 42 : X자 프레임
44, 45 : 연결점 46 : 우측 부재
47 : 좌측 부재 48 : 로크 레버
52 : 우륜 리브 53 : 좌륜 리브
54, 55 : 계합부 56 : 우륜 규제 부재
57 : 좌륜 규제 부재 60 : 연결 기구
61 : 중앙 부재 62 : 우측 링크
63 : 좌측 링크

Claims (3)

  1. 좌륜 및 우륜의 회전을 동시에 규제하는 동시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좌륜 및 우륜이 차폭 방향 좌우로 서로 근접하도록 절첩 가능한 유모차로서,
    상기 동시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좌륜에 맞닿는 브레이크 위치와 상기 좌륜으로부터 이격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 가능한 좌륜 규제 부재와, 상기 우륜에 맞닿는 브레이크 위치와 상기 우륜으로부터 이격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 가능한 우륜 규제 부재와, 이들 좌륜 규제 부재 및 우륜 규제 부재 사이에 가설되어 좌륜 규제 부재 및 우륜 규제 부재의 위치를 동시에 전환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좌우륜의 접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하여 위치하고,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상기 좌륜 및 상기 우륜과 함께 좌우륜의 접지면에 접지하여 유모차를 직립 자립 상태로 하는 접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좌단에서 상기 좌륜 규제 부재와 연결하는 좌측 링크와, 우단에서 상기 우륜 규제 부재와 연결하는 우측 링크와, 상기 좌측 링크의 우단 및 상기 우측 링크의 좌단과 연결하고, 상기 접지부를 포함하는 중앙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브레이크 기구는, 유모차의 전후 좌우에 각각 배치된 차륜중 후륜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접지부를 상기 후륜보다도 차체 전방으로 변위시키도록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KR1020110000377A 2010-03-23 2011-01-04 절첩식 유모차 KR20110106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6215 2010-03-23
JP2010066215A JP5432787B2 (ja) 2010-03-23 2010-03-23 折り畳み式乳母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788A true KR20110106788A (ko) 2011-09-29

Family

ID=4385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377A KR20110106788A (ko) 2010-03-23 2011-01-04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33902A1 (ko)
JP (1) JP5432787B2 (ko)
KR (1) KR20110106788A (ko)
CN (1) CN102198837A (ko)
GB (1) GB2479033A (ko)
TW (1) TW2011347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5423B2 (en) 2011-11-09 2016-11-29 Thorley Industries Llc Lightweight collapsible stroller
GB2484825B8 (en) * 2010-10-21 2013-02-27 Wonderland Nursery Goods Child stroller and stand platform assembly thereof
US8684395B2 (en) 2010-10-21 2014-04-01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troller and stand platform assembly thereof
JP5774877B2 (ja) * 2011-03-08 2015-09-09 株式会社ティーレックス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の自立構造
JP5987284B2 (ja) 2011-09-07 2016-09-07 日立化成株式会社 焼結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667565B (zh) * 2011-11-01 2018-01-30 康贝株式会社 手推车的车轮装置
RU2599738C2 (ru) 2011-11-09 2016-10-10 ТОРЛИ ИНДАСТРИЗ, ЭлЭлСи Легковесная складная прогулочная детская коляска
US8985617B2 (en) 2011-11-09 2015-03-24 Thorley Industries Llc Lightweight collapsible stroller
JP5966061B2 (ja) * 2015-07-02 2016-08-10 株式会社ティーレックス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の自立構造
US11008034B2 (en) 2017-01-03 2021-05-18 Innovation Lab, LLC Child medical transport apparatus, assembly and method thereof
CN108482471A (zh) * 2018-03-27 2018-09-04 中山市宝蓓悠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的左右横向收合结构
CN208731059U (zh) * 2018-03-27 2019-04-12 张浩敏 一种婴儿推车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6250A (en) * 1946-11-13 1948-12-14 Hedstrom Union Company Combined brake and safety leg for perambulators
US2474804A (en) * 1947-02-18 1949-06-28 Bilt Rite Baby Carriage Co Inc Antitipping device for baby carriages
JPS4887752A (ko) * 1972-02-19 1973-11-17
JPS5487557A (en) * 1977-12-23 1979-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Grounding preventive apparatus by leader boat
JPS5858972U (ja) * 1981-10-16 1983-04-21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後脚
JPS61135858A (ja) * 1984-12-06 1986-06-23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車輪停止装置
US5725238A (en) * 1996-07-02 1998-03-10 Huang; Li-Chu Chen Stroller with a standing means
US6273451B1 (en) * 1999-08-19 2001-08-14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and components thereof
GB2362616B (en) * 2000-05-26 2003-08-06 Kenny Cheng A stand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troller
DE20010018U1 (de) * 2000-06-03 2000-09-07 Cheng, Kenny, Taipeh/T'ai-pei Ständer für eine zusammenklappbare Karre
GB2363832B (en) * 2000-06-20 2004-02-04 Red Lan Stoller having a break device
US20020195299A1 (en) * 2001-06-26 2002-12-26 Ying-Hsiung Cheng Stroller brake with supporting function
CN2513866Y (zh) * 2001-08-21 2002-10-02 刘冬水 改良结构的婴儿车连动刹车装置
JP3937051B2 (ja) * 2001-10-22 2007-06-27 株式会社松永製作所 ブレーキ装置
JP4144786B2 (ja) * 2002-10-11 2008-09-03 株式会社リッチェル 折畳式ベビーカーの自立機構
JP2004203243A (ja) * 2002-12-25 2004-07-22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05014894A (ja) * 2003-06-06 2005-01-20 Aprica Kassai Inc 車輪同時ブレーキ機構、キャスタ回転防止機構および乳母車
US7014203B2 (en) * 2004-01-12 2006-03-21 Dong-Shuei Liu Kick stand assembly for a baby stroller
CN2701725Y (zh) * 2004-04-30 2005-05-25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手推车用刹车装置
US7398988B2 (en) * 2004-09-02 2008-07-15 Ostrow Kenneth P Three-wheeled stroller having kickstand
WO2006079012A1 (en) * 2005-01-21 2006-07-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CN2782505Y (zh) * 2005-01-28 2006-05-24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刹车装置
JP2006290213A (ja) * 2005-04-13 2006-10-26 Shimamura Shokai:Kk 折畳式ベビーカー。
US8066300B2 (en) * 2007-10-22 2011-11-29 Aprica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JP5232437B2 (ja) * 2007-10-22 2013-07-1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幌付折畳式乳母車
JP5121604B2 (ja) * 2008-07-04 2013-01-16 ピジョン株式会社 折畳式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34707A (en) 2011-10-16
GB201102461D0 (en) 2011-03-30
JP2011195087A (ja) 2011-10-06
US20110233902A1 (en) 2011-09-29
JP5432787B2 (ja) 2014-03-05
GB2479033A (en) 2011-09-28
CN102198837A (zh)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6788A (ko) 절첩식 유모차
US8210562B2 (en) Canopied foldable baby carriage
EP2052943B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JP3980349B2 (ja) ベビーカー
JP5230317B2 (ja)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EP2441645B1 (en) Baby buggy
JP6454647B2 (ja) ベビーカー
EP2052945A1 (en) Foldable pushcart
EP2441646A1 (en) Carrier and baby carriage
JP2015058930A (ja) ベビーカー用シャーシ
JP2521138Y2 (ja) うば車の操舵機構
EP2524853B1 (en) Baby carriage
JP5953123B2 (ja) 押し棒スライド式乳母車
CN107323511B (zh) 婴儿车车架
KR102366373B1 (ko) 유모차
KR20100104787A (ko) 절첩식 손수레 및 절첩식 유모차
JP2014000898A (ja) 折り畳み式乳母車
KR20200014212A (ko) 유모차
TWI555660B (zh) 折疊式嬰兒車
TWI503247B (zh) 折疊式手推車及折疊式嬰兒車
JP5489834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KR102308399B1 (ko) 유모차
JP7255389B2 (ja) 台車
KR102488862B1 (ko) 유모차
JP6334953B2 (ja) 背対面切替式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