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373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373B1
KR102366373B1 KR1020177016283A KR20177016283A KR102366373B1 KR 102366373 B1 KR102366373 B1 KR 102366373B1 KR 1020177016283 A KR1020177016283 A KR 1020177016283A KR 20177016283 A KR20177016283 A KR 20177016283A KR 102366373 B1 KR102366373 B1 KR 10236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locking
locking member
wheel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114A (ko
Inventor
겐지로 사와야
겐지 후나쿠라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1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ir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Abstract

각 캐스터(10)는, 전방 다리(3)에 고정되는 고정체(20)와,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체(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고정체(20)와 접속된 회전체(40)와, 회전체(40)에 차축(80)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차륜(70)과, 차륜(70)에 걸려 상기 차륜(70)의 회전체(40)에 대한 상대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잠금 부재(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끼리가 와이어재(6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재(60)는,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로 이동하면, 타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를 잠금 위치(P1)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
본 발명은, 핸들이 대면(對面) 누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차륜을 용이하게 잠글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대면 누름 위치와 배면(背面) 누름 위치와의 사이에서 핸들을 전환할 수 있는 유모차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예를 들면 JP2011-031724 A 참조). 핸들이 배면 누름 위치에 있는 경우, 조작자는, 유유아(乳幼兒)의 배면이 되는 후방 다리측으로부터 핸들을 파지한다. 그리고, 조작자는, 유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를 밀고 나간다. 한편, 핸들이 대면 누름 위치에 있는 경우, 조작자는, 유유아에 대면하는 전방 다리측으로부터 핸들을 파지한다. 그리고, 조작자는, 후방 다리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를 밀고 나간다.
유모차를 정지시키고 있을 때에는, 유모차가 움직이기 시작하지 않도록, 캐스터에 마련된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여, 차륜을 잠근다. 이 차륜을 잠그는 브레이크 페달의 배치는, 유모차의 타입에 따라서 다르며, 후륜에만 마련되어 있는 타입도 있다.
전방 다리측으로부터 핸들을 파지하여 유모차를 주행시킨 후에 유모차를 정지시킨 경우, 후륜에만 브레이크 페달이 마련되어 있는 타입의 유모차에서는, 조작자는, 일부러 후륜측의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여 차륜을 잠그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전륜 측에도 브레이크 페달이 마련되어 있는 타입의 유모차에서는, 발 아래에 있는 전륜측의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여 차륜을 잠글 수 있다. 그렇지만, 전륜측의 브레이크 페달은, 좌우의 차륜에 대해서 1개씩 독립하여 마련되어 있고, 좌우의 브레이크 페달을 각각 조작하는 것은 번잡하다. 즉, 종래의 유모차에서는, 핸들이 대면 누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차륜을 용이하게 잠그는 것이 불가능 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핸들이 대면 누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차륜을 용이하게 잠글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한 쌍의 전방 다리를 가지는 유모차 본체와, 대응하는 전방 다리에 접속된 한 쌍의 캐스터를 구비하며,
각 캐스터는, 상기 전방 다리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캐스터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체와 접속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차축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 차륜과, 상기 차륜에 걸려 상기 차륜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차륜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차륜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장착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캐스터의 잠금 부재끼리가 연결 수단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단은, 일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하면, 타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각 잠금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연결 수단은, 일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타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캐스터의 잠금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와이어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재를 안내하는 가동측 통 모양체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재를 안내하는 고정측 통 모양체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유모차 본체 중 적어도 일방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측 통 모양체는, 상기 고정측 통 모양체와 분리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각 잠금 부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차륜에는, 대응하는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걸림 돌기를 수용하는 걸림 홈이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잠금 부재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를 전환하는 페달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는, 상기 캐스터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캐스터축을 매개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와이어재(材)는, 상기 캐스터축 내를 상기 캐스터 축선을 따라서 빠져 나가고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는, 상기 캐스터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캐스터축을 매개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캐스터축이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와이어재는, 상기 캐스터축 내를 통과하고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배면 누름 위치와 대면 누름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핸들을 더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가, 후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후방 다리와, 상기 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후륜 잠금 기구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륜측에 있는 일방의 캐스터의 잠금 부재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면, 이것에 연동하여 타방의 캐스터의 잠금 부재도 잠금 위치로 이동시켜진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핸들이 대면 누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발 아래가 되는 전륜측에 있는 일방의 캐스터의 잠금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전륜측에 있는 양쪽 모두의 차륜을 연동시켜 잠그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핸들이 대면 누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차륜을 용이하게 잠그는 것이 가능한 유모차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유모차는,
한 쌍의 후방 다리를 가지는 유모차 본체와,
대응하는 후방 다리에 접속된 한 쌍의 캐스터를 구비하며,
각 캐스터는,
상기 후방 다리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캐스터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체와 접속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차축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 차륜과,
상기 차륜에 걸려 상기 차륜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차륜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차륜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장착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캐스터의 잠금 부재끼리가 연결 수단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단은, 일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하면, 타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각 잠금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3 유모차는,
다리를 가지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다리에 접속된 캐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캐스터는,
상기 다리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캐스터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체와 접속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차축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 차륜과,
상기 차륜에 걸려 상기 차륜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차륜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차륜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장착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의 위치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조작하는 원격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작 수단은, 상기 잠금 부재에 접속한 와이어재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재를 안내하는 가동측 통 모양체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재를 안내하는 고정측 통 모양체를 가지며,
상기 가동측 통 모양체는, 상기 고정측 통 모양체와 분리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좌측의 전방 다리에 장착된 캐스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다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면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우측의 전방 다리에 장착된 캐스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다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면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캐스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캐스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캐스터에서, 잠금 부재를 잠금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내는 캐스터에서, 잠금 부재를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와이어재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나타내는 캐스터에서, 잠금 부재를 잠금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나타내는 캐스터에서, 잠금 부재를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캐스터에 페달 부분을 마련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캐스터에 페달 부분을 마련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 및 캐스터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및 도 2에는, 유모차(1)의 전체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진 유모차(1)는, 유모차 본체(2)와, 유모차 본체(2)에 장착된 캐스터(10, 100)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유모차 본체(2)는, 한 쌍의 전방 다리(3) 및 한 쌍의 후방 다리(5)를 가지는 프레임부(6)와, 프레임부(6)에 접속된 핸들(7)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전방 다리(3)는, 전방 연결 부재(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전방 다리(3)의 하단에는, 나중에 상술(詳述)하는 캐스터(1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캐스터(10)는, 회전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차륜(전륜)(7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하여, 차륜(7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후방 다리(5)의 하단에는, 차륜 유지체(10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차륜 유지체(100)는, 차륜(후륜)(70)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차륜(7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1)에서는, 핸들(7)은, 프레임부(6)에 대해서 요동(搖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7)은,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배면(背面) 누름 위치(후방 위치)(P3)와, 도 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진 대면(對面) 누름 위치(전방 위치)(P4)와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핸들(7)을 프레임부(6)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기존의 구성, 예를 들면 JP2008-254688 A에 개시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것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1)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유모차(1)를 접힘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기존의 구성,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JP2008-254688 A에 개시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것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유모차(1)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한 「전」, 「 후 」,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전개(展開) 상태에 있는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 후 」,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은, 도 1에서의 지면의 왼쪽 아래와 오른쪽 위를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서의 지면의 오른쪽 위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아울러 유모차(1)가 놓여진 면(面)(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가 놓여져 있는 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은 연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 「횡방향」 및 「폭방향」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게다가, 「우」 및 「좌」에 대해서도, 각각,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횡방향 또는 폭방향에서의 「우」 및 「좌」를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폭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로 도 3~도 11을 참조하면서, 캐스터(10) 및 캐스터(10)에 관련하는 유모차(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도 5 및 도 6은, 좌측의 전방 다리(3)에 장착된 캐스터(1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우측의 전방 다리(3)에 장착된 캐스터(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좌우의 캐스터(10)는, 후술하는 와이어재(60)의 연결 방법에 관련하는 구성에서 다르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서로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캐스터(10)는, 전체적인 구성으로서, 유모차(1)의 전방 다리(3)에 고정된 고정체(20)와, 고정체(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회전체(40)를 가지고 있다. 고정체(20)와 회전체(40)는, 캐스터 축선(Ac)을 따라서 연장되는 캐스터축(30)을 매개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회전체(40)는, 차축(80)(도 5 참조)을 매개로 하여 차륜(7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차륜(70)은, 차축(80)의 축방향으로 일치하는 회전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체(40)에 대해서 회전한다.
회전축선(Ar)은, 캐스터 축선(Ac)과 비평행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직교하고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회전축선(Ar)은, 수평 방향과 평행이며, 캐스터 축선(Ac)은,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스터(10)는, 회전체(40)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배치된 한 쌍의 차륜(70)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해의 편의상, 도 3, 도 4, 도 6~도 11에서는, 도시된 시야에서 바로 전(前)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차륜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다리(3)에 고정된 고정체(20)는,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축 모양의 부재로 구성되며, 그 축방향을 따라서 관통공(20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체(20)의 관통공(20a)에 도 5 중 하부로부터 캐스터축(30)이 삽입되어 있다. 삽입된 캐스터축(30)의 선단부(도 5 중 상단부)와 고정체(20)가, 핀(22)을 매개로 하여 고정되어 있다.
캐스터축(30)은, 통 모양으로 구성되며, 그 중공 공간(30a)이, 고정체(20) 내의 관통공(20a)에 연통하고 있다. 또, 캐스터축(30)의 기단부(도 5 중 하단부)에는, 확경 차양부(31)가 형성되고, 이 확경 차양부(31)는, 고정체(20)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 캐스터축(30) 및 고정체(20) 내를, 와이어재(60) 및 파이프(66)가 빠져 나가고 있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회전체(40)는, 어퍼(upper) 홀더(41)와, 어퍼 홀더(41)의 하부에 배치된 로어(lower) 홀더(42)를 가지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홀더(41)에는, 캐스터축(30)이 삽입되는 세로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어퍼 홀더(41)가 세로 구멍(41a)에 삽입된 캐스터축(30)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회전체(40)의 고정체(20)에 대한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세로 구멍(41a)의 하부에, 세로 구멍(41a) 보다도 확개(擴開)된 공간이 넓게되어 있고, 이 공간 내에 캐스터축(30)의 확경 차양부(31)가 수용되어 있다. 어퍼 홀더(41) 내에 캐스터축(30)의 확경 차양부(31)가 수용되는 것에 의해, 캐스터축(30)이 회전체(40)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어퍼 홀더(41)에는, 캐스터 잠금 레버(43)가 장착되어 있다. 캐스터 잠금 레버(4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체(40)와 고정체(20)를 선택적으로 잠그게 하여,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한 고정체(20)에 대한 회전체(40)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어퍼 홀더(41)에 핀(44)을 매개로 하여 로어(lower) 홀더(42)가 연결되어 있다. 로어 홀더(42)는, 차축(80)(도 5 참조)을 매개로 하여 차륜(7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어 홀더(42)에 차축 구멍(42a)이 마련되고, 이 차축 구멍(42a)에 차축(80)이 삽입되어 있다.
게다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어 홀더(42)에는, 잠금 부재(50)가 장착되어 있다. 잠금 부재(50)는, 차륜(70)의 회전체(40)에 대한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부품이다. 잠금 부재(50)는, 로어 홀더(42) 중, 다른 부분 보다도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지점(支点) 핀(45)을 매개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잠금 부재(70)가 로어 홀더(42)에 대해서 요동함으로써, 차륜(70)에 걸려 상기 차륜(70)의 회전체(40)에 대한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P1)와, 차륜(70)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차륜(70)의 회전체(40)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P2)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에, 잠금 부재(50)가 해제 위치(P2)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잠금 부재(50)는, 잠금부재 본체(51)와, 잠금부재 본체(51)로부터 돌출된 걸림 돌기(52)를 가지고 있다.
잠금부재 본체(51)는, 수지(樹脂) 성형물로서 형성되어 있고, 전술의 지점 핀(45)을 매개로 하여 로어 홀더(4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잠금부재 본체(51)는, 지점 핀(45)이 장착된 부분으로부터 이간하도록 돌출된 페달 부분(51b)을 포함하고 있다. 페달 부분(51b)을 다리에 의해 밟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잠금 위치(P1)와 해제 위치(P2)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페달 부분(51b)과 캐스터 잠금 레버(43)는, 상하 방향으로 부분적과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페달 부분(51b)을 로어 홀더(42)에 대해서 요동시켰을 때에 페달 부분(51b)과 캐스터 잠금 레버(43)가 간섭하지 않도록, 페달 부분(51b)에는,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홈(51c)이 마련되어 있다. 또, 페달 부분(51b)은, 적어도 일방의 캐스터(10)에 마련되어 있으면 되며, 도시하는 예에서는, 좌측의 캐스터(10)에만 마련되어 있다.
지점 핀(45)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걸림 돌기(52)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돌기(52)는, 차륜(70)에 선택적으로 걸려 차륜(70)의 회전체(40)에 대한 상대 회전을 규제한다. 도 3 및 도 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걸림 돌기(52)가 마련되어 있어, 각 걸림 돌기(52)는, 각각에 대응하는 차륜(70)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돌기(52)가 연장되는 방향(길이 방향)은, 회전축선(Ar)을 따르고 있다.
다음으로 차륜(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잘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차륜(70)은, 휠부(wheel部)(71)와, 휠부(71)의 외주에 유지된 타이어(72)와, 휠부(71)에 고정된 브레이크판(73)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브레이크판(73)은, 휠부(71)의 회전체(40)측을 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판(73)에는, 차륜(70)의 회전축선(Ar)을 중심으로 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걸림 홈(73a)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홈(73a)은,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에 위치할 때에 상기 잠금 부재(50)의 걸림 돌기(52)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걸림 홈(73a)은, 방사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그런데, 좌우의 차륜(70)을 잠그기 위해서, 좌우의 잠금 부재(50)를 각각 별개로 조작하는 것은 번잡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유모차(1)에서는, 좌우의 잠금 부재(50)끼리를 연결 수단으로서의 와이어재(60)에 의해 연결하여 동기시키고 있다.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재(60)는, 좌측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로부터 좌측의 전방 다리(3) 내를 통과하여 전방 연결 부재(4)의 하측에서 안내되어, 우측의 전방 다리(3) 내를 통과하여 우측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에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와이어재(60)의 연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와이어재(60)의 일단은, 일방의 잠금 부재(50)의 잠금부재 본체(51)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재(60)의 선단에 구체(球體)(61)가 장착되어 있고, 이 구체(61)가 잠금부재 본체(51)에 마련된 와이어 장착부(51d)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시하는 와이어 장착부(51d)는, 잠금부재 본체(51)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구체(61)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구체(61)가 와이어 장착부(51d)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재(60)에 생길 수 있는 비틀림을 회피할 수 있다.
도 3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회전체(40)를 구성하는 어퍼 홀더(41) 및 로어 홀더(42) 내에, 와이어재(60)가 통과하는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가동측 파이프(65)가 마련되어 있다. 가동측 파이프(65)는,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서 연장되고, 잠금 부재(50)의 와이어 장착부(51d)로부터 캐스터축(30) 내까지 와이어재(60)를 안내한다.
고정체(20) 및 전방 다리(3) 내에도, 와이어재(60)가 통과하는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고정측 파이프(66)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측 파이프(66)는,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서 연장되고, 캐스터축(30) 내로부터 고정체(20) 내를 통과하여 전방 다리(3) 내까지 와이어재(60)를 안내한다. 와이어재(60)가 고정측 파이프(66) 내에서 안내되는 것에 의해, 회전체(40)가 고정체(20)에 대해서 회전해도, 와이어재(60)가 통과하는 경로를 안정되게 확보하고, 또한, 와이어재(60)가 비틀어질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도 9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측 파이프(65)와 고정측 파이프(66)는, 캐스터축(30) 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즉, 가동측 파이프(65)와 고정측 파이프(66)는,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 한편으로, 와이어재(60)는, 캐스터축(30) 내에서 가동측 파이프(65)와 고정측 파이프(66)와의 사이를 캐스터 축선(Ac)을 따라서 빠져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이, 가동측 파이프(65)와 고정측 파이프(66)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고정체(20)에 대해서 회전체(40)가 회전해도, 와이어재(60) 및 각 파이프(65, 66)가 크게 비틀어질 우려를 매우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정측 파이프(66)는, 전방 다리(3) 내로부터 전방 연결 부재(4)를 따라서 더 연장되어, 타방의 전방 다리(3) 및 고정체(20) 내까지 미친다. 따라서, 와이어재(60)는, 고정측 파이프(66) 내에서, 일방의 캐스터(10)의 고정체(20) 내로부터 전방 다리(3) 내를 통과하여 전방 연결 부재(4)의 하측에서 안내되고, 타방의 전방 다리(3) 내를 통과하여 타방의 캐스터(10)의 고정체(20)까지 안내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캐스터(10)에도, 회전체(40) 내에 와이어재(60)가 통과하는 경로를 확보하는 가동측 파이프(65)가 마련되어 있다. 타방의 캐스터(10)에 마련된 가동측 파이프(65) 내에서 안내된 와이어재(60)는, 그 선단에 마련된 구체(球體)(61)를 매개로 하여 잠금 부재(50)의 와이어 장착부(51d)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잠금 부재(50)를 와이어재(60)를 매개로 하여 연결함으로써,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로 이동하면, 타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도 연동하여 잠금 위치(P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타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로 이동하면,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도 연동하여 잠금 위치(P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와이어재(60)는, 일방의 잠금 부재(50)를 밀어 내면, 그것에 연동하여 타방의 잠금 부재(50)를 끌어 당기도록 작용한다. 그런데, 만일 좌우의 잠금 부재(50)가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일방의 잠금 부재(50)가 와이어재(60)에 의해서 밀려 나와 잠금 위치(P1)로 이동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타방의 잠금 부재(50)가 와이어재(60)에 의해 끌어 당겨져, 해제 위치(P2)로 이동해 버려, 목적한 대로 좌우의 잠금 부재(50)를 동기시킬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의 잠금 부재(50)가 와이어재(60)에 의해서 밀려 나오면 잠금 위치(P1)로 이동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타방의 잠금 부재(50)도 잠금 위치(P1)로 끌어 당겨지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도 7은, 좌측의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은, 좌측의 잠금 부재(50)가 해제 위치(P2)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잠금 부재(50)는, 지점 핀(45)을 사이에 두고 걸림 돌기(52)에 대면하는 위치에서, 와이어재(60)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도 10은, 우측의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우측의 잠금 부재(50)가 해제 위치(P2)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잠금 부재(50)는, 지점 핀(45)에 대해서 걸림 돌기(52)와 동일한 측이 되는 위치에서, 와이어재(6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재(60)의 연결 방법에 의하면, 좌측의 잠금 부재(50)가 와이어재(60)에 의해서 밀려 나오면 잠금 위치(P1)로 이동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우측의 잠금 부재(50)가 와이어재(60)에 의해서 끌어 당겨져 잠금 위치(P1)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좌측의 잠금 부재(50)가 와이어재(60)에 의해서 끌어 당겨지면 해제 위치(P2)로 이동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우측의 잠금 부재(50)가 와이어재(60)에 의해서 밀려 나와 해제 위치(P2)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캐스터(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핸들(7)을 대면 누름 위치(P4)에 배치한 상태(도 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 후방 다리(5)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를 밀고 나간다. 유모차(1)를 정차시키는 경우에는, 유모차(1)를 정지시킨 후, 좌측의 캐스터(10)에 마련된 페달 부분(51b)을 밟고 누른다. 좌측의 캐스터(10)의 페달 부분(51b)을 밟고 누르면, 잠금 부재(50)가 도 8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P2)로부터 도 7에 나타내는 잠금 위치(P1)까지 이동한다.
좌측의 잠금 부재(50)가 도 7에 나타내는 잠금 위치(P1)까지 이동하면, 와이어재(60)가 좌측의 잠금 부재(50)로 끌어 당겨진다. 이것에 연동하여, 우측의 잠금 부재(50)가, 와이어재(60)에 의해 끌어 당겨지고, 도 11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P2)로부터 도 10에 나타내는 잠금 위치(P1)까지 이동한다.
각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에 위치하는 경우, 걸림 돌기(52)가 차륜(70)에 마련된 걸림 홈(73a) 내에 수용되어, 차축(80)의 회전체(40)에 대한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잠금 부재(50)를 동기시켜, 각 잠금 부재(50)에 의해 차륜(70)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다시 유모차(1)를 주행시킬 때에는, 좌측의 캐스터(10)에 마련된 페달 부분(51b)을 밀어 올린다. 좌측의 캐스터(10)의 페달 부분(51b)이 밀어 올려지면, 잠금 부재(50)가 도 7에 나타내는 잠금 위치(P1)로부터 도 8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P2)까지 이동한다.
좌측의 잠금 부재(50)가 도 8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P2)까지 이동하면, 와이어재(60)가 좌측의 잠금 부재(50)에 의해서 되밀어내어진다. 이것에 연동하여, 우측의 잠금 부재(50)가 와이어재(60)에 의해서 밀려 나와, 도 10에 나타내는 잠금 위치(P1)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P2)까지 이동한다.
각 잠금 부재(50)가 해제 위치(P2)에 위치하는 경우, 걸림 돌기(52)가 차륜(70)에 마련된 걸림 홈(73a)으로부터 이간하여, 차축(80)의 회전체(40)에 대한 상대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잠금 부재(50)에 의한 차륜(70)의 잠금을 연동하여 해제하고 다시 유모차(1)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 핸들(7)을 배면 누름 위치(P3)에 배치한 상태(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전방 다리(3)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를 밀고 나간다. 유모차(1)를 정차시키는 경우, 유모차(1)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호자(사용자)는, 차륜 유지체(100)에 마련된 후륜 잠금 기구(101)(도 1 및 도 2 참조)를 이용하여, 후륜(70)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전방 다리(3)를 가지는 유모차 본체(2)와, 대응하는 전방 다리(3)에 접속된 한 쌍의 캐스터(10)를 구비하며, 각 캐스터(10)는, 전방 다리(3)에 고정되는 고정체(20)와, 캐스터 축선(Ac)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체(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고정체(20)와 접속된 회전체(40)와, 회전체(4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회전체(40)에 차축(80)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 차륜(70)과, 차륜(70)에 걸려 상기 차륜(70)의 회전체(40)에 대한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P1)와, 차륜(70)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차륜(70)의 회전체(40)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P2)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회전체(40)에 장착된 잠금 부재(50)를 포함하며, 한 쌍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끼리가 연결 수단으로서의 와이어재(6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재(60)는,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로 이동하면, 타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를 잠금 위치(P1)로 이동시키도록, 각 잠금 부재(5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전륜측에 있는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를 잠금 위치(P1)로 이동시키면, 이것에 연동하여 타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도 잠금 위치(P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핸들(7)이 대면 누름 위치(P4)에 있는 상태에서 전륜측에 있는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를 조작함으로써, 전륜측에 있는 양쪽 모두의 차륜(70)을 용이하게 잠그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결 수단으로서의 와이어재(60)는,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가 해제 위치(P2)로 이동하면, 타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를 해제 위치(P2)에 이동시키고, 타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가 해제 위치(P2)로 이동하면,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를 해제 위치(P2)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전륜측에 있는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를 해제 위치(P2)로 이동시키면, 이것에 연동하여 타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도 해제 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핸들(7)이 대면 누름 위치(P4)에 있는 상태에서 전륜측에 있는 일방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를 조작함으로써, 전륜측에 있는 양쪽 모두의 차륜(70)의 잠금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정체(20)와 회전체(40)는, 캐스터 축선(Ac)을 따라서 연장되는 캐스터축(30)을 매개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와이어재(60)는, 캐스터축(30) 내를 캐스터 축선(Ac)을 따라서 빠져 나가 있다. 회전체(40)가 고정체(20)에 대해서 상대 회전하는 경우, 캐스터 축선(Ac)을 구획하는 캐스터축(30) 내는, 회전에 의한 움직임의 변동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와이어재(60)가, 캐스터축(30) 내를 캐스터 축선(Ac)을 따라서 빠져 나가는 경우, 와이어재(60)가 회전에 의한 움직임의 변동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결과, 회전체(40)의 고정체(20)에 대한 회전에 의해, 와이어재(60)가 비틀어질 우려를 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결 수단은 와이어재로 이루어지며, 와이어재(60)를 안내하는 가동측 통 모양체로서의 가동측 파이프(65)가 회전체(40)에 고정되고, 와이어재(60)를 안내하는 고정측 통 모양체로서의 고정측 파이프(66)가 고정체(20) 또는 유모차 본체(2) 중 적어도 일방에 고정되며, 가동측 파이프(65)는 고정측 파이프(66)와 분리되어 있다. 가동측 파이프(65)와 고정측 파이프(66)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고정체(20)에 대해서 회전체(40)가 회전해도, 와이어재(60) 및 각 파이프(65, 66)가 크게 비틀어질 우려를 매우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측 파이프(65)와 고정측 파이프(66)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파이프(65, 66)로부터 노출된 와이어재(60)의 노출 부분(60a)은, 2개의 파이프(65, 66)로부터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변형하거나 비틀어지거나 하기 쉽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파이프(65)의 고정측 파이프(66)측에 위치하는 단부(65a) 및 고정측 파이프(66)의 가동측 파이프(65)측에 위치하는 단부(66a)는, 캐스터축(30)의 중공 공간(30a)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파이프(65, 66)로부터 노출된 와이어재(60)의 노출 부분(60a)이, 회전에 의한 움직임의 변동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캐스터축(30) 내에 수용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노출 부분(60a)이 비틀어질 우려를 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와이어재(60), 가동측 파이프(65) 및 고정측 파이프(66)의 조합은, 회전체(40)에 유지된 잠금 부재를 원격 조작하는 수단으로서 유용하다. 즉, 한 쌍의 전방 다리(3)에 장착된 한 쌍의 캐스터(10)의 동작의 연동을 확보할 때 뿐만 아니라, 1개의 다리(3, 5)에 마련된 캐스터(10)의 차륜의 회전 규제를 원격 조작할 때에도, 와이어재(60), 가동측 파이프(65) 및 고정측 파이프(66)의 조합은, 비틀림의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안정되게 조작을 실현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각 잠금 부재(50)는, 걸림 돌기(52)를 포함하고 있고, 각 차륜(70)에는, 대응하는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에 위치할 때에 상기 잠금 부재(50)의 걸림 돌기(52)를 수용하는 걸림 홈(73a)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잠금 부재(50)의 걸림 돌기(52)가 차륜(70)의 걸림 홈(73a)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서, 차륜(70)의 회전체(40)에 대한 상대 회전을 안정되게 규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잠금 부재(50)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잠금 위치(P1)와 해제 위치(P2)를 전환하는 페달 부분(51b)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페달 부분(51b)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잠금 위치(P1)와 해제 위치(P2)와의 전환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위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에 마련된 페달 부분(51b)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잠금 부재(50)의 잠금 위치(P1)와 해제 위치(P2)를 전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좌우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를 연결하는 와이어재(60)의 사이에 전환 스위치를 개재시켜도 괜찮다. 전환 스위치는, 예를 들면 핸들(7)에 장착된다. 조작자의 손에 의해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잠금 부재(50)의 잠금 위치(P1)와 해제 위치(P2)가 전환될 수 있다.
또, 위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방 다리(5)에, 차륜(70)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차륜(7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차륜 유지체(100)가 장착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 쌍의 후방 다리(5)에도, 차륜(70)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하면서 차륜(7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캐스터가 장착되어 있어도 괜찮다. 특히, 이러한 예에서, 후방 다리(5)에 장착되는 캐스터가, 위에서 설명한 일 실시 형태에서 전방 다리에 장착되어 있던 캐스터(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이러한 예에서는, 핸들(7)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캐스터가 캐스터 축선(Ac)을 기준으로 하여 차륜(70)의 방향을 변경 가능한 상태와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 기구는, 핸들(7)의 위치에 따라서, 진행 방향에서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장착된 캐스터에서의 차륜(70)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하고, 또한, 진행 방향에서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리에 장착된 캐스터에서의 차륜(70)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전환 기구의 구성은, 기존의 구성, 예를 들면 JP2008-254688 A에 개시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위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좌측의 캐스터(10)에만, 잠금 위치(P1)와 해제 위치(P2)를 전환하는 페달 부분(51b)이 마련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페달 부분(51b)은, 우측의 캐스터(10)에도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도 12 및 도 13에, 우측의 캐스터(10)에도 페달 부분(51b)이 마련된 예를 나타낸다. 이 중, 도 12에, 우측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에, 우측의 캐스터(10)의 잠금 부재(50)가 해제 위치(P2)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페달 부분(51b)은, 잠금 부재(50)가 해제 위치(P2)에 위치할 때(도 13 참조) 보다도 잠금 위치(P1)에 위치할 때(도 12 참조)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페달 부분(51b)은, 잠금 부재(50)가 잠금 위치(P1)에 위치할 때(도 7 참조) 보다도 해제 위치(P2)에 위치할 때(도 8 참조)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잠금 부재(50)에 의해 차륜(70)에 브레이크를 거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좌측의 페달 부분(51b)(도 8 참조)을 밟아 누름으로써, 좌우의 잠금 부재(50)를 도 8, 13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P2)로부터 도 7, 12에 나타내는 잠금 위치(P1)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각 잠금 부재(50)에 의한 차륜(70)의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우측의 페달 부분(51b)(도 12 참조)을 밟아 누름으로써, 좌우의 잠금 부재(50)를 도 7, 12에 나타내는 잠금 위치(P1)로부터 도 8, 13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P2)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각 잠금 부재(50)에 의한 차륜(70)의 브레이크 및 해제의 전환을,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좌우 어느 하나의 페달 부분(51b)을 밞아 누름으로써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잠금 부재(50)에 의한 차륜(70)의 브레이크 및 해제의 전환을, 작업 부담이 적은 자세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한 쌍의 전방 다리를 가지는 유모차 본체와,
    대응하는 전방 다리에 접속된 한 쌍의 캐스터를 구비하며,
    각 캐스터는,
    상기 전방 다리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캐스터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체와 접속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차축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 차륜과,
    상기 차륜에 걸려 상기 차륜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잠금(lock) 위치와, 상기 차륜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차륜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장착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캐스터의 잠금 부재끼리가 연결 수단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단은, 일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하면, 타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각 잠금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캐스터의 잠금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와이어재(材)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재를 안내하는 가동측 통 모양체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재를 안내하는 고정측 통 모양체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유모차 본체 중 적어도 일방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측 통 모양체는, 상기 고정측 통 모양체와 분리되고,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는, 상기 캐스터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캐스터축을 매개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와이어재가, 상기 캐스터축 내를 상기 캐스터 축선을 따라서 빠져 나가 있는 유모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일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타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유모차.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잠금 부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차륜에는, 대응하는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걸림 돌기를 수용하는 걸림 홈이 마련되어 있는 유모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를 전환하는 페달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유모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도,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를 전환하는 페달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일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의 페달 부분은,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보다도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할 때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타방의 상기 캐스터의 상기 잠금 부재의 페달 부분은,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할 때 보다도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유모차.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축이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모차.
  9. 청구항 1, 2, 4, 5, 6,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후방 다리와,
    상기 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후륜 잠금 기구를 더 구비하는 유모차.
KR1020177016283A 2014-12-19 2015-11-17 유모차 KR102366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7464 2014-12-19
JP2014257464A JP6407703B2 (ja) 2014-12-19 2014-12-19 乳母車
PCT/JP2015/082203 WO2016098506A1 (ja) 2014-12-19 2015-11-17 乳母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114A KR20170096114A (ko) 2017-08-23
KR102366373B1 true KR102366373B1 (ko) 2022-02-23

Family

ID=5612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283A KR102366373B1 (ko) 2014-12-19 2015-11-17 유모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07703B2 (ko)
KR (1) KR102366373B1 (ko)
CN (1) CN107000775B (ko)
TW (1) TWI659879B (ko)
WO (1) WO2016098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0134B2 (ja) * 2017-01-17 2021-03-31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手押し車
KR101941000B1 (ko) * 2017-11-29 2019-01-23 백재우 회전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고 비상시 자동으로 제동하는 유모차
CN114379639A (zh) * 2020-10-22 2022-04-2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轮组刹车机构及婴儿车
CN114802403A (zh) * 2021-01-22 2022-07-29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3056A (ja) * 2009-01-15 2010-07-29 Nansin Co Ltd 台車の制動構造
WO2010143300A1 (ja) * 2009-06-12 2010-12-16 コンビ株式会社 キャリアおよびベビーカー
JP2013095407A (ja) * 2011-11-07 2013-05-20 Combi Corp ベビーカー用の制動機構、ベビーカー用の車輪保持機構、および、ベビーカー
JP2013212818A (ja) * 2012-04-04 2013-10-17 Bo-Quan Cai ブレーキ付きキャス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3056A (ja) * 2009-01-15 2010-07-29 Nansin Co Ltd 台車の制動構造
WO2010143300A1 (ja) * 2009-06-12 2010-12-16 コンビ株式会社 キャリアおよびベビーカー
JP2013095407A (ja) * 2011-11-07 2013-05-20 Combi Corp ベビーカー用の制動機構、ベビーカー用の車輪保持機構、および、ベビーカー
JP2013212818A (ja) * 2012-04-04 2013-10-17 Bo-Quan Cai ブレーキ付きキャス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17362A (ja) 2016-06-30
CN107000775A (zh) 2017-08-01
KR20170096114A (ko) 2017-08-23
JP6407703B2 (ja) 2018-10-17
WO2016098506A1 (ja) 2016-06-23
TW201632384A (zh) 2016-09-16
CN107000775B (zh) 2019-05-28
TWI659879B (zh)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612B2 (en) Carrier and stroller
KR102366373B1 (ko) 유모차
KR102245979B1 (ko) 캐스터 및 유모차
US8733784B2 (en) Stroller
TWI429549B (zh) 嬰兒車(二)
JP5436911B2 (ja) ベビーカー
KR20130001670A (ko) 유모차
JP6378991B2 (ja) 乳母車
JP5755344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KR20210041492A (ko) 유모차
JP6850134B2 (ja) 手押し車
JP6445249B2 (ja) 乳母車
KR102371058B1 (ko) 유모차
TWI754265B (zh) 嬰兒車
KR20200014210A (ko) 유모차
CN105664492A (zh) 一种多功能童车
KR20200014211A (ko)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