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557B1 - 접이식 왜건 - Google Patents

접이식 왜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557B1
KR101877557B1 KR1020180020681A KR20180020681A KR101877557B1 KR 101877557 B1 KR101877557 B1 KR 101877557B1 KR 1020180020681 A KR1020180020681 A KR 1020180020681A KR 20180020681 A KR20180020681 A KR 20180020681A KR 101877557 B1 KR101877557 B1 KR 10187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unting bar
cover
handle
folding wag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귀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케이
Priority to KR102018002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557B1/ko
Priority to PCT/KR2019/000889 priority patent/WO20191641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이식 왜건으로서, 상기 접이식 왜건의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부;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부; 상기 접이식 왜건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접이식 왜건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왜건{FOLDING WAGON}
본 발명은 접이식 왜건에 관한 것이다.
캠핑 문화가 발달하면서, 캠핑을 위한 짐을 싣거나, 영아 또는 유아를 태우기 위한 왜건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왜건은 바퀴가 넷이 달리고 운반 대상체를 실을 수 있는 몸체가 형성된 4륜차의 총칭을 의미하며, 하단에 바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어 짐을 싣거나 영아 또는 유아를 태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내피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에는 핸들이 구비되어, 내부 공간에 짐을 싣거나 영아 또는 유아를 태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왜건이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왜건은 접철이 되지 않기 때문에 컴팩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없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운반 또한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0038호 (2017.01.03.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왜건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운반이 용이한 접이식 왜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이식 왜건으로서, 상기 접이식 왜건의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부;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부; 상기 접이식 왜건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접이식 왜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핸들; 상기 핸들을 지지하는 핸들 설치바; 상기 하부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제1 프레임;상기 핸들 설치바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설치바의 일단은 상기 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핸들 설치바의 타단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핸들 설치바의 타단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핸들 설치바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되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상기 바디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핸들 설치바의 일부가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 설치바의 일부는 상기 제1 연결부를 관통한 후 상기 바디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핸들 설치바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과 대응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후면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면에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부는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상기 핸들 설치바의 타단에 의해 제한되고, 타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핸들 설치바와 상기 제1 프레임이 임의의 방향으로 틀어져 분리되는 것은 상기 덮개부재를 통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설치바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핸들 설치바와 인접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이 자유단 상태가 되고,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가 분리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이 회동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3 연결부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왜건의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커버;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안착 커버의 상부에 제공되는 차양 커버; 및 상기 안착 커버의 후면에 제공되고, 별도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커버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바퀴;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바퀴; 상기 제2 바퀴를 감싸고, 상기 제2 바퀴가 분리 가능한 바퀴 하우징; 및 상기 제1 바퀴에 결합되고,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부재는 풋브레이크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왜건은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왜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버를 제외한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2 프레임과 제1 바퀴 및 브레이크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접이식 왜건이 접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접이식 왜건이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왜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버를 제외한 도 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후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제2 프레임과 제1 바퀴 및 브레이크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접이식 왜건이 접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접이식 왜건이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왜건(1)은,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부(10)와, 지지 프레임부(10)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부(20)와, 상부 프레임부(2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지지 프레임부(10)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부(30)와,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40)와, 지지 프레임부(10)와 상부 프레임부(20) 및 하부 프레임부(30)를 감싸는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이식 왜건(1)이 영아 또는 유아를 탑승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접이식 왜건(1)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캠핑을 위한 여러 가지 짐을 싣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부(10)는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핸들(110)과, 핸들(110)을 지지하는 핸들 설치바(120)와, 하부 프레임부(30)와 결합되는 제1 프레임(130)과, 핸들 설치바(120) 및 제1 프레임(130)을 연결하는 연결부(140)와, 연결부(1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프레임(150)과, 핸들 설치바(120)에 결합되는 차양 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10)은 사용자가 접이식 왜건(1)을 이동 시키기 위해 잡는 부분으로제공된다. 핸들(110)은 설정 길이를 갖는 중간 부분의 양측 단부가 중간 부분에 대해 구부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110)은 'ㄷ'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접이식 왜건(1)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110)은 접이식 왜건(1)의 가장 높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접이식 왜건(1)의 높이 방향은 y 방향이고, 길이 방향은 x 방향이며, 폭 방향은 z 방향을 의미한다(도 2 참조). 사용자는 핸들(110)을 밀거나 당기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핸들(110)은 핸들 설치바(12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핸들 설치바(120)는 복수개 제공되어 핸들(1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측은 핸들(110)과 결합되고, 타측은 연결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 설치바(120)의 일측은 핸들(110)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110)의 양 끝단과 핸들 설치바(120)의 일단이 동일한 직경의 원 형상을 가져 겹쳐지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이때, 핸들(110)의 양 끝단과 핸들 설치바(120)의 각 일단은 별도의 결합부재(121)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핸들(110)은 결합부재(121)를 축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핸들 설치바(120)의 타단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 설치바(120)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타단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제공되어 제1 프레임(130)에 대응될 수 있다. 핸들 설치바(120)의 타단 형상 및 제1 프레임(120)의 관계는 후술하겠다.
한편, 핸들 설치바(120)는 잠금부재(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재(122)는 핸들 설치바(120) 하단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핸들 설치바(120)의 일부를 감싸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잠금부재(122)는 핸들 설치바(120)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잠금부재(122)는 상부 프레임부(20)와 연결되는 부분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는 잠금부재(122)를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잠금부재(122)는 버튼(12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버튼(122a)의 작동에 따라 핸들 설치바(120)의 하단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왜건(1)을 접을 때, 사용자는 버튼(122a)을 누른 채로 제1 프레임(130)과 인접한 방향에 위치되는 핸들 설치바(120)의 일측 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잠금부재(120)의 작동에 따라 핸들 설치바(120)의 하단부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잠금부재(120)를 통해, 핸들 설치바(120)를 길이 방향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핸들 설치바(120)는 상단 및 하단 사이의 길이가 가변 가능한 2중관 구조로 제공되고, 잠금부재(120)를 통해 하단부를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30)과 인접한 방향에 위치되는 핸들 설치바(120)의 일측 단부에는 연장부재(123)가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재(123)는 핸들 설치바(1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핸들 설치바(120)의 하단부에 연장되는 것으로서, 일부가 연결부(140)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재(123)는 단면적이 핸들 설치바(120)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고,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를 통해 핸들 설치바(12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123)는 제1 프레임(130)의 일단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122a)의 작동으로 인해 핸들 설치바(120)의 하단부의 위치가 변경될 때, 연장부재(123)가 제1 프레임(130)에 의해 핸들 설치바(12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연장부재(123)와 제1 프레임(130)의 작동 관계는 후술하겠다.
제1 프레임(130)은 핸들 설치바(1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30)은 하부 프레임부(3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핸들 설치바(120)의 연장부재(123)에 의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130)의 일단은 연장부재(123)의 타단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고, 연장부재(123)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30)은 핸들 설치바(120)와 같이 2개가 설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되고, 하부 프레임부(30)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30)의 일측은 덮개부재(131)가 제공될 수 있다. 덮개부재(131)는 연결부(140)의 일부를 덮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프레임(130)과 연결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30)에는 접힘 상태를 유지하는 체결부재(132)와, 체결부재(132)에 끼움 결합되는 제1 걸림부재(133)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132)의 일측은 제1 프레임(13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공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홈(132a)을 통해 제1 걸림부재(133)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레임(130)의 상단부 일측에 제1 걸림부재(133)가 제공될 수 있고, 제1 걸림부재(133)와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프레임(130)의 하단부 일측에 체결부재(132)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2)의 홈(132a) 중 어느 하나가 제1 걸림부재(133)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핸들 설치바(120) 및 제1 프레임(130)은 연결부(1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연장부재(123)의 일부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바디(141)와, 바디(141)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142)와, 바디(14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143)와, 바디(14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결부(144)와, 바디(141)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제2 걸림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41)는 내부가 빈 형태로써, 원형 단면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142), 제2 연결부(143) 및 제3 연결부(144)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바디(141)와 제1 연결부(142), 제2 연결부(143) 및 제3 연결부(14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연결부(14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바디(141)와 제1 연결부(142), 제2 연결부(143) 및 제3 연결부(144)는 각각 별도로 제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42)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어, 핸들 설치바(12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142)는 핸들 설치바(120)가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핸들 설치바(12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홀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 설치바(120)는 제1 연결부(142)를 관통하여 바디(141)의 내부까지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부(142)의 일측 단부가 바디(14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디(141)의 하방으로는 제2 연결부(143)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43)는 제1 프레임(13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 프레임(130)의 일측 단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1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부가 노출된 연장부재(123)의 타단과 제1 프레임(130)의 일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제1 프레임(130)의 후면에 제2 연결부(143)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30)의 전면에 덮개부재(131)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30)의 상단부는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연장부재(123)의 타단에 의해 제한되고, 타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2 연결부(143)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131)는 제2 연결부(143)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40)와 덮개부재(131)를 통해 연장부재(123)와 제1 프레임(130)이 임의의 방향으로 틀어져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30)의 전면은 x축 방향이고, 후면은 전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도 2 참조). 제2 연결부(143)는 제1 프레임(130)을 사이에 두고 덮개부재(131)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프레임(130)이 연결부(1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핸들 설치바(120)의 이동에 따라 제1 프레임(130) 및 연결부(140)가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프레임(130) 및 연결부(140)의 분리는 후술하겠다.
바디(141)의 후방으로는 제3 연결부(144)가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제3 연결부(144)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제2 프레임(150)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결합부재를 축으로 하여 제2 프레임(150)이 회동될 수 있다.
바디(141)의 일측에는 제2 걸림부재(145)가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왜건(1)이 접힐 경우, 제2 걸림부재(145)는 체결부재(132)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걸림부재(145)는 체결부재(132)의 홈(132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부재(132)가 회동하여 홈(132a)이 제2 걸림부재(145)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50)은 하부 프레임부(30) 및 이동부(4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연결부(1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150)은 접이식 왜건(1)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1 프레임(130)와의 사이에 일정 각도가 유지되도록 연결부(140)에 고정될 수 있고, 접이식 왜건(1)이 접힐 경우에는 제1 프레임(130)의 회동에 따라 연결부(140)의 제3 연결부(144)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한편, 핸들 설치바(120)는 차양 프레임(160)과 결합될 수 있다. 차양 프레임(160)은 커버(50)의 일부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 차양 프레임(161)과, 제1 차양 프레임(161) 보다 하방에 제공되는 제2 차양 프레임(162)과, 제2 차양 프레임(16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제공되는 제3 차양 프레임(1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차양 프레임(161)은 제1 연결부재(161a)를 통해 핸들 설치바(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제2 차양 프레임(162)은 제2 연결부재(162a)를 통해 핸들 설치바(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161a) 및 제2 연결부재(162a)의 사이에 핸들 설치바(120)의 잠금부재(122)가 제공될 수 있다. 차양 프레임(151)의 구체적인 역할은 후술하겠다.
핸들 설치바(120)는 상부 프레임부(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20)는 커버(5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핸들 설치바(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부(20)는 핸들 설치바(1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상부 프레임(210)과, 제1 상부 프레임(21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상부 프레임(220) 및 제3 상부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프레임(210)은 'ㄷ'자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핸들 설치바(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이식 왜건(1)이 고정될 경우에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접이식 왜건(1)이 접힐 경우에는 회동되어 핸들 설치바(120)와 겹쳐질 수 있다. 제1 상부 프레임(210)에서 서로 나란하게 되는 부분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는 핸들 설치바(120)가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작게 제공되어, 제1 상부 프레임(210)은 핸들 설치바(120)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부 프레임(210)의 일단에는 제2 상부 프레임(22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부 프레임(220)은 일단이 제1 상부 프레임(210)과 대응되도록 'ㄷ'자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부 프레임 회전축(221)에서 제1 상부 프레임(2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왜건(1)이 접힐 경우에는, 제2 상부 프레임(220)이 제1 상부 프레임(210) 측으로 회동하여 제1 상부 프레임(210)과 겹쳐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 회전축(221)은 핸들 설치바(12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프레임(210)의 일측에는 제3 상부 프레임(23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 상부 프레임(230)은 후술할 수납 커버(530)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 상부 프레임(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접이식 왜건(1)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상부 프레임부(20)는 하부 프레임부(30)와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30)는 제1 프레임(130) 및 제2 프레임(150)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 프레임부(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부(30)는 제2 프레임(150)과 결합되는 제1 하부 프레임(310)과, 제1 하부 프레임(310) 및 제1 프레임(130)과 결합되는 제2 하부 프레임(320)과, 접이식 왜건(1)이 접힐 때 지지 프레임부(10)와 상부 프레임부(20) 및 하부 프레임부(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고정 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310)은 제2 프레임(15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ㄷ'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왜건(1)이 접힐 경우에는 제1 하부 프레임(310)이 회동하여 핸들 설치바(120)와 겹쳐질 수 있다. 이때, 제1 하부 프레임(310)은 제1 프레임(130) 및 제2 프레임(150)의 회전에 따라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프레임(310)은 복수의 제1 받침부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부재(311)는 제1 하부 프레임(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커버(5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받침부재(311)가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1 받침부재(31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받침부재(311)는 제1 하부 프레임(310)에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310)의 일단에는 제2 하부 프레임(32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부 프레임(320)은 일단이 제1 하부 프레임(310)의 일단에 대응되도록 'ㄷ'자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 회전축(321)에서 제1 하부 프레임(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부 프레임(320)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된 양측 단부의 일 지점에서 제1 프레임(130)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핸들 설치바(120)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제1 프레임(130)이 구속 상태에서 풀려, 자유단 상태가 되면, 제2 하부 프레임(320)은 제1 하부 프레임(310)에 맞닿도록 회동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 회전축(321)은 하부 프레임부(30)가 제1 프레임(130) 및 제2 프레임(15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의 사이에 위치된다. 제2 하부 프레임(320)은 제1 하부 프레임(310)과 반대쪽에 위치된 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면서 회전 되는 형태로 하부 프레임 회전축(3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왜건(1)이 펼쳐진 상태일 때, 하부 프레임부(30)에 작용하는 힘은 하부 프레임부(30)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로 제공되어, 하부 프레임부(30)는 팽팽하게 펼쳐진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프레임(320)은 복수의 제2 받침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받침부재(321)는 제2 하부 프레임(3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제1 받침부재(311)와 같은 역할일 수 있다. 또한, 제2 받침부재(321)는 제2 받침부재(311)와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310)의 일측에는 고정 프레임(330)이 제공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30)은 제1 하부 프레임(31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고정 프레임(330)은 양측 단부가 제2 프레임(150) 내측에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어, 제2 프레임(150) 및 제1 하부 프레임(310)과 회동하면,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왜건(1)이 접혀서 크기가 최소화되면, 고정 프레임(330)이 핸들 설치바(120) 및 하부 프레임부(30)이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접이식 왜건(1)은 구동부(4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부(30)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1 바퀴(410)와, 하부 프레임부(30)의 전면에 제공되는 제2 바퀴(420)와, 제2 바퀴(420)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바퀴 하우징(430)과,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왜건(1)은 제1 바퀴(410) 및 제2 바퀴(42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제1 바퀴(410)는 회전이 불가능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만 접이식 왜건(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바퀴(420)는 하부 프레임부(3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을 통해 접이식 왜건(1)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하고자 하는 경우, 제2 바퀴(420)에 의해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2 바퀴(420)는 바퀴 하우징(430)을 통해 하부 프레임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퀴 하우징(430)은 제2 바퀴(420)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제2 바퀴(420)를 분리시키는 분리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분리부재(431)를 제어함으로써, 바퀴 하우징(430)에서 제2 바퀴(4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바퀴(410)는 브레이크부재(440)와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부재(440)는 제1 바퀴(410)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 바퀴(4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기어(441)와, 제2 프레임(150)과 연결되는 제1 제동부재(442)와, 제1 제동부재(442)와 연결되고 기어(441)와 결합되는 제2 제동부재(443)와, 복수의 제2 제동부재(443) 사이에 제공되는 회전축(4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동부재(443)는 기어(441)에 대응되는 크기의 돌기(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기(미표기)는 제1 바퀴(41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돌기(미표기)는 기어(441)의 일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이동 중이던 접이식 왜건(1)의 이동을 멈추기 위해서는, 회전축(444)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회전축(444)을 발로 밟음으로써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때, 브레이크부재(440)는 풋 브레이크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축(444)에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제동부재(442) 및 제2 제동부재(44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제동부재(430)의 돌기(미표기)가 기어(441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바퀴(410)가 정지되어 접이식 왜건(1)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부(10)와 상부 프레임부(20) 및 하부 프레임부(30)에는 커버(50)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50)는 왜건(10)의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커버(510)와,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 커버(520)와, 별도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 커버(530)와, 안착 커버(510)와 연결되는 받침부재(540)와, 안착 커버(50)와 하부 프레임부(30)을 결합하는 고정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커버(510)는 상부 프레임부(20) 및 하부 프레임부(30)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 커버(510)는 영아 또는 유아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부 프레임부(20) 및 하부 프레임부(30)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안착 커버(510)는 개방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개방부(미표기)를 개방하여 상부 프레임부(20)를 감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착 커버(510)와 상부 프레임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미표기)는 지퍼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손쉽게 상부 프레임부(20)과 안착 커버(510)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다만, 개방부(미표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방부(미표기)는 벨크로, 스냅 단추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착 커버(510)는 고정 부재(550)를 통해 하부 프레임부(3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자세한 결합 방법은 후술하겠다.
차양 프레임(160)은 차양 커버(520)와 결합될 수 있다. 차양 커버(520)는 안착 커버(510)의 상부에 제공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제1 차양 프레임(161), 제2 차양 프레임(162) 및 제3 차양 프레임(163)을 모두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차양 커버(520)는 안착 커버(510)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 커버(510)에 있는 영아 또는 유아를 향한 햇빛이 차단될 수 있다.
차양 커버(520)는 플렉시블한 천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차양 프레임(161), 제2 차양 프레임(162) 및 제3 차양 프레임(163)의 회동에 따라 접힐 수 있다. 따라서, 햇빛을 차단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차양 프레임(160)을 회동시켜 차양 커버(520)를 핸들 설치바(12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안착 커버(510)의 후면에는 수납 커버(530)가 제공될 수 있다. 수납 커버(530)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3 상부 프레임(230)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지품 등을 수납 커버(530)의 내측에 보관할 수 있다.
안착 커버(510)는 고정부재(550)를 통해 받침부재(540) 및 하부 프레임부(30)와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재(540)는 안착 커버(510)의 내부에 하나 이상 제공되는 것으로서, 안착커버(510) 내부의 영아 및 유아가 기댈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재(540)는 등받이 쿠션일 수 있으며, 안착커버(510)에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 커버(510)에 2명의 영아 또는 유아가 각각의 받침부재(540)에 기대어 편안히 탑승할 수 있다.
고정부재(550)는 안착 커버(510)와 하부 프레임부(3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부(30)를 감싸는 제1 고정부재(551)와, 제1 고정부재(551)에 대응되는 제2 고정부재(552)와, 제1 고정부재(551) 및 제2 고정부재(552)를 결합하는 제3 고정부재(553)와, 받침부재(540)와 연결되는 제4 고정부재(554)와, 제4 고정부재(554) 및 제2 고정부재(552)를 결합하는 제5 고정부재(55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551)와 제2 고정부재(552)는 각각 일측이 안착 커버(510)에 고정되고, 소정 길이로 연장된 것으로서, 끈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부재(551)는 상부 프레임부(20)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고, 제2 고정부재(552)는 하부 프레임부(30)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재(551)와 제2 고정부재(552)는 제3 고정부재(553)를 통해 상부 프레임부(20) 및 하부 프레임부(30)의 사이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3 고정부재(553)는 버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안착 커버(510)와 상부 프레임부(20) 및 하부 프레임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제3 고정부재(553)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551)와 제2 고정부재(552) 및 제3 고정부재(553)를 통해 안착 커버(510)와 하부프레임부(30)가 결합된 후, 받침부재(540)는 제4 고정부재(554) 및 제5 고정부재(555)를 통해 안착커버(510)의 소정 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재(540)의 일측은 안착 커버(5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받침부재(540)의 또 다른 일측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제4 고정부재(554)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받침부재(540)는 안착 커버(510)의 상단부에 제4 고정부재(554)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받침부재(540)의 하단부가 안착 커버(510)의 바닥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4 고정부재(554)는 제5 고정부재(555)를 통해 제2 고정부재(552)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고정부재(554)가 안착 커버(510)의 내측에 제공된 받침부재(540)에서 안착 커버(51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4 고정부재(554)는 제1 고정부재(551)와 일측이 결합된 제2 고정부재(552)의 타측과 제5 고정부재(555)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4 고정부재(554)는 제1 고정부재(551) 및 제2 고정부재(552)와 같은 끈 형태일 수 있고, 제5 고정부재(555)는 제3 고정부재(553)와 같은 버클일 수 있으나, 제4 고정부재(554) 및 제5 고정부재(555)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왜건(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접이식 왜건(1)을 접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1 걸림부재(133)에서 체결부재(132)를 분리한 후, 핸들(110)을 핸들 설치바(120)에서 A 방향(도 2 참조)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110)은 핸들 설치바(120)와 겹쳐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상부 프레임(320)을 제1 상부 프레임(310)에서 B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상부 프레임(310)을 C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부(20)는 접힌 상태에서 핸들 설치바(120)와 겹쳐질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 설치바(120)의 잠금부재(122)의 버튼(122a)을 누르면서 핸들 설치바(120)를 잡아당길 수 있다. 즉, 핸들 설치바(120)의 하단부가 D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핸들 설치바(120)가 이동됨에 따라 핸들 설치바(120)와 인접한 제1 프레임(130)의 일단은 자유단 상태가 되고, 연결부(140)와 덮개부재(131)가 분리되면서 제1 프레임(130)이 E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프레임(130)의 일단이 자유단 상태가 됨에 따라, 제2 프레임(150)은 연결부(140)를 축으로 F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부(20) 및 하부 프레임부(30)는 도 7과 같이, 핸들 설치바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접힐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132)를 통해 접이식 왜건(1)의 접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132)의 홈(132a) 중 어느 하나를 제2 걸림부재(145)에 끼움 결합하여 상부 프레임부(20) 및 하부 프레임부(3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체결부재(132)는 제1 바퀴(410) 및 제2 바퀴(420)가 하부 프레임부(30)에서 분리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홈(13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퀴(410) 및 제2 바퀴(420)가 하부 프레임부(3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접이식 왜건(1)이 접히면, 제1 바퀴(410) 및 제2 바퀴(4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접혔을 때에 비해 상하로 더 작은 폭을 갖도록 접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식 왜건(1)이 상이한 폭을 가지고 접힐 수 있음에 따라, 체결부재(132)는 복수의 홈(132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일측 단부와 제2 걸림부재(145)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면서 제2 걸림부재(145)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접이식 왜건(1)은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보관이 용이할 수 있으며,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왜건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접이식 왜건
10: 지지 프레임부 20: 상부 프레임부
30: 하부 프레임부 40: 구동부
50: 커버

Claims (10)

  1. 접이식 왜건으로서,
    상기 접이식 왜건의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부;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부;
    상기 접이식 왜건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핸들;
    상기 핸들을 지지하는 핸들 설치바;
    상기 하부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핸들 설치바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설치바의 일단은 상기 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핸들 설치바의 타단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핸들 설치바의 타단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핸들 설치바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되어 회동이 제한되며,
    상기 연결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핸들 설치바의 일부가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 설치바의 일부는 상기 제1 연결부를 관통한 후 상기 바디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접이식 왜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핸들 설치바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과 대응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후면이 지지되는
    접이식 왜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면에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접이식 왜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부는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상기 핸들 설치바의 타단에 의해 제한되고, 타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핸들 설치바와 상기 제1 프레임이 임의의 방향으로 틀어져 분리되는 것은 상기 덮개부재를 통해 제한되는
    접이식 왜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설치바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핸들 설치바와 인접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이 자유단 상태가 되고,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가 분리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이 회동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3 연결부를 축으로 회동하는
    접이식 왜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왜건의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커버;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안착 커버의 상부에 제공되는 차양 커버; 및
    상기 안착 커버의 후면에 제공되고, 별도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커버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제공되는
    접이식 왜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바퀴;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바퀴;
    상기 제2 바퀴를 감싸고, 상기 제2 바퀴가 분리 가능한 바퀴 하우징; 및
    상기 제1 바퀴에 결합되고,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왜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재는 풋브레이크로 제공되는
    접이식 왜건.


KR1020180020681A 2018-02-21 2018-02-21 접이식 왜건 KR10187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81A KR101877557B1 (ko) 2018-02-21 2018-02-21 접이식 왜건
PCT/KR2019/000889 WO2019164136A1 (ko) 2018-02-21 2019-01-22 접이식 왜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81A KR101877557B1 (ko) 2018-02-21 2018-02-21 접이식 왜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429A Division KR101923732B1 (ko) 2018-02-21 2018-07-05 접이식 왜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557B1 true KR101877557B1 (ko) 2018-07-11

Family

ID=6291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681A KR101877557B1 (ko) 2018-02-21 2018-02-21 접이식 왜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5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38B1 (ko) * 2019-04-03 2020-04-03 주식회사 제이엠아이엔티엘 유아용 웨건
KR102176728B1 (ko) * 2020-05-06 2020-11-09 주식회사 세이프웨이 폴딩형 유모차
KR200492926Y1 (ko) * 2019-07-31 2021-01-06 시잉 저우 실외 유모차의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839A (ko) * 2015-04-03 2016-10-12 임재무 접이식 왜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839A (ko) * 2015-04-03 2016-10-12 임재무 접이식 왜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38B1 (ko) * 2019-04-03 2020-04-03 주식회사 제이엠아이엔티엘 유아용 웨건
WO2020204643A1 (ko) * 2019-04-03 2020-10-08 주식회사 제이엠아이엔티엘 유아용 웨건
KR200492926Y1 (ko) * 2019-07-31 2021-01-06 시잉 저우 실외 유모차의 구조
KR102176728B1 (ko) * 2020-05-06 2020-11-09 주식회사 세이프웨이 폴딩형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5487B2 (en) Compact foldable stroller with one-handed fold control
JP6790059B2 (ja) 折り畳み式ワゴン
CN111907578B (zh) 多人座婴幼儿推车
US8505956B2 (en) Stroller
US20170158219A1 (en) Stroller with telescopic and locking members
KR101877557B1 (ko) 접이식 왜건
EP3105112B1 (en) A foldable vehicle
RU2506187C2 (ru) Складная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US20080179848A1 (en) Adjustable carrying device for a people carrier, such as a perambulator or stroller
KR20210008465A (ko) 슬라이딩 캐리지를 구비한 탠덤 유모차
US10974754B2 (en) Baby carriage with storage basket and canopy
EP3831247A1 (en) Collapsible carry cot
JPH072117A (ja) 車両用安全シート兼用乳母車
KR101923732B1 (ko) 접이식 왜건
CN104768834A (zh) 折叠式婴儿车
KR20100025835A (ko) 시트 분리형 유모차
US11945492B2 (en) Rolling folding frame with simultaneously deployable handle and wheelbase
US20080185029A1 (en) Fold-up canopy for a people carrier, such as a perambulator or stroller
KR20060054073A (ko) 유모차 및 그 차양
KR102488863B1 (ko) 커버, 유모차용 수납 주머니 부착 커버 및 유모차
JP4279969B2 (ja) 携帯ベビーカー
JP6283421B2 (ja) 新生児を運ぶのに適した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TWI805154B (zh) 車架鎖定機構及具有該車架鎖定機構的手推車
US11472462B1 (en)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JP7509985B1 (ja) カ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