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838B1 - 유아용 웨건 - Google Patents
유아용 웨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5838B1 KR102095838B1 KR1020190038977A KR20190038977A KR102095838B1 KR 102095838 B1 KR102095838 B1 KR 102095838B1 KR 1020190038977 A KR1020190038977 A KR 1020190038977A KR 20190038977 A KR20190038977 A KR 20190038977A KR 102095838 B1 KR102095838 B1 KR 102095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rotating
- seat
- bracket
- wheel connec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를 싣고 이동할 수 있는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영유아가 탑승하며, 양측면의 중앙부위가 절첩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를 하부, 전단면과 후단면, 및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웨건의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와 연결되며 운전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밀대 프레임과, 상기 밀대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밀대 프레임이 회전 시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바닥프레임을 절첩시키는 회동 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위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전단 및 후단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차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프레임은 상기 밀대 프레임의 회동프레임에 의해 중앙부위를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이 하부로 절첩되고,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밀대 프레임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회동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밀대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1회동 프레임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 프레임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회동 프레임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회동 프레임 및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소켓에 의해 상기 밀대 프레임이 회전 시 상기 제1회동 프레임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이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바닥프레임을 절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웨건을 제공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밀대 프레임을 회전시키면 밀대 프레임에 연결된 회동 프레임이 바닥프레임을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바닥프레임을 간편하게 절첩시킴으로서 전체적인 웨건의 형상을 간편하게 절첩시킬 수 있고, 절첩 시 절첩되는 두께를 얇게 하여 수납공간 및 보관공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밀대 프레임을 회전시키면 밀대 프레임에 연결된 회동 프레임이 바닥프레임을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바닥프레임을 간편하게 절첩시킴으로서 전체적인 웨건의 형상을 간편하게 절첩시킬 수 있고, 절첩 시 절첩되는 두께를 얇게 하여 수납공간 및 보관공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보관 및 수납 시 부피를 축소시켜 협소한 공간에 용이하게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는 유아용 웨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6778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유모차에 비해 수납공간이 넉넉히 구비되고 보호자 혼자서도 2~3명의 유아를 태우고 외출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손수레 형식의 유아용 웨건은 어린 자녀를 둔 부모의 입소문을 타고 빠르게 보편화되어 유아용 이동수단으로서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유아용 웨건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유아용 웨건은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절첩 가능한 유아용 웨건이 개발되었으나 절첩 시 전체적인 두께가 두껍고 유아용 웨건을 접첩시키는 절차가 복잡하여 웨건을 절첩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웨건을 절첩시키기 위해 손잡이가 구비되는 밀대 프레임을 회전 시 밀대 프레임에 연결된 회동 프레임에 의해 바닥프레임의 연결 브라켓을 상부로 밀어올려 바닥프레임 및 바닥프레임과 연결되는 시트프레임이 절첩되도록 하여 웨건을 간편하게 절첩하면서 절첩 시 절첩되는 두께를 얇게 하여 수납공간 및 보관공간을 줄일 수 있는 유아용 웨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유아를 싣고 이동할 수 있는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영유아가 탑승하며, 양측면의 중앙부위가 절첩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를 하부, 전단면과 후단면, 및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웨건의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와 연결되며 운전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밀대 프레임과, 상기 밀대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밀대 프레임이 회전 시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바닥프레임을 절첩시키는 회동 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위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전단 및 후단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차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프레임은 상기 밀대 프레임의 회동프레임에 의해 중앙부위를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이 하부로 절첩되고,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밀대 프레임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회동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밀대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1회동 프레임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 프레임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회동 프레임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회동 프레임 및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소켓에 의해 상기 밀대 프레임이 회전 시 상기 제1회동 프레임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이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바닥프레임을 절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웨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위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단을 연결하며 상기 차륜부의 전륜 바퀴가 구비되는 전륜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차륜부의 후륜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상기 회전 소켓은 상기 시트부의 양측면에 이격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회전 소켓과, 상기 제1회전 소켓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 소켓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 소켓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회동 프레임 및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이 회전하는 회전 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시트부의 전단과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이 회전 시 상기 시트부의 전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시켜 절첩시키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위와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 및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시트부의 양측면에 이격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 브라켓과, 상기 제1회전 브라켓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부의 전단과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 브라켓과 상기 제2회전 브라켓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은 밀폐된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과 전륜 연결 막대에 의해 연결되는 전단 바닥 프레임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과 후륜 연결 막대에 의해 연결되는 후단 바닥 프레임과,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연결 브라켓을 연결하는 브라켓 연결 막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은 상기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브라켓 연결 막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에 구비되어 이격되게 구비되는 후륜 바퀴를 연결하는 후륜 연결 막대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운전자가 하중을 가하면 회전하면서 상기 후륜 연결 막대를 회전시켜 상기 후륜 바퀴를 제동하는 풋 브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 브라켓에 "∧"자 형상을 가지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 브라켓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 및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프레임의 둘레면 및 하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밀폐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프레임은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제1시트프레임과, 상기 회전 브라켓과 상기 밀대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2시트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시트프레임은 상기 회동 프레임에 의해 상기 바닥프레임이 절첩 시에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이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절첩될 수 있고, 상기 제2시트프레임은 상기 회동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밀대 프레임이 회전 시 회전하면서 절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웨건은 운전자가 밀대 프레임을 회전시키면 밀대 프레임에 연결된 회동 프레임이 바닥프레임을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바닥프레임을 간편하게 절첩시킴으로서 전체적인 웨건의 형상을 간편하게 절첩시킬 수 있고, 절첩 시 절첩되는 두께를 얇게 하여 수납공간 및 보관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웨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에 시트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시트프레임에 장착된 밀폐부재 및 밀폐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밀폐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부의 밀폐부재와 밀폐판재를 부분 절개한 도면이다.
도 6은 밀폐부재를 탈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웨건이 절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륜 연결 프레임과 후륜 연결 프레임이 회전 브라켓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에 시트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시트프레임에 장착된 밀폐부재 및 밀폐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밀폐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부의 밀폐부재와 밀폐판재를 부분 절개한 도면이다.
도 6은 밀폐부재를 탈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웨건이 절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륜 연결 프레임과 후륜 연결 프레임이 회전 브라켓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웨건(100)은 영유아를 탑승시킨 후 간편하게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부(1100)와, 프레임부(1200)와, 차륜부(1300)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부(1100)는 영유아가 탑승하는 공간이고, 영유아가 탑승하지 않을 경우에는 물건을 실을 수 있으며, 상기 시트부(1100)는 프레임부(1200)에 의해 하부 및 측면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부(1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웨건(100)의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1100)를 지지하여 상기 시트부(1100)에 탑승하는 영유아 및 상기 시트부(1100)에 실리는 물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200)는 바닥프레임(1210), 밀대 프레임(1220), 회동 프레임(1230), 전륜 연결 프레임(1240), 후륜 연결 프레임(1250), 연결 프레임(1260), 회전 브라켓(1270)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프레임(1210)은 영유아가 탑승하거나 짐이 실리는 상기 시트부(1100)를 하부, 전단면과 후단면, 및 양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프레임(1210)은 밀폐된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닥프레임(1210)은 전단 바닥 프레임(1211), 후단 바닥 프레임(1212), 연결 브라켓(1213)을 포함하고, 브라켓 연결 막대(1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1211)은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전단에 위치하며, 후술되는 차륜부(1300)의 전륜 바퀴(1310)가 구비되는 전륜 연결 프레임(1240)과 전륜 연결 막대(1211a)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1212)은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후단에 위치하며, 후술되는 차륜부(1300)의 후륜 바퀴(1320)가 구비되는 후륜 연결 프레임(1250)과 후륜 연결 막대(1212a)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1211)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1212)는 연결 브라켓(12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1211)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1212)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1211)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1212)이 대응되게 위치함에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1210)이 밀폐된 사각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연결 브라켓(1213)은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1211)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1212)의 개방된 일측단의 양측에 구비되어 개방된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1211)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121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밀폐시키며,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연결 브라켓(1213)은 브라켓 연결 막대(121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1211)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1212)은 상기 연결 브라켓(1213)에 의해 상기 연결 브라켓(1213)을 연결하는 상기 브라켓 연결 막대(121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되거나 펼쳐지게 된다.
상기 바닥프레임(1210)은 풋 브레이크(12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풋 브레이크(1215)는 후륜 연결 프레임(1250)에 구비되어 이격되게 구비되는 후륜 바퀴(1320)를 연결하는 후륜 연결 막대(1322)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운전자가 하중을 가하면 회전하면서 상기 후륜 연결 막대(1322)를 회전시켜 상기 후륜 바퀴(1320)를 제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풋 브레이크(1215)는 운전자가 하중을 가해 가압하면 상기 후륜 연결 막대(1322)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후륜 연결 막대(1322)의 양단에 구비되는 멈출돌기(미도시)가 상기 후륜 바퀴(320)의 회전방향 원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후륜 바퀴(320)가 제동되게 된다.
상기 바닥프레임(1210)은 회동 프레임(1230)에 의해 상기 연결 브라켓(1213)에 연결되는 전단 바닥 프레임(1211)과 후단 바닥 프레임(1212)가 회전하면서 절첩되며, 상기 회동 프레임(1230)은 상기 시트부(1100)와 연결되고 운전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220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밀대 프레임(1220)과 연결된다.
상기 밀대 프레임(1220)을 운전자가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밀대 프레임(1220)에 연결된 상기 회동 프레임(1230)이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 브라켓(1213)을 상부로 밀려올려 상기 바닥프레임(1210)을 절첩시키게 된다.
상기 시트부(1100)의 중앙부위와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전단은 전륜 연결 프레임(124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에는 차륜부(1300)의 전륜 바퀴(1310)가 구비된다.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과 대응되게 상기 시트부(1100)의 중앙부위와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후단은 후륜 연결 프레임(125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후륭 연결 프레임(1250)에는 후륜 바퀴(1320)가 구비되며, 상기 전륜 바퀴(1310)과 상기 후륜 바퀴(1320)에 의해 상기 차륜부(1200)가 이동되게 된다.
상기 밀대 프레임(1220)이 회전 시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상기 회동 프레임(123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부로 절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밀대 프레임(1220)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상기 회동 프레임(1230)은 제1회동 프레임(1231), 제2회동 프레임(1232), 및 회전 소켓(1233)을 포함하며, 회전 소켓(1233)은 제1회전 소켓(1233a), 제2회전 소켓(1233b)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동 프레임(1231)은 일단이 상기 밀대 프레임(1220)에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 프레임(1231)의 타단에는 제2회동 프레임(123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회동 프레임(1232)는 상기 제1회동 프레임(1231)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1250)에는 회전 소켓(1233)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 소켓(1233)은 상기 제1회동 프레임(1231)과 제2회동 프레임(1232)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12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회전 소켓(1233)에 의해 상기 밀대 프레임(1220)이 회전 시 상기 제1회동 프레임(1231)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동 프레임(1232)를 회전시켜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바닥프레임(1210)을 절첩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 소켓(1233)은 상기 시트부(1100)의 양측면에 이격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 소켓(1233a)은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1250)에 장착되고, 상기 제2회전 소켓(1233b)은 상기 제1회전 소켓(1233a)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 프레임(1231)과 상기 제2회동 프레임(1232)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 소켓(1233a)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둘레면에는 상기 제1회동 프레임(1231) 및 제2회동 프레임(1232)이 회전하는 회전 장홈(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대 프레임(1220)이 회전 시 상기 제1회동 프레임(1231) 및 제2회동 프레임(1232)이 상기 회전 장홈(미도시)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동 프레임(1232)이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바닥프레임(1210)을 절첩시키게 된다.
상기 시트부(1100)의 전단과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은 연결 프레임(126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1260)은 상기 바닥프레임(1210)이 절첩 시 상기 시트부(110)의 전단을 회전시켜 절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부(1100)의 중앙부위와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 및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1250)은 회전 브라켓(127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 브라켓(1270)은 상기 시트부(1100)의 양측면에 이격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대 프레임(1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시트부(1100)의 후단은 상기 밀대 프레임(1220)이 회전 시 후륜 바퀴(1320)가 구비되는 하측으로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밀대 프레임(1220)에 회전 시 상기 밀대 프레임(1220)에 연결되는 회동 프레임(1230)이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양단이 하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바닥프레임(1210)에 양단에 연결되는 상기 전단 연결 프레임(1240)과 상기 후단 연결 프레임(1250)은 밀착되게 회전하며, 상기 전단 연결 프레임(124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시트부(1100)의 전단이 전륜 바퀴(1310)가 구비되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시트부(1100)가 절첩되게 된다.
상기 회전 브라켓(1270)은 제1회전 브라켓(1271), 제2회전 브라켓(127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 브라켓(1271)은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125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2회전 브라켓(1272)은 상기 제1회전 브라켓(1271)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1100)의 전단과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시트부(1100)를 밀폐된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제1회전 브라켓(1271)과 상기 제2회전 브라켓(1272)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1250)은 상기 제1회전 브라켓(1271)에 "∧"자 형상을 가지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 브라켓(1271)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회전 브라켓(1271)의 둘레면 하부에는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 및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125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부(1100)는 시트프레임(1110)과, 밀폐부재(1120)와, 밀폐판재(1130)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프레임(1110)은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부(1200)의 밀대 프레임(1220)과 회전 브라켓(1270)에 연결된다.
상기 밀폐부재(1120)는 상기 시트프레임(1110)에 장착되고, 상기 밀폐부재(1120)에 의해 상기 시트프레임(1110)의 둘레면 및 하부가 밀폐되게 된다. 상기 밀폐부재(1120)에는 후크(H)가 구비되며, 상기 후크(H)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120)가 상기 시트프레임(110)에 간편하게 장착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프레임(1120)에는 상기 프레임부(1200)에 상기 시트프레임(1110)을 고정하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부(1200)의 밀대 프레임(1220)에는 상기 시트프레임(1110)이 안착되며 상기 고정홈(미도시)과 밀착되는 안착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프레임(1110)은 제1시트프레임(1111)과, 제2시트프레임(1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시트프레임(1111)은 상기 연결 브라켓(1213)과 상기 회전 브라켓(127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시트프레임(1112)는 상기 회전 브라켓(1270)과 상기 밀대 프레임(1220)에 지지된다. 상기 제1시트프레임(1111)은 상기 회동 프레임(1230)에 의해 상기 바닥프레임(1210)이 절첩 시에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이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절첩되고, 상기 제2시트프레임(1112)은 상기 회동 프레임(12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밀대 프레임(1220)이 회전 시 회전하면서 절첩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밀폐부재(1120)의 하부면에는 밀폐판재(1130)이 구비되고, 상기 밀폐판재(1130)는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영유아 및 짐을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상부에 원활하게 탑승하게 하거나 실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폐판재(1130)는 중앙부에 힌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바닥프레임(1210)이 절첩 시 함께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웨건(100)이 절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손잡이(1220a)가 구비되는 밀대 프레임(1220)을 회동시키면 상기 밀대 프레임(1220)에 연결된 회동 프레임(1230)이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바닥프레임(1210)이 절첩되게 된다.
상기 바닥프레임(1210)이 절첩되면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전단에 연결된 전륜 연결 프레임(1240)과 상기 바닥프레임(1210)의 후단에 연결된 후륜 연결 프레임(1240) 역시 절첩되면서 밀착되게 된다.
상기 밀대 프레임(1220)이 회동 시 상기 밀대 프레임(1220)에 연결된 제2시트프레임(111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이 회전 시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1240)에 연결된 상기 제1시트프레임(1111) 역시 회전하면서 절첩되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웨건(100)이 부피가 축소되면서 절첩되는 동작이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밀대 프레임(1220)을 회전시키면 밀대 프레임(1220)에 연결된 회동 프레임(1230)이 바닥프레임(1210)을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바닥프레임(1210)을 간편하게 절첩시킴으로서 전체적인 웨건의 형상을 간편하게 절첩시킬 수 있고, 절첩 시 절첩되는 두께를 얇게 하여 수납공간 및 보관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유아용 웨건 1100 : 시트부
1110 : 시트프레임 1120 : 밀폐부재
1130 : 밀폐판재 1200 : 프레임부
1210 : 바닥프레임 1220 : 밀대 프레임
1230 : 회동 프레임 1240 : 전륜 연결 프레임
1250 : 후륜 연결 프레임 1260 : 연결 프레임
1270 : 회전 브라켓 1300 : 차륜부
1310 : 전륜 바퀴 1320 : 후륜 바퀴
1110 : 시트프레임 1120 : 밀폐부재
1130 : 밀폐판재 1200 : 프레임부
1210 : 바닥프레임 1220 : 밀대 프레임
1230 : 회동 프레임 1240 : 전륜 연결 프레임
1250 : 후륜 연결 프레임 1260 : 연결 프레임
1270 : 회전 브라켓 1300 : 차륜부
1310 : 전륜 바퀴 1320 : 후륜 바퀴
Claims (12)
- 영유아를 싣고 이동할 수 있는 유아용 웨건에 있어서,
영유아가 탑승하며, 양측면의 중앙부위가 절첩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를 하부, 전단면과 후단면, 및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웨건의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와 연결되며 운전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밀대 프레임과, 상기 밀대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밀대 프레임이 회전 시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바닥프레임을 절첩시키는 회동 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위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전단 및 후단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차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프레임은 상기 밀대 프레임의 회동프레임에 의해 중앙부위를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이 하부로 절첩되고,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밀대 프레임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회동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밀대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1회동 프레임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 프레임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회동 프레임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회동 프레임 및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소켓에 의해 상기 밀대 프레임이 회전 시 상기 제1회동 프레임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이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위를 상부로 밀어올려 상기 바닥프레임을 절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웨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위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단을 연결하며 상기 차륜부의 전륜 바퀴가 구비되는 전륜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차륜부의 후륜 바퀴가 구비되는 유아용 웨건.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소켓은 상기 시트부의 양측면에 이격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회전 소켓과,
상기 제1회전 소켓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 소켓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회동 프레임 및 상기 제2회동 프레임이 회전하는 회전 장홈이 형성되는 유아용 웨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시트부의 전단과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이 회전 시 상기 시트부의 전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시켜 절첩시키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위와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 및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시트부의 양측면에 이격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웨건.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 브라켓과,
상기 제1회전 브라켓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부의 전단과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 브라켓과 상기 제2회전 브라켓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웨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은 밀폐된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과 전륜 연결 막대에 의해 연결되는 전단 바닥 프레임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과 후륜 연결 막대에 의해 연결되는 후단 바닥 프레임과,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유아용 웨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연결 브라켓을 연결하는 브라켓 연결 막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단 바닥 프레임과 상기 후단 바닥 프레임은 상기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브라켓 연결 막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되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웨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은,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에 구비되어 이격되게 구비되는 후륜 바퀴를 연결하는 후륜 연결 막대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운전자가 하중을 가하면 회전하면서 상기 후륜 연결 막대를 회전시켜 상기 후륜 바퀴를 제동하는 풋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웨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과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 브라켓에 "∧"자 형상을 가지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 브라켓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 및 상기 후륜 연결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홈이 형성되는 유아용 웨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프레임의 둘레면 및 하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밀폐판재를 포함하는 유아용 웨건.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제1시트프레임과,
상기 회전 브라켓과 상기 밀대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2시트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시트프레임은 상기 회동 프레임에 의해 상기 바닥프레임이 절첩 시에 상기 전륜 연결 프레임이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절첩되고,
상기 제2시트프레임은 상기 회동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밀대 프레임이 회전 시 회전하면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웨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8977A KR102095838B1 (ko) | 2019-04-03 | 2019-04-03 | 유아용 웨건 |
PCT/KR2020/004540 WO2020204643A1 (ko) | 2019-04-03 | 2020-04-03 | 유아용 웨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8977A KR102095838B1 (ko) | 2019-04-03 | 2019-04-03 | 유아용 웨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5838B1 true KR102095838B1 (ko) | 2020-04-03 |
Family
ID=7028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8977A KR102095838B1 (ko) | 2019-04-03 | 2019-04-03 | 유아용 웨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5838B1 (ko) |
WO (1) | WO2020204643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7184A (ko) | 2020-11-17 | 2022-05-24 | 주식회사 제이엠아이엔티엘 | 접철식 웨건 |
US11472462B1 (en) | 2021-11-15 | 2022-10-18 | Bran-New International |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49973A (ja) * | 2014-08-29 | 2016-04-11 | ブライタックス チャイルド セイフティ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乳母車のための遊びなしヒンジ |
KR200483642Y1 (ko) * | 2016-12-21 | 2017-06-09 | 신진숙 | 유아용 웨건 |
KR101877557B1 (ko) * | 2018-02-21 | 2018-07-11 | 주식회사 에이케이 | 접이식 왜건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77062B2 (en) * | 2014-07-29 | 2018-09-18 | Veer Gear, Llc | Wagon with adapter for installing child seat |
US9145154B1 (en) * | 2014-09-19 | 2015-09-29 | Brian Horowitz | Folding wagon |
-
2019
- 2019-04-03 KR KR1020190038977A patent/KR1020958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4-03 WO PCT/KR2020/004540 patent/WO202020464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49973A (ja) * | 2014-08-29 | 2016-04-11 | ブライタックス チャイルド セイフティ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乳母車のための遊びなしヒンジ |
KR200483642Y1 (ko) * | 2016-12-21 | 2017-06-09 | 신진숙 | 유아용 웨건 |
KR101877557B1 (ko) * | 2018-02-21 | 2018-07-11 | 주식회사 에이케이 | 접이식 왜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7184A (ko) | 2020-11-17 | 2022-05-24 | 주식회사 제이엠아이엔티엘 | 접철식 웨건 |
US11472462B1 (en) | 2021-11-15 | 2022-10-18 | Bran-New International |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204643A1 (ko) | 2020-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84640B2 (en) | Foldable stroller | |
KR102095838B1 (ko) | 유아용 웨건 | |
CN102317138B (zh) | 婴儿车 | |
CN105480342B (zh) | 可折叠的儿童三轮车及其折叠方法 | |
KR102012369B1 (ko) | 유아용 웨건 | |
JP6008935B2 (ja) | 折り畳み式乳母車 | |
US9308929B1 (en) | Stroller | |
JP6175044B2 (ja) | 運搬車及びフレーム構造 | |
CN103796900B (zh) | 婴儿车用的车轮保持机构及婴儿车 | |
US8820776B2 (en) | Folding golf cart | |
JPH04503933A (ja) | 改良ベビーカー兼用ショッピング手押し車 | |
TW201236902A (en) | Baby carriage | |
EP1366988A1 (fr) | Coffre à bagages pour aéronef | |
JP2023512977A (ja) | 子供用ベビーカー | |
JP2019038362A (ja) | 自転車の吊下装置 | |
US7862054B2 (en) | Split occupant retention structure for strollers | |
CN211494195U (zh) | 一种可折叠车架 | |
JP3180446U (ja) | 自転車用折り畳みリヤカー | |
US20020195299A1 (en) | Stroller brake with supporting function | |
CN106043402B (zh) | 儿童推车 | |
CN206926702U (zh) | 一种在折叠状态能够保持稳定的婴儿车 | |
FR2943026A1 (fr) | Chariot de transport transformable a structure de liaison a deux quadrilateres a geometrie variable | |
JP3109971U (ja) | 台車 | |
JP7482529B2 (ja) | 折り畳み脚付き台 | |
CN216231826U (zh) | 一种可转换为推椅的安全座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