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807B1 - 레버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레버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807B1
KR100540807B1 KR1020000001086A KR20000001086A KR100540807B1 KR 100540807 B1 KR100540807 B1 KR 100540807B1 KR 1020000001086 A KR1020000001086 A KR 1020000001086A KR 20000001086 A KR20000001086 A KR 20000001086A KR 100540807 B1 KR100540807 B1 KR 10054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angle adjusting
bracket
lever
ar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443A (ko
Inventor
하야시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5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54Lever switches with blade-type contact co-operating with one or two spring-clip contacts, e.g. knife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미끄럼부(34)가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에서 상기 브라켓(32)에 배치되고, 제2유니트케이스(31b)와 반대되는 측에서의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31b)의 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 제1유니트케이스 내측에서 브라켓의 선단에 형성되었던 돌기가 불필요하여 전체적으로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미끄럼부(34)가 제2유니트케이스(31b)와 반대되는 쪽에서 제1유니트케이스(31a)의 일면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2유니트케이스(31b)가 조립되기 이전 단계에서 브라켓(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버 스위치 장치{LEVER SWITCH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의 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화살표 A1, A2 방향으로 제1각도조정면을 독립적으로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5는 화살표 B1, B2 방향으로 제2각도조정면을 독립적으로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6은 종래구조의 예로서, 본 발명의 도 1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종래구조의 예로서,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조립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9는 조립 중에 브라켓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각각 부여하는 양쪽의 각도조정기구를 일체로 포함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들어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로서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구성된 장치를 들 수 있다.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케이스(1)가 제1유니트케이스(1a) 및 제2유니트케이스(1b)를 포함하며, 제1유니트케이스(1a)는 도면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유니트케이스(1b)는 도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편 제1유니트케이스(1a)에 접속된다. 제1유니트케이스(1a)에는 브라켓(2)이 배치되어 제1피봇샤프트(3)를 중심으로 제1 및 제2유니트케이스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즉 도 7에서 볼 때 화살표A1, A2 방향으로) 회전한다.
브라켓(2)에는 중공의 작동레버(4)가 배치되어 유니트케이스(1a)(1b)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즉 도 6 및 도 7에서 볼 때 각각 화살표B1, B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작동레버(4)는 브라켓(2)과 함께 화살표A1,A2 방향으로 또한 회전할 수 있다.
작동레버(4)에 삽입된 작동샤프트(6)는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즉 도 6의 화살표C1, C2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케이스(1) 반대측(즉 케이스1로 부터 떨어진 곳)의 작동샤프트(6) 선단에는 작동버튼(6a)이 끼워져 있으며(도 7 참조), 이 작동버튼(6a)에 의해 작동샤프트(6)가 회전가능하게 동작한다.
제1유니트케이스(1a) 내측 위치에서 작동레버(4)의 일단에는 각도조정편(7)이 배치되며, 이 각도조정편(7)은 스프링(8)에 의해 외측으로 힘을 받고 있다. 제1 유니트케이스(1a) 내에는 제1각도정면(9) 및 제2각도조정면(10)이 형성되어 각도조정편(7)과 함께 결합한다. 제1각도조정면(9)은 작동레버(4)가 화살표A1,A2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도조정편(7)과 접하여 화살표A1,A2 방향으로 작동레버(4)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절을 행하며, 화살표A1,A2 방향(도 6의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요철을 이루면서 골을 이루고 있다.
제2각도조정면(10)은 작동레버(4)가 화살표B1,B2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도조정편(7)과 접하여 화살표B1,B2 방향으로 작동레버(4)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절을 행하며, 화살표B1,B2 방향(도 6의 지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요철을 이루면서 골을 이루고 있다.
제1유니트케이스(1a) 내측으로 작동레버(4)의 일단에는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돌기(11)가 배치된다. 제1유니트케이스(1a) 내측에서 작동샤프트(6) 일단에도 하향돌출하는 잠금돌기(12)가 배치된다.
도 6의 브라켓(2) 상면에 레버철회기구(13)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부품이 배치된다. 이 레버철회기구(13)는 화살표A1,A2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각도조정면(9)에 의해 유지된 상태의 작동레버(4)를 스티어링 휠(도시안됨)의 회전복귀동작으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한다. 레버철회기구(13)는 라쳇(14), 라쳇(14)을 스티어링휠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15), 복귀시 라쳇(14)과 결합하는 뒷판(16), 뒤판(16)을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스프링(17) 등을 포함한다.
한편, 제2유니트케이스(1b)의 뒷면에는 배선보드(18)가 배치된다. 배선보드(18)와 제2유니트케이스(1b) 사이에는 제1접촉홀더(19)와 제2접촉홀더(20) 가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접촉홀더(19)는 작동레버(4)의 회전방향A1,A2과 같은 방향(도 7의 화살표D1,D2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A1,A2방향에 대해 수직방향(도 7의 화살표 E1,E2와 같은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제2접촉홀더(20)는 제1접촉홀더(19)의 이동방향E1,E2에 대해 수직방향(도 7의 화살표F1,F2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 제1접촉홀더(19) 및 배선보드(18)는 제1스위치(21) 및 제2스위치(22)를 구성한다. 제1접촉홀더(19)의 뒷면에는 제1스위치(21) 및 제2스위치(22) 양쪽에 공통인 가동접촉자(23)가 부착된다. 배선보드(18)에는 제1스위치(21)용 고정접촉자(도시안됨) 및 제2스위치(22)용 고정접촉자가 배치되며, 제1스위치(21)용 고정접촉자는 화살표D1,D2 방향으로 접촉홀더(19)가 이동함에 따라 가동접촉자(23)와 결합 또는 분리되고, 제2스위치(22)용 고정접촉자는 화살표E1,E2방향으로 접촉홀더(19)가 이동함에 따라 가동접촉자(23)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제2접촉홀더(20) 및 배선보드(18)는 제3스위치(24)를 구성한다. 제1접촉홀더(20)의 뒷면에는 제3스위치(24)용 가동접촉자(25)가 부착된다. 배선보드(18)에 배치되는 제3스위치(24)용 고정접촉자(도시안됨)는 화살표F1,F2방향으로 접촉홀더(20)가 이동함에따라 가동접촉자(25)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제2유니트케이스(1b)는 제1유니트케이스(1a)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1유니트케이스(1a) 부근에서의 제2유니트케이스(1b)의 면(26)(도 6의 상부면)이 돌기(2a)와 접촉함으로써 브라켓(2)을 가압하여 유지하게 되며, 이 돌기(2a)는 제1유니트케이스 내측에서 브레켓(2)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1접촉홀더(19)의 한쌍의 암(19a)(이 중 하나만 나타냄)은 제2유니트케이스(1b) 밖으로 돌출한다(제1유니트케이스1a 내측으로). 제1케이스 (1a) 내측에서 암(19a) 사이에는 작동레버(4)의 단부가 위치하는 한편, 잠금돌기(11)가 암(19a)의 각 내면에 형성된 경사홈(27)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접촉홀더(20)가 또한 제2유니트케이스(1b)의 외측으로(즉 제1유니트케이스1a 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암(20a)을 가지고 있다. 암(20a) 사이에는 미끄럼 가능하게 작동샤프트(6)의 잠금돌기(12)가 위치하고, 배선보드(18)의 뒷면은 커버(28)로 보호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동레버(4)가 화살표A1,A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유니트케이스(1a) 내측으로 위치하는 작동레버(4)의 일단은 화살표D1,D2 방향으로 제1접촉홀더(19)의 암(19a)을 가압하고, 이것에 의해 가동접촉자(23)와 함께 화살표D1,D2 방향으로 제1접촉홀더(19)를 이동시킨다. 이후, 제1스위치(21)가 반응하여 예를들어 턴(turn)신호를 준다.
이 경우, 제1유니트케이스(1a) 내에 위치하는 브라켓(2) 선단의 돌기(2a)가 제1유니트케이스(1a) 부근의 제2유니트케이스(1b)의 면(2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화살표A1,A2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레버(4)의 회전위치 및 중립위치는 각도조정편(7)과 결합하는 제1각도조정편(9)에 의해 유지된다.
화살표B1,B2 방향으로 작동레버(4)가 회전할 때 잠금돌기(11)는 홈(27)과 결합하여 화살표E1,E2방향으로 제1접촉홀더(19)를 가압하며, 그 결과 가동접촉자(23) 와 함께 화살표E1,E2방향으로 제1접촉홀더(19)가 이동한다. 이후, 제2스위치(22)가반응하여 예를들어 어둡게하는 제광(制光)을 행한다. 작동레버(4)는 화살표B1 방향으로 회전동작이 해제될 때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초기위치는 각도조정편(7)과 결합된 제2각도조정면(10)에 의해 유지된다.
화살표C1,C2 방향으로 작동샤프트(6)가 회전할 때, 잠금돌기(12)는 화살표F1,F2 방향으로 제2접촉홀더(20)의 암(20a)을 가압하여 가동접촉자(23)와 함께 화살표F1,F2방향으로 제2접촉홀더(20)를 이동시킨다. 이후 제3스위치(24)가 반응하여 예를들어 밝게하는 조광제어를 행한다. 작동샤프트(6)가 화살표C1,C2방향으로 3개의 회전위치, 즉 오프위치, 스몰 램프 점등위치, 헤드램프 점등위치를 취한다. 이 3개의 위치는 어느 각도조정기구(도시안됨)에 의해 유지된다.
이와같은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화살표A1,A2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레버(4)의 회전에 대하여 각도조정을 행하는 제1각도조정면(9) 및 화살표B1,B2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레버(4)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행하는 제2각도조정면(10)이 함께 제1유니트케이스(1a)에 배치되어 있다. 간단히 말하면, 화살표A1,A2 및 B1,B2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회전방향에 대해 각도조정을 행하는 한편 각도조정편(7)과 공통으로 결합하는 각도조정면(9)(10)이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경우 사용될 부품개수를 감소시키고, 조립단계의 수를 또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제2각도조정면(10)이 제1각도조정면(9) 보다 제2유니트케이스(1b) 쪽에 더 가까이 위치하므로 이 방향으로 두께가 커진다. 또, 제2유니트케이스(1b)로부터 떨어진 측으로 브라켓(2)에 레 버철회기구(13)의 여러가지 부품이 배치되므로 전체 두께가 더욱 커진다.
또, 제2유니트케이스(1b)가 장착되기 이전단계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같이 브라켓(2)이 제1유니트케이스(1a)로부터 제2유니트케이스(1b)쪽으로(즉 제1유니트케이스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브라켓(2)은 도 9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유니트케이스(1a)로부터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브라켓(2)과 제1유니트케이스(1a)의 불안전한 결합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제2유니트케이스(1b)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할 수 있는 한편,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양쪽의 각도조정기구를 가지고, 전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2유니트케이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레버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레버스위치장치는 제1유니트케이스 및, 이 제1유니트케이스에 겹합되는 제2유니트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 및 상기 제2유니트케이스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는 제1방향으로 제1피봇샤프트를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 및 상기 제2유니트케이스가 결합하는 방향이 되는 제2방향으로 제2피봇샤프트을 중심으로하여 회 전하는 한편,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브라켓과 함께 회전가능한 작동레버와, 제1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반응하는 제1스위치와, 제2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반응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작동레버의 일단에 배치되는 각도조정편과, 상기 각도조정편과 대응하여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레버가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각도조정편에 접촉하여 제1방향으로의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부여하는 제1각도조정면과, 상기 작동레버가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각도조정편에 접촉하여 제2방향으로의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부여하는 제2각도조정면과, 제1유니트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브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제2유니트케이스와 반대되는 측에서의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의 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유니트케이스 내측으로 브라켓에 배치된 미끄럼부는 제1방향으로 브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제2유니트케이스와 반대되는 측에서의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의 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따라서, 종래 제1유니트케이스(1a) 내측에서 브라켓(2)의 선단에 형성되었던 돌기(2a)가 불필요하여 전체적으로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미끄럼부는 제2유니트케이스와 반대되는 쪽에서 제1유니트케이스의 일면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2유니트케이스가 조립되기 이전 단계에서 브라켓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 도 3에 있어서, 케이스(31)는 도면에서 볼 때 상부에 위치하는 제1유니트케이스(31a) 및 도면에서 볼 때 하부에 위치하는 한편 제1유니트케이스(31a)에 접속되는 제2유니트케이스(31b)를 포함한다. 제1유니트케이스(31a)에는 브라켓(32)이 배치되어 유니트케이스(31a)(31b)가 함께 결합되는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는 제1방향(즉 도 2의 화살표A1,A2 방향)으로 제1피봇샤프트(33)를 중심으로하여 회전한다.
제1유니트케이스(31a)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브라켓(32)의 단부에는 제2유니트케이스(31b)를 향하여 돌출하는 미끄럼부(34)가 형성된다. 이 미끄럼부(34)는 제1유니트케이스(31a)에 위치하는 면(35)에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ㅎ여 제2유니트케이스(31b)의 반대방향(도면의 상향으로) 향한다.
브라켓(32)에는 중공작동레버(36)가 배치되어 유니트케이스(31a)(31b)가 결합되는 제2방향(즉 도 1 및 도 2에서의 화살표B1,B2방향)으로 제2피봇샤프트(37)를 중심으로하여 회전한다. 이 작동레버(36)는 화살표A1,A2 방향으로 브라켓(3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작동샤프트(38)는 작동레버(36)에 삽입되어 그 축을 중심으로(도 1의 화살표C1,C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 작동샤프트(38)는 작동버튼(38a)(도 2 참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작동하며, 이 작동버튼(38a)은 케이스(31) 반대측에서(즉 케이스31로부터 떨어진 쪽에서) 작동샤프트(38a)의 선단에 끼워진다.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에서 작동레버(36)의 일단에는 스프링(40)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되는 각도조정편(39)이 배치된다.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에서 제1각도조정면(41) 및 제2각도조정면(42)이 면(35)으로부터 제2유니트케이스(31b) 를 향해 아랫 쪽으로 형성되어 각도조정편(39)과 짝을 이룬다. 제1각도조정면(41)은 화살표A1,A2 방향으로 작동레버(36)가 회전할 때 각도조정편(39)과 접촉하여 작동레버(36)에 대해 각도조정을 행하며,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화살표A1,A2방향(도 1의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요철을 가지고 주름져 있다.
작동레버(36)가 화살표B1,B2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조정면(42)은 각도조정편(39)과 접촉하여 화살표B1,B2방향으로 작동레버(36)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행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제2조정면(42)은 화살표B1,B2방향(도 1의 상항방향)으로 요철을 가지고 주름져 있다.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으로 위치하는 작동레버(36)의 일단에는 그 양측으로 돌출하는 잠금돌기(43)가 형성된다.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으로 위치하는 작동레버(38)의 일단에는 하향돌출하는 잠금돌기(44)가 형성된다.
도 1에서 브라켓(32)의 상부면에는 레버철회기구(45)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부품이 배치된다. 이 레버철회기구(45)는 화살표A1,A2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1각도조정면(41)에 의해 유지된 작동레버(36)를 스티어링휠(도시안됨)의 회전복귀동작으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한다. 레버철회기구(45)에 포함되는 여러가지 부품으로는 라쳇(46), 이 라쳇(46)을 스티어링휠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7), 복귀시 라쳇(46)과 결합하는 뒷판(48), 이 뒷판(48)을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스프링(49)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제2유니트케이스(31b)의 뒷면에는 배선보드(50)가 배치되며, 배선보드(50)와 제2유니트케이스(31b) 사이에는 제1접촉홀더(51)와 제2접촉홀더(52)가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접촉홀더(51)는 작동레버(36)의 화살표A1,A2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도 2의 화살표D1,D2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화살표A1,A2방향에 대해 수직방향(도 2의 화살표E1,E2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제2접촉홀더(52)는 제1접촉홀더(51)의 화살표E1,E2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도 2의 화살표F1,F2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 제1접촉홀더(51) 및 배선보드(50)는 제1스위치(53) 및 제2스위치(54)를 구성한다. 제1접촉홀더(51)의 뒷면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십자형의 4개 다리형 편자를 갖는 가동접촉자(55)가 부착되며, 이것은 제1스위치(53) 및 제2스위치(54) 모두에 대해서 공통적이다.
배선보드(50)에는 제1스위치(53) 및 제2스위치(54)에 공통인 고정접촉자(56)와, 제1스위치(53)용 고정접촉자(57)(58)와, 제2스위치(54)용 고정접촉자(59)가 배치되며, 제1스위치용 고정접촉자(57)(58)는 화살표D1,D2의 방향으로 제1접촉홀더(51)가 이동함에 따라 가동접촉자(55)와 결합 또는 분리되고, 제2스위치용 고정접촉자(59)는 화살표E1,E2의 방향으로 제1접촉홀더(51)가 이동함에 따라 가동접촉자(55)가 결합 또는 분리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1접촉홀더(51), 가동접촉자(55), 고정접촉자(56)(57)(58)는 제1스위치(53)를 구성하는 한편, 제1접촉홀더(51), 가동접촉자(55) 및 고정접촉자(56)(59)는 제2스위치(54)를 구성한다.
제2접촉홀더(52) 및 배선보드(50)는 제3스위치(60)를 구성한다. 제1접촉홀더(51)의 뒷면에는 제3스위치(60)용으로 3개 다리형 편자를 갖는 가동접촉자(60)가 부착된다. 배선보드(50)에는 공통 고정접촉자(62), 제3스위치(60)용 고정접촉자(63)(64)(65)가 배치되며, 제3스위치용 고정접촉자는 화살표F1,F2 방향으로 제2접촉홀더(52)가 이동함에 따라 가동접촉자(61)가 고정접촉자(56)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제3스위치(60)는 제2접촉홀더(52), 가동접촉자(61) 및 고정접촉자(62-65)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조합된 상태에서, 제2유니트케이스(31b)가 제1유니트케이스(31a)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1유니트케이스(31a) 부근에서 그 제2유니트케이스(31b)의 면(66)(도 1의 상면)은 제1유니트케이스(31a)의 제2각도조정면(42) 단부와 밀접하게된다.
제1접촉홀더(51)는 한쌍의 암(51a)을 가지며, 이 암(51a)은 제2유니트케이스 (31b)의 외측(즉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으로 돌출한다.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으로 양쪽 암(51a) 사이에는 작동레버(36)의 단부가 위치하는 한편, 암(51a)의 각 내면에 형성된 경사홈(67)으로 잠금돌기(43)가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접촉홀더(51) 또한 한쌍의 암(52a)을 가지며, 이 암(52a)도 제2유니트케이스(31b)의 외측(즉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으로 돌출한다. 양쪽 암(52a) 사이에는 작동샤프트(38)의 잠금돌기(44)가 미끄럼 가능하게 위치하며, 배선보드(50)의 뒷면은 커버(68)로 보호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화살표A1,A2 방향으로 작동레버(36)가 회전할 때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으로 위치하는 작동레버(36)의 일단이 화살표D1,D2 방향으로 제1접촉홀더(51)의 암(51a)을 가압하며, 이것에 의해 화살표D1,D2방향으로 제1접촉홀더(51)와 가동접촉자(55)가 이동한다. 이후 제1스위치(53)가 반응하여 예를들어 턴(turn)신호를 보낸다. 이 경우 제1유니트케이스(31a) 내측 부분에서 브라켓(32)에 형성된 미끄럼부(34)가 제2유니트케이스와 반대되는 반향에 위치하는 제1유니트케이스(31a)의 면(35)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화살표A1,A2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레버(36)의 회전위치 및 중립위치가 각도조정편(39)과 결합하는 제1각도조정면(41)에 의해 유지된다.
작동레버(36)가 화살표B1,B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잠금돌기(43)가 홈(67)과 결합하여 화살표E1,E2 방향으로 제1접촉홀더(51)를 가압하며, 이것에 의해 화살표E1,E2 방향으로 제1접촉홀더(51) 및 가동접촉자(55)를 함께 이동시킨다. 이후 제2스위치(54)가 반응하여 예를들어 어두워지게하는 제광(制光)동작을 행한다. 화살표B1 방향으로 회전동작이 해제될 때 작동레버(36)는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구성되며, 초기위치는 각도조정편(39)과 결합된 제2각도조정면(42)에 의해 유지된다.
화살표C1,C2 방향으로 작동샤프트(38)가 회전할 때 잠금돌기(44)가 화살표F1,F2 방향으로 제2접촉홀더(52)의 암(52a)을 가압하고, 이것에 의해 F1,F2방향으로 제2접촉홀더(52)와 가동접촉자(61)를 함께 이동시킨다. 이후 제3스위치(60)가 반응하여 예를들어 밝음을 부여하는 조광제어를 행한다. 작동샤프 트(38)는 화살표C1,C2 방향으로 3개의 회전위치, 즉 오프위치, 스몰램프 점등위치, 헤드램프 점등위치를 취한다. 이 3개의 위치는 한 각도조정기구(도시안됨)에 의해 유지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는 화살표A1,A2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레버(36)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부여하는 제1각도조정면(41)과 화살표B1,B2 방향으로 작동레버(36)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부여하는 제2각도조정면(42) 모두가 제1유니트케이스(31) 내에 배치된다. 간단히 말하면, 화살표A1,A2 그리고 B1,B2 방향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작동레버(36)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부여하는 양쪽의 각도조정면(41)(42)이 일체로 형성되어 각도조정편(39)과 공통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될 부품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공정단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제2각도조정면(42)이 제1각도조정면(41) 보다 제2유니트케이스(31b)에 더 가까이 위치하므로 이 방향에서의 전체두께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 레버철회기구(45)의 여러 가지 부품이 제2유니트케이스(31b)로부터 떨어진 측에서 브라켓에 배치되며, 이 것도 전체두께를 보다 커지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와 다른 점은 브라켓(32)이 화살표A1,A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유니트케이스(31a)의 위치에서 브라켓(32)에 형성된 미끄럼부(34)가 제2유니트케이스와는 반대되는 측면에서 제1유니트케이스(31a)의 면(35)을 따라 미끄 럼 이동한다. 따라서, 제1유니트케이스(1a) 내에서 브라켓(2)의 선단에 위치하는 종래의 돌기(2a)가 불필요하며, 이것 때문에 전체두께가 종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조립공정에 있어서도, 제2유니트케이스와 떨어진 부분에서 제1유니트케이스(31a)의 면(35)에 의해 미끄럼부(34)가 차단되므로 제2유니트케이스(31b)가 장착되기 전 단계에서 브라켓(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32)이 제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신중하고도 어렵게 조립을 해야하는 문제 자체가 없으므로 제2유니트케이스(31b)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도면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레버스위치장치는 상기 턴 신호동작, 제광동작, 조광동작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이퍼제어, 와셔동작, 뒷면 와이퍼제어,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자동차, 차량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부여하는 양쪽의 각도조정기구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전체두께가 감소하고 동시에 제2유니트케이스를 용이하게 장착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제1유니트케이스 및, 이 제1유니트케이스에 겹합되는 제2유니트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 및 상기 제2유니트케이스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는 제1방향으로 제1피봇샤프트를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 및 상기 제2유니트케이스가 결합하는 방향이 되는 제2방향으로 제2피봇샤프트를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는 한편,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브라켓과 함께 회전가능한 작동레버와,
    제1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반응하는 제1스위치와,
    제2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반응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작동레버의 일단에 배치되는 각도조정편과,
    상기 각도조정편과 대응하여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레버가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각도조정편에 접촉하여 제1방향으로의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부여하는 제1각도조정면과,
    상기 작동레버가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각도조정편에 접촉하여 제2방 향으로의 작동레버의 회전에 대해 각도조정을 부여하는 제2각도조정면과,
    제1유니트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브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제2유니트케이스와 반대되는 측에서의 상기 제1유니트케이스의 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조정면과 상기 제2각도조정면은 부리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장치.
KR1020000001086A 1999-01-19 2000-01-11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540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10533A JP2000208003A (ja) 1999-01-19 1999-01-19 レバ―スイッチ装置
JP99-10533 1999-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443A KR20000053443A (ko) 2000-08-25
KR100540807B1 true KR100540807B1 (ko) 2006-01-12

Family

ID=1175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086A KR100540807B1 (ko) 1999-01-19 2000-01-11 레버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72311B1 (ko)
EP (1) EP1022186B1 (ko)
JP (1) JP2000208003A (ko)
KR (1) KR100540807B1 (ko)
DE (1) DE6993420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224A (ja) * 1999-07-14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バー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2002225625A (ja) * 2001-01-29 2002-08-14 Yazaki Corp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BRPI0206100B1 (pt) * 2001-10-01 2016-04-26 Kostal Leopold Gmbh & Co Kg dispositivo de comutação
DE10157716A1 (de) * 2001-11-24 2003-06-26 Daimler Chrysler Ag Lenkstockfunktionseinheit
US7005592B2 (en) * 2003-10-15 2006-02-28 Methode Electronics, Inc. Plunger contact assembly for an automobile control stalk
JP2005332621A (ja) * 2004-05-18 2005-12-02 Yazaki Corp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用レバーの組み付け構造
FR2871927B1 (fr) * 2004-06-17 2006-08-25 Sc2N Sa Systeme d'indexage mecanique, notamment pour commutateur electrique
JP4451748B2 (ja) 2004-09-17 2010-04-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ライドスイッチ
KR100704648B1 (ko) * 2005-05-30 2007-04-09 주식회사 신창전기 시그널 스위치의 접점 구조
KR100704649B1 (ko) * 2005-05-30 2007-04-09 주식회사 신창전기 와이퍼 스위치 접점 구조
US7119293B1 (en) * 2005-07-05 2006-10-10 Grote Industries, Inc. Wrap around terminal for turn signal switch assembly
US20080121500A1 (en) * 2006-11-24 2008-05-29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Vehicular lever switch apparatus
KR100862001B1 (ko) * 2007-02-15 2008-10-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와이퍼 스위치
JP4991505B2 (ja) * 2007-12-06 2012-08-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5521513B2 (ja) * 2009-11-30 2014-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旋回方向指示装置
CN103219171B (zh) * 2013-04-24 2015-03-11 昌辉汽车电器(黄山)股份公司 一种汽车组合开关的变光结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3073A (ja) * 1995-03-20 1996-10-01 Honda Motor Co Ltd 非常点滅灯装置
JPH0922641A (ja) * 1995-07-05 1997-01-21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3638183B2 (ja) * 1996-09-26 2005-04-13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JPH10172388A (ja) * 1996-12-11 1998-06-26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H10199375A (ja) * 1997-01-17 1998-07-31 Yazaki Corp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4202D1 (de) 2007-01-11
KR20000053443A (ko) 2000-08-25
DE69934202T2 (de) 2007-03-08
EP1022186B1 (en) 2006-11-29
JP2000208003A (ja) 2000-07-28
EP1022186A3 (en) 2003-09-03
US6172311B1 (en) 2001-01-09
EP1022186A2 (en) 200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807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US5780794A (en) Composite switch lever for automobiles with mechanically-coupled switch knobs
US4293743A (en) Combination switching means of lever type for motor vehicles
US6091033A (en) Vehicle-mounted knob switch device
US5803240A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CA2236284C (en) Lever switch arrangement used for vehicles
US5708242A (en) Automotive lever switch assembly
US5216399A (en) Automatic cancelling device for blinkers
US20030038019A1 (en) Steering column stalk having multiple switch cells
JP2671711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67290Y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JP3832842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4064153B2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H0539543Y2 (ko)
JPH10106400A (ja) 自動車用コントロールレバースイッチ
CN210941934U (zh) 汽车方向盘开关
JP4046962B2 (ja)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
JP2575079Y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KR100395899B1 (ko) 자동차용 미러 스위치
JPH045802Y2 (ko)
KR200146783Y1 (ko) 자동차의 측면 유리 트레이의 래치
JP2537949Y2 (ja) スイッチ装置
JPS6342429Y2 (ko)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JPH03291711A (ja) レバースイッチに於ける操作レバー軸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