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521B1 -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및 시계 - Google Patents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및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521B1
KR100533521B1 KR10-2002-0041788A KR20020041788A KR100533521B1 KR 100533521 B1 KR100533521 B1 KR 100533521B1 KR 20020041788 A KR20020041788 A KR 20020041788A KR 100533521 B1 KR100533521 B1 KR 10053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ltraviolet
light emitting
emitting lay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222A (ko
Inventor
우에노마사토
히라노다다오
마치다슈이치
우스이노리히사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7Illumin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uminescent elements or materials associated to the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23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light valves in general
    • G04G9/0029Details
    • G04G9/0035Details constructional
    • G04G9/0041Illumin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자외선 방출 소자가 보호 유리의 주변부에 대응하도록 장치 모듈 및 장치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 유사 부재 내에 구비된다.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로부터의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모듈 및 보호 유리 사이에 조사된다. 자외선이 조사되는 발광층은 빛을 방출한다.

Description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및 시계{PORTABLE ELECTRONIC APPARTUS FOR INFORMATION DIASPLAY AND WATCH}
본 발명은 전자장치, 즉 손목시계, 휴대폰 또는 그 유사장치 및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로서, 인광페인트 즉 발광페인트 또는 유사물질을 타임피스부 즉, 다이얼, 시계 바늘 등에 이용한 인광부를 갖는 손목시계가 있다. 손목시계의 인광부는 밝은 장소에서 외부 빛을 흡수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손목시계는 어두운 장소에서 인광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방출한다.
이러한 손목시계에서, 인광부는 시각을 인식할 수 있도록 어두운 장소에서 잠시동안 빛을 방출한다. 그러나, 인광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빛을 방출할 수는 없고, 장시간 동안 빛을 방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광부가 광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빛을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손목시계로서, 광 안내판이 다이얼의 하단에 배치되고 광원이 광안내판의 측부에 배치되며, 빛이 광원으로부터 안내되어 다이얼의 하부면에 조사되는 것이 있었고, 광원이 다이얼 상에 배치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시계에서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점차 약해지므로, 빛이 지닌 에너지가 다이얼 또는 시계 바늘의 인광부에 충분이 저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인 손목시계에서는 광원의 빛이 강하게 되면 빛의 에너지가 다이얼 또는 시계 바늘의 인광부에 충분히 저장될 수 있었으나, 다이얼의 윗면이 광원의 빛에 의해 밝게 되는 이유로 인해 인광부를 구비하는 의미가 없었다. 게다가, 배치된 구조가 복잡해지고, 광원이 배치되었을 때 광원이 다이얼을 방해하지 않고 또는 충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광원이 배치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이 발광층에 잘 조사될 수 있고 자외선 방출 소자가 방해가 되거나 충격에 손상되지 않도록 자외선 방출 소자를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장치 또는 발광층에서 역광 작용을 얻으며 훌륭한 장식재로서의 액정표시부를 획득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외선 방출 소자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발광층에 빛을 손상함이 없이 효과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보호부재가 상부에 장착된 시계케이스;상기 시계케이스 내에 배치된 시계전자회로부;상기 시계전자회로부와 시계케이스 사이에 상기 시계케이스의 주변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차광부재;상기 차광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자외선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자외선 방출소자와, 상기 시계전자회로부의 위쪽 위치에 설치된 문자판;상기 문자판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한 지침축의 상부에 설치된 지침;상기 지침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방출소자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층을 갖추고 있고,상기 차광부재의 상부중,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해당 차광부재으 중심을 향하여 개구하는 한쌍의 요면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요면부의 높이위치는 상기 지침의 높이위치보다도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외선방출소자는 한쌍의 요면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그리고, 한쌍의 요면부는 12시측의 위치와 6시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광층은 지침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에, 상기 문자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가 생략된 손목시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목시계의 손목시계 케이스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손목시계 케이스의 내부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손목시계는 장치의 케이스로서 손목시계 케이스(1)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즐(bezel)(2)은 손목시계 케이스(1)의 상부의 외부 주변부에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유리(3)는 패킹(4)을 통해 손목시계 케이스(1)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a)에 장착된다. 또한, 다이얼(5), 시계모듈(6)은 손목시계 케이스(1)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다. 손목시계 케이스(1)의 하부면에는 방수링(8)을 통해 후면 덮개(7)가 부착되어 있다. 게다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밴드(9)는 손목시계 케이스(1)의 12시 측과 6시 측에 부착되어 있다.
시계모듈(6)은 최소한 하나의 아날로그기능과 디지털기능의 사이에 있는 아날로그기능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바늘 축(10)은 다이얼(5)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시침, 분침 등 시계 바늘(11)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돌출된 상기 시계 바늘 축(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손목시계 케이스(1)의 내부 주변부에는, 차광 부재(12)가 상기 다이얼(5)의 상부면 주변부 및 시계 유리(3) 하부면 주변부와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5)은 원형의 판이다. 상기 시계 바늘축(10)이 삽입되는 관통공(13)이 다이얼(5)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시간 색인(14)는 다이얼(5)의 상부면 주변에 형성되어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바늘(11)은 시간 색인(14)을 따라 움직인다.
부수적으로, 상기 발광층은 손목시계의 상기 타임피스부인 상기 베즐(2), 시계 유리(3), 다이얼(5),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시계밴드(9)에 각각 구비된다.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시계 유리(3)의 상부면 주위에 구비되며, 상기 시계 유리(3)의 중앙부(예를 들면 마크부)의 소정의 점에 구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다이얼(5) 상부면의 소정의 점(예를 들면 마크부) 그리고 시간 색인(14)의 상부면 상에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15)은 시계 바늘(11)의 상부면 전체에 구비된다. 게다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15)은 각 베즐(2)의 거의 전체 모든 상부면 및 시계밴드(9) 상에 구비된다.
이 발광층(15)들은 파장이 350 내지 450 nm인 또는 254 내지 365 nm인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한다. 상기 발광층(15)은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지 않으면 투명한 상태에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의 두께는 파형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발광층(15)은 타임피스부(다이얼(5)은 도 7에 도시됨) 각각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오버코팅 막(16)으로 덮여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면, 발광층의 두께에 따라 발광색의 색상이 야기된다. 게다가, 발광층의 발광색은 녹색(노란색), 청색, 적색 그리고 10에서 13가지 종류의 색의 변화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경우 각 타임피스부의 각 발광층의 발광색은 같은 색일 것이다. 그러나, 시간을 쉽게 인식하기 위해서 최소한 상기 다이얼(5)과 시계 유리(3)의 상기 발광층(15)의 발광색은 상기 시계 바늘(11)의 상기 발광층(15)의 발광색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시계 바늘(11)의 발광층(15)은 적색에 가까운 빛을 방출하고, 상기 다이얼(5)과 시계 유리(3)의 상기 발광층(15)은 청색에 가까운 빛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손목시계에 의하면, 실내 등의 자외선 영역의 빛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곳에서 각 타임피스부 즉 베즐(2), 시계 유리(3), 다이얼(5),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및 시계밴드(9)에 구비된 발광층(15)은 투명하게 된다. 따라서, 각 타임피스부의 표면(물질의 색)은 발광층(15)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각 타임피스부의 표면은 단지 투과되어 보인다. 게다가 자외선 영역의 빛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실외 등의 장소에서 투명한 발광층(15)은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각 타임피스부 즉 베즐(2), 시계 유리(3), 다이얼(5),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및 시계밴드(9)는 각각 반짝거라는 것처럼 보인다.
이 경우, 상기 시계 바늘(11)의 발광층(15)이 상기 다이얼(5)과 시계 유리 (3)의 발광층(15)과 상이한 색의 빛을 방출하면서, 예를 들면 시계 바늘(11)의 발광층(15)은 적색에 가까운 색의 빛을 방출하고 다이얼(5)과 시계 유리(3)의 발광층은 청색에 가까운 색의 빛을 방출하게 함으로써 시간이 잘 인식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15)의 두께는 파형에 따라 다르고 색상는 상기 발광층의 층 두께에 따른 발광색에 의해 유기되므로, 발광색의 색상는 각 발광층(15)에 의해 나타난다. 그것에 의해서, 미묘한 표시, 즉 등급 또는 이에 유사한 것, 이 가능하게 되고 높은 장식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각 발광층(15)은 투명한 오버코팅 막(16)으로 덮혀 보호되기 때문에, 각 발광층(15)의 내구성은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발광층(15)은 타임피스부가 되는 작동부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각 타임피스부의 재료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다이얼(5)의 상부면에는 부분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시계 바늘(11)의 상부면에는 전체에 구비되고, 상기 시계 유리(3)의 상부면에는 부분적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다이얼(5)의 상부면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시계 바늘(11)의 오직 일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발광층(15)은 시계 유리(3)의 상부면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이얼(5)과 시계 유리(3)의 발광층(15)은 시계 바늘(11)의 발광층(15)과 상이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그것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시계 유리(11)와 다이얼(5) 각각의 상부면과 상기 차광 부재(12)의 표면에 각각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은 그것이 투명하다면 상기 시계 유리(3)의 하부면과 다이얼(5)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발광층(15)은 그것이 투명하다면 상기 차광 부재(12)의 내부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계 유리(3)가 2개의 유리판(3a, 3b)이 서로 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상기 발광층(15)은 2개의 유리판(3a, 3b) 사이에 끼워 포개질 것이다. 상술한 구조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역시 제 1 실시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파장형태에 따른 층 두께에 따라 각 발광층(15)이 형성되는 경우가 언급 되었더라도,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것은 계단 형태로 층 두께를 바꾸면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광성 물질(17)이 상기 발광층(15)에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광성 물질(17)이 혼합되었을 때, 인광성 물질(17)은 상기 발광층(15)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으로부터 에너지를 저장한다. 그 후, 인광성 물질(17)은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된 후에 잔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그것은 잔광기능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양질의 장식부를 갖는 손목시계를 얻을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나타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면 부호로 나타낼 것이다.
손목시계는 적층된 구조를 갖는 투명한 발광층(20)이 다이얼(5)의 상부면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손목시계의 또 다른 구조는 대략 제 1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다.
즉, 상기 투명한 발광층(20)은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각각 상이한 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 1 발광막으로부터 제 3 발광막(21 내지 23)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투명 발광층(20)은 소정의 점(예를 들면 마크부), 시간 색인(14)의 상부면 및 다이얼(5)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발광막으로부터 제 3 발광막(21 내지 23)은 각각 파장이 350 ~ 420nm인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다른색을 갖는 빛을 방출하고,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지 않을 때에는 투명한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 막(21 내지 23)들의 발광색은 녹색(황색), 청색, 적색에 기초하고, 각각 10 내지 13종류의 색의 변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발광막(21)은 녹색(황색)에 가까운 빛을 방출하고, 상기 제 2 발광막(22)은 청색에 가까운 빛을 방출하고, 제 3 발광막(23)은 적색에 가까운 빛을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20)들 전체는 상기 제 1 발광막으로부터 제 3 발광막(21 내지 23)이 섞인(혼합된) 발광색을 방출한다. 이 경우, 상기 발광층(20)은 역시 투명한 오버코팅 막(16)에 의해 덮힌다.
상술한 손목시계에 따르면, 자외선 영역의 빛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실내 등의 장소에서는 상기 다이얼(5)에 형성된 상기 발광층(20)이 투명하기 때문에 상기 다이얼(5)의 표면 재질의 색은 상기 발광층(20)에 의해 영향받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다이얼(5)의 표면은 보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자외선 영역의 빛에 노출되는 실외 등의 장소에서는, 상기 제 1 발광막부터 제 3 발광막(21 내지 23)까지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각각 상이한 색의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그리고 이 상이한 발광색은 혼합되고, 발광층(20) 전체는 희미한 배합된 색을 방출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다이얼(5)의 소정의 점은 희미한 색상로 반짝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 때, 상기 제 1 발광막부터 제 3 발광막(21 내지 23)의 반응은 파장과 자외선 영역의 빛의 광도에 따라 각각 상이하고, 상기 제 1 발광막으로부터 제 3 발광막의 휘도는 상술한 반응의 차이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전체 발광층(20)의 혼합된 색도 역시 자외선 영역의 빛의 파장이나 광도에 따라 미세하게 바뀐다. 전체 발광층(20)의 발광색이 자외선 영역 빛의 파장 또는 광도에 따라 미세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전체 발광층(20)의 색의 미세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고, 높은 장식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더해, 상술된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20)은 3 개층의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것은 2개층 또는 4개층 이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20)은 상기 다이얼(5)에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그것은 상기 타임피스부 즉 베즐(2), 시계 유리(3),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시계밴드(9) 등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시계 바늘(11)의 발광층(20)의 발광색(혼합된 색상)은 상기 다이얼(5) 및 시계 유리(3)의 발광색(혼합된 색상)과 상이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의 변형된 제 1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인광성 물질(17)은 상기 발광층(20)에 혼합되어 들어간다. 따라서, 상기 인광성 물질(17)이 혼합된 때에는 그 인광성 물질(17)은 발광층(20)에서 방출되는 빛으로부터 에너지를 저장한다. 그후, 인광성 물질(17)은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된 후, 잔광인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잔광기능을 갖고, 이에 의해 높은 장식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 제3실시예 ]
다음에,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손목시계는 도트형의 발광부(26)가 배열된 투명한 발광층(25)이 다이얼(5)의 상부면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손목시계의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의 그것들과 대략 유사하다. 즉 투명한 발광층(25)은 다수의 도트형의 발광부(26)가 인쇄에 의해 점과 유사하게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도트형의 발광부(26)는 파장이 350 ~ 420 nm인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상이한 색의 빛을 방출하고,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지 않을 때에는 투명한 상태에 있다. 각각의 도트형의 발광부의 발광색은 녹색(황색), 청색, 적색에 기초하고, 각각 10 내지 13종류의 색의 변화가 있다. 그 후, 이 도트형의 발광부(26)는 발광색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이,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난 고래와 같은, 색으로 나타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상기 발광층(25)에 해당하는 도트형의 발광부(26)는 투명한 오버코팅 막(16)으로 덮여 있다.
상기 손목시계에서, 자외선 영역의 빛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실내 등의 장소에서는 상기 다이얼(5)에 형성된 상기 발광층(25)의 도트형의 발광부(26)가 투명하기 때문에 다이얼(5)의 표면 재질의 색은 상기 발광층(25)에 의해 영향받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다이얼(5)의 표면은 보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자외선 영역의 빛에 노출되는 실외 등의 장소에서는, 상기 각 발광층(25)의 도트형의 발광부(26)가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고, 선택된 상이한 색의 빛을 방출한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난 고래의 형상이 색으로 나타나고, 이에 따라 높은 장식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25)이 상기 다이얼(5) 상에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그것은 상기 타임피스부 즉, 베즐(2), 시계 유리(3),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시계밴드(9) 등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도 11의 변형된 제 1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인광성 물질(17)은 상기 발광층(25)의 도트형의 발광부 (26)에 혼합되어 들어간다. 따라서, 상기 인광성 물질(17)이 혼합된 때에는 상기 도트형의 발광부(26)의 인광성 물질(17)은 상기 도트형의 발광부(26)에서 방출되는 빛으로부터 에너지를 저장한다. 그 후, 상기 인광성 물질(17)은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된 후, 잔광인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잔광 기능을 갖고, 이에 의해 높은 장식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제 1 실시예부터 제 3 실시예까지, 각 발광층(15, 20, 25)이 타임피스부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이 언급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벌칠로서의 언더코팅 막(27)은 타임피스부의 하나인 다이얼(5)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발광층(15, 20, 25)은 언더코팅 막(27)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만들어 진다면, 언더코팅 막(27)이 초벌칠 기능을 획득하기 때문에, 내부식성과 접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얼(5)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 지더라도, 각 발광층(15, 20, 25)이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발광층(15, 20, 25)은 오버코팅 막(16)으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난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시계는 손목시계 케이스(1) 안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손목시계의 다른 구조는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대략 유사하다.
즉,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365 nm에 근접하거나 254 ~ 365nm 사이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흑광이라 불리는) 방출을 위한 자외선 램프, 자외선 방출 다이오드 (LED) 또는 이에 유사한 것들로 구성된다.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자외선 방출부를 구성한다.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각각의 12시 측의 상부 및 차광 부재(12)의 6시 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인 요면부(31)에 배치된다. 차광 부재(12)는 보호 부재 또는 완충 부재 기능을 하는 프레임 유사 부재이다.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방출된 자외선을 그것들로부터 비스듬히 위에서 다이얼(5) 및 시계 바늘(11)에 조사한다.
상기 언급한 프레임 유사 부재인 차광 부재(12)는 모듈(6)과 장치의 케이스인 구경부(1a)의 주위부와 일치하는 시계 케이스(1)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손목시계 케이스(1)에서 보호 부재 또는 완충 부재 기능을 하는 차광 부재(12)에 형성되는 요면부(31)에 배치된다.
따라서, 시계 유리(3) 방향으로부터의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이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보호부재 또는 완충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 차광 부재(12)의 보호작용 또는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완충된다. 게다가, 상기 예에서, 완충물질(4a, 4b)은 자외선 방출 소자(30)의 상부면 및 측면 양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더욱 보호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예에서, 스위치 등이 3시부 및 9시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스위치 및 등이 형성되지 않은 곳과 차광 부재(12)의 12시 측 및 6시 측의 두 곳에 형성된다. 그러나, 스위치 및 이에 유사한 것들이 3시 측 및 9시 측에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외선 방출 소자는 3시 측 및 9시 측에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차광 부재(12)의 요면부(31)는 시계 유리(3)의 하부면과 차광 부재(12)의 상부 사이에 위치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다이얼(5)과 시계 바늘(11)보다 더 위에 배치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다이얼(5)과 시계 바늘(11)의 각각의 상부면에,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색광을 방출하는 상기 발광층(15)이 제 1 실시예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이얼(5)의 발광층(15)은 역시 상기 시계 바늘(11)의 발광층(15)과 상이한 빛을 방출한다. 더욱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광층(15)들은 파형으로 층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것에 의해,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될 때, 층 두께에 따라 발광색에 색상이 야기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들은 상기 다이얼(5)의 평평한 상부면에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와 같은 상기 손목시계에 따르면, 상기 손목시계에서, 자외선 영역의 빛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실내 등의 장소에서는 상기 다이얼(5) 및 시계 바늘(11)의 각 표면이 투명한 상기 발광층(15)을 통해 보인다.
더욱이, 자외선 영역의 빛에 노출되는 실외 등의 장소에서는, 상기 다이얼(5) 및 시계 바늘(11)의 각 발광층(15)이 반짝거리는 것처럼 보인다. 특히, 자외선 영역의 빛이 거의 노출되지 않는 실내 등의 장소에서는, 자외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켜져 있을때는 상기 다이얼(5) 및 시계 바늘(11)의 상기 각 발광층(15)은 자외선에 반응하여 색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다이얼(5) 및 시계 바늘(11)의 각 발광층(15)은 강제적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고, 따라서 원하는 장소에서 각 발광층(15)으로부터 자유롭게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발광층(15)이 빛을 방출하면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다이얼(5)의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시계 바늘(11)의 발광층(15)과 상이한 색의 빛을 방출한다. 따라서, 어두운 장소에서도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 게다가, 각 발광층(15)의 층 두께는 파형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그리고 층 두께에 따라 발광색의 색상이 야기되고, 각 발광층(15)의 색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높은 장식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손목시계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시계 유리(3)의 주위부와 일치하는, 상기 다이얼(5)과 시계 유리(3) 사이에, 배치된 차광 부재(12)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다이얼(5) 및 시계 바늘(11)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충격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차광 부재(1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더욱이, 자외선은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로부터 다이얼(5)과 시계 유리(3) 사이에 잘 조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외선은 상기 발광층(15)이 빛을 충분히 방출할 수 있도록 발광층(15)에 잘 그리고 확실히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차광 부재(12)의 상부인 시계 유리(3)의 하부면 부근에 형성되기 때문에, 자외선은 다이얼(5)과 시계 유리(3) 사이에 더욱 잘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4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15)은 다이얼(5)과 시계 유리(3)에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발광층은 타임피스부 즉 베즐(2), 시계 유리(3),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시계밴드(9) 또는 이에 유사한 것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4 실시예에서, 각 발광층(15)은 층두께가 파장의 형태에 의해 변화되는 구조를 갖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것은 복수개의 발광막(21 내지 23)이 적층된 발광층(20)일 수 있고, 또는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트형의 발광부(26)가 점과 같이 배열된 발광층(25)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광성 물질(17)은, 도 11에서 나타난 변형된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각 발광층(15, 20, 25)에 섞여 들어가고 잔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일정 간격으로 빛을 방출하는 시간 간격은 길어지고, 전력소비의 감소가 시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4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차광 부재(12)의 12시 측 및 6시 측의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3개 이상의 부분에 다른 시간간격으로 또는 같은 시간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 4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차광 부재(12)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언급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도 18a 및 18b에 나타난 상기 차광 부재(1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8a의 변형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차광 부재(12)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요면부(32)는, 요면부(32)의 하부가 열린 채로, 차광 부재(1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다이얼(5)의 틈새부(5a)를 통해 요면부(32)에 배치될 수 있고, 자외선 방출 소자(30)에 의해 생성되는 자외선은 차광 부재(12)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고, 다이얼(5)의 상부에 조사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8b의 변형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간부(33)는 차광 부재(12)와 손목시계 케이스(1)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S 공간은 차광 부재(12)의 하단부와 다이얼(5)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다이얼(5)의 틈새부(5a)를 통해 공간부(33)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에 의해 생성되는 자외선은 상기 차광 부재(12)와 다이얼(5) 사이의 S 공간을 통해, 다이얼(5)의 상부에 조사될 수 있다. 양쪽 구조 중 어느 하나에 있어, 상기 제 4 실시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각각의 차광 부재(12)에 의해 특히 확실히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에 의해 발생되는 자외선이 직접 상기 다이얼(5) 또는 시계 바늘(11)에 조사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사부(34)는 자외선이 진행하는 방향에 위치한 시계 유리(3)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로부터의 자외선은 상기 반사부(34)에서 반사될 수 있고 다이얼(5) 또는 시계 바늘(11)에 조사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라, 자외선이 상기 반사부(34)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로부터의 자외선은 상기 다이얼(5) 또는 시계 바늘(11)에 효율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제5실시예]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 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난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손목시계는 디지털 기능으로 이루어진 시계모듈(40)의 구조를 갖는다. 손목시계의 다른 구조는 대략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다.
즉, 시계모듈(40)은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반사성 액정 표시장치(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계모듈(40)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차광 부재(12)를 통해 손목시계 케이스(1)에 포함된다.
상기 차광 부재(12)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상부면이 시계 유리(3)의 하부 주위면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손목시계 케이스(1)의 내부 주위면에 형성된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정(미도시)은 한 쌍의 전극 인쇄 회로기판(PCBs; 42, 43) 사이에 형성되며, 위 아래로 배치되어 있다. 자외선 투과성 상부 편광판(44)은 상기 전극 PCB(42)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자외선 투과성 하부 편광판(45)은 하부의 전극 PCB(43)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투명 발광층(15)은 하부 편광판(45)의 전체 하부면에 형성되고, 반사기(46)는 상기 발광층(15)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41)는 반사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각 상부 그리고 하부 편광판(44, 45)은 최소한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투과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실시예에서의 각 편광판(44, 45)이 지외선 차단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데 반해서, 보통 편광판에서는 자외선 차단 처리가 수행된다.
더욱이, 상기 발광층(15)은 도 7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그것은 (파장이 350 ~ 420nm 사이인)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고, 유색광을 방출하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지 않았을 때 투명한 상태에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은 그 층두께가 파장의 형태에 따라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면 층 두께의 변화에 따라 발광색의 색상이 야기된다.
또한 , 상기 제 4 실시예와 같이,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손목시계의 케이스(1)에 형성된다. 즉,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손목시계 케이스(1)의 차광 부재(12)의 각각의 12시 측 및 6시 측의 상부에 형성되는 요면부(31)에 형성된다. 방출된 자외선은 비스듬히 위로부터 액정표시부 장치(41)의 상부면에 조사된다.
상기와 같은 손목 시계에 따르면, 실내 등의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거의 노출되지 않는 장소에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51)로 입력된 외부 광선은 상기 상부 편광판(44), 한 쌍의 투명 전극 PCBs(42, 43) 및 하부 편광판(45)을 통해 투과된다. 그러면,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후면부 측은 상기 외부 광선에 의해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등의 정보가 상기 액정 표시장치(4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외 등과 같이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을 포함하는 외부 광선이 노출되는 장소에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41) 상에 표시되는 시간 등의 상기 정보가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빛, 즉, 가시광선 영역의 빛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 편광판(44) 및 하부 편광판(45)은 자외선 투과성이므로, 상기 외부 광선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발광층(15)으로 조사되고, 상기 발광층(15)은 유색광을 방출하여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에 표시된 정보가 상기 방출된 유색광을 배경으로 하여 보여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층(15)의 층 두께가 파형에 따라 변하고, 상기 층 두께에 따라 상기 발광색에 색상이 유기되므로, 상기 발광색의 색상이 상기 발광층(15)에 의해 대표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장식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손목 시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거의 노출되지 않는 어두운 장소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를 켬으로써 자외선이 발생될 때, 상기 상부 편광판(44) 및 하부 편광판(45)은 자외선 투과성이므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상기 상부 편광판(44), 한 쌍의 투명 전극 PCBs(42, 43) 및 하부 편광판(45)을 통해 투과되고, 상기 발광층(15)으로 방출된다. 그러면,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15)은 강제적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고, 따라서, 원하는 장소에서 상기 발광층(15)으로부터 자유롭게 빛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광층(15)은 역광으로서 기능하므로,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에 표시된 정보는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거의 노출되지 않는 어두운 장소이더라도 상기 발광층(15)으로부터 방출된 유색광에 의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목 시계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시계 유리(3)의 상기 주변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액정 표시장치(41) 및 시계 유리(3)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차광 부재(12) 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실시예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고, 더욱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차광 부재(1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로부터 상기 액정 표시장치(41) 및 상기 시계 유리(3)의 사이로 잘 조사될 수 있고, 상기 발광층(15)이 빛을 잘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5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상기 차광 부재(12)의 12 시측 및 6 시 측의 두 부분에 구비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등 간격으로 3 또는 그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항상 상기 차광 부재(12)의 상부에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를 배치할 필요는 없다. 도 18a에 도시된 상기 제 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상기 투명 차광 부재(12) 내에 구비된 요면부(32)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자외선은 상기 차광 부재(12)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상부면 측으로 조사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8b에 도시된 상기 제 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차광 부재(12) 및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내부면 사이의 공간부(33) 내에 배치될수도 있고, 상기 자외선은 상기 차광 부재(12) 및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사이의 공간(S)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상부면 측으로 조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졌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 5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특히, 상기 각 차광 부재(12)에 의해 확실히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5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15)의 층 두께가 파형에 따라 변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은 복수개의 발광막(21 ~ 23)이 적층된 발광층(20)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트형의 발광부(26)가 점과 같이 배열된 발광층(25)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인광성 물질(17)이 상기 발광층(15, 20, 25)에 혼합될 수도 있고, 각 발광층(15, 20, 25)에서 상기 인광성 물질(17)에 의해 잔광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빛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의 시간 간격을 길게 할 수 있고, 전력 소비의 절감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5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상기 발광층(15, 20, 25)이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상기 하부 편광판(45)의 하부면 상에 구비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층(15, 20, 25)은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상부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층(15, 20, 25)은 상기 액정 표시장치(41)내에 표시된 시간 등의 정보를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상기 부분에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술한 제 5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15, 20, 25)이 상기 액정 표시장치(41) 상에 구비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층(15, 20, 25)은 상기 제 5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와 같이, 베즐(2), 시계 유리(3), 차광 부재(12), 시계 밴드(9)등의 각 타임피스 부분들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 6 실시예]
이하에서는, 손목 시계에 적용되는 본 발명을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 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7에 도시된 제 5 실시예 및 각 변형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명기될 것이다.
본 손목 시계는 시계 모듈이 투과성 액정 표시장치(50) 및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하단에 배치된 자외선 방출장치(51)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손목 시계의 다른 구조는 상기 제 5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즉, 상기 제 5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에서, 액정(미도시)은 위아래로 배치된 한 쌍의 투명 전극 인쇄 회로기판(PCBs)(42, 43)의 사이에 둘러싸여 있다.상부 편광판(44)은 상측의 상기 전극 PCB(42)의 상부면 상에 구비되고, 하부 편광판(44)은 하측의 상기 전극 PCB(43)의 하부면 상에 구비된다. 그 다음, 투명 발광층(15)이 상기 하부 편광판(45)의 하부면 전체 상에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 5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고, 그 두께가 파형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방출 장치(51)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확산기(52) 및 상기 확산기(52)의 하단에 배치된 자외선 방출 소자(30)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에 의해 야기된 자외선은 상기 확산기(52)에서 확산되고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하부면 상의 상기 발광층(15)으로 대략 일정하게 조사된다.
상기 손목 시계에 따르면, 실외 등의 자외선 영역의 빛이 노출되는 장소에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상기 하부면 상에 구비된 상기 발광층(15)은 유색광을 방출하고, 역광으로서 기능을 하여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에 표시된 정보가 상기 방출된 유색광을 배경으로 하여 잘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실내 등의 자외선의 노출이 거의 없는 장소에서, 자외선이 상기 자외선 방출장치(51)의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를 켬으로써 자외선이 방출되고, 상기 자외선은 상기 확산기(52)에서 확산되고,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상기 하부면 상의 상기 발광층(15)으로 대략 일정하게 조사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조사된 자외선에 반응하고, 유색광을 방출하여, 상기 발광층(15)은 어두운 장소에서도 배경으로 기능을 하여 상기 방출된 유색광을 배경으로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에 표시된 정보가 잘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손목 시계에서,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자외선 방출장치(51)의 자외선 방출 소자(30)를 켬으로써 강제적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고, 원하는 장소에서 상기 발광층(15)이 빛을 자유롭게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에 표시된 정보가 잘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15)이 빛을 방출할 때, 상기 발광층(15)의 층 두께가 파형에 따라 변하고, 상기 층 두께에 대응하여 발광색에 있어 색상이 유기되므로, 상기 발광색의 색상은 상기 발광층(15)에 의해 대표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장식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6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장치(51)가 상기 확산기(52)의 하단에 구비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광선 가이드 판이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하부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상기 광선 가이드 판의 외부 주변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로부터의 자외선이 상기 광선 가이드 판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상기 광선 가이드 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하부면으로 대략 일정하게 조사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제 6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하부면 전체 상에 구비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에 표시된 시간 등의 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손목 시계가 상기 자외선 방출장치(51) 외에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역광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상부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술한 제 6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15)의 층 두께가 파형에 따라 변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막(21 ~ 23)이 적층된 발광층(20)이거나, 상기 제 3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형의 발광부(26)가 점과 같이 배열된 발광층(25)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인광성 물질(17)이 또한 상기 발광층(15, 20, 25)에 혼합될 수 있고, 상기 각 발광층(15, 20, 25)내의 상기 인광성 물질(17)에 의한 잔광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빛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의 시간 간격을 길게 할 수있고, 전력 소비의 절감이 시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4 내지 6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외부의 빛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시계 유리(3)를 통해 입사된다. 그러나,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반사하기 위한 자외선 반사막이 상기 시계 유리(3)의 상부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계 유리(3) 상의 자외선 반사막은 외부로부터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반사하고,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각 발광층(15, 20, 25)은 상기 외부 광선에 반응하여 빛을 방출하지 않는다. 상기 발광층(15, 20, 25)은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로부터의 자외선에만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고, 더욱이, 상기 자외선 반사막은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 내의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로부터 자외선을 반사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은 효율적으로 상기 발광층(15, 20, 25)으로 조사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다음,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가 도 22 및 2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된 제 5 실시예 및 각 변형예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 또한 동일 참조 번호가 명기되어 있다.
도 22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 선 상에서 취해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장치 케이스(60)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케이스(60)는 상부 케이스(61)가 하부 케이스(62)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장치 케이스(60)의 상부면 상의, 즉, 상기 상부 케이스(61)의 상부면 상의 보호 유리(63)가 상기 상부측에 구비된 개구부에 장착되고, 전화기 기능을 위해 필요한 각종 키 버튼(64)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장치 케이스(60)의 상부측의 측면상에 안테나(65)가 부착된다. 상기 안테나(65)는 상기 장치 케이스(60)로부터 당겨 빼내거나 밀어 넣을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 케이스(60)의 내부에는 전화기를 위한 모듈(66)이 포함된다. 상기 모듈(66)은 액정 표시장치(41)등의 전화기 기능을 위해 필요한 각종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41)는 도 20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41)는 프레임 부재 또는 프레임부인 차광 부재(67)를 통해 상기 보호 유리(63)의 하단측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44, 45)이 한쌍의 투명 PCB(42, 43)의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 각각 구비된다.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는 발광층(15)이 상기 하부 편광판(45)의 하부면 전체에 구비된다. 또한, 반사기(46)가 상기 발광층(15)의 하부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41)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15)의 층 두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형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차광 부재(67)는 완충 기능을 갖고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주변부의 상부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장치 케이스(60)의 내면상에 구비된다. 상기 차광 부재(67)에서, 요면부(68)가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자외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상기 각 요면부(68)에 구비된다.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비스듬한 상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상부면에 이르기까지 상기 발생된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휴대 전화기에 따르면, 실내 등의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거의 노출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에 입사된 외부 빛이 상기 상부 편광판(44), 한 쌍의 투명 전극 PCB(42, 43) 및 하부 편광판(45)을 통해 투과된다. 그 다음,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후면측이 상기 투과된 외부 빛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등의 정보가 상기 액정 표시장치(4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외 등의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노출되는 장소에서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하부면 상에 구비된 상기 발광층(15)이 유색광을 방출하고,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에 표시된 정보가 상기 방출된 유색광을 배경으로 함으로써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15)이 빛을 방출할 때 상기 발광층(15)의 층 두께가 파형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상기 층 두께에 따라서 발광색에 있어 색상이 발생된다. 상기 발광색의 색상은 상기 발광층(15)에 의해 대표될 수 있다. 따라서, 고급 장식 효과를 가진 휴대용 전화기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화기에서 자외선 영역의 빛이 거의 노출되지 않는 어두운 장소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를 켬으로써 자외선이 발생될 때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각 발광층(15)은 강제적으로 빛을 방출하고, 원하는 장소에서 상기 발광층(15)으로부터 자유롭게 빛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광층(15)은 역광으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에 표시된 정보는 상기 발광층(15)에서 방출된 유색광에 의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전화기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보호 유리(63)의 상기 주변부에 대응하여 상기 차광 부재(67) 및 보호 유리(63)의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5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고, 더욱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차광 부재(67)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은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로부터 상기 액정 표시장치(41) 및 보호 유리(63)의 사이에 잘 조사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자외선은 상기 발광층(15)으로 확실하게 잘 조사될 수 있고 상기 발광층(15)은 빛을 충분히 방출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상기 차광 부재(67)의 두 대향부 내에 구비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동일한 간격으로 셋 또는 그 이상의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항상 상기 차광 부재(67)의 상부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도 18a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요면부(32)가 상기 투명 차광 부재(67)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8b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차광 부재(67)와 상기 장치 케이스(60)의 내면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비록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졌지만, 상기 제 7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동작 및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각 차광 부재(67)에 의해 확실히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 비록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하부면 전체에 구비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에 표시된 시간 등의 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하부면 상에 상기 발광층(15)이 구비될 필요는 없다.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액정 표시장치(41)의 상부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 비록 상기 발광층(15)의 두께가 파형에 따라 변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막(21 ~ 23)이 발광되는 발광층(20)일 수도 있고, 상기 제 3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형의 발광부(26)가 점과 같이 배열된 발광층(25)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1의 상기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동일하게 인광성 물질(17)이 상기 발광층(15, 20, 25) 내에 혼합될 수도 있고 각 발광층(15, 20, 25)내의 상기 인광성 물질(17)에 의해 잔광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빛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의 시간 간격을 길게 할 수 있고, 전력 소비의 절감이 시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비록 상기 액정 표시장치(41)가 반사성인 상기 케이스가 설명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21에 도시된 상기 제 6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투과성의 액정 표시장치(5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외선 방출장치(51)는 확산기(52)를 포함하고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50)의 하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15, 20, 25)은 항상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를 이용하여 빛을 방출할 필요는 없다. 상기 발광층(15, 20, 25)은 외부 빛에 포함된 자외선 영역의 빛에 의해서만 빛을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15, 20, 25)은 상기 액정 표시장치(41) 상에 구비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층(15, 20, 25)은 상기 장치 케이스(60), 보호 유리(63), 각종 키 버튼(64), 안테나(65), 차광 부재(67) 등과 같은 각 전화기 부분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 ~ 7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상기 발광층(15, 20, 25)이 타임피스(timepiece)부 및 전화기부 상에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각 타임피스부 및 전화기부가 투명 부재라면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자외선 방출 물질이 상기 부분들에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인광성 물질이 상기 자외선 방출 물질과 혼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방출 물질, 인광성 물질 등의 발광 물질(70)이 상기 시계 유리(3) 또는 상기 보호 유리(63)에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상기 차광 부재(12, 67)가 투명하다면 상기 자외선 방출 물질, 인광성 물질 등의 발광 물질(70)이 상기 차광 부재(12, 67) 내에 혼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 7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본 발명이 비록 손목 시계 또는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자 노트북, 전자 사전, 휴대용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등의 각종 전자장치, 자동차, 도구 등의 각종 장치 또는 상기 부분들의 각각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 7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를 보호 또는 완충을 주기 위하여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가 상기 프레임 유사 부재 또는 차광 부재 내에 구비된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프레임 부는 상기 시계 케이스 또는 장치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에 대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30)는 상기 프레임 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 8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25 내지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손목 시계에 적용되는 제 8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 제 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6 내지 20에 도시된 상기 제 4 및 5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명기될 것이다.
도 25에 도시된 평면도 및 도 25의 XXVI-XXVI 선에서 취해진 단면도로부터 상기 전자 손목 시계가 시계 바늘을 구비한 아날로그 기능 및 손목 시계 케이스(1)내의 액정에 의해 시간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기능이 구비된 시계 모듈(8)을 포함한다.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내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이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 상에 장착된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시계 유리(3)의 하부면 상에 구비된다. 상기 전자 손목 시계의 다른 구조는 상기 제 4 및 5 실시예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이 경우,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상부를 덮기 위해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외부 주변부 내에 베즐(bezel)(2)이 구비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링(2a)이 각 베즐과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상부 사이에 구비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베즐 링(2a)은 상기 베즐(2)의 상기 외부 주변부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시계 유리(3)는 패킹(4)을 통해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상기 상부 상에 장착된다. 후면 커버(7)는 방수 링(8)을 통해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상기 하부면에 부착된다.
상기 시계 모듈(80)은 상기 아날로그 기능 및 디지털 기능을 구비한 하우징(83)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83)은 차광 부재(12)를 통해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강 프레임(84)에 포함되고, 이 상태로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 내에 포함된다.
상기 시계 모듈(80)의 상기 아날로그 기능은 상기 제 4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시계 바늘 축(10)은 다이얼(5)의 상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시침, 분침 등의 시계 바늘(11)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돌출된 시계 바늘 축(10)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이얼(5)은 원판이다. 상기 시계 바늘 축(10)이 삽입되는 구멍(13)이 상기 다이얼(5)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시간 색인(14) 및 표시를 위한 개구부(85)가 상기 다이얼(5)의 상기 상부면의 외부 주변부에 구비된다. 또한, 발광층(15)이 상기 다이얼(5)의 상부면, 상기 다이얼(5)의 상부면상, 상기 시계 바늘(11)의 상부면상 및 상기 차광 부재(12)의 표면상의 소정 지점(표시부) 상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시계 모듈(80)의 디지털 기능은 시간 등의 정보 표시를 위한 반사 액정 표시장치(86)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86)는 표시를 위한 상기 개구부(85)의 하단측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에서, 또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을 투과하기 위한 상부 편광판(44)이 그 사이에 액정이 포함되고 오르내리도록 배치된 한 쌍의 투명 전극 PCB(42, 43)을 갖는 액정 셀(87)의 상기 상부면 상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영역이 빛을 투과하기 위한 하부 편광판(45)이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의 상기 액정 셀(87)의 상부면 상에 구비된다. 반사기(46)가 상기 하부 편광판(45)의 하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반사기(46)의 상부면 상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86)는 상기 제 5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반사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제 5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각 편광판(44, 45)은 또한 가시 영역 및 자외선 영역의 빛의 둘 다를 투과하기 위한 것이고, 통상의 편광판에서 수행되지 않는 자외선 차단 처리의 구조를 갖는다.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365 및 400 nm의 사이, 바람직하게는 350 및 380 nm의 사이의 파장을 가진 근사 자외선(UV-A)을 방출하기 위해 흑광으로 불리는 자외선 방출 다이오드(LED) 등의 광 방출 소자를 포함한다.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에서 보호 부재 또는 완충 부재로서 기능을 또한 포함하는 상기 차광 부재(12)의 3 시측과 9 시측의 각 상부 상에 형성된 공간인 요면부(31)에 구비된다. 즉,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상기 차광 부재(12)와 상기 시계 유리(3)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5) 및 시계 바늘(11) 보다 상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한 쌍의 배터리 단자(88)를 포함한다. 각 배터리 단자(88)는 상기 차광 부재(12)를 통해 상기 다이얼(5)의 구멍(89)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다. 각 삽입된 배터리 단자(88)의 각 하측 단부는 접속을 위해 상기 하우징(83)내의 회로 기판(89)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스위치 스프링(90)에 탄력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단자(88)는 전기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89)에 접속된다. 즉, 접속을 위한 각 스위치 스프링(90)은 L-형으로 휘어진 판 스프링이다. 각 스위치 스프링(90)의 상기 상부는 역 U-형으로 휘어져 있고, 상기 역 U-형으로 휘어진 후 상기 하단부는 아래위 방향으로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의 각 배터리 단자(88)의 표면으로 탄성적이고 이동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단자(88)가 상기 스위치 스프링(9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므로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계 유리(3)의 상기 하부면 상의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은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 내에 배치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방출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반사하고,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외의 다른 빛을 투과한다.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은 또한 상기 시계 유리(3)를 통해 입사된 외부 빛 중 자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고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외의 빛을 투과하는 투명막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은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제 1 및 2 증착층(91, 92)이 선택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에서, 상기 제 1 증착층(91)은 산화 티타늄(TiO2), 질화 티타늄(TiN)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증착층(92)은 산화 실리콘(SiO2), 질화 실리콘(Si3N) 등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2 증착층(92)은 증착에 의해 상기 시계 유리(3)의 하단면 상에 증착된다. 그 다음, 상기 제 1 증착층(91)은 증착에 의해 상기 제 1 증착층(91)의 하부면 상에 증착된다. 상기 자외선 반사막(81)은 약 22 층의 상기 제 1, 2 증착층(91, 92)이 연속적으로 상기 증착 조작을 반복하여 전체로 적층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증착층(91)이 상기 산화 티타늄(TiO2)으로, 상기 제 2 증착층(92)이 산화 실리콘(SiO2)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막 강도는 높고, 상기 산화 티타늄의 제 1 증착층(91)은 팽창 및 수축 압력에 강하고, 상기 산화 실리콘의 제 2 증착층(92)은 압축력에 강하다. 따라서, 이러한 상승 효과에 의해 균열에 대한 강도는 극도로 높아지고, 상기 막에서 압력의 편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 1, 2 증착층(91, 92)의 적층된 수는 약 18 내지 25 층이고, 바람직하게는 22 층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의 총 두께는 약 1.075 ㎛이고, 상기 제 1, 2 증착층(91, 92)의 평균 두께는 약0.049 ㎛로 얇게 형성된다.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은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약 70 내지 90 % 를 반사하고, 상기 시계 유리(3)를 통해 입사되는 상기 자외선 영역의 외부 빛 중에 최대 300 nm 의 파장을 가진 빛의 적어도 90 % 를 차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은 최대 400 nm 의 파장을 가진 빛의 약 98 % 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이 형성된 상기 시계 유리(3)는 상기 시계 유리(3)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자외선 영역 외의 빛, 예를 들면, 가시광선 영역의 빛(440 내지 720 nm 의 영역의 파장)의 적어도 92 % 의 투과율을 갖는다. 상기 투과율의 평균값은 적어도 93.5 % 의 높은 값이다.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할 때 높은 투과율을 갖도록 제작된다.
반면,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다이얼(5), 시간 색인(14),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및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의 상기 반사기(46) 상에 구비된 각 발광층(15)이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유색광을 방출하고, 자외선 영역의 빛이 조사되지 않을 때는 투명 상태이다. 즉, 전자는 접지 상태에서 잉크의 안료에 포함되는 첨가물이 자외선 영역의 빛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고에너지 상태로 이동하고, 그 다음 전자는 안정한 에너지 레벨로 복귀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15)은 빛을 방출한다. 각 발광색(발광 파장)은 상기 첨가물로부터 주어지는 파장이고, 따라서, 상기 첨가물에 따라 상기 발광색이 다르다. 따라서, 각 발광층(15)의 상기 발광색은 청색, 녹색(황색색) 및 적색에 기초하고, 10 내지 13 가지의 색상 종류의 변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이얼(5), 시간 색인(14),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및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의 각 반사기(46) 상의 각 발광층(15)의 상기 발광색은 모두 동일한 색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상기 다이얼(5) 및 시계 바늘(11)은 시간을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하여 다른 색상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대응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발광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발광층(15) 중에서 특히 상기 시간 색인(14) 및 차광 부재(12) 상에 구비된 각 발광층(15)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시간 지수(14)의 각 발광층(15)의 상기 발광량은 각 발광층(15)이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방출 빛의 파장을 점차로 짧게 함으로서 다르게 만들어진다. 즉,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조사량이 일정할 경우 상기 발광층(15)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길수록 상기 조사량은 점점 감소되고, 상기 파장이 짧을수록 상기 발광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의 부근에서 각 발광층(15)의 상기 발광색은 파장이 긴 적색과 유사하고,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각 발광층(15)의 상기 발광색은 상기 파장이 점차 짧아짐에 따라 청색과 유사한 색상으로부터 녹색에 유사한 색상까지의 순서로 된다.
부가하면, 상기 전자 손목 시계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수로 형성된다. 즉,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외곽 치수는 대략 41.0 mm, 내부 폭은 28.6 mm 이다.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상기 상부의 내경이 대략 27.5 mm이다. 상기 시계 유리(3)의 상기 상부의 외경은 대략 26.5 mm이고, 상기 시계 유리(3)로부터 상기 후면 커버(7)의 상기 하부면까지의 두께는 대략 12.8 mm이다. 상기 다이얼의 두께는 약 0.6 mm이고, 상기 액정 표시장치(86) 및 상기 하우증 내의 상기 회로 기판(89)의 두께는 대략 2.3 mm이다. 또한,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상기 외측면과 상기 시계 바늘축(10)의 중앙 사이의 거리는 대략 21.2 mm이다. 상기 시계 바늘(11)에서 상기 시침의 길이는 대략 7.5 mm이고 분침 및 초침의 길이는 대략 10.5 mm 이다.상기 시계 바늘출(10)과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의 사이의 거리는 대략 11.85 mm이고,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의 발광 중심부로부터 상기 다이얼(5)의 높이는 대략 1.65 mm 이다. 상기 다이얼(5)의 하부면으로부터 각 스위치 스프링(90)의 상단부까지의 틈은 대략 0. 5 mm 이다. 또한, 상기 치수는 상기 제 1 내지 7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서의 거의 동일하다.
상기 전자 손목 시계에 따르면, 실외 등의 밝은 장소에서는 외부로부터 상기 시계 유리(3)를 통해 입사된 외부 빛 중에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시계 유리(3) 상에 구비된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특히 중자외선(UV-B), 원자외선(UV-C) 등의 단파장을 가진 유해 광선이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의 상기 액정층이 상기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유리(3)를 통해 입사된 외부 빛 중에서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빛은, 예를 들면 가시광선 영역의 빛,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을 통해 투과됨으로써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내로 입사된다. 따라서, 시간이 일반 손목 시계와 동일한 입사 광선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이얼(5)의 상기 반사기(46), 시간 색인(14),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및 액정 표시장치(86)에 각각 구비된 상기 각 발광층(15)은 투명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5), 시간 색인(14),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및 액정 표시장치(86)의 각 타임피스 부분의 가시도는 각 발광층(15)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각 타임피스 부분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간은 상기 다이얼(5), 시간 색인(14), 시계 바늘(11)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에서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빛이 상기 다이얼(5)의 표시를 위한 상기 개구부(85)를 통해 입사되고, 상기 입사된 빛은 상기 상부 편광판(44), 액정 셀(87) 및 하부 편광판(45)을 통해 투과된다. 그 다음, 상기 투과된 빛은 각 발광층(15)을 통해 투과되고 상기 반사기(46)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일반 액정 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시간 등의 정보가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가 실내 등의 어두운 장소에서 켜질 때,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로 방출된다. 상기 방출된 자외선 영역의 빛은 상기 다이얼(5), 시간 색인(14),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및 액정 표시장치(86)의 상기 반사기(46)에 구비된 각 발광층(15)으로 각각 조사된다. 따라서, 각 발광층(15)은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빛으로서 유색광을 방출한다. 이 경우,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방출된 빛의 일부가 각 발광층(15)으로 직접 조사되고, 상기 빛의 다른 부분은 상기 시계 유리(3)의 하부면 상에 구비된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에서 반사되고, 각 발광층(15)으로 간접적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방출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상기 시계 유리(3)를 통한 투과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방출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거의 손상되지 않고, 각 발광층(15)으로 효율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간 색인(14) 및 차광 부재(12) 상에 구비된 각 발광층(15)은 각 발광층(15)이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발광량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방출되는 빛의 파장을 점차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발광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자외선 방출 소자(81)의 부근의 각 발광층(15)은 파장이 긴 적색과 유사한 빛을 방출하고,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각 발광층(15)은 파장이 점차 짧아지는 청색과 유사한 빛에서부터 녹색에 유사한 빛까지의 순서로 빛을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의 부근의 상기 발광층(15)에서, 상기 발광량은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조사량이 큼에도 불구하고 적다. 그 다음,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발광층(15)에 따른 상기 발광량은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조사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자외선 발광 소자(81)의 부근에 있거나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져 있더라도 빛은 일정한 밝기로 방출될 수 있다. 더욱이, 각 발광층(15)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색상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장식 및 디자인에서 바람직한 것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방출된 자외선 영역의 빛은 상기 다이얼(5)의 표시를 위한 상기 개구부(85)를 통하여 상기 액정 표시장치(86)로 입사된다.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상기 자외선 투과성 상부 편광판(44), 상기 액정 셀(87) 및 상기 자외선 투과성 하부 편광판(44)을 통해 투과된다. 그 다음, 상기 투과된 빛은 상기 발광층(15)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빛으로서 유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가시광선 영역의 빛은 상기 액정 셀(87)의 역광으로 작용하여 상기 액정 셀(87)이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등의 정보가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의 상기 상부 편광판(44) 및 하부 편광판(45)은 자외선 투과성이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투과되고 상기 액정 셀(87)의 상기 액정층을 통해 조사된다. 그러나,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에 따른 조사 시간이 짧기 때문에 상기 액정층은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자 손목 시계에 따르면,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의 상기 상부 편광판(44) 및 하부 편광판(45)는 자외선 투과성이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을 포함하는 빛은 상기 상부 편광판(44), 액정 셀(87) 및 하부 편광판(45)을 통해 투과된다. 상기 투과된 빛 중에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 외의 빛은, 예를 들면, 상기 가시광선 영역의 빛, 상기 반사기(46)의 상기 발광층(45)을 통해 투과되고 상기 반사기(46)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 셀(87)은 상기 반사광에 의해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발광층(15)으로 조사될 때,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액정 셀(87)은 상기 발광층(15)으로부터 방출된 상기 유색광에 의해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86)내로 입사된 상기 빛이 가시광선 영역 등의 자외선 영역 외의 빛이더라도 상기 액정 셀(87)은 잘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손목 시계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빛이 방출될 때,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 내로 방출된다. 상기 빛의 일부는 직접 상기 다이얼(5), 시계 바늘(11), 차광 부재(12) 및 액정 표시장치(86)의 상기 반사기(46) 상에 구비된 각 발광층(15)으로 조사되고, 상기 빛의 다른 부분은 상기 빛을 손상시키지 않고 각 발광층(15)으로 효율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발광층(15)은 빛을 효율적으로 방출한다.
더욱이, 상기 전자 손목 시계에서,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은 다른 물질을 갖는 제 1, 2 증착층(91, 92)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율 또는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빛의 투과율은 상기 제 1, 2 증착층(91, 92)의 적층 수 및 상기 제 1, 2 증착층(91, 92)의 각 층의 두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적당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2 증착층(91, 92)의 적층 수가 클 때,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율이 높게 된다. 또한, 상기 상기 제 1, 2 증착층(91, 92)의 두께가 두꺼울 때,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율이 높게 된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반사율이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제 1, 2 증착층(91, 92)의 적층 수가 22 층이 되도록 하고, 총 두께가 1.075 ㎛ 가 되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자외선 영역외의 빛의, 예를 들면 가시광선 영역의 빛, 약 92 % 가 투과되고,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방출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70 내지 90 % 가 반사된다. 그 다음,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상기 시계 유리(3)를 통해 입사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 중에서 최대 300 nm 의 파장을 가진 빛의 적어도 90 % 가 차단되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400 nm 의 파장을 가진 빛의 90 % 가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방출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발광층(15)으로 효율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사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거의 확실히 차단될 수 있고 상기 외부 광선에 포함된 단파장을 가진 상기 자외선 영역의 유해 광선이, 예를 들면 중자외선(UV-B) 또는 원자외선(UV-C),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를 통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에서의 상기 액정층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제 8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상기 시계 유리(3)가 상기 시계 유리(3)의 상기 하부면에 가까운 상태로 상기 차광 부재(12)의 요면부(31)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상기 다이얼(5) 및 시계 바늘(11)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도 18a 또는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18a에 도시된 상기 변형예에서, 상기 차광 부재(12)가 상기 투명 물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상기 투명 차광 부재(12)의 내부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도 18b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상기 차광 부재(12)의 하부 내에 배치된다. 그 다음, 공간(S)이 상기 차광 부재(12)와 상기 다이얼(5)의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방출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상기 공간(S)을 통해 상기 다이얼(5)의 상방으로 방출된다. 상기 경우들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상기 다이얼(5)과 시계 바늘(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상기 시계 유리(3) 상에 구비된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는 상기 제 8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술한 제 8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이 상기 시계 유리(3)의 상기 하부면 상에 구비되었으나, 이에 국한 되지 않는다.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은 상기 시계 유리(3)의 상기 상부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은 상기 증착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자외선을 반사하기 위한 자외선 반사 약품이 상기 합성수지 시트에 혼합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을 반사하기 위한 자외선 반사 약품이 상기 시계 유리(3)로 혼합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들 중의 하나에서, 상기 자외선 반사 약품의 혼합량은 적절하게 규제되고,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율 및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빛의 투과율이 가장 적절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8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제 8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층(15)의 발광량은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층(15)로부터 방출된 가시광선 영역의 빛의 파장은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의 층 두께는 점차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15)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과 같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점의 밀도는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발광층(15)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하더라도, 상기 발광층(15)이 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져 있더라도 거의 일정한 밝기에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8 실시예에서, 본 발명이 전자장치로서 상기 전자 손목 시계에 적용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2 및 23에 도시된 상기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에 적용될 수 있고, 더욱이 전자 사전, 휴대용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등의 다양한 전자장치, 자동차, 기구 등의 각종 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개구부(시계 유리(3) 또는 보호 유리(63))를 갖는 장치 케이스(시계 케이스(1) 또는 장치 케이스(60));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장치 케이스 내에 구비된 모듈(시계 모듈(6, 49) 또는 모듈(66));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듈 및 장치 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된 프레임 유사부(차광 부재(12, 67)); 상기 프레임 유사부 내에 구비되고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방출부(자외선 램프(30));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듈의 적어도 한 부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층(1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방출부는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듈 및 장치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 유사부 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방출부는 방해 및 충격 등을 받아 손상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상기 모듈 및 개구부 사이로 잘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이 상기 발광층으로 확실하게 잘 조사될 수 있고, 상기 발광층은 빛을 충분히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상기 자외선 램프(30))는 상기 프레임 유사부(상기 차광 부재(12))내의 개구부의 내면에 근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모듈 및 개구부 사이에 훨씬 잘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18a 및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유사부(상기 차광 부재(12))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유사한 부재이고, 공간부(요면부(32) 또는 공간부(33))가 상기 프레임 유사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방출부(상기 자외선 램프(30))가 상기 공간부 내에 구비된다. 이 경우, 도 16 내지 24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훨씬 더 상기 자외선 방출부가 방해 및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상기 시계 모듈(6))은 상기 시계 바늘 및 다이얼 상에 구비된 시계 바늘(11), 다이얼(5) 및 발광층(15)에 의해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의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서도 쉽게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20 내지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상기 시계 모듈(40) 또는 모듈(66))은 액정 표시장치(41) 및 상기 액정 표시장치(41) 상에 구비된 상기 발광층(15)에 의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의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서도 쉽게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개구부(시계 유리(3))를 갖는 장치 케이스(손목 시계 케이스(1));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장치 케이스 내에 구비된 액정 표시장치(50);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후부면 측에 배치되고,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기 위한 자외선 방출부(자외선 방출 장치(51)); 상기 액정 표시장치 측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층(15)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방출부가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기 위해 켜질 때, 상기 발광층은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발광층으로부터의 유색광에 의해 잘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역광 기능이 상기 발광층에 의해 잘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유색광에 의해 장식 특성이 우수한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광성 물질이 상기 발광층에 혼합된다. 이 경우, 상기 인광성 물질은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으로부터의 에너지를 절약한다. 그 다음, 상기 인광성 물질은 자외선 방출부가 꺼진 다음 잔광으로서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상기 발광층은 잔광 기능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높은 장식 특성을 가진 것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하기 위한 시간 간격이 길도록 할 수 있고, 전력 소비의 감소가 시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20 내지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장치(86)는 한 쌍의 투명 전극 인쇄 회로 기판(42, 43) 사이에 액정을 둘러쌈으로써 이루어지는 액정 셀(87); 상기 액정 셀의 상부면 상에 구비된 자외선 투과성 상부 편광판(44); 상기 액정 셀의 하부면 상에 구비된 자외선 투과성 하부 편광판(45); 상기 하부 편광판의 하부측 상에 구비된 반사기(46); 및 상기 반사기의 상부면 상에 구비되고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은 자외선 투과성이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을 포함한 빛이 상기 상부 편광판을 통해 입사되면 상기 빛은 상기 상부 편광판, 액정 셀 및 하부 편광판을 통해 투과된다. 상기 투과된 빛 중에서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빛, 예를 들면, 가시광선 영역의 빛, 은 상기 발광층을 통해 투과되고 상기 반사기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 셀은 상기 반사광에 의해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발광층으로 조사될 때, 상기 발광층은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액정 셀은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된 상기 유색광에 의해 잘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편광판을 통해 입사된 빛이 가시광선 영역 등의 상기 자외선 영역의 외의 빛이거나 또는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더라도 상기 액정 셀은 잘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16 내지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개구부(시계 유리(3) 또는 보호 유리(63))를 갖는 장치 케이스(손목 시계 케이스(1) 또는 장치 케이스(60));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장치 케이스내에 구비된 모듈(시계 모듈(6, 40 또는 80, 또는 모듈(66));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장치 케이스내에 구비되고, 자외선 영역의 제 1 광선을 방출하기 위한 자외선 방출부(자외선 방출 소자(30 또는 81); 상기 모듈 상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영역의 제 1 광선에 대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층(15); 및 상기 개구부의 전면 및 후면의 적어도 하나 상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제 1 광선을 반사하고 상기 자외선 영역의 제 1 광선 외의 빛을 투과하기 위한 자외선 반사막(82)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빛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될 때,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이 상기 장치 케이스 내로 방출된다. 상기 빛의 일부는 직접 상기 발광층으로 조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개구부의 자외선 반사막에서 반사된 후 상기 발광층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상기 빛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발광층으로 효율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층은 빛을 충분히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16 내지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개구부(시계 유리(3) 또는 보호 유리(63))를 갖는 장치 케이스(손목 시계 케이스(1) 또는 장치 케이스(60)); 적어도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장치 케이스내에 구비되고 액정 표시장치(41 또는 86)를 갖는 모듈(시계 모듈(40 또는 80)); 한 쌍의 투명 전극 인쇄 회로 기판(42, 43) 사이에 액정을 둘러쌈으로써 이루어지는 액정 셀(87), 상기 액정 셀의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 구비된 한 쌍의 자외선 투과성 상부 편광판(44, 45), 상기 액정 셀(87)의 하부측 상에 위치한 상기 편광판의 하부측 상에 구비된 반사기(46)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86);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장치 케이스 내에 구비되고, 자외선 영역의 제 1 광선을 방출하기 위한 자외선 방출부(자외선 방출 소자(30 또는 81);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상기 반사기 상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영역의 제 1 광선에 반응하여 유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층(15); 및 상기 개구부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 상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자외선 영역의 제 1 광선을 반사하고 상기 자외선 영역의 제 1 광선 외의 빛을 투과하기 위한 자외선 반사막(82)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정 표시장치 내의 한 쌍의 상기 편광판은 자외선 투과성이기 때문에, 상기 제 8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게, 상기 액정 표시장치(86)에 입사되는 빛이 가시광선 영역 등의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빛이더라도 또는 자외선 영역의 빛이더라도 상기 액정 셀은 잘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반사막이 상기 장치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 상에 구비되므로,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 영역의 빛이 손실없이 상기 발광층으로 효율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층은 상기 액정 셀을 밝게 조사하기 위해 충분히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26 및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이 상기 장치 케이스(상기 손목 시계 (1))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상기 시계 유리(3))를 통해 입사된 외부 빛 중에서 상기 자외선 영역의 제 2 광선만을 차단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특히, 상기 자외선 반사막은 상기 장치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선 중에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만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광선 중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상기 장치 케이스 내의 상기 발광층 상에는 조사되지 않는다. 또한, 특히, 단파장을 가진 상기 자외선 영역의 유해 광선이 상기 장치 케이스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장치의 액정 층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이 박막인 증착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반사막이 증착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증착층의 적층 수 및 두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율 및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빛의 투과율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증착층의 적층 수가 많으면,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율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증착층의 두께을 두껍게 하더라도,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율이 증가된다. 따라서,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반사율이 얻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반사막(82)은 상기 장치 케이스(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상기 시계 유리(3))를 통해 입사되는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 중에서, 최소 450 nm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 영역 외의 제 2 광선의 적어도 92 %를 투과하고, 상기 자외선 방출부(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의 상기 자외선 영역의 제 1 광선의 70 ~ 90 % 를 반사하고, 최대 300 nm 의 파장을 가진 제 3 광선의 적어도 90 % 를 차단하고, 최대 400 nm 의 파장을 가진 제 4 광선의 약 98 % 를 차단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반사막은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70 ~ 90 % 를 반사하고,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효율적으로 반사되고 상기 발광층으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사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 가운데 최대 300 nm 의 파장을 가진 빛의 적어도 90 %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400 nm 의 파장의 빛의 약 98 % 가, 차단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은 거의 확실히 차단된다. 더욱이,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적어도 450 nm 의 파장을 가진 빛의 92 % 가 투과되므로, 상기 장치 케이스의 내부가 상기 자외선 반사막을 통해 투과된 상기 자외선 영역 외의 빛에 의해 잘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13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은 상기 발광층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발광량이 점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방출부 부근의 상기 발광층으로의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조사량이 크더라도, 상기 발광층의 발광량은 적고, 상기 발광층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상기 자외선 영역의 빛의 조사량이 적더라도, 상기 발광층의 발광량은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의 부근에 있거나 또는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떨어져 있더라도, 빛은 거의 일정한 밝기로 방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층(15)은 가시광선 영역의 방출 빛의 파장이 상기 발광층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상기 자외선 방출 소자(8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자외선을 발광층으로 조사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액정 표시장치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방출부 부근의 상기 발광층는 파장이 긴 적색에 유사한 영역의 가시광선을 방출하고, 상기 발광층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파장이 점차 짧아지는 녹색에 유사한 색상으로부터 청색에 유사한 색상의 순서의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이 상기 자외선 방출부의 부근에 있거나, 또는 떨어져 있더라도 빛은 거의 일정한 밝기로 방출될 수 있다. 더욱이, 각 발광층(15)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색상이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우수한 장식 특성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손목시계 케이스를 나타낸 확대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손목시계의 주요 내부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시계 유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다이얼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시계 바늘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7은 도 5의 다이얼 상에 구비된 발광층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8a는 다이얼의 상부면 전체에 구비된 발광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b는 다이얼의 상부면 일부에 구비된 발광층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발광층이 시계 유리의 하부면, 다이얼, 차광 부재의 내부면에 구비된 손목시계의 내부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
도 10은 상기 시계 유리가 상기 2 개의 유리판 및 상기 유리판들 사이에 구비된 발광층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1은 인광성 물질이 발광층에 혼합되어 있을 때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의 다이얼 상에 구비된 발광층이 적층된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트형 발광부의 발광층이 손목시계에 도트형으로 배열된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다아얼에 자외선 영역의 빛이 다이얼 상의 발광부에 조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타임피스부인 다이얼의 상부면에 언더코팅된 막을 통해 발광층이 구비된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의 내부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손목시계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18a는 투명 차광 부재에 자외선 램프가 설치된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8b는 자외선 램프가 상기 차광 부재 및 손목 시계 케이스의 내부면 사이의 공간부 내에 배치되고, 차광부와 다이얼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자외선이 조사되는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9는 시계 유리 하부면 상에 배치된 반사면에 자외선 램프의 자외선이 반사되는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의 내부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의 내부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 에서 취해진 확대 단면도,
도 24a는 시계 유리 또는 보호 유리에 발광물질이 혼합되어 있을 경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4b는 투명 차광 부재에 발광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도 26은 도 25의 XXVI-XXVI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분리된 액정표시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8은 도 26의 시계 유리의 자외선 반사막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9는 도 26의 각 부분의 치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17)

  1. 투명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장치 케이스;
    상기 장치 케이스 내에 상기 투명보호부재와 대응하여 배치된 전자회로부;
    상기 장치케이스 내에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와 대응하여 배치된 자외선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자외선방출부;
    상기 전자회로부에 설치되어서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층;
    상기 투명보호부재의 표면과 이면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방출부에서 조사한 자외선영역의 빛을 반사하여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자외선반사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2. 투명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장치 케이스 내에 적어도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전자회로부를 상기 투명보호부재에 대응시켜서 배치한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하여 되는 액정셀과, 상기 액정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자외선 투과 편광판과, 상기 액정셀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편광판의 하측에 배치된 반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케이스 내에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자외선방출부를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에 대응시켜서 배치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반사기 상에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층을 설치하고,
    상기 투명보호부재의 표면과 이면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자외선방출부에서 조사한 자외선영역의 빛을 반사하여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자외선 반사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반사막은 상기 장치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입사하는 외부광 중, 자외선 영역의 빛만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반사막은 상기 장치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입사하는 외부광 중, 자외선 영역의 빛만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반사막은 박막의 증착층을 적층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반사막은 박막의 증착층을 적층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반사막은 파장이 450 nm 이상의 자외선 영역 외의 빛을 92% 이상 투과하고, 상기 자외선 방출부로부터의 자외선영역의 빛을 70% ~ 90% 반사하고, 또한 상기 장치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입사하는 자외선 영역의 빛중, 파장이 300 nm 이하의 빛을 90% 이상 차단하고, 파장이 400 nm 이하의 빛을 98% 정도 차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자외선방출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발광량이 점차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자외선방출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발광하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의 파장이 점차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10. 투명보호부재가 상부에 장착된 시계케이스;
    상기 시계케이스 내에 배치된 시계전자회로부;
    상기 시계전자회로부와 시계케이스 사이에 상기 시계케이스의 주변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차광부재;
    상기 차광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자외선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자외선 방출소자와, 상기 시계전자회로부의 위쪽 위치에 설치된 문자판;
    상기 문자판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한 지침축의 상부에 설치된 지침;
    상기 지침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방출소자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영역의 빛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층을 갖추고 있고,
    상기 차광부재의 상부중,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해당 차광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개구하는 한쌍의 요면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요면부의 높이위치는 상기 지침의 높이위치보다도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외선방출소자는 한쌍의 요면부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층을 향하여 위쪽에서 직접 자외선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요면부는 12시측의 위치와 6시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지침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에, 상기 문자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2-0041788A 2001-07-17 2002-07-16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및 시계 KR100533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6775 2001-07-17
JPJP-P-2001-00216775 2001-07-17
JP2002161480A JP2003098272A (ja) 2001-07-17 2002-06-03 電子機器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JP-P-2002-00161480 2002-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222A KR20030007222A (ko) 2003-01-23
KR100533521B1 true KR100533521B1 (ko) 2005-12-06

Family

ID=2661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788A KR100533521B1 (ko) 2001-07-17 2002-07-16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및 시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06644B2 (ko)
JP (1) JP2003098272A (ko)
KR (1) KR100533521B1 (ko)
CN (1) CN100409121C (ko)
TW (1) TWI2466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6075A (ja) * 2001-07-17 2007-11-01 Casio Comput Co Ltd 時計
JP2003076305A (ja) * 2001-08-31 2003-03-14 Casio Comput Co Ltd 紫外線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212427A (ja) * 2002-12-27 2004-07-29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及び電子時計
WO2004092850A2 (en) * 2003-04-01 2004-10-28 Galli Robert D Assembly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 watch
US20050028411A1 (en) * 2003-04-28 2005-02-10 Sun Yu Promotional item having fluorescing or phosphorescing ink indicia
JP2006524826A (ja) * 2003-04-28 2006-11-02 フワウサ, マイケル,ジュリアン 印、時計および他の機器の紫外線照明
US20040212988A1 (en) * 2003-04-28 2004-10-28 Fuwausa Michelle Jillian Illumination devices using LEDs
US7406003B2 (en) * 2003-05-29 2008-07-29 Timex Group B.V. Multifunctional timepiece module with application specific printed circuit boards
JP2005134650A (ja) * 2003-10-30 2005-05-26 Casio Comput Co Ltd 紫外光シャッタ素子
US20060033430A1 (en) * 2004-08-11 2006-02-16 Lightronik Technology Inc.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7216997B2 (en) * 2004-10-26 2007-05-15 Federal-Mogul World Wide, Inc. Phosphor reactive instrument panel and gauges
EP1666992A1 (fr) * 2004-12-02 2006-06-07 Asulab S.A. Pièce d'horlogerie comprenant un décor lumineux
TWM275440U (en) * 2005-05-17 2005-09-11 Super Nova Optoelectronics Cor Time display apparatus
US20080205201A1 (en) * 2005-11-02 2008-08-28 Hwa Su Time display apparatus
EP1870786A1 (fr) * 2006-06-23 2007-12-26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ièce d'horlogerie munie d'un dispositif d'éclairage comprenant une diode électroluminescente
US20080013409A1 (en) * 2006-07-11 2008-01-17 Bland Diarmuid John St Cullom Timepiece with overlapping, separately driven analog and mechanical functionality
EP1918793A1 (fr) * 2006-11-03 2008-05-07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ièce d'horlogerie munie d'un dispositif d'éclairage comprenant une diode électroluminescente ultraviolette
WO2008072605A1 (ja) * 2006-12-15 2008-06-19 Seiko Epson Corporation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US7903503B2 (en) * 2007-10-02 2011-03-08 James Brewster Olmes Dual illumination watch face, and associated methods
US8045421B2 (en) * 2008-01-17 2011-10-25 Nike, Inc. Watch with planar light diffusion channel
WO2009106146A1 (en) * 2008-02-29 2009-09-03 Nokia Corporation Changeable pattern in a structure
US20100110657A1 (en) * 2008-11-05 2010-05-0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strument Panel And Gauge With Ultraviolet Indicia
DE102010000749A1 (de) * 2010-01-05 2011-07-07 Lange Uhren GmbH, 01768 Uhr
JP5435232B2 (ja) * 2010-03-11 2014-03-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時計、電子機器
JP2011221240A (ja) * 2010-04-08 2011-11-04 Nec Access Technica Ltd 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を含む装置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による照射方法
WO2011133161A1 (en) 2010-04-23 2011-10-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backlight
EP2503414A1 (fr) * 2011-03-23 2012-09-26 Rubattel et Weyermann S.A. Pièce émaillée décorée
CA2890163A1 (en) * 2012-12-11 2014-06-19 Sicpa Holding Sa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timepiece
JP2014173968A (ja) * 2013-03-08 2014-09-22 Seiko Epson Corp 電子時計
DE102013110384B4 (de) * 2013-09-19 2018-01-18 Roman Schulz Uhr
KR20150042960A (ko) * 2013-10-14 2015-04-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위폐 감별 기능을 구비하는 손목 시계
JP5949738B2 (ja) * 2013-12-09 2016-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および時計
JP2016102950A (ja) * 2014-11-28 2016-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部品および時計
CN108711379A (zh) * 2014-12-05 2018-10-2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显示装置
TWI536130B (zh) * 2014-12-05 2016-06-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電子顯示裝置
EP3070539A1 (fr) * 2015-03-17 2016-09-21 Omega SA Montre-bracelet comprenant un cadran muni d'index lumineux
EP3306419B1 (fr) * 2016-10-05 2019-11-27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Joint horloger
DE102017201676B4 (de) 2017-02-02 2019-08-14 Realization Desal Ag Uhrglas mit lumineszierendem Element
EP3379345A1 (fr) * 2017-03-21 2018-09-26 Montres Rado S.A. Montre squelette a cadran photochromique
US20190033787A1 (en) * 2017-07-25 2019-01-31 Evan Swanagin Device and method for emitting light away from a user
EP3447590B1 (fr) * 2017-08-21 2020-07-22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Dispositif d'affichage holographique
US10218830B1 (en) * 2017-08-28 2019-02-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ecoration component, housing component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EP3588203A1 (fr) * 2018-06-25 2020-01-01 Rolex Sa Composant horloger versatile
EP3637200B1 (fr) * 2018-10-09 2022-09-14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Dispositif d'affichage lumineux
CN110677162A (zh) * 2019-08-13 2020-01-10 河南牧业经济学院 一种可穿戴式计算机
JP7352832B2 (ja) 2020-01-21 2023-09-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時計
JP2021113775A (ja) 2020-01-21 2021-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計
EP4012507A1 (fr) * 2020-12-11 2022-06-15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Composant horloger phosphoresc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163A (ja) * 1993-08-12 1995-03-03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9264969A (ja) * 1996-03-28 1997-10-07 Casio Comput Co Ltd 時 計
JPH09274186A (ja) * 1996-04-05 1997-10-21 Haruo Miyamoto 前面部発光機能付液晶ディスプレイ
JPH1026673A (ja) * 1996-07-12 1998-01-27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JPH11278151A (ja) * 1998-03-31 1999-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電子機器の照明方法および照明装置
JP2000137444A (ja) * 1998-10-29 2000-05-16 Casio Comput Co Ltd 発光表示装置
JP2001100645A (ja) * 1999-09-30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4950A (en) * 1934-03-24 1935-03-19 Ida Mae Johnson Illuminated dial
US2823512A (en) * 1954-09-08 1958-02-18 Hamilton Watch Co Luminous watch dial
DE2619367A1 (de) * 1976-04-30 1977-11-17 Siemens Ag Fluessigkristallanzeige mit zusatzbeleuchtung
US4705407A (en) 1986-11-14 1987-11-10 Andre Brien Portable time piece with light diffuser
DE3819713A1 (de) * 1988-06-09 1989-12-14 Jochen Schreier Uhr mit beleuchtung
US5548565A (en) * 1994-09-27 1996-08-20 Mansei Kogyo Kabushiki Kaisha Timepiece device
US5604716A (en) 1994-12-22 1997-02-18 Cheung; James Black light illuminated analog watch
US6106270A (en) * 1997-05-14 2000-08-22 Dianne T. Matthews Waste soap compressor
CA2446630A1 (en) * 2001-05-03 2002-11-14 Luminary Logic Limited Ultraviolet illumination of indicia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163A (ja) * 1993-08-12 1995-03-03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9264969A (ja) * 1996-03-28 1997-10-07 Casio Comput Co Ltd 時 計
JPH09274186A (ja) * 1996-04-05 1997-10-21 Haruo Miyamoto 前面部発光機能付液晶ディスプレイ
JPH1026673A (ja) * 1996-07-12 1998-01-27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JPH11278151A (ja) * 1998-03-31 1999-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電子機器の照明方法および照明装置
JP2000137444A (ja) * 1998-10-29 2000-05-16 Casio Comput Co Ltd 発光表示装置
JP2001100645A (ja) * 1999-09-30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16315A1 (en) 2003-01-23
TWI246621B (en) 2006-01-01
CN100409121C (zh) 2008-08-06
KR20030007222A (ko) 2003-01-23
US6806644B2 (en) 2004-10-19
CN1397854A (zh) 2003-02-19
JP2003098272A (ja)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521B1 (ko) 정보표시용 휴대전자장치 및 시계
US7227599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634514B1 (ko) 조명장치 및 전자기기
KR100483188B1 (ko) 자외선발광소자를 이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
JP4178937B2 (ja)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233337A (ja) 発光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470883B1 (ko)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JP4120302B2 (ja) 電子機器
US20060164821A1 (en)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ultraviolet emitting element,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EP1306714A1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4048794B2 (ja) 電子機器
JP2007286075A (ja) 時計
JP3979070B2 (ja) 紫外線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580238B1 (ko)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KR101011673B1 (ko) 도광판을 구비하는 키패드 구조
JP2004053380A (ja) 電子機器
JP2003098988A (ja) 紫外線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248447A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294863A (ja) 電子機器
JP2003029677A (ja) 発光部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702327B2 (ja) 発光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198449A (ja) 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162240A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07145424A1 (en) One body type keypad comprising window and wireless telephone having the same
KR20070119472A (ko) 윈도우 일체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무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