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788B1 -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788B1
KR100527788B1 KR10-2002-7017725A KR20027017725A KR100527788B1 KR 100527788 B1 KR100527788 B1 KR 100527788B1 KR 20027017725 A KR20027017725 A KR 20027017725A KR 100527788 B1 KR100527788 B1 KR 100527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ling
steel strip
acid
continuou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402A (ko
Inventor
타케우치코이치
노나카토시히코
카타오카타케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1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dip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산세라인 제어장치(24)에 의해, 연속산세장치(10)의 제3조(11c) 및 최종조 (11d)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세시에 있어서 산소비량의 예측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예측치에 기초하여 제3조(11c) 및 최종조(11d)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을 결정하는 산액공급계(12)로부터 산액을 공급한다. 그리고, 산액이 공급된 제3조(11c) 및 최종조(11d)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c, 13d)에 의해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산오도의 연속적인 측정치에 기초하여, 제3조(11c) 및 최종조(11d)로 산액공급계(12)로부터 산액을 공급한다. 이에 의해, 최종산세조로부터의 산세액의 산농도를 12% 이하로 억제하면서, 다른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소망의 값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Continuous Pickling Method and Continuous Pickling Device}
본 발명은, 연속산세방법(連續酸洗方法) 및 연속산세장치(連續酸洗裝置)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예컨대, 열간압연을 종료한 강대(鋼帶)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열간압연을 행한 강대의 표면에는, 산화물로 이루어진 스케일이 존재한다. 이 스케일은, 일반적으로, 강대를 예컨대 염산 등으로 이루어진 산세액에 연속적으로 침지시키는 것에 의해 행하여지는 산세에 의해서 제거된다. 이 산세는, 통상, 3조(槽) 내지 5조 정도의 산세조를 구비한 연속산세장치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도 6은, 4조의 산세조(2a ~ 2d)를 구비한 연속산세장치(1)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세는, 강대(3)를 연속산세장치(l)의 제1조(2a), 제2조(2b), 제3조(2c) 및 제4조(최종조)(2d)에 차례로 연속적으로 판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각 산세조(2a ~ 2d)에 수용된 산세액은, 강대(3)와의 반응 또는 강대(3)에 의해 유출되는 것에 의하여, 서서히 감소한다. 그러므로, 이 연속산세장치(l)에서는, 산액공급장치(4)로부터 최종조(2d)에 산액을 공급한다. 그리고, 공급된 산액을, 인접하는 각 산세조(2a ~ 2d) 사이에 마련된 산액수송배관(5a ~ 5c)을 통해 하류 측의 산세조로부터 상류 측에 인접한 산세조로 차례로 수송한다. 제1조(2a)에서 넘친 산세액은, 회수장치(6)에 보내여지고 회수되어, 재이용된다.
이와 같이, 연속산세장치(l)에서는 산세액을 각 산세조(2a ~ 2d) 사이에서 순환시키기 때문에, 각 산세조(2a ~ 2d)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는 다르다. 예컨대, 최종조(2d)에서의 산농도는 12% 정도(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사전 설명이 없는 한「%」는「중량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인데 대하여, 제l조(2a)에서는 3% 정도이다. 제3조(2c) 및 제2조(2b) 각각에 있어서 산농도는, 최종조(2d) 및 제l조 (2a) 각각의 산농도의 중간의 농도로 된다.
상기 연속산세장치(1)에서는, 최종조(2d)에의 산액의 공급량을 결정하기위해서는, 적어도 최종조(2d)에 수용된 산세액의 실제 산농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산농도의 측정에는, 공지의 적정식 분석계(예컨대, 상품명「타이트레이터」) 또는, 도전율, 밀도 및 온도로부터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적정식 분석계를 사용하는 경우, 산세액의 산농도를 단시간에서 측정할 수 없는 것을 보충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특허공보 소57-174473호에는, 산세액의 산농도를 측정하지 않고서 강대의 치수나 재질 등에 따라서 산액의 공급량을 연산에 의해 구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보 평7-54175호에는, 산세액의 산농도를 측정하지 않고서 산세의 전후에 있어서의 강대의 판두께의 측정치에 따라서 산액의 공급량을 연산에 의해 구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산액이 공급되는 산세조(도 6의 연속산세장치(1)의 경우에는 최종조(2d))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제어정밀도는 ±3∼5% 정도로 낮기는 하지만, 목표치로 제어할 수 있다.
이들 종래의 기술에서는, 1조에만 산액을 공급하기 때문에, 산액이 공급되는 산세조 이외의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높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 때문에, 연속산세장치(1)를 구비한 산세공정의 산세속도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산세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 즉, 연속산세장치(1)의 산세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산액이 공급되는 최종조(2d)에의 산액의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각 산세조(2a ~ 2d)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전체적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최종조(2d)의 산세액의 산농도가 약 12%를 초과하면, 산세액인 염산의 증기압이 높게 된다. 이 때문에, 최종조(2d)에서 증발에 의한 염산의 소비량이 증가하여, 산세액에 필요한 비용이 현저히 증가한다. 따라서, 최종조(2d) 이외의 각 산세조(2a ~ 2c)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목표치로 제어할 수 없으며, 산세속도를 향상시킬 수 없다.
또한, 일본특허공보 평7-54175호로 개시된 발명에 의하여 산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산세조의 전후로 강판의 판두께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강판의 표면에서의 스케일의 두께는 3∼12μm 정도이기 때문에, 스케일의 두께를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판두께도 μm 단위의 정밀도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강판의 판두께는 μm 단위로 수치가 불규칙하게 분포되는 것이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열연강판의 판두께를 μm 단위의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은, 지극히 곤란하다.
한편, 일본특허공보 평9-125270호에는, 산세조 및 순환탱크를 사용하여, 원칙적으로, 산농도의 분석치가 목표의 하한치보다 낮은 경우는 산공급만을 하는 한편, 산농도의 분석치가 목표의 상한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급수(給水)만을 하는 것에 의해, 산세조의 산농도를 제어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기본적으로 피드백 제어를 주체로 하는 것으로, 제어의 응답성이 나쁘다. 이 때문에, 이 발명에 의해서도 산농도의 불균일을 작게 억제하는 것은 할 수 없다.
더욱이, 일본특허공보 평10-306391호에는, 강판의 판두께, 판폭 나아가서는 스케일량에 관한 강판의 상태량과, 산세조에 공급되는 산의 농도, 공급량, 산의 온도, 라인속도(line speed) 나아가서는 산세조에 들어가기 직전의 스트립(strip)온도에 관한 플랜트의 운전상태량을 감시하여, 그 값을 사용하여 임의의 복수 부분의 산세조 내의 탈스케일링율을 구하여, 이 값에 따라서 플랜트의 최적운전 상태량을 결정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은, 산세에 있어서 탈스케일현상을 수식화하여 산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산세에서는, 특히 고온권취재와 같은 위스 타이트(Fe0)가 다량으로 생성되는 강판에서는, 산세 중에 스케일이 박리하여 탈스케일이 진행한다. 이 때문에, 이 스케일의 박리량을, 복수 개로 분할된 산세조의 각 분할영역에 대하여 정량화하는 것은 지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이 발명은 제어의 응답성이 낮고, 이 발명에 의해서도 산농도의 불균일을 작게 억제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먼저 일본특허공보 2000-297390호에 의해 연속산세장치에 관련된 발명을 개시하였다. 이 연속산세장치는, 연속산세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산세조 중 2이상의 산세조와,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산액을 공급하는 산액 공급계와,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각각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산농도 연속측정장치와,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세 시에 있어서의 산 소비량의 예측치를, 산세 시의 산세조건으로부터 각각 산출하여, 산출한 예측치에 따라서 산액 공급량을 결정하여 산액 공급계로 산액 공급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산액 공급계에서 2이상의 산세조로 산액이 공급된 후에 산농도 연속측정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산농도의 연속적인 측정치에 기초하여,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가 모두 목표치에 일치하도록, 산액 공급계로 산액공급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조합시켜 구비한다.
상기 제안에 관련된 연속산세장치는, 연속산세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산세조 중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세 시에 있어서의 산 소비량의 예측치를, 산세 시의 산세조건에 따라서 산출하며, 산출한 예측치에 따라서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 공급량을 결정하여 산액을 공급하며, 산액이 공급된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며, 측정된 산농도의 연속적인 측정치에 기초하여,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가 모두 목표치에 일치하도록, 2이상의 산세조로의 산액 공급량을 제어한다.
상기 연속산세장치는, 각 산세조로부터의 산세액의 증발량을 될 수 있는 한 억제하면서, 각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모두 높여 목표치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연속산세설비에 대한 개조를 될 수 있는 한 억제하면서, 상기 연속산세설비를 사용한 산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연속산세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연속산세장치의 제3조 및 최종조를 추출하여 그 제어플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산세의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산세시간과 산세감량치와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는, 4조의 산세조를 구비한 종래의 연속산세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연속산세장치 및 연속산세방법을 더욱 더 발전 및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액이 공급되는 산세조로부터의 산세액의 증발량을 될 수 있는 한 억제하면서, 각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높여 소망하는 값에 가깝게 할 수 있고, 이로부터, 산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를, 기존의 연속산세설비에 대한 개조를 될 수 있는 한 억제하면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산세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산세조 중 2이상의 산세액에 산액을 각각 공급하면서, 반송되는 강대의 산세를 행할 때, 강대의 스케일의 두께와, 강대의 판폭과,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총 산액 공급량을 구하고, 강대의 산세패턴과,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 공급량의 분배율을 구하여,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 공급량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방법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방법에서는, 산액 공급량의 분배율이 미리 정한 복수 개의 설정치 중에서 선택된 값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것이 예시된다.
이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방법에서는, 스케일의 두께가, 강대의 강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정한 복수 개의 설정치 중에서 선택된 값을 사용하는 것이 예시된다.
여기서, 「강의 종류에 따라서 」라는 것은, 스케일의 두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강성분과 열간압연 뒤의 권취온도(卷取溫度)에 따라서, 스케일 두께의 설정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같은 강성분을 갖는 두 개의 강대이더라도 권취조건이 다른 경우에는 별도의 강의 종류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케일의 두께가 근사한 강의 종류를 정리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한 각각의 그룹을 하나의 설정치에 의해 대표하더라도 좋다.
또한, 전술한 스케일의 두께 및 분배율 각각의 설정치의 개수는, 특정한 값으로는 제한되지 않는다. 산세장치로 처리하는 강의 종류에 따라서, 스케일의 두께를 1개 이상 적절히 설정하면 좋고, 또한 분배율도 1조 이상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이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방법에서는, 산액 공급량의 분배율이, 미리 정한 복수 개의 설정치 중에서 강대의 반송속도에 따라서 선택되는 값을 사용하여 결정하는 것이 예시된다.
이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방법에서는, 산액의 공급량에,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농도의 측정치와 설정치와의 편차에 기초를 둔 수정치를 가산하는 것이 예시된다.
이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방법에서는, 산액의 공급량에 대하여 가산된 제어의 수정치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스케일의 두께의 설정치 및/또는 분배율의 설정치를, 수정하여 설정하는 것이 예시된다.
이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방법에서는, 2이상의 산세조가, 적어도 최종 산세조를 포함하는 것이 예시된다.
별도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연속산세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산세조 중 2이상의 산세조에 산액을 각각 공급하면서, 반송되는 강대의 산세를 행할 때, 강대의 스케일의 두께와, 강대의 판폭과,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총 산액 공급량을 구하고, 강대의 산세패턴과,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 공급량의 분배율을 구하여,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 공급량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장치에서는, 산액 공급량의 분배율이 미리 정한 복수 개의 설정치 중에서 선택되는 값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장치에서는, 스케일의 두께가, 강대의 강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정한 복수개의 설정치 중에서 선택되는 값을 사용하는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장치에서는, 산액 공급량의 분배율이, 미리 정한 복수 개의 설정치 중에서 강대의 반송속도에 따라서 선택되는 값을 사용하여 결정하는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장치에서는, 산액의 공급량에,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농도의 측정치와 설정치와의 편차에 기초를 둔 수정치를 가산하는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장치에서는, 산액의 공급량에 대하여 가산된 제어의 수정치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스케일의 두께의 설정치 및/또는 분배율의 설정치를, 수정하여 설정하는 것이 예시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장치에서는, 2이상의 산세조가, 적어도 최종 산세조를 포함하는 것이 예시된다.
이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장치에서는, 연속산세장치가, 하류 측의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을 상류 측에 인접한 산세조로 차례로 오버플로시키는 형식의 연속산세장치이거나, 하류 측의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을 상류 측에 인접한 산세조로 차례로 수송하는 형식의 연속산세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장치에서는, 산농도 측정장치가, 적어도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설치되어, 측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산세액이 염산인 동시에, 본 발명자들이 일본특허공보 2000-313978호 및 2000-313979호에서 제안한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상기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를 사용하여 산농도 측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적정식 등의 간헐적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연속산세장치(1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한, 도 2는, 상기 연속산세장치(10)의 제3조(llc) 및 최종조(11d)를 추출하여 그 제어플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l 및 도 2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속산세장치(10)는, 산세조(11a 내지 11d)와, 산액공급계(12)와,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c, 13d)와, 피드백 제어장치(14)와, 산세라인 제어장치(24)를 구비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에 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산세조(11a ~ 11d)〕
상기 연속산세장치(10)는, 4개의 산세조(11a ~ 11d)를 구비한다. 산세조 11a가 제1조이고, 산세조 llb가 제2조이고, 산세조 llc가 제3조이고, 또한 산세조 11d가 최종조이다.
산세되는 강대(15)는, 제1조(11a), 제2조(llb), 제3조(11c) 및 최종조 (11d)의 순서로, 각 산세조(lla ~ 11d)에 수용된 산세액에 차례로 침지(浸漬)된다. 그리고, 최종조(lld)를 빠져나간 강대(15)는, 다음 공정으로 보내여진다.
또한, 상기 연속산세장치(10)에서는, 하류 측의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이 상류 측에 인접한 산세조로 차례로 오버플로한다. 즉, 최종조(11d)에 수용된 산세액이 제3조(11c)로 오버플로하고, 제3조(11c)에 수용된 산세액이 제2조(11b)로 오버플로하며, 제2조(llb)에 수용된 산세액이 제1조(11a)로 오버플로한다. 그리고, 제1조(11a)로부터 오버플로하는 산세액은, 도시하지 않은 회수장치로 보내여져서 회수되고, 재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산세조(11a ~ 11d)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산액공급계(12)〕
본 실시형태의 연속산세장치(10)는, 산액공급계(12)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산액공급계(12)는, 제3조(11c)에 산액을 공급하는 제3조 산액공급장치(12c)와, 최종조(11d)에 산액을 공급하는 최종조 산액공급장치(12d)로 구성된다. 제3조 산액공급장치(12c) 및 최종조 산액공급장치(12d)는, 모두 유량조정밸브(16)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산액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3조 산액공급장치(12c) 및 최종조 산액공급장치(12d)에 각각 마련된 유량조정밸브(16)는, 모두 후술하는 피드백 제어장치 (14)에 접속되어 있고, 피드백 제어장치(14)로부터 출력되는 산액공급신호에 의해서 밸브의 개방정도가 제어된다.
상기 유량조정밸브(16)는, 관로에 설치된 유량계의 신호를 피드백(feed back)하여 유량조정밸브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유량조정밸브에 의해, 제3조 산액공급장치(12c)로부터 제3조(11c)로의 산액의 공급량과, 최종조 산액공급장치(12d)로부터 최종조(11d)로의 산액의 공급량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조(llc) 및 최종조(11d)에 산액을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와 달리, 제2조(11b)와 나아가서는 제1조(11a)에도 제3조 산액공급장치(12c) 및 최종조 산액공급장치(12d)와 같은 산액공급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산액을 개별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산액공급계(12)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c, 13d)〕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조(11c)에는 산농도 연속측정장치 13c가 설치됨과 동시에, 최종조(lld)에는 산농도 연속측정장치 13d가 설치된다. 산농도 연속측정장치 13c 및 산농도 연속측정장치 13d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농도 연속측정장치는 응답속도, 정밀도의 면에서 일본특허공보 2000-313978호 또는 2000-313979호에 개시된 산농도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상세한 것은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조(11c) 및 최종조(11d)에 각각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c, 13d)를 설치하였지만, 이러한 태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조(11b)에도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b)를 설치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제1조(11a)에도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a)를 설치하여, 이들의 출력치도 피드백 제어장치(14)에 입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산세라인 제어장치(24)〕
본 실시형태의 연속산세장치(10)는, 산세라인 제어장치(24)를 구비한다. 상기 산세라인 제어장치(24)는, 제3조(llc)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세시에 있어서의 산공급량과, 최종조(11d)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세시에 있어서의 산공급을, 어느 것이나, 산세시의 강대(15)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케일의 두께 및 2이상의 산세조로의 분배율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치를 사용하여, 산출한다.
제3조(11c) 및 최종조(lld) 각각에서의 산 소비량의 계산은, 산세라인 제어장치(24)에 입력되는, 강대(15)의 재질이나 치수, 판의 통과속도, 산액조성, 산액온도 더 나아가 각 조의 치수 등의 산세시의 산세조건에도 근거하여 행하여지지만, 특정한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산세시의 강대(15)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케일의 두께 및 2이상의 산세조로의 분배율에 대하여 계산을 행하면 된다.
즉, 산세시의 강대(15)의 표면에는, 두께가 3~12㎛ 정도의 스케일층이 존재하고 있어, 산세시의 각 산세조에 있어서의 단위시간당 산 소비량은 이 두께에 대략 비례한다. 이 때문에, 산 소비량의 총량(S)은, 강대(15)의 표면에서의 스케일층의 두께 t, 판폭 W, 강대(15)의 반송속도 L/S 및 환산계수 A에 근거하여, S = Aㆍ tㆍWㆍ(L/S) 로서 구해진다.
한편, 산세는, 도 3에 그래프로 예시한 바와 같이, 같은 반송속도로 산세를 하는 경우, 실선으로 나타낸 산세 패턴(본 명세서에서는 단지「패턴」이라 함) l, 파선으로 나타낸 패턴 2 및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패턴 3이라는, 3개의 패턴으로 대별된다. 이 예는, 산세의 진행패턴이, 강대(15)의 산세완료위치에 따라 3종류로 분류되는 경우이다. 예컨대, 도 3에 그래프로 나타낸 패턴 1로 분류된 강대와, 패턴 3으로 분류된 강대를 비교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산세가 완료되는 위치가 패턴 3으로 분류된 강대 측이, 패턴 1로 분류된 강대보다도 하류 측으로 되는 것으로부터, 제4조(lld)에서의 산 소비량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패턴 3으로 분류된 강대를 산세하는 경우에는, 패턴 1로 분류된 강대를 산세하는 경우에 대하여, 분배율의 설정치를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강대(15)의 반송속도에 따라서 산세의 패턴을 분류하여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이 분류의 수는, 산세장치로 처리하는 강의 종류에 따라서, 1패턴 이상으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이 산세패턴은, 기준이 되는 고정된 반송속도의 조건에서, 스케일의 두께와 산세속도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예컨대, 산세속도가 동등한 강의 종류에 있어서, 스케일의 두께가 두꺼운경우, 산세완료위치는 하류 측으로 이동하여, 패턴 3과 같이 된다. 한편, 스케일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반대로 상류 측으로 이동하여, 패턴 l과 같이 된다.
또한, 스케일의 두께가 동등한 강의 종류에 있어서, 산세속도가 느린 경우, 산세완료위치는 하류 측으로 이동하여 패턴 3과 같이 된다. 한편, 산세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반대로 상류 측으로 이동하여, 패턴 l과 같이 된다.
이 경우의 산세속도는 단위시간당의 산세감량치를 의미하고, 강성분이나 강대의 제조조건에 의존한 스케일 조성, 압연 등에 의한 스케일 중의 크랙(crack)의 수 등 강대의 전 공정에서의 조건, 또한 산농도, 산세온도, 산액의 유동 등의 산세조건 등에 의해서 변화한다.
요컨대, 제3조(11c) 및 최종조(lld)에 산액을 보급하는 경우는, 강대의 강의 종류에 대응하여 강대(15)의 반송속도에 따라서 정해진 분배율을 사용하여, 산소비 총량(S)을 각 조에 분배하면 좋은 것이 된다. 여기서, 제3조(11c) 및 최종조(lld) 각각으로의 분배량(S3, S4)은, 분배계수(분배율)을 P(0 ≤P ≤1)로 하면, 각각, S3 = SㆍP, S4 = Sㆍ(1 - P)로 된다.
또한, 강대(15)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케일의 양이나 스케일의 조성은, 강대(15)의 권취온도(卷取溫度)에 의해서도 변동한다. 이 권취온도는, 조업조건의 편차 외에, 계절의 변화에 의한 열연강판의 냉각속도의 변동에도 기인하여 변화한다. 이 때문에, 특히, 강대(15)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스케일의 양이나 스케일의 조성을 변동시킨다.
따라서, 스케일의 두께를 결정할 때에는, 전술한 강대(15)의 강성분뿐만 아니라, 강대(15)의 권취온도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3조(llc) 및 최종조(lld) 각각에 있어서 산 소비량은, 강대 (15)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케일양과 산세완료위치(산세의 진행패턴)에 의하여 변화한다. 이 때문에, 아무리 우수한 산세모델을 사용하여 산농도의 피드포워드(feed forward) 제어를 하였다고 해도, 스케일 두께의 설정치의 오차나, 반송속도에 기초를 둔 분배율 P의 설정치의 오차가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이 때문에, 실제조업에 있어서 제어치를 실제의 값에 완전히 일치하게 하는 것은 지극히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드포워드 제어뿐만 아니라, 피드포워드 제어와 동시에 피드백 제어도 병용하여, 제3조(11c) 및 최종조(lld) 각각으로의 산액 보급량을 제어한다.
즉, 산세라인 제어장치(24)는, 제3조 산액공급장치(12c)로부터 제3조(llc)로 산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최종조 산액공급장치(12d)로부터 최종조(11d)로 산액을 공급한다. 또한, 피드백 제어장치(14)는,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c, 13d)에서 출력되는 산농도의 연속적인 측정치와, 각각의 조의 산농도 목표치와의 편차에 근거하여, 산액공급계(12)로 산액공급신호를 가산하여, 제3조(11c) 및 최종조(11d)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가 목표치에 일치하도록, 피드백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피드포워드 제어에 중첩시켜 피드백제어를 하는 것에 의해, 피드포워드 제어의 결점인 산액 공급량의 과부족을, 실용상 문제없는 정도로 해소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피드포워드 제어의 오차가 큰 경우에 있어서는, 피드백 제어에 의해 산세액의 산농도가 안정될 때까지 장시간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드포워드 제어의 설정치(파라미터)를 될 수 있는 한 실제조업에 가까운 값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단위면적당 스케일감소량(본 명세서에서는「산세감량치」라 함)을 시간에 대하여 1차식을 사용하여 근사화시키는 경우, 산세시간과 산세감량치와의 관계는 비례관계가 된다. 도 4는, 이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그래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산세시간과 산세감량치와의 관계는, 원점 0을 기점으로 하는 직선관계가 된다. 즉, 제1조(11a)의 출구측을 통과하는 시간 t1에 있어서의 산세감소치 m1, 제2조(11b)의 출구측을 통과하는 시간 t2에 있어서의 산세감량치 m2, 및 제3조(11c)의 출구측을 통과하는 시간 t3 에 있어서의 산세감량치 m3, 및 최종조(11d)의 출구측을 통과하는 시간 t4 에 있어서의 산세감량치 m4 는, 모두,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여, 산세가 완료한 시간 t4 이후는 산세감량치가 일정하게 된다. 이 직선의 경사는 산세속도를 나타내고 있고, 산세되는 강대(15)의 재질이나 산세조건(산세액의 온도나 조성 등) 등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각 산세조(11a ~ 11d)에서의 산 소비량은, 도 4의 그래프의 직선의 경사와, 강대(15)의 치수(폭)와, 강대의 반송속도를 곱셈한 값으로서, 구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산세조(11a ~ 11d) 각각에서의 산세액의 소비량을 산출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산세시간과 산세감량치와의 관계를 직선으로 근사화하는 것은 아니고, 도 4의 그래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의 산세곡선에 가까운 S자 모양 곡선에 의해 근사화하면, 보다 고정밀도로 각 산세조(11a ~ 11d)에서의 산 소비량을 산출할 수가 있다.
즉, 스케일의 두께의 설정치는, 산세가 완료된 때의 감량치인 도 4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산세감량치 m4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반송속도에 기초를 둔 분배율 P는, 제3조(11c) 및 최종조(lld)의 산 소비량의 비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산세조(llc와 11d)의 분배율 P는, 도 4의 그래프의 각 조에 있어서의 감량치(m3-m2) 및 (m4-m3)에 근거하여 P=(m3-m2)/{(m4-m3 )+(m3-m2)}로서 산출된다. 또한, 도 3을 사용하더라도 동일하게 분배율 P를 구할 수 있다.
또, 이 때의 산 소비량과 반송속도와의 관계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도 4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횡축(t3-t4)은, 각 산세조(11c, lld)를 빠져나간 때의 시간이다. 이 때문에, 반송속도가 느리게 되면 이들의 시간은 커져, 제4조에 있어서의 산 소비량이 감소하고, 산세가 완료한 시간이 시간 t3보다 작게 되는 경우는 제4조(11d)에서의 산 소비량은 실질적으로 0으로 된다. 또, 산세억제제(인히비터, inhibitor)가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히 스케일이 없어진 후에는 산세는 거의 진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결정되는 분배율 P에 의한 제어를 더욱 더 정밀하게 잘 하기 위해서는, 실제 산세장치를 사용하여 시험을 하여, 설정치의 조정을 하거나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기도 한 학습제어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설정치를 다시 쓰는 것이 유효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피드포워드 제어에 사용하는, 산세시의 강대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케일의 두께 및 2이상의 산세조로의 분배율의 설정치를, 피드백 제어의 수정량에 따라서 수정하고 설정하여 고친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다음에, 4개의 산세조(lla~lld)와, 산액공급계(12)와, 산농도 연속측정장치 (13c, 13d)와, 피드백 제어장치(14)와, 산세라인 제어장치(24)를 구비한 본 실시형태의 연속산세장치(10)를 사용하여, 강대(15)에 산세를 하는 상황을 시간의 진행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5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산 소비량의 계산〕
도 l에 도시한 연속산세장치(10)에 의해, 강대(15)에 산세가 행하여지고 있다.
여기서, 도 5에서의 단계(이하, 단지「S 」라고 기재함)1 ~ S5에 의해, 반송되는 강판의 정보(강의 종류, 판폭, 권취온도 등) 및 라인속도가 산세라인 제어장치(24)에 입력되어, 제3조(llc) 및 최종조(11d)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 소비량이 계산된다.
이 산출치에는, 실제의 산 소비량에 대한 오차가 존재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한 바와 같이, 산농도의 연속적인 측정치를 사용하여 산액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 오차를 가급적으로 저감한다.
〔산출치에 근거한 산액의 공급〕
다음에, 산세라인 제어장치(24)에 의해, 제3조(11c) 및 최종조(11d)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 소비량의 계산치에 근거하여, 도 5의 S6에 의해, 제3조(llc) 및 최종조(11d)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이 결정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테이블값으로서 도 5의 S2에 의해 정해진, 산세시의 강대(15)의 표면에 생성하는 스케일의 두께 t의 설정치 및 도 5의 S5에 의해 정해진, 산세조(11c, lld)로의 분배율(P)의 설정치를 함께 사용하여, S6에 의해, 제3조(11c) 및 최종조(11d)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 S3, S4는, S3 = AㆍtㆍWㆍ(L/S)ㆍP = SㆍP, S4 = AㆍtㆍWㆍ(L/S)ㆍ(l-P) = Sㆍ(l-P)로서 구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산액공급량의 분배율」은, 산액을 공급하는 전(全) 산액공급량에 대한 제3조로의 산액공급량의 분배비율을 의미한다.
또, S6에 있어서 제3조(11c) 및 최종조(lld)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 S3, S4 를 구하기 위해서, S7에 있어서 입력된 반송속도(L/S) 및 판폭(W)에 의해, S8에 있어서 구해진 총 산공급량 S=AㆍtㆍWㆍ(L/S)를 이용한다.
그리고, 산세라인 제어장치(24)로부터, 제3조 산액공급장치(12c) 및 최종조 산액공급장치(12d) 각각의 유량조정밸브(16, 16)로 산액공급신호가 출력되어, 제3조(11c) 및 최종조(11d) 각각으로 결정된 공급량의 산액이 공급된다.
〔산농도의 연속측정〕
이렇게 하여, 제3조(11c) 및 최종조(lld) 각각으로, 결정된 공급량 S3, S4의 산액이 공급된 뒤에, 도 5의 S9에 있어서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c)에 의해 제3조(llc)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가 연속적으로 측정됨과 동시에,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d)에 의해 최종조(lld)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가 연속적으로 측정된다. 이들 연속적인 측정치는, 피드백 제어장치(14)에 보내진다.
〔연속측정결과에 근거한 산액의 공급〕
도 5의 Sl0에 있어서, 피드백 제어장치(14)에서는, 이들 연속적인 측정치와, 제3조(llc) 및 최종조(11d)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의 목표치와의 편차가 구해진다. 그리고, 이 편차가 영이 되도록, 피드백 제어장치(14)로부터 제3조 산액공급장치(12c) 및 최종조 산액공급장치(12d) 각각의 유량조정밸브(16, 16)로 산액공급신호를 가산 또는 감산하는 것에 의해, 제3조(llc) 및 최종조(lld) 각각에 대한 산액의 공급량 S3, S4가, S3 + FB3, S4 + FB 4로서 결정된다.
이 때, 도 5의 S12에 있어서, 피드백 제어의 결과에 근거하여, 스케일의 두께 t의 설정치 및 산세조(llc, lld)로의 분배율 P의 설정치가 t′, P′로 각각 수정되어 재설정되는 학습제어가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제3조(llc) 및 최종조(lld)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의 예측계산결과 S3, S4가 갖는 오차가 대략 완전하게 보정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최종조(11d) 뿐만 아니라, 제3조(11c)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목표치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종조(lld) 뿐만 아니라 제3조(11c)에도 산액을 공급하는 것은, 이와 같이, 제4조(11d)나 제3조(11c)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높여, 목표치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제4조가 최종조(lld)로 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종조(11d) 및 제3조(11c)에 산액을 공급하였지만, 예컨대 제5조가 최종조로 되는 연속산세장치의 경우에는, 최종조 및 제3조 각각에 산액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속측정결과에 근거한 산액의 공급을, 최종조(11d) 뿐만 아니라 제3조(llc)에 대해서도 행한다. 이 때문에, 최종조(11d)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12% 초과하여 상승시키는 일이 없고, 제3조(11c)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높여 목표치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조(11d)로부터의 산세액의 증발을 방지하면서, 제3조(11c)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높여 목표치에 가깝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 산세조(11a ~ 11d) 각각의 산세능력을 어느 것이나 충분히 발휘시키어, 강대(15)의 산세를 할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속산세장치(10)의 전체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연속산세장치의 제3조(11c) 및 최종조 lld)의 근방에 산농도 연속측정장치(l3c, 13d)를 마련하여, 이들 산농도 연속측정장치 (13c, 13d)에서의 출력신호를 피드백 제어장치(14)로 보냄과 동시에, 피드백 제어장치(14) 및 산세라인 제어장치(24)의 소프트를 일부 추가 또는 변경하는 것만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기존의 연속산세설비를 될 수 있는 한 개조하지 않고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의 생산 설비를 대폭 개량하는 일이 없이, 불량율의 저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함께 꾀할 수 있다.
[실시예]
또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 연속산세장치(1)(각 산세조(13a ~ 13d)의 용량: 60 m3, 산세액의 온도: 90℃)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한 연속산세방법과, 비교예인 피드백 제어만의 연속산세방법을 사용하고, 강대(15)의 산세를 24시간 행하였다. 또한, 상기 형태의 연속산세장치를 사용한 산세에서는, 통상, 산농도 변화는 1시간에 수 %정도 변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에는 충분한 기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생산 강 종류(재질 및 권취온도)를 5종류의 스케일 두께와 3의 산세패턴으로 분류하여, 기초 실험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분배율을 설정한 테이블을 미리 작성하여 놓고, 이것을 산세라인 제어장치(24)의 메모리 일부에 입력하였다. 따라서, 생산 강 종류가 결정되면, 스케일 두께와 산세패턴이 결정되고, 또한 실제의 반송속도의 정보가 입력되면, 분배율 P가 계산되고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율 P는, 3종류의 산세패턴에 대하여 3점의 기준 반송속도에서의 분배율을 테이블의 설정치로서 보유하고, 반송속도가 결정되면, 그 반송속도에 대응한 분배율을 기준 반송속도에 근거하여 내삽(內揷)하여 구하였다.
그리고, 산세조(11c, lld)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 S3, S4는, 산세라인 제어장치(24)에 있어서, 스케일두께 설정치와 판폭과 반송속도에 의해 총 산공급량(S)이 계산되고, 반송속도와 분배율 설정치에 의해 실제 제어에 사용하는 분배율 P를 각각 S ×P와 S ×(l-P)로 계산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산공급 후에,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c, 13d)에서의 연속측정치에 따라서, 제3조(11c) 및 최종조(lld) 각각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가 모두 12%가 되도록, 제3조 산액공급장치(12c) 및 최종조 산액공급장치(12d) 각각의 유량조정밸브(16, 16)에 대한 제어로 어느 것이나 PlD 제어를 적용하여, 전술한 피드포워드 제어치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행하였다.
그 결과, 제3조(llc) 및 최종조(11d) 각각에 있어서 목표농도에 대한 산세농도의 진폭은, 비교예인 피드백 제어만의 경우에는 -3.23% ~ +3.60% 이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예인 산농도 연속측정장치(13c, 13d)로부터의 연속측정치를 사용하지 않고, 피드포워드 제어만의 경우에는 -1.5% ~ +l.9%이고, 산농도 연속측정장치 (13c, 13d)에서의 연속측정치를 병용한 경우에는 -0.4% ~ +0.5%로 향상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피드포워드 제어뿐만 아니라 피드백 제어도 병용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산세라인 제어장치(24)의 메모리부에 입력한 테이블값을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5에 도시된 Sl2에 있어서, 제3조(11c) 및 최종조(lld)로의 총 산공급량을 ALL3, ALL4로 하고, t = (ALL3 + ALL4) / (AㆍWㆍ(L/S))를 새로운 스케일 두께로서, 산세라인 제어장치(24)의 메모리부에 입력하였다. 이 때, 피드포워드 제어에 의한 산공급량의 급격한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고쳐 쓰기 전의 t를 t0 로 하고, 고쳐 쓴 후의 t를 t1로 하고, 또한 전술한 계산식을 사용하여 계산되는 t를 t′로 하면, t1 = t0 + Rt ×(t0 - t′)로서, 새로운 스케일 두께의 테이블값을 입력하였다. 또, Rt는 l 이하의 정수이다.
또한, 이 때의 반송속도에 있어서 분배율 P는, P = ALL3 / (ALL3 + ALL4)으로 구하고, 이 때의 반송속도보다 빠른 측의 기준 반송속도의 분배율 P의 설정치는 외삽(外揷)하는 것에 의해 구하여, 산세라인 제어장치(24)의 메모리부에 입력하였다. 이 때도 스케일 두께와 같이, 급격한 변동을 억제할 목적으로, 고쳐 쓰기 전의 P를 P0 , 고쳐 쓴 후의 P를 P1, 또한, 상기 계산식으로 계산된 P를 P′으로 하면, P1 = P0 + Rp x (P0 - P′)로 하여 새로운 분배율의 테이블값을 입력하였다. 또한 동일하게, Rp는 l 이하의 정수이다.
이 결과, 제3조(11c) 및 최종조(11d) 각각에 있어서 목표농도에 대한 산세농도의 진폭은, -0.2% ~ +0.2%로 현저히 향상하였다.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에 의하면, 각 산세조로부터의 산세액의 증발량을 될 수 있는 한 억제하면서, 각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어느 것이나 높여 목표치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산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를, 기존의 연속산세설비를 될 수 있는 한 개조하지 않고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4조의 산세조를 구비하는 연속산세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산세조를 구비하는 연속산세장치나 예비탱크를 구비한 연속산세장치에 대해서도 같이 적용된다.
또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3조 및 최종조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소비량을 예측하여, 이들 산세조에 산액을 공급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제3조 및 최종조 이외의 다른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소비량도 예측하여, 이들 산세조에도 산액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각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또한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일본특허공보 2000-313978호 및 2000-313979호 등에 의해 개시된 산농도 연속측정장치를 사용한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산농도 연속측정장치의 예시이고, 본 발명은 이들 산농도 연속측정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들 산농도 연속측정장치 외에도,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산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산농도 측정장치라면,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적어도 최종조에 산액이 공급되는 연속산세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최종조에는 산액이 공급되지 않는 연속산세장치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하류 측의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을 상류 측에 인접한 산세조에 차례로 오버플로시키는 형태의 연속산세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산세조를 갖는 연속산세장치이면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 측의 산세조에 수용된 산세액을 상류 측에 인접한 산세조로 차례로 수송하는 형태의 연속산세장치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스케일의 두께는, 미리 설정한 테이블값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산세라인의 입구 측에서, 예컨대 X선 회절법 등의 정밀도가 높은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배율은 기준이 되는 3점의 반송속도에 대응하는 분배율의 테이블값으로부터 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속도의 함수, 또는 강의 종류 및 반송속도의 함수로서 구하더라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산액이 염산인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황산 등, 강판에 산세처리를 할 수 있는 산액이면,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Claims (14)

  1. 연속산세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산세조 중 2이상의 산세조에 산액을 각각 공급하면서, 반송되는 강대의 산세를 행할 때에,
    상기 강대의 스케일의 두께와, 상기 강대의 판폭과, 상기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총 산액공급량을 구하고, 상기 강대의 산세패턴과, 상기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상기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의 분배율을 구하여, 상기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액공급량의 분배율은 미리 정한 복수 개의 설정값 중에서 선택되는 값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의 두께는, 상기 강대의 강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정한 복수개의 설정값 중에서 선택되는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액공급량의 분배율은, 미리 정한 복수개의 설정값 중에서 상기 강대의 반송속도에 따라서 선택된 값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방법.
  5. 연속산세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산세조 중 2이상의 산세조에 산액을 각각 공급하면서, 반송되는 강대의 산세를 행할 때에,
    상기 강대의 스케일의 두께와, 상기 강대의 판폭과, 상기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총 산액공급량을 구하고, 상기 강대의 산세패턴과, 상기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상기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의 분배율을 구하여, 상기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산액의 공급량에, 상기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농도의 측정치와 설정치와의 편차에 기초를 둔 수정치를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액의 공급량에 관해서 가산된 제어의 수정치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상기 스케일 두께의 설정치 및 상기 산액공급량의 분배율의 설정치 중 적어도 한쪽의 설정치를, 수정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방법.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산세조는, 적어도 최종산세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방법.
  8. 복수의 산세조로 구성되는 연속산세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세조 중 2이상의 산세조에 산액을 각각 공급하는 배관계와;
    반송되는 강대의 산세를 행할 때에, 상기 강대의 스케일의 두께와, 상기 강대의 판폭과, 상기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총 산액공급량을 산출함과 함께, 상기 강대의 산세패턴과, 상기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상기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의 분배율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분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 제어를 행하는 산세라인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복수의 산세조로 구성되는 연속산세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세조 중 2이상의 산세조에 산액을 각각 공급하는 배관계와;
    반송되는 강대의 산세를 행할 때에, 상기 강대의 스케일의 두께와, 상기 강대의 판폭과, 상기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총 산액공급량을 산출함과 함께, 상기 강대의 산세패턴과, 상기 강대의 반송속도를 사용하여 상기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의 분배율을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분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2이상의 산세조 각각으로의 산액공급량 제어를 행하는 산세라인제어장치와;
    상기 산액공급량에, 상기 2이상의 산세조에 각각 수용된 산세액의 농도의 측정치와 설정치와의 편차에 기초를 둔 수정치를 가산하여 산액공급량을 피드포워드 제어함과 함께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장치.
  13. 삭제
  14. 제8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최종산세조에 상기 배관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산세장치.
KR10-2002-7017725A 2001-04-27 2002-04-25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 KR100527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2264 2001-04-27
JPJP-P-2001-00132264 2001-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402A KR20040002402A (ko) 2004-01-07
KR100527788B1 true KR100527788B1 (ko) 2005-11-09

Family

ID=1898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725A KR100527788B1 (ko) 2001-04-27 2002-04-25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49323A1 (ko)
JP (1) JP3726770B2 (ko)
KR (1) KR100527788B1 (ko)
CN (1) CN100471999C (ko)
TW (1) TWI286165B (ko)
WO (1) WO20020884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530B1 (fr) * 2007-12-21 2010-08-27 Siemens Vai Metals Tech Sas Installation et procede pour le decapage en continu de bandes d'acier
CN101956201B (zh) * 2009-07-16 2014-01-01 宝钢集团新疆八一钢铁有限公司 环保型钢丝酸洗槽
KR101294945B1 (ko) * 2009-12-30 2013-08-08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의 연속산세방법
CN102151705B (zh) * 2010-12-30 2013-03-20 天津市润杰创新环保科技有限公司 免酸洗去除钢带氧化皮装置及去除钢带氧化皮的方法
CN102154658A (zh) * 2011-03-31 2011-08-17 河南恒星科技股份有限公司 钢帘线盘条粗拉酸洗工艺和装置
CN102330100A (zh) * 2011-07-01 2012-01-25 云南钛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钛带酸洗工艺方法
CN102312245A (zh) * 2011-07-01 2012-01-11 云南钛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钛及钛合金带卷抛光白化方法
CN102312243A (zh) * 2011-07-01 2012-01-11 云南钛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钛及钛合金带卷酸洗方法
CN102929303B (zh) * 2011-08-12 2015-05-2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冷轧酸洗酸浓度控制方法和装置
CN102534639B (zh) * 2012-02-24 2013-06-12 重庆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轧钢生产线酸洗用盐酸补给方法
JP6063058B2 (ja) 2012-11-30 2017-01-18 宝山鋼鉄股▲分▼有限公司 冷間圧延における酸洗のための酸濃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543869B1 (ko) 2013-11-14 2015-08-11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강판의 산세 장치 및 방법
KR101518640B1 (ko) * 2013-12-26 2015-05-07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 공정의 신산 투입량 결정 방법
CN104451723B (zh) * 2014-10-16 2017-02-01 武汉钢铁(集团)公司 提高热轧带钢酸洗效率和质量的方法
CN105780058A (zh) * 2014-12-23 2016-07-20 宁波创润新材料有限公司 阴极电解产物的清洗方法
CN105648460B (zh) * 2016-03-14 2018-02-13 佛山市网冠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智能喷涂系统及方法
CN106521524A (zh) * 2016-11-28 2017-03-22 太原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增强不锈钢管酸洗效率的方法
CN106908614B (zh) * 2017-02-08 2018-11-09 北京科技大学 金属箔材表面处理高通量样品制备与表征的装置及方法
TWI657167B (zh) * 2018-02-21 2019-04-2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酸洗鋼帶清洗裝置
US20220220619A1 (en) * 2020-01-09 2022-07-14 Primetals Technologies Japan, Ltd. Method for pickling steel plate and pickling apparatus
US20230160071A1 (en) * 2020-02-18 2023-05-25 Posco Proces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11390570B (zh) * 2020-03-31 2021-07-06 日照宝华新材料有限公司 一种酸平线上酸洗卷和热轧平整相互转换的方法
KR102466506B1 (ko) * 2020-12-21 2022-11-10 주식회사 포스코 산 농도 자동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산세 시스템
CN115044917B (zh) * 2022-06-21 2023-10-03 北京首钢冷轧薄板有限公司 热轧带钢酸洗速度确定方法及装置
CN116332190A (zh) * 2023-03-30 2023-06-27 湖南旗滨光能科技有限公司 一种石英砂酸洗系统及酸洗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7871A (en) * 1956-03-26 1960-03-08 Bethlehem Steel Corp Control of pickling baths
US3433670A (en) * 1965-10-21 1969-03-18 Inland Steel Co Pickling bat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900007072B1 (ko) * 1985-03-15 1990-09-28 신닛뽄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냉간압연 강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5175502A (en) * 1990-09-14 1992-12-29 Armco Steel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id concentration
AT404030B (de) * 1995-02-15 1998-07-27 Andritz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r beize von materialien aus stahl, insbesondere edelstahl
TW338729B (en) * 1996-09-30 1998-08-21 Kawasaki Steel Co Hot roll stainless steel tap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KR100464580B1 (ko) * 1997-03-03 2005-02-28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산세정플랜트의제어방법과그산세정플랜트
CA2308777C (en) * 1997-11-06 2004-08-03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automatic control of acid concentration
AT407755B (de) * 1998-07-15 2001-06-25 Andritz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m beizen von edelstahl
JP4316034B2 (ja) * 1998-11-13 2009-08-19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板の表面処理方法
JP3591366B2 (ja) * 1999-04-12 2004-11-1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酸洗方法および連続酸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1999C (zh) 2009-03-25
TWI286165B (en) 2007-09-01
JP3726770B2 (ja) 2005-12-14
US20040149323A1 (en) 2004-08-05
KR20040002402A (ko) 2004-01-07
JP2003013268A (ja) 2003-01-15
CN1462321A (zh) 2003-12-17
WO2002088426A1 (fr)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788B1 (ko) 연속산세방법 및 연속산세장치
CA230877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automatic control of acid concentration
KR100847974B1 (ko) 압연, 단조 또는 교정 라인의 재질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A2671230C (en) Method and lubrication application device for regulating the flatness and/or roughness of a metal strip
JP6063058B2 (ja) 冷間圧延における酸洗のための酸濃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6494961B2 (en) Method of controlling solution concentration in strip cleaning line
JP5050410B2 (ja) 酸洗プロセスの酸濃度制御方法・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鋼板製造方法
KR100568358B1 (ko) 권취목표온도 변경을 통한 열연강판의 냉각제어방법
JP3356112B2 (ja) 酸濃度自動制御装置および酸濃度自動制御方法
JP6075301B2 (ja) 冷却制御装置および冷却制御方法
CN113316747A (zh) 用于控制从一组中间金属制品中制造一组最终金属制品的方法和电子设备、相关的计算机程序、制造方法和装置
JP3591366B2 (ja) 連続酸洗方法および連続酸洗装置
JP3368868B2 (ja) 導電率計、および酸濃度連続測定装置
KR101294945B1 (ko) 소재의 연속산세방법
US6235178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ating a metal strip
KR101518640B1 (ko) 산세 공정의 신산 투입량 결정 방법
KR20010064358A (ko) 산세설비내의 염산 자유산 농도에 따른 인히비터 농도제어방법
JP6290691B2 (ja) 酸洗液の投入量決定方法
TWI827478B (zh) 鋼帶清洗系統與鋼帶清洗方法
JP6098601B2 (ja) 酸濃度制御方法、酸濃度制御装置、および金属板の製造方法
CN102929303A (zh) 冷轧酸洗酸浓度控制方法和装置
JPH0754175A (ja) 鋼帯の酸洗設備における酸濃度の制御方法
Bertin et al. Computer control of coating weight on galvanizing and tinning lines
JP2981157B2 (ja) 鋼帯の酸洗処理方法およびその設備
KR0135010B1 (ko) 냉간압연에서의 용접부 두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