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850B1 - 엘리베이터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850B1
KR100511850B1 KR10-2002-7003971A KR20027003971A KR100511850B1 KR 100511850 B1 KR100511850 B1 KR 100511850B1 KR 20027003971 A KR20027003971 A KR 20027003971A KR 100511850 B1 KR100511850 B1 KR 10051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pe
hoistway
sheave
rop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883A (ko
Inventor
혼다다케노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5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elements for indicating or detecting the rope or cable statu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장치에서, 메인 로프본체와 이 메인 로프본체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피복재를 갖는 메인 로프가 사용되고 있다. 구동장치의 구동시브는 메인 로프가 삽입되는 홈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브본체와, 홈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고, 또 시브본체보다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된 로프 수용 부재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고마찰재로 된 피복재에 의해 표면이 피복되어 있는 메인 로프를 사용한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7-267534호 공보에는, 합성섬유로프로 된 엘리베이터용의 메인 로프가 표시되고 있다.
이 합성섬유로프는, 로프본체와, 이 로프본체의 외주에 피복된 피복재를 가지고 있다. 로프본체는, 아라미드섬유와 폴리우레탄등의 함침재에 의해 구성된 다수의 스트랜드를 꼬아서 구성되어 있다. 또 피복재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 로프를 이용하는 경우, 구동장치의 구동시브와 메인 로프 사이에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보다 높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구동시브와 메인 로프 사이에서 높은 마찰력을 확보하고, 또 마찰력을 저하시키는 이물이 피복재에 부착하거나, 피복재가 손상하는 것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구동시브와 메인 로프 사이에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메인 로프본체와 이 메인 로프본체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피목재를 소유하고, 구동시브에 감겨있는 메인 로프 및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내에 매달려지고 구동장치 의해 승강되는 카를 구비하고, 구동시브는 메인 로프가 삽입되는 홈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브본체와, 홈의 내면에 따라 설치되고, 또 시브본체보다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된 로프 수용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메인 로프본체와 이 메인 로프본체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피복재를 소유하고, 구동시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 로프 및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내에 느려져 있고, 구동장치에 의해 가이드레일에 따라 승강되는 카를 구비하고, 카에는 가이드레일에 계합하는 무급유형의 안내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메인 로프본체와 이 메인 로프본체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피복재를 소유하고, 구동시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 로프 및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내로 느러트려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카,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되고, 카의 충돌을 완충하는 유입식의 완충기를 구비하고, 완충기는, 외부의 기름이 주위에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요성의 커버에 의해 포위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비에터장치는, 승강로,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을 승강로내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브래킷,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메인 로프본체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피복재를 소유하고, 구동시브에 감겨있는 메인 로프 및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내로 달아매어지고 구동장치에 의해 가이드레일에 따라 승강되는 카를 구비하고 레일브래킷은 체결구를 사용한 비용접방법에 의해 승강로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구동시브에 감겨지고 수지로 된 피복재에 의해 표면이 피복되어 있는 메인 로프 및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내에 매달려져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카를 구비하고 메인 로프와 접촉하는 구동시브의 표면부가 도전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메인 로프의 피복재의 내측에는 도전체가 설치되어 있고 표면부와 도전체가 도통함으로써 피복재의 손상을 검출하는 검출장치가 표면부 및 도전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또 승강로,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메인 로프본체와 이 메인 로프본체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피복재를 소유하고, 구동시브에 감겨있는 메인 로프,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내에 매달려지고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카 및 메인 로프를 직접 잡고 있음으로 해서 카를 제동하는 제동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개략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메인 로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구동시브의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개략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에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가이드레일(2) 및 한쌍의 균형추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2),(3)은 건물에 고정되어 있는 건물측 부속품(4)에 대해 다수의 레일브래킷(5)을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레일브래킷(5)은 체결구인 다수의 볼트(6)를 사용해서 비용접방법에 의해 건물측 부속품(4)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레일(2),(3)은 다수의 레일크립(도시않음)에 의해 레일브래킷(4)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편향활차(7)와 구동장치(권양기)(8)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8)는 구동장치본체(9)와 이 구동장치본체(9)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10)를 가지고 있다. 구동시브(10) 및 편향활차(7)에는 다수의 메인 로프(1)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11)의 일단부에는, 카(12)가 매달려 있다. 메인 로프(11)의 타단부에는 균형추(13)가 매달려 있다. 카(12)는 카가이드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하게 된다. 균형추(13)는 균형추가이드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하게 된다.
카(12) 및 균형추(13)에는, 가이드레일(2),(3)에 계합하는 무급유형의 안내장치, 즉 다수의 카가이드슈(14) 및 다수의 균형추가이드슈(15)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슈(14),(15)는 왁스나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슬라이딩가이드슈이고, 급유는 필요치 않다.
승강로(1)의 저부(피트)1a는, 카(12)의 충돌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카측 완충기(16) 및 균형추(13)의 충돌의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균형추완충기(1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완충기(16),(17)는 유입식완층기이다. 완충기(16),(17)는 내부의 기름이 주위에 튀는 것을 방지하는 가요성의 커버(18),(19)로 둘러쌓여 있다.
도 3은 도 1의 메인 로프(11)의 단면도이다. 메인 로프(11)는, 고강도 합성섬유로 된 로프본체(21)와, 이 로프본체(21)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배치된 여러개의 도전체 (22)와, 로프본체(21) 및 도전체(22)의 외주에 피복된 피복재(23)를 소유하고 있다. 로프본체(21)는 아라미드섬유와 폴리우레탄등의 함침재에 의해 구성된 다수의 스트랜드(24)를 꼬아서 구성되어 있다.
또 도전체(22)는 예를 들면 카본섬유, 철 또는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피복재(23)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구동시브(10)의 요부단면도, 도면에서, 구동시브(10)는, 메인 로프 (11)가 삽입되는 홈(25a)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제의 시브본체와, 홈(25a)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고, 또 시브본체(25)보다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된 로프 수용 부재(26)와 홈(25a)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로프 수용 부재(26)보다도 마찰계수가 낮은 재료로 된 홈입구재료(27)를 가지고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로프 수용 부재(26)는 피복재(23)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같은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구동시브(10)의 홈(25a)에 마찰계수가 높은 로프 수용 부재(26)를 설치하였으므로, 구동시브(10)와 메인 로프(11) 사이에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보다 높게 할 수가 있다.
또 로프 수용 부재(26)를 피복재(23)와 같은 재료로 구성하였으므로, 구동시브 (10)와 메인 로프(11) 사이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높일수 가 있다. 또, 홈(25a)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저마찰재료로 된 홈입구재료(27)를 배치하였으므로, 메인 로프(11)가 홈(25a)에 출입할때의 마찰이 저감되고, 메인 로프(11)의 손상이 방지되고, 메인 로프(11)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안내장치로서, 급유를 필요로 하는 롤러가이드슈가 아니고, 무급유형의 슬라이딩타입의 가이드슈(14),(15)를 사용하였으므로, 메인 로프(11)의 표면에 기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시브(10)와 메인 로프(11) 사이에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완충기(16),(17)가 커버(18),(19)로 포위되어 있으므로, 완충기(16), (17)의 내부의 기름이 주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메인 로프(11)의 표면에 기름이 부착하는 것이 방지되고, 구동시브(10)와 메인 로프(11) 사이에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레일브래킷(5)은 볼트(6)를 사용한 비용접방법에 의해 승강로(1)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용접시에 발생하는 불꽃에 의해 메인 로프(1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구동시브(10)와 메인 로프(11) 사이에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유지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도 5는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31)의 상부에는 기계대(32)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 (32)에는 구동장치(33) 및 편향활차(34)가 탑재되어 있다. 구동장치(33)는, 구동시브(35)를 가지고 있다. 구동시브(35) 및 편향활차(34)에는, 메인 로프(36)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36)의 단면구조는 도 3과 같고, 피복재(23)의 내측에 도전체(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메인 로프(26)와 접촉하는 구동시브(35)의 표면부는 도전성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카(37) 및 균형추(38)는 메인 로프(36)에 의해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기계대(32)상에는, 검출장치(39)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장치(39)는 통전선(40)을 통해서 구동시브(35)의 표면부 및 도전체(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구동시브(35)의 표면부와 도전체(22)가 도통함으로써 피복재(23)의 손상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검출장치(39)에 의해, 피복재(23)의 손상이 검출되면, 카(37)가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되어서 정지된 후,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휴지된다. 그후, 메인 로프(36)의 보수나 교환이 실시된다. 따라서 구동시브 (35)와, 메인 로프(36) 사이에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유지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41)의 상부에는 구동장치(42) 및 편향활차(43)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42)는 구동시브(44)를 가지고 있다. 구동시브(44) 및 편향활차(43)에는 메인 로프(45)가 감겨있다. 메인 로프(45)의 단면구조는 도 3과 같고, 고마찰재로 된 피복재(23)에 의해 표면이 피복되어 있다.
메인 로프(45)의 일단부에는, 카(46)가 매달려 있다. 메인 로프(45)의 타단부에는, 균형추(47)가 매달려 있다. 승강로(41)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45)를 직접 잡고 있으므로, 카(46)를 제동하는 제동장치(48)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제동장치에서는, 마찰계수가 0.3정도의 라이닝재료가 사용되고 있으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등으로 된 피복재(23)는 0.4~0.6정도의 마찰계수를 갖고 있으므로, 메인 로프(45)를 잡고 있는 제동장치(48)를 사용함으로써, 제동장치(48)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승강로,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메인 로프본체와 상기 메인 로프본체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피복재를 가지고, 상기 구동시브에 감겨있는 메인 로프 및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 상기 승강로내에 매달리고,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카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장치로서,
    상기 구동시브는, 상기 메인 로프가 삽입되는 홈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브본체와, 상기 홈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시브본체보다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이루어진 로프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승강로 내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브래킷
    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레일브래킷은 체결구를 사용한 비용접방법에 의해 승강로 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3. 삭제
KR10-2002-7003971A 2000-08-09 2000-08-09 엘리베이터장치 KR100511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5335 WO2002012108A1 (fr) 2000-08-09 2000-08-09 Dispositif elevateu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357A Division KR100508558B1 (ko) 2000-08-09 2000-08-09 엘리베이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883A KR20020035883A (ko) 2002-05-15
KR100511850B1 true KR100511850B1 (ko) 2005-09-02

Family

ID=117363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971A KR100511850B1 (ko) 2000-08-09 2000-08-09 엘리베이터장치
KR10-2004-7010357A KR100508558B1 (ko) 2000-08-09 2000-08-09 엘리베이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357A KR100508558B1 (ko) 2000-08-09 2000-08-09 엘리베이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327599B1 (ko)
JP (1) JP4727123B2 (ko)
KR (2) KR100511850B1 (ko)
CN (1) CN1373733A (ko)
DE (1) DE60034072T2 (ko)
WO (1) WO2002012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1876A1 (fr) 2002-05-30 2003-12-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elevateur
WO2004065276A1 (ja) * 2003-01-24 2004-08-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ロープ
WO2004080878A1 (ja) * 2003-03-12 2004-09-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カウンタ自走式エレベータ
EP1489034B9 (de) 2003-06-19 2010-05-19 Inventio Ag Aufzug mit Rolle mit Beschichtung
JPWO2005082763A1 (ja) * 2004-03-01 200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樹脂製ロープと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CN101143677B (zh) * 2004-04-14 2010-06-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WO2005100225A1 (ja) * 2004-04-14 200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1795483A4 (en) * 2004-09-30 2011-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LIFT DEVICE
CN100534887C (zh) * 2004-10-20 2009-09-0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EP1845051B1 (en) * 2004-12-15 2015-03-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oist for elevator
JP4386371B2 (ja) * 2006-02-10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ES2341743B1 (es) * 2007-08-03 2011-04-28 Orona, S. Coop. Cable para aparattos elevadores y aparato elevador que comprende dicho cable.
ES2420524T3 (es) * 2008-01-28 2013-08-23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Instalación de ascensor
JP2010195580A (ja) * 2009-02-27 2010-09-09 Toshiba Elevator Co Ltd 吊支持用ロープ
JP5060567B2 (ja) * 2010-01-22 2012-10-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巻き掛け方法、及び部材
CN102491151A (zh) * 2011-12-16 2012-06-13 苏州市东沪电缆有限公司 一种假随行电梯电缆组件
EP3458399B1 (de) 2016-05-17 2021-05-12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tektieren von schäden in einem tragmittel für eine aufzuganlage
US11111108B2 (en) * 2018-05-04 2021-09-07 Otis Elevator Company Coated sheave
CN111039125A (zh) * 2018-10-15 2020-04-21 潘实 一种液压缓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596B2 (ja) * 1976-03-10 1983-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非常停止装置
JPS55151479A (en) * 1979-05-09 1980-11-26 Hitachi Ltd Elevator
JPS6055436B2 (ja) * 1981-04-09 1985-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巻上装置
JPS594589A (ja) * 1982-06-28 1984-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駆動用シ−ブ
JPS59164450A (ja) * 1983-03-04 1984-09-17 Toshiba Corp エレベ−タのトラクシヨンシ−ブ
JPS61165978A (ja) * 1985-01-17 1986-07-26 加藤 儀一郎 多機能型低圧避雷器
JPS61165978U (ko) * 1985-04-02 1986-10-15
JPH0781608B2 (ja) * 1989-10-21 1995-09-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伝導ベルトの劣化検出装置
JP2724510B2 (ja) * 1990-07-09 1998-03-09 日本石油株式会社 油圧作動油組成物
JPH0468082U (ko) * 1990-10-22 1992-06-16
JPH0618371U (ja) * 1992-08-13 1994-03-0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用案内輪
BR9500779A (pt) * 1994-03-02 1995-10-24 Inventio Ag Cabo como meio de suporte para elevadores
CA2154422C (en) * 1994-08-29 2005-05-24 Hans G. Blochle Cable-clamping device for a synthetic fibre cable
JPH09110334A (ja) * 1995-10-16 1997-04-28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レールブラケット穴あけ位置設定装置
US5881843A (en) * 1996-10-15 1999-03-16 Otis Elevator Company Synthetic non-metallic rope for an elevator
JP4371515B2 (ja) * 1999-01-22 2009-11-25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合成繊維ロープのロープシースへの損傷の検知
JP3896764B2 (ja) * 2000-04-25 2007-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ープの劣化状態判別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7599A4 (en) 2004-06-30
KR20020035883A (ko) 2002-05-15
KR20040071276A (ko) 2004-08-11
WO2002012108A1 (fr) 2002-02-14
CN1373733A (zh) 2002-10-09
DE60034072T2 (de) 2007-12-13
EP1327599B1 (en) 2007-03-21
KR100508558B1 (ko) 2005-08-17
JP4727123B2 (ja) 2011-07-20
EP1327599A1 (en) 2003-07-16
DE60034072D1 (de)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1850B1 (ko) 엘리베이터장치
RU2194003C2 (ru) Трос из искусственных волокон для передачи движущей силы трением от приводного шкива
EP1329412B1 (en) Elevator device
US20030089551A1 (en) Rope and elecvator using the same
JP4913314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トラクションシーブ
EA006907B1 (ru) Лифт
WO2001068973A1 (en) Rope, and elevator using the same
US20060243541A1 (en) Elevator
ZA200505541B (en) Elevator
PL205005B1 (pl) Winda i trakcyjny krążek windy
SK6912003A3 (en) Elevator hoist rope thin high-strengh wires
EP1357075A1 (en) Cage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s
CN101472827A (zh) 电梯提升绳索的更换方法及用于更换的曳引装置设备
JP2004523445A5 (ko)
EP1319627B1 (en) Elevator device
EP1327596B1 (en) Elevator device
JPWO2007007400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95483A1 (en) Elevator apparatus
JP201102613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529042A (ja) エレベータ
EP1316526A1 (en) Elevator device
EP1710192A2 (en) Elevator apparatus
EP1312573A1 (en) Elevator device
KR1006368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325881B1 (en)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