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134B1 - 적층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134B1
KR100502134B1 KR10-2002-0027302A KR20020027302A KR100502134B1 KR 100502134 B1 KR100502134 B1 KR 100502134B1 KR 20020027302 A KR20020027302 A KR 20020027302A KR 100502134 B1 KR100502134 B1 KR 10050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nection electrode
manufacturing
core
semiconducto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382A (ko
Inventor
마쯔이미끼오
오미조쇼꼬
요시무라아쯔시
사또다까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8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1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10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7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after di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17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 H01L2225/102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the support being an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47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ntainers
    • H01L2225/107In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e.g. via an interposer, a flexible substrate, using TA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1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ircuit boards being made during la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38Aligning and fixing the circuit boards before lamination; Detecting or measuring the misalignment after lamination; Aligning external circuit patterns or via connections relative to interna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제1 접속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배선과, 제1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는 기판에,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다. 그리고, 제2 접속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배선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고 용융하는 온도에서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코어 기판에 가고정한다.

Description

적층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TACK-TYPE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소자를 적층하여 실장하는 적층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장치는, 고밀도 실장화를 도모하기 위해, 반도체 소자를 적층하여 실장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종래의 적층형 반도체 장치(적층 패키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H09-219490, 일본국 특허 공개H10-135267, 및 일본국 특허 공개H10-163414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종래의 적층 패키지에서는, TSOP(Thin Small Outline Package), TCP(Tape Carrier Package), BGA(Ball grid Arrays) 등에 패키징한 후, 각 패키지에 사전에 형성된 외부 단자를 개별로 중첩하여 각각을 적층하고, 다시 전기적 접속을 행하여 완성시킨다.
즉, 종래의 적층 패키지는, 각 패키지에의 패키징 공정 외에 패키지마다의 적층 가공 공정이 가해진다. 따라서, 공정 수가 적층 개수분만큼 증가하는 시켄셜 공법으로 되며, 이 공법에 의한 가공 비용의 증가, 또한 개별로 적층하기 위한 스페이서 등의 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한 비용 증가가 문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접속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배선과, 제1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는 기판에,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2 접속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배선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고 용융하는 온도에서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코어 기판에 가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접속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배선과,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는 기판에,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2 접속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배선과, 적층을 위한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얼라이먼트 마크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고 용융하는 온도에서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코어 기판에 가고정하고,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가고정한 코어 기판을, 상기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을 이용하여, 핀을 세운 지그판에 복수개 끼워 넣어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코어 기판을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접속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배선과, 위치 결정용의 제1 핀 구멍을 갖는 기판에,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2 접속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배선과, 적층을 위한 위치 결정용의 제2 핀 구멍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제1 및 제2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을 이용하여, 핀을 세운 지그판에 복수개 끼워 넣어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코어 기판에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함과 함께, 복수개 적층한 코어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실시 양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개편(個片)화된 PTP(Paper Thin Package) 기판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은 각각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에서의 접속 전극 부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로, 비어에 충전되는 금속의 다양한 조합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에폭시나 폴리이미드 등의 PTP 기판(11)에, 반도체 칩(반도체 소자; 12)을 실장한다(단계 1). 상기 PTP 기판(11)은,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Cu 배선(13), 및 위치 결정용의 얼라이먼트 마크(14A, 14B)를 갖고 있고, 상기 반도체 칩(12)은, 상기 Cu 배선(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PTP 기판(11)에 실장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PTP 기판(11)과, 접속 전극, 및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을 구비하고,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 기판을, 상기 얼라이먼트 마크(14A, 14B)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에폭시계의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는 온도인 120℃ 이하(예를 들면 60℃∼120℃)의 열 압착 툴로, PTP 기판(11)과 코어 기판의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가고정한다(단계 2). 이 때, 상기 PTP 기판(11)을 흡착하여 픽업하기 위한 콜릿에 가열 툴을 내장한 것을 이용하면, PTP 기판(11)의 코어 기판 상으로의 이송과 고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P 기판(11-1∼11-3)을 가고정한 코어 기판(15-2∼15-4)과 코어 기판(15-1, 15-5)을 적층하고(단계 3), 열 프레스에 의해 전체 층을 접착한다(단계 4).
이러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PTP 기판(11-1∼11-3)을 코어 기판(15-2∼15-4)에 가고정함으로써, 열 프레스 시에 접착제가 용융되어도 개편화된 PTP 기판(11-1∼11-3)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 수를 삭감함과 함께, 적층하기 위한 부재가 불필요하므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등의 적층하기 위한 부재가 불필요하므로, 적층 패키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파선(17)으로 둘러싼 영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기판(15-2)에는 비어가 형성되며,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Cu(Cu 비어로 칭함; 20)가 충전되어 있다. 이 Cu 비어(20)의 PTP 기판(11-1)과의 접합면측에는 Sn 도금층(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에는, Cu 랜드(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PTP 기판(11-1)의 Cu 비어(2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비어가 형성되고,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Cu(Cu 비어로 칭함; 23)가 충전되어 있다. 이 Cu 비어(23)의 표면에는 Sn 도금층(24)이 형성되며, 이면측에는 Cu 랜드(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Sn/Cu를 이용한 접속 전극 구조에 의하면, 패키지의 무Pb화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파선(17)으로 둘러싼 영역)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기판(15-2)에는 비어가 형성되며,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Cu(Cu 비어로 칭함; 20)가 충전되어 있다. 이 Cu 비어(20)의 PTP 기판(11-1)과의 접합면측에는 Sn-Pb 도금층(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에는, Cu 랜드(22)가 형성되며, 이 Cu 랜드(22)의 표면에는 Sn 도금층(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PTP 기판(11-1)의 Cu 비어(2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비어가 형성되며,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Sn-Ag(Sn-Ag 비어로 칭함; 28)가 충전되어 있다. 이 Sn-Ag 비어(28)의 이면측에는 Cu 랜드(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Cu 랜드(25)의 상기 Sn-Pb 도금층(2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Sn-Ag 도금층(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Sn-Ag/Sn-Pb를 이용한 접속 전극 구성에서는, Sn-Pb 도금층(26)이 열 프레스 시에 용융되어, 높이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파선(17)으로 둘러싼 영역)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기판(15-2)에는 비어가 형성되며,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Cu(Cu 비어로 칭함; 20)가 충전되어 있다. 이 Cu 비어(20)의 PTP 기판(11-1)과의 접합면측에는 Au 도금층(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에는 Cu 랜드(22)가 형성되며, 이 Cu 랜드(22)의 표면에는 Au 도금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PTP 기판(11-1)의 Cu 비어(2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비어가 형성되며,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Cu(Cu 비어로 칭함; 23)가 충전되어 있다. 이 Cu 비어(23)의 표면측에는 Au 도금층(32)이 형성되며, 이면측에는 Cu 랜드(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Cu 랜드(25)의 상기 Au 도금층(3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Au 도금층(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Au/Au를 이용한 접속 전극 구성은, 랜드(22, 25)의 산화 방지 효과가 있으며, Au는 물렁하기 때문에 프레스 시에 눌려져, 비어의 높이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층의 전극 접속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파선(17)으로 둘러싼 영역)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기판(15-2)에는 비어가 형성되며,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Cu(Cu 비어로 칭함; 20)가 충전되어 있다. 이 Cu 비어(20)의 PTP 기판(11-1)과의 접합면의 이면측에는, Cu 랜드(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PTP 기판(11-1)의 Cu 비어(2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비어가 형성되며,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Cu(Cu 비어로 칭함; 23)가 충전되어 있다. 이 Cu 비어(23)의 이면측에는 Cu 랜드(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Cu/Cu를 이용한 접속 전극 구성은 염가이며, 패키지의 무Pb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파선(17)으로 둘러싼 영역)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기판(15-2)에는 비어가 형성되며,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Cu(Cu 비어로 칭함; 20)가 충전되어 있다. 이 Cu 비어(20)의 PTP 기판(11-1)과의 접합면측에는 Sn-Ag 도금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에는, Cu 랜드(22)가 형성되며, 이 Cu 랜드(22)의 표면에는 Sn 도금층(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PTP 기판(11-1)의 Cu 비어(2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비어가 형성되며, 이 비어에 접속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Sn(Sn 비어로 칭함; 35)이 충전되어 있다. 이 Sn 비어(35)의 이면측에는 Cu 랜드(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Cu 랜드(25)의 상기 Sn-Ag 도금층(3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Sn 도금층(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Sn-Ag/Sn을 이용한 접속 전극 구성은, 패키지의 무Pb화에 대응할 수 있으며, 랜드(25, 22)의 산화에 의한 접합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a와 도 9b는 각각, 상기 도 2에 도시한 PTP 기판(11)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PTP 기판(11')에서의 파선(40)으로 표시한 제품으로 될 수 있는 범위 외에, Cu 등으로 이루어지는 더미 패턴(41A, 4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기판(15)에 도포된 접착제층에도 상기 더미 패턴(41)에 대응하는 위치에 Cu 등으로 이루어지는 더미 패턴(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더미 패턴(41, 42)을 형성하면, 접착제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열 프레스 시에 용융하는 접착제층이 부분적으로 적어져, 코어 기판(15)과 PTP 기판(11')의 어긋남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PTP 기판(11')과 코어 기판(15)의 양방에 더미 패턴(41, 42)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어느 한쪽에만 형성해도 된다.
[제2 실시 양태]
도 10a 내지 도 10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0a는 흐름도, 도 10b와 도 10c는 각각 코어 기판에 설치된 적층용의 얼라이먼트 마크의 일례이다. 본 실시 양태에서는, PTP 기판뿐만 아니라, 코어 기판에도 적층용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설치하여, 적층용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이용하여 코어 기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우선, 유리 에폭시나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PTP 기판(11)에, 반도체 칩(12)을 실장한다(단계 1). 상기 PTP 기판(11)은, 도 2와 마찬가지로,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Cu 배선(13), 및 적층할 때의 위치 결정용의 얼라이먼트 마크(14A, 14B)를 갖고 있고, 상기 반도체 칩(12)은, 상기 Cu 배선(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PTP 기판에 실장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PTP 기판과,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및 이 배선과 동시에 패터닝 형성된 도 10b와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층용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고,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 기판을, 상기 PTP 기판(11)의 얼라이먼트 마크(14A, 14B)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에폭시계의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는 온도인 120℃ 이하(예를 들면 60℃∼120℃)의 열 압착 툴로, 적층된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가고정한다(단계 2). 이 때, 상술한 제1 실시 양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PTP 기판을 흡착하여 픽업하는 콜릿에 가열 툴을 내장한 것을 이용하면, 코어 기판으로의 PTP 기판의 이송과 가고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PTP 기판을 복수개 가고정한 코어 기판을, 상기 코어 기판의 도 10b와 도 10c에 도시한 얼라이먼트 마크에 의해 위치 결정한 후(단계 3), 코어 기판을 복수개 적층하여(단계 4),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한다(단계 5).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코어 기판에 설치된 적층용의 얼라이먼트 마크는, 배선과 함께 패터닝 형성되기 때문에, 적층 어긋남을 패턴 정밀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유리 에폭시나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PTP 기판(11)에, 반도체 칩(12)을 실장한다(단계 1). 상기 PTP 기판(11)은, 도 2와 마찬가지로,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Cu 배선(13), 및 적층할 때의 위치 결정용의 얼라이먼트 마크(14A, 14B)를 갖고 있고, 상기 반도체 칩(12)은, 상기 Cu 배선(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PTP 기판(11)에 실장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PTP 기판과,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및 이 배선과 동시에 패터닝 형성된 적층용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고,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 기판을, 상기 PTP 기판의 얼라이먼트 마크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에폭시계의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는 온도인 120℃ 이하(예를 들면 60℃∼120℃)의 열 압착 툴로,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가고정한다(단계 2). 이 때, 상기 PTP 기판을 흡착하여 픽업하는 콜릿에 가열 툴을 내장한 것을 이용하면, 코어 기판으로의 PTP 기판의 이송과 가고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PTP 기판을 복수개 가고정한 코어 기판을, 코어 기판의 얼라이먼트 마크에 의해 위치 결정하고(단계 3), 코어 기판을 복수개 적층하여(단계 4), 예를 들면 스테이플러(stapler)로, 복수개의 코어 기판을 기계적으로 가고정한다(단계 5).
그 후, 상기 기계적으로 가고정한 코어 기판을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한다(단계 6).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고정에 의해 PTP 기판을 탑재하고, 적층용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는 코어 기판의 위치 결정을 행하여, 기계적으로 복수개의 코어 기판을 가고정하고, 그 후,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하기 때문에, 적층 어긋남을 보다 저감하여 고정밀도로 적층할 수 있다.
[제4 실시 양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13은 PTP 기판을 복수개 가고정한 코어 기판을 복수개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유리 에폭시나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PTP 기판(11)에, 반도체 칩(12)을 실장한다(단계 1). 상기 PTP 기판(11)은, 도 2와 마찬가지로,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Cu 배선(13), 및 적층할 때의 위치 결정용의 얼라이먼트 마크(14A, 14B)를 갖고 있고, 상기 반도체 칩(12)은, 상기 Cu 배선(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PTP 기판(11)에 실장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PTP 기판과,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및 적층을 위한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 기판(50-1∼50-3)을, 상기 PTP 기판의 얼라이먼트 마크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에폭시계의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는 온도인 120℃ 이하(예를 들면 60℃∼120℃)의 열 압착 툴로,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가고정한다(단계 2). 이 때, 상기 PTP 기판을 흡착하여 픽업하는 콜릿에 가열 툴을 내장한 것을 이용하면, 코어 기판으로의 PTP 기판의 이송과 가고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기판(50-1∼50-3)의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에, 지그판(52)의 핀(51A, 51B, 51C, …)을 관통시켜 순차적으로 끼워 넣어 복수개 적층한다.
그리고, 상기 PTP 기판(11-1, 11-2, 11-3, …)과 코어 기판(50-1∼50-3)을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한다(단계 4).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양태에 따른 제조 방법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5 실시 양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유리 에폭시나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PTP 기판(11)에, 반도체 칩(12)을 실장한다(단계 1). 상기 PTP 기판(11)은, 도 2와 마찬가지로,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Cu 배선(13), 및 적층할 때의 위치 결정용의 얼라이먼트 마크(14A, 14B)를 갖고 있고, 상기 반도체 칩(12)은, 상기 Cu 배선(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PTP 기판(11)에 실장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복수의 PTP 기판과,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및 적층 시의 위치 정합용의 홈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 기판을, 상기 PTP 기판의 얼라이먼트 마크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에폭시계의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는 온도인 120℃ 이하(예를 들면 60℃∼120℃)의 열 압착 툴로,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가고정한다(단계 2). 이 때, 상기 PTP 기판을 흡착하여 픽업하는 콜릿에 가열 툴을 내장한 것을 이용하면, 코어 기판으로의 PTP 기판의 이송과 가고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후, 위치 정합용의 홈을 갖는 코어 기판을, 도 13에 도시한 제4 실시 양태와 마찬가지로, 핀을 세운 지그판에 끼워 넣어 복수개 적층한다(단계 3).
그리고, 상기 복수개 적층한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을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한다(단계 4).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4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제6 실시 양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 양태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을 복수개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유리 에폭시나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PTP 기판(11)에, 반도체 칩(12)을 실장한다(단계 1). 상기 PTP 기판(11)은,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Cu 배선(13), 및 적층할 때의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반도체 칩(12)은 상기 Cu 배선(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PTP 기판(11)에 실장된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PTP 기판(11-1, 11-2, 11-3, …)과, 접속 전극, 이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및 적층용의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 기판(60-1∼60-4)을 각각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핀(61A, 61B, 61C)을 세운 지그판(62)에 순차적으로 끼워 넣어 적층한다(단계 2).
그 후, 상기 코어 기판(60-1∼60-4)과 PTP 기판(11-1, 11-2, 11-3, …)을 열 프레스에 의해 일괄하여 접착한다(단계 3).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적층 공정을 보다 간단화할 수 있어, 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적층하기 위한 부재가 불필요하므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당 분야의 업자라면 부가적인 장점 및 변경들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광의의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된 상세한 설명 및 대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적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들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공정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어 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적층하기 위한 부재가 불필요하므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개편(個片)화된 PTP 기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3에서의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의 접속 전극 부분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9a는 도 2에 도시한 PTP 기판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PTP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2에 도시한 PTP 기판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b와 10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코어 기판에 설치된 적층용의 얼라이먼트 마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PTP 기판을 복수개 가고정한 코어 기판을 복수개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양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PTP 기판과 코어 기판을 복수개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PTP 기판
12 : 반도체 칩
13 : Cu 배선
14A, 14B : 얼라이먼트 마크
15 : 코어 기판
20, 23 : Cu 비어
22, 25 : Cu 랜드
41A, 41B : 더미 패턴

Claims (20)

  1.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접속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배선과, 제1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는 기판에,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2 접속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배선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고 용융하는 온도에서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코어 기판에 가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고정한 후에,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가고정한 코어 기판을 삼차원적으로 위치 결정을 행하면서 복수개 적층하고,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의 제2 접속 전극 부분은, 각각 금속이 충전된 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열 프레스 시에 상기 비어에 충전된 금속이 접속되어, 합금층이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에 충전된 금속은, Cu, Sn, 및 Sn-Ag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 내에 형성된 금속의 표면에 설치되며, Sn, Sn-Ag, Sn-Pb, 및 Au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기판은, 적층용의 제2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고,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로 상기 삼차원적인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가고정한 코어 기판을 삼차원적으로 위치 결정을 행하면서 복수개 적층한 후, 상기 복수의 코어 기판을 기계적으로 가고정하고, 아울러 상기 기계적으로 가고정한 복수개의 코어 기판을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기판은, 적층용의 제2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고,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이먼트 마크로 상기 삼차원적인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기판 및 상기 코어 기판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완성 시에 제거되는 영역의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하기 위한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0.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접속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배선과,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는 기판에,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2 접속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배선과, 적층을 위한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얼라이먼트 마크의 인식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고,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고 용융하는 온도에서 열 압착을 행하여, 접착제의 점성력으로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코어 기판에 가고정하고,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가고정한 코어 기판을, 상기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을 이용하여, 핀을 세운 지그판에 복수개 끼워 넣어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코어 기판을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의 제2 접속 전극 부분은, 각각 금속이 충전된 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열 프레스 시에 상기 비어에 충전된 금속이 접속되어, 합금층이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에 충전된 금속은, Cu, Sn, 및 Sn-Ag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 내에 형성된 금속의 표면에 설치되며, Sn, Sn-Ag, Sn-Pb, 및 Au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기판 및 상기 코어 기판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완성 시에 제거되는 영역의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하기 위한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5.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접속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배선과, 위치 결정용의 제1 핀 구멍을 갖는 기판에,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2 접속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배선과, 적층을 위한 위치 결정용의 제2 핀 구멍을 갖고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상기 제1 및 제2 위치 결정용의 핀 구멍을 이용하여, 핀을 세운 지그판에 복수개 끼워 넣어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코어 기판에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함과 함께, 복수개 적층한 코어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양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코어 기판의 제2 접속 전극 부분은, 각각 금속이 충전된 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열 프레스 시에 상기 비어에 충전된 금속이 접속되어, 합금층이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에 충전된 금속은, Cu, Sn, 및 Sn-Ag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 내에 형성된 금속의 표면에 설치되며, Sn, Sn-Ag, Sn-Pb, 및 Au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기판 및 상기 코어 기판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완성 시에 제거되는 영역의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하기 위한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0.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접속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배선과, 제1 얼라이먼트 마크를 갖는 기판에,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2 접속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배선을 갖는 코어 기판에, 상기 제1 얼라이먼트 마크의 인식에 의해 상기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기판을 복수개 위치 결정하여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기판을 상기 코어 기판에 가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고정한 복수개의 기판과 상기 코어 기판을 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2-0027302A 2001-05-18 2002-05-17 적층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502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49341A JP3999945B2 (ja) 2001-05-18 2001-05-18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1-00149341 2001-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382A KR20020088382A (ko) 2002-11-27
KR100502134B1 true KR100502134B1 (ko) 2005-07-20

Family

ID=1899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302A KR100502134B1 (ko) 2001-05-18 2002-05-17 적층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86222B2 (ko)
JP (1) JP3999945B2 (ko)
KR (1) KR100502134B1 (ko)
CN (1) CN1242463C (ko)
TW (1) TW5416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4614B2 (en) * 2001-03-29 2008-11-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ult tolerant TCP handshaking
KR100475716B1 (ko) * 2002-08-13 2005-03-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복합 반도체 장치의 멀티 반도체 기판의 적층 구조 및 그방법
CN100468719C (zh) * 2003-06-03 2009-03-11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可叠置的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TWI278048B (en) 2003-11-10 2007-04-01 Casio Computer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925809B2 (ja) * 2004-03-31 2007-06-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88500B1 (ko) * 2004-09-0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 보호용 더미 패키지 기판을 구비하는 멀티스택패키지와 그 제조 방법
US20060071316A1 (en) * 2004-09-24 2006-04-06 Emory Garth Three-dimensional stack manufacture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6114604A (ja) * 2004-10-13 2006-04-2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WO2007010863A1 (ja) 2005-07-15 2007-01-25 Ryo Takatsuki 集積回路チップ部品及び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とそれらの集積構造と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8192651A (ja) * 2007-01-31 2008-08-21 Elpida Memory Inc 半導体素子ユニットとその複合体及び半導体装置とそのモジュール並びにそれらの組立構造とフィルム基板の接続構造
KR101670887B1 (ko) 2010-03-22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00721A1 (zh) * 2011-01-30 2012-08-02 南通富士通微电子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
US9324583B2 (en) 2011-01-30 2016-04-26 Nantong Fujitsu Microelectronics Co., Ltd. Packaging method
US11680927B1 (en) 2019-11-22 2023-06-20 Cypress In-Line Inspection, LLC Dual layer circuit board for sensors on a pipeline inspection tool
US11545474B2 (en) * 2020-05-11 2023-01-03 Semiled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lignment marks between substrate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3414A (ja) * 1996-09-17 1998-06-19 Hitachi Ltd マルチチップ半導体装置
US5869353A (en) * 1997-11-17 1999-02-09 Dense-Pac Microsystems, Inc. Modular panel stacking process
KR20010019775A (ko) * 1999-08-30 2001-03-15 윤덕용 무전해도금법을 이용한 전도성 폴리머 플립칩 접속용 범프 형성방법 및 용도
KR20010030245A (ko) * 1999-09-17 2001-04-16 가나이 쓰토무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2603A (en) * 1973-03-09 1974-08-27 Control Data Corp Interconnect technique for stacked circuit boards
US4868712A (en) * 1987-02-04 1989-09-19 Woodman John K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package
US5014419A (en) * 1987-05-21 1991-05-14 Cray Computer Corporation Twisted wire jumper electrical inter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US5198888A (en) * 1987-12-28 1993-03-30 Hitachi, Ltd. Semiconductor stacked device
US4980971A (en) * 1989-12-14 1991-01-01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chip placement
JP2816244B2 (ja) * 1990-07-11 1998-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積層型マルチチップ半導体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半導体装置
WO1995025341A1 (en) * 1994-03-15 1995-09-21 Irvine Sensors Corporation 3d stack of ic chips having leads reached by vias through passivation covering access plane
US5675180A (en) * 1994-06-23 1997-10-07 Cubic Memory, Inc. Vertical interconnect process for silicon segments
US5434745A (en) * 1994-07-26 1995-07-18 White Microelectronics Div. Of Bowmar Instrument Corp. Stacked silicon die carrier assembly
KR960009074A (ko) 1994-08-29 1996-03-22 모리시다 요이치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716012B2 (ja) * 1995-08-10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その実装方法
KR0184076B1 (ko) * 1995-11-28 1999-03-20 김광호 상하 접속 수단이 패키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3차원 적층형 패키지
FR2745973B1 (fr) * 1996-03-08 1998-04-03 Thomson Csf Memoire de mass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memoire de masse
US5751556A (en) * 1996-03-29 1998-05-1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warpage of an assembly substrate
JPH10135267A (ja) * 1996-10-30 1998-05-22 Oki Electric Ind Co Ltd 実装基板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94423A (ja) * 1997-04-17 1998-11-04 Nec Corp 半導体装置
KR100280398B1 (ko) * 1997-09-12 2001-02-01 김영환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0266693B1 (ko) * 1998-05-30 2000-09-15 김영환 적층가능한 비지에이 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6020629A (en) * 1998-06-05 2000-02-01 Micron Technology, Inc. Stacked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451624B1 (en) * 1998-06-05 2002-09-17 Micron Technology, Inc. Stackable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conductive layer and insulating layer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5897341A (en) * 1998-07-02 1999-04-27 Fujitsu Limited Diffusion bonded interconnect
US6278616B1 (en) * 1998-07-07 2001-08-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difying memory device organization in high density packages
US6313522B1 (en) * 1998-08-28 2001-11-06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stacked semiconductor devices
TW472330B (en) * 1999-08-26 2002-01-11 Toshiba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437433B1 (en) * 2000-03-24 2002-08-20 Andrew C. Ross CSP stacking technology using rigid/flex construction
US6404043B1 (en) * 2000-06-21 2002-06-11 Dense-Pac Microsystems, Inc. Panel stacking of BGA devices to form three-dimensional modules
US6479321B2 (en) * 2001-03-23 2002-11-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ne-step semiconductor stack packag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3414A (ja) * 1996-09-17 1998-06-19 Hitachi Ltd マルチチップ半導体装置
US5869353A (en) * 1997-11-17 1999-02-09 Dense-Pac Microsystems, Inc. Modular panel stacking process
KR20010019775A (ko) * 1999-08-30 2001-03-15 윤덕용 무전해도금법을 이용한 전도성 폴리머 플립칩 접속용 범프 형성방법 및 용도
KR20010030245A (ko) * 1999-09-17 2001-04-16 가나이 쓰토무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86222B2 (en) 2004-02-03
CN1387240A (zh) 2002-12-25
KR20020088382A (ko) 2002-11-27
CN1242463C (zh) 2006-02-15
US20020187588A1 (en) 2002-12-12
TW541681B (en) 2003-07-11
JP2002343934A (ja) 2002-11-29
JP3999945B2 (ja)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1207B2 (en) Electronic module
KR100502134B1 (ko) 적층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4205749B2 (ja) 電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電子モジュール
US7230328B2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laminated semiconductor package
KR100523495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1088470B1 (en) Ic stack utilizing flexible circuits with bga contacts
US5986339A (en) Laminated multilayer substrates
US20030109078A1 (en)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KR20020009605A (ko) 적층 가능한 가요성 회로 ic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28627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3631B1 (ko) 다층 반도체 디바이스의 조립 지그 장치 및 제조 방법
JP4102969B2 (ja) 半導体装置
JP2000311982A (ja) 半導体装置と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2081226A1 (en) Multi-channel stackabl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stacking substrate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device
KR100290886B1 (ko) 초고집적회로반도체패키지및그제조방법
JP2000299542A (ja) 積層型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28418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346899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1310A (ko)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
JP3710003B2 (ja) 実装基板及び実装基板の製造方法
KR100671268B1 (ko) Z자형 외부리드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패키지 적층 구조와 방법
JP2003197822A (ja) 配線基板、多層配線基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0425166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25186B1 (ko) 스택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18077B1 (ko) 정렬 핀을 사용하여 비지에이 적층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