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605B1 -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605B1
KR100497605B1 KR10-2003-7004842A KR20037004842A KR100497605B1 KR 100497605 B1 KR100497605 B1 KR 100497605B1 KR 20037004842 A KR20037004842 A KR 20037004842A KR 100497605 B1 KR100497605 B1 KR 10049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ignal
cpu
power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9176A (ko
Inventor
미야자와히로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자나비 인포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자나비 인포메틱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자나비 인포메틱스
Publication of KR2003005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는 정규 동작과 저소비 전력의 스탠바이 동작이 가능한 CPU, CPU의 정규 동작용 제 1 전원, CPU의 스탠바이 동작용 제 2 전원,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CPU는 정규 동작으로부터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할 때 제 1 신호를 전원 제어 장치에 출력하고, 전원 제어 장치는 CPU로부터 제 1 신호를 입력했을 때, 제 2 전원에 제 2 전원을 온하는 제 2 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 1 전원에 제 1 전원을 오프하는 제 3 신호를 출력하고, CPU는 스탠바이 동작으로부터 정규 동작으로 이행할 때 제 4 신호를 전원 제어 장치에 출력하고, 전원 제어 장치는 CPU로부터 제 4 신호를 입력했을 때, 제 1 전원에 제 1 전원을 온하는 제 5 신호를 출력하고, 제 5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 2 전원에 제 2 전원을 오프하는 제 6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VEHICLE-MOUNTED INFORMA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 예를 들어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서는 차의 이그니션키(ignition key)를 오프(off)하면(ACC의 위치에서 오프의 위치로 돌린 경우), 소정의 필요한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저장한 후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오프하고 있었다. 다음에, 이그니션키를 온(on)하면(오프의 위치에서 ACC 또는 온의 위치로 돌린 경우), 카 내비게이션 장치로의 전원이 온되고,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과거의 필요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셋업(set up)을 실시한 후,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전원을 온한 후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이나 그 후의 셋업을 위해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므로, 카 내비게이션 장치가 사용가능해질 때까지 긴 대기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CPU 스탠바이 모드 이행시, CPU 정규 모드 이행시의 전원 등의 동작의 타이밍차트,
도 3은 이그니션키의 위치와 신호 ACC와 신호 IGN 등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신호 ACC와 신호 IGN에 의해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는 경우의 제어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전원 온 모드로의 이행처리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온 후 바로 전원 오프전의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로, 적절한 전원 제어 장치를 갖는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는 정규 동작과 저소비 전력의 스탠바이(standby) 동작이 가능한 CPU, CPU의 정규 동작용 제 1 전원, CPU의 스탠바이 동작용 제 2 전원, 및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CPU는 정규 동작으로부터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할 때 제 1 신호를 전원 제어 장치에 출력하고, 전원 제어 장치는 CPU로부터 제 1 신호를 입력했을 때, 제 2 전원에 제 2 전원을 온하는 제 2 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경과 후, 제 1 전원에 제 1 전원을 오프하는 제 3 신호를 출력하고, CPU는 스탠바이 동작으로부터 정규 동작으로 이행할 때 제 4 신호를 전원 제어 장치에 출력하고, 전원 제어 장치는 CPU로부터 제 4 신호를 입력했을 때, 제 1 전원에 제 1 전원을 온하는 제 5 신호를 출력하고, 제 5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경과 후, 제 2 전원에 제 2 전원을 오프하는 제 6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에서 CPU의 정규 동작에 사용하는 DRAM과, DRAM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전원을 추가로 구비하고, CPU가 정규 동작으로부터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할 때 제 3 전원은 DRAM으로의 전원의 공급을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이그니션키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온-오프 검출장치는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검출했을 때, CPU에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검출한 취지를 통지하고, CPU는 소정의 스탠바이용 처리를 실행한 후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온-오프 검출장치는 차량의 셀모터를 회전시키기 직전에서의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검출했을 때, CPU에 차량의 셀모터를 회전시키기 직전에서의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검출한 취지를 통지하고, CPU는 차량의 셀모터의 회전개시전에 스탠바이용 처리가 완료되도록 스탠바이용 처리의 일부만 실행한 후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부호 "1"은 카 내비게이션 장치 전체의 제어를 실시하는 CPU, 부호 "2"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 부호 "3"은 휘발성 메모리인 DRAM, 부호 "4"는 버스 버퍼, 부호 "5"는 ASIC, 부호 "6"은 버스이다.
ASIC(5)은 게이트 어레이로 구성되고 전용 로직이 편성되어 있다. ASIC(5)에는 현재지점 검출장치(10), CD-ROM장치(7), 입력장치(8) 등이 접속된다. 현재지점 검출장치(10)는 차량의 현재지점(자신의 차 위치)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며, 예를 들어 차량의 진행방위를 검출하는 방위 센서(도시하지 않음),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도시하지 않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의 GPS 신호를 검출하는 GPS 센서(GPS 수신기)(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CD-ROM장치(7)에는 도로 지도 데이터가 기록된 CD-ROM(9)이 장착되고, CD-ROM장치(7)와 CD-ROM(9)으로 내비게이션에 사용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음악용 CD-ROM이나 프로그램 저장 CD-ROM 등이 장착된 경우에는, CD-ROM의 판독장치로서 작용한다. 입력장치(8)는 차량의 목적지 등을 입력하는 키보드나 조이스틱이나 그밖의 각종 스위치로 구성된다.
플래시 메모리(2)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또한 필요한 정보가 적절하게 저장된다. DRAM(3)은 CPU(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이나 데이터 영역으로서 작용하고, 예를 들어 경로탐색조건이나 경로탐색의 연산결과, CD-ROM(9)으로부터 읽어낸 지도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또한, DRAM(3)은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용의 비디오 RAM을 포함하고, 표시용 화상 데이터도 저장한다. 즉, DRAM(3)은 CD-ROM(9)이나 플래시 메모리(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저장하거나, 생성된 연산결과를 더 이후의 처리에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한다. DRAM(3)은 예를 들어 S-DRAM(동기 DRAM)을 사용하여 고속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술한 현재지점 검출장치(10)에 의해 취득한 자신의 차 위치정보 및 CD-ROM(9)에 저장되어 있는 도로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내비게이션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자신의 차 위치 부근의 도로 지도 및 자신의 차의 위치를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하고, 경로탐색에 의해 얻어진 경로를 따라서 운전자를 유도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전원 제어(파워 컨트롤러)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전원 제어의 설명 전에, 우선 카 내비게이션 장치가 탑재되는 차량의 전장계(電裝系)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의 전장계는 이그니션키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된다. 이그니션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는 통상, LOCK위치, OFF위치, ACC위치, ON위치, START위치를 갖는다. 이그네션키가 LOCK위치 또는 OFF 위치인 경우에는 액세서리 등의 전장계는 온되지 않고, ACC위치 즉 액세스 온 위치에서 카 라디오 등의 액세서리의 전원이 온된다. 다음에 이그니션키를 ON위치를 경유하여 START위치까지 돌리면, 셀모터가 회전하여 엔진이 시동된다. 그 후, ON위치에서 엔진의 회전(점화)이 지속된다. 이 상태에서 이그니션키를 ACC위치로 돌리면 엔진이 정지하지만 액세서리의 전원은 지속하여 온된다. 다음에 OFF위치까지 돌리면 액세서리의 전원이 오프되고, LOCK위치까지 돌리면 스티어링을 로크한 상태에서 이그니션키를 키 실린더로부터 뺄 수 있다.
상술한 이그니션키 스위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ACC 및 신호 IGN이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입력된다. 신호 ACC는 이그니션키가 ACC위치 및 ON위치에서 온되고 그 밖의 위치에서 오프된다. 신호 IGN은 이그니션키가 ON위치 및 START위치에서 온되고 그 밖의 위치에서 오프된다. 상기 신호 ACC 및 신호 IGN에 의해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가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의 카 내비게이션 장치는 전원모드로서 전원 온 모드 및 스탠바이 모드를 갖는다. 전원 온 모드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에 전원이 투입되고, 통상의 카 내비게이션의 처리가 실시되는 모드이다. 스탠바이 모드는 소정의 전원에서 CPU(1), 플래시 메모리(2), DRAM(3), 버스 버퍼(4)를 백업하고, 그 밖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모두 전원을 오프하는 모드이다. 즉, 스탠바이 모드는 최소 필요한 요소에만 저소비전력 모드로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스탠바이 모드를 설치한 이유는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도 메모리의 내용을 유지하고, 다음에 전원 온 모드로 전환했을 때, 바로 카 내비게이션 장치를 사용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그니션키의 조작에 의해 전원 온 모드 및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는 설명은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카 내비게이션 장치는 전체적으로 5VDC, 3VDC, 1.8VDC, 2.5VDC의 직류전원을 사용한다. 부호 "11"은 카 배터리의 12VDC로부터 5VDC, 3VDC를 생성하는 전원이다. 전원(11)은 평상시 5VDC, 3VDC를 공급한다. 또한, 전원(11)은 카 내비게이션 장치 전용의 전원이 아니라 차량 전체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전원이어도 좋다.
부호 "12" 및 부호 "13"은 전원(11)의 3VDC로부터 1.8VDC를 생성하는 전원이다. 전원(12)은 통상의 전원 온 모드시에 CPU(1)에 공급되는 대용량의 전원회로이다. 전원(13)은 스탠바이 모드시에 CPU(1)에 공급되는 소용량의 전원회로이다. 부호 "14"는 전원(11)의 5VDC로부터 2.5VDC를 생성하는 전원회로이다.
부호 "15"는 로직회로로 구성되는 전원 제어 회로이다. 전원 제어 회로(15)는 CPU(1)로부터의 신호 STANDBY_EN을 받아 전원(12, 13) 및 전원 스위치(16, 17)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전원 스위치(16)는 전원 제어 회로(15)로부터의 신호 SUPPORT_EN을 받아 전원(11)으로부터의 5VDC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전원 스위치(17)는 전원 제어 회로(15)로부터의 신호 SUPPORT_EN을 받아 전원(11)으로부터의 3VDC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전원 스위치(16, 17)는 기계적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치로 구성된다.
다음에, 각 요소가 필요로 하는 전원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CPU(1)는 3VDC와 1.8VDC를 필요로 한다. 플래시 메모리(2), DRAM(3), 버스 버퍼(4)는 3VDC를 필요로 한다. ASIC(5)은 5VDC, 3VDC, 2.5VDC를 필요로 한다. 현재검출장치(10), CD-ROM 장치(7), 입력장치(8)는 적당하게 3VDC, 5VDC를 필요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CPU(1)는 CPU(1) 자체가 정규 모드(정규 동작)와 스탠바이 모드(스탠바이 동작)를 갖는다. CPU(1) 자체의 스탠바이 모드를, 상술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스탠바이 모드와 구별하기 위해 이하 CPU 스탠바이 모드라고 한다. 또한, 정규 모드도, 이하 CPU 정규 모드라고 한다. CPU 정규 모드는 CPU(1)가 통상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모드이다. CPU 스탠바이 모드는 CPU(1)가 프로그램의 실행을 실시하지 않고 CPU(1) 자체가 저소비 전력 모드로 대기하는 모드이다.
CPU(1)는 CPU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면 신호 STANDBY_EN을 온으로 하고, CPU 정규 모드로 되돌아가면 신호 STANDBY_EN을 오프한다. CPU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면, CPU(1)의 3VDC, 1.8VDC의 소비전력은 매우 작은 것이 된다. 예를 들어 1.8VDC에서 CPU 정규 모드에서는 약 800㎃의 전류를 소비하는 바, CPU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면 약 100㎂ 정도가 된다. 따라서, 스탠바이 모드 중에는 CPU(1)의 1.8VDC용 전원으로서 전력손실이 작은 소용량의 전원(13)을 사용한다.
CPU(1)는 소정의 CPU 스탠바이 모드용 명령을 실행하면, 스스로 CPU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간다. CPU 스탠바이 모드 중에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활성화되어 CPU 정규 모드로 돌아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가 CPU 스탠바이 모드 중에 신호 ACC가 온되면, CPU(1)는 CPU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CPU 정규 모드로 이행한다. 단, 활성화의 요인으로서는 다른 신호이어도 좋다.
도 2는 CPU(1)가 CPU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했을 때, 또한 기동에 의해 CPU 정규 모드로 이행했을 때 각 전원이 어떻게 제어되는지를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또한, CPU(1)가 신호 ACC 등에 의해 CPU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고, 또한 기동되어 CPU 정규 모드로 이행하는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원 스위치(16)로부터 출력되는 5VDC를 VCC_5VS로 하고, 전원 스위치(17)로부터 출력되는 3VDC를 VCC_3VS로 하고, 전원(12)으로부터 출력되는 1.8VDC를 VCC_1P8P_1로 하고, 전원(13)으로부터 출력되는 1.8VDC를 VCC_1P8P_2로 하고, VCC_1P8P_1과 VCC_1P8P_2를 와이어드 OR(wired OR)한 전원을 VCC_1P8P로 하고, 전원(14)으로부터 출력되는 2.5VDC를 2P5VS로 한다. 또한, 전원 제어 회로(15)로부터 출력되어 전원(12)을 제어하는 신호를 EN1P8P_1#으로 하고, 전원(13)을 제어하는 신호를 EN1P8P_2#으로 하고, 전원 스위치(16)와 전원 스위치(17)와 버스 버퍼(4)를 제어하는 신호를 SUPPORT_EN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신호나 전원이 액티브된 경우를 온이라 하고, 로우액티브한 신호도 액티브가 된 경우를 온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도 2에서는 로우 액티브한 신호도 온일 때에는 모두 하이로 표시하고 있다.
CPU(1)는 CPU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갈 때, 직전에 신호 STANDBY_EN을 온한다. 신호 STANDBY_EN이 온되면, 전원 제어 회로(15)는 신호 SUPPORT_EN을 오프한다. 신호 SUPPORT_EN은 신호 STANDBY_EN을 받아 CPU 정규 모드 중에는 온으로 설정되고, CPU 스탠바이 모드 중에는 오프로 설정된다. 전원 제어 회로(15)는 신호 SUPPORT_EN이 오프되면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신호 EN1P8P_2#을 온하고, 전원 VCC_1P8P_2의 전압이 안정된 후 신호 EN1P8P_1#을 오프한다.
신호 EN1P8P_1#은 온-오프에 의해 전원(12)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신호 EN1P8P_2#는 온-오프에 의해 전원(13)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따라서, CPU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면 반드시 신호 EN1P8P_2#이 온하여 전원(13)을 먼저 온한 후, 신호 EN1P8P_1#을 오프하여 전원(12)을 오프한다. 이에 의해, 전원 VCC_1P8P에는 전환에 의한 노이즈가 실리지 않는다. 신호 EN1P8P_2#을 온한 후 신호 EN1P8P_1#을 오프할 때까지의 시간은 전원 VCC_1P8P로의 전환에 의한 노이즈가 실리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값으로 변경 가능하다.
전원 스위치(16) 및 전원 스위치(17)는 신호 SUPPORT_EN을 받아 전원 VCC_5VS, 전원 VCC_3VS를 출력하고 있지만, 이 전원은 스탠바이 모드시에 공급하지 않으면 안되는 구성요소에는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특별히 온-오프에 의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버스 버퍼(4)는 신호 SUPPORT_EN이 온일 때 외부에 대해서 버스 버퍼로서 기능하고, 신호 SUPPORT_EN이 오프가 되면 하이임피던스가 되어 외부의 회로와의 접속을 끊는 작용을 한다. 이에 의해, 신호 SUPPORT_EN이 오프인 동안 즉 스탠바이 모드 중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나 전류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CPU(1)가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기 위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 후 CPU(1) 자신이 CPU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면, CPU(1)로의 전원 VCC_1P8P는 전원 VCC_1P8P_1로부터 전원 VCC_1P8P_2로 적절하게 전환된다. 또한, CPU(1), 플래시 메모리(2), DRAM(3), 버스 버퍼(4)로의 3VDC는 그대로 계속하여 공급되고, 그 밖의 ASIC(5), 현재지점 검출장치(10), CD-ROM장치(7), 입력장치(8)나 그 밖의 스탠바이 모드시에 전원공급이 불필요한 구성요소로의 전원은 전원 스위치(16) 및 전원 스위치(17)를 통하여 모두 오프된다. 이에 의해,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스탠바이 모드로의 이행이 완료된다.
다음에, CPU(1)가 CPU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CPU 정규 모드로 되돌아가는 경우를 설명한다. CPU(1)가 CPU 정규 모드로 되돌아가면, 신호 STANDBY_EN이 오프된다. 신호 STANDBY_EN이 오프되면 전원 제어 회로(15)는 신호 SUPPORT_EN을 온한다. 전원 제어 회로(15)는 신호 SUPPORT_EN이 온되면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신호 EN1P8P_1#를 온하고, 전원 VCC_1P8P_1의 전압이 안정된 후 신호 EN1P8P_2#을 오프한다.
이상에 의해 CPU(1)가 CPU 정규 모드로 되돌아간 경우, 반드시 신호 EN1P8P_1#이 온하여 전원(12)을 먼저 온한 후, 신호 EN1P8P_2#를 오프하여 전원(13)을 오프하고 있다. 따라서, 전원 VCC_1P8P에는 전환에 의해 노이즈가 실리지 않는다. 신호 EN1P8P_1#을 온한 후 신호 EN1P8P_2#을 오프할 때까지의 시간은 전원 VCC_1P8P에 전환에 의한 노이즈가 실리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값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CPU(1)가 CPU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CPU 정규 모드에 들어가면, CPU(1)로의 전원 VCC_1P8P는 전원 VCC_1P8P_2로부터 전원 VCC_1P8P_1로 적절하게 전환된다. 또한, CPU(1), 플래시 메모리(2), DRAM(3), 버스 버퍼(4)로의 3VDC는 그대로 계속하여 공급되고, 그 밖의 ASIC(5), 현재지점 검출장치(10), CD-ROM장치(7), 입력장치(8)나 스탠바이 모드시에 전원공급이 불필요한 구성요소의 전원은 전원 스위치(16) 및 전원 스위치(17)를 통하여 모두 온된다. 그 후, CPU(1)는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전원 온 모드로의 이행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의 변형예로서는 전원 VCC_5VS 또는 전원 VCC_3VS의 오프-온을 전원(13)을 온-오프하기 위한 신호로서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VCC_5VS 또는 전원 VCC_3VS를 전원(13)의 온-오프의 제어에 사용하면, 전원(12)의 온-오프와의 타이밍의 조정이 곤란해지고, 전환에 의한 노이즈가 실릴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12, 13)의 온-오프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양 전원 모두 전원 제어 회로(15)로부터의 신호로 제어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의 정규 모드에 사용하는 전원(12)의 온-오프와, 스탠바이 모드에 사용하는 전원(13)의 온-오프를, 전원 제어 회로(15)에서 생성되는 2개의 신호로 개별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므로, 확실하고 정확하게 전원(12, 13)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VCC_1P8P에도 확실하게 전환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차량의 이그니션키의 조작에 의해 카 내비게이션 장치가 전원 온 모드 및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3은 이그니션키의 위치와 CPU(1)에 입력되는 신호 ACC와 신호 IGN 등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그니션키가 LOCK위치, OFF위치인 경우에는 신호 ACC, 신호 IGN 모두 오프되어 있다. 이그니션키가 ACC위치까지 돌아가면 신호 ACC가 온된다. 이그니션키가 ON위치까지 돌아가면 신호 IGN이 온하고, 신호 ACC는 계속하여 온하고 있다. 이그니션키가 START위치까지 돌아오면, 신호 ACC는 오프되고, 신호 IGN이 계속하여 온하고 있다. START위치는 셀이 돌아가는 위치이지만, 신호 ACC는 셀이 돌아갈 때에는 오프된다. START위치에서 셀의 회전후 이그니션키가 ON위치에 돌아가면, 신호 ACC는 다시 온되고, 신호 IGN은 계속하여 온하고 있다. 다음에, 엔진을 끊기 위해 이그니션키가 ON위치로부터 ACC위치까지 돌아가면, 신호 IGN은 오프되지만, 신호 ACC는 아직 온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이그니션키가 OFF위치까지 돌아가면 신호 ACC도 오프된다.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차량의 크랭킹(cranking)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그니션키의 START위치에서 셀모터가 회전하면, 셀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류가 대폭 흐른다. 이 때문에, 셀모터 회전 중에 배터리의 전위가 대폭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 카 내비게이션 장치로의 공급전원의 전위도 내려가므로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오동작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크랭킹 중, 카 내비게이션 장치는 적절하게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그니션키 회동조작의 빠르기에도 따르지만, 이그니션키의 START위치로의 회전에 의해 신호 ACC가 오프되고 나서 실제로 셀모터가 회전을 시작할 때까지 100mS 정도밖에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 따라서, 크랭킹시의 스탠바이 모드로의 이행처리는 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스탠바이 모드로의 이행에 의해 단시간으로 마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카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 사용 개시시의 신호 ACC의 온에서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전원 온 모드로 이행하고, 이그니션키의 START위치에서의 신호 ACC의 오프에 의해 일단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고, 셀모터 회전종료 후의 신호 ACC의 온에서 다시 전원 온 모드로 이행한다. 다음에, 차량의 사용종료시의 신호 ACC 오프에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신호 ACC와 신호 IGN은 CPU(1)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CPU(1)가 차량의 이그니션키의 조작에 연동하여 카 내비게이션 장치를 온-오프(전원모드의 전환)시키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장치의 기능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CPU(1)와는 별개의 회로에서 그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의 신호를 CPU(1)에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도 4는 신호 ACC와 신호 IGN에 의해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는 경우의 제어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처리는 CPU(1)가 실행된다.
단계(S1)에서는 신호 ACC가 오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신호 ACC가 오프되어 있으면 단계(S2)로 진행하고, 오프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2)에서는 신호 IGN이 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신호 IGN이 온하고 있으면 단계(S4)로 나아가고, 온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S3)으로 진행한다. 신호 ACC가 오프했을 때 신호 IGN도 오프하고 있으면 통상의 스탠바이 모드로의 이행이다. 한편, 신호 ACC가 오프했을 때 신호 IGN이 온하고 있으면 상술한 크랭킹 시의 스탠바이 모드로의 이행이다.
단계(S3, S4)에서는 스탠바이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처리를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탠바이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DRAM(3)의 전원은 백업되고 DRAM(3)의 내용은 유지된다. 따라서, DRAM(3)의 내용을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2)로 전송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스탠바이 모드로의 이행에 있어, DRAM(3)의 체크섬 등의 에러체크 처리나 최소 필요한 정보의 저장 등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스탠바이 모드의 이행에서는 단계(S3, S4)가 처리되지만, 크랭킹일 때의 스탠바이 모드의 이행에서는 전원이 끊어질 때까지 별로 시간이 없으므로 단계(S4)만 처리를 한다. 따라서, 단계(S3)에서는 비교적 처리 시간이 소요되고, 최악의 경우, 처리하고 있지 않아도 큰 문제는 되지 않는 처리, 예를 들어 에러체크 처리 등을 실시한다. 단계(S4)에서는 스탠바이 모드로의 이행에 있어 반드시 처리를 해 둘 필요가 있는 것을 실시하고, 예를 들어 스택 포인터 등의 정보의 저장, 인터럽트 처리의 상태의 저장 등을 실시한다.
단계(S5)에서는 신호 STANDBY_EN을 온한다. 그 후, 단계(S6)에서 CPU 스탠바이 모드용의 명령을 실행하고, CPU(1) 자체 CPU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간다. 전원 제어 회로(15)는 단계(S5)의 신호 STANDBY_EN의 온에 의해 상술한 전원 제어 시퀀스를 실행하고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간다.
도 5는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전원 온 모드로의 이행처리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CPU(1)는 CPU 스탠바이 모드 중에 소정의 단자의 신호가 온되면, 활성화되어 소정의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한 하드웨어의 이행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단자에 신호 ACC가 접속되고, 소정의 프로그램은 도 5의 프로그램으로 한다. 따라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스탠바이 모드 중, 즉 CPU(1)의 스탠바이 모드 중에 이그니션키의 조작으로 신호 ACC가 온되면, 도 5의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도 5의 단계(S11)에서는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전원 온 모드로의 이행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스택 포인터나 인터럽트 처리의 상태가 스탠바이 모드 이행시에 저장된 내용과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나, DRAM(3)이나 플래시 메모리(2)의 에러 체크 등을 실시한다. 단계(S11)의 처리가 종료되면, 본 루틴은 종료되고 카 내비게이션 장치는 통상의 전원 온 모드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DRAM(3)의 내용은 스탠바이 모드 이행전의 내용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플래시 메모리(2)로부터의 데이터의 전송이나 데이터의 재생성 등이 필요없다. 따라서, 신호 ACC의 온에 의해 카 내비게이션 장치는 즉석에서 스탠바이 모드 이행전의 상태에서 사용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예에서 설명했지만 이 내용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차량 탑재용 컴퓨터(모바일 컴퓨터)나 그 밖의 차량 탑재용 인텔리전트 단말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즉,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탑재하는 모든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도 4, 도 5의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정보기기에 휴대전화(이동전화)와의 접속기능을 가지게 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 경유로 도 4, 도 5의 프로그램의 제공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4)

  1. 삭제
  2.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에 있어서,
    정규 동작과 저소비 전력의 스탠바이 동작이 가능한 CPU와,
    상기 CPU의 정규 동작용 제 1 전원과,
    상기 CPU의 스탠바이 동작용 제 2 전원과, 및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CPU는 정규 동작으로부터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할 때 제 1 신호를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CPU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를 입력했을 때, 상기 제 2 전원에 상기 제 2 전원을 온하는 제 2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제 1 전원에 상기 제 1 전원을 오프하는 제 3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CPU는 스탠바이 동작으로부터 정규 동작으로 이행할 때 제 4 신호를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CPU로부터 상기 제 4 신호를 입력했을 때, 상기 제 1 전원에 상기 제 1 전원을 온하는 제 5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5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제 2 전원에 상기 제 2 전원을 오프하는 제 6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CPU의 정규 동작에 사용하는 DRAM과,
    상기 DRAM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전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CPU가 정규 동작으로부터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할 때, 상기 제 3 전원은 상기 DRAM으로의 전원의 공급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
  3. 삭제
  4.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에 있어서,
    정규 동작과 저소비 전력의 스탠바이 동작이 가능한 CPU와,
    상기 CPU의 정규 동작용 제 1 전원과,
    상기 CPU의 스탠바이 동작용 제 2 전원과, 및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CPU는 정규 동작으로부터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할 때 제 1 신호를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CPU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를 입력했을 때, 상기 제 2 전원에 상기 제 2 전원을 온하는 제 2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제 1 전원에 상기 제 1 전원을 오프하는 제 3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CPU는 스탠바이 동작으로부터 정규 동작으로 이행할 때 제 4 신호를 상기 전원제어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CPU로부터 상기 제 4 신호를 입력했을 때, 상기 제 1 전원에 상기 제 1 전원을 온하는 제 5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5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제 2 전원에 상기 제 2 전원을 오프하는 제 6 신호를 출력하며,
    차량의 이그니션키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온-오프 검출장치는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검출했을 때, 상기 CPU에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검출한 취지를 통지하고,
    상기 CPU는 소정의 스탠바이용 처리를 실행한 후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하며,
    상기 온-오프 검출장치는 차량의 셀모터를 회전시키기 직전에서의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검출했을 때, 상기 CPU에 차량의 셀모터를 회전시키기 직전에서의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를 오프시키는 신호를 검출한 취지를 통지하고, 상기 CPU는 차량의 셀모터의 회전 개시전에 상기 스탠바이용 처리가 완료되도록 상기 스탠바이용 처리의 일부만 실행한 후 스탠바이 동작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
KR10-2003-7004842A 2000-10-06 2000-10-06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 KR100497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7006 WO2002030713A1 (en) 2000-10-06 2000-10-06 Vehicle-mounted inform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176A KR20030059176A (ko) 2003-07-07
KR100497605B1 true KR100497605B1 (ko) 2005-07-01

Family

ID=1173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842A KR100497605B1 (ko) 2000-10-06 2000-10-06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04591B1 (ko)
EP (1) EP1346880B1 (ko)
JP (1) JP3799014B2 (ko)
KR (1) KR100497605B1 (ko)
WO (1) WO2002030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0002B2 (ja) * 2000-12-14 2006-07-19 住友電装株式会社 Cpuの消費電力低減方法、電子装置および消費電力低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424484B1 (ko) * 2001-07-05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 처리 장치용 전원 공급기
JP3776870B2 (ja) * 2002-11-12 2006-05-1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US7739523B2 (en) * 2003-03-17 2010-06-1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system, access point of display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US7176585B2 (en) * 2003-12-29 2007-02-13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Power distribution web node and power management process
KR20050098647A (ko) * 2004-04-08 2005-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DE102007027983A1 (de) * 2007-06-14 2008-12-18 Navigo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Navigationseinrichtung
DE102007054608A1 (de) * 2007-11-15 2009-05-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DE102008057613A1 (de) * 2008-11-10 2010-06-24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mit einer Transceiverschaltung für ein Bussystem und Knoten für ein Bussystem
KR101034223B1 (ko) * 2009-07-15 2011-05-12 우리에너지뱅크(주) 태양 전지판 고정용 부속체
CN104345852A (zh) * 2013-07-26 2015-02-11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Cpu供电电路
US10146284B2 (en) * 2014-05-20 2018-12-04 Entropic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ndby power to an integrated circuit
JP6274061B2 (ja) * 2014-09-26 2018-02-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機
US10055007B2 (en) * 2015-04-01 2018-08-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ergy reserve conservation for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JP6485652B2 (ja) * 2016-10-05 2019-03-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燃料電池システムを搭載した産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49Y2 (ja) * 1988-05-13 1995-06-14 株式会社カンセイ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電源回路
DE8817191U1 (de) * 1988-07-28 1993-12-02 Bosch Gmbh Robert Anordnung für definierte Schaltung eines Mikrorechners in Wartebetriebsart
JPH05197459A (ja) 1991-08-02 1993-08-06 Nippon Steel Corp 電池駆動コンピュータ
JPH0729386A (ja) * 1993-07-13 1995-01-31 Hitachi Ltd フラッシュメモリ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3460256B2 (ja) * 1993-08-20 2003-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ッテリ断線検出装置
JPH0795734A (ja) * 1993-08-26 1995-04-07 Fujitsu Ten Ltd 電源回路
DE4343011C2 (de) * 1993-12-16 2002-08-29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Spannungsversorgung für eine Prozessoreinheit
US5781780A (en) * 1994-12-22 1998-07-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supply interface circuitry, systems and methods
US5727221A (en) * 1994-12-22 1998-03-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puter system power management interconnection circuitry and systems
DE69629329T2 (de) * 1995-05-24 2004-06-09 Hitachi, Ltd. System und Verfahren zur Kraftfahrzeugsteuerung
US5727208A (en) * 1995-07-03 1998-03-10 Dell U.S.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processor operating parameters
US5848281A (en) * 1996-07-23 1998-12-08 Smalley; Kenneth George Method and apparatus for powder management in a multifunction controller with an embedded microprocessor
JPH10175484A (ja) 1996-12-19 1998-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電子機器の電源制御装置
JP3814907B2 (ja) * 1996-12-27 2006-08-30 ぺんてる株式会社 ハンディタ−ミナル
CA2317560A1 (en) * 1997-11-17 1999-05-27 Patrick H. Potega Universal power supply
JP4155621B2 (ja) * 1998-05-28 2008-09-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源回路
JP3658503B2 (ja) * 1998-07-03 2005-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物の電力供給装置及び集約配線装置
JP3594505B2 (ja) * 1999-02-05 2004-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車バッテリ保護機能付き車載コンピュータ
JP2000227997A (ja) 1999-02-08 2000-08-15 Fujitsu Ten Ltd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車両の管理システム
US6658576B1 (en) * 1999-09-29 2003-12-02 Smartpower Corporation Energy-conserving communication apparatus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a main processor with main operating instructions and keep-alive processor with keep-alive operating i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6880A1 (en) 2003-09-24
EP1346880B1 (en) 2018-12-26
JP3799014B2 (ja) 2006-07-19
JPWO2002030713A1 (ja) 2004-02-19
KR20030059176A (ko) 2003-07-07
US6804591B1 (en) 2004-10-12
WO2002030713A1 (en) 2002-04-18
EP1346880A4 (en)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605B1 (ko) 차량 탑재용 정보기기
JP2004094732A (ja) 電源制御装置
KR950013544B1 (ko) 자동차용 엔진제어장치
US10055910B2 (en) Vehicle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program therefor, vehicl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4227085A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30004A (ko) 카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방법
JP200815859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1322515A (ja) 車両用暗電流低減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93371A (ko) 주변 장치들을 가지는 차량용 시스템에서 고속 부팅 및 전원 관리 장치
JP2005088779A (ja) 車載情報端末
JP2006002715A (ja) エンジン制御回路
JP3500919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3157203A (ja) 半導体記憶デバイスの制御装置及び半導体記憶デバイスの制御方法
JP3775001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9330104A (ja) 自動車用電子制御システム
JP4645181B2 (ja) コンピュータの起動制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の起動制御方法
JP3511659B2 (ja) 車載用演算装置の電源供給装置
JP2002297459A (ja) バックアップ機能を備えた車両用制御装置
JP2006218969A (ja) 車載電子制御装置
JPH04137079A (ja) Icメモリカード
JP2004048353A (ja) 車載無線システムおよび車載無線システム用電源制御ユニット
JPH09213088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3308256A (ja) バックアップ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方法
JP2006023163A (ja) 車両搭載機器用データ保存装置
JP2006177276A (ja) 二輪車用エンジンの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