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480B1 - 전자 플래셔에서 입력 신호와 상이한 전압 한계치를비교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전자 플래셔에서 입력 신호와 상이한 전압 한계치를비교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480B1
KR100479480B1 KR10-1999-0052041A KR19990052041A KR100479480B1 KR 100479480 B1 KR100479480 B1 KR 100479480B1 KR 19990052041 A KR19990052041 A KR 19990052041A KR 100479480 B1 KR100479480 B1 KR 10047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flashing
limit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167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프리츠
롤란트 슈로프
Original Assignee
테믹 세미컨덕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믹 세미컨덕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믹 세미컨덕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6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60Q11/007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the lighting devices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플래셔에서 입력 신호를 상이한 전압 한계치와 비교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 따른 회로는 각각의 이산화(discretization) 단에 대해 고유의 비교기 및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가 필요하므로, 입력 신호가 다수일 때 많은 그리고 동일한 회로 부분들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한계치 발생기 회로가 제어 유닛에 의해 상이한 한계치 전압을 발생시키는 방법 및 회로가 제공된다. 입력 신호와 전압 한계치가 비교기에 제공되어 서로 비교된다. 비교 결과가 후속 접속된 회로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회로 부분에서 비교 결과에 따라 상이한 동작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회로는, 측정 저항에 의해 점멸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고, 측정된 전압은 부가의 점멸등이 접속되는지, 점멸등이 고장났는지 또는 단락이 생겼는지에 대한 척도인 전자 플래셔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전자 플래셔에서 입력 신호와 상이한 전압 한계치를 비교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PROCESS AND CIRCUIT FOR COMPARING A INPUT SIGNAL WITH VARIOUS VOLTAGE THRESHOLDS IN A ELECTRONIC FLASHER}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및 9항의 전문에 따른, 전자 플래셔에서 입력 신호와 상이한 전압 한계치를 비교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유럽 특허 공개 제 0 870 646 A1호에 공지된 회로의 일부를 나타낸다(도 3a). 여기서는 전자 플래셔에 포함된 회로가 다루어지며, 이 회로에 의해 점멸 회로내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척도로서 측정 저항(분로)에서의 전압 강하가 상이한 크기의 기준 전압과 비교된다. 비교 결과에 의해, 점멸등이 고장인지, 부가의 점멸등이 접속되었는지(예컨대, 트레일러의 점멸등), 또는 점멸 회로에 단락이 생겼는지의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회로(25)에서 단자 핀(26)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 소위 전압 강하가 예컨대 4개의 비교기(K1), (K2), (K3) 및 (K4)에 의해 전압 한계치로 사용되는 상이한 기준 전압(Vref1), (Vref2), (Vref3) 및 (Vref4)과 비교된다. 각각의 비교 결과는 디바운싱 회로(27), (28), (29) 및 (30)에 의해 디바운스되고, 디바운스된 모든 비교 결과는 제어 유닛(31)의 입력(IN1), (IN2), (IN3) 및 (IN4)에 제공된다. 기준 전압(Vref1), (Vref2), (Vref3) 및 (Vref4)에 의해, 각각 하나의 이산화 단(discrete stage)이 형성된다. 기준 전압(Vref1), (Vref2), (Vref3) 및 (Vref4)은 임의의 방식으로 예컨대 단자(32)와 기준 전위(34), 바람직하게는 접지 전위 사이에 배치된 분압기 회로(33)의 탭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저항값 및 개별 저항의 배치는 소정 전압값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회로는 각각의 이산화 단에 대해 고유의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 다음에 접속된 고유의 디바운싱(debouncing) 회로가 필요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다수의 입력 신호가 상기 방식으로 기준 전압과 비교되면, 부가의 그리고 여러개의 동일한 회로 부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전압 강하를 상이한 크기의 기준 전압과 비교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회로 부분이 가급적 피해지는, 방법 및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 및 9항에 따른 방법 및 회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다수의 입력 신호에 대해 단 하나의 비교기 및 단 하나의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집적 회로의 칩면적이 현저히 절약되고, 그로 인해 제조 비용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전류 소비가 낮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회로도에 따르면, 전자 플래셔(10)는 3개의 제어 입력, 즉 점화 장치(11)(클램프 15), 방향 지시 점멸 스위치(12)(클램프 49a) 및 비상 점멸 스위치(13)(클램프 HW)를 갖는다. 상기 3개의 제어 입력 이외에 부가의 단자로서 배터리 단자(14)(클램프 30) 및 기준 전위 단자(15)(클램프 31)가 제공된다. 전자 플래셔(10)의 집적 회로(16)는 8개의 외부 단자 핀(1 내지 8)을 갖는다. 즉, 이것은 8극 DIP-하우징 또는 SO8-하우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자핀으로는 예컨대 소위 릴레이 드라이버 출력(1)(이것에는 릴레이 외에 예컨대 파워 MOSFET 또는 IGBT의 게이트가 접속될 수 있음), 공급 전압(Vs)용 단자(2), 집적 회로(16)의 기준 전위용 단자(3), 클램프(15)(점화 장치(11))용 입력(4), 비상 점멸 입력(6), 측정 입력(7), 공급 전압에 접속되고 상기 측정 입력(7)용 기준 전위를 나타내는 입력(5), 및 방향 지시 점멸 입력(8)이 제공된다.
단자(2)와 (3) 사이에는 커패시터(C1)가 배치된다. 상기 커패시터(C1)는 네거티브 간섭 전압에서 지지 커패시터로 작용한다. 옴 저항(R1), (R2), (R4) 및 (R5)은 단자(4), (3), (6) 및 (8)에 대한 공급 라인에서 극성 전환 및 간섭 펄스로부터 집적 회로(16)를 보호하기 위해 배치된다. 낮은 옴의 저항(R3)(예컨대 20mΩ을 가진)은 측정 저항(분로)으로 사용된다.
집적 회로(16)의 단자(1)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점멸 릴레이(17)가 접속되고, 상기 릴레이(17)의 2개의 릴레이 콘택(17') 및 (17")은 비상 점멸 스위치(20) 또는 방향 지시 점멸 스위치(21)를 통해 점멸등(19)을 활성화시킨다. 부가로, 도 1에는 클램프(15)에 접속된 점화 스위치(22) 및 차량의 배터리(23)가 도시된다. 점화 스위치(22)의 차단시에도 점멸등(19)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비상 점멸 스위치(20)의 정확한 결선은 도시되지 않는다.
측정 저항(R3)에서 강하하는 전압은 얼마나 많은 점멸등(19)이 접속되는지, 예컨대 트레일러의 부가 점멸등(19)이 접속되었는지의 여부, 하나 이상의 점멸등(19)이 고장났는지의 여부, 또는 점멸 회로에 단락이 생겼는지의 여부에 대한 인덱스이다.
집적 회로(16)에는 전자 회로 부분이 포함된다. 상기 전자 회로 부분은 측정 입력(7)에 놓인 전압을 상이한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집적 회로(16)에 포함된, 내부 제어 유닛(31)(도 2)에 제공한다. 선행 기술에 따른 이러한 방식의 전자 회로 부분은 도 2에 도시되며 이미 설명되었다. 도 3은 이것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전자 회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회로도(35)를 나타낸다. 회로는 신호 입력(36)(도 1의 단자 핀(7)에 상응), 비교기(37), 발진기 입력(39)을 가진 디지탈 디바운싱(debouncing) 회로(38), 한계치 발생기 회로(40), 발진기 입력(42)을 가진 디지탈 제어 유닛(41) 및 신호 출력(43)으로 이루어진다. 신호 입력(36)에 인가된 입력 신호가 비교기(37)의 비반전 입력에 제공된다. 비교기(37)의 반전 입력에는 접속 라인(44)을 통해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의 출력 신호인 한계치 전압이 제공된다(경우에 따라, 비교기(37)의 입력의 결선이 반대일 수 있다).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의 입력은 접속 라인(45)을 통해 제어 유닛(41)의 출력에 접속된다.
하나의 신호, 예컨대 클록 신호가 발진기 입력(42)을 통해 제어 유닛(41)에 제공된다. 비교기(37)의 출력 신호는 접속 라인(46)을 통해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의 입력에 제공된다. 발진기 입력(42)에 인가된 클록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 클록 신호가 발진기 입력(39)을 통해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에 제공된다.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의 출력은 동시에 회로(35)의 신호 출력(43)이다.
측정 신호로서 전압이 신호 입력(36)에 인가되고, 상기 전압은 비교기(37)에서 그것의 반전 입력에 인가되는 한계치 전압과 비교된다. 상기 전압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일정한 전압값에서 상이한 동작이 트리거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디지탈 제어 유닛(41)에 포함된 실행 제어부에 의해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에서 발생되는 상이한 전압 한계치와 비교된다. 비교기(37)의 출력에 있는 비교 결과는 마찬가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에서 디바운스되며 신호 출력(43)에 제공된다. 신호 출력(43)에 제공된 출력 신호는 후속 접속된 전자 회로부, 예컨대 제어 유닛(도 2의 제어 유닛(31)에 필적함)에 후속 처리를 위해 제공된다.
도 4는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의 상세한 구성을 가진, 도 3과 유사한 회로도이다. 모든 다른 회로 부분은 도 3의 것과 동일하다. 접속 라인(45)은 디지탈 제어 유닛(41)의 출력 신호를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의 내부에 있는 부가의 내부 제어 유닛(47)에 제공한다. 내부 제어 유닛(47)은 접속 라인(48a), (48b), (48c) 및 (48d)을 통해 예컨대 4개의 전송 게이트의 제어 입력 또는 아날로그 스위치(51a), (51b), (51c) 및 (51d)를 제어하며, 이 경우 항상 단 하나의 아날로그 스위치만이 접속된다.
각각의 전송 게이트(51a), (51b), (51c) 및 (51d)의 출력은 접속 라인(44)에 접속되고, 입력은 옴 저항(R6), (R7), (R8) 및 (R9)로 이루어진 전기 저항 체인(57)의 각각의 탭(54), (55), (56)에 접속된다. 경우에 따라 외부 또는 내부 기준 전압이 저항체인(57)의 제 1 단자(58)에 제공되며, 다른 단자(59)는 예컨대 기준 전위(접지 전위 또는 다른 전압 전위)에 접속된다. 저항 체인(57)은 상이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기준 전압은 전송 게이트(51a), (51b), (51c) 및 (51d) 및 접속 라인(44)을 통해 전압 한계치로서 비교기(37)의 반전 입력에 제공된다.
디지탈 제어 유닛(41)에 포함된 실행 제어부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저항 체인(57)에서 발생된 기준 전압 중 어느 것이 비교기(37)의 반전 입력에 제공되는지를 결정한다. 즉, 먼저 디지탈 제어 유닛(41)이 접속 라인(45)을 통해 신호를 내부 제어 유닛(47)에 제공하고 내부 제어 유닛(47)은 재차 전송 게이트(51a), (51b), (51c) 또는 (51d) 중 하나를 접속시키며 나머지 전송 게이트를 차단시킴으로써, 소정 전압 한계치가 비교기(37)의 반전 입력에 인가된다.
도 5는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의 상세한 구성을 가진, 도 3과 유사한 회로도이다. 모든 다른 회로 부분은 도 3 및 4의 것과 동일하다.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는 예컨대 직렬 접속된 5개의 D-플립 플롭(60), (61), (62), (63) 및 (64) 및 RS-플립 플롭(65)을 포함한다. 각각의 D-플립 플롭(60)-(64)은 입력(S1) 내지 (S5), 리셋 입력(Reset1) 내지 (Reset5), 클록 입력(C1) 내지 (C5) 및 2개의 상보 출력(Q1) 내지 (Q5) 및 (Qn1) 내지 (Qn5)을 포함한다. RS-플립 플롭(65)은 세트 입력(S6), 리셋 입력(Res) 및 리셋 입력(Reset6)을 포함한다. 각각의 리셋 입력(Reset1) 내지 (Reset6)은 접속 라인(66)을 통해 단자(67)에 접속되며, 일정한 시점에서, 예컨대 접속(파워-온-리셋)시, 리셋 신호가 상기 단자(67)에 제공된다. 각각의 클록 입력(C1) 내지 (C5)은 접속 라인(68)을 통해 발진기 입력(39)에 접속된다.
또한,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는 각각 5개의 입력을 가진 2개의 AND 게이트(69) 및 (70)를 포함한다. AND 게이트(69)의 출력은 접속 라인(71)을 통해 세트 입력(S6)에 접속되고, AND 게이트(70)의 출력은 접속 라인(72)을 통해 RS-플립 플롭(65)의 제 2 리셋 입력(Res)에 접속된다. RS-플립 플롭(65)의 출력(Q6)은 동시에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 및 전체 회로(35)의 출력(43)이다.
비교기(37)의 출력 신호는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 내부에서 논리 "1"(포지티브 신호) 또는 논리 "0"(네거티브 신호)으로서 먼저 D-플립 플롭(60)의 입력(S1)에 제공된다. 발진기 입력(39)의 다음 클록에서는 입력(S1)에 있는 신호가 포지티브 신호인지 또는 네거티브 신호인지에 따라 출력(Q1) 또는 출력(Qn1)에 제공된다: 출력(Q1)에 있는 포지티브 신호는 동시에 D-플립 플롭(61)의 입력(S2) 및 AND 게이트(69)의 입력 중 하나에 제공되고, 출력(Qn1)에 있는 네거티브 신호는 AND 게이트(70)의 입력 중 하나에만 제공된다.
이러한 과정은 후속 접속된 D-플립 플롭(61), (62), (63) 및 (64)에서도 유사하게 반복된다. 전술한 기능은 공지된 시프트 레지스터의 기능에 상응한다. 입력(S1)에 5개의 연속하는 포지티브 신호가 주어지면, 총 5 클록 후에 하나의 포지티브 신호가 총 5개의 입력에 그리고 그에 따라 AND 게이트(69)의 출력에 인가되고 접속라인(71)을 통해 세트 입력(S6)에 제공되며 RS-플립 플롭(65)을 세팅시킨다. 다음 클록에서는 포지티브 신호가 출력(Q6) 및 (43)에 인가된다.
따라서, 5개의 연속하는 클록 동안 하나의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신호가 비교기(37)의 출력에 제공되는 경우에만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신호(논리 "1" 또는 "0")가 신호 출력(43)에 인가되고, 전환 스위칭 과정(콘택 바운싱)시 그리고 다른 규정되지 않은 스위칭 상태에서 포지티브 신호 및 네거티브 신호가 불규칙적인 순서로 비교기(37)의 출력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입력(S1)에 있는 신호가 안정화될 때까지 현재 상태가 지속된다. 그에 따라 신호 출력(43)에 인가된 신호가 5개 미만의 연속하는 클록에서 계속 반대 방향 신호를 얻기 때문에 디바운싱된다.
출력(43)에 있는 포지티브 신호를 리셋시킬 수 있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 방법은 모든 D-플립 플롭(60) 내지 (64) 및 RS-플립 플롭(65)을 리세팅시키는 하나의 신호가 내부 리셋 단자(67)에 제공되는 것이다. 2번째 방법은 5개의 클록 동안 논리 "0"이 입력(S1)에 인가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하나의 포지티브 신호가 총 5개의 입력 및 그에 따라 AND 게이트(70)의 출력에 인가되고, 접속 라인(72)을 통해 RS-플립 플롭(65)의 제 2 리셋 입력(Res)에 제공된다. 따라서, RS-플립 플롭(65)이 리셋되므로, 출력(Q6)에 그리고 그에 따라 신호 출력(43)에 논리"0"이 인가된다(이 경우 출력(Qn6)에 놓인 포지티브 신호는 본 사용 목적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도 3의 회로도(35)를 기초로 도 6a 및 6b가 도시된다. 여기서는 다수의 연속하는 측정 사이클 동안 신호 입력(36)에 인가된 전압이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에서 발생된 상이한 전압 한계치와 비교된다. 도 6a는 적합한 전압(SWO)을 기초로 상이한 전압 한계치(SW1) 내지 (SW4)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며, 도 6b는 디바운싱 후에 2개의 전압의 비교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나타낸다(여기서, 하나의 전압은 측정 저항(R3)(도 1)을 통해 흐르는 전류임).
제 1 측정 사이클은 예컨대 시점(t0)에서 시작된다: 한계치 발생기(40)는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전압(SWO)으로 세팅된다. 우측 또는 좌측으로 정상 점멸시,즉 "방향 지시 점멸"의 작동 방식에서는 시점(t1)에서 한계치 발생기(40)가 제어 유닛(41)에 의해, 처음에 세팅된 전압(SWO)을 기초로 최대 전압 한계치(SW4)를 세팅시킨다. 도 1에 관련해서, 상기 전압 한계치(SW4)에 의해, 점멸 회로에 단락이 생겼는지 그리고 그에 따라 집적 회로(16), 점멸 릴레이(17), 접속 라인 또는 다른 회로 부분을 파괴시킬 수 있는 고전류가 측정 전항(R3)를 통해 흐르는지의 여부가 체크되어야 한다. 최대 전류가 측정 저항(R3)을 통해 흐르는 전압 한계치(SW4)는 "단락 한계치"라고도 한다.
후속하는 시점(t2)에서 (R3)의 전압 강하가 측정되기 시작한다. (t2) 내지 (t3)의 시간 간격 동안 먼저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에서 비교기(37)에 의해 발생된 출력 신호의 디바운스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시간 간격을 디바운스 시간이라 한다. 시점(t3)에서 측정 저항(R3)에서 강하하는 전압 및 그에 따라 (R3)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측정 및 집적 회로(16)에서의 평가가 이루어진다. 시점(t3)에서 측정 저항(R3)에서 측정된 전압이 전압 한계치(SW4)를 초과하면, 이것은 점멸 회로의 단락을 지시한다. 그리고 나서, 점멸 릴레이(17)가 비활성화되고 미리 주어진 시간 후에 (R3)에서 전압 강하가 재차 측정된다. 단락이 생겼으면, 작동 방식 "단락"이 지속된다. 이 경우, 점멸 릴레이(17)는 측정 저항(R3)에서 전압 강하를 측정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된다.
시점(t4)에서, 단락 한계치(SW4) 보다 현저히 낮은 새로운 전압 한계치(SW3)가 세팅된다. 전압 한계치(SW3)는 또다른 점멸등(19)(도 1), 예컨대 트레일러의 점멸등이 점멸 회로에 부가로 접속된(작동 방식 " 트레일러 작동") 것에 대한 인덱스이다. 단락 한계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시점(t5) 내지 (t6)에서 먼저 비교기(37)의 출력 신호가 디바운스되고, 그 다음에 시점(t6)에서 측정 저항(R3)에서 강하하는 전압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앞서 단락 한계치(SW4)를 초과하지 않았던 측정된 전압이 전압 한계치(SW3)를 초과하면, 작동 방식 "트레일러 작동"이 스위치 온된다.
후속 시점(t7)에서, 전압 한계치(SW3) 보다 낮은 전압 한계치(SW2)가 세팅된다. 전압 한계치(SW2)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접속된 점멸등(19)이 작동하고 부가의 점멸등(19)이 점멸 회로에 접속되지 않으며 어떤 점멸등(19)도 고장나지 않은 것에 대한 인덱스이다. 시점(t8)부터 시점(t9)까지 디바운스가 이루어지고, 시점(t9)에서 측정 저항(R3)에서 전압 강하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앞서 단락 한계치(SW4)를 초과하지 않았던 (R3)에서의 전압이 (SW3)와 (SW2) 사이에 놓이면, 정상 작동 방식 "방향 지시 점멸" 또는 "비상 점멸"이 유지된다.
끝으로, 시점(t10)에서 최후의 그리고 가장 낮은 전압 한계치(SW1)가 세팅된다. 상기 전압 한계치(SW1)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점멸등(19)이 고장났기 때문에 점멸 회로에 너무 낮은 전류가 흐른다는 것에 대한 인덱스이다. 디바운스가 시점(t11) 내지 (t12) 사이에 이루어지고, (R3)에서 전압 측정은 시점(t12)에서 이루어진다. 분로(R3)에서의 전압이 (SW2)와 (SW1) 사이에 또는 (SW1) 미만에 놓이면, 하나 또는 다수의 점멸등(19)이 고장이며, 작동 방식 "램프 고장"이 스위치 온된다. 이 경우에는 램프 고장이 점멸 릴레이(17) 또는 점멸 제어 등의 높은 점멸 주파수(도 1)에 의해 음향적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운전자에게 통보된다.
시점(t13)에서 한계치 발생기 회로(40)가 초기에 세팅된 전압(SWO)에 다시 스위칭된 다음, 점멸등(19)이 차단되는 소위 "어두운 시간"이 이어지고, 시점(t14)에서 새로운 측정 사이클이 시작된다. (t2) 와 (t3)사이, (t5) 와 (t6)사이, (t8) 와 (t9)사이의 디바운스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5ms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특히 전자 플래셔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전자 플래셔에서는 측정 저항에서 강하하는 전압이 상이한 전압 한계치와 비교되고, 비교 결과에 의해, 부가로 접속된 점멸등, 점멸 회로에서의 단락 또는 점멸등 고장이 추론된다.
본 발명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전압 강하를 상이한 크기의 기준 전압과 비교할 수 있는 방법 및 회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서는 동일한 회로 부분이 가급적 피해진다.
도 1은 집적 회로를 구비한 플래셔의 회로도.
도 2는 선행 기술에 따른 집적 회로의 일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블록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회로의 일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회로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6a-6b는 상이한 크기의 전압 한계치 및 관련 측정 시점의 (시간적) 관계를 나타낸 도면.*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삭제
10: 플래셔 17: 점멸 릴레이
19: 점멸등 37: 비교기
38: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 40: 한계치 발생기 회로
41: 제어 유닛 45: 접속 라인

Claims (10)

  1. 점멸등(19)이 접속된 점멸 회로에서 입력 신호를 상이한 전압 한계치(SW1, SW2, SW3, SW4)와 비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제어 유닛(41)이 제어신호를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각각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한계치 발생기 회로(40)가 특정 전압 한계치(SW1, SW2, SW3, SW4)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각각의 전압 한계치(SW1, SW2, SW3, SW4)가 비교기(37)에 제공되어 서로 비교되는 단계, 및
    d) 상기 비교 결과가 후속 처리를 위해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에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에 의해, 전압(SWO)를 기초로 상이한 크기의 4개의 전압 한계치(SW1, SW2, SW3, SW4)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제 1의 그리고 가장 높은 전압 한계치, 즉 점멸 회로에 단락이 생겼는지에 대한 인덱스인 단락 한계치(SW4)가 가장 먼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 회로의 단락이 검출되면, 점멸 릴레이(17)가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한계치(SW4)에 따라 상기 단락 한계치(SW4) 보다 낮은 제 2 전압 한계치(SW3)가 발생되며, 상기 제 2 전압 한계치는 부가의 점멸등(19)이 상기 점멸 회로에 접속되는지에 대한 인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 한계치(SW3)에 따라 상기 제 2 전압 한계치(SW3) 보다 낮은 제 3 전압 한계치(SW2)가 발생되며, 상기 제 3 전압 한계치는 접속된 모든 점멸등(19)이 작동하며 부가의 점멸등(19)이 상기 점멸 회로에 부가되지 않고 점멸등(19)이 전혀 고장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한 인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압 한계치(SW2)에 따라 상기 제 4 전압 한계치(SW1)가 발생되며, 상기 제 4 전압 한계치는 점멸등(19)이 하나 이상 고장났다는 것에 대한 인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플래셔(10)에 포함된 제어 유닛(41), 한계치 발생기 회로(40) 및 2개의 입력을 가진 비교기(37)를 포함하며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회로(35)로서,
    a) 상기 제어 유닛(41)은 접속 라인(45)에 의해 상기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에 접속되고,
    b)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비교기(37)의 제 1 입력에 제공되고, 상기 한계치 발생기 회로(40)의 출력 신호는 상기 비교기(37)의 제 2 입력에 제공되며,
    c) 비교기(36)의 출력 신호는 디지탈 디바운싱 회로(38)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0. 삭제
KR10-1999-0052041A 1998-11-24 1999-11-23 전자 플래셔에서 입력 신호와 상이한 전압 한계치를비교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KR100479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4051A DE19854051C2 (de) 1998-11-24 1998-11-24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Vergleich eines Eingangssignals mit unterschiedlichen Spannungsschwellen in einem elektronischen Blinkgeber
DE19854051.5 1998-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167A KR20000062167A (ko) 2000-10-25
KR100479480B1 true KR100479480B1 (ko) 2005-03-31

Family

ID=788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041A KR100479480B1 (ko) 1998-11-24 1999-11-23 전자 플래셔에서 입력 신호와 상이한 전압 한계치를비교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43009B1 (ko)
EP (1) EP1004474B1 (ko)
JP (1) JP2000188190A (ko)
KR (1) KR100479480B1 (ko)
DE (2) DE1985405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9286A1 (en) * 2001-03-14 2005-05-12 Deyoung John W. Flasher for motor vehicles providing distinctive hazard-flash patterns to signal rapid deceleration and other hazards
GB0110836D0 (en) * 2001-05-03 2001-06-27 Armstrong Niel A Selectable flash sequence for a road vehicle light system
JP3979270B2 (ja) * 2002-11-15 2007-09-19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方向指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フラッシャ回路
DE10260796B3 (de) * 2002-12-23 2004-09-02 Daimlerchrysler Ag Steuerschaltung für Signalleuchten eines Fahrzeuges
EP1920975A1 (en) * 2003-03-05 2008-05-14 Yamaha Corporation Vehicle state and operation in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US6943699B2 (en) * 2003-07-23 2005-09-13 Harris Corporation Wireless engine monitoring system
US7123136B2 (en) * 2003-10-06 2006-10-17 Anden Co., Ltd. Indicator system having multiple LEDs
US7199704B2 (en) * 2004-10-15 2007-04-03 Xtreme Engineered Solutions, Inc. Vehicular flasher unit having selectable flasher schemes illuminated with pulse width modulated signals
BRPI0520553A2 (pt) * 2005-09-16 2009-05-12 Volvo Lastvagnar Ab um método e um dispositivo para detecção de lámpadas sinalizadoras em um veìculo
JP4397877B2 (ja) * 2005-10-31 2010-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ハザード保持機能付きウインカ装置
JP5783986B2 (ja) * 2012-10-16 2015-09-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灯火器用電圧制御装置
US8922051B2 (en) * 2013-03-15 2014-12-30 Truck-Lite Co., Llc Current control module for a vehicle
CN104021644B (zh) * 2014-06-13 2015-06-17 山东安益矿用设备有限公司 紫外线火焰传感器防误触发装置及方法
EP3246209A4 (en) * 2015-01-14 2018-09-19 Shindengen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Turn-signal system and turn-signal device
DE102015211255A1 (de) 2015-06-18 2016-12-22 Robert Bosch Gmbh Steuerschaltung und Verfahren zum Qualifizieren eines Fehlers für eine Synchron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832A (en) * 1979-02-13 1980-08-16 Nippon Denso Co Ltd Flasher unit for vehicle
DE3531500A1 (de) * 1984-10-26 1986-05-07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lysestabilen, feinteiligen flammschutzmitteln auf der basis von ammoniumpolyphosphat
JP2542618Y2 (ja) * 1988-08-30 1997-07-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負荷状態検知駆動装置
DE4107415C2 (de) * 1991-03-08 1995-10-12 Telefunken Microelectron Schaltung zur Überwachung von Verbrauchern
DE19506927C2 (de) * 1995-02-28 2001-02-08 Kostal Leopold Gmbh & Co Kg Funktionskontrolleinrichtung von Kraftfahrzeug-Fahrtrichtungsanzeigern
KR0140124B1 (ko) * 1995-07-14 1998-07-15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원 전압 검출회로
EP0882258B1 (en) * 1995-12-29 2000-07-26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set circuit for a battery-powered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resetting such integrated circuit
JPH1059067A (ja) * 1996-08-12 1998-03-03 Yazaki Corp 車輌用灯火システムの断線検出装置
US5805061A (en) 1997-04-08 1998-09-08 Hella Kg Hueck & Co. Electronic flasher unit for vehicle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the operation thereof
US5801623A (en) * 1997-06-30 1998-09-01 Ford Motor Company Method of detecting a lamp outage condition in a vehicle flasher system
US5905439A (en) * 1997-09-02 1999-05-18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parallel loads having a common supply
DE19817335C1 (de) * 1998-04-18 1999-09-09 Temic Semiconductor Gmbh Elektronischer Blinkge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88190A (ja) 2000-07-04
DE19854051A1 (de) 2000-05-31
US6243009B1 (en) 2001-06-05
EP1004474A2 (de) 2000-05-31
KR20000062167A (ko) 2000-10-25
DE19854051C2 (de) 2001-05-23
DE59908364D1 (de) 2004-02-26
EP1004474A3 (de) 2003-01-22
EP1004474B1 (de)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480B1 (ko) 전자 플래셔에서 입력 신호와 상이한 전압 한계치를비교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JP3803816B2 (ja) 電子点滅信号発生器
US6169385B1 (en) Capacity leveling circuit for a battery group
KR100607389B1 (ko) 전자 방향지시기
US5600254A (en) Process and circuit arrangement for measuring the resistance of a resistance sensor
US5309142A (en) Electronic flasher unit
EP1100100B1 (en) A circuit for detecting the state of electrical switches
US6477069B1 (en) Circuit for detecting and inadmissibly high current in an output stage
CN220337444U (zh) 档位电路及车辆
EP4053568A1 (en) Voltage monitoring device
CN220730312U (zh) 一种汽车电压监控系统及电动汽车
SU1018064A1 (ru) Выходной узел тестера дл контрол логических схем
SU8535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ключевых элементов
AU741075B2 (en) Input circuit for relatively high current AC signals to be monitored
KR200331103Y1 (ko) 엘이디 테스터기
JPS6115418A (ja) 電気回路装置
SU1649549A1 (ru) Выходной блок генератора тестов
KR20010023993A (ko) 집적된 전력 증폭기 스테이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SU1732301A1 (ru) Выходной узел тестера
SU651274A1 (ru) Выходной узел тестера дл контрол лог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EP0129398A2 (en)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KR100315696B1 (ko) 아날로그/디지털 회로
JP2614001B2 (ja) 電気配線装置
SU161226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х приборов
RU1788516C (ru) Выходной узел тестера дл контрол цифровых бло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