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375B1 - 평면왕복식주차장치 - Google Patents

평면왕복식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375B1
KR100477375B1 KR1019970007388A KR19970007388A KR100477375B1 KR 100477375 B1 KR100477375 B1 KR 100477375B1 KR 1019970007388 A KR1019970007388 A KR 1019970007388A KR 19970007388 A KR19970007388 A KR 19970007388A KR 100477375 B1 KR100477375 B1 KR 10047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ift
storage
conveyanc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928A (ko
Inventor
료조 모리
Original Assignee
닛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06806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20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728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478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8781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31555B2/ja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입체주차장치의 리프트를 격납실 열의 임의의 1개소에 설치하고, 트레이 이송기구를 선회암과 선회암의 결합부재와 선회암의 선회구동장치와 결합부재의 상하구동장치로 구성하여, 반송대차상에 탑재함과 아울러 각 트레이의 하면 양측에 있어서, 선회암의 결합부재가 결합 및 해제가능한 제1, 제2가이드부재를 한쌍 배치하여 트레이를 격납실 또는 리프트로부터 반송대차에 끌어내고 나서, 트레이를 격납하였던 곳과 같은 열 또는 다른 열의 리프트 또는 격납실로 보내어 제1 또는 제2의 수수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송대차에 설치된 구동장치만으로 반송대차와 각 격납실 및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자유자재로 실시할 수 있고, 주차장치 전체로서 간단한 구조를 실현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반송대차가 왕복주행하는 반송로의 양측을 따라 1열의 복수의 격납실을 갖추고,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긴 평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다층식(多層式)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도1에, 종래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1에 있어서, 2는 반송로이고, 반송로(2)상에 반송대차용의 한 쌍의 레일(5)이 부설되어 있다. 50은 트레이 반송용의 반송대차이고, 해당 반송대차(50)의 양측에는 차륜(51)이 반송로(2)상의 한 쌍의 레일(5)에 대응하는 배열로 각 열 전후로 1개씩, 합계 4개가 있다. 또한, 반송대차(50)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트레이용의 횡행레일이 배치되어 이 횡행레일의 위에 자동차 적재용의 트레이(4)를 싣게 된다. 3은 각각 반송로(2)의 양측을 따라 배열되어 자동차를 받아들이는 격납실로서, 각각 한 쌍의 횡행레일(39)을 갖추고 그 위에 트레이(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자동차의 격납계층(格納階層)과 자동차의 입출고층(入出庫層)과의 사이에는 리프트(6)가 설치되어 격납계층과 입출고층을 연락하고 있다. 60은 반송대차(50)와 리프트(6)와의 사이에서 트레이(4)를 수수하는 구동장치이다.
반송대차(50)에는 트레이 이송장치(80)가 탑재되어 있다. 이 트레이 이송장치(80)는 본건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일본국 특허공고공보7-33734호(No.1995-33734)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이다. 도2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대차(50)에 있어서 그 폭방향의 중심위치에 선회중심이 설정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선단이 격납실(3)측으로 필요한 치수만큼 돌출한 길이를 갖는 선회암(81)과, 선회암(81)의 선단에 윗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된 결합부재(82)와, 선회암(81)을 선회구동시키는 선회구동장치로서 감속기가 붙은 구동모터(83)를 갖추어, 선회암(81)의 선회동작에 의해 결합부재(82)를 트레이(4) 하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부착된 앵글모양의 가이드부재(10)에 결합, 이탈시켜 반송대차(50)와 각 격납실(3)과의 사이에서 트레이(4)를 주고 받는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서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동작상, 한쪽 열의 격납실의 열에서 인입한 트레이를 그 반대측의 열의 격납실로 보내기가 불가능하므로 리프트의 위치를 반송대차의 반송로상에 설정할 필요가 있고, 이것 때문에 자동차의 타고 들어가는 층을 빌딩 등의 일각에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가 없거나, 빌딩측의 타고 들어가는 층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발생시켜 버리는 등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반송대차와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또한 리프트와 그 양측의 각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바꿔싣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여 주차장치 전체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고비용이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서는, 트레이 이송장치가 트레이를 반송대차의 주행방향으로 보낼수 없기 때문에 주차장의 설치 조건에 의해 리프트를 반송로상의 단부(端部)에 설치하는 경우, 반송대차와 리프트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授受)하는 별도의 구동장치를 갖출 필요가 있고, 또한 리프트를 반송로상의 중간부에 설치하는 경우, 반송로 및 한 쌍의 레일이 승강로에 의해 분단되므로 승강로를 경계로 한쪽의 반송로와 다른 쪽의 반송로에 각각 반송대차를 1대씩 합계 2대 갖추고, 각각의 반송대차에 트레이 이송장치를 탑재할 필요가 있고, 더욱이 각 반송대차와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별도의 구동장치를 갖출 필요가 있는 등 주차장치 전체로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고비용이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서는, 반송대차와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직접 트레이를 수수하므로 같은 격납계층에서 연속하여 출고를 하는 경우에, 각각의 출고마다 출고를 종료하고 빈 트레이를 리프트로부터 반송대차에 바꿔실어 격납실로 반송하여 되돌려 넣을 필요가 있어, 이것 때문에 먼저 차의 출고동작중에 다음 출고의 준비운전을 할 수 없어 자동차의 연속출고에 있어서 신속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같은 격납층층에 연속하여 입고(入庫)를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1대의 입고동작중에 다음 입고의 준비운전을 할 수 없어, 자동차의 연속입고에 있어서 신속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제1의 목적은,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리프트를 격납실의 열의 임의의 1개소에 설치하여, 자동차의 타고 들어는 층을 빌딩 등의 일각에 효율적으로 설정하여 빌딩측의 데드 스페이스의 발생을 없애는 등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또한 반송대차에 마련한 구동장치만으로 반송대차와 각 격납실 및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자재로 할 수 있고, 주차장치 전체로서 간단한 구조를 실현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리프트를 반송로상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반송대차가 반송로 전체를 왕복주행하여 반송대차와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별도의 구동장치를 쓰지 않고 트레이의 수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장치 전체로서 간단한 구조를 실현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같은 격납계층에서 자동차의 출고 또는 입고가 연속하여 행하여지는 경우에, 전번의 출고 또는 입고의 운전중에 다음 출고 또는 입고의 준비운전을 하여 자동차의 입출고를 신속히 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점)
본 발명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프트를 격납실 열의 임의의 1개소에 설치하고, 트레이 이송장치를, 반송대차상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선회중심을 설정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선단부가 격납실측에 필요한 치수만큼 돌출한 길이를 갖는 선회암과 선회암의 선단에 설치된 결합부재와 선회암을 선회구동시키는 선회구동장치와 결합부재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켜 결합, 이탈시키는 상하구동장치로 구성함과 동시에, 각 트레이 하면 양측에 결합부재가 결합가능한 가이드부재에 한쌍 배치되어, 각 트레이를 리프트, 반송대차 및 격납실 사이에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리프트를 격납실 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고, 반송대차에 설치한 트레이 이송장치에 의해, 트레이를 격납실 또는 리프트에서 반송대차(1)로 끌어내고 나서 트레이를 격납하는 곳과 같은 열의 리프트 또는 격납실에 보내는 제1트레이 수수동작과, 트레이를 격납하는 곳과 반대측 열의 리프트 또는 격납실에 보내는 제2트레이 수수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타고 들어가는 층을 빌딩 등의 일각에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빌딩 건물측에 데드 스페이스의 발생을 없애는 등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반송대차와 각 격납실 및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자재로 할 수 있고, 주차장치 전체로서 간단한 구조를 실현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는, 또한 리프트를 반송로상의 격납실에 대응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고, 또한 승강로의 네 구석에 설치되어 리프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들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에서 승강로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트레이를 네곳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반송로상의 한 쌍의 레일을 승강부재가 통과하는 부분에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을 승강부재의 통과부로 하여, 리프트의 승강부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함으로써 리프트와 반송대차(1)와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리프트를 반송로상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반송대차가 반송로 전체에 걸쳐 왕복주행하여, 반송대차와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별도의 구동장치를 쓰는 것 없이 트레이의 수수를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차장치 전체로 간단한 구조를 실현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실용적인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는, 리프트의 위치가 반송로의 일단에 배치됨과 아울러 반송대차상에 배치되어 반송대차와 반송로 양측의 각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의 수수를 하는 제1트레이 이송장치와, 리프트 양측의 격납실과 이것에 인접하는 격납실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그 양자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2트레이 이송장치와, 리프트 양측의 격납실에 각각 배치되어 리프트 양측의 격납실과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3트레이 이송장치를 갖추고, 각 계층에 있어서 격납실의 임의의 하나를 트레이가 없는 데드 스페이스로 하여 트레이를 순환이동하도록 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같은 격납계층상에서 연속하여 자동차의 출고 또는 입고를 하는 경우에, 격납실에서 트레이를 반송대차에 옮긴 후, 반송대차에서 한 쪽의 제2, 제3트레이 이송장치를 통하여 리프트에 차례로 보내는 한편, 리프트로부터 반송된 트레이를 다른 한쪽의 제2, 제3트레이 이송장치를 통하여 반송대차에 차례로 보내어 격납실로 되돌려 넣듯이 격납계층상에서 트레이를 순환이동할 수가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전번의 출고 또는 입고의 운전중에 다음 출고 또는 입고의 준비운전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어 자동차의 입출고를 신속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실시예1]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3에 있어서, 1은 자동차 적재용의 트레이(4)를 반송하는 자주식(自走式)의 반송대차이고, 2는 그 반송로이며, 반송대차(1)는 반송로(2)상에 부설된 한 쌍의 레일(5) 위를 왕복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은 반송로(2)의 양측을 따라 1열로 배열된 격납실로서, 각각 트레이(4)가 배치되어 있다. 6은 자동차의 타고 들어가는 층에 연락하는 리프트이고 7은 그 승강로로서, 격납실(3) 열의 임의의 1개소로서(도3에서, 오른쪽) 한쪽 열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주차장치에 있어서는, 반송대차(1)상에 반송대차(1)와 각 격납실(3) 및 리프트(6)와의 사이에서 트레이(4)의 수수를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11)가 탑재되고, 선회암(12)과 선회암(12)의 결합부재(13)와 선회암(12)의 선회구동장치(14)와 결합부재(13)의 상하구동장치(16)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암(12)은 그 선회중심을 반송대차(1)의 폭방향 중앙의 소정위치에 설정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암(12)은 선회동작에 있어서, 그 선단이 격납실(3)측으로 필요한 치수만큼 돌출가능한 길이를 갖고 있다.
선회암(12)의 결합부재(13)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8)와 그 지축(9)으로 구성되고, 지축(9)이 선회암(12)의 선단상면에 삽입구멍(12a)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하구동장치(16)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13)의 롤러(8)는 그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지름을 점차 축소한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체로서는 원추대형(圓錐臺形)이다.
선회암(12)의 선회구동장치(14)는 서버모터로 구성되고,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회전축(15)에 선회암(12)이 부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선회암(12)의 선회동작에 있어서는, 펄프(pulse)신호에 의하여 선회암(12)의 선회정지위치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결합부재(13)의 상하구동장치(16)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니어 헤드 모터(linear head motor) 등의 구동모터(20)와 이 구동모터(20)에 의하여 직선 형상으로 구동되는 구동축(21)을 갖추고, 선회암(12)의 선단에서 결합부재(13)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결합부재(13)의 지축(9)과 구동축(21)이 연결되어 있다. 또 도4에서, 17은 구동모터(20)에 접속된 전원용 코드로서, 선회암(12)을 통하여 선회암(12)의 축지(軸支)측 이면에 돌출하는 집전자(18)에 접속되어 있다. 이 집전자(18)는 선회구동장치(서버모터)(14)에 구비된 급전자(19)를 통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집전자(18)와 급전자(19)와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선회암(12)의 선회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이 결합부재(13)의 상하구동장치(16)는 리니어 헤드 모터(linear head motor) 대신에 전동 실린더(cylinder)나 솔레노이드(solenoid)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하구동장치(16)를, 결합부재(13)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수단 대신에, 선회암(12) 전체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선회구동장치(14)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결합부재(13)의 지축(9)은 고정구조로 한다. 그리고 결합부재(13)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모터(20)나 집전자(18)측에서 전원으로 연결되는 코드(17) 등은 불필요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트레이 이송장치(11)를 반송대차(1)에 탑재하는 한편, 자동차 적재용의 트레이(4)에 있어서, 그 하면 폭방향의 양측 소정위치에 각각 트레이 이송장치(11)의 결합부재(13)가 결합하는 앵글모양의 가이드부재(10)가 쌍으로 부착되어져 있다. 이들 가이드부재(10)의 양단은 각각 종래예인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外側)을 향하여 넓게 펼쳐져 개방단(開放端)으로 되어 있어 선회이동하는 결합부재(13)가 확실히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트레이(4) 하면에 있어서, 반송로(2)측에 가까운 내측의 가이드부재(10)를 제1가이드부재(10a)로, 그 반대편 외측의 가이드부재(10)를 제2가이드부재(10b)로 칭하여 구별한다.
다음에 이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도3~도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에 있어서, 우선 도3에서 우측의 끝(도3의 위쪽)에 위치하는 격납실(3)상(上)의 트레이(4)를 끌어내고 그 트레이(4)를 끌어낸 격납실(3)과 같은 열에 있는 리프트(6)에 싣기까지의 일련의 트레이 수수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트레이(4)를 격납하였던 곳과 같은 사이드에 보내는 일련의 동작을 제1트레이 수수동작이라고 한다. 이 경우의 동작에서는, 반송대차(1)를 반송로(2)상의 우측 끝의 격납실(3) 앞에 이동시키고 나서, 선회암(12)을 해당 격납실(3)을 향하여(도3에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결합부재(13)를 트레이(4) 하면의 제1가이드부재(10a)에 결합시킨다. 계속해서 결합부재(13)가 그 제1가이드부재(10a)를 따라 이동하면서 선회암(12)의 선회와 동시에 트레이(4)를 선회암(12)의 선회방향으로 끌어내어 반송대차(1)상에 인입한다. 트레이(4)가 반송대차(1)상으로 완전히 옮겨지면, 도시되지 않은 트레이 록장치에 의해 트레이(4)가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부재(13)와 제1가이드부재(10a)를 결합시킨 채로 반송대차(1)는 리프트(6)의 앞까지 주행이동한다. 반송대차(1)는 그 주행이동후, 선회암(12)을 되돌리는 방향으로(도3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선회하여 트레이(4)를 리프트(6)를 향하여 보내어 리프트(6)상에 바꿔싣는다. 또 반대로 리프트(6)로부터 반송대차(1)에 트레이(4)를 바꿔실어 리프트(6)와 같은 측 열에 배치된 임의의 격납실(3)로 옮기는 일련의 동작도 또한 상기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과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또한 리프트(6) 대신에 같은 열의 격납실(3) 사이에서 트레이(4)를 수수하는 경우도 상기 제1트레이 수수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도3에서, 좌측의 끝에 위치하는 격납실(3)상의 트레이(4)를 끌어내어 그 트레이(4)를 끌어낸 격납실(3)과는 반대열에 있는 리프트(6)에 싣기까지의 일련의 트레이 수수동작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트레이(4)를 격납하었던 곳과는 반대의 사이드에 보내는 일련의 동작을 제2트레이 수수동작이라고 한다
도3에 있어서, 우선 반송대차(1)가 자주(自走)에 의해 반송로(2) 위를 이동하고 끝쪽(도3에서 위쪽)에서 정지된다. 다음에 반송대차(1)의 트레이 이송장치(11)에 있어서, 선회구동장치(서버모터)(14)의 작동에 의하여 그 회전축(15)이 회전하여 선회암(12)이 반송로(2)와 평행한 초기정지위치에서 좌측의 격납실(3)을 향하여(도3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선회하여 간다. 선회암(12)의 선단이 그 격납실(3) 내에 들어가 선회암(12) 전체가 격납실(3)의 배열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위치까지 선회되면 결합부재(13)가 그 격납실(3)상의 트레이(4) 하면 제1가이드부재(10a)의 일단(一端)에 들어간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재(13)가 제1가이드부재(10a)를 따라 이동하고, 선회암(12)의 선회와 동시에 트레이(4)를 선회암(12)의 선회방향으로 끌어내어 반송대차(1)상에 인입하여 간다. 선회암(12)이 트레이(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까지 선회한 곳에서 결합부재(13)는 트레이(4)의 제1가이드부재(10a)의 종단 가까이 도달하고, 거기에서 선회암(12)의 선회에 따라 결합부재(13)가 제1가이드부재(10a)상을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선회암(12)은 트레이(4)가 반송대차(1)상으로 완전히 바뀌어 옮겨지는 위치까지 선회하며 정지된다. 그리고 트레이(4)는 트레이 록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록되어, 그 상태가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트레이(4)가 반송대차(1)상에 실리면, 도6(a)~도6(d)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번은 반송대차(1)가 자주에 의해 반송로(2)상을 리프트(6)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6(a)는 상기 트레이를 끌어내는 조작에 의하여 좌측 격납실(3)의 트레이(4) 중 하나가 반송대차(1상에 끌어내려져 록되어 반송대차(1)가 이동개시하고자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반송대차(1)의 이동중, 트레이 이송장치(11)에 있어서, 결합부재(13)의 상하구동장치(16)가 작동을 시작한다. 즉, 구동모터(20)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축(21)이 밑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축(21)에 연결된 결합부재(13)의 지축(9)이 선회암(12)의 하면 측으로 하강하여 간다. 이 지축(9)의 하강에 의해 롤러(8)가 밑방향으로 선회암(12)의 상면에 접지하는 위치(도4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내려가 제1가이드부재(10a)와의 결합이 풀리고, 이 롤러(8)가 제1가이드부재(10a)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구동모터(20)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렇게 하여 결합부재(13)와 트레이(4)와의 결합이 풀리면, 이번은 도6(b)와 같이 서버모터(14)의 작동에 의하여 선회암(12)이 트레이 인입시와는 반대 방향(도3에서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향하여 선회구동된다. 그리고 선회암(12)은, 도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8)가 이미 한쪽의 가이드부재인 제2가이드부재(10b)와 일치하는 곳에서 선회가 정지된다. 그리고 다시 상하구동장치(16)의 구동모터(20)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축(21)을 윗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부재(13)의 지축(9) 및 롤러(8)를 선회암(12)의 상면보다도 윗쪽으로 상승시켜(도4에서 실선으로 나타냄) 롤러(8)를 제2가이드부재(10b)에 아래쪽부터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 때, 롤러(8)가 원추대형, 즉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점차 축소하는 테이퍼형이므로, 선회암(12)의 정지위치와 제2가이드부재(10b) 직하(直下)위치와의 다소의 어긋남이 생기더라도, 결합부재(13)와 제2가이드부재(10b)와의 스무스한 결합을 얻을 수 있다 결합부재(13)와 제2가이드부재(10b)가 결합하여 버리면, 도6(d)와 같이 반송로(2)상을 주행하고 있는 반송대차(1)가 리프트(6)에 도달할 때까지 그 상태가 유지된다.
반송대차(1)의 이동중에 이와 같이 결합부재(13)가 제1가이드부재(10a)에서 제2가이드부재(10b)로 결합이 바뀌어지고 반송대차(1)가 리프트(6) 앞에 도달했을 때 주행이 정지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트레이(4)의 록이 풀린다. 이어서 트레이 이송장치(11)에 있어서, 선회구동장치(서버모터)(14)의 작동에 의하여 선회암(12)이 리프트(6) 방향(도3에서 시계회전방향)을 향하여 선회하고 선회암(12)의 선회와 동시에 결합부재(13)가 제2가이드부재(10b)를 따라 이동하고 선회암(12)의 선회방향을 향하여 트레이(4)를 보내어 반송대차(1)에서 리프트(6)에 보내어 간다. 선회암(12이 트레이(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까지 선회한 곳에서 결합부재(13)는 제2가이드부재(10b)의 종단 가까이 도달하고, 트레이(4)는 해당 트레이(4)의 폭치수 약 반길이 만큼 반송대차(1)에서 리프트(6)에 보내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거기에서 선회암(12)의 선회에 따라 결합부재(13)가 제2가이드부재(10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암(12)이 트레이(4)를 보내어 가고, 선회암(12)이 소정의 선회각도까지 선회한 곳에서 트레이(4)가 리프트(6)상에 완전히 바뀌어 옮겨진다. 동시에 결합부재(13)가 트레이(4의 제2가이드부재(10b)로부터 떨어져 선회암(12)은 반송대차(1)상의 초기의 정지위치까지 선회하고 정지된다. 또한, 도3에서 좌측의 열에서 우측의 열로 이동된 트레이(4)는 제1 및 제2가이드부재(10a, 10b)의 관계가 역으로 된다. 즉 트레이(4)를 바꿔 옮긴 후에 있어서는, 반송로(2)에 가까운 내측의 쪽이 제1가이드부재(10a)가 되고, 그 반대인 외측의 쪽이 제2가이드부재(10b)가 되어 이동전의 상태와는 역으로 된다.
또 도8에서는, 좌측 열의 끝에 위치하는 격납실(3)에서 우측열 앞의 격납실(3)로 트레이(4)를 바꾸어 옮기는 동작예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의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도 또한 장치 각 부(部)가 상기와 같은 트레이 수수동작을 한다.
또한 반대로 도3의 구성에 있어서, 리프트(6)로부터 반송대차(1)에 트레이(4)를 바꿔실어 리프트(6)와 다른 열의 격납실(3)로 옮기는 일련의 동작이나, 리프트(6) 대신에 다른 열의 격납실(3) 사이에서 트레이(4)를 수수하는 일련의 동작도 또한 같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트(6)를 격납실(3) 열의 임의의 1개소에 설치하고 반송로(12) 위를 왕복주행하는 반송대차(1)에 트레이 이송장치(11)를 구성하여, 그 결합부재(13)와 제1가이드부재(10a)를 결합시키는 선회암(12)의 선회에 의하여 트레이(4)를 격납실(3) 또는 리프트(6)에서 반송대차(1)로 끌어낸다 그리고 나서, 결합부재(13)와 제1가이드부재(10a)가 결합한 채로 선회암(12)을 트레이(4)를 격납하였던 곳과 같은 열의 리프트(6) 또는 격납실(3)을 향하여 선회함으로써 트레이(4를 격납하였던 곳과 같은 열의 리프트(6) 또는 격납실(3)로 보내는 제1트레이 수수동작과, 결합부재(13)를 제1가이드부재(10a)에서 제2가이드부제(10b)로 결합을 바꾸어 선회암(12)이 트레이(4)를 끌어낸 측과는 반대측 열의 리프트(6) 또는 격납실(3)을 향하여 선회함으로써 트레이(4를 격납하였던 곳과 반대측 열의 리프트(6) 또는 격납실(3)로 보내는 제2트레이 수수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반송대차(1)에 설치된 트레이 이송장치(11)만으로 같은 열의 격납실(3) 사이에서의 트레이(4)의 출납이나 다른 열의 격납실(3) 사이에서의 트레이(4)의 출납 또한 리프트(6)로의 이송 등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주차장치 전체로서 자동차의 보다 신속하고 원활한 입출고(入出庫)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구성에 의하면, 리프트(6)의 위치를 격납실(3) 열의 임의의 개소에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자동차의 타고 들어가는 층을 빌딩 등의 일각(一角)에 효율적으로 설정하여 빌딩측의 유효공간을 확보하는 등 주차장치 전체를 설치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리프트(6)와 반송대차(1)와의 사이에서 트레이(4)를 바꾸어 옮기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주차장치 전체로서 간단한 구조를 실현하고 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2]
도9~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다층식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9는 이 주차장치의 각 격납계층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 도10은 도9에서의 반송대차, 승강로 및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11은 승강로 및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격납실측에서 본 측면도, 도12는 승강로 및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승강로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9~도12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있다. 즉 도9에 있어서, 2는 반송로이고, 1은 이 반송로(2)상을 왕복주행하는 자주식의 반송대차이다. 25는 반송대차(1)에 탑재하는 트레이 이송장치이다. 3은 반송로(2) 양측을 따라 1열로 배열된 격납실로서 각각 자동차 적재용 트레이(4)가 배치되어 있다. 7은 반송로(2)상의 중간부, 격납실(3)에 대응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정되어 자동차의 입출고층(E)(도11, 도12를 참조)과 각 격납계층을 연락하는 승강로이고, 6은 승강로(7)에 설치된 리프트이다.
반송로(2)의 양측을 따라 반송대차용의 한 쌍의 레일(5)이 부설되어 있다. 한 쌍의 레일(5)은 승강로(7)에서 분할되고, 승강로(7)를 경계로 한쪽의 반송로(2A)와 다른 한쪽의 반송로(2B)에 각각 배치된 각 한 쌍의 레일부(5a, 5b)와 승강로(7)상에 배치된 레일부(5c)로 구성되며 승강로(7)를 경계로 일방 및 타방의 각 레일부(5a, 5b)와 승강로(7)상의 레일부(5c)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어 통과부(30)가 형성되어 승강하는 리프트(6)가 레일(5) 설치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송대차(1)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를 구성하는 대차프레임(22)과 이 대차프레임(22)의 길이방향 양측에 폭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된 트레이(4)용 한 쌍의 횡행레일(23)을 갖추고 대차프레임(22)의 폭방향 양측에 차륜(車輪)(24)이 반송로(2)상의 한 쌍의 레일(5)에 대응하는 배열로 각 열 앞뒤에 각각 2개씩 축지(軸支)되어 반송대차(1) 전체로서 한 쪽 4개씩, 합계 8개의 차륜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송대차(1)에 탑재하는 트레이 이송장치(25)로서, 종래예에 나타내는 트레이 이송장치(80)와 같은 장치를 쓰고 있다. 여기서는 장치 각 부에 종래예와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각 트레이(4)에 있어서도, 그 하면에 트레이 이송장치(25)의 결합부재(82)가 결합하는 앵글모양의 가이드부재(1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 이송장치로서 상기 제1실시예의 트레이 이송장치(11)와 같은 타입의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9에 있어서, 리프트(6)는, 승강로(7)의 네 구석 즉 코너(corner)부에 설치된 합계 4개의 가이드 레일(26)과 승강로(7)에 있어서 반송대차(1) 전후에 대응하는 양측에 반송로(2)의 폭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26)에 안내되어 승강가능한 한 쌍의 승강부재(27)와, 이들 승강부재(27)의 양단에 승강로(7)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트레이(4)를 네곳에서 지지가능한 지지부재(28)와, 한 쌍의 승강부재(27)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장치(29)(도13, 도14를 참조)를 갖추고 있다. 이들 각 부에 관하여 도11, 도12를 병용하며 설명한다.
4개의 가이드 레일(26)은 각각 단면이 H자형 또는 ㄷ자형의 기둥형상의 부재(部材)로 이루어지며, 그 개방면을 반송로(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향하여 한 쌍의 레일(5) 외측에 설치되어져 있다.
한 쌍의 승강부재(27) 각각은, 승강로(7)의 폭방향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각 가이드 레일(26) 사이의 한 쌍의 레일(5)에 대하여 그 통과부(30)를 통하여 횡단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그 양단이 각 가이드 레일(26)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31)를 통하여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승강간(3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부재(28)는 각각 한 쌍의 레일(5)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지고, 그 선단에서 윗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결합돌기(33)를 갖고 있다.
승강구동장치(29)는 감속기가 달린 구동모터(34), 스프로켓(35), 카운터 웨이트(36), 구동체인(37) 등으로 이루어지고, 구동체인(37)을 승강간(32)에 연결하고 각 승강간(32)을 승강구동해서 한 쌍의 승강부재(27)를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리프트(6)의 구성에 따라, 도11,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4) 하면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지지부재(28)의 결합돌기(33)와 결합 가능한 결합오목부(38)를 갖추고 있다.
또한 도9에서, 각 격납실(3)에 반송대차(1)의 횡행레일(23)에 대응하는 한 쌍의 횡행레일(39)이 배치되어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레이(4)가 롤러(40)를 통하여 횡행레일(39) 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도9 및 도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서 이용되는 도13은 리프트(6)와 반송대차(1)와의 트레이(4) 수수동작의 일부를 나타낸다.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에 있어서, 우선 승강로(7)의 양측에 인접하는 격납실(3) 이외의 다른 격납실(3)(여기서는 지정처의 격납실(3)이라 함)에서 트레이(4)를 끌어내어 리프트(6)에 싣기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에 있어서, 우선 반송대차(1)가 반송로(2)의 한 쌍의 레일(5) 위를 지정처의 격납실(3) 앞까지 이동한다. 계속해서, 지정처의 격납실(3) 앞에서 트레이 이송장치(25)가 작동되어 선회암(81)의 선회에 의하여 트레이(4)가 반송대차(1)상으로 끌어내려진다. 트레이(4)가 반송대차(1)상에 완전히 옮겨지면, 도시되지 않은 트레이 록장치에 의해 트레이(4)가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부재(82)와 가이드부재(10)를 결합시킨 채로 반송대차(1)가 반송로(2)상을 승강로(7)를 향하여 주행한다.
반송대차(1)가 승강로(7)상에 들어서면, 우선 반송대차(1) 양측 맨 앞의 각 차륜(24)이 레일부(5a 또는 5b)와 레일부(5c) 사이의 통과부(30상에 당도하고, 반송대차(1)가 그 후방에 계속되는 양측 각 열 3개, 합계 6개의 차륜(24)군(群)에 의하여 한 쌍의 레일(5) 위를 주행하여 맨 앞의 각 차륜(24)이 각 통과부(30)에 빠지는 일 없이 그 위를 통과하여 간다. 계속해서 통과부(30)에 당도한 각 차륜(24)이 마찬가지로 다른 차륜(24)군에 의해 한 쌍의 레일(5) 위를 주행함으로써 각 통과부(30)상을 통과하여 가고 반송대차(1)는 양측의 전 차륜(24)이 반송로(7)상의 분할된 레일부(5c) 위로 완전히 이동하였을 때 정지된다 여기서 도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로(7)상을 반송대차(1)의 하방으로부터 리프트(6)가 상승한다. 즉 한 쌍의 승강부재(27)가 승강로(7)를 따라 상승하고 각각 그 지지부재(28)가 반송대차(1)상의 트레이(4)의 하면에 닿으면 동시에 양측의 결합돌기(33)와 결합오목부(38)가 결합하여 트레이(4)를 안정된 상태로 확실히 지지하면서 반송대차(1)로부터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또한 이 트레이(4)의 상승에 의하여, 트레이 이송장치(25)의 결합부재(82)가 트레이(4) 하면의 가이드부재(10)로부터 떨어져 그 결합이 풀린다. 그리고 리프트(6)가 승강로(7)상을 자동차의 입출고층(E)까지 상승하여 자동차의 입출고를 한다.
승강로(7)의 양측의 격납실(3)에서 리프트(6)로 트레이(4)를 바꿔 싣는 경우는, 우선 승강로(7)상으로 반송대차(1)가 이동되어, 그 트레이 이송장치(25)에 의해 트레이(4)가 그 격납실(3)로부터 반송대차(1)상으로 끌어내려지고, 이어서 리프트(6)가 반송대차(1)의 아래 쪽에서 상승하여 반송대차(1)에서 트레이(4)가 리프트(6)로 옮겨진다.
다음에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에 있어서, 리프트(6)에서 반송대차(1)로 트레이(4)를 바꿔 실어 격납실(3)(여기서는 지정처의 격납실(3)이라 함)에 이송하기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에 있어서, 우선 승강로(7)를 트레이(4)를 실은 리프트(6)가 격납계층까지 상승 또는 하강하고, 격납계층의 레벨보다도 높은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어서, 반송대차(1)가 한 쌍의 레일(5) 위를 통과부(30)를 통과하여 승강로(7) 위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로(7)상을 반송대차(1)의 상방으로부터 리프트(6)가 하강한다. 즉, 한 쌍의 승강부재(27)가 승강로(7)를 하강하여, 각각의 지지부재(28) 위에 지지, 결합된 트레이(4)가 반송대차(1)상에 끌어내려짐과 동시에 트레이(4) 하면의 가이드부재(10)에 그 하방으로부터 결합부재(82)가 삽입하여,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각 승강부재(27)가 반송대차(1)의 양측을 통과하여 각 지지부재(28)가 트레이(4)로부터 떨어지고, 리프트(6)는 반송대차(1)의 하방으로 내려간다.
계속해서 반송대차(1)가 반송로(2)의 한 쌍의 레일(5) 위를 지정처의 격납실(3) 앞까지 이동한다. 해당 격납실(3)의 앞에서 트레이 이송장치(25)의 작동에 의하여 선회암(81)이 지정처의 격납실(3) 방향을 향하여 선회하여, 반송대차(1)에서 격납실(3)로 보내어 한 쌍의 횡행레일(39위에 싣는다.
또 리프트(6)에서 승강로(7) 양측의 격납실(3)로 트레이(4)를 바꾸어 싣는 경우는, 트레이(4)가 리프트(6)에서 반송대차(1)상으로 옮겨진 후 계속해서 트레이 이송장치(25)에 의하여 트레이(4)가 반송대차(1)에서 그 격납실(3)로 옮겨진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로(7)를 반송로(2)의 격납실(3)에 대응하는 임의의 중간위치에 설치하더라도, 리프트(6)는, 승강로(7의 네 구석 즉 각 코너부에 설치된 합계 4개의 가이드 레일(26)과, 승강로(7)에 있어서 반송대차(1) 전후로 대응하는 양측에 반송로(2)의 폭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26)에 안내되어 승강가능한 한 쌍의 승강부재(27)와, 이들 승강부재(27)의 양단에 승강로(7)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트레이(4)를 네곳에서 지지가능한 지지부재(28)와, 한 쌍의 승강부재(27)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장치(29)로 구성된다. 한편, 반송로(2)의 한 쌍의 레일(5)을 한 쌍의 승강부재(27)가 통과하는 부분에서 분할하여 거기에 통과부(30)를 설치하고, 이 한 쌍의 레일(5) 위에서 반송대차(1)를 한쪽 각 열, 전후 합쳐서 4개 즉 양측 합계 8개의 차륜(24)에 의하여 주행시키도록 한다. 그러므로 반송대차(1)가 반송로(2) 전체에 걸쳐 승강로(7)상을 통과함으로써 왕복주행하여, 반송대차(1)와 리프트(6)와의 사이에서 별도의 구동장치를 사용하는 것 없이 트레이(4) 수수를 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6)의 각 지지부재(28)에 결합돌기(33)를 설치하여 트레이(4) 하면의 각 결합오목부(38)에 결합시키도록 했으므로 트레이(4)를 리프트(6)상에 탈락시키는 일 없이 확실히 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반송로(2)의 중간부에 승강로(7)를 설치하더라도, 반송대차(1및 트레이 이송장치(25)를 2대씩 배치하거나 반송대차(1)와 리프트(6)와의 사이에 전용의 트레이 이송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주차장치 전체로서 간단한 구조를 실현하여 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프트(6)의 승강로(7)를 반송로(2)상에 있어서 그 중간부에 설치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그 단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반송대차(1)와 리프트(6)와의 사이에서 직접 트레이(4) 수수를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주차장치 전체로서 간단한 구조를 실현하여 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3]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 이 주차장치는 복수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입출고층을 제외하고 각 계층에 각각 도14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도14에 있어서, 2는 가늘고 긴 평면에서 그 짧은 폭방향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된 반송로이고, 반송로(2)상에 한 쌍의 레일(5)이 부설되어 있다.
또한 이 레일(5)에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대차용(搬送臺車用)의 급전부가 배치되어 있다. 1은 자동차 적재용의 트레이(4)를 반송하는 자주식 반송대차로서, 반송로(2)의 한 쌍의 레일(5) 위에 배치되고 반송대차(1)에 배치된 집전부(集電部)(도시하지 않음)와 레일(5)의 급전부와의 접속에 의하여 급전되어, 한 쌍의 레일(5) 위를 왕복주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3은 반송로(2)의 양측을 따라 1열씩 배열된 격납실로서, 각각 한 쌍의 횡행레일(39)을 갖추어 도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행레일(39)의 위에 트레이(4)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로(2의 우측 사이드를 R 사이드, 좌측 사이드를 L 사이드로 칭하여 구별한다. 또한 각 트레이(4)에는 그 하면의 폭방향 양측 소정의 위치에 각각 후술하는 각 트레이 이송장치(11, 46R, 46L)의 각 결합부재(13, 48)가 결합하는 앵글모양의 가이드부재(10)가 쌍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부재(10)의 양단은 각각 종래예인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하여 넓게 펼쳐져 개방단이 되어있어 선회이동하는 각 결합부재(13, 48)가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트레이(4) 하면에 있어서, 반송로(2)측 근방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10)를 제1가이드부재(10a)로,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10)를 제2가이드부재(10b)로 칭하여 구별한다. 6은 각 격납계층과 자동차의 입출고층을 연락하는 리프트이고, 7은 그 승강로로서 반송로(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리프트(6) 양측의 격납실(3)은 각각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로서 설정되고 또한 이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에 인접하는 격납실(3)이 각각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주차장치에서는, R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을 각각 차량출고용의 격납실로서 사용하고, L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L)을 각각 차량입고용의 격납실로서 사용하고 있다.
반송대차(1)에는, 반송대차(1)와 R, L 각 사이드의 각 격납실(3)과의 사이에서 트레이(4)를 수수하는 제1트레이 이송장치(11)가 탑재되어 있다 이 제1트레이 이송장치(11)는, 선회암(12)과 선회암(12) 선단의 결합부재(13)와 선회암의 선회구동장치(서버모터)(14)와 결합부재(13)의 상하구동장치(16)로 구성되어 있다. 또 41은 트레이 록장치로서 반송대차(1)에 실은 트레이(4)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트레이 이송장치(11)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트레이 이송장치와 같은 타입이 사용되므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도4~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선회암(12)은, 그 선회중심이 반송대차(1)의 폭방향 중앙의 소정위치에 설정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회암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암(12)은 선회동작에 있어서, 그 선단이 각 격납실(3)측으로 필요한 치수만큼 돌출한 길이를 갖고 있다.
선회암(12) 선단의 결합부재(13)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8와 그 지축(9)으로 구성되고, 지축(9)이 선회암(12)의 선단상면에 삽입구멍(12a)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하구동장치(16)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13)의 롤러(8)는 그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지름을 점차 축소한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전체로서는 원추대형이다.
선회암(12)의 선회구동장치(14)는 직결형(直結型) 서버모터로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회전축(15)에 선회암(12)이 부착되어져 선회암(12의 선회동작에 있어서 펄스(pulse)신호에 의하여 선회암(12)의 선회정지 위치가 제어되도록 되어있다.
결합부재(13)의 상하구동장치(16)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니어 헤드 모터(linear head motor) 등의 구동모터(20)와 이 구동모터(2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21)을 갖추고, 선회암(12)의 선단에서 결합부재(13)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결합부재(13)의 지축(9)과 구동축(21)이 연결되어 있다. 또 도4에서, 17은 구동모터(20)에 접속된 전원용 코드로서, 선회암(12)을 따라 선회암(12)의 축지(軸支)측 이면부에서 집전자(18)에 접속되어 있다.이 집전자(18)는 선회구동장치의 직결형 서버모터(14)의 상부에 구비된 급전자(19)를 통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집전자(18)와 급전자(19)와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선회암(12)의 선회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결합부재(13)의 상하구동장치(16)는 또 리니어 헤드 모터(linear head motor) 대신에, 전동 실린더(cylinder)나 솔레노이드(solenoid)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하구동장치(16)를, 결합부재(13)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수단대신에, 선회암(12) 전체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 도4에서 상상선(想像線)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선회구동장치(14)측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결합부재(13)의 지축(9)은 고정구조로 한다. 그리고 결합부재(13)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모터(20)나 집전자(18)측에서 전원으로 연결되는 코드(17) 등은 불필요하게 된다.
각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과 각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과의 사이에는 각각 그 양자 사이에서 트레이(4)를 수수하는 제2트레이 이송장치(42R, 42L)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트레이 이송장치(42R, 42L)는, 도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각 격납실(3aR, 3bR, 3aL, 3bL)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체인 콘베어(43)와 체인 콘베어(43) 위에 배치된 각 트레이(4)를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이 지지프레임(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45는 체인 콘베어(43)의 주위이동을 안내하여 그 풀림을 방지하는 체인 가이드(chain guide)이다.
각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 각각에, 각각 리프트(6)와 각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과의 사이에서 트레이(4)를 수수하는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 46L)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R 사이드의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는 출고용이고, L 사이드의 제3트레이 이송장치(46L)는 입고용이다. 이들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 46L)에는 도2의 종래예로서 나타낸 트레이 이송장치와 같은 타입의 장치가 사용되어, 선회암(47)과 선회암(47) 선단의 결합부재(48)와 선회암(47)의 선회구동장치(49)를 갖추고 있다. 즉 선회암(47)은, 그 선회중심이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의 폭방향 중앙의 소정위치에 설정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암(47)은 선회동작에 있어서, 그 선단이 승강로(7) 안쪽에 필요한 치수만큼 들출하는 길이를 갖고 있다. 선회암(47)의 결합부재(48)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추대형의 롤러와 그 지축으로 구성되고,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와 달리 지축이 선회암(47)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선회암(47)의 선회구동장치(49)에 있어서는 감속기가 달린 구동모터를 쓰고 있다.
이 주차장치의 운용상 각 계층에 있어서, 각 트레이 이송장치(11, 42R, 42L, 46R, 46L)의 동작에서 반송로(2)의 R, L 양 사이드의 각 격납실(3)중, 적어도 그 하나에 트레이 없는 데드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다음에 이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제1, 제2, 제3 트레이 이송장치(11, 42R, 42L, 46R, 46L)의 기본동작에 대하여 주로 도14를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도4~도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트레이 이송장치(11)는, 반송로(2)상에 있어서, R 사이드 또는 L 사이드의 각 격납실(3)에서 트레이(4)를 반송대차(1)상으로 끌어내고 나서, 트레이(4)를 격납하였던 곳과 같은 열의 격납실(3)로 보내는 제1트레이 수수동작과, 트레이(4)를 격납하였던 곳과 반대측 열의 격납실(3)로 보내는 제2트레이 수수동작을 취할 수 있다. 즉, 우선 선회구동장치(서버모터)(14)의 작동에 의하여 그 회전축(15)이 회전하여 선회암(12이 반송로(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초기 정지위치에서 R 사이드 또는 L 사이드의 격납실(3)를 향하여 선회하여 간다. 선회암(12)의 선단이 그 격납실(3)내에 들어가 선회암(12) 전체가 격납실(3)의 배열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위치까지 선회되면, 결합부재(13)가 그 격납실(3)상의 트레이(4) 하면 제1가이드부재(10a)의 일단에 들어간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재(13)가 그 제1가이드부재(10a)를 따라 이동하고 선회암(12)의 선회운동에 따라 트레이(4)를 선회암(12)의 선회방향으로 끌어내어 반송대차(1)상으로 인입하여 간다. 선회암(12)이 트레이(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까지 선회한 곳에서 결합부재(13)는 트레이(4)의 제1가이드부재(10a)의 종단 가까이 도달하고, 거기에서 선회암(12의 선회에 따라 결합부재(13)가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제1가이드부재(10a)상을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선회암(12)이 소정의 선회각도까지 이동한 곳에서 정지되어 트레이(4)가 반송대차(1)상으로 완전히 바뀌어 옮겨진다. 또 트레이(4)는 트레이 록장치(41)에 의해 록되어 이 상태가 고정된다. 그리고 트레이(4) 반송처에서 다음과 같은 트레이 반송동작이 실시된다.
반송처가 트레이(4)를 격납하었던 곳과 같은 사이드일 경우, 선회암(12)을 되돌리는 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트레이(4)를 보내어 반송처의 격납실(3)상으로 옮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이 트레이(4)를 격납하였던 곳과 같은 사이드에 보내는 일련의 동작을 제1트레이 수수동작이라고 한다.
반송처가 트레이(4)를 격납하였던 곳과 다른 사이드일 경우, 트레이(4)를 상기와 같이 하여 반송대차(1)상에 실은 후,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에 있어서 결합부재(13)의 상하구동장치(16)가 작동을 시작한다. 즉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20)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축(21)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구동축(21)에 연결된 결합부재(13)의 지축(9)이 선회암(12)의 하면측으로 하강하여 간다. 이 지축(9)의 하강에 의하여 롤러(8)가 하방으로 선회암(12)의 상면위치까지 내려가 제1가이드부재(10a)와의 결합이 풀리고 구동모터(20)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렇게 하여 결합부재(13)와 트레이(4)와의 결합이 풀리면, 이번은 선회구동장치(서버모터)(14)의 작동에 의해 선회암(12)이 트레이(4)를 끌어내었을 때와는 반대방향을 향하여 선회되고, 롤러(8)와 타방의 제2가이드부재(10b)가 일치하는 곳에서 선회가 정지된다. 그리고 다시 상하구동장치(16)의 구동모터(20)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축(21)을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부재(13의 지축(9)을 선회암(12)의 상면상으로 상승시키고, 롤러(8)를 제2가이드부재(10b)에 아래쪽부터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 때 롤러(8)가 원추대형, 즉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점차 축소하는 테이퍼형이므로 선회암(12)의 정지위치와 제2가이드부재(10b) 직하의 위치에 다소의 어긋남이 생기더라도, 결합부재(13)와 제2가이드부재(10b)와의 스무스한 결합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13)가 제1가이드부재(10a)에서 제2가이드부재(10b로 결합을 바꾸게 되면 계속해서 트레이(4)의 록이 풀리고,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에 있어서, 선회구동장치(서버모터)(14)의 작동에 의해 선회암(12)이 반송처인 격납실(3)을 향하여 선회한다. 그리고 선회암(12)의 선회와 동시에 결합부재(13)가 제2가이드부재(10b)를 따라 이동하면서 선회암(12)의 선회방향을 향하여 트레이(4)를 보내고, 반송대차(1)에서 격납실(3)을 향하여 보내어진다. 선회암(12)이 트레이(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까지 선회한 곳에서 결합부재(13)는 제2가이드부재(10b)의 종단 가까이 도달하고, 거기에서 선회암(12)의 선회에 따라 결합부재(13)가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제2가이드부제(10b)상을 이동한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암(12)이 트레이(4)를 보내어 선회암(12)이 소정의 선회각도까지 선회한 곳에서, 트레이(4)가 격납실(3)상으로 완전히 바뀌어 옮겨진다. 동시에 결합부재(13)가 트레이(4)의 제2가이드부재(10b로부터 떨어져 선회암(12)은 반송대차(1)상의 초기의 정지위치까지 선회하며 정지된다.
제2트레이 이송장치(42R, 42L)는 각각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과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과의 사이에서 트레이(4)의 세로 이송 동작을 취할 수 있다. R 사이드의 제2트레이 이송장치(42R)에서는, 주로 출고용으로서 R 사이드에 있어서 그 체인 콘베어(43)의 순환운전에 의하여 트레이 지지프레임(44)이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에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을 향하여 회전하여, 트레이 지지프레임(44) 위에 실은 트레이(4)를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에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로 세로 이송한다. L 사이드의 제2트레이 이송장치(42L)에서는, 주로 입고용으로서 L 사이드에 있어서 상기와 역동작을 하여 트레이(4)를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에서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L)로 세로 이송한다.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 46L)는 각각 리프트(6)와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과의 사이에서 제1트레이 수수동작을 취할 수 있다. R 사이드의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에서는, 주로 출고용으로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에 있어서, 트레이(4)를 리프트(6)로 보내는 제1트레이 수수동작을 한다. 즉,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에 있어서 결합부재(48)가 트레이(4)의 제2가이드부재(10b)와 결합되고. 선회암(47)의 선회구동장치(49의 작동에 의하여 선회암(47)이 승강로(7)측을 향하여 선회되어 선회암(47)이 승강로(7)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위치까지 선회되면, 트레이(4)가 리프트(6)상으로 완전히 바뀌어 옮겨져 그 직후에 결합부재(48가 제2가이드부재(10b)로부터 이탈하여, 결합이 풀린다. L 사이드의 제3트레이 이송장치(46L)에서는, 주로 입고용으로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에 있어서 트레이(4)를 리프트(6)로부터 끌어내는 제1트레이 수수동작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동작과 역으로 된다.
다음에 상기 각 트레이 이송장치(11, 42R, 42L, 46R, 46L)의 기본동작에 의거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전체의 동작에 대하여 주로 도14를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우선 같은 격납계층상, 리프트 한 쪽의 동일열, 예를 들어 R 사이드의 3개소의 격납실(3)에서 각각 격납중의 자동차를 연속하여 출고하는 경우의 출고행정(出庫行程)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4에 있어서, 반송대차(1)가 반송로(2)를 주행하며 출고 순서 제1번째(이하, 이 출고공정의 설명 중에서 단지 제1번째라고 함.)의 격납실(3)을 향하여 이동한다. 반송대차(1)가 제1번째의 격날실(3)의 앞에서 정지하고, 우선 반송대차(1)상의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에 있어서, 그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트레이(4)가 반송대차(1)상으로 끌어내려져 바뀌어 실린다. 그리고 트레이(4)가 트레이 록장치(41)에 의해 록되어 그 상태가 고정된다. 그리고 반송대차(1)상에서 트레이(4)와 제1트레이 이송장치(11)를 결합시킨 채로 반송대차(1)가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 앞으로 이동한다. 반송대차(1)의 이동후 반송대차(1)에 있어서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트레이(4)를 반송대차(1)에서 R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상으로 옮긴다.
여기서 빈 반송대차(1)는 출고순서 제2번째(이하, 이 출고공정의 설명 중에서 단지 제2번째라고 함.)의 격납실(3)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 격납실(3)의 앞에서 같은 트레이(4)의 수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R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상으로 이미 옮겨진 제1번째의 트레이(4)는 제2트레이 이송장치(42R)의 세로 이송동작에 의하여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에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로 옮겨진다.
계속해서, 반송대차(1)에 의하여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의 앞까지 반송된 제2번째 트레이(4)가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해 반송대차(1)에서 R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상으로 옮겨진다.
이것과 병행하여, 리프트(6)가 이 격납계층까지 상승 또는 강하되고, R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에서는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제1번째의 트레이(4)가 리프트(6)상으로 바뀌어 옮겨진다. 리프트(6)는 입출고층을 향하여 승강하여, 그 제1번째의 트레이(4)상에 실은 자동차를 입출고층에서 출고한다.
다시 빈 반송대차(1)는 출고순서 제3번째(이하, 이 출고공정의 설명 중에서 단지 제3번째라고 함.)의 격납실(3)을 향하여 이동하고, 그 격납실(3)의 앞에서 같은 트레이(4)의 수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R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상으로 옮겨진 제2번째의 트레이(4)는 제2트레이 이송장치(42R)의 세로 이송동작에 의하여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에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로 옮겨진다.
계속해서 반송대차(1)에 의하여 트레이 세로이송용 격납실(3bR, 3bL) 앞까지 반송된 제3번째의 트레이가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해 트레이(4)를 반송대차(1)에서 R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상으로 옮긴다.
이것과 병행하여, 리프트(6)가 이 격납계층까지 상승 또는 강하되고, L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에 있어서, 제3트레이 이송장치(46L)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리프트(6)상으로 이송된 제1번째의 빈 트레이(4)가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상으로 바뀌어 옮겨진다. 이렇게 됨으로써 리프트(6) 위가 비면 이번은 R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에 있어서,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제2번째의 트레이(4)가 리프트(6)상으로 바뀌어 옮겨진다. 리프트(6)는 입출고층을 향하여 승강하여 그 제2번째의 트레이(4) 위에 실은 자동차를 입출고층에서 출고한다.
또한 다시 빈 반송대차(1)는 다음 출고 또는 입고에 대비하는 한편, R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상으로 이미 옮겨진 제3번째의 트레이(4)는 마찬가지로 R 사이드의 제2트레이 이송장치(42R)의 세로 이송동작에 의하여 트레이 세로이송용 격납실(3bR)에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로 옮겨진다. 리프트(6)가 이 격납계층까지 상승 또는 강하되고 L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에 있어서, 제3트레이 이송장치(46L)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리프트(6)상으로 이송된 제2번째의 빈 트레이(4)가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상으로 바뀌어 옮겨진다. 이렇게 됨으로써 리프트(6) 위가 비면, 이번은 R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에 있어서,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제3번재의 트레이(4)가 리프트(6)상으로 바뀌어 옮겨진다. 리프트(6)는 입출고층을 향하여 승강하여 그 제3번째의 트레이(4) 위에 실린 자동차를 입출고층에서 출고한다.
이 출고공정에 있어서, 같은 격납계층상 리프트(6)와는 반대열인 L 사이드의 예를 들자면, 3개소의 격납실(3)에서 각각 격납중인 자동차를 연속하여 출고하는 경우는, 반송대차(1)상의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에서제2트레이 수수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반송대차(1)가 출고처인 격납실(3) 앞에서 정지하고, 우선 반송대차(1)상의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에 의하여 트레이(4)가 반송대차(1)상으로 끌어내려져 바뀌어 실린다. 그리고 트레이(4)가 트레이 록장치(41)에 의하여 록되어 그 상태가 고정된다. 그리고 반송대차(1)의 이동중에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의 제2트레이 수수동작에 의거하여 결합부재(13)가 제1가이드부재(10a)에서 제2가이드부재(10b)로 바뀌어 결합된다. 계속해서 반송대차(1가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의 앞에 도달하면,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의 제2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트레이(4)를 반송대차(1)에서 R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상으로 옮긴다. 이것에 계속되는 동작은 상기와 동일하다.
다음에 같은 격납계층상, R 사이드의 예를 들어 3개소의 격납실(3)에 3대의 자동차를 연속적으로 입고하는 경우의 입고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4에 있어서, 입출고층에서 입고순서 제1번째(이하, 이 입고공정의 설명 중에서 단지 제1번째라고 함.)의 자동차를 실은 트레이(4)가 리프트(6)에 의해 승강이송되면, 우선 L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에 있어서, 제3트레이 이송장치(46L)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트레이(4)가 리프트(6)에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로 끌어내어진다.
여기서 이미 설명한 출고공정과 같은 동작에 의하여, 빈 트레이(4)가 R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에 미리 이동되어 대기되고,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의 제1의 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리프트(6) 위에 빈 트레이(4)가 옮겨진다. 리프트(6)는 입출고층을 향하여 승강하여 입출고층에서 입고순서 제2번째(이하, 이 입고공정의 설명 중에서 단지 제2번째라고 함.)의 입고를 한다. 한편, L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로 이미 옮겨진 제1번째의 입고차를 실은 트레이(4)가 제2트레이 이송장치(42L)의 세로 이송동작에 의하여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L)로 옮겨진다.
이것과 병행하여, 반송대차(1)가 입고용의 빈 트레이(4)를 R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로 옮기면서 R, L 양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 격납실(3bR, 3bL) 앞에 대기되고, 반송대차(1)상의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의 제2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입고차를 실은 제1번째의 트레이(4)를 L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L)에서 반송대차(1)상으로 바꿔 싣는다. 반송대차(1)는 반송로(2)를 주행하며 그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의 제2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R 사이드의 미리 정해진 격납실(3)로 옮겨진다. 이 제1번째 입고가 종료하면,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에 의하여 R 사이드 또는 L 사이드의 다른 격납실(3)로부터 빈 트레이(4)를 끌어내어 반송대차(1)상에 실어 R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까지 반송하여 옮긴다.
이 사이에 입출고층에서 제2번째의 자동차를 실은 트레이(4)가 리프트(6)에 의해 승강이송되고, L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에서는, 제3트레이 이송장치(46L)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그 트레이(4)가 리프트(6)에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로 끌어내어진다. 마찬가지로 R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에 미리 대기되어 있는 빈 트레이(4)가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리프트(6)로 옮겨지고 리프트(6)는 입출고층을 향하여 승강하여 입출고층에서 입고순서 제3번째(이하, 이 입고공정의 설명 중에서 단지 제3번째라고 함.)의 입고를 한다. 한편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로 이이 끌어내어진 제2번째의 입고차를 실은 트레이(4)가 제2트레이 이송장치(42L)의 세로 이송동작에 의하여 L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L)로 옮겨진다. 계속해서, 반송대차(1)가 R, L 양 사이드의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 앞에 대기되고, 반송대차(1)상의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의 제2의 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해, 입고차를 실은 제2번째의 트레이(4)가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L)에서 반송대차(1)상으로 바뀌어 실린다. 반송대차(1)는 반송로(2)를 주행하며 그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의 제2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R 사이드의 미리 정해진 격납실(3)로 옮겨진다. 이 제2번째의 입고를 종료하면, 반송대차(1)는 다음 입출고준비를 하면서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 앞으로 되돌아가 대기한다.
계속해서 입출고층에서 제3번째의 자동차를 실은 트레이(4)가 리프트(6)에 의해 승강이송되고 L 사이드의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에서는, 제3트레이 이송장치(46L)의 제1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하여 트레이(4)가 리프트(6)에서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L)로 끌어내어져, 제2트레이 이송장치(42L)의 세로 이송동작에 의해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L)을 경유하여 반송대차(1)상으로 바뀌어 실린다. 반송대차(1)는 반송로(2)를 주행하고, 그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의 제2트레이 수수동작에 의해 R 사이드의 미리 정해진 격납실(3)로 옮겨져 제3번째의 입고를 종료한다.
이 입고공정에 있어서, 같은 격납계층상, L 사이드의 예를 들면, 3개소의 격납실(3)에 3대의 자동차를 연속적으로 입고하는 경우는, 반송대차(1)상의 제1트레이 이송장치(11)에 있어서 제1트레이 수수동작이 행하여진다. 그 이외는 상기의 입고공정과 동일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트(6)를 반송로(2)의 일단에 설치함과 동시에, 리프트(6) 양측의 각 격납실(3)을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로, 각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에 인접하는 각 격납실(3)을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로 각각 설정하여, 반송대차(1)상에 제1트레이 이송장치(11)를 탑재하고, 각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과 각 트레이 세로 이송용 격납실(3bR, 3bL)과의 사이에 제2트레이 이송장치(42R, 42L)를, 각 리프트 연락용 격납실(3aR, 3aL)상에 제3트레이 이송장치(46R, 46L)를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반송로(2) 양측 R, L 사이드의 복수의 적납실(3) 중에 적어도 그 하나에 트레이 없는 데드 스페이스를 확보한다. 그럼으로써 자동차의 격납계층상에서 트레이(4)를 순환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같은 격납계층상에서 격납중의 복수의 지동차를 연속적으로 출고하는 경우나, 같은 격납계층에 복수의 자동차를 연속적으로 입고하는 경우에, 앞의 출고 또는 입고동작 중에 다음 출고 또는 입고의 준비운전을 할 수 있어 자동차의 연속출고 또는 연속입고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2는 상기 종래의 주차장치에 이용하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평면도,
도4는 상기 제1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의 반송대차(搬送臺車)에 탑재(搭載)하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5는 상기 제1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트레이 이송장치에 의한 트레이 인입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6은 상기 제1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반송대차(搬送臺車)의 이동중 트레이 이송장치의 결합부재가 제1가이드부재에서 제2가이드부재로 결합을 바꾸는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이 중에서, (a)는 트레이를 끌어내는 조작에 의해 좌측열의 격납실의 트레이 중 하나가 반송대차상에 끌어내려져 록되어, 반송대차(1)가 이동개시하고자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반송대차의 이동중에 있어서, 서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선회암이 트레이의 인입때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선회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반송대차의 이동중에 있어서, 롤러가 다른 한쪽의 가이드부재인 제2의 가이드부재(10b)와 일치하는 시점에서 선회가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반송대차의 이동중에 있어서, 결합부재와 제2가이드부재가 결합하고, 반송로상을 주행하고 있는 반송대차가 리프트에 도달할 때까지 그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상기 제1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도5의 동작에 계속되는 트레이 이송장치에 의한 트레이 이송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8은 상기 제1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트레이 이송장치의 별도의 트레이 수수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각 격납계층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
도10은 상기 제2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반송대차, 승강로 및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11은 상기 제2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격납실측에서 본 승강로 및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12는 상기 제2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승강로, 격납실 및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13 (a)는 상기 제2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리프트와 반송대차와의 트레이 수수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상기 제2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리프트와 반송대차와의 트레이 수수동작의 별도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의 평면도,
도15 (a)는 상기 제3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의 제2, 제3트레이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b)는 상기 제3실시예에 관한 주차장치의 반송로상의 반송대차 및 격납실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반송대차(搬送臺車) 2 : 반송로(搬送路)
3, 3a,3b : 격납실(格納室) 4 : 트레이(tray)
5 : 레일(rail) 6 : 리프트(lift)
7 : 승강로(昇降路) 8 : 롤러(roller)
9 : 지축(支軸) 10 : 가이드부재(guide 部材)
11 : 트레이 이송장치(tray 移送裝置) 12 : 선회암(旋回 arm)
13 : 결합부재(結合部材)
14 : 선회구동장치(旋回驅動裝置 servo motor)
15 : 회전축(回轉軸) 16 : 상하구동장치(上下驅動裝置)
17 : 전원용 코드(전원용 code) 18 : 집전자(集電子)
19 : 급전자(給電子) 20 : 구동모터(驅動 moter)
21 : 구동축(驅動軸) 22 : 대차프레임(臺車 frame)
23 : 횡행레일(橫行 rail) 24 : 차륜(車輪)
25 : 트레이 이송장치 26 : 가이드 레일(guide rail)
27 : 승강부재(昇降部材) 28 : 지지부재(支持部材)
29 : 승강구동장치(昇降驅動裝置)
30 : 통과부(通過部) 31 :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32 : 승간간(昇降杆) 33 : 결합돌기(結合突起)
34 : 구동모터(驅動 mortor) 35 : 스프로켓(sprocket)
36 :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37 : 구동체인(驅勤 chain) 38 : 결합오목부
39 : 횡행레일(橫行 rail) 40 : 롤러
41 : 트레이 록장치(tray lock 裝置)
42 : 제2트레이 이송장치 43 : 체인 콘베어(chain conveyor)
44 : 트레이 지지프레임(tray 支持 frame)
45 : 체인 가이드(chain guide) 46: 제3트레이 이송장치
47 : 선회암(旋回 arm) 49 : 결합부재
49 : 선회구동장치(旋回驅動裝置)

Claims (8)

  1. 반송로상을 왕복주행하며 자동차 적재용의 트레이를 반송하는 반송대차와, 반송로의 양측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각각에 트레이가 배치된 복수의 격납실과, 입출고층과 격납계층과의 사이세서 트레이를 승강이송하는 리프트와, 반송대차와 각 격납실 또는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트레이 이송기구를 구비한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리프트를 격납실 열의 임의의 1개소에 설치하고,
    트레이 이송기구를, 반송대차상의 폭방향 중앙부에 선회중심을 설정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선단부가 격납실측으로 필요한 치수만큼 돌출한 길이를 갖는 선회암과, 선회암의 선단에 설치된 결합부재와, 선회암을 선회구동시키는 선회구동장치와, 결합부재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켜 결합, 이탈시키는 상하구동장치로 구성함과 아울러,
    각 트레이 하면 양측에 결합부재가 결합하는 가이드부재가 쌍으로 배치되어, 각 트레이를 리프트, 반송대차 및 격납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2. 반송로에 부설된 한 쌍의 레일 위를 왕복주행하며 자동차 적재용의 트레이를 반송하는 반송대차와, 반송로의 양측을 따라 배열되어 트레이가 각각 배치된 복수의 격납실과, 반송대차상에 배치되어 반송대차와 각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트레이 수수장치와, 입출고층과 격납계층을 연락하는 승강로에 배치되어 트레이를 승강이송하는 리프트를 구비한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리프트를 반송로상의 격납실에 대응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고,
    승강로의 네 구석에 설치되어 리프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들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에서 승강로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하여 트레이를 네곳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반송로상의 한 쌍의 레일을, 승강부재가 통과하는 부분에서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을 승강부재의 통과부로 하여,
    리프트의 승강부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함으로써 리프트와 반송대차와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리프트의 지지부재에서 윗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결합돌기를 갖추고 트레이의 하면측에 이 결합돌기와 결합가능한 결합오목부를 갖춘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4. 자동차의 격납계층에 반송대차가 왕복주행하고 자동차 적재용의 트레이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반송로의 양측을 따라 배열되어 각각 트레이가 배치된 복수의 격납실을 갖추고, 자동차의 격납계층과 입출고층과의 사이에 리프트를 설치하여 트레이를 승강이송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리프트의 위치를 반송로의 일단에 설치함과 아울러,
    반송대차상에 배치되어 반송대차와 반송로 양측의 각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1트레이 수수장치와,
    리프트 양측의 격납실과 이것에 인접하는 격납실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그 양자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2트레이 수수장치와,
    리프트 양측의 격납실에 각각 배치되어 리프트 양측의 격납실과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하는 제3트레이 수수장치를 갖추고,
    각 계층에 있어서, 격납실의 임의의 하나를 트레이가 없는 데드 스페이스로 하여 트레이를 순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트레이 수수장치를, 반송대차의 폭방향 중앙부에 선회중심을 설정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선단부가 격납실측으로 필요한 치수만큼 돌출한 길이를 갖는 선회암과, 선회암의 선단에 설치되어 각 트레이 하면의 양측에 쌍으로 배치된 가이드부재와 결합가능한 결합부재와, 선회암을 선회구동시키는 선회구동장치와, 결합부재 또는 선회암을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상하구동장치로 구성하여, 반송대차와 반송로 양측의 각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2트레이 수수장치를, 각각 체인 콘베어와 체인 콘베어에 배치되어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부재로 구성하여, 리프트 양측의 각 격납실과 그에 인접하는 각 격납실과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3트레이 수수장치를, 각각 리프트 양측의 각 격납실 폭방향 중앙부에 선회중심을 설정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선단부가 리프트측에 필요한 치수만큼 돌출한 길이를 갖는 선회암과, 선회암의 선단에 설정되어 각 트레이 하면 양측에 쌍으로 배치된 가이드부재와 결합가능한 결합부재와, 선회암을 선회구동시키는 선회구동장치로 구성하여, 리프트 양측의 각 격납실과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3트레이 수수장치를, 각각 리프트 양측의 각 격납실 폭방향 중앙부에 선회중심을 설정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선단부가 리프트측에 필요한 치수만큼 돌출한 길이를 갖는 선회암과, 선회암의 선단에 설정되어 각 트레이 하면 양측에 쌍으로 배치된 가이드부재와 결합가능한 결합부재와, 선회암을 선회구동시키는 선회구동장치로 구성하여, 리프트 양측의 각 격납실과 리프트와의 사이에서 트레이를 수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KR1019970007388A 1996-03-25 1997-03-06 평면왕복식주차장치 KR100477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68066A JP3062074B2 (ja) 1996-03-25 1996-03-25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8-68066 1996-03-25
JP8-77288 1996-03-29
JP07728896A JP3447889B2 (ja) 1996-03-29 1996-03-29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08781096A JP3631555B2 (ja) 1996-04-10 1996-04-10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8-87810 1996-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928A KR970065928A (ko) 1997-10-13
KR100477375B1 true KR100477375B1 (ko) 2005-09-02

Family

ID=2729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388A KR100477375B1 (ko) 1996-03-25 1997-03-06 평면왕복식주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0798432A3 (ko)
KR (1) KR100477375B1 (ko)
HK (1) HK1038780A1 (ko)
TW (1) TW33584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7713C (zh) * 2006-04-21 2008-10-22 江苏双良停车设备有限公司 曲柄存取交接搬运台车
ES2307422B1 (es) * 2007-05-03 2009-09-22 Ack 90, S.L. Aparcamiento automatizado para vehiculos.
CN104120906B (zh) * 2014-07-22 2016-06-15 四川理工学院 立体车库智能搬运小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924A (ja) * 1992-04-22 1993-11-09 Sumiyoshi Heavy Ind Co Ltd 立体駐車場
JPH06101364A (ja) * 1992-09-16 1994-04-12 Nkk Corp 立体駐車場の出入口装置
JPH06158897A (ja) * 1992-11-24 1994-06-07 Shin Meiwa Ind Co Ltd 機械式駐車装置
JPH07197688A (ja) * 1994-01-06 1995-08-01 Fuji Electric Co Ltd 平面往復式駐車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移送装置
JPH08232491A (ja) * 1995-02-23 1996-09-10 Nissei Ltd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86887A (fr) * 1929-03-13 1930-07-31 Auto Case Garage souterrain pour voitures automobiles
US1969419A (en) * 1931-01-26 1934-08-07 Detroit Hoist And Machine Comp Transfer truck
GB792864A (en) * 1954-02-25 1958-04-02 Friedrich Kranich Installations for parking vehicles particularly motor vehicles
US3190467A (en) * 1962-12-26 1965-06-22 Ralph M English Automobile parking system
SE375505B (ko) * 1969-03-10 1975-04-21 T J R Bright
US3746191A (en) * 1971-06-01 1973-07-17 E Bianca Load transfer device
SE459110B (sv) * 1988-04-14 1989-06-05 Sky Park Ab Hiss- och transportanordning foer fordon
SE9103161L (sv) * 1991-10-29 1993-04-05 Sven Tord Eriksson Parkerings- och/eller lageranlaeggning
DE4414186C2 (de) * 1994-04-22 1998-04-09 Woehr Otto Gmbh Aufzug für Parkplattformen von Kraftfahrzeug-Parkieranlag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924A (ja) * 1992-04-22 1993-11-09 Sumiyoshi Heavy Ind Co Ltd 立体駐車場
JPH06101364A (ja) * 1992-09-16 1994-04-12 Nkk Corp 立体駐車場の出入口装置
JPH06158897A (ja) * 1992-11-24 1994-06-07 Shin Meiwa Ind Co Ltd 機械式駐車装置
JPH07197688A (ja) * 1994-01-06 1995-08-01 Fuji Electric Co Ltd 平面往復式駐車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移送装置
JPH08232491A (ja) * 1995-02-23 1996-09-10 Nissei Ltd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38780A1 (zh) 2002-03-28
EP0798432A3 (en) 1997-12-10
KR970065928A (ko) 1997-10-13
EP1116837A1 (en) 2001-07-18
TW335848U (en) 1998-07-01
EP0798432A2 (en) 199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73443B (zh) 一种仓储分拣系统
JP3044473B2 (ja) 材料収納カセット用保管棚における入庫、出庫、再入庫のための方法とその保管棚
JP4189685B2 (ja) 台車式搬送装置
TW200307638A (en)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TWI763871B (zh) 搬運系統及搬運方法
JP6291228B2 (ja) 自動保管設備及び自動倉庫
JP4301214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2001122404A (ja) 自動稠密収容設備
KR100477375B1 (ko) 평면왕복식주차장치
JP2007302242A (ja) 台車式搬送装置
JP4217835B2 (ja) 接続構造とこれを備えた物品誘導システム
JP2002114314A (ja) 立体自動倉庫
JP3921285B2 (ja) コンテナ用立体自動倉庫
CN213140287U (zh) 一种纱筒转运器
JP2007182277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および物品収納設備
JP2577650B2 (ja) 自動荷物積み込み装置
JP2017128402A (ja) 自動倉庫および台車式搬送装置
JP3448037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2000109204A (ja) 線材コイルの立体倉庫システム
JPH1119721A (ja) 重量物製品の搬送装置
JP2024058394A (ja) 搬送システム
JP3447889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H06107307A (ja) 移動棚使用の自動倉庫
JPH0643374Y2 (ja) 駐車設備
JP3476054B2 (ja) 物品収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