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811B1 -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811B1
KR100471811B1 KR10-2001-0079383A KR20010079383A KR100471811B1 KR 100471811 B1 KR100471811 B1 KR 100471811B1 KR 20010079383 A KR20010079383 A KR 20010079383A KR 100471811 B1 KR100471811 B1 KR 100471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ssage
compressed air
plunger
fixing plat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224A (ko
Inventor
이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811B1/ko
Priority to DE10253172A priority patent/DE10253172B4/de
Priority to US10/319,007 priority patent/US6948721B2/en
Publication of KR2003004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중 차륜의 거동 자세 변화의 정도에 따라 레벨링 밸브로부터 에어 스프링으로 유입되거나 에어 스프링으로부터 레벨링 밸브를 거쳐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선회시 발생하는 롤링의 정도에 따라 차체의 거동 자세의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선회의 안정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빠른 응답 속도를 기대하여 조향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10)내에서 압축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각각 도모하는 흡입구(12)와 배출구(14) 사이를 관통하는 유동 통로(16)와; 이 유동 통로(16)로부터 각각 분지되어 좌/우측 에어 스프링과의 연통을 도모하는 연통 통로(18); 상기 유동 통로(16)의 상부에서 차량의 거동 자세 변화의 정도에 따라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유동 통로(16)의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과, 상기 연통 통로(18)를 통해 배출구(14)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을 각각 조절하는 유동량 조절 수단 및; 상기 유동 통로(16)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설되어 유동 통로(16)와 연통 통로(18) 사이의 교통을 조절하는 플런져(26)와, 이 플런져(26)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시 플런져(26)에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로터(28) 및, 이 로터(28)에 일측 선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차축과 차체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에어 스프링으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는 레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variable leveling valve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중 변화되는 차량의 거동 자세의 변화에 따라 에어 스프링내로 유입 또는 이로부터 유출되는 압축 공기의 유동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주행중 발생하는 롤링을 단시간내에 억제하여 주행의 안정성 및 응답 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된 현가장치중 에어 현가장치는 주행중 차량의 거동 자세의 변화에 따라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된 에어 스프링에 압축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도록 하는 레벨링 밸브를 갖추고 있는 바, 이 레벨링 밸브는 이의 작동 형식에 따라 로터리식과 플런져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즉, 종래 플런져식 레벨링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하우징(10)내에서 압축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각각 도모하는 흡입구(12)와 배출구(14) 사이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동 통로(16)와, 이 유동 통로(16)의 중간 부위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분지되어 좌/우측 에어 스프링(도시안됨)과의 연통을 도모하는 연통 통로(18), 상기 유동 통로(16)의 상부에서 리턴 스프링(2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탄발지지되어 설치된 상부 캡(22)과 하부 캡(24), 상기 유동 통로(16)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설되어 유동 통로(16)와 연통 통로(18) 사이의 교통을 조절하는 플런져(26), 이 플런져(26)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시 플런져(26)에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로터(28) 및, 이 로터(28)에 일측 선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차축과 차체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에어 스프링으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는 레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져(26)는 중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 상기 유동 통로(16)와의 기밀 유지를 위한 별도의 씰링 부재(32)를 장착하고 있어, 상기 배출구(14)는 하부 캡(24)과 플런져(26)의 상단부 사이가 이격되는 경우에 한해서 개방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상부 캡(22)과 하부 캡(24)은 리턴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0)내의 상측 돌출벽(10a)과 하측 돌출벽(10b)상에 각각 밀착되어 있지만, 상기 상부 캡(22)은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고압의 압축 공기에 의해 하향이동되어 상측 돌출벽(10a)으로부터 이격되어져, 유동 통로(16)를 개방시키게 되지만, 상기 하부 캡(24)은 플런져(26)로부터 작동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리턴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 돌출벽(10b)상에 밀착되어져, 상기 유동 통로(16)를 개방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중 차륜의 범프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의 상승 회동에 따라 로터(28)가 회동되면서 플런져(26)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 플런져(26)의 상승에 따라 상기 하부 캡(24)은 유동 통로(16)를 개방시켜, 상기 연통 통로(18)와의 교통 상태를 도모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고압의 압축 공기가 상부 캡(22)을 밀면서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압축 공기는 개방 상태의 하부 캡(24)을 지나 유동 통로(16)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연통 통로(18)를 거쳐 좌/우측의 에어 스프링으로 공급되어진다.
또한, 주행중 차륜의 리바운드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의 하강 회동에 따라 로터(28)가 회동되면서 플런져(26)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 플런져(26)의 하강에 따라 상기 하부 캡(24)은 리턴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유동 통로(16)를 폐쇄시켜, 상기 흡입구(12)와의 교통 상태를 단절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캡(24)과 플런져(26) 사이는 이격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 결과,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압축 공기는 상기 하부 캡(24)에 의해 막혀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오히려 상기 에어 스프링의 내부에 있던 압축 공기가 연통 통로(18)로 역류하여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되며, 이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하부 캡(24)과 플런져(26) 사이의 틈새를 통해 플런져(26)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레벨링 밸브에서는 주행중 차륜이 범프 및 리바운드됨에 따른 상기 레버(3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흡입구(12)와 배출구(14)가 개방 또는 폐쇄됨에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의 회동 각도의 변화에 따른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인 유동률(flow rate)에는 일률적인 변화 밖에 없기 때문에, 주행중 차량의 거동 자세의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에어 스프링으로 압축 공기의 주입 내지 이로부터 배출시 소요되는 시간이 가변적이지 못하게 된다.
즉, 거동 자세의 변화의 정도에 따라 압축 공기의 주입 및 배출시 소요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필요시 롤링을 단시간내에 억제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주행 안정성, 특히 선회 안정성 및 응답 속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행중 차륜의 거동 자세 변화의 정도에 따라 레벨링 밸브로부터 에어 스프링으로 유입되거나 에어 스프링으로부터 레벨링 밸브를 거쳐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선회시 발생하는 롤링의 정도에 따라 차체의 거동 자세의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선회의 안정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빠른 응답 속도를 기대하여 조향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내에서 압축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각각 도모하는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관통하는 유동 통로와; 이 유동 통로로부터 각각 분지되어 좌/우측 에어 스프링과의 연통을 도모하는 연통 통로; 상기 유동 통로의 상부에서 차량의 거동 자세 변화의 정도에 따라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동 통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과, 상기 연통 통로를 통해 배출구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을 각각 조절하는 유동량 조절 수단 및; 상기 유동 통로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설되어 유동 통로와 연통 통로 사이의 교통을 조절하는 플런져와, 이 플런져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시 플런져에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로터 및, 이 로터에 일측 선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차축과 차체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에어 스프링으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고정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고정 플레이트의 정면도인 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종래 레벨링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하우징(10)내에서 압축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각각 도모하는 흡입구(12)와 배출구(14) 사이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유동 통로(16)와; 이 유동 통로(16)의 중간 부위에서 각각 좌/우측으로 분지되어 좌/우측 에어 스프링(도시안됨)과의 연통을 도모하도록 형성된 연통 통로(18); 상기 유동 통로(16)의 상부에서 차량의 거동 자세 변화의 정도에 따라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유동 통로(16)의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과, 상기 연통 통로(18)를 통해 배출구(14)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을 각각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유동량 조절 수단 및; 상기 유동 통로(16)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설되어 유동 통로(16)와 연통 통로(18) 사이의 교통을 조절하는 플런져(26)와, 이 플런져(26)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시 플런져(26)에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로터(28) 및, 이 로터(28)에 일측 선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차축과 차체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에어 스프링으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는 레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량 조절 수단은 하우징(10)의 상측 돌출벽(10a)에 다수개의 보조 리턴 스프링(34)의 탄성력을 매개로 밀착됨과 더불어 부재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1관통 구멍(36a)을 형성하고 있는 도 6에 도시된 제1고정 플레이트(36)와, 이 제1고정 플레이트(36)의 하부에서 상기 상측 돌출벽(10a)의 하측으로 고정된 중간 매개체(10c)상에 리턴 스프링(20)의 탄성력을 매개로 밀착됨과 더불어 부재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2관통 구멍(38a)을 형성하고 있는 도 7의 (a)에 도시된 제2고정 플레이트(38) 및, 이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제2관통 구멍(38a)내에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36)의 제1관통 구멍(36a)을 향해 배치되는 다수개의 밸브 부재(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 리턴 스프링(34)은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36)상에 형성된 제1관통 구멍(36a)의 수량에 부합하여,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36)와 밸브 부재(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측에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36)상에 형성된 제1관통 구멍(36a)을 폐쇄시킬 수 있는 머리부(40a)를 갖추고서 이에 상기 보조 리턴 스프링(34)과 밀착됨과 더불어, 상기 머리부(40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제2관통 구멍(38a)내에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다리부(40b)를 갖추고 있는 데, 이 다리부(40b)의 길이는 각각 상이하게 설정된다.
한편,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하부에는 리턴 스프링(20)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10)의 하측 돌출벽(10b)에 밀착지지되는 가동 플레이트(42)가 상기 유동 통로(16)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 가동 플레이트(42)의 저면에는 상기 플런져(26)의 내부로 삽입이 됨과 더불어 부재를 관통하는 제1연통 구멍(44a)과, 이 제1연통 구멍(44a)의 하부에 부재를 관통하는 제2연통 구멍(44b)이 형성된 끼움부(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져(26)는 중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 상기 유동 통로(16)와의 기밀 유지를 위한 별도의 씰링 부재(32)를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주행중 차륜의 경미한 범프시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의 상승 회동에 따라 로터(28)가 회동되면서 플런져(26)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 플런져(26)의 상승에 따라 상기 가동 플레이트(42)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제2관통 구멍(38a)상에 삽입된 다수의 밸브 부재(40)중에 다리부(40b)의 길이가 가장 긴 밸브 부재(40)만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흡입구(12)는 개방된 일부의 제2관통 구멍(38a)을 통해 유동 통로(16)와 교통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제1고정 플레이트(36)의 제1관통 구멍(36a)을 지난 압축 공기는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일부 개방된 제2관통 구멍(38a)을 거쳐 개방 상태의 가동 플레이트(42)를 지나 유동 통로(16)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연통 통로(18)를 거쳐 좌/우측의 에어 스프링으로 공급되어진다.
이에 반해, 차륜의 과도한 범프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의 더 많은 상승 회동에 따라 로터(28)가 회동되면서 플런져(26)를 더욱 더 상승시키게 되고, 이 플런져(26)의 상승에 따라 상기 가동 플레이트(42)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제2관통 구멍(38a)상에 삽입된 다수의 밸브 부재(40)중 모두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흡입구(12)는 전체가 개방된 제2관통 구멍(38a)을 통해 유동 통로(16)와 교통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제1고정 플레이트(36)의 제1관통 구멍(36a)을 지난 압축 공기는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개방된 전체의 제2관통 구멍(38a)을 거쳐 개방 상태의 가동 플레이트(42)를 지나 유동 통로(16)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연통 통로(18)를 거쳐 좌/우측의 에어 스프링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때,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유동 통로(16)와 연통 통로(18)를 거쳐 에어 스프링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은 더욱 커지게 되므로, 기울어진 차량의 거동 자세의 복원에 소요되는 시간이 훨씬 더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행중 차륜의 리바운드시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의 하강 회동에 따라 로터(28)가 회동되면서 플런져(26)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 플런져(26)의 하강에 따라 상기 가동 플레이트(42)는 리턴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유동 통로(16)를 폐쇄시켜, 상기 흡입구(12)와의 교통 상태를 단절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 플레이트(42)와 상기 플런져(26) 사이는 이격된 상태로 전환되지만, 상기 플런져(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끼움부(44)는 다소 외부로 노출되어 최상층의 제1연통 구멍(44a)이 외부로 노출되어진다.
이 결과,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압축 공기는 상기 보조 리턴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제2고정 플레이트(38)상에 밀착되는 밸브 부재(40)에 의해 막혀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오히려 상기 에어 스프링의 내부에 있던 압축 공기가 연통 통로(18)로 역류하여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되며, 이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42)의 끼움부(44)에 형성된 제1연통 구멍(44a)과 플런져(26) 사이의 틈새를 통해 플런져(26)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진다.
이에 반해, 차륜의 과도한 리바운드시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의 더 많은 하강 회동에 따라 로터(28)가 회동되면서 플런져(26)를 더욱 더 하강시키게 되고, 이 플런져(26)의 하강에 따라 상기 가동 플레이트(42)의 끼움부(44)에 형성된 제1연통 구멍(44a)과 제2연통 구멍(44b)은 모두 외부로 노출된다.
이 결과,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압축 공기는 상기 보조 리턴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제2고정 플레이트(38)상에 밀착되는 밸브 부재(40)에 의해 막혀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오히려 상기 에어 스프링의 내부에 있던 압축 공기가 연통 통로(18)로 역류하여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되고, 이 유동 통로(16)내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42)의 끼움부(44)에 형성된 제1연통 구멍(44a)과 제2연통 구멍(44b) 및 플런져(26) 사이의 틈새를 통해 플런져(26)의 내부로 급속하게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연통 통로(18)와 제1연통 구멍(44a) 및 제2연통 구멍(44b)을 지나 배출구(14)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은 더욱 커지게 되므로, 기울어진 차량의 거동 자세의 복원에 소요되는 시간이 휠씬 더 단축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주행중 차륜이 범프 및 리바운드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가동 플레이트(42)의 이동에 따른 밸브 부재(40)의 개폐 수량과, 상기 플런져(26)의 이동에 따른 끼움부(44)에 형성된 제1연통 구멍(44a)과 제2연통 구멍(44b)의 개폐 수량이 변화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의 회동 각도의 변화에 따른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인 유동률(flow rate)이 가변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므로, 롤링의 회복 속도의 제어가 가능해 지고, 이로 인해 주행 안정성, 특히 선회 안정성 및 응답 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 부재(40)의 수량 내지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제2관통 구멍(38a)의 크기 또는, 상기 끼움부(44)에 형성된 제1연통 구멍(44a)과 제2연통 구멍(44b)의 수량 내지 크기를 조절하게 되면,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인 유동률(flow rate)이 더욱 더 다양한 비율로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에 의하면, 주행중 차륜의 거동 자세 변화의 정도에 따라 레벨링 밸브로부터 에어 스프링으로 유입되거나 에어 스프링으로부터 레벨링 밸브를 거쳐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선회시 발생하는 롤링의 정도에 따라 차체의 거동 자세의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선회의 안정성을 도모함에 있어 빠른 응답 속도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안정된 조향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레벨링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벨링 밸브가 차륜의 범프시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벨링 밸브가 차륜의 리바운드시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레벨링 밸브에서 레버의 각도 변화에 따른 압축 공기의 유동률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고정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고정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레벨링 밸브가 롤링이 작은 범프시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레벨링 밸브가 롤링이 큰 범프시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레벨링 밸브가 롤링이 작은 리바운드시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레벨링 밸브가 롤링이 큰 리바운드시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밸브에서 레버의 각도 변화에 따른 압축 공기의 유동률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하우징 12-흡입구
14-배출구 16-유동 통로
18-연통 통로 20-리턴 스프링
22-상부 캡 24-하부 캡
26-플런져 28-로터
30-레버 32-씰링 부재
34-보조 리턴 스프링 36-제1고정 플레이트
38-제2고정 플레이트 40-밸브 부재
42-가동 플레이트 44-끼움부

Claims (5)

  1. 하우징(10)내에서 압축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각각 도모하는 흡입구(12)와 배출구(14) 사이를 관통하는 유동 통로(16)와;
    이 유동 통로(16)로부터 각각 분지되어 좌/우측 에어 스프링과의 연통을 도모하는 연통 통로(18);
    상기 하우징(10)내에 다수개의 보조 리턴 스프링(34)의 탄성력을 매개로 고정됨과 더불어 부재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1관통 구멍(36a)을 갖춘 제1고정 플레이트(36)와, 이 제1고정 플레이트(36)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0)내에 리턴 스프링(20)의 탄성력을 매개로 고정됨과 더불어 부재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2관통 구멍(38a)을 갖춘 제2고정 플레이트(38), 이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제2관통 구멍(38a)내에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36)의 제1관통 구멍(36a)을 향해 배치되는 다수개의 밸브 부재(40),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하부에서 리턴 스프링(20)의 탄성력을 매개로 유동 통로(16)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플레이트(42) 및, 이 가동 플레이트(42)의 저면에는 상기 플런져(26)의 내부로 삽입됨과 더불어 부재를 관통하는 제1연통 구멍(44a)과 제2연통 구멍(44b)이 층상으로 형성된 끼움부(44)를 갖추고서, 상기 유동 통로(16)의 상부에서 차량의 거동 자세 변화의 정도에 따라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유동 통로(16)의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과, 상기 연통 통로(18)를 통해 배출구(14)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동량을 각각 조절하는 유동량 조절 수단 및;
    상기 유동 통로(16)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설되어 유동 통로(16)와 연통 통로(18) 사이의 교통을 조절하는 플런져(26)와, 이 플런져(26)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시 플런져(26)에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로터(28) 및, 이 로터(28)에 일측 선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차축과 차체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에어 스프링으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는 레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36)상에 형성된 제1관통 구멍(36a)을 폐쇄시키는 머리부(40a)를 갖춤과 더불어, 이 머리부(40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38)의 제2관통 구멍(38a)내에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다리부(40b)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40b)의 길이는 각각 상이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KR10-2001-0079383A 2001-12-14 2001-12-14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KR10047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383A KR100471811B1 (ko) 2001-12-14 2001-12-14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DE10253172A DE10253172B4 (de) 2001-12-14 2002-11-14 Niveauregelventil für ein Fahrzeug
US10/319,007 US6948721B2 (en) 2001-12-14 2002-12-13 Variable leveling valve apparatus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383A KR100471811B1 (ko) 2001-12-14 2001-12-14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224A KR20030049224A (ko) 2003-06-25
KR100471811B1 true KR100471811B1 (ko) 2005-03-08

Family

ID=1971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383A KR100471811B1 (ko) 2001-12-14 2001-12-14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48721B2 (ko)
KR (1) KR100471811B1 (ko)
DE (1) DE1025317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3399B4 (de) * 2003-01-29 2013-08-29 Wabco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Luftfederungsanlage für ein Fahrzeug
DE102004051740B4 (de) * 2004-10-23 2007-06-28 Haldex Brake Products Gmbh Verfahren zur Veränderung eines Niveaus eines Nutzfahrzeuges mit Luftfederungsanlage
JP5501669B2 (ja) * 2009-06-18 2014-05-2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レベリングバルブ
KR102199904B1 (ko) * 2015-12-09 2021-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EP3208119A1 (de) * 2016-02-18 2017-08-23 Haldex Brake Products Aktiebolag Mechanisch betätigte niveauregelventileinrichtung
US10479159B2 (en) * 2016-04-04 2019-11-19 Barksdale, Inc. Ride height leveling with selectable configurations: system and method
US9975392B2 (en) 2016-06-20 2018-05-22 System Integrators International, LLC Dual-action rotary dynamic load stabilization pneumatic valve system
JP6691078B2 (ja) * 2017-08-24 2020-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高制御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9514U (ja) * 1982-10-14 1984-04-18 富士金属株式会社 袋ナツト
JPH04238714A (ja) * 1991-01-11 1992-08-26 Hino Motors Ltd レベリングバルブ
JPH0665020U (ja) * 1993-02-25 1994-09-13 三輪精機株式会社 レベリングバルブ
KR970005687A (ko) * 1995-07-31 1997-02-19 전성원 캡 에어 서스팬션용 레벨링 밸브
KR19980059817A (ko) * 1996-12-31 1998-10-07 김영석 차량 현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64123A (ko) * 1957-03-05 1900-01-01
US2970614A (en) * 1958-03-03 1961-02-07 Republic Mfg Co Control device for vehicle suspension
US3352565A (en) * 1965-04-28 1967-11-14 Int Harvester Co Servomechanism and vehicle suspension employing same
US3559688A (en) * 1965-06-04 1971-02-02 Mack Trucks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US3480293A (en) * 1966-09-15 1969-11-25 Arthur E Vogel Control system for vehicle suspensions
US3691336A (en) * 1968-01-08 1972-09-12 Monroe Auto Equipment Co Vehicle leveling system switch having vibrating preventing means
GB1251224A (ko) * 1968-08-21 1971-10-27
US4091738A (en) * 1976-02-18 1978-05-3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Stabilized fluid railway car suspension
US4077617A (en) * 1976-06-03 1978-03-07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Vehicle leveling valve device with dampening arrangement
US4433872A (en) * 1981-11-09 1984-0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Pressure modified brake actuating pressure proportioner
DE3446810C1 (de) * 1984-12-21 1986-06-12 Graubremse Gmbh, 6900 Heidelberg Niveauregelventil mit Hoehenbegrenzung
US4886092A (en) * 1988-10-24 1989-12-12 Ridewell Corporation Leveling valve
DE4007828C1 (ko) * 1990-03-12 1991-07-11 Grau Gmbh, 6900 Heidelberg, De
US5161817A (en) * 1990-10-16 1992-11-10 Imo Industries Inc. Fluid-operated leveling valve systems
DE4037461C1 (ko) 1990-11-24 1992-05-14 Grau Gmbh, 6900 Heidelberg, De
US5161579A (en) * 1991-06-06 1992-11-10 Hadley Products, Division Of Nelson Metal Products, Corp. Leveling valve for air springs
US5220982A (en) * 1991-06-06 1993-06-22 Hadley Products Dampener
DE4202729C2 (de) 1991-06-24 1993-11-25 Grau Gmbh Steueranlage zum willkürlichen Heben und Senken des Fahrzeugaufbaus von luftgefederten Fahrzeugen
DE4440232A1 (de) * 1993-11-23 1995-05-24 Barksdale Inc Fluidventil
JPH08197931A (ja) * 1995-01-23 1996-08-06 Honda Motor Co Ltd 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19504296C1 (de) * 1995-02-09 1996-06-27 Grau Gmbh Luftfederventil mit Feineinstellung
US5560591A (en) * 1995-05-02 1996-10-01 Hadley Products Leveling valve for air springs
US5651555A (en) * 1995-11-13 1997-07-29 Barksdale, Inc. Fluid-operated leveling valve systems
DE19607619C1 (de) 1996-02-29 1997-07-31 Grau Gmbh Niveauregelventil zum selbsttätigen Konstanthalten der Fahrzeughöhe eines Nutzfahrzeuges mit Luftfederung
DE19636002C1 (de) 1996-09-05 1997-10-16 Grau Gmbh Niveauregelventil zum selbsttätigen Konstanthalten der Fahrzeughöhe eines Nutzfahrzeuges mit Luftfederung
CA2342172C (en) * 1998-08-31 2007-03-27 Holland Neway International, Inc. Vehicle suspension and rotary height control valve for same
US6308793B1 (en) * 1999-03-22 2001-10-30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 Proportional load transfer valve for suspension control with 6×2 automatic traction control
DE19923456C5 (de) * 1999-05-21 2008-07-2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Niveauregelventil für die Luftfederung von Fahrzeugen, insbesondere Nutzfahrzeugen
US6203026B1 (en) * 1999-09-22 2001-03-20 Marcus Jones Air suspension override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9514U (ja) * 1982-10-14 1984-04-18 富士金属株式会社 袋ナツト
JPH04238714A (ja) * 1991-01-11 1992-08-26 Hino Motors Ltd レベリングバルブ
JPH0665020U (ja) * 1993-02-25 1994-09-13 三輪精機株式会社 レベリングバルブ
KR970005687A (ko) * 1995-07-31 1997-02-19 전성원 캡 에어 서스팬션용 레벨링 밸브
KR19980059817A (ko) * 1996-12-31 1998-10-07 김영석 차량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224A (ko) 2003-06-25
DE10253172A1 (de) 2003-07-03
US20030111807A1 (en) 2003-06-19
DE10253172B4 (de) 2006-10-19
US6948721B2 (en) 200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660B1 (ko)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가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0471811B1 (ko)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US4206934A (en) Control valve mechanism for an air spring vehicle suspension
CN101451586B (zh) 减震器
KR100854598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JP6209540B2 (ja) 空気ばね用の制御弁、及び制御弁を有する車両座席
WO2021073650A1 (zh) 一种调节阻尼力和高度的装置、座椅和车辆悬架系统
KR20050120980A (ko) 자동차의 가변흡기 시스템
KR100471810B1 (ko)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KR100423302B1 (ko) 이중특성 곡선을 갖는 에어서스펜션
KR100854597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US2919930A (en) Height extending control apparatus for air suspension
KR20210076802A (ko) 에어 스프링 장치
CN219176860U (zh) 用于减震器的流量调节阀、减震器以及车辆
KR100633692B1 (ko) 릴리프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쇽업소버
KR100326376B1 (ko)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CN219345357U (zh) 用于减震器的流量调节阀、减震器以及车辆
JPH0545809B2 (ko)
KR100422556B1 (ko)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CN113251177B (zh) 流量控制阀、车辆悬架减振器总成及车辆悬架系统
JPH08200430A (ja) 緩衝器
KR100565374B1 (ko)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KR20030042604A (ko)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JPH0678042B2 (ja) 車高調整装置
JP2551347Y2 (ja) 車高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