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376B1 -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376B1
KR100326376B1 KR1019990023271A KR19990023271A KR100326376B1 KR 100326376 B1 KR100326376 B1 KR 100326376B1 KR 1019990023271 A KR1019990023271 A KR 1019990023271A KR 19990023271 A KR19990023271 A KR 19990023271A KR 100326376 B1 KR100326376 B1 KR 100326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uxiliary
air spring
vehicle
level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110A (ko
Inventor
김문겸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2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3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곡이 심한 노면을 급선회할 때 선회측의 공기스프링내에 잔류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켜 차량의 거동자세를 단시간내에 안정되게 유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선회반대측의 급격한 하중의 증가를 방지하여 공기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좌우측부로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 공기스프링(1)과, 이 공기스프링(1)에 공기유동관로(3)를 매개로 연결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적절하게 서어지탱크(2)내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기스프링(1)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도록 된 레벨링밸브(10)를 갖추고서 차고를 조절하도록 된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에서, 상기 레벨링밸브(10)의 상부에는 레버(14)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보조레버(21)를 갖춘 보조레벨링밸브(20)가 각각 설치되고, 이 보조레벨링밸브(20)는 반대측의 공기스프링(1)과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되어져, 선회시 하중이 증가하는 쪽에 설치된 레벨링밸브(10)의 레버(14)가 상승할 경우에 보조레버(21)가 보조레벨링밸브(20)를 개방시켜 반대측 공기스프링(1)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air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곡이 심한 노면의 주행시 차량의 거동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급격한 하중의 증가에 따른 공기스프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장착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현가장치중에서 압축된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여 차체에 적재되는 하중에 따라 차량의 지상고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자세를 안정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현가장치가 있는 바, 이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공기현가장치는 차량의 전/후방 각 차륜측에 공기스프링(1)이 서어지탱크(2)를 구비하고서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이 공기스프링(1)은 다시 공기유동관로(3)를 매개로 압력조절밸브(4)와 연결되며, 이 압력조절밸브(4)는 공기압축기(5)와 연결되는 한편, 상기 공기유동관로(3)상에는 보조탱크(6)와 배수기(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5)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압력조절밸브(4)를 거쳐 일정압력으로 조절받은 다음 공기유동관로(3)를 통해 각 차륜에 설치된 서어지탱크(2)내로 유입되고, 이 서어지탱크(2)내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레벨링밸브(도시안됨)의 제어를 받아 공기스프링(1)내로 적절하게 유입되거나 공기스프링(1)으로부터 배출되며, 이 결과 상기 공기스프링(1)은 주행시 차체의 높이를 안정되게 유지시킴은 물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의 공기현가장치에서 공기스프링(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으로부터 연장된 차축지지부재(13) 사이에 설치되고, 이 공기스프링(1)으로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적절하게 압축공기를 공급 내지 배출시키는 레벨링밸브(10)는 차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기스프링(1)과 레벨링밸브(10) 사이에는 공기유동관로(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밸브(10)에는 차축지지부재(13)로부터 연결된 지지로드(15)에 일단이 결합된 레버(14)가 구비되는 바, 이 레버(14)는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에 따라 상기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화할 때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레벨링밸브(10)의 내부에 있는 공기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압축공기가 공기스프링(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거나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레벨링밸브(10)에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서어지탱크(2)와 공기유동관로(3)를 매개로 연통되는 유입포트(10a)와, 상기 공기스프링(1)과 역시 공기유동관로(3)를 매개로 연통되는 유출포트(10b) 및, 상기 공기스프링(1)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배기포트(10c)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밸브(10)의 유입포트(10a)와 유출포트(10b) 및 배기포트(10c)는 각각 레버(14)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내지 폐쇄되는 데, 이를 위해 상기 레벨링밸브(10)의 내부에는 도 3a,3b,3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포트(10a)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1이동부재(16)와, 상기 배기포트(10c)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2이동부재(17)가 구비되는 바, 이 제1이동부재(16)와 제2이동부재(17)는 각각 배면이 리턴스프링(18)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면서 상기 레버(14)의 회동에 따라 일체로 회동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돌출된 돌기부(19a,19b)를 갖춘 가압부재(19)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려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14)가 중립위치일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9)의 상/하측의 돌기부(19a,19b)는 각각 제1이동부재(16)와 제2이동부재(17)와 이격된 상태가 되어, 상기 레벨링밸브(10)의 유입포트(10a)와 배기포트(10c)는 각각 리턴스프링(18)에 의해 배면이 탄력적으로 지지받는 제1이동부재(16)와 제2이동부재(17)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서어지탱크(2)로부터 공기스프링(1)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은 물론, 상기 배기포트(10c)를 통한 공기스프링(1)내의 압축공기의 배출이 배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프레임(11)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거나, 노면으로부터 충격에 의한 하중이 차체로 전달되어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 사이의 이격거리가 좁아져 상기 레버(14)가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9)의 상측의 돌기부(19a)만이 제1이동부재(16)와 접촉되면서 이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벨링밸브(10)의 유입포트(10a)는 개방되면서 상기 서어지탱크(2)로부터 압축공기가 유출포트(10b)를 통해 공기스프링(1)내로 공급되어 공기스프링(1)은 팽창되게 되므로, 상기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 사이에 좁아졌던 이격거리는 원래 상태대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11)에 가해지는 하중이 작아져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레버(14)가 하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9)의 하측의 돌기부(19b)만이 제2이동부재(17)와 접촉되면서 이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벨링밸브(10)의 배기포트(10c)는 개방되면서 상기 공기스프링(1)내에 있던 압축공기가 배기포트(10c)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공기스프링(1)이 수축되므로, 상기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 사이에 넓어졌던 이격거리는 원래 상태대로 복귀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공기현가장치를 구비한 차량이 굴곡이 심한 노면을 주행하면서 급격한 선회를 할 때에는 선회반대측의 공기스프링(1)은 차체의 하중을 받아 크게 수축되는 반면에, 선회측의 공기스프링(1)은 상대적으로 차체의 하중을 덜 받게 되어 오히려 팽창되는 바, 이때 선회반대측의 레벨링밸브(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용을 하여 선회반대측으로 설치된 공기스프링(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차량의 거동자세를 안정되게 하지만, 상기 서어지탱크(2)로부터 공기유동관로(3)와 레벨링밸브(10)를 거쳐 공기스프링(1)내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차고가 정상적으로 회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다소 길기 때문에 응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는 상기 공기스프링(1)이 승차감과 조정성을 개선하고자 장착된 것임을 고려해 볼 때, 상기와 같은 응답성의 저하는 승차감을 향상시키는데 절대적인 악영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굴곡이 심한 노면을 주행함에 있어 급격한 선회시 선회반대측으로 설치된 공기스프링(1)은 순간적으로 차체의 하중을 급격하게 받음으로 인해 수축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면 공기스프링(1)에는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게 되어 공기스프링(1)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굴곡이 심한 노면을 급선회할 때 선회측의 공기스프링내에 잔류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켜 차량의 거동자세를 단시간내에 안정되게 유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선회반대측의 급격한 하중의 증가를 방지하여 공기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좌우측부로 차체프레임과 차축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 공기스프링과, 이 공기스프링에 공기유동관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적절하게 서어지탱크내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기스프링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도록 된 레벨링밸브를 갖추고서 차고를 조절하도록 된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에서, 상기 레벨링밸브의 상부에는 레버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보조레버를 갖춘 보조레벨링밸브가 각각 설치되고, 이 보조레벨링밸브는 반대측의 공기스프링과 보조공기유동관로를 매개로 연통되어져, 선회시 하중이 증가하는 쪽에 설치된 레벨링밸브의 레버가 상승할 경우에 보조레버가 보조레벨링밸브를 개방시켜 반대측 공기스프링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현가장치에서 공기스프링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a,3b,3c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레벨링밸브의 작동을 구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현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5a,5b,5c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보조레벨링밸브의 작동을 구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공기스프링 2-서어지탱크
3-공기유동관로 10-레벨링밸브
11-차체프레임 12-차축
13-차축지지부재 14-레버
20-보조레벨링밸브 20a-흡입포트
20b-배기포트 21-보조레버
22-보조공기유동관로 23-이동부재
24-리턴스프링 25-가압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현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인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위해 종래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하면서 이를 참고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이 심한 노면의 주행중 급선회시 선회반대측으로 하중이 집중될 경우에 선회측의 차체프레임(11)과 차축지지부재(13) 사이에 설치된 공기스프링(1)내에 봉입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켜 선회측과 선회반대측의 차고를 단시간내에 동일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거동자세를 안정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으로부터 연장된 차축지지부재(13) 사이에 설치된 공기스프링(1)으로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적절하게 압축공기를 공급 내지 배출시키도록 된 레벨링밸브(10)의 상부에는 보조레벨링밸브(20)가 설치되고, 이 보조레벨링밸브(20)에는 상기 레벨링밸브(10)에 장착되어 차체의 하중에 따라 회동되는 레버(14)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인접한 위치에 보조레버(21)가 설치되며, 이 보조레버(21)를 갖춘 상기 보조레벨링밸브(20)는 반대측의 공기스프링(1)과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되어 있다.
즉,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보조레벨링밸브(20)는 우측의 공기스프링(1)과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되며,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보조레벨링밸브(20)는 좌측의 공기스프링(1)과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되어 있는 바, 즉 상기 보조공기유동관로(22)는 차체에 대해 각각 'X' 형태로 배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레벨링밸브(20)에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공기스프링(1)과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되는 흡입포트(20a)와, 상기 공기스프링(1)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배기포트(20b)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흡입포트(20a)와 배기포트(20b)는 각각 보조레벨링밸브(20)에 설치되어 레벨링밸브(10)에 구비된 레버(14)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되는 보조레버(2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물론, 상기 보조레벨링밸브(20)의 보조레버(21)는 레버(14)의 상 방향 이동시 이 레버(14)의 이동에 의해 접촉되면서 갑압되어 함께 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보조레벨링밸브(20)에는 도 5a,5b,5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스프링(1)과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된 흡입포트(20a)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이동부재(23)가 구비되는 바, 이 이동부재(23)는 배면이 리턴스프링(24)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면서 상기 보조레버(21)의 회동에 따라 일체로 회동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25a)를 갖춘 가압부재(25)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려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14)의 회동에 따른 보조레벨링밸브(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보조레버(21)가 중립위치일 때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25)의 상측에 형성된 돌기부(25a)는 이동부재(23)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보조레벨링밸브(20)의 흡입포트(20a)는 리턴스프링(24)에 의해 배면이 탄력적으로 지지받는 이동부재(23)에 의해 폐쇄되어 흡입포트(20a)와 배기포트(20b) 사이의 교통은 단절되는데, 이때 상기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된 반대측의 공기스프링(1)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폐쇄된 흡입포트(20a)에 의해 배기포트(20b)로 유동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반해, 상기 차체프레임(11)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거나, 노면으로부터 충격에 의한 하중이 차체로 전달되어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 사이의 이격거리가 좁아져 상기 레벨링밸브(10)의 레버(14)가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보조레벨링밸브(20)의 보조레버(21)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25)의 상측 돌기부(25a)가 이동부재(23)와 접촉되면서 이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조레벨링밸브(20)의 흡입포트(20a)는 개방되면서 흡입포트(20a)와 배기포트(20b)가 교통상태가 되므로, 상기 반대측의 공기스프링(1)내 저장된 압축공기는 배기포트(20b)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반대측의 공기스프링(1)은 급격하게 수축된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11)에 가해지는 하중이 작아져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레버(14)가 하측방향으로 회동되면 이 레버(14)에 접촉된 상태로 상 방향으로 이동되었던 보조레벨링밸브(20)의 보조레버(21)가 상기 레버(14)의 하 방향이동에 의해 접촉되면서 가압되었던 구속력이 해제 되므로 자동적으로 하방향으로 회동되어 복원 되는데 이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25)의 돌기부(25a)가 보조레버(21)가 중립위치일 때 마찬가지로 이동부재(23)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보조레벨링밸브(20)의 흡입포트(20a)와 배기포트(20b) 사이의 교통은 단절되어 반대측의 공기스프링(1)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대기중으로 방출될 수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노면의 굴곡이 심한 도로를 주행하다 급격한 좌회전을 하게 되면, 선회반대측인 차체의 우측으로 급격한 하중의 이동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차체의 우측으로 설치된 공기스프링(1)은 급격한 압축력을 받아 수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로드(15)에 의해 레버(14)가 상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레벨링밸브(10)는 종전과 동일하게 서어지탱크(2)내의 압축공기를 선회반대측인 우측의 공기스프링(1)으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선회반대측 우측공기스프링(1)으로 압축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레벨링밸브(1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방향으로 회동되는 레버(14)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있는 보조레버(21)가 상기 레버(14)의 상 방향 이동에 의해 접촉되어 가압되면서 함께 상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선회반대측의 보조레벨링밸브(20)의 흡입포트(20a)와 배기포트(20b)는 서로 교통되므로, 상기 선회측에 장착된 공기스프링(1)내의 압축공기는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통해 선회반대측의 보조레벨링밸브(20)의 교통된 흡입포트(20a)와 배기포트(20b)를 매개로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선회측의 공기스프링(1)은 급격하게 수축되어 선회측과 선회반대측에 각각 장착된 공기스프링(1)의 높이는 단시간내에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회종료후에는 상기 선회측과 선회반대측의 높이가 낮아진 공기스프링(1)으로는 다시 레버(14)에 의한 레벨링밸브(10)의 제어기 이루어져, 양측의 공기스프링(1)으로는 다시 서어지탱크(2)내의 압축공기가 보충되므로 정상적인 차고의 유지는 가능해 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반대측의 차체프레임(11)과 차축지지부재(13) 사이에 설치된 공기스프링(1)과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되는 보조레벨링밸브(20)를 갖춤과 더불어, 이 보조레벨링밸브(20)의 개폐가 차량의 하중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레벨링밸브(10)의 개폐동작에 관여하는 레버(14)에 의해 회동되는 보조레버(21)에 의해 조절되어지면, 굴곡이 심한 노면을 주행중 급선회시에 차량의 하중이 선회반대측으로 일시에 집중될 경우에도 선회측의 차체프레임(11)과 차축지지부재(13) 사이에 설치된 공기스프링(1)내 압축공기가 보조레벨링밸브(20)를 매개로 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어, 단시간내에 차량의 거동자세를 안정되게 회복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정상적인 상태의 차고로 복귀되게 하는 현가장치의 응답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급격한 선회시 선회반대측으로 일시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공기스프링(1)이 급격하게 수축되는 것을 선회측에 장착된 공기스프링(1)의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켜 양측의 공기스프링(1)의 높이를 단시간내에 동일수준까지 맞출 수 있게 되면, 선회반대측의 공기스프링(1)에 가해지는 압축력의 부담을 덜 수 있어 공기스프링(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에 의하면, 굴곡이 심한 노면을 주행중 급선회시에 차량의 하중이 선회반대측으로 일시에 집중될 경우에 선회측으로 설치된 공기스프링의 압축공기를 선회반대측으로 장착되어 동작되는 보조레벨링밸브를 매개로 하여 대기중으로 단시간내에 배출시킴으로써 차량의 거동자세를 안정되게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공기스프링에 가해지는 압축력의 부담도 덜 수 있어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정정)차량의 좌우측부로 차체프레임(11)과 차축(12)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 공기스프링(1)과, 이 공기스프링(1)에 공기유동관로(3)를 매개로 연결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적절하게 서어지탱크(2)내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기스프링(1)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도록 된 레벨링밸브(10)를 갖추고서 차고를 조절하도록 된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밸브(10)의 상부에는 레버(14)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레버(14)의 이동간격내에 위치된 보조레버(21)를 갖춘 보조레벨링밸브(20)가 각각 설치되고, 이 보조레벨링밸브(20)는 반대측의 공기스프링(1)과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되어져, 선회시 하중이 증가하는 쪽에 설치된 레벨링밸브(10)의 레버(14)가 상승할 경우에 보조레버(21)가 보조레벨링밸브(20)를 개방시켜 반대측 공기스프링(1)내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벨링밸브(20)는 내부에 반대측 공기스프링(1)과 보조공기유동관로(22)를 매개로 연통되는 흡입포트(20a)와, 이 흡입포트(20a)의 개방시 내부의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배기포트(20b)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흡입포트(20a)내에는 리턴스프링(24)을 매개로 이동부재(23)가 탄발지지되게 설치되고, 이 이동부재(23)에는 보조레버(21)의 회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돌기부(25a)를 갖춘 가압부재(25)가 다소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KR1019990023271A 1999-06-21 1999-06-21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KR10032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271A KR100326376B1 (ko) 1999-06-21 1999-06-21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271A KR100326376B1 (ko) 1999-06-21 1999-06-21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110A KR20010003110A (ko) 2001-01-15
KR100326376B1 true KR100326376B1 (ko) 2002-02-28

Family

ID=1959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271A KR100326376B1 (ko) 1999-06-21 1999-06-21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148B1 (ko) * 2001-09-07 2004-04-08 주식회사 파워팩엔지니어링 차량용 밸런스 유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110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557B1 (ko)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US4903982A (en)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US7621537B2 (en) Height control valve for vehicle axle/suspension system
KR102514345B1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67316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26376B1 (ko)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KR20030049224A (ko)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JPS60203516A (ja)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JP4986510B2 (ja) 鉄道車両の車体傾斜制御装置における車体姿勢復帰装置
KR20080105256A (ko) 차량 전자제어 에어서스펜션의 공압회로
JP2007030597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98203B1 (ko) 공기현가차량의 롤 방지장치
KR100857539B1 (ko)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높이제어장치
KR100475914B1 (ko)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레벨링 시스템
JPH0319451Y2 (ko)
KR20000021578U (ko)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JPH0245043Y2 (ko)
JPH08300932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の車高調整装置
JP2532516Y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用空圧回路
JPH0546962Y2 (ko)
KR200217274Y1 (ko) 차량시트용 공기스프링의 공기압조절장치
JP3964514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両における車高調整装置
KR20030049214A (ko)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KR20025643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트레일러의 차축 리프팅 장치
KR20220032763A (ko)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