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904B1 -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 Google Patents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904B1
KR102199904B1 KR1020150174915A KR20150174915A KR102199904B1 KR 102199904 B1 KR102199904 B1 KR 102199904B1 KR 1020150174915 A KR1020150174915 A KR 1020150174915A KR 20150174915 A KR20150174915 A KR 20150174915A KR 102199904 B1 KR102199904 B1 KR 102199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p
chamber
lifting ro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662A (ko
Inventor
김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9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62D33/0608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pneumatic or hydraul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양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한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는, 프레임과 캡 사이에 설치된 에어스프링(13)과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11)에 일측이 고정되는 밸브하우징(21)과, 상단이 상기 캡에 고정되고, 상기 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하우징(2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에어관로(22a)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 공급될 공기를 상기 밸브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승강로드(22)와, 상기 밸브하우징(21)에서 상기 승강로드(22)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23)(2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LEVELING VALVE FOR SUSPENSION OF CAP IN COMMERCIAL VEHICLE}
본 발명은 상용차에서 캡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상용차의 프레임과 상기 캡 사이에 연결된 에어스프링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되도록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양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한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트럭과 같은 상용차에서는 차량의 프레임에 대하여 탑승자가 탑승하는 캡이 일정 높이 승강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상기 캡이 설치된다.
상기 상용차에서는 차륜이 설치된 부위의 서스펜션은 고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캡 사이에 별도의 캡 서스펜션을 설치하여,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캡이 일정 높이로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된다.
한편, 상기 캡의 높이를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용차의 프레임(11)에 링크연결된 커넥팅암(14)과 상기 캡 사이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에어스프링(13)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 상기 캡의 승강에 따라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기를 배출시키는 레벨링 밸브(120)가 설치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레벨링 밸브(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에 체결된 어퍼브라켓(1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벨링 밸브(120)는 상기 레벨링 밸브(1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공급라인(13a)과 연결되는 에어유입포트(120a)와, 상기 레벨링 밸브(120)와 상기 에어스프링(13)를 연결하는 에어유입라인(13b)이 연결되는 에어공급포트(120b)와, 상기 레벨링 밸브(120)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에어배출포트(120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벨링 밸브(120)가 상기 캡의 승강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프레임(11)에 일체로 체결된 마운팅 브라켓(15)에 하단이 연결되는 레벨링로드(121)와, 상기 레벨링로드(121)의 상단과 상기 레벨링 밸브(12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밸브레버(122)가 설치된다.
상기 레벨링 로드(121)의 하단은 상기 프레임(11) 측에 연결되고, 상기 레벨링 밸브(120)는 캡 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레벨링 로드(121)가 승강하면서, 상기 레벨링 밸브(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캡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도 2의 상태로부터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작동된다. 즉, 상기 캡이 하강하면, 상기 캡에 체결된 어퍼브라켓(13)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밸브레버(122)는 시계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레벨링 밸브(120)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유입포트(120a)와 상기 에어공급포트(120b)가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유입포트(120a)와 상기 에어공급포트(120b)가 연통되면, 상기 에어공급라인(13a)으로 유입된 가압된 공기가 상기 에어공급라인을 통하여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 공급된다. 상기 에어스프링(13)의 내부로 가압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에어스프링(13)은 신장된다. 따라서, 하강된 상기 캡을 상기 에어스프링(13)이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캡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캡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도 2의 상태로부터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캡의 상승으로 상기 어퍼브라켓(13)이 상승하면, 상기 밸브레버(122)는 반시계방향(도 4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레버(122)는 상기 레벨링 밸브(120)에서 상기 에어공급포트(120b)와 상기 에어배출포트(120c)를 연통시킨다. 상기 에어공급포트(120b)와 상기 에어배출포트(120c)가 연통되면, 상기 에어스프링(13)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유입라인(13b)과 상기 에어배출포트(120c)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상기 에어스프링(13)은 수축한다. 상기 에어스프링(13)의 수축으로 상기 캡이 하강하여 그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120)는 상기 레벨링 밸브(120)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레벨링로드(121)와 상기 밸브레버(122)를 구비하고, 이를 링크연결시켜야 하므로, 상기 레벨링 밸브(120)의 조립 또는 상기 레벨링 밸브(120)의 정비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레벨링 로드(121)와 상기 밸브레버(122)를 링크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연결부위에 볼팅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주변에 설치된 다른 부품들로 인하여, 볼트를 체결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불편하였다.
또한, 공간이 협소하고 다른 부품들로 인하여, 조립, 정비시 작업자가 손, 팔 등에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6-0056483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고, 양단이 프레임과 캡측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캡의 승강시 바로 에어스프링으로 공기가 공급되거나 상기 에어스프링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는, 프레임과 캡 사이에 설치된 에어스프링과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는 밸브하우징과, 상단이 상기 캡에 고정되고, 상기 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에어관로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될 공기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승강로드와, 상기 밸브하우징에서 상기 승강로드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밸브하우징의 중간에는 상기 에어스프링과 연통되는 중간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챔버의 일측으로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에어스프링을 연결하는 에어유입라인이 접속되는 에어공급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로드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중간챔버로 공기가 이동하는 에어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관로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관로와 상기 중간챔버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배출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하우징에서 상기 중간챔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기 승강로드를 상기 밸브하우징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상부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챔버에는 상기 승강로드를 상기 밸브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하부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로드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스프링은 상기 상부챔버의 상부면과 상기 스프링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스프링은 상기 하부챔버에서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과 상기 하부챔버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챔버의 일측에 상기 밸브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배출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중간챔버 사이에는 상기 승강로드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캡이 정위치에 위치하거나 상기 캡이 상승하면 상기 연통공이 위치하는 기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이 하강하면 상기 연통공이 상기 기밀부로부터 상기 중간챔버로 이동하여, 상기 에어관로와 상기 중간챔버가 연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이 상승하면, 상기 승강로드는 그 하단이 상기 하부챔버로부터 상기 중간챔버로 이동하여, 상기 중간챔버와 상기 하부챔버가 연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캡이 정위치에 있거나, 상기 캡이 하강하면,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이 상기 하부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챔버와 상기 하부챔버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챔버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챔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챔버에서 상기 에어공급포트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에 따르면, 양단이 직접 상용차의 프레임과 캡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레벨링 로드나 밸브레버와 같은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가 프레임과 캡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가 작동전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가 캡의 승강에 따라 에어스프링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에어스프링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가 프레임과 캡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가 작동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가 캡의 승강에 따라 에어스프링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에어스프링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20)는, 프레임과 캡 사이에 설치된 에어스프링(13)과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11)에 일측이 고정되는 밸브하우징(21)과, 상단이 상기 캡에 고정되고, 상기 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하우징(2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에어관로(22a)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 공급될 공기를 상기 밸브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승강로드(22)와, 상기 밸브하우징(21)에서 상기 승강로드(22)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23)(24)를 포함한다.
밸브하우징(21)은 하단이 상용차의 프레임(11) 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밸브하우징(21)의 하단은 상기 프레임(1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프레임(11)에 체결된 마운팅 브라켓(1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21)에는 승강로드(22)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하우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하우징(21)은 상부로부터 상부챔버(21a), 중간챔버(21b) 및 하부챔버(21c)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챔버(21a)는 상부스프링(23)이 설치되는 공간이 되고, 중간챔버(21b)는 에어스프링(13)과 연통하는 공간이 되며, 하부챔버(21c)는 하부스프링(24)이 설치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중간챔버(21b)의 일측에는 상기 중간챔버(21b)와 상기 에어스프링(13)을 연결하는 에어유입라인(13b)이 접속되는 에어공급포트(21e)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챔버(21b)는 상기 에어유입라인(13b)을 통하여 상기 에어스프링(13)과 연통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중간챔버(21b)로부터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 공기가 공급되거나,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부터 상기 중간챔버(21b)로 상기 에어스프링(13)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중간챔버(21b)에 상기 에어공급포트(21e)는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에어스프링(13)이 신축(伸縮)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간챔버(21b)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간챔버(21b)의 하단은 상기 하부챔버(21c)의 상단과 연결된다.
상기 하부챔버(21c)의 측면에는 상기 밸브하우징(21)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배출포트(21f)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스프링(13)과 상기 중간챔버(21b)가 연통되어 있고, 상기 중간챔버(21b)와 상기 하부챔버(21c)도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하부챔버(21c)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상부챔버(21a)와 상기 중간챔버(21b)의 사이에는 기밀부(21d)가 형성된다. 상기 기밀부(21d)는 상기 캡이 정위치에 있거나, 상기 캡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승강로드(22)는 상기 밸브하우징(21)의 내부에 승강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드(22)의 상단은 상기 캡에 연결된다. 상기 승강로드(22)는 상기 캡에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캡에 체결된 어퍼브라켓(12)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로드(22)는 상기 밸브하우징(21)에 삽입되어 있는 바, 상기 승강로드(22)는 상기 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하우징(21)의 내부에서 승강하면서 상기 에어스프링(13)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로드(22)는 그 내부에 상기 승강로드(22)의 길이방향으로 에어관로(22a)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관로(22a)는 외부로부터 상기 밸브하우징(21)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승강로드(22)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관로(22a)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공급포트(21e)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공급포트(21e)는 차량의 에어탱크, 에어펌프 등에 연결된 에어공급라인(13a)이 접속된다.
상기 승강로드(22)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관로(22a)와 상기 중간챔버(21b)를 연통시키는 연통공(22c)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로드(22)에서는 상기 에어공급포트(21e), 상기 에어관로(22a) 및 상기 연통공(22c)의 순으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로드(22)에서 상기 상부챔버(21a)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상기 승강로드(2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스프링시트(22d)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로드(22)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에어유입포트(22b), 상기 스프링시트(22d)가 형성되는 부분의 제외한 남지 부분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밸브하우징(21)에서 상기 기밀부(21d)와 상기 하부챔버(21c)에서는 상기 밸브하우징(2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부스프링(23)은 상기 밸브하우징(21)의 상부챔버(21a)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스프링(23)은 상기 승강로드(22)를 상기 밸브하우징(21)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로드(22)를 탄성지지한다. 특히, 상기 상부스프링(23)은 상단은 상기 상부챔버(21a)의 내측 상부면과 상기 승강로드(22)의 스프링시트(22d)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하부스프링(24)은 상기 밸브하우징(21)의 하부챔버(21c)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스프링(24)은 상기 승강로드(22)를 상기 밸브하우징(21)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을 상기 승강로드(22)를 탄성지지한다. 상기 하부스프링(24)은 상기 승강로드(22)의 하단과 상기 하부챔버(21c)의 저면 사이에 탄성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캡이 정위치, 즉 상기 캡이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이 정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기 승강로드(22)의 연통공(22c)은 상기 밸브하우징(21)의 기밀부(21d)에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포트(22b)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상기 중간챔버(21b)로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22)의 하단은 상기 하부챔버(21c)에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중간챔버(21b)와 상기 하부챔버(21c)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스프링(13)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지도 않고,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지도 않는 상태이다.
도 7에는 상기 캡이 하강하였을 때의 상기 레벨링 밸브(20)의 작동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이 하강하면, 상기 캡과 함께 상기 승강로드(22)도 하강한다. 상기 승강로드(22)가 하강하면, 상기 연통공(22c)은 상기 기밀부(21d)로부터 상기 중간챔버(21b)로 이동하여, 상기 에어관로(22a)와 상기 중간챔버(21b)를 연통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 에어유입포트(22b)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관로(22a), 상기 연통공(22c), 상기 중간챔버(21b) 및 상기 에어공급포트(21e)를 거쳐 상기 에어스프링(13)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에어스프링(13)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에어스프링(13)은 신장되면서 상기 캡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상기 캡이 하강하면, 상기 에어스프링(13)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캡을 상승시켜 상기 캡이 정위치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캡이 상승한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작동한다. 상기 캡이 상승하면, 상기 승강로드(22)도 함께 상승한다.
상기 밸브하우징(21) 내에서 상기 승강로드(22)가 상승하면, 상기 연통공(22c)은상기 기밀부(21d)에 위치하고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은 차단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승강로드(22)의 하단이 상기 하부챔버(21c)로부터 상승하여 중간챔버(21b)에 위치한다. 상기 승강로드(22)의 하단이 상기 중간챔버(21b)에 위치하면, 상기 하부챔버(21c)와 상기 중간챔버(21b)가 연통되므로, 상기 에어스프링(13)의 공기가 상기 에어공급포트(21e), 상기 중간챔버(21b), 상기 하부챔버(21c) 및 상기 에어배출포트(21f)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에어스프링(13)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에어스프링(13)은 수축되면서, 상기 캡을 하강시키므로, 상승된 캡을 적정한 위치로 하강시켜 정위치가 되도록 한다.
상기 상용차가 운행중이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캡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11 : 프레임 12 : 어퍼브라켓
13 : 에어스프링 13a : 에어공급라인
13b : 에어유입라인 14 : 커넥팅암
15 : 마운팅 브라켓 20 : 레벨링 밸브
21 : 밸브하우징 21a : 상부챔버
21b : 중간챔버 21c : 하부챔버
21d : 기밀부 21e : 에어공급포트
21f : 에어배출포트 22 : 승강로드
22a : 에어관로 22b : 에어유입포트
22c : 연통공 22d : 스프링시트
23 : 상부스프링 24 : 하부스프링
120 : 레벨링밸브 120a : 에어유입포트
120b : 에어공급포트 120c : 에어배출포트
121 : 레벨링로드 122 : 밸브레버

Claims (14)

  1. 프레임과 캡 사이에 설치된 에어스프링과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는 밸브하우징과,
    상단이 상기 캡에 고정되고, 상기 캡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에어관로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될 공기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승강로드와,
    상기 밸브하우징에서 상기 승강로드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밸브하우징의 중간에는 상기 에어스프링과 연통되는 중간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챔버의 일측으로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에어스프링을 연결하는 에어유입라인이 접속되는 에어공급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중간챔버로 공기가 이동하는 에어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관로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유입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관로와 상기 중간챔버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배출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에서 상기 중간챔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기 승강로드를 상기 밸브하우징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상부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챔버에는 상기 승강로드를 상기 밸브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하부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스프링은 상기 상부챔버의 상부면과 상기 스프링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프링은 상기 하부챔버에서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과 상기 하부챔버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의 일측에 상기 밸브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배출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중간챔버 사이에는 상기 승강로드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캡이 정위치에 위치하거나 상기 캡이 상승하면 상기 연통공이 위치하는 기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하강하면 상기 연통공이 상기 기밀부로부터 상기 중간챔버로 이동하여, 상기 에어관로와 상기 중간챔버가 연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승하면, 상기 승강로드는 그 하단이 상기 하부챔버로부터 상기 중간챔버로 이동하여, 상기 중간챔버와 상기 하부챔버가 연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캡이 정위치에 있거나, 상기 캡이 하강하면,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이 상기 하부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챔버와 상기 하부챔버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챔버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챔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챔버에서 상기 에어공급포트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KR1020150174915A 2015-12-09 2015-12-09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KR102199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15A KR102199904B1 (ko) 2015-12-09 2015-12-09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15A KR102199904B1 (ko) 2015-12-09 2015-12-09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662A KR20170068662A (ko) 2017-06-20
KR102199904B1 true KR102199904B1 (ko) 2021-01-11

Family

ID=5928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915A KR102199904B1 (ko) 2015-12-09 2015-12-09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9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717A (ja) * 1998-12-17 2000-06-27 Kayaba Ind Co Ltd レベリング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909A (en) * 1991-09-24 1994-12-13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lkali-soluble resin made from a phenolic compound and at least 2 different aldehydes
KR100471811B1 (ko) * 2001-12-14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KR20060056483A (ko) 2004-11-22 2006-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KR101393336B1 (ko) * 2007-10-09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캡 마운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717A (ja) * 1998-12-17 2000-06-27 Kayaba Ind Co Ltd レベリング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662A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908B1 (ko) 차량의 공압 서스펜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7677339B2 (en) 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
US9199524B2 (en) Vehicle air suspen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JP4896613B2 (ja) 車両
US9272598B2 (en) Suspension leveling system
KR100422557B1 (ko) 자동차의 공기현가장치
US20120319366A1 (en) Height control valve assembly for axle/suspension systems
KR102199904B1 (ko)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US20160263957A1 (en) Air ride suspension adapter assemblies
CN113247117A (zh) 一种驾驶室高度调控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KR101172121B1 (ko) 수직 에어백 제어기
EP3170686A1 (en) Piston housing for air spring
CN204383250U (zh) 一种卡车座椅气囊式减震升降机构
EP3474652B1 (en) Retrofit for farm equipment
CN104175830B (zh) 具有减振和调平双功能的汽车底板自动调平系统
JP5192244B2 (ja) キャブチルト装置
KR100951724B1 (ko) 차고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
KR200497125Y1 (ko) 에어스프링 차량 설치용 브라켓구조
KR100461371B1 (ko) 자동차 에어서스펜션의 에어리킹 방지구조
KR102380630B1 (ko) 차량의 에어스프링 장착이 용이한 보조 서스펜션구조
CN108757819B (zh) 具有可封闭的滚动柱塞腔的弹簧系统
JPH07246821A (ja) 車高調整装置
KR102306697B1 (ko) 진공탱크용 이물질유입방지 안전밸브
JP2009241640A (ja) キャブチルト装置
KR101187038B1 (ko)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및 그것에 이용되는 펌프로드 지지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