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666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666B1
KR100462666B1 KR10-2002-0078604A KR20020078604A KR100462666B1 KR 100462666 B1 KR100462666 B1 KR 100462666B1 KR 20020078604 A KR20020078604 A KR 20020078604A KR 100462666 B1 KR100462666 B1 KR 100462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diameter
reflector
pivot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1268A (ko
Inventor
도미다켄지
아이소요시아키
마츠오카켄
시라이가츠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3005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2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부를 볼 수용부로 압입하는 것이 용이하고 쉽게 빠지지 않는 볼 이음매를 갖춘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리플렉터(12)와 램프 본체(10) 사이에 개재된 에이밍 기구에 의해 리플렉터(12)가 램프 본체(1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램프로서, 에이밍 기구를 구성하는 에이밍 지점을 리플렉터(12)측의 피벗(42)과 램프 본체(10)측의 베어링(46)으로 이루어진 볼 이음매(40)로 구성하고, 피벗(42)을 기단측의 축부(43)와 선단측의 볼부(44)로 구성하며, 베어링(46)을 직경 축소부(47)를 지나 전방으로 개구하여 볼부(44)에 압접하는 볼 지지면(48)이 내주에 형성된 통형의 볼 수용부로 구성하고, 볼 수용부(46)의 개구 주연부에 여러 개의 세로 슬릿(46a)을 마련하여 볼부(44)를 볼 수용부(46)내로 압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볼부(44)를 볼 수용부(46)내로 압입하는 전방면측을 직경(D)의 볼의 구면(44a)으로 하는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에이밍 지점을 작은 압압력으로 삽입할 수 있으면서도 또한 쉽게 빠지지 않는 볼 이음매 구조로 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VEHICLE LAMP}
본 발명은 광원을 장착한 리플렉터가 에이밍 기구에 의해 램프 본체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등의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이밍 기구를 구성하는 에이밍 지점이 리플렉터측의 피벗과 램프 본체측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볼 이음매로 구성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램프로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3)을 장착하여 일체화한 합성수지제 리플렉터(2)가 합성수지제 램프 본체(1)의 전방면측에서, 1개의 에이밍 지점인 볼 이음매(4)와, 2개의 에이밍 스크류(5, 6)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이동 지점인 2개의 너트 부재(7, 8)로 구성된 에이밍 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에이밍 스크류(5, 6)는 램프 본체(1)에 설치된 스크류 삽입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램프 본체(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에이밍 스크류(5, 6)에는 리플렉터(2)의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브래킷에 장착된 합성수지제 너트 부재(7, 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에이밍 스크류(5, 6)를 회전시킴으로써 너트 부재(7, 8)가 에이밍 스크류(5, 6)를 따라 진퇴되고, 볼 이음매(4)와 다른 에이밍 스크류(6, 5)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8, 7)를 연결하는 틸팅축(Ly, Lx) 주위에서 리플렉터(2)가 틸팅하고, 이것에 의해 램프의 광축을 조정할 수 있다.
에이밍 지점을 구성하는 볼 이음매(4)는 도 11(a),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2)측에 장착된 피벗(4a)과, 램프 본체(1)측에 설치된 베어링(4b)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벗(4a)은 리플렉터(2)에 고착되는 기단측의 축부(4a1)와 선단측의 볼부(4a2)로 구성되고, 한편, 베어링(4b)은 직경 축소부(4b1)를 지나 전방으로 개구하여 볼부(4a2)에 정합하는 볼 지지면(4b2)이 내주에 형성된 통형의 볼 수용부로 구성되는 동시에, 볼 수용부(4b)의 개구 주연부에 여러 개의 세로 슬릿(4b3)이 마련되어, 볼 수용부(4b)가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분할편으로 분할되어 있고, 피벗(4a)의 볼부(4a2)를 베어링(볼 수용부; 4b)내로 압입함으로써 볼 이음매(4)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형상의 볼부(4a2) 전체가 직경 축소부(4b1)를 타고 넘도록 압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볼부(4a2)를 압입하기 위해서 큰 힘(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18 내지 19 kg/f)이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볼부(4a2)의 최대 직경 영역이 직경 축소부(4b1)를 지나간 위치에 있어도 볼부(4a2)상의 최대 직경 근방 영역이 직경 축소부(4b1)를 확장하기 때문에, 그만큼 직경 축소부(4b1)를 최대로 확장하도록 하면서 볼부(4a2)를 압입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볼부(4a2)에는 큰 압압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
또, 예컨대 차체를 통해 큰 진동이나 충격이 리플렉터(2)에 작용했을 경우에는, 리플렉터(2)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그만큼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볼 형상의 볼부(4a2)가 볼 수용부(4b)로부터 일탈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볼부(4a2)가 일탈하는 경우는, 구면형의 볼부(4a2)가 서서히 직경 축소부(4b1)를 확장시키기 때문에, 볼부(4a2)에 작용하는 볼 수용부(4b)측의 항력은 비교적 작고, 그 만큼 작은 힘에 의해 볼부(4a2)가 이탈해 버린다.
그래서, 발명자는 피벗의 볼부(4a2)를 압입측만을 구면으로 하는 반구형으로 형성하면 좋겠다고 생각하여 볼 이음매를 시험 제작하고, 효과의 정도를 확인한 바, 종래의 볼 이음매에 비하여 볼부의 압입에 필요한 힘은 작으면서도, 한편으로, 볼부의 이탈에 필요한 힘은 크다(쉽게 빠지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볼부를 볼 수용부로 압입하기 쉽고 또한 쉽게 빠지지 않는 볼 이음매를 갖춘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정면도.
도 2는 동 헤드 램프의 수평 단면도(도 1에 도시한 선 II-II를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동 헤드 램프의 종단면도(도 1에 도시한 선 III-III을 따르는 단면도).
도 4(a)는 동 헤드 램프의 에이밍 지점인 볼 이음매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동 볼 이음매의 단면도.
도 5(a)는 볼 이음매를 구성하는 피벗의 측면도, 도 5(b)는 동 피벗의 단면도[도 5(a)에 도시하는 선 V-V를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볼 이음매를 구성하는 베어링(볼 수용부)의 단면도.
도 7은 볼부를 장탈착할 때 볼부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볼부를 장착탈할 때 베어링(볼 수용부)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볼 이음매를 구성하는 반구 형상의 볼부 주연부의 축 방향으로의 옵셋량과 삽입·이탈 하중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종래의 헤드 램프의 정면도.
도 11은 에이밍 지점을 구성하는 볼 이음매의 볼부를 볼 수용부로 압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동 볼 이음매의 볼부를 볼 수용부로 압입할 때에 생기는 힘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 본체
12 : 리플렉터
14 : 광원인 벌브
16 : 전방면 렌즈
20 : 상하 에이밍 스크류
30 : 좌우 에이밍 스크류
Lx : 수평 틸팅축
Ly : 수직 틸팅축
40 : 에이밍 지점을 구성하는 볼 이음매
42 : 피벗
43 : 피벗의 축부
44 : 피벗의 볼부
44a : 볼부의 구면
44a1 : 볼부의 구면을 구성하는 볼
44b : 볼부의 주연부
46 : 베어링(볼 수용부)
46a : 세로 슬릿
46b : 분할편
47 : 링형의 직경 축소부
48 : 볼 지지면
48a1 : 볼 지지면의 구면을 구성하는 볼
49 : 볼부 도입용 테이퍼면
D : 볼부 전방면측 구면을 구성하는 볼의 직경
O : 볼의 중심
d : 볼부 주연부의 옵셋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는, 리플렉터와 램프 본체 사이에 개재된 에이밍 기구에 의해 리플렉터가 램프 본체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에이밍 기구를 구성하는 에이밍 지점이 리플렉터측의 피벗과, 램프 본체측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볼 이음매로 구성되며, 상기 피벗은 기단측의 축부와 선단측의 볼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은 직경 축소부를 지나 전방으로 개구하여 상기 볼부에 압접하는 볼 지지면이 내주에 형성된 통형의 볼 수용부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볼 수용부의 개구 주연부에는 여러 개의 세로 슬릿이 마련되어 상기 볼부를 볼 수용부내로 압입할 수 있게 구성된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볼부를 상기 볼 수용부내로 압입되는 전방면측이 직경(D)의 구면으로 이루어지는 거의 반구형으로 형성하도록 하였다.
(작용) 볼부를 볼 수용부로 압입할 때에, 종래 구조에서는, 볼부의 최대 직경 영역이 직경 축소부를 지나간 위치에 있어도, 볼부의 최대 직경 영역 근방 영역이 직경 축소부를 확장시키기 때문에, 잠시동안은 직경 축소부를 최대로 확장시키도록 하면서 볼부를 압입할 필요가 있고, 그 만큼 볼부에는 큰 압압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볼부가 압입측을 구면으로 하는 반구 형상이기때문에, 볼부의 최대 직경 영역이 직경 축소부를 지나든지 지나지 않든지 간에, 볼부의 직경 축소부를 넓히는 작용이 한번에 소실되고, 이후에는 볼 수용부의 측벽의 복원력이 볼부를 적극적으로 압입시키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볼부에 작은 압압력을 작용시키면 좋다.
또한, 볼부를 볼 수용부로부터 추출할 때에는 볼부가 서서히 직경 축소부를 확장하도록 작용하지만, 종래 구조에서는, 구면형의 볼부가 서서히 직경 축소부를 확장시키기 때문에, 볼부에 작용하는 볼 수용부측의 항력은 비교적 작고, 그만큼 작은 힘에 의해 볼부가 이탈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최대 직경 영역인 볼부의 주연부가 한번에 직경 축소부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볼부에 작용하는 볼 수용부측의 항력은 크고, 볼부가 이탈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볼부를 전방면측의 구면을 구성하는 직경(D)의 볼의 중심에서 축부측으로 최대 D/10만큼 옵셋한 위치까지 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다.
(작용) 볼부 주연부의 축부측으로의 옵셋량(d)은 도 9에 도시하는 데이터로부터, 볼부의 구면을 구성하는 볼[직경(D)의 볼]의 중심 위치로부터 축부측으로 0 내지 D/1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옵셋량(d)이 D/10를 초과하면, 삽입 하중이 크고 또한 이탈 하중이 작아져서 종래의 볼 이음매의 삽입 하중과 이탈 하중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옵셋량(d)은 D/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피벗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사출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고, 제조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옵셋량(d)은 0이 아닌 양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3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의 개구 주연부에 전방으로 직경을 확장하는 볼부 도입용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면이 링형의 직경 축소부를 통해 상기 볼 지지면으로 연속해 있도록 구성하였다.
(작용) 테이퍼면은 볼부를 직경 축소부로 안내하는 동시에, 압압력을 볼 수용부의 확대 개방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직경 축소부를 원활하게 확대 개방시키도록 작용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제1 실시예인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정면도, 도 2는 동 헤드 램프의 수평 단면도(도 1에 도시한 선 II-II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동 헤드 램프의 종단면도(도 1에 도시한 선 III-III를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동 헤드 램프의 에이밍 지점인 볼 이음매를 나타내고, (a)는 볼 이음매의 분해 사시도, (b)는 동 볼 이음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볼 이음매를 구성하는 피벗을 나타내고, (a)는 피벗의 측면도, (b)는 피벗의 단면도[도 5(a)에 도시하는 선 V-V를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볼 이음매를 구성하는 베어링(볼 수용부)의 단면도, 도 7, 도 8은 볼부를 장탈착할 때에 볼부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볼 이음매를 구성하는 반구 형상의 볼부 주연부의 축 방향으로의 옵셋량과 삽입·이탈 하중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은 합성수지제의 용기형 램프 본체로, 램프 본체(10) 내에는 광원인 벌브(14)를 삽입 부착한 합성수지제의 리플렉터(12)가 배치되고, 램프 본체(10)의 전방면 개구부에 전방면 렌즈(16)가 조립되어 헤드 램프로서 일체화되어 있다.
리플렉터(12)는 램프 본체(10)의 배면벽에 형성된 스크류 삽입 구멍(10b)을 관통하여 전후 방향 수평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한 쌍의 에이밍 스크류(20, 30)와, 리플렉터(12)의 배면으로 돌출 설치된 브래킷(55, 56)에 부착되고, 에이밍 스크류(20, 30)에 각각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26, 36)와, 리플렉터(12)와 램프 본체(10) 사이에 개재된 볼 이음매(40)로 구성된 에이밍 기구에 의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볼 이음매(40)는 리플렉터(12)의 이면으로 돌출 설치된 브래킷(57)에 끼워 붙여진 합성수지제의[일반적으로는, 미끄럼 이동성(미끄러지기 쉬움)을 고려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에서 제조한] 피벗(42)과, 램프 본체(12)측으로 돌출 형성된 베어링(볼 수용부; 46)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에이밍 스크류(20, 30)는 램프 본체(10)의 스크류 삽입 구멍(10b)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스크류 나사부(20a, 30a)에는 너트 부재(26, 36)가 나사 결합되며, 램프 본체(10)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스크류 후단부에는 드라이버(D)의 치형부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1a, 31a)이 형성된 회전 조작부(21, 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D)를 사용하여 회전 조작부(21, 31) [에이밍 스크류(20,30)]를 회전시키면, 너트 부재(26, 36)가 스크류 나사부(20a, 30a)를 따라 진퇴되고, 이것에 의해 리플렉터(12; 램프의 광축)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틸팅한다. 즉, 에이밍 스크류(20)는 너트 부재(36)와 볼 이음매(40)를 연결하는 수평축(Lx) 주위에 리플렉터(12)를 틸팅(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상하 에이밍 스크류를 구성하고, 에이밍 스크류(30)는 너트 부재(26)와 볼 이음매(40)를 연결하는 수평축(Ly) 주위에 리플렉터(12)를 틸팅(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좌우 에이밍 스크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피벗(42)은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 전후로 개구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리플렉터(12)에 고정되는 기단측에는 한 쌍의 설편형의 걸림 갈고리(43a, 43a)를 구비한 축부(43)가 설치되며, 베어링(볼 수용부; 46)으로 압입되는 선단측에는 거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부(44)가 설치되고, 축부(43)에는, 볼부(44)로부터 이격시켜 스커트형의 플랜지부(45)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43b는 슬릿이다.
축부(43)의 측벽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걸림 갈고리(43a)는 그 요동 선단측이 축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축부(43)를 브래킷(57)의 피벗 삽입 부착 구멍[57a; 도 4(b) 참조]으로 삽입하면, 플랜지부(45)와 걸림 갈고리(43a)가 피벗 삽입 부착 구멍(57a)의 주연부를 끼워 피벗(42)이 브래킷(57)에 고정된다.
또한, 볼부(4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볼 수용부; 46)으로의 삽입측을 직경(D; 실시예에서 D=10 ㎜)의 구면(44a)으로 하는 거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는 축부(43)로 연속해 있다. 그리고, 볼부(44)의 주연부(44b)는 후에상세히 기술하지만, 볼부(44)의 베어링(볼 수용부; 46)으로의 압입 용이성과 이탈 곤란성을 고려하여 구면(44a)을 구성하는 볼(44a1)의 중심(O)보다도 축부(43)측으로 최대 D/10만큼 옵셋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볼부(44)는 볼(44a1)의 중심(O)보다도 축부(43)측으로 소정 거리(d; 0≤d≤D/10)만큼 옵셋한 위치로 볼(44a1)을 축 방향과 수직으로 절단하여 축부(43)측의 구형부를 제거한 거의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어링(볼 수용부; 46)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축소부(47)를 지나 전방으로 개구하는 외부 지름 19.7 ㎜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 수용부(46)의 개구 주연부에는 주위 방향 등분 3 지점에 깊이 7 ㎜의 세로 슬릿(46a)이 마련되어, 볼 수용부(46)의 둘레벽을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3개의 분할편(46b)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볼 수용부; 46)의 내주에는 피벗(42)의 볼부(44)[의 구면(44a)]에 압접하는 볼 지지면(48)이 형성되어 있고, 볼 지지면(48)은 링형의 직경 축소부(47)를 통해 전방으로 직경을 확장하는 볼부 도입용 테이퍼면(49)으로 연속해 있다. 볼 지지면(48)은 압입된 볼부(44)의 구면(44a)에 밀착하여 볼부(44)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볼부(44)의 구면[44a; 직경(D)=10 ㎜의 볼의 구면]보다 약간 큰 직경 9.8 ㎜의 볼(48a1)의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면(49)은 축 방향에 대하여 45°경사지고, 볼부(44)를 베어링(볼 수용부; 46)으로 압입할 때에는 볼부(44)를 직경 축소부(47)로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작용하는 동시에, 볼부(44)를 베어링(볼 수용부; 46)으로부터 추출할 때에는,직경 축소부(47)로부터 이탈한 볼부(44)를 끌어 올려 원활하게 분리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볼부(44)를 볼 수용부(46)로 압입할 때에, 종래 구조에서는, 볼부의 최대 직경 영역이 직경 축소부를 지나간 위치에 있어도, 볼부의 최대 직경 영역 근방 영역이 직경 축소부를 확장시키기 때문에, 잠시동안은 직경 축소부를 최대로 확장시키도록 하면서 볼부를 압입할 필요가 있고, 그 만큼 볼부에는 큰 압압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삽입 하중이 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볼부(44)가 압입측을 구면(44a)으로 하는 반구 형상이기 때문에,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부(44)의 최대 직경 영역인 주연부(44b)가 직경 축소부(47)를 지나든지 지나지 않든지 간에, 볼부(44)의 직경 축소부(47)를 확장시키는 작용이 한번에 소실되고, 이후에는 볼 수용부(46)의 측벽(분할편; 46b)의 복원력(P)이 볼부(44)를 적극적으로 압입시키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볼부(44)의 압입에는 작은 압압력으로 충분하다. 즉, 볼부(44)의 주연부(44b)가 직경 축소부(47)를 지난 후에는 "탁"하는 소리와 함께 볼부(44)는 자동적으로 볼 수용부(46)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볼부(44)를 베어링(볼 수용부; 46)으로 압입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삽입 하중)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18 내지 19 kg/f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약 15 kg/f라고 하는 작은 힘이어도 좋다.
또한, 반대로, 볼부(44)를 베어링(볼 수용부; 46)으로부터 추출할 때에는, 종래의 볼 이음매에서는 구면형의 볼부가 서서히 직경 축소부를 확장시키기 때문에, 볼부에 작용하는 항력은 비교적 작고, 그 만큼 이탈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직경 영역인 볼부(44)의 주연부(44b)가 한번에 직경 축소부(47)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볼부(44)를 추출할 때에 볼부(44)에 작용하는 볼 수용부[46; 분할편(46b)]로부터의 반력(항력)은 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부의 이탈 하중은 종래의 약 15 kg/f에 비하여 약 25∼30 kg/f라는 큰 값이 되어, 그 만큼 이탈하기 어렵다.
또, 볼부(44)의 주연부(44b)의 축부(43)측으로의 옵셋량(d)은 도 9에 도시하는 데이터로부터, 볼부(44)의 구면(44a)을 구성하는 볼[직경(D)의 볼; 44a1]의 중심(O) 위치로부터 축부(43)측으로 0 내지 D/1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옵셋량(d)이 D/10를 초과하면, 삽입 하중이 크고 또한 이탈 하중이 작아져서 종래의 볼 이음매의 삽입 하중과 이탈 하중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옵셋량(d)은 D/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피벗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사출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고, 제조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옵셋량(d)은 0이 아닌 양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헤드 램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에이밍 기구에 의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리플렉터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볼부를 볼 수용부로 압입하기 위한 힘이 작아서 좋은 만큼, 볼 이음매의 조립이 용이하고, 리플렉터의 부착이 간단해진다. 또한, 볼 이음매의 볼부가 이탈하기 어려울수록, 에이밍지점으로서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에이밍 기구의 장기간 사용이 보증된다.

Claims (3)

  1. 리플렉터와 램프 본체 사이에 개재된 에이밍 기구에 의해 리플렉터가 램프 본체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에이밍 기구를 구성하는 에이밍 지점이 리플렉터측의 피벗과, 램프 본체측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볼 이음매로 구성되고, 상기 피벗은 기단측의 축부와 선단측의 볼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은 직경 축소부를 지나 전방으로 개구하여 상기 볼부에 압접하는 볼 지지면이 내주에 형성된 통형의 볼 수용부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볼 수용부의 개구 주연부에는 복수 개의 세로 슬릿이 마련되어 상기 볼부를 볼 수용부내로 압입할 수 있게 구성된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볼부는 상기 볼 수용부내로 압입되는 전방면측이 직경(D)의 구면으로 이루어지는 거의 반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는 전방면측의 구면을 구성하는 직경(D)의 볼의 중심에서 축부측으로 최대 D/10만큼 옵셋한 위치까지 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의 개구 주연부에는 전방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볼부 도입용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은 링형의 직경 축소부를 통해 상기 볼 지지면에 연속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02-0078604A 2001-12-13 2002-12-11 차량용 램프 KR100462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0329A JP2003175763A (ja) 2001-12-13 2001-12-13 車両用灯具
JPJP-P-2001-00380329 2001-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268A KR20030051268A (ko) 2003-06-25
KR100462666B1 true KR100462666B1 (ko) 2004-12-23

Family

ID=1918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604A KR100462666B1 (ko) 2001-12-13 2002-12-11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71776B2 (ko)
JP (1) JP2003175763A (ko)
KR (1) KR100462666B1 (ko)
CN (1) CN1263630C (ko)
DE (1) DE10258403A1 (ko)
FR (1) FR2833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763A (ja) * 2001-12-13 2003-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4383205B2 (ja) * 2004-02-26 2009-12-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構成体、および、車両用灯具
JP2006315512A (ja) * 2005-05-12 2006-11-24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DE102007023478A1 (de) * 2007-01-12 2008-07-17 Stabilus Gmbh Anschlusselement zum Verbinden von Bauteilen
CN101576219B (zh) * 2008-05-09 2012-01-04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车辆灯具调整结构
US9476447B2 (en) * 2008-05-21 2016-10-25 Federal-Mogul Powertrain, Inc. Ball join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US9534759B2 (en) * 2014-03-14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mp adjuster to control margins
KR200483957Y1 (ko) * 2015-03-05 2017-07-1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DE102016117552A1 (de) 2016-09-19 2018-03-22 HELLA GmbH & Co. KGaA Drehlager zur drehbaren Aufnahme eines Lichtmoduls in einem Tragrahmen eines Scheinwerfe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504U (ja) * 1993-01-19 1994-08-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灯具
JPH097405A (ja) * 1995-06-21 1997-01-10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の球受構造
KR200249162Y1 (ko) * 2001-05-30 2001-11-16 삼립전기 주식회사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
KR20010110105A (ko) * 2000-06-02 2001-12-12 고지마 류조 차량용 등기구
JP2003175763A (ja) * 2001-12-13 2003-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3867Y2 (ko) * 1979-08-31 1982-11-22
JPS58107505U (ja) * 1982-01-18 1983-07-2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輌用前照灯
IT1238203B (it) * 1989-11-03 1993-07-09 Carello Spa Proiettore ad inclinazione regolabile.
FR2691415B1 (fr) * 1992-05-25 1998-06-12 Valeo Vision Dispositif de montage du genre rotule et element intermediaire, notamment pour reflecteur de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JP3074557B2 (ja) * 1994-11-24 2000-08-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ヘッドランプ
JPH1064307A (ja) * 1996-08-19 1998-03-06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3142505B2 (ja) 1996-12-18 2001-03-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前照灯
JP3128617B2 (ja) 1997-04-04 2001-01-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のレベリング調整装置
JPH10326509A (ja) 1997-05-28 1998-12-08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前照灯
JP3187755B2 (ja) 1997-10-03 2001-07-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H11120806A (ja) 1997-10-20 1999-04-30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US6113301A (en) * 1998-02-13 2000-09-05 Burton; John E. Disengageable pivot joint
US5917655A (en) 1998-04-06 1999-06-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JP2000085457A (ja) * 1998-09-18 2000-03-2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FR2787554B1 (fr) * 1998-12-16 2001-03-09 Valeo Vision Element de fixation intermediaire d'un reflecteur sur une partie d'appui d'u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jecteur comprenant un tel element
DE10004700B4 (de) * 2000-02-03 2006-07-0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Scheinwerfer für Kraftfahrzeuge und zugehöriger Gehäuseabschnit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504U (ja) * 1993-01-19 1994-08-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灯具
JPH097405A (ja) * 1995-06-21 1997-01-10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の球受構造
KR20010110105A (ko) * 2000-06-02 2001-12-12 고지마 류조 차량용 등기구
KR200249162Y1 (ko) * 2001-05-30 2001-11-16 삼립전기 주식회사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
JP2003175763A (ja) * 2001-12-13 2003-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12636A1 (en) 2003-06-19
DE10258403A1 (de) 2003-07-03
JP2003175763A (ja) 2003-06-24
US6971776B2 (en) 2005-12-06
CN1426912A (zh) 2003-07-02
KR20030051268A (ko) 2003-06-25
CN1263630C (zh) 2006-07-12
FR2833690A1 (fr) 200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666B1 (ko) 차량용 램프
CA2357888C (en) Ball and socket joint and method therefor
US5752780A (en) Ball-and-socket joint
KR100504209B1 (ko)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CN100386059C (zh) 螺钉头沿轴向分两部分的骨螺钉
US50034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headlight
US4986688A (en) Structure of ball and socket joint for a vehicle steering control system
KR100475243B1 (ko) 차량용 미러장치
KR20010030341A (ko) 차량용 등기구
GB2355516A (en) Watertight headlamp for vehicle with movable reflector
CA1283887C (en) Headlamp pivot assembly
JPH0636602A (ja) 特に自動車の前照灯の反射鏡用ボールジョイント型組付け装置
JPH09166128A (ja) 継手の支承シェルを取付け穴内に固定する用具
US6050537A (en) Mirror carrier moun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rear view mirror
EP1302681A2 (en) Ball joint with dual studs
JPH0845308A (ja) 車両用の前照灯
US6976773B2 (en) Pivot capsule for a motor vehicle headlamp
US20060159375A1 (en) Inverted ball joint
JP3897796B2 (ja) 車両用アンテナの取付構造
US4901208A (en) Headlamp assembly
KR20040019066A (ko) 수동 조절가능한 자동차 밀러 메카니즘
US5002419A (en) Knuckle joint, in particular for a windshield wiper for an automotive vehicle
GB2097854A (en) A ball and socket joint
US6027236A (en) Light assembly for a vehicle having a collar and socket locking connection
JP3112812B2 (ja) 車両用灯具の球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