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066A - 수동 조절가능한 자동차 밀러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수동 조절가능한 자동차 밀러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066A
KR20040019066A KR10-2004-7000590A KR20047000590A KR20040019066A KR 20040019066 A KR20040019066 A KR 20040019066A KR 20047000590 A KR20047000590 A KR 20047000590A KR 20040019066 A KR20040019066 A KR 2004001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er
base
face
assembly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라인다릴
Original Assignee
쉐페낙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페낙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쉐페낙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0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16) 및 조절가능한 밀러 헤드(112)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16) 상의 피봇 및 진동 흡수 메카니즘(14)은 베이스(16)에 대해 밀러 헤드(12)의 수동 조작을 허용한다. 피봇 및 진동 흡수 메카니즘(14)은 베이스(16) 상의 볼 조인트(22, 26)로부터 이격된 면(36, 38, 42)을 첨축으로 회전가능 및 마찰적으로 계합할 수 있게 하고 밀러 헤드(12)가 진동 흡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볼 조인트(22, 26)를 갖는다. 각 면(36, 38, 42)은 탄성 수단(46)에 의해 함께 탄성적으로 압압된 부분 구형 면이다.

Description

수동 조절가능한 자동차 밀러 메카니즘{Hand adjustable vehicle mirror mechanism}
각 운전자를 위해 조절되어야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방 관측 밀러는 그 운전자에 대해 조절될 때 밀러의 각이 그 설정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첫번째로 운전자가 각 조정을 할 때 약간의 느낌 또는 접촉적인 반응이 있어 밀러가 조정 압이 그위에 위치할 때 너무 빠르게 이동하지 않아야 하지만 순조롭게 그리고 아무런 저항없이 이동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두번째 요구는 일단 설정된 위치로 되면, 운행함에 따른 자동차의 진동이 밀러의 설정된 위치를 변하지 않게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기에 적용된 마찰 하중의 몇 형태를 갖는 조정 시스템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른 적용에도 또한 적절하지만 특히 자동차에 대한 외부 후방 광경 밀러용으로 된 조정 어레인지먼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수동으로 조절되도록된 피봇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외부 후방 관측 밀러에 그의 적용에 관해서 기술하지만, 이것은 광범위한 적용에 유용하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는 첨부도면을 참고로 이하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어 질 것이다. 이들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봇 및 진동 흡수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자동차 외부 밀러의, 도 2 및 도 3의 1-1'선에 따른 횡 단면도이고,
도 2는 제거된 밀러 헤드를 갖는 메카니즘을 내측에서 관측한 밀러 지지체의 입면도이고,
도 3은 밀러 헤드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봇 메카니즘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일 형태에서, 비록 이것이 유일하거나 또는 가장 큰 형태일 필요는 없지만,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 및 피봇팅 부재를 갖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에 있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팅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되고, 피봇 메카니즘은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 메카니즘의 수동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피봇 메카니즘은 베이스 상의 면을 첨축으로 회전가능 및 마찰적으로 계합할 수 있게 하고 피봇 메카니즘이 볼 조인트로부터 이격되고 탄성 수단에 의해 함께 압압된 부분 구형 면인 각 면에 의해 특징된 진동 흡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볼 조인트를 갖는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 및 피봇팅 부재를 갖는 이동 컨트롤 어셈블리에 있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팅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되고, 베이스 부재는 제1 내부 오목 부분 구형 면을 한정하는 바디와 제1 부분 구형의 직경 보다 적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을 함께 한정하는 다수의 제1 혀를 갖고, 피봇팅 부재는 다수의 제2 혀, 제3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과 제3 외부 면 보다 적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4 내부 오목 부분 구형 면을 함께 한정하는 다수의 제2 혀의 면, 제1 내부 면과 제1 혀 사이에 계합되도록된 제2 혀, 및 제1 혀를 제1 면에 대해 압압하도록 된 탄성 수단을 가지고 이에 의해 제2 혀가 이들 사이에 계합되어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 부재의 이동에 대해 마찰적인 하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네개의 제1 혀, 네개의 제2 혀 및 제1 및 제2 혀의 각 조합에 대해 하나의 탄성부재를 갖는 네개의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탄성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혀의 본질적인 탄성에 의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스프링 배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스프링 배열은 각각 바디 및 제1 혀에 대해 유지되도록 되고 이들 사이에 제2 혀를 계합하도록 된 레그를 갖는 압축 스프링 클립일 수 있다.
부가하여 베이스 부재 정상 축 상에서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팅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피봇팅 부재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요크가 제공된다.
더욱이 피봇팅 부재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이 포함될 수 있다.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은 제1 내부 부분 구형 면의 곡선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피봇 센터를 갖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 부재용 피봇 센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베이스 부재는 밀러 하우징에 수납되도록 각색될 수 있고 피봇팅 부재는 밀러 지지체를 가질 수 있고 밀러는 그 위에 장착된다. 베이스 부재는 스크류에 의해 밀러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고 또는 택일적으로 베이스 부재는 밀러 하우징 내에 베이스 부재의 일단을 밀러 하우징 안에 계합하는 후크 및 타단을 계합하는 스크류 또는 유사한 배열의 수단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상술된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은 볼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조인트는 베이스 부재 상에 반구형 오목면과 피봇팅 부재 상에 반구형 오목면을 가질 수 있다. 피봇 센터는 피봇 부재의 회전 중심은 실질적으로 제1 부분 구형 면의 곡선 중심에 있도록 바디로부터 신장하는 방사상 포스트 상에 창착될 수 있다.
대안적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베이스 및 조절가능한 밀러 헤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상의 피봇 및 진동 흡수 메카니즘은 베이스에 대해 밀러 헤드의 수동 조작을 허용하고, 피봇 및 진동 흡수 메카니즘은 베이스 상의 볼 조인트로부터 이격된 면을 첨축으로 회전가능 및 마찰적으로 계합할 수 있게 하고 밀러 헤드가 함께 탄성적으로 압압된 부분 구형 면을 포함하는 각 면에 의해 특징된 진동 흡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볼 조인트를 갖는다.
함께 부분 구형 면을 압압하는 탄성은 스프링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스프링 수단은 스프링 클립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프링 클립은 밀러의 조정을 위해 비-탄성적인 감을 제공하고 자동차의 운행 중 밀러의 진동을 방지하도록 각 면에 마찰적인 계합을 제공한다.
더욱이 베이스에 대해 밀러의 평면에 직각인 축에 대해 밀러 헤드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런 수단은 상술한 조정을 허용하는 동안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피봇 메카니즘에 그리고 베이스에 고정된 요크일 수 있다.
베이스는 밀러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밀러 하우징은 자동차의 측면에 첨축으로 장착될 수 있어 밀러는 주차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사고의 경우에 접혀질 수 있다.
추가적인 형태에서 본 발명은 베이스 및 밀러 헤드를 갖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에 있는 것으로 베이스에 대해 밀러 헤드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되고, 베이스는 제1 내부 오목 부분 구형 면을 한정하는 바디와 제1 부분 구형의 직경 보다 적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을 함께 한정하는 다수의 제1 혀를 갖고, 밀러 헤드는 다수의 제2 혀, 제3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과 제3 외부 면 보다 적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4 내부 오목 부분 구형 면을 함께 한정하는 혀의 면, 제1 내부 면과 제1 혀 사이에 계합되도록된 제2 혀, 및 제1 혀를 제1 면에 대해 압압하도록 된 탄성 수단을 가지고 이에 의해 제2 혀가 이들 사이에 계합되어 베이스에 대해 밀러 헤드의 이동에 대해 마찰적인 하중을 제공한다.
특히 도 1 내지 3에 나타난 실시형태에서, 자동차 외부 밀러는 자동차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된 밀러 마운트 2 및 밀러 하우징 8로부터 신장하는 포스트 6에 그리고 밀러 마운트 2에 장착된 회전 메카니즘 4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밀러 지지체 12 상에 지지된 밀러 10은 일반적으로 14로 도시된 피봇 및 진동 흡수 메카니즘 상 밀러 하우징 8 내에 지지된다.
피봇 및 진동 흡수 메카니즘 14는 스크류 18의 수단에 의해 밀러 하우징 8 안에 장착된 베이스 16을 갖는다. 베이스는 그 중간 부 내에 베이오넷 연결 핀을 갖는 오목 홈 22이 그의 상단에 있는 중앙 포스트 20을 갖는다. 밀러 지지체 12는 베이오넷 연결 핀 24을 수용하도록 된 슬롯트 28을 갖는 그의 후면으로부터 신장하는 오목한 돌출부 26을 갖는다. 오목 홈 22 내에 유지된 돌출부 26은 오목한 돌출부 26 및 오목 홈 22에 의해 한정된 피봇 포인트 23에 대해 회전가능한 볼 타입 피봇 조인트를 갖는다. 이 피봇 조인트는 밀러 지지체 12 및 밀러 10이 움질일 수 있게 하여 운전자가 밀러의 각을 조절할 수 있다.
베이스 16 상에 곡율 반경 33을 갖는 실질적으로 구형의 제1 오목 내부면 32를 한정하는 필수적으로 컵 형상 바디 30이 있다. 컵 형상 바디 30 내에 그리고 바디에 장착된, 오목한 부분 구형 내부면 32 보다 적은 곡율 반경의 것인 곡율 반경 39를 갖는 볼록 부분 구형 면 38을 한정하고 피봇 포인트 23인 필히 동일한 곡율 중심을 갖는 네개의 혀 36이 있다.
밀러 지지체 12는 지지체 12 상에 돌출부 26 주위에 원형으로 배열된 일련의 네개의 혀 40을 갖는다. 밀러 헤드가 밀러 지지체 안에 조립될 때 각 혀 40은 곡율반경 43을 갖는 제3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 42와 제3의 면 42의 곡율 반경 보다 적은 제4의 면 44의 곡율 반경을 갖는 곡율 반경 45를 갖는 제4 오목 부분 구형 면 44 및 제3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 42와 그리고 피봇 포인트 23인 필히 동일한 곡율 중심을 갖는 제4 오목 부분 구형 면 44를 함께 한정하는 면을 갖는다.
혀 40은 혀 36과 컵 형상 바디 30 사이에 장착되어 진동 흡수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스프링 클립 46은 혀 36과 컵 형상 바디 30을 계합하여 밀러의 각을 조정하는 동안 느껴지는 마찰적인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혀 40을 계합하기 위해 이들의 두개를 함께 끈다. 스프링 클립은 혀 36과 바디 30의 통공 48을 관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20으로부터 신장하는 횡 암 54에 힌지에 의해 장착된 요크 메카니즘 52는 밀러 지지체 12 상에 슬롯트 58에 계합하는 볼 56을 갖는다. 이는 피봇 포인트에 대해 밀러의 평면에 정상 축으로 밀러 회전을 방지하면서 피봇 포인트 23에 대해 밀러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체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부재 60은 밀러 지지체(도시 생략)에 수용되도록 되고 밀러 헤드(도시 생략)는 피봇팅 부재 68 상에 장착되고 피봇팅 부재는 베이스 부재 상에 장착된다.
베이스 부재 60은 오목 홈 63 내에 윙 65를 갖는 베이오넷 연결 배열 64를 그의 상단에 갖는 오목 홈 63을 갖는 중앙 포스트 62를 갖는 바디 61을 갖는다. 베이오넷 연결 배열 64는 부품이 조립될 때 피봇팅 부재 68 내의 통공 66에 수용되도록 된다. 통공 66은 횡 슬롯트 67을 가진다. 베이스 부재는 오목한 면 70으로부터 안쪽으로 방사상으로 위치되고 베이스 부재 60에 장착된 혀 74를 갖는 제1 오목 내부 면 70을 갖는다. 피봇팅 부재 68로부터 신장하는 혀 72는 혀 74와 오목한 면 70 사이에 계합하여 베이스 부재 60에 대해 피봇팅 부재 68의 첨축 회전 동안 느낌을 위한 마찰적 계합을 제공한다. 요크 배열 80은 피봇팅 부재 68의 슬롯트 84에 계합하고 베이스 부재 60 상의 크로스 부재 상 힌지 88에 계합하는 피봇 86을 갖는 볼 조인트 82를 갖는다. 요크는 첨축 회전 또는 각의 조절을 허용하면서 베이스 부재 60에 대해 피봇팅 부재 68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프링 클립 90은 마찰적 계합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혀 72를 계합하도록 오목한 면 70에 대해 혀 74를 압압하도록 각각 베이스 부재 60의 외측과 혀 74의 내측 면에 계합하는 레그 92, 94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 60 상에 피봇팅 부재 68을 조립하기 위해 다음의 단계가 취해진다. 요크 80이 힌지 88 상에 장착된다. 피봇팅 부재 68은 베이오넷 연결 배열 64 상에 윙 65와 나란한 횡 슬롯트 77을 갖는 베이스 부재까지 제공되고 피봇팅 부재 68 상의 혀 72는 베이스 부재 60 상의 혀 74로부터 원주로 이격된다. 피봇팅 부재 68은 그런 다음 요크 80 상의 볼 조인트 82가 슬롯트 84와 나란하고 혀 72가 혀 74와 제1 오목 내부면 70 사이를 지날 때까지 베이스 부재 60에 대해 회전된다. 이 단계에서 베이오넷 연결이 이루어지고 피봇팅 부재가 볼 조인트 82를 슬롯트 안에 계합하기 위해 슬롯트 84의 영역상에 눌려질 수 있다. 다음으로 스프링 클립 90은 혀 74와 베이스 부재 60의 외측 사이에 계합되어 자동차가 운전되는 동안 진동을방지하면서 밀러 조정은 여전히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마찰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진동 흡수와 밀러 보정에 대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에 대한 피봇팅 부재의 마찰적 계합이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관점에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둘 또는 그 이상을 함께 조합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단지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이고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Claims (30)

  1. 베이스 부재 및 피봇팅 부재를 갖고,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팅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되고, 피봇 메카니즘은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 메카니즘의 수동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피봇 메카니즘은 베이스 상의 면을 첨축으로 회전가능 및 마찰적으로 계합할 수 있게 하고 피봇 메카니즘이 볼 조인트로부터 이격되고 탄성 수단에 의해 함께 압압된 부분 구형 면인 각 면에 의해 특징된 진동 흡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볼 조인트를 갖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스프링 배열인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스프링 배열은 스프링 클립이 밀러의 조정에 비-저항적 느낌을 주고 피봇팅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상대적인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각 면의 마찰적인 계합을 제공하는 스프링 클립인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대한 피봇팅 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피봇팅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장착된 요크인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6. 베이스 부재 및 피봇팅 부재를 갖고,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팅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되고, 베이스 부재는 제1 내부 오목 부분 구형 면을 한정하는 바디와 제1 부분 구형의 직경 보다 적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을 함께 한정하는 다수의 제1 혀를 갖고, 피봇팅 부재는 다수의 제2 혀, 제3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과 제3 외부 면 보다 적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4 내부 오목 부분 구형 면을 함께 한정하는 다수의 제2 혀의 면, 제1 내부 면과 제1 혀 사이에 계합되도록된 제2 혀, 및 제1 혀를 제1 면에 대해 압압하도록 된 탄성 수단을 가지고 이에 의해 제2 혀가 이들 사이에 계합되어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 부재의 이동에 대해 마찰적인 하중을 제공하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7. 제 6항에 있어서, 네개의 제1 혀, 네개의 제2 혀 및 제1 및 제2 혀의 각 조합에 대해 하나의 탄성부재를 갖는 네개의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8. 제 6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혀의 본질적인 탄성에 의해 제공된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9. 제 6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스프링 클립인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10. 제 6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각각 바디 및 제1 혀에 대해 유지되도록 되고 이들 사이에 제2 혀를 계합하도록 된 레그를 갖는 압축 스프링 클립인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11. 제 6항에 있어서, 더욱이 베이스 부재 정상 축 상에서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팅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피봇팅 부재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요크를 포함하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12. 제 6항에 있어서, 더욱이 피봇팅 부재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13. 제 12항에 있어서,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은 또한 제1 내부 부분 구형 면의 곡선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피봇 센터를 갖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피봇 부재용 피봇 센터를 제공하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14. 제 13항에 있어서,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은 볼 조인트를 포함하고, 볼 조인트는 베이스 부재 상에 반구형 오목면과 피봇팅 부재 상에 반구형 오목면을 가지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15. 제 13항에 있어서,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은 피봇 부재의 회전 중심이 실질적으로 제1 부분 구형 면의 곡선 중심에 있도록 바디로부터 신장하는 방사상 포스트 상에 창착되는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16. 제 6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는 밀러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되고, 피봇팅 부재는 밀러 지지체와 그 상에 장착된 밀러를 가지도록 된 이동 컨트롤러 어셈블리.
  17. 베이스 및 조절가능한 밀러 헤드를 포함하고, 베이스 상의 피봇 및 진동 흡수 메카니즘은 베이스에 대해 밀러 헤드의 수동 조작을 허용하고, 이 피봇 및 진동 흡수 메카니즘은 베이스 상의 볼 조인트로부터 이격된 면을 첨축으로 회전가능 및 마찰적으로 계합할 수 있게 하고 밀러 헤드가 함께 탄성적으로 압압된 부분 구형 면을 포함하는 각 면에 의해 특징된 진동 흡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볼 조인트를 갖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18. 제 17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스프링 배열인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19. 제 18항에 있어서, 스프링 배열은 스프링 클립이 밀러의 조정에 비-저항적 느낌을 주고 피봇팅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상대적인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각 면의 마찰적인 계합을 제공하는 스프링 클립인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0. 제 17항에 있어서, 밀러의 평면에 직각인 축에 대해 베이스에 대한 밀러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밀러 헤드와 베이스에 장착된 요크인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2. 베이스 및 밀러 헤드를 갖고, 베이스에 대해 밀러 헤드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고, 베이스는 제1 내부 오목 부분 구형 면을 한정하는 바디와 제1 부분 구형의 직경 보다 적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을 함께 한정하는 다수의 제1 혀를 갖고, 밀러 헤드는 다수의 제2 혀, 제3 외부 볼록 부분 구형 면과 제3 외부 면 보다 적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4 내부 오목 부분 구형 면을 함께 한정하는 혀의 면, 제1 내부 면과 제1 혀 사이에 계합되도록된 제2 혀, 및 제1 혀를 제1 면에 대해 압압하도록 된 탄성 수단을 가지고 이에 의해 제2 혀가 이들 사이에 계합되어 베이스에 대해 밀러 헤드의 이동에 대해 마찰적인 하중을 제공하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3. 제 22항에 있어서, 네개의 제1 혀, 네개의 제2 혀 및 제1 및 제2 혀의 각 조합에 대해 하나의 탄성수단을 갖는 네개의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4. 제 22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혀의 본질적인 탄성에 의해 제공된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5. 제 22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스프링 클립인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6. 제 22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각각 바디 및 제1 혀에 대해 유지되도록 되어 이들 사이에 제2 혀를 계합하도록 된 압축 스프링 클립인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7. 제 22항에 있어서, 더욱이 베이스 정상 축 상에서 베이스에 대해 밀러 헤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밀러 헤드와 베이스 사이에서 작용하는 요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8. 제 22항에 있어서, 더욱이 피봇팅 부재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29. 제 28항에 있어서,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은 또한 제1 내부 부분 구형 면의 곡선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피봇 센터를 갖는 베이스에 대해 밀러 헤드용피봇 센터를 제공하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30. 제 29항에 있어서, 베이오넷 연결 메카니즘은 볼 조인트를 포함하고, 볼 조인트는 베이스 상에 반구형 오목면과 밀러 헤드 상에 반구형 오목면을 가지는 자동차용 외부 밀러 어셈블리.
KR10-2004-7000590A 2001-08-06 2002-08-06 수동 조절가능한 자동차 밀러 메카니즘 KR20040019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R6832A AUPR683201A0 (en) 2001-08-06 2001-08-06 Hand adjustable vechicle mirror mechanism
AUPR6832 2001-08-06
PCT/AU2002/001039 WO2003013908A1 (en) 2001-08-06 2002-08-06 Hand adjustable vehicle mirror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066A true KR20040019066A (ko) 2004-03-04

Family

ID=383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590A KR20040019066A (ko) 2001-08-06 2002-08-06 수동 조절가능한 자동차 밀러 메카니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75292B2 (ko)
EP (1) EP1432596A4 (ko)
JP (1) JP2004536747A (ko)
KR (1) KR20040019066A (ko)
AU (1) AUPR683201A0 (ko)
WO (1) WO20030139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71B1 (ko) * 2013-12-17 2015-02-09 문명일 자동차용 전동식 미러 틸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29744B1 (en) * 2004-12-20 2008-08-20 Fico Mirrors, S.A. Frame comprising a vibration-damping device, which is intended for the outside rear-view mirror assembly of a motor vehicle
NL1034697C2 (nl) * 2007-11-14 2009-05-20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Montageconstructie voor een buitenspiegeleenheid.
CA2716004C (en) * 2008-02-22 2015-05-12 Michael Ferman Mirror damper
US8857779B2 (en) * 2009-03-30 2014-10-14 Ge Healthcare Bio-Sciences Ab Holder for a holographic grating
NL2003114C2 (nl) * 2009-07-01 2011-01-04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Spiegelverstelinrichting.
US20110192952A1 (en) * 2010-02-07 2011-08-11 Chin-Hui Chiang Angle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Rear View Mirror
EP2392496B1 (de) * 2010-06-01 2012-11-21 SMR Patents S.à.r.l. Außenrückblickspiegel mit Reibfeder
NL2009160C2 (nl) * 2012-07-09 2014-01-13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Verstelinstrument.
US9868398B2 (en) * 2013-08-30 2018-01-16 Mekra Lang Gmbh & Co. Kg Socket joint with integrated tube ancho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19772A5 (ko) 1971-12-27 1972-08-04 Grenet Roger
JPS58136536A (ja) * 1982-02-08 1983-08-13 Ichikoh Ind Ltd 電動式リモ−トコントロ−ルミラ−
JPS6075143A (ja) 1983-09-30 1985-04-27 Fujitsu Ltd 同期回路方式
KR910003533B1 (ko) * 1986-08-04 1991-06-04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기 세이사쿠쇼 자동차의 외부미라(mirror) 조립체
JPS63134354A (ja) * 1986-11-25 1988-06-06 Tokai Rika Co Ltd 自動車用アウタ−ミラ−
JPH05444Y2 (ko) * 1986-11-26 1993-01-07
DE58903861D1 (de) * 1988-05-20 1993-04-29 Mekra Rangau Plastics Motorisch verstellbarer rueckspiegel.
DE3825648A1 (de) 1988-07-28 1990-02-01 Mekra Rangau Plastics Verstellbarer rueckspiegel
US4981279A (en) * 1989-11-07 1991-01-01 Sheller-Globe Corporation Adjustable rear view mirror
EP0458480A3 (en) * 1990-05-12 1991-12-18 Britax (Geco) S.A. Remote control system
JPH08510194A (ja) 1993-05-12 1996-10-29 ユナイテッド テクノロジーズ オートモーテイブ,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手動調整機構を備えた自動車用の外部ミラー組立体
DE19609017A1 (de) * 1996-03-08 1997-09-11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e
US5938155A (en) * 1996-11-07 1999-08-17 Garland; Randy N. Mount system for supporting binoculars on a tripod
GB9702401D0 (en) * 1997-02-06 1997-03-26 Britax Rainsford Pty Limited Vehicle rear view mirror
WO1999000272A1 (en) 1997-06-30 1999-01-07 Ut Automotive Dearborn, Inc. Vehicle mirror anti-flutter tab
BR9702665A (pt) * 1997-07-28 1999-10-05 Metagal Ind Stria E Comercio L Articulação multiuso para espelhos retrovisores externos
US6168279B1 (en) * 1998-03-25 2001-01-02 Donnelly Corporation Pivot support for adjustable rearview mirror
JP2000159021A (ja) 1998-11-20 2000-06-13 Napolex Co バックミラーの角度調節機構
DE19902755A1 (de) 1999-01-25 2000-07-27 Buhler Motor Gmbh Verstellbarer Rückspiegel
DE19902756A1 (de) 1999-01-25 2000-07-27 Buhler Motor Gmbh Verstellbarer Rückblickspiegel, insbesondere Außen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US6302549B1 (en) * 1999-09-07 2001-10-16 Lang-Mekra North America, Llc Mirror mounting assembly with biaxial adjustab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71B1 (ko) * 2013-12-17 2015-02-09 문명일 자동차용 전동식 미러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2596A4 (en) 2004-12-22
AUPR683201A0 (en) 2001-08-30
EP1432596A1 (en) 2004-06-30
WO2003013908A1 (en) 2003-02-20
JP2004536747A (ja) 2004-12-09
US7175292B2 (en) 2007-02-13
US20040184171A1 (en) 200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6266B2 (en) Linkage arrangement for the adjustment of rearview mirrors
JP3635275B2 (ja) 車両用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
JP2006321482A (ja) 車両ミラー用円錐支持アームジョイント
KR20040019066A (ko) 수동 조절가능한 자동차 밀러 메카니즘
US20030042750A1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EP1312507A2 (en) Inside rear 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
US6270227B1 (en) Remote-controlled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US4871246A (en) Device for transmitting, without vibrations, movements from an electric control to a mirror-holder plate of a rearview mirror
AU2002322156B2 (en) Hand adjustable vehicle mirror mechanism
US20190161107A1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AU2002322156A1 (en) Hand adjustable vehicle mirror mechanism
EP0074753B1 (en)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JPS5839089B2 (ja) マニユアル式ドアミラ−
JPH0535877Y2 (ko)
KR20140078945A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마운팅 장치
JP3911157B2 (ja) 傾動挟持機構
JPS6326986Y2 (ko)
JPS6326988Y2 (ko)
JPH0911795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H0524599Y2 (ko)
JPS6326987Y2 (ko)
JPH028837Y2 (ko)
JPS6326985Y2 (ko)
JP2563559Y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KR200255520Y1 (ko) 자동차의 절첩식 보조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