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331B1 -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 Google Patents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331B1
KR100462331B1 KR10-2002-0022743A KR20020022743A KR100462331B1 KR 100462331 B1 KR100462331 B1 KR 100462331B1 KR 20020022743 A KR20020022743 A KR 20020022743A KR 100462331 B1 KR100462331 B1 KR 100462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ong
powder
green tea
soybean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180A (ko
Inventor
임성일
홍상필
조경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조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조경현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2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3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8Garcinia cambogia, hydroxy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류 추출물, 동아분말, 녹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더라도 맛, 향, 색 등의 관능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섭취시 비만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고추장 및 된장에 관한 것으로, 석류추출물, 동아분말, 녹차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되, 상기 석류 추출물은 0.01 내지 10중량%, 동아분말은 0.01 내지 10중량%, 녹차는 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며, 그 외 잔량으로서 고추장 및 된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Korean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and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with weight loss effect}
본 발명은 비만을 억제하는 생리 기능성을 부여한 장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장 및 된장을 포함하는 장류에 석류 추출물, 동아분말, 녹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더라도 맛, 향, 색 등의 관능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섭취시 비만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고추장 및 된장에 관한 것이다.
고추장은 제조과정 중에 전분분해로 생성되는 당분의 단맛과 대두단백질(메주의 원료)에서 유래되는 아미노산의 구수한 맛, 고춧가루의 매운맛 그리고 소금의 짠맛이 잘 조화된 조미식품으로서, 그 유래는 조선조 숙종 때의 산림경제(山林經濟) 중의 조만초장법이 고추장제조의 최초 기록이며, 1815년의 규합총서에서는 고추장을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와 양이 열거된 바 있는 전통발효식품이다. 우리나라의 전통고추장은 고추분, 찹쌀, 콩의 발효물에서 유래된 단백질, 당류, 카로틴, 비타민과 캡사이신, 대두 펩타이드 등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고, 매운맛, 단맛, 감칠맛이 잘 조화된 특성이 있어 칠리, 타바스코 및 토마토 케찹과 같은 서양의 다용도 소스 못지 않게 각종 요리에 이용가치가 높다.
한편, 된장은 삶은 콩에 미생물이 자연접종되어 만들어진 메주를 이용한 한국의 대표적인 반고체상 대두발효식품으로서, 오랜 세월동안 한국인의 식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다. 된장은 원료 대두에서 유래되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의 영양소가 골고루 갖추어진 우수한 조미식품으로 육류의 섭취량이 많지 않은 한국의 중요한 단잭질 공급원으로서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된장은 주원료인 단백질이 미생물의 작용으로 분해되어 생성된 분해산물과 발효과정 중에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새로이 생성되는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점에 더하여, 최근 소비자들의 발효식품을 선택하는 기준이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달라져 맛, 색, 향과 같은 관능적 특성 못지 않게 식품의 기능성을 중요시하는 경향으로 전환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이미 홍삼을 첨가한 장류, 녹차를 첨가한 장류에 대해 보고된 바 있으며, 숙성기간을 단축시킬 목적으로 키토산을 0.01 내지 0.5중량%(w/w)으로 첨가한 저염 기능성 고추장, 키토산의 기능성 및 대장균 생육 억제를 위해 키토산이 첨가된 기능성 고추장, 된장, 쌈장 등이 특허 등록된 바 있다.
특히, 현대사회 사람들은 비만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이를 충족하기 위한 많은 식품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이 미비한 실정이며, 이에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맵고 짠 음식을 금기 또는 먹거리를 절제하는 방법으로 만족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소비자들의 먹거리로부터의 해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비만억제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된장을 개발하고자 각종 기능성 소재를 여러 비율로 배합하는 실험을 거듭하고, 그 효과를 실험으로 입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더욱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추장 및 된장을 비롯한 장류에 석류 추출물, 동아분말, 녹차 또는 그의 혼합물을 첨가함으로써 고추장 및 된장 본래의 관능적 특성을 감소시키지 않는 동시에 비만억제효과를 비롯한 건강상 크게 개선된 장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류 중 고추장은a) 석류 추출물 0.01 내지 10 중량%;b) 동아분말 0.01 내지 10 중량%;c) 녹차 0.01 내지 5 중량%;d) 다시마, 검정콩,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당귀, 프로폴리스, 송엽, 효모, 석창포, 대추, 들깨, 천문동, 백복령, 율무, 마늘, 비타민 A, B, C, D, 또는 E를 포함하는 비타민, 및 칼슘, 철, 또는 아연을 포함하는 미네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성분 0.01 내지 10 중량%; 및e) 고추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류 중 된장은a) 석류 추출물 0.01 내지 10 중량%;b) 동아분말 0.01 내지 10 중량%;c) 녹차 0.01 내지 5 중량%;d) 다시마, 검정콩,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당귀, 프로폴리스, 송엽, 효모, 석창포, 대추, 들깨, 천문동, 백복령, 율무, 마늘, 비타민 A, B, C, D, 또는 E를 포함하는 비타민, 및 칼슘, 철, 또는 아연을 포함하는 미네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성분 0.01 내지 10 중량%; 및e) 된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추장 및 된장은 상기 구성 성분 외에 다시마, 검정콩, 키토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당귀, 프로폴리스, 송엽, 효모, 석창포, 대추, 들깨, 천문동, 백복령, 율무, 비타민 A, B, C, D, E 등을 포함하는 미네랄, 칼슘, 철, 아연 등을 포함하는 비타민, 두충, 마늘, 은행잎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성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만억제효과를 갖는 장류는 해당 장 성분 외에 석류추출물, 동아분말, 녹차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성분을 필수구성요소로 함유하며, 그 외 부가적으로 다시마, 검정콩, 키토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당귀, 프로폴리스, 송엽, 효모, 석창포, 대추, 들깨, 천문동, 백복령, 율무, 비타민, 미네랄, 두충, 마늘, 은행잎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석류 추출물, 동아분말, 녹차는 고추장 및 된장을 비롯한 장류의 원료배합 시 또는 숙성 중에 또는 숙성완료 후에 첨가될 수 있으며, 복용 또는 섭취시에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과량 사용시 맛과 색상을 비롯한 장류의 관능적 특성을 손상시켜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그 첨가량을 조절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장류 중 고추장에 석류 추출물, 동아분말, 녹차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맛, 향, 색의 기호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고추장외첨가물 평가대상 첨가량 (중량%)
0.5 1 2.5 5 10
석류추출물 쓴맛
동아분말 연한맛
색도약함
녹차
O: 일반 고추장과 기호도가 동일
상기 표 1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석류 추출물은 제조되는 고추장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비만억제효과가 미미한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10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쓴맛이 형성되어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동아분말은 0.01%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역시 비만억제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10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고추장 고유의 맛이 연하며, 색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녹차 또한 0.01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비만억제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5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였을 때 일반고추장과 기호도 차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석류 추출물은 0.01 내지 10중량%, 동아분말은 0.01 내지 10중량%, 녹차는 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함유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부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다시마, 검정콩, 키토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당귀, 프로폴리스, 송엽, 효모, 석창포, 대추, 들깨, 천문동, 백복령, 율무, 비타민, 미네랄, 두충, 마늘, 은행잎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성분은 원하는 맛, 향, 색 등에 따라 조절하여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류 총 중량의 10% 이내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부가 첨가물들은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 또는 분쇄하거나, 통상의 건강식품이나 생약재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방법 및 상태로 사용된다. 다시마는 물에 담가 염분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분쇄한다.
본 발명의 고추장 및 된장을 비롯한 장류 조성물에 함유되는 기능성 소재는 모두 생약재, 식품재료 및 식품 또는 의약첨가물로 사용되어 온 것이므로, 복용 또는 섭취 시 인체에 대해 안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물질인 석류 추출물, 동아분말, 녹차는 본 발명의 주제물질과 각종의 첨가되는 재료 그리고 제조방법 및 주제물질의 첨가시기 등은 선택적으로 가감 내지는 응용 조정될 수 있다.
이하, 고추장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성분을 혼합한 후, 숙성공정을 거쳐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성분 조성(중량%)
실시예 석류추출물동아분말녹차고추장 0.250.250.5잔량
비교예 고추장 100
이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추장의 관능적 특성을 시험한 결과를 하기 시험예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고추장을 대상으로 하여 수분, 염도, pH, 산도, 조단백질, 포르몰태질소, 켑산틴(Capsantin), 색도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고추장 1g에 대한 총균수, 젖산균수, 곰팡이 또는 효모균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수분(%) 염도(%) pH 산도(%) 조단백질(%) 포르몰태질소(㎎%) 캡산틴(%) 색도(L,a,b)
실시예 46.3 4.8 4.83 1.46 7.1 196 0.1094 28.44+15.56+9.26
비교예 46.9 4.7 4.85 1.51 7.2 217 0.1118 30.35+19.86+9.26
구분 젖산균(log cfu/g) 곰팡이+효모(log cfu/g) 세균(log cfu/g)
실시예 7.00 7.56 7.30
비교예 7.04 7.60 7.95
상기 표 3 및 4의 성분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고추장은 비교예의 일반 고추장에 비해 그 품질이 거의 저하되지 않았다.
[시험예 2]
또한, 고추장에 대한 비만억제효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구입한 생후 4주령된 흰쥐(S.D. rat)의 체중이 80g되었을 때 난괴법(randaized complate block design)에 따라 처리군 당 12마리씩 배치하여 8주간 동안 사양하면서, 대조군에는 흰쥐용 가루사료에 돼지기름(lard) 9.0%을 첨가하여 고지방식이를 제조한 기본식이를 급여하였고, 실시예군에는 상기 기본식이에 본 발명의 고추장 5중량%을 급여하여, 이들에 대한 성장률, 각종 장기무게, 정자의 각종 능력을 측정하여 표 5, 6 및 7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1주일마다 측정하였고, 장기 무게는 시험종료 전 12시간 절식 후 측정하였으며, 유영지구력(swimming endurance)은 자콥(Jacob)과 미츄드(Michud)(1961)의 방법에 따라 55×45×34㎝(W×L×H) 크기의 수조에 36㎝ 깊이로 물을 채우고, 20℃의 수온을 유지하면서, 1회에 흰쥐 4마리를 수조에 함께 넣고 기진맥진(exhaustion)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기진맥진하는 시점은 물속에 흰쥐의 머리가 7초 동안 잠길 때를 기준으로 하였고, 이 때 바로 흰쥐를 회수하였다. 또한, 정자활력도(sperm mobility) 검사는 통상의 생사염색법(dead-alive staining)을 이용하였으며, 정자생존율 및 정자수(sperm count)는 원정액(whole semen)을 3%의 염화나트륨(NaCl)용액과 혼합하여 해마토시토미터(ha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현미경(×200)으로 계수하였다.
처리군 개시체중(g) 종료체중(g) 성장률(g/일) 식이섭취량(g/일)
실시예군 85.8 348.1 4.70 20.1
대조군 80.6 387.4 5.49 21.0
처리군 장기무게(g)
비장 신장 정소
실시예군 10.72 0.76 1.12 1.65
대조군 12.0 0.74 1.23 1.57
처리군 유영지구력(sec) EFP(g) 정자활력도(%) 정자생존율(g) 정자수(×107)
실시예군 714.5 1.28 4.7 61.9 77.6
대조군 678.8 1.65 4.6 63.2 63.2
상기 표 5의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군의 체중 405.7% 증가하였고, 대조군의 체중이 480% 증가함으로써 실시예군이 대조군에 비해 11.3%의 체중이 감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6의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군의 간, 비장, 신장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하여 비교적 높았으며, 반면에 정소의 무게는 실시예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7의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군에 대한 유영지구력, 정자활력도, 정자생존율 및 정자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높으나, 이에 반해 체내 비만정도를 나타내는 정소상체 지방패드(EFP)의 무게는 오히려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및 시험예의 결과로부터 석류 추출물, 동아분말, 녹차를 첨가한 본 발명이 체중감량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석류 추출물, 동아분말, 녹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고추장 및 된장을 비롯한 장류는 비만억제효능을 그 장류에 부가함으로써 비만인의 맵고 짠 음식에 대한 섭취 욕구를 해소시킴으로써 장류 산업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장류 이외의 다른 식품에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a) 석류 추출물 0.01 내지 10 중량%;
    b) 동아분말 0.01 내지 10 중량%;
    c) 녹차 0.01 내지 5 중량%;
    d) 다시마, 검정콩,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당귀, 프로폴리스, 송엽, 효모, 석창포, 대추, 들깨, 천문동, 백복령, 율무, 마늘, 비타민 A, B, C, D, 또는 E를 포함하는 비타민, 및 칼슘, 철, 또는 아연을 포함하는 미네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성분 0.01 내지 10 중량%; 및
    e) 고추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효과를 갖는 고추장.
  2. 삭제
  3. a) 석류 추출물 0.01 내지 10 중량%;
    b) 동아분말 0.01 내지 10 중량%;
    c) 녹차 0.01 내지 5 중량%;
    d) 다시마, 검정콩,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당귀, 프로폴리스, 송엽, 효모, 석창포, 대추, 들깨, 천문동, 백복령, 율무, 마늘, 비타민 A, B, C, D, 또는 E를 포함하는 비타민, 및 칼슘, 철, 또는 아연을 포함하는 미네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성분 0.01 내지 10 중량%; 및
    e) 된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효과를 갖는 된장.
  4. 삭제
KR10-2002-0022743A 2002-04-25 2002-04-25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KR100462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743A KR100462331B1 (ko) 2002-04-25 2002-04-25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743A KR100462331B1 (ko) 2002-04-25 2002-04-25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180A KR20030084180A (ko) 2003-11-01
KR100462331B1 true KR100462331B1 (ko) 2004-12-17

Family

ID=3238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743A KR100462331B1 (ko) 2002-04-25 2002-04-25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51A (ko) * 2002-10-25 2002-11-29 정일광 다이어트에 유용한 첩부용 조성물 및 첩부제
KR100921172B1 (ko) * 2003-12-23 2009-10-13 (주)아모레퍼시픽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슬리밍 식품 조성물
KR100964587B1 (ko) * 2008-05-29 2010-06-21 박건영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검정콩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135097B1 (ko) * 2009-07-13 2012-04-16 이경순 청고추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추장
KR101397391B1 (ko) * 2012-06-26 2014-05-21 몽고식품 주식회사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류용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965B1 (ko) * 2015-09-03 2017-08-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쌀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쌀 고추장
KR102214532B1 (ko) * 2019-01-11 2021-02-10 맑고밝고따뜻한협동조합 석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840A (ko) * 1991-08-28 1993-03-22 이종문 자양강장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9980075165A (ko) * 1997-03-28 1998-11-16 최동성 키토산을 함유하는 저염고추장
KR20000034281A (ko) * 1998-11-28 2000-06-15 안효봉 녹차 추출물 함유 된장의 제조방법
KR20000051517A (ko) * 1999-01-22 2000-08-16 서항원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전통 메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10443A (ko) * 2000-07-29 2002-02-04 김정규 혈당 및 콜레스테롤 저하용 녹차된장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840A (ko) * 1991-08-28 1993-03-22 이종문 자양강장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9980075165A (ko) * 1997-03-28 1998-11-16 최동성 키토산을 함유하는 저염고추장
KR20000034281A (ko) * 1998-11-28 2000-06-15 안효봉 녹차 추출물 함유 된장의 제조방법
KR20000051517A (ko) * 1999-01-22 2000-08-16 서항원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전통 메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10443A (ko) * 2000-07-29 2002-02-04 김정규 혈당 및 콜레스테롤 저하용 녹차된장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연구보고서, 2000년 12월,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임성일 외 *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장류제품 개발(한국식품개발연구원)※동일 출원인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180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0060A1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ally reacted seasoning, and seasoning, food and drink
KR101241863B1 (ko)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N106889548A (zh) 一种热干面专用芝麻酱
KR100462331B1 (ko)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KR100701639B1 (ko) 녹차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6736B1 (ko) 액상 천연 조미료
KR101606113B1 (ko)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6272A (ko)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KR20050014614A (ko) 식초를 이용한 콩 발효법과 장류제조법
KR101937638B1 (ko) 대두 및 흑마늘을 이용한 비만예방용 단백질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KR100462330B1 (ko) 혈당상승 억제 효과를 갖는 고추장 또는 된장
KR20090062945A (ko) 생와사비를 함유한 마요네즈 조성물
KR100462332B1 (ko)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KR101074735B1 (ko) 된장콜라비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793700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장성이 향상된 어묵 조성물
KR20220160960A (ko) 굼벵이가 함유된 쌀국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 쌀국수
KR101535424B1 (ko) 꾸지뽕 추출물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장
KR20090039264A (ko) 우렁쉥이를 주원료로 한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9343A (ko) 매운 맛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4617B1 (ko)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스 조성물
KR100805917B1 (ko) 오징어 내장 자가분해물을 포함하는 스파게티 소스 및 이의제조방법
KR20190043517A (ko) 천연 무기질을 포함하는 매운 맛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29028B1 (ko) 기능성이 우수한 갈비양념 조성물
KR101633714B1 (ko) 흰찰쌀보리를 이용한 강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강된장 소스
KR102400713B1 (ko) 유색밀 배유 염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