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272A -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272A
KR20210076272A KR1020190166912A KR20190166912A KR20210076272A KR 20210076272 A KR20210076272 A KR 20210076272A KR 1020190166912 A KR1020190166912 A KR 1020190166912A KR 20190166912 A KR20190166912 A KR 20190166912A KR 20210076272 A KR20210076272 A KR 20210076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at
sprouts
wheat sprouts
enhanced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262B1 (ko
Inventor
김경훈
양진우
박진희
강천식
김경민
최창현
김영진
박태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6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2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싹을 저온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 상기 밀싹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및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밀싹의 제조시 특별한 성분을 처리하는 과정 없이도, 밀싹에 포함된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품질의 밀 재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wheat bud increasing functional component}
본 발명은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밀싹을 저온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 상기 밀싹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및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비약적인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고령화 되어가고, 경제발달로 인해 건강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경향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추세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는 향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사회현상과 점차 다양화 되어가는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메디컬소재개발, 기능성 식품소재개발 및 웰빙소재개발이 요구된다.
파종 후 어린 잎을 포함하는 맥류 작물의 지상부인 맥류 새싹 예컨대, 새싹밀, 새싹귀리, 새싹호밀은 예전부터 비타민 및 무기성분의 함량이 높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원으로 알려져 있고,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이차대사물질을 함유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2484호에는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8613호에는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다양한 새싹작물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새싹작물 자체에 포함된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별다른 성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새싹작물 자체에 포함된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저온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재배된 밀싹에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항산화능이 증진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밀싹을 저온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밀싹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밀싹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는 (a) 밀의 종자를 발아시켜서 밀싹을 수득하는 단계; (b) 발아된 밀싹을 저온처리하는 단계; 및, (c) 저온처리된 밀싹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된 밀의 종류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품종이라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일반 백색밀보다도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진된 유색밀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유색밀에 속하는 흑1 품종, 아리흑 품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아리흑 품종의 유색밀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밀싹은 밀의 종자에 수분을 가하고 18 ℃ 이상의 온도에서 방치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밀싹의 저온처리 온도는 밀싹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1 내지 15 ℃의 온도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5 내지 12 ℃의 온도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8 내지 10 ℃의 온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싹의 저온처리 시간 역시 밀싹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1 내지 6일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1 내지 4일이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2일 될 수 있다. 상기 저온처리 시간이 1일 미만인 경우에는 저온처리를 수행하더라도 밀싹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이 증진되지 않아 저온처리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저온처리 시간이 6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처리후 밀싹을 재배할 경우에 정상적으로 밀싹이 생육되지 않고 고사되는 비율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밀싹의 재배는 밀싹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의 농도가 최대 수준을 나타낼 때 까지 진행할 수 있는데, 대체로 밀싹이 13-15 cm로 성장할 때 까지 밀싹을 재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싹의 크기가 15cm 보다 커질 경우에는 밀싹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증진되지 않고, 밀의 줄기가 형성되어 작물의 형태로 성장하기 때문에, 이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재배기간은 저온처리 기간을 합하여 7 내지 8일 동안 수행할 수 있고, 재배온도는 18 내지 25 ℃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기능성 성분"이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저온처리과정을 거쳐 재배된 밀싹에 포함된 유용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성분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물질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색밀에는 일반 백색밀보다도 상기 기능성 성분을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밀싹에는 일반적인 유색밀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사용한 아리흑의 밀싹 보다도 상기 기능성 성분을 15 내지 50% 높은 함량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식품조성물에 포함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형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밀싹 전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밀싹을 마쇄 및 건조하여 수득한 분말형태, 상기 밀싹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형태, 상기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 형태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이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추출물은 이를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이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은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한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30g, 바람직하게는 3 ~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 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변형시키는 동시에 저장성을 좋게한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가공식품에는 예들 들어,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륙가공식품, 국수 등을 포함한다.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곡물푸레이크 등의 식사대용품류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탄산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쥬스(예들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밀싹의 제조시 특별한 성분을 처리하는 과정 없이도, 밀싹에 포함된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품질의 밀 재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2일 동안 저온처리한 유색밀의 밀싹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육속도가 우수한 밀 품종의 발굴
시중에서 시판되는 다양한 품종(재래종(흑1), ASW(호주), 백중, 백강, 새금강, 전주391 또는 아리흑)의 밀의 종자를 25 ℃의 온도에서 재배하고 재배기간의 경과에 따른 성장속도를 비교하였다(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각 품종의 밀들은 각기 다른 수준의 성장속도를 나타내었는데, 이 중에서 가장 높은 성장속도를 나타내는 아리흑 품종의 밀을 선발하였다.
실시예 2: 아리흑 품종의 밀싹 재배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발된 아리흑 품종의 밀 종자를 발아시켜서 밀싹을 수득하고, 수득한 밀싹을 저온처리한 후, 생육속도를 비교하였다.
대략적으로, 아리흑 품종의 밀 종자를 증류수에 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이어, 침지된 종자를 수분이 포함된 탈지면에 펼쳐 놓고, 20 ℃로 설정된 인큐베이터에서 2일 동안 발아시켜서 약 1cm 크기의 밀싹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밀싹을 약 10 ℃에서 1 내지 6일 동안 저온처리하고, 저온처리된 밀싹을 22 ℃로 설정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다음, 밀싹의 크기를 측정하였다(표 2). 이때, 대조군으로는 저온처리하지 않은 밀싹을 사용하였고, 저온처리기간 및 이후 배양기간은 총 8일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밀싹의 생육속도는 저온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이 가장 빠른 성장속도를 보였다.
대조군은 발아 후 싹의 길이가 15cm에 도달하는데 7일이 소요되었으며 저온처리한 밀싹의 경우에는 저온처리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4일까지 저온처리를 진행하였을 때 15cm에 도달하는데 8일이 소요되었다. 저온처리 조건에서 성장이 저해되었던 밀싹들은 온도를 22℃으로 상승시켰을 때에는 기존의 성장속도보다 더 빠른 성장속도를 나타내었다.
성장 초기 대조군이 10cm 까지 성장하는데 5일이 소요된 반면 2일 동안 저온처리한 군에서는 9일 만에 성장하였다. 이후 최종 수확시기인 15cm 까지 성장하는데 대조군은 2일이 더 소요되었으며, 2일 동안 저온처리한 실험군은 3일이 더 소요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기의 밀싹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저온의 스트레스를 유도되면 초기에는 성장이 억제되지만 최종적인 성장의 속도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저온처리된 밀싹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재배한 각 밀싹을 비교하면, 약 15 cm까지 성장한 밀싹은 1 내지 4일동안 저온처리를 수행한 밀싹이 해당하는데, 상기 1 내지 4일동안 저온처리를 수행한 밀싹으로부터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메탄올 추출물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 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저온처리 시간에 따라 밀싹에 포함된 각각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에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2일 동안 저온처리를 수행한 밀싹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함을 알 수 있었다(도 1).
도 1은 2일 동안 저온처리한 유색밀의 밀싹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실시예 3-1: 메탄올 추출물의 수득
상기 실시예 2에서 재배한 각 밀싹 중에서 2일 동안 저온처리를 수행한 밀싹(실험군)을 동결건조 및 마쇄하여 수득한 밀싹분말을 메탄올에 16시간 동안 교반 및 침지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상층액을 감압농축하여 밀싹의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실시예 2에서 사용된 대조군을 사용하였고, 비교군으로는 저온처리되지 않은 일반밀(백중밀)의 밀싹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2: 폴리페놀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에 포함된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하였다(표 3).
대략적으로, 추출물 200 ㎕를 2% Na2CO3 완충액 1 ml에 가하여 희석한 후, 상기 희석액에 1N의 Folin-ciocalteu 시약 100 ㎕를 가한 후,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72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갈릭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을 GAE(mg gallic acid equivalnet)로 나타내었다.
폴리페놀 함량(㎎/㎖)
폴리페놀 함량(㎎/㎖)
대조군 0.650
비교군 0.593
실험군 0.780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밀싹을 2일 동안 저온처리할 경우, 이에 포함된 폴리페놀 함량이 약 20%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3: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하였다(표 4).
대략적으로, 추출물 200 ㎕와 5% NaNO2 75 ㎕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하고, 상기 혼합물을 10% AlCl6·H2O 150 ㎕과 추가로 혼합한 후, 5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1 M NaOH 500 ㎕를 가하고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카테킨으로 작성된 검량선을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CE(catechin equivalent)로 나타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대조군 0.321
비교군 0.294
실험군 0.482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밀싹을 2일 동안 저온처리할 경우, 이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약 50%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저온처리된 밀싹의 항산화 활성 분석
실시예 4-1: DPPH 라디칼 소거능
상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이 나타내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하였다(표 5).
대략적으로, 추출물 200 ㎕를 0.2 mM DPPH 용액 1 ㎖에 가하여 30분간 반응시킨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0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Trolox로 작성된 검량선을 이용하여,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TEAC(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activity)로 나타내었다.
DPPH 항산화능
항산화능
대조군 0.144
비교군 0.115
실험군 0.173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밀싹을 2일 동안 저온처리할 경우, 이의 항산화 활성이 약 20%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2: ABTS 라디칼 소거능
상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이 나타내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하였다(표 6).
대략적으로, 7.4 mM ABTS와 2.6 mM potassium persulfate를 포함하는 용액을 수득하고, 하루 동안 암소 방치하여 ABTS 라디칼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5 nm에서 흡광도 1.0이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을 수득하였다. 추출물 200 ㎕를 상기 희석액 1 ㎖에 가하고 6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35 nm에서 측정하였으며, Trolox로 작성된 검량선을 이용하여,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TEAC(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activity)로 나타내었다.
ABTS 항산화능
항산화능
대조군 0.340
비교군 0.239
실험군 0.293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밀싹을 2일 동안 저온처리할 경우, 이의 항산화 활성이 약 15%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a) 밀의 종자를 발아시켜서 밀싹을 수득하는 단계;
    (b) 발아된 밀싹을 저온처리하는 단계; 및,
    (c) 저온처리된 밀싹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밀은 흑1 품종 또는 아리흑 품종인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저온처리 온도는 1 내지 15 ℃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저온처리 시간은 1 내지 6일인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재배온도는 18 내지 25 ℃인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성분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물질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인 것인,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
  8. 제6항의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9. 제6항의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

KR1020190166912A 2019-12-13 2019-12-13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KR10238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12A KR102387262B1 (ko) 2019-12-13 2019-12-13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12A KR102387262B1 (ko) 2019-12-13 2019-12-13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72A true KR20210076272A (ko) 2021-06-24
KR102387262B1 KR102387262B1 (ko) 2022-04-18

Family

ID=7660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912A KR102387262B1 (ko) 2019-12-13 2019-12-13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466B1 (ko) * 2022-01-20 2023-01-18 주식회사 에프앤에스식품 치킨용 디핑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디핑 소스
KR20230128415A (ko) 2022-02-26 2023-09-05 주식회사 아리바이오에이치앤비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한 밀싹을 이용한 면역증진 조성물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858A (ko) * 2005-07-21 2008-03-28 스미카 애그로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식물 종자의 발아 개선 방법
KR20120131859A (ko) *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의 겨울눈 추출물을 함유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8376B1 (ko) * 2009-12-07 2013-02-28 김재일 쌈채용 밀싹이나 보리싹의 재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밀싹이나 보리싹
KR20150082813A (ko) * 2014-01-08 2015-07-16 이정복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KR20160108065A (ko) * 2015-03-06 2016-09-19 고성년 밀순 재배방법
KR20170055080A (ko) * 2015-11-10 2017-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KR20180070946A (ko) * 2016-12-19 2018-06-27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루틴 또는 카페산의 함량이 증진된 메밀싹의 재배방법
KR101917871B1 (ko) * 2017-09-14 2018-11-12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처리를 이용한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이 증가된 쓴메밀 새싹의 생산방법
CN108887125A (zh) * 2018-08-17 2018-11-27 界首市鑫康家庭农场 一种高产高酚类物质含量萝卜芽苗菜的栽培方法
KR20190016818A (ko) * 2017-08-09 2019-02-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밀 신계통 아리흑(kctc18591p)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20190122484A (ko) * 2018-04-20 2019-10-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858A (ko) * 2005-07-21 2008-03-28 스미카 애그로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식물 종자의 발아 개선 방법
KR101238376B1 (ko) * 2009-12-07 2013-02-28 김재일 쌈채용 밀싹이나 보리싹의 재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밀싹이나 보리싹
KR20120131859A (ko) *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의 겨울눈 추출물을 함유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2813A (ko) * 2014-01-08 2015-07-16 이정복 유기미네랄 새싹 제조를 위한 미네랄 양액 조성물 및 유기미네랄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KR20160108065A (ko) * 2015-03-06 2016-09-19 고성년 밀순 재배방법
KR20170055080A (ko) * 2015-11-10 2017-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KR20180070946A (ko) * 2016-12-19 2018-06-27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루틴 또는 카페산의 함량이 증진된 메밀싹의 재배방법
KR20190016818A (ko) * 2017-08-09 2019-02-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밀 신계통 아리흑(kctc18591p)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1917871B1 (ko) * 2017-09-14 2018-11-12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처리를 이용한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이 증가된 쓴메밀 새싹의 생산방법
KR20190122484A (ko) * 2018-04-20 2019-10-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887125A (zh) * 2018-08-17 2018-11-27 界首市鑫康家庭农场 一种高产高酚类物质含量萝卜芽苗菜的栽培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lenichenko 등, "Effect of Cold Hardening on the Phenolic Complex of Winter Wheat Leaves", Russian Journal of Plant Physiology, Vol. 53, No. 4, pp. 495-500(2006) *
네이버 블로그 2018.10.2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466B1 (ko) * 2022-01-20 2023-01-18 주식회사 에프앤에스식품 치킨용 디핑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디핑 소스
KR20230128415A (ko) 2022-02-26 2023-09-05 주식회사 아리바이오에이치앤비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한 밀싹을 이용한 면역증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262B1 (ko)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ga Cactus pear: a fruit of nutraceutical and functional importance
Richmond et al. Australian native fruits: Potential use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KR101817282B1 (ko)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KR102387262B1 (ko)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KR101822393B1 (ko) 새싹땅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소야사포닌 i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00713B1 (ko) 유색밀 배유 염색방법
KR20140083734A (ko) 미나리 발효초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
JP7383621B2 (ja) 脂肪酸酸化の植物由来インヒビターを含む食品安定化組成物
KR101753308B1 (ko) 김치유산균이 함유된 배 및 유자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11795B1 (ko) 홍마늘의 제조방법 및 홍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곱창용 홍마늘소스 조성물
KR20210017791A (ko) 양파, 파프리카 및 토마토를 이용한 고추장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494427B2 (ja) 飲食品用抗菌剤組成物
KR102342389B1 (ko) 비선택 제초제 티아페나실에 내성을 갖는 벼 돌연변이 후대 계통 벼 품종 Samkwang(SA)-Tfnl1 및 이의 용도
KR102400709B1 (ko) 비선택 제초제 티아페나실에 내성을 갖는 벼 돌연변이 후대 계통 벼 품종 Namil(SA)-Tfnl1, Namil(EMS)-Tfnl1 및 이들의 용도
RU2764896C1 (ru) Композиция водно-спиртового бальзама на основе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при производстве сырокопченых мясных изделий
KR20170117962A (ko) 겨우살이 분말이 함유된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6818A (ko) 밀 신계통 아리흑(kctc18591p)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1167643B1 (ko) 구아바를 이용한 양념소스
Jedlińska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aromas in a powder form
Korzeniowska-Ginter et al. Influence of production method and fruit selection on the colour and taste of raspberry syrups
Oğul et al. Ultrasound Applications for Surface Cleaning In Dairy Industry
JPH0987619A (ja) 酸化防止剤の製造法
KR20220166905A (ko) 비선택 제초제 티아페나실에 내성을 갖는 벼 돌연변이 후대 계통 벼 품종 Samkwang(SA)-Tfnl2 및 이의 용도
JP3641480B1 (ja) バナバ淡白色エキスを含む食品
KR101771127B1 (ko) 삼채를 함유하는 갑각류 껍질 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갑각류의 껍질을 연화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