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080A -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080A
KR20170055080A KR1020150157662A KR20150157662A KR20170055080A KR 20170055080 A KR20170055080 A KR 20170055080A KR 1020150157662 A KR1020150157662 A KR 1020150157662A KR 20150157662 A KR20150157662 A KR 20150157662A KR 20170055080 A KR20170055080 A KR 20170055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
seeds
cultivation
present
cul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만수
강범규
구성철
김현태
서정현
윤홍태
오인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5015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080A/ko
Publication of KR2017005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01G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의 재배방법 및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완두콩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7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완두나물의 재배방법,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완두나물, 상기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식품 조성물, 및 상기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배방법은 재배수율이 높아 같은 양의 재료로 더 많은 양의 싹나물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완두나물은 총 폴리페놀함량 및 항산화활성이 높으므로 항산화 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Pea sprouts having improved growth characteristics and cultiv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의 재배방법 및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완두콩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7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완두나물의 재배방법,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완두나물, 상기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식품 조성물, 및 상기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완두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지만 단백질도 풍부하며, 어린 꼬투리에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비타민 A, B, C 등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다. 완두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여 추위에도 강하고, 답전작으로도 재배할 수 있으며 품질이 매우 우수하여 수익성이 높은 작물에 속한다. 이러한 완두는 가공형태로 혼반용, 떡 또는 과자의 속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생두는 통조림으로 가공되어 대부분 업소용으로 판매되고 있다.
한편, 씨앗에서 처음으로 터져나오는 어린 잎이나 줄기를 채소로 먹는 새싹채소의 일종인 싹나물은 최근 들어 그의 영양학적 효능이 알려지며 많은 소비자들이 찾는 음식 재료가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배추, 무, 붉은 무, 브로콜리, 옥수수, 양배추, 메밀의 싹 등이 새싹채소로 이용된다. 이러한 새싹채소를 가정에서 직접 길러 먹기 위해 온라인상에 재배방법의 조언을 구하는 경우가 증가하였으며, 지자체의 주관으로 다양한 새싹채소의 종류 및 기르는 방법 등에 대해 교육하는 프로그램 등이 진행되고 있어, 새싹채소에 대한 높은 관심이 입증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낭콩 또는 땅콩을 이용한 싹나물이 개발되었으며(한국 공개특허 10-2015-0061118, 한국 공개특허 10-2011-0080901), '연두채'라는 이름의 싹나물용 팥 신품종이 개발된 바 있다. 녹색의 껍질을 갖는 상기 연두채는 소립종(잔씨앗)으로 발아율이 높고 부패율이 낮으며, 일주일 정도 나물로 키우면 길이가 7cm~10cm 정도 되는데, 항산화 능력이 숙주나물보다 약 2.3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붉은색과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나물용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팥, 또는 이외의 곡물에 대하여 나물용이나 새싹용으로 용도를 확대하기 위한 품종 개발 등의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지만, 완두 또는 완두 싹나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싹나물 특성이 우수한 완두를 선별하고, 완두 싹나물에 대한 최적의 재배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5일 동안 23℃에서 재배한 완두나물이 우수한 생육특성, 높은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완두콩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7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완두콩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7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38점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 완두나물로써 재배하기에 적합한 5점을 선발하였고, 재배온도를 20℃, 23℃ 및 25℃로 달리하여 재배한 완두나물의 전체길이, 배축길이, 배축굵기 및 수율을 포함하는 생육특성; 및 조단백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포함하는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일 동안 23℃에서 재배한 완두나물이 우수한 생육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여 상기 조건에서 재배하는 것이 최적의 재배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5점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PI269803의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여 완두나물로써 사용하기에 최적의 자원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용어, "완두콩"이란, 완두(Pisum sativum)의 종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두콩은 완두 유전자원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전자원'(genetic resources)은 육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집단 내에서 여러 개체들이 지닌 유전자의 총체를 의미하며, 유전육종의 자원으로서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도록 수집되어 보관되고 있는 식물 또는 종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두콩은 기탁번호 PI269803, 기탁번호 PI343278, 기탁번호 PI343283, 기탁번호 PI343300 및 기탁번호 PI343307(기탁기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탁번호 PI269803(기탁기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인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완두나물"이란, 완두 종자의 싹나물을 의미하며, 상기 '싹나물'은 종자를 발아시킨 후 약 일주일 정도 된 채소의 어린 싹을 의미한다. 싹나물은 재배 후 일주일 안에 수확하기 때문에 살균제나 성장촉진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무농약 식품이며, 일반적으로 싹을 틔우기 전의 종자보다 싹나물에 더 많은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식이요법 또는 산업화 소재의 개발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완두나물은 완두 싹나물과 동일한 의미로 호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생육특성"이란,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나타내는 특징을 총칭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예로, 길이, 굵기, 분지수, 절수, 무게, 개화기, 결실기, 발아 수율, 부패율, 경실율 또는 불완전발아율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은 완두콩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7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재배는 23℃에서 5일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완두나물은 본 발명의 재배 단계에 의해 우수한 생육특성을 보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상기 생육특성은 전체 길이, 배축 길이, 배축 굵기, 발아 수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선택되는 특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5일 동안 23℃에서 재배할 때, 선별한 5점의 완두 유전자원 모두에서 전체길이 및 배축길이의 생장이 가장 우수하며, 발아 수율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5점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PI269803이 가장 우수한 생육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도 1 및 2). 이를 통해, 상기 재배 조건에서 완두나물이 콩나물에서 선호하는 형태적 품질과 가장 유사하게 재배되며, 재배수율이 높아져 같은 양의 재료로 더 많은 싹나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방법이 최적의 재배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고, 상기 유전자원이 완두나물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자원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완두나물은 본 발명의 재배 단계에 의해 우수한 이화학적 특성을 보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상기 이화학적 특성은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되는 특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5일 동안 23℃에서 재배할 때, 선별한 5점의 완두 유전자원 모두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으며, 상기 5점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PI269803이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가짐을 확인하였다(도 3). 이는, 본 발명의 방법이 최적의 재배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고, 상기 유전자원이 완두나물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자원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을 제공한다.
상기 완두나물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완두나물은 100g 당 200 내지 600mg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5일 동안 23℃에서 재배할 때, 선별한 5점의 완두 유전자원 모두에서 100g 당 243 내지 503mg의 폴리페놀 함량 범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0℃ 및 23℃에서는 상기 5점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PI269803이 각각 100g 당 386 및 503mg으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이는, 본 발명의 방법이 최적의 재배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고, 상기 유전자원이 완두나물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자원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항산화"란,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는 산화촉진물질(prooxidant)과 산화억제물질(antioxidant)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하여 이런 균형상태가 불균형을 이루게 되고 산화촉진 쪽으로 기울게 되면,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유발되어 잠재적인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하고,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및 세포독성 등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활성 산소종은 체내에서 세포를 산화시켜 파괴시키며, 그에 따라 각종 질환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완두나물을 식품에 포함시키면 항산화 효과를 달성함으로써,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5일 동안 23℃에서 재배할 때, 선별한 5점의 완두 유전자원 모두에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며, 상기 5점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PI269803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도 4 및 5). 이는, 본 발명의 방법이 최적의 재배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고, 상기 유전자원이 완두나물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자원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이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은 항산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두나물은 상기 식품 조성물에 그 자체로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경우, 구체적인 예로 추출물,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 0.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사료"란 가축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사료는 사료 첨가제 또는 보조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배방법은 재배수율이 높아 같은 양의 재료로 더 많은 양의 싹나물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완두나물은 총 폴리페놀함량 및 항산화활성이 높으므로 항산화 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두나물의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완두나물은 생육특성이 우수하고, 폴리페놀을 보다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며,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므로, 항산화 식품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완두 유전자원(varieties)을 재배 일수 및 재배 온도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재배한 완두나물의 전체 길이(whole length)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A는 20℃, B는 23℃ 및 C는 25℃에서 재배한 완두나물의 전체 길이를 보여준다.
도 2는 완두 유전자원을 재배 일수 및 재배 온도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재배한 완두나물의 배축 길이(hypocotyl length)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A는 20℃, B는 23℃ 및 C는 25℃에서 재배한 완두나물의 배축 길이를 보여준다.
도 3은 5일 동안 재배한 완두나물의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함량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각 완두 유전자원은 20℃, 23℃ 및 25℃에서 재배되었다.
도 4는 5일 동안 재배한 완두나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각 완두 유전자원은 20℃, 23℃ 및 25℃에서 재배되었다.
도 5는 5일 동안 재배한 완두나물의 ABST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각 완두 유전자원은 20℃, 23℃ 및 25℃에서 재배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완두 유전자원의 선발
완두나물로써 재배하기에 적합한 완두 유전자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농업유전자원센터와 아시아채소연구개발센터(Asia Vegetable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AVRDC)로부터 소립종위주로 각각 25점과 13점을 분양받아 총 38점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배 생육사항, 100립중, 종실외관과 완두나물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I269803, PI343278, PI343283, PI343300 및 PI343307의 완두 유전자원이 완두나물로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선발한 5점을 포함한 38점의 완두 유전자원의 생육조사 결과는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완두 생육조사
일련번호 유전자원 개화시 화색 생육상태 수확량(g) 100립중(g)
1 IT102582 05월 18일 흰색 × - -
2 IT102862 05월 23일 분홍색 686 11.8
3 IT103003 05월 19일 흰색 272 16
4 IT103006 05월 18일 흰색 288 16.9
5 IT103257 05월 18일 분홍색 362 17.6
6 IT105580 05월 23일 분홍색 298 11.3
7 IT134950 05월 19일 흰색 344 23.5
8 IT181881 05월 22일 분홍색 782 17.9
9 IT208525 05월 22일 흰색 378 16.1
11 IT209173 05월 16일 흰색 × - -
12 IT224438 05월 23일 흰색 624 13.8
13 IT224460 05월 23일 흰색 530 14.6
14 PI121976 05월 22일 분홍색 374 9.9
16 PI269796 05월 23일 분리중 × - -
17 PI269803 05월 24일 흰색 286 5.8
18 PI269810 05월 25일 분홍색 - -
19 PI271034 05월 25일 분홍색 - -
20 PI271036 05월 25일 분홍색 - -
21 PI272217 05월 25일 분홍색 - -
22 PI274307 05월 25일 분홍색 - -
23 PI280609 06월 04일 분홍색 × - -
24 PI343278 05월 22일 분홍색 364 7.3
25 PI343283 05월 19일 분홍색 262 8.1
26 PI343292 06월 05일 분홍색 - -
27 PI343300 05월 23일 분홍색 292 6.7
28 PI343302 06월 05일 분홍색 - -
29 PI343303 05월 23일 분홍색 232 8
30 PI343305 05월 20일 분홍색 298 12.2
31 PI343306 05월 23일 분홍색 - -
32 PI343307 05월 22일 분홍색 374 9.2
34 PI343996 06월 10일 분홍색 × - -
35 PI344538 06월 04일 분홍색 × - -
36 PI358632 05월 23일 분홍색 682 13.4
37 PI358664 05월 25일 분홍색 510 12
38 PI560969 05월 30일 분홍색 × - -
39 초록완두 06월 01일 분홍색 496 12.6
40 청미완두 05월 15일 흰색 258 28
41 올완두 05월 15일 흰색 316 26
42 다청완두 05월 15일 흰색 290 28
(생육상태 = ◎ : 아주좋음, ○ 좋음, △: 보통, ×: 나쁨)
실시예 2. 완두 유전자원의 생육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발한 5점의 완두 유전자원에 대한 적정 재배조건을 설정하고자 재배조건에 따른 상기 완두의 생육특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0, 23 및 25℃의 재배온도; 0 내지 7일의 재배일수; 및 2시간 간격의 약 500 ml 이상의 자동급수 조건으로 완두나물을 재배하였다.
실시예 2-1. 전체길이(whole length)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재배한 5점의 완두나물의 전체길이(whole length)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완두나물 재배일수가 경과 할수록 상기 5점의 자원 모두에서 전장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도변화에 따라 전체길이를 비교하였을 때, 20℃, 23℃ 및 25℃에서 각각 5.7~28.6㎝, 7.2~27.0㎝ 및 4.2~29.4㎝로 조사되었으며, 23℃에서 평균 18.2㎝로 길이생장이 가장 좋았고, 25℃에서 평균 15.3㎝로 가장 더딘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원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PI269803이 평균 18.5㎝로 전장이 가장 김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상기 완두 유전자원을 23℃에서 재배할 때 전체길이 생장이 좋음을 확인하였고, 그 중에서도 PI269803이 가장 긴 전체길이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배축길이 ( hypocotyl length)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재배한 5점의 완두나물의 배축길이(hypocotyl length)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완두나물 재배일수가 경과 할수록 상기 5점의 자원 모두에서 배축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온도변화에 따라 배축길이를 비교하였을 때, 20℃, 23℃ 및 25℃에서 각각 1.5~18.7㎝, 2.3~17.9㎝ 및 0.8~20.6㎝로 조사되었다. 23℃에서 배축길이가 가장 길었고, 20℃와 25℃ 간에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온도에서 자원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20℃에서는 PI343300이 9.0㎝, 23℃에서는 PI269803이 12.1㎝, 25℃에서는 PI343307과 PI343283이 각각 11.0㎝와 10.9㎝로 가장 김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상기 완두 유전자원을 23℃에서 재배할 때, 완두나물의 배축길이가 가장 길어짐을 확인하였고, 상기 5점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PI269803이 가장 긴 배축길이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완두 나물을 5일 동안 재배하였을 때, 20℃, 23℃와 25℃에서 평균 배축길이가 각각 8.1㎝, 10.6㎝와 7.9㎝였고, 이에 따른 뿌리의 비율 또한 49.1%, 42.2%와 249.3%임을 확인하여, 콩나물에서 선호하는 형태적 품질과 가장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배축굵기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재배한 5점의 완두나물의 배축굵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배축굵기는 20℃와 23℃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25℃에서 굵어지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고, 상기 5점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PI269803이 가장 굵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자원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2-4. 발아 수율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재배한 5점의 완두나물의 발아 수율(yield)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율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발아 수율(%) = 완두나물의 무게(g)/완두 종자의 무게(g) × 100
완두 유전자원 종류 완두나물의 발아 수율 (%)
20℃ 23℃ 25℃
PI269803 589b 677a 558b
PI343278 354b 395a 329b
PI343283 388a 445a 430a
PI343300 448b 498a 439b
PI343307 384b 408ab 458a
(각 컬럼에서 같은 문자는 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음을 의미함)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5일 동안 재배하였을 때 상기 5점의 완두 유전자원의 발아 수율은 329~677%의 범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0℃에서는, PI269803이 589%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PI343300이 448%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23℃에서는, PI269803이 677%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PI343300이 498%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25℃에서는, PI269803이 558%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PI343300이 439%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상기 완두 유전자원을 23℃에서 5일 동안 재배할 때, 완두 싹나물의 수율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고, 상기 5점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특히 PI269803과 PI343300이 수율이 높고 생장이 좋음을 확인하여 싹나물 자원으로서 유망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2-1 내지 2-4를 통해 확인한 완두 유전자원의 생육특성을 하기 표 3으로 정리하였다.
20℃, 23℃ 및 25℃에서 5일 동안 재배한 완두나물의 생육상황

 
 
전체길이
(cm)
배축 완두나물의
수율 (%)
길이 (cm) 굵기 (mm)
20℃ PI269803 18.3a 8.5ab 1.45a 589a
PI343278 14.1d 7.9bc 1.48a 354c
PI343283 15.1cd 7.6c 1.48a 388c
PI343300 16.9b 9.0a 1.43a 448b
PI343307 15.8bc 7.8bc 1.48a 384c
23℃ PI269803 20.8a 12.1a 1.43a 677a
PI343278 16.0c 8.9c 1.23b 395d
PI343283 17.2bc 9.8c 1.22b 445c
PI343300 18.3b 10.9b 1.35ab 498b
PI343307 18.8b 11.0b 1.34ab 408d
25℃ PI269803 16.2b 7.4b 1.65a 558a
PI343278 10.4d 4.4d 1.33b 329c
PI343283 19.2a 10.9a 1.26b 430b
PI343300 12.1c 6.0c 1.42b 439b
PI343307 18.6a 11.0a 1.41b 458b
(각 컬럼에서 같은 문자는 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음을 의미함)
실시예 3. 완두 유전자원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발한 5점의 완두 유전자원에 대한 적정 재배조건을 설정하고자 재배조건에 따른 상기 완두의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0, 23 및 25℃의 재배온도; 0 내지 7일의 재배일수; 및 2시간 간격의 약 500ml 이상 자동급수 조건으로 완두나물을 재배하였다. 이후, 조단백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포함하는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 3-1. 조단백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재배한 5점의 완두나물의 조단백(Crude Protein) 함량을 비교하였다.
완두 유전자원 조단백 함량 (%)
종자 20℃ 23℃
PI269803 36.2a 34.7a 33.7a
PI343278 27.5c 26.0c 25.6c
PI343283 28.8b 29.0b 29.9b
PI343300 28.6b 30.1b 29.0b
PI343307 26.9c 27.0c 27.3bc
그 결과,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완두 유전자원의 종자를 5일 동안 재배하여 발아시킨 완두나물의 경우, 20℃에서는 상기 5개의 완두 유전자원은 26.0~34.7%의 조단백 함량 범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PI269803이 34.7%로 가장 높고, 뒤이어 PI343300이 30.1%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23℃에서는 상기 5개의 완두 유전자원은 25.6~33.7%의 범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PI269803이 33.7%로 가장 높고, 뒤이어 PI343283이 29.9%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5℃에서는 PI269803이 32.8%로 가장 높고, 뒤이어 PI343300이 두 번째로 높게 측정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5개의 완두 유전자원 종자의 조단백은 26.9~36.2%의 범위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25.6~34.7%의 범위를 보이는 완두나물의 조단백 함량과 비교하였을 때, 품종 간의 차이는 존재하나 온도 간의 차이는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재배한 5점의 완두나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시료 100g 중 ㎎ 갈산(garlic acid; GA)으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완두 유전자원의 종자를 5일 동안 재배하여 발아시킨 완두나물의 경우, 상기 5개의 완두 유전자원은 재배 5일째 243~503mg GA/100g, sample의 폴리페놀 함량 범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20℃ 및 23℃에서는 PI269803이 각각 386 및 503mg GA/100g, sample로 가장 높고, 25℃에서는 PI343307이 437mg GA/100g, sample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온도에 따른 상기 유전자원 간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PI269803, PI343278 및 PI343300은 23℃에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가지며, PI343283은 20℃에서, PI343307은 25℃에서 가장 높음을 확인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자원 간에 반응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23℃에서 재배한 완두나물이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함량을 가지며, 5개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PI269803이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함량을 가지며, 뒤이어 PI343300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3. 항산화 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재배한 5점의 완두나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재배일수가 늘어날수록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일 동안 재배한 완두 나물을 기준으로 측정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범위는 117.0~340.1mg Trolox eq./100g sample로 조사되었으며, 20℃ 및 23℃에서 PI269803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25℃에서는 PI343307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5일 동안 재배한 완두 나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94~212mg Trolox eq./100g sample의 범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20℃ 및 23℃에서 PI269803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25℃에서는 PI343307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동일한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으로 상기 5개의 완두 유전자원 중에서도 PI269803, PI343278, PI343300은 23℃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고, PI343283은 20℃에서, PI343307은 25℃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완두콩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7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의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두콩은 기탁번호 PI269803, 기탁번호 PI343278, 기탁번호 PI343283, 기탁번호 PI343300 및 기탁번호 PI34330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두콩은 기탁번호 PI269803인 것인, 재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는 23℃에서 5일 동안 수행되는 것인, 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특성은 전체 길이, 배축 길이, 배축 굵기, 발아 수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선택되는 특성인 것인, 재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두나물은 100g 당 200 내지 600mg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것인, 완두나물.
  8. 제6항의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식품 조성물.
  9. 제6항의 완두나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사료 조성물.
KR1020150157662A 2015-11-10 2015-11-10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KR20170055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662A KR20170055080A (ko) 2015-11-10 2015-11-10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662A KR20170055080A (ko) 2015-11-10 2015-11-10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080A true KR20170055080A (ko) 2017-05-19

Family

ID=5904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662A KR20170055080A (ko) 2015-11-10 2015-11-10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0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272A (ko) * 2019-12-13 2021-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272A (ko) * 2019-12-13 2021-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ad et al. Pumpkin: horticultural importance and its roles in various forms; a review
Shedbalkar et al. Opuntia and other cacti: applications and biotechnological insights
Islam Nutritional and medicinal qualities of sweetpotato tops and leaves
WO2007013501A1 (ja) 成長促進剤及び延命剤
Olife et al. Cashew processing for economic development in Nigeria
CN102423038A (zh) 一种糙米的改性方法
Masih et al. Moringa: A multipurpose potential crop-A review
Barua et al. Underutilized fruits of Assam for livelihood and nutritional security
Ubalua Cocoyam (taro and tannia): staples with untapped enormous potentials‐a review
JPWO2006067906A1 (ja) 蓮からの抽出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KR100506425B1 (ko) 비타민 b12를 함유하는 종자 및 식물, 및 그의 생산방법
Verma et al. Ethnobotanical study of small millets from India: prodigious grain for nutritional and industrial aspects
Arutselvan et al. Tuber crops and their potential in food and nutritional security
KR20210076272A (ko)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KR20170055080A (ko) 생육특성이 우수한 완두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Jackson et al. Cassava production, processing and nutrition
KR100583192B1 (ko) 보라밸리 품종의 감자로부터 추출된 항산화활성 물질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Maina et al. Vegetables in East Africa
Somsri Current status of papaya production in Thailand
KR101789246B1 (ko) 쌀보리 신품종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Ouattara et al. The Tomato: A Nutritious and Profitable Vegetable to Promote in Burkina Faso
Sah et al.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A potential coarse grain crop for food and nutritional security
Dragomir et al. Research on the chemical and bioactive evaluation of organic pumpkin pulp (Cucurbita maxima).
KR20190016818A (ko) 밀 신계통 아리흑(kctc18591p)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Oyetayo et al. The African Breadfruit (Treculia africana) Decne Plant Seed: A Potential Source of Essential Food and Medicinal Phytoconstitu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