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246B1 - 쌀보리 신품종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쌀보리 신품종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246B1
KR101789246B1 KR1020150142881A KR20150142881A KR101789246B1 KR 101789246 B1 KR101789246 B1 KR 101789246B1 KR 1020150142881 A KR1020150142881 A KR 1020150142881A KR 20150142881 A KR20150142881 A KR 20150142881A KR 101789246 B1 KR101789246 B1 KR 10178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ksan
barley
food composition
hanbai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297A (ko
Inventor
이미자
김양길
김경호
박종철
강현중
서우덕
김선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4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2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신계통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갈변현상이 감소된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백(익산117호)은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아 백도가 높고 반죽 저장시 갈변이 잘 안되며, 찰성이 없는 메성 보리이므로 국수 및 제빵 등의 식품 가공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쌀보리 신품종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A new plant type barely 'Hanbaek(Iksan117)'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신계통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갈변현상이 감소된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리(Hordeum vulgare L.)는 세계 4대 작물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의 경우에 쌀 다음가는 주식 곡물로서, 말초신경 활동 증진 및 그의 기능 향상, 혈당 조절,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제거능 또는 LDL 콜레스테롤 산화 억제능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보리의 생리활성 기능이 재조명되면서 보리국수, 보리빵, 보리 미숫가루, 보리차, 보리음료 등 보리를 이용한 가공 식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강관리를 위하여 보리밥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보리를 포함한 여러 곡물은 오랜 기간 저장시 표면의 지질이 산패되어 품질이 저하되게 되며, 곡물에 함유되어 있는 프로안토시아니딘에 의하여 갈변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갈변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색의 변화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식품 외관을 손상시키고 향을 나쁘게 할뿐만 아니라, 비타민과 필수 아미노산 등을 영양상 무효로 하게 하거나 감소하게 한다. 따라서, 곡물을 이용한 식품 산업에서 곡물의 갈변 방지는 해결해야 하는 아주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곡물의 찰기는 아밀로스의 함량에 의하여 결정되며, 아밀로스의 함량이 낮아질수록 찰기가 생긴다. 쌀보리의 경우, 메성 보리는 일반적으로 아밀로스 함량이 15~20%으로 구성되어있는 반면에, 찰성 보리는 아밀로스 함량을 5% 이하로 포함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있다. 이와 관련하여, 식품의 품질 특성은 상기 곡물의 찰기에 의하여 결정되며, 메성 쌀보리를 첨가한 빵이 찰성 쌀보리를 첨가한 빵에 비하여 기호도 및 경도가 높으며, 시간경과에 따라 단단하게 되고 식감과 촉감이 떨어지는 노화 현상 또한 보다 감소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이영택 외,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5권 제5호 통권 제171호 (2003. 10) pp. 918-923). 따라서, 쌀보리를 이용한 제빵 또는 제면 등의 식품 가공 산업에서, 메성 특성을 갖는 쌀보리는 찰성 특성을 갖는 쌀보리보다 더 선호된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식품 가공 산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메성의 특성을 갖는 보리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 연구한 결과, 프로안토시아니딘 저함유 보리 품종인 라디안트(Radiant)와 메성 보리품종인 청호를 인공교배하여 계통을 선발한 보리 신계통이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으면서도 메성의 특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신계통 한백(익산117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한백(익산117호)을 포함하는 갈변현상이 감소된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고, 메성인 보리로서, 하기와 같은 식물학적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신계통 한백(익산117호)을 제공한다.
파성: Ⅲ
병와성: 병성
이삭의 조성: 6
간장: 85 내지 89cm
수장: 4.6 내지 5.6cm
1수립수: 62 내지 64개
L중: 826 내지 830g
천립중: 27.1 내지 28.1g
본 발명의 한백(익산117호)은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아 백도가 높고 반죽 저장시 갈변이 잘 안되며, 찰성이 없는 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보리 품종보다 형질적으로 우수한 신계통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백(익산117호)은 생식용, 가공용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프로안토시아니딘"이란, 갈변현상을 야기하는 폴리페놀류 화합물을 의미한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은 효소의 작용에 의해 반응성이 높은 퀴논류로 변환되며, 생성된 퀴논류는 그 자체로 중합하거나 아미노화합물과의 반응물이 중합하여 착색중합물질인 멜라노이딘으로 변환되어 갈변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메성"이란, 찰기가 없는 특성을 의미하며, 곡물의 메성은 아밀로스의 함량이 높을수록, 또한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낮을수록 증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보리 신계통 한백(익산117호)은 하기와 같은 식물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Ⅲ형의 파성; 녹색의 중간 정도의 폭을 갖는 긴 잎; 녹색의 중간 정도의 굵기를 갖는 줄기; 녹색의 긴 길이를 갖는 까락; 6개의 조성을 가지며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갖는 이삭; 4월 20일 내지 5월 10일의 출수기; 5월 20일 내지 6월 15일의 성숙기; 85 내지 89cm의 간장; 4.6 내지 5.6cm의 수장; 879 내지 889 개/㎡의 수수; 62 내지 64개의 1수립수; 826 내지 830g의 L중; 27.1 내지 28.1g의 천립중; 600 내지 620kg/10a의 답리작 수량성; 9.2 내지 10.2의 단백질 함량, 65.2 내지 66.2의 전분 함량,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 및 1.86 내지 1.96의 수분 흡수력을 갖는 조곡; 37.1 내지 38.1의 백도, 21.4 내지 22.4의 아밀로스 함량, 3.0 내지 4.0의 β-glucan 함량, 228 내지 238의 흡수율 및 386 내지 396의 퍼짐성을 갖는 정곡; 털이 없는 엽초; 안토시아닌 색이 없는 지엽; 직립이며 봉형이고, 수의 밀도가 밀수형인 이삭; 장망형인 망까락길이; 및 털이 없는 종구하단의 특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이면서 메성인 보리 품종, 한백(익산117호)은 청호쌀보리 품종과 라디안트(Radiant) 품종을 인공교배하여 육종된 것이며, 상기 한백(익산117호)을 육종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우선, 청호쌀보리와 라디안트 품종을 인공교배하여 HB16972 조합을 육성하였다.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이면서 메성인 보리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청호쌀보리와 라디안트 품종을 인공교배하여 HB16972 조합을 육성하였다. 이후, 제4세대 식물체가 생육을 개시하여 등숙기에 도달하였을 때 각 계통별 식물체에 결실된 종자 일부를 채취하여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 여부와 찰성여부를 검정하여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이며 메성인 특성을 보인 계통을 선발한 후 생산력 검정시험에 공시하였다.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이면서 메성인 특징을 나타낸 계통인 등숙성이 개선된 계통인 HB16972-B-B-13를 선발하여 이를 '익산 117호'로 명명하였으며, 3년간의 지역적응 시험을 거쳐 2014년 신품종 선정 심의 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한백' 쌀보리로 품종명을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익산117호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소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5년 10월 8일자 기탁번호 KACC98045P로 특허 기탁을 하였는바, 익산117호는 상기 기관 등을 통해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익산117호는 국립종자원에 2014년 9월 23일자 출원번호 2014-453으로 '한백'이라는 명칭으로 품종보호출원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한백(익산117호)을 포함하는 갈변현상이 감소된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한백(익산117호)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갈변 현상"이란, 식품의 저장, 가공, 조리과정에서 식품이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갈변은 효소가 관여하는 효소적 갈변일 수 있으며, 상기 효소적 갈변의 기질이 되는 것은 식물 중의 페놀류 및 폴리페놀류, 구체적으로 보리의 프로안토시아니딘일 수 있다.
상기 한백(익산117호)은 프로안토시아니딘이 함유되지 않은 보리이므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새쌀보리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에 비해 갈변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조성물은 제조 후 80시간, 구체적으로 70시간, 더욱 구체적으로 60시간까지 갈변 현상이 감소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백(익산117호)을 이용하여 제조한 반죽은 새쌀보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반죽보다 백도가 높았으며, 저장 후 48시간이 지난 이후에도 저장 직후에 비하여 백도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6). 이는, 본 발명의 한백(익산117호)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은 갈변현상이 감소되므로 상품성이 높아지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상기 용어, "새쌀보리"란, 답리작에 알맞는 조숙 내재해 기계화적응 다수성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73년 영산보리를 모본으로 하고 광계2호/청맥의 F1을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 및 계통육종법을 통해 개발된 보리 품종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새쌀보리는 상기 한백(익산117호)의 생육특성, 병해 및 재해저항성, 수량성, 품질특성 또는 품종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대조품종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한백(익산117호)이 포함될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보리밥, 보리떡, 보리과자, 보리음료 및 보리빵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한백(익산117호)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한백(익산117호)은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2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 0.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한백(익산117호)은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아 백도가 높고 반죽 저장시 갈변이 잘 안되며, 찰성이 없는 메성 보리이므로 국수 및 제빵 등의 식품 가공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신계통 보리 한백(익산117호)의 육성계통도이다.
도 2는 신계통 보리 한백(익산117호)의 육성계보도이다.
도 3은 한백(익산117호)의 이삭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한백(익산117호)의 출수기 및 성숙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한백(익산117호)의 종자 형태를 찍은 사진이다.
도 6은 한백(익산117호)을 이용한 반죽의 시간경과에 따른 백도 변화를 보여주며, A는 백도 변화에 대한 그래프, B는 반죽 직후 및 저장 후 48시간 경과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한백(익산117호)의 제면 및 제빵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A는 한백(익산117호)을 사용하여 만든 국수 및 B는 한백(익산117호)을 사용하여 만든 빵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백(익산117호)의 육종 방법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이면서 메성인 보리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청호쌀보리와 라디안트(Radiant) 품종을 인공교배하여 HB16972 조합을 육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잡종(F1)의 식물체의 이삭에서 발생된 분리세대(F2) 종자를 일반적인 집단육종법에 의해 잡종 제3세대(F3)까지 선발 없이 전개한 후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 여부와 찰성여부를 검정하여 종자선발 후 제4세대로 계통 육성하였다. 제4세대 식물체가 생육을 개시하여 등숙기에 도달하였을 때, 각 계통별 식물체에 결실된 종자 일부를 채취하여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 여부와 찰성여부를 검정하였고, 이후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이며 메성인 특성을 보인 계통을 선발하여 생산력 검정시험에 공시하였다.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리이면서 메성인 특징을 나타내고, 등숙성이 개선된 계통인 HB16972-B-B-13를 선발하여 이를 '익산 117호'로 명명하였으며, 3년간의 지역적응 시험을 거쳐 2014년 신품종 선정 심의 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한백' 쌀보리로 품종명을 부여하였다.
상기 한백(익산117호)의 육성계통도 및 육성계보도는 도 1 및 도 2와 같다.
실시예 2. 한백(익산117호)의 생육특성 분석
한백(익산117호)의 생산력검정 시험은 2012년 내지 2014년에 걸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유특성, 출수기, 성숙기, 간장, 수장 및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하였으며, 조사 및 평가방법은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농촌진흥청, 2012)과 신품종 심사를 위한 작물별 특성조사요령(농림부 국립종자관리소, 2000)에 준하였다.
실시예 2-1. 고유특성 분석
품종명 파성 병와성 줄기 까락 이삭
길이 굵기 길이 조성 밀도
한백
(익산117호)
병성 6
새쌀보리 와성 6
('12~'14, 식량원, 익산)
고유특성에 대하여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백(익산117호)의 파성은 Ⅲ형으로 양절형이며, 잎, 줄기 및 까락의 색은 녹색이며, 잎의 폭은 중간이며 긴 편임을 확인하였다. 줄기 굵기는 중간 정도이고, 까락 길이는 긴편이었다. 이삭은 6개이며, 밀도는 중간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한백(익산117호)의 이삭 모습은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2. 출수기 및 성숙기 분석
한백(익산117호)의 출수기
재 배 지 역 한백(익산117호) 새쌀보리
2012 2013 2014 평균 2012 2013 2014 평균
답리작 익산 4.30 5. 3 4.23 4.29 4.30 5. 3 4.20 4.28
  나주 4.30 5. 6 4.21 4.29 5. 1 5. 4 4.17 4.27
  진주 4.28 5. 3 4.21 4.27 4.30 5. 2 4.20 4.27
  대구 4.27 4.30 4.21 4.26 4.27 5. 2 4.19 4.26
  평균 4.29 5. 3 4.22 4.28 4.29 5. 3 4.19 4.27
(’12~’14, 지적)
한백(익산117호)의 성숙기
재 배 지 역 한백(익산117호) 새쌀보리
2012 2013 2014 평균 2012 2013 2014 평균
답리작 익산 6. 3 6. 5 5.30 6. 2 6. 2 6. 5 5.30 6. 2
  나주 6. 8 6.12 5.30 6. 6 6.10 6.12 5.27 6. 6
  진주 5.28 6. 4 5.24 5.29 5.28 6. 3 5.25 5.29
  대구 6. 3 6. 6 5.31 6. 3 6.13 6. 2 5.21 6. 2
  평균 6. 2 6. 6 5.28 6. 2 6. 5 6. 5 5.25 6. 2
(’12~’14, 지적)
출수기와 성숙기는 상기 표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12~2014년에 걸쳐 답리작 조건에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출수기 및 성숙기에서의 한백(익산117호)의 모습은 도 4에 나타내었다.
출수기는 답리작 조건에서 4월 28일로 대조품종인 새쌀보리보다 1일 늦었으며, 성숙기는 답리작 조건에서 6월 2일로 새쌀보리와 같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간장, 수장 및 수량구성요소 분석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
품종 및 계통명 간장(㎝) 수장(㎝) 수수(개/㎡) 1수립수(개) L중(g) 천립중(g)
한백(익산117호) 87 5.1 884 63 828 27.6
새쌀보리 83 4.9 719 57 846 30.3
(’12~’14, 지적)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장 및 수장은 한백(익산117호)가 새쌀보리보다 각각 4cm 및 0.2cm 이상 길었으며, 수수 및 1수립수는 한백(익산117호)가 새쌀보리보다 각각 165개 및 6개 더 많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리터중(L중) 및 천립중은 새쌀보리보다 각각 18g 및 2.7g 적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한백(익산117호)의 병해 및 재해저항성 분석
실시예 3-1. 내병성 분석
병해검정 중 흰가루병은 수원, 익산지역 포장(비닐하우스)에서 한국산 보리흰가루병균(Erysiphe graminis f. sp . hordei) 병원균을 접종 2주 후 조사하였으며, 발병심도를 0~9 및 괴사정도로 판정하였다. 보리호위축병(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검정은 지역별 상습발병포장인 익산(strain Ⅲ형), 밀양(strain Ⅳ형), 나주(strain Ⅰ형), 진주(strain Ⅳ형)지역에서 자연 발생을 유도하였고 백동품종을 체크품종으로 하여 이병정도(0~9)를 3월 상순에서 4월 상순 사이에 조사하였다.
품종 및 계통명 보리호위축병(0~9) 흰가루병
Ⅲ형(익산) Ⅰ형(나주) Ⅳ형(진주) 유묘(O-S)
한백(익산117호) 3 0 1 S
새쌀보리 6 0 0 S
(’12~’14, 지적)
♩보리호위축병: 발병상습포장, (0) 무발생, (1) 1%미만, (3) 10~30%, (5) 30~50%, (7) 50~70%, (9) 70%이상
♪ 온실검정(유묘) : O 저항성, S 감수성
한백(익산117호)의 내병성을 검정한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백(익산117호)의 보리호위축병 저항성은 Ⅳ형(진주)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새쌀보리와 같거나 강하였고, 흰가루병은 유묘검정에서 감수성(S)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내재해성 분석
재해저항성 평가에서 내한성은 국립식량과학원 운봉시험지(경기 연천)에서 실시하였으며, 고사주율을 조사하였다. 도복정도는 재배포장에서 실시한 것으로, 도복정도에 따라 0-9등급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즉, 전체 포장에서 10% 도복이 이루어졌으면 1, 30% 도복시 3, 50% 도복시 5, 70% 도복시 7, 90% 도복시 9로 표기하였다.
품종 및 계통명 내한성(고사주율%) 도복정도
(0~9)
저 휴 고 휴
한백(익산117호) 31.8 58.9 0
새쌀보리 61.7 71.4 3
(’12~’14, 지적)
♩: 경기연천, ♪: 지역적응 시험포장중 도복 발생 지역의 평균
한백(익산117호)의 내한성을 검정한 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품종인 새쌀보리보다 고사주율이 고휴재배에서 29.9%, 저휴재배에서 12.5% 낮아 내한성이 더 강하였으며, 도복정도는 0으로 새쌀보리보다 도복에 강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한백(익산117호)의 수량성 분석
실시예 4-1. 생산력 검정시험
한백(익산117호)의 생산력검정 시험은 2011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답리작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조사 및 평가방법은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농촌진흥청, 2012)과 신품종 심사를 위한 작물별 특성조사요령(농림부 국립종자관리소, 2000)에 준하였다.
품종명 수량(kg/10a) 지수(%)
한백(익산117호) 607 113
새쌀보리 533 100
('11, 식량원, 익산)
답리작에서 실시한 한백(익산117호)의 생산력검정 예비 시험결과는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답리작에서 수량은 607kg/10a로 새쌀보리보다 13% 증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2. 지역적응시험
한백(익산117호)의 지역적응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지역에서 답리작 조건으로 생산력검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재 배 지 역 한백(익산117호)(kg/10a) 지수 새쌀보리(kg/10a)
2012 2013 2014 평균 2012 2013 2014 평균
답리작 익산 558 304 411 424 97 552 352 408 437
  나주 128 337 343 269 99 118 308 392 273
  진주 411 419 472 434 103 446 403 419 423
  대구 443 438 350 410 131 341 339 263 314
  평균 385 375 394 385a 106 364 351 371 362b
(’12~’14, 지적)
그 결과,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답리작 4개소(익산, 나주, 진주 및 대구)에서 검정한 한백(익산117호)의 수량성은 평균 385kg/10a으로 새쌀보리보다 6% 증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한백(익산117호)의 품질특성 분석
실시예 5-1. 조곡 및 정곡 특성
한백(익산117호)의 품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조곡에서 단백질과 회분, 수분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정곡에서 베타글루칸, 회분, 아밀로스, 프로안토시아니딘, 안토시아닌, 취반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시료는 Satake 시험 도정기로 정맥수율 77%로 정맥하였으며. 모든 성분 분석에는 조곡과 정곡을 0.2mm체가 장착된 Retsch centrifugal mill(Model Dm/Zm 100)로 분쇄한 분말시료를 사용하였다.
수분과 회분 함량은 각각 AACC 방법(2000) 44-15A와 08-0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질분석은 Elementar Analyzer System(US/Vario)를 이용하여 분석한 총 질소함량에 켈달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한 값과 비교하여 얻어진 conversion factor를 곱하여서 구하였다.
β-glucan 분석은 Mcclary 방법(Mccleary and Glennie-Holmes, 1985)을 이용한 Megazyme kit를 이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로 분석하였다.
백도는 Kett(Kett Electic Laboratory C-300-3)으로 3회 측정하였다.
취반에 따른 정맥의 수분흡수율, 퍼짐성, 용출고형물은 Shinjiro(1965)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보리쌀 5g을 20㎖ D.W(distilled water)가 들어있는 메스실린더에 넣은 후 부피(a)를 읽고, 상기 시료를 평량한 알루미늄망(자체제작)에 넣어서 증류수를 제거한 후 이 망을 100㎖ 비이커에 넣고 충분히 끓는 물 80㎖를 부어 알루미늄 호일로 덮어 150℃ 건조기에서 40분간 취반하였다. 취반된 시료를 꺼내어 10회 정도 물기를 털어준 다음 비이커에 60˚ 정도 기울여 놓고, 10분 후 무게(b)를 측정하고 이 시료를 20㎖ D.W가 들어 있는 메스실린더에 옮기고 부피(c)를 측정하였다. 100㎖ 비이커에 남아 있는 고형물을 건조기에 넣고 75℃-80℃에서 16시간 정도 건조시킨 후, 꺼내어 데시케이터(desicator)에 넣고 30분 후 무게를 재었다. 이후, 하기의 수학식으로 흡수율과 퍼짐성 및 용출고형물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흡수율(%) = {흡수 후 무게(b)-(시료+망무게)}/시료무게 × 100
[수학식 2]
퍼짐성(%) = 취반 후 부피(c) ÷ 취반 전 시료부피(a) × 100
보리쌀의 찰성 여부는 Juliano 방법을 이용한 비색법으로 아밀로스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시료를 100㎎씩 각각 용량플라스크에 넣은 후 95% ethanol 1㎖로 분산시켰고, 1N NaOH 9㎖를 가하여 100℃ 수조에서 10분간 가열함으로써 완전히 호화시켰다. 호화된 시료를 상온에서 방랭한 후 증류수로 100㎖를 채운 후 잘 섞어 주었다. 시료용액 5㎖를 취하여 100㎖ 플라스크에 넣고 1N acetic acid 1㎖과 0.27% 요오도드용액 2㎖를 가한 후 증류수로 채워 잘 흔들어주고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보리쌀 백도는 Kett(Kett Electic Laboratory C-300-3)으로 3회 측정하였다. 전분함량은 total starch Megazyme assay kit를 이용하여 510 nm에서의 흡광도로 분석하였다.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쇄한 곡립 0.2g에 10㎖ 메탄올-1% HCl 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0분간 흔들어 추출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그 후, 2.5㎖ 1% 바닐린-6M HCl 검정시약을 첨가하였고, UV 500nm에서 흡광도를 조사하여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시 카테킨을 표문물질로 사용하였으며, 표준물질을 이용한 검량선을 작성하여 프로안토시아니딘 정량분석에 이용하였다.
품종 및 계통명 조 곡 정 곡
단백질
(%)
전분
(%)
프로안토시아니딘(%) 수분
흡수력
백도 아밀로스
(%)
β-glucan
(%)
흡수율
(%)
퍼짐성
(%)
한백
(익산117호)
9.7 65.7 - 1.91b 37.6a 21.9 3.5b 233a 391
새쌀보리 10.5 64.4 0.028 2.00a 35.5b 21.4 4.7a 207b 363
('12~'14, 식량원, 익산)
a, b: 통계적 유의성 (p<0.05)
한백(익산117호)의 조곡 및 정곡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백(익산117호) 조곡의 단백질 함량은 9.7%로 새쌀보리보다 낮았으며, 전분함량은 65.7%로 새쌀보리보다 높았고, 새쌀보리에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이 검출된 반면에 한백(익산117호)은 프로안토시아니딘이 함유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분흡수력은 새쌀보리와 비슷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백(익산117호) 정곡의 백도는 37.6으로 새쌀보리보다 높았으며, 아밀로스 함량은 새쌀보리와 비슷하였고, β-glucan 함량은 3.5%로 새쌀보리보다 낮았으며, 흡수율과 퍼짐성은 모두 새쌀보리보다 좋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한백(익산117호) 조곡 및 정곡의 모습은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2. 반죽의 저장시간에 따른 백도변화
한백(익산117호)을 이용한 반죽의 백도변화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한백(익산117호)을 이용한 반죽은 새쌀보리를 이용한 반죽보다 백도가 높았으며, 반죽 48시간 이후에도 백도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았고, 갈변현상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3. 제면 및 제빵 특성
국수 면대두께(mm) 밝기 경도
(N)
점탄성
(ratio)
외관 씹힘성 기호도
한백
(익산117호)
1.69 78.2 4.97 0.73 6.73 5.93 5.80 6.33 6.47
새쌀보리 1.74 77.3 5.33 0.69 5.67 5.27 5.80 6.20 5.80
중력분 1.76 83.3 4.71 0.74 6.47 5.27 5.40 5.53 5.53
비체적
(g/㎤)
견고도
(N)
백도 밝기 식감 기호도
한백
(익산117호)
0.23 4.04 36.5 72.5 5.93 6.73 6.20 6.20 6.20
새쌀보리 0.28 6.39 36.4 72.8 5.13 5.93 6.07 5.40 5.40
강력분 0.21 3.03 50.7 79.2
한백(익산117호)의 제면 및 제빵 특성은 상기 표 10 및 1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그 모습은 도 7에 나타내었다. 한백(익산117호)을 이용한 국수는 새쌀보리보다 면대두께가 얇았으며, 밝기가 밝고, 경도가 낮으며, 점탄성이 좋아 기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백(익산117호)을 이용한 빵은 새쌀보리보다 비체적이 낮고, 견고도가 낮았으며, 백도가 높아 기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한백(익산117호)의 품종 특성 분석
Figure 112015098849255-pat00001
상기 표 12에 상기 실시예 2 내지 5를 통해 확인한 한백(익산117호)의 품종 특징을 종합하여 요약하였다. 구체적으로, 한백(익산117호)의 주요 형태적 특성은, 파성은 Ⅲ형으로, 엽포의 털은 없으며, 지엽안토시아닌색이 없고, 출수기는 중간이고, 이삭은 직립이며, 식물체간장은 중간장이고, 이삭 조성은 여섯줄이며, 이삭 모양은 봉형에 수밀도는 밀수형이었다. 망까락길이는 장망형이고, 종구하단의 털은 없었다.
아울러, 한백(익산117호)가 대조품종인 새쌀보리와 구별되는 특성으로, 한백(익산117호)은 반직립이고 새쌀보리는 직립이었다. 한백(익산117호)은 왜성인자가 없고, 새쌀보리는 있으며, 까락길이에 대하여 한백(익산117호)은 장망형이고, 대조품종은 단망형이었다.
한백(익산117호)의 적응지역
작물명 품종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쌀보리 한백
(익산117호)
- - - -
또한, 상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백(익산117호)은 1월 최저 평균기온 -6℃ 이상 지역인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또는 제주에서 적응할 수 있었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45P 20151008

Claims (7)

  1.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지 않고, 메성인 보리로서, 하기와 같은 식물학적 특성을 가지는 기탁번호 KACC98045P인, 보리 신계통 한백(익산117호).

    파성: Ⅲ
    병와성: 병성
    이삭의 조성: 6
    간장: 85 내지 89cm
    수장: 4.6 내지 5.6cm
    1수립수: 62 내지 64개
    L중: 826 내지 830g
    천립중: 27.1 내지 28.1g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백(익산117호)은 청호쌀보리 품종과 라디안트(Radiant) 품종을 인공교배하여 육종된 것인, 보리 신계통 한백(익산117호).
  3. 삭제
  4. 제1항의 한백(익산117호)을 포함하는 갈변현상이 감소된 식품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새쌀보리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에 비해 갈변 현상이 감소되는 것인, 식품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60시간까지 갈변 현상이 감소되는 것인, 식품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보리밥, 보리떡, 보리과자, 보리음료 및 보리빵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인, 식품조성물.

KR1020150142881A 2015-10-13 2015-10-13 쌀보리 신품종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789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881A KR101789246B1 (ko) 2015-10-13 2015-10-13 쌀보리 신품종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881A KR101789246B1 (ko) 2015-10-13 2015-10-13 쌀보리 신품종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97A KR20170043297A (ko) 2017-04-21
KR101789246B1 true KR101789246B1 (ko) 2017-10-25

Family

ID=5870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881A KR101789246B1 (ko) 2015-10-13 2015-10-13 쌀보리 신품종 '한백(익산117호)'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736A (ko) 2021-11-02 2023-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보리 신품종 '혜맑은' 및 이를 이용한 식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736A (ko) 2021-11-02 2023-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보리 신품종 '혜맑은' 및 이를 이용한 식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97A (ko)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ando et al. Sweet and sour cherries: Origin, distribution, nutritional composition and health benefits
Ahmad et al. Pumpkin: horticultural importance and its roles in various forms; a review
US7867525B2 (en)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Goyal et al. Traditional wisdom and value addition prospects of arid foods of desert region of North West India
Goswami et al.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us)
Pinto et al. Kiwifruit, a botany, chemical and sensory approach a review
Koraqi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value of Raspberry fruit (Rubus idaeus L.)
KR101789246B1 (ko) 쌀보리 신품종 &#39;한백(익산117호)&#39;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Gupta et al. Utilization of under-utilized fruits through value addition in Kandi Areas of Jammu region
KR100657028B1 (ko) 마를 첨가한 기능성 양갱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wivedi et al. Mahua (Madhuca longifolia) flower and its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A review
KR20190016818A (ko) 밀 신계통 아리흑(kctc18591p)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1867454B1 (ko) 후코이단 칼슘 법제유황을 함유하는 홍삼 또는 인삼 기능성 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Roy et al. Bael (Aegle marmelos (L.) Corr. Serr.)
KR101855463B1 (ko) 건강보조식품용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Bisht et al. Date palm: miracle tree for semi-arid region of India
Dwitanti et al. Saga (Adenanthera pavonina Linn) seeds milk as an alternative source of protein from tree species
Evranuz et al. Winter squash and pumpkins
Asamani et al. Effect of processing on nutritional value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Chhetri et al. Traditional knowledge on fruit pulp processing of Lapsi in Kavrepalanchowk District of Nepal
KR101085968B1 (ko) 쑥, 버찌, 비트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 분말을 이용한 저장성이 향상된 매작과의 제조방법
Firdusi et al. Value addition traits of novel minor fruits of Assam-nagatenga (Rhus semialata) and leteku (Baccaurea sapida).
Porika et al. Under-exploited fruits-a high potential for processing and value addition
Shyamalamma et al. Crop improvement in jackfruit
Visalakshi et al. Cashing in on cash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