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674B1 -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피추출 재료 수용 지지구 구비추출 백 및 이들의 제조용 시트 복합체 - Google Patents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피추출 재료 수용 지지구 구비추출 백 및 이들의 제조용 시트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674B1
KR100459674B1 KR10-2002-7009887A KR20027009887A KR100459674B1 KR 100459674 B1 KR100459674 B1 KR 100459674B1 KR 20027009887 A KR20027009887 A KR 20027009887A KR 100459674 B1 KR100459674 B1 KR 10045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ides
support
le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376A (ko
Inventor
미치코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미치코 사카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치코 사카모토 filed Critical 미치코 사카모토
Publication of KR2002006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투수 여과성 시트부재의 중심선을 따라서 지지부재가 배치 접합되어 있는 시트 복합체를 사용하고, 그것을 2개 접으면서, 봉투 제조기 (및 필요에 따라 충전기)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피추출 재료를 수용한 또는 수용할 수 있는 봉투 본체와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머리부를 잘라내고, 좌우단을 내측 하향 또는 상향으로 눌러 접어, 머리부를 확개하고, 동시에 머리부에 연속하고 있는 다리부를 하방으로 접고, 추출 용기상에 재치하고, 머리부의 잘라내기부로부터 충전된 피추출 재료 또는 미리 수용되어 있는 피추출재료에 추출액 (열탕)을 부어 안전하게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피추출 재료 수용 지지구 구비 추출 백 및 이들의 제조용 시트 복합체{SUPPORT-EQUIPPED EXTRACTION BAG, EXTRACTION-SUBJECT MATERIAL CONTAINING SUPPORT-EQUIPPED EXTRACTION BAG, AND SHEET COMPLEX FOR PRODUCING THE SAME}
실공소60-7623호 및 특개평8-33572호에는 필터 제조 봉투체과, 두꺼운 종이제 홀더를 일체화하고, 홀더를 접어 지지구를 조립하고, 봉투체 내의 피추출물에 추출을 실시할 수 있는 추출 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개평11-285443호에는 후질 시트의 중심선 중앙부에 중심 구멍을 만들고, 이 중앙부의 중심 구멍의 외측에, 이 중앙부분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압괘선을 만들고, 중심 구멍의 내외측부에 중심선와 직교하며, 상기압괘선를 사이에 두고, 아래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한쌍의 지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중심 구멍의 전주연 뒷측에, 여과지로 이루어지는 봉투체 상연부를 접착하여 형성한 커피 등 음료의 간이 추출 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지구 구비 추출 백의 제조는 먼저 봉투체를 제조하고, 이것을 지지구에 첨부 고착시키고, 이 봉투체에 피추출 재료를 충전하는 각각 3개의 공정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상기 3공정을 단일 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지지구 구비 추출 백의 출현이 강하게 요망되어 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커피 등의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추출 백 또는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추출 백을 추출 용기 중 또는 위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추출 백 중의 피추출 재료에 대한 추출 조작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그리고 높은 효율을 가지고 제조할 수 있는 그 추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또는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 구비 추출 백 및 이들을 제조하기 위한 시트 복합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1)은 투수 여과성 시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봉투체와,
내수성 시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봉투 본체의 지지구를 형성하는 지지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봉투 본체는 상기 투수 여과성 시트를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어형성된 정·배면 양면부을 가지고, 이 정·배 양면부는 그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그 양 측단연 부분 및 저단연 부분에 있어서 각각 접합 봉지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혀 있고, 또한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의 외측에 포개진 정·배 양면부를 가지며, 이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는 그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고, 또한 서로 대칭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연속 상단연은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 상에 포개져있고, 상기 봉투체 폭의 최대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폭의 최대치보다 크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 각각 그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접는 선에 의하여 머리부, 다리부로 구획되고, 상기 머리부·다리부는 상기 접는 선을 따라 접을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 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머리부의 좌우 양단부 각각에, 상기 상단연을 통하여, 상기 접는 선의 좌우 양단의 각각에 이르는 호상의 눌러 접는 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되어 있는 머리부의, 상기 좌우 눌러 접는 선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 및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에 걸치고 또한 상기 좌우 눌러 접는 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호상의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이 형성되고,
이 잘라내기용 호상의 미싱 자국의 내측에 잘라내기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잘라내기부가 오려내어져 있고, 상기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이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와, 그것에 접해 있는 상기 봉투 본체의 정· 배 양면부는 각각의 다리부의 적어도 1 영역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봉투 본체 및 상기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를, 또는 상기 지지체의 잘라내기부가 잘려나가 있을 때는 상기 봉투 본체만의 잘라내기부를, 상기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을 따라서 잘라내고, 상기 지지부재 상부의 좌우 눌러 접는부를 상기 눌러 접은 선을 따라서 내측 상방 또는 하방으로 눌러 접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양 머리부를, 상기 연속 상단연의 양측으로 펼침과 동시에, 상기 봉투 본체의 잘라내기부를 개구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다리부를, 상기 횡 방향 접는 선을 따라서 상기 펼친 머리부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접을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개구 봉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다리부를, 추출 용기 상에 재치하고, 상기 봉투 본체 중에 피추출 재료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l)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 나온 중앙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구 구비 추출 백(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의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좌우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중앙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좌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좌우 돌기부가 상기 중앙 돌기부와의 사이에 계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l)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중앙 돌기체의 중앙부분에, 1개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1)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정·배 양면부가 정방형 또는 장방형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l)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저단연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저단연의 폭이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의 폭보다 작아도 좋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1)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저단연에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돌기의 선단간 거리가,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의 폭보다도 작아도 좋다.
본 발명의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은 투수여과성의 시트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봉투 본체와,
내수성 시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봉투 본체의 지지구를 형성하는 지지부재,
를 가지고,
상기 봉투 본체는 상기 투수 여과성 시트를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어 형성한 정·배면 양부를 가지고, 이 정·배 양면부는 그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고, 또한 그 양 측단연부분 및 저단연부에 있어서 각각 접합 봉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혀 있고, 또한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의 외측에 포개어져 있는 정·배 양면부를 가지고, 이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는 그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고 있고, 또한 서로 대칭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연속 상단연은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 상에 포개어져 있고, 상기 봉투 본체 폭의 최대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폭의 최대치보다 크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 각각은 그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접는 선에 의하여 머리부·다리부 양부로 구획되고, 상기 머리부·다리부는 상기 접는 선을 따라 접을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머리부의 좌우 양단부 각각에, 상기 상단연을 통하고, 상기 접는 선의 좌우 양단 각각에 이르는는 호상의 눌러 접는 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좌우 눌러 접는 선의 바깥쪽에 좌우 눌러 접는 부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머리부의, 상기 좌우 각각에 눌러 접는 선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 및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에 걸치고, 또한 상기 좌우 눌러접는 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호상의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이 형성되고,
이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의 내측에 잘라내기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잘라내기부가 잘려나가 있어, 상기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이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에만 형성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와 그것에 접해 있는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는 각각의 다리부의 적어도 1 영역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봉투 본체 및 상기 지지부재가 잘라내기부를 또는 상기 지지부재가 잘라내기부가 잘려나가 있을 때는 상기 봉투 본체만의 잘라내기부를, 상기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을 따라서 잘라내고, 상기 지지부재 상부의 좌우 눌러 접는 부를 상기 눌러 접는 부를 따라 내측 상방 또는 하방에 눌러 넣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양 머리부를 상기 연속 상단연의 양측으로 확개함과 동시에, 상기 봉투 본체가 잘라내기부를 개구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다리부를 상기 횡방향 접는 선을 따라서, 상기 확개한 머리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눌러 접을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개구한 피추출 재료 수용 봉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다리부를 추출 용기상에 재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 추출 백(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중앙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어 나온 좌우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중앙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좌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좌우 돌기부가 상기 중앙 돌기부와의 사이에 계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중앙 돌기부의 중앙부분에 한 개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정·배 양면부가, 정방형 또는 장방형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의 저단연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저단연의 폭이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의 폭보다 작아도 좋다.
본 발명의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저단연에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돌기 의 선단간 거리가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의 폭보다도 작아도 좋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제조용 시트 복합체(3)는 투수 여과성시트부재이고, 이 시트부재 위에,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그 중심선의 양측에 있어서 대칭형을 이루는 2 반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 지지부재는 그 중심선과 상기 시트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합치하도록 상기 시트 재료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2 반부는 상기 중심선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고,
이 중심선을 수평 방향으로 두고, 또한 상기 중심선이 각 반부의 상단연을 이루도록 각 반부를 보았을 때,
(1) 각 반부는 그 상단연(중심선)에 가까운 머리부와, 상기 상단연에 평행하게 형성된 접는 선과, 이 접는 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에 연속되고 있는 다리부를 가지고,
(2) 각 반부의 상기 머리부의 좌우 단부에는 상기 접는 선의 좌우 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뻗은 호상의 눌러 접는 선이 형성되고, 각 반부의 호상 눌러 접는 선은 상기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으며,
(3) 각 반부의 상기 머리부의 좌우 호상 눌러 접은 선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 및 시트부재를 관통하고, 또한 상기 눌러 접는 선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호상의 미싱자국이 형성되고, 각 반부의 상기 미싱자국은 상기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여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이 형성되고, 이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의 내측에 잘라내기부가 형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가 잘려나가 있을 때는 상기 미싱자국은 시트부재에만 형성되어 있고, 또한,
(4) 상기 지지부재의 각 반부와,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적어도 한 영역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제조용 시트 복합체(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양 반부의 각각의 다리부의 외측단 중앙부에, 외측을 향하여 뻗어나온 중앙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제조용 시트 복합체(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 반부의 각각의 다리부의 외측단의 좌우 양단부에, 외측을 향하여 뻗은 좌우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제조용 시트 복합체(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 나온 중앙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은 좌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돌기부가 상기 중앙 돌기부와의 사이에 계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제조용 시트 복합체(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중앙 돌기체의 중앙부분에 1개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피추출 재료 수용 지지구 구비 추출 백 및 이들의 제조용 시트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추출 백 또는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추출 백을 추출 용기 상에 안정적으로 재치하고, 안전하게 추출을 할 수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피추출 재료 수용 지지구 구비 추출 백 및 이들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형성용 시트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제조용 시트 복합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시트 복합체로부터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시트 복합체의 다른 예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시트 복합체의 또 다른 예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또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또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봉투 본체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봉투 본체의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봉투 본체의 또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봉투 본체의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16은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사용 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사용 상황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지지구를 형성하는 지지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l은 지지부재의 일례의 정면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고, 지지부재 1은 그 중심선 2의 양측 (도1에 있어서는 상하 양측)에 있어서, 대칭형을 이루는 두 개의 반부(1a, lb)로 이루어지고, 이 두 개의 반부(1a, 1b)는 중심선(2)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중심선(2)을 수평 방향으로 두고, 이 중심선(2)이 각 반부의 상단선을 이루도록 반부(1a, 1b)의 각각을 보았을 때,
(1) 각 반부(1a, 1b)는 그 상단연(즉, 중심선 2)에 가까운 머리부(3a, 3b)와, 상기 상단연(중심선)(2)에 평행하게 형성된 접는 선(4a, 4b)과 그 접는 선(4a, 4b)을 사이에 두고 머리부(3a, 3b)에 연속되어 있는 다리부(5a, 5b)를 가지고 있다.
(2) 각 반부(1a, lb)의 머리부(3a, 3b)의 좌우 양단부에는 접는 선(4a, 4b)의 좌우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호상으로 뻗은 눌러 접는 선(6a, 6b)이 형성되어 있고, 각 반부의 호상 눌러 접는 선(6a, 6b)은 상단연(중심선)(2) 상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고 있다.
(3) 각 반부(la, lb)의 머리부(3a, 3b)의 좌우 호상 눌러 접은 선(6a, 6b)의 내측에, 눌러 접은 선(6a, 6b)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된 미싱자국(7a, 7b)이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미싱자국(7a, 7b)은 상단연(중심선)(2)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여 폐쇄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미싱자국(7a, 7b)의 중심선(2)으로부터 먼 부분은 접은 선(4a, 4b)에 포개져 있어도 되고, 또는 접은 면(4a, 4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1)는 그 중심선(2)을 따라서 그 대칭형을 이루는 반부(la, lb)를 형성하도록 접어, 포갤 수 있다.
각 반부(la, lb)의 다리부(5a, 5b)에는 그 하단 중앙부에 외측을 향하여 뻗은 중앙 계합 돌기부(8a, 8b)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지지부재(1)의 양 반부(1a, lb)의 각각의 다리부(5a, 5b)의 좌우 양 단부에 외측으로 뻗어 나온 한 쌍의 좌우 계합 돌기(9a, 9b)가 또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앙계합 돌기(8a, 8b)와 좌우 계합 돌기(9a, 9b)와의 사이에 계합 오목부(10a, 10b)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계합돌기 및 계합오목부의 효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을 제조하기 위한 시트 복합체의 일례를 도 2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2에 있어서 시트복합체(11)는 투수 여과성 시트 부재(12)와, 이 시트부재(12) 상에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재(1)를 가지고, 지지부재(1)는 그 중심선(2)이 시트 부재(12)의 중심선(13)에 합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재(1)의 반부(1a, lb)의 다리부(5a, 5b)는 일부 영역(14a, 14b)에 있어서 시트부재(12)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하여 시트부재(12)와 지지부재(1)는 지지부재(l)의 반부(la, lb)에 있어서, 접는 선(4a, 4b)의 외측에 있어서, 그것에 가까운 영역(l4a, 14b)에 있어서 접착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미싱 자국(7a, 7b)의 내측 영역의 일부(15a. 15b)에 있어서 접착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필요에 의하여 접는 선(6a, 6b)과 미싱 자국(7a, 7b)과의 사이의 지지부재(1)의 중심선(상단연)(2)의 양측에 걸친 영역(16)에 있어서 접착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상기 접착 영역(14a, 14b)의 외측의 소영역(14c, 14d)에 있어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시트부재(12)에는 지지부재(1)의 미싱 자국(7a, 7b)에 상당하는 위치에 미싱자국(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잘라내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시트 복합체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13)에 따른 지지부재(1)를 외측으로 반으로 접으면, 그 양면은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시트 복합체로부터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에 있어서 시트 복합체(11)를 그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반으로 접고, 또한 그 포개어진 측연부를 접착기(17)에 의하여 접합하면서 봉투 제조기 (미도시)에 공급한다. 반으로 접은 시트 복합체(11)의 한 개의 지지부재(1)를 포함하는 부분(11A)이 봉투 제조기의 봉투 제조, 피추출 재료 충전 작업 위치에 왔을 때, 이 시트 복합체 부분(11A)과 그 하류에 인접하는 시트 복합체 부분(11B)의 사이의 부분(간격부)에 있어서, 포개어진 시트부재 간격부를 밸트상으로 접착하고 이 벨트상 접착부를 절단한다. 이 때, 도3에 도시하고 있는 접착 절단기(18)를 사용하여 벨트상 접착부의 시트부재 단연에 가까운 부분을 Y자상으로 접착하고, 이것을 Y자상으로 절단하여, 그 분기하는 2변 사이의 삼각형 부분(19)을, 절단하고 남는 부분으로서 제거(예를 들면 흡인 제거)하여도 된다. 이 접착 절단기(18)는 시트부재를 용융 접착 가능한 합성섬유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도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초음파 혼(ultrasonic horn)(가열부재)(20)과, 그것에 대향하여 Y자형 접착·절단면을 가지는 앤빌(21)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시트부재의 12 서로 포갠 측단연부를 접착하는 접착기(17)로서, 도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초음파 실(seal)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시트부재 간격부의 접착·절단 조작에 의하여 당해 시트 복합체 부분(11A)으로부터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재료의 하단연 및 측단연을 접착한 시트 복합체 부분(11A)의 내측에, 피추출 재료를 충전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그것에 의하여 얻어지고,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며, 상단이 개구되어 있는 봉투 상의 부분(11A)은 그 접착 충전 위치로부터 하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상단 개구부가 접합 봉지되고, 그 상류에 인접한 시트 복합체 재료로부터 절단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피추출 재료를 수용한 지지구 구비 추출 백(2)이 얻어진다. 피추출 재료를 충전하고 있지 않은 지지구 구비 추출 백(1)의 경우에는, 추출 백(1)을 개구한 후에, 이것에 피추출 재료를 충전할 수 있다.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복합체에 있어서, 지지부재(1)와 시트부재(12)는 접합 영역(l4e)에 있어서 서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접합 영역(l4e)은 미싱자국(7a, 7b)의 외측에, 지지부재(1)의 머리부(3a, 3b)와 다리부(5a, 5b)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착 영역(14e)은 서로 평행한 2중 환상 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상기 한 개 이상의 환상 선상에 다수의 불연속점 상 스폿을 배열하여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부재(12)와 지지부재(1)는 미싱자국(7a, 7b)의 내측 영역(잘라내기부)에 있어서, 한 개의 접합 영역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어도 되지만,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 예를 들면 중심선(13)의 좌우 각 2개씩 합계 4개의 영역에 있어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4에 도시하고 있는 지지부재(1)의 미싱자국(7a, 7b)의 내측 잘라내기 영역은 도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잘라내어 제거되어 있어, 빈 구멍부(7c)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4에 있어서, 시트부재(12)와 지지부재(1)는 아래의 치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부재(12)의 세로 중심선(13)으로부터, 그 측선(12a)까지의 거리(폭 방향)W1에 대한 시트부재(12)의 세로 중심선(13)으로부터 지지부재(1)의 다리부5a(5b)의 저부5c(5d)까지의 거리(폭 방향) W2의 비, W2/W1은 1 : 0.8∼1 :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1∼1:1.5이다. W2/W1이 1:1 이상인 경우, 즉 W2가 W1의 1배 이상인 때는 얻어지는 봉투 본체의 저부가, 내측으로 넣어져, 바닥이 넓어지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1)의 가로 중심선(13a)으로부터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재의 중간 가로방향 절단선(13a)까지의 거리(길이 방향) L1에 대한, 상기 가로 중심선(13a)으로부터 지지부재(1)의 길이 방향의 가장 돌출된 부까지의 거리(길이방향) L2의 비 L2/L1은 1:1∼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1),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에 있어서,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2)은 투수 여과성 시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피추출 재료(미도시)를 수용하고 있는 봉투 본체(23)와, 내수성 시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봉투 본체(23)용 지지구를 형성하는 지지부재(24)를가진다.
봉투 본체(23)는 투수 여과성 시트를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어 형성된 정·배 양면부(25a, 25b)를 가지는 것이고, 이 정·배 양면부(25a, 25b)는 그 상단연(26) (즉 상기 중심선)에 있어서, 접착하지 않고 서로 연속하여 있고, 또한, 정·배 양면부(25a, 25b)는 그 양 측단연부분(27) 및 저단연부(28)에 있어서, 각각 접합 봉지되어 있다.
지지부재(24)는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어 형성된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29a, 29b)를 가지고,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29a, 29b)는 봉투 본체 정·배 양면부(25a, 25b)의 외측에 포개어져 있다.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29a, 29b)는 그 상단연(즉 중심선)(30)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여 있고(접착 없이), 또한 서로 대칭형을 이루고 있다. 지지부재의 연속 상단연(30)은 봉투본체의 연속 상단연 (27) 상에 포개어져 있다.
봉투 본체(25) 폭의 최대치는 지지부재(24)의 폭의 최대치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은 예를 들면, 도3에 도시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시트 재료상에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 접착하여 제작된 시트 복합체를 사용하여,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일련의 공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29a, 29b)의 각각에는 그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접는 선(4a, 4b)에 의하여 머리부(3a, 3b) 및 다리부(5a, 5b)로 구획되고, 이 머리·다리 양부는 접는 선(4a, 4b)을 따라 접을 수 있다.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9a, 29b)의 머리부(3a, 3b)는 그 상단연(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속되어 있고, 이 머리부(3a, 3b)의 각각에게는 상단연(30)으로부터, 접는 선(4a, 4b)의 좌우 양단에 이르는 호상 접는 선(6a, 6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좌우 접는 선(6a, 6b)의 외측에, 좌우 접는 선(3la, 32b)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24)의 정·배 양면부에 상단연(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속되어 있는 머리부(3a, 3b)에 있어서, 좌우 접는 선(6a, 6b)의 내측에 잘라내기용 미싱 자국(7a, 7b)이 형성되고, 이 잘라내기용 미싱자국(7a, 7b)은 지지체의 정·배 양면 및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의 양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호상 미싱자국은 좌우 눌러 접는 선의 내측에 그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부재 및 봉투 본체의 호상 미싱자국(7a, 7b)은 각각의 상단연(27) 또는 (30)에 있어서 연속되어 있고, 그 내측에 잘라내기부를 형성한다.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29a, 29b)와, 그것과 접하고 있는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25a, 25b)는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29a, 29b)의 다리부(5a, 5b)의 1 영역(33a, 33b)에 있어서, 필요에 의하여 또한 영역(33a, 33b)의 하방에 설치된 1 영역(33c, 33d)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25a, 25b)와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29a, 29b)의 접착은 필요에 의하여 잘라내기부(32a, 32b)의 1 영역(34a, 34b)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또한 필요에 따라 잘라내기 미싱 자국7a(7b)과 눌러 접는 선6a(6b)과의 사이에 있어서 지지체 상단연(30)의 양측에 걸치는 영역(35a, 35b)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부재(1)의 정·배 양면부(29a, 29b)의 다리부(5a, 5b)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 나온 중앙 계합 돌기부(8a, 8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부(5a, 5b)의 하단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좌우 계합 돌기부(9a, 9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앙 계합 돌기부(8a, 8b)와, 좌우 계합 돌기부(9a, 9b)의 사이에 계합 오목부(10a, l0b)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중앙 계합 돌기부(8a, 8b)와 좌우 계합 돌기부(9a, 9b)는 단순히 절단 선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도7에 도시된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2)에 있어서, 지지부재(24)와 봉투 본체(23)는 미싱자국 7a(7b)의 외측에 설치된 연속한 접합 영역 33e(33f)에 있어서 접착되어 있다. 이 접합 영역 33c(33d)은 지지부재(24)의 머리부3a(3b)와 다리부5a(5b)에 걸쳐 연속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접합 영역 33c(33d)은 1개의 환상 선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평행한 2개의 환상 선상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이 접합 영역은 다수의 불연속적인 접합 스폿을 상기 한 개 또는 2개 이상의 환상선을 따라 배치한 것이어도 된다.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의 다리부 5a(5b)와 봉투 본체(12)의 정·배 양면부는 2개 이상 (예를 들면 3∼4개)의 접합영역 33c(33d)에 있어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체 다리부의 형상은 도6 및 7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 예를 들면, 도8, 도9, 도10, 또는 도11에 도시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8에 있어서, 지지체 정·배 양면부의 다리부(5a, 5b) 하단부에는 중앙 계합 돌기부(8a, 8b)만이 형성되어 있다. 그 형상·치수에 제한은 없다. 지지체를 추출 용기상에 재치할 때에, 중앙 계합 돌기부의 좌우의 하단부 저부(8c, 8d)를 추출 용기 상연단 상에 두고, 중앙 계합 돌기부(8a, 8b)를 추출 용기 상연단의 내측에 삽입(10)하도록 하면, 한 쌍의 중앙 계합 돌기부(8a, 8b)는 그 탄성에 의하여 외측을 향하여 반발하고, 지지구를 추출 용기상에 안정적으로 재치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체가 추출 용기 상연단 상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9에 있어서, 지지체 정·배 양면부의 다리부(5a, 5b) 하단부의 좌우 단부에 좌우 계합 돌기부(9a, 9b)가 뻗어 나와 있다.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지지체를 추출 용기 상연단 상에 재치할 때에, 지지체 정·배 양면부의 다리부(5a, 5b)의 중앙 저부(5c, 5d)를 상기 상연단 상에 재치하고, 좌우 계합 돌기부(9a, 9b)를 상기 상연단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뻗어 나오도록 한다. 어떠한 경우나 좌우 계합 돌기부의 반발력에 의하여 지지체를 추출 용기상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지지체가 추출 용기 상연단상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9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지지부재 정·배면부의 다리부5a(5b)의 중심 부분에 절취부5e(5f)를 형성하고, 추출 조작 시에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봉투 본체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하였다.
도10에 있어서는 중앙 계합 돌기부(8a, 8b)의 폭이, 도4의 경우보다 짧고, 이 때, 그 좌우로 뻗어 나와 있는 좌우 계합 돌기부(9a, 9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계합 오목부(10a, l0b)의 폭이 커진다. 이와 같이 하면 얻어진 지지구가 구비된추출 백은 구경이 작은 추출 용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11에 있어서, 지지체 정·배 양면부 다리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중앙 계합돌기부(8a, 8b)의 중앙부에 중앙 오목부(8e, 8f)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중앙계합 돌기부는 중앙 오목부(8e, 8f)에 의하여 좌우 2개의 아래로 늘어뜨려진 부(8g, 8h)로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지지체와 복합 형상의 추출 용기와의 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2∼ 도l5는 각각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에 사용되는 봉투 본체(23)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2∼도15에 있어서, 봉투 본체(23)의 정·배 양면부는 상단연(26)에 있어서 연속되어 있고, 그 양측 연부(27) 및 저연부(28)에 있어서 접착 봉지되어 있다.
도l2에 있어서, 봉투 본체(23)의 정·배 양면부(25a, 25b)는 정방형(또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 그 길이와 폭의 비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길이:폭= 1:0.5∼l: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3에 있어서 봉투 본체(23) 저연부는 W자상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된 2개의 돌출부(36)를 가지고 있으며, 추출시의 배액(drainage)을 향상시키도록 연구되어 있다. 돌출부(36)의 내각A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85∼12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4에 있어서는 봉투 본체(23)의 양측연부(27)의 하반부는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고, 저연부(28)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봉투 본체 형상도 추출 시의 배액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하다. 이 때 저연부(28)의 양단의 내각 B는 특별한제한은 없으니, 일반적으로 95∼12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5에 있어서, 봉투 본체(23)의 저부에, 2개의 돌기체(36)가 W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체(36)의 하단은 봉투 본체의 상단연(26)에 거의 평행한 직선상 저연부(28)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저연부(28) 양단의 내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95∼l2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을 사용하여, 추출을 하는 경우의 조작 및 상황에 대하여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6에 있어서, 추출 용기(컵)(37)의 상단연부(38) 상에,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22)이 재치되어 있다. 이 재치에 있어서,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의 봉투 본체 및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를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을 따라서 잘라낸다. 이 조작은 통상 봉투 본체 및 지지부재의 모두에 대하여 이루어지나, 따로따로 하여도 된다. 이 동시 잘라내기를 실시하는 경우,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잘라내기부 접합 영역(34a, 34b) 및/또는 상기 잘라내기용 미싱자국/ 눌러 접는 선 중간 접합 영역(35a, 35b)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봉투 본체가 접합되어 있으면, 동시 잘라내기를 하는데 유효하다. 단,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는 잘려나가고 빈 구멍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봉투 본체 머리부의 잘라내기부만이 용이하게 뜯어진다.
다음으로, 지지부재의 좌우 양 눌러 접는 부(31a, 31b)를 손가락에 의하여 눌러 접는 선(6a, 6b)을 따라서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눌러 접으면, 도16(하방으로 눌러 접혀 있다.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머리부(3a, 3b)는 상단연(30)의 양측으로 확개하고, 그것에 따라 머리부(3a, 3b)의 잘라내기부(32a, 32b) 및 봉투 본체의 잘라내기부가 개구하여 개구부(39)가 형성된다. 이 때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투 본체는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다리부(5a, 5b)의 다리부 접합 영역(33a, 33b)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고, 필요에 따라 그 하방에 설치된 영역(33c, 33d)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머리부의 확개에 동반하여 지지부재 다리부(5a, 5b)는 봉투 본체에 끌어당겨져, 접는 선(4a, 4b)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접어져,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각을 형성한다. 이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 다리를 추출 용기(컵)의 상단연상에 재치한다. 다리부의 중앙 계합 돌기부(8a, 8b)를 용기(컵)의 내측에 넣고, 좌우 양 계합 돌기부를 (9a, 9b)용기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계합 오목부(10a, 10b)에 용기 상단연부(38)가 들어가도록 하면, 지지부재는 추출 용기 상단연부에 계합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때, 봉투 본체는 다리부 접합 영역에 있어서 지지부재에 접합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잘라내기용 미싱자국/눌러 접는 선 중간 접합 영역(35a, 35b)에 있어서, 지지부재에 다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된 봉투 본체는 그것에 수용되어 있는 피추출 재료와 함께 개구 확개한 지지부재에 안정적으로 현수되어 유지된다.
지지부재의 좌우 눌러 접는 부(31a, 31b)를 눌러 접는 선 (6a, 6b)을 따라서 상방으로 눌러 접어도 된다. 밀어 올려진 눌러 접는 부(31a, 31b)는 지지부재의 정 배면부(3a, 3b) 그리고 그것에 접착되어 있는 봉투 본체의 머리부는 상단연(30)의 양측으로 확개하여 개구부(3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용기 상에 재치된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이 미리 피추출 재료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추출액 예를 들면 뜨거운 물을 부어 봉투 본체 내의 피추출 재료의 추출을 실시하면, 형성된 추출액은 봉투 본체에 의하여 여과되어 용기 내로 흘러내린다. 또한,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에 피추출 재료가 수용되어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추출 백 중에 소망하는 추출 재료를 소망하는 양만큼 충전하고, 이것에 상기와 같은 추출 조작을 실시한다.
지지부재와 봉투 본체를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을 따라서 잘라낼 때,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미싱자국의 일부, 예를 들면 좌우 어느 한 단부를 남겨 개구부의 바깥으로 접어두고, 봉투 본체의 잘라내기부를 완전히 제거하여, 추출액(열탕)을 주하한 후,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를, 뚜껑으로서 사용하여 개구부를 피복하고, 추출액(열탕)에 의하여 가열된 피추출물에 대하여 온도 유지 및 스티밍(steaming)를 실시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봉투 본체를 형성하는 투수 여과성 시트 재료는 여과지, 여과포 및 여과용 부직포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극세사 섬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극미세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극미세 섬유, 폴리 에스테르 극미세 섬유, 또한 이들과 통상 여과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친수성 섬유와의 혼합 섬유로부터 제조된 투수 여과용 부직포)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형성하는 내수성 시트는 추출 시에, 추출액과 접촉하여도, 연화하거나 변형되지 않고, 손가락에 의하여 잘라낼 수 있는 시트 재료로부터 선택되고, 이와 같은 시트 재료로서는 두께 30∼300μm의 방수도공지, 플라스틱 시트 또는 다공질 폴리올레핀 수지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봉투 본체와 지지부재와의 접착에는 봉투 본체 및 지지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접착제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반적인 내수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무해 내수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에 수용된 피추출 재료에는 추출 가능한 한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커피 분말, 녹차, 홍차, 각종 중국차, 허브차, 및 각종 피추출용 건강제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복합체를 사용하여,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거나, 또는 수용하고 있지 않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을 하나의 공정에 의하여 용이하게, 또한 높은 효율로 형성하여 피추출물을 충전할 수 있고, 얻어진 본 발명의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에 의하여 그것에 수용되어 있는 피추출 재료에 대하여, 또는 그것에 피추출 재료를 충전한 후 그것에 안전하고도 안정적으로 추출처리를 할 수 있다.

Claims (21)

  1. 투수 여과성 시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봉투 본체와,
    내수성 시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봉투 본체의 지지구를 형성하는 지지부재,
    를 가지고,
    상기 봉투 본체는 상기 투수 여과성 시트를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어 형성한 정·배면 양부를 가지고, 이 정·배 양면부는 그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고 있고, 또한 그 양 측단연부분 및 저단연부분에 있어서 각각 접합 봉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어,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의 외측에 포개어지는 정·배 양면부를 가지고, 이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는 그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고, 또한 서로 대칭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연속 상단연은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 상에 포개어질 수 있고, 상기 봉투 본체 폭의 최대치는 상기 지지부재 폭의 최대치보다 크며,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 각각은 그 폭방향으로 형성된 접는 선에 의하여 머리·다리 양부로 구획되고, 상기 머리·다리 양부는 상기 접는 선을 따라서 접어 구부릴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머리부의 좌우 양 단부 각각에, 상기 상단연을 통하여, 상기 접는 선의 좌우 양단 각각에 이르는 호상의 눌러 접는 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좌우 눌러 접는 선의 외측에 좌우 눌러 접는 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머리부의 상기 좌우 눌러 접는 선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 및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에 걸쳐, 또한 상기 좌우 눌러 접는 선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호상의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이 형성되고, 이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 자국의 내측에 잘라내기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잘라내기부가 잘려나가 있어, 상기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이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와, 그에 접하고 있는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는 각각 다리부의 적어도 l 영역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봉투 본체 및 상기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를, 혹은 상기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가 잘려나가 있는 때는 상기 봉투 본체만의 잘라내기부를, 상기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을 따라서 잘라내고, 상기 지지부재 상부의 좌우 눌러 접는 부를 상기 눌러 접는 선을 따라서 내측 상방 또는 하방으로 눌러 접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양 머리부를 상기 연속 상단연의 양측으로 확개함과 동시에, 상기 봉투 본체의 잘라내기부를 개구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다리부를 상기 횡방향 접는 선을 따라서 상기 확개한 머리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개구한 봉투 본체를지지하는 지지부재의 다리부를 추출 용기상에 재치하고, 상기 봉투 본체 내에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중앙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 다리부의 하단 좌우 양단부에, 아래측으로 뻗어나온 좌우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 다리부의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중앙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좌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돌기부가 상기 중앙 돌기부와의 사이에 계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중앙 돌기체의 중앙부분에 1개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정·배 양면부가 정방형 또는 장방형 형상을 가진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의 저단연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저단연의 폭이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의 폭보다 작은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저단연에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돌기 선단간 거리가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의 폭보다 작은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9. 투수 여과성 시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봉투 본체와,
    내수성 시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봉투 본체의 지지구를 형성하는 지지부재
    를 가지고,
    상기 봉투 본체는 상기 투수 여과성 시트를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어형성된 정·배면 양부를 가지고, 이 정·배 양면부는, 그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고 있으며 또한 그 양 측단연부분 및 저단연부분에 있어서 각각 접합 봉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그 중심선을 따라서 반으로 접고, 또한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의 외측에 포개어져 있는 정·배 양면부를 가지며, 이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는 그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여 있고, 또한 서로 대칭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연속 상단연은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상에 포개어져 있고, 상기 봉투 본체의 폭의 최대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폭의 최대치보다 크며,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 각각은 그 폭방향으로 형성된 접는 선에 의하여 머리·다리 양부로 구획되고, 상기 머리·다리 양부는 상기 접는 선을 따라서 접어 구부릴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머리부의 좌우 양단부의 각각에, 상기 상단연을 통하고, 상기 접는 선의 좌우 양단 각각에 이르는 호상 눌러 접는 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좌우 눌러 접는 선의 외측에 좌우 눌러 접는 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머리부의 상기 좌우 눌러 접는 선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 및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에 걸쳐, 또한 상기 좌우 눌러 접는 선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호상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이 형성되고, 이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의 내측에 잘라내기부가 형성되고 있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잘라내기부가 잘려나가, 상기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이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와, 그것에 접하고 있는 상기 봉투 본체의 정·배 양면부는 각각의 다리부의 적어도 1 영역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봉투 본체 및 상기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를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가 잘려나가 있을 때는 상기 봉투 본체의 잘라내기부 만을, 상기 잘라내기용 미싱자국을 따라 잘라내고, 상기 지지부재 상부의 좌우 눌러 접는 부를 상기 눌러 접는 선을 따라서 내측 상방 또는 하방으로 눌러 접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서로 연속하고 있는 양 머리부를 상기 연속 상단연의 양측으로 확개함과 동시에, 상기 봉투 본체의 잘라내기부를 개구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다리부를 상기 횡 방향 접는 선으로 따라 상기 확개한 머리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개구한 피추출 재료 수용봉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다리부를 추출 용기상에 재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 다리부의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중앙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 다리부의 하단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좌우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중앙 돌기부가 형성되고 있고, 또한,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좌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돌기부가 상기 중앙 돌기부와의 사이에 계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13.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중앙 돌기체의 중앙부분에, 1개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정·배 양면부가 정방형 또는 장방형 타입의 형상을 가진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저단연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저단연의 폭이,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의 폭보다 작은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의 저단연에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돌기 선단간 거리가 상기 봉투 본체의 연속 상단연의 폭보다도 작은 피추출 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17. 투수 여과 시트부재와, 이 시트부재 상에,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그 중심선의 양측에 있어서 대칭형을 이루는 2 반부로 이루어지며, 또한 이 지지부재는 그 중심선과 상기 시트부재의 직사각형 방향 중심선이 합치하도록 상기 시트재료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2 반부는 상기 중심선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고 있고,
    이 중심선을 수평방향에 두고 또한 상기 중심선이 각반부의 상단연을 이루도록 각 반부를 보았을 때,
    (1) 각 반부는 그 상단연(중심선)에 가까운 머리부와, 상기 상단연에 평행하게 형성된 접는 선과, 이 접는 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에 연속하고 있는 다리부를 가지며,
    (2) 각 반부의 상기 머리부의 좌우 단부에는 상기 접는 선의 좌우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뻗는 호상의 눌러 접는 선이 형성되고, 각 반부의 호상 눌러 접는 선은 상기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고 있으며,
    (3) 각 반부의 상기 머리부의 좌우 호상 눌러 접는 선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 및 시트부재를 관통하며, 또한 상기 눌러 접는 선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호상의 미싱자국이 형성되고, 각 반부의 상기 미싱자국은 상기 상단연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여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이 형성되고, 이 잘라내기용 호상 미싱자국의 내측에 잘라내기부가 형성되고 있고,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잘라내기부가 잘려나가 상기 미싱자국은 시트 부재에만 형성되어 있고 또한,
    (4) 상기 지지부재의 각 반부와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제조용 시트 복합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양 반부의 각 다리부의 외측단 중앙부에, 외측을 향하여 뻗어 나온 중앙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 복합체.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 반부의 각각의 다리부의 외측단의 중앙부에, 외측을 향하여 뻗어나온 좌우 계합 돌기부가 형성되고 있는 시트 복합체.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다리부의 하단의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중앙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단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 좌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돌기부가 상기 중앙 돌기부와의 사이에 계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 복합체.
  21. 제 18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정·배 양면부의 각각의 중앙 돌기체의 중앙부분에 1개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 복합체.
KR10-2002-7009887A 2000-01-31 2001-01-31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피추출 재료 수용 지지구 구비추출 백 및 이들의 제조용 시트 복합체 KR100459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27336 2000-01-31
JP2000027336 2000-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376A KR20020069376A (ko) 2002-08-31
KR100459674B1 true KR100459674B1 (ko) 2004-12-03

Family

ID=1855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887A KR100459674B1 (ko) 2000-01-31 2001-01-31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피추출 재료 수용 지지구 구비추출 백 및 이들의 제조용 시트 복합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52275B2 (ko)
EP (1) EP1258218B1 (ko)
JP (1) JP3727270B2 (ko)
KR (1) KR100459674B1 (ko)
CN (1) CN1209065C (ko)
AU (1) AU766007C (ko)
CA (1) CA2398696C (ko)
DE (1) DE60101558T2 (ko)
HK (1) HK1049774B (ko)
WO (1) WO2001056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7052B2 (ja) * 2002-06-27 2007-07-18 不双産業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と、ドリップバッグの製造方法
WO2004008924A1 (en) * 2002-07-23 2004-01-29 Yong-Seok Jeong Separating membrane and the paper cup using the same
DE102006047504A1 (de) * 2006-10-05 2008-04-10 Dripco Ag Trägerelement und Extraktionsvorrichtung
GB2475943C (en) * 2010-09-27 2012-07-11 Howard Marc Gold Cooking container and cooking method
CN102670075B (zh) * 2011-03-15 2016-04-27 不双产业株式会社 滴滤袋
TWI721240B (zh) * 2018-01-08 2021-03-11 林紫綺 掛耳式杯套結構
DE102018101333A1 (de) * 2018-01-22 2019-07-25 Melitta Single Portions Gmbh & Co. Kg Portions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JP7347199B2 (ja) 2019-12-24 2023-09-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ドリッパ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02Y2 (ja) * 1980-11-15 1983-03-25 宏 最首 コ−ヒ−濾器
JPS607623Y2 (ja) * 1981-09-03 1985-03-14 片岡物産株式会社 コ−ヒ−の濾過器
AU553564B2 (en) * 1980-12-27 1986-07-24 Kataoka Bussan K.K. Filter assembly for coffee maker
JPS5814902A (ja) 1981-07-17 1983-01-28 Hitachi Ltd 高沸点安定剤を含む溶剤の回収方法
JPS607623A (ja) 1983-06-27 1985-01-16 Ricoh Co Ltd 磁気記録媒体の製造法
DE3623952A1 (de) * 1986-07-16 1988-01-28 Erich H Dipl Ing Woltermann Filter zum portionierten aufbruehen von kaffee oder tee
JPH0513324Y2 (ko) * 1988-06-07 1993-04-08
JPH06113952A (ja) 1991-06-09 1994-04-26 Yamanaka Sangyo Kk 嗜好性飲料及び調味料用フィルター
JPH0513324A (ja) 1991-07-09 1993-01-22 Hitachi Ltd ステージ位置の測定方法
JPH07303567A (ja) 1994-05-13 1995-11-21 Ishizu Seisakusho:Kk 漉し器
JPH0833572A (ja) 1994-05-19 1996-02-06 Yoshinori Ito コーヒー等飲料の簡易抽出用具
US5771777A (en) * 1996-02-09 1998-06-30 Davis; George T. Disposable beverage maker
US5842408A (en) * 1997-04-17 1998-12-01 Kabushiki Kaisha Doutor Coffee Coffee brewing package unit
JPH11285443A (ja) 1998-04-01 1999-10-19 Yoshinori Ito コーヒー等飲料の簡易抽出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7270B2 (ja) 2005-12-14
US20030000889A1 (en) 2003-01-02
AU766007C (en) 2004-07-08
CA2398696C (en) 2005-09-13
EP1258218A4 (en) 2003-04-02
WO2001056439A1 (fr) 2001-08-09
AU766007B2 (en) 2003-10-09
US6752275B2 (en) 2004-06-22
AU3055701A (en) 2001-08-14
CA2398696A1 (en) 2001-08-09
HK1049774B (zh) 2004-10-15
DE60101558T2 (de) 2004-06-03
CN1396812A (zh) 2003-02-12
DE60101558D1 (de) 2004-01-29
HK1049774A1 (en) 2003-05-30
EP1258218A1 (en) 2002-11-20
KR20020069376A (ko) 2002-08-31
CN1209065C (zh) 2005-07-06
EP1258218B1 (en) 200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6366B2 (ja) ドリップバッグ
KR100459674B1 (ko) 지지구가 구비된 추출 백, 피추출 재료 수용 지지구 구비추출 백 및 이들의 제조용 시트 복합체
EP0918706B1 (en) Drink-extracting bag equipped with holding element
RU257707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чайного пакетика в виде палочки
JP3553892B2 (ja) 支持具付抽出バッグ、被抽出材料収容支持具付抽出バッグ、及びそれらの製造用シート複合体
JP3709177B2 (ja) 濾過具
JPH1080362A (ja) 支持具付嗜好性飲料バッグ
JP7115596B2 (ja) ドリッパーの製造方法
JP2010099462A (ja) 支持具及び濾過具
JP3595050B2 (ja) 支持具付嗜好性飲料バッグ
JP4111752B2 (ja) 支持具付抽出バッグ及びその製造用シート複合体
JP3435812B2 (ja) 抽出容器
JP4039990B2 (ja) 引出係合片を有する物品支持体、前記支持体付抽出バッグ及び前記抽出バッグ製造用シート複合体
JP3353050B2 (ja) ホルダー付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JP6904468B2 (ja) ドリッパーとその製造方法
JP3967258B2 (ja) ドリッパー
JP4531544B2 (ja) ドリッパー
JP2000201823A (ja) カップ上載置式支持具付嗜好飲料抽出バッグ
JP4152272B2 (ja) 係合用空隙部を有する物品支持体、前記支持体付抽出バッグ及び前記抽出バッグ製造用シート複合体
JP2021100452A (ja) ドリッパー
JP2021037081A (ja) ドリッパーとその製造方法
JPH0810172A (ja) 使い捨ての茶漉し
JPH0810171A (ja) 抽出具
JP2002142990A (ja) カップ上載置式支持具付抽出バッグ
JP2004160011A (ja) ドリ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