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46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466B1
KR100458466B1 KR10-2002-7002271A KR20027002271A KR100458466B1 KR 100458466 B1 KR100458466 B1 KR 100458466B1 KR 20027002271 A KR20027002271 A KR 20027002271A KR 100458466 B1 KR100458466 B1 KR 100458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component unit
unit
electric component
dim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991A (ko
Inventor
켄지 코레에다
테츠야 야마시타
미키오 이토
유우이치 테라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장품 유닛(14)의 길이방향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였다. 이에 의하여 본체 케이싱을 크게 하지 않고 실내 열교환기의 치수를 크게 하여 공조효율을 향상시킨다. 또는 실내 열교환기의 치수를 작게 하지 않고 본체 케이싱을 콤팩트하게 구성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28은 종래예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내는 투과정면도이다. 본체 케이싱(81)내에는 앞면쪽 열교환기와 뒷면쪽 열교환기를 역 V자 형상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실내 열교환기(8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내 열교환기(82)의 역 V자에 끼워지도록 하여 원통형상의 크로스 플로우팬(83)이 배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플로우팬(83)은, 실내 열교환기(82)의 오른쪽에 설치된 팬모터(85)로 회전구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크로스 플로우팬(85)이 회전구동됨으로써, 상기 실내 열교환기 (82)의 앞쪽으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열교환기(82)에서 열교환한 후, 이 실내 열교환기(82)의 아래쪽으로부터 공조공기를 실내로 내뿜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실내 열교환기(82)는, 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그 오른쪽으로부터 보조배관(86)이 인출되어 있다. 이 보조배관(86)은 실외기(도시 생략)와의 사이에서 냉매회로를 형성하는 액관 및 가스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보조배관 (86)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82)로부터 인출된 후, 이 실내 열교환기(82)의 오른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보조배관(86)을 다시 단열피복하여 연락배관(88)이 형성되고, 이 연락배관(88)이 상기 본체 케이싱(81)의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본체 케이싱(81)의 배후부(背部)를 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유로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배관(86)의 오른쪽에 마이크로컴퓨터나 모터구동용 파워증폭기 등의 전장품을 배치하기 위한 전장품 박스(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기에서는 실내 열교환기(82)의 오른쪽에 이 실내 열교환기(82)로부터 인출된 보조배관(86)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시 이 보조배관(86)의 오른쪽에 전장품 박스(9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보조배관(86)의 인출공간 및 상기 전장품 박스(90)라고 하는 열교환에 직접 기여하지 않는 2개의 공간이 본체 케이싱(81)내를 점유하여 이들 2개의 공간분만큼 실내 열교환기(82)의 폭치수를 너무 작게 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물론 공조효율의 관점으로부터는 실내 열교환기(82)의 폭치수는 큰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본체 케이싱(81)의 폭치수를 크게 하는 것은 설치공간의 제한이나 설치시공성 유지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체 케이싱(81)내에서 열교환에 직접 기여하지 않는 공간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본체 케이싱(81)의 폭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실내 열교환기(82)의 폭치수를 크게하여 공조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장(電裝)품 유닛의 배치공간을 개선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약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상기와 대략 동일한 정면약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약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하는 전장품 유닛의 일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상기 전장품 유닛의 평면약도,
도 8은 상기 전장품 유닛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상기 전장품 유닛에 있어서의 발광표시부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상기 전장품 유닛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상기 전장품 유닛의 회로구성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예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예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은 상기 전장품 유닛을 분할 구성한 경우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7은 상기 전장품 유닛을 분할 구성한 경우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8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9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변경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또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6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7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모식도,
도 28은 공기조화기의 전장품 유닛의 종래배치를 나타내는 정면약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 케이싱를 크게 하지 않고 열교환기의 치수를 크게 하여 공조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열교환기의 치수를 작게 하지 않고 본체 케이싱를 콤팩트하게 구성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장품 유닛의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실내기 케이싱내에 가늘고 긴 전장품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으로 본 각종 공간에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의 측부에 있어서, 전장품을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을 필요로는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실내기의 길이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실내기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 이를 반대로 말하면, 종래와 동일치수의 실내기에 있어서, 열교환기나 팬의 배치 공간을 증가할 수 있다는 것으로서, 이 때문에 종래보다도 공조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의 전장품 유닛의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는, 더욱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 치수의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으로 한다.
또 제 2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장품 유닛의 실내기 분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2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도,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도 전장품 유닛의실내기분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는, 더욱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내기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으로 한다.
또 제 3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장품 유닛의 실내기 팬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3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도,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 공기조화기는 팬의 축방향이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경우에 대한 발명이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발명은, 팬 이외의 송풍수단을 사용하는 경우나, 팬의 축방향이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전장품 유닛의 실내기 팬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는, 더욱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으로 한다.
또 제 4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각 전장품 유닛의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의 합계치가,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제 5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각 전장품 유닛의 실내기 분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의 합계치가, 분출구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제 6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각 전장품 유닛의 실내기 팬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의 합계치가,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의 각 발명은, 전장품 유닛은 단일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대략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유닛이 동일 직선상이 아니라 서로 어긋나게 한 배치상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 제 4 내지 제 6 발명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이 복수의 유닛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 전장품 유닛의 각 치수의 합계치를 가지고 그 길이를 규정하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전장품 유닛이 복수의 유닛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장품 유닛의 치수란, 합계치수를 의미한다. 상기 제 4 내지 제 6의 각 발명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내지 제3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전장품 유닛을 복수의 유닛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그 배치위치의 선택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어 기종에 따른 적정배치가 가능해진다.
이 제 4 내지 제 6 발명에 있어서도, 전장품 유닛의 각 치수의 합계치는 더욱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으로 한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제 1 내지 제 6 발명에 있어서, 전장품 유닛은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기 유통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냉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유통공기에 의해 전장품 유닛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장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제 1 내지 제 6 발명에 있어서, 전장품 유닛은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기 유통로밖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전장품 유닛에 의해 직접적으로 통풍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전장품 유닛의 설치에 기인하여 공조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7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장품 유닛은 그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팬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연장 설치되고, 또한 분출구와 흡입구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7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의 치수에 관하여 제 1 내지 제 3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실내기에 있어서, 분출구와 흡입구가 인접하는 영역은 분출측과 흡입측의 단락회로를 위해 데드공간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한 영역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데드공간이 되는 영역에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면,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와 흡입구가 인접하는 영역은 분출구 상부의 위치이고, 상기 전장품 유닛은 상기 영역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의 아래쪽에 설치한 드레인팬과 상기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 패널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와 같이 실내기의 분출구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에있어서, 실내 열교환기의 아래쪽에 드레인팬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 드레인팬과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 패널 사이의 위치는, 확실하게 데드공간이 되는 영역이므로, 이 영역에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면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8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장품 유닛은 그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팬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연장 설치되고, 또한 앞면 패널과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8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의 치수에 관하여 제 1 내지 제 3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을 앞면 패널과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 즉 공기 유통로내에 배치하고 있으나, 전장품 유닛의 단면적이 작아져 있으므로, 통풍저항이 증가하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난방 운전시에있어서 유통공기에 의해 전장품 유닛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장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9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장품 유닛은 그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팬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연장 설치되고, 또한 실내기의 뒷면쪽에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9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의 치수에 관하여 제 1 내지 제 3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이 발명에서는 실내기 케이싱내에 있어서, 완전히 데드공간이 되는 실내기의 뒷면쪽에 위치하는 영역에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뒷면쪽 스크롤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을 예를 들면 발포재로 구성된 뒷면쪽 스크롤부에 매설하고 있으므로 공기 유통로내의 통풍저항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10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장품 유닛은 그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팬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연장 설치되고, 또한 상기 실내기 케이싱내의 열교환기는 앞쪽 열교환기와 뒤쪽 열교환기를 역 V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이루고, 상기 전장품 유닛은 양 열교환기의 교차위치에 있어서 양 열교환기를 결합시키도록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0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의 치수에 관하여 제 1 내지 제 3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이 앞쪽 열교환기와 뒤쪽 열교환기의 교차부를 시일하는 기능을 하게 되나, 이와 같이 전장품 유닛에 다른 기능도 겸용시킴 으로써 전용 시일재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2개의 기능을 겸용시키면 그에 따라 필요한 공간도 감소하게 되고, 그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실내기의 콤팩트화 및 공조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장품 유닛을 양 열교환기의 교차위치에 있어서 양 열교환기를 결합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시일 전용부재를 따로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어 이 때에도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은 얻어진다.
또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과는 직교하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의 높이방향 치수가 상기 실내기 케이싱의 높이 방향 전체 길이의 1/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통풍저항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고, 전장품 유닛의 배치형태의 자유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장품 유닛의 각 치수는, 더욱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의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으로 한다.
또 제 11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케이싱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잉여 공간을 형성하고, 이 잉여 공간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의 치수비율을 높인 전장품 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1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실내기 케이싱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잉여 공간을 이용하여 길이방향의 치수비율을 높인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는 구성이므로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서 본 각종 공간에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의 측부에 있어서, 전장품을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을 필요로는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실내기의 길이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실내기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 이것을 반대로 말하면, 동일치수의 실내기에 있어서, 열교환기나 팬의 배치 공간을 증가할 수 있게 되고, 이 때문에 종래보다도 공조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길이방향의 치수비율을 높인다」라는 것은, 길이방향의 치수가 그것과는 직교하는 2방향 치수의 어느 것보다도 큰 것을 의미하고, 그 비율의 대소관계는 문제가 아니다. 단지 실내기 케이싱의 길이방향 치수 비율보다도 전장품 유닛의 길이방향 치수 비율을 크게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 실내기 케이싱의 분출구와 흡입구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제 11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실내기에 있어서 분출구와 흡입구가 인접하는 영역은 분출측과 흡입측의 단락방지를 위해 데드공간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한 영역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데드 공간이 되는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잉여 공간을 형성하여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면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와 흡입구가 인접하는 영역은 분출구 상부의 위치이고, 상기 전장품 유닛은 상기 영역내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의 아래쪽에 설치한 드레인팬과 상기 실내 케이싱의 앞면 패널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와 같이 실내기의 분출구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에있어서, 실내 열교환기의 아래쪽에 드레인팬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 드레인팬과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 패널 사이의 위치는, 확실하게 데드 공간이 되는 영역이므로, 이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잉여 공간을 형성하여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면,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 패널과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의 치수에 관하여 제 11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을 앞면 패널과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 즉 통기 유통로내에 배치하고 있으나, 전장품 유닛은 그 길이방향의 치수 비율을 높임으로써 단면적이 작아져 있으므로, 통풍저항이 증가하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유통공기에 의해 전장품 유닛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장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케이싱내의 열교환기는 앞쪽 열교환기와 뒤쪽 열교환기를 역 V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장품 유닛은 양 열교환기의 교차위치에 있어서 양 열교환기를 결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의 치수에 관하여 제 11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이 앞쪽 열교환기와 뒤쪽 열교환기의 교차부를 시일하는 기능을 하게 되나, 이와 같이 전장품 유닛에 다른 기능도 겸용시킴으로써 전용 시일재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2개의 기능을 겸용시키면, 그것에 따라 필요 공간도 감소하게 되고, 그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실내기의 콤팩트화 및 공조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전장품 유닛을 양 열교환기의 교차위치에 있어서 양 열교환기를 결합시키도록 배치하는 경우, 시일 전용부재를 따로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어 이 때에도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은 얻어진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 분출통로의 뒷벽을 구성하고 있는 스크롤부의 배후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의 치수에 관하여 제 11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실내기 케이싱내에 있어서 완전한 데드 공간이 되는 실내기의 뒷면쪽에 위치하는 스크롤부의 배후부 영역에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전장품 유닛은 스크롤부내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을 예를 들면 발포재로 구성된 스크롤부에 매설하고 있으므로 공기 유통로내의 통풍저항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12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케이싱내에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실내기 케이싱의 하부측에 분출구를, 또한 분출구보다도 상부측에 흡입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분출구의 상부위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아래쪽에 설치한 드레인팬과 상기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 패널 사이의 위치에 전장품 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2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의 분출구의 상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아래쪽에 설치한 드레인팬과 상기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 패널 사이의 위치는, 분출측과 흡입측의 단락방지를 위해 데드 공간로 하여 두지 않으면 안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데드 공간이 되는 영역에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면,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실내기 케이싱 분출구, 흡입구, 전장품 유닛은 어떠한 형상의 것이어도 좋으나, 가로로 긴 실내기 케이싱를 사용하여 분출구, 흡입구를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하고, 가로로 긴 전장품 유닛을 분출구를 따라 연장하여 설치하면, 공간의 유효활용 효과는 한층 더 발휘되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13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케이싱내의 열교환기는 앞쪽 열교환기와 뒤쪽 열교환기를 역 V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이루고, 양 열교환기의 교차위치에 있어서 양 열교환기를 결합시키도록 전장품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3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이 앞쪽 열교환기와 뒤쪽 열교환기의 교차부를 시일하는 기능을 하게 되나, 이와 같이 전장품 유닛에다른 기능도 겸용시킴으로써 전용 시일재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2개의 기능을 겸용시키면 그에 따라 필요 공간도 감소하게 되고, 그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 실내기의 콤팩트화 및 공조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제 13 발명에 있어서, 전장품 유닛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더라도 상기 이점이 생긴다.
또 제 14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케이싱의 내부 뒷면쪽의 위치 또는 실내기 케이싱의 외부 뒷면쪽의 위치에 전장품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4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실내기 케이싱내에 있어서 완전한 데드 공간이 되는 실내기의 뒷면쪽 위치, 또는 실내기 케이싱의 외부 뒷면쪽 위치에 전장품 유닛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실내기 케이싱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제 14 발명에 있어서, 전장품 유닛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어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박판형상 또는 막대형상의 전장품 유닛으로 하고, 정방형, 장방형 등 자유롭게 형성하면 되고, 또 단일 유닛으로 하여도 좋고, 복수의 유닛으로 하여도 좋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 비산하는 드레인수에 대한 차폐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드레인수가 전장품 유닛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전장품 유닛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또 설치공사시에 있어서의 드레인 배수기능의 체크용 주수(注水), 또는 실내 열교환기의 세정시에 있어서의 세정제, 세정수가 전장품 유닛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도 억제할 수 있어 이들에 대해서도 전장품 유닛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드레인수에 대한 차폐기구란, 드레인수에 의해 단락 등의 악영향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 좋은 것이고, 반드시 드레인수의 침입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아니며, 전장품용의 케이싱를 설치하거나 칸막이판을 설치하거나 하는 대책도 이에 포함된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쪽 개방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쪽을 개방하는 것만으로 전장품 유닛, 즉 전장품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메인티넌스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쪽 개방시에 외부로 떼어 내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쪽을 개방하는 것만으로 전장품 유닛, 즉 전장품을 떼어 낼 수 있으므로 부품 교환작업이나 메인티넌스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에는 발광표시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발광표시수단은 실내기 케이싱의 앞면쪽의관찰창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에 발광표시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장품 유닛과 발광표시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리드선 등의 배선길이를 종래와 같이 길게 할 필요는 없이 종래보다도 배선길이를 대폭 짧게 할 수 있어,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장품과 발광표시수단을 근접 배치함으로써 메인티넌스작업을 용이화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수단이란, LED, 7세그먼트LED, LCD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장품 유닛을 단일의 유닛으로서 구성하면, 제조, 및 취급이 용이해져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한 전장품 유닛을 대략 직선상으로 병설한 복수의 유닛으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프린트기판을 가지고 전장품 유닛을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프린트기판을 동일한 기판에 장착함과 동시에,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을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콤팩트화, 취급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전장품 유닛은 대략 기둥형상으로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장품 유닛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외에 복수의 유닛으로서 구성하고, 각 유닛이 길이방향에 대해서도, 또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서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그 배치위치의 선택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어 기종에 따른 적정배치가 가능해진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길이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한 길이방향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전장품 유닛은 구성할 수 있는 최대 길이, 또는 그것과 아주 가까운 길이가 되기 때문에, 그 단면적을 최소 또는 최소 가까이로 할 수 있어 전장품 유닛의 배치위치의 자유도의 대폭 향상, 통풍저항의 대폭 감소 등에 의하여 실내기의 대폭적인 콤팩트화 및 공조성능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케이싱내의 열교환기는 실내기 케이싱 또는 분출구의 대략 전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실내기 케이싱내에 있어서의 열교환기의 유효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공조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종래와 동일 성능으로 하면 종래보다도 실내기 케이싱을 콤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조립성, 메인티넌스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은상기 열교환기의 각 플레이트핀과, 그 배치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전장품 유닛의 배치에 기인하여 유통공기흐름에 흐트러짐이 생겨도 이는 플레이트핀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대한 흐트러짐이 되기 때문에, 이 흐트러짐에 의해 공기흐름이 플레이트핀을 통과할 때에 유통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그 결과 공조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팬 및 팬모터를 포함하는 팬기구의 길이방향의 치수가, 열교환기의 팬기구의 길이방향 치수와 대략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팬과 열교환기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걸이형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설치형, 천정매립형 등 여러가지 설치형태의 것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이란, 사용자가 보아 좌우방향을 의미하는 것이 있고, 또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나, 먼저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것으로, 이하의 설명은 벽걸이형 실내기에 대하여 행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도 3,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그 내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실내기의 실내기 케이싱(1)은 실내열교환기(4), 크로스플로우팬(9), 전장품 유닛(14) 등의 주요 구성부품이 설치되는 본체 케이싱(1a)과, 이 본체 케이싱(1a)의 앞면에 설치되는 앞면 그릴(5)과, 앞면 그릴(5)의 더욱 전면에 설치되는 앞면 패널(7)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전체로서 상하방향 치수보다도 폭방향 치수가 긴 가로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앞면 패널(7)은 사용자가 임의로 떼어 내기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본체 케이싱(1a)과 앞면 그릴(5)은 사용자가 떼어 낼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도 4와 같이 상기 실내기 케이싱(1)내에 앞쪽 열교환기(2)와 뒤쪽 열교환기(3)를 역 V자 형상으로 배치하여 구성된 플레이트핀형의 실내 열교환기(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내기 케이싱(1)에는 도 4와 같이 그 앞면 그릴(5)의 천정부분에 상면 흡입구 (6)가 형성되고, 앞면 패널(7)에 앞면 흡입구(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상면 흡입구(6)는 앞면 그릴(5)의 천정부분을 격자형상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앞면 흡입구(8)는 앞면 패널(7)의 중앙의 약간 상부에 있어서 위쪽을 향한 개구를 가로방향에 연장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실내 열교환기(4)의 역 V자 형상의 안쪽에는 크로스 플로우팬(9)이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플로우팬(9)은 축류팬이라 불리우고 있는 것으로, 그 축방향이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크로스 플로우팬(9)의 배후에 스크롤부(10)가 형성되고, 실내기 케이싱(1)의 앞면쪽 하부로 개구하는 분출구(11)와 원활하게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출구(11)의 위쪽 벽면(12)은 상기 앞쪽 열교환기(2)의 하부에 위치하는 드레인팬(13)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 분출구(11) 상위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13)의 앞면쪽 위치, 즉 상기 드레인팬(13)과 앞면 패널(7) 사이의 위치에는 전장품 유닛(1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뒤쪽 열교환기의 하부에는 뒷면쪽 드레인팬(1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기 그 자체 및 실내기 케이싱(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로 긴 것으로서, 상기 앞면 흡입구(8) 및 분출구(11)는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상기 분출구(11)의 상부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13)의 앞면쪽의 위치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장품 유닛(14)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6,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20은 전장품 유닛(14)을 수납하는 전장품 케이스, 21은 전장품 유닛(14)을 덮는 전장품 커버로서, 양자(20, 21) 사이에 전장품 유닛 (14)이 배치된다. 전장품 유닛(14)은 도 8과 같이 상용전원(교류 100V 또는 교류 200V)에 접속되는 전원입력부로서의 단자반(22), 교류회로부(23), 직류 고압회로부 (24), 직류 저압회로부(25), CPU 제어부(26), 발광표시부(27)로 이루어지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직류고압회로부(24)가 제 1 프린트기판(28)에, 상기 직류 저압회로부(25)가 제 2 프린트기판(29)에, 또 상기 발광표시부(27)가 표시용 기판(30)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단자반 (22), 교류회로부(23), 직류 고압회로부(24), 직류 저압회로부(25), CPU 제어부 (26)는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을 향하여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레이아웃된 상태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전장품 케이스(20)에 설치된다. 또 상기 전장품 커버(21)의 뒤쪽에 상기 표시용 기판(30)이 설치되고, 이 상태로 상기 전장품 커버(21)로 상기 전장품 케이스(20)를 덮는다. 상기 전장품 커버(21)에는 발광표시부(27)의 LED, 7세그먼트 LED 등(발광표시수단)을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하도록 그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31, 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장품 유닛(14)에 있어서는, 그 전체를 가로로 길게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프린트기판(28), 제 2 프린트기판(29) 및 표시용 기판(30)은 모두 가능한 한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린트기판(28)과 제 2 프린트기판(29) 사이는 기판 대 기판커넥터(39)에 의하여 하네스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 (harness less)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1 프린트기판(28)에 설치된 직류 고압회로부(24)에 있어서는, SW 트랜스(41), 정류다이오드(42), 1차측 SW소자(43) 등의 발열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자기발열이 많은 전기부품(41, 42, 43)은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린트기판(28)의 위쪽위치에 배치하여 각 전기부품(41, 42, 43)의 방열의 촉진을 도모함과 동시에, 다른 전기부품에 방열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장품 케이스 (20)내에 수납됨과 동시에, 전장품 커버(21)에 의해 덮여지나, 전장품 케이스(20)의 상부와 전장품 커버(21)의 상부 사이에 방열구멍으로서 일정한 간극(도 7에 있어서 부호 45로 나타내는 부분)을 설치하여 이 간극을 앞면쪽을 향하여 개방하고, 이에 의하여 자기발열이 많은 전기부품(41, 42, 43)의 방열의 촉진을 도모하고 있다. 또방열구멍을 앞면쪽에 향하여 개방함으로써, 드레인수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기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크로스 플로우팬(9)을 구동하는 DCPWM형의 실내 팬 구동모터가 도 1에 있어서 오른쪽에, 또 수평플랩을 구동제어하는 플랩제어용 모터(스테핑모터)가 도 1에 있어서 왼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팬 구동모터(35)에 대해서는 직류 고압회로부(2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또 플랩제어용 모터(36)에 대해서는 직류 저압회로부(25)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즉 도 6 및 도 7과 같이 직류 고압회로부(24)를 오른쪽, 직류 저압회로부 (25)를 그 왼쪽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나, 그것과 마찬가지로 고압 구동엑츄에이터로서의 실내팬 구동모터(35)를 오른쪽, 저압 구동엑츄에이터로서의 플랩제어용 모터(36)를 그 왼쪽에 배치함으로써, 각 회로부(24, 25)와 각 엑츄에이터(35, 36)를 가능한 한 근접하여 배치하고, 접속하네스를 짧게 하여 결선, 조립작업을 용이화하고 있는 것이다.
또 도 8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실내기는 실외기(37)와 접속되나, 이 접속은 VVF 라인(38)으로 행하여진다. 이 VVF 라인(38)은 한 쌍의 전원용 교류라인과 내외전송을 위한 전송라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나, 이 내외 접속라인으로서의 VVF 라인(38)을 상기 단자반(22)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부터 삽입,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이 VVF 라인(38)의 단자반(22)에의 삽입방향을 상기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으로서 상기 교류회로부(23)로부터 상기 직류 저압회로부(25)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향을 향하여 VVF 라인(38)을 삽입함으로써, VVF 라인(38)의 삽입, 접속작업의 용이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VVF 라인(38)과 상기 각 회로부(23, 24, 25, 26)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라인 배선작업을 용이화하고, 또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전장품 커버(21)의 각 개구(31, 3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면 그릴(5)의 관찰창(32)을 통하여 그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앞면 패널(5)은 상기 도면에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앞면 그릴(5)의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고, 앞면 그릴(5)의 하부 근방은 외부로 노출시키고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도 1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장품 유닛(14)의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a)가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치수(LA)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 (14)을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전장품 유닛(14)의 길이(a)는 길수록 바람직하고, 따라서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치수(LA)의 적어도 1/2 이상의 길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치수(LA)의 적어도 2/3 이상의 길이로 한다. 또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전장품 유닛(14)의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a)를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치수(LA)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하는 것이다(도 18 참조). 이와 같이 전장품 유닛(14)을 구성할 수 있는 최대길이, 또는 그것과 매우 가까운 길이로 하면, 그 단면적을 최소 또는 최소 가까이로 할 수있어, 전장품 유닛(14)의 배치위치의 자유도의 대폭 향상, 통풍저항의 대폭 감소 등에 의해 실내기의 대폭적인 콤팩트화 및 공조성능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실내기 케이싱(1)내에 가늘고 긴 전장품 유닛 (14)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1)내의 측부에 있어서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그 때문에 실내기의 길이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실내기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 이것을 반대로 말하면, 종래와 동일치수의 실내기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나 크로스 플로우팬(9)의 배치 공간을 증가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 때문에 종래보다도 공조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장품 유닛(14)은 가늘고 긴 형상이므로,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균등하게 레이아웃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령, 흡입측의 통풍저항이 되었다고 하여도 좌우 불균형한 통풍저항으로는 되지 않으므로 로터결로 등의 불편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11)의 상부위치에 있어서, 드레인팬 (13)의 앞면쪽의 위치는 분출측과 흡입측과의 단락회로를 위해 데드 공간로 하여 둘 필요가 있는 부분이나, 이와 같은 영역에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실내기 케이싱(1)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14)을 전장품 케이스(20)내에 수납함과 동시에, 전장품 커버(21)로 덮고 있다. 따라서 드레인팬(13)내의 드레인수가 전장품 유닛(14)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그 때문에 전장품유닛(14)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설치공사시에 있어서의 드레인 배수기능의 체크용 주입수, 또는 실내 열교환기(4)의 세정시에 있어서의 세정제, 세정수가 전장품 유닛(14)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도 억제할 수 있어 이들에 대해서도 전장품 유닛(14)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수에 대한 차폐기구와는 드레인수에 의해 단락 등의 악영향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 좋은 것이므로, 반드시 드레인수의 침입을 완전을 차단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아니라, 전장품 케이스 (20)나 전장품 커버(21)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거나, 또는 단지 칸막이판을 설치하거나 하는 대책도 이것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앞면 패널(7), 앞면 그릴(5), 전장품 커버(21)를 떼어내면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외부로 드러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그 앞면으로부터 각 전기부품의 점검, 교환, 수리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부품교환이나 메인티넌스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전장품 유닛(14)에 발광표시부(2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발광표시부(27)는 실내기 케이싱(1)의 앞면쪽의 관찰창(32)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전장품 유닛(14)에 일체적으로 발광표시부(2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장품 유닛(14)과 발광표시부(2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리드선 등의 배선길이를 종래와 같이 길게 할 필요는 없고, 종래보다도 배선길이를 대폭 짧게 할 수 있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전기부품과 발광표시부(27)를 근접 배치함으로써 메인티넌스작업을 용이화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전장품 유닛(14)을 전장품 케이스(20)내에 수납하여 전장품 커버(21)로 덮음으로써, 단일의 유닛으로서 기둥형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및 취급이 용이해져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뢰성도 향상한다.
도 10에는 상기 각 회로의 배치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반(22), 교류회로부(23), 직류 고압회로부(24), 직류 저압회로부(25)의 각 회로부를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있다. 도 11은 그 변경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도 11(a)는 AC-DC 변환부를 기기 밖에 가지는 제품에 적합한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직류 고압회로부(24), 직류 저압회로부(25)의 각 회로부를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도 11(b)는 강압을 트랜스 등에서 행하는 제품에 적합한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단자반(22), 교류 고압회로부(23), 교류 저압회로부(23a), 직류 저압회로부(25)의 각 회로부를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한 것이다.
(전장품유닛의 치수에 관한 변경예)
전장품 유닛(14)의 치수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기의 분출구91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a)가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LB)의 적어도 1/3 이상이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전장품 유닛(14)의 실내기 분출구(1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a)는 더욱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내기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LB)의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으로 한다. 또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전장품 유닛(14)의 실내기 분출구(1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a)를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LB)와 대략 동등한 길이로하는 것이다(도 18 참조). 이와 같이 전장품 유닛(14)을 구성할 수 있는 최대길이, 또는 그리고 매우 가까운 길이로 하면, 그 단면적을 최소 또는 최소 가까이로 할 수 있어 전장품유닛(14)의 배치위치의 자유도의 대폭 향상, 통풍저항의 대폭 감소 등에 의하여 실내기의 대폭적인 콤팩트화 및 공조성능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팬(9)의 축방향과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장품유닛(14)의 크로스 플로우팬(9)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a)가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LA, LB)의 적어도 1/3 이상이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전장품 유닛(14)의 실내기 팬(9)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a)는 더욱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LA, LB)의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으로 한다.
(전장품 유닛의 형상에 관한 변경예)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14)을 전장품 케이스(20)내에 수납하여 전장품 커버(21)로 덮음으로써 단일의 유닛으로서 기둥형상으로 구성하여(도 18), 제조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신뢰성을 향상하고 있으나,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품 유닛(14)을 대략 직선상으로 병설한 복수의 유닛(14a, 14b, 14c)으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프린트기판을 가지고 전장품 유닛(14)을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프린트기판을 동일한 기판에 장착함과 동시에,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14)을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콤팩트화, 취급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전장품 유닛 (14)은 그 전체로서 대략 기둥형상으로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장품 유닛(14)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14a, 14b, 14c)으로 구성하고, 각 유닛(14a, 14b, 14c)을 길이방향에 대해서도, 또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공기흐름방향)에 대해서도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그 배치위치의 선택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어 기종에 따른 적정배치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14)을 상기와 같이 복수의 유닛으로 분할하여 구성하는 경우, 각 전장품 유닛(14)의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의 합계치(a + b + c)가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LA)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거나, 각 전장품 유닛(14)의 실내기 분출구(1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의 합계치(a + b + c)가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LB)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거나, 또는 각 전장품 유닛(14)의 실내기 팬(9)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의 합계치(a + b + c)가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LA, LB)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면 좋다. 즉 전장품 유닛 (14)이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 전장품 유닛(14)의 각 치수의 합계치(a + b + c)를 가지고 그 길이를 규정함으로써,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이 얻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전장품 유닛 (14)의 각 치수의 합계치(a + b + c)는, 더욱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LA, LB)의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으로 한다.
또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과는 직교하는 높이방향(상하방향)에 있어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장품 유닛(14)의 높이방향 치수(t)가 상기실내기 케이싱(1)의 높이방향 전체 길이(T)의 1/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통풍저항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고, 전장품 유닛(14)의 배치형태의 자유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장품유닛의 배치위치에 관한 변경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장품 유닛(14)은 분출구(11)의 상부위치에 있어서, 드레인팬(13)의 앞면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나, 전장품 유닛(14)의 배치위치는 아래와같이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변경예에 있어서도 전장품 유닛(14)의 치수 및 형상에 관한 상기 설명은 그대로 적용된다. 먼저 도 20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 (14)을 앞쪽 열교환기(2)와 앞면 패널(7) 사이의 공기통로(33)내에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전장품 유닛(14)의 단면적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작아져 있으므로 통풍저항이 증가하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유통공기에 의하여 전장품 유닛(14)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장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장품 유닛(14)은 가늘고 긴 형상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균등하게 레이아웃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령 흡입측의 통풍저항이 되었다 하더라도 좌우 불균형인 통풍저항으로는 되지 않으므로 로터결로 등의 불편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있어서는, 실내기 케이싱(1)내의 실내 열교환기(4)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앞쪽 열교환기(2)와 뒤쪽 열교환기(3)를 역 V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전장품 유닛(14)을 앞쪽 열교환기(2)와 뒤쪽 열교환기(3)의 교차위치에 있어서 양 열교환기(2, 3)를 결합시키도록 배치하고 있다. 도 21의 경우는 전장품 유닛(14)의 단면에 있어서의 긴 변이 공기흐름을 따르는 상태로 배치되고, 또 도 22의 경우는 전장품 유닛(14)의 단면에 있어서의 짧은 변이 공기흐름을 따르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변경예에서는 전장품 유닛(14)이 앞쪽 열교환기(2)와 뒤쪽 열교환기(3)의 교차부를 시일하는 기능을 하게 되나, 이와 같이 전장품 유닛 (14)에 다른 기능도 겸용시킴으로써 전용 시일재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2개의 기능을 겸용시키면, 그에 따라 필요 공간도 감소하게 되어 그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실내기의 콤팩트화 및 공조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들 경우에도 냉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유통공기에 의해 전장품 유닛(14)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장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장품 유닛(14)을 양 열교환기(2, 3)의 교차위치에 있어서 양 열교환기(2, 3)를 결합시키도록 배치하는 경우, 시일 전용부재를 따로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어 이 때에도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은 얻어진다.
도 23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14)은 실내기 케이싱(1)내의 뒤쪽 열교환기 (3)의 더욱 뒷면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1)내에 있어서 완전한 데드 공간이 되는 실내기의 뒷면쪽에 위치하는 영역에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실내기 케이싱(1)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4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14)은 분출통로의 뒷벽을 구성하고 있는 스크롤부(10)의 배후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1)내에 있어서 완전한 데드 공간이 되는 실내기의 뒷면쪽에 위치하는 스크롤부(10)의 배후영역에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실내기 케이싱(1)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경우, 전장품 유닛(14)은 실내기 케이싱(1)내의 공기유통로 밖에 배치되어 있게 되나, 그 결과 전장품 유닛(14)에 의해 직접적으로 통풍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그 때문에 전장품 유닛(14)의 설치에 기인하여 공조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장품 유닛의 치수, 형상, 배치위치에 관한 다른 변경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장품 유닛(14)의 길이방향의 치수에 관하여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와의 관련으로 규정하였으나, 전장품 유닛(14)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배치형태를 연구함으로써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내기 케이싱(1)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잉여공간을 이용하여 길이방향의 치수비율을 높인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도록 구성하면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본 여러가지 공간에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1)의 측부에 있어서 전장품을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을 필요로는 하지않는다. 그 때문에 실내기의 길이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실내기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 이것을 반대로 말하면, 동일치수의 실내기에 있어서 열교환기(4)나 팬(9)의 배치 공간을 증가할 수 있게 되고, 이 때문에 종래보다도 공조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길이방향의 치수비율을 높인다」라는 것은, 길이방향의 치수가 그것과는 직교하는 2방향 치수의 어느 것보다도 큰 것을 의미하고, 그 비율의 대소관계는 문제가 아니다. 단지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치수비율보다도 전장품 유닛(14)의 길이방향 치수비율을 크게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실시하는 경우, 상기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는 위치는 분출구(11)와 흡입구(8)의 인접영역, 분출구(11)의 상부위치에 있어서 드레인팬 (13)과 앞면 패널(7) 사이의 위치(도 4), 앞면 패널(7)과 앞쪽 열교환기(2) 사이의 공기통로내의 위치(도 20), 앞쪽 열교환기(2)와 뒤쪽 열교환기(3)의 교차위치(도 21, 도 22), 실내기 케이싱(1)내에 있어서의 뒷면쪽의 위치(도 23), 스크롤부(10)의 배후부 영역(도 24)으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전장품 유닛 (14)을 분산배치하는 경우에는 하나하나의 전장품 유닛(14a, 14b, 14c)의 길이방향의 치수비율을 높혀 두면 좋고, 또 그것과 아울러 전체 레이아웃의 길이방향 치수비율을 높혀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장품 유닛(14)을 도 21, 도 22와 같이 양열교환기(2, 3)의 교차위치에 있어서 양 열교환기(2, 3)를 결합시키도록 배치하는 경우, 시일 전용부재를 따로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어 이 때에도 실내기의 콤팩트화, 공조성능의 향상이라는 이점은 얻어진다.
또 전장품 유닛(14)의 배치위치에 충분히 배려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치수비율을 높일 필요가 생기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의 분출구(11)의 상부위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4)의 아래쪽에 설치한 드레인팬(13)과 상기 실내기 케이싱(1)의 앞면 패널(7) 사이의 위치는 분출측과 흡입측의 단락회로를 위해 데드 공간로 하여 두지 않으면 안되는 영역이나, 이와 같이 데드 공간이 되는 영역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면 실내기 케이싱(1)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실내기 케이싱(1), 분출구(11), 흡입구(8), 전장품 유닛(14)은 어떠한 형상의 것이어도 좋으나, 가로로 긴 실내기 케이싱(1)를 사용하여 분출구(11), 흡입구(8)를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하고, 가로로 긴 전장품 유닛(14)을 분출구(11)를 따라 연장하여 설치하면 공간의 유효활용 효과는 한층 더 발휘되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장품 유닛(14)이 앞쪽 열교환기(2)와 뒤쪽 열교환기(3)의 교차부를 시일하는 기능을 하도록 배치하고(도 21, 도 22), 전장품 유닛(14)에 다른 기능도 겸용시킴으로써 전용 시일재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2개의 기능을 겸용시키면 그것에 따라 필요 공간도 감소하게 되고, 그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 실내기의 콤팩트화 및 공조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내기 케이싱(1)내에 있어서, 완전한 데드 공간이 되는 실내기의 뒷면쪽의 위치(도 23), 또는 실내기 케이싱(1)의 외부 뒷면쪽의 위치(도 24)에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면 실내기 케이싱(1)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장품 유닛(14)을 실내기 케이싱(1)내에 있어서 공기흐름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뒷면쪽의 위치, 또는 실내기 케이싱(1)의 외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전장품 유닛(14)의 치수, 형상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품 유닛(14)을 박판형상의 유닛으로 구성하면, 실내기 케이싱(1)의 내부 뒷면쪽의 위치 또는 실내기 케이싱(1)의 외부 뒷면쪽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장품 유닛 (14)의 형상은 정방형, 장방형, 막대형상 등,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26과 같이 세로로 길게 하여 분산배치할 수도 있다. 이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실내기 케이싱(1)내에 있어서, 완전한 데드 공간이 되는 실내기의 뒷면쪽에 위치, 또는 실내기 케이싱(1)의 외부 뒷면쪽의 위치에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실내기 케이싱(1)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장품 유닛(14)을 실내기 케이싱(1)의 뒷면쪽에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품 유닛(14)을, 예를 들면 발포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스크롤부(10)에 매설하면, 공기 유통로내의 통풍저항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실내기 케이싱(1)내의 공간을 더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그 결과, 실내기를 더욱 콤팩트화하거나, 공조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변경예)
상기 실내기 케이싱(1)내의 실내 열교환기(4)는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대략 전역에 걸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실내기 케이싱(1)내에 있어서의 열교환기(4)의 유효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공조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종래와 동일 성능으로 하면 종래보다도 실내기 케이싱 (1)을 콤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략 전역」이라는 표현에 관하여, 실내 열교환기(4)의 크기에 대하여 말하면, 이는 플레이트핀을 가지는 부분만의 치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측부의 U자 형상의 전열관, 그 반대측의 분류관부 등도 포함하는 치수를 의미하고 있다. 또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조립성, 메인티넌스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장품 유닛(14)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 (4)의 각 플레이트핀과, 그 배치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장품 유닛(14)의 배치에 기인하여 유통 공기흐름에 흐트러짐이 생기더라도 이는 플레이트핀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대한 흐트러짐이 되기 때문에, 이 흐트러짐에 의해 공기흐름이 플레이트핀을 통과할 때에 유통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그 결과 공조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장품 유닛(14)과 플레이트핀이 직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부구조가 대칭적이 되어 제조비용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팬(9) 및 팬모터를 포함하는 팬기구의 길이방향의 치수가 실내 열교환기(4)의 팬기구의 길이방향 치수와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되어 있어 이 구성에 의하여 팬(9)과 실내 열교환기(4)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 상기에 있어서의 실내 열교환기(4)의 길이방향 치수란, 실내 열교환기(4)에 있어서 플레이트핀을 가지는 부분뿐만 아니라, 그 양쪽 끝부에 있어서의 U 자 형상의 전열관의 부분도 포함한 치수의 것을 의미하고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걸이형의 것에 한하지 않고, 바닥설치형, 천정매립형 등, 여러가지의 설치형태의 것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란, 사용자가 보아 좌우방향을 의미하는 것이 있고, 또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가로로 긴」이라는 표현은, 세로치수를 h, 가로치수를 w라 하였을 때에 w/h > 1 이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Claims (39)

  1. 전장품 유닛(14)의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의 치수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전장품유닛(14)의 실내기 분출구(1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실내기 팬(9)의 축방향은,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 방향 및 분출구(11)의 길이방향과 평행이며, 전장품유닛(14)의 실내기 팬(9)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의 치수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구성되는 전장품 유닛(14)을 구비하고, 상기 전장품 유닛(14)의 각 유닛의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의 합계치가,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의 적어도 1/3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구성되는 전장품유닛(14)을 구비하고, 상기 전장품 유닛(14)의 각 유닛의 실내기 분출구(1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치수의 합계치가,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의 적어도 1/3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구성되는 전장품 유닛(14)을 구비하고, 상기 전장품 유닛(14)의 각 유닛의 실내기 팬(9)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의 합계치가,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의 적어도 1/3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전장품 유닛(14)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14)의 복수의 유닛은, 대략 동일직선상에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닛은, 동일의 기판에 장착되어 상호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대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14)의 복수의 유닛은, 각 유닛이 길이방향에 대하여도, 또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도 서로 조금씩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전장품 유닛(14)은 그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치수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팬(9)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연설되어 이전 분출구(11)와 흡입구(8)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 되어 있고,
    상기 분출구(11)와 흡입구(8)가 인접하는 영역이란 분출구(11) 상부의 위치로서,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상기 영역내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의 하측에 부착된 드레인팬(13)과 상기 실내기 케이싱(1)의 앞면 패널(7)과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비산하는 드레인수에 대하여 차폐 기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실내기 케이싱(1)과, 실내기 흡입구(8)와, 실내기 분출구(11)와, 열교환기(4)와, 실내기 팬(9)을 구비하고, 실내기 흡입구(8)로부터 빨아들인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4), 실내기 팬(8)의 순으로 흘러 상기 실내기 분출구로부터 뿜어내어지도록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장품 유닛(14)은, 그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팬(9)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1/3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연장 설치되고, 또한 실내기의 뒷면쪽에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분출통로의 배벽을 구성하고 있는 스크롤부(10)의 배부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상기 스크롤부(10)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전장품 유닛(14)은, 그 실내기 케이싱(1)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 또는 팬(9)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실내기 케이싱(1) 또는 분출구(11)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1/3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연장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 케이싱(1)내의 열교환기(4)는 앞쪽 열교환기(2)와 뒤쪽 열교환기(3)를 역 V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이루고,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양 열교환기 (2, 3)의 교차위치에 놓고 양 열교환기(2, 3)를 결합시키도록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실내기 케이싱(1)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치수비율을 높인 전장품 유닛(14)은 분출통로의 배벽을 구성하고 있는 스크롤부(10)의 배부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14)은 스크롤부(10) 내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실내기 케이싱(1)내의 열교환기(4)는, 앞쪽 열교환기(2)와 뒤쪽 열교환기(3)와를 역 V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이루고, 양 열교환기(2, 3)의 교차위치에 놓고 양열교환기(2, 3)을 결합시키도록 전장품 유닛(14)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02-7002271A 1999-08-31 2000-08-10 공기조화기 KR100458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510099A JP3287343B2 (ja) 1999-08-31 1999-08-31 空気調和機
JPJP-P-1999-00245100 199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991A KR20020025991A (ko) 2002-04-04
KR100458466B1 true KR100458466B1 (ko) 2004-11-26

Family

ID=1712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271A KR100458466B1 (ko) 1999-08-31 2000-08-1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215446B1 (ko)
JP (1) JP3287343B2 (ko)
KR (1) KR100458466B1 (ko)
CN (1) CN1157566C (ko)
AT (1) ATE527500T1 (ko)
AU (1) AU763427B2 (ko)
ES (1) ES2370626T3 (ko)
HK (1) HK1045874A1 (ko)
WO (1) WO2001016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1481B2 (ja) * 2010-03-24 2014-07-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算機室専用空調室内機
JP5071599B2 (ja) * 2011-03-11 2012-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071573B2 (ja) * 2011-03-11 2012-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626057B2 (ja) * 2011-03-22 2014-1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071576B1 (ja) * 2011-08-08 2012-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3053821A (ja) * 2011-09-05 2013-03-21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13124804A (ja) * 2011-12-14 2013-06-24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5765313B2 (ja) * 2012-09-27 2015-08-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6217893B2 (ja) * 2012-10-16 2017-10-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CN103574782A (zh) * 2013-11-05 2014-02-12 谢虹 一种微型负离子空气净化器
JP6365080B2 (ja) * 2014-08-01 2018-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5066384B (zh) * 2015-08-07 2018-01-26 广东志高暖通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电控盒的固定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353Y2 (ko) * 1980-06-10 1986-12-26
JPS5962416U (ja) * 1982-10-19 1984-04-24 松下冷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電装部品取付装置
JPS60188918U (ja) * 1984-05-28 1985-12-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吊型空気調和機
JPH08110085A (ja) * 1994-10-14 1996-04-30 Hitachi Ltd 室内ユニット
JPH08135998A (ja) 1994-11-14 1996-05-31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H1096530A (ja) * 1996-09-20 1998-04-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3085225B2 (ja) 1996-12-27 2000-09-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70626T3 (es) 2011-12-21
EP1215446B1 (en) 2011-10-05
ATE527500T1 (de) 2011-10-15
CN1157566C (zh) 2004-07-14
AU6473800A (en) 2001-03-26
JP2001065916A (ja) 2001-03-16
WO2001016531A1 (fr) 2001-03-08
KR20020025991A (ko) 2002-04-04
JP3287343B2 (ja) 2002-06-04
EP1215446A4 (en) 2006-05-24
CN1371460A (zh) 2002-09-25
AU763427B2 (en) 2003-07-24
HK1045874A1 (zh) 2002-12-13
EP1215446A1 (en)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59719B2 (ja) 空気調和機
KR100458466B1 (ko) 공기조화기
CN106839164B (zh) 室外机及空调器
WO2021077802A1 (zh) 一体式空气源热泵
JP2002206770A (ja) 空気調和機
CN206037286U (zh) 空调机的室外机
JP6972179B2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JP7012874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240028977A (ko)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
JP2008309368A (ja) 空気調和機
KR10053687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21134967A (ja) 空気調和機
EP1052457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220061896U (zh) 空调室内机
CN214307367U (zh) 一种空调室外机
CN218941625U (zh) 电源产品的布局结构、以及电源产品
CN220061918U (zh) 天花板埋入式空调室内机
CN219679064U (zh) 一种防干扰散热结构及超声波装置
JP2018021708A (ja) 空気調和機
JP3172418B2 (ja) 空気調和機の電装箱
JP2023141082A (ja) 電装品箱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21143785A (ja) 空気調和機
JP2000151161A (ja) 電子機器を内蔵した制御装置
KR012892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KR20020052822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