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927Y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927Y1
KR0128927Y1 KR2019960002687U KR19960002687U KR0128927Y1 KR 0128927 Y1 KR0128927 Y1 KR 0128927Y1 KR 2019960002687 U KR2019960002687 U KR 2019960002687U KR 19960002687 U KR19960002687 U KR 19960002687U KR 0128927 Y1 KR0128927 Y1 KR 0128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electrical equipment
equipment box
heat exchang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436U (ko
Inventor
윤승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02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927Y1/ko
Publication of KR970052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장박스를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실외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분해조립이 간편하고 부품의 수리보수가 용이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들을 수용하는 전장박스(50)가 평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전장부품들이 그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외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놓여짐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상판(13)을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전장부품들을 일시에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장박스(50)는 그 양측에 걸림턱(60a)(60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걸림턱(60a)(60b)에 의해 열교환기(21)의 상단에 끼워져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장박스(50)의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제1도는 종래 전장박스를 보이기 위해 도시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장박스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장박스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장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도시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1 : 열교환기
22 : 팬 23 : 모터
30 : 압축기 50 : 전장박스
60a,60b : 걸림턱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장박스를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실외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분해조립이 간편하고 부품의 수리보수가 용이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분된다. 실내기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와 팬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실내공기가 팬의 흡입력에 의해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고, 이 공기가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이 수행된다. 그리고, 실외기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팬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팬을 이용하여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고온의 응축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실외기의 본체(10)는 공기배출구(11a)가 형성된 전면판(11)과 공기흡입구(12a)가 형성된 후면판(12), 그리고 상판(13)과 하판(14)으로 구성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외부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1)와, 공기흡입구(12a)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강제흡입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공기배출구(11a)를 통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팬(22)이 마련된다. 또한, 실외기는 상기 팬(22)과 연결되어 이 팬(22)을 회전시키는 모터(23)와, 모터(23)를 고정지지하는 모터지지대(24)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의 일측에는 열교환기(21)에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외기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서 모터(23)에 의해 팬(22)이 회전되고 압축기(30)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팬(22)의 흡입력에 의해 외기가 공기흡입구(12a)를 통해 열교환기(21)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을 한다. 그리고, 이 열교환된 공기는 공기배출구(11a)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데, 실외기의 열교환기(21)는 냉방운전을 할 때는 응축기로 사용되어 온풍이 배출되고, 난방운전을 할 때는 증발기로 사용되어 냉풍이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실외기의 내부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박스(40)가 설치된다. 이 전장박스(40)에는 다수의 전장부품들이 내장되어서 실내기에서 보내져 오는 시리얼 신호를 해독함과 함께 전류센서, 온도센서, 실외교환기의 표면온도센서에서의 입력에 따라 압축기의 회전수, 실외 팬모터, 4방밸브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 전장박스(40)의 일측에는 방열판(41)에서 설치되어서 전장부품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의 종래 전장박스(40)는 파티션(42)에 의해 실외기의 내부 일측면에 배치되며, 실외기의 후면판(12)의 측면에는 상기 전장박스(40)의 수리점검을 위한 덮개(43)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전장박스(40)는 파티션(42)으로 구획되어서 실외기의 측면에 배치되므로, 실외기의 내부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실외기의 길이가 커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각함체형상의 전장박스에 많은 전장부품이 밀집되어 배치되므로, 수리점검을 하기 위해 덮개(43)를 분리하더라도 손상되었거나 점검을 해야 하는 부품으로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리점검을 하기 위해서는 실외기의 본체(10)를 분해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장박스(40)와 파티션(42)의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이들이 실외기의 측면에 나사결합되어야 하므로, 종래의 전장박스(40)를 실외기에 설치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장박스를 실외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실외기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종 전장부품들의 배치가 용이하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장박스를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전장박스의 설치와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 및 상판과 하판,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열교환기와 압축기, 상기 전면판과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팬과 모터,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들을 수용하는 전장박스를 갖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장박스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전장부품들이 그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외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놓여짐으로써,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상판을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전장부품들을 일시에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장박스는 그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에 끼워져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장박스의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장박스의 평면도이고, 제3도는 이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장박스(50)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져서 그 위에 각종 전장부품들이 설치된다. 즉, 전장박스(50)의 중앙(51)에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전송된 시리얼 신호를 해독함과 함께 각 센서의 데이터에 따라 압축기의 회전수제어와 실외기의 팬모터, 4방밸브의 운전지령을 수행하는 제어회로부를 집적시켜 이루어진 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전장박스(50)의 일측면(52)에는 실내기에서 급전되는 교류를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해 정류다이오드와 전해콘덴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컨버터부가 안착된다.
또한, 전장박스(50)의 반대측면(53)에는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전달된 직류전압을 제어회로부에서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압축기모터의 공급전원을 만드는 트랜지스터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각종 전장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전장부품(50)의 양측단에는 걸림턱(60a)(60b)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걸림턱(60a)(60b)의 단면은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열교환기(21)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걸림턱(60a)은 전장박스(50)의 일모서리에 걸쳐서 형성되어서 전장박스(50)가 전후와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없도록 한다.
부호 54는 전해콘덴서를 안치하기 위한 안착부를 나타내며, 부호 55는 트랜지스터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축시키기 위한 방열판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장박스(5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형상의 열교환기(21)의 상부에 걸림턱(60a)(60b)이 끼워짐으로써 실외기의 상부공간에 간단하게 고정된다. 상기의 걸림턱(60a)(60b)에 의해 전장박스(50)는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함이 없이 견실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단지 방열판(55)과 전해콘덴서(54)만이 전장박스(50)의 양측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전장박스(50)는 실외기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팬이나 압축기와 같은 다른 기계장치와 저촉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전장박스(50)가 실외기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전장부품들은 본 고안의 전장박스(50) 위에 평면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배치됨으로써 설치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외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외기의 상판(13)을 분리하기만 하면 각 부품들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점검과 고장난 부품을 교체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장박스는 실외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됨으로써, 실외기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종 전장부품들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 용량에 비해 실외기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게 되며, 전장부품들의 설치와 점검, 그리고 교체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장박스는 나사결함없이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고정됨으로써, 전장박스의 설치와 분리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시간이 절감될 수 있으며 에프터 서비스가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10), 상기 본체(10)를 형성하는 전면판(11)과 후면판(12) 및 상판(13)과 하판(14), 상기 본체(10)에 내설되는 열교환기(21)와 압축기(30), 상기 전면판(11)과 상기 열교환기(21) 사이에 설치된 팬(22)과 모터(23),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들을 수용하는 전장박스(50)를 각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장박스(50)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전장부품들이 그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외기의 상부에 수평하게 놓여짐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상판(13)을 분리하기만하면 상기 전장부품들을 일시에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박스(50)는 그 양측에 걸림턱(60a)(60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걸림턱(60a)(60b)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21)의 상단에 끼워져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장박스(50)의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19960002687U 1996-02-22 1996-02-2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KR0128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687U KR0128927Y1 (ko) 1996-02-22 1996-02-2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687U KR0128927Y1 (ko) 1996-02-22 1996-02-2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436U KR970052436U (ko) 1997-09-08
KR0128927Y1 true KR0128927Y1 (ko) 1999-01-15

Family

ID=1945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687U KR0128927Y1 (ko) 1996-02-22 1996-02-2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9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436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0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6701738B2 (en) Wire fixing structure, electrical equipment mount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EP2063192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cooled passage in electrical equipment box and heat pipe
JP4886617B2 (ja) 冷却装置
WO2001016532A1 (fr) Climatiseur
JP5018050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3074904A (ja) 電装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12087954A (ja) 熱源装置
KR012892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US4874040A (en) Universal heat exchanger
KR012891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14178113A (ja) 熱源装置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JP6758280B2 (ja) 電算機室用空調室内機
KR10153939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57766B1 (ko) 공기조화기
KR200154608Y1 (ko) 공기조화기의 전선 접속장치
KR2004002134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JP2002228197A (ja) 電路板及び空気調和機
KR200161128Y1 (ko) 공기조화기의 전선 접속장치
KR100339007B1 (ko) 공기 조화기의 콘트롤 박스
KR10159037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165386Y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012073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154607Y1 (ko) 에어컨용 실내기의 물받이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