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977A -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977A
KR20240028977A KR1020237039781A KR20237039781A KR20240028977A KR 20240028977 A KR20240028977 A KR 20240028977A KR 1020237039781 A KR1020237039781 A KR 1020237039781A KR 20237039781 A KR20237039781 A KR 20237039781A KR 20240028977 A KR20240028977 A KR 20240028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hamber
heat dissipation
box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오춘 왕
카이취엔 송
안 쉬
화동 루오
팅보 천
홍웨이 리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허페이 메이디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1839215.4U external-priority patent/CN21541222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1839197.XU external-priority patent/CN21541222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904558.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704582A/zh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허페이 메이디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4002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97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Abstract

본 출원은 공기조화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전자 부품의 사용수명이 짧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회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박스체 및 박스체 내에 설치된 장착판을 포함하되, 장착판의 장착측에는 제1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제1 팬 및 복수의 전자 부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방열기류가 박스체의 내벽으로 흘러 전향한 후 제2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2 방열기류를 형성하며; 복수의 전자 부품은 제1 방열 경로와 제2 방열 경로에 분포되어 있으며, 제1 방열 경로와 제2 방열 경로는 장착판의 장착측에 위치한다. 공기조화기 실외기는 상기 전기 제어 박스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개시된 전기 제어 박스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에 사용되고, 공기조화기 실외기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와 협력하여 작동하는데 사용되며, 공기조화기는 건축물 또는 구축물 내의 공기 온도, 습도, 유속 등 매개변수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
본 출원은 2021년 8월 7일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2110904558.2" 및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라는 출원명칭의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 2021년 8월 7일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2121839215.4" 및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라는 출원명칭의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 및 2021년 8월 7일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2121839197.X" 및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라는 출원명칭의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부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
본 출원은 공기조화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인공 방법으로 건축 또는 구축물 내 환경 공기의 온도, 습도, 유속 등 매개변수를 조절하고 제어하는 장비를 말한다. 공기조화기에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필터 및 리액터와 같은 전자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전기 제어 박스가 포함된다. 그러나, 전자 부품 작동시 발생하는 열은 전자 부품의 온도를 상승시켜 전자 부품의 작동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출원의 주요 목적은 전자 부품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출원은 전기 제어 박스를 개시하는데, 이 전기 제어 박스는 박스체 및 박스체 내에 설치된 장착판을 포함하되, 장착판의 장착측에는 제1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제1 팬 및 복수의 전자 부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방열기류가 박스체의 내벽으로 흘러 전향한 후 제2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2 방열기류를 형성하며; 복수의 전자 부품은 제1 방열 경로와 제2 방열 경로에 분포되어 있으며, 제1 방열 경로와 제2 방열 경로는 장착판의 장착측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유익효과는 아래와 같다.
제1 팬을 설치하여 제1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1 방열기류를 형성시키고, 제1 방열기류는 박스체의 내벽으로 흘러 전향한 후 제2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2 방열기류를 형성하며; 복수의 전자 부품은 제1방열 경로와 제2 방열 경로에 분포되어 있으며, 이로써 전자 부품 작동시 발생하는 열이 제1 방열기류와 제2 방열기류에 의해 빼앗겨 전자 부품 작동시의 온도를 신뢰적인 온도 범위 내에 있도록 하여 전자 부품의 작동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안을 기반으로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이 개선할 수도 있다.
진일보로, 제1 방열 경로와 제2 방열 경로의 수미가 순차적으로 연통되어 하나의 순환 방열 경로를 형성한다.
진일보로, 장착판은 박스체 내의 공간을 제1 챔버실과 제2 챔버실로 분할하고, 제1 챔버실 내에 복수의 전자 부품이 설치되며, 제2 챔버실 내에는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진일보로, 장착판에는 장착판을 관통하는 제1 회풍구 및 제2 회풍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회풍구는 제1 방열 경로의 선단에 위치하고, 제2 회풍구는 제2 방열 경로의 말단에 위치한다.
진일보로, 제1 팬의 입구는 제1 회풍구에 연통되고, 제1 팬의 출구는 제1 방열 경로의 선단과 대향한다.
진일보로, 장착판은 직사각형 판이고, 제1 회풍구는 직사각형 판의 제1 변모서리에 위치하며, 제2 회풍구는 직사각형 판의 제2 변모서리에 위치하며, 제2 변모서리와 제1 변모서리는 직사각형 판의 동일한 대각선의 양단에 위치한다.
진일보로, 제2 회풍구의 수는 복수 개이고, 복수의 제2 회풍구는 장착판의 제1변에 분포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1 회풍구는 장착판의 제2변에 설치되며, 제1변과 제2변은 대향하여 설치된다.
진일보로, 전기 제어 박스에는 제2 팬이 더 포함되고, 제2 팬은 제1 방열 경로 또는 제2 방열 경로에 설치된다.
진일보로, 제2 팬은 제2 방열 경로의 선단에 설치된다.
진일보로, 제2 팬은 제2 방열 경로의 말단에 설치되며, 제1 팬과 제2 팬의 출풍 방향이 교차되지 않으며, 제2 팬은 제3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3 방열기류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진일보로, 장착판의 장착측에 설치된 복수의 전자 부품은 필터와 리액터를 더 포함하며, 필터와 리액터는 제1 방열 경로에 분포된다.
진일보로, 박스체는 밀폐 박스체이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임의의 하나의 기술안의 전기 제어 박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임의의 하나의 기술안의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구조 모식도1이다.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구조 모식도2이다.
도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구조 모식도3이다.
도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구조 모식도4이다.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구조 모식도5이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구조 모식도6이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장착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분해도이다.
도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구조 모식도7이다.
도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2이다.
도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에어덕트 격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13은 도12 중 A 위치의 부분도이다.
도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박스 커버 제거 후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열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관련 기술에서, 전기 제어 박스의 내부에는 전자 부품이 설치되어 있고, 전자 부품은 예를 들어 필터, 리액터 등일 수 있으며, 전자 부품은 사용 중 열을 발생시켜 전자 부품의 온도가 높아져 전자 부품의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자 부품을 강온시켜야 한다.
이에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는 제1 팬을 설치하고 제1 팬을 이용하여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고, 제1 방열기류는 박스체의 방해작용을 거친 후 전향하여 제2 방열기류를 형성하며, 제1 방열기류와 제2 방열기류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의 열을 빼앗아 가며, 나아가 전자 부품에 대한 강온을 실현하여 전자 부품의 작동 신뢰성을 높인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된 실시예는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인 것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가 창의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는 예를 들어 밀폐된 전기 제어 박스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방울, 먼지 등 기타 이물질이 전기 제어 박스 내에 들어가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전자 부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피함으로써, 방수, 방진 및 방부식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1, 도2,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박스체(100), 장착판(200), 제1 팬(300) 및 전자 부품(400)을 포함하는 전기 제어 박스를 제공한다. 그 중, 장착판(200) 및 제1 팬(300)은 장착판(200) 및 제1 팬(300)을 보호하기 위한 박스체(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장착판(200)은 제1 팬(300) 및 전자 부품(400)을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제1 팬(300)은 박스체(100) 내의 공기 유동을 구동하고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팬(300)에 의해 형성된 제1 방열기류는 제1 방열 경로(a)를 따라 흐르며, 제1 방열기류가 박스체(100)의 내벽으로 흐른 후, 제1 방열기류가 전향하여 제2 방열기류를 형성하고, 제2 방열기류는 제2 방열 경로(b)를 따라 흐른다. 제1 방열 경로(a)와 제2 방열 경로(b) 사이의 협각은 예를 들어 도1에 표시된 60°와 같은 0°가 아닌 임의의 각도일 수 있다.
전자 부품(400)은 장착판(200)의 장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전자 부품(400)은 나사산을 통해 장착판(200)의 장착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전자 부품(400)은 용접을 통해 장착판(200)의 장착측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자 부품(400)의 수는 복수 개이며, 제1 방열 경로(a) 및 제2 방열 경로(b)에 복수의 전자 부품(400)이 설치된다. 제1 방열 경로(a)를 흐르는 제1 방열기류는 제1 방열 경로(a)에 설치된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가고 나아가 제1 방열 경로(a)에 설치된 전자 부품(400)을 강온시킨다. 제2 방열 경로(b)를 흐르는 제2 방열기류는 제2 방열 경로(b)에 설치된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가고 나아가 제2 방열 경로(b)에 설치된 전자 부품(400)을 강온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는 제1 팬(300)을 설치하고 제1 팬(300)을 이용하여 제1 방열 경로(a)를 따라 흐르는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고, 제1 방열기류가 박스체(100)의 내벽으로 흐른 후 흐름방향이 변경되어 전향하여 제2 방열 경로(b)를 따라 흐르는 제2 방열기류를 형성하며, 제1 방열기류와 제2 방열기류를 이용하여 제1 방열 경로(a) 및 제2 방열 경로(b)에 설치된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가서 전자 부품(400)의 온도가 신뢰할 수 있는 온도범위 내에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 부품(40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방열 경로(a)와 제2 방열 경로(b)의 수미가 순차적으로 연통되고, 제1 방열 경로(a)와 제2 방열 경로(b)가 순환 방열 경로를 형성한다. 순환 방열 경로는 박스체(100) 내에 위치하며, 순환 방열 경로를 흐르는 제1 방열기류의 말단은 제2 방열기류의 선단과 연결되고, 순환 방열 경로를 흐르는 제1 방열 경로(a)의 선단은 제2 방열기류의 말단과 연결되며, 제1 방열기류와 제2 방열기류는 순환기류를 형성하며, 순환기류는 박스체(100) 내에 위치한다. 이때, 제1 방열기류와 제2 방열기류는 모두 전자 부품(400) 및 박스체(100)와 열교환하여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박스체(100)의 외부로 전이시킨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열 경로(a) 및 제2 방열 경로(b)가 순환 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열기류 및 제2 방열기류도 순환기류를 형성하지 않는다.
도4,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장착판(200)은 박스체(100) 내의 공간을 제1 챔버실(110)과 제2 챔버실(120)로 분할하고, 제1 챔버실(110) 내에 복수의 전자 부품(400)이 설치되며, 제1 방열기류 및 제2 방열기류는 제1 챔버실(110) 내에 위치하며, 제2 챔버실(120) 내에는 열교환기(500)가 설치되어 있다.
도4 및 도7을 참조하면, 장착판(200)에는 제1 회풍구(210) 및 제2 회풍구(22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회풍구(210)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회풍구(210)는 관통공이고 제1 회풍구(210)의 양단은 제1 챔버실(110) 및 제2 챔버실(120)과 연통된다. 제2 회풍구(220)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2 회풍구(220)는 관통공이고 제2 회풍구(220)의 양단은 제1 챔버실(110) 및 제2 챔버실(120)과 연통된다. 제1 회풍구(210)는 제1 방열 경로(a)의 선단에 위치하고, 제2 회풍구(220)는 제2 방열 경로(b)의 말단에 위치한다.
제1 팬(300)이 작동하면, 제1 팬(300)은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를 제1 회풍구(210)를 거쳐 제1 챔버실(110) 내로 구동하여 제1 방열 경로(a)를 따라 흐르는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고, 제1 방열기류는 박스체의 내벽으로 흘러 전향한 후 제2 방열 경로(b)를 따라 흐르는 제2 방열기류를 형성하며, 제2 방열기류는 제2 회풍구(220)를 거쳐 제1 챔버실(110) 내로 유입되어 박스체(100) 내부에 위치한 순환기류를 형성하며, 이 순환기류는 제1 챔버실(110)과 제2 챔버실(120) 내에서 순환유동된다.
제1 챔버실(110) 내의 제1 방열기류 및 제2 방열기류는 제1 챔버실(110) 내의 전자 부품(400)과 열교환하고,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제1 챔버실(110) 내의 제1 방열기류 및 제2 방열기류로 전이시킨다.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는 열교환기(500)와 열교환되며,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가 가진 열은 열교환기(500) 내의 냉매로 전이되고 냉매는 박스체(100) 외부로 유출되며, 이로써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박스체(100)의 외부로 전이시킨다. 본 출원의 열교환기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일 수 있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적어도 2그룹의 마이크로채널을 포함한다. 적어도 2그룹의 마이크로채널은 제1 냉매류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제1 마이크로채널과 제2 냉매류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제2 마이크로채널을 포함하며, 제2 냉매류는 제1 냉매류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제1 냉매류가 과냉각되도록 하거나, 제1 냉매류는 제2 냉매류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제2 냉매류가 과냉각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이코노미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전자 부품을 냉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코노미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제어 박스 이외에 하나의 이코노미 장치를 재설치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공간을 절약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박스체(100)의 구조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8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박스체(100)는 박스 본체(130) 및 박스 커버(140)를 포함하되, 박스 본체(130)는 바닥판(131)과 바닥판(13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측판(132)을 포함하고, 바닥판(131)과 측판(132)으로 둘러싸서 개구를 갖는 챔버실을 이루며, 박스 커버(140)는 챔버실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박스 본체(130)에 커버 설치된다. 그 중, 바닥판(131)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판, 측판(132)은 직사각형 고리, 박스 커버(14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판일 수 있으며, 박스 본체(130)와 박스 커버(140)로 둘러싸서 직사각형 상자체를 이룬다.
아래 첨부 도면과 함께 장착판(2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장착판(200)의 형상은 도7에 도시된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장착판(200)은 나사산 방식, 걸림 방식, 용접 방식 등 연결 방식을 통해 박스체(10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판(200)의 가장자리에 장착공이 설치된 절곡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박스체(100)에는 고정판이 설치되어 있고, 고정판은 L형판일 수 있으며, 고정판의 일단은 박스체(100)와 용접되고, 고정판의 다른 일단에는 결합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절곡판 상의 장착공과 고정판 상의 결합공은 대응하여 설치되며, 장착공 및 결합공 내에 장착된 볼트 및 나사를 사용하여 장착판(200)을 박스체(100) 내에 고정하도록 실현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장착판(200)에 설치된 제2 회풍구(220)의 수는 복수 개이고, 복수의 제2 회풍구(220)는 장착판(200)의 제1변에 분포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1 회풍구(210)는 장착판(200)의 제2변에 설치되며, 제1변과 제2변은 대향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7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제1변은 장착판의 위쪽이고, 제2변은 장착판의 아래쪽이며, 제1 회풍구(210)가 제1변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2 회풍구가 제2변의 전체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계하면, 제1 챔버실(110)에서 제2 챔버실(120) 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기(50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와 열교환기(500)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착판(200)은 직사각형 판이고, 제1 회풍구(210)는 직사각형 판의 제1 변모서리에 위치하며, 제2 회풍구(220)는 직사각형 판의 제2 변모서리에 위치하며, 제2 변모서리와 제1 변모서리는 직사각형 판의 동일한 대각선의 양단에 위치하므로, 제1 챔버실(110) 내의 공기가 제2 회풍구(220)를 거쳐 제2 챔버실(120) 내로 들어가고,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가 제1 회풍구(210)를 거쳐 제1 챔버실(110) 내로 들어가는 것을 실현할 수도 있다.
아래 첨부 도면과 함께 제1 팬(3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장착판(200) 상의 제1 팬(300)은 원심 팬, 축류 팬 및 관류 팬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도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제1 팬(300)은 축류 팬일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의 경우, 제1 팬(300)을 원심 팬 또는 관류 팬으로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인 대체임을 이해할 수 있다.
도4 및 도7을 참조하면, 제1 팬(300)의 외함은 나사산을 통해 장착판(200)에 고정되며, 제1 팬(300)의 입구는 장착판(200)의 제1 회풍구(210)에 연통되고, 제1 팬(300)의 출구는 제1 방열 경로(a)의 선단과 대향한다. 제1 팬(300)은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를 제1 챔버실(110)의 내부로 흡인하여 제1 챔버실(110) 내에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한다.
리액터 박스에는 제2 팬(800)이 더 포함되며, 아래 첨부 도면과 함께 제2 팬(8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4 및 도6을 참조하면, 제2 팬(800)은 장착판(200)에 설치되고 제2 팬(800)은 제1 챔버실(110) 내에 위치되며, 제2 팬(800)은 제1 방열 경로(a) 또는 제2 방열 경로(b)에 설치된다. 제2 팬(800)은 원심 팬, 축류 팬 및 관류 팬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팬(800)은 제2 방열 경로(b)의 선단에 설치되고, 제1 방열 경로(a)는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박스체(100)의 상측 장변을 따르고, 제2 방열 경로(b)는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박스체(100)의 우측 단변을 따르며, 제2 방열 경로(b)의 선단은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박스체(100)의 우상측 위치이다. 이때 제2 팬(800)은 예를 들어 관류 팬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팬(800)은 제2 방열 경로(b)의 말단에 설치되며, 제1 팬(300)과 제2 팬(800)의 출풍 방향이 교차되지 않으며, 제2 팬(800)은 제3 방열 경로(c)를 따라 흐르는 제3 방열기류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제2 팬은 예를 들어 원심 팬이다. 제3 방열 경로(c)는 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된 박스체(100)의 하측 장변을 따른다. 이 실시 형태에서 제1 팬(300)과 제2 팬(800)의 출풍 방향이 충돌하지 않고, 제1 팬(300)과 제2 팬(800)의 출풍 방향이 반대 또는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팬(300)은 오른쪽으로 바람을 쐬고, 제2 팬(800)은 아래로 바람을 쐬며, 다시 예를 들어, 제1 팬(300)은 오른쪽으로 바람을 쐬고, 제2 팬(800)은 왼쪽으로 바람을 쐬며, 제1 팬(300)의 출구와 제2 팬(800)의 출구는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제2 팬(800)은 제1 팬(300)과 협력하여 박스체(100) 내의 공기의 유속과 풍량을 조절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챔버실(110) 내의 공기와 제1 챔버실(110) 내의 전자 부품(400)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고,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이 적시에 빼앗아 가게 되어 전자 부품(400)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전자 부품(400)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전자 부품(400)은 제1 부품 그룹과 제2 부품 그룹으로 나뉘며, 제1 부품 그룹과 제2 부품 그룹은 박스체(1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부품 그룹은 박스체(100)의 위쪽에 가깝게 설치되고, 제2 부품 그룹은 박스체(100)의 아래쪽에 가깝게 설치된다.
제1 부품 그룹에 포함된 전자 부품(400)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1개, 2개, 3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품 그룹의 수가 3개인 경우, 제1 부품 그룹의 3개의 전자 부품(400)은 제1 방열 경로(a)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9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제1 부품 그룹은 리액터(410) 및 필터(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액터(410)의 수는 2개일 수 있으며, 필터(420) 및 리액터(410)는 제1 방열기류를 따라 흐르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필터(420)는 리액터(410)의 상류에 설치된다. 도9에서 필터(420)와 리액터(410)는 도9에 도시된 박스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필터(420)는 제1 방열 경로(a)의 선단에 근접하고 리액터(410)는 제1 방열 경로(a)의 말단에 근접한다.
제2 부품 그룹에 포함된 전자 부품(400)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1개, 2개, 3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품 그룹의 수가 4개인 경우, 제2 부품 그룹의 4개의 전자 부품(400)은 제2 방열 경로(b)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9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전기 제어 박스에는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가 더 포함되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의 수는 2개일 수 있으며,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박스체(100) 내에 위치하며,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제1 챔버실(110) 내에 위치한다. 제2 부품 그룹에는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가 포함되며,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회로 기판이다. 확장판(600)과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제2 방열 경로(b)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확장판(600)과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의 배치 방향은 도9에 도시된 박스체(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확장판(600)은 필터(420)와 대향하여 설치되고,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리액터(410)와 대향하여 설치된다. 도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420)는 박스체(100)의 폭 방향에서 리액터(410)에 대해 확장판(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열교환기(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을 참조하면, 열교환기(500)의 일부 구조는 박스체(100) 내부에 위치하며, 열교환기(500)의 박스체(100) 외부에 위치한 부분은 전기 제어 박스 외부의 응축기와 연통된다. 열교환기(500)는 제2 챔버실(1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500)는 제1 챔버실(110)에서 제2 챔버실(120)로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 할 수 있으며, 제1 챔버실(110)에서 제2 챔버실(120)로 흐르는 공기는 제1 챔버실(110)의 전자 부품(400)과 열교환한 후의 공기이며, 열교환기(500)는 제1 챔버실(110)에서 제2 챔버실(120)로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한 후, 제1 챔버실(110)에서 제2 챔버실(120)로 흐르는 공기가 가진 열은 열교환기(500)의 냉매로 전이되고, 냉매가 응축기로 흐르며, 응축기는 박스체(100) 외부에 위치하여 박스체(100)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며, 이로써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박스체(100) 외부로 전이시킨다.
도8을 계속 참조하면, 열교환기(500)는 일반적으로 냉매 열교환부(510)를 포함하며, 냉매 열교환부(510)에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매는 유입구를 거쳐 냉매 열교환부(510)의 내부로 들어가고, 냉매는 유출구를 거쳐 냉매 열교환부(510)의 내부에서 냉매 열교환부(510)의 외부로 흐른다.
냉매 열교환부(510)는 제2 챔버실(120) 내에 설치되고, 냉매가 냉매 열교환부(510) 내부에서 유통되며, 제1 챔버실(110)에서 제2 챔버실(120) 내로 흐르는 공기는 냉매 열교환부(510)와 접촉하며, 냉매 열교환부(510)는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고, 제2 챔버실(120)내의 공기가진 열은 냉매 열교환부(510) 내부의 냉매로 전이되고, 열을 가진 냉매는 박스체(100) 외부의 응축기로 흐르며, 응축기 내의 냉매가 가진 열은 박스체(100) 외부의 공기에 전이되며, 이로써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은 박스체(100) 외부의 공기에 전이되어 전자 부품(400)을 신뢰있게 작동하도록 한다.
도8을 계속 참조하면, 열교환기(500)에는 냉매 유입관(520) 및 냉매 유출관(530)이 더 포함된다. 냉매 유입관(520)의 제1단부는 냉매 열교환부(510)의 유입구와 연통되고, 냉매 유입관(520)의 제2단부는 박스체(100)의 외부에 위치하며, 냉매 유입관(520)의 제2단부는 응축기와 연통되며; 냉매 유출관(530)의 제1단부는 냉매 열교환부(510)의 유출구에 연결되고, 냉매 유출관(530)의 제2단부는 박스체(100)의 외부에 위치하며, 냉매 유출관(530)은 응축기와 연통되며, 이로써 열교환기(500)는 박스체(100) 외부의 응축기와 연통되도록 실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는 공기조화기에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앙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기 실외기에 설치할 수 있다. 냉매 유출관(530)의 제2단부 및 냉매 유입관(520)의 제2단부에 연결된 응축기는 중앙 공기조화기의 응축기일 수 있으며, 이로써 중앙 공기조화기 작동 중의 냉매를 사용하여 냉매와 전기 제어 박스 내부의 공기의 열교환을 실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은 냉매에 의해 전기 제어 박스의 외부로 전이된다.
열교환기(500)가 설치된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도5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체(100)에는 제1 관통공(133) 및 제2 관통공(13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제1 관통공(133)에는 냉매 유입관(520)이 관통 설치되고, 제2 관통공(134)에는 냉매 유출관(530)이 관통 설치되며, 냉매 유입관(520)의 제1단부는 전기 제어 박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매 유입관(520)의 제2단부는 전기 제어 박스의 외부에 위치하며, 냉매 유출관(530)의 제1단부는 전기 제어 박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매 유출관(530)의 제2단부는 전기 제어 박스의 외부에 위치한다.
열교환기(500)가 설치된 실시예에서, 냉매 유입관(520)과 박스체(100) 사이에는 제1 밀봉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밀봉링은 냉매 유입관(520)과 제1 관통공(133)의 구멍 벽 사이를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냉매 유출관(530)과 박스체(100) 사이에는 제2 밀봉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밀봉링은 냉매 유출관(530)과 제2 관통공(134)의 구멍 벽 사이를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이로써, 전기 제어 박스 외부의 빗물 등 액체가 제1 관통공(133) 및 제2 관통공(134)을 거쳐 전기 제어 박스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자 부품(400)의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이며, 도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2이며, 도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에어덕트 격판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13은 도12 중 A 위치의 부분도이다.
도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에는 박스체(100), 장착판(200), 제1 팬(300) 및 에어덕트 격판(150)이 포함된다. 박스체(100) 내에는 장착판(200), 제1 팬(300) 및 에어덕트 격판(150)을 설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박스체(100)는 이 장착공간 내에 설치된 장착판(200), 에어덕트 격판(150) 및 제1 팬(30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장착판(200)은 박스체(100) 내에 위치하고, 장착판(200)에는 복수 개의 전자 부품(4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덕트 격판(150)은 박스체(100) 내에 위치하여 장착판(2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에어덕트 격판(150)은 장착판(200) 및 박스체(100)와 둘러싸서 강온 에어덕트(160)를 이루고, 복수의 전자 부품(400) 중 적어도 일부 전자 부품(400)은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위치한다. 제1 팬(300)은 공기가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서 흐르도록 구동하여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제1 방열기류는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위치한 전자 부품(400)과 열교환하여 강온 에어덕트(160) 내의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간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는 에어덕트 격판(150), 장착판(200) 및 박스체(100)로 둘러싸서 강온 에어덕트(160)를 이루고, 제1 팬(300)을 통해 공기가 강온 에어덕트 내에서 흐르도록 구동하여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며; 제1 방열기류는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위치한 전자 부품(400)과 접촉하여 열교환하며, 제1 방열기류는 강온 에어덕트(160) 내의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가서 전자 부품(400)의 온도를 낮추며, 이로써 전자 부품(400)의 작동 신뢰성을 높인다.
제1 팬(300)은 또한 제2 방열기류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제2 방열기류는 강온 에어덕트(160) 외부에 위치하며, 제1 방열기류와 제2 방열기류의 수미가 차례로 연통되어 순환 기류를 형성하고, 순환 기류는 박스체(100) 내부에 위치한다. 제2 방열기류와 제1 방열기류는 모두 에어덕트 격판(150)의 양측에 위치한다.
장착판(200)은 박스체(100) 내의 챔버실을 제1 챔버실(110)과 제2 챔버실(120)로 분할한다. 제1 챔버실(110) 내에는 제1 팬(300), 복수 개의 전자 부품(400) 및 에어덕트 격판(150)이 설치되고, 제2 챔버실(120) 내에는 열교환기(500)가 설치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방열기류와 제2 방열기류는 모두 제1 챔버실(11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챔버실(110) 내에 순환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방열기류는 제2 챔버실(120) 내에 위치하고, 제1 방열기류는 제1 챔버실(110) 내에 위치하며, 제1 방열기류의 제1단부는 제2 방열기류의 제1단부와 연통되고, 제1 방열기류의 제2단부는 제2 방열기류의 제2단부와 연통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장착판(200)에는 그를 관통하는 제1 회풍구(210)와 제2 회풍구(2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회풍구(210)는 제1 팬(300)의 입구와 연통되고, 제1 팬(300)의 출구는 강온 에어덕트(160)의 선단과 연통되며, 제2 회풍구(220)는 강온 에어덕트(160)의 말단에 설치되며; 제2 챔버실(120) 내에는 제1 회풍구(210)와 제2 회풍구(220)를 연통시키는 제2 방열기류가 형성된다. 제1 회풍구(210) 및 제2 회풍구(220)는 제1 챔버실(110) 내에 위치한 제1 방열기류와 제2 챔버실(120) 내에 위치한 제2 방열기류를 순환시켜 순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제1 방열기류는 제1 챔버실(110) 내의 전자 부품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가고 제2 회풍구(220)를 거쳐 제2 챔버실(120) 내로 들어가며, 제2 방열기류는 제2 챔버실(120)의 내부에 위치한 열교환기(500)와 열교환하고 제1 회풍구(210)를 거쳐 제1 챔버실(110) 내로 들어가며, 제1 방열기류와 제2 방열기류는 순환하며, 이로써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열교환기(500) 내의 냉매로 전이시키고, 열교환기(500) 내의 냉매는 전기 제어 박스의 외부로 흘러 열을 전기 제어 박스 외부로 내보내며, 이로써 전자 부품(400)에 대한 강온을 실현하여 전자 부품(40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는 강온 에어덕트(160)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평면을 단면으로 하고, 강온 에어덕트(160)의 단면적은 강온 에어덕트(160) 내의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강온 에어덕트(160)의 단면적은 강온 에어덕트(160) 내의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변화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강온 에어덕트(160)의 단면적은 강온 에어덕트(160) 내의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점차 감소하는 것이며, 또 다시 예를 들어 강온 에어덕트(160)의 중부의 단면적은 강온 에어덕트(160)의 양단부의 단면적보다 크다.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박스체(100)에 대해 자세하 설명한다.
박스체(100)는 박스 본체(130) 및 박스 커버(140)를 포함하며, 박스 본체(130)는 바닥판(131) 및 바닥판(13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측판(132)을 포함하며, 바닥판(131) 및 측판(132)으로 둘러싸서 개구가 있는 챔버실을 이루고 있으며, 박스 커버(140)는 챔버실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박스 본체(130)에 커버 설치된다. 박스 본체(130)와 박스 커버(140)에 의해 형성된 박스체(100)는 밀폐 하우징이다. 그 중 바닥판(131)은 직사각형 판, 측판(132)은 직사각형 고리, 박스 커버(140)는 직사각형 판일 수 있으며, 박스 본체(130) 및 박스 커버(140)로 둘러싸서 직사각형 상자체를 이룬다.
박스체(100)에는 제1 관통공(133) 및 제2 관통공(134)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제1 관통공(133)에는 다음과 같은 냉매 유입관(520)이 관통 설치되고, 제2 관통공(134)에는 다음과 같은 냉매 유출관(530)이 관통 설치된다.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장착판(2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장착판(200)의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장착판(200)은 나사산 방식, 걸림 방식, 용접 방식 등 연결 방식을 통해 박스체(10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판(200)의 가장자리에 장착공이 설치된 절곡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박스체(100)에는 고정판이 설치되어 있고, 고정판은 L형판일 수 있으며, 고정판의 일단은 박스체(100)와 용접되고, 고정판의 다른 일단에는 결합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절곡판 상의 장착공과 고정판 상의 결합공은 대응하여 설치되며, 장착공과 결합공 내에 장착된 볼트 및 나사를 사용하여 장착판(200)을 박스체(100) 내에 고정하도록 실현할 수 있다.
장착판(200)에 설치된 제2 회풍구(220)의 수는 복수 개이고, 복수의 제2 회풍구(220)는 장착판(200)을 따른 제1변에 분포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1 회풍구(210)는 장착판(200)의 제2변에 설치되며, 제1변과 제2변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변은 장착판의 위쪽이고, 제2변은 장착판의 아래쪽이며, 제1 회풍구(210)가 제1변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2 회풍구가 제2변의 전체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계하면, 제1 챔버실(110)에서 제2 챔버실(120) 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기(50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와 열교환기(500)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열교환기(5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열교환기(500)는 일반적으로 냉매 열교환부(510)를 포함하며, 냉매 열교환부(510)에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매는 유입구를 통해 냉매 열교환부(510)의 내부로 들어가고, 냉매는 유출구를 통해 냉매 열교환부(510)의 내부로부터 냉매 열교환부(510)의 외부로 흐른다.
열교환기(500)는 냉매 유입관(520)과 냉매 유출관(530)을 더 포함하며, 냉매 유입관(520)의 제1단부는 전기 제어 박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매 유입관(520)의 제1단부는 냉매 열교환부(510)의 유입구와 연통되어 있으며, 냉매 유출관(530)의 제1단부는 전기 제어 박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매 유출관(530)의 제1단부는 냉매 열교환부(510)의 유출구와 연통되어 있으며, 냉매 유입관(520)의 제2단부는 전기 제어 박스의 외부에 위치하며, 냉매 유출관(530)의 제2단부는 전기 제어 박스의 외부에 위치하며, 냉매 유출관(530)의 제2단부 및 냉매 유입관(520)의 제2단부는 모두 응축기에 연통되며, 이로써 냉매 순환을 실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제어 박스는 공기조화기에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할 수 있다. 냉매 유출관(530)의 제2단부 및 냉매 유입관(520)의 제2단부에 연결된 응축기는 중앙 공기조화기의 응축기일 수 있으며, 이로써 중앙 공기조화기 작동 중의 냉매를 사용하여 냉매와 제2 챔버실(120) 내부의 제2 방열기류의 열교환을 실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자 부품(400)의 작동 신뢰성을 높인다.
냉매 유입관(520)과 박스체(100) 사이에는 제1 밀봉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밀봉링은 냉매 유입관(520)과 제1 관통공의 구멍 벽 사이를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냉매 유출관(530)과 박스체(100) 사이에는 제2 밀봉 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밀봉링은 냉매 유출관(530)과 제2 관통공의 구멍 벽 사이를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이로써, 전기 제어 박스 외부의 빗물 등 액체가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을 거쳐 전기 제어 박스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자 부품(400)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착판(200)은 박스체(100)에 고정되고, 열교환기(500)는 장착판(200)에 고정된다. 장착판(200)은 나사 연결, 걸림 및 용접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박스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판(200)의 가장자리에 장착공이 설치된 절곡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박스체(100)에는 고정판이 설치되어 있고, 고정판은 L형판일 수 있으며, 고정판의 일단은 박스체(100)와 용접되고, 고정판의 다른 일단에는 결합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절곡판 상의 장착공과 고정판 상의 결합공은 대응하여 설치되며, 장착공 및 결합공 내에 장착된 볼트 또는 나사를 사용하여 장착판(200)을 박스체(100) 내에 고정하도록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열교환기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일 수 있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적어도 2그룹의 마이크로채널을 포함한다. 적어도 2그룹의 마이크로채널은 제1 냉매류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제1 마이크로채널과 제2 냉매류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제2 마이크로채널을 포함하며, 제2 냉매류는 제1 냉매류에서 열을 흡수하여 제1 냉매류를 과냉각시키거나, 제1 냉매류는 제2 냉매류에서 열을 흡수하여 제2 냉매류를 과냉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이코노미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전자 부품을 냉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코노미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제어 박스 이외에 하나의 이코노미 장치를 재설치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공간을 절약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에어덕트 격판(15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에어덕트 격판(150)은 주판체(152) 및 보조판체(153)를 포함하고, 주판체(152)는 보조판체(153)에 연결된다. 실제 제품에서, 주판체(152)와 보조판체(153)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판체(152)와 보조판체(153)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성형될 수 있거나, 스탬핑 방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주판체(152)와 보조판체(153)는 나사산 연결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주판체(152)에 제1 나사홀을 설치하고, 보조판체(153)에 제2 나사홀을 설치하며, 주판체(152)의 측면은 보조판체(153)의 단면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제1 나사홀과 제2 나사홀은 대응하여 설치되며, 주판체(152)와 보조판체(153)는 제1 나사홀과 제2 나사홀에 설치되는 나사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물론, 주판체(152)와 보조판체(153)는 걸림, 용접 및 나사산 연결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걸림부(154)는 장착판(200)을 향하는 주판체(152)의 일변에 설치될 수 있고, 걸림부(154)는 장착판(200)을 향하는 보조판체(153)의 일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장착판(200)에 걸림부(154)와 대응하여 설치되는 걸림구가 설치되며, 주판체(152)의 걸림부(154) 및 보조판체(153)의 걸림부(154)를 사용하여 걸림구에 걸림 연결되며, 이로써 장착판(200)에 에어덕트 격판(150)을 장착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걸림부(154)의 구조는 도9에 도시된 구조일 수 있으며, 각 걸림부(154)는 2개의 캔틸레버(1541)와 각 캔틸레버(1541)에 설치된 돌기(1542)를 포함하며, 각 걸림부(154)에서는 2개의 캔틸레버(1541)에 설치된 2개의 돌기(1542)가 서로 이반하여 설치된다.
주판체(152)와 보조판체(153)는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예를 들어 주판체(152)와 보조판체(153)의 협각은 90°, 100°, 80° 등 이 될 수 있다.
주판체(152)는 장착판(200), 측판(132) 및 박스 커버(140)와 둘러싸서 제1 에어덕트(161)을 이룰 수 있고, 보조판체(153)는 장착판(200), 측판(132) 및 박스 커버(140)와 둘러싸서 제2 에어덕트(162)를 이룰 수 있다. 제1 에어덕트(161)의 출풍 단부는 제2 에어덕트(162)의 입풍 단부에 연통되어 있으며, 제1 에어덕트(161)와 제2 에어덕트(162)는 함께 위에서 언급한 강온 에어덕트(160)를 구성한다.
에어덕트 격판(150)에는 오목홈(151)이 있고, 오목홈(151)은 오목홈(151)에 대향하는 전자 부품(400)을 회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상이한 크기의 전자 부품(4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강온 에어덕트(160)에서 공기가 흐르도록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오목홈(151)은 주판체(152)에 형성될 수 있다. 주판체(152)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으며, 오목홈(151)은 주판체(152)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주판체(152)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엔드판(1524), 제1 판체(1521), 제2 판체(1522), 제3 판체(1523) 및 제2 엔드판(1525)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오목홈(151)은 제1 판체(1521), 제2 판체(1522) 및 제3 판체(1523)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홈(151)의 홈구가 강온 에어덕트(160)의 내부를 향한다.
제1 판체(1521)의 제1단부는 제2 판체(1522)의 제1단부에 연결되고, 제2 판체(1522)의 제2단부는 제3 판체(1523)의 제1단부에 연결되며, 제3 판체(1523)의 제2단부는 제2 엔드판(1525)의 제1단부에 연결되고, 제2 엔드판(1525)의 제2단부는 보조판체(153)에 연결되며, 제1 엔드판(1524)의 제1단부는 제1 판체(1521)의 제2단부에 연결되고, 제1 엔드판(1524)의 제2단부는 제1 에어덕트(161)의 입풍 단부에 대응하며, 제2 엔드판의 제2 단부는 제1 에어덕트(161)의 출풍 단부에 대응한다.
제1 판체(1521)의 길이는 제3 판체(152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3 및 도5에서, 제1 판체(1521)의 길이는 제3 판체(1523)의 길이보다 크다. 이와 같이 설계하면, 제1 엔드판(1524)의 위치, 제2 판체(1522)의 위치 및 제2 엔드판(1525)의 위치에서 제1 에어덕트(161)의 단면적을 동일하지 않게 하여 제1 에어덕트(161) 내부에 상이한 치수의 전자 부품(400)을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전자 부품(4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복수 개의 전자 부품(400)을 모두 설치할 수 있으며,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서 흐르는 제1 방열기류를 사용하여 전자 부품(400) 작동 시 발생하는 열을 적시에 빼앗아 간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자 부품(400) 중 일부 전자 부품(400)은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설치되고, 나머지 전자 부품(400)은 강온 에어덕트(160) 외에 설치되며, 온도변화에 민감한 전자 부품(400)을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설치할 수 있고, 온도변화에 너무 민감하지 않은 전자 부품(400)을 강온 에어덕트(160) 외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작동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열을 발생시키고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전자 부품(400)은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설치되고, 작동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열을 발생시키고 온도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전자 부품(400)은 강온 에어덕트(160) 외에 설치된다.
복수의 전자 부품(400)과 에어덕트 격판(150)은 장착판(200)의 동일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전자 부품(400) 중 일부 전자 부품(400)은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위치하고, 즉 일부 전자 부품(400)은 에어덕트 격판(150)의 제1측에 위치하며, 나머지 전자 부품(400)은 에어덕트 격판(150)의 제2측에 위치하며, 에어덕트 격판(150)의 제1측은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상측이고, 에어덕트 격판(150)의 제2측은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하측이며, 에어덕트 격판(150)의 제1측과 에어덕트 격판(150)의 제2측은 서로 등지어 설치된다.
복수의 전자 부품(400)은 리액터(410)와 필터(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액터(410)의 수는 2개일 수 있으며, 필터(420)와 리액터(410)는 제1 방열기류의 흐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리액터(410)와 필터(420)는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설치되고, 필터(420)는 리액터(410)의 상류에 설치된다. 필터(420)와 리액터(410)는 제1 에어덕트(161) 내에 설치되고, 필터(420)와 리액터(410)는 박스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필터(420)는 제1 에어덕트(161)의 입풍 단부에 근접하고, 리액터(410)는 제1 에어덕트(161)의 출풍 단부에 근접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전기 제어 박스에는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가 포함되어 있으며,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모두 회로 기판일 수 있으며,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박스체(100) 내에 위치한다.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의 수는 2개일 수 있으며, 확장판(600)과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에어덕트 격판(150)의 연장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강온 에어덕트(160)의 외부에 위치하며,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의 배치 방향은 도3에 도시된 박스체(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며, 확장판(600)은 필터(420)와 대향하여 설치되고,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리액터(410)와 대향하여 설치된다.
박스체(100)의 폭 방향에서, 필터(420)는 리액터(410)에 대해 확장판(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확장판(600)에 대해 리액터(4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때, 제1 판체(1521), 제2 판체(1522) 및 제3 판체(1523)는 필터(420)의 확장판(600)에 근접하는 일단 주위에 설치된다.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제1 팬(3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1 팬(300)은 원심 팬, 축류 팬 및 관류 팬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도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제1 팬(300)은 축류 팬일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의 경우, 제1 팬(300)을 원심 팬 또는 관류 팬으로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인 대체임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팬(300)은 나사 연결, 용접 및 걸림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장착판(2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팬(300)은 장착판(200)에 나사로 고정되고, 제1 팬(300)의 입구는 장착판(200)의 제1 회풍구(210)에 연통되며, 제1 팬(300)은 제1 에어덕트(161)의 입풍 단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팬(300)은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를 제1 챔버실(110) 내부로 흡인하여 제1 챔버실(110) 내에서 제1 방열기류를 형성시킨다. 제1 팬(300)의 출구는 강온 에어덕트(160)의 입풍 단부에 연통된다.
리액터 박스에는 제2 팬(800)이 더 포함되며, 다음은 첨부 도면과 함께 제2 팬(8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2 팬(800)은 장착판(200)에 설치되고, 제2 팬(800)은 제1 챔버실(110) 내에 위치하며, 제2 팬(800)은 원심 팬, 축류 팬 및 관류 팬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팬(800)은 강온 에어덕트(160) 내에 설치되며, 제2 팬(800)의 출풍 방향은 제1방열기류의 방향과 동일하며, 제1 팬(300)의 출풍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이고, 제2 팬(800)의 출풍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이다.
제2 팬(800)은 제1 팬(300)과 협력하여 박스체(100) 내의 공기의 유속과 풍량을 조절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챔버실(110) 내의 공기와 제1 챔버실(110) 내의 전자 부품(400)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고, 전자 부품(40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이 적시에 빼앗아 가게 되어 전자 부품(400)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박스 커버 제거 후의 분해 모식도이고, 도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열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1 내지 도1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전기 제어 박스에는 밀폐 수용 챔버(101)를 가진 박스체(100), 방열 어셈블리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가 포함된다. 그 중, 박스체(100)는 방열 어셈블리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를 수용하는데 사용되며; 방열 어셈블리는 방열 역할을 하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팬 및 압축기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박스체(100)는 바닥판(131), 박스 커버(140), 전측판(1321), 후측판(1322), 좌측판(1323) 및 우측판(1324)을 포함할 수 있는 직사각형 박스체이다. 도3과 결합하여 좌측판(1323)과 우측판(1324)은 모두 Y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측판(1323)과 우측판(1324)은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후측판(1322)은 좌측판(1323)과 우측판(1324)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전단부와 상단부에 개구가 있는 하프-쉘 구조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후측판(1322), 좌측판(1323), 우측판(1324) 및 바닥판(131)은 몰딩 또는 스탬핑 등과 같은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전측판(1321)은 바닥판(131)의 앞측에 볼트, 걸림부 등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전측판(1321)과 후측판(1322)은 모두 X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측판(1321)과 후측판(1322)은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박스 커버(140)는 바닥판(131)과 마주하며, 박스 커버(140)는 볼트, 걸림부 등으로 전측판(1321), 후측판(1322), 좌측판(1323) 및 우측판(1324)의 상단부에 고정할 수도 있다.
박스체(100) 내의 밀폐 수용 챔버(101)는 박스체(100)의 전기 부품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외부 열이 전기 부품의 방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조립시 상기 바닥판(131), 박스 커버(140), 전측판(1321), 후측판(1322), 좌측판(1323) 및 우측판(1324) 사이를 밀봉 연결하기 위해 밀봉 접착제와 밀봉링을 설치함으로써, 박스체(100) 내에 밀폐 수용 챔버(101)가 형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는 예를 들어 밀폐된 전기 제어 박스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방울, 먼지 및 기타 이물질이 전기 제어 박스 내에 들어가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전자 부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피함으로써, 방수, 방진 및 방부식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물론, 박스체(100)의 형상은 위의 직사각형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박스체(100)는 원기둥형 박스체 또는 이형 박스체 등 일 수도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하우징 내에 전기 제어 박스를 장착할 때 임의의 적절한 면을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제어 박스의 후측판(1322)을 실외기의 하우징 내부에 걸 수 있고, 그 바닥판(131)을 하우징 내에 고정할 수도 있다.
방열 어셈블리는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열을 전기 제어 박스 외부로 방출하는 부재로 열교환기(500)와 방열판(540)을 포함하며, 방열판(540)은 대향하는 제1면(541)과 제2면(542)을 포함하며, 제1면(541)에는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가 장착되어 있고, 제1면(541)은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와 접촉하며, 제2면(542)에는 열교환기(500)가 장착되어 있고, 열교환기(500)는 방열판과 용접할 수 있다. 열교환기(500)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의 열은 방열판(540)을 통해 열교환기(500)로 전달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방열판(540)은 본체판(543) 및 본체판(543)에 설치된 보스(544)를 포함하고, 보스(544)는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에 연결되고, 본체판(543)의 보스(544)에서 이반하는 일면은 열교환기(500)에 용접된다. 방열판(540)이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에 접촉하여 방열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보스(544)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500)는 냉매 유입관(520), 냉매 유출관(530) 및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냉매 열교환부(510)를 포함하며, 냉매 열교환부(510)는 열교환 매체를 유통시키는데 사용되며, 냉매 열교환부(510)는 원형 튜브, 사각형 튜브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매 열교환부(510)는 편평한 튜브일 수 있으며, 그 횡단면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사다리형 등 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냉매 열교환부(510)는 상대적인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가지고 있어 더 큰 열교환 면적을 제공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매 열교환부(510)의 제1단부는 냉매 유입관(520)과 연통되고, 냉매 열교환부(510)의 제2단부는 냉매 유출관(530)과 연통되어 열교환 매체가 냉매 유입관(520)에서 냉매 열교환부(510) 내로 들어간 다음 냉매 유출관(530)을 거쳐 배출된다.
냉매 유입관(520)과 냉매 유출관(530)은 냉매 열교환부(510)에 수직인 길이 방향(도면의 Y 방향에 대응)으로 연장되어 모든 냉매 열교환부(510)와 연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냉매 유입관(520)에는 2개가 설치되어 있고, 냉매 유출관(530)에는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써 열교환 매체의 유량을 증가시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물론, 냉매 유입관(520) 및 냉매 유출관(530)의 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열교환기(500)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일 수 있다.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적어도 2그룹의 마이크로채널을 포함한다. 적어도 2그룹의 마이크로채널은 제1 냉매류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제1 마이크로채널과 제2 냉매류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제2 마이크로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냉매류는 상기 제1 냉매류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제1 냉매류가 과냉각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냉매류는 상기 제2 냉매류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제2 냉매류가 과냉각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이코노미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는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전자 부품을 냉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코노미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제어 박스 이외에 하나의 이코노미 장치를 재설치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공간을 절약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방열 어셈블리는 열교환기(500)을 설치하여 열교환 매체를 유통시키며, 열교환 매체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박스체(100) 내의 공기 온도를 낮추고; 방열판(540)을 설치하여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와 고정하고 접촉하며, 이로써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의 열을 방출하여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의 온도를 낮춘다.
또한, 방열판(540)의 제2면(542)은 열교환기(500)에 용접되어 열교환기(500)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냉매 열교환부(510)가 만곡 변형되거나 변위된 후 복수 개의 냉매 열교환부(510)가 함께 겹치는 것을 피하고, 냉매 열교환부(510) 내의 열교환 매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고 열교환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확보한다. 후속의 제1 팬(300)은 박스체(100) 내의 공기가 내순환하도록 구동할 때, 공기는 인접한 2개의 냉매 열교환부(51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고 열교환 매체가 유통되는 냉매 열교환부(510)의 표면과 충분히 접촉하여 열교환할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기(500)와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방열판(540)의 양면에 각각 장착되고, 열은 방열판(540)을 통해 열교환기(5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500)를 통해 열이 박스체(100) 외측으로 방출되어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열을 줄인다.
본 실시예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판체(730), 팬 모듈(710) 및 압축기 모듈(720)을 포함하며, 팬 모듈(710) 및 압축기 모듈(720)은 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팬 모듈(710) 및 압축기 모듈(720)은 모두 판체(730)에 설치되어 있다. 그 중, 팬 모듈(710)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팬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압축기 모듈(720)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압축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이에 의해 팬 모듈(710)과 압축기 모듈(720)에는 많은 열이 생성된다.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콘덴서, 저항 등 전기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콘덴서, 저항 등 전기 소자는 판체(730)에 설치된다.
팬 모듈(710)과 압축기 모듈(720)은 모두 방열판(540)의 제1면(541)에 접촉하고 연결된다. 팬 모듈(710)은 방열판(540)에 나착 고정되며 연결 방법이 간단하고 신뢰적이며; 팬 모듈(710)과 방열판(540)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 층이 설치되어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다. 압축기 모듈(720)은 방열판(540)에 나착 고정되며 연결 방법이 간단하고 신뢰적이며; 압축기 모듈(720)과 방열판(540)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 층이 설치되어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다.
방열판(540)은 하나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방열판(540)에 팬 모듈(710)과 압축기 모듈(720)이 동시에 고정되어 있으며; 방열판(540)은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방열판(540)은 열교환기(500)에 나란히 배치된다. 이때, 팬 모듈(710)과 압축기 모듈(720)은 동일한 방열판(540)에 고정되거나 상이한 방열판(54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에는 제1 팬(300)과 리액터(410)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제1 팬(300)은 공기 흐름을 구동하는데 사용되고, 리액터(410)는 전류 제한 및 필터의 역할을 하여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작동을 보다 안정하도록 수행한다. 제1 팬(300)과 리액터(410)는 모두 밀폐 수용 챔버(101)에 장착되며, 예를 들어 제1 팬(300)은 밀폐 수용 챔버(101)의 측벽에 장착될 수 있고, 제1 팬(300)은 밀폐 수용 챔버(101) 내의 장착 구조에 장착될 수도 있다.
리액터(410)는 밀폐 수용 챔버(101)의 측벽에 장착될 수 있으며, 리액터(410)는 밀폐 수용 챔버(101) 내의 장착 구조에 장착될 수도 있다. 리액터(410)는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와 간격을 두고 있으며, 리액터(410)는 제1 팬(300)의 출풍구와 마주하고 있으며, 이로써 리액터(410)에서 발생하는 열은 제1 팬(300)의 작용 하에 공기에 의해 빼앗게 되어 강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에는 전자 부품 등을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장착판(200)이 더 포함된다. 장착판(200)은 박스체(100) 내에 고정되며, 예를 들어 장착판(200)은 나사 결합 및 걸림에 의해 박스체(100) 내에 고정된다. 장착판(200)은 대향하는 제1 장착면 및 제2 장착면을 가지며, 제1 장착면은 바닥판(131)을 향하고, 제2 장착면은 박스 커버(140)를 향한다. 장착판(200)은 박스체(100)의 바닥판(131) 및 박스 커버(14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사각형 판일 수 있다. 도3 및 도7과 결합하여, 장착판(200)은 밀폐 수용 챔버(101)를 제1 챔버실(110) 및 제2 챔버실(120)로 분할하고, 제1 장착면은 제1 챔버실(110) 내에, 제2 장착면은 제2 챔버실(120) 내에 위치한다.
방열 어셈블리는 제1 챔버실(110) 내에 위치하여 열을 박스체(100)로 내보낼 수 있으며, 방열 어셈블리의 방열판(540)의 제1면(541)은 장착판(200)에 고정 연결되고, 방열판(540)은 걸림,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제1 장착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방열판(540)과 장착판(200)은 나사로 연결되어 연결 방식이 안정적이고 신뢰적이며; 방열판(540)의 제1면(541)과 제1 장착면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 층이 더 설치될 수 있어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킨다.
리액터(410)는 제2 챔버실(120) 내에 위치하며, 리액터(410)는 제2 챔버실(120)의 측벽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리액터(410)는 제2 챔버실(120)을 둘러싸는 박스체(100) 측판에 장착될 수 있고, 리액터(410)는 장착판(2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리액터(410)는 제2 장착면에 장착되며, 리액터(410)는 걸림,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제2 장착면에 장착될 수 있다.
방열판(540)이 제1 장착면에 장착되고 리액터(410)가 제2 장착면에 설치되는 경우, 리액터(410)에서 발생한 열이 장착판(200)을 통해 방열판(54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500)를 통해 박스체(100)의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 형태에서, 리액터(410)는 장착판(200)에 장착되며, 이때 리액터(410)는 제1 팬(300)의 작용 하에 풍냉될 수 있다.
다른 구현 형태에서, 리액터(410)는 방열판(540)에 장착되며, 이때 리액터(410)는 제1 팬(300)의 작용 하에 풍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열이 방열판(540)을 통해 열교환기(500)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열교환기(500)의 열교환 매체와 열교환하여 방열된다.
다음은 위의 두 가지 방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하나는 팬을 설치하여 제1 챔버실(110)의 공기와 제2 챔버실(120)의 공기를 교환하여 풍냉 방열을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장착판(200)에 장착 개구(230)를 설치하여 리액터(410)가 방열판(540)과 직접 접촉하여 방열되도록 하는 것이며, 동시에 풍냉 방열과 열교환기 냉매 방열을 수행한다.
제1 챔버실(110)과 제2 챔버실(120)의 공기 흐름을 실현하기 위해, 장착판(200)의 일부는 입풍 그릴(201)로 구성되며, 예시적으로 장착판(200)의 전측은 입풍 그릴(201)로 구성되며, 입풍 그릴(201)은 X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챔버실(120)의 공기가 장착판(200)의 장변 방향(도면의 X방향에 대응함)의 각 위치에서 제1 챔버실(110)로 들어가 방열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국소 공기 배출의 방해에 의해 국소 열이 높아지는 것을 피한다.
제1 팬(300)은 제1 챔버실(110)과 제2 챔버실(120)의 공기 흐름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1 팬(300)의 작용 하에 제2 챔버실(120) 내의 공기를 제1 챔버실(110)의 방열 어셈블리로 불어 열교환하고, 열교환한 후의 공기를 제2 챔버실(120)로 불어 박스체(100) 내부에서 기체의 흐름과 열 교환을 실현함으로써, 박스체(100) 내부 공기의 청결도를 보장하는데 유리하다.
제1 팬(300)과 입풍 그릴(201) 사이에는 제1 소정 간격이 있어 공기의 흐름 경로를 연장하고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제1 팬(300)의 입풍구를 제1 챔버실(110) 내로 들이밀게 하고, 제1 팬(300)의 출풍구를 제2 챔버실(120) 내로 들이밀게 하며, 이와 같이 제1 팬(300)의 작용 하에 제1 챔버실(110) 내의 온도가 낮은 공기가 입풍구를 거쳐 제 1팬(300) 내부로 유입된 후, 출풍구를 통해 제2 챔버실(120) 내로 배출되며; 공기는 제2 챔버실(120) 내의 열을 갖고 입풍 그릴(201)을 거쳐 제1 챔버실(110)로 되돌아 와서 방열 어셈블리와 열교환 후 온도가 낮게 된다.이와 같이 왕복순환하면 제1 챔버실(110) 내의 전기 부품의 온도가 저하된다.
그 중, 제1 팬(300)의 입풍구를 제1 챔버실(110) 내로 들이밀게 하여 제1 챔버실(110)과의 연통을 실현한다. 물론, 이것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장착판(200)에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제1 팬(300)의 입풍구가 관통공과 바로 마주하여 제1 챔버실(110)과의 연통을 실현한다. 제1 팬(300)의 출풍구를 제2 챔버실(120) 내로 들이밀게 하여 제2 챔버실(120)과의 연통을 실현한다. 제1 팬(300)이 제2 장착면에 장착되는 경우, 제1 팬(300)의 출풍구는 제2 챔버실(120)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팬(300) 및 리액터(410) 등 전기 부품은 신호 전송 및 전원 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장착판(200)의 제2 장착면에 장착된다. 예시적으로, 제1 팬(300)은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팬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나사 또는 걸림 등으로 제2 장착면에 고정된다. 하우징에는 입풍구와 출풍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입풍구는 장착판(200)에 설치된 관통공과 바로 마주하여 입풍구와 제1 챔버실(110)의 연통을 실현하며; 출풍구는 제2 챔버실(120)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의 제1 팬(300)의 출풍구와 입풍 그릴(201)은 에어덕트를 형성하고, 리액터(410)는 에어덕트 내에 장착되며, 이에 의해 리액터(410)는 제1 팬(300)의 출풍구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1 팬(300)에서 불어 나오는 찬 공기는 리액터(410)와 빠르게 접촉하여 리액터(4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가서 리액터(410)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에어덕트 격판(150)이 장착판(200)에 장착되고, 에어덕트 격판(150), 장착판(200) 및 박스체(100)는 에어덕트를 형성하도록 한정한다. 에어덕트 격판(150)은 걸림, 접착,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장착판(2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는 메인판(430), 전원판(440), 필터(420) 및 확장판(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각 회로 및 센서의 데이터 신호는 메인판(430)으로 전달되며; 전원판(440)은 각 전기 부품에 전기 에너지를 분배하는데 사용되며; 필터(420)는 전기 부품의 작동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조파를 필터링하는데 사용되며; 확장판(600)은 사용자가 확장하려는 장비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물론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전기 부품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원판(440), 제1 팬(300), 필터(420) 및 리액터(410)는 장착판(200)의 상단에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제1 그룹의 전기 부품을 형성하며; 메인판(430), 확장판(600)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장착판(200)에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제2 그룹의 전기 부품을 형성한다. 제1 그룹의 전기 부품, 제2 그룹의 전기 부품 및 입풍 그릴(201)은 Y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고, 제1 그룹의 전기 부품과 제2 그룹의 전기 부품 사이에는 에어덕트 격판(1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정을 통해, 제1 팬(300)의 출풍구에서 배출되는 바람은 에어덕트를 따라 순차적으로 필터(420) 및 리액터(410)를 거쳐 입풍 그릴(201)로 들어가고, 에어덕트 격판(150)과 입풍 그릴(201) 사이의 공기 흐름을 구동하며, 입풍 그릴(201)을 통해 제1 챔버실(110)로 들어간다. 이렇게 설정하면 많은 열을 생성하는 리액터(410)가 다른 전기 부품에 열을 전달하여 다른 전기 부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제1 팬(300)에서 배출되는 바람이 입풍 그릴(201)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와 박스체(100)의 우측판(1324) 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덕트가 대략 L자형으로 되어 공기의 유동 거리를 연장하고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코너에서 공기의 속도는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덕트에서 공기의 흐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에어덕트에는 제2 팬(800)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제2 팬(800)은 장착판(200)의 제2 장착면에 고정되어 공기 흐름을 가속화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제2 팬(800)은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와 박스체(100)의 우측판(1324) 사이에 장착되어 공기의 흐름 속도를 높이고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에어덕트 격판(150)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정하지 않으며, 이는 전기 부품의 치수, 장착 및 배치 방법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 제어 박스는 방열 어셈블리와 리액터(410)를 제1 챔버실(110)과 제2 챔버실(120) 내로 분할하기 위해 장착판(200)을 설치하며; 장착판(200)의 일부를 입풍 그를(201)로 구성하여 장착판(200)에 제1 팬(300)을 장착함으로써, 제1 팬(300)의 입풍구는 제1 챔버실(110)과 연통되고 제1 팬(300)의 출풍구는 제2 챔버실(120)과 연통되며, 이로써 제1 팬(300)은 제1 챔버실(110) 내의 온도가 낮은 공기를 제2 챔버실(120) 내로 불어넣고, 공기는 리액터(410) 등에서 발생한 열을 갖고 입풍 그릴(201)을 거쳐 제1 챔버실(110)로 되돌아오며, 방열 어셈블리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을 전기 제어 박스에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왕복순환하면,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온도를 낮추는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제1 팬(300)을 통해 공기의 흐름을 구동하면, 리액터(4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전기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갈 수도 있어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제1 팬(300)의 출풍구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하며, 제1 팬(300)의 출풍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으로 흐를 때 이미 리액터(410) 등 전기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갖고 있다.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에 대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1 및 도3과 결합하여 본 실시예는 장착판(200)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개구(230)가 설치되어 있고, 장착개구(230)는 입풍 그릴(201)과 제1 팬(300) 사이에 위치한다. 장착개구(230)는 장착판(200)의 두께 방향(도면 중 Z방향에 대응함)으로 관통되며, 장착개구(230)는 원형 개구, 다각형 개구, 불규칙한 형상의 개구 등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장착개구(230)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방열판(540)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되고, 방열판(540)의 형상 및 크기는 장착개구(230)의 형상 및 크기와 일치할 수 있으며, 즉, 방열판(540) 전부가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판(540)의 일부 구조는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되며, 다른 일부 구조는 제1 장착면에 밀착되고 나사로 고정 연결된다.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된 방열판(5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즉,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방열판(540)과 직접 접촉하고 있으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에서 발생하는 열은 방열판(540)을 통해 열교환기(500)로 직접 전달되어 열교환하여 방열 효율이 높다. 예시적으로,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와 방열판(540)은 나사로 고정 연결되고,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와 방열판(540)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 층이 설치되어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장착판(200)의 길이방향(도면의 X방향에 대응함)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예시적으로 장착판(200)의 길이방향(도면의 X방향에 대응함)을 따라 2개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하나의 장착개구(230)를 공유하여 사용한다. 장착개구(230) 내에는 1개의 방열판(54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즉,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 전부는 모두 동일한 방열판(540)에 고정된다. 이때, 인접한 2개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 사이에는 간격이 있어 방열판(540)의 일부가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되도록 하며, 이로써 기류는 방열판(540)으로 경과할 수 있어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복수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각각 하나의 장착개구(230)에 대응하며, 도1 및 도2와 결합하여 장착판(200)에는 2개의 장착개구(230)가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각각 하나의 장착개구(230)에 대응한다. 방열판(540)은 1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방열판(540)은 각각 2개의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된 일부 구조를 모두 가지고 있다. 방열판(540)은 또한 2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방열판(540)은 그 중 하나의 장착개구(230)에 대응한다.
도1 내지 도3과 결합하여 장착판(200)에는 2개의 장착개구(230)가 X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고, 방열 어셈블리에는 1개의 방열판(540)이 설치되어 있으며, 방열판(540)의 일부 구조는 각각 2개의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된다.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2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좌측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좌측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된 방열판(540)에 고정 연결되고, 우측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우측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된 방열판(540)에 고정 연결된다. 이러한 설정은 방열판(540)과 장착판(200)의 고정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2개의 장착개구(230) 사이의 일부 장착판(200)은 또한 트레이스 와이어(trace wire)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리액터(410)는 기류에 의해 방열되며, 리액터(410)과 방열판(540) 사이는 장착판(200)에 의해 분리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2에서 제공하는 전기 제어 박스에서 에어덕트 격판 및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를 제거한 구조 모식도이다. 리액터(410)와 제2 장착면은 나착 고정되며, 이때 리액터(410)에서 발생하는 열은 장착판(200)을 통해 방열 어셈블리로 전달될 수 있고, 제1 팬(300)을 통해 공기 흐름을 구동하여 방열 어셈블리로 전달될 수도 있다.
다른 일부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리액터(410)는 방열 어셈블리와 직접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고 열을 방출한다. 이때, 리액터(410)는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된 방열판(5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리액터(410)가 방열판(540)와 나사 결합 및 걸림 등으로 연결되어 리액터(410)와 방열판(540)이 접촉하여 열전도하도록 한다.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의 리액터(410)와 방열판(540)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 층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액터(410)는 리액터 본체(412) 및 리액터 본체(412)에 연결된 고정판(411)을 포함하며, 고정판(411)의 일부는 장착판(200)에 고정 연결되고, 고정판(411)의 다른 일부는 방열판(540)에 고정 연결된다. 고정판(411)과 장착판(200)은 나사 결합 및 걸림 등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판(411)과 방열판(540)은 나사 결합 및 걸림 등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리액터(410)는 장착판(200) 및 방열판(540)과 동시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리액터(410) 장착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리액터(410)가 방열판(540)에 고정 연결될 때, 리액터(410)의 고정판(411)이 장착개구(230)를 부분적으로 커버하여 다른 일부 장착개구(230) 내의 방열판(540)을 제1 챔버실(110) 내에 노출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설치하면 또한 제1 챔버실(110) 내의 공기를 방열판(540)을 통해 흐르게 하여 접촉 열교환을 수행하므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리액터(410)는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와 하나의 장착개구(230)를 공유하여 사용하며, 이와 같이 설치하면 복수 개의 장착개구(230)를 가공할 필요 없이 장착판(200)에 1개의 장착개구(230)을 가공하기만 하면 되므로, 가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리액터(410)와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각각 하나의 장착개구(230)에 대응하며, 이때의 장착개구(230)는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있다. 리액터(410)와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각각 하나의 장착개구(230)에 대응하므로, 리액터(410)와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에서 발생하는 열의 상호 영향을 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리액터(410)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리액터(410)는 에어덕트 내에 바람의 흐름을 따라 나란히 장착되고, 복수의 리액터(410)는 제1 팬(300)의 출구 일측에 X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다.본 실시예에서 리액터(410)는 2개로 설치되어 있고 2개의 리액터(410)와 제1 팬은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복수의 리액터(410)는 하나의 장착개구(230)를 공유하여 사용하며, 이와 같이 설치하면 장착판(200)에 가공하는 개구의 수를 줄이고 가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리액터(410)는 각각 하나의 장착개구(230)에 대응하며, 이와 같이 설치하면 복수의 리액터(410) 사이의 방열에 의한 상호 영향을 피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장착판(200)에는 2개의 장착개구(230)가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방열판(540)은 하나로 설치되어 있으며, 방열판(540)의 일부 구조는 좌측의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되고, 방열판(540)의 다른 일부 구조는 우측의 장착개구(230) 내에 노출된다. 전기 제어 박스 내에는 2개의 리액터(410)와 2개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리액터(410)와 좌측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좌측의 장착개구(230)를 공유하여 사용하고, 우측의 리액터(410)와 우측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700)는 우측의 장착개구(230)를 공유하여 사용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기 제어 박스와 외함(900)을 포함하며, 전기 제어 박스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9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는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일 수 있다. 전기 제어 박스는 중앙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함 내부에 설치된다.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열교환기(500)와 연통된 응축기는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중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내부에는 2개의 압축기와 실외 팬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제어 박스의 각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는 대응하는 하나의 압축기에 연결되고 대응하는 하나의 압축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기 제어 박스 내의 각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는 또한 대응하는 하나의 실외 팬에 연결되고 대응하는 하나의 실외 팬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공기조화기 실외기는 상기 전기 제어 박스의 기술안을 채택하였으므로, 적어도 상기 전기 제어 박스의 기술안에 의한 모든 유익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더 이상 하나하나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기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중앙 공기조화기일 수 있으며, 중앙 공기조화기에는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와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포함된다.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에 장착되고,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에 장착되며,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난방, 제습 등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공동으로 협력하여 작동한다. 중앙 공기조화기에서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수는 1개이고,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수는 2개 이상이다.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일반적으로 실내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고,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는 일반적으로 실외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는 일반적으로 냉매 파이프를 통해 연통되어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 사이의 냉매를 유통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공기조화기의 냉방 과정에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이고, 증발기 내의 냉매는 흡열하여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되며; 냉매의 증발 흡열하는 과정에서, 증발기는 증발기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공기 중의 열을 빼앗아 가며, 나아가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열을 방출하고 강온된 공기가 되며,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풍을 불며; 동시에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이고, 응축기 내의 냉매는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되며; 냉매의 응축 방열하는 과정에서, 응축기는 응축기를 흐르는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공기가 응축기의 열을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외부로 전달하며, 이로써 냉방 과정을 실현한다.
중앙 공기조화기의 난방 과정에서,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이며, 증발기 내의 냉매는 흡열하여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되며; 냉매의 증발 흡열하는 과정에서, 증발기는 증발기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공기에 구비된 열을 증발기 내의 냉매로 전이시키며; 동시에,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이고, 응축기 내의 냉매는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되며; 냉매의 응축 방열하는 과정에서, 응축기는 응축기를 흐르는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의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의 공기가 응축기에 구비된 열을 빼앗아 가서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의 실내로 배출하도록 하여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열풍을 불도록 하며, 이로써 난방 과정을 실현한다.
상기 전기 제어 박스는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내에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제어 박스는 중앙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내의 압축기의 작동 과정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 제어 박스 내의 열교환기(500)는 예를 들어 실외 열교환기와 연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전기 제어 박스의 기술안을 채택하였으므로, 적어도 상기 전기 제어 박스의 기술안에 의한 모든 유익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더 이상 하나하나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중심", "세로", "가로", "길이", "폭", "두께", "상", "하", "앞", "뒤", "좌", "우", "연직", "수평", "꼭대기", "바닥", "내", "외",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축방향", "경방향", "둘레방향" 등 용어가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기초하여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관계로서, 본 출원의 설명을 용이하고 간략화 하기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나 부품이 반드시 특정한 방위를 가지고, 특정한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되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할 수 없다.
또한, "제1", "제2"라는 용어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또는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제2" 로 한정되는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이 특징을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복수"는 달리 명시적이고 구체적인 제한이 없는 한 적어도 2개, 예를 들어 2개, 3개 등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및 "고정"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확한 규정 및 제한이 없는 한 광의적으로 이해해야 하며, 예를 들어 달리 명시적이고 구체적인 제한이 없는 한 고정 연결, 탈착 가능한 연결, 일체 연결일 수 있고, 또한 기계적 연결,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 또는 두 요소 내부의 연통 또는 두 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분야의 통상 기술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출원에서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달리 명확한 규정 및 제한이 없는 한 제1특징이 제2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있는 것은 제1특징과 제2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제1특징과 제2특징이 중간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특징이 제2특징의 "위", "상방" 및 "상면"에 있는 것은 제1특징이 제2특징의 바로 위 또는 비스듬한 위에 있거나, 제1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특징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낼 뿐이다. 제1특징이 제2특징의 "아래", "하방" 및 "하면"에 있는 것은 제1특징이 제2특징의 바로 아래 또는 비스듬한 아래에 있거나, 제1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특징보다 낮다는 것을 나타낼 뿐이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하나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참고용어 설명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이 실시예 또는 예시와 결합하여 설명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개략적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분야의 기술자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 및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하고 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미 본 출원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는 이해할 수 없으며,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본 분야의 통상 기술자라면 상기 실시예를 변경, 수정, 교체 및 변형할 수 있다.

Claims (28)

  1. 박스체 및 상기 박스체 내에 설치된 장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의 장착측에는 제1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제1 팬 및 복수의 전자 부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열기류가 상기 박스체의 내벽으로 흘러 전향한 후 제2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2 방열기류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전자 부품은 상기 제1 방열 경로와 상기 제2 방열 경로에 분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열 경로와 상기 제2 방열 경로는 상기 장착판의 장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경로와 상기 제2 방열 경로의 수미가 순차적으로 연통되어 하나의 순환 방열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상기 박스체 내의 공간을 제1 챔버실과 제2 챔버실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챔버실 내에 상기 복수의 전자 부품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챔버실 내에는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에는 상기 장착판을 관통하는 제1 회풍구 및 제2 회풍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회풍구는 상기 제1 방열 경로의 선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풍구는 상기 제2 방열 경로의 말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의 입구는 상기 제1 회풍구에 연통되고, 상기 제1 팬의 출구는 상기 제1 방열 경로의 선단과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직사각형 판이고, 상기 제1 회풍구는 상기 직사각형 판의 제1 변모서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회풍구는 상기 직사각형 판의 제2 변모서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변모서리와 상기 제1 변모서리는 상기 직사각형 판의 동일한 대각선의 양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풍구의 수는 복수 개이고, 복수의 상기 제2 회풍구는 상기 장착판의 제1변에 분포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1 회풍구는 상기 장착판의 제2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변과 상기 제2변은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박스는 상기 박스체 내에 설치된 에어덕트 격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에어덕트 격판은 상기 장착판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덕트 격판, 상기 장착판 및 상기 박스체로 둘러싸서 강온 에어덕트를 이루며, 상기 장착판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자 부품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강온 에어덕트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팬은 공기가 상기 강온 에어덕트 내에서 흐르도록 구동하여 제1 방열기류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 격판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주판체와 보조판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판체와 상기 보조판체는 협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강온 에어덕트는 제1 에어덕트 및 제2 에어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주판체, 상기 장착판 및 상기 박스체로 둘러싸서 상기 제1 에어덕트를 이루고;
    상기 보조판체, 상기 장착판, 상기 박스체로 둘러싸서 상기 제2 에어덕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 격판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오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전자 부품을 회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상기 주판체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주판체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판체, 제2 판체 및 제3 판체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제1판체와 상기 제3 판체는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 판체, 상기 제2 판체 및 상기 제3 판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의 홈구가 상기 강온 에어덕트의 내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박스에는 제2 팬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1 방열 경로 또는 상기 제2 방열 경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2 방열 경로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2 방열 경로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2 팬의 출풍 방향이 교차되지 않으며, 상기 제2 팬은 제3 방열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제3 방열기류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5.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박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가 더 포함되며;
    상기 박스체에는 밀폐 수용 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는 상기 밀폐 수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제어 박스에는 방열판이 더 포함되며, 상기 방열판은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가 상기 제1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면과 접촉하며, 상기 열교환기가 상기 제2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는 판체, 팬 모듈 및 압축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팬 모듈 및 상기 압축기 모듈은 모두 상기 판체에 설치되고, 상기 팬 모듈 및 상기 압축기 모듈은 모두 상기 제1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장착측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전자 부품은 필터와 리액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와 리액터는 상기 제1 방열 경로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리액터의 상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는 상기 방열판에 장착되는 것; 및
    상기 리액터는 상기 장착판에 장착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일부는 입풍 그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챔버실 내에는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방열판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챔버실 내에는 상기 제1 팬과 상기 리액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상기 제1 챔버실과 상기 제2챔버실 사이에서 순환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대향하는 제1 장착면 및 제2 장착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장착면은 상기 제1 챔버실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방열판의 제1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장착면은 상기 제2 챔버실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팬 및 상기 리액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개구는 상기 입풍 그릴과 상기 제1 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방열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착개구 내에 노출되며;
    상기 리액터가 상기 방열판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와 상기 리액터는 모두 상기 장착개구 내에 노출된 상기 방열판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는 리액터 본체 및 상기 리액터 본체에 연결된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의 일부는 상기 장착판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의 다른 일부는 상기 방열판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는 복수 개이고, 복수의 상기 리액터는 바람의 흐름을 따라 상기 밀폐 수용 챔버 내에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리액터는 상기 방열판에 장착되고, 복수의 상기 리액터는 하나의 상기 장착개구를 공유하여 사용하며, 또는 복수의 상기 리액터는 각각 하나의 상기 장착개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상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는 복수 개이고, 복수의 상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는 상기 장착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는 하나의 상기 장착개구를 공유하여 사용하며, 또는 복수의 상기 전기 제어 모듈 어셈블리는 각각 하나의 상기 장착개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2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는 밀폐 박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어 박스.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제어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
  28. 제27항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37039781A 2021-08-07 2022-07-26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 KR202400289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904558.2 2021-08-07
CN202121839215.4U CN215412220U (zh) 2021-08-07 2021-08-07 电控盒、空调外机及空调器
CN202121839197.XU CN215412223U (zh) 2021-08-07 2021-08-07 电控盒、空调室外机和空调器
CN202110904558.2A CN115704582A (zh) 2021-08-07 2021-08-07 电控盒、空调室外机和空调器
CN202121839197.X 2021-08-07
CN202121839215.4 2021-08-07
PCT/CN2022/108031 WO2023016252A1 (zh) 2021-08-07 2022-07-26 电控盒、空调室外机和空调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977A true KR20240028977A (ko) 2024-03-05

Family

ID=8519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781A KR20240028977A (ko) 2021-08-07 2022-07-26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40028977A (ko)
AU (1) AU2022326662A1 (ko)
BR (1) BR112023025044A2 (ko)
CA (1) CA3219926A1 (ko)
WO (1) WO20230162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8527B2 (ja) * 2009-02-19 2013-02-2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09181132U (zh) * 2018-11-26 2019-07-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外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9959081A (zh) * 2019-04-15 2019-07-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调节系统和空气调节装置
CN210008155U (zh) * 2019-05-30 2020-01-3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电控盒组件和空调器
CN215412220U (zh) * 2021-08-07 2022-01-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电控盒、空调外机及空调器
CN215412223U (zh) * 2021-08-07 2022-01-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电控盒、空调室外机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26662A1 (en) 2023-12-07
BR112023025044A2 (pt) 2024-02-20
WO2023016252A1 (zh) 2023-02-16
CA3219926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0008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0634368B2 (en) Control box,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CN104812217A (zh) 机柜和散热系统
CN106839164B (zh) 室外机及空调器
KR101185567B1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CN210808085U (zh) 电控柜和空调器
CN207340352U (zh) 一种空调电控盒
CN100529557C (zh) 空调机用室外机
CN214009399U (zh) 一种空调器室外机
CN106969430B (zh) 室外机及空调器
CN215412220U (zh) 电控盒、空调外机及空调器
US20100314079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CN218379667U (zh) 空调装置
CN217979061U (zh) 一种空调室外机和空调设备
KR20240028977A (ko) 전기 제어 박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공기조화기
CN216391914U (zh) 电力设备机柜
CN216844927U (zh) 一种电控盒、控制组件及空调室外机
CN213638649U (zh) 散热组件、控制装置及无人车
WO2020044474A1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CN212081681U (zh) 半导换热器组件及半导体空调
WO2020044473A1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JP2000022363A (ja) 電気回路素子用放熱フィン、室外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CN218352967U (zh) 一种散热器及标准机柜
CN217082743U (zh) 空调室外机
WO2024041055A1 (zh) 一种空调室外机和空调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