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988B1 - 변기세정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세정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988B1
KR100440988B1 KR1019970701072A KR19970701072A KR100440988B1 KR 100440988 B1 KR100440988 B1 KR 100440988B1 KR 1019970701072 A KR1019970701072 A KR 1019970701072A KR 19970701072 A KR19970701072 A KR 19970701072A KR 100440988 B1 KR100440988 B1 KR 100440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valve
ureas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5680A (ko
Inventor
슈헤이 코노
노부히로 쇼노
켄지 타바타
마사카쯔 키요하라
마코토 하야카와
미쯔요시 칸노
보부히코 카네쿠니
Original Assignee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11D3/3953Inorganic bleac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85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anodic or acidic water, e.g. for oxidizing or steril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5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종래의 산성물질을 첨가하는 방법과 비교해서 메인티넌스(maintenance)의 필요성이 없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함과 더불어 변기의 오염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암모니아의 생성을 충분히 억제해서 충분한 악취대책을 이룰 수 있는 변기세정방법 및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1)를, 변기(A1)에 설치한다. 수도물은 연속식 전기분해조(1)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를 생성한다. 생성된 유리염소를 함유하는 물이 변기(A1)내에 흘려보내지면 유리염소를 함유하는 물은 변기내를 살균하고 세균이 갖는 효소 우레아제에 의한 요소의 분해작용을 억제한다. 그에 따라, 변기 표면 및 변기트랩의 요석부착, 착색 및 악취발생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변기세정방법 및 장치
변기의 착색오염의 주원인으로 요석(尿石)의 부착이 있다. 요석의 부착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세균에 함유되는 효소(酵素) 우레아제(urease)에 의해 소변내의 요소(尿素)가 분해되어 암모니아를 생성하고, 이로 인하여 소변과 세정수로 이루어지는 혼합배수의 pH가 상승된다. pH가 높아지면 소변중에 함유된 칼슘이온과 인산이온이 반응해서 생성되는 인산칼슘의 용해도가 저하해서 인산칼슘이 유기성분과 함께 변기내 등에서 석출(析出)되는데 이것이 요석이다.
그래서, 종래로부터 인산칼슘이 석출되기 어려운 pH, 즉 저(低)pH로 혼합배수의 pH를 유지하는 방법이 취해져왔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평5-57312에는 산성물질을 첨가해서 소변 또는 소변과 세정수와의 혼합배수의 pH를 5∼7.5로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산성물질을 첨가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암모니아의 생성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어 악취대책으로는 충분하다고 말할 수 없었다.
또, 변기하류의 배관이 부식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산성물질을 보급하는 메인티넌스(maintenance)가 필요하고 또한 보급작업에 위험이 따르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변기의 오염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암모니아의 생성을 충분히 억제해서 충분한 악취대책을 이룰 수 있는 변기의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 종래의 산성물질을 첨가하는 방법과 비교해서, 메인티넌스(maintenance)의 필요성이 없고, 또한 사용자에게 안전한 변기세정장치도 제공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발명으로서, 우레아제(urease)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발명으로서,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또한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또한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이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변기에 접촉시키는 공정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이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접촉시키는 공정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이 세정수와 함께 세균을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이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와 함께 세균을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의 pH가 5.5 이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유리염소(遊離
Figure pct00001
素)를 함유한 액체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결합염소(結合
Figure pct00002
素)를 함유한 액체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오존을 함유한 물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한 액체가 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유리염소의 농도가 0.1 mg/ℓ 이상이 되도록 한다.
또 더욱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유리염소의 농도가 0.5 mg/ℓ 이상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유리염소가 염소이온 함유수를 전기분해시켜 얻은 유리염소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한 액체가 유리염소를 함유한 산성액체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오존함유수중의 오존농도가 0.01 mg/ℓ 이상이 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오존함유수중의 오존농도가 0.05 mg/ℓ 이상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오존함유수가 무성방전(無聲放電)에 의한 생성오존의 물로의 용해, 혹은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수중에서의 오존생성으로 얻어진 오존함유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항균성 금속 이온을 함유한 액체가 은이온농도 1㎍/ℓ 이상인 액체가 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한 액체가 은이온농도 10㎍/ℓ 이상인 액체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항균성 금속 이온을 함유한 액체가 항균성 금속이온 담지체(擔持
Figure pct00003
)에 의해 방출된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한 액체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항균성 금속 이온 담지체를 체류수(滯留水)가 저유(貯留)되는 변기의 트렙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에 흘려보내도록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항균성 금속 이온을 함유한 액체를 야간에만 변기의 체류수로서 저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항균성 금속 이온을 함유한 액체를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변기의 체류수로서 저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는 유리염소의 농도가 0.2㎍/ℓ 이상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유리염소의 농도가 0.02 mg/ℓ 이상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는 변기체류수중의 세균수를 항상 1×104 CFU/㎖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한 액체를 변기에 흘려보내 변기체류수중의 세균수를 항상 1×10O4 CFU/㎖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항시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통상의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흘려 보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항시 변기에 흘려보내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유리염소 농도 0.2㎍/ℓ 이상의 유리염소 함유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한 액체를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 다음에 소정시간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흘려보내도록 함과 동시에, 그 때 최초로 변기에 흘려보내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한 액체가 유리염소 농도 0.1mg/ℓ 이상의 유리염소 함유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한액체를 야간에만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함과 동시에, 야간에 최초로 변기에 흘려보내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한 액체가 유리염소 농도 0.1 mg/ℓ 이상의 유리염소 함유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통상의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변기에 흘려보내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한 액체가 유리염소 농도 0.02mg/ℓ 이상의 유리염소 함유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流路)와, 유로에 연통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입구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출구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개폐밸브를 열음과 동시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입구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출구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와, 유량제어밸브를 열음과 동시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유량제어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유량제어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더구나,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유량제어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유량제어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입구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의 트랩과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출구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개폐밸브를 열음과 동시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입구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의 트랩과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출구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와, 유량제어밸브를 열음과 동시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유량제어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유량제어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유량제어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유량제어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방향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된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급수밸브가 열렸을 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방향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된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급수밸브가 열린 후 약간 지연시켜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연의 정도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가 치환된 후 살균수가 변기에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변기 표면이 변기세정수에 의해 젖은 상태로 있는 정도의 타이밍으로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연속식 전기분해조는 무격막형(無隔膜型)의 연속식 전기분해조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을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경우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所定値)에 달한 때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을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경우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한 때에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을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는 수단과,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경우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한 때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을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 소정시간대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소정시간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을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 및 유량제어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경우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을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의 트랩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와, 제 2 분기관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경우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한 때에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을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의 트랩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는 수단과,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경우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한 때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을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의 트랩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경우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소정시간대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소정시간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을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의 트랩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 및 유량제어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경우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외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제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때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 또는 유량제어밸브가 열린 후 제 1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이고, 저수식 전기분해조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 제 2 분기관의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은 제 1 분기관의 개폐밸브 또는 제 2 분기관의 개폐밸브가 열린 후 제 1 소정시간보다 긴 제 2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탱크내에 배치되어 설치된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때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전극이 물에 잠겨 있을 때에만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은 변기세정탱크가 갖는 배수용 개폐밸브가 열린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액체유출구에서 유출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액체를 저유하기 위한 액(液)저장부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입구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 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액저장부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의 개폐밸브를 적절히 열음과 동시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액체유출구에서 유출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액체를 저유하기 위한 액저장부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입구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액저장부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적절히 개폐밸브를 열음과 동시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액저장부내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전극은 염소(鹽素)발생용 전극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도 상류위치와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개폐밸브를 여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트랩과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개폐밸브를 여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방향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오존함유수 생성기와, 급수밸브가 열렸을 때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방향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오존함유수 생성기와, 급수밸브가 열렸을 때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과, 급수밸브가 열린 후 약간 지연시켜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연의 정도는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가 치환된 후에 살균수가 변기에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변기표면이 변기세정수에 의의해 젖은 상태에 있는 정도의 타이밍으로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와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구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와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유량제어밸브를 여는 수단과,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 유량제어밸브를 닫는 수단과, 유량제어밸브를 닫은 후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과, 오존함유수를 생성한 후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에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구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에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하지 않았을 때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열고,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는 수단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은 후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과, 오존함유수를 생성한 후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은 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은 후 야간에만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패밸브를 닫은 다음,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은 후 변기사용 후에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에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의 트랩과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유량제어밸브를 여는 수단과,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 유량제어밸브를 닫는 수단과, 유량제어밸브를 닫은 후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과, 오존함유수를 생성한 후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여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여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가 야간에만 열리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여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여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열리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에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의 트랩과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하지 않았을 때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열고,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는 수단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은 후 오존함유수 생성기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과, 오존함유수를 생성한 후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여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은 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은 후 야간에만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은 후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이내에 변기가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도록 해도 되고,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의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는 수단은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를 닫은 다음에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오존함유수 생성개시를 지시하도록 해도 되며,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가 열리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액체유출구에서 유출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액체를 저유하기 위한 액저장부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에서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입구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에서 액저장부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유량제어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적절히 개폐밸브를 개폐함과 동시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액체유출구에서 유출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액체를 저유하기 위한 액저장부와, 변기세정용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에서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입구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에서 액저장부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1 분기관 및 제 2 분기관의 개폐밸브를 적절히 개폐함과 동시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와, 액체유출구에서 유출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액체를 저유하기 위한 액저장부와,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상류위치에서 연속식 전기분해조의 액체유입구를 접속하는 제 1 분기관과, 변기세정용 급수관의 급수밸브보다 하류위치에서 액저장부를 접속하는 제 2 분기관과, 제 1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 및 유량제어밸브와, 제 2 분기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와, 제 1 분기관 및 제 2 분기관의 개폐밸브를 적절히 개폐함과 동시에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한다.
변기에 소변을 보면 변기 표면에 소변이 부착되고, 변기내의 체류수에 소변이 체류한다. 일반적으로 변기에는 간균(桿菌) 등의 세균이 존재한다. 소변에는 다량의 요소(尿素)가 함유되어 있으나, 변기 표면이나 변기내의 체류수에 세균이 존재하면, 요소(尿素)는 세균이 갖는 효소(酵素) 우레아제의 작용에 의해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 이때, 생성되는 암모니아의 양이 많으면 악취의 한 원인이된다. 또, 암모니아가 생성되면, 변기 표면에 부착된 액체나 변기내의 체류수에 용해되어 그 액체의 pH가 상승된다. pH가 상승하면 변기 표면에 부착된 액체나 변기내의 체류수에 함유된 칼슘이온이 탄산염(炭酸鹽)이나 인산염으로 형태변화해서 석출(析出)되고, 요석(尿石)으로서 변기에 부착되어 착색오염의 원인이 된다.
종래의 산성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에는 pH의 상승을 억제하므로써 요석의 부착을 방지했었다. 이 때문에 암모니아의 생성자체는 충분히 억제할 수 없어 악취대책으로서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효소 우레아제를 유효하게 변기 외부로 제거하고 또한 효소 우레아제의 작용을 저해하므로써 암모니아의 생성자체를 억제하므로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을 억제해서 요석의 부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우레아제를 함유한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도록 하면 아래와 같은 이유에 의해 효소 우레아제를 유효하게 변기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효소 우레아제는 사람의 소변중에도 존재하나, 간균(桿菌) 등의 세균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 따라서, 변기 표면이나 변기내의 체류수에 존재하는 세균이 증식하면 효소 우레아제의 양도 증가하게 되고, 세균이 변기에 강고(强固)하게 부착하면 효소 우레아제도 변기에 강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 때문에,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생균수(生菌數)를 감소시키면 효소 우레아제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균의 생명활동에 의해생성되는 점착성 유기물에 의해 생균과 함께 변기 표면에 강고하게 고정되는 효소 우레아제량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균수, 점착성 유기물 혹은 효소 우레아제의 양이 감소하면, 수세만으로도 효소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동시에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하게 된다.
우레아제를 갖는 세균을 살균하는 것이 아니라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에 의해서도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동시에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으로는 예를 들면 중금속염류(重金屬鹽類), 할로겐, 붕산, 키논, 과산화수소 등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물질을 변기에 접촉시키는 공정을 적절하게 이용한다.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도록 하면 우레아제 효소작용의 저해와 우레아제의 제거라는 2가지 다른 독립적인 방법에 의해 암모니아의 생성은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한층 더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어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므로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을 갖도록 하면, 생균에 의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억제됨과 동시에 잔존한 세균이 갖는 우레아제에 의한 효소작용의 저해효과와 함께 한층 더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된다. 그에 따라,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을 갖도록 하면, 생균에 의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억제됨과 동시에 잔존하는 세균이 갖는 우레아제에 의한 효소작용의 저해효과와 함께 한층 더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된다. 그에 따라,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도록 하면, 생균에 의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억제되고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의 저해와 우레아제 제거라는 2가지 독립적인 방법에 의해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한층 더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도록 하면, 생균(生菌)에 의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의 억제와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에 따른 암모니아 생성의 억제를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또한 고착이 억제된 우레아제가 제거되므로 한층 더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작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을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변기에 접촉시키는 공정이 되도록 하면 자외선 조사(照射) 등의 방법과 비교해서 안전하고, 가열 등의 방법과 비교해서 분위기온도의 변화가 없고 사용할 때의 불쾌감이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변기에 접촉시키는 공정으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흘려보내는 방법,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 혹은 그들을 함유하는 물질(예를 들면 유약중(釉藥中) 등)을 변기 표면에 고정해두는 방법 등이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을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접촉시키는 공정이 되도록 하면, 이미 설치된 변기를 교환하지 않고, 예컨대 상류배관(上流配管)에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생성하는 수단이나 저장하는 탱크 등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요석의 부착 및 악취가 개선되므로 바람직하다.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세정수와 함께 세균을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이 되도록 하면 이미 설치된 수세설비에서 해당공정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와 함께 세균을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이 되도록 하면,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상류배관에서 흘려보내고 하류배관으로 배출하는 것 만으로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바람직하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로는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도록 하거나 또는 살균성을 가지면서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도록 하므로써 생균(生菌)에 의한 우레아제의 증가와 고착효과가 억제되고,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 저해와 우레아제의 제거라는 2가지 독립된 방법에 의해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보다 한층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그리고, 액체로 접촉시키므로 이미 설치된 변기를 교환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류배관에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등을 설치하는 것 만으로 요석의 부착 및 악취가 개선되므로 바람직하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의 pH가 5.5 이하이면, 상기 효과 이외로 아래에 나타낸 2가지 효과가 생기고, 요석의 부착 및 암모니아가 잘 생성되지 않게 된다.
(1) 인산칼슘의 용해도는 pH가 8 이상에서 매우 낮아지나 pH를 5.5 이하로 하므로써 인산칼슘의 용해도가 높아지고 요석의 부착이 잘 생기지 않는다.
(2) 효소 우레아제의 최적 활성pH는 약 7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pH를 5.5 이하로 하므로써 효소 우레아제의 활성이 크게 저하되고 암모니아가 잘 생성되지 않게 된다.
단, 산성이 강하면 배관이 부식될 경우가 있으므로 pH는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유리염소가 함유된 액체가 되도록 하면 유리염소는 소량으로 높은 살균력을 갖고,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효과도 있으므로 한층 더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액체로 접촉시키므로 이미 설치된 변기를 교환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류배관에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등을 설치하는 것 만으로 요석의 부착 및 악취가 개선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도물 등 염소를 함유하는 물의 전기분해만으로 생성되므로 전기분해장치를 배관상류에 배치하는 것 만으로 생성되고, 반드시 탱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리를 차지하지 않고, 또 종래의 산성물질을 첨가하는 세정방법과 비교해서 탱크내의 액체를 교환하는 등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하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결합염소가 함유된 액체가 되도록 하면 결합염소는 살균력을 갖고,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효과도 있으므로 한층 더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한, 액체로 접촉시키므로 이미 설치된 변기를 교환하지 않고, 예컨대 상류배관에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등을 설치하는 것 만으로 요석의 부착 및 악취가 개선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중수, 우물물 등의 염소와 유기질소를 함유하는 물의 전기분해만으로 생성되므로 전기분해장치를 배관상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생성되어 반드시 탱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탱크내의 액체를 교환하는 등 메인티넌스의 필요성도 저감한다. 그리고, 중수를 원료수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을 재생해서 이용하고 있는 고층빌딩, 공장 등의 경우에 대응하기 쉽다. 또, 결합염소는 유리염소에 비해 자연분해하기 어려우므로 잔류성이 좋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5분정도의 작용시간(체류시간)으로 세균을 전멸시킬 수 있는 강력한 살균력을 갖는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설명하는 실시예 11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오존함유수가 되도록 하면, 오존함유수는 살균력을 갖고, 또 암모니아를 산화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우레아제에 의한 암모니아와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동시에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한, 액체로 접촉시키므로 이미 설치된 변기를 교환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류배관에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등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요석의 부착 및 악취가 개선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무성방전에 의한 생성오존의 물로의 용해 혹은 물의 전기분해만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반응을 일으키는 오존발생유니트만 배관상류에 배치하면 탱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리를 차지하지 않고, 탱크내의 액체를 교환하는 등 메인티넌스의 필요성도 저감한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되도록 하면, 항균성 금속이온은 살균력을 갖게 되므로 우레아제에 의한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액체로 접촉시키므로 이미 설치된 변기를 교환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류배관에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등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요석의 부착 및 악취가 개선되므로 바람직하다.
유리염소의 농도는 0.1mg/ℓ 이상, 바람직하게는 0.5mg/ℓ 이상이 되도록 하면 변기내의 체류수나 변기 표면이 충분히 살균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근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유리염소는 염소이온 함유수를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가 되도록 하므로써 수도물 등의 염소를 함유하는 물의 전기분해만으로 생성하므로 전기분해장치를 배관상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생성되고, 반드시 탱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리를 차지하지 않고, 또 종래의 산화물질을 첨가하는 세정방법과 비교해서 탱크내의 액체를 교환하는 등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안전하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유리염소가 함유된 산성액체가 되도록 하면 아래의 작용에 의해 보다 요석의 부착 및 악취가 개선된다.
(1) 유리염소는 소량으로 높은 살균력을 갖고,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효과도 갖는다.
(2) pH가 8 이상이 되기 어려우므로 인산칼슘 등으로 이루어지는 요석이 부착하기 어려워진다.
(3) 유리염소는 산성에서는 차아염소산(次亞鹽素酸;HClO)으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알칼리성에서의 존재형태인 차아염소산이온(ClO-)과 비교해서 약 10배 살균력이 강하다. 따라서, 암모니아의 생성이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오존함유수중의 오존 농도는 0.01mg/ℓ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mg/ℓ 이상이 되도록 하면, 변기내의 체류수나 변기 표면이 충분히 살균된다. 따라서, 살균 작용에 근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오존함유수가 무성방지에 의한 생성오존의 물로의 용해 또는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물중에서의 오존생성에 의해 얻어진 오존함유수가 되도록 하면 무성방지형 오존생성기 또는 전기분해장치를 배관상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오존함유수가 생성되므로 반드시 탱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리를 차지할 필요가 없고 또, 종래의 산성물질을 첨가할 세정방법과 비교해서 탱크내의 액체를 교환하는 등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하다.
항균성 금속이온이 은이온일 경우에 있어서, 은이온 농도를 1㎍/ℓ 이상, 바람직하게는 10㎍/ℓ 이상으로 하면 변기내의 체류수에 은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혼합해서 소정시간 유지하므로써 변기내의 체류수가 유효하게 살균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근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여기에서, 항균성 금속이온은 유리염소나 오존과 비교해서 순간의 접촉에 의한 살균능력은 낮으나, 항균수명이 길고 작용시간이 장시간 유지되므로 뛰어난 항균성을 갖는다. 따라서, 변기내의 체류수에 소정시간 유지하는 등의 태양으로 하면 소량으로 생균이 감소되고 요석의 부착 등이 방지된다.
항균성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항균성 금속이온 담지체에 의해 방출된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되도록 하면, 메인티넌스가 항균성 금속이온 담지체의 교환만으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안전하고 바람직하다.
항균성 금속이온 담지체를 체류수가 저유되는 변기의 트랩부에 배치하도록 하면 제류수에 항균성 금속이온이 방출되므로써 체류수가 살균되고, 생균의 작용에 근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어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여기서, 항균성 금속이온은 유리염소나 오존과 비교해서 순간의 접촉에 의한 살균능력은 낮으나, 항균수명이 길고 작용시간이 장시간 유지되므로써 뛰어난 항균성을 갖게 되므로 이러한 변기내의 체류수에 소정시간 유지하는 태양으로 사용하면 소량으로 생균이 감소되고 요석의 부착 등이 방지되므로 바람직하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하므로써 생균을 단속(斷續)적으로 사멸시켜 제거하게 되므로 외기 등에서 변기에 부착되는 생균의 증식 및 고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근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 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하므로써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에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통상의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내의 체류수가 교체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흘려보낼 경우, 우선 변기에 세정수를 흘려보내 변기내의 체류수를 치환한 후,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하면 된다. 변기의 세정에 있어서는 통상 체류수의 99%가 신선한 물로 치환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대부분의 세균은 세정에 의해 변기 외부로 배제된다. 따라서, 그 후에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흘려보내므로써 잔류하는 세균이충분히 살균된다.
또, 이와 같이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흘려보낼 경우, 야간에 가장 먼저 흘려보낼 때에만 고농도로 흘려보내거나 혹은 대량을 흘려보내고, 그 야간에 2회째 이후는 그보다도 저농도 또는 소량의 살균성을 갖도록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흘려보내도록 해도 된다. 주간에는 서서히 균수가 증가하므로 야간에 최초에는 체류수중의 균수가 최대가 되어 있다. 따라서, 최초만은 고농도 또는 대량의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로 충분한 살균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야간에는 세균의 증식속도는 느리므로, 이와 같이 최초에 충분한 살균을 행한 후에는 저농도 또는 소량의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액체를 함유하는 이온을 흘려보내는 것만으로 충분한 살균을 행할 수 있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하므로써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단속적(斷續的)으로 흘려보내므로써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 등을 절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우선 변기에 세정수를 흘려보내 변기내의 체류수를 치환한 후,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흘려보내도록 하면 좋다. 또한, 야간에 최초로 흘려보낼 때만 고농도로 흘려보내고, 그 야간에 2회 이후에는 그보다도 저농도의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흘려보내도록 해도 된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하므로써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가 비교적 높은 빈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통상의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내의 체류수가 교체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식하지 않는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에 흘려 보내도록 하므로써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 증가하여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단속적으로 흘려보내므로써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 등을 절약할 수 있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하므로써 변기내의 체류수나 변기표면에 소변이 체류하지 않고, 또한 세균의 증식이 방지되고 우레아제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하므로써 변기사용후의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이 넓게 확산된다. 이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어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며,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사용직전에 변기트랩부의 체류수를 변기세정수로 치환한 후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하면, 체류수내의 세균을 감소시키고나서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작용시키게 되므로 소량의 살균성을 갖는 물질로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어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며,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변기의 체류수로서 저유하도록 하므로써, 항균성 금속이온은 유리염소나 오존과 비교해서 순간의 접촉에 의한 살균능력은 낮으나, 항균수명이 길고 작용시간을 장시간 유지하므로써 뛰어난 항균성을 갖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기내의 체류수에 소정 시간 유지하는 태양으로 사용하면 소량으로 생균이 감소되어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며,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체류수로서 저유하도록 하므로써, 항균성 금속이온은 유리염소나 오존과 비교해서 순간의 접촉에 의한 살균능력은 낮으나, 항균수명이 길고 작용시간을 장시간 유지하므로써 뛰어난 항균성을 갖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기내의 체류수에 소정시간 유지하는 태양으로 사용하면 소량으로 생균이 감소되어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며,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에 흘려보내는 유리염소 함유수의 유리염소 농도를 0.2㎍/ℓ 이상, 바람직하게는 0.02mg/ℓ 이상이 되도록 하면 변기내의 체류수나 변기 표면이 충분히 살균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근거한 우레아제의 중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체류수중의 세균수가 증가하면 상기 과정에 의해 변기에 요석이 부착하나, 이 요석은 포러스(porous)한 것이기 때문에 그 세공(細孔)중에 물이 체류되기 쉬워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세균수가 증가함과 더불어 세균수 증가를 위한 환경이 형성되는 악순환이 생긴다. 그러나, 변기체류수 중의 세균수를 항상 1×104CFU/㎖ 미만으로 유지하므로써 이와 같은 악순환을 제거하여 변기에 요석이 부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흘려보낼 경우에는 변기체류수중의 세균수를 항상 1×104CFU/㎖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항시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해도 되고, 혹은 통상의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 흘려보내도록 해도 된다.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항시 변기에 흘려보낼 경우에는 유리염소의 농도를 0.2㎍/ℓ 이상으로 하므로써 상기 세균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 통상의 변기세정에 의해 변기체류수를 치환한 후에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흘려보낼 경우에는 유리염소농도를 0.02mg/ℓ 이상으로 하므로써 상기 세균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변기 표면의 세정에 대해서도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면 충분한 세정이 달성된다. 왜냐하면, 변기에 있어서 가장 균이 번식하기 쉬운 장소는 변기체류수중이고, 그 곳의 세균수를 항상 목표치 이하로 유지하도록 세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흘려보내면 변기체류수보다 세균수가 적은 변기 표면에 있어서도 당연히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의 변기세정후, 소정시간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 흘려보내도록 함과 동시에, 이때 최초로 변기에 흘려보내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유리염소 농도가 0.1mg/ℓ 이상인 유리염소 함유수로 하여도 상기 세균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함과 더불어 야간에 최초로 변기에 흘려보내는 살균성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로 유리염소 농도가 0.1mg/ℓ 이상인 유리염소 함유수가 되도록 해도 상기 세균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종래보다 변기사용 후 통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세정에서는 변기 트랩부의 체류수가 99% 이상 치환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정으로 살균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변기의 표면 또는 체류수중에 존재하는 균은 서서히 증식한다.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의 경우, 전일 오전 3시에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내고, 균의 수를 0으로 한 후, 통상의 세정만을 오후 10시까지 계속하고, 그 동안 변기가 적당히 사용되도록 하면 균의 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증가하고, 최대로 체류수중의 균수는 1×103CFU/㎖ 정도까지 증가한다. 이와 같이, 변기가 비교적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동안에는 세균이 증가하기 때문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게 된 최초의 세정할 때마다에 세균수가 가장 많다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 때에는 0.1mg/ℓ 이상이라는 약간 높은 농도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내므로써 충분한 살균을 행한다. 그러나, 변기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 균의 증식속도는 느리기 때문에 그 후에는 그보다 낮은 농도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내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그에 따라 전기분해를 위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전극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변기세정방법 및 변기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전기분해조를 구비한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2 는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전기분해조를 구비하고,또 유리염소수를 변기트랩부에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3 은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전기분해조를 구비한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4 는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구비하고, 또 저수식 전기분해조로부터의 유리염소 함유수의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제어장치의 지시에 근거해서 개폐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5 는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구비하고, 또 저수식 전기분해조로의 수도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저수식 전기분해조로부터의 유리염소 함유수의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제어장치의 지시에 근거해서 개폐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6(A)는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구비하고, 또 저수식 전기분해조로부터의 유리염소 함유수의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제어장치의 지시에 근거해서 개폐하는 구성과,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트랩부에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B)는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저수식 전기분해조를 구비하고, 또 저수식 전기분해조로부터의 수도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저수식 전기분해조로부터의 유리염소 함유수의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제어장치의 지시에 근거해서 개폐하는 구성과 유리염소수를 변기 트랩부에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7 은 변기세정탱크를 전기분해조로서 사용하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8 은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전기분해조 및 액저장부를 구비하고, 또 전기분해조에서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를 액저장조에 저유하는 구성과, 액저장조로부터의 유리염소 함유수의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제어장치와 지시에 근거해서 개폐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9 는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구비한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10 은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구비하고, 또 오존함유수를 변기트랩부에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11 은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 도중에 설치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구비한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12 는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구비하고, 또 오존함유수 생성기로의 수도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 및 오존함유수 생성기로부터의 오존함유수의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제어장치의 지시에 근거해서 제어 또는 개폐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13 은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구비하고, 또 오존함유수 생성기로의 수도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오존함유수 생성기로부터의 오존함유수의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제어장치의 지시에 근거해서 개폐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14 는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구비하고, 또 오존함유수 생성기로의 수도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 및 오존함유수 생성기로부터의 오존함유수의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제어장치의 지시에 근거해서 제어 또는 개폐하는 구성과, 오존함유수를 변기트랩부에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15 는 이미 설치된 변기세정용 급수관에 병설된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구비하고, 또 오존함유수 생성기로의 수도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오존함유수 생성기로부터의 오존함유수의 유출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제어장치의 지시에 근거해서 개폐하는 구성과 오존함유수를 변기트랩부에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 변기세정장치의 기구구성도.
도 16 은 연속식 전기분해조를 구비한 변기세정장치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효과확인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변기 등 설비의 구성도.
도 17 은 다른 유리염소 농도 및 유수(流水)빈도에 대한 효과확인시험으로 0.5개월 경과시에 측정한 변기체류수의 pH도.
도 18 은 유리염소 함유수를 야간에만 흘려보내는 시험에서, 0.5개월 경과시에 측정한 변기체류수의 pH도.
도 19 는 통상의 사용에 의한 대변기의 오염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2주 경과시의 상태,
(B)는 4주 경과시의 상태이다.
도 20 은 통상 사용되는 대변기를 1일 2회 유리염소 함유수로 세정하는 실험의 구성도.
도 21 은 도 20에 관한 실험에 있어서, 4주 경과시 대변기의 오염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 는 오존함유수 생성기를 구비한 변기세정장치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효과확인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변기 등 설비의 구성도.
도 23 은 은이온함유수를 대장균에 작용시킨 후의 잔균수.
도 24 는 은이온함유수를 2시간 대장균에 작용시킨 후의 잔균수.
도 25 는 유리염소 1mg이 살균할 수 있는 균수와 유리염소 함유수의 살균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6 은 유리염소 함유수를 첨가하는 시간간격과, 그 시간간격으로 충분한 살균효과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유리염소 농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7 은 결합염소함유수를 녹농균(錄膿菌:Pseudomonas aeruginosa)에 작용시켰을 때의 살균효과(초기균수/생존균수)를 나타낸 도면.
도 28 은 표 1 의 시험에 있어서 2개월 경과시 변기트랩의 오염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통상의 세정만을 행한 트랩의 정면도,
(B)는 통상의 세정만을 행한 트랩의 측면도,
(C)는 유리염소 함유수에 의한 세정을 행한 트랩의 정면도,
(D)는 유리염소 함유수에 의한 세정을 행한 트랩의 측면도이다.
도 29 는 통상의 사용에 의한 대변기의 요염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2주 경과시의 상태,
(B)는 4주 경과시의 상태이다.
도 30 은 도 20 에 관한 실험에 있어서, 4주 경과시 대변기의 오염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통상의 세정만을 행한 때의 변기면 상태,
(B)는 유리염소 함유수에 의한 세정을 행한 때의 변기면 상태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아래에 본 발명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은 우레아제를 체내에 갖는 세균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 세균은 기본적으로 모두 해당된다. 그중, 특히 변기에서 생식이 현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간균(桿菌)이다.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은 예컨대 변기의 표면을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변기의 표면을 가열해서 살균하는 방법, 변기의 표면에 자외선 조사수단을 설치해서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방법, 화학적으로 살균하는 방법, 변기의 표면 재료의 질을 개선하므로써 살균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또, 변기의 체류수가 접촉하는 스트레이너(strainer)부 및 트랩(trap)부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가열해서 살균하는 방법, 트랩부 등의 표면에 자외선 조사수단을 설치하여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방법, 화학적으로 살균하는 방법, 트랩부 등 표면재료의 질을 개선하므로써 살균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변기의 표면을 가열해서 살균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변기의 표면에 히터를 설치해서 가열하게 된다. 유약처리된 변기의 의장성을 손상하지 않기 위해서는 유약표면에 투명전극(透明電極)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전극에는 예를 들면 산화주석전극(酸化朱錫電極)이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투명전극은 유약층 위에 도포 후 유약이 연화(軟化)하는 온도에서 산화주석을 가열고정하는 방법이나, 또는 투명전극시트를 유약층상에 펴붙이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스트레이너(strainer)부, 트랩(trap)부의 살균에 대해서도 동일한 수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변기의 표면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변기의 표면에 자외선 조사수단을 설치해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자외선 조사수단에는 살균등(파장 250nm정도)이 비교적 약한 조도(照度)로도 살균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자외선 조사수단으로서는 자리를 차지하지 않고 외관의 의장성을 손상하지 않으며, 또한 펴붙임, 접착 등에 의해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점에서 패널(panel)형상의 자외선 조사수단이 바람직하다. 또 안전성의 관점에서 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살균작용을 하지 않도록 제어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변기의 경우에는 변기 내측의 테두리부분 또는 세정수의 유수부분에 자외선 조사수단을 배치하도록 하면 오동작시에도 사용자의 눈에 자외선이 직접 들어가는 일이 없으므로 보다 안전하다.
스트레이너부, 트랩부의 살균에 대해서도 동일한 수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변기의 표면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방법으로서는 더구나 변기의 표면에 광촉매가 고정되어 있도록 하면 태양광, 형광등, 실내조명 등의 미약한 자외선으로도 살균이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변기의 표면에 광촉매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유약층 위에 광촉매를 도포한 후 유약이 연화하는 온도로 고정하는 방법, 무기(無機)바인더 등의 광(光)내식성 재료와 혼합해서 고정하는 방법, 광촉매(光觸媒) 시트를 형성해서 펴붙이는 방법 등이 있다.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유약에 의한 의장성을 손상하지 않기 위해서는 광촉매 고정층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광촉매 고정층에 있어서의 입자 및 기공의 크기 혹은 고정층의 두께는 가시광(可視光)의 파장 1/2 이하, 즉 0.2㎛ 이하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광촉매는 광반도체(光半導體)만이 아니라, 광입자에 의해 광반도체 상에서 전자(電子)와 정공(正孔)이 생겼을 때에 전자를 포착할 수 있는 금속을 함께 첨가해두면 전자와의 재결합에 의한 정공의 소멸을 저감할 수 있고, 살균은 주로 정공과 수산화(水酸化)이온 등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하므로 보다 강한 살균력을 갖게 되어 바람직하다. 전자를 포착할 수 있는 금속에는 백금, 금, 은, 동 등이 있고, 은 또는 동을 이용하면 그 자체가 올리고머(Oligomer)효과에 의한 살균력을 갖게 되므로 어두울 때도 항균성을 발휘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소변기의 경우에는 변기내측의 테두리부분 또는 세정수의 유수부분에 자외선 조사수단을 배치하도록 하고 그것에 대향하도록 광촉매(光觸媒)고정층을 설치하도록 하면 실내조명보다 강한 자외선 조도를 변기의 표면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력이 보다 향상되고, 또 오동작시에도 사용자의 눈에 자외선이 직접 들어가는 일이 없으므로 보다 안전하다.
스트레이너부, 트랩부의 살균에 대해서도 자외선 조사수단을 배치하면 동일한 수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변기 표면을 화학적으로 살균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을 변기 표면에 접촉시키는 방법이다. 그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변기의 배관상류에 살균액 공급수단을 설치해서 적절히 변기에 흩리는 방법, 살균도포액을 변기 표면에 뿜어내는 방법, 변기 표면에 살균성 기체를 뿜어내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변기의 배관상에 살균액 공급수단을 설치해서 적절히 변기에 흘리는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변기의 상류측에 살균액을 담은 탱크나, 전기분해장치 등의 살균액을 생성하는 수단 등을 설치하여 적절히 변기에 살균액을 흘려 생균수(生菌數)의 증가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살균성을 갖는 물질로는 유리염소, 항균성 금속 또는 그 이온, 오존, 오존함유수, 결합염소,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소독액, 유기(有機)인산계 소독액, 과산화탄산이온(peroxocarbon ions) 또는 그 염, 알콜계 소독액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유리염소, 결합염소, 오존, 오존함유수는 유기염소계 소독액, 유기인산계 소독액 등과 비교해서 그 수중에서의 존재수명은 겨우 수주간 정도로 짧아 수질오염 등의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또, 유리염소, 결합염소, 오존함유수는 수도물 등의 배관에서 공급되는 물의 전기분해만으로 생성되므로 메인티넌스의 필요성도 적다.
또, 항균성 금속 또는 그 이온은 원자 또는 이온의 크기가 적으므로 유기물이나 비교적 큰 음이온에 둘러싸이면 항균수명이 다한다. 그러나, 그 작용시간이 유리염소, 결합염소, 오존, 오존함유수 등과 비교해서 길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체류수중(滯留水中)이면 항균성 금속 또는 그 이온을 함유하는 물질을 트랩부에 배치하는 것 만으로 상당히 오랜 기간 새로운 살균성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뛰어난 살균성을 갖게 되어 바람직하다.
변기 표면의 재료의 개선에 의해 살균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살균성을 갖는 물질을 변기의 표면에 도포 또는 혼입해두는 등의 방법에 의한다.
변기의 표면에 도포 또는 혼입하는 데에 뛰어난 살균성을 갖는 물질로는 변기제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내열성이 있는 물질이 바람직하고 항균성 금속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물질이 적당하다.
여기서, 항균성 금속 또는 그 이온을 함유하는 물질로는 항균성 금속 또는 그 이온자체 및 항균성 금속 또는 그 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 혹은 항균성 금속 또는 그 이온을 담지(擔持)한 물질을 들 수 있다.
항균성 금속으로는 은, 동, 아연 등이 있고, 항균성 금속 또는 그 이온의 담지체(擔持體)로는 유약, 글래스, 용해성 글래스, 층형상(層形狀) 규산염, 층형상 알루미노 규산염, 아파타이트(apatite), 인산칼슘, 인산알루미늄, 제올라이트(zeolite ; 불석),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티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중, 위생도기의 소성온도에 있어서도 내열성을 갖는 점에서 유약, 글래스, 아파타이트(apatite), 인산칼슘, 인산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티탄 등이특히 바람직하다.
우레아제를 변기의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은 변기의 표면에 부착 또는 체류수중에 존재하는 우레아제 또는 우레아제를 보유하는 균을 변기의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말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물, 세정수, 살균성을 갖는 액체 등과 함께 변기의 외부로 홀리는 방법, 우레아제를 화학적 방법, 열적 방법 등에 의해 분해하는 방법이 있다. 우레아제는 효소로서 상당히 안정된 물질이므로 이중 물, 세정수, 살균성을 갖는 액체 등과 함께 변기의 외부로 흘려보내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은 우레아제의 효소로서의 작용을 저지 또는 둔화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물질을 변기의 표면에 부착하고 또는 체류수중에 존재하는 우레아제 또는 우레아제를 보유하는 균에 접촉시킨다.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물질로는 중금속을 함유하는 물질, 할로겐, 붕산, 키논, 과산화수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물질을 변기 표면에 부착하고 또 체류수중에 존재하는 우레아제 또는 우레아제를 보유하는 균에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중금속염류, 할로겐, 붕산, 키논, 과산화수소 등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흘리거나, 변기의 표면 또는 변기의 트랩부 등의 표면에 중금속염, 할로겐화물, 붕산염 등을 고정시켜 부착된 균에 부수(附隨)해서 존재하는 우레아제에 접촉시킨다.
또, 변기의 트랩부에는 중금속염, 할로겐화물, 붕산염 등을 고정한 고형물을배치해서 체류수중의 균에 부수(附隨)해서 존재하는 우레아제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된다.
세균을 살균 또는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은 살균과 우레아제의 효소로서의 작용의 저지 또는 둔화를 동시에 행하는 공정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균과 우레아제의 효소로서의 작용의 저지 또는 둔화를 동시에 행하는 물질을 변기의 표면에 부착하고 또한 체류수중에 존재하는 우레아제를 보유하는 균에 접촉시킨다.
살균과 우레아제의 효소로서의 작용의 저지 또는 둔화를 동시에 행하는 물질로는 은, 동, 아연 또는 그 이온을 함유하는 물질, 유리염소, 결합염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살균과 우레아제의 효소로서의 작용의 저지 또는 둔화를 동시에 행하는 물질을 변기 표면에 부착하고 또는 체류수중에 존재하는 우레아제 또는 우레아제를 보유하는 균에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은, 동, 아연 또는 그 이온을 함유하는 물질, 유리염소, 결합염소 등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흘리거나, 변기의 표면 또는 변기의 트랩부 등의 표면에 은, 동, 아연 또는 그 이온을 함유하는 물질을 고정해서 부착된 균에 접촉시킨다.
또, 변기의 트랩부에는 은, 동 아연 또는 그 이온을 함유하는 물질을 고정한 고형물을 배치해서 체류수중의 균에 부수해서 존재하는 우레아제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유리염소로란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이온을 말한다. 또, 결합염소란 모노클로라민(monochloramine), 디클로라민(dichloramine), 트리클로라민(trichloramine) 등을 말하고, 이중 모노클로라민(monochloramine), 디클로라민(dichloramine)에는 살균력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유리염소를 함유하는 액체를 이용할 경우는 수도물, 중수, 우물물, 공업용수 등의 염소를 함유하는 물을 전기분해해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염소를 함유하는 액체는 장치하면 유리염소량이 서서히 감소하므로 저장하기에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해당 전기분해장치는 양극과 음극 사이를 격막으로 구분해서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구분하여 그 중 산성수만 변기에 흘려보내는 방법과 무격막형(無隔膜型)으로하여 전기분해한 모든 액체를 변기에 흘려보내는 방법이 있다.
무격막형으로해서 전기분해한 모든 액체를 변기에 흘려보내는 방법은 다수의 변기를 연립시킨 변기유니트과 같이, 한꺼 번에 대량의 세정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다.
반대로 양극과 음극사이를 격막으로 구분해서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구분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일반가정 등에서 상수배관의 상류에 배치하여, 알칼리수는 음료용으로 제공하고, 유리염소를 함유하는 산성수를 변기에 흘려보내는 등의 각각 다른 용도와의 조합에 적합하다.
또, 유리염소는 산성용액중에서는 살균성이 보다 강한 차아염소산(HClO)의 형태로 존재한다.
염소이온 함유수를 전기분해하는 방법은 염소(鹽素)생성반응을 산소(酸素)생성반응보다 우세하게 하여 유리염소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양극의 전극에는 염소발생응 전극을 사용한 전기분해장치를 사용한다.
여기서 염소발생용 전극이란 염소생성반응을 야기할 수 있는 전극이며, 그 기본구조는 도전성 기재에 염소발생용 촉매를 담지한 것이나, 염소 발생용 촉매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염소발생용 촉매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면 페라이트(ferrite) 등의 철계(鐵系) 전극, 팔라듐(palladium)계 전극, 루테늄(ruthenium)계 전극, 이리듐(iridium)계 전극, 백금계 전극, 루테늄-주석계 전극, 팔라듐-백금계 전극, 이리듐-백금계 전극, 루테늄-백금계 전극, 이리듐-백금-탄탈계 전극 등이 있다.
도전성 기재(基材)에 염소발생용 촉매를 담지한 것은 기재부의 구조를 값싼 티탄, 스테인레스 등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코스트상 유리하다.
또, 특히 염소이온 함유수중의 염소이온함유량이 3∼40ppm정도밖에 없는 수도물을 이용할 경우 유리염소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균을 충분히 살균하는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관점에서 이리듐계 전극, 이리듐-백금계 전극, 이리듐-백금-탄탈계 전극 등이 적절하다.
또한, 전극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전성 기재에 염소발생용 촉매를 담지한 것을 이용할 경우 백금을 함유하는 편이 기재에 고정하기가 좋고 잘 이탈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전기분해조내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은 직류전압이라도 좋고 교류전압이라도 좋다.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이 교류전압일 경우에는 양극 모두 염소발생용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외의 경우는 음극의 전극은 기본적으로 도전성 재료이면 된다. 예를 들면, 철, 스테인레스강 등의 값싼 재료를 사용하면 제조코스트상 유리하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주로 소변기를 대상으로 기재하였지만, 대변기에 있어서의 황색 얼룩(yellowish stain)의 오염방지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세정방법으로 대처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1)가 제 1 분기관(2)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의 플러시밸브(flush valve)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밸브(5)가 제 1 분기관(2)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연속식 전기분해조(1)는 제 2 분기관(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의 급수밸브(4)보다 하류위치에 접속되어 있고, 제 2 분기관(6)이 접속된 변기세정용 급수관(3)은 소변기(A1)에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를 내장하는 제어장치(7)가 전기분해조(1)와 개폐밸브(5)에 접속되어 있으며, 급수밸브(4)는 공지의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제어장치(7)에 의해 적당히 개폐밸브(5)가 열리고, 급수밸브(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에서 제 1 분기관(2)을 통해서 수도물이 연속식 전기분해조(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유입된다. 개폐밸브(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7)에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는 제 2 분기관(6)을 통해서 급수밸브(4)보다 하류위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으로 유입되어 소변기(A1)에 유입된다. 그에 따라, 변기(A1)가 적당히 살균되고 균에 함유된 우레아제는 균과 함께 소변기(A1)외부로 흘려보내지게 되어 요석의 석출이 방지되고, 소변기(A1)의 오염발생이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1)에 수도물을 흘려보내서 소변기(A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액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수도물의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시키므로 본 변기세정장치는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안전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해서 제어장치(7)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개폐밸브(5)가 열리고, 개폐밸브(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하면, 생균을 단속적으로 사멸시켜 제거하게 되므로 외기(外氣) 등으로부터 변기에 부착하는 생균의 증식 및 고착을 유효하게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근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어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단속적으로 전기분해하므로써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량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에 흘려보내는 경우의 시간간격은 소정 농도의 유리염소가 소비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간격으로 하는 편이 좋다. 유리염소가 없어지면 외래균이 살균되지 않게 되어 균의 증식, 나아가 우레아제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도 26 의 실선부분에 유리염소 함유수의 첨가시간간격과 유리염소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냈다. 소정 농도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에 흘려보내는 시간간격은 이 도면의 실선보다 좌측, 즉 짧은 시간간격으로 흘려보내면 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해서 제어장치(7)에 의해 야간에만 개폐밸브(5)가 열리고, 개폐밸브(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하면, 예컨대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게 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을 방지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에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지고, 소변기(A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해서 제어장치(7)에 의해 야간에만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개폐밸브(5)가 열리고, 개폐밸브(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하면, 전기분해조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더욱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량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에 접속하고, 제어장치(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이 통상의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야간에만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낼 경우, 우선 제어장치(7)는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에 세정신호를 보내 변기에 세정수를 흘려보낸다. 그에 따라 변기내의 체류수가 치환되고(이로 인하여 체류수의 약 99%가 새로운 물로 치환된다), 대부분의 세균이 변기의 외부로 배제된다. 그후, 제어장치(7)가 상기와 같이 개폐밸브(5)를 열고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연속식 전기분해조(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어 변기(A1)에 흘려보내진다. 그에 따라, 잔류한 세균이 충분히 살균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제어장치(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7)에 입력해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7)의 타이머가 시동하도록 하여 제어장치(7)에 의해 변기사용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소변기(A1)가 사용되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개폐밸브(5)가 열리고, 개폐밸브(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방식에서는 자원절약이나 에너지절약의 효과가 가장 크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제어장치(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7)에 입력해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어장치(7)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소변기(A1)가 사용되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개폐밸브(5)가 열리고, 개폐밸브(5)가 열림과 동시 또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하여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하면, 요소의 공급과 함께 살균 및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이 저해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어 자원과 에너지가 절약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제어장치(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7)로 입력해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해서 제어장치(7)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완료직후에 즉, 소변기(A1)가 사용되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약간 지연시켜서,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개폐밸브(5)가 열리고, 개폐밸브(5)가 열릴 때마다 제어장치(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해도,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마찬가지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에 의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넓게 확산된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어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되게 된다.
또,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제 1 분기관(2) 도중에 개폐밸브(5)대신에 유량제어밸브를 설치해도 된다. 제어장치(7)는 소정의 시간에 유량제어밸브를 열고, 소정의 개방정도로 이를 설정한다. 유량제어밸브의 개방정도를 크게 하면 단위시간에 연속식 전기분해장치(1)에 유입하는 수도물의 양도 커져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유리염소의 농도는 낮아지고 개방정도를 작게 하면 수도물의 유입량도 적어져서 유리염소의 농도는 높아진다. 이와 같이, 개폐밸브(5) 대신에 유량제어밸브를 사용하면 유량제어의 수법에 의해 유리염소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한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된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11)가 제 1 분기관(12)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1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1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밸브(15)가 제 1 분기관(12)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연속식 전기분해조(11)는 제 2 분기관(16)를 통해서 변기트랩(A12)에 접속되어 있다. 변기세정용 급수관(13)은 소변기(A11)에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를 내장하는 제어장치(17)가 연속식 전기분해조(11)와 개폐밸브(15)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밸브(14)는 공지의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제어장치(17)에 의해 적절히 개폐밸브(15)가 열리고, 급수밸브(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3)에서 제 1 분기관(12)을 통해서 수도물이 연속식 전기분해조(1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에 유입된다. 개패밸브(1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제어장치(1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연속식 전기분해조(1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는 제 2 분기관(16)을 통해서 변기트랩(A12)으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변기(A11)의 체류수가 적절히 살균되고, 균을 함유하는 우레아제는 균과 함께 소변기(A11)외부로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가장 황색 얼룩(yellowish stain)이 부착하기 쉬운 부위인 변기트랩(A12)에서 요석의 석출이 방지되고 황색 얼룩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1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서 소변기(A1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A12)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변기세정액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수도물의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시키므로, 본 변기세정장치는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안전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제어장치(17)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개폐밸브(15)가 열리고, 개폐밸브(1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1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서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하면 생균을 단속적으로 사멸시켜 제거하게 되므로 외기 등으로부터 변기트랩(A12)의 체류수에 유입되는 생균의 번식 및 변기트랩(A12)으로의 고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근거한 우레아제의 증가,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어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서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단속적으로 전기분해하므로써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제어장치(17)에 의해 야간에만 개폐밸브(15)가 열리고, 개폐밸브(1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1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서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하면,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될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A1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제어장치(17)에 의해 야간에만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개폐밸브(15)가 열리고, 개폐밸브(1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1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서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하면,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더욱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1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에 접속하고 제어장치(1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이 통상의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야간에만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낼 경우, 우선 제어장치(17)는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에 세정신호를 보내고 변기에 세정수를 흘려보낸다. 그에 따라 변기내의 체류수가 치환되어(이로 인하여 체류수의 약 99%가 새로운 물로 치환된다), 대부분의 세균이 변기의 외부로 배제된다. 그 후, 제어장치(17)가 상기와 같이 개폐밸브(15)를 열고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연속식 전기분해조(1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어서 변기트랩(A12)에 흘려보내진다. 그에 따라 잔류한 세균이 충분히 살균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제어장치(17)를 다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에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7)에 입력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17)의 타이머가 시동하도록 하여, 제어장치(17)에 의해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소변기(A11)가 사용되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개폐밸브(15)가 열리고 개폐밸브(1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1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이 방식에서는 자원절약, 에너지절약의 효과가 가장 크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제어장치(1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7)에 입력해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어장치(17)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소변기(A11)가 사용되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개폐밸브(15)가 열리고, 개폐밸브(15)가 열림과 동시 또는 타이머의 지시보다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1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1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어서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도록 하면, 요소의 공급과 함께 살균 및 우레아제의 효소저해가 이루어지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가 절약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제 1 분기관(12) 도중에 개폐밸브(15)대신에 유량제어밸브를 배치하여 설치해도 된다. 제어장치(17)는 소정의 시간에 유량제어밸브를 열고, 소정의 개방정도로 이를 설정한다. 유량제어밸브의 개방정도를 크게 하면 단위시간에 연속식 전기분해장치(11)에 유입하는 수도물의 양도 커져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유리염소의 농도는 낮아지고 개방정도를 작게 하면 수도물의 유입량도 적어져서 유리염소의 농도는 높아진다. 이와 같이, 개폐밸브(15) 대신에 유량제어밸브를 사용하면 유량제어의 수법에 의해 유리염소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와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한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된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21)가, 변기세정용 급수관(2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24)보다 하류방향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27)가 연속식 전기분해조(21)에 접속되어 있고, 급수밸브(24)는 공지의 변기자동세정시스템(B21)에 접속되어 있으며, 변기세정용 급수관(23)은 소변기(A21)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변기자동세정시스템(B21)의 작동에 의해 급수밸브(24)가 열리고, 변기세정용 급수관(23)을 통해서 수도물이 연속식 전기분해조(21)의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에 유입된다. 급수밸브(24)로의 제어신호는 변기자동세정시스템(B21)에서 제어장치(27)로 보내진다. 상기 신호를 받은 제어장치(2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연속식 전기분해조(21)의 전극사이에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된다.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는 변기세정용 급수관(23)을 통해서 소변기(A21)에 흘려보내진다.
그에 따라 변기(A21)에 있어서 사용할 때마다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요소의 공급과 함께 살균 및 우레아제의 효소저해가 이루어져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도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안전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또한 제어장치(27)에 타이머를 설치하고, 제어장치(27)가 급수밸브(24)로의 제어신호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21)으로부터 받은 후, 급수밸브(24)가 열려있는 시간이 완료되기까지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서 연속식 전기분해조(21)외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흐르는 수도물이 전기분해되도록 해도 된다.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21)에 의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넓게 확산된다. 이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어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상기 도 1 및 도 3 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변기세정장치는, 모두 연속식 전기분해조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속식 전기분해조는 어떠한 구조이어도 된다. 단, 염소이온을 함유하는 수도물을 저유한 상태가 아니고 물이 흐르는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전기분해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 에너지절약의 관점에서는 전극사이에 격막이 개재하지 않는 무격막형의 전기분해조가 바람직하다. 무격막형의 전기분해조에 있어서는 전극사이의 간격을 좁혀 전기분해에 요구되는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전극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전기분해조의 소형화, 콤펙트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전기분해조로서는 예를 들면 PCT/JP95/01036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분해법, 즉 서로 0.2mm 이상의 간격을 떨어뜨린 적어도 한 쌍의 전극판 사이에 수도물의 유로를 설치하고, 전극판에 300∼1100A/㎡의 직류전류를 흘려보내는 방법,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극의 간격을 0.4mm 이상으로, 직류전압을 400∼600A/㎡로 설정하는 방법을 이용한 전기분해조가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한쌍의 전극과 플로트센서(float sensor)(38)를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31)가 제 1 분기관(32)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3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제어밸브(35)가 제 1 분기관(32)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는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에 접속되어 있으며, 개폐밸브(39)가 제 2 분기관(36)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 2 분기관(36)이 접속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은 소변기(A31)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37)가 저수식 전기분해조(31)의 전극과 플로트센서(38) 및 개폐밸브(39)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에서 제 1 분기관(32)과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에 유입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38)에 의해 검지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檢知)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급수밸브(3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 유입되어 소변기(A31)에 흘려보내진다.
여기서 전극이 물에 잠기는 시점, 저수식 전기분해조의 수위가 소정치에 달하는 시점은 상기와 같이 플로트센서에 의해 직접 수위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해도 되고 혹은, 개폐밸브가 열린 시점으로부터의 시간경과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해도 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3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서 소변기(A3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이 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도 도 1 에서 도 3 의 변기세정장치와 동일하게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상기 장치에서는 유량제어밸브(35)의 유속을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소변기(A31)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유리염소 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단속적으로 전기분해하므로써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어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도 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37)와 유량제어밸브(35)를 접속해서 제어장치(3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제어장치(37)에 의해 적절히 유량제어밸브(35)를 열고, 소정의 유속으로 조정되도록 한 후,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32)과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리면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31)에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유량제어밸브(35)가 닫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32)과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에 유입한 후, 개폐밸브(39)가 열린다.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고 소변기(A31)에 흘려보내지는 동안의 작동은 상기와 동일하다. 즉,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38)에 의해 검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온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린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필요할 때에만 유량제어밸브(35)를 열고,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A31)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와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도 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37)와 유량제어밸브(35)를 접속하고 제어장치(37)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야간에만 유량제어밸브(35)를 열고, 소정의 유속으로 조정되도록 한다.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32)와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로 유입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38)에 의해 검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31)로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온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35)가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야간에만 변기(A31)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3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지고, 소변기(A3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의 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3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에 접속하고 제어장치(3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이 통상의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야간에만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낼 경우, 우선 제어장치(37)는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에 세정신호를 보내고 변기에 세정수를 흘려보낸다. 그에 따라 변기내의 체류수가 치환되고(이로 인하여 체류수의 약 99%가 새로운 물로 치환된다), 대부분의 세균이 변기의 외부로 배제된다. 그 후, 제어장치(37)가 상기와 같이 유량제어밸브(35)를 연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고 변기(A31)에 흘려보내져 잔류한 세균이 충분히 살균된다.
또, 이와 같이 야간에만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낼 경우, 야간에 최초에 흘려보낼 때에만 고농도 또는 대량으로 흘려보내고, 그 야간에 2회째 이후는 그보다 저농도 또는 소량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내도록 해도 된다. 유리염소 함유수를 고농도로 하기 위해서는 유량제어밸브(35)의 개방정도를 작게 하거나 전극사이에 흘려보내는 전류를 증가시키면 된다. 저농도로 하기 위해서는, 그 반대로 유량제어밸브(35)의 개방정도를 크게 하거나 전극사이에 흘려보내는 전류를 감소시키면 된다. 또, 대량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에 흘려보내기 위해서는 상기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수위"를 약간 높게 설정하면 되고 소량으로 하기 위해서는 그 소정수위를 낮게 설정하면 된다.
도 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37)와 유량제어밸브(35)를 접속하고 제어장치(37)에 타이머를 설치한다. 제어장치(3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3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3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 하여 제어장치(37)에 의해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소변기(A3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37)가 유량제어밸브(35)를 열어 소정의 유속으로 조정되게 한다.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32)과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에 유입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38)에 의해 검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에 유입되어 소변기(A31)에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39)가 닫히고, 또한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 유량제어밸브(35)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만 변기(A31)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37)와 유량제어밸브(35)를 접속하고, 제어장치(3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제어장치(3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3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어장치(37)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즉 소변기(A3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유량제어밸브(35)를 열어 소정의 유속으로 조정되도록 한다.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32)과 유량제어밸브(35)을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로 유입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38)에 의해 검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와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31)에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39)가 닫히고 또한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 밸브(35)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사용 후의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에 의한 변기세정 후 변기 표면이 젖어있는 동안에 변기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넓게 확산된다. 이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의 표면이 살균되고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3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32)에 개폐밸브(C)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37)를 개폐밸브(C)에 접속하며, 제어장치(3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유량제어밸브(35)는 항상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둔다. 적절히 개폐밸브(C)를 열고,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32), 개폐밸브(C) 및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로 유입되도록 한다. 개폐밸브(39)가 열리면,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31)에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C)가 닫힌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32)과 개패밸브(C) 및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로 유입한 후 개폐밸브(3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31)에 흘려보내지는 동안의 작동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즉,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38)에 의해 검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린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필요할 때만 개폐밸브(C)를 열고,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A31)에 홀려보탤 수 있으므로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가 절약된다.
또, 개폐밸브(C)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3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32)에 개폐밸브(C)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37)를 개폐밸브(C)에 접속하고 제어장치(37)에 타이머를 설치한다. 유량제어밸브(35)는 항시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둔다. 야간에만 개폐밸브(C)를 연다.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32)과 개폐밸브(C) 및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로 유입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38)에 의해 검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31)로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 개폐밸브(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C)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야간에만 변기(A31)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3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지고, 소변기(A3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의 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또,개폐밸브(C)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하게 되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게 된다.
도 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3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32)에 개폐밸브(C)를 설치하고, 제어장치(37)를 개폐밸브(C)에 접속하며, 그리고 유량제어밸브(35)는 항시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둔다. 제어장치(37)에 타이머를 설치하고 제어장치(37)는 항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3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3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제어장치(37)에 의해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소변기(A31)가 사용되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개폐밸브(C)를 연다. 급수관(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에서 제 1 분기관(32)과 개폐밸브(C) 및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로 유입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38)에 의해 검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31)로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조금 지연시켜서 개폐밸브(C)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만 변기(A31)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개폐밸브(C)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하게 되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3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32)에 개폐밸브(C)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37)를 개폐밸브(C)에 접속하며, 그리고 유량제어밸브(35)는 항시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둔다. 제어장치(3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3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37)에도 입력하도록 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에 의해 변기사용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소변기(A3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C)를 연다. 급수밸브(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32)과 개폐밸브(C) 및 유량제어밸브(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로 유압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38)에 의해 검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37)에 의해 개폐밸브(3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39)와 제 2 분기관(3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33)의 급수밸브(3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31)로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3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조금 지연시켜서 개폐밸브(C)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사용 후 변기자동세정시스템(B31)에 의한 변기세정 후, 변기 표면이 젖어있는 동안에 변기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넓게 확산된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고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파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한쌍의 전극과 플로트센서(48)를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41)가 제 1 분기관(42)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4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4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고, 개폐밸브(45)가 제 1 분기관(42)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식 전기분해조(41)는 제 2 분기관(4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43)의 급수밸브(44)보다 하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밸브(49)가 제 2 분기관(46)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 2 분기관(46)이 접속된 변기세정용 급수관(43)은 소변기(A41)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장치(47)가 저수식 전기분해조(41)의 전극과 플로트센서(48) 및 개폐밸브(45),(49)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급수밸브(4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43)으로부터 제 1 분기관(42)과 개폐밸브(45)를 통해서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41)에 유입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4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48)에 의해 검지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4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플로트센서(4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47)에 의해 개폐밸브(45)가 닫힌다. 제어장치(47)에는 타이머가 설치되어 있고, 소정시간대에 있어서 저수식 전기분해조(41)의 전극사이에, 저수식 전기분해조(4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했을 경우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4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4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 후 제어장치(47)에 의한 지시로 신속하게 개폐밸브(4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49)와 제 2 분기관(4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43)의 급수밸브(4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41)에 흘려보내진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4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서 소변기(A4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의 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도, 도 1 내지 도 4 의 변기세정장치와 동일하게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상기 장치에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적절히 저수식 전기분해조(41)내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어 소변기(A41)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흘려 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저수식 전기분해조(41)의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대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A41)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단속적으로 전기분해되어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어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야간에만 저수식 전기분해조(41)의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대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야간에만 변기(A41)에 흘려 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4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지고, 소변기(A4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의 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또, 항시 변기에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화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4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에 접속하고 제어장치(4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이 통상의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야간에만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낼 경우, 우선 제어장치(47)는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에 세정신호를 보내고 변기에 세정수를 흘려보낸다. 그에 따라 변기내의 체류수가 치환되고(이로 인하여 체류수의 약 99%가 새로운 물로 치환된다), 대부분의 세균이 변기의 외부로 배제된다. 그 후, 제어장치(47)가 상기와 같이 개폐밸브(45)를 연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되고 변기(A41)에 흘려보내져 잔류한 세균이 충분히 살균된다.
또, 이와 같이 야간에만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낼 경우, 야간에 최초에 흘려보낼 때에만 고농도 또는 대량으로 흘려보내고, 그 야간에 2회째 이후는 그보다 저농도 또는 소량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내도록 해도 된다. 유리염소 함유수를 고농도로 하기 위해서는 전극사이에 흘려보내는 전류를 증가시키면 되고, 저농도로 하기 위해서는 그 반대로 전극사이에 흘려보내는 전류를 감소시키면 된다. 또, 대량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에 흘려보내기 위해서는 상기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수위"를 약간 높게 설정하면 되고, 소량으로 하기 위해서는 그 소정 수위를 약간 낮게 설정하면 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4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4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4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제어장치(47)에 의해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소변기(A4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의거하여 저수식 전기분해조(41)의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대를 설정하도록 한다. 그러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만 변기(A41)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한, 항시 변기에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도수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4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4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의 작동 신호에 따라 제어장치(47)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가 사용될 때마다, 즉 소변기(A4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저수식 전기분해조(41)의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사용 후 변기자동세정시스템(B41)에 의한 변기세정 후, 변기 표면이 젖어있는 동안에 변기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넓게 확산된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고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6(A)는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플로트센서(58)를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51)가 제 1 분기관(52)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5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5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고, 유량제어밸브(55)가 제 1 분기관(52)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식 전기분해조(51)는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밸브(59)가 제 2 분기관(56)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어장치(57)가 저수식 전기분해조(51)의 전극과 플로트센서(58) 및 개폐밸브(59)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으로부터 제 1 분기관(52)과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51)에 유입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58)에 의해 검지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5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에 흘려보내진다. 그에 따라, 변기(A51)의 체류수가 적절히 살균되고 균에 함유된 우레아제는 균과 함께 변기(A51)의 외부로 흘려보내지게되므로 가장 황색 얼룩(yellowish stain)이 부착되기 쉬운 부위인 변기트랩(A52)에 있어서 요석의 석출이 방지되고 황색 얼룩(yellowish stain)오염이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5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서 소변기(A5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A52)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도 도 1 내지 5 의 변기세정장치와 동일하게 변기세정액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수도물의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시키므로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상기 장치에서는 유량제어밸브(55)의 유속을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소변기(A51)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유리염소 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및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분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단속적으로 전기분해하므로써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어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도 6(A)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57)와 유량제어밸브(55)를 접속해서 제어장치(5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적절히 유량제어밸브(55)를 열어 소정의 유속으로 조정되도록 한다.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으로부터 제 1 분기관(52)과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로 유입되도록 한다. 개폐밸브(59)를 열어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를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으로 흘려보낸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5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55)가 닫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에서 제 1 분기관(52)과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을 저수식 전기분해조(51)에 유입한 후 개폐밸브(5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으로 흘려보내지는 동안의 작동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즉,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58)에 의해 검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온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59)가 열린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필요할 때에만 유량제어밸브(55)를 열고,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트랩(A52)으로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도 6(A)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57)와 유량제어밸브(55)를 접속하고 제어장치(5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며, 야간에만 유량제어밸브(55)를 열고, 소정의 유속으로 조정되도록 한다.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에서 제 1 분기관(52)과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로 유입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58)에 의해 검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5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으로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5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조금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55)가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야간에만 변기(A51)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5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지고, 소변기(A5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A5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도 6(A)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57)와 유량제어밸브(55)를 접속하고 제어장치(5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제어장치(5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5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5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제어장치(57)에 의해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소변기(A5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의거하여 유량제어밸브(55)를 열고, 소정의 유속으로 조정되게 한다.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으로부터 제 1 분기관(52)과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51)에 유입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58)에 의해 검지되어 저수식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5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에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59)가 닫히고, 또한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55)를 닫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만 변기트랩(A52)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6(A)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57)와 유량제어밸브(55)를 접속하고, 제어장치(57)에 타이머를 설치한다. 제어장치(5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5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어장치(57)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소변기(A5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때마다 유량제어밸브(55)를 열어 소정의 유속으로 조정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에서 제 1 분기관(52)과 유량제어밸브(55)을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로 유입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58)에 의해 검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5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으로 흐르게 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59)가 닫히고 또한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55)가 닫힌다.
도 6(A)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5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52)에 개폐밸브(D)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57)를 개폐밸브(D)에 설치하며, 제어장치(5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유량제어밸브(55)는 항상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두고 적절히 개폐밸브(D)를 열어서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에서 제 1 분기관(52)과 개폐밸브(D) 및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로 유입되도록 한다. 개폐밸브(59)가 열리면,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으로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5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D)가 닫힌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에서 제 1 분기관(52)과 개폐밸브(D) 및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로 유입된 후 개폐밸브(5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에 흘려보내지는 동안의 작동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즉,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58)에 의해 검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59)가 열린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필요할 때만 개폐밸브(D)를 열고,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트랩(A52)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가 절약된다.
또한, 개폐밸브(D)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6(A)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5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52)에 개폐밸브(D)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57)를 개폐밸브(D)에 접속한다. 제어장치(57)에 타이머를 설치하며, 유량제어밸브(55)는 항시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두고, 야간에만 개폐밸브(D)를 연다.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에서 제 1 분기관(52)과 개폐밸브(D) 및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로 유입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58)에 의해 검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5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으로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 개폐밸브(5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D)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야간에만 변기트랩(A52)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51)에 수도물이 흘려 보내지고, 소변기(A5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A5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또, 개폐밸브(D)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하게 되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게 된다.
도 6(A)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5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52)에 개폐밸브(D)를 설치하고, 제어장치(57)를 개폐밸브(D)에 접속하며, 유량제어밸브(55)는 항시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둔다. 제어장치(5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제어장치(57)는 항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5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5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제어장치(57)에 의해,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소변기(A51)가 사용되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개폐밸브(D)를 연다. 그에따라, 급수관(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으로부터 제 1 분기관(52)과 개폐밸브(D) 및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전기분해조(51)로 유입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58)에 의해 검지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5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으로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5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조금 지연시켜서 개폐밸브(D)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만 변기트랩(A52)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개폐밸브(D)를 설치하므로써 개패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하게 되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6(A)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5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52)에 개폐밸브(D)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57)를 개폐밸브(D)에 접속하며, 유량제어밸브(55)는 항시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둔다. 제어장치(5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5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5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에 의해 변기사용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소변기(A5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5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D)를 연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5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53)으로부터 제 1 분기관(52)과 개폐밸브(D) 및 유량제어밸브(5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로 유입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58)에 의해 검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5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7)에 의해 개폐밸브(5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59)와 제 2 분기관(56)을 통해서 변기트랩(A52)으로 흘려보내진다. 저수식 전기분해조(5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5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조금 지연시켜서 개폐밸브(D)가 닫힌다.
도 6(B) 는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플로트센서(68)를 갖는 저수식 전기분해조(61)가 제 1 분기관(62)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6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6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밸브(65)가 제 1 분기관(62) 도중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고, 저수식 전기분해조(61)는 제 2 분기관(66)을 통해서 변기트랩(A62)에 접속되어 있으며, 개폐밸브(69)가 제 2 분기관(66)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67)가 저수식 전기분해조(61)의 전극과 플로트센서(68) 및 개폐밸브(65),(69)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급수밸브(6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63)으로부터 제 1 분기관(62)과 개폐밸브(65)를 통해서 수도물이 저수식 전기분해조(61)에 유입되고, 저수식 전기분해조(6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68)에 의해 검지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6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 보다 높온 소정치에 달하면 플로트센서(6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67)에 의해 개폐밸브(65)가 닫힌다. 제어장치(67)에는 타이머가 설치되어 있고, 소정시간대에 있어서 저수식 전기분해조(61)의 전극사이에 저수식 전기분해조(61)내의 수위가 전극의 상단부보다 높은 소정치에 달했을 경우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저수식 전기분해조(6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다. 저수식 전기분해조(61)내의 저유수가 전기분해된 후 제어장치(67)에 의한 지시로 신속하게 개폐밸브(6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69)와 제 2 분기관(66)을 통해서 변기트랩(A62)에 흘려보내진다. 그에 따라, 변기(A61)의 체류수가 적절히 살균되고 균에 함유된 우레아제는 균과 함께 변기(A61)의 외부로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가장 황색 얼룩(yellowish stain)이 부착되기 쉬운 부위인 변기의 트랩(A62)에 있어서 요석의석출이 방지되고 황색 얼룩(yellowish stain) 오염이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6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서 소변기(A6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의 트랩(A62)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도 도 1 내지 도 6(A)의 변기세정장치와 동일하게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상기 장치에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적절히 저수식 전기분해조(61)내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어 변기의 트랩(A62)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및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저수식 전기분해조(61)의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트랩(A62)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단속적으로 전기분해되게 되어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의 전극의 수명이 향상되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항시 변기에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야간에만 저수식 전기분해조(61)의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야간에만 변기의 트랩(A62)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6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지고, 소변기(A6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의 트랩(A6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또, 항시 변기에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6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6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6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 하여 제어장치(67)에 의해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소변기(A6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의거하여 저수식전기분해조(61)의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대를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그렇게 하면,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만 변기(A61)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항시 변기에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67)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6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의 작동신호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소변기(A6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6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67)에 의해 저수식 전기분해조(61)의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대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변기세정탱크(E)내에 적어도 한 쌍의 전극(71)과 플로트센서(72)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어장치(77)가 변기세정탱크(E)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어장치(77)는 전극(71)과 플로트센서(72)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변기세정탱크(E)내의 수위가 플로트센서(72)에 의해 검지된다. 변기세정탱크(E)내의 수위가 전극(71)의 상단부 높이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72)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77)로부터 전극(71)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변기세정탱크(E)내의 수도물의 체류수가 전기분해된다. 도시하지 않은 변기자동세정시스템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변기세정탱크(E)에 장착된 개폐밸브(F)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세정탱크(E)에서 도시하지 않은 변기로 흘려보내진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변기 표면이 살균되어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도 1 내지 도 6(B)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도 7 의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제어장치(7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소정의 시간대에 있어서 변기세정탱크(E)내의 수위가 전극(71)의 상단부 높이 이상에 달했을 경우에만 변기세정탱크(E)내의 수도물의 체류수가 전기분해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의 사용빈도와 상관없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변기세정탱크(E)에서 도시하지 않은 변기에 흘려보내지므로 수도와 전기의 양을 절약할 수 있어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한쌍의 전극과 전극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유로에 연통되는 액체유입구와 액체유출구를 갖는 연속식 전기분해조(181)가 제 1 분기관(182)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18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18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밸브(185)가 제 1 분기관(182)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연속식 전기분해조(181)의 하류에는 연속식 전기분해조(181)에 있어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를 함유하는 물을 저유하기 위한 액(液)저장부(188)가 설치되어 있으며, 액저장부(188)는 제 2 분기관(18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183)의 급수밸브(184)보다 하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분기관(186)이 접속된 변기세정용 급수관(183)은 소변기(A181)에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를 내장하는 제어장치(187)가 전기분해조(181)와 제 2 분기관(186)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된 개폐밸브(189)에 접속되어 있고, 급수밸브(184)는 공지의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81)에 접속되어 있다.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8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83)에서 제 1 분기관(182)과 개폐밸브(185)를 통해서 수도물이 연속식 전기분해조(181)로 유입된다. 수도물은 여기서 전기분해되어 유리염소 함유수가 생성된다. 유리염소 함유수는 액저장부(188)에 저유된다. 제어장치(187)에 의해 적절히 개폐밸브(189)가 열리고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가 개폐밸브(189)와 제 2 분기관(186)을 지나서 급수밸브(18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83)으로 유입되어 소변기(A181)로 흘려 보내진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8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181)에 수도물이 흘려 보내지고 소변기(A18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A182)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상기 장치에서는 개폐밸브(189)의 개폐타이밍을 적절히 제어하므로써 소정의타이밍으로 소변기(A181)에 유리염소 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및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서는 액저장부(188)를 설치하므로써 유리염소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유지하면서 대유량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일시에 변기에 흘려보낼 수 있다. 또, 이를 위하여 액저장부(188)와 변기(A181)사이에 압송펌프를 설치하여 액저장부(188)에 저유된 유리염소 함유수를 더욱 강하게 변기(A181)로 보내도록 하여도 된다. 연속식 전기분해조내에서 생성되는 유리염소 함유수중의 유리염소 농도는 단위시간마다 통과유량이 적을수록, 또 전기분해조건의 설정전류밀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나, 상기 액저장부(188)를 설치하므로써 단위시간당의 유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또 전기분해조건의 설정전류밀도를 높이지 않고 대유량 소정 농도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일시에 변기로 흘려보낼 수 있다. 따라서, 전기분해장치의 전극 등의 수명을 저하시키지 않고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분기관(182)에는 개폐밸브(185)대신에 유량제어밸브를 설치해도 된다. 또, 개폐밸브(185)와 유량제어밸브를 직렬로 설치해도 되며, 유량제어밸브를 설치하므로써 연속식 전기분해조(181)로 유입되는 수도물의 유량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유량제어에 의해 소망하는 농도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2 분기관(186)을 변기(A181)의 트랩부(A182)에 접속하고, 액저장부(188)에 담은 유리염소 함유수를트랩부(A182)에 흘려보내도록 하여도 된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장치(187)에 의한 개폐밸브 및 유량제어밸브의 개폐제어 및 개방정도의 제어, 및 각 경우에 있어서의 작용 및 효과는 상기 도 4 및 도 5 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서는 유리염소 함유수를 생성하는 전해조(電解糟)(181)를 설치했으나 이것을 결합염소함유수를 생성하는 장치 혹은 후술하는 오존함유수를 생성하는 장치로 대신해도 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존함유수 생성기(81)가 제 1 분기관(82)을 통해서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84)보다 상류위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83)에 접속되어 있고, 전자밸브 등의 개폐밸브(85)가 제 1 분기관(82)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오존함유수 생성기(81)는 제 2 분기관(86)을 통해서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84)보다 하류위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83)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분기관(86)이 접속된 변기세정용 급수관(83)은 소변기(A81)에 접속되어 있고, 타이머를 내장하는 제어장치(87)가 오존함유수 생성기(81)와 개폐밸브(85)로 접속되어 있으며,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84)는 공지의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87)에 의해 적절히 개폐밸브(85)가 열리고, 급수밸브(8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83)에서 제 1 분기관(82)을 통해서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81)로 유입된다. 개폐밸브(8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8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81)에서 오존함유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오존함유수는 제 2 분기관(8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83)의 급수밸브(84)보다 하류위치로 유입되어 소변기(A81)에 흘려보내진다. 그에 따라, 변기(A81)가 적절히 살균되어 균에 함유된 우레아제는 균과 함께 변기(A81)외부로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요석의 석출이 방지되고 변기(A81)의 오염발생이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변기(A8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변기(A8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의 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액인 오존함유수를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의해 무성방전이용이나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전기적 처리로 생성되므로 본 변기세정장치는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87)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개폐밸브(85)가 열리고 개폐밸브(8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8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8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하면 생균을 단속적으로 사멸, 제거하는 것이 되므로 외부공기 등에서 변기에 부착하는 생균의 증식 및 고착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87)에 의해 야간에만 개폐밸브(85)가 열리고, 개폐밸브(8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8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8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게 되므로, 이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의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8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8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의 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87)에 의해 야간에만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개폐밸브(85)가 열리고 개폐밸브(8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8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8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하면,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8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8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신호에 의해제어장치(8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소변기(A8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87)에 의해 개폐밸브(85)가 열린다. 개폐밸브(8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8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8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사용시에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8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8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8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8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신호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가 세정될 때마다, 즉 소변기(A8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제어장치(87)에 의해 개폐밸브(85)가 열린다. 개폐밸브(8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8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8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요소의 공급과 함께 오존함유수가 변기에 흘려보내지므로써 살균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85)가 열리도록 하면,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오존함유수가 변기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에 의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오존함유수가 널리 확산된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고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8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8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8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 하여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즉 소변기(A8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R8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약간 지연시켜서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개폐밸브(85)가 열린다. 개폐밸브(85)가 열림과 동시 또한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8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8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마찬가지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81)에 의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오존함유수가 널리 확산된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고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와 다른 실시예로서, 오존함유수 생성기(91)가 제 1 분기관(92)을 통해서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94)보다 상류위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93)에 접속되어 있고, 전자밸브 등의 개폐밸브(95)가 제 1 분기관(92)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오존함유수 생성기(91)는 제 2 분기관(96)을 통해서 변기트랩(A92)에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를 내장하는 제어장치(97)가 오존함유수 생성기(91)와 개폐밸브(95)에 접속되어 있고,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94)는 공지의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97)에 의해 적절히 개폐밸브(95)가 열리고 급수밸브(9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93)으로부터 제 1 분기관(92)을 통해서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91)로 유입된다. 개폐밸브(9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9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91)에서 오존함유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오존함유수는 제 2 분기관(96)을 통해서 변기트랩(A92)으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변기(A91)의 체류수가 적절히 살균되고 균에 함유된 우레아제는 균과 함께 변기(A91)의 외부로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가장 황색 얼룩이 부착하기 쉬운 부위인 변기의 트랩(A92)에 있어서 요석의 석출이 방지되고 황색 얼룩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변기(A9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변기(A9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92)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액인 오존함유수를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의해 무성방전 이용이나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전기적 처리로 생성시키므로 본 변기세정장치는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97)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개폐밸브(95)가 열리고 개폐밸브(9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9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91)에 의한 오존함유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생균을 단속적으로 사멸, 제거하게 되므로 외기 등에서 체류수에 유입되는 생균의 증식 및 변기트랩(A92)으로의 고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및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97)에 의해 야간에만 개폐밸브(95)가 열리고 개폐밸브(9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9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91)에 의한 오존함유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9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9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9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97)에 의해 야간에만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개폐밸브(95)가 열리고 개폐밸브(9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9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9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하면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9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9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9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소변기(A9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97)에 의해 개폐밸브(95)가 열린다. 개폐밸브(95)가 열림과 동시 또한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9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9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하여 변기의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사용시에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9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9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9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9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9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어장치(97)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소변기(A9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9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개폐밸브(95)가 열린다. 개폐밸브(95)가 열림과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어장치(9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9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요소이 공급과 함께 오존함유수가 변기에 흘려보내지게 되어 살균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존함유수 생성기(101)가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104)보다 하류위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03)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어장치(107)가 오존함유수 생성기(101)에 접속되어 있으며, 급수밸브(104)는 공지의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01)에접속되어 있다. 변기세정용 급수관(103)은 소변기(A101)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01)의 작동에 의해 급수밸브(104)가 열리고 변기세정용 급수관(103)을 통해서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01)로 유입된다. 급수밸브(104)로의 제어신호가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01)에서 제어장치(107)로 보내진다. 상기 신호를 받은 제어장치(107)에 의해 오존함유수 생성기(101)로 작동신호가 전해져 유입수에서 오존함유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오존함유수는 변기세정용 급수관(103)을 통해서 변기(A101)로 흘려보내진다.
그에 따라 변기(A101)가 사용될 때마다 오존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요소의 공급과 함께 살균되고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본 변기세정장치도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하여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또한 제어장치(10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107)가 급수밸브(104)로의 제어신호를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01)으로부터 받은 후 급수밸브(104)가 열려있는 시간이 완료되기까지의 사이에 오존함유수 생성기(101)에 의한 오존함유수의 생성이 개시되고 변기(A101)로 흘려보내지도록 하여도 된다. 그에 따라 변기사용 후에 변기세정이 완료되기까지 또는 완료직후에 오존함유수가 변기(A101)에 흘려 보내져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01)에 의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오존함유수가 넓게 확산한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어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존함유수 생성기(111)가 제 1 분기관(112)을 통해서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위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 접속되어 있고, 유량제어밸브(115)가 제 1 분기관(112)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는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의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밸브(119)가 제 2 분기관(116)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 2 분기관(116)이 접속된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은 소변기(A111)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117)가 오존함유수 생성기(111)의 플로트센서(118)와 유량제어밸브(115)와 개폐밸브(119)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서 제 1 분기관(112)과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된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118)에 의해 검지되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11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117)에 의해 유량제어밸브(115)가 닫히고 오존함유수생성기(111)내의 저유수는 오존함유수로 생성된다. 오존함유수가 생성된 후 제어장치(117)에 의해 개폐밸브(11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소변기(A111)로 흘려보내진다.
여기서 오존함유수 생성기내의 수위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은 상술한바와 같이 플로트센서(118)에 의해 직접 수위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해도 되고 혹은 개폐밸브가 열린 시점으로부터의 시간경과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해도 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변기(A11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변기(A11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도 변기세정액인 오존함유수를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의해 무성방전 이용이나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전기적 처리로 생성하므로 본 변기세정장치는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하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상기 장치에서는 유량제어밸브(115)의 유속(流速)을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변기(A111)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오존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및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오존함유수의 생성을 단속적으로 행하므로써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도 12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115)에 접속된 제어장치(11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적절히 유량제어밸브(115)를 열고, 소정의 유속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서 제 1 분기관(112)과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되게된다. 또, 개폐밸브(119)가 열리면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 개폐밸브(11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115)가 닫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서 제 1 분기관(112)과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된 후 개폐밸브(11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에 흘려보내지는 동안의 작동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즉,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118)에 의해 검지되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11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117)에 의해 유량제어밸브(115)가 닫힌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저유수는 오존함유수에 생성된다. 오존함유수가 생성된 후 제어장치(117)에 의해 개폐밸브(119)가 열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필요할 때만 유량제어밸브(115)를 열고 오존함유수를 변기(A111)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항시 흘려보낼 경우에 비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도 12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117)와 유량제어밸브(115)를 접속하고 제어장치(11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야간에만 유량제어밸브(115)를 열어 소정의 유속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서 제 1 분기관(112)과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된다. 또, 개폐밸브(11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1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115)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오존함유수가 야간에만 변기(A111)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1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1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도 12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117)와 유량제어밸브(115)도 접속하고 제어장치(11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제어장치(11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1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11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변기(A11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117)에 의해 유량제어밸브(115)를 열고 소정의 유속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부터 제 1 분기관(112)과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된다. 또, 개폐밸브(11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에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1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115)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사용시에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1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지고 소변기(A111)의 표면이 수세되어 변기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도 12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117)와 유량제어밸브(115)를 접속하고 제어장치(11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제어장치(11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1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변기(A11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제어장치(117)에 의해 유량제어밸브(115)를 열어 소정의 유속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서 제 1 분기관(112)과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된다. 또, 개폐밸브(11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1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115)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사용 후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에 의한 변기세정 후 변기 표면이 젖어있는 사이에 오존함유수를 변기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오존함유수가 넓게 확산된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고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12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11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112)에 개폐밸브(G)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117)를 개폐밸브(G)에 접속하고 제어장치(11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유량제어밸브(115)는 항상 소정의 유량으로 흐르도록 조정해두고 적절히 개폐밸브(G)를 열어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서 제 1 분기관(112)과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 개폐밸브(11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1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G)가 닫힌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부터 제 1 분기관(112)과 개폐밸브(G) 및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된 후 개폐밸브(119)가 열려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에 흘려보내지는 동안의 작동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즉,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118)에 의해 검지되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11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117)에 의해 개폐밸브(G)가 닫힌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저유수는 오존함유수로 생성되고오존함유수가 생성된 후 제어장치(117)에 의해 개폐밸브(119)가 열린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필요할 때만 개폐밸브(G)를 열어 오존함유수를 변기(A111)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가 절약된다.
또, 개폐밸브(G)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12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11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112)에 개폐밸브(G)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117)를 개폐밸브(G)에 접속하고 제어장치(117)에 타이머를 설치한다. 유량제어밸브(115)는 항상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두고 야간에만 개폐밸브(G)를 열어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서 제 1 분기관(112), 개폐밸브(G) 및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 개폐밸브(11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1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G)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1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1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또, 개폐밸브(G)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12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11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112)에 개폐밸브(G)를 설치하고 제어장치(117)를 개폐밸브(G)에 접속한다. 유량제어밸브(115)는 항상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둔다. 제어장치(11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제어장치(117)는 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1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11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변기(A11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117)에 의해 개폐밸브(G)를 연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서 제 1 분기관(112), 개폐밸브(G) 및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된다. 또, 개폐밸브(11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에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1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G)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사용시에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1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1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또, 개폐밸브(G)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2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115) 상류측의 제 1 분기관(112)에 개폐밸브(G)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117)를 개폐밸브(G)에 접속하며, 유량제어밸브(115)는 항상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둔다. 제어장치(11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117)는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에도 접속해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17)에 입력하도록 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에 의해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변기(A111)가 사용되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제어장치(117)에 의해 개폐밸브(G)를 열고 급수밸브(11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에서 제 1 분기관(112), 개폐밸브(G) 및 유량제어밸브(11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로 유입되도록 한다. 개폐밸브(119)가 열리면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19)와 제 2 분기관(116)을 통해서 급수밸브(11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13)으로 유입되어 변기(A111)에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1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1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G)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오존함유수를 변기사용 후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11)에 의한 변기세정 후 변기 표면이 젖어있는 동안에 변기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오존함유수가 넓게 확산된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고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붙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개폐밸브(G)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13 은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플로트센서(128)를 갖는 오존함유수 생성기(121)가 제 1 분기관(122)를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12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12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고, 개폐밸브(125)가 제 1 분기관(122)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오존함유수 생성기(121)는 제 2 분기관(126)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123)의급수밸브(124)보다 하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밸브(129)가 제 2 분기관(126)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 2 분기관(126)이 접속된 변기세정용 급수관(123)은 변기(A121)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장치(127)가 오존함유수 생성기(121)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2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23)으로부터 제 1 분기관(122)과 개폐밸브(125)를 통해서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21)에 유입된다. 오존함유수 생성기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128)에 의해 검지되어 오존함유수 생성기(121)내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128)에서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127)에 의해 개폐밸브(125)가 닫힌다. 제어장치(127)에는 타이머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시간대에 있어서는 오존함유수 생성기(121)내의 저유수가 소정의 값 이상 있는 경우에만 오존함유수가 생성된다. 오존함유수가 생성된 후 제어장치(127)에 의한 지시로 신속하게 개폐밸브(12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29)와 제 2 분기관(126)을 통해서 급수밸브(124)보다 하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23)으로 유입되어 소변기(A121)에 흘려보내진다.
여기서, 오존함유수 생성기내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은 상기 플로트센서(128)에 의해 직접 수위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해도 되고, 혹은 제 1 분기관(122)의 개폐밸브(125) 또는 제 2 분기관(126)의 개폐밸브(129)가 열린 시점으로부터의 시간경과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하여도 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변기(A12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변기(A12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도 변기세정액인 오존함유수를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의해 무성방전 이용이나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전기적 처리로 생성시키므로 본 변기세정장치는 종래의 화학약품을 수세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하여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상기 장치에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적절히 오존함유수가 생성되어 변기(A121)에 흘려보내진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및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오존함유수가 생성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A121)에 오존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어 자원과 에너지가 절약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근거하여 야간에만 오존함유수가 생성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야간에만 변기(A121)에 오존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2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2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12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12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27)에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12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변기(A12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127)에 의해 오존함유수가 생성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를 사용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만 오존함유수가 변기(A121)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하여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사용시에는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12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2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12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12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27)에도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신호에 의해 변기를 사용한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즉 변기(A121)가 사용되어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의 작동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제어장치(127)에 의해 오존함유수가 생성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존함유수가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오존함유수를 변기사용 후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21)에 의한 변기세정 후 변기 표면이 젖어있는 동안에 오존함유수를 변기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변기세정에 의해 젖은 변기 표면에 오존함유수가 넓게 확산된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변기 표면이 살균되고 우레아제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암모니아의 생성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도 14 는 본 발명에 관한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존함유수 생성기(131)가 제 1 분기관(132)을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13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고, 유량제어밸브(135)가 제 1 분기관(132)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는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트랩(A132)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밸브(139)가 제 2 분기관(136)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어장치(137)가 오존함유수생성기(131)의 플로트센서(138)와 유량제어밸브(135) 및 개폐밸브(139)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132)과 유량제어밸브(1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로 유입된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138)에 의해 검지되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1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137)에 의해 유량제어밸브(135)가 닫히고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저유수는 오존함유수로 생성된다. 오존함유수가 생성된후 제어장치(137)에 의해 개폐밸브(13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39)와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트랩(A132)으로 흘려보내진다. 그에 따라 변기(A131)의 체류수가 적절히 살균되고 균이 함유된 우레아제는 균과 함께 변기(A131)의 외부로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가장 황색 얼룩이 부착하기 쉬운 부위인 변기트랩(A132)에 있어서 요석의 석출이 방지되고 황색 얼룩의 발생이 방지된다.
여기서 오존함유수 생성기내의 수위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트센서(138)에 의해 직접 수위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해도 되고 혹은 제 2 분기관의 개폐밸브(139)가 열린 시점으로부터의 시간경과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해도 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변기(A13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변기(A13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도 변기세정액인 오존함유수를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의해 무성방전이용이나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전기적 처리로 생성시키므로 본 변기세정장치는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하는 세정장치에 비해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상기 장치에서는 유량제어밸브(135)의 유속을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변기의 트랩(A132)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오존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및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또, 오존함유수의 생성을 단속적으로 행하므로써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도 1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137)를 유량제어밸브(135)에도 접속하고 제어장치(137)에 타이머를 설치한다. 유량제어밸브(135)를 적절한 개방정도로 열어 소정의 유속으로 조절되도록 한 후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33)에서 제 1 분기관(132)과 유량제어밸브(1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로 유입되도록 한다. 개폐밸브(139)가 열리면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39)와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의 트랩(A132)으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 개폐밸브(1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135)가 닫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33)에서 제 1 분기관(132)과 유량제어밸브(1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로 유입된 후 개폐밸브(13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39)와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의 트랩(A132)으로 흘려보내지는 동안의 작동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즉,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138)에 의해 검지되고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1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137)에 의해 유량제어밸브(135)가 닫힌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저유수는 오존함유수로 생성되고, 오존함유수가 생성된 후 제어장치(137)에 의해 개폐밸브(139)가 열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필요할 때만 유량제어밸브(135)를 열고 오존함유수를 변기의 트랩(A132)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항시 흘려보낼 경우에 비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도 1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137)를 유량제어밸브(135)에도 접속하고 제어장치(13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해서 야간에만 유량제어밸브(135)를 열어 소정의 유속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33)에서 제 1 분기관(132)과 유량제어밸브(1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로 유입되도록 한다. 개폐밸브(139)가 열리면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39)와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의 트랩(A132)으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유량제어밸브(135)가 닫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존함유수가 야간에만 변기의 트랩(A132)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3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3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의 트랩(A13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제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도 1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135)에 접속한 제어장치(13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13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에도 접속하여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37)로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13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변기(A13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시간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137)에 의해유량제어밸브(135)를 열어 소정의 유속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33)에서 제 1 분기관(132)과 유량제어밸브(1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로 유입되게 된다. 개폐밸브(139)가 열리면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39)와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의 트랩(A132)으로 흘려보내지고,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제 2 분기관(139)의 개폐밸브(139)가 닫힌다.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제 1 분기관(133)의 유량제어밸브(135)가 닫히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사용시에는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13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3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13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도 1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135) 상류측의 제 1 분기관(132)에 개폐밸브(H)를 배치되어 설치하고 제어장치(137)를 개폐밸브(H)에 접속한다. 제어장치(13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유량제어밸브(135)는 항시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두고, 적절히 개폐밸브(H)를 연다. 그렇게 하면,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급수관(133)에서 제 1 분기관(132), 개폐밸브(H) 및 유량제어밸브(1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로 유입되게 된다. 개폐밸브(139)가 열리면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39)와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의 트랩(A132)으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H)가 닫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132)과 개폐밸브(H) 및 유량제어밸브(1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로 유입된 후 개폐밸브(13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39)와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의 트랩(A132)으로 흘려보내지는 동안의 작동은 상기와 동일하게 된다. 즉,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138)에 의해 검지되고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13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137)에 의해 개폐밸브(H)가 닫힌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저유수는 오존함유수로 생성되고 오존함유수가 생성된 후 제어장치(137)에 의해 개폐밸브(139)가 열린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필요할 때만 개폐밸브(H)를 열어 오존함유수를 변기의 트랩(A132)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가 절약된다.
또, 개폐밸브(H)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1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13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132)에 개폐밸브(H)를 설치한다. 제어장치(137)를 개폐밸브(H)에 접속하고 제어장치(137)에 타이머를 설치한다. 유량제어밸브(135)는 항상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두고 야간에만 개폐밸브(H)를 연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33)으로부터 제 1 분기관(132), 개폐밸브(H) 및 유량제어밸브(1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로 유입되도록 한다. 개폐밸브(139)가 열리면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39)와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의 트랩(A132)으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H)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3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31)의 표면이 수세되고변기트랩(A13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또, 개폐밸브(H)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14 의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유량제어밸브(135)보다 상류측의 제 1 분기관(132)에 개폐밸브(H)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어장치(137)를 개폐밸브(H)에 접속한다. 유량제어밸브(135)는 항상 소정의 유량이 흐르도록 조정해둔다. 제어장치(137)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설치한다. 제어장치(137)는 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37)에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13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변기(A13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137)에 의해 개폐밸브(H)를 연다. 그에 따라 급수밸브(13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33)으로 부터 제 1 분기관(132), 개폐밸브(H) 및 유량제어밸브(135)를 통해서 항시 소유량의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로 유입된다. 개폐밸브(139)가 열리면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39)와 제 2 분기관(136)을 통해서 변기트랩(A132)으로 흘려보내진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31)내의 수위가 약간 낮게 설정된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개폐밸브(139)가 닫히고 또, 그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시켜서 개폐밸브(H)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3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3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3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13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또, 개폐밸브(H)를 설치하므로써 개폐할 때마다 유량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제어장치에 유량제어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5 는 본 발명 변기세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플로트센서(148)를 갖는 오존함유수 생성기(141)가 제 1 분기관(142)를 통해서 변기세정용 급수관(143)의 플러시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144)보다 상류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밸브(145)가 제 1 분기관(142) 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오존함유수 생성기(141)는 제 2 분기관(146)을 통해서 변기트랩(A142)에 접속되어 있으며, 개폐밸브(149)가 제 2 분기관(146)도중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42)가 오존함유수 생성기(141), 개폐밸브(145),(149)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44)보다 상류의 변기세정용 급수관(143)으로부터 제 1 분기관(142)과 개폐밸브(145)를 통해서 수도물이 오존함유수 생성기(141)에 유입된다. 오존함유수 생성기내의 수위는 플로트센서(148)에 의해 검지된다. 오존함유수 생성기(141)내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플로트센서(14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147)에 의해 개폐밸브(145)가 닫힌다. 제어장치(147)에는 타이머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시간대에 있어서오존함유수 생성기(141)내의 저유수가 소정의 값 이상 있는 경우에만 오존함유수가 생성된다. 오존함유수가 생성된 후 제어장치(147)에 의한 지시로 신속하게 개폐밸브(149)가 열리고 생성된 오존함유수가 개폐밸브(149)와 제 2 분기관(146)을 통해서 변기트랩(A142)으로 흘려보내진다.
여기서, 오존함유수 생성기내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은 상기 플로트센서(148)에 의해 직접 수위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해도 되고, 혹은 제 1 분기관(142)의 개폐밸브(145) 또는 제 2 분기관(146)의 개폐밸브(149)가 열린 시점으로부터의 시간경과를 계측하므로써 검지하여도 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4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변기(A14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변기(A14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142)내의 체류수가 치환된다.
본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도 변기세정액인 오존함유수를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의해 무성방전이용이나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전기적 처리로 생성시키므로 본 변기세정장치는 종래의 화학약품을 세정수에 혼입시키는 세정장치에 비하여 메인티넌스의 필요성이 적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안전하다.
상기 장치에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적절히 오존함유수가 생성되여 변기트랩(A142)에 흘려보내진다. 따라서, 생균의 작용에 의거한 우레아제의 증가, 고착효과가 유효하게 억제되고, 암모니아의 용해에 의한 pH의 상승이 억제되어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의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오존함유수가 생성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트랩(A142)에 오존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항시 흘려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수도와 전기의 양이 절약되므로 자원과 에너지가 절약된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야간에만 오존 함유수가 생성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야간에만 변기트랩(A142)에 오존함유수가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예를 들면 오피스빌딩, 백화점, 역구내, 전시장, 관광시설내, 주간에만 운행하는 탑승물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와 같이 주간에만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변기에 있어서는 야간에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주간은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혹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4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소변기(A14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4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14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상기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제어장치(147)를 또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41)에도 접속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41)의 작동신호를 제어장치(147)로 입력한다.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41)의 작동신호에 의해 제어장치(147)의 타이머가 시동되도록하여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 변기(A141)가 사용되고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41)의 작동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41)의 작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타이머의 지시에 따라 제어장치(147)에 의해 오존함유수가 생성되는 시간대가 설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존함유수가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만 변기트랩(A142)에 흘려보내지게 되므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기내의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하여 변기 표면에 고착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나아가 요석의 부착이 방지됨과 더불어 악취의 한 원인도 방지된다. 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본 변기세정장치의 작동과는 별도로 변기자동세정시스템(B141)의 작동에 의해 혹은 수동에 의해 사용할 때마다 소변기(A141)에 수도물이 흘려보내져 소변기(A141)의 표면이 수세되고, 변기트랩(A142)의 체류수가 치환되므로 체류수중에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고 우레아제도 증가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전극을 갖는 무격막형의 연속식 전기분해조에 수도물을 도입하고, 티탄판상에 산화이리듐-백금계 촉매를 사용해서 수도물을 전기분해하며, 소변기의 세정배관계와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한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고,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수, 소변기트랩의 pH, 소변기트랩의 표면오염 등을 조사하는 효과확인시험을 행했다.
시험은 도 16 의 소변기①∼⑤에 대해서는, 농도가 다른 유리염소 함유수를 다른 유수빈도(流水殯度)로 흘려보내고, 소변기⑥에 대해서는 유리염소 함유수에 의한 세정을 행하지 않았다. 소변기①∼⑥ 모두 사용할 때마다 통상의 수세는 행했다. 시험조건을 표 1 에 나타냈으며, 또 본 소변기는 사내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상,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는 일은 없다.
표 1
Figure pct00004
시험개시 후 0.5개월이 지난 시점에서의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 수를표 2 에,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를 도 17 에 각각 나타냈다.
표 2
Figure pct00005
표 2, 도 17 의 소변기⑥의 데이터로부터 소변기가 사용되어서 통상의 수세(水洗)가 행해지고 소변기의 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되는 주간에 비하여, 소변기가 사용되지 않고 따라서 통상의 수세가 행해지지 않아 소변기의 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되지 않는 야간에 소변기트랩내의 체류수중의 세균수가 증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해서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pH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변기로의 요석의 부착도 야간에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2, 도 17 의 소변기①∼⑤의 데이터로부터, 수도물을 전기분해하므로써 얻어진 유리염소의 농도(염소원자를 환산한 중량농도)가 0.1∼3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므로써 소변기트랩 체류수가 멸균되고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표 1 의 시험을 1개월 계속한 후, 소변기①∼⑥의 트랩을 꺼집어내 표면을 관찰한 결과, 소변기⑥에서는 착색오염, 요석의 부착이 관찰된 반면에, 소변기①∼⑤에서는 착색오염, 요석의 부착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시험을 계속해서 개시부터 2개월 경과한 시점에서의 트랩의 오염을 도 28 에 나타냈다. 도 28(A) 및 (B)가 소변기⑥ 트랩의 상태이고 도 28(C) 및 (D)가 소변기①의 트랩의 상태이다. 이 도면에 의해 양측 모두 착색오염 및 요석의 부착의 정도차가 명확히 관찰된다.
또, 소변기②, ④, ⑤에 있어서 소변기트랩 체류수가 멸균되고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가 저하해서 황색얼룩오염이 관찰되지 않는 점에서 소변기가 사용되지 않아 통상의 수세가 행해지지 않고 소변기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되지 않는 야간에 소변기에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내므로써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의 증식, 즉 우레아제의 증가를 방지해서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의 상승, 나아가 소변기로의 요석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표 2, 도 17 의 소변기①, ②의 데이터로부터, 주간에는 사용한 후의 통상의 수세에 의해 소변기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되고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므로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거나 흘려보내지 않거나,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수,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의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변기가 사용되는 주간에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낼 필요성이 낮다고 생각되어진다.
표 2, 도 17 의 소변기②, ④, ⑤의 데이터로부터 유리염소 농도가 3mg/ℓ의유리염소 함유수와 유리염소 농도가 0.5mg/ℓ의 유리염소 함유수사이에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에 대한 살균효과,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상승억제효과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리염소 농도가 3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와 유리염소 농도가 0.1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 사이에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에 대한 살균효과,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의 상승억제효과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리염소 농도가 0.1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변기에 흘려보내면 소변기로의 요석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실시예 2)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전극을 갖는 무격막형의 연속식 전기분해조에 수도물을 도입하고, 티탄판상에 산화이리듐-백금계 촉매를 피복한 염소발생용 전극을 사용해서 수도물을 전기분해하고, 소변기의 세정배관계와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고,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수,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 소변기트랩의 표면오염 등을 조사하는 효과확인시험을 행했다.
단,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를 갑자기 소변기에 흘려보낸 데 반하여, 이번에는 그 직전에 강제적으로 소변기자동세정장치에 의해 체류수가 일단 치환되도록 하고나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도록 하였다.
시험은 도 16 의 소변기①∼④를 사용하여 행하고, 소변기①∼③에 대해서는농도가 다른 유리염소 함유수를 다른 시간간격으로 흘려보내고, 소변기④에 대해서는 유리염소 함유수에 의한 세정을 행하지 않았다. 소변기①∼④ 모두 사용할 때마다 통상의 세정을 행했다. 시험조건을 표 3 에 나타냈고, 또, 본 소변기는 사내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상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표 3
Figure pct00006
시험개시 후 0.5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수를 표 4 에,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를 도 18 에 나타냈다. 또,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수는 오전 7시 40분에 측정했다.
표 4
Figure pct00007
표 4, 도 18 의 소변기①∼③의 데이터로부터, 수도물을 전기분해하므로써얻어진 유리염소 농도(염소원자를 환산한 중량농도)가 0.02∼0.5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므로써 소변기트랩 체류수가 멸균되고 소변기트랩 체류수의 pH가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표 3 의 시험을 1개월동안 계속한 후, 소변기①∼④의 트랩을 꺼집어내 표면을 관찰한 결과, 소변기④에서는 착색오염, 요석의 부착이 관찰된 반면에, 소변기①∼③에서는 착색오염, 요석의 부착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는 유리염소 농도 0.02mg/ℓ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므로써 효과가 발생했으나, 이는 직전에 체류수가 치환되도록 하여 체류수중의 균수를 미리 감소시켰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실시예 3)
대변기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의 두가지 실험을 행했다.
실험 1. 대변기를 통상으로 사용하고 오염상태를 관찰했다. 초기의 변기 보울면(toilet bowl surface)에는 착색오염이 없었다. 그러나 2주가 경과하면 도 19(A) 및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래프트레벨(draft level)에 핑크색 링형상의 오염이 발생하고, 4주가 경과하면 도 19(B) 및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보울면(bowl surface)의 림부에 유수방향으로 종근(縱筋)형상의 오염이 방사형상으로 붙었다.
실험 2. 대변기를 통상으로 사용하고 또한 오전 8시와 오후 11시 1일 2회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를 대변기에 뿌렸다.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염소 함유수를 대변기에 뿌리는 방법은 평판형상의 전극을 갖는 무격막형의연속식 전기분해조에 수도물을 도입하고 티탄판상에 산화이리듐-백금계 촉매를 피복한 염소발생용 전극을 사용해서 수도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진 유리염소 함유수를 대변기 림부의 하부에 있는 변기 세정수가 방출되는 구멍부근에 보울면의 반주(半周)에 뿌렸다(도 20). 초기의 보울면에는 착색오염은 없었다. 4주가 경과하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면 림부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뿌리지 않았던 반면(半面)에 유수방향으로 종근형상의 오염이 방사형상으로 붙었다. 도 30(A)에 이 오염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냈다. 이에 대하여 유리염소 함유수를 뿌린 반면(半面)에는 도 30(B)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오염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실험 1에서 관찰된 드래프트레벨(draft level)의 핑크색 링형상의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험 1, 2로부터 전기분해에 의해 얻어진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내므로써 대변기의 착색오염도 방지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여기서, 보울면(bowl surface)의 림부에 유수방향으로 종근형상의 오염이 방사형상으로 붙는 것은 림부하부에 이산적(離散的)으로 설치된 변기세정수의 방출구멍과 오염위치가 거의 대응하는 점에서 이 부분에는 항시 수분이 공급되고 균이 번식하기 쉽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전기분해에 의해 얻어진 유리염소 함유수를 대변기에 흘려보낼 때에는 변기세정수의 방출구멍과 동일한 위치에서 흘려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변기세정용 급수관에서 변기에 흘려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존함유수 생성기에 수도물을 도입하고 오존함유수를 생성하여 소변기의 세정배관계와는 다른 배관을 통해서 생성된 오존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고,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수, 소변기트랩의 표면오염을 조사하는 효과확인시험을 행했다.
시험은 도 22 중의 소변기①∼⑤에 대해서는 농도가 다른 오존함유수를 다른 유수빈도로 흘려보내고, 소변기⑥에 대해서는 오존함유수에 의한 세정을 행하지 않았다. 소변기①∼⑥ 모두 사용할 때마다 통상의 수세는 행했고, 시험조건을 표 5 에 나타냈다.
표 5
Figure pct00008
시험개시 후 0.5개월이 지난 시점에서의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수를 표 6 에 나타냈다.
표 6
Figure pct00009
표 6 의 소변기⑥의 데이터로부터 소변기가 사용되어 통상의 수세가 행해져서 소변기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되는 주간에 비해서, 소변기가 사용되지 않고, 따라서 통상의 수세가 행해지지 않고 소변기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되지 않는 야간에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수가 증식하여 우레아제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변기로의 요석의 부착도 야간에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 6, 도 22의 소변기①∼⑤의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오존 농도가 0.01∼0.1mg/ℓ인 오존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므로써 소변기트랩 체류수가 멸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표 5 의 시험을 1개월동안 계속한 후, 소변기①∼⑥의 트랩을 꺼집어내표면을 관찰한 결과, 소변기⑥에서는 착색오염, 요석의 부착이 관찰된 반면에 소변기①∼⑤에서는 착색오염, 요석의 부착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소변기②, ④, ⑤에 있어서 소변기트랩 체류수가 멸균되고 황색얼룩오염이 관찰되지 않는 점에서 소변기가 사용되지 않아 통상의 수세가 행해지지 않고 소변기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되지 않는 야간에 소변기에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내므로써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증식, 즉 우레아제의 증가를 방지하고, 나아가 소변기로의 요석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표 6, 도 22 의 소변기①, ②의 데이터로부터, 주간에는 사용 후 통상의 수세에 의해 소변기트랩내의 체류수가 치환되고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므로 오존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내거나 흘려보내지 않거나,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수에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변기가 사용되는 주간에 유리염소 함유수를 소변기에 흘려보낼 필요성이 낮다고 생각되어진다.
표 6, 도 22 의 소변기②, ④, ⑤의 데이터로부터 유리염소 농도가 0.1 mg/ℓ인 오존함유수와 오존 농도가 0.05mg/ℓ인 오존함유수사이에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에 대한 살균효과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오존 농도가 0.1 mg/ℓ인 오존함유수와 오존 농도가 0.01mg/ℓ인 오존함유수 사이에 소변기트랩 체류수중의 세균에 대한 살균효과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오존 농도가 0.01mg/ℓ인 오존함유수를 변기에 흘려보내면 소변기로의 요석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실시예 5)
소변기트랩상에 5mmφ의 보울형상의 다공질 알루미나상에 산화티탄을 고정하고, 또 그 위에 초산은수용액을 함침시킨 고형물 시료 10개를 올려놓고 1개월동안 장치하므로써 소변기트랩의 오염상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고형물 시료를 올려놓지 않았던 소변기는 밝은 노란색으로 변색되어 있었으나 고형물 시료를 올려놓은 소변기는 거의 착색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아 소변기트랩의 오염방지에 상기 고형물 시료가 큰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고형물 시료에서 체류수중에 은이온이 용출되고 용출된 은이온이 체류수중 혹은 소변기트랩에 부착된 균에 작용해서 살균되어 우레아제의 증가가 억제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실시예 6)
체류수중 은이온의 살균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산은(醋酸銀)을 은중량환산으로 1mg/ℓ가 되도록 이온교환수에 용해하고, 또 멸균초순수(滅菌超純水)로 희석하여 소정의 은이온 농도를 갖는 시험액을 제작했다. 단, 은이온 농도 1 mg/ℓ 및 10 mg/ℓ인 시험액은 직접 멸균초순수에 용해해서 제작했다. 상기 시험액중에 대장균(E. coli)을 2×105CFU/㎖ 투입하고 소정시간 장치한 후 요드화칼륨을 첨가해서 은이온을 요드화은으로서 침전시켜 시험액중에서 제거하고 균의 생존률을 구했다.
결과를 도 23 에 나타낸다. 그 결과 은이온 농도가 1mg/ℓ 이상이면 20초정도의 작용시간으로도 균의 생존률을 10% 이하로 할 수 있으나 은이온 농도가 1㎍/ℓ정도가 되면 1시간정도 작용시키지 않으면 균의 생존율은 10% 이하가 되지 않았다.
단, 은이온의 경우 작용시간을 길게 해도 효과저하의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변기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체류수중 등에서 서서히 작용시키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7)
체류수중의 은이온의 살균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산은을 은중량환산으로 100mg/ℓ가 되도록 이온교환수에 용해시키고 또 화장실의 플러시 탱크(flush tank)의 물로 희석해서 소정의 은이온 농도를 갖는 시험액을 제작했다. 상기 시험액중에 대장균(E. coli)을 2×105CFU/㎖ 투입하고 소정 시간동안 장치한 후 요드화칼륨을 첨가해서 은이온을 요드화은으로서 침전시켜 시험액중에서 제거하고 균의 생존률을 구했다.
결과를 도 24 에 나타냈다. 작용시간은 2시간으로 했다. 그 결과, 시험액중에서 은중량환산으로 1㎍/ℓ 이상이면 균의 생존률을 10% 이하로 할 수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변기에 실제로 사용하는 세정수의 경우에도 작용시간이 길면 충분히 살균할 수 있고 착색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겠다.
(실시예 8)
(1) 주간에는 보통으로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사내에 설치된 소변기에 야간에 오후 10시 및 오전 3시에 수도물 또는 플러시 탱크(flushtank)중의 물을 흘려보내도록 했다.
그 결과, 수도물을 흘려보냈을 때에는 1개월 경과후의 오전 8시에 체류수가 침전하는 변기 트랩부를 관찰하면, 일부에 요석이 부착되고 밝은 노란색으로 착색되어 있었다. 또, 플러시탱크중의 물을 흘려보냈을 때에는 1개월경과 후에 체류수가 침전하는 변기의 트랩부에 엷게 슬라임(slime)형상의 부착물이 관찰되고 밝은 노란색으로 착색되어 있었다.
또, 1주간마다 체류수중의 균수를 조사한 결과, 표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류수중의 급수는 수도물을 흘려보냈을 때에는 최대 1×104CFU/㎖, 변기플러시탱크중의 물을 흘려보냈을 때에는 최대 3×104CFU/㎖였다.
(2)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전극을 갖는 무격막형의 연속식 전기분해조에 수도물 또는 플러시탱크중의 물을 도입하고 티탄판형상으로 산화이리듐-백금계 촉매를 피복한 염소발생용 전극을 사용해서 수도물 또는 플러시탱크중의 물을 전기분해하고 소변기의 세정배관과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한 유리염소 함유수를 주간에는 보통으로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는 일이 없는 사내에 설치된 소변기에 야간에 오후 10시 및 오전 3시에 흘려보내도록 했다.
그 결과, 수도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 농도 1mg/ℓ의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경우 및 변기플러시탱크내의 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 농도 0.5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경우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1개월경과후에 체류수가 침적하는 변기의 트랩부에는 요석의 부착도 착색오염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 1주간마다 체류수중의 균수를 조사한 결과, 표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류수중의 균수는 수도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 농도 1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경우는 항상 0 CFU/㎖, 변기플러시탱크중의 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 농도 0.5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경우는, 최대 2×10 CFU/㎖, 수도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 농도 0.1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경우에는, 최대 2×103CFU/㎖정도였다.
표 7
Figure pct00010
(3) (1), (2)의 결과로부터 체류수중의 균수를 1×104CFU/㎖ 이상으로 하면 요석의 부착 및 착색오염이 부착하기 쉽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반대로 체류수중의 균수를 1×104CFU/㎖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 요석의 부착 및 착색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진다.
(실시예 9)
체류수중의 유리염소의 살균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소정 농도의 유리염소 함유수에 소정 균수의 대장균(E. coli)을 투입하여 20초 후 티오황산 나트륨(sodium thiosulfate)을 첨가해서 유리염소를 제거하고 균의 생존률을 조사했다.
결과를 도 25 에 나타냈다. 도 25 에서는 횡축에는 살균력, 즉 균생존률의 역수, 종축에는 1mg당의 유리염소가 살균할 수 있는 균의 개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로부터 살균력에 관계없이 1mg당의 유리염소가 살균할 수 있는 균의 개수는 일정하게 2.5∼5×1010개가 되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균 1×104CFU/㎖를 살균하기 위한 유리염소의 양은 0.2∼0.4㎍/ℓ가 되고, 그 이상 첨가하면 체류수중의 균수를 1×104CFU/㎖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실시예 10)
주간에는 보통으로 사용되고 야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사내에 설치된 소변기에 있어서의 균수의 시간적 변화를 하기의 경우에 각각 조사했다.
우선, 근무시간 후인 오후 7시에 균수를 조사하면 평균 8×102CFU/㎖정도이다.
하룻밤 장치하면 균수는 평균 1×106CFU/㎖ 정도로 증가한다.
그것에 대해서 야간에 오후 10시 및 오전 3시에 수도물을 흘려보내도록 하면다음날 오전 8시에는 1×103CFU/㎖ 정도로 유지된다. 이것은 야간에 오후 10시 및 오전 3시에 수도물을 흘려보내므로써 체류수가 치환되어 균이 흘려보내지는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실제로 변기에 있어서의 체류수의 치환률은 약 99% 정도이기 때문에 체류수중의 동일한 비율(99%)의 균이 변기의 외부로 흘려보내진다. 그러나, 이 경우 살균성 물질을 접촉시키지 않았으므로 조금이나마 남은 균은 증식하고 또 외부에서 은 균도 체류수중에 침투하므로 다음날 오전 8시에는 균수가 1×103CFU/㎖ 정도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 체류수중의 균수는 수도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 농도 1 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경우에는 항상 0 CFU/㎖, 변기플러시탱크중의 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 농도 0.5 mg/㎖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경우에는 최대 1×10 CFU/㎖, 수도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 농도 0.1 mg/㎖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경우에는 최대 2×102CFU/㎖ 정도였다.
유리염소 농도 0.5mg/ℓ 또는 0.1mg/ℓ인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경우에 급수가 0이 되지 않는 것은 오전 3시에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냈을 때에 균수가 일단은 0이 되나, 오전 8시가 되기 전에 유리염소 함유수중의 유리염소 농도가 0이 되어버려 그 후 외부에서 은 균이 체류수중에 혼입 혹은 번식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간극으로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낼 경우에는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낸 후 유리염소 함유수중의 유리염소 농도가 0이 되기 전, 보다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예에서 0.2㎍/ℓ차 되기 전에 다시 유리염소 함유수를 흘려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11)
수도물에 암모니아성 질소를 20ppm첨가한 용액을 전기분해해서 결합염소를 2.8ppm 생성시켰다. 이 용액 25㎖에 균농도가 2×107CFU/㎖가 되도록 녹농균(P. aeruginosa)을 혼입시켜 소정 시간 장치하고, 그 후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염소분을 회수한 후 생균수를 구했다. 도 2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조건으로 결합염소에 5분 접촉시키므로써 균은 거의 전멸했다.

Claims (34)

  1. 우레아제(urease)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3.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4.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5.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6.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과,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7.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또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공정과,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8.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는 상기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이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변기에 접속시키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9.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는 상기 우레아제를 함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정이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에 접촉시키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0. 제 1 항, 제 3 항, 제 6 항,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는 상기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이 세정수와 함께 세균을 변기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1. 제 1 항, 제 3 항, 제 6 항,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는 상기 우레아제를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이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와 함께 세균을 변기 외부로 제거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에는 우레아제의 효소작용을 저해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의 pH가 5.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유리염소를 함유하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결합염소를 함유하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오존함유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염소의 농도가 0.1mg/ℓ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염소의 농도가 0.5mg/ℓ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염소가 염소이온 함유수를 전기분해해서 얻은 유리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는 상기 오존 함유수중의 오존 농도가 0.01mg/ℓ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는 상기 오존 함유수중의 오존 농도가 0.05mg/ℓ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는 상기 오존 함유수는 무성방전(無聲放電)에 의한 생성오존의 물로의 용해 혹은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물중에서의 오존 생성에 의해 얻어진 오존 함유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는 상기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은이온 농도1㎍/ℓ 이상의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5. 제 17 항에 있어서는 상기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은이온 농도 10㎍/ℓ 이상의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6. 제 17 항에 있어서는 상기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가 항균성 금속이온 담지체에 의해 방출된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는 항균성 금속이온 담지체를 체류수가 저유되는 변기트랩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8.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변기에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29.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항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변기에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30.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변기에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31.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변기를 세정할 때마다 변기에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32. 제 9 항에 있어서는 상기 살균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변기세정이 완료되는 동안 또는 완료직후에 변기에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33. 제 17 항에 있어서는 상기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야간에만 변기의 체류수로서 저유(貯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34. 제 17 항에 있어서는 상기 항균성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변기사용 후 일정시간 이내에 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변기의 체류수로서 저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방법.
KR1019970701072A 1994-08-19 1995-08-21 변기세정방법및장치 KR100440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69594 1994-08-19
JP94-216695 1994-08-19
JP32409694 1994-11-18
JP94-324096 1994-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5680A KR970705680A (ko) 1997-10-09
KR100440988B1 true KR100440988B1 (ko) 2004-10-14

Family

ID=2652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072A KR100440988B1 (ko) 1994-08-19 1995-08-21 변기세정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19390B1 (ko)
EP (2) EP0778375A4 (ko)
JP (1) JPH11222898A (ko)
KR (1) KR100440988B1 (ko)
CN (1) CN1224764C (ko)
CA (1) CA2197690A1 (ko)
TW (1) TW272244B (ko)
WO (1) WO19960062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42B1 (ko) * 2007-08-16 2009-04-03 대방포스텍(주) 조명 발광 남성용 소변기
KR101439192B1 (ko) 2010-07-28 2014-09-12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0094A1 (en) * 2001-07-26 2003-02-06 H20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and controlling bacteria growth in fluid supply lines
US20030108612A1 (en) * 2001-10-31 2003-06-12 Xu Xiaohong Nancy Metallic nanoparticles for inhibition of bacterium growth
DE10229799A1 (de) * 2002-07-03 2004-01-29 Airbu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Aufbereitung und Wiederverwendung von Grauwasser zur Spülung von Toiletten in Vakuumsystemen
DE10259997B4 (de) * 2002-12-20 2007-09-13 Airbus Deutschland Gmbh Flugzeugtoilettensystem
US7047574B2 (en) * 2003-02-27 2006-05-23 Geberit Technik A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varying a volume of a liquid held by a toilet receptacle
DE10349158A1 (de) * 2003-10-22 2005-06-16 Airbu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Wasserversorgung in Luftfahrzeugen
US20080116144A1 (en) * 2006-10-10 2008-05-22 Spicer Randolph,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chlorine demand, decreasing disinfection by-products and controlling deposits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DE202007018952U1 (de) * 2007-08-24 2009-11-26 Henkel Ag & Co. Kgaa WC-Spüler mit einstellbarer Wirkstoffabgabemenge
JP2009057824A (ja) * 2008-12-05 2009-03-19 Toto Ltd 便器
TWI394105B (zh) * 2009-11-02 2013-04-21 Shun Qing Lee 小便斗用距離警示器及其警示方法
KR101262759B1 (ko) 2011-03-17 2013-05-09 박정일 비데용 살균수 제조 공급장치
KR101189048B1 (ko) 2011-03-22 2012-10-08 박정일 전기 분해 전극을 구비한 소변 세정기
JP5029930B1 (ja) * 2011-03-30 2012-09-19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WO2012142435A2 (en) 2011-04-15 2012-10-18 Advanced Diamond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system and method for on-site generation of oxidants at high current density
WO2013086217A1 (en) 2011-12-06 2013-06-13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Ozone distribution in a faucet
JP5327727B2 (ja) 2012-02-14 2013-10-30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6073104B2 (ja) * 2012-10-12 2017-02-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用済み吸収性物品を処理する方法
US20140166498A1 (en) * 2012-12-19 2014-06-19 John J. Orolin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760255B2 (en) * 2013-07-15 2020-09-01 As America, Inc. Self 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JP6199411B2 (ja) 2013-11-26 2017-09-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器
ITVT20130009A1 (it) * 2013-12-17 2014-03-18 Gastone Vitali Debatterizzatore dei sifoni per tutte le serie di water (sospesi, a terra disabili, ecc.) per eliminare il ritorno di virus e batteri dalle fognature.
TWI588331B (zh) * 2014-07-23 2017-06-21 Toto Ltd 小便器裝置及小便器單元
JP6371974B2 (ja) * 2014-09-12 2018-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DE102015106221A1 (de) * 2015-04-22 2016-10-27 Duravit Aktiengesellschaft Sanitäreinrichtung
US10239772B2 (en) 2015-05-28 2019-03-26 Advanced Diamond Technologies, Inc. Recycling loop method for preparation of high concentration ozone
WO2017011506A1 (en) 2015-07-13 2017-01-19 Delta Faucet Company Electrode for an ozone generator
EP3378999B1 (en) 2015-08-24 2021-05-05 Kohler Co. Toilet trip lever with chemical dispensing
JP6885933B2 (ja) * 2015-10-09 2021-06-16 エーエス・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S America,Inc. 自己洗浄式トイレアセンブリおよびシステム
CA2946465C (en) 2015-11-12 2022-03-29 Delta Faucet Company Ozone generator for a faucet
CN115093008B (zh) 2015-12-21 2024-05-14 德尔塔阀门公司 包括消毒装置的流体输送系统
JP6804032B2 (ja) * 2016-03-09 2020-12-23 Toto株式会社 小便器装置
JP2017179812A (ja) * 2016-03-29 2017-10-05 Toto株式会社 小便器
CN105926743A (zh) * 2016-06-07 2016-09-07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一种除异味消毒组件、小便器及小便器的冲洗方法
EP3529397A4 (en) 2016-10-20 2020-06-24 Advanced Diamond Technologies, Inc. OZONE GENERATORS, METHOD FOR PRODUCING OZONE GENERATORS AND METHOD FOR PRODUCING OZONE
GB2557191B (en) * 2016-11-29 2021-02-24 Roseland Holdings Ltd Toilet assembly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JP6775121B2 (ja) * 2017-08-29 2020-10-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便器洗浄システム
US10920408B2 (en) * 2018-10-24 2021-02-16 Hall Labs Llc Antimicrobial toilet with electrolyzer
GB2594943B (en) * 2020-05-12 2022-08-24 Greenteck Global Ltd Plumbing fixture sanitising syste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5738A (ja) * 1988-03-15 1989-09-20 Nishihara Eisei Kogyosho Oosakaten:Kk 便所
JPH0219156A (ja) * 1988-07-07 1990-01-23 Yunisoido Kk オゾン健康装置
JPH0227030A (ja) * 1988-07-15 1990-01-29 Toto Ltd 水洗式便器装置
JPH03242289A (ja) * 1990-02-16 1991-10-29 O C Eng Kk 局部洗浄装置に於ける洗浄水の殺菌方法と局部洗浄装置用給水タンク
KR920018210A (ko) * 1991-03-11 1992-10-21 안소니 지. 아유발라짓, 2세 변기청정블록
JPH04339934A (ja) * 1991-05-16 1992-11-26 Sharp Corp 暖房便座における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137774A (ja) * 1991-11-19 1993-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悪臭発生防止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5569A (en) * 1944-12-06 1950-07-18 Le Roy Houghton Disinfecting and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s
FR2029558A1 (ko) * 1969-01-28 1970-10-23 Beer Henri
US3939499A (en) * 1972-09-05 1976-02-24 Monogram Industries, Inc. Recirculating electrolytic toilet
US3975256A (en) * 1973-02-22 1976-08-17 Heds, Inc. Apparatus for treatment of aqueous sewage composition
US3978208A (en) 1974-01-07 1976-08-31 Eisai Co., Ltd. Deodorizing compositions
US3949900A (en) * 1974-10-23 1976-04-13 Chapel William I Chemical dispenser
DE2721433C3 (de) * 1977-05-12 1981-02-12 Walter 6368 Bad Vilbel Haberle Mit einem Klappdeckel versehenes Wasserspülklosett
DE2911288C2 (de) * 1979-03-22 1984-08-30 Bernd 8000 München Eder Verfahren zum Entkeimen von Wasser, insbesondere von Schwimmbeckenwasser
US4416854A (en) * 1979-08-24 1983-11-22 Sharon G. Nielsen Method for killing water borne microorganisms
EP0064054A1 (en) * 1980-10-16 1982-11-10 KOSTI, Carl M. Bacteriostatic deodorant water coloring toilet element
JPS57119997A (en) 1981-01-19 1982-07-26 Lion Corp Hydroxamic acid type amphoteric surfactant
JPS5826135A (ja) 1981-08-08 1983-0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便器洗浄装置
US4435857A (en) * 1982-04-02 1984-03-13 Twinoak Products, Inc. Apparatus for cleansing and disinfecting toilet tanks and bowls
CA1230280A (en) 1983-09-06 1987-12-15 George D. Nelson Method and tablet for sanitizing toilets
US4755354A (en) 1984-07-20 1988-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romide activated hypochlorite cleaning of soiled toilet bowls
JPS61246281A (ja) 1985-04-25 1986-11-01 Nippon Soda Co Ltd トイレ排水管のスケ−ル防止方法
JPH0768539B2 (ja) 1986-06-24 1995-07-26 ライオン株式会社 ビリルビン汚れのしみ抜き剤
JPS63223231A (ja) 1987-03-10 1988-09-16 有限会社総合企画室陽光 洗浄媒体の脱臭方法
JPH01127736A (ja) 1987-11-13 1989-05-19 Kajima Corp トイレ用芳香発生装置
US5062940A (en) * 1988-03-02 1991-11-05 Water Regeneration Systems, Inc. Electrolytic liquid purification apparatus
JPH078768B2 (ja) 1988-06-06 1995-02-01 ジプコム株式会社 殺菌水
JP2699281B2 (ja) 1988-11-30 1998-01-19 日本曹達株式会社 浸漬型尿石防止剤および尿石付着防止方法
JPH0333332A (ja) * 1989-06-28 1991-02-13 Noritz Corp 水洗トイレ装置
JPH0445200A (ja) 1990-06-12 1992-02-14 Ishizuka Glass Co Ltd トイレ用抗菌芳香洗浄剤
GB2248858B (en) 1990-10-17 1994-04-27 Metra Oy Ab Vacuum toilet system with treated rinse liquid
JPH0557276A (ja) * 1991-03-16 1993-03-09 Nippondenso Co Ltd 浄水装置
JP3033857B2 (ja) 1991-07-23 2000-04-1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実体顕微鏡
JPH0527182U (ja) * 1991-09-18 1993-04-09 東陶機器株式会社 創水装置を具備する便器の自動洗浄システム
JPH05161695A (ja) 1991-12-12 1993-06-29 Mitsubishi Materials Corp 便器用尿石形成防止消臭ペースト
JP3339060B2 (ja) 1991-12-20 2002-10-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防臭トイレ床部材
JPH062996A (ja) 1992-06-19 1994-01-11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ATE160509T1 (de) 1992-12-23 1997-12-15 Vupiesse Italia Sas Gürtel mit einer stütze zur einstellung von elektroden
JP3252000B2 (ja) 1993-01-26 2002-01-28 シントーファイン株式会社 尿石防止剤及び尿石防止方法
JPH07136660A (ja) 1993-04-02 1995-05-30 Toto Ltd 殺菌性上水供給式洗浄用住設機器
CN1099379C (zh) 1994-05-31 2003-01-22 东陶机器株式会社 含氯离子的流水的电解装置及电解方法
JP3045227B2 (ja) 1997-07-07 2000-05-29 東洋通信機株式会社 位置検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5738A (ja) * 1988-03-15 1989-09-20 Nishihara Eisei Kogyosho Oosakaten:Kk 便所
JPH0219156A (ja) * 1988-07-07 1990-01-23 Yunisoido Kk オゾン健康装置
JPH0227030A (ja) * 1988-07-15 1990-01-29 Toto Ltd 水洗式便器装置
JPH03242289A (ja) * 1990-02-16 1991-10-29 O C Eng Kk 局部洗浄装置に於ける洗浄水の殺菌方法と局部洗浄装置用給水タンク
KR920018210A (ko) * 1991-03-11 1992-10-21 안소니 지. 아유발라짓, 2세 변기청정블록
JPH04339934A (ja) * 1991-05-16 1992-11-26 Sharp Corp 暖房便座における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137774A (ja) * 1991-11-19 1993-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悪臭発生防止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42B1 (ko) * 2007-08-16 2009-04-03 대방포스텍(주) 조명 발광 남성용 소변기
KR101439192B1 (ko) 2010-07-28 2014-09-12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06237A1 (en) 1996-02-29
EP1029991A2 (en) 2000-08-23
EP0778375A1 (en) 1997-06-11
KR970705680A (ko) 1997-10-09
EP0778375A4 (en) 1998-11-11
US6319390B1 (en) 2001-11-20
CN1346916A (zh) 2002-05-01
EP1029991A3 (en) 2002-01-02
TW272244B (ko) 1996-03-11
JPH11222898A (ja) 1999-08-17
CA2197690A1 (en) 1996-02-29
CN1224764C (zh)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988B1 (ko) 변기세정방법및장치
JP3480173B2 (ja) 殺菌水供給機能付便器ユニット
US20180216331A1 (en) Toilet bowl water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4289848B2 (ja) 水処理装置
CA2475443C (en) Method for sterilisation and cleaning of water supply systems, in particular in swimming and bathing pool unit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same
JP3031280B2 (ja) 便器洗浄装置
JP3191798B2 (ja) 便器表面への尿石の付着除去方法
KR200353265Y1 (ko) 소독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JP4671160B2 (ja) 殺菌水生成装置
JP2001232369A (ja) 便器殺菌装置及び殺菌水生成装置
JP3516369B2 (ja) 便器排水管の防汚防臭方法
EP4150168B1 (en) Plumbing fixture sanitising system
JP2000080701A (ja) 便器洗浄方法及び装置
WO2001021902A1 (fr) Dispositif de sterilisation et procede pour le siege
JP2000080700A (ja) 便器洗浄方法及び装置
JP2000027262A (ja) 便器洗浄水の殺菌装置
WO2007057940A1 (en) Water disinfec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0355965A (ja) 便器殺菌装置
JP2000027262A5 (ko)
JPH11106791A (ja) 便器洗浄方法及び装置
JPH10314748A (ja) 殺菌装置
JPH1177055A (ja) 風呂水殺菌装置
KR102521636B1 (ko) 양변기용 전해위생수 및 비데용 수소수 제조 및 공급장치
JP2001252666A (ja) 連続式電解槽および便器の殺菌装置
JPH10314516A (ja) 浴水浄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